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301A - Apparatus for filtering ai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filtering 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301A
KR20220000301A KR1020200078079A KR20200078079A KR20220000301A KR 20220000301 A KR20220000301 A KR 20220000301A KR 1020200078079 A KR1020200078079 A KR 1020200078079A KR 20200078079 A KR20200078079 A KR 20200078079A KR 20220000301 A KR20220000301 A KR 20220000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take
mask
dispose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0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23828B1 (en
Inventor
하동훈
정경수
이호윤
이재우
박다희
Original Assignee
(주)메딕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딕콘 filed Critical (주)메딕콘
Priority to KR1020200078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828B1/en
Priority to PCT/KR2020/008532 priority patent/WO2021261640A1/en
Priority to KR1020210002124A priority patent/KR20220000338A/en
Publication of KR20220000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3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8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6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with pumps for forced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4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or filt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air filtering apparatus capable of supplying sufficient air to the inside of a mask.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filtering apparatus is mounted on a mask which covers at least one of a user's nose and mouth to partition a breathing space from the external spa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filtering apparatus comprises: a housing coupled to a mask; an intake hole formed through the housing to move air from the external space to a breathing space; an intake fan placed in the intake hole and introducing the air from the external space into the breathing space; a filter disposed in the intake hole to filter the air introduced by rotation of the intake fan; an outer cover coupled to the intake hole, covering an inlet of the intake hole, and including an intake surface having an inlet hole formed therein to introduce the air into the intake hole, wherein the intake surface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at least one of the exterior and interior of the intake hole so that the surface area of the intake surface is increased; a discharge unit coupled to the mask and capable of discharging the air of the breathing space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in which the air is introduced from the external space; and a battery disposed in the housing to supply electrical energy to the intake fan.

Description

공기 여과 장치{APPARATUS FOR FILTERING AIR}Air filtration device {APPARATUS FOR FILTERING AIR}

본 발명은 공기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filtration device.

최근 황사 또는 공기를 통해 전염 가능한 전염병 등으로 인하여 미세먼지 또는 감염원 등을 차단할 수 있는 마스크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Recently, due to yellow dust or airborne infectious diseases, the demand for masks that can block fine dust or infectious agents is rapidly increasing.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러한 마스크는 KF94, KF80 등 KF(Korea Filter)지수와 같이 그 요구되는 입자 차단 성능을 만족하도록 제작되므로, 흡기 시 마스크의 필터를 통과해 마스크 내 호흡기로 전달되는 공기의 양에 제한이 있어 호흡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general, these masks are manufactured to satisfy the required particle blocking performance such as KF (Korea Filter) index such as KF94 and KF80, so there is no limit to the amount of air delivered to the respirator in the mask through the filter of the mask when inhaling.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breathe.

이에 따라 요구되는 입자 차단 성능을 만족하되 호흡을 위한 충분한 양의 공기를 호흡기로 전달할 수 있는 마스크에 대한 니즈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 need for a mask that satisfies the required particle blocking performance but can deliver a sufficient amount of air for breathing to the respiratory system is increasing.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530912호 (2015.06.23.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530912 (2015.06.23. Announcement)

본 발명은 마스크 내 호흡기로 충분한 양의 여과된 공기를 제공 가능한 공기 여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filtering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sufficient amount of filtered air to a respirator in a mask.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코 및 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커버하여 외부 공간으로부터 호흡 공간을 구획하는 마스크에 장착되는 공기 여과 장치로서, 마스크에 결합되는 하우징, 외부 공간의 공기를 호흡 공간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흡기홀, 흡기홀에 배치되어 외부 공간의 공기를 호흡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흡기팬, 흡기홀에 결합되고, 흡기홀의 입구를 커버하고 흡기홀로 공기를 유입 가능한 유입홀이 형성되는 흡기면을 구비하고, 흡기면의 표면적이 증가되도록 흡기면이 흡기홀의 외부 및 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외부 커버, 마스크에 결합되어 외부 공간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호흡 공간의 공기를 배출 가능한 배기부, 및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흡기팬으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공기 여과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ir filtering device mounted on a mask for partitioning a breathing space from an external space by covering at least one of a user's nose and mouth, a housing coupled to the mask and air from the external space are removed from the breathing space an intake hole formed through the housing so as to be movable into an outer cover having an intake surface formed therein, the intake surface protruding toward at least one of the exterior and interior of the intake hole so that the surface area of the intake surface is increased; An air filtering device is provided, comprising an exhaust unit capable of discharging air in a breathing space in different directions, and a battery disposed in a housing to supply electrical energy to an intake fan.

흡기홀은 외부 커버가 결합되고 필터가 배치되는 되는 제1 영역, 및 흡기팬이 배치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여 구획될 수 있다.The intake hole may be partitioned to include a first area to which the outer cover is coupled and a filter is disposed, and a second area where the intake fan is disposed.

외부 커버는 필터를 교체 가능하도록 제1 영역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영역의 내주면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외부 커버의 외주면에는 외부 커버의 회전에 따라 끼움홈에 맞물려 외부 커버를 제1 영역에 결합시키는 끼움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cov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area so that the filter can be replaced, a fitt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area, and the outer cover is engaged with the fitting groov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outer cov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over to attach the outer cover to the first area. A fitting protrusion for coupling to the region may be formed.

제1 영역의 내주면에는 제1 영역에 결합된 외부 커버의 역회전 시 외부 커버가 외측으로 인출되면서 분리되도록 나선 구조의 분리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A separation guide having a spiral structure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gion so that the outer cover is pulled out and separated when the outer cover coupled to the first region is reversely rotated.

제1 영역의 제2 영역 측 단부에는 필터를 지지하고 공기를 이동 가능도록 필터 지지부가 배치되고, 필터 지지부는 제1 영역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방사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방사부는 흡기팬의 회전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A filter support portion is disposed at an end of the first area on the side of the second area to support the filter and move air, and the filter support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radiating portions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area and extending in the central direction, The radiating part may be bent in a rotational direction of the intake fan.

마스크, 및 마스크에 결합되어 하우징 및 배기부를 마스크에 결합시키는 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장착부는 마스크의 내면에 배치되는 제1 장착편, 및 제1 장착편의 위치에 대응되게 마스크의 외면에 배치되어 제1 장착편과 결합되는 제2 장착편을 포함할 수 있다.It further includes a mask and a mounting unit coupled to the mask to couple the housing and the exhaust unit to the mask, wherein the mounting unit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sk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mounting piece and the first mounting piec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It may include a second mounting piece coupled to the first mounting piece.

하우징은 배기부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기부 상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측방향으로 유도하는 유동 가이드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housing may be disposed on the exhaust unit to preven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unit from being mixed with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hole to form a flow guide surface for guiding the flow of the discharged air laterally.

유동 가이드면은 배기부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사용자의 안면을 따라 측후방으로 배출 가능하도록 만곡될 수 있다.The flow guide surface may be curved so that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unit can be discharged laterally and laterally along the user's face.

배기부의 유동 가이드면 측 단부는 유동 가이드면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flow guide surface side end of the exhaust unit may be inclined to correspond to the flow guide surface.

유동 가이드면은 배기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사용자의 안면 측으로 굴절 가능하도록 단부 측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굴절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The flow guide surface may have a deflection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end-side surface to refrac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unit toward the user's face.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크 내 호흡기로 충분한 양의 여과된 공기를 제공 가능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ufficient amount of filtered air to the respirator in the mask.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여과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여과 장치를 나타낸 제1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여과 장치를 나타낸 제2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커버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n air filte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irst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filte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econ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filte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5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outer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여과 장치(100)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air filter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us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0)의 코 및 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커버하여 외부 공간으로부터 호흡 공간을 구획하는 마스크(200)에 장착되는 공기 여과 장치(100)로서, 마스크(200)에 결합되는 하우징(110), 외부 공간의 공기를 호흡 공간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흡기홀(120), 흡기홀(120)에 배치되어 외부 공간의 공기를 호흡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흡기팬(130), 흡기팬(130)의 회전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 가능하도록 흡기홀(120)에 배치되는 필터(140), 흡기홀(120)에 결합되고, 흡기홀(120)의 입구를 커버하고 흡기홀(120)로 공기를 유입 가능한 유입홀(152)이 형성되는 흡기면(156(a))을 구비하고, 흡기면(156(a))의 표면적이 증가되도록 흡기면(156(a))이 흡기홀(120)의 외부 및 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외부 커버(150), 마스크(200)에 결합되어 외부 공간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호흡 공간의 공기를 배출 가능한 배기부(160), 및 하우징(110) 내에 배치되어 흡기팬(130)으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170)를 포함하는 공기 여과 장치(100)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to 5 , an air filtering device mounted on a mask 200 that covers at least one of the nose and mouth of the user 10 to partition the breathing space from the external space. As (100), the housing 110 coupled to the mask 200, the intake hole 120 formed through the housing 110 to move air from the external space to the breathing space, and the intake hole 120 are disposed The intake fan 130 for introducing air from the external space into the breathing space, and the filter 140 disposed in the intake hole 120 to filter the air introduced by the rotation of the intake fan 130, the intake hole 120 It is coupled, and covers the inlet of the intake hole 120 and has an intake surface 156 (a) on which an inlet hole 152 capable of introducing air into the intake hole 120 is formed, and the intake surface 156 (a) )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of the intake surface 156 (a) is coupled to the outer cover 150, the mask 200 formed to protrude toward at least one of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intake hole 120 in the external space An air filtering device comprising an exhaust unit 160 capable of discharging air in the breathing space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in which air is introduced, and a battery 170 disposed in the housing 110 to supply electrical energy to the intake fan 130 . (100) is provided.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70)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회전하는 흡기팬(130)에 의해 외부 공간의 공기가 외부 커버(150)의 유입홀(152)을 통해 흡기홀(120) 내로 유입되고 해당 공기는 필터(140)에 의해 여과되어 호흡 공간으로 제공되므로 마스크(200) 내 사용자(10)의 호흡기로 충분한 양의 여과된 공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배기부(160)를 통해 외부 공간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호흡 공간의 공기를 배출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air in the external space is fed into the intake hole 120 through the inlet hole 152 of the outer cover 150 by the intake fan 130 that receives electric energy from the battery 170 and rotates. Since the incoming air is filtered by the filter 140 and provided to the breathing spa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ufficient amount of filtered air to the respirator of the user 10 in the mask 200, and through the exhaust unit 160 It is also possible to exhaust the air of the breathing space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 is introduced from the external space.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여과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air filter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

하우징(11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2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110) 내에는 후술할 바와 같이 흡기홀(120) 및 그에 배치되는 흡기팬(130) 및 필터(140)를 구비하므로, 하우징(110)이 마스크(200)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구성들에 의해 여과된 외부 공간의 공기가 마스크(200) 내 호흡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The housing 110 may be coupled to the mask 200 as shown in FIGS. 1 and 4 . In this case, since the housing 110 includes an intake hole 120 and an intake fan 130 and a filter 140 disposed therein, as will be described later, as the housing 110 is coupled to the mask 200 , the above components The air in the external space filtered by the can be introduced into the breathing space in the mask 200 .

하우징(11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부(16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홀(152)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기부(160) 상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측방향으로 유도하는 유동 가이드면(112)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의 화살표2 참조)As shown in FIGS. 3 and 4 , the housing 110 is disposed on the exhaust unit 160 to preven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unit 160 from being mixed with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hole 152 . It is possible to form a flow guide surface 112 that is disposed to guide the flow of the discharged air laterally. (See arrow 2 in FIGS. 1 and 4)

즉 하우징(110)에 형성된 유동 가이드면(112)은 후술할 배기부(160)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에 배치됨으로써 해당 공기가 유입홀(152)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 측으로 이동하여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공기 여과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the flow guide surface 112 formed on the housing 110 is disposed in a direction in which air is discharged through an exhaust unit 16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air moves toward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hole 152 and is mixed. Therefore, the air filtration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유동 가이드면(112)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부(16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사용자(10)의 안면을 따라 측후방으로 배출 가능하도록 만곡될 수 있다. (도 1의 화살표2 참조)As shown in FIGS. 3 and 4 , the flow guide surface 112 may be curved so tha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unit 160 can be discharged laterally along the face of the user 10 . (See arrow 2 in FIG. 1)

다시 말해 유동 가이드면(112)은 오목한 곡면 형상을 갖게 되고 이는 사용자(10)의 안면과 대응되는 형상인 바, 배기부(16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 가이드면(112)에 다다르면 해당 곡면을 타고 사용자(10)의 안면을 따라 측후방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flow guide surface 112 has a concave curved surface shape, which i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ace of the user 10 . When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unit 160 reaches the flow guide surface 112 , the curved surface It can be discharged to the side and rear along the face of the user 10 on the ride.

배기부(160)의 유동 가이드면(112) 측 단부는 도 2(의 확대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 가이드면(112)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end of the exhaust unit 160 on the flow guide surface 112 side may be inclined to correspond to the flow guide surface 112 as shown in FIG. 2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이에 따라 배기부(16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 가이드면(112)을 따라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기부(160)의 유동 가이드면(112) 측 단부, 즉 배출 위치에 따라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ly, so tha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unit 160 can be effectively discharged along the flow guide surface 112 , the end of the flow guide surface 112 side of the exhaust unit 160 , that is, the air discharged according to the discharge position may vary the amount of

유동 가이드면(112)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부(16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사용자(10)의 안면 측으로 굴절 가능하도록 단부 측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굴절 돌기(114)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의 화살표2 참조)As shown in FIGS. 3 and 4, the flow guide surface 112 has a deflection protrusion 114 that protrudes from the end-side surface to refrac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unit 160 toward the face of the user 10. can be provided (See arrow 2 in FIG. 4)

즉 굴절 돌기(114)는 유동 가이드면(112)의 단부 측 표면, 즉 배기부(16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 가이드면(112)을 따라 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배치되어, 공기의 방향을 사용자(10)의 얼굴 측으로 굴절시켜 배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에 혼입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refraction protrusion 114 is disposed on the end side surface of the flow guide surface 112 , that is, on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unit 160 moves in the lateral direction along the flow guide surface 112 , By refracting the direction toward the face of the user 10,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exhausted air from being mixed with the incoming air.

흡기홀(12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공간의 공기를 호흡 공간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4의 화살표1 참조)As shown in FIGS. 2 to 4 , the intake hole 120 may be formed through the housing 110 to move air from the external space to the breathing space. (See arrow 1 in FIG. 4)

즉 흡기홀(120)은 하우징(110) 내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 통로가 되고, 후술할 바와 같이 내부에 필터(140)가 배치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여 호흡 공간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intake hole 120 is provided in the housing 110 and serves as a passage for the incoming air, 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a filter 140 is disposed therein to filter the incoming air and provide it to the breathing space. .

흡기홀(12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커버(150)가 결합되고 필터(140)가 배치되는 되는 제1 영역(121), 및 흡기팬(130)이 배치되는 제2 영역(126)을 포함하여 구획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to 4 , the intake hole 120 has a first area 121 to which the outer cover 150 is coupled and a filter 140 is disposed, and a second area in which the intake fan 130 is disposed. It may be partitioned including a region 126 .

보다 구체적으로 흡기홀(120)의 입구 측의 공간이 제1 영역(121)이 되며, 필터(140)가 제1 영역(121)에 배치되고 흡기팬(130)이 제2 영역(126)에 배치되어 외부 공간을 향해 필터(140)가 전진 배치됨으로써 흡기팬(130)이 필터(140)에 직접적으로 풍압을 가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필터(140)에 의한 여과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pace on the inlet side of the intake hole 120 becomes the first area 121 , the filter 140 is disposed in the first area 121 , and the intake fan 130 is disposed in the second area 126 . As the filter 140 is disposed forward toward the external space, it is prevented that the intake fan 130 directly applies wind pressure to the filter 140 , so that filtration by the filter 140 can be performed more effectively.

외부 커버(15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140)를 교체 가능하도록 제1 영역(12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to 4 , the outer cover 15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region 121 to replace the filter 140 .

즉 필터(140)의 경우 소모품이므로, 외부 커버(150)가 제1 영역(12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함됨으로써 사용 시간에 따라 필터(140)를 교체 가능하여 본 장치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filter 140 is a consumable item, the outer cover 150 is detachably defective in the first region 121, so that the filter 140 can be replaced according to the use time, so that the device can be used semi-permanently, Accordingly, economic efficiency may be improved.

보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라, 제1 영역(121)의 내주면에는 끼움홈(122)이 형성되고, 외부 커버(150)의 외주면에는 외부 커버(150)의 회전에 따라 끼움홈(122)에 맞물려 외부 커버(150)를 제1 영역(121)에 결합시키는 끼움 돌기(154)가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2 and 3 , a fitting groove 122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gion 121 ,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over 150 is fit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outer cover 150 . A fitting protrusion 154 that engages the groove 122 to couple the outer cover 150 to the first region 121 may be formed.

이에 따라 외부 커버(150)가 임의적으로 탈락되는 것이 방지되어, 효과적으로 필터(140)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outer cover 150 is prevented from being arbitrarily removed, and the filter 140 can be effectively supported.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라, 끼움 돌기(154)은 후술할 외부 커버(150)의 하향 개방되는 유입홀(152) 측에 배치되고, 상기 끼움홈(122)은 끼움 돌기(154)의 위치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커버(150)를 탈착하더라도 결합 시에는 유입홀(152)이 하방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 5 , the fitting protrusion 154 is disposed on the downwardly open inlet hole 152 side of the outer cover 15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fitting groove 122 is the location of the fitting protrusion 154 .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Accordingly, even when the outer cover 150 is detached, the inlet hole 152 may be directed downward during coupling.

제1 영역(121)의 내주면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121)에 결합된 외부 커버(150)의 역회전 시 외부 커버(150)가 외측으로 인출되면서 분리되도록 나선 구조의 분리 가이드(123)가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region 121 , when the outer cover 150 coupled to the first region 121 rotates in reverse, the outer cover 150 is drawn out and separated. A separation guide 123 having a spiral structure may be formed.

즉 분리 가이드(123)를 통해 외부 커버(150)를 보다 용이하게 제1 영역(121)으로부터 탈거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 가이드(123)는 외부 커버(150)를 제1 영역(121)에 결합하는 경우에도 활용될 수 있다.That is, the outer cover 150 can be more easily removed from the first region 121 through the separation guide 123 , and the separation guide 123 couples the outer cover 150 to the first region 121 . It can also be used when

제1 영역(121)의 제2 영역(126) 측 단부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140)를 지지하고 공기를 이동 가능도록 필터 지지부(124)가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to 4 , a filter support 124 may be disposed at an end of the first region 121 on the side of the second region 121 to support the filter 140 and move air.

즉 필터 지지부(124)는 필터(140)를 흡기홀(120)의 입구 측으로 지지할 뿐만 아니라, 필터(140)에 의해 여과된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filter support 124 may not only support the filter 140 toward the inlet side of the intake hole 120 , but also allow the air filtered by the filter 140 to pass therethrough.

필터 지지부(124)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121)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방사부(125(b))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to 4 , the filter support 124 may include a plurality of radiating parts 125(b)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gion 121 and extending in the central direction.

보다 구체적으로 중심부(125(a)), 및 제1 영역(121)의 내주면에 돌출되어 중심부(125(a))로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방사부(125(b))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t includes a central portion 125(a), and a plurality of radiating portions 125(b) that protrud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gion 121 to extend to the central portion 125(a)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can do.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방사부(125(b))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필터(140)에 의해 여과된 공기가 이동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air filtered by the filter 140 can move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radiating parts 125 (b) as described above.

또한 복수의 방사부(125(b))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팬(130)의 회전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plurality of radiating parts 125(b) may be bent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intake fan 130 .

즉 유입된 공기는 흡기팬(130)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므로, 방사부(125(b))가 흡기팬(130)의 회전 방향으로 휘어짐으로써 공기가 보다 용이하게 필터 지지부(124)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at is, since the introduced air moves while rotating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intake fan 130 , the radiating portion 125(b) is bent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intake fan 130 so that the air more easily passes through the filter support 124 and moves. be able to

또한 방사부(125(b))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125(a))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Also,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radiating portion 125(b) may be formed to decrease in width toward the central portion 125(a).

이에 따라 방사부(125(b))와 필터 지지부(124)를 통과하는 공기와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한 방사부(125(b))의 휘어지는 형상과 더불어 공기가 보다 용이하게 필터 지지부(124)를 통과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friction between the radiating part 125(b)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support 124, so that the air is more easily filtered with the curved shape of the radiating part 125(b). It may perform a function to pass through the support 124 .

제2 영역(126)의 호흡 공간 측 단부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팬(130)를 지지하고 공기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흡기팬 지지부(127)가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to 4 , an intake fan support 127 formed to support the intake fan 130 and move air may 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second region 126 on the side of the breathing space.

즉 흡기팬(130)은 상술한 필터 지지부(124)와 흡기팬 지지부(127) 사이에 개재되므로, 제2 영역(126)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intake fan 130 is interposed between the filter support 124 and the intake fan support 127 described above, the intake fan 130 may be stably disposed in the second region 126 .

흡기팬 지지부(127)는 도 2 내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중심부(128(a)), 및 제2 영역(126)의 내주면에 돌출되어 제2 중심부(128(a))로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방사부(128(b))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take fan support 127 protrudes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central portion 128 (a) and the second region 126 and extends to the second central portion 128 (a), as shown in FIG.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radiating portions 128 (b)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이에 따라 흡기팬 지지부(127)는 흡기팬(130)을 제1 영역(121) 측으로 지지할 뿐만 아니라, 복수의 제2 방사부(128(b)) 사이의 공간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intake fan support unit 127 may not only support the intake fan 130 toward the first region 121, but also allow air introduce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 radiation units 128(b) to pass therethrough. .

또한 제2 중심부(128(a))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팬(130) 지지홀을 구비할 수 있고 흡기팬(130)에는 지지홀에 맞물리는 흡기팬(130) 지지 돌기(165)가 형성되어, 흡기팬(130)이 효과적으로 흡기팬 지지부(127)에 의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 to 4 , the second central portion 128 (a) may include an intake fan 130 support hole, and the intake fan 130 has an intake fan 130 support protrusion that engages the support hole ( 165 is formed, so that the intake fan 130 is effectively supported by the intake fan support 127 .

흡기팬(13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홀(120)에 배치되어 외부 공간의 공기를 호흡 공간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to 4 , the intake fan 130 may be disposed in the intake hole 120 to introduce air from the external space into the breathing space.

즉 흡기팬(130)의 회전을 통해 외부 공간의 공기가 흡기홀(120) 내로 강제 유입되어 여과 후 호흡 공간으로 제공되므로, 사용자(10)는 자가 흡기에 의하지 않더라도 보다 용이하게 여과된 공기를 제공받아 호흡할 수 있다.That is, the air in the external space is forcibly introduced into the intake hole 120 through the rotation of the intake fan 130 and provided to the breathing space after filtration, so that the user 10 is provided with filtered air more easily without self-inhalation. can breathe

필터(14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팬(130)의 회전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 가능하도록 흡기홀(120)에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to 4 , the filter 140 may be disposed in the intake hole 120 to filter the air introduced by the rotation of the intake fan 130 .

즉 필터(140)가 흡기팬(130)에 의해 흡기홀(120)로 강제 유입된 공기를 여과하여 통과시킴으로써 호흡 공간 내 사용자(10)의 호흡기 측으로 정화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 때 필터(140)가 충분한 여과 성능을 갖도록 KF지수를 만족하게 제작될 수 있다.That is, the filter 140 filters and passes the air forced into the intake hole 120 by the intake fan 130 to provide purified air to the respiratory side of the user 10 in the breathing space, and at this time, the filter ( 140) can be manufactured to satisfy the KF index to have sufficient filtration performance.

외부 커버(15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홀(120)에 결합되고, 흡기홀(120)의 입구를 커버하고 흡기홀(120)로 공기를 유입 가능한 유입홀(152)이 형성되는 흡기면(156(a))을 구비하고, 흡기면(156(a))의 표면적이 증가되도록 흡기면(156(a))이 흡기홀(120)의 외부 및 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 the outer cover 150 is coupled to the intake hole 120 , covers the inlet of the intake hole 120 , and an inlet hole 152 through which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take hole 120 . ) is provided with the intake surface 156 (a), and the intake surface 156 (a) is at least any one of the exterior and interior of the intake hole 120 so that the surface area of the intake surface 156 (a) is increased.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toward one.

즉 유입홀(152)을 구비하는 흡기면(156(a))이 흡기홀(120)의 외부 및 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흡기면(156(a))의 표면적이 증가되어 유입홀(152)의 외부 공간을 향해 개방되는 면적이 증가되므로, 유입홀(152)을 통해 흡기홀(120)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That is, the intake surface 156 (a) having the inlet hole 152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at least one of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intake hole 120, so that the surface area of the intake surface 156 (a) is increased. Since the open area of the inlet hole 152 toward the external space is increased,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into the intake hole 120 through the inlet hole 152 may be increased.

외부 커버(15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홀(120)과 결합되는 흡기홀 결합부(155), 및 유입홀(152)이 구비되는 흡기면(156(a))을 갖는 커버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4 , the outer cover 150 has an intake surface 156 (a) having an intake hole coupling part 155 coupled to the intake hole 120 and an inlet hole 152 ). It may include a cover portion 156 having a.

보다 구체적으로 커버부(156)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홀 결합부(155)와 결합되는 테두리부(157), 커버 중심부(158), 및 테두리부(157)에 돌출되어 커버 중심부(158)로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커버 방사부(159)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ver part 156 protrudes from the edge part 157 coupled to the intake hole coupling part 155 , the cover center part 158 , and the edge part 157 as shown in FIGS. 1 to 4 .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ver radiating portions 159 that exten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ver 158 and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이에 따라 복수의 커버 방사부(159) 사이의 이격 공간은 전술한 유입홀(152)을 형성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가 유입홀(152)을 통해 외부 공간으로부터 흡기홀(120)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cover radiation parts 159 forms the aforementioned inlet hole 152 , and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air enters the intake hole 120 from the external space through the inlet hole 152 . can be introduced into

또한 커버 중심부(158)가 테두리부(157)보다 흡기홀(120) 측으로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유입홀(152)의 외부 공간으로 개방되는 면적이 증가되어 유입홀(152)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center 158 may be inserted into the intake hole 120 side rather than the edge portion 157, and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the area open to the external space of the inlet hole 152 is increased, so that the inlet hole ( 152) can increase the amount of incoming air.

그리고 외부 커버(150)가 흡기홀(120) 입구에 결함됨에 따라 중심부는 필터(140)를 필터 지지부(124) 측으로 가압하여 필터(140)가 제1 영역(121)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And as the outer cover 150 is defective at the inlet of the intake hole 120 , the center presses the filter 140 toward the filter support 124 , so that the filter 140 is stably supported in the first region 121 . have.

그리고 외부 커버(150) 형상의 다른 예로서 외부 커버(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홀(120)의 입구에 결합되고 외부 공간의 하층부 공기를 흡기홀(120)로 유입 가능하도록 하향 개방될 수 있다. (도 1의 화살표1 참조)And as another example of the shape of the outer cover 150 , the outer cover 150 is coupled to the inlet of the intake hole 120 as shown in FIG. 5 and allows the lower air of the external space to flow into the intake hole 120 . It can be opened downwards. (See arrow 1 in FIG. 1)

즉 외부 공간의 경우 상층부 공기는 침, 부유물 등의 입자들이 존재할 가능성이 하층부보다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외부 공간의 하부층 공기가 흡기홀(120) 내로 유입 가능하도록 외부 커버(150)를 하향 개방함으로써 입자 여과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external space, since the possibility that particles such as saliva and floating matter exist in the upper layer air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in the lower layer, the outer cover 150 is opened downward so that the air of the lower layer of the external space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take hole 120. Filtrat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more.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 커버(150)의 유입홀(152)이 구비되는 영역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커버(15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region in which the inlet hole 152 of the outer cover 150 is provided may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outer cover 150 as shown in FIG. 5 .

이에 따라 유입홀(152)이 외부 공간의 하층부를 향해 더 개방되므로, 흡기홀(120)로의 공기 유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inlet hole 152 is further opened toward the lower layer of the external space,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into the intake hole 120 may be increased.

배기부(16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200)에 결합되어 외부 공간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호흡 공간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to 4 , the exhaust unit 160 may be coupled to the mask 200 to exhaust the air of the breathing space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air is introduced from the external space.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호흡 공간으로 여과된 공기가 제공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사용자(10)의 호기 시 호흡 공간 내의 공기가 외부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not only the filtered air can be provided to the breathing space as described above, but also the air in the breathing space can be discharged to the external space when the user 10 exhales.

또한 이와 관련하여 상기한 방향성에 따라 배기부(16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외부 공간에서 유입되는 공기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우징(110)이 유동 가이드면(112)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세부적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다.In addition, in this regard, the housing 110 may form the flow guide surface 112 to preven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unit 160 from being mixed with the air flowing in from the external spac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directionality. Details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라, 호흡 공간으로부터의 일 방향 배기를 위하여 배기부(160)에 배치되는 배기 밸브(161), 및 배기 밸브(161)를 배기부(160) 내에 지지시키는 밸브 지지 유닛(162)이 더 포함될 수 있다.2 to 4 , an exhaust valve 161 disposed in the exhaust unit 160 for one-way exhaust from the breathing space, and a valve supporting the exhaust valve 161 in the exhaust unit 160 . A support unit 162 may be further included.

배기 밸브(161)는 일방향, 즉 외부 공간 측으로 개방되는 바, 사용자(10)의 호기 시 또는 호흡 공간의 체적 이상으로 여과된 공기가 주입되어 호홉 공간이 양압이 되는 경우 호흡 공간의 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The exhaust valve 161 is opened in one direction, that is, to the external space side, and when the user 10 exhales or filtered air with more than the volume of the breathing space is injected and the exhalation space becomes positive pressure, the air in the breathing space is transferred to the external space. can be discharged as

또한 사용자(10)의 흡기 시에는 개방되지 않는 바, 배기부(160)를 통해 외부 공간의 여과되지 않은 공기가 호흡 공간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not opened when the user 10 is inhal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nfiltered air of the external space from flowing into the breathing space through the exhaust unit 160 .

상기 밸브 지지 유닛(162)은 배기 밸브(161)를 배기부(160) 내에 지지하여 상술한 일방향 개방 기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valve support unit 162 may support the exhaust valve 161 in the exhaust unit 160 so that the one-way opening mechanism described above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배터리(17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 내에 배치되어 흡기팬(130)으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to 4 , the battery 170 may be disposed in the housing 110 to supply electrical energy to the intake fan 130 .

이에 따라 별도의 전기 에너지 공급 전선의 연결 없이도 본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10)는 외부에서 용이하게 본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since the device can be used without a separate electrical energy supply wire connection, the user 10 can easily use the device from the outside.

또한 배터리(170)는 방전 시 교체할 필요없이 충전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터리(170)의 충전을 위한 별도의 충전 포트가 하우징(110)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ttery 170 can be recharged and reused without needing to be replaced during discharging. Accordingly, a separate charging port for charging the battery 170 may be provided in the housing 110 .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라, 마스크(200), 및 마스크(200)에 결합되어 하우징(110) 및 배기부(160)를 마스크(200)에 결합시키는 장착부(180)가 더 포함될 수 있다.1 to 4 , the mask 200 and the mounting unit 180 coupled to the mask 200 to couple the housing 110 and the exhaust unit 160 to the mask 200 may be further included. have.

즉 장착부(180)는 하우징(110) 및 배기부(160) 각각과 결합하여 마스크(200)에 결합됨으로써 하우징(110) 및 배기부(160)를 마스크(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That is, the mounting unit 180 is coupled to each of the housing 110 and the exhaust unit 160 to be coupled to the mask 200 , thereby coupling the housing 110 and the exhaust unit 160 to the mask 200 .

장착부(18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200)의 내면에 배치되는 제1 장착편(181), 및 제1 장착편(181)의 위치에 대응되게 마스크(200)의 외면에 배치되어 제1 장착편(181)과 결합되는 제2 장착편(186)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to 4 , the mounting unit 180 includes the first mounting piece 181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200 , and the mask 200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mounting piece 181 . It may include a second mounting piece 186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mounting piece 181 and coupled.

즉 마스크(200)가 제1 장착편(181)과 제2 장착편(186)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제1 장착편(181)과 제2 장착편(186)이 결합되어 장착부(180)가 마스크(200)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mask 200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mounting piece 181 and the second mounting piece 186 , the first mounting piece 181 and the second mounting piece 186 are coupled to the mounting unit 180 . It can be coupled to the mask 200 .

보다 구체적으로 장착부(18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부(189)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장착편(181)은 흡기구(182) 및 배기부(160)와 결합되는 배기구(185)를 구비하고, 흡기부(189)는 흡기구(182)와 흡기홀(120)을 연결하고, 제2 장착부(180)는 흡기부(189)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홀(187(a)) 및 배기부(160)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홀(187(b))을 구비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mounting unit 180 may further include an intake unit 189 as shown in FIGS. 2 to 4 , and in this case, the first mounting piece 181 includes the intake port 182 and the exhaust unit 160 . ) and an exhaust port 185 coupled, the intake portion 189 connects the intake port 182 and the intake hole 120 ,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180 is a first insert into which the intake portion 189 is inserted. A hole 187(a) and a second insertion hole 187(b) into which the exhaust unit 160 is inserted may be provided.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라, 흡기부(189)는 제1 삽입홀(187(a))보다 연장되어 형성되고, 하우징(110)에는 흡기홀(120) 출구의 외주를 따라 돌출되는 연결부(116)가 형성되고, 흡기부(189)는 연결부(116)와 결합될 수 있다.2 to 4 , the intake portion 189 is formed to extend beyond the first insertion hole 187(a), and the housing 110 has the intake hole 120 protruding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let. A connection part 116 is formed, and the intake part 189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part 116 .

흡기부(189)는 하우징(110)이 마스크(200)와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부(116)와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10)는 필요시 하우징(110)을 탈거하여 청소, 수리, 정비 등을 할 수 있다.The intake unit 189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unit 116 so that the housing 11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mask 200 , and accordingly, the user 10 removes the housing 110 when necessary to clean, repair, and maintain the housing 110 . back can be

보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라, 연결부(116)의 내주면에는 제2 끼움홈(117)이 형성되고, 흡기부(189)의 외주면에는 하우징(110)의 회전에 따라 제2 끼움홈(117)에 맞물려 연결부(116)을 흡기부(189)에 결합시키는 제2 끼움 돌기(189(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10)이 임의적으로 장착부(180)로부터 탈락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2 and 3 , a second fitting groove 117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116 ,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117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take part 189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ousing 110 . A second fitting protrusion 189(a) may be formed to engage the fitting groove 117 to couple the connection portion 116 to the intake portion 189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ousing 110 from being arbitrarily detached from the mounting unit 180 .

또한 제2 끼움 돌기(189(a)) 및 제2 끼움홈(117)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결합되는 경우 전술한 유동 가이드면(112)이 배기부(160) 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189 (a)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117 are coupled to the aforementioned flow guide surface 112 on the exhaust unit 160 . It may be arranged so as to be located in the

연결부(116)의 내주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부(189)에 결합된 하우징(110)의 역회전 시 하우징(110)이 외측으로 인출되면서 분리되도록 나선 구조의 제2 분리 가이드(118)가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116, a second separation guide ( 118) may be formed.

즉 제2 분리 가이드(118)를 통해 하우징(110)을 보다 용이하게 탈거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제2 분리 가이드(118)는 연결부(116)를 흡기부(189)에 결합 시에도 활용될 수 있다.That is, the housing 110 can be more easily removed through the second separation guide 118 , and the second separation guide 118 can also be utilized when the connection part 116 is coupled to the intake part 189 . .

밸브 지지 유닛(162)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구(185)에 배치되어 배기 밸브(161)를 제2 장착편(186) 측으로 지지하고 호흡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밸브 지지부(163), 제1 밸브 지지부(163)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 돌기(165), 및 공기를 배출 가능하게 제2 삽입홀(187(b))을 커버하도록 제2 장착편(186)에 형성되고 지지 돌기(165)와 끼움 결합되어 배기 밸브(161)를 제1 장착편(181) 측으로 지지하는 제2 밸브 지지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to 4 , the valve support unit 162 is disposed at the exhaust port 185 to support the exhaust valve 161 toward the second mounting piece 186 and discharge the air of the breathing space to the outside. The first valve support part 163 formed to do so, the support protrusion 165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irst valve support part 163,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187(b) to cover the second insertion hole 187(b) to allow air to be discharged. It may include a second valve support part 166 formed on the mounting piece 186 and fitted with the support protrusion 165 to support the exhaust valve 161 toward the first mounting piece 181 .

이 경우 제1 밸브 지지부(163)에 형성되는 지지 돌기(165)가 제2 "e브 지지부와 끼움 결합됨으로써 제1 장착부(180)와 제2 장착부(180)가 결합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support protrusion 165 formed on the first valve support part 163 is fitted with the second "e-b support part, so that the first mounting part 180 and the second mounting part 180 can be coupled.

제1 밸브 지지부(163)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돌기(165)가 도출되는 제3 중심부(164(a)), 배기구(185)의 내주면에 돌출되어 제3 중심부(164(a))로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3 방사부(164(b))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to 4, the first valve support 163 protrudes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ird central portion 164 (a), from which the support protrusion 165 is derived, and the exhaust port 185 to the third central portion (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ird radiation portions 164 (b) extending to 164 (a)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2 밸브 지지부(166)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돌기(165)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지지홈(167(b))을 구비하는 제4 중심부(167(a)), 및 제2 삽입홀(187(b))의 외주에 돌출되어 제4 중심부(167(a))로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4 방사부(167(c))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valve support 166 is, as shown in FIGS. 2 to 4 , a fourth central portion 167 (a) having a support groove 167 (b) formed to engage the support protrusion 165 ). , and a plurality of fourth radiating parts 167 (c) that protrude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insertion hole 187 (b), extend to the fourth central portion 167 (a),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have.

흡기구(182)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흡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분산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분산부(183)가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to 4 , the air inlet 182 may be provided with a dispersing part 183 formed to dispers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breathing space.

보다 구체적으로 분산부(183)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중심부(184(a)), 및 흡기구(182)의 내주면에 돌출되어 제5 중심부(184(a))로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5 방사부(184(b))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2 to 4 , the dispersing part 183 protrudes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fth central portion 184 (a) and the intake port 182 to the fifth central portion 184 (a).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fth radiation portions 184 (b) that extend and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라, 제2 삽입홀(187(b))의 외주에는 결합 돌기(188)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배기부(160)는 결합 돌기(188)보다 연장되어 형성되고, 배기부(160)의 단부 측 외주면에는 결합 돌기(188) 단부를 커버하도록 결합 커버(168)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2 to 4, the coupling protrusion 188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insertion hole 187 (b), and the exhaust unit 160 is formed to extend beyond the coupling protrusion 188. An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side of the exhaust unit 160, the coupling cover 168 may be formed to protrude to cover the end of the coupling protrusion 188.

이에 따라 제1 장착부(180)와 제2 장착부(180)가 결합된 후 임의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mounting unit 180 and the second mounting unit 180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after being coupled.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It will be possi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by, etc., which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사용자
100: 공기 여과 장치
110: 하우징
112: 유동 가이드면
114: 굴절 돌기
116: 연결부
117: 제2 끼움홈
118: 제2 분리 가이드
120: 흡기홀
121: 제1 영역
122: 끼움홈
123: 분리 가이드
124: 필터 지지부
125(a): 중심부
125(b): 방사부
126: 제2 영역
127: 흡기팬 지지부
128(a): 제2 중심부
128(b): 제2 방사부
130: 흡기팬
140: 필터
150: 외부 커버
152: 유입홀
154: 끼움 돌기
155: 흡기홀 결합부
156: 커버부
156(a): 흡기면
157: 테두리부
158: 커버 중심부
159: 커버 방사부
160: 배기부
161: 배기 밸브
162: 밸브 지지 유닛
163: 제1 밸브 지지부
164(a): 제3 중심부
164(b): 제3 방사부
165: 지지 돌기
166: 제2 밸브 지지부
167(a): 제4 중심부
167(b): 지지홈
167(c): 제4 방사부
168: 결합 커버
170: 배터리
180: 장착부
181: 제1 장착편
182: 흡기구
183: 분산부
184(a): 제5 중심부
184(b): 제5 방사부
185: 배기구
186: 제2 장착편
187(a): 제1 삽입홀
187(b): 제2 삽입홀
188: 결합 돌기
189: 흡기부
189(a): 제2 끼움 돌기
200: 마스크
10: user
100: air filter device
110: housing
112: flow guide surface
114: refraction projection
116: connection part
117: second fitting groove
118: second separation guide
120: intake hole
121: first area
122: fitting groove
123: separation guide
124: filter support
125(a): central
125(b): radiating part
126: second area
127: intake fan support
128(a): second center
128(b): second radiating unit
130: intake fan
140: filter
150: outer cover
152: inlet hole
154: fitting projection
155: intake hole coupling part
156: cover part
156(a): intake surface
157: border
158: cover center
159: cover radiating unit
160: exhaust
161: exhaust valve
162: valve support unit
163: first valve support
164(a): third core
164(b): third radiating unit
165: support projection
166: second valve support
167(a): fourth core
167(b): support groove
167(c): fourth radiating unit
168: combined cover
170: battery
180: mounting part
181: first mounting piece
182: intake port
183: dispersion unit
184(a): Fifth Central
184(b): fifth radiating unit
185: exhaust port
186: second mounting piece
187(a): first insertion hole
187(b): second insertion hole
188: bonding protrusion
189: intake
189(a): second fitting projection
200: mask

Claims (10)

사용자의 코 및 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커버하여 외부 공간으로부터 호흡 공간을 구획하는 마스크에 장착되는 공기 여과 장치로서,
상기 마스크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외부 공간의 공기를 상기 호흡 공간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흡기홀;
상기 흡기홀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 공간의 공기를 상기 호흡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흡기팬;
상기 흡기팬의 회전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 가능하도록 상기 흡기홀에 배치되는 필터;
상기 흡기홀에 결합되고, 상기 흡기홀의 입구를 커버하고 상기 흡기홀로 공기를 유입 가능한 유입홀이 형성되는 흡기면을 구비하고, 상기 흡기면의 표면적이 증가되도록 상기 흡기면이 상기 흡기홀의 외부 및 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외부 커버;
상기 마스크에 결합되어 상기 외부 공간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상기 호흡 공간의 공기를 배출 가능한 배기부;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상기 흡기팬으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공기 여과 장치.
An air filtering device mounted on a mask for partitioning a breathing space from an external space by covering at least one of a user's nose and mouth,
a housing coupled to the mask;
an intake hole formed through the housing to move air from the external space to the breathing space;
an intake fan disposed in the intake hole to introduce air from the external space into the breathing space;
a filter disposed in the intake hole to filter the air introduced by the rotation of the intake fan;
and an intake surface coupled to the intake hole, covering an inlet of the intake hole, and having an inlet hole through which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take hole, and the intake surface is positioned outside and inside the intake hole so that the surface area of the intake surface is increased an outer cover formed to protrude toward at least one of;
an exhaust unit coupled to the mask and capable of discharging air in the breathing space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in which air is introduced from the external space; and
and a battery disposed in the housing to supply electrical energy to the intake fa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홀은,
상기 외부 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필터가 배치되는 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흡기팬이 배치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여 구획되는, 공기 여과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take hole is
a first region to which the outer cover is coupled and the filter is disposed; and
and a second area in which the intake fan is dispos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커버는 상기 필터를 교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영역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영역의 내주면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 커버의 외주면에는 상기 외부 커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끼움홈에 맞물려 상기 외부 커버를 상기 제1 영역에 결합시키는 끼움 돌기가 형성되는, 공기 여과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outer cov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region to replace the filter,
A fitt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gion,
An air filtering device having a fitting protrus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over to engage the fitting groove as the outer cover rotates to couple the outer cover to the first reg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 영역에 결합된 상기 외부 커버의 역회전 시 상기 외부 커버가 외측으로 인출되면서 분리되도록 나선 구조의 분리 가이드가 형성되는, 공기 여과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A separation guide of a spiral structure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area so that the outer cover is drawn out and separated when the outer cover coupled to the first area is reversely rota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제2 영역 측 단부에는 상기 필터를 지지하고 공기를 이동 가능도록 필터 지지부가 배치되고,
상기 필터 지지부는,
상기 제1 영역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방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방사부는 상기 흡기팬의 회전 방향으로 휘어지는, 공기 여과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filter support portion is disposed at an end of the first region on the side of the second region to support the filter and move air,
The filter support part,
and a plurality of radiating parts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gion and extending in a central direction,
The plurality of radiating portions are bent in a rotational direction of the intake fan, the air filter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및
상기 마스크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배기부를 상기 마스크에 결합시키는 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마스크의 내면에 배치되는 제1 장착편; 및
상기 제1 장착편의 위치에 대응되게 상기 마스크의 외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장착편과 결합되는 제2 장착편을 포함하는, 공기 여과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ask; and
A mounting part coupled to the mask to couple the housing and the exhaust part to the mask,
The mounting part,
a first mounting piec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and
and a second mounting piec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sk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mounting piece and coupled to the first mounting pie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배기부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유입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기부 상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측방향으로 유도하는 유동 가이드면을 형성하는, 공기 여과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s disposed on the exhaust to preven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from being mixed with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hole to form a flow guide surface for guiding the flow of the discharged air laterally, air filtration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가이드면은 상기 배기부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따라 측후방으로 배출 가능하도록 만곡되는, 공기 여과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low guide surface is curved so tha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can be discharged laterally along the user's face, the air filtering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의 상기 유동 가이드면 측 단부는 상기 유동 가이드면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공기 여과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end of the flow guide surface side of the exhaust portion is inclined to correspond to the flow guide surface, the air filtering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가이드면은 상기 배기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사용자의 안면 측으로 굴절 가능하도록 단부 측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굴절 돌기를 구비하는, 공기 여과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low guide surface is provided with a deflection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end side surface so as to be able to refrac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unit toward the face of the user, the air filtering device.
KR1020200078079A 2020-06-25 2020-06-25 Apparatus for filtering air KR1024238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079A KR102423828B1 (en) 2020-06-25 2020-06-25 Apparatus for filtering air
PCT/KR2020/008532 WO2021261640A1 (en) 2020-06-25 2020-06-30 Air filtering device
KR1020210002124A KR20220000338A (en) 2020-06-25 2021-01-07 Apparatus for filtering 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079A KR102423828B1 (en) 2020-06-25 2020-06-25 Apparatus for filtering ai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124A Division KR20220000338A (en) 2020-06-25 2021-01-07 Apparatus for filtering ai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301A true KR20220000301A (en) 2022-01-03
KR102423828B1 KR102423828B1 (en) 2022-07-22

Family

ID=7928142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079A KR102423828B1 (en) 2020-06-25 2020-06-25 Apparatus for filtering air
KR1020210002124A KR20220000338A (en) 2020-06-25 2021-01-07 Apparatus for filtering air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124A KR20220000338A (en) 2020-06-25 2021-01-07 Apparatus for filtering ai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423828B1 (en)
WO (1) WO2021261640A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912B1 (en) 2013-12-19 2015-06-23 서울메트로 device for air cleaning having function shielding plate
CN205569545U (en) * 2016-03-07 2016-09-14 上海朗沁投资管理有限公司 Active protective facial mask of children
KR20190138151A (en) * 2018-06-04 2019-12-12 최재완 Wearable photocatalyst sterilization mask
KR102064763B1 (en) * 2018-08-17 2020-01-10 (주)휴레브 Inner air exhausting apparatus for fine dust mask
KR20200020088A (en) * 2018-08-16 2020-02-26 박진수 Fine dusk blocking respirator
KR20200032827A (en) * 2018-09-19 2020-03-27 주식회사 파이산업 Smart mask
KR102080754B1 (en) * 2019-01-10 2020-04-24 주식회사 리움 Reusable mask with blowing and filter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2398U (en) * 2001-06-04 2001-12-07 陳慶華 Structure of electric blow mask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912B1 (en) 2013-12-19 2015-06-23 서울메트로 device for air cleaning having function shielding plate
CN205569545U (en) * 2016-03-07 2016-09-14 上海朗沁投资管理有限公司 Active protective facial mask of children
KR20190138151A (en) * 2018-06-04 2019-12-12 최재완 Wearable photocatalyst sterilization mask
KR20200020088A (en) * 2018-08-16 2020-02-26 박진수 Fine dusk blocking respirator
KR102064763B1 (en) * 2018-08-17 2020-01-10 (주)휴레브 Inner air exhausting apparatus for fine dust mask
KR20200032827A (en) * 2018-09-19 2020-03-27 주식회사 파이산업 Smart mask
KR102080754B1 (en) * 2019-01-10 2020-04-24 주식회사 리움 Reusable mask with blowing and filte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338A (en) 2022-01-03
WO2021261640A1 (en) 2021-12-30
KR102423828B1 (en) 2022-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9608B1 (en) An electric powered mask
CN108136236B (en) Particulate filter mask with fan breathing assistance
US6854464B2 (en) Respiration protecting apparatus
KR20200048502A (en) Mask apparatus
JP4767942B2 (en) Respiratory protection
US20220143431A1 (en) Personal air purifier
CN113750390B (en) Mask device
CN113750385B (en) Mask device
US9694217B2 (en) Positive air pressure facemask and multi-staged filter system therefor
KR200415989Y1 (en) Filter for protection against dust mask
KR102423828B1 (en) Apparatus for filtering air
CN113749329A (en) Mask device
US11052208B2 (en) Exhaust valve shroud for a personal protection respiratory device
KR102101676B1 (en) Purification canister for gas mask
US20210220679A1 (en) Filter-type respiratory protective device
CN110841209B (en) Portable filtering and ventilating device
KR20220030169A (en) Mask apparatus
KR101816637B1 (en) mask
TWM613685U (en) Portable air purifier device and housing
KR20230161762A (en) Mask apparatus
KR20200074733A (en) Mask apparatus
US20230181939A1 (en) Wearable air purifier
KR20230161755A (en) Mask apparatus
CN212651245U (en) Air suction and exhaust filtering mask
US20230241426A1 (en) Filter element for breathing apparatus, filter device, breathing apparatus, and use of filter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