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459A - 동영상 내 언어 난이도 평가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동영상 내 언어 난이도 평가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459A
KR20220000459A KR1020200078124A KR20200078124A KR20220000459A KR 20220000459 A KR20220000459 A KR 20220000459A KR 1020200078124 A KR1020200078124 A KR 1020200078124A KR 20200078124 A KR20200078124 A KR 20200078124A KR 20220000459 A KR20220000459 A KR 20220000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evaluation
evaluation result
difficulty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글루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글루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글루리
Priority to KR1020200078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0459A/ko
Publication of KR20220000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4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3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7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06F16/7844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using original textual content or text extracted from visual content or transcript of audi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63Language ident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9Recognition of textual entiti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동영상 내 문장 분석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동영상 내 언어 난이도 평가 방법으로, 상기 시스템에서 제공한 복수개의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동영상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를 각각의 문장 데이터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각각의 문장 데이터의 텍스트를 기반으로 분석한 제1평가요소를 기설정된 제1평가기준을 이용하여 제1평가하는 단계 및 적어도 상기 제1 평가 결과를 포함하는 평가 결과 데이터를 기설정된 기준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동영상의 언어 난이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영상 내 언어 난이도 평가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of evaluating language difficulty in video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실시예들은 동영상 내 언어 난이도 평가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영상의 언어 난이도를 평가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최근 전세계적인 한류열풍에 힘입어 한글을 배우려는 외국인들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한류문화의 중심이 K-POP 등으로 옮겨가면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소셜미디어나 동영상 플랫폼에서 한류 관련 컨텐츠의 관심도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현재 한류 관련 동영상에는 외국인들이 영상에 자체적으로 여러 국가의 언어를 자막으로 추가하는 등 한글에 대한 이해와 이를 통해 한류 관련 영상을 더 잘 이해하려는 수요가 존재한다. 다만, 한글에 대한 교육은 여러 국가의 언어로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한계가 있고 한류 관련 컨텐츠의 주요 분야인 K-POP 등은 특성상 컨텐츠에 따라 언어의 난이도가 크게 차이가 있어 관심있는 외국인들이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해, 컨텐츠의 언어 난이도를 자동으로 평가, 분류하여 한글 컨텐츠에 관심있는 외국인들이 자신 수준에 맞는 난이도 별 컨텐츠를 선택하여 즐길 수 있고, 나아가 한글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게 하는 동영상 내 언어 난이도 평가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 2019-0130774 호 [출원인 : ㈜우리랑코리아]
본 명세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일 목적은, 한글이 포함된 영상 컨텐츠의 언어 난이도를 자동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목적은, 한글이 포함된 영상 컨텐츠를 난이도 별로 분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하기에서 설명하는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도출될 수 있는 다양한 사항들로 확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동영상 내 문장 분석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동영상 내 언어 난이도 평가 방법으로, 상기 시스템에서 제공한 복수개의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동영상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를 각각의 문장 데이터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각각의 문장 데이터의 텍스트를 기반으로 분석한 제1평가요소를 기설정된 제1평가기준을 이용하여 제1평가하는 단계 및 적어도 상기 제1 평가 결과를 포함하는 평가 결과 데이터를 기설정된 기준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동영상의 언어 난이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각각의 문장 데이터의 재생 시간과 포함된 단어의 수를 기반으로 분석한 제2평가요소를 기설정된 제2평가기준을 이용하여 제2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각각의 문장 데이터의 소리를 기반으로 분석한 제3평가요소를 기설정된 제3평가기준을 이용하여 제3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평가 결과 데이터는 상기 제2 평가 결과, 및 상기 제3 평가 결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기준은 상기 제1평가 결과, 상기 제2평가 결과, 상기 제3평가 결과 각각의 가중치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에게 선택 가능한 언어 난이도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언어 난이도와 일치하는 언어 난이도를 가진 복수개의 동영상 모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동영상 모음은 상기 제2평가 결과 및 상기 제3평가 결과 중 어느 하나가 서로 일치하는 동영상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선택된 동영상 모음에 포함된 모든 동영상을 실행한 경우, 상기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선택되지 않은 복수개의 동영상 모음 중 어느 하나를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실시예들에 따른 동영상 내 언어 난이도 평가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동영상 내 언어 난이도 평가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동영상 내 언어 난이도 평가 방법은 한글이 포함된 영상 컨텐츠의 난이도를 평가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서, 사용자가 자신의 수준에 맞는 영상 컨텐츠를 즐기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여러 영상 컨텐츠 중 같은 언어 난이도를 가진 동영상을 모아 사용자에게 추천하여 사용자가 수준에 맞는 영상 컨텐츠를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영상 내 언어 난이도 평가 방법은 난이도 순서에 따라 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특정 난이도의 동영상을 모두 재생하여 학습한 경우 다음 난이도의 영상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추천함으로서 순차적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위 기재된 사항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아래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다양한 내용들로 확장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외부의 다양한 각도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실시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예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네트워크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는 디바이스와 시스템 및 디바이스 상호 간의 데이터 교환이 수행될 수 있는 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으며, 특정 네트워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이거나, 또는 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unit)",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 등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object), 실행 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및/또는 컴퓨터(computer)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컴퓨터의 양쪽이 모두 본 명세서의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HMD(Head Mounted Display)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PC나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가전처럼 고정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바이스는 IoT (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일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는 어플리케이션 동작이 가능한 기기들을 지칭할 수 있으며, 특정 타입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기기를 디바이스로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네트워크의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각 구성요소간 연결이 동일한 네트워크 방식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네트워크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 할 수 있는 모든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5G, 혹은 그 이외의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선 및/또는 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법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디바이스(110), 하나 이상의 서버(120, 130, 140)가 네트워크(1)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사용자 디바이스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게임 콘솔(game consol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 등이 있다. 일례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를 통해 다른 서버들(120 - 140)과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시스템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각 서버는 사용자 디바이스(110)와 네트워크(1)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콘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네트워크(1)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디바이스(110)로 각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서버는 사용자 디바이스(1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목적하는 서비스(일례로, 정보 제공 등)를 사용자 디바이스(11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는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구동을 위한 파일을 사용자 디바이스(110)로 배포하고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해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서버는 다양한 동영상을 저장하고 있는 동영상 서버(140)일 수 있다. 동영상 서버(140)는 네트워크(1)를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110)로 직접 저장된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동영상 서버(140)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영상 서버(140)에 저장된 동영상 정보가 네트워크(1)를 통해 분석 서버(130)에 제공되면 분석 서버(130)가 상기 동영상 정보의 여러 정보를 분석한 후 네트워크(1)를 통해 동영상 및 동영상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110)로 제공할 수 있다. 각 서버의 기능은 이상에서 설명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2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러한 컴퓨팅 장치(200)는 도1을 참조하여 상술한 사용자 디바이스(110) 또는 서버(120-140)에 적용될 수 있으며, 각 장치와 서버들은 일부 구성요소를 더 하거나 제외하여 구성됨으로써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200)는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통신 모듈(230) 그리고 송수신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 SSD,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는 메모리(210)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상술한 장치나 서버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사용자 디바이스(110) 등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브라우저나 특정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사용자 디바이스(110) 등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30)을 통해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이 네트워크(1)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0) 또는 통신 모듈(230)에 의해 프로세서(2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30)은 네트워크(1)를 통해 사용자 기기(110)와 서버(120 -14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장치(110) 및/또는 서버(120 - 140) 각각이 다른 전자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송수신부(240)는 외부 입력/출력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입력장치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카메라 등의 장치를, 그리고 외부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haptic feedback device)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송수신부(24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컴퓨팅 장치(200)는 적용되는 장치의 성질에 따라서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200)가 사용자 디바이스(110)에 적용되는 경우 상술한 입출력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 디바이스가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카메라 모듈,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동영상 내 언어 난이도 평가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동영상 내 언어 난이도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동영상 내 언어 난이도 평가 방법은 컴퓨팅 장치(20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컴퓨팅 장치(200)는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각각의 다른 서버나 개별 사용자들의 디바이스들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팅 장치(200)는 서버일 수 있으며 다른 일 예로 사용자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동영상 내 언어 난이도 평가 방법은 다양한 주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200)는 사용자에게 복수개의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동영상은 상기 컴퓨팅 장치(200)에 포함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서버로부터 수신 받은 동영상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제공 받은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컴퓨팅 장치(20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복수개의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S310)하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선택은 상기 컴퓨팅 장치(200)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동영상을 직접 터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컴퓨팅 장치(200)가 입력을 수신하는 모든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200)는 상기 선택된 동영상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를 각각의 문장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다(S320). 구체적으로, 상기 컴퓨팅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동영상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음절을 포함하는 미리 형성된 데이터 베이스와 매칭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와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절을 포함하는 각각의 문장으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동영상의 포함된 음성 데이터는 미리 결정된 코덱으로 처리된 음성 데이터일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특정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컴퓨팅 장치(200)에 포함된 메모리에 저장되있을 수 있으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다른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일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200)는 상기 방법에 의해 추출된 각각의 문장 데이터의 텍스트를 기반으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분석은 상기 컴퓨팅 장치(200)에 포함된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다른 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텍스트는 상기 문장 데이터의 형태소일 수 있으며, 또는 분석 방법에 따라 상기 문장 데이터의 내용 전체일 수 있다. 위와 같이, 분석된 내용을 제1평가요소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200)는 상기 추출된 각각의 문장 데이터의 텍스트를 기반으로 분석하여 제1평가 결과를 결정하는 제1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S330, S410). 구체적으로, 제1평가는 제1평가요소를 기설정된 제1평가기준을 이용하여 제1평가 결과로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평가기준은 문장 데이터의 텍스트가 주어와 동사라는 형태소로만 이루어진 경우 난이도 1, 문장 데이터의 텍스트가 주어, 동사 및 목적어라는 형태소로 이루어진 경우 난이도 2, 문장 데이터의 텍스트가 주어, 동사, 목적어 및 형용사를 포함하는 경우 난이도 3으로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컴퓨팅 장치(200)는 추출된 각각의 문장 데이터의 텍스트를 분석하여 기설정된 제1평가기준과 매칭시켜 제1평가 결과를 결정할 수 있다. 더욱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1평가기준이 기설정된 경우 추출된 문장 데이터의 텍스트가 주어와 동사로 이루어진 경우 제1평가 결과는 난이도 1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평가기준은 이상에서 설명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 문장 데이터의 상황에 따른 평가기준이 존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문장 데이터가 일상 대화를 나타내는 경우 레벨 1, 노래 가사인 경우 레벨 2, 강연인 경우 레벨 3 등으로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강연의 경우 발표자의 국적 또는 인지도등을 더 이용해서 구체적인 레벨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인지도가 높은 발표자의 강연은 강연에 사용된 언어의 수준이 일정 수준 보다 높다고 판단할 수 있어 레벨을 높게 결정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인지도를 가진 발표자의 경우 보다 낮게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지도가 높은 발표자(대통령이나 글로벌 기업의 CEO 등)의 강연에 사용된 단어나 표현들은 다른이들에 의해 재사용되거나 인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여기서 인지도는 해당 발표자 이름, 해당 발표자가 포함된 동영상의 수, 해당 발표자가 포함된 동영상의 뷰어수, 그 동영상들에 달린 댓글의 수 나 댓글 내 포함된 긍정/부정 단어의 빈도수 등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평가 결과 데이터는 제1평가 결과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동영상 내 포함된 문장이 1개인 경우, 상기 문장의 제1평가 결과가 평가 결과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동영상 내 포함된 문장이 다수인 경우, 평가 결과 데이터는 상가 다수의 문장의 제1평가 결과의 조합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평가 결과 데이터는 상기 다수의 문장의 제1평가 결과의 평균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식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200)는 상기 제1평가 결과를 포함하는 평가 결과 데이터를 기설정된 기준과 비교(S340)한 결과에 기초하여 동영상의 언어 난이도를 결정할 수 있다(S350). 상기 평가 결과 데이터는 상술한 제1평가에 의한 제1평가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평가 결과 데이터는 제1평가 결과와 동일할 수 있으며, 후술할 제2평가 결과 및 제3평가 결과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기준은 동영상의 언어 난이도를 결정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설정된 기준은 상기 평가 결과 데이터에 따라 동영상의 언어 난이도를 레벨 1, 레벨 2 및 레벨 3 등으로 결정할 수 있는 기준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술한 제1평가기준에 따라 문장의 형태소를 기준으로 제1평가를 수행하는 경우, 제1평가 결과는 문장 데이터의 텍스트가 주어와 동사라는 형태소로만 이루어진 경우 난이도 1, 문장 데이터의 텍스트가 주어, 동사 및 목적어라는 형태소로 이루어진 경우 난이도 2, 문장 데이터의 텍스트가 주어, 동사, 목적어 및 형용사를 포함하는 경우 난이도 3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평가 결과 데이터가 제1평가 결과와 동일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설정된 기준은 평가 결과 데이터가 난이도 1인 경우 동영상의 언어 난이도는 레벨 1, 평가 결과 데이터가 난이도 2인 경우 동영상의 언어 난이도는 레벨 2, 평가 결과 데이터가 난이도 3인 경우 동영상의 언어 난이도는 레벨 3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평가 결과 데이터가 다수의 제1평가 결과의 평균인 경우를 살펴보면 각각의 제1평가 결과가 난이도 1, 난이도 2라고 가정하면 평가 결과 데이터는 난이도 1.5라고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상기 기설정된 기준은 평가 결과 데이터를 반올림하여 동영상의 난이도를 레벨 2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또는 내림하여 동영상의 언어 난이도를 레벨 1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동영상의 언어 난이도를 결정하는 방법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에 의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평가 결과 데이터는 제1평가 결과(410), 제2평가 결과(420) 및 제3평가 결과(430)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200)는 상기 방법에 의해 추출된 각각의 문장 데이터의 재생 시간과 포함된 단어의 수를 기반으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분석은 상기 컴퓨팅 장치(200)에 포함된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다른 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재생 시간은 동영상의 포함된 음성 데이터의 시작부터 음성 데이터가 끝나는 시점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또는, 동영상 전체의 재생시간일 수 있다. 상기 포함된 단어의 수는 문장 데이터의 음절의 수일 수 있다. 상기 음절의 수는 상기 음성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음절을 포함하는 미리 형성된 데이터 베이스와 매칭하여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200)는 상기 추출된 각각의 문장 데이터의 재생 시간 및 포함된 단어의 수를 기반으로 분석하여 제2평가요소를 결정하는 제2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S420). 구체적으로, 제2평가는 기설정된 제2평가기준을 이용하여 제2평가 결과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평가기준은 상기 문장 데이터의 재생 시간을 기반으로 기설정되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문장 데이터의 재생 시간에 따른 난이도를 제2평가 결과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생 시간이 10초 미만인 경우 난이도 1, 10초 이상인 경우 난이도 2로 기설정되있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평가기준은 상기 포함된 단어의 수를 기반으로 기설정 되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함된 단어의 수가 5개 미만인 경우 난이도 1, 5개 이상인 경우 난이도 2로 기설정되있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평가기준은 상기 문장 데이터의 재생 시간과 포함된 단어의 수를 모두 기반으로 기설정 되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재생 시간과 포함된 단어의 수를 각각 평가하여 평균내는 방법으로 기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 시간이 10초 미만(난이도 1)이면서 포함된 단어의 수가 5개 이상(난이도 2)인 경우, 평균을 반올림하여 난이도 2 또는 평균을 내림하여 난이도 1로 기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술한 재생 시간과 포함된 단어의 수에 각각 가중치를 두는 방법으로 기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생 시간이 10초 미만(난이도 1)이면서 포함된 단어의 수가 5개 이상(난이도 2)인 경우, 음성 데이터의 속도가 빠르다고 인식하여 오히려 난이도 3으로 기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평가기준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에 의할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200)는 상기 방법에 의해 추출된 각각의 문장 데이터의 소리를 기반으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분석은 상기 컴퓨팅 장치(200)에 포함된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다른 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리는 동영상의 포함된 음성 데이터의 주파수 정보로부터 추출되는 음역일 수 있다. 또는, 음성 데이터 세기의 변화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소리는 문장 데이터에 포함된 모든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소리는 미리 형성된 데이터 베이스와 매칭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음성 데이터의 세기의 변화를 판단하여 기설정된 데이터 베이스와 매칭하여 발화자의 감정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200)는 상기 추출된 각각의 문장 데이터의 소리를 기반으로 분석하여 제3평가요소를 결정하는 제3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S430). 구체적으로, 제3평가는 기설정된 제3평가기준을 이용하여 제3평가 결과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3평가기준은 상기 문장 데이터의 소리를 기반으로 기설정되있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음성 데이터의 세기 또는 음역을 판단하여 기설정된 데이터 베이스와 매칭하여 제3평가 요소를 발화자의 감정으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성 데이터의 세기가 강하고 음역이 높은 경우 발화자의 감정을 화남으로 기설정되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3평가 결과는 제3평가 요소에 따른 난이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평가요소가 화남인 경우 제3평가 결과는 난이도 1일 수 있다. 또는, 제3평가요소가 슬픔인 경우 제3평가 결과는 난이도 2일 수 있다. 제3평가 요소는 발화자의 감정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기준에 의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평가 결과(410), 제2평가 결과(420) 및 제3평가 결과(430)에 의한 분류 방법을 나타낸다. 평가 결과 데이터(440)는 제1평가 결과만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제1평가에 의해 제1평가 결과를 산출한 경우 평가 결과 데이터는 제1평가 결과와 동일하다. 이 때, 제2평가 결과 및 제3평가 결과는 동영상 모음 기준(510)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평가 결과만을 포함한 평가 결과 데이터에 의해 동영상 내 언어 난이도가 결정된 경우, 상기 컴퓨팅 장치(200)는 제2평가 결과, 제3평가 결과 또는 그 조합에 의하여 동영상 모음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평가 결과 데이터에 의해 난이도 1, 난이도 2, 난이도 3이 결정되면, 제2평가 결과에 의해 난이도 1인 동영상 중 재생 시간이 10초 이상인 동영상 모음 또는 난이도 3인 동영상 중 포함된 단어의 수가 5개 미만이고 발화자의 감정이 화난 상태인 동영상 모음 등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평가 결과(410), 제2평가 결과(420) 및 제3평가 결과(430)가 모두 포함된 평가 결과 데이터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제1평가 결과, 제2평가 결과 및 제3평가 결과를 모두 활용하여 동영상 내 언어 난이도 평가가 가능하다. 일 실시예로, 제1평가 결과가 난이도 1, 제2평가 결과가 난이도 2, 제3평가 결과가 난이도 3인 경우 평균 내어 평가 결과 데이터는 난이도 2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1평가 결과, 상기 제2평가 결과, 상기 제3평가 결과 각각의 가중치(610) 조건에 의해 평가 결과 데이터가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평가 결과의 가중치가 3, 제2평가 결과의 가중치가 2, 제3평가 결과의 가중치가 1이고 제1평가 결과가 난이도 1, 제2평가 결과가 난이도 2, 제3평가 결과가 난이도 3인 경우, 평가 결과 데이터는 각각의 평가 결과와 가중치를 곱한 값의 평균일 수 있다. 이 경우, 평가 결과 데이터는 난이도 2.33이 되어 상기 컴퓨팅 장치(200)는 이를 반올림 하여 동영상 내 언어 난이도를 레벨 2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에 의할 수 있다.
평가 결과 데이터(440) 및 동영상 모음 기준(510)은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제1평가 결과가 아닌 제2평가 결과 또는 제3평가 결과만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가 평가 결과 중 복수개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200)는 사용자에게 언어 난이도를 선택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S710). 상기 사용자는 제공된 언어 난이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S720). 상기 언어 난이도는 상술한 방법들에 의해 결정된 동영상의 언어 난이도일 수 있다. 상기 동영상의 언어 난이도는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레벨 1, 레벨 2 또는 난이도 1, 난이도 2 등으로 표현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쉬움, 보통, 어려움 또는 다른 표현방법으로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이러한 표현방법에 따라 자신의 수준에 맞는 언어 난이도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200)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언어 난이도와 일치하는 언어 난이도를 가진 복수개의 동영상 모음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730). 상기 동영상 모음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언어 난이도와 일치하는 언어 난이도를 가짐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수준에 맞는 동영상을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동영상 모음은 상기 제2평가 결과 및 상기 제3평가 결과 중 어느 하나가 서로 일치하는 동영상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서 상술했던 실시예와 같이 동영상 내 언어 난이도를 결정하는 평가 결과 데이터가 제1평가 결과만을 포함하는 경우, 제2평가 결과 및 제3평가 결과는 동영상 모음 기준(510)이 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에 의해 제1평가 결과에 의한 동영상 내 언어 난이도가 일치하는 복수개의 동영상 모음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상기 동영상 모음은 상기 제2평가요소 및 상기 제3평가요소 중 어느 하나가 서로 일치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가 선택된 동영상 모음에 포함된 모든 동영상을 실행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10). 상기 판단은 상기 컴퓨팅 장치(200)에 포함된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다른 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모든 동영상을 실행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컴퓨팅 장치(200)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지 않았던 복수개의 동영상 모음 중 어느 하나를 추천할 수 있다(S820). 상기 추천하는 동영상 모음은 상기 사용자가 이전에 선택한 동영상 모음의 다음 난이도를 가진 동영상 모음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선택가능하도록 제공된 언어 난이도 중 난이도 1을 선택하였다면 상기 컴퓨팅 장치(200)는 동영상 내 언어 난이도가 1인 복수개의 동영상 모음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복수개의 동영상 모음 중 어느 하나는 제2평가 결과가 재생 시간이 10초 미만인 것으로 일치하는 동영상 모음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재생 시간이 10초 미만인 동영상 모음에 포함된 모든 동영상을 재생한 경우, 상기 컴퓨팅 장치(200)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동영상 내 언어 난이도가 1인 복수개의 동영상 모음 중 제2평가 결과가 재생 시간이 10초 이상인 것으로 일치하는 동영상 모음을 추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 내 언어 난이도가 1인 복수개의 동영상 모음에 포함된 모든 동영상을 재생한 경우, 상가 컴퓨팅 장치(200)는 상기 사용자에게 동영상 내 언어 난이도가 2인 복수개의 동영상 모음을 추천할 수 있다. 실시예와 반대로, 상기 사용자가 모든 동영상을 실행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컴퓨팅 장치(200)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지 않았던 복수개의 동영상 모음 중 어느 하나를 추천하지 않을 수 있다(S830). 또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동영상 모음에 포함된 모든 동영상을 실행하지 않고 다른 동영상 모음을 선택하면, 상기 컴퓨팅 장치(200)는 상기 사용자가 이전에 선택한 동영상 모음의 이전 난이도를 가진 동영상 모음을 추천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컴퓨팅 장치(200)는 사용자에게 언어 난이도를 선택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200)는 레벨 1 난이도 선택 화면(920), 레벨 2 난이도 선택화면(930) 등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쉽게 선택할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상기 제1평가 요소, 제2평가 요소 및 제3평가 요소 등을 검색하여 원하는 동영상을 찾을 수 있도록 검색가능한 화면(910) 등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컴퓨팅 장치(200)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하여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평가 요소, 제2평가 요소 및 제3평가 요소 또는 요소를 표시하는 화면(1010)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더해, 각각의 동영상의 썸네일을 표시하는 화면(1020)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쉽게 해당 동영상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컴퓨팅 장치(200)는 사용자가 동영상 내 언어 난이도를 필터링하는 화면(1030)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상기 제1평가 요소, 제2평가 요소 및 제3평가 요소들을 필터링하는 화면(1040)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쉽게 원하는 동영상에 접근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200)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명세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포함하도록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동영상 내 문장 분석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동영상 내 언어 난이도 평가 방법으로,
    상기 시스템에서 제공한 복수개의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동영상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를 각각의 문장 데이터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각각의 문장 데이터의 텍스트를 기반으로 분석한 제1평가요소를 기설정된 제1평가기준을 이용하여 제1평가하는 단계; 및
    적어도 상기 제1 평가 결과를 포함하는 평가 결과 데이터를 기설정된 기준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동영상의 언어 난이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영상 내 언어 난이도 평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각각의 문장 데이터의 재생 시간과 포함된 단어의 수를 기반으로 분석한 제2평가요소를 기설정된 제2평가기준을 이용하여 제2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각각의 문장 데이터의 소리를 기반으로 분석한 제3평가요소를 기설정된 제3평가기준을 이용하여 제3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영상 내 언어 난이도 평가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결과 데이터는 상기 제2 평가 결과, 및 상기 제3 평가 결과를 더 포함하는 동영상 내 언어 난이도 평가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기준은 상기 제1평가 결과, 상기 제2평가 결과, 상기 제3평가 결과 각각의 가중치 조건을 포함하는 동영상 내 언어 난이도 평가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에게 선택 가능한 언어 난이도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언어 난이도와 일치하는 언어 난이도를 가진 복수개의 동영상 모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동영상 모음은 상기 제2평가 결과 및 상기 제3평가 결과 중 어느 하나가 서로 일치하는 동영상들로 이루어진 동영상 내 언어 난이도 평가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선택된 동영상 모음에 포함된 모든 동영상을 실행한 경우,
    상기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선택되지 않은 복수개의 동영상 모음 중 어느 하나를 추천하는 동영상 내 언어 난이도 평가 방법.
  7.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 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동영상 내 언어 난이도 평가 방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078124A 2020-06-26 2020-06-26 동영상 내 언어 난이도 평가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0004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124A KR20220000459A (ko) 2020-06-26 2020-06-26 동영상 내 언어 난이도 평가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124A KR20220000459A (ko) 2020-06-26 2020-06-26 동영상 내 언어 난이도 평가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459A true KR20220000459A (ko) 2022-01-04

Family

ID=79342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124A KR20220000459A (ko) 2020-06-26 2020-06-26 동영상 내 언어 난이도 평가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04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791B1 (ko) * 2022-06-17 2023-07-03 (주)세인교육 음악을 접목한 인공지능 기반 언어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774A (ko) 2018-05-15 2019-11-25 (주)우리랑코리아 언어 교육을 위한 영상의 자막 처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774A (ko) 2018-05-15 2019-11-25 (주)우리랑코리아 언어 교육을 위한 영상의 자막 처리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791B1 (ko) * 2022-06-17 2023-07-03 (주)세인교육 음악을 접목한 인공지능 기반 언어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0432B2 (ja) 拡張現実見本の生成
US10282162B2 (en) Audio book smart pause
US2018013049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generation of sketch notes-based visual summary of multimedia content
JP6361351B2 (ja) 発話ワードをランク付けする方法、プログラム及び計算処理システム
KR20180136265A (ko) 구간 영상 검색 및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US20140164371A1 (en) Extraction of media portions in association with correlated input
US20220114221A1 (en) Searching social media content
CN111279709B (zh) 提供视频推荐
CN115082602B (zh) 生成数字人的方法、模型的训练方法、装置、设备和介质
CN109558513A (zh) 一种内容推荐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9359287A (zh) 交互式文化旅游景区景点在线推荐系统及方法
WO2019109663A1 (zh) 一种跨语言搜索方法和装置、一种用于跨语言搜索的装置
US20170161278A1 (en) Degrees of Separation Network Builder
US11100164B2 (en) Displaying videos based upon selectable inputs associated with tags
CN112291614A (zh) 一种视频生成方法及装置
US20140163956A1 (en) Message composition of media portions in association with correlated text
JP2023165769A (ja) ビデオ時間調節アンカー
US20170132198A1 (en) Provide interactive content generation for document
KR20220000459A (ko) 동영상 내 언어 난이도 평가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WO20121455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embling and/or displaying multimedia objects, modules or presentations
JP6602423B2 (ja) コンテンツ提供サーバ、コンテンツ提供端末及びコンテンツ提供方法
US20130179165A1 (en) Dynamic presentation aid
US2014018167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US11790173B2 (en) Recommending action(s) based on entity or entity type
CN112804580B (zh) 一种视频打点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