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233A -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기 - Google Patents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233A
KR20220000233A KR1020200077931A KR20200077931A KR20220000233A KR 20220000233 A KR20220000233 A KR 20220000233A KR 1020200077931 A KR1020200077931 A KR 1020200077931A KR 20200077931 A KR20200077931 A KR 20200077931A KR 20220000233 A KR20220000233 A KR 20220000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vibration
physical therapy
vibrator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7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효돈
Original Assignee
최효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효돈 filed Critical 최효돈
Priority to KR1020200077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0233A/ko
Publication of KR20220000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2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5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 A61H23/0263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using rotating unbalanced ma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2Devices for locating such p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61H7/004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power-driven, e.g. electrical
    • A61H7/005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power-driven, e.g. electrical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54Special bea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61H2201/501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 A61H2201/5012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using the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35Several programs selec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기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모터축에 연결되는 진동자의 축 종단에 베어링이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한편, 스마트 단말과 IoT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이고, 이에따라 밸런스 및 고속 진동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요변성을 이용하여 근막을 보다 빠르고 쉽게 풀어주어 근막 통증 치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진동폭을 작고 균일하게 유지시키면서 진동과 함께 드레깅 치료를 가능하게 하여 치료 대상자의 피로도를 낮출 수 있고, 모터의 부하도를 낮추면서 진동 물리치료기 제품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물리 치료시 그 치료에 대한 정보는 물론 환부 검색으로 발통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튜토리얼 기능(tutorial function)으로서 치료 강도 시간, 방법 등 자가 치료 방법을 제공받게 되면서 사용 편의성을 높인 것이다.

Description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기{Hand type vibration physical therapy apparatus}
본 발명은 근육을 이완시켜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핸드형 진동 물리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육에 존재하는 단단한 통증 유발점의 활동에 의해 생기는 통증 및 자율 신경 증상을 근막 통증(myofascial)이라 하며, 이는 잘못된 자세와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 또는 근육에 영양분과 산소가 부족해지면서 발생되는 것이다.
일예로, 칠판 글씨를 많이 쓰는 교사들처럼 목과 어깨의 근육을 과도하게 사용할 때 잘 나타나고, 최근에는 컴퓨터로 인한 질환 중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이기도 하다.
한편, 근막은 특정 자극을 가할 때 상태가 변하고, 자극을 멈추면 원상태로 돌아오는 요변성(Thixotropy)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요변성이란 외력에 의한 고분자 물질 용액의 점성도 변화 현상인데, 온도 변화가 없는 상태에서 젓거나 흔들어 주는 외부의 기계적 자극에 의해 겔(gel)이 졸(sol) 상태로 바뀌는 것이다.
따라서, 근막 통증 치료는 요변성 효과가 생겨 딱딱한 근막을 부드럽게 하여야 하는 것으로, 근막 이완은 적용 부위에 천천히 압력을 가하는 행위로서 이는 진동이 강할수록 심부 조직까지 근육을 풀어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근막 통증 치료는 현재 주사나 복약 또는 화학적 요법을 사용하는 약의학적 치료 방법, 침 등을 사용하는 한의학적 치료 방법, 그리고 물리 치료사에 의한 직접적인 마사지 치료 등으로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약의학적 치료 방법이나 한의학적 치료 방법은 절차가 복잡하고, 물리 치료사에 의한 마사지 치료는 물리 치료사가 근막 통증을 치료하기 위한 마사지 행위를 진행시 오히려 치료사에게 디스크, 손목 질환, 어깨 질환 등 각종 질환이 유발되어 이를 치료받아야 하는 상황에 처할 수 있다.
이에 종래에는 근막 통증 등을 치료하기 위해 기계적인 메커니즘이 적용되는 다양한 진동 치료기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진동 치료기들은 건 타입으로서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모터(100)에 상하 진동의 편심형 진동자(200)가 적용되는 관계로, 진동 밸런스가 맞지 않아 고속 진동에 적합하지 않으면서 근막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한 근막 풀기에는 적합하지 않고, 상하 진동이 크고 난잡하여 치료 대상자의 피로도가 높으면서 드레깅(dragging) 치료가 전혀 이루어질 수 없음은 물론, 모터(100)의 과부하 원인으로 인해 진동 치료기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23926호(공고일 2012.04.13.) 등록특허공보 제10-1162978호(공고일 2012.07.0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축의 종단에 베어링을 사용하여 밸런스 및 고속 진동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요변성을 이용하여 근막을 보다 빠르고 쉽게 풀어주어 근막 통증 치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진동폭을 작고 균일하게 유지시키면서 진동과 함께 드레깅 치료를 가능하게 하여 치료 대상자의 피로도를 낮출 수 있고, 모터의 부하도를 낮추면서 진동 치료기 제품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진동 치료기와 스마트 단말의 IoT(Internet of Things) 연결을 통해 물리 치료에 대한 정보는 물론 환부 검색으로 발통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튜토리얼 기능(tutorial function)으로 치료 강도 시간, 방법 등 자가 치료 방법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기는, 온 또는 오프 기능과 진동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부를 가지는 핸드형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유선라인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핸드형 본체부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거치대; 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형 본체부 내부에는, 상기 조작부의 온 조작시 구동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일단이 연결되는 것으로 회전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진동자; 및, 상기 진동자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진동자의 회전 진동에 따른 밸런스를 유지시키는 베어링부;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핸드형 본체부는, 상기 모터와 상기 진동자 및 상기 베어링부가 수용되는 손잡이용의 제 1 몸체; 및, 상기 제 1 몸체내에 수용되는 상기 진동자의 진동시 그 진동력을 인체에 전달하는 인체 접촉용의 제 2 몸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몸체에는 인체에 진동 압력을 집중 전달하기 위한 헤드팁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헤드팁에는 진동 압력의 집중 전달을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진동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거치대에는 상기 유선라인을 통해 상기 모터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내장되며, 상기 배터리는 상기 거치대에 형성되는 외부전원 연결용 단자를 통해 충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진동자 양단에는 상기 구동축이 결합되는 것으로 제 1 결합홀을 가지는 제 1 축 연결부와, 상기 베어링부가 결합되는 것으로 제 2 결합홀을 가지는 제 2 축 연결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모터의 구동축 외주면에는 상기 제 1 결합홀에 끼움 고정되는 것으로 제 1 스프링에 의해 텐션을 제공받는 제 1 끼움볼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어링부에는 상기 진동자의 타단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축 연결부에 결합되는 진동자 결합축을 형성하고, 상기 진동자 결합축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 2 결합홀에 끼움 고정되는 것으로 제 2 스프링에 의해 텐션을 제공받는 제 2 끼움볼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핸드형 본체부에는 스마트 통신단말과의 IoT 연결을 위한 통신모듈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마트 통신 단말에는 상기 진동 치료기에 의해 진행되는 물리 치료에 대한 정보와, 환부 검색을 통한 발통점 정보와, 튜토리얼 기능(tutorial function)으로서 치료 강도와 치료 시간에 따른 자가 치료 방법을 안내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기는 모터축에 연결되는 진동자의 축 종단에 베어링이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한편, 스마트 단말과 IoT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밸런스 및 고속 진동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요변성을 이용하여 근막을 보다 빠르고 쉽게 풀어주어 근막 통증 치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진동폭을 작고 균일하게 유지시키면서 진동과 함께 드레깅 치료를 가능하게 하여 치료 대상자의 피로도를 낮출 수 있고, 모터의 부하도를 낮추면서 진동 치료기 제품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물리 치료시 그 치료에 대한 정보는 물론 환부 검색으로 발통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튜토리얼 기능(tutorial function)으로서 치료 강도 시간, 방법 등 자가 치료 방법을 제공받게 되면서 사용 편의성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진동자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기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기 내부에 탑재되는 모터와 진동자 및 베어링부의 결합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4에 대한 단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기 본체부에 탈부착 가능한 헤드팁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측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기 본체부에 탈부착 가능한 헤드팁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면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기와 IoT 연결되는 스마트 통신단말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환부를 검색하는 화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기와 IoT 연결되는 스마트 통신단말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검색된 환부의 발통점 정보를 안내하는 화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기와 IoT 연결되는 스마트 통신단말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안내되는 환부 발통점에 대한 진동 치료 사용법을 안내하는 화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기와 IoT 연결되는 스마트 통신단말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치료 강도와 치료 시간에 따른 자가 치료 방법을 안내하는 튜토리얼 기능이 구현되는 화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기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기 내부에 탑재되는 모터와 진동자 및 베어링부의 결합 구조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4에 대한 단면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기 본체부에 탈부착 가능한 헤드팁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측면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기 본체부에 탈부착 가능한 헤드팁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기는, 핸드형 본체부(10), 모터(20), 진동자(30), 베어링부(40), 거치대(50)를 포함하고, 이에 더하여 헤드팁(60), 통신모듈(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핸드형 본체부(10)는 온 또는 오프 기능과 진동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부(10a)를 가진 것으로, 이는 상기 모터(20)와 상기 진동자(30) 및 상기 베어링부(40)가 수용되는 손잡이용의 제 1 몸체(11), 그리고 상기 제 1 몸체(11)내에 수용되는 상기 진동자(30)의 진동시 그 진동력을 인체에 전달하는 인체 접촉용의 제 2 몸체(12)로 구분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조작부(10a)는 회전형 조작레버로서, 최초 회전시 온 스위칭되고 그 회전이 증대될수록 진동 강도가 높아지는 것이다.
상기 모터(20)는 상기 핸드형 본체부(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진동부재의 구성요소이며, 상기 조작부(10a)의 온 조작시 구동하는 것이고, 상기 진동자(30)의 결합을 위한 구동축(21)을 가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구동축(21)의 외주면에는 상기 진동자(30)와의 결합 고정을 위해, 제 1 스프링(21a)에 의해 텐션을 제공받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 1 끼움볼(21b)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진동자(30)는 상기 모터(20)의 구동축(21)에 일단이 연결되는 진동부재의 구성요소로서 이는 회전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진동자(30)의 일단에는 상기 구동축(21)이 결합되는 제 1 축 연결부(31)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축 연결부(31)에는 상기 구동축(21)의 외주면에 형성되면서 상기 제 1 스프링(21a)에 의해 돌출되는 상기 제 1 끼움볼(21b)이 체결되는 제 1 결합홀(31a)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진동자(30)의 타단에도 상기 베어링부(40)와의 결합을 위해 제 2 결합홀(32a)을 가지는 제 2 축 연결부(32)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베어링부(40)는 상기 진동자(30)의 회전 진동에 따른 밸런스를 유지시키는 진동부재의 구성요소로서 그 일단에는 상기 진동자(30)의 타단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축 연결부(32)에 결합되는 진동자 결합축(4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진동자 결합축(41)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 2 결합홀(32a)에 끼움 고정되는 것으로 제 2 스프링(41a)에 의해 텐션을 제공받는 제 2 끼움볼(41b)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거치대(50)는 상기 본체부(10)와 유선라인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모터(20)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며, 이에따라 상기 거치대(50)에는 상기 유선라인을 통해 상기 모터(20)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51)가 내장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배터리(51)는 상기 거치대(50)에 형성되는 외부전원 연결용 단자(52)를 통해 충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헤드팁(60)은 상기 핸드형 본체부(10)에 포함되는 상기 제 2 몸체(12)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이는 인체에 진동 압력을 집중 전달하는 것이며, 이에따라 상기 헤드팁(60)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진동돌기(6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헤드팁(60)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제 2 본체(12)에는 다양한 돌기를 가지는 다른 헤드팁이 교체되면서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통신모듈(70)은 상기 핸드형 본체부(10)내에 수용되면서 상기 거치대(50)를 통해 공급되는 구동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것으로, 이는 스마트 통신단말(예;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80)과 근거리 통신망(예; 블루투스, NFC 등)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공중 무선망(예; WiFi, LTE, 5G 등)으로 연결되면서 IoT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마트 통신 단말(80)에는 상기 진동 물리치료기에 의해 진행되는 물리 치료에 대한 정보와, 환부 검색(예; 어깨, 팔, 복부, 엉덩이, 종아리, 허벅지 등)을 통한 발통점 정보와, 튜토리얼 기능(tutorial function)으로서 치료 강도와 치료 시간에 따른 자가 치료 방법을 안내하는 어플리케이션(81)이 탑재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기는 첨부된 도 2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우선 사용자가 핸드형 본체부(10)의 제 1 몸체(11)를 잡은 후 제 2 몸체(12)를 근막 통증이 발생되는 신체 부위에 접촉시킨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핸드형 본체부(10)에 형성되는 조작부(10a)를 조작하여 온 신호를 발생시킨 후 진동 강도를 조절한다.
그러면, 상기 핸드형 본체부(10)와 유선라인으로 연결되는 거치대(50)내의 배터리(51)에서 상기 핸드형 본체부(10)내의 모터(20)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모터(20)의 구동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모터(20)에 연결되는 진동자(30)가 회전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진동자(30)의 일단은 상기 모터(20)의 구동축(21)에 연결되고, 상기 진동자(30)의 타단은 베어링부(40)의 진동자 결합축(41)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진동자(30)는 상기 모터(20)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여 진동을 발생시킬 때 상기 베어링부(40)에 의해 회전 진동에 따른 밸런스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진동자(30)는 상기 베어링부(40)에 의해 밸런스가 유지되면서 고속 회전(약 10,000 RPM)에 따른 진동을 하게 되는데, 이는 진동폭이 작고 균일하게 유지되면서 진동과 함께 드레깅 치료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며, 이에따라 상기 핸드형 몸체부(10)를 통해 근막 통증이 발생하는 신체 부위의 근육에 진동이 가해지면, 상기 모터(20)에 대한 부하도를 낮추면서도 요변성을 이용한 근육을 보다 빠르고 쉽게 풀어줄 수 있게 되면서, 사용자의 근막 통증을 보다 효과적으로 물리 치료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핸드형 몸체부(10)에 포함되는 제 2 몸체(12)에는 첨부된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돌기(61)를 가지는 탈부착형의 헨드팁(60)이 결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헨드팁(60)은 신체부위에 대한 진동 압력을 집중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핸드형 본체부(10)에 상기 헤드팁(60)을 결합하여 통증이 심한 근막에 대하여도 효과적으로 물리 치료를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기는 통신모듈(70)을 통해 어플리케이션(81)이 탑재된 스마트 통신 단말(80)과 통신 연결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 통신 단말(80)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81)을 통해 물리 치료에 대한 정보는 물론 환부 검색으로 발통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음은 물론, 튜토리얼 기능(tutorial function)으로서 치료 강도 시간, 방법 등 자가 치료 방법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즉, 사용자는 상기의 어플리케이션(81)을 통해 첨부된 도 8에서와 같이 환부(예; 어깨, 팔, 복부, 엉덩이, 종아리, 허벅지 등) 검색이 가능하고, 첨부된 도 9에서와 같이 검색된 환부의 발통점 정보를 안내받을 수 있음은 물론, 첨부된 도 10에서와 같이 안내되는 환부 발통점에 대한 진동 치료 사용법을 안내받거나, 또는 첨부된 도 11에서와 같이 치료 강도와 치료 시간에 따른 자가 치료 방법을 안내하는 튜토리얼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면서, 상기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기를 통해 근막을 오차없이 정확하고도 쉽게 풀어주는 물리 치료를 효과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핸드형 본체부 10a; 조작부
11; 제 1 몸체 12; 제 2 몸체
20; 모터 21; 구동축
21a; 제 1 스프링 21b; 제 1 끼움볼
30; 진동자 31; 제 1 축 연결부
31a; 제 1 결합홀 32; 제 2 축 연결부
32a; 제 2 결합홀 40; 베어링부
41; 진동자 결합축 41a; 제 2 스프링
41b; 제 2 끼움볼 50; 거치대
51; 배터리 52; 단자
60; 헤드팁 61; 진동돌기
70; 통신모듈 80; 스마트 통신단말
81; 어플리케이션

Claims (9)

  1. 온 또는 오프 기능과 진동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부를 가지는 핸드형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유선라인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핸드형 본체부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거치대; 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형 본체부에는, 상기 조작부의 온 조작시 구동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일단이 연결되는 것으로 회전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진동자; 및, 상기 진동자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진동자의 회전 진동에 따른 밸런스를 유지시키는 베어링부; 를 포함하는 진동부재가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형 본체부는,
    상기 모터와 상기 진동자 및 상기 베어링부가 수용되는 손잡이용의 제 1 몸체; 및, 상기 제 1 몸체내에 수용되는 상기 진동자의 진동시 그 진동력을 인체에 전달하는 인체 접촉용의 제 2 몸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몸체에는 인체에 진동 압력을 집중 전달하기 위한 헤드팁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팁에는 진동 압력의 집중 전달을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진동돌기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에는 상기 유선라인을 통해 상기 모터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내장되며, 상기 배터리는 상기 거치대에 형성되는 외부전원 연결용 단자를 통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 양단에는 상기 구동축이 결합되는 것으로 제 1 결합홀을 가지는 제 1 축 연결부와, 상기 베어링부가 결합되는 것으로 제 2 결합홀을 가지는 제 2 축 연결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구동축 외주면에는 상기 제 1 결합홀에 끼움 고정되는 것으로 제 1 스프링에 의해 텐션을 제공받는 제 1 끼움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에는 상기 진동자의 타단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축 연결부에 결합되는 진동자 결합축을 형성하고, 상기 진동자 결합축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 2 결합홀에 끼움 고정되는 것으로 제 2 스프링에 의해 텐션을 제공받는 제 2 끼움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형 본체부에는 스마트 통신단말과의 IoT 연결을 위한 통신모듈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통신 단말에는 상기 진동 치료기에 의해 진행되는 물리 치료에 대한 정보와, 환부 검색을 통한 발통점 정보와, 튜토리얼 기능(tutorial function)으로서 치료 강도와 치료 시간에 따른 자가 치료 방법을 안내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기.
KR1020200077931A 2020-06-25 2020-06-25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기 KR202200002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931A KR20220000233A (ko) 2020-06-25 2020-06-25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931A KR20220000233A (ko) 2020-06-25 2020-06-25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233A true KR20220000233A (ko) 2022-01-03

Family

ID=79348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931A KR20220000233A (ko) 2020-06-25 2020-06-25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023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926B1 (ko) 2011-08-24 2012-04-13 주식회사 에이티시스템 근육 진동 마사지 장치
KR101162978B1 (ko) 2012-02-09 2012-07-09 주식회사 에이티시스템 근육 진동 마사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926B1 (ko) 2011-08-24 2012-04-13 주식회사 에이티시스템 근육 진동 마사지 장치
KR101162978B1 (ko) 2012-02-09 2012-07-09 주식회사 에이티시스템 근육 진동 마사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3581B2 (en) Multi-functional massager
RU2672525C2 (ru) Масса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меющее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у массажную насадку, выполненную с возможностью эксцентричного вращения
JP6640719B2 (ja) タッピングフィンガーを装備したマッサージヘッドを持つマッサージ器具
KR101162978B1 (ko) 근육 진동 마사지 장치
KR20190000098U (ko) 진동 마사지 기기
BRPI0612446A2 (pt) instrutor de estimulacão de freqüência
CN106137709B (zh) 按摩护理装置
US20080119764A1 (en) Muscular relief apparatus
US20190159958A1 (en) Massaging Device with Heating Properties
KR101895263B1 (ko) 어깨 견착형 마사지기
JPH11192275A (ja) 美容健康装置
JP2021500097A (ja) ハンドアタッチト制御パルス振動装置
KR20220000233A (ko) 핸드형 진동 물리치료기
KR200488605Y1 (ko) 진동 마사지 기기
KR20180067109A (ko) 부항 일체형 전기마사지기
KR102121561B1 (ko) 피부 관리 장치
KR20090103598A (ko) 주무르기식 안마장치
KR101003184B1 (ko) 전신군살 제거기구
KR20220029917A (ko) 마사지용 매트
KR100978414B1 (ko) 마사지용 건강 지압기
KR101683540B1 (ko) 눈 마사지기
US20100222721A1 (en) Apparatus for application of trigger point pressure in personal fitness Center and the like before or after exercise
KR20230134840A (ko) 가압 기구
KR102034473B1 (ko) 안마장치
CN208448108U (zh) 一种便携式仿针灸康复推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