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287A - Cleaning device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 Google Patents

Cleaning device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287A
KR20220000287A KR1020200078050A KR20200078050A KR20220000287A KR 20220000287 A KR20220000287 A KR 20220000287A KR 1020200078050 A KR1020200078050 A KR 1020200078050A KR 20200078050 A KR20200078050 A KR 20200078050A KR 20220000287 A KR20220000287 A KR 20220000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enerating device
aerosol
cleaning device
aerosol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0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00349B1 (en
Inventor
이원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00078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349B1/en
Publication of KR20220000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2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3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85Maintenance, e.g. cleaning

Abstract

A cleaning device for an aerosol-generating device that cleans an aerosol-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an aerosol from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includes: a suction part for inhaling residues inside the receptacle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for receiving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and a storage part connected to the suction part and storing the residues sucked from the suction part.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CLEANING DEVICE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CLEANING DEVICE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청소하는 청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로졸 장치의 내부의 잔여물을 흡입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s relate to a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an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eaning device for an aerosol-generating device that inhales residues inside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열식 궐련 또는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demand for alternative methods that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conventional cigarettes. For example,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 method of generating an aerosol as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in the cigarette is heated rather than a method of burning a cigarette to produce an aerosol. Accordingly, research into a heated cigarette or a heated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being actively conducted.

궐련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때,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잔여물이 잔존할 수 있다. 잔여물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점착되는 형태 등으로 잔존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손상 또는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잔여물로 인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열 효율이 감소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배터리 효율이 저감될 수 있으며, 잔여물로 인한 이취가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When a cigarette is heated to generate an aerosol, a residue may remain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e residue may remain in the form of being adher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ay cause damage or malfunc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addition,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may be reduced due to the residue, thereby reducing the battery efficiency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n off-flavor due to the residue may be generated, which may give discomfort to the user.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청소하는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for cleaning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실시예들은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청소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Embodiments may provide a cleaning device for an aerosol-generating device that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cleans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through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he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re will be.

상술한 기술적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으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청소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수용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수용부의 내부의 잔여물을 흡입하는 흡입부 및 흡입부와 연결되고, 흡입부로부터 흡입된 잔여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the cleaning device for an aerosol-generating device for cleaning an aerosol-generating device that generates an aerosol from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the accommodation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containing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It includes a suction unit for sucking the residue inside the unit, and a storage unit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and storing the residue sucked from the suction unit.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수용부의 내부의 잔여물을 흡입할 수 있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간편하고 빠르게 청소할 수 있다.The cleaning device for an aerosol-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can inhale the residue inside the receiving part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so that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can be easily and quickly cleaned.

실시예들에 의한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by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se embodiments belong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도 1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의 다른 양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의 흡입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흡입부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수용부에 삽입되는 일 양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수용부에 삽입되는 일 양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의 다른 양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c는 도 5b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의 흡입부와 저장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의 흡입부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수용부에 삽입된 일 양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2A is a view showing a cleaning device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B is a view showing another aspect of the cleaning device for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shown in FIG. 2A .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ction part of the cleaning device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inhaler shown in FIG. 3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ar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5A is a view showing an aspect in which the cleaning device for an aerosol-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FIG. 5B is a view showing another aspect of the cleaning device for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shown in FIG. 5A .
FIG. 5c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part and the storage part of the cleaning device for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shown in FIG. 5b are separated.
6 is a view showing a cleaning device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7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suction part of the cleaning device for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shown in FIG. 6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art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are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vary depending on intentions or precedents of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the like.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name of a simpl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may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실시예들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Meanwhile,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specificatio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embodiments.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As used herein, 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명세서 전체에서 구성 요소의 “길이 방향”은 구성 요소가 구성 요소의 일 방향 축을 따라 연장하는 방향일 수 있으며, 이때 구성 요소의 일 방향 축은 일 방향 축을 가로지르는 타 방향 축보다 구성 요소가 더 길게 연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component may be a direction in which the component extends along one axis of the component, wherein one axis of the component extends longer than the other axis transverse to the one axis. It can mean the direction

명세서 전체에서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임의의 구분으로서, 실시예 각각이 서로 배타적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개시된 구성들은 다른 실시예에 적용 및 구현될 수 있으며, 이때 본 명세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변경되어 적용 및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 'embodiment' is an arbitrary division for easily describing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each of the embodiments is not necessarily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onfigurations disclosed in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and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and in this case, changes may be applied and implement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 1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200; 도 2a 참조)의 청소 대상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수용부(110) 및 가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의 청소 대상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궐련을 의미할 수 있다.1 shows an example of an aerosol-generating device that is a cleaning object of a cleaning device 200 for an aerosol-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fer to FIG. 2A ).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may include a receiving unit 110 and a heating unit 120 . An aerosol-generating device to be cleaned of a cleaning device for an aerosol-generating device may generate an aerosol by heating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In this case,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may mean a cigarette.

수용부(1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삽입되는 궐련을 수용할 수 있다. 궐련이 수용부(110)에 삽입되면, 궐련은 수용부(110)의 내면에 의해 포위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궐련은 사용된 후, 사용자에 의하여 수용부(11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Receiving unit 110 may receive a cigarette inserted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When the cigarette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part 110 , the cigarette may be disposed in a form surround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10 . The cigarette may be removed from the receiving unit 110 by the user after being used.

가열부(120)는 궐련을 가열할 수 있다. 가열부(120)는 수용부(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궐련을 가열함으로써, 궐련으로부터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가열부(120)가 내부 가열형인 경우, 가열부(120)는 수용부(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궐련에 삽입될 수 있다.The heating unit 120 may heat the cigarette. The heating unit 120 is disposed inside the receiving unit 110 to heat the cigarette, so that an aerosol may be generated from the cigarette. When the heating unit 120 is an internal heating type, the heating unit 120 may be inserted into the cigarett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110 .

도 1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200; 도 2a 참조)의 청소 대상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가열부(120)가 내부 가열형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가열부(120)는 외부 가열형일 수 있다. 가열부(120)가 외부 가열형인 경우, 가열부(120)는 수용부(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궐련을 둘러싸는 싸도록 수용부(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1 shows that the heating unit 12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which is the cleaning target of the cleaning device 200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see FIG. 2A), is of an internal heating ty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heating unit 120 may be an external heating type have. When the heating unit 120 is an external heating type, the heating unit 120 may be disposed inside the accommodating unit 110 so as to surround the cigarett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unit 110 .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가열부(120)는 예를 들어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가열부(120)에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가열부(120)가 가열될 수 있다.The heating unit 12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may be, for example, an electrically resistive heater. The heating unit 120 may include an electrically conductive track, and the heating unit 120 may be heated as current flows through the electrically conductive track.

한편, 다른 예로, 가열부(120)는 유도 가열식 히터일 수 있다. 가열부(120)가 유도 가열식 히터일 경우, 가열부(120)는 유도 코일이 인가하는 교류 자기장에 의해 가열되는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s another example, the heating unit 120 may be an induction heating type heater. When the heating unit 120 is an induction heating type heater, the heating unit 120 may include a susceptor heated by an alternating magnetic field applied by the induction coil.

잔여물(130)은 수용부(1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작동을 방해하는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잔여물(130)은 궐련의 가열로 인하여 생성된 물질이 수용부(110)의 내부에 잔존한 것 일 수 있다. 또한, 잔여물(130)은 궐련의 가열로 인하여 생성된 물질이 수용부(110)의 내부에 점착된 것이거나, 수용부(110)의 내부에 침전한 먼지일 수 있다.The residue 130 may be a material that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110 and interferes with the ope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For example, the residue 130 may be a substance generated by heating the cigarette remaining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110 . In addition, the residue 130 may be a substance produced by heating of the cigarette adhered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110 , or may be dust deposited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110 .

잔여물(130)은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원활하게 사용하는 것을 저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잔여물(130)은 가열부(120)에 점착되어 가열부(120)의 열 효율을 감소시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력 효율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잔여물(130)은 수용부(110)의 내부에 수용되어 궐련이 수용부(110)에 삽입되는 것을 방해하거나, 잔여물(130)로 인한 이취가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The residue 130 may interfere with the smooth us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by the user. For example, the residue 130 may be adhered to the heating unit 120 to reduce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heating unit 120 to reduce the power efficiency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addition, the residue 130 may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10 to prevent the cigarette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part 110 , or may cause unpleasant odor to the user due to the residue 130 . .

도 1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는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200)와 관련된 구성 요소들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실시에들과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shown in FIG. 1 shows components related to the cleaning device 200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ccordingly, it can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related to the embodiments that other general-purpose components other than those shown in FIG. 1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도 1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들은 이하에서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2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시될 수 있으며, 이하의 도면에서 함께 비교되며 설명될 수 있다.Configurations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shown in FIG. 1 may be presented below to describe in more detail the cleaning device 200 for an aerosol-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may be compared and described together in the following drawings.

도 2a는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200)를 도시한 도면이다.2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leaning device 200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200)의 내부 구성 요소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알 수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200)는 흡입부(210) 및 저장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A , it can be seen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cleaning device 200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leaning device 200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n inhalation unit 210 and a storage unit 220 .

흡입부(2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수용부(110)의 내부에 잔존하는 잔여물(130)을 흡입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흡입부(210)는 흡입부(21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부(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잔여물(130)을 흡입할 수 있다.The inhalation unit 210 may inhale the residue 130 remaining in the receiving unit 11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More specifically, the suction unit 210 may suction the residue 130 in a stat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suction unit 21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unit 110 .

흡입부(210)에는 중공(211)이 형성되고, 중공(211)은 흡입부(210)와 저장부(220)를 연통시킬 수 있다. 흡입부(210)에서 흡입된 잔여물(130)은 중공(211)을 따라 이동하여 저장부(220)에 도달할 수 있다. A hollow 211 may be formed in the suction unit 210 , and the hollow 211 may communicate the suction unit 210 and the storage unit 220 . The residue 130 sucked from the suction unit 210 may move along the hollow 211 to reach the storage unit 220 .

저장부(220)는 흡입부(210)로부터 흡입된 잔여물(130)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흡입부(21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20)는 흡입부(210)와 탈착 가능하도록 흡입부(21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220)는 흡입부(210)에 끼워 맞춤되거나, 저장부(220) 및 흡입부(210)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흡입부(210)와 저장부(220)가 나사 결합되는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20 may store the residue 130 sucked from the suction unit 210 . The storage unit 220 may be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210 .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220 may be coupled to the suction unit 210 to be detachable from the suction unit 210 .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220 is fitted to the suction unit 210 or a screw thread is formed in the storage unit 220 and the suction unit 210 so that the suction unit 210 and the storage unit 220 are screwed together. It can be detachably coupled in such a way that

한편, 도 2a에 흡입부(210)와 저장부(220)가 일렬로 배열된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흡입부(210)와 저장부(220)의 배치관계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FIG. 2A shows the suction unit 210 and the storage unit 220 as being arranged in a line,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suction unit 210 and the storage unit 220 may be varied as needed. can be changed.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200)는 밀폐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밀폐부(212)는 흡입부(210)와 저장부(2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부(21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부(110)에 삽입되면, 밀폐부(212)는 수용부(110)와 수용부(110)의 외부의 공기 유출입을 차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밀폐부(212)는 흡입부(210)가 잔여물(130)을 흡입할 수 있는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The cleaning device 200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may comprise a closure 212 . The sealing part 21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part 210 and the storage part 220 . When at least a portion of the suction unit 21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unit 110 , the sealing unit 212 may block the receiving unit 110 and external air inflow and out of the receiving unit 110 . In other words, the sealing part 212 may maintain a pressure at which the suction part 210 can suck the residue 130 .

밀폐부(212)는 흡입부(210)가 수용부(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용부(110)를 기밀하게 밀봉하도록 밀폐부(212)의 단면적은 수용부(110)의 단면적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밀폐부(212)의 단면적은 수용부(110)에 삽입되는 흡입부(210)의 단면적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The closure part 212 has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closure part 212 great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accommodating part 110 to hermetically seal the accommodating part 110 in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part 210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part 110, or can be the same Accordingly,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aling part 212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ction part 210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art 110 .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200)는 구동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30)는 흡입부(210)가 잔여물(130)을 흡입할 수 있도록 저장부(220)의 압력을 흡입부(210)의 압력보다 낮게 하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부(210)에서 저장부(2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기류가 발생되고, 기류는 수용부(110)의 내부의 잔여물(130)을 흡입부(210)의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cleaning device 200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may include a driving unit 230 . The driving unit 230 may lower the pressure of the storage unit 220 to be lower than the pressure of the suction unit 210 so that the suction unit 210 may suck the residue 130 . Accordingly, an airflow moving from the suction unit 210 to the storage unit 220 is generated, and the airflow moves the residue 130 inside the receiving unit 110 to the inside of the suction unit 210 . can do it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200)에서, 구동부(230)는 저장부(220)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230)에 의해 저장부(220)는 제1 공간(221) 및 제2 공간(222)로 구획될 수 있다.In the cleaning device 200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riving unit 230 may be disposed to be movable inside the storage unit 220 . Also, the storage unit 22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space 221 and a second space 222 by the driving unit 230 .

제1 공간(221)은 흡입부(210)가 흡입하는 잔여물(130)을 수용할 수 있다. 제1 공간(221)은 흡입부(210)와 연결되도록 구동부(230)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공간(221)은 중공(211)과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space 221 may accommodate the residue 130 sucked by the suction unit 210 . The first space 221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riving unit 230 to be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210 . Also, the first space 221 may be connected to the hollow 211 .

제2 공간(222)은 구동부(230)가 저장부(220)의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공간(222)은 상술한 구동부(230)의 일 측에 대향하는 구동부(230)의 타 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space 222 may provide a space for the driving unit 230 to move inside the storage unit 220 . The second space 222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driving unit 230 opposite to one side of the above-described driving unit 230 .

구동부(230)는 제1 공간(221)과 제2 공간(222)의 사이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제1 공간(221)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공간(222)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동부(230)가 제1 공간(221)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공간(222)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공간(221) 또는 제2 공간(222)의 크기는 변화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230 is disposed to be movable between the first space 221 and the second space 222 , and may move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space 221 or a direction toward the second space 222 . . As the driving unit 230 moves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space 221 or a direction toward the second space 222 , the size of the first space 221 or the second space 222 may change.

구동부(230)가 제2 공간(222)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공간(221)의 압력은 흡입부(210)의 압력보다 낮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230)가 제2 공간(222)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흡입부(210)에서 저장부(220)의 제1 공간(221)으로 향하는 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As the driving unit 230 moves in a direction toward the second space 222 , the pressure of the first space 221 may be lower than the pressure of the suction unit 210 . Accordingly, when the driving unit 230 moves in a direction toward the second space 222 , an airflow from the suction unit 210 toward the first space 221 of the storage unit 220 may be formed.

밀봉부(231)는 제1 공간(221)과 제2 공간(222)의 사이의 기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밀봉부(231)는 구동부(23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밀봉부(231)는 저장부(220)의 내면과 구동부(230)의 외면에 모두 접하도록 배치되어 저장부(220)의 내면과 구동부(230)의 외면의 사이에 존재하는 미소한 틈을 메울 수 있다.The sealing part 231 may block movement of an airflow between the first space 221 and the second space 222 . The sealing part 231 may be dispos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ving part 230 . The sealing part 231 is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both the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2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driving unit 230 to fill a minute gap existing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2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driving unit 230 . can

밀봉부(231)는 예를 들어, 실리콘 소재를 포함하는 오-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 및 형상이 채택될 수 있다.The sealing part 231 may be, for example, an O-ring including a silicon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aterials and shapes may be adopted as needed.

탄성 부재(240)는 구동부(230)를 제2 공간(222)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탄성 부재(240)는 제1 공간(221)의 내부에 배치되고, 구동부(230)의 일 면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240 may press the driving unit 230 in a direction toward the second space 222 . The elastic member 240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rst space 221 and may be disposed to contact one surface of the driving unit 230 .

구동부(230)는 제1 공간(221)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탄성 부재(240)를 수축시킬 수 있다. 탄성 부재(240)가 복원될 때, 탄성 부재(240)는 구동부(230)에 대하여 제2 공간(222)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 부재(240)는 구동부(230)가 제2 공간(222)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230 may move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space 221 to contract the elastic member 240 . When the elastic member 240 is restored, the elastic member 240 may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driving unit 230 in a direction toward the second space 222 . Accordingly, the elastic member 240 may provide power to move the driving unit 230 in a direction toward the second space 222 .

기류 통로(250)는 제2 공간(222)과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200)의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기류 통로(250)는 제2 공간(222)과 인접한 저장부(220)의 일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airflow passage 250 may communicate the second space 222 with the outside of the cleaning device 200 for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e airflow passage 250 may be disposed at one end of the storage unit 220 adjacent to the second space 222 .

구동부(230)가 제2 공간(222)으로 이동함에 따라 구동부(230)와 함께 이동한 제2 공간(222)의 내부의 공기가 기류 통로(250)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류 통로(250)는 구동부(230)가 제2 공간(222)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As the driving unit 230 moves to the second space 222 , the air inside the second space 222 moving together with the driving unit 230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airflow passage 250 . Accordingly, the airflow passage 250 may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230 in the direction toward the second space 222 .

구동축(232)은 구동부(23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구동축(232)은 구동부(230)로부터 제2 공간(222)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저장부(220)의 일 단부를 관통할 수 있다. 상술한 저장부(220)의 일 단부는 제2 공간(222)과 인접한 저장부(220)의 일 단부를 의미할 수 있다.The driving shaft 232 may move together with the driving unit 230 . The driving shaft 232 may extend in a direction from the driving unit 230 toward the second space 222 and pass through one end of the storage unit 220 . One end of the aforementioned storage unit 220 may mean one end of the storage unit 220 adjacent to the second space 222 .

구동축(232)은 구동부(230)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구동축(232)의 적어도 일부가 구동부(230)에 인입되는 형태 또는 구동축(232)과 구동부(230)가 나사 결합되는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구동축(232)과 구동부(230)가 결합되는 방식은 상술한 바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The driving shaft 23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riving unit 230, or at least a portion of the driving shaft 232 may be inserted into the driving unit 230 or coupled in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shaft 232 and the driving unit 230 are screwed together. have. However, the method in which the driving shaft 232 and the driving unit 230 are coupled is not limited by the above description.

고정 부재(260)는 구동축(232)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고정 부재(260)는 저장부(220)의 일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저장부(220)의 일 단부는 제2 공간(222)과 인접한 저장부(220)의 일 단부를 의미할 수 있다. The fixing member 260 may serve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driving shaft 232 . The fixing member 260 may be disposed at one end of the storage unit 220 . One end of the aforementioned storage unit 220 may mean one end of the storage unit 220 adjacent to the second space 222 .

구동축(232)은 제1 부분(260a) 및 제2 부분(26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260a)은 구동축(232)과 접하는 고정 부재(260)의 일 부분을 의미할 수 있고, 제2 부분(260b)은 저장부(2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고정 부재(260)의 타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The driving shaft 232 may include a first portion 260a and a second portion 260b. The first portion 260a may mean a portion of the fixing member 260 in contact with the driving shaft 232 , and the second portion 260b is fix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storage unit 220 and pressed by the user. It may mean another part of the member 260 .

수용홈(233)은 구동축(232)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고, 고정 부재(260)의 제1 부분(260a)을 수용할 수 있다. 수용홈(233)은 수용홈(233)에 수용되는 고정 부재(260)의 제1 부분(260a)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233)에 고정 부재(260)가 안착됨으로써 구동축(232)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The receiving groove 233 may be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driving shaft 232 and accommodate the first portion 260a of the fixing member 260 . The receiving groove 233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first portion 260a of the fixing member 260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233 . Since the fixing member 260 is seated in the receiving groove 233 , the movement of the driving shaft 232 may be restricted.

스프링(270)은 고정 부재(260)가 수용홈(233)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스프링(270)은 고정 부재(260)의 제1 부분(260a)이 구동축(232)의 수용홈(233)에 수용되도록 고정 부재(260)를 가압할 수 있다. 스프링(270)은 기류 통로(250)의 내면 및 고정 부재(260)와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spring 270 may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member 260 is seated in the receiving groove 233 . The spring 270 may press the fixing member 260 such that the first portion 260a of the fixing member 26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233 of the driving shaft 232 . The spring 270 may be disposed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airflow passage 250 and the fixing member 260 .

사용자는 고정 부재(260)의 제2 부분(260b)을 가압함으로써, 수용홈(233)에 안착된 고정 부재(260)의 제1 부분(260a)을 수용홈(233)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고정 부재(260)의 제2 부분(260b)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면, 스프링(270)이 압축되어 고정 부재(260)의 제1 부분(260a)이 수용홈(233)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고정 부재(260)의 제1 부분(260a)이 수용홈(233)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The user may separate the first part 260a of the fixing member 260 seated in the receiving groove 233 from the receiving groove 233 by pressing the second part 260b of the fixing member 260 . When the second portion 260b of the fixing member 260 is pressed by the user, the spring 270 is compressed and the first portion 260a of the fixing member 260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eceiving groove 233 . , the first portion 260a of the fixing member 260 may be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groove 233 .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200)의 다른 양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aspect of the cleaning device 200 for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shown in FIG. 2A .

도 2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고정 부재(260)의 제2 부분(260b)을 가압한 이후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200)의 상태를 보다 상세히 알 수 있다. 고정 부재(260)의 제1 부분(260a)이 수용홈(233)으로부터 이탈되면, 구동부(230)는 탄성 부재(24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2 공간(222)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동축(232)은 구동부(23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B , the state of the cleaning device 200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fter the user presses the second part 260b of the fixing member 260 can be seen in more detail. When the first portion 260a of the fixing member 260 is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groove 233 , the driving unit 230 may move in a direction toward the second space 222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40 . The driving shaft 232 may move together with the driving unit 230 .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200)를 사용한 뒤, 사용자는 구동축(232)의 일 단부를 가압하여 탄성 부재(240)를 압축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240)가 압축되어 고정 부재(260)의 제1 부분(260a)이 수용홈(233)에 안착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200)는 도 2a와 같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구동축(232)의 일 단부를 가압하여 간편하게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200)의 재사용을 준비할 수 있다.After using the cleaning device 200 for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e user may compress the elastic member 240 by pressing one end of the drive shaft 232 . In addition, since the elastic member 240 is compressed so that the first part 260a of the fixing member 260 is seated in the receiving groove 233, the cleaning device 200 for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can maintain the state as shown in FIG. 2a. have. That is, the user can prepare for reuse of the cleaning device 200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nveniently by pressing one end of the drive shaft 232 .

도 3은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200)의 흡입부(210)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ction unit 210 of the cleaning device 200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흡입부(210)는 제1 분리부(213) 및 제2 분리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suction unit 210 may include a first separation unit 213 and a second separation unit 214 .

제1 분리부(213)는 수용부(110)의 내부의 잔여물(130)을 분리할 수 있다. 제1 분리부(213)는 흡입부(210)의 외주면으로부터 흡입부(210)의 방사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first separation unit 213 may separate the residue 130 inside the accommodating unit 110 . The first separation unit 213 may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ction unit 210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suction unit 210 .

수용부(110)의 내부의 잔여물(130)을 효과적으로 분리시키기 위하여, 제1 분리부(213)의 일 면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분리부(213)의 일 면이 흡입부(210)의 방사방향에 대해 오목하게 만곡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분리부(213)의 일 면에 제1 분리부(213)의 일 면으로부터 흡입부(210)의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effectively separate the residue 130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110 , one surface of the first separating part 213 may be variously deformed. As an example, one surface of the first separation unit 213 may be concavely curved with respect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uction unit 210 . As another example,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first separating part 213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suction part 210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eparating part 213 .

상술한 제1 분리부(213)의 일 면은 흡입부(21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부(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용부(110)의 내면과 접촉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One surface of the above-described first separation unit 213 may refer to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110 in a stat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suction unit 21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unit 110 .

제2 분리부(214)는 가열부(120)로부터 잔여물(130)을 분리할 수 있다. 제2 분리부(214)는 흡입부(210)의 내주면으로부터 흡입부(210)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second separation unit 214 may separate the residue 130 from the heating unit 120 . The second separation unit 214 may protrud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ction unit 210 toward the center of the suction unit 210 .

수용부(110)의 내부의 잔여물(130)을 효과적으로 분리시키기 위하여, 제2 분리부(214)의 일 면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2 분리부(214)의 일 면이 흡입부(210)의 중심방향에 대해 오목하게 만곡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2 분리부(214)의 일 면에 제2 분리부(214)의 일 면으로부터 흡입부(210)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effectively separate the residue 130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110 , one surface of the second separating part 214 may be variously deformed. As an example, one surface of the second separation unit 214 may be concavely curv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direction of the suction unit 210 . As another example,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second separating part 214 toward the center of the suction part 210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separating part 214 .

상술한 제2 분리부(214)의 일 면은 흡입부(21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부(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열부(120)의 외면과 접촉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One surface of the above-described second separation unit 214 may refer to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ing unit 120 in a stat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suction unit 21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unit 110 .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흡입부(210)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수용부(110)에 삽입되는 일 양태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n aspect in which the inhalation unit 210 shown in FIG. 3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unit 11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도 4를 참조하면, 흡입부(210)의 적어도 일부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수용부(110)에 삽입되었을 때, 흡입부(210)의 각 구성과 접촉하는 수용부(110)의 구성들을 보다 상세히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when at least a portion of the inhalation unit 21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unit 11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e components of the receiving unit 110 in contact with each component of the inhaling unit 210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Able to know.

흡입부(21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부(110)에 삽입되면, 제1 분리부(213)는 수용부(110)의 내면과 접촉할 수 있다. 사용자는 흡입부(210)를 수용부(110)의 내부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제1 분리부(213)가 수용부(110)의 내면과 접촉하여 수용부(110)의 내면에 점착된 잔여물(130)이 박리될 수 있다.When at least a portion of the suction unit 21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unit 110 , the first separating unit 213 ma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110 . The user rotates the suction unit 210 inside the receiving unit 110 , so that the first separating unit 21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110 and the residue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110 ( 130) may be peeled off.

또한, 흡입부(21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부(110)에 삽입되면, 수용부(110)의 내부에 배치된 가열부(120)는 흡입부(210)에 형성된 중공(211)에 삽입될 수 있다. 중공(211)에 가열부(120)가 삽입되면, 제2 분리부(214)는 가열부(120)의 외면과 접촉할 수 있다. 사용자는 흡입부(210)를 수용부(110)의 내부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제2 분리부(214)가 가열부(120)의 외면과 접촉하여 가열부(120)의 외면에 점착된 잔여물(130)이 박리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t least a portion of the suction unit 21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unit 110 , the heating unit 120 disposed inside the receiving unit 110 may be inserted into the hollow 211 formed in the suction unit 210 . can When the heating unit 12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211 , the second separating unit 214 may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ing unit 120 . The user rotates the suction unit 210 inside the receiving unit 110 , so that the second separating unit 214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ing unit 120 and the residue adher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ing unit 120 ( 130) may be peeled off.

수용부(110)의 내면 및 가열부(120)의 외면으로부터 분리된 잔여물(130)은 수용부(110)의 저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수용부(110)의 저면은 흡입부(21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부(110)에 삽입될 때, 흡입부(210)를 바라보는 수용부(110)의 일 면일 수 있다.The residue 130 separa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1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ing part 120 may be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10 . The bottom surface of the aforementioned receiving unit 110 may be one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110 facing the suction unit 210 when at least a portion of the suction unit 21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unit 110 .

도 5a는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200)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수용부(110)에 삽입될 때의 일 양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200)의 다른 양태를 도시한 도면이다.5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spect when the cleaning device 200 for an aerosol-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unit 110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FIG. 5B is an aerosol-generating device shown in FIG. 5A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other aspect of the cleaning apparatus 200 for apparatuses.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수용부(110)의 저면에 위치한 잔여물(13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200)에 의해 흡입되는 것을 보다 상세히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A and 5B , it can be seen in more detail that the residue 130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110 is sucked by the cleaning device 200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사용자는 수용부(110)의 저면에 위치하는 잔여물(130)을 청소하기 위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200)의 고정 부재(260)의 제2 부분(260b)을 가압할 수 있다.The user may press the second part 260b of the fixing member 260 of the cleaning device 200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order to clean the residue 130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110 .

고정 부재(260)의 제2 부분(260b)이 가압되어 스프링(270)이 압축되고, 고정 부재(260)의 제1 부분(260a)이 수용홈(233)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고정 부재(260)의 제1 부분(260a)이 수용홈(233)으로부터 이탈되면, 탄성 부재(240)의 탄성력에 의해 구동부(230)가 제2 공간(222)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second portion 260b of the fixing member 260 may be pressed to compress the spring 270 , and the first portion 260a of the fixing member 260 may be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groove 233 . When the first portion 260a of the fixing member 260 is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groove 233 , the driving unit 230 may move in a direction toward the second space 222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40 .

구동부(230)가 제2 공간(222)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공간(221)의 압력이 낮아질 수 있다. 제1 공간(221)의 압력이 낮아지면, 흡입부(210)와 제1 공간(221) 사이의 압력 차이가 발생함으로써, 흡입부(210)에서 제1 공간(221)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기류가 발생할 수 있다.As the driving unit 230 moves in the direction toward the second space 222 , the pressure in the first space 221 may be reduced. When the pressure in the first space 221 is lowered,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suction unit 210 and the first space 221 occurs, so that the suction unit 210 moves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space 221 . airflow may occur.

흡입부(210)에서 제1 공간(221)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기류에 의해, 수용부(110)의 저면에 위치하는 잔여물(130)이 저장부(220)의 제1 공간(221)으로 이동할 수 있다.Due to the airflow moving in the direction from the suction unit 210 toward the first space 221 , the residue 130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110 is transferred to the first space 221 of the storage unit 220 . can move to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200)는 수용부(110) 및 가열부(120)에 점착되는 잔여물(130)을 수용부(110) 및 가열부(12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고정 부재(260)의 제1 부분(260a)을 가압하는 간편한 조작을 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200)를 이용하여 수용부(110)의 내부에 존재하는 잔여물(130)을 흡입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청소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leaning device 200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ntains the residue 130 adhering to the receiving unit 110 and the heating unit 120 to the receiving unit 110 and the heating unit 120 . can be separated from In addition, the user uses the cleaning device 200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rough a simple operation of pressing the first part 260a of the fixing member 260, the residue 130 present in the interior of the receiving unit 110 Aerosol-generating devices can be cleaned by inhaling

도 5c는 도 5b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200)의 흡입부(210)와 저장부(220)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5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unit 210 and the storage unit 220 of the cleaning device 200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shown in FIG. 5B are separated.

도 5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흡입부(210)와 저장부(220)를 분리시킴으로써 제1 공간(221)의 내부에 수용된 잔여물(130)을 청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부(210)와 저장부(220)가 나사 결합된 경우, 사용자는 흡입부(210)를 저장부(2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흡입부(210)와 저장부(220)를 분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C , the user may clean the residue 130 accommodated in the first space 221 by separating the suction unit 210 and the storage unit 220 . For example, when the suction unit 210 and the storage unit 220 are screwed together, the user rotates the suction unit 210 relative to the storage unit 220 to thereby rotate the suction unit 210 and the storage unit 220 . ) can be separated.

제1 공간(221)의 내부에 수용된 잔여물(130)이 청소되면, 사용자는 흡입부(210)와 저장부(220)를 다시 결합시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200)를 재사용할 수 있다.When the residue 130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of the first space 221 is cleaned, the user can reuse the cleaning device 200 for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by reconnecting the suction unit 210 and the storage unit 220 . .

도 1 내지 도 5c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구성 요소에 대한 동일한 도면 부호는 이하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대한 구성 요소는 다른 실시예들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components of on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5C may mean substantially the same components hereinafter, and the components for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substantially the same to other embodiments. can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200)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cleaning device 200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200)는 상술한 흡입부(210), 저장부(220), 구동부(230), 필터부(280) 및 본체(29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cleaning device 200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the above-described suction unit 210 , the storage unit 220 , the driving unit 230 , the filter unit 280 and the body 290 . may include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200)에서, 구동부(230)는 저장부(220)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230)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모터(234)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cleaning device 200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driving unit 23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torage unit 220 . In addition, the driving unit 230 may include a motor 234 for generating an airflow.

필터부(280)는 기류에 의해 이동하는 잔여물(130)을 여과할 수 있다. 필터부(280)는 저장부(220)와 구동부(2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lter unit 280 may filter the residue 130 moving by the airflow. The filter unit 28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torage unit 220 and the driving unit 230 .

본체(290)는 저장부(220), 구동부(230) 및 필터부(280)를 수용하고, 배터리(291) 및 토출 통로(292)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290 accommodates the storage unit 220 , the driving unit 230 , and the filter unit 280 , and may include a battery 291 and a discharge passage 292 .

배터리(291)는 구동부(230)의 모터(23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234)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구동부(230)의 내부에 배치된 모터(234)가 작동하면, 흡입부(210)에서 저장부(220)로 이동하는 기류가 발생될 수 있다. 구동부(230)의 모터(234)에 의해 발생한 기류는 흡입부(210), 저장부(220), 필터부(280) 및 구동부(230)를 차례대로 통과할 수 있다.The battery 29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tor 234 of the driving unit 230 to supply power to the motor 234 . When the motor 234 disposed inside the driving unit 230 operates, an airflow moving from the suction unit 210 to the storage unit 220 may be generated. The airflow generated by the motor 234 of the driving unit 230 may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suction unit 210 , the storage unit 220 , the filter unit 280 , and the driving unit 230 .

토출 통로(292)는 구동부(230)와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200)의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토출 통로(292)는 모터(234)에 의해 발생된 기류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200)의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일 수 있다. 토출 통로(292)는 구동부(230)의 일 단부로부터 본체(290)의 일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discharge passage 292 may communicate the driving unit 230 and the outside of the cleaning device 200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e discharge passage 292 may b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flow generated by the motor 234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ing device 200 for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e discharge passage 292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one end of the driving unit 230 toward one end of the main body 290 .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200)의 흡입부(210)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수용부(110)에 삽입된 일 양태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suction unit 210 of the cleaning device 200 for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shown in FIG. 6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unit 11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도 7을 참조하면,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분리부(213) 및 제2 분리부(214)에 의해 수용부(110) 및 가열부(120)로부터 분리된 잔여물(130)이 수용부(110)의 저면에 위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as described above in FIG. 4 , the residue 130 separated from the accommodating part 110 and the heating part 120 by the first separating part 213 and the second separating part 214 . It may be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receiving unit 110 .

모터(234)에 의해 발생된 기류에 의하여, 수용부(110)의 저면에 위치한 잔여물(130)이 흡입부(210)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잔여물(130)은 기류와 함께 이동하여 필터부(280)에 의해 여과됨으로써, 저장부(220)에 수용될 수 있다. 잔여물(130)을 제외한 기류는 구동부(230)를 통과하여 토출 통로(292)를 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20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Due to the airflow generated by the motor 234 , the residue 130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10 may move toward the suction part 210 . The residue 130 may move with the airflow and be filtered by the filter unit 280 to b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unit 220 . Airflow excluding the residue 130 may pass through the driving unit 230 and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ing device 200 for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292 .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200)는 수용부(110)의 내부의 잔여물(130)을 모터(234)에 의해 발생되는 기류를 통하여 흡입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leaning device 200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hales the residue 130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110 through the airflow generated by the motor 234, thereby generating an aerosol The device can be easily cleaned.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related to this embodiment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above description. Therefore, the disclosed methods are to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10: 수용부 120: 가열부
130: 잔여물 200: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
210: 흡입부 211: 중공
212: 밀폐부 213: 제1 분리부
214: 제2 분리부 220: 저장부
221: 제1 공간 222: 제2 공간
230: 구동부 231: 밀봉부
232: 구동축 233: 수용홈
234: 모터 240: 탄성 부재
250: 기류 통로 260: 고정 부재
260a: 제1 부분 260b: 제2 부분
270: 스프링 280: 필터부
290: 본체 291: 배터리
292: 토출 통로
110: receiving unit 120: heating unit
130: residue 200: cleaning device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210: suction unit 211: hollow
212: sealing part 213: first separation part
214: second separation unit 220: storage unit
221: first space 222: second space
230: driving unit 231: sealing unit
232: drive shaft 233: receiving groove
234: motor 240: elastic member
250: air flow passage 260: fixing member
260a: first part 260b: second part
270: spring 280: filter unit
290: body 291: battery
292: discharge passage

Claims (15)

에어로졸 생성 물품으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청소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수용하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수용부의 내부의 잔여물을 흡입하는 흡입부; 및
상기 흡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흡입부로부터 흡입된 상기 잔여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
A cleaning device for an aerosol-generating device for cleaning an aerosol-generating device that generates an aerosol from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the cleaning device comprising:
an inhaler for inhaling the residue inside the receptacle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for receiving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and
A cleaning device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and storing the residue sucked from the suction uni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저장부와 상기 흡입부를 연통시키는 중공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면,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는 가열부가 상기 중공에 삽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uction unit includes a hollow that communicates with the storage unit and the suction unit,
When at least a portion of the inhalation unit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unit,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disposed inside the receiving unit is inserted into the hollow, a cleaning device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흡입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흡입부의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제1 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면, 상기 제1 분리부는 상기 수용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잔여물을 분리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uction unit includes a first separation unit protruding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ction unit,
When at least a part of the suction part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part, the first separating part separates the residue from the accommodating part by contacting the receiving part.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흡입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흡입부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제2 분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면, 상기 제2 분리부는 상기 가열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가열부로부터 상기 잔여물을 분리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uction unit further comprises a;
When at least a part of the suction part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art, the second separator separates the residue from the heating part by contacting the heating par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와 상기 저장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면 상기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외부의 공기 유출입을 차단하는 밀폐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im 1,
It is disposed between the inhalation unit and the storage unit, and when at least a part of the suction unit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unit, a sealing unit for blocking the inflow and outflow of external air from the receiving unit and the receiving unit; further comprising,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leaning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흡입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상기 흡입부에 결합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torage unit is coupled to the suction unit to be detachably from the suction unit, a cleaning device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에서 상기 저장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면, 상기 구동부가 발생시킨 기류는 상기 수용부의 잔여물을 상기 흡입부로 이동시키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riving unit for generating an air flow moving from the suction unit toward the storage
When at least a part of the suction unit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unit, the airflow generated by the driving unit moves the remainder of the receiving unit to the suction unit, the cleaning device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저장부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구동부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된 상기 잔여물을 수용하는 제1 공간; 및
상기 구동부의 타 측에 배치되는 제2 공간;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driving unit is arranged to be movable inside the storage unit,
The storage unit,
a first spac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riving unit and accommodating the residue sucked in the suction unit; and
A cleaning device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a second spac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driving unit.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구동부를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leaning device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disposed inside the first space, the elastic member for pressing the driving unit in a direction toward the second spac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부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 사이의 기류의 이동을 차단하는 밀봉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riving part surrounds at least a portion of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ving part, and a sealing part for blocking the movement of the airflow between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Containing, a cleaning device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2 공간과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기류 통로;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torage unit further comprises a; air flow passage for communicating the second space and the outside of the cleaning device for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leaning device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로부터 상기 제2 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저장부의 일 단부를 관통하고, 상기 구동부와 함께 이동하는 구동축;을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 cleaning device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extending in a direction from the driving unit toward the second space, passing through one end of the storage unit, and moving together with the driving unit.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구동축은 상기 고정 부재를 수용하도록 상기 구동축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수용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a fixing member disposed in the storage unit and limiting movement of the driving shaft; and
The drive shaft includes a receiving groove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drive shaft to receive the fixing membe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leaning device.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가 기류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저장부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부가 발생시킨 기류가 상기 저장부를 통과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 통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iving unit so that the driving unit generates an airflow; further comprising:
The driving uni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torage unit,
The driving unit includes a discharge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flow generated by the driving un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rough the storage unit, the cleaning device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와 구동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부를 통과하는 기류에 의해 이동한 상기 잔여물을 여과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cleaning device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disposed between the storage unit and the driving unit, the filter unit for filtering the residue moved by the airflow passing through the storage unit.
KR1020200078050A 2020-06-25 2020-06-25 Cleaning device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25003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050A KR102500349B1 (en) 2020-06-25 2020-06-25 Cleaning device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050A KR102500349B1 (en) 2020-06-25 2020-06-25 Cleaning device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287A true KR20220000287A (en) 2022-01-03
KR102500349B1 KR102500349B1 (en) 2023-02-15

Family

ID=79348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050A KR102500349B1 (en) 2020-06-25 2020-06-25 Cleaning device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34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1784A (en) * 1993-03-26 1994-11-08 Progressive Games Inc System for removing and disposing of cigarette and cigar smoke and residues
WO2019175102A1 (en) 2018-03-13 2019-09-19 Philip Morris Products S.A. Cleaning tool for heating element using suction effec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1784A (en) * 1993-03-26 1994-11-08 Progressive Games Inc System for removing and disposing of cigarette and cigar smoke and residues
WO2019175102A1 (en) 2018-03-13 2019-09-19 Philip Morris Products S.A. Cleaning tool for heating element using suction effe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0349B1 (en) 202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2107B1 (en) Electronic steam delivery system
JP6245280B2 (en) Inhaler
KR102618375B1 (en) Cartridges for aerosol-generating systems
KR20180099685A (en) Multi-Part Electric Heated Aerosol Generation System
KR20200086744A (en)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KR20180114194A (en) Electronic steam delivery system
CN111031821A (en) Aerosol-generating device with removably inserted heating chamber
US20110289719A1 (en) Hand-held and stick vacuum cleaner
KR20210124456A (en) Flow Directing Elements for Vapor Delivery Systems
WO2019175102A1 (en) Cleaning tool for heating element using suction effect
JP2014076141A (en) Vacuum cleaner
KR20140030059A (en) Electrical vacuum cleaner
KR20220000287A (en) Cleaning device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JP5309738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WO2015166749A1 (en) Aspiration device
KR20210009309A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two nebulizer assemblies
CN114845588A (en) Cartridge for an aerosol-generating system, aerosol-generating system comprising a cartrid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heater assembly and a cartridge for an aerosol-generating system
KR102657988B1 (en) Components for steam supply systems
CN216393068U (en) Air heating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2396130B1 (en) Cleaner for main-instrument of electronic cigarette using tobacco
CN114158264A (en) Aerosol-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n extractor for removing aerosol-generating articles
CA3132097C (en) Atomiser enclosure for a vapour provision system
CN114081212A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based on hot air flow heating
WO2020178349A1 (en) A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an aerosol-generating device
KR20110055818A (en) A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