KR20220000722A - Device to prevent misconnection of cables - Google Patents

Device to prevent misconnection of cab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722A
KR20220000722A KR1020200078713A KR20200078713A KR20220000722A KR 20220000722 A KR20220000722 A KR 20220000722A KR 1020200078713 A KR1020200078713 A KR 1020200078713A KR 20200078713 A KR20200078713 A KR 20200078713A KR 20220000722 A KR20220000722 A KR 20220000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cover
display device
cable
lower cov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7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61163B1 (en
Inventor
정연홍
오규환
이기탁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78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163B1/en
Publication of KR20220000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7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1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to prevent misconnection of cables, which comprises a long plate-shaped upper cover and lower cover, and clamps provided at both ends thereof, so that the connection state of cables can be maintained after gripping and fixing the cables connected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nd then separating the cables from a terminal block. Therefore, a process of reconnecting cables after maintenance work or the like is finished can be easily, quickly and accurately performed.

Description

케이블 오결선 방지 장치{DEVICE TO PREVENT MISCONNECTION OF CABLES}Device for preventing cable misconnection {DEVICE TO PREVENT MISCONNECTION OF CABLES}

본 발명은 케이블 오결선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케이블이 연결된 장치에서 케이블을 분리하고 필요한 작업을 실시한 후에 다시 케이블을 연결할 때 케이블을 정확하게 원래의 위치에 연결할 수 있도록 된 케이블 오결선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erroneous wiring preven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ble erroneous cable that can accurately connect cables to their original positions when connecting cables again after disconnecting cables from a device to which a plurality of cables are connected and performing a necessary operation It relates to a wiring prevention device.

일반적으로 다수의 말단 장치가 구비되는 전자 제어 시스템의 케이블 단자대에는 많은 수의 케이블이 연결된다.In general, a large number of cables are connected to a cable terminal block of an electronic control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end devices.

그러한 장치의 일례로서 도 1에 소방설비의 케이블 단자대 박스(1)를 도시하였다.As an example of such a device, a cable terminal block box 1 of a firefighting system is shown in FIG. 1 .

상기 단자대 박스(1)는 전면에 도어가 설치된 캐비닛 형태로 제작되며, 그 내부에는 다수의 단자대(2)가 규칙적인 배열로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단자대(2)에는 양측으로 다수의 케이블(전선)(3)들이 연결된다. 케이블(3)의 단부에는 금속재질의 단자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단자가 스크류로 단자대(2)에 내장된 연결단자의 일측에 접속 및 고정된다.The terminal block box 1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cabinet with a door installed on the front, and a plurality of terminal blocks 2 are installed in a regular arrangement therein. A plurality of cables (electric wires) 3 are connected to each terminal block 2 on both sides. A metal terminal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cable 3, and the terminal is connect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connection terminal built in the terminal block 2 with a screw.

한편, 상기 케이블(3)에 연결되어 있는 각종 장치들의 보수작업 등을 위해 단자대(2) 하나에 연결된 다수의 케이블(3)을 모두 분리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보수작업이 끝난 후에는 케이블(3)을 다시 원래의 위치에 정확히 연결해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 case in which it is necessary to separate all the plurality of cables 3 connected to one terminal block 2 for maintenance of various devices connected to the cable 3 . In this case, after the repair work is completed, the cable (3) must be correctly connected to the original position again.

그런데 케이블(3)의 수가 많고, 그 외관이 유사하며, 단자대(2)의 접속부 위치가 일렬로 인접하여 있기 때문에 재연결시 케이블(3)을 잘못된 위치에 연결하기가 쉽다. 즉 케이블 오결선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number of cables 3 is large, their appearances are similar, and the positions of the connection parts of the terminal blocks 2 are adjacent in a line, it is easy to connect the cables 3 to the wrong position during reconnection. That is,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cable erroneous wiring easily occurred.

이와 같이 케이블(3)이 오결선되면 연결된 장비의 소손, 오작동 및 감전사고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오결선이 발생하지 않도록 케이블(3) 재연결 작업을 꼼꼼하고 정확하게 진행해야 한다. 따라서 작업이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In this way, when the cable (3) is incorrectly wired, the connected equipment may be damaged, malfunction, or electric shock accident.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operation is difficult and takes a lot of tim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9-0034800호(1999.05.15.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999-0034800 (published on May 15, 1999)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단자대에서 다수의 케이블을 분리하고 필요 작업을 실시한 후 재결선 작업을 할 때 케이블의 오결선을 방지해줌으로써 오결선에 의한 장비 소손, 오작동, 감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된 케이블 오결선 방지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prevents erroneous wiring of cables when rewiring after disconnecting a plurality of cables from the terminal block and performing necessary work, thereby causing equipment damage due to miswiring,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ble erroneous wiring prevention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malfunctions and electric shock accident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폭에 비해 길이가 긴 판재 형상인 상부덮개와; 상기 상부덮개와 동일한 길이와 폭으로 형성된 하부덮개 및; 상기 상부덮개와 하부덮개의 사이에 다수의 케이블이 파지된 상태를 견고히 유지하도록 상부덮개와 하부덮개의 양측 단부를 결합하는 클램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length compared to the width is a long plate-shaped upper cover; a lower cover formed with the same length and width as the upper cover; and a clamp for coupling both ends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to firmly mainta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cables are gripped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상기 상부덮개와 하부덮개의 양단부에는 상부덮개와 하부덮개 결합시 상호 맞대어지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그 양단부의 결합부에 모두 상기 클램프가 설치되되, 상부덮개의 결합부에 클램프의 일단부가 힌지 연결되며, 클램프의 타단부 내측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하부덮개의 결합부 저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걸려지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both ends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coupling portions that face each other wh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re coupled are formed, and the clamps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coupling portions, and one end of the clamp is hinged to the coupling portion of the upper cover. , A locking projection is formed inside the other end of the clamp, and a locking groove through which the locking projection is hooked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of the lower cover.

상기 케이블이 단자대에 연결된 상태를 촬영하여 화면에 재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를 상부덮개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해주는 디스플레이 기기 설치수단;을 더 포함한다.a display device capable of capturing a state in which the cable is connected to a terminal block and playing it on a screen; It further includes; a display device installation means for detachably installing the display device on the upper cover.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 설치수단은, 상부덮개의 결합부에 구비된 자석과, 디스플레이 기기의 케이스 배면에 구비된 철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device installation mean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gnet provided in the coupling portion of the upper cover, and an iron plat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of the display device.

상기 철판의 표면에 플라스틱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astic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iron plate.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 설치수단은, 상부덮개의 상면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부덮개와의 사이에 지지홈을 형성하는 L자형 지지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일단부가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었을 때 디스플레이 기기의 타단부를 상부덮개에 고정해주는 탄성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device installation means includes an L-shaped support member installed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and forming a support groove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display device when one end of the display device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astic band for fixing the other end to the upper cover.

상기 상부덮개와 하부덮개의 내측면에 케이블을 눌러주는 탄성패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lastic pad for pressing the cable is provided on inner surfaces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상기 상부덮개의 내측면과 탄성패드 사이에 가압플레이트가 구비되고, 그 가압플레이트를 눌러주는 볼트가 상부덮개의 양측부에 관통하여 나사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ressure plate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and the elastic pad, and bolts for pressing the pressure plate are screwed through both sides of the upper cov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오결선 방지 장치는, 폭에 비해 길이가 긴 판재 형상인 상부덮개와; 상기 상부덮개와 동일한 길이와 폭으로 형성된 하부덮개와; 상기 상부덮개와 하부덮개의 일측 단부를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과; 상기 상부덮개와 하부덮개의 사이에 다수의 케이블이 파지된 상태를 견고히 유지하도록 상기 상부덮개와 하부덮개의 타측 단부를 결합하는 클램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able erroneous wi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compared to the width is a long plate-shaped upper cover; a lower cover formed with the same length and width as the upper cover; a hinge pin for rotatably connecting one end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nd a clamp coupling the other ends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to firmly mainta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cables are gripped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상기 상부덮개와 하부덮개의 양단부에는 상부덮개와 하부덮개 결합시 상호 맞대어지는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고, 그 중 일단부의 결합부에서 하부덮개의 결합부에는 폭방향 양측부에 힌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돌기가 상부덮개의 결합부 측부에 상기 힌지핀을 매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both ends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coupling portions that face each other wh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re coupled are respectively formed, and hinge protrus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at the coupling portion of the lower cover at the coupling portion of one end thereof,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inge protrusion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coupling part of the upper cover via the hinge pin.

상기 힌지핀 연결부의 반대쪽 단부의 결합부 중 상부덮개의 결합부에 클램프의 일단부가 힌지 연결되고, 클램프의 타단부 내측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핀 연결부의 반대쪽 단부의 결합부 중 하부덮개의 결합부 저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걸려지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end of the clamp is hinged to the coupling part of the upper cover among the coupling parts at the opposite ends of the hinge pin connection part, and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inside the other end of the clamp, and the lower cover of the coupling parts at the opposite end of the hinge pin connection pa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locking groov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to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is hooked.

상기 케이블이 단자대에 연결된 상태를 촬영하여 화면에 재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를 상부덮개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해주는 디스플레이 기기 설치수단;을 더 포함한다.a display device capable of capturing a state in which the cable is connected to a terminal block and playing it on a screen; It further includes; a display device installation means for detachably installing the display device on the upper cover.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 설치수단은, 상부덮개의 결합부에 구비된 자석과, 디스플레이 기기의 케이스 배면에 구비된 철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device installation mean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gnet provided in the coupling portion of the upper cover, and an iron plat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of the display device.

상기 철판의 표면에 플라스틱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astic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iron plate.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 설치수단은, 상부덮개의 상면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부덮개와의 사이에 지지홈을 형성하는 L자형 지지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일단부가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었을 때 디스플레이 기기의 타단부를 상부덮개에 고정해주는 탄성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device installation means includes an L-shaped support member installed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and forming a support groove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display device when one end of the display device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astic band for fixing the other end to the upper cover.

상기 상부덮개와 하부덮개의 내측면에 케이블을 눌러주는 탄성패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lastic pad for pressing the cable is provided on inner surfaces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상기 상부덮개의 내측면과 탄성패드 사이에 가압플레이트가 구비되고, 그 가압플레이트를 눌러주는 볼트가 상부덮개의 양측부에 관통하여 나사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ressure plate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and the elastic pad, and bolts for pressing the pressure plate are screwed through both sides of the upper cover.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오결선 방지장치를 이용하면, 다수의 케이블을 단자대에서 분리한 상태에서도 연결되어 있을 때의 순서 그대로 유지 및 보관할 수 있다.By using the cable erroneous wi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a plurality of cables are separated from the terminal block, it can be maintained and stored in the same order as when they are connected.

따라서 보수 작업 등을 완료한 후, 케이블을 재연결할 때 본 발명 장치에 보관된 순서대로 대응하는 단자대의 접속 위치에 연결하게 되면 오결선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장비 손상, 오작동,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cables are reconnected after completing repair work, erroneous wiring can be prevented if the cables ar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blocks in the order stored i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by preventing equipment damage, malfunction, and electric shock. ha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오결선 방지장치에는 케이블 결선 상태를 미리 촬영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소형 디스플레이 기기를 장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촬영 화면을 참고하여 결선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device for preventing miswiring of ca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ipped with a small display device that can take pictures of the cable connection status in advance and display them on the screen. do.

도 1은 케이블 단자대 박스의 도어 개방 상태 정면도와 개별 단자대에 다수의 케이블이 연결된 모습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오결선 방지장치의 분리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오결선 방지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디스플레이 기기 설치 구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디스플레이 기기 설치 구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기기 설치 구조 적용 부분에 디스플레이 기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오결선 방지장치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오결선 방지장치의 정면도.
1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front view of a door open state of a cable terminal block box and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cables are connected to individual terminal blocks.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paration state of the cable erroneous wi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the cable erroneous wi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display device installation structure;
5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display device installation structure;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isplay device is installed in a portion to which the display device installation structure shown in FIG. 5 is applied;
7 is a front view of a cable erroneous wi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of a cable erroneous wi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오결선 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상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오결선 방지 장치는 폭에 비해 길이가 긴 직사각형 판재 형상인 상부덮개(10)와 그와 동일한 길이와 폭으로 형성된 하부덮개(20) 및 이들을 상호 결합하기 위해 상부덮개(10)와 하부덮개(20)의 양단에 형성된 클램프(30)를 포함한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ble erroneous wi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cable erroneous wiring preve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ctangular plate-shaped upper cover 10 having a long length compared to the width. and a lower cover 20 formed with the same length and width as the same, and clamps 30 formed at both ends of the upper cover 10 and the lower cover 20 to couple them to each other.

상기 상부덮개(10)와 하부덮개(20)는 도 3과 같이 다수의 케이블(3)을 단자대에 연결된 상태 그대로(즉, 케이블(3)이 단자대에서 분리되기 전에 파지함) 파지하는 부품으로서, 자신들의 사이에 끼워져 위치 및 순서가 고정된 케이블(3)의 라벨이나 색상을 볼 수 있도록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cover 10 and the lower cover 20 are parts that hold the plurality of cables 3 as they are connected to the terminal block (that is, grip the cables 3 before being separated from the terminal block) as shown in FIG. 3 , It is preferable to be made of a transparent plastic material so that the label or color of the cables 3 having a fixed position and order by being sandwiched between them can be seen.

상기 상부덮개(10)와 하부덮개(20)는 상호 맞닿았을 때 자신들의 사이에 케이블(3) 파지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양단부에 상대방쪽으로 가까워지는 단차가 형성되는 구조로 결합부(11,21)가 형성된다. 즉 상부덮개(10)와 하부덮개(20)는 상기 결합부(11,21)가 서로 맞닿는 상태로 결합되며, 이때 상부덮개(10)와 하부덮개(20)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공간)으로 케이블(3)이 통과하게 된다. The upper cover 10 and the lower cover 20 have a structure in which a step closer to each other is formed at both ends to secure a holding space for the cable 3 between them when the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coupling portions 11 and 21 ) is formed. That is, the upper cover 10 and the lower cover 20 are coupled with the coupling portions 11 and 21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t this time, a gap (space) formed between the upper cover 10 and the lower cover 20 . As a result, the cable (3) is passed through.

도면부호 3a 는 단자대에 연결되는 케이블측 단자이다.Reference numeral 3a denotes a cable-side terminal connected to the terminal block.

상기 클램프(30)는 상기 상부덮개(10)와 하부덮개(20) 중 어느 하나의 결합부(11,21)에 설치된다. 도면에는 상부덮개(10)의 결합부(11)에 클램프(30)가 설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The clamp 30 is installed in any one of the coupling portions 11 and 21 of the upper cover 10 and the lower cover 20 . The figure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lamp 30 is installed in the coupling part 11 of the upper cover 10 .

상기 클램프(30)는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귿자(ㄷ)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부덮개(10)의 결합부(11) 단부에 힌지핀(H1)으로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다. 또한 클램프(30)의 타측 단부에는 내측면에 걸림돌기(3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7 , the clamp 30 is formed in a digut character (c) shape, and one end of the clamp 30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coupling part 11 of the upper cover 10 by a hinge pin (H1) and rotates. It is possible. In addition, at the other end of the clamp 30, a locking protrusion 31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상기 걸림돌기(31)에 대응하여 하부덮개(20)의 결합부(21) 단부의 저면에는 걸림돌기(31)와 동일한 형상의 걸림홈(22)이 형성된다.A locking groove 22 having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locking protrusion 31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nd of the coupling part 21 of the lower cover 20 to correspond to the locking protrusion 31 .

따라서 다수의 케이블(3)을 사이에 두고 상부덮개(10)와 하부덮개(20)를 서로 밀착시킨 뒤(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결합부(11,21)가 서로 맞닿게 된다), 양단의 클램프(30)를 하부덮개(20)쪽으로 완전히 회동시키면 서로 겹쳐진 결합부(11,21)가 클램프(3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됨으로써 상부덮개(10)와 하부덮개(20)가 결합된다.Therefore, after the upper cover 10 and the lower cover 20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ith a plurality of cables 3 interposed therebetween (at this time, the respective coupling portions 11 and 21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both ends When the clamp 30 is completely rotated toward the lower cover 20, the coupling portions 11 and 21 overlapping each other ar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lamp 30, thereby coupling the upper cover 10 and the lower cover 20.

또한 클램프(30)의 걸림돌기(31)가 하부덮개(20) 결합부(21)의 걸림홈(22)에 끼워져 걸려짐으로써 클램프(30)가 자력으로 풀리지 않게 됨으로써 상부덮개(10)와 하부덮개(2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In addition, since the locking protrusion 31 of the clamp 30 is fitted and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22 of the lower cover 20 coupling part 21, the clamp 30 is not released by its own force, so that the upper cover 10 and the lower part The coupled state of the cover 20 is stably maintained.

따라서 상부덮개(10)와 하부덮개(20)의 사이에 다수의 케이블(3)들이 파지된 상태가 원래의 배열 상태 그대로 변함없이 유지되며, 이에 따라 나중에 재연결할 때 순서대로 연결하면 오결선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cables 3 are gripped between the upper cover 10 and the lower cover 20 remains unchanged as it is in the original arrangement, and accordingly, when reconnecting later, if connected in order, misconnection is avoided. be able to do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오결선 방지 장치는 촬영 및 촬영 영상의 재생이 가능한 소형 디스플레이 기기(40)와, 그 디스플레이 기기(40)를 상부덮개(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해둘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 설치수단을 더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cable erroneous connection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mall display device 40 capable of shooting and reproducing a captured image, and a display device capable of detachably fixing the display device 40 to the upper cover 10 . It further includes an installation means.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40)는 작고 가벼우며 얇은 직사각형 판재 형상으로서 상기 상부덮개(10)에 용이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40 has a small, light, and thin rectangular plate shape, and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upper cover 10 for use.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 설치수단은 도 4와 같이, 상부덮개(10)의 결합부(11)에 설치된 자석(50)과,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40)의 배면에 설치된 철판(60)을 포함한다.The display device installation means includes a magnet 50 installed on the coupling portion 11 of the upper cover 10 and an iron plate 60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40 as shown in FIG. 4 .

상기 자석(50)은 상부덮개(10)의 일측 결합부(11) 상면에 형성된 설치홈(12)에 삽입 및 부착 고정되며, 상기 철판(60)은 디스플레이 기기(40) 케이스(41)의 배면에 형성된 설치홈(42)에 삽입 및 부착 고정된다.The magnet 50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installation groove 1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11 on one side of the upper cover 10 , and the iron plate 60 is the display device 40 ,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41 . Inserted and attached to the installation groove 42 formed in the fixed.

결합부(11)에 비해 디스플레이 기기(40)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상기 설치홈(42)은 케이스(41) 배면에서 하단쪽에 치우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length of the display device 40 is longer than that of the coupling portion 11 , the installation groove 42 is preferably formed to be biased toward the lower en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41 .

또한 상기 철판(60)은 표면에 얇은 플라스틱 코팅층이 형성되어 부식을 방지하면서도 상기 자석(50)에 부착되는 것에는 문제가 없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iron plate 60 is formed with a thin plastic coating layer on the surface to prevent corrosion and there is no problem in attaching to the magnet 50 .

따라서 작업자는 케이블(3)을 단자대에서 분리하기 전에 미리 디스플레이 기기(40)로 케이블(3) 연결 상태를 촬영하고, 그 촬영 영상을 디스플레이 기기(40)의 화면(40a)에 띄운 후, 상기 자석(50)과 철판(60)의 부착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기기(40)를, 도 3과 같이, 상부덮개(10)의 결합부(11) 상면에 장착할 수 있다.Therefore, before disconnecting the cable 3 from the terminal block, the operator photographs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able 3 with the display device 40 in advance, and after floating the captured image on the screen 40a of the display device 40, the magnet The display device 40 may b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11 of the upper cover 10 as shown in FIG. 3 by using the adhesive force of the 50 and the iron plate 60 .

따라서 작업자는 케이블(3)을 재결선할 때 디스플레이 기기(40)에 재생된 사진을 참고하여 케이블(3)을 연결하면 되므로 케이블 연결 작업을 보다 쉽고 빠르며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operator rewires the cable 3 , it is only necessary to connect the cable 3 with reference to the picture reproduced on the display device 40 , so that the cable connection operation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quickly and accurately.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40)는 자력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것이므로 필요한 경우에만 상부덮개(10)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Since the display device 40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using magnetic force, it can be mounted on the upper cover 10 and used only when necessary.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 설치수단은 디스플레이 기기(40)를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기만 하면 되므로 디스플레이 기기의 측부 모서리를 잡아 고정하는 형태의 탄성 걸림편을 상부덮개(10)의 결합부(11) 상면에 복수개 설치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기기(40)가 삽입 안착되는 전용의 고정 케이스를 상기 결합부(11) 상면에 설치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display device installation means only needs to be able to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display device 40, a plurality of elastic locking pieces in the form of holding and fixing the side edges of the display device ar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11 of the upper cover 10.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installing or installing a dedicated fixed cas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40 is inserted and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unit 11 .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 설치수단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덮개(10) 자체의 상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즉 도 5와 같이, 상부덮개(10)의 상면에 L자 형상의 지지부재(13)가 상부덮개(10)의 폭방향으로 고정되고, 상부덮개(10)에는 탄성밴드(70)가 구비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installation means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10 itself as shown in FIGS. 5 and 6 . That is, as shown in FIG. 5 , an L-shaped support member 13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10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cover 10 , and an elastic band 70 is provided on the upper cover 10 . will be.

상기 지지부재(13)는 L자 형상이므로 상부덮개(10)에 설치되면 상부덮개(10)와 자신의 사이에 지지홈(13a)을 형성하게 된다.Since the support member 13 is L-shaped, when installed on the upper cover 10, a support groove 13a is formed between the upper cover 10 and itself.

따라서 작업자는 도 6과 같이 케이블 결선 상태를 촬영한 디스플레이 기기(40)의 하단부를 상기 지지홈(13a)에 삽입하여 지지부재(13)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고, 디스플레이 기기(40)의 상부에 상기 탄성밴드(70)를 감아 고정시키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오결선 방지 장치를 사용하는 동안 디스플레이 기기(40)의 설치 상태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operator inserts the lower end of the display device 40 photographing the cable connection state into the support groove 13a as shown in FIG. 6 to be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13, and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isplay device 40. When the elastic band 70 is wound and fixed,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display device 40 can be sufficiently maintained while using the cable erroneous connection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기기(40)를 상부덮개(20)에 장착하고 그 영상을 참고하면서 케이블 재결선 작업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시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device 40 is mounted on the upper cover 20 in various ways and the cable re-wiring operation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performed while referring to the image.

한편, 상기 상부덮개(10)와 하부덮개(20)는 표면이 매끄럽고 단단한 플라스틱 재질이므로 양자의 사이에 파지된 케이블(3)들의 위치가 작업 중 변동될 가능성이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upper cover 10 and the lower cover 20 have a smooth and hard plastic surfac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positions of the cables 3 held between them may be changed during operation.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덮개(10)와 하부덮개(20)의 내측면 즉, 상호 마주보는 면에 직사각형의 탄성패드(80)를 전체적으로 부착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7 , the rectangular elastic pad 80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10 and the lower cover 20 , that is, to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as a whole.

상기와 같이 탄성패드(80)가 부착되면 상부덮개(10)와 하부덮개(20)로 케이블(3)을 파지할 때 탄성패드(80)가 변형되면서 케이블(3)의 표면에 보다 넓은 면적으로 접촉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3)의 위치가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중 케이블(3)의 위치가 변동될 우려가 없다.When the elastic pad 80 is attach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able 3 is gripped with the upper cover 10 and the lower cover 20, the elastic pad 80 is deformed to a wider area on the surface of the cable 3 . Since they can be contacted, the position of the cable 3 can be kept very stable. Therefore, there is no fear that the position of the cable 3 is changed during operation.

한편, 케이블(3)이 굵고 중량이 무거운 경우, 상기 탄성패드(80)의 존재만으로 케이블(3)의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없을 때가 있다. 이런 경우를 대비하여 상부덮개(10)의 내측부에는 가압플레이트(90)가 설치되고, 그 가압플레이트(90)에 가압력을 전달하고 가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볼트(100)가 상부덮개(10)의 양측부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패드(80)는 가압플레이트(90)의 표면(겉으로 노출되어 하부덮개(20)를 향하는 면)에 부착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able 3 is thick and heavy, the position of the cable 3 cannot be firmly maintained only by the presence of the elastic pad 80 . In preparation for this case, a pressure plate 90 is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cover 10, and the bolt 100 is installed on the upper cover 10 to transmit the pressure to the pressure plate 90 and maintain the pressure state. It may be installed through both sides. In this case, the elastic pad 80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90 (the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and facing the lower cover 20).

따라서 상부덮개(10)와 하부덮개(20)의 사이에 케이블(3)을 파지하고 클램프(30)를 체결한 후, 상기 볼트(100)를 조여 가압플레이트(90)를 눌러주면 가압플레이트(90)에 의해 가압력이 케이블 파지 면적 전체에 걸쳐 상기 탄성패드(80)를 통해 작용하게 되므로 보다 견고하게 케이블(3)의 파지 위치를 고정해둘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cable 3 is gripped between the upper cover 10 and the lower cover 20 and the clamp 30 is fastened, the bolt 100 is tightened and the pressure plate 90 is pressed when the pressure plate 90 is pressed. ), the pressing force acts through the elastic pad 80 over the entire cable gripping area, so that the gripping position of the cable 3 can be more firmly fixed.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오결선 방지 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오결선 방지 장치는 상부덮개(10)와 하부덮개(20)의 일측 단부가 힌지핀(H2)에 의해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Figure 8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cable erroneous connection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ble erroneous connection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one end of the upper cover 10 and the lower cover 20 is a hinge pin (H2) )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즉, 상부덮개(10)의 일측 결합부(11)와 그에 대응되는 하부덮개(20)의 일측 결합부(21)가 힌지핀(H2)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이다.That is, the one side coupling part 11 of the upper cover 10 and the one side coupling part 21 of the lower cover 20 corresponding thereto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hinge pin H2.

이러한 힌지 구조가 적용된 상태에서 상부덮개(10)와 하부덮개(20)의 결합부(11,21)가 서로 완전히 면접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양측 덮개중 어느 한쪽의 결합부(21; 도면에는 하부덮개의 결합부에 형성된 경우를 도시함)에 힌지돌기(23)가 결합부(2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그 힌지돌기(23)와 상대편 결합부(11)의 측면이 힌지핀(H2)으로 연결된다.In a state in which such a hinge structure is applied, in order to ensure that the coupling parts 11 and 21 of the upper cover 10 and the lower cover 20 are in complete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one coupling part 21 of either side of the cover; the lower part in the drawing A hinge protrusion 23 is formed to protrude in a perpendicula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art 21 in the case where it is formed in the coupling part of the cover), and the side surface of the hinge protrusion 23 and the opposite coupling part 11 It is connected by this hinge pin (H2).

즉 힌지돌기(23)는 하부덮개(20)의 결합부(21)에서 폭방향 양측부에 형성되고, 상부덮개(10)의 결합부(11)는 그 폭이 양측 힌지돌기(23)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다.That is, the hinge protrusion 23 is form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coupling part 21 of the lower cover 20, and the coupling part 11 of the upper cover 10 has a width between the hinge protrusions 23 on both sides. It is formed to a length that can be inserted.

이 실시예의 경우, 힌지핀(H2) 설치된 쪽의 반대쪽 단부에만 클램프(30)가 설치된다.In this embodiment, the clamp 30 is installed only at the opposite end of the hinge pin H2 installed side.

따라서 상부덮개(10)와 하부덮개(20)는 힌지핀(H2)을 중심으로 상호 회동되면서 집게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이에 보다 용이하게 상부덮개(10)와 하부덮개(20) 사이에 케이블(3)들을 파지할 수 있으며, 클램프(30) 체결 작업도 1회만 실시하면 되므로 케이블 오결선 방지 장치의 사용이 보다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upper cover 10 and the lower cover 20 can be operated in a clamping manner while mutually rotating around the hinge pin H2, and thus more easily the cable between the upper cover 10 and the lower cover 20. (3) can be gripped, and since the clamp 30 fastening operation only needs to be performed onc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use of the cable erroneous wiring prevention device becomes easier.

또한 이 실시예에서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패드(80), 가압플레이트(90), 볼트(100)를 설치하여 이들에 의한 작용 효과를 동일하게 가질 수 있다.Also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8, by installing the elastic pad 80, the pressure plate 90, and the bolt 100, it is possible to have the same action and effect.

그 외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디스플레이 기기(40)와 디스플레이 기기 설치수단도 모두 동일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와 같은 동일한 적용 사항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display device 40 and the display device installation mean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can also be applied and used in the same way, and repeated descriptions of the same application items will be omit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which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may be made You will understand that it is possible.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 상부덮개 11 : 결합부
12 : 설치홈 13 : 지지부재
13a : 지지홈 20 : 하부덮개
21 : 결합부 22 : 걸림홈
23 : 힌지돌기 30 : 클램프
31 : 걸림돌기 40 : 디스플레이 기기
41 : 케이스 42 : 설치홈
50 : 자석 60 : 철판
70 : 탄성밴드 80 : 탄성패드
90 : 가압플레이트 100 : 볼트
10: upper cover 11: coupling part
12: installation groove 13: support member
13a: support groove 20: lower cover
21: coupling part 22: locking groove
23: hinge protrusion 30: clamp
31: stumbling block 40: display device
41: case 42: installation groove
50: magnet 60: iron plate
70: elastic band 80: elastic pad
90: pressure plate 100: bolt

Claims (17)

폭에 비해 길이가 긴 판재 형상인 상부덮개와;
상기 상부덮개와 동일한 길이와 폭으로 형성된 하부덮개 및;
상기 상부덮개와 하부덮개의 사이에 다수의 케이블이 파지된 상태를 견고히 유지하도록 상부덮개와 하부덮개의 양측 단부를 결합하는 클램프;
를 포함하는 케이블 오결선 방지 장치.
an upper cover in the shape of a plate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width;
a lower cover formed with the same length and width as the upper cover;
a clamp coupling both ends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to firmly mainta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cables are gripped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 device for preventing miswiring of cabl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와 하부덮개의 양단부에는 상부덮개와 하부덮개 결합시 상호 맞대어지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그 양단부의 결합부에 모두 상기 클램프가 설치되되, 상부덮개의 결합부에 클램프의 일단부가 힌지 연결되며, 클램프의 타단부 내측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하부덮개의 결합부 저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걸려지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오결선 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both ends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coupling portions that face each other wh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re coupled are formed, and the clamps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coupling portions, and one end of the clamp is hinged to the coupling portion of the upper cover. , A device for preventing misconnection of cables, characterized in that a locking projection is formed inside the other end of the clamp, and a locking groove through which the locking projection is caught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of the lower cov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이 단자대에 연결된 상태를 촬영하여 화면에 재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를 상부덮개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해주는 디스플레이 기기 설치수단;
을 더 포함하는 케이블 오결선 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isplay device capable of capturing a state in which the cable is connected to a terminal block and playing it on a screen;
a display device installation means for detachably installing the display device on the upper cover;
Cable misconnection preven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 설치수단은, 상부덮개의 결합부에 구비된 자석과, 디스플레이 기기의 케이스 배면에 구비된 철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오결선 방지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display device installation means includes a magnet provided in the coupling portion of the upper cover and an iron plat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of the display devi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철판의 표면에 플라스틱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오결선 방지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Cable misconnection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stic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iron plat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 설치수단은, 상부덮개의 상면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부덮개와의 사이에 지지홈을 형성하는 L자형 지지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일단부가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었을 때 디스플레이 기기의 타단부를 상부덮개에 고정해주는 탄성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오결선 방지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display device installation means includes an L-shaped support member installed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and forming a support groove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display device when one end of the display device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Cable misconnection prevention device comprising an elastic band for fixing the other end to the upper cov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와 하부덮개의 내측면에 케이블을 눌러주는 탄성패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오결선 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able misconnection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n elastic pad for pressing the cabl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의 내측면과 탄성패드 사이에 가압플레이트가 구비되고, 그 가압플레이트를 눌러주는 볼트가 상부덮개의 양측부에 관통하여 나사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오결선 방지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 cable misconnection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ressure plate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and the elastic pad, and bolts for pressing the pressure plate are screwed through both sides of the upper cover.
폭에 비해 길이가 긴 판재 형상인 상부덮개와;
상기 상부덮개와 동일한 길이와 폭으로 형성된 하부덮개와;
상기 상부덮개와 하부덮개의 일측 단부를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과;
상기 상부덮개와 하부덮개의 사이에 다수의 케이블이 파지된 상태를 견고히 유지하도록 상기 상부덮개와 하부덮개의 타측 단부를 결합하는 클램프;
를 포함하는 케이블 오결선 방지 장치.
an upper cover in the shape of a plate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width;
a lower cover formed with the same length and width as the upper cover;
a hinge pin for rotatably connecting one end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 clamp coupling the other ends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to firmly mainta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cables are gripped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 device for preventing miswiring of cables.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와 하부덮개의 양단부에는 상부덮개와 하부덮개 결합시 상호 맞대어지는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고, 그 중 일단부의 결합부에서 하부덮개의 결합부에는 폭방향 양측부에 힌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돌기가 상부덮개의 결합부 측부에 상기 힌지핀을 매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오결선 방지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t both ends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coupling portions that face each other wh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re coupled are formed, respectively, of which hinge protrus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at the coupling portion of the lower cover at the coupling portion of one end thereof, Cable misconnection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inge protrusion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coupling part of the upper cover through the hinge pin.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힌지핀 연결부의 반대쪽 단부의 결합부 중 상부덮개의 결합부에 클램프의 일단부가 힌지 연결되고, 클램프의 타단부 내측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핀 연결부의 반대쪽 단부의 결합부 중 하부덮개의 결합부 저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걸려지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오결선 방지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One end of the clamp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coupling part of the upper cover among the coupling parts at the opposite end of the hinge pin connection part, and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inside the other end of the clamp, and the lower cover of the coupling part at the opposite end of the hinge pin connection part. Cable misconnection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groov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to which the engaging projection is caught.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이 단자대에 연결된 상태를 촬영하여 화면에 재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를 상부덮개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해주는 디스플레이 기기 설치수단;
을 더 포함하는 케이블 오결선 방지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 display device capable of capturing a state in which the cable is connected to a terminal block and playing it on a screen;
a display device installation means for detachably installing the display device on the upper cover;
Cable misconnection preven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 설치수단은, 상부덮개의 결합부에 구비된 자석과, 디스플레이 기기의 케이스 배면에 구비된 철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오결선 방지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display device installation means includes a magnet provided in the coupling portion of the upper cover and an iron plat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of the display device.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철판의 표면에 플라스틱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오결선 방지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Cable misconnection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stic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iron plate.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 설치수단은, 상부덮개의 상면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부덮개와의 사이에 지지홈을 형성하는 L자형 지지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일단부가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었을 때 디스플레이 기기의 타단부를 상부덮개에 고정해주는 탄성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오결선 방지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display device installation means includes an L-shaped support member installed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and forming a support groove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display device when one end of the display device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Cable misconnection prevention device comprising an elastic band for fixing the other end to the upper cover.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와 하부덮개의 내측면에 케이블을 눌러주는 탄성패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오결선 방지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Cable misconnection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n elastic pad for pressing the cabl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의 내측면과 탄성패드 사이에 가압플레이트가 구비되고, 그 가압플레이트를 눌러주는 볼트가 상부덮개의 양측부에 관통하여 나사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오결선 방지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A cable misconnection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ressure plate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and the elastic pad, and bolts for pressing the pressure plate are screwed through both sides of the upper cover.

KR1020200078713A 2020-06-26 2020-06-26 Device to prevent misconnection of cables KR1023611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713A KR102361163B1 (en) 2020-06-26 2020-06-26 Device to prevent misconnection of cab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713A KR102361163B1 (en) 2020-06-26 2020-06-26 Device to prevent misconnection of cab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722A true KR20220000722A (en) 2022-01-04
KR102361163B1 KR102361163B1 (en) 2022-02-11

Family

ID=79342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713A KR102361163B1 (en) 2020-06-26 2020-06-26 Device to prevent misconnection of cab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16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800A (en) 1997-10-30 1999-05-15 양재신 One-touch type wire terminal block
KR200358867Y1 (en) * 2004-05-07 2004-08-11 경신공업 주식회사 Fixed clip for cable
KR20190054218A (en) * 2017-11-13 2019-05-22 신성에스앤티 주식회사 Electric wire arrangement fixed tools for subway platform screen door
KR102012385B1 (en) * 2018-12-13 2019-08-20 주식회사 토마스 케이블 Cables of clamps that consist of double jacket layer
KR20200065909A (en) * 2018-11-30 2020-06-09 한국전력공사 Apparatus for detection wiring mismatch of mof and wattme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800A (en) 1997-10-30 1999-05-15 양재신 One-touch type wire terminal block
KR200358867Y1 (en) * 2004-05-07 2004-08-11 경신공업 주식회사 Fixed clip for cable
KR20190054218A (en) * 2017-11-13 2019-05-22 신성에스앤티 주식회사 Electric wire arrangement fixed tools for subway platform screen door
KR20200065909A (en) * 2018-11-30 2020-06-09 한국전력공사 Apparatus for detection wiring mismatch of mof and wattme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12385B1 (en) * 2018-12-13 2019-08-20 주식회사 토마스 케이블 Cables of clamps that consist of double jacket 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1163B1 (en) 2022-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095974A1 (en) Connector holding device
JP6871895B2 (en) Holding device for fixing electronic systems and cables
US20180269618A1 (en) Network cable connector
US20100051309A1 (en) Wall plate bracket
KR102361163B1 (en) Device to prevent misconnection of cables
TWI743581B (en) Signal communication socket
KR100330125B1 (en) Data Communication Kit
JP2010266519A (en) Optical fiber cable fixing tool
JPH1029600A (en) Space connector attaching/detaching device
TWI450454B (en) Connector assembly
EP3067994A1 (en) Connector plug for a housing
JP2016054076A (en) Flat cable clamp
KR200155114Y1 (en) Cable junction protection enclosure
JP3130804U (en) Shared optical connector attaching / detaching tool
KR20210049500A (en) Optical terminal box
JPH1140239A (en) Cable connector for communication device
JP3101177B2 (en) Network concentrator
JP2006019207A (en) Adapter for modular jack and cable connecting method
JP4112480B2 (en) Optical component fixing structure, optical fiber tray, optical component holder
CN220962694U (en) Front-back maintainable display module and display screen
EP3706258B1 (en) Adapter and electronic device
JP3440592B2 (en) Video pair line type branching / distributor
KR20210017789A (en) Display apparatus
KR200231315Y1 (en) USB Hub Combined Device for Computers
JPS5818309Y2 (en) Board mounting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