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619U - Doll capable of eye shape and mouth shape conversion - Google Patents

Doll capable of eye shape and mouth shape conver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619U
KR20220000619U KR2020200003278U KR20200003278U KR20220000619U KR 20220000619 U KR20220000619 U KR 20220000619U KR 2020200003278 U KR2020200003278 U KR 2020200003278U KR 20200003278 U KR20200003278 U KR 20200003278U KR 20220000619 U KR20220000619 U KR 202200006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ll
shape
main shaft
physical
movab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27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5764Y1 (en
Inventor
나춘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림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림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림당
Priority to KR20202000032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764Y1/en
Publication of KR202200006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61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7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76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365Details; Accessories allowing a choice of facial features, e.g. to change the facial ex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4Details or accessories for drive mechanisms, e.g. means for winding-up or starting toy engi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28Arrangements of sound-producing means in dolls; Means in dolls for producing sou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38Dolls' eyes
    • A63H3/40Dolls' eyes mov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영유아의 감정 표현을 더욱 풍부하게 하여 애착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인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힌지바를 중심으로 하는 지렛대 원리에 의해 작동하는 기다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 샤프트; 메인 샤프트의 한쪽 제 1 단부에 위치되어 접촉 방식으로 연결되는 누름 버튼; 메인 샤프트의 중간부에 위치되는 서브 샤프트; 서브 샤프트에 힌지 결합되며, 누름 버튼의 누름 또는 누름 해제 동작에 따른 메인 샤프트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물리적으로 이동하여 인형의 입모양 변화를 발생시키는 제 1 물리적 이동체; 메인 샤프트의 다른쪽 제 2 단부에 위치되어 끼움 방식으로 연결되며, 누름 버튼의 누름 또는 누름 해제 동작에 따른 메인 샤프트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물리적으로 이동하여 인형의 눈모양 변화를 발생시키는 제 2 물리적 이동체; 및 서브 샤프트의 일측에 형성된 스프링 걸림용 부재와 제 1 물리적 이동체의 일측에 형성된 스프링 걸림용 돌기에 연결되어, 인장력에 대항하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제 1 물리적 이동체 및 제 2 물리적 이동체는 누름 버튼의 누름 동작에 따른 메인 샤프트의 상 방향 움직임에 따라, 제 2 물리적 이동체가 먼저 이동되면서 인형의 눈모양이 먼저 바뀌고 뒤이어 제 1 물리적 이동체가 후속적으로 이동되면서 인형의 입모양이 바뀌도록 구성되는, 눈모양 및 입모양의 변환이 가능한 인형을 제공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ll that can help infants and young children to express their emotions more abundantly and help form attachment.
As a means for solving this problem, the main shaft formed in the shape of an elongated bar operating by the principle of lever centered on the hinge bar; a push button located at one first end of the main shaft and connected in a contact manner; a sub shaft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main shaft; a first physical movable body hinged to the sub shaft and physically moving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main shaft according to the pressing or releasing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to generate a change in the shape of the doll's mouth; A second physical moving body that is located at the other second end of the main shaft and connected in a fitting manner, and physically moves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main shaft according to the pressing or releasing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to generate a change in the doll's eye shape ; and a spring connected to a spring engaging member formed on one side of the sub shaft and a spring engaging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physical movable body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against the tensile force, wherein the first physical movable body and the second physical movable body according to the upward movement of the main shaft according to the pressing action of the push button, the doll's eyes change first as the second physical movable body moves first, and then the first physical movable body moves subsequently to change the doll's mouth shape. It provides a doll capable of changing the shape of the eyes and mouth.

Description

눈모양 및 입모양의 변환이 가능한 인형{DOLL CAPABLE OF EYE SHAPE AND MOUTH SHAPE CONVERSION}A doll that can change the shape of eyes and mouth {DOLL CAPABLE OF EYE SHAPE AND MOUTH SHAPE CONVERSION}

본 고안은 눈모양 및 입모양의 변환이 가능한 인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ll capable of changing the shape of eyes and mouth.

일반적으로, 인형이란 인간 또는 동물의 모습을 모사하여 만들어진 물건을 지칭한다.In general, a doll refers to an object made by imitating the appearance of a human or an animal.

최근 연구에 따르면, 영유아기의 아이들에게 인형이 끼치는 영향력이 막대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영유아기에 있어 아이들은 인형을 통해서 정서 안정을 이루는 경우가 많으며, 인형을 가지고 놀았던 아이들은 청소년기 이후에도 정서적·도덕적·사회적으로 발달한 인격체를 형성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According to a recent study, it is known that dolls have a huge impact on children in infancy. Specifically, in infancy, children often achieve emotional stability through dolls, and it is known that children who played with dolls are more likely to form emotionally, morally and socially developed personalities after adolescence.

그러나, 현재의 인형들은 단지 그 외관 및 재질에만 집중하고 있을 뿐 영유아의 감정 표현을 더욱 풍부하게 하여 애착 형성에 도움을 줄만한 요소에 대해서는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However, the current dolls only focus on their appearance and material, an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factors that can help form attachment by enriching the emotional expression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본 고안은 영유아의 감정 표현을 더욱 풍부하게 하여 애착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인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ll that can help infants and young children to express their emotions more abundantly and help form attachment.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는, 눈모양 및 입모양의 변환이 가능한 인형으로서, 기다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 샤프트; 상기 메인 샤프트의 한쪽 제 1 단부에 위치되어 접촉 방식으로 연결되는 누름 버튼; 상기 메인 샤프트의 중간부에 위치되는 서브 샤프트; 상기 서브 샤프트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누름 버튼의 누름 또는 누름 해제 동작에 따른 상기 메인 샤프트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물리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인형의 입모양 변화를 발생시키는 제 1 물리적 이동체; 상기 메인 샤프트의 다른쪽 제 2 단부에 위치되어 끼움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누름 버튼의 누름 또는 누름 해제 동작에 따른 상기 메인 샤프트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물리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인형의 눈모양 변화를 발생시키는 제 2 물리적 이동체; 및 상기 서브 샤프트의 일측에 형성된 스프링 걸림용 부재와 상기 제 1 물리적 이동체의 일측에 형성된 스프링 걸림용 돌기에 연결되어, 인장력에 대항하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물리적 이동체 및 상기 제 2 물리적 이동체는 상기 누름 버튼의 누름 동작에 따른 상기 메인 샤프트의 상 방향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 2 물리적 이동체가 먼저 이동되면서 상기 인형의 눈모양이 먼저 바뀌고 뒤이어 상기 제 1 물리적 이동체가 후속적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인형의 입모양이 바뀌는, 눈모양 및 입모양의 변환이 가능한 인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ll capable of changing the shape of the eyes and the mouth, the main shaft being formed in the shape of a long rod; a push button located at one first end of the main shaft and connected in a contact manner; a sub shaft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main shaft; a first physical movable body hinged to the sub shaft and configured to physically move according to a vertical movement of the main shaft according to a pressing or releasing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to generate a change in the shape of the doll's mouth; It is located at the other second end of the main shaft and connected in a fitting manner, and physically moves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main shaft according to the pressing or releasing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to generate a change in the doll's eye shape. a second physical moving body; and a spring connected to a spring engaging member formed on one side of the sub shaft and a spring engaging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physical moving body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against a tensile force, wherein the first physical moving body and the As for the second physical movable body, according to the upward movement of the main shaft according to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the eye shape of the doll is first changed while the second physical movable body is moved first, and then the first physical movable body is subsequently moved. Provided is a doll capable of changing the shape of the doll's mouth as it moves, and the shape of eyes and the mouth of the doll.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형은 상기 메인 샤프트의 상기 제 1 단부 측에, 음원을 재생시키는 음원 재생 버튼 및 상기 음원 재생 버튼의 동작에 따라 유아용 음악을 발생시키는 음원 재생 회로를 더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doll may further include, on the first end side of the main shaft, a sound source reproducing button for reproducing a sound source and a sound source reproducing circuit for generating infant music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sound source reproducing butt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브 샤프트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스프링 걸림용 부재는 상기 스프링의 걸림이 용이한 몽키렌치(monkey wrench)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Preferably, the member for engaging the spring formed on one side of the sub shaft may be formed in a monkey wrench shape for easy engagement of the spr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물리적 이동체는 사람의 혓바닥 형상으로 이루어진 혓바닥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혓바닥 구조물은 상기 누름 버튼의 누름 동작에 따라 상기 인형의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누름 버튼의 누름 해제 동작에 따라 상기 인형의 내부로 들어가게 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physical moving body includes a tongue structure formed in the shape of a human tongue, wherein the tongue structur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ll according to a pressing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and according to a pressing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It can be entered into the interior of the doll.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물리적 이동체는 제 1 위치에 형성된 제 1 눈모양부 및 상기 제 1 위치와 다른 제 2 위치에 형성된 제 2 눈모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물리적 이동체는 상기 누름 버튼의 누름 동작에 따라 상기 제 1 위치에 형성된 상기 제 1 눈모양부가 상기 인형의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누름 버튼의 누름 해제 동작에 따라 상기 제 2 위치에 형성된 상기 제 2 눈모양부가 상기 인형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econd physical movable body includes a first eye-shaped portion formed at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eye-shaped portion formed at a second posi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hysical movable body is a function of the push button. The first eye portion formed at the first posi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ll in response to a pressing operation, and the second eye portion formed in the second posi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ll according to a release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can be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형태는, 힌지바를 중심으로 하는 지렛대 원리에 의해 작동하는 기다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 샤프트, 상기 메인 샤프트의 한쪽 제 1 단부에 위치되어 접촉 방식으로 연결되는 누름 버튼, 상기 메인 샤프트의 중간부에 위치되는 서브 샤프트, 상기 서브 샤프트에 힌지 결합되며 사람의 혓바닥 형상으로 이루어진 혓바닥 구조물을 포함하는 제 1 물리적 이동체, 상기 메인 샤프트의 다른쪽 제 2 단부에 위치되어 끼움 방식으로 연결되며 제 1 위치에 형성된 제 1 눈모양부 및 상기 제 1 위치와 다른 제 2 위치에 형성된 제 2 눈모양부를 포함하는 제 2 물리적 이동체, 및 상기 서브 샤프트의 일측에 형성된 스프링 걸림용 부재와 상기 제 1 물리적 이동체의 일측에 형성된 스프링 걸림용 돌기에 연결되어 인장력에 대항하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인형의 눈모양 및 입모양을 변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물리적 이동체의 상기 혓바닥 구조물이 상기 인형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지 않음과 동시에 상기 제 2 물리적 이동체의 상기 제 1 눈모양부가 상기 인형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도록 상기 인형이 세팅되는 제 1 단계; 상기 누름 버튼이 눌려지는 제 2 단계; 상기 누름 버튼의 눌려지는 힘에 따라 지렛대 원리에 의해 상기 메인 샤프트의 상기 제 2 단부 측이 상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3 단계; 상기 지렛대 원리에 의한 상기 메인 샤프트의 상기 제 2 단부 측의 상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제 2 물리적 이동체가 상 방향으로 밀려나면서 상기 제 2 눈모양부가 상기 인형의 외부에 노출되는 제 4 단계; 상기 지렛대 원리에 의한 상기 메인 샤프트의 상기 제 2 단부 측의 추가적인 상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물리적 이동체가 후속적으로 상 방향으로 밀려나면서 상기 혓바닥 구조물이 상기 인형의 외부에 노출되는 제 5 단계; 상기 누름 버튼의 눌림이 해제되는 제 6 단계;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 1 물리적 이동체가 하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혓바닥 구조물이 상기 인형의 내부로 들어가는 제 7 단계;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한 상기 제 1 물리적 이동체의 하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메인 샤프트의 상기 제 2 단부 측이 하 방향으로 밀려나는 제 8 단계; 상기 메인 샤프트의 상기 제 2 단부 측의 하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제 2 물리적 이동체가 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1 눈모양부가 상기 인형의 외부에 노출되는 제 9 단계를 포함하는 인형의 눈모양 및 입모양을 변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shaft formed in an elongated bar shape operating by a lever principle centered on a hinge bar, a push button located at one first end of the main shaft and connected in a contact manner, the above A sub shaft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main shaft, a first physical movable body hinged to the sub shaft and including a tongue structure made in the shape of a human tongue, located at the second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main shaft and connected in a fitting manner and a second physical movable body including a first eye-shaped portion formed at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eye-shaped portion formed at a second posi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position, and a spring engaging member formed on one side of the sub shaft and the second 1 A method of converting the eye shape and mouth shape of a doll including a spring connected to a spring engaging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a physical moving body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against a tensile force, wherein the tongue structure of the first physical moving body is the a first step of setting the doll so that i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ll and the first eye-shaped part of the second physical moving body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ll; a second step in which the push button is pressed; a third step of moving the second end side of the main shaft in an upward direction by a lever principle according to a force pressed by the push button; a fourth step of exposing the second eye-shaped part to the outside of the doll while the second physical movable body is pushed upward according to the upward movement of the second end side of the main shaft by the lever principle; A fifth step in which the tongue structur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ll as the first physical movable body is subsequently pushed upward according to the additional upward movement of the second end side of the main shaft by the lever principle ; a sixth step of releasing the press of the push button; a seventh step of entering the tongue structure into the doll while the first physical movable body is pulled downwar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an eighth step of pushing the second end side of the main shaft downward according to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first physical movable body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and a ninth step of exposing the first eye-shaped part to the outside of the doll while the second physical movable body moves downward according to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second end side of the main shaft. and a method of transforming the shape of the mouth.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형은 상기 메인 샤프트의 상기 제 1 단부 측에, 음원을 재생시키는 음원 재생 버튼 및 상기 음원 재생 버튼의 동작에 따라 유아용 음악을 발생시키는 음원 재생 회로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단계 이전에 또는 상기 제 9 단계 이후에, 상기 음원 재생 버튼이 눌려지는 단계; 및 상기 음원 재생 버튼의 눌려짐 동작에 따라 상기 음원 재생 회로가 미리 저장된 유아용 음악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doll further comprises, on the first end side of the main shaft, a sound source reproduction button for reproducing a sound source and a sound source reproduction circuit for generating music for childre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button, the method comprising: , before the first step or after the ninth step, the step of pressing the sound source playback button; and generating, by the sound source reproducing circuit, pre-stored children's music according to a pressing operation of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button.

본 고안에 따른 인형에 의할 경우, 영유아의 감정 표현을 더욱 풍부하게 하여 애착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친구처럼 눈을 찡긋하고 혀를 날름거리는 모습을 따라하면서 재미를 느끼게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do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help the formation of attachment by enriching the emotional expression of infants and toddlers, and it can make them feel fun while squinting their eyes and fluttering their tongue like a friend.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형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고, 도 1c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형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것이며, 도 1d 내지 도 1f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형에서 외관 커버를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a의 인형에 적용되는 메인 샤프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a의 인형에 적용되는 보조 샤프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a의 인형에 적용되는 제 1 물리적 이동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1a의 인형에 적용되는 제 2 물리적 이동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1a의 인형을 이용하여 눈모양 및 입모양을 변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A and 1B show the exterior of a do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C shows an internal appearance of the do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D to 1F ar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a state in which the exterior cover is removed from the doll according to the example.
Figure 2 schematically shows a main shaft applied to the doll of Figure 1a.
Figure 3 schematically shows an auxiliary shaft applied to the doll of Figure 1a.
FIG. 4 schematically illustrates a first physical moving object applied to the doll of FIG. 1A .
FIG. 5 schematically illustrates a second physical moving body applied to the doll of FIG. 1A .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transforming an eye shape and a mouth shape using the doll of FIG. 1A.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눈모양 및 입모양의 변환이 가능한 인형(1)][Doll that can change the shape of eyes and mouth (1)]

도 1a 내지 도 1f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형(1)의 외관 및 내부의 모습들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형(1)에 적용되는 메인 샤프트(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형(1)에 적용되는 보조 샤프트(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형(1)에 적용되는 제 1 물리적 이동체(3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형에 적용되는 제 2 물리적 이동체(4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1A to 1F show the exterior and internal appearances of the doll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the main shaft 100 applied to the doll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chematically shows the auxiliary shaft 200 applied to the doll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the doll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chematically shows a first physical moving object 300 applied to , and FIG. 5 schematically shows a second physical moving object 400 applied to a do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형(1)은 영유아가 손(2)으로 누름 버튼(500)을 누를 경우 인형(1)의 눈모양 및 입모양이 변환되고, 영유아가 음원 재생 버튼(600)을 누를 경우 영유아용 음악이 재생되어, 영유아의 감정 표현을 더욱 풍부하게 하여 애착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인형이다.First, referring to FIGS. 1A and 1B , in the doll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infant presses the push button 500 with a hand 2 , the eye shape and mouth shape of the doll 1 are changed When the infant presses the sound source play button 600, the music for infants and toddlers is played, and it is a doll that can help form attachment by enriching the emotional expression of infants and toddlers.

다음으로, 도 1c 내지 도 1f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형(1)은 힌지바(120)를 중심으로 하는 지렛대 원리에 의해 작동하는 기다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 샤프트(100); 메인 샤프트(100)의 한쪽 제 1 단부에 위치되어 접촉 방식으로 연결되는 누름 버튼(500); 메인 샤프트(100)의 중간부에 위치되는 서브 샤프트(200); 서브 샤프트(200)에 힌지 결합되며, 누름 버튼(500)의 누름 또는 누름 해제 동작에 따른 메인 샤프트(100)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물리적으로 이동하여 인형(1)의 입모양 변화를 발생시키는 제 1 물리적 이동체(300); 메인 샤프트(100)의 다른쪽 제 2 단부에 위치되어 끼움 방식으로 연결되며, 누름 버튼(500)의 누름 또는 누름 해제 동작에 따른 메인 샤프트(100)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물리적으로 이동하여 인형(1)의 눈모양 변화를 발생시키는 제 2 물리적 이동체(400); 및 서브 샤프트(200)의 일측에 형성된 스프링 걸림용 부재(210)와 제 1 물리적 이동체(300)의 일측에 형성된 스프링 걸림용 돌기(320)에 연결되어, 인장력에 대항하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8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 1 물리적 이동체(300) 및 제 2 물리적 이동체(400)는 누름 버튼(500)의 누름 동작에 따른 메인 샤프트(100)의 상 방향 움직임에 따라, 제 2 물리적 이동체(400)가 먼저 이동되면서 인형(1)의 눈모양이 먼저 바뀌고 뒤이어 제 1 물리적 이동체(300)가 후속적으로 이동되면서 인형(1)의 입모양이 바뀌도록 구성된다.Next, referring to FIGS. 1C to 1F , the doll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shaft 100 formed in a long bar shape operating by the lever principle centered on the hinge bar 120 . ; a push button 500 positioned at one first end of the main shaft 100 and connected in a contact manner; a sub shaft 200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main shaft 100; The first that is hinged to the sub shaft 200 and physically moves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main shaft 100 according to the pressing or releasing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500 to generate a change in the shape of the mouth of the doll 1 physical moving body 300; It is located at the second end of the main shaft 100 and is connected in a fitting manner, and physically moves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main shaft 100 according to the pressing or releasing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500 to move the doll (1). ) a second physical movable body 400 for generating a change in the shape of the eye; and a spring engaging member 210 formed on one side of the sub shaft 200 and a spring engaging projection 320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physical moving body 300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against the tensile force ( 800), and the first physical movable body 300 and the second physical movable body 400 are the second physical movable bodies according to the upward movement of the main shaft 100 according to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500. As 400 is first moved, the eye shape of the doll 1 is changed first, and then the first physical movable body 300 is subsequently moved to change the mouth shape of the doll 1 .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형(1)은 메인 샤프트(100)의 제 1 단부 측에, 음원을 재생시키는 음원 재생 버튼(600) 및 음원 재생 버튼(600)의 동작에 따라 유아용 음악을 발생시키는 음원 재생 회로(700)를 더 구비한다.In addition, the doll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lays music for infant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ound source play button 600 and the sound source play button 600 that reproduce the sound source on the first end side of the main shaft 100 . It further includes a sound source reproducing circuit 700 for generating.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형(1)에 적용되는 메인 샤프트(100)는 누름 버튼(500)과 접촉하여, 누름 버튼(500)으로부터 입력되는 외력을 전달하는 버튼 접촉부(110)를 포함한다.Now, referring to FIG. 2 , the main shaft 100 applied to the doll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ontact with the push button 500 , and a button that transmits an external force input from the push button 500 . A contact portion 110 is included.

또한, 메인 샤프트(100)는 지렛대 원리에 의해 작은 힘으로도 메인 샤프트(100)의 제 2 단부 측의 상 방향 또는 하 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지렛대 축의 역할을 하는 힌지바(12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ain shaft 100 includes a hinge bar 120 serving as a lever axis to enable upward or downward movement of the second end side of the main shaft 100 even with a small force due to the lever principle.

또한, 메인 샤프트(100)는 메인 샤프트(100)의 제 2 단부 측의 상 방향 이동에 의한 힘을 제 1 물리적 이동체(300)의 하부에 전달하는 제 1 힘 전달부(1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 1 힘 전달부(130)는 메인 샤프트(100)의 제 2 단부 측의 상 방향 이동 시에 제 1 물리적 이동체(300)의 제 1 힘 수용부(330)와 접촉함으로써 메인 샤프트(100)로부터 발생하는 상 방향 이동 힘을 제 1 물리적 이동체(300)에 전달한다.In addition, the main shaft 100 includes a first force transmitting unit 130 that transmits a force caused by an upward movement of the second end side of the main shaft 100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physical moving body 300 . Specifically, the first force transmitting unit 13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force receiving unit 330 of the first physical moving body 300 when the second end side of the main shaft 100 moves upwardly, thereby causing the main shaft ( The upward movement force generated from 100 ) is transmitted to the first physical moving body 300 .

한편, 제 1 힘 전달부(130)는 제 1 물리적 이동체(300)의 하 방향 이동 시에 발생하는 하 방향 이동 힘, 즉 누름 버튼(500)의 누름 해제에 따라 스프링(800)의 복원력에 의해 제 1 물리적 이동체(300)가 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제 1 힘 수용부(330)를 통해 전달받는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force transmitting unit 130 is a downward movement force generated during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first physical movable body 300 , that is,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800 according to the release of the push button 500 . The first physical moving body 300 also performs a role of receiving the force that moves in the downward direction through the first force receiving unit 330 .

또한, 메인 샤프트(100)는 메인 샤프트(100)의 제 2 단부 측의 상 방향 또는 하 방향 이동에 의한 힘을 제 2 물리적 이동체(400)의 제 2 힘 수용부(410)에 전달하는 제 2 힘 전달부(1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 2 힘 전달부(140)는 제 2 물리적 이동체(400)의 제 2 힘 수용부(410)에 끼워진 상태로 인형(1) 내에 조립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제 2 힘 전달부(140)는 메인 샤프트(100)의 제 2 단부 측의 상 방향(즉, 누름 버튼(500) 누름) 또는 하 방향(버튼(500) 누름 해제) 이동 시에 메인 샤프트(100)로부터 발생하는 상 방향 또는 하 방향 이동 힘을 제 2 물리적 이동체(300)에 전달한다.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힘 전달부(140)의 위치와 제 1 힘 전달부(130)의 위치에 단차를 줌으로써, 제 2 힘 수용부(410)와의 끼움 체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shaft 100 transmits the force caused by the upward or downward movement of the second end side of the main shaft 100 to the second force receiving unit 410 of the second physical moving body 400 . It includes a force transmission unit 140 . Specifically, the second force transmitting unit 140 is assembled in the doll 1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force receiving unit 410 of the second physical moving body 400, and accordingly, the second force transmitting unit 140 ) of the second end side of the main shaft 100 in the upward direction (that is, the push button 500 is pressed) or downward (the button 500 is released) when moving in the upward direction generated from the main shaft 100 or The downward movement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physical moving body 300 . As shown in FIG. 1f, by giving a step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on of the second force transmitting unit 140 and the position of the first force transmitting unit 130,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fitting and fastening with the second force receiving unit 410. there is.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형(1)에 적용되는 서브 샤프트(200)는 제 1 물리적 이동체(300)의 힌지바 관통부(340)를 관통하여 조립되는 힌지바(350)를 안착하기 위한 힌지바 수용부(220)를 포함한다.Next, referring to FIG. 3 , the sub shaft 200 applied to the doll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inge assembled through the hinge bar penetration part 340 of the first physical moving body 300 . A hinge bar accommodating part 220 for seating the bar 350 is included.

또한, 서브 샤프트(200)는 스프링(800)을 걸기 위한 스프링 걸림용 부재(210)를 더 포함하며, 이 스프링 걸림용 부재(210)는 몽키렌치(monkey wrench) 형상으로 이루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 shaft 200 further includes a spring engaging member 210 for engaging the spring 800 , and the spring engaging member 210 may have a monkey wrench shape.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형(1)에 적용되는 제 1 물리적 이동체(300)는 사람의 혓바닥 형상으로 이루어진 혓바닥 구조물(310)을 포함하며, 이 혓바닥 구조물(310)은 누름 버튼(500)의 누름 동작에 따라(즉, 메인 샤프트(100)의 제 2 단부 측의 상 방향 이동에 의한 힘에 따라) 인형(1)의 외부에 노출되고 누름 버튼(500)의 누름 해제 동작에 따라(즉, 스프링(800)의 복원력에 따라) 인형(1)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이루어진다.Next, referring to FIG. 4 , the first physical movable body 300 applied to the doll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ngue structure 310 formed in the shape of a human tongue, and this tongue structure ( 31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ll 1 according to the pressing action of the push button 500 (that is, according to the force caused by the upward movement of the second end side of the main shaft 100) and the push button 500 It is made to enter the inside of the doll 1 according to the depressing operation of the (ie, according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800).

또한, 제 1 물리적 이동체(300)는 스프링(800)을 걸기 위한 스프링 걸림용 돌기(320) 및 힌지바(350)를 통해 서브 샤프트(200)와 힌지 결합하기 위한 힌지바 관통부(34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physical moving body 300 has a hinge bar through part 340 for hinge-coupled to the sub shaft 200 through a spring engaging protrusion 320 for hanging the spring 800 and a hinge bar 350 . include more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형(1)에 적용되는 제 2 물리적 이동체(400)는 메인 샤프트(100)의 제 2 힘 전달부(140)가 끼워 넣어지는 제 2 힘 수용부(410)를 포함하고 있다. 즉, 제 2 힘 수용부(410)는 제 2 힘 전달부(140)가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메인 샤프트(100)의 제 2 힘 전달부(140)로부터 전달되는 힘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 2 힘 수용부(410)는 메인 샤프트(100)의 제 2 단부 측의 상 방향(즉, 누름 버튼(500) 누름) 또는 하 방향(버튼(500) 누름 해제) 이동 시에 메인 샤프트(100)로부터 발생하는 상 방향 또는 하 방향 이동 힘을 전달받는 역할을 수행한다.Next, referring to FIG. 5 , the second physical moving body 400 applied to the doll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econd force transmitting unit 140 of the main shaft 100 is inserted. 2 includes a force receiver 410 . That is, the second force receiving unit 410 serves to receive the forc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force transmitting unit 140 of the main shaft 100 while the second force transmitting unit 140 is inserted. . Specifically, the second force receiving part 410 is the main shaft 100 when the second end side of the main shaft 100 moves in the upward direction (ie, pressing the push button 500) or downward (releasing the button 500). It serves to receive the upward or downward movement force generated from the shaft 100 .

또한, 제 2 물리적 이동체(400)는 누름 버튼(500)이 눌려지지 않을 경우 인형(1)의 외부에 노출되는 제 1 위치에 형성된 제 1 눈모양부(420) 및 누름 버튼(500)이 눌려질 경우 인형(1)의 외부에 노출되는 제 2 위치에 형성된 제 2 눈모양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누름 버튼(500)의 누름 동작에 따라(즉, 메인 샤프트(100)의 제 2 단부 측의 상 방향 이동에 의한 힘에 따라) 제 2 위치에 형성된 제 2 눈모양부(미도시)가 인형(1)의 외부에 노출되고, 누름 버튼(500)의 누름 해제 동작에 따라(즉, 스프링(800)의 복원력에 따라) 제 1 위치에 형성된 제 1 눈모양부(420)가 인형(1)의 외부에 노출된다.In addition, when the push button 500 is not pressed, the second physical moving body 400 has the first eye-shaped portion 420 and the push button 500 formed at a first posi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ll 1 when the push button 500 is pressed.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eye-shaped part (not shown) formed at a second posi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ll 1 when it is lost.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500 (that is, according to the force caused by the upward movement of the second end side of the main shaft 100), the second eye-shaped portion (not shown) formed at the second posi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ll 1, and the first eye-shaped portion 420 formed in the first position according to the release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500 (that is, according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800) is formed in the doll ( 1) is exposed to the outside.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제 1 눈모양부(420)는 제 2 눈모양부(미도시)와 상이한 눈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눈모양부(420)는 동그랗게 뜬 눈 모양 등의 정상 모양을 가질 수 있고, 제 2 눈모양부(미도시)는 웃는 표정의 눈 모양, 슬픈 표정의 눈 모양, 찡그린 표정의 눈 모양 등의 비정상 모양을 가질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eye portion 420 may have a different eye shape from the second eye portion (not shown). For example, the first eye portion 420 may have a normal shape such as a round eye shape, and the second eye shape portion (not shown) may have a smiling eye shape, a sad eye shape, or a frown expression. It may have an abnormal shape, such as the shape of the eye.

[인형(1)을 이용하여 눈모양 및 입모양을 변환하는 방법][How to change the shape of eyes and mouth using the doll (1)]

도 6은 본 고안의 도 1a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 인형(1)을 이용하여 눈모양 및 입모양을 변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verting an eye shape and a mouth shape using the doll 1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to 5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방법은, S501에서, 누름 버튼(500)이 눌려지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단계는, 예를 들어, 영유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method includes, in S501, the push button 500 being pressed. This step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by an infant.

본 방법은, S502에서, 메인 샤프트(100)의 제 2 단부 측이 상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단계는, 누름 버튼(500)의 눌려지는 힘에 따른 지렛대 원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method includes, in S502, a step of moving the second end side of the main shaft 100 in an upward direction. This step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lever principle according to the pressed force of the push button 500 .

본 방법은, S503에서, 제 2 물리적 이동체(400)가 상 방향으로 밀려나면서 제 2 눈모양부가 인형(1)의 외부에 노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단계는, 지렛대 원리에 의한, 메인 샤프트(100)의 제 2 단부 측의 상 방향 이동에 따라 이루어진다.The method includes the step of exposing the second eye-shaped portion to the outside of the doll 1 while the second physical movable body 400 is pushed upward in S503 . This step is made according to the upward movement of the second end side of the main shaft 100 by the lever principle.

본 방법은, S504에서, 제 1 물리적 이동체(300)가 후속적으로 상 방향으로 밀려나면서 혓바닥 구조물(310)이 인형(1)의 외부에 노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단계는, 지렛대 원리에 의한, 메인 샤프트(100)의 추가적인 제 2 단부 측의 상 방향 이동에 따라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 2 눈모양부가 인형(1)의 외부에 노출되고 바로 이어서 혓바닥 구조물(1)이 인형(1)의 외부에 노출됨으로써 영유아에게 주는 사실감을 배가할 수 있다.The method includes the step of exposing the tongue structure 310 to the outside of the doll 1 as the first physical movable body 300 is subsequently pushed upward in S504 . This step is followed by an upward movement of the side of the additional second end of the main shaft 100 by the lever principle. In this way, the second eye-shaped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ll (1) and then the tongue structure (1)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ll (1), thereby increasing the sense of realism given to infants and toddlers.

본 방법은, S505에서, 누름 버튼(500)의 눌림이 해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단계는, 예를 들어, 영유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method includes, in S505, a step in which the push button 500 is released. This step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by an infant.

본 방법은, S506에서, 제 1 물리적 이동체(300)가 하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혓바닥 구조물(310)이 인형(1)의 내부로 들어가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단계는, 스프링(800)의 복원력에 의해 이루어진다.The method includes, in S506 , the tongue structure 310 entering the inside of the doll 1 while the first physical movable body 300 is pulled downward. This step is mad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800 .

본 방법은, S507에서, 메인 샤프트(100)의 제 2 단부 측이 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단계는, 제 1 물리적 이동체(300)가 하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메인 샤프트(100)의 제 2 단부 측을 하 방향으로 밀어내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The method includes, in S507, a step of moving the second end side of the main shaft 100 in the downward direction. This step is performed by pushing the second end side of the main shaft 100 in the downward direction while the first physical moving body 300 is pulled downward.

본 방법은, S508에서, 제 2 물리적 이동체(400)가 후속적으로 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 1 눈모양부(420)가 인형(1)의 외부에 노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단계는, 메인 샤프트(100)의 제 2 단부 측이 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따라 메인 샤프트(100)의 제 2 단부 측과 끼움 연결된 제 2 물리적 이동체(400)가 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The method includes the step of exposing the first eye-shaped part 420 to the outside of the doll 1 while the second physical movable body 400 is subsequently moved downward in S508 . In this step, as the second end side of the main shaft 100 moves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second physical movable body 400 fitted with the second end side of the main shaft 100 moves in the downward direction. is done

본 방법은 또한 S501 단계 이전에 또는 S508 단계 이후에, 음원 재생 버튼(600)이 눌려지는 단계; 및 음원 재생 버튼(600)의 눌려짐 동작에 따라 음원 재생 회로(700)가 미리 저장된 유아용 음악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also includes the steps of pressing the sound source play button 600 before step S501 or after step S508; and generating, by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circuit 700, pre-stored infant music according to a pressing operation of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button 600 .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인형 100: 메인 샤프트
110: 버튼 접촉부 120: 힌지바
130: 제 1 힘 전달부 140: 제 2 힘 전달부
200: 서브 샤프트 210: 스프링 걸림용 부재
220: 힌지바 수용부 300: 제 1 물리적 이동체
310: 혓바닥 구조물 320: 스프링 걸림 돌기
330: 제 1 힘 수용부 340: 힌지바 관통부
400: 제 2 물리적 이동체 410: 제 2 힘 수용부
420: 제 1 눈모양부 500: 누름 버튼
600: 음원 재생 버튼
1: doll 100: main shaft
110: button contact 120: hinge bar
130: first force transmission unit 140: second force transmission unit
200: sub shaft 210: member for spring engaging
220: hinge bar receiving unit 300: first physical moving body
310: tongue structure 320: spring engaging projection
330: first force receiving portion 340: hinge bar through portion
400: second physical moving body 410: second force receiving unit
420: first eye shape 500: push button
600: sound source play button

Claims (5)

눈모양 및 입모양의 변환이 가능한 인형(1)으로서,
힌지바(120)를 중심으로 하는 지렛대 원리에 의해 작동하는 기다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 샤프트(100);
상기 메인 샤프트(100)의 한쪽 제 1 단부에 위치되어 접촉 방식으로 연결되는 누름 버튼(500);
상기 메인 샤프트(100)의 중간부에 위치되는 서브 샤프트(200);
상기 서브 샤프트(200)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누름 버튼(500)의 누름 또는 누름 해제 동작에 따른 상기 메인 샤프트(100)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물리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인형(1)의 입모양 변화를 발생시키는 제 1 물리적 이동체(300);
상기 메인 샤프트(100)의 다른쪽 제 2 단부에 위치되어 끼움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누름 버튼(500)의 누름 또는 누름 해제 동작에 따른 상기 메인 샤프트(100)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물리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인형(1)의 눈모양 변화를 발생시키는 제 2 물리적 이동체(400); 및
상기 서브 샤프트(200)의 일측에 형성된 스프링 걸림용 부재(210)와 상기 제 1 물리적 이동체(300)의 일측에 형성된 스프링 걸림용 돌기(320)에 연결되어, 인장력에 대항하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800)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물리적 이동체(300) 및 상기 제 2 물리적 이동체(400)는 상기 누름 버튼(500)의 누름 동작에 따른 상기 메인 샤프트(100)의 상 방향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 2 물리적 이동체(400)가 먼저 이동되면서 상기 인형(1)의 눈모양이 먼저 바뀌고 뒤이어 상기 제 1 물리적 이동체(300)가 후속적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인형(1)의 입모양이 바뀌도록 구성되는, 눈모양 및 입모양의 변환이 가능한 인형(1).
As a doll (1) capable of changing the shape of eyes and mouth,
The main shaft 1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elongated bar operating by the lever principle centered on the hinge bar 120;
a push button 500 positioned at one first end of the main shaft 100 and connected in a contact manner;
a sub shaft 200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main shaft 100;
It is hinged to the sub shaft 200, and physically moves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main shaft 100 according to the pressing or releasing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500 to change the shape of the mouth of the doll 1 a first physical moving body 300 that generates;
It is located at the other second end of the main shaft 100 and connected in a fitting manner, and physically moves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main shaft 100 according to the pressing or releasing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500, a second physical moving body 400 for generating a change in the shape of the eyes of the doll 1; and
A spring connected to a spring engaging member 210 formed on one side of the sub shaft 200 and a spring engaging protrusion 320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physical moving body 300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against the tensile force. (800);
The first physical movable body 300 and the second physical movable body 400 move in an upward direction of the main shaft 100 according to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500, and the second physical movable body 400 . is moved first, the eye shape of the doll 1 is changed first, and then the first physical movable body 300 is subsequently moved to change the mouth shape of the doll 1, Convertible doll (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형(1)은 상기 메인 샤프트(100)의 상기 제 1 단부 측에, 음원을 재생시키는 음원 재생 버튼(600) 및 상기 음원 재생 버튼(600)의 동작에 따라 유아용 음악을 발생시키는 음원 재생 회로(700)를 더 구비하는, 눈모양 및 입모양의 변환이 가능한 인형(1).
The method of claim 1,
The doll 1 is located on the first end side of the main shaft 100, a sound source playback button 600 for playing a sound source, and a sound source playback circuit for generating baby music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ound source playback button 600 Further comprising (700), the doll (1) capable of changing the shape of the eyes and mout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샤프트(200)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스프링 걸림용 부재(210)는 상기 스프링(800)의 걸림이 용이한 몽키렌치(monkey wrench)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눈모양 및 입모양의 변환이 가능한 인형(1).
The method of claim 1,
The spring engaging member 210 formed on one side of the sub-shaft 200 is a doll (monkey wrench) in which the spring 800 can be easily caught, and the eye shape and the mouth shape can be changed ( O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물리적 이동체(300)는 사람의 혓바닥 형상으로 이루어진 혓바닥 구조물(310)을 포함하며, 상기 혓바닥 구조물(310)은 상기 누름 버튼(500)의 누름 동작에 따라 상기 인형(1)의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누름 버튼(500)의 누름 해제 동작에 따라 상기 인형(1)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는, 눈모양 및 입모양의 변환이 가능한 인형(1).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physical moving body 300 includes a tongue structure 310 formed in the shape of a human tongue, and the tongue structure 310 is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doll 1 according to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500. A doll (1) that is exposed and enters the inside of the doll (1) according to a release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500), and is capable of changing the shape of eyes and mouth.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물리적 이동체(400)는 제 1 위치에 형성된 제 1 눈모양부 및 상기 제 1 위치와 다른 제 2 위치에 형성된 제 2 눈모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물리적 이동체(400)는 상기 누름 버튼(500)의 누름 동작에 따라 상기 제 2 위치에 형성된 상기 제 2 눈모양부가 상기 인형(1)의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누름 버튼(500)의 누름 해제 동작에 따라 상기 제 1 위치에 형성된 상기 제 1 눈모양부가 상기 인형(1)의 외부에 노출되는, 눈모양 및 입모양의 변환이 가능한 인형(1).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physical movable body 400 includes a first eye-shaped portion formed at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eye-shaped portion formed at a second posi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hysical movable body 400 is pressed The second eye-shaped portion formed in the second 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button 50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ll 1, and the second eye-shaped portion formed in the first 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pressing button 500 A doll (1) in which the first eye-shaped par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ll (1), and the shape of eyes and the shape of the mouth can be changed.
KR2020200003278U 2020-09-09 2020-09-09 Doll capable of eye shape and mouth shape conversion KR20049576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278U KR200495764Y1 (en) 2020-09-09 2020-09-09 Doll capable of eye shape and mouth shape conver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278U KR200495764Y1 (en) 2020-09-09 2020-09-09 Doll capable of eye shape and mouth shape conver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619U true KR20220000619U (en) 2022-03-16
KR200495764Y1 KR200495764Y1 (en) 2022-08-16

Family

ID=80936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278U KR200495764Y1 (en) 2020-09-09 2020-09-09 Doll capable of eye shape and mouth shape conver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764Y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552Y1 (en) * 2001-05-02 2001-11-16 황삼영 Structure of doll toy with expression change function and operation function of push power switch
JP2002336555A (en) * 2001-05-16 2002-11-26 Oike Co Ltd Eyeball rotating device and doll therewith
JP2004222809A (en) * 2003-01-20 2004-08-12 Takara Co Ltd Toy animal
JP2004344417A (en) * 2003-05-22 2004-12-09 Tomy Co Ltd Doll
JP3154120U (en) * 2009-07-07 2009-10-08 治保 澁田 A toy whose eyes change
CN207532791U (en) * 2017-11-30 2018-06-26 汕头市澄海区金钿玩具有限公司 Pacify to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4120B2 (en) 1999-04-28 2001-04-0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Socket for pin grid array packag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552Y1 (en) * 2001-05-02 2001-11-16 황삼영 Structure of doll toy with expression change function and operation function of push power switch
JP2002336555A (en) * 2001-05-16 2002-11-26 Oike Co Ltd Eyeball rotating device and doll therewith
JP2004222809A (en) * 2003-01-20 2004-08-12 Takara Co Ltd Toy animal
JP2004344417A (en) * 2003-05-22 2004-12-09 Tomy Co Ltd Doll
JP3154120U (en) * 2009-07-07 2009-10-08 治保 澁田 A toy whose eyes change
CN207532791U (en) * 2017-11-30 2018-06-26 汕头市澄海区金钿玩具有限公司 Pacify to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764Y1 (en) 202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97504A1 (en) Doll with communication function
US20110230116A1 (en) Bluetooth speaker embed toyetic
WO2005122327A3 (en) Expression mechanism for a toy, such as a doll, having fixed or movable eyes
GB2448883A (en) Interactive toy and entertainment device
JPS639473A (en) Animal motive toy
JP6303051B1 (en) Doll toy
KR200495764Y1 (en) Doll capable of eye shape and mouth shape conversion
JP2019005542A (en) Doll Toy
KR102048628B1 (en) Presentation outputing toy
US928744A (en) Figure toy.
US20100167625A1 (en) Child's remote controlled atv
US20230050509A1 (en) Inspiration Quotes Delivering Toy
CN207895719U (en) Face recognition early learning machine
CN104008675A (en) Performance device and infant distance teaching system and method
CN208493227U (en) A kind of extruding of doll stucks out one's tongue vocal structure
JP2005000219A (en) Toy
CN206995835U (en) Educational toy male earner
JP2005185547A (en) Toy actuator
CN113198183B (en) Interactive educational toy
JP3091143U (en) Doll chair
CN202460137U (en) Telephone toy capable of realizing synchronous display
EP0620032B1 (en) Dolls
JP3103342U (en) Pose variable monkey stuffed toy
CN218458626U (en) Toy musical instrument
CN201353426Y (en) Sound-producing inflatable toy anim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