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298U - 높이조절이 용이한 스프링클러 지주대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용이한 스프링클러 지주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298U
KR20220000298U KR2020200002731U KR20200002731U KR20220000298U KR 20220000298 U KR20220000298 U KR 20220000298U KR 2020200002731 U KR2020200002731 U KR 2020200002731U KR 20200002731 U KR20200002731 U KR 20200002731U KR 20220000298 U KR20220000298 U KR 202200002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kler
height
hole
lift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7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한호
Original Assignee
서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한호 filed Critical 서한호
Priority to KR20202000027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0298U/ko
Publication of KR202200002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29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2Arrangements for supporting spraying apparatus, e.g. suction cu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ozzl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높이조절이 용이한 스프링클러 지주대에 관한 것이다.
구성에 있어서, 본 고안은 소정의 길이로 되어 하부에 위치한 삽입봉(11a) 일측에 회전 및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보조삽입봉(12a)을 구비하여 지면에 박아 세웠을 때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박아 세워지게 한 본체(1a)와, 상기 본체(1a) 상단 일 측에 구비되며 손잡이를 가진 볼트, 또는 나비볼트로 된 체결부재(11b)로서 승강봉(1c)의 높이를 조절 후 고정시킬 수 있게 한 고정관(1b)과, 소정의 길이로 되어 상기 고정관(1b)에 삽입되며 상단에 스프링클러(2)를 결합시킬 수 있는 어댑터(3)를 장착시켜서 된 승강봉(1c)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작물의 특성이나 상태, 주변 환경에 따라 스프링클러(2)의 설치 높이를 매우 손쉽게 조절할 수 있어, 재배작물의 품질,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수확량증대에 기여할 수 있게 되는 등 많은 효과가 따른다.

Description

높이조절이 용이한 스프링클러 지주대{A support of sprinkler}
본 고안은 작물에 따라, 또는 지형이나 현장상황에 따라 스프링클러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서 용수살포가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하고, 이에 따라 용수의 낭비를 예방함과 동시에 작물의 고른 성장을 유도할 수 있게 한 높이조절이 용이한 스프링클러 지주대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스프링클러는 전천후 농사 및 목초지, 골프장, 운동장 잔디 및 분진방지, 건설현장, 저탄장의 분진방지 등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인공 강우설비로서 필요로 하는 시기에 마음대로 조절 관개함으로써 자연강우에 필적하는 장비로서 저수지나 하천의 용수, 또는 지하수를 퍼 올려 밭작물에 물을 공급하는 기구이다.
이러한 스프링클러는 그 살수 방식에 따라 팝업형(pop-up type)과 고정형(stationary type), 그리고 상기 두 가지를 응용한 로터리형(rotary type)이 있다.
팝업형은 스프링클러 헤드가 평소에는 땅속에 묻혀 있다가 가동될 때는 땅 위로 솟아나와 가동되며, 가동이 끝나면 원위치로 돌아가는 형이고, 고정형은 평소 땅 위에 솟아 있어 가동 때 회전하면서 살수되는 형이다.
상기한 스프링클러는 살수범위를 고려하여 설치간격을 설정하게 되며, 수도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펌프로 유수지로부터 물을 끌어 당겨서 사용하게 되는데, 살수거리가 길게 되면 이론상으로는 그만큼 더 설치간격도 멀어지게 되므로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고자 하는 면적당 스프링클러의 개수도 줄게 되고, 반대로 살수거리가 짧으면 스프링클러의 수량은 더 늘어나게 된다.
한편, 스프링클러의 지주대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되는데, 하나는 지주대를 하단에 꽂을대가 구비된 파이프로 형성하여 파이프 상단에 스프링클러를 직결시킬 수 있게 한 것과, 다른 하나는 상부에 스프링클러를, 그리고 하부에는 용수공급용 호스를 연결시킨 어댑터를 환봉으로 형성된 별도의 지주대 상단에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 등이 있으며, 용도에 따라 사용자가 적절한 용량의 스프링클러를 선택사용하면 된다.
한편, 각종 농작물은 각각이 고유의 특성을 갖추고 있고, 또 키가 크거나 작은 등 다양하며, 더불어 모든 작물이 시간이 지나면서 자라게 됨에 따라 많은 잎과 열매가 달리게 되어 빽빽하고 풍성해지며 점차 키도 크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작물의 특성과 자람을 감안하여 스프링클러의 설치높이도 적절한 높이로 조절되어야만 작물 재배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수확량 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스프링클러 지주대 또는 스프링클러 지지대는 어댑터를 이용하여 지주대 상단에 스프링클러를 결합시키고, 하부는 지면에 박아 세우도록 구성되어 있어 스프링클러의 높이 조절은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스프링클러의 작물의 키나 특성에 따라 지주대의 길이를 적절한 것으로 선택하여 스프링클러를 장착 사용하는 외에 설치 높이 조절은 불가능하였던 것이다.
00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11534호(2020.02.03.공개) 00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37247호(1998.11.21.등록) 00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20882호(2001.02.06.등록) 00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4160호(2004.02.26.등록)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스프링클러 지주대에 따른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지주대를 이용하여 스프링클러를 설치하되, 상기 지주대는 작물의 특성, 키, 주변 환경에 따라 스프링클러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서, 보다 더 효율적인 용수공급이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 작물의 상품성 증대와 수확량 증대를 유도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지주대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 지주대(1)는,
소정의 길이로 되어 하부에 위치한 삽입봉(11a) 일 측에 회전 및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보조삽입봉(12a)을 구비하여 지면에 박아 세웠을 때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박아 세워지게 한 본체(1a)와, 상기 본체(1a) 상단 일 측에 구비되며 손잡이를 가진 볼트, 또는 나비볼트로 된 체결부재(11b)로서 승강봉(1c)의 높이를 조절 후 고정시킬 수 있게 한 고정관(1b)과, 소정의 길이로 되어 상기 고정관(1b)에 삽입되며 상단에 스프링클러(2)를 결합시킬 수 있는 어댑터(3)를 장착시켜서 된 승강봉(1c)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1a) 상단의 고정관(1b)이 용접되는 부분에 절곡부(1a')를 형성하여 승강봉(1c)과 본체(1a)의 간격이 여유 있게 하여 승강봉(1c)의 승강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1a) 상측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구멍(h)을 천공하고, 승강봉(1c)의 하부에는 상기 구멍(h) 간격과 동일 간격으로 상하 한 쌍의 구멍(h')을 천공한 뒤, 스프링클러(2)의 설치높이를 감안하여 본체(1a)의 구멍(h) 중 적절한 높이의 구멍(h)에 승강봉(1c)의 구멍(h')을 일치시킨 뒤, 구멍(h)과 구멍(h')을 관통하여 소정의 체결부재(11b')로 체결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작물의 특성이나 상태, 주변 환경에 따라 스프링클러(2)의 설치 높이를 매우 손쉽게 조절할 수 있어, 재배작물의 품질,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수확량증대에 기여할 수 있게 되는 등 많은 효과가 따른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 예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작용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예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도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예시도.
도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예시도.
본 고안은 작물의 키, 품종 등의 종류, 또는 작물이 자라는 상황에 맞춰 스프링클러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서 작물의 품질향상과 수확량증대를 꽤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1~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1은 정면예시도이고, 도2는 작용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예시도이며, 도3은 분해도, 도4는 사용상태도이다.
도1~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 지주대(1)는, 환봉형태로 된 본체(1a)와, 상기 본체(1a) 상단에 구비된 고정관(1b), 그리고 상기 고정관(1b)에 끼워져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 승강봉(1c)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a)는 지면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에 위치한 삽입부(11a)를 뾰족한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삽입부 일 측에는 ㄱ형으로 된 보조삽입봉(12a)을 형성함으로서 본체(1a)를 지면에 박아 세웠을 때 삽입부(11a)와 보조삽입봉(12a)이 함께 지면에 박히게 됨으로서 견고한 설치가 이루어지게 하였다.
고정관(1b)은 본체(1a) 상단 일 측에 장착 고정되며, 외주면에 한 개 또는 두 개의 나비볼트나 손잡이가 구비된 나사로 된 체결부재(11b)를 구비되어 있으므로, 고정관(1b)에 승강봉(10)을 삽입 관통시킨 상태에서 승강봉(10)을 적절한 높이로 조절한 뒤 체결부재(11b)를 조이면 승강봉(10)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체결부재(11b)를 풀고 승강봉(10)을 상측으로 올리거나 하측으로 내려 원하는 높이를 설정한 뒤 다시 체결부재(11b)를 조이는 단순한 동작에 의해 신속 간편하게 승강봉(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승강봉(1c)은 상단에 스프링클러(2)를 연결 접속하는 어댑터(3)를 결합시키고, 몸체부분은 고정관(1b)에 삽입되어 체결부재(11b)에 의해 고정될 수 있게 하였으므로 고정관(1b)에 체결되어 있던 체결부재(11b)를 풀기만 하면 원활하게 높이조절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적절한 높이에서 체결부재(11b)를 다시 체결하게 되면 승강봉(1c)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작물의 키나 종류, 또는 주변환경 등을 감안하여 스프링클러의 설치높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어 작물 생육과정에서 집중적인 용수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작물의 품질 극대화와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5~도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본체(1a) 상단의 고정관(1b)이 용접되는 부분에 절곡부(1a')를 형성하여 승강봉(1c)과 본체(1a)의 간격이 여유 있게 유지되게 한 것인데, 그 이유는 본체(1a) 상단에 고정관(1b)을 용접할 때 정확하게 용접되지 못하고 틀어질 경우에는 승강봉(1c)의 하강시 승강봉(1c)의 하단이 본체(1a)에 닿아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없게 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도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본체(1a) 상측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구멍(h)을 천공하고, 승강봉(1c)의 하부에는 상기 구멍(h) 간격과 동일 간격으로 상하 한 쌍의 구멍(h')을 천공한 뒤, 스프링클러(2)의 설치 높이를 감안하여 본체(1a)의 구멍(h) 중 적절한 높이의 구멍(h)에 승강봉(1c)의 구멍(h')을 일치시킨 뒤, 구멍(h)과 구멍(h')을 관통하여 소정의 체결부재(11b')로 체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특히, 이 경우는 일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은 고정관(1b)이 없는 상태에서도 승강봉(1c)을 본체(1a)에 원활하게 결합고정시킬 수 있고, 또 높이조절도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더욱 원가절감을 할 수 있는 이점이 따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그 권리범위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며, 따라서 고안의 동기 목적과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 : 스프링클러 지주대 1a : 본체 1b : 고정관
1c : 승강봉 2 : 스프링클러 3 : 어댑터
11a : 삽입봉 11b, 11b' : 체결부재 12a : 보조삽입봉
h, h': 구멍

Claims (3)

  1. 소정의 길이로 되어 하부에 위치한 삽입봉(11a) 일 측에 회전 및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보조삽입봉(12a)을 구비하여 지면에 박아 세웠을 때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박아 세워지게 한 본체(1a)와, 상기 본체(1a) 상단 일 측에 구비되며 손잡이를 가진 볼트, 또는 나비볼트로 된 체결부재(11b)로서 승강봉(1c)의 높이를 조절 후 고정시킬 수 있게 한 고정관(1b)과, 소정의 길이로 되어 상기 고정관(1b)에 삽입되며 상단에 스프링클러(2)를 결합시킬 수 있는 어댑터(3)를 장착시켜서 된 승강봉(1c)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용이한 스프링클러 지주대.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1a) 상단의 고정관(1b)이 용접되는 부분에 절곡부(1a')를 형성하여 승강봉(1c)과 본체(1a)의 간격을 여유 있게 하고, 이에 따라 승강봉(1c)이 더욱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용이한 스프링클러 지주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본체(1a) 상측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구멍(h)을 천공하고, 승강봉(1c)의 하부에는 상기 구멍(h) 간격과 동일 간격으로 상하 한 쌍의 구멍(h')을 천공한 뒤, 스프링클러(2)의 설치높이를 감안하여 본체(1a)의 구멍(h) 중 적절한 높이의 구멍(h)에 승강봉(1c)의 구멍(h')을 일치시킨 뒤, 구멍(h)과 구멍(h')을 관통하여 소정의 체결부재(11b')로 체결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스프링클러 지주대.
KR2020200002731U 2020-07-24 2020-07-24 높이조절이 용이한 스프링클러 지주대 KR2022000029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731U KR20220000298U (ko) 2020-07-24 2020-07-24 높이조절이 용이한 스프링클러 지주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731U KR20220000298U (ko) 2020-07-24 2020-07-24 높이조절이 용이한 스프링클러 지주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298U true KR20220000298U (ko) 2022-02-04

Family

ID=80254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731U KR20220000298U (ko) 2020-07-24 2020-07-24 높이조절이 용이한 스프링클러 지주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0298U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7247Y1 (ko) 1996-03-19 1999-02-01 박성운 스프링클러 연결용 배관연결구조
KR200220882Y1 (ko) 2000-10-17 2001-04-16 서한호 스프링클러 지지대
KR200344160Y1 (ko) 2003-12-17 2004-03-12 이순남 스프링클러 지지대
KR20200011534A (ko) 2017-10-24 2020-02-03 최승식 농업 및 원예용 스프링쿨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7247Y1 (ko) 1996-03-19 1999-02-01 박성운 스프링클러 연결용 배관연결구조
KR200220882Y1 (ko) 2000-10-17 2001-04-16 서한호 스프링클러 지지대
KR200344160Y1 (ko) 2003-12-17 2004-03-12 이순남 스프링클러 지지대
KR20200011534A (ko) 2017-10-24 2020-02-03 최승식 농업 및 원예용 스프링쿨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214Y1 (ko) 유실수용 지지대
US20030221364A1 (en) Support system for trees and the like
KR20220000298U (ko) 높이조절이 용이한 스프링클러 지주대
CN213343567U (zh) 一种园林绿化用植物攀爬架
CN212786527U (zh) 开沟深度可调节的开沟机
US20030182853A1 (en) Unitary tree and shrub stabilizing device
CN210470564U (zh) 猕猴桃种植灌溉装置
CN210381896U (zh) 一种具备升降调节的水肥一体化施肥装置
KR200457513Y1 (ko) 농업용 조립식 지주
KR20210136778A (ko) 비닐고정핀 박음장치
CN208739512U (zh) 一种新型的液压驱动垂直螺旋深耕机
CN208047230U (zh) 一种百香果种植挖坑装置
US6516561B1 (en) Unitary tree and shrub stabilizing device
RU2714252C1 (ru) Мелкодисперсный дождеватель
CN214902493U (zh) 小型庭院经济实用型可移动式日光温室
CN211861333U (zh) 一种农业自适应灌溉装置
CN210519650U (zh) 一种园林用幼苗养殖固定支架
JP2011182649A (ja) 農園芸用支柱杭
KR102123655B1 (ko) 심토 작업용 쟁기
CN217336625U (zh) 一种立式西瓜栽培支架
CN218604272U (zh) 一种稻田农作物种植用遮挡装置
CN219644628U (zh) 一种花盆稳定连接支架
CN212393375U (zh) 一种农业大棚种植自动灌溉装置
CN215422103U (zh) 一种园林绿化工程用灌溉装置
CN216492001U (zh) 一种农艺地表喷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