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519U - Kitchen Shelf Can be Extended - Google Patents

Kitchen Shelf Can be Extend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519U
KR20220000519U KR2020220000491U KR20220000491U KR20220000519U KR 20220000519 U KR20220000519 U KR 20220000519U KR 2020220000491 U KR2020220000491 U KR 2020220000491U KR 20220000491 U KR20220000491 U KR 20220000491U KR 20220000519 U KR20220000519 U KR 202200005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auxiliary
shelf body
kitchen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491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5766Y1 (en
Inventor
대 연 원
대 연 원
Original Assignee
대 연 원
대 연 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 연 원, 대 연 원 filed Critical 대 연 원
Priority to KR20202200004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766Y1/en
Publication of KR202200005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51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7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76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enlarging in height, length, or dep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1Furniture units made of wire or tu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20Grids, racks or other supports removably mounted in, on or over sin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 Cabinets, Racks, Or The Like Of Rigid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 고안은 주방용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넓이가 가변되어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면적 가변형 주방용 선반에 관한 것이다.
복수 개의 받침봉이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고정설치됨으로써 구성되는 선반본체; 상기 선반본체의 양측 또는 일측 단부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선반; 및 상기 보조선반으로 하여금 상기 선반본체에서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보조선반가이드수단; 상기 선반본체를 매달거나 또는 지면 위에 거치시키기 위한 선반설치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선반본체는 복수 개의 메인봉이 메인프레임에 의해 평행하게 고정설치됨으로써 그릴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선반은 복수 개의 보조봉; 상기 보조봉이 평행을 이룬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보조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tchen shelf,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riable area kitchen shelf having a variable width to improve convenience of use.
a shelf body configured by fixing and installing a plurality of support rods in parallel at intervals; Auxiliary shelves installed to be drawn out from both sides or one end of the shelf body; and auxiliary shelf guide means for guiding the auxiliary shelf to be slid on the shelf body. a shelf installation means for suspending the shelf body or mounting it on the ground; The shelf body is in the form of a grill by fixing and installing a plurality of main rods in parallel by the main frame; The auxiliary shelf includes a plurality of auxiliary rods; and an auxiliary frame for fixing the auxiliary rods in a parallel state.

Description

면적 가변형 주방용 선반{Kitchen Shelf Can be Extended}Variable Area Kitchen Shelf {Kitchen Shelf Can be Extended}

본 고안은 주방용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넓이가 가변되어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면적 가변형 주방용 선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tchen shelf,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riable area kitchen shelf having a variable width to improve convenience of use.

주방용 선반은 주방에서 세척한 식기를 건조할 때 또는 각종 주방기구를 보관할 때 사용된다. 주방용 선반은 주방의 조리대 위에 올려놓을 수 있는 형식이 있고 주방의 수납장에 매달아놓는 형식이 있다. 어느 것이나 사용자의 편의성이나 설치환경에 따라서 주방용 선반은 물빠짐이 좋고 통기성이 좋은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부식의 방지를 위하여 크롬도금을 하거나 스테인레스 소재로 제작된다. The kitchen shelf is used to dry dishes washed in the kitchen or to store various kitchen utensils. There is a type of kitchen shelf that can be placed on the kitchen countertop or a type that is hung on a cabinet in the kitchen. In any case, depending on the user's convenience or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it is common for kitchen shelves to have a structure with good drainage and good ventilation. In addition, it is made of chrome plating or stainless material to prevent corrosion.

주방의 면적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주방용 선반의 면적도 제한이 있기 마련이다. 한가족이 사용하기에 충분한 넓이라고 손님을 맞이하거나 기타 특별한 요리흘 하는 경우에는 많은 양의 식기가 사용되며, 이 때는 기존의 주방용 선반이 턱없이 좁게 느껴질 수 있다. Since the area of the kitchen is limited, the area of the kitchen shelf is also limited. A large amount of tableware is used to welcome guests or to prepare other special dishes because it is large enough for one family, and in this case, the existing kitchen shelves may feel too narrow.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고 제1997-0006596호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Announcement No. 1997-0006596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81228호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81228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면적이 가변될 수 있는 주방용 선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이 편리하며 비용이 크게 상승하지 아니하며, 구조적으로 강성이 뛰어난 가변형 주방용 선반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itchen shelf in which an area can be varied in response to this problem. More specifically, it is to provide a flexible kitchen shelf that is convenient to use, does not increase cost significantly, and has excellent structural rigidity.

위와 같은 목적은, 선반본체; 상기 선반본체의 양측 또는 일측 단부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선반; 및 상기 보조선반으로 하여금 상기 선반본체에서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보조선반가이드수단;The above purpose is the shelf body; Auxiliary shelves installed to be drawn out from both sides or one end of the shelf body; and auxiliary shelf guide means for guiding the auxiliary shelf to be slid on the shelf body.

상기 선반본체를 매달거나 또는 지면 위에 거치시키기 위한 선반설치수단을 포함하되;a shelf installation means for suspending the shelf body or mounting it on the ground;

상기 보조선반은 복수 개의 보조봉; 상기 보조봉이 평행을 이룬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보조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가변형 주방용 선반에 의해 달성된다. The auxiliary shelf includes a plurality of auxiliary rods; It is achieved by a variable area kitchen shelf comprising a; an auxiliary frame for fixing the auxiliary rods in a parallel state.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선반본체는 복수 개의 메인봉이 메인프레임에 의해 평행하게 고정설치됨으로써 그릴 형태로 되어 있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elf body is in the form of a grill by fixing and installing a plurality of main rods in parallel by the main fram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선반본체의 메인봉은 파이프 형태로 되어 있으며;The main rod of the shelf body is in the form of a pipe;

상기 보조봉은 상기 메인봉의 내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인출입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보조봉과 메인봉 사이에는 가이드부시가 매개되어 있을 수 있다. The auxiliary rod may be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main rod to be able to withdraw and insert; A guide bush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auxiliary rod and the main rod.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보조봉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쪽 가장자리에 2개가 슬라이드식으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보조선반에는 바구니가 얹어지게 되어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auxiliary rods are provided on both edges of the main frame to be slidably withdrawn, and a basket is placed on the auxiliary shelf.

본 고안에 따르면, 주방용 선반의 면적을 필요에 따라 조정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이 증진된 주방용 선반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의한 주방용 선반은 평상시에는 면적을 좁게 사용하다가 손님이 많아서 컵이나 식기 등 주방용품이 많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면적을 늘려서 많은 양의 주방용품을 올려놓을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kitchen shelf with improved ease of use by adjusting the area of the kitchen shelf as needed. The kitchen shel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ually uses a small area, but when there are many customers and a lot of kitchen utensils such as cups or tableware are used, the area can be increased and a large amount of kitchen utensils can be placed.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면적 가변형 주방용 선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면적 가변형 주방용 선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면적 가변형 주방용 선반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면적 가변형 주방용 선반의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면적 가변형 주방용 선반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rea variable kitchen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rea variable kitchen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rea variable kitchen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rea variable kitchen shel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perspective views of an area variable kitchen shel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기본적으로 참조하되, 다른 도면은 필요한 곳에서 인용하며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specific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to 3 will be referred to, but other drawing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where necessary.

본 고안에 의한 면적 가변형 주방용 선반(이하, 주방용 선반이라 함)은 선반본체(1), 및 선반본체(1)의 측방향에서 인출될 수 있는 보조선반(3)으로 구성된다. 보조선반(3)은 선반본체(1)의 좌우 양쪽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균형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The area variable kitchen shelf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kitchen shel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helf body 1 and an auxiliary shelf 3 that can be drawn out from the side of the shelf body 1 . The auxiliary shelf 3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helf body 1, respectively, for balance.

선반본체(1)는 복수 개의 메인봉(5)이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고정 설치된다. 선반본체(1)는 직사각 형태의 받침면을 제공하되, 다양한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선반본체(1)는 물빠짐이 좋도록 그릴 형태로 되어 있다. 선반본체(1)는 복수 개의 메인봉(5)과, 이 메인봉(5)이 평행을 이룬 상태로 고정되어 있도록 하기 위한 메인프레임(7)을 포함한다. In the shelf body 1, a plurality of main rods 5 are fixed and installed in parallel with an interval therebetween. The shelf body 1 provides a rectangular support surface, but may be provided in various sizes. The shelf body 1 is in the form of a grill so that water drains well. The shelf body 1 includes a plurality of main rods 5 and a main frame 7 for fixing the main rods 5 in a parallel state.

올려놓은 물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낙하방지대(9)가 전방에 설치되거나 또는 전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전후방에 각각 낙하방지대(9)가 설치된다. 낙하방지대(9)는 메인봉(5)과 같은 형태로 되어 있을 수도 있고 조금 다른 형태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메인프레임(7)은 메인봉(5)과 직각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메인봉(5)이 압입으로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메인봉설치홀(8)이 터널 형태로 마련되어 있다. 선반본체(1)의 길이가 길 경우에는 그 중간에 휨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e placed item from falling, the fall prevention device 9 may be installed in the front or in the front and rear. As shown in the figure, the front and rear anti-fall bars 9 are installed, respectively. The fall prevention bar 9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main bar 5 or may have a slightly different shape. The main frame 7 extends at right angles to the main rod 5, and a plurality of main rod installation holes 8 are provided in the form of a tunne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main rod 5 can be inserted and fixed by press-fitting. . When the length of the shelf body 1 is long, an auxiliary support for preventing bending may be installed in the middle.

선반본체(1)의 하부에는 떨어지는 물을 받거나 포크나 젓가락 같은 작은 물품을 받아내기 위한 트레이(11)가 설치될 수 있다. 트레이(11)는 서랍처럼 전방을 향해 빼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선반본체의 메인프레임(7)에는 트레이를 빼내거나 끼워넣기 위한 레일(13)이 설치된다. A tray 11 for receiving falling water or small items such as forks or chopsticks may be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helf body 1 . The tray 11 is configured to be pulled out toward the front like a drawer. A rail 13 for removing or inserting a tray is installed on the main frame 7 of the shelf body.

보조선반(3)은 선반본체(1)의 양측 또는 일측 단부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조선반(3)은 복수 개의 보조봉(15)과, 이 보조봉(15)이 평행을 이룬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보조프레임(17)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uxiliary shelf (3) is installed so as to be drawn out from both sides or one end of the shelf body (1). The auxiliary shelf 3 may include a plurality of auxiliary rods 15 and an auxiliary frame 17 for fixing the auxiliary rods 15 in a parallel state.

보조선반가이드수단은 보조선반(3)이 선반본체(1)에서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반본체(1) 내지 선반본체(1)의 메인프레임(7)에 설치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조선반(3)의 형태에 따라서 보조선반가이드수단의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The auxiliary shelf guide means is for guiding the auxiliary shelf 3 to be slid on the shelf body 1 , and may be installed on the shelf body 1 to the main frame 7 of the shelf body 1 .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onfiguration of the auxiliary shelf guide means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auxiliary shelf 3 .

선반본체(1)는 사용자의 머리 위에 설치되는 상부장에 매달리도록 상부장의 바닥판에 설치되거나 또는 조리대의 상면에 놓일 수 있다. 즉 선반본체는 소정의 선반설치수단에 의해 매달리게 설치되거나 바닥면에서 소정 높이로 설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일반적인 선반과 같이 수직벽체에 직각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The shelf body 1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plate of the upper cabinet to be suspended from the upper cabinet installed above the user's head, or it may b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nter. That is, the shelf body may be installed suspended by a predetermined shelf installation means or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floor surface. In some cases, it may be installed to protrude at a right angle to the vertical wall like a general shelf.

선반본체(1)를 매달게 설치하기 위한 선반설치수단은 메인프레임(7)에 직각으로 결합되는 수직지지대(19)가 될 수 있다. 수직지지대(19)는 그 단면이 직사각형태인 금속 선재를 절곡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그의 상단에는 나사못 등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브래킷(미도시됨)이 설치될 수 있다. 수직지지대(19)의 하단은 메인프레임(7)을 상하로 관통한 다음 너트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수직지지대(19)는 도시된 것처럼 접이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직지지대(19)의 하단이 끼워질 수 있는 안착홈(20)이 메인프레임(7)의 좌우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The shelf installation means for hanging the shelf body 1 may be a vertical support 19 coupled to the main frame 7 at a right angle. The vertical support 19 may be manufactured by bending a metal wire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 and a bracket (not shown) for fixing with screws or the like may be installed at an upper end thereof.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19 may penetrate the main frame 7 up and down and then be fixed with a nut or the like. The vertical support 19 may be configured to be foldable as shown. Seating grooves 20 in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19 can be fitted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frame 7 , respectively.

이러한 안착홈(20)은 상측과 하측부위가 개방되고 일측 즉, 선반본체(1)를 향하는 부위가 개방된 형태로서, 수직지지대(19)는 볼트(19a) 또는 핀에 의해 메인프레임(7)에 조립되어, 볼트(19a) 또는 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후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펼쳐지면, 안착홈(20)의 개방된 측부를 통해 안착홈(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그 양측이 안착홈(20)의 내측에 지지된다.The seating groove 20 has upper and lower portions open and one side, that is, a portion facing the shelf body 1, is opened. After being assembled to the bolt (19a) or installed rotatably around a pin and then unfolded to stand vertically, it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20 through the open side of the seating groove 20 and both sides are seated. It is supported on the inside of the groove 20 .

이로 인해 수직지지대(19)는 흔들림없이 더욱 견고하게 선반본체(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수직지지대(19)가 단면이 선반본체(1)의 길이방향으로 긴 직사각인 봉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선반본체(1)의 좌우방향 흔들림에 대한 버팀력이 증가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선반본체(1)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Due to this, the vertical support 19 can stably support the shelf body 1 more firmly without shaking, and the vertical support 19 has a rectangular bar shape with a cross section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elf body 1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shelf body 1 more stably by increasing the holding force against the left and right shaking of the shelf body 1 .

메인프레임(7)에는 선반본체(1)를 양손으로 들기 위한 손잡이(21)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프레임(17)에도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측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다. 보조프레임(17)의 손잡이는 도시된 것처럼 프레임 그 자체가 될 수 있다. 보조프레임(17)에는 보조봉(15)이 결합되는 보조봉결합구(2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The main frame 7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21 for holding the shelf body 1 with both hands. In addition, a handle may be provided in the auxiliary frame 17 so that the user can grab it by hand and pull it laterally. The handle of the auxiliary frame 17 may be the frame itself as shown. Auxiliary rod coupling hole 23 to which auxiliary rod 15 is coupled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auxiliary frame 17 .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선반본체의 메인봉(5)은 파이프 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선반의 보조봉(15)은 메인봉(5)의 내부에 면밀히 끼워진 상태에서 인출입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보조봉(15) 역시 파이프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봉(5)은 직경 10mm, 보조봉(15)은 직경 9mm의 스테인리스 파이프로 되어 있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main rod 5 of the shelf body is in the form of a pipe. And the auxiliary bar 15 of the auxiliary shelf may be in a state closely fitted inside the main bar 5 to be able to withdraw and insert. Here, the auxiliary rod 15 may also be in the form of a pipe. For example, the main rod 5 may be made of a stainless steel pipe having a diameter of 10 mm and the auxiliary rod 15 having a diameter of 9 mm.

보조봉(15)이 인출되는 길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거리조정안내판(32)에 의해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거리조정안내판(32)은 완전히 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끝부분(32a)의 단면적이 확장되어 있다. The length from which the auxiliary rod 15 is drawn out may be limited by the distance adjustment guide plate 32 as shown in FIG. 7 . In order to prevent the distance adjustment guide plate 32 from being completely pulled ou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end portion 32a is expanded.

또한 최대인출길이 또는 그 지점을 숫자, 기호 또는 색상으로 보조봉(15)에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maximum withdrawal length or its point may be displayed on the auxiliary rod 15 with numbers, symbols, or colors.

도면부호 25는 캡으로서 파이프의 단부를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조봉(15)의 단부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 캡(25)은 압착방식, 스크류 방식, 접착방식 또는 스폿용접방식(금속의 경우)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Reference numeral 25 is a cap for covering the end of the pipe, and is fitted and fixed to the end of the auxiliary rod 15 . The cap 25 may be fixed by a compression method, a screw method, an adhesive method, or a spot welding method (in the case of metal).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받침대(27)에 의해 조리대 위에 주방용 선반이 놓이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즉 받침대(27)가 선반설치수단이 되는 것이다. 받침대(27)는 메인프레임의 저부에 설치된다. 받침대(27)는 파이프를 절곡하여 만든 것이며 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받침대(27)를 고정하기 위하여 메인프레임의 저부에는 받침대고정블럭(29)이 일체형 또는 조립형으로 설치된다. 받침대는 접이식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받침대(27)에 의해 마련되는 하부공간에는 컵받침대, 접시꽂이, 칼꽂이 등의 주방용품을 보관할 수 있다. 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This embodiment relates to the manner in which the kitchen shelf is placed on the countertop by the pedestal (27). That is, the pedestal 27 serves as a shelf installation means. The pedestal 27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main frame. The pedestal 27 is made by bending a pipe and may be provided in various structures to maintain rigidity. In order to fix the pedestal 27, a pedestal fixing block 29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main frame in an integrated or assembled form. The pedestal may be provided in a foldable manner, and in the lower space provided by the pedestal 27, kitchen utensils such as a cup holder, a plate holder, and a knife holder may be stored.

본 실시예에 의하면 메인봉(5)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메인프레임(7)에 마련되는 메인봉설치홀(8')은 "

Figure utm00001
"의 형태로 되어 있다. 메인봉설치홀(8')의 개구부 폭에 따라 메인봉(5)을 위에서 강하게 눌러서 끼울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main rod installation hole 8' provided in the main frame 7 to fix the main rod 5 is "
Figure utm00001
It is in the form of ". Depending on the width of the opening of the main rod installation hole 8', the main rod 5 may be inserted by pressing it strongly from above.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선반의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kitchen shel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보조선반의 보조봉(15')은 파이프가 아닌 속이 찬 철사로 되어 있다. 즉 직경이 3 ~ 8mm의 스테인리스 또는 크롬도금 철사가 사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auxiliary bar 15' of the auxiliary shelf is made of a wire, not a pipe. That is, a stainless steel or chrome-plated wire having a diameter of 3 to 8 mm may be used.

그리고 보조봉(15')은 메인봉(5) 내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가이드부시(31)의 중심구멍에 끼워진다. 보조봉(15')은 가이드부시(31)에 대하여 슬라이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조선반(3)이 인출입될 수 있는 것이다. 보조선반(3)의 보조봉(15')의 개수는 반드시 메인봉(5)의 개수와 같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도시된 것처럼 조금 더 적게 설치될 수 있다. 이 보조봉(15')을 행주, 고무장갑 등을 걸어놓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And the auxiliary rod (15') is inserted into the center hole of the guide bush (31) which is fitted and fixed inside the main rod (5). The auxiliary rod 15 ′ may be slid with respect to the guide bush 31 . Thereby, the auxiliary shelf 3 can be withdrawn. The number of auxiliary rods 15 ′ of the auxiliary shelf 3 is not necessarily the same as the number of the main rods 5 . For example, a little less can be installed as shown. This auxiliary bar (15') can be used as a means for hanging a dishcloth, rubber gloves, and the like.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반대편에 설치된 보조선반(3')과 같이 바구니(16)를 거치하도록 "

Figure utm00002
"의 형태로 제작한 것일 수도 있다. 즉 보조봉(15')은 양쪽 가장자리에 2개가 마련되며, 따라서 보조선반(3')에는 바구니(16)가 얹어질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s shown, to mount the basket 16 like the auxiliary shelf 3'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
Figure utm00002
It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 That is, two auxiliary rods 15' are provided on both edges, and thus the basket 16 can be placed on the auxiliary shelf 3'.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본 실시예는 메인선반(1)의 메인봉(5')이 파이프가 아닌 봉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예시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의 메인프레임(7')은 한쌍의 세로바(7a)와 한쌍의 가로바(7b)로 구성되는 사각 틀체이며, 가로바(7b)에는 보조선반(3')이 끼워져 슬라이드될 수 있는 삽입홀이 횡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보조선반(3')은 철사 또는 파이프와 보조프레임(17)을 "

Figure utm00003
"의 형태가 되도록 제작한 것이며, 이 보조선반(3')에는 이전 실시예에서의 바구니(16)를 올려놓거나 고무장갑이나 행주 등을 걸어 놓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This embodiment illustrates that the main rod 5' of the main shelf 1 is in the form of a rod, not a pipe. And the main frame (7') in this embodiment is a rectangular frame body consisting of a pair of vertical bars (7a) and a pair of horizontal bars (7b), the horizontal bar (7b) is fitted with an auxiliary shelf (3') slide An insertion hole that can be inserted is provid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uxiliary shelf (3') holds wire or pipe and auxiliary frame (17) "
Figure utm00003
It is manufactured to be in the shape of ", and this auxiliary shelf 3' can be used for placing the basket 16 in the previous embodiment or for hanging rubber gloves or dishcloths.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조선반의 강성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선반지지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보조선반지지수단은 옵션으로 제공될 수 있는 받침다리가 될 수도 있고, 양단 또는 어느 일단에 고리가 부착되어 있는 와이어(미도시됨)가 될 수도 있다. 이 와이어는 일단은 보조선반의 보조프레임(17)에 연결되고 타단은 수직지지대(19)에 연결될 수 있다. 이 와이어는 부수적으로 제공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uxiliary shelf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rigidity of the auxiliary shelf may be further included. The auxiliary shelf support means may be a support leg that can be provided as an option, or it may be a wire (not shown) having a hook attached to both ends or either end. One end of this wire may be connected to the auxiliary frame 17 of the auxiliary shelf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vertical support 19 . This wire may be provided as an accessory to allow the user to selectively use it.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위에 개시된 실시예는 다양한 조합이 가능할 것이며, 가능한 모든 조합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있는 것이 된다. The configuration shown and described above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changes based on common technical knowledge, but it should be noted that these may be included 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ombinations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above are possible, and all possible combin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선반본체 3 : 보조선반
5 : 메인봉 7 : 메인프레임
8,8' : 메인봉설치홀 9 : 낙하방지대
11 : 트레이(물받이) 13 : 레일
15 : 보조봉 16 : 바구니
17 : 보조프레임 19 : 수직지지대
21 : 손잡이 23 : 보조봉결합구
25 : 캡 27 : 받침대
29 : 받침대고정블럭 31 : 가이드부시
32 : 거리조정안내판
1: shelf body 3: auxiliary shelf
5: main rod 7: main frame
8,8': Main rod installation hole 9: Fall prevention bar
11: tray (drip tray) 13: rail
15: auxiliary rod 16: basket
17: auxiliary frame 19: vertical support
21: handle 23: auxiliary bar joint
25: cap 27: pedestal
29: pedestal fixing block 31: guide bush
32: distance adjustment guide board

Claims (2)

선반본체; 상기 선반본체의 양측 또는 일측 단부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선반; 및 상기 보조선반으로 하여금 상기 선반본체에서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보조선반가이드수단;
상기 선반본체를 매달거나 또는 지면 위에 거치시키기 위한 선반설치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선반설치수단은 상기 선반본체의 길이방향으로 긴 직사각의 단면을 갖는 금속 선재를 절곡하여 제작된 수직지지대(19)이며;
상기 수직지지대(19)는 볼트(19a) 또는 핀에 의해 메인프레임(7)에 힌지방식으로 접철이 가능하게끔 조립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상기 수직지지대(19)가 끼워지면서 고정되도록 상하부위와 일측부위가 개방된 안착홈(20)이 마련되되,
상기 안착홈(20)의 상측과 하측이 개방되며, 선반본체를 향하는 부위가 개방되어 수직지지대(19)가 안착홈(20)의 개방된 일측부위를 통해 안착홈(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그 양측이 안착홈(20)의 내측에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가변형 주방용 선반.
shelf body; Auxiliary shelves installed to be drawn out from both sides or one end of the shelf body; and auxiliary shelf guide means for guiding the auxiliary shelf to be slid on the shelf body.
a shelf installation means for suspending the shelf body or mounting it on the ground;
The shelf installation means is a vertical support 19 manufactured by bending a metal wire having a long rectangular cross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elf body;
The vertical support 19 is assembled to be hinged to the main frame 7 by bolts 19a or pins so that it can be folded;
The main frame is provided with a seating groove 20 having an upper and lower portion and one side open to be fixed while the vertical support 19 is fitted,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eating groove 20 are opened, and the portion facing the shelf body is opened so that the vertical support 19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20 through the open one side of the seating groove 20. An area variable kitchen shelf, characterized in that both sides thereof are configured to be supported inside the seating groove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선반은, 복수 개의 보조봉; 상기 보조봉이 평행을 이룬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보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선반본체는, 파이프 형태로 되어 있는 복수 개의 메인봉이 메인프레임에 의해 평행하게 고정설치됨으로써 그릴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봉은 상기 메인봉의 내부에 면밀히 끼워진 상태에서 인출입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가변형 주방용 선반.
According to claim 1,
The auxiliary shelf, a plurality of auxiliary rods; and an auxiliary frame for fixing the auxiliary rods in a parallel state;
The shelf body is in the form of a grill by fixing and installing a plurality of main rods in the form of pipes in parallel by the main frame;
The auxiliary bar is an area variable kitchen shelf,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withdraw and insert while closely fitted inside the main bar.
KR2020220000491U 2019-07-19 2022-02-22 Kitchen Shelf Can be Extended KR20049576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491U KR200495766Y1 (en) 2019-07-19 2022-02-22 Kitchen Shelf Can be Extend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042U KR200495308Y1 (en) 2019-07-19 2019-07-19 Kitchen Shelf Can be Extended
KR2020210001653U KR20210001228U (en) 2019-07-19 2021-05-26 Kitchen Shelf Can be Extended
KR2020220000491U KR200495766Y1 (en) 2019-07-19 2022-02-22 Kitchen Shelf Can be Extended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653U Division KR20210001228U (en) 2019-07-19 2021-05-26 Kitchen Shelf Can be Extende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519U true KR20220000519U (en) 2022-03-04
KR200495766Y1 KR200495766Y1 (en) 2022-08-16

Family

ID=7423946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042U KR200495308Y1 (en) 2019-07-19 2019-07-19 Kitchen Shelf Can be Extended
KR2020210001653U KR20210001228U (en) 2019-07-19 2021-05-26 Kitchen Shelf Can be Extended
KR2020220000491U KR200495766Y1 (en) 2019-07-19 2022-02-22 Kitchen Shelf Can be Extended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042U KR200495308Y1 (en) 2019-07-19 2019-07-19 Kitchen Shelf Can be Extended
KR2020210001653U KR20210001228U (en) 2019-07-19 2021-05-26 Kitchen Shelf Can be Extend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0495308Y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596A (en) 1995-07-03 1997-02-21 구자홍 Resonator of low frequency vibration washer
KR200481228Y1 (en) 2015-05-18 2016-08-31 유상현 Shelf for kitch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0054U (en) * 1985-11-22 1987-06-09
JPH0679334U (en) * 1993-04-26 1994-11-08 株式会社伸晃 Kitchen shelf
JPH1142128A (en) * 1997-07-24 1999-02-16 Takubo Kogyosho Kk Extensible-contractible device of auxiliary shelf in shelf
US7246711B1 (en) * 2003-08-19 2007-07-24 Rock-Tenn Shared Services, Llc Adjustable shelving unit
KR200480129Y1 (en) * 2015-05-07 2016-04-18 주식회사 다온라이프 Shelf for kitchen
KR101818835B1 (en) * 2016-02-02 2018-01-15 김기원 Shelf for Dish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596A (en) 1995-07-03 1997-02-21 구자홍 Resonator of low frequency vibration washer
KR200481228Y1 (en) 2015-05-18 2016-08-31 유상현 Shelf for kitch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228U (en) 2021-06-02
KR200495308Y1 (en) 2022-04-26
KR200495766Y1 (en) 2022-08-16
KR20210000225U (en) 202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1975B1 (en) Extendible support for hanging articles
WO2001085008A3 (en) Device for drying objects
US20060186124A1 (en) Cooking vessel lid holder with drip collection apparatus
KR101804752B1 (en) Multi-functional rack with wall fixed type
US6021906A (en) Dish draining device
US20110198462A1 (en) Handi-Hanger
KR200495766Y1 (en) Kitchen Shelf Can be Extended
KR102003127B1 (en) The shelf for a kitchen
KR100673488B1 (en) Chopping board hanger unit
KR102128351B1 (en) Shelf for Dishes
KR102626434B1 (en) height, the shelf hanging equipment capable of facilitating and, gaping
KR200494232Y1 (en) Kitchen Shelf
KR200493229Y1 (en) Bowl rack for sink
KR20190103546A (en) Shelf type Kitchen utensils hanger
KR20210113844A (en) Multipurpose shelf
CN219479586U (en) Flat bowl integrated pulling basket
KR101804754B1 (en) Extractable closet tweeser
US11426051B1 (en) Accordion dish drying rack with utensil holder
KR200464816Y1 (en) The shelf deferment unit where the establishment is possible in the form which is various
JPH1132849A (en) Unit for arranging kitchen utensils
CN210493876U (en) Dish basket frame for kitchen
KR100871337B1 (en) A pot-lid hanger for combination
CN215127737U (en) Water tank storage basket
CN220695605U (en) Pull basket and disinfection cabinet using same
CN212346319U (en) Multifunctional sink dish r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