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713U -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00713U KR20220000713U KR2020220000591U KR20220000591U KR20220000713U KR 20220000713 U KR20220000713 U KR 20220000713U KR 2020220000591 U KR2020220000591 U KR 2020220000591U KR 20220000591 U KR20220000591 U KR 20220000591U KR 20220000713 U KR20220000713 U KR 20220000713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fastening
- flexible cable
- protrusion
- connec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7—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8—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unter-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플렉시블 케이블이 배치되는 케이블 배치부를 전면에 포함하고, 컨택 삽입부를 후면에 포함하고, 메탈 피팅 삽입홈을 전면 양측에 포함하는 하우징, 컨택 삽입부 내로 삽입되고, 일측 말단에 오목부가 형성된 제1 연장부를 상부 영역에 포함하고, 플렉시블 케이블과 접촉하는 제1 접촉부를 하부 영역에 포함하는 제1 컨택, 컨택 삽입부 내로 삽입되고, 일측 말단에 고리부가 형성된 제2 연장부를 상부 영역에 포함하고, 플렉시블 케이블과 접촉하는 제2 접촉부를 하부 영역에 포함하는 제2 컨택, 오목부가 일부를 감싸는 지지축 및 고리부와 맞물리는 지지 고리를 후방에 포함하고, 지지축 및 지지 고리와 회전축을 형성하는 회전 돌기를 후방 양측면에 포함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플렉시블 케이블과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가압부를 전방에 포함하고, 체결 돌기를 가압부의 양측면에 포함하는 구동부, 메탈 피팅 삽입홈에 삽입되고, 체결 돌기와 체결되는 체결홈을 전방에 포함하고, 회전 돌기의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후방에 포함하는 메탈 피팅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플렉시블 케이블(Flexible Cable)은 평판 형상의 케이블로 FPC(Flexible Printed Cable)타입과 FFC(Flexible Flat Cable)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플렉시블 케이블은 굽힘이 자유로운 가요성을 가지며, 내측에 전기선이 평형으로 배열되어 넓은 폭을 갖고 상대 터미널과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렉시블 케이블은,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를 이용하여 전자 부품이나 회로를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게 된다.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일반적인 구조는 합성수지재로 된 절연 케이스와 상기 절연 케이스 내측에 형성된 다수 개의 단자 삽입홈에 다수 개의 금속재 단자가 삽입 결합된다. 그리고, 금속재 단자는 절연 케이스 내측으로 삽입되는 플렉시블 케이블을 접속하며, 절연 케이스에는 플렉시블 케이블을 가압하여 금속재 단자와 접속시키는 슬라이더를 가지며, 절연 케이스 내측의 금속재 단자는 회로 기판에 납땜으로 부착되어, 플렉시블 케이블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은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플렉시블 케이블과 금속재 단자와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 내측으로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을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굳은 결속 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131849호에는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 내측으로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향상된 제품 신뢰성을 가지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구동부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메탈 피팅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플렉시블 케이블이 배치되는 케이블 배치부를 전면에 포함하고, 컨택 삽입부를 후면에 포함하고, 메탈 피팅 삽입홈을 전면 양측에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컨택 삽입부 내로 삽입되고, 일측 말단에 오목부가 형성된 제1 연장부를 상부 영역에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과 접촉하는 제1 접촉부를 하부 영역에 포함하는 제1 컨택; 상기 컨택 삽입부 내로 삽입되고, 일측 말단에 고리부가 형성된 제2 연장부를 상부 영역에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과 접촉하는 제2 접촉부를 하부 영역에 포함하는 제2 컨택; 상기 오목부가 일부를 감싸는 지지축 및 상기 고리부와 맞물리는 지지 고리를 후방에 포함하고, 상기 지지축 및 지지 고리와 회전축을 형성하는 회전 돌기를 후방 양측면에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과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가압부를 전방에 포함하고, 체결 돌기를 상기 가압부의 양측면에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메탈 피팅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체결 돌기와 체결되는 체결홈을 전방에 포함하고, 상기 회전 돌기의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후방에 포함하는 메탈 피팅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은 제1 체결면과 제2 체결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면 및 제2 체결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체결 돌기와 접촉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면과 상기 제2 체결면은 서로 마주보고, 상기 제1 체결면은 상기 체결 돌기의 상면과 접촉하고, 상기 제2 체결면은 상기 체결 돌기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은, 제3 체결면과 상기 제3 체결면과 마주보는 제4 체결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체결면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체결홈과 체결된 상기 체결 돌기의 사방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체결 돌기는 상기 하우징과 미접촉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메탈 피팅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직접 접촉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덮는 제1 커버부와, 상기 하우징의 하면과 직접 접촉하여 상기 하우징의 하면을 덮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는 서로 마주볼 수 있다.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는 상기 구동부가 배치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플렉시블 케이블이 배치되는 케이블 배치부를 전면에 포함하고, 컨택 삽입부를 후면에 포함하고, 메탈 피팅 삽입홈을 전면 양측에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컨택 삽입부 내로 삽입되고, 일측 말단에 오목부가 형성된 제1 연장부를 상부 영역에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과 접촉하는 제1 접촉부를 하부 영역에 포함하는 제1 컨택; 상기 컨택 삽입부 내로 삽입되고, 일측 말단에 고리부가 형성된 제2 연장부를 상부 영역에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과 접촉하는 제2 접촉부를 하부 영역에 포함하는 제2 컨택; 상기 오목부가 일부를 감싸는 지지축 및 상기 고리부와 맞물리는 지지 고리를 후방에 포함하고, 상기 지지축 및 지지 고리와 회전축을 형성하는 회전 돌기를 후방 양측면에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과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가압부를 전방에 포함하고, 체결 돌기를 전방 양측면에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메탈 피팅 삽입홈에 삽입되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직접 접촉하는 제1 커버부 및 상기 하우징의 하면과 직접 접촉하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돌기의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후방에 포함하는 메탈 피팅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는 서로 마주볼 수 있다.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는 상기 구동부가 배치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의 연장 길이는 상기 제2 커버부의 연장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메탈 피팅은 상기 하우징과 이격 간격을 미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플렉시블 케이블이 배치되는 케이블 배치부를 전면에 포함하고, 컨택 삽입부를 후면에 포함하고, 메탈 피팅 삽입홈을 전면 양측에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컨택 삽입부 내로 삽입되는 복수 개의 컨택; 회전 돌기를 후방 양측면에 포함하고, 상기 회전 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과 상기 복수 개의 컨택을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가압부를 전방에 포함하고, 체결 돌기를 상기 가압부의 양측면에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메탈 피팅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체결 돌기와 체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닫힌 상태를 유지시키는 체결홈을 전방에 포함하고, 상기 회전 돌기의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후방에 포함하는 메탈 피팅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은 제1 체결면과 제2 체결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면 및 제2 체결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체결 돌기와 접촉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면과 상기 제2 체결면은 서로 마주보고, 상기 제1 체결면은 상기 체결 돌기의 상면과 접촉하고, 상기 제2 체결면은 상기 체결 돌기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은 제3 체결면과 상기 제3 체결면과 마주보는 제4 체결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체결면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체결홈과 체결된 상기 체결 돌기의 사방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체결 돌기는 상기 하우징과 미접촉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메탈 피팅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직접 접촉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덮는 제1 커버부와, 상기 하우징의 하면과 직접 접촉하여 상기 하우징의 하면을 덮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는 서로 마주볼 수 있다.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는 상기 구동부가 배치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체결홈을 포함하는 메탈 피팅을 이용하여, 구동부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가 포함하는 금속제 컨택과 플렉시블 케이블 간의 안정적인 접속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향상된 제품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분해 사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C-C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가 포함하는 메탈 피팅의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부분 사시도들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구동을 단계별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가 포함하는 메탈 피팅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조립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가 포함하는 케이블 걸림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C-C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가 포함하는 메탈 피팅의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부분 사시도들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구동을 단계별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가 포함하는 메탈 피팅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조립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가 포함하는 케이블 걸림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5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분해 사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C-C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가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가 포함하는 구성요소들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대략적인 도면들이다. 따라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가 포함하는 구성요소들 각각의 부피, 길이 및 비율 등은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는 하우징(110), 제1 컨택(200), 제2 컨택(300), 구동부(400) 및 메탈 피팅(50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메탈 피팅 삽입홈(111), 케이블 고정홈(113), 컨택 삽입부(115), 케이블 걸림턱(117), 케이블 배치부(11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택(200)은 제1 연장부(210), 오목부(211), 제3 연장부(220) 및 제1 접촉부(221) 및 제1 실장부(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컨택(300)은 제2 연장부(310), 고리부(311), 제4 연장부(320), 제2 접촉부(321) 및 제2 실장부(33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400)은 회전 돌기(410), 지지축(420), 지지 고리(430), 체결 돌기(440) 및 가압부(450)을 포함할 수 있다. 메탈 피팅(500)은 바디부(510), 체결홈(515), 제1 커버부(520), 지지대(521), 제2 커버부(530) 및 압입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Y1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X1 방향에서 -X1 방향으로 플렉시블 케이블이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로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가 포함하는 구성요소들 각각에서,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되는 방향을 바라보는 영역 또는 면을 전방 영역, 전방 또는 전면으로 가정하고, 이와 대향되는 영역 또는 면을 후방 영역, 후방 또는 후면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메탈 피팅 삽입홈(111)은 하우징(110)의 전면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메탈 피팅 삽입홈(111) 내로 메탈 피팅(500)이 삽입될 수 있다. 메탈 피팅 삽입홈(111)의 -X1 방향으로의 홈의 깊이는, 삽입되는 메탈 피팅(500)의 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케이블 고정홈(113)은 케이블 배치부(119)의 전방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 고정홈(113)은 플렉시블 케이블의 양측의 고정턱을 지지하여,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 내로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컨택 삽입부(115)는 하우징(110)의 후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하우징(110)의 후면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케이블 배치부(119) 상에 제1 및 제2 컨택(200, 300)의 제1 및 제2 접촉부(221, 321)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후면에서, 케이블 배치부(119)와 인접한 영역까지 컨택 삽입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전면에는 케이블 배치부(119)가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 배치부(119)의 상면은 노출될 수 있으면, 이러한 상면은 구동부(400)로 덮일 수 있다. 케이블 배치부(119)의 상면 상에는 제1 및 제2 접촉부(221, 321)가 배치되므로, 이를 통해, 플렉시블 케이블의 하면과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제1 컨택(200)은 상부 영역에는 일측 말단에 오목부(211)가 형성된 제1 연장부(210)를 포함하고, 하부 영역에는 일측 말단에 제1 접촉부(221)가 형성된 제3 연장부(220)를 포함하고, 하부 영역의 상기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 말단에는 제1 실장부(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택(200)은 제1 실장부(230)를 통해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제1 컨택(200)은 전체적으로 ㄷ 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 2컨택(300)은 상부 영역에는 일측 말단에 고리부(311)가 형성된 제2 연장부(310)를 포함하고, 하부 영역에는 일측 말단에 제2 접촉부(321)가 형성된 제 4 연장부(320)를 포함하고, 하부 영역의 상기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 말단에는 제2 실장부(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컨택(300)은 제2 실장부(330)를 통해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제2 컨택(300)은 전체적으로 ㄷ 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컨택(200)과 제 2컨택(300)은 교대로 컨택 삽입부(115)에 삽입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및 제2 컨택(200, 300)은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금속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400)은 후방 양측면에 회전 돌기(410)을 포함하고, 후방에, 오목부(211)과 대응하는 지지축(420)과 고리부(311)과 대응하는 지지 고리(43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돌기(410), 지지축(420), 지지 고리(430)은 일렬로 배치되어, 구동부(400)의 회전축을 형성할 수 있다. 구동부(400)은 전방에 가압부(45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400)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가압부(450)를 통해 플렉시블 케이블을 가압하여, 케이블 배치부(119) 상에 배치된 제1 및 제2 접촉부(221, 321)와 플렉시블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부(400)는 전방 양측면에 체결 돌기(440)을 포함하고, 체결 돌기(440)를 통해 체결홈(515)와 체결될 수 있다. 즉, 구동부(400)는 체결 돌기(440)과 체결홈(515)의 체결 시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체결 돌기(440)과 체결홈(515)의 미체결 시에는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가 포함하는 구성요소들간의 결합 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가 상술한 닫힌 상태임을 전제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설명을 위한 것이므로,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가 항시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A-A선에 따라 절단된 제2 컨택(300)을 포함하는 단면도가 도시된다.
제2 컨택(300)은 하우징(110)의 컨택 삽입부(115)로 X1 방향으로 삽입되어, 고리부(311)와 지지 고리(430)는 맞물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방(도 1의 Z1 방향)으로 연장된 고리부(311)와 하방으로 연장된 지지 고리(430)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서로를 물리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400)는 지지 고리(430)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고리부(311)는 구동부(400)의 회전운동 시에, 지지 고리(430)의 하면 상에서 지지 고리(430)을 구조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B-B선에 따라 절단된 제1 컨택(200)을 포함하는 단면도가 도시된다.
제1 컨택(200)은 하우징(110)의 컨택 삽입부(115)로 X1 방향으로 삽입되어, 오목부(211)와 지지축(420)은 맞물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목부(211)가 지지축(420)의 상부 영역을 감싸는 형상을 통해, 서로 물리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400)는 지지축(420)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오목부(211)은 구동부(400)의 회전운동 시에, 지지축(420)의 상면 상에서 지지축(420)을 구조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부(400)는 지지축(420) 및 지지 고리(430)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할 수 있으며, 지지축(420) 위에서는 제1 컨택(200)의 오목부(211)가, 지지 고리(430)의 아래에서는 제2 컨택(300)의 고리부(311)가 구동부(400)를 구조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안정적인 회전운동이 가능하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C-C선에 따라 절단된 메탈 피팅(500)을 포함하는 단면도가 도시된다.
메탈 피팅(500)은 제1 및 제2 컨택(200, 300)과 달리, 하우징(110)의 메탈 피팅 삽입홈(111)으로 -X1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메탈 피팅(500)은 바디부(510)을 중심으로 메탈 피팅 삽입홈(111)내로 삽입될 수 있다. 메탈 피팅(500)은 전방에 체결홈(51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체결홈(515) 내에 체결 돌기(440)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홈(515)은 홈 내에, 제1 체결면(511)과 제2 체결면(51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체결면(511) 및 제2 체결면(513) 중 적어도 하나는 체결 돌기(440)와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체결 돌기(440)는 체결홈(515)에 걸릴 수 있으며, 구동부(400)는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체결홈(515) 내에 배치된 체결 돌기(440)은 제1 체결면(511)과 접촉하는 방식으로 체결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체결 돌기(440)는 제1 및 제2 체결면(511, 513)과 동시에 접촉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단지 제2 체결면(513)과 접촉할 수도 있다.
메탈 피팅(500)은 바디부(510)의 상부로 연장되는 제1 커버부(520)과 하부로 연장되는 제2 커버부(530)와 후방으로 연장되는 압입부(5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커버부(520)의 후측 말단 영역에는 지지대(52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521)와 압입부(540)는 각각 회전 돌기(410)의 상면과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즉, 구동부(400)가 회전 돌기(410)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할 때, 지지대(521)와 압입부(540)는 이를 물리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회전 돌기(410)의 단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이 아니라 다각형일 수 있다. 회전 돌기(410)의 단면이 다각형을 가짐으로써, 상기 단면이 원형인 경우와 비교하여, 구동부(400)의 닫힌 상태 또는 열린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회전 돌기(410)의 단면이 포함하는 평면이 지지대(521)와 접촉하는 경우, 상기 평면이 곡면인 경우와 비교하여, 회전 돌기(410)의 회전 운동이 저지된다.
압입부(540)은 메탈 피팅(500)의 후방으로 지지대(521)보다 길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은, 구동부(400)의 회전 운동에 대해서는 오목부(211), 고리부(311) 및 지지대(521)를 통해 구조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400)의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 각각은 구동부(400)의 체결 돌기(440)와 메탈 피팅(500)의 체결홈(515)의 체결을 통해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구동부(400)의 닫힌 상태에서의, 구동부(400)의 체결 돌기(440)와 메탈 피팅(500)의 체결홈(515)의 체결을 사시도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가 포함하는 메탈 피팅의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부분 사시도들이다.
도 5 내지 도 9를 통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가 포함하는 메탈 피팅의 기능과 다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상술한 도 1 내지 도 4의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설명은 상술한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되지 않은 점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가 포함하는 메탈 피팅(500)의 사시도이다. 제1 커버부(520) 및 제2 커버부(530)은 하우징(110)의 상면과 하면을 각각 감쌀 수 있다. 또한, 체결홈(515)은 체결홈(515) 내에 배치된 구동부(400)의 체결 돌기(44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커버부(530)은 하우징(110)의 하면 상에 배치되어,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가 포함하는 메탈 피팅(500)을 중심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들이다. 도 7은 평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8은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9는 구동부(400)가 열린 상태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 참조하면, 구동부(400)의 체결 돌기(440)이 메탈 피팅(500)의 체결홈(515) 내에 배치되어, 구동부(40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체결 돌기(440)는 전면에서 바라봤을 때,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체결 돌기(440)는 체결홈(515) 내에 배치되어, 물리적으로 이동이 저지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제한없이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체결 돌기(440)의 상면과 체결홈(515)의 제1 체결면(511)이 접촉되어, 물리적으로 지지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체결 돌기(440)은 하우징(110)과 미접촉할 수 있다. 즉, 체결 돌기(440)은 메탈 피팅(500)의 체결홈(515) 내에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구동부(400)의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를 체결 돌기(440)과 대응되는 하나의 구성요소, 구체적으로는 메탈 피팅(500)의 체결홈(515)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제어는 보다 신속하고 간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메탈 피팅(500)의 제1 커버부(520)은 인접한 하우징(110)의 상면과 접촉하고, 제2 커버부(530)은 인접한 하우징(110)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다. 즉,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메탈 피팅 삽입홈(111) 내에 삽입된 메탈 피팅(500)은 서로 대향하는 제1 커버부(520)와 제2 커버부(530) 각각을 이용하여, 하우징(110)의 상면 및 하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고안에 따른 메탈 피팅(500)은 하우징(110) 내에 물리적으로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구동부(400)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의 메탈 피팅(500)의 형상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케이블 고정홈(113)은 삽입되는 플렉시블 케이블(600)의 측면에 형성된 고정턱(613)과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있으며, 이를 통해,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6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구동을 단계별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0의 (a)는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구동부(400)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플렉시블 케이블(600)이 하우징(110) 내로 삽입된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의 (b)는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구동부(400)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진행하는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의 (c)는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구동부(400)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구동부(400)의 회전축(도 10에서는 지지축(420))이 제1 컨택(200)의 오목부(210)과 제2 컨택(300)의 고리부(311)로 지지되는 상태에서, 구동부(400)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여 열린 상태에서(a)에서 닫힌 상태(c)로 구동됨을 확인할 수 있다. 구동부(400)는 닫힌 상태(c)에서, 플렉시블 케이블(600)을 가압하여, 플렉시블 케이블(600)의 하면과 제1 및 제2 접촉부(221, 321)과 전기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가 포함하는 메탈 피팅(500)의 체결홈(515)는 제1 체결면(511)과 제2 체결면(513)을 포함하므로, 닫힌 상태에서의 구동부(40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에 대하여, 도 11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가 포함하는 메탈 피팅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1은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가 메탈 피팅을 미포함하는 경우를 한정하여 도시되었다.
도 11의 (a)는 구동부(400)가 닫힌 상태에서, 제1 및 제2 접촉부(211, 321)가 회전축인 지지축(420)보다 전방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의 (b)는 구동부(400)가 닫힌 상태에서, 제1 및 제2 접촉부(211, 321)가 회전축인 지지축(420)보다 후방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접촉부(211, 321)가 회전축인 지지축(420)보다 전방에 위치한 경우(a)에는, 플렉시블 케이블(600)이 위로 꺽이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구동부(400)가 정상 위치보다 상방으로 들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비교하여, 제1 및 제2 접촉부(211, 321)가 회전축인 지지축(420)보다 후방에 위치한 경우(b)에는, 플렉시블 케이블(600)이 아래로 꺽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구동부(400)가 정상 위치보다 하방으로 숙여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즉,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에서는, 제1 및 제2 접촉부(211, 321)와 회전축(도 11의 지지축(420))과의 위치 관계에 따라서, 구동부(400)가 정상 위치(도 10의 구동부(400)의 위치 참조)를 벗어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가 포함하는 메탈 피팅(500)의 체결홈(51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체결면(511, 513)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접촉부(211, 321)가 회전축인 지지축(420)보다 전방에 위치한 경우(a)에는, 체결홈(515) 내의 제1 체결면(511)이 구동부(400)의 체결 돌기(440)의 상승을 저지하여, 구동부(400)가 정상 상태보다 상방으로 들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1 및 제2 접촉부(211, 321)가 회전축인 지지축(420)보다 후방에 위치한 경우(b)에는, 체결홈(515) 내의 제2 체결면(513)이 구동부(440)의 체결 돌기(440)의 하강을 저지하여, 구동부(400)가 정상 상태보다 하방으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조립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2는 제1 컨택(200)이 하우징(110)과 조립되는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들이고, 도 13은 구동부(400)가 제1 컨택(200)에 지지되어, 하우징(110)과 조립되는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제2 컨택(300)이 하우징(110) 내로 삽입되어, 구동부(400)와 맞물려 조립되는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들이고, 도 15는 메탈 피팅(500)이 하우징(110) 내로 삽입되어, 구동부(400)와 조립되는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준비된 하우징(110) 내로 제1 컨택(200)이 삽입될 수 있다. 도 1과 도 12를 다시 참조하면, 하우징(110)의 후방에 형성된 컨택 삽입부(115)에 도 12의 (a)의 화살표 방향에 따라 제1 컨택(200)이 삽입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컨택(200)이 삽입된 하우징(110)과 구동부(400)이 조립될 수 있다. 도 1과 도 13을 함께 참조하면, 구동부(400)는 Z1 방향에서 하우징(110)의 내부로 배치될 수 있고, 지지축(420)은 제1 컨택(200)의 오목부(21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부(400)의 회전 운동 시에, 지지축(420)의 상부면이 오목부(211)의 오목면을 통해 물리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컨택(300)이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되면서, 구동부(400)는 고리부(311)로 인해 완전히 열린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어서, 고리부(311)는 구동부(400) 및 지지 고리(430)의 상면을 탄력적으로 타고 들어감을 통해, 제2 컨택(300)이 하우징(11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삽입된 제2 컨택(300)과 구동부(400)는,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연장된 지지 고리(430)와 상방으로 연장된 고리부(311)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됨을 통해, 서로를 물리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5의 (a)를 참조하면, 메탈 피팅(500)이 하우징(110) 내로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에 따라 삽입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5의 (b)를 참조하면, 열린 상태의 구동부(400)는 메탈 피팅(500)의 체결홈(515) 내로 체결 돌기(440)가 체결됨을 통해, 닫힌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가 포함하는 케이블 걸림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플렉시블 케이블(600)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커버필름(614), 접촉 패드(613), 베이스 필름(612) 및 보강판(611)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필름(614)는 접촉 패드(613)의 하면을 보호할 수 있고, 베이스 필름(612)는 접촉 패드(613)의 상면을 보호할 수 있으며, 보강판(611)은 플렉시블 케이블(600)의 물리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접촉 패드(613)의 하면의 일부는, 커버필름(614)의 일부의 제거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노출된 접촉 패드(613)의 하면의 일부는 제2 접촉부(321) (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접촉부(221))와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점선으로 형성된 원 a를 보면, 커버 필름(614)의 절단면과 케이블 걸림턱(117)의 턱면이 서로 접촉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커버 필름(614)을 하우징(110) 내의 케이블 걸림턱(117)까지 배치하고, 커버 필름(614)의 절단면과 케이블 걸림턱(117)의 턱면을 일치시킴으로써, 접촉 패드(613)의 외부와의 접촉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를 통해, 플렉시블 케이블(600)의 하면과 하우징(110)의 케이블 걸림턱(117)의 상면 사이에 이물질이 침투하더라도, 상기 이물질로 인한 쇼트(short)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와 비교하여, 제1 컨택 및 제2 컨택이 포함하는 제1 및 제2 접촉부의 형상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상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2 컨택(300)은 하부 영역에 다중 접촉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중 접촉부(322)는 제1 돌기(322a) 및 제2 돌기(3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322a)는 제2 돌기(322b)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된 경우, 제1 돌기(322a)는 제2 돌기(322b)와 비교하여,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과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2 돌기(322b)는 제1 돌기(322a)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거나,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1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와 비교하여, 메탈 피팅(500)의 체결홈(515)의 형상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상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체결홈(515)는 제1 체결면(511), 제2 체결면(513), 제3 체결면(517) 및 제4 체결면(519)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메탈 피팅(500)의 체결홈(515)는 서로 연결된 4개의 체결면(511, 513, 517, 519)를 포함하므로, 체결홈(515) 내에 배치된 체결 돌기(440)의 사면에 모두 체결면(511, 513, 517, 519)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비록, 체결홈(515)은 체결 돌기(440)와 이격 간격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체결홈(515)은 체결되는 체결 돌기(440)의 크기를 고려하여 홈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체결홈(515)의 포함하는 체결면(511, 513, 517, 519)이 모두 체결 돌기(440)와 접촉할 수 있도록, 체결홈(515)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부(400)의 체결 돌기(440)은 사면이 모두 체결홈(515)로 지지되므로, 보다 견고하게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하우징
200: 제1 컨택
300: 제2 컨택
400: 구동부
500: 메탈 피팅
600: 플렉시블 케이블
200: 제1 컨택
300: 제2 컨택
400: 구동부
500: 메탈 피팅
600: 플렉시블 케이블
Claims (15)
- 플렉시블 케이블이 배치되는 케이블 배치부를 전면에 포함하고, 컨택 삽입부를 후면에 포함하고, 메탈 피팅 삽입홈을 전면 양측에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컨택 삽입부 내로 삽입되고, 일측 말단에 오목부가 형성된 제1 연장부를 상부 영역에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과 접촉하는 제1 접촉부를 하부 영역에 포함하는 제1 컨택;
상기 컨택 삽입부 내로 삽입되고, 일측 말단에 고리부가 형성된 제2 연장부를 상부 영역에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과 접촉하는 제2 접촉부를 하부 영역에 포함하는 제2 컨택;
상기 오목부가 일부를 감싸는 지지축 및 상기 고리부와 맞물리는 지지 고리를 후방에 포함하고, 상기 지지축 및 지지 고리와 회전축을 형성하는 회전 돌기를 후방 양측면에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과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가압부를 전방에 포함하고, 체결 돌기를 상기 가압부의 양측면에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메탈 피팅 삽입홈에 삽입되는 압입부와, 상기 압입부의 전방에서 연장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전방이 절개되어 서로 마주 보는 제1 체결면 및 제2 체결면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 돌기와 체결되는 체결홈과,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면의 일부를 덮는 제1 커버부와, 상기 제1 커버부의 후방에서 연장되어 상기 회전 돌기의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면의 일부를 덮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하는 메탈 피팅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면 및 제2 체결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체결 돌기와 접촉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면은 상기 체결 돌기의 상면과 접촉하고, 상기 제2 체결면은 상기 체결 돌기의 하면과 접촉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은, 제3 체결면과 상기 제3 체결면과 마주보는 제4 체결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체결면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체결홈과 체결된 상기 체결 돌기의 사방에 각각 배치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돌기는 상기 하우징과 미접촉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의 일부와 직접 접촉하고, 상기 제2 커버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면의 일부와 직접 접촉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는 상기 구동부가 배치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의 연장 길이는 상기 제2 커버부의 연장 길이보다 짧은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 플렉시블 케이블이 배치되는 케이블 배치부를 전면에 포함하고, 컨택 삽입부를 후면에 포함하고, 메탈 피팅 삽입홈을 전면 양측에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컨택 삽입부 내로 삽입되는 복수 개의 컨택;
회전 돌기를 후방 양측면에 포함하고, 상기 회전 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과 상기 복수 개의 컨택을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가압부를 전방에 포함하고, 체결 돌기를 상기 가압부의 양측면에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메탈 피팅 삽입홈에 삽입되는 압입부와, 상기 압입부의 전방에서 연장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전방이 절개되어 서로 마주 보는 제1 체결면 및 제2 체결면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 돌기와 체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닫힌 상태를 유지시키는 체결홈과,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면의 일부를 덮는 제1 커버부와, 상기 제1 커버부의 후방에서 연장되어 상기 회전 돌기의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면의 일부를 덮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하는 메탈 피팅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면 및 제2 체결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체결 돌기와 접촉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면은 상기 체결 돌기의 상면과 접촉하고, 상기 제2 체결면은 상기 체결 돌기의 하면과 접촉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은 제3 체결면과 상기 제3 체결면과 마주보는 제4 체결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체결면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체결홈과 체결된 상기 체결 돌기의 사방에 각각 배치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돌기는 상기 하우징과 미접촉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의 일부와 직접 접촉하고, 상기 제2 커버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면의 일부와 직접 접촉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는 상기 구동부가 배치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20000591U KR20220000713U (ko) | 2015-06-11 | 2022-03-08 |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
KR2020220000607U KR20220000641U (ko) | 2022-03-08 | 2022-03-10 |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2762A KR20160146107A (ko) | 2015-06-11 | 2015-06-11 |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
KR2020220000591U KR20220000713U (ko) | 2015-06-11 | 2022-03-08 |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2762A Division KR20160146107A (ko) | 2015-06-11 | 2015-06-11 |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20000607U Division KR20220000641U (ko) | 2022-03-08 | 2022-03-10 |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0713U true KR20220000713U (ko) | 2022-03-28 |
Family
ID=80937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20000591U KR20220000713U (ko) | 2015-06-11 | 2022-03-08 |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00713U (ko) |
-
2022
- 2022-03-08 KR KR2020220000591U patent/KR20220000713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494820B1 (en) | Connector | |
JP4613799B2 (ja) | 基板接続用コネクタ組立体 | |
JP2009277398A (ja) | コネクタ | |
US8272894B2 (en) | Coaxial connector | |
US9722356B2 (en) | Connector | |
KR100343081B1 (ko) | 핀 격자 어레이 패키지용 소켓 조립체 및 이를 위한 단자 | |
KR101001738B1 (ko) | 커넥터 | |
US7513778B1 (en) | Coaxial connector | |
TW200903917A (en) | Electric connector for flat type conductor | |
TW201711293A (zh) | 電連接器 | |
US7445506B2 (en) | Shielded connector | |
KR20150126226A (ko) |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 | |
US20120164880A1 (en) | Terminal for coaxial connector | |
KR20180122307A (ko) |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 |
US7144270B2 (en) | Electrical connector for a flexible printed board | |
KR20220000713U (ko) |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 |
KR20160146107A (ko) |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 |
JP2007324127A (ja) | 電気コネクタ | |
KR20220000641U (ko) |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 |
US8690594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dual retention elements | |
KR101702430B1 (ko) |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 |
JP4837631B2 (ja) | 電気接続部品 | |
US7341494B2 (en) | Low profile connector | |
CN216145830U (zh) | 电连接器 | |
KR20220134112A (ko) |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6 |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