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151U - Mask - Google Patents

Mas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151U
KR20220000151U KR2020200002442U KR20200002442U KR20220000151U KR 20220000151 U KR20220000151 U KR 20220000151U KR 2020200002442 U KR2020200002442 U KR 2020200002442U KR 20200002442 U KR20200002442 U KR 20200002442U KR 20220000151 U KR20220000151 U KR 202200001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mask
wearer
dimensional protrusion
attachmen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44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6245Y1 (en
Inventor
김현경
Original Assignee
김현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경 filed Critical 김현경
Priority to KR20202000024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245Y1/en
Publication of KR202200001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15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2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24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Abstract

본 고안의 마스크는 착용자의 코 및 입을 포함한 안면부가 밀착되도록 형성된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의 중심에서 상하측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입체형 돌출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중심측 하단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입체형 돌출부의 내측이 외부와 연통되는 통기구를 형성하며, 상기 착용자의 앞턱에 밀착되는 앞턱 밀착부;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 및 상기 입체형 돌출부와 함께 상기 필터가 수납되는 필터 수납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필터 수납 공간부에 수납된 필터가 착용자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가림막;을 포함한다.The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sk body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wearer's face including the nose and mouth; a three-dimensional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enter of the mask body in a vertical direction; a front chin contact portion provided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center side of the mask body to form a vent through which the inner side of the three-dimensional protrusion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earer's front chin; a filter for filtering harmful substance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a shield that forms a filter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filter is accommodated together with the three-dimensional protrusion and prevents the filter accommodated in the filter accommodation space from coming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wearer.

Description

마스크{Mask}mask {Mask}

본 고안은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k.

좀 더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착용자가 호흡을 편하게 하면서, 착용자가 선택적으로 필터를 교체할 수 있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k in which the wearer can selectively replace the filter while allowing the wearer to breathe comfortably.

황사, 독감, 감기 및 코로나 19와 같이 호흡기 질환은 주로 바이러스에 의해서 유발되는 것으로, 접촉이나 비말을 통해서 바이러스가 전파되어 감염된다. 이와 같은 바이러스의 전파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가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다. 마스크는 착용자의 코 및 입에 밀착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바이러스, 미세먼지 또는 황사 등을 필터링하고, 착용자의 비말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Respiratory diseases, such as yellow dust, flu, colds, and COVID-19, are mainly caused by viruses, and are transmitted through contact or droplets. One of the methods to prevent the spread of such a virus is to wear a mask. The mask is closely attached to the wearer's nose and mouth to filter out viruses, fine dust, or yellow dust from outside and prevent the wearer's droplets from spreading.

종래의 마스크는 하나의 돔(dome) 형상을 가져서 착용자의 입과 코를 모두 커버하여 외부와 밀폐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종래의 마스크는 착용자의 호흡을 불편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mask has a single dome shape to cover both the wearer's mouth and nose to have a closed structure from the outside. Therefore, the conventional mask has a problem in that the wearer's breathing is inconvenient.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02690호(2007. 03. 27. 등록)인 "필터를 갖는 아동용 입체 마스크"에는 본체에 통풍구를 형성하고, 통풍구의 전면을 덮고 개방구가 형성된 입체형상가리개가 구비되며, 입체형성가리개의 개방부에 필터링수단이 개재된 특징을 개시하고 있습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702690 (registered on March 27, 2007), "a three-dimensional mask for children with a filter", a ventilation hole is formed in the body,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ventilation hole is covered. A three-dimensional visor with an opening is provided, and a filtering means is interposed in the opening of the three-dimensional visor.

그러나, 이러한 필터를 갖는 아동용 입체 마스크는 통풍구와 개방부가 바로 연결되어 있어, 외부에서 비말을 포함한 유해물질이 착용자에게 바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three-dimensional mask for children having such a filte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ventilation hole and the open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harmful substances including droplets from the outside are directly introduced to the wearer.

또한, 필터링수단이 복잡한 구조로 구현되어 있어, 필터를 교체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ltering means is implemented with a complicated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replace the filter.

또한, 필터링수단은 외부에서 마스크 전면부에 접촉되는 비말을 포함한 유해물질이 착용자의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iltering means ha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block harmful substances including droplets that come into contact with the front part of the mask from flowing into the wearer's respiratory tract.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02690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702690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마스크 본체에 외부와 착용자의 호흡기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통기구를 형성하고, 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sk that forms a vent to selectively communicate the wearer's respirator with the outside in the mask body, and can easily replace the filter. hav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양측에는 착용자의 귀에 걸 수 있도록 걸이끈이 각각 연결되며, 착용자의 코 및 입을 포함한 안면부가 밀착되도록 형성된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의 중심에서 상하측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며, 내측에는 상기 착용자의 코 및 입 부위가 위치되도록 공간이 마련된 입체형 돌출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중심측 하단부분에 마련되되 일부분이 상기 입체형 돌출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입체형 돌출부의 내측이 외부와 연통되는 통기구를 형성하며, 상기 착용자의 앞턱에 밀착되는 앞턱 밀착부; 상기 입체형 돌출부의 내측에 선택적으로 교체 가능하게 배치되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 및 하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둘레부분이 상기 입체형 돌출부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입체형 돌출부와 함께 상기 필터가 수납되는 필터 수납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필터 수납 공간부에 수납된 상기 필터가 상기 착용자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가림막;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sk body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portion including the nose and mouth of the wearer,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hook string to be hung on the wearer's ears on both sides; a three-dimensional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enter of the mask body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provided with a space inside the mask body to position the wearer's nose and mouth; a front chin contact portion provided 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entral side of the mask body, a portion of which is provided to be located inside the three-dimensional protrusion, and an inner side of the three-dimensional protrusion to form a vent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nd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earer's front chin; a filter that is selectively replaceably disposed inside the three-dimensional protrusion and filters harmful substance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a peripheral portion other than the lower end is mounted inside the three-dimensional protrusion to form a filter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filter is accommodated together with the three-dimensional protrusion, and the filter accommodated in the filter receiving space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wearer. It includes a screen to prevent it from happening.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달성된다.The use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hieves the following advantages.

1. 마스크 본체에 형성된 통기구를 통하여 호흡을 편하게 해주면서 비말을 포함한 유해물질의 유입을 최대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1. It has the effect of blocking the inflow of harmful substances including droplets as much as possible while making breathing easier through the ventilation holes formed in the mask body.

2. 사람이 밀집된 장소에서 통기구를 폐쇄하여 비말을 포함한 유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더욱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2. It has the effect of blocking the inflow of harmful substances including droplets as much as possible by closing the vents in crowded places.

3. 필터의 오염 시, 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3. When the filter is contaminat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ilter can be easily replaced.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전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후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필터 수납 공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에 장착되는 필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장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부착부재에 제2 부착부재가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및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ront structure of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rear surface of the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ilter accommodation space of the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filter mounted on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mounting a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attachment member is attached to the first attachmen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t this time,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전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후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필터 수납 공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ront surface of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rear surface of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ilter accommodation space of the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에 장착되는 필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장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부착부재에 제2 부착부재가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In addition,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filter mounted on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mounting th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attachment member is attached to the first attachmen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는 마스크 본체(110), 입체형 돌출부(130), 앞턱 밀착부(140), 필터(180), 및 가림막(16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6 , the mas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sk body 110 , a three-dimensional protrusion 130 , a front chin adhesion part 140 , a filter 180 , and a shield 160 . ) may be included.

마스크 본체(110)는 마스크(100)를 입체적으로 펼쳐서 착용 시 착용자의 적어도 코와 입 부위를 수용할 수 있는 안면부 수용공간을 제공한다.The mask body 110 provides a face receiving space that can accommodate at least the nose and mouth of the wearer when the mask 100 is three-dimensionally unfolded and worn.

마스크 본체(110)는 바람직하게는 천으로 이루어져서 유연성을 갖는 것이 좋으나, 다른 다양한 특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마스크 본체(110)는 착용자가 마스크(100)를 착용할 때, 착용자 안면부의 일부를 가리면서 외부에 보이는 외측면(111)과, 착용자의 안면부에 접촉하는 내측면(112)을 가진다. 마스크 본체(110)는 단일의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별개의 천이 중첩되어 형성된 2중 또는 3중의 천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mask body 110 is preferably made of cloth and preferably has flexibility, but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various other characteristics. The mask body 110 has an outer surface 111 that is visible to the outside while covering a portion of the wearer's face when the wearer wears the mask 100, and an inner surface 112 that contacts the wearer's face. The mask body 110 may be made of a single fabric, or may be made of a double or triple fabric formed by overlapping separate fabrics.

마스크 본체(110)는 필터 기능을 가지는 공기 투과성 섬유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The mask body 110 may be formed of air permeable fibers having a filter function.

마스크 본체(110)의 적어도 내측면(112)은 피부에 직접적으로 닿는 부분이므로 외측면(111)에 비해 피부 자극이 없는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at least the inner surface 112 of the mask body 110 is a part in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it is preferable to be made of fibers that do not cause skin irritation compared to the outer surface 111 .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는 접이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마스크(100)에는 마스크(100) 착용 시를 기준으로 중심을 세로방향으로 지나도록 연장된 접이선(13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접이선(131)은 마스크 본체(110)에 마련된 입체형 돌출부(130)에 봉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는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1 and 3 , the mas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foldable manner. In this case, the mask 100 has the center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mask 100 is worn A folding line 131 extending past may be provided. The fold line 131 may be formed by a bar on the three-dimensional protrusion 130 provided on the mask body 110, bu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마스크 본체(110)의 접이선(131)은 천으로 이루어진 마스크 본체(110)의 형태를 입체적으로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스크 본체(110)의 접이선(131)이 구비됨으로써, 착용자의 코와 입을 포함한 얼굴 윤곽을 효과적으로 덮어줄 수 있는 볼륨감을 갖게 된다. 따라서, 마스크 본체(110)의 외측은 볼록하게 형성되고, 내측은 오목하게 형성된다.The fold line 131 of the mask body 110 may help to three-dimensionally maintain the shape of the mask body 110 made of cloth.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old line 131 of the mask body 110 is provided, it has a sense of volume that can effectively cover the contour of the face including the nose and mouth of the wearer. Accordingly, the outer side of the mask body 110 is formed to be convex, and the inner side is formed to be concave.

한편, 마스크 본체(110)의 양측에는 걸이끈(120)이 결합될 수 있다. 걸이끈(120) 각각은 착용자의 좌우측 귀에 고정되어 마스크 본체(110)가 착용자의 안면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hook string 120 may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mask body 110 . Each of the hanging straps 120 is fixed to the left and right ears of the wearer to prevent the mask body 1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wearer's face.

이때, 각각의 걸이끈(120)에는 착용자 자신의 안면구조에 맞도록 각각의 걸이끈(120)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끈 조절부(121)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of the hanging straps 120 may be provided with a strap adjustment unit 121 capable of appropriately adjusting each of the hanging straps 120 to fit the wearer's own facial structure.

또한, 마스크 본체(110)의 중앙측 상단부에는 착용자가 마스크(100)를 착용할 때 착용자의 코에 마스크(100)를 밀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고정클립(113)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xing clip 113 for attaching and fixing the mask 100 to the nose of the wearer when the wearer wears the mask 100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central side of the mask body 110 .

고정클립(113)은 마스크 본체(110)의 중심측 상단부측의 내부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The fixing clip 113 may be inserted and installed inside the upper end side of the center side of the mask body 110 .

고정클립(113)은 착용자의 코 형상에 맞게 형상이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과 같이 연성과 복원력을 가지는 연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는 않는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The fixing clip 113 may be appropriately deformed in shape to suit the shape of the wearer's nose, and for example, a soft material having ductility and restoring force such as aluminum may be used, bu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일 예로, 착용자가 마스크(100)를 착용할 때 면 형태의 마스크(100)와 콧등이 맞닿는 부분 및 양볼의 걸이끈(120) 연결부위에 미세한 틈이 발생하게 된다. 그 미세한 틈에 의해 외부 환경으로부터 비말을 포함한 유해물질 등이 유입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마스크 본체(110) 중심측 상단부측에 연성 및 복원력이 우수한 고정클립(113)을 삽입하여 각각 상이한 착용자의 코 형상에 맞게 고정시켜 주어 착용자의 양볼과 마스크(100) 사이의 미세한 틈을 제거하여 비말을 포함한 유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wearer wears the mask 100 , a minute gap is generated in the portion where the cotton mask 100 and the bridge of the nose come into contact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hook string 120 on both cheeks. Hazardous substances, including droplets, are introduc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through the minute gap. In order to prevent this, a fixing clip 113 having excellent ductility and restoring force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mask body 110 and fixed to fit the nose shape of each different wearer, so that a minute gap between both cheeks of the wearer and the mask 100 to block the inflow of harmful substances including droplets.

다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돌출부(130)는 마스크 본체(110)의 중심에서 상하측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S. 1 and 3 , the three-dimensional protrusion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enter of the mask body 110 in the vertical direction.

입체형 돌출부(130)의 하부는 후술하는 연통구(153)를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A lower portion of the three-dimensional protrusion 130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a communication hole 153 to be described later.

입체형 돌출부(130)의 내측(돌출된 부분의 반대측)에는 착용자의 코 및 입 부위가 위치되도록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공간은 후술하는 가림막(160)에 의해 가려져 필터(180)를 수납하기 위한 필터 수납 공간부(170)를 형성하게 된다.A space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three-dimensional protrusion 13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rotruding portion) so that the wearer's nose and mouth are positioned. This space is covered by a shielding film 160 to be described later to form a filter accommodating space 170 for accommodating the filter 180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앞턱 밀착부(140)는 마스크 본체(110)의 중심측 하단부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앞턱 밀착부(140)는 착용자가 마스크 본체(110)를 착용 시, 앞턱 부분이 밀착될 수 있다.The front chin attachment part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end side of the center side of the mask body 110 , and the front chin attachment part 140 is formed on the front chin when the wearer wears the mask body 110 . The parts may be tight.

한편, 앞턱 밀착부(140)는 중심에서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보조 접이선(141)이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 chin contact portion 140 may be provided with an auxiliary folding line 141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center.

앞턱 밀착부(140)에 마련된 보조 접이선(141)은 입체형 돌출부(130)에 마련된 접이선(131)의 기능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즉, 보조 접이선(141)은 접이선(131)을 도와 마스크(100)를 접을 때 용이하게 하고, 마스크(100)를 더욱 볼륨감을 가지도록 한다. The auxiliary fold line 141 provided on the front chin contact unit 140 serves to assist the function of the fold line 131 provided on the three-dimensional protrusion 130 . That is, the auxiliary fold line 141 helps the fold line 131 to facilitate folding of the mask 100 and makes the mask 100 more voluminous.

앞턱 밀착부(140)의 일부분은 입체형 돌출부(13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되, 일체형 돌출부의 내측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입체형 돌출부(130)의 하단부와 앞턱 밀착부(140)의 상면 사이에는 외부와 필터 수납 공간부(170)이 연통되는 통기구(151)가 형성되게 된다.A portion of the front chin contact part 140 may be disposed to be located inside the three-dimensional protrusion 130 , and may be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ide of the integral protrusion 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three-dimensional protrusion 13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chin contact portion 140 , a vent 151 through which the filter receiving space 170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is formed.

또한, 통기구(151)의 내측에는 일정 길이를 가진 공기 이동 통로(152)가 형성되며, 이러한 공기 이동 통로(152)는 착용자의 들숨에 의한 외부공기가 통기구(151)를 통해 유입되어 이동되고, 착용자의 날숨에 의한 공기가 이동되어 통기구(15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ir movement passage 152 having a certain length is formed inside the ventilation hole 151, and the air movement passage 152 is moved by introducing external air by the wearer's inhalation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151, Air may be moved by the wearer's exhalation and discharged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151 .

즉, 통기구(151)를 포함한 공기 이동 통로(152)는 착용자의 호흡기를 통해 직접적으로 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지 않도록 하고, 공기가 앞턱 밀착부(140)를 경유하여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 유입되는 비말을 포함한 유해물질은 착용자에게 최소로 유입될 수 있으며, 착용자로부터 배출되는 비말은 외부에 최소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air movement passage 152 including the vent 151 prevents air from being directly introduc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wearer's respirator, and allows air to flow in and out through the front chin contact unit 140, so that from the outside Hazardous substances including incoming droplets can be introduced to the wearer to a minimum, and droplets discharged from the weare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a minimum.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160)은 입체형 돌출부(130)의 내측 둘레에 장착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가림막(160)은 하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둘레부분이 입체형 돌출부(130)의 내측 둘레부분에 봉재를 통해 장착될 수 있다.The shielding film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unt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three-dimensional protrusion 130 . More specifically, the perimeter of the shield 160 other than the lower end may be mount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three-dimensional protrusion 130 through a bar.

즉, 가림막(160)은 입체형 돌출부(130)와 함께 필터(180)가 수납되는 필터 수납 공간부(170)를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필터 수납 공간부(170)에 수납된 필터(180)가 착용자의 안면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That is, the shielding membrane 160 forms the filter accommodation space 170 in which the filter 180 is accommodated together with the three-dimensional protrusion 130 and the filter 180 accommodated in the filter accommodation space 170 is the wearer's Avoid direct contact with the face.

한편, 가림막(160)의 하단부에는 연성적으로 늘어나는 주름부(161)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자가 필터(180)를 필터 수납 공간부(170)에서 제거하고, 새로운 필터(180)를 필터 수납 공간부(170)에 필터(180)를 수납하는 교체과정에서 착용자가 주름부(161)를 당기게 되면 필터 수납 공간부(170)가 확장된다. 즉, 주름부(161)에 의해 필터 수납 공간부(170)가 확장됨에 따라, 착용자는 필터 수납 공간부(170)에서 필터(18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a wrinkle portion 161 that is softly stretched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hielding film 160 . For example, in the replacement process in which the wearer removes the filter 180 from the filter accommodating space 170 and receives the filter 180 in the filter accommodating space 170 with a new filter 180, the wearer wears the wrinkle part When the 161 is pulled, the filter accommodation space 170 is expanded. That is, as the filter accommodation space 170 is expanded by the pleats 161 , the wearer can easily replace the filter 180 in the filter accommodation space 170 .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필터 수납 공간부(170)를 확장시키기 위하여, 가림막(160) 하단부에 형성된 주름부(161) 대신 가림막 중심부 측에 추가 접이선이 마련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가림막(160) 중심부 측에 입체형 돌출부(130) 상에 마련된 접이선(131)과 같은 추가 접이선을 마련하여, 가림막(160)이 입체적으로 변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필터 수납 공간부(170)를 확장시킬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order to expand the filter accommodation space 170 , an additional fold line may be provided on the central side of the mask instead of the pleats 161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mask 160 . More specifically, by providing an additional folding line such as a folding line 131 provided on the three-dimensional protrusion 130 on the central side of the shielding film 160 to make the shielding film 160 three-dimensionally deformable, the filter accommodation space part (170) may be expanded.

한편, 가림막(160)의 하단측과 앞턱 밀착부(140)의 상단측 사이에는 통기구(151)와 연통되는 연통구(153)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연통구(153)는 공기 이동 통로(152)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communication port 153 communicating with the ventilation hole 151 may be provided between the lower end side of the shielding film 160 and the upper end side of the front jaw contact unit 140 .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hole 153 may be formed to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air movement passage 152 .

예를 들어, 착용자가 호흡함에 있어서, 들숨인 경우에는 외부의 공기가 통기구(151)를 통해 유입되어 공기 이동 통로(152)로 이동한 다음, 연통구(153)를 통해 착용자의 호흡기로 유입되며, 날숨인 경우에는 착용자의 호흡기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연통구(153)를 통해 배출되어 공기 이동 통로(152)로 이동한 다음, 통기구(15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For example, when the wearer breathes, in the case of inhalation, external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vent 151 and moves to the air passage 152 , and then flows into the wearer's respiratory tract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53 , , in the case of exhalation,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wearer's respirator is discharged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153 , moves to the air movement passage 152 , and the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entilation port 151 .

이에 따라, 외부에서 유입되는 비말을 포함한 유해물질은 착용자에게 최소로 유입될 수 있으며, 착용자로부터 배출되는 비말은 외부에 최소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harmful substances including droplet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can be minimally introduced into the wearer, and droplets discharged from the wearer can be minim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180)는 항균필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필터(180)는 공기 투과성 섬유 소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an antibacterial filter may be used for the filter 1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lter 180 may be formed of an air-permeable fiber material.

상기 필터(180)는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스폰지를 사용함도 가능하다. 물론, 필터(180)는 천연섬유 부직포, 합성섬유 부직포, 스폰지 등을 하나 이상 적층하여 제조된 적층형 필터(180)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The filter 180 may be made of natural fiber or synthetic fiber, and a sponge may be used if necessary. Of course, the filter 180 may be formed of a multilayer filter 180 manufactured by laminating one or more natural fiber nonwoven fabric, synthetic fiber nonwoven fabric, sponge, and the like.

또한, 필터(180)는 휴대 시 마스크 본체(110)와 함께 접힐 수 있도록 유연성이 있는 섬유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180 may be made of a flexible fiber material so that it can be folded together with the mask body 110 when carrying.

이러한 필터(180)는 필터본체(181) 및 한 쌍의 위치 고정부(18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180 may include a filter body 181 and a pair of position fixing units 182 .

필터본체(181)는 필터 수납 공간부(170)에 수납될 수 있으며, 필터본체(181)의 형상은 입체형 돌출부(130)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착용자의 호흡기를 가릴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느 형상이라도 가능하여 필터본체(181)의 형상에 대해서는 제한하지는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The filter body 181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lter receiving space 170 , and the shape of the filter body 181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protrusion 130 , but may cover the wearer's respirato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hape of the filter body 181 is not limited since any possible shape is possible.

한 쌍의 위치 고정부(182)는 필터본체(181)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입체형 돌출부(130)의 내측면에 장착된 필터본체(181)의 위치가 변동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pair of position fixing parts 182 are formed to protrude on both sides of the filter body 181 and serve to prevent the position of the filter body 181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protrusion 130 from being changed.

한편, 가림막(160)의 양측면에는 필터 수납 공간부(170)와 마스크 본체(110)의 내측면이 연통되도록 절개된 한 쌍의 절개홀(162)이 마련되며, 필터(180)의 한 쌍의 위치 고정부(182)가 한 쌍의 절개홀(162)에 각각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air of incision holes 162 cut so that the filter receiving space 17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body 11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hielding film 160 , and a pair of The position fixing unit 182 may be fixed by being fitted into the pair of cut-out holes 162 , respectively.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본체에 필터를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Referring to FIG. 4 , a process of mounting the filter on the mask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마스크 본체(110)를 뒤집은 다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림막(160)의 하단부에 형성된 주름부(161)를 당겨 필터 수납 공간부(170)를 확장시켜 필터(180)를 필터 수납 공간부(170)에 수납한다. 그 다음, 가림막(160)의 양측에 형성된 각각의 절개홀(162)에 한 쌍의 위치 고정부(182)를 삽입하여 필터본체(11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As shown in (a) of FIG. 4, after turning over the mask body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The filter accommodating space 170 is expanded to accommodate the filter 180 in the filter accommodating space 170 . Next, a pair of position fixing units 182 are inserted into the cutout holes 16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hielding film 160 to fix the position of the filter body 110 .

그 다음,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수납 공간부(170)를 확장시키기 위해 당겨진 주름부(161)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면서 필터본체(181)가 입체형 돌출부(130)의 내측면에 위치되도록 한다.Then, as shown in FIG. 4(c), the filter body 181 is moved inside the three-dimensional protrusion 130 while returning the pulled pleats 161 to the original position to expand the filter accommodation space 170. to be placed on the side.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마스크 본체에 필터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filter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mask body.

본 고안의 일 실시에에 따른 마스크(100)는 통기구(151)를 선택적으로 밀폐하는 밀폐수단(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밀폐수단(190)은 제1 부착부재(191) 및 제2 부착부재(192)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s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means 190 for selectively sealing the vent 151 . The sealing means 190 may include a first attachment member 191 and a second attachment member 192 .

제1 부착부재(191)는 앞턱 밀착부(140) 상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제2 부착부재(192)는 필터(180)의 후면 하단부에 장착되어 제1 부착부재(191)와 선택적으로 탈부착될 수 있다.The first attachment member 191 may be mounted on the front chin attachment unit 140 , and the second attachment member 192 is mounted on the lower rear portion of the filter 180 to selectively detach and attach to the first attachment member 191 . can be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부착부재(191) 및 제2 부착부재(192)가 각각 벨크로테이프로 구성된 것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부착부재(191) 및 제2 부착부재(192)가 각각 자석으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this embodiment, although it is suggested that the first attachment member 191 and the second attachment member 192 are each made of Velcro tape, i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each of the first attachment member 191 and the second attachment member 192 may be implemented as a magnet.

예를 들어, 착용자가 사람이 밀집된 장소에 있을 경우, 마스크(100)의 통기구(151)를 폐쇄하여 통기구(151)를 통해 비말을 포함한 유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wearer is in a crowded place, it will be necessary to close the vent 151 of the mask 100 to prevent harmful substances including droplets from entering through the vent 151 .

이때, 착용자는 제2 부착부재(192)가 장착된 입체형 돌출부(130)측의 전면을 눌러 제2 부착부재(192)가 제1 부착부재(191)에 부착되도록 하여 통기구(151)가 밀폐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통기구(151)를 통해 비말을 포함한 유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earer presses the front side of the three-dimensional protrusion 130 on which the second attachment member 192 is mounted so that the second attachment member 192 is attached to the first attachment member 191 so that the ventilation hole 151 is sealed. do.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flow of harmful substances including droplets through the vent 151 as much as possible.

즉, 통기구(151) 측에 밀폐수단(190)이 구비됨에 따라, 착용자는 주변환경에 맞게 통기구(151)를 개방하거나 밀폐할 수 있어, 사람이 드문 장소에서는 통기구(151)를 개방하여 호흡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사람이 밀집된 장소에서는 통기구(151)를 밀폐시켜 외부에서 비말을 포함한 유해물질이 통기구(151)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That is, as the sealing means 19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vent 151, the wearer can open or close the vent 151 to sui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in a place where people are rare, the vent 151 is opened to prevent breath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and to prevent harmful substances including droplets from entering through the vent 151 from the outside by sealing the vent 151 in a crowded place.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작용을 상세히 기술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

도 7은 마스크에 필터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작용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도 7의 (a)는 착용자의 들숨 시, 외부에서 비말을 포함한 유해물질이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의 (b)는 착용자의 날숨 시, 착용자로부터 비말이 전파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7 shows the oper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ilter is not mounted on the mask. At this time, Fig. 7 (a) shows a state in which harmful substances including droplets are moved from the outside when the wearer breathes in, and Figure 7 (b) shows a state in which droplets are propagated from the wearer when the wearer exhales. will be.

도 7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착용자가 필터(180)없이 마스크(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들숨 시에는 외부에서 비말을 포함한 유해물질이 착용자의 호흡기로 직접적으로 유입되지 않고, 통기구(151)로 유입되어 공기 이동 통로(152)를 지나 연통구(153)를 통해 유입되며,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들숨 시에는 착용자의 호흡기로부터 배출되는 비말이 연통구(153)를 통해 배출되어 공기 이동 통로(152)를 지나 통기구(151)를 통해 배출된다.Referring to FIG. 7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 a ) in a state in which the wearer wears the mask 100 without the filter 180 , when the wearer breathes in, harmful substances including droplets from the outside This does not flow directly into the wearer's respirator, but flows into the vent 151, passes through the air movement passage 152 and flows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53, and as shown in FIG. 7(b), the wearer's During inhalation, droplets discharged from the wearer's respiratory tract are discharged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153 , pass through the air passage 152 , and are discharged through the ventilation port 151 .

이에 따라, 외부에서 유입되는 비말을 포함한 유해물질은 착용자에게 최소로 유입될 수 있으며, 착용자로부터 배출되는 비말은 외부에 최소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harmful substances including droplet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can be minimally introduced into the wearer, and droplets discharged from the wearer can be minim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도 8은 마스크에 필터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작용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도 8의 (a)는 통기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의 (b)는 밀폐수단에 의해 통기구가 밀폐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8 shows the oper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ilter is mounted on the mask. At this time, (a) of FIG. 8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ventilation is opened, and (b) of FIG. 8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ventilation hole is closed by the sealing means.

도 8을 참조하면, 사람이 밀집된 장소에서 착용자가 필터(180)가 장착된 마스크(100)를 사용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8 , a case in which the wearer uses the mask 100 equipped with the filter 180 in a densely populated plac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착용자가 사람이 밀집된 장소에 있을 경우, 착용자는 마스크(100)의 통기구(151)를 폐쇄하여 통기구(151)를 통해 비말을 포함한 유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When the wearer is in a crowded place, the wearer needs to close the vent 151 of the mask 100 to prevent harmful substances including droplets from entering through the vent 151 .

이때,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는 제2 부착부재(192)가 장착된 입체형 돌출부(130)측의 전면을 누르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착부재(192) 제1 부착부재(191)에 부착되어 통기구(151)가 밀폐된다. 이에 따라, 통기구(151)를 통해 비말을 포함한 유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고, 착용자의 비말이 통기구(151)를 통해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a) of FIG. 8, when the wearer presses the front side of the three-dimensional protrusion 130 on which the second attachment member 192 is mounted, as shown in (b) of FIG. 2 The attachment member 192 is attached to the first attachment member 191 and the ventilation hole 151 is seal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aximally prevent harmful substances including droplets from entering through the vent 151 and to prevent the wearer's droplets from propagat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vent 151 as much as possibl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에 형성된 통기구를 통하여 호흡을 편하게 해주면서 비말을 포함한 유해물질의 유입을 최대한 차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lock the inflow of harmful substances including droplets as much as possible while making breathing easier through the ventilation holes formed in the mask body.

또한, 사람이 밀집된 장소에서 통기구를 폐쇄하여 비말을 포함한 유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더욱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block the inflow of harmful substances, including droplets, as much as possible by closing the vent in a crowded place.

또한, 필터의 오염 시, 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lter is contaminated, the filter can be easily replaced.

이상으로 본 고안에 관하여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는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마스크 110: 마스크 본체
111: 마스크 본체의 외측면 112: 마스크 본체의 내측면
113: 고정클립 120: 걸이끈
121: 끈 조절부 130: 입체형 돌출부
131: 접이선 140: 앞턱 밀착부
141: 보조 접이선 151: 통기구
152: 공기 이동 통로 153: 연통구
160: 가림막 161: 주름부
162: 절개홀 170: 필터 수납 공간부
180: 필터 181: 필터본체
182: 위치 고정부 190: 밀폐수단
191: 제1 부착부재 192: 제2 부착부재
100: mask 110: mask body
111: outer surface of the mask body 112: inner surface of the mask body
113: fixing clip 120: hanging strap
121: string control unit 130: three-dimensional protrusion
131: fold line 140: front chin contact part
141: auxiliary fold line 151: vent
152: air movement passage 153: communication port
160: screen 161: wrinkle part
162: cut-out hole 170: filter storage space
180: filter 181: filter body
182: position fixing unit 190: sealing means
191: first attachment member 192: second attachment member

Claims (9)

마스크에 있어서,
양측에는 착용자의 귀에 걸 수 있도록 걸이끈이 각각 연결되며, 착용자의 코 및 입을 포함한 안면부가 밀착되도록 형성된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의 중심에서 상하측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며, 내측에는 상기 착용자의 코 및 입 부위가 위치되도록 공간이 마련된 입체형 돌출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중심측 하단부분에 마련되되 일부분이 상기 입체형 돌출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입체형 돌출부의 내측이 외부와 연통되는 통기구를 형성하며, 상기 착용자의 앞턱에 밀착되는 앞턱 밀착부;
상기 입체형 돌출부의 내측에 선택적으로 교체 가능하게 배치되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 및
하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둘레부분이 상기 입체형 돌출부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입체형 돌출부와 함께 상기 필터가 수납되는 필터 수납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필터 수납 공간부에 수납된 상기 필터가 상기 착용자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가림막;을 포함하는
마스크.
in the mask,
a mask body, each of which has hooks connected to both sides so that it can be hung on the wearer's ear, and is form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wearer's face including the nose and mouth;
a three-dimensional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enter of the mask body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provided with a space inside the mask body to position the wearer's nose and mouth;
a front chin contact portion provided 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entral side of the mask body, a portion of which is provided to be located inside the three-dimensional protrusion, and an inner side of the three-dimensional protrusion to form a vent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nd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earer's front chin;
a filter that is selectively replaceably disposed inside the three-dimensional protrusion and filters harmful substance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The rest of the circumference except for the lower end is mounted inside the three-dimensional protrusion to form a filter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filter is accommodated together with the three-dimensional protrusion, and the filter accommodated in the filter receiving space is not in direct contact with the wearer. a screen to prevent; including
Mas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의 하단부와 상기 앞턱 밀착부의 상단부 사이에는 상기 통기구와 연통되도록 연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체형 돌출부는 상기 연통구를 지나도록 연장 형성되며, 상기 착용자의 들숨 및 날숨 공기가 이동되는 공기 이동 통로를 구비한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
A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shield and the upper end of the front chin adhesion part to communicate with the ventilation hole,
The three-dimensional protrusion is formed to extend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the mask having an air passage through which the wearer's inhalation and exhalation air mov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의 하단부에는 상기 필터가 상기 필터 수납 공간부에 수납되는 과정에서 상기 필터 수납 공간부를 확장시키기 위해 탄성적으로 늘어나는 주름부가 구비된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
A mask provided with a wrinkle portion resiliently stretched at a lower end of the shield to expand the filter accommodation space while the filter is accommodated in the filter accommodation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장착 또는 교체 시의 상기 필터는 상기 연통구를 통해 상기 필터 수납 공간부 내로 수납되어, 상기 입체형 돌출부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filter is installed or replaced, the filter is accommodated in the filter receiving space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and is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protru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필터 수납 공간부에 수납되며, 상기 입체형 돌출부의 내측에 장착되는 필터본체; 및
상기 필터본체의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입체형 돌출부에 장착된 상기 필터본체의 위치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 고정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
the filter is
a filter body accommodated in the filter receiving space and mounted inside the three-dimensional protrusion; and
It is formed to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filter body, and a position fixing part for preventing the position of the filter body mounted on the three-dimensional protrusion from being deformed; including a
Mask.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의 양측면에는 상기 필터 수납 공간부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측면이 연통되도록 절개된 절개홀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위치 고정부는 상기 절개홀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마스크.
6. The method of claim 5,
A mask in which cut-out holes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hield so that the filter receiving sp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bod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pair of position fixing parts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cut-out holes to be fix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상기 통기구를 선택적으로 밀폐하는 밀폐수단을 더 포함하는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
The mask further comprises a sealing means for selectively sealing the vent ho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앞턱 밀착부 상에 장착되는 제1 부착부재; 및
상기 필터의 후면 하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부착부재와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는 제2 부착부재를 포함하는,
마스크.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aling means
a first attachment member mounted on the front chin adhesion part; and
and a second attachment member mounted on the lower rear end of the filter and selectively detachable from the first attachment member,
Mask.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부재 및 상기 제2 부착부재는 각각 벨크로테이프로 구성된 마스크.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attachment member and the second attachment member are each made of a Velcro tape.
KR2020200002442U 2020-07-08 2020-07-08 Mask KR20049624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442U KR200496245Y1 (en) 2020-07-08 2020-07-08 Mas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442U KR200496245Y1 (en) 2020-07-08 2020-07-08 Mas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151U true KR20220000151U (en) 2022-01-17
KR200496245Y1 KR200496245Y1 (en) 2022-12-08

Family

ID=80049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442U KR200496245Y1 (en) 2020-07-08 2020-07-08 Mas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245Y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690B1 (en) 2005-08-12 2007-04-02 손세화 A Filter Having Solid Mask For A Chil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3714B2 (en) * 1992-06-12 2001-07-09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Anti-blooming olefinic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KR100678716B1 (en) * 2005-08-12 2007-02-02 손세화 A mask having filter
KR102094480B1 (en) * 2019-05-27 2020-04-01 (주)엘에스케이화인텍스 Reusable antibacterial mask for fine dus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690B1 (en) 2005-08-12 2007-04-02 손세화 A Filter Having Solid Mask For A Chi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245Y1 (en)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7036B2 (en) Unpowered respiratory protective headset and body suit and additional improvements to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KR101134604B1 (en) Facemask structure improvement
US7523750B2 (en) Breathing respirator
WO2016204455A1 (en) Mask
CN115666730A (en) Anti-infection mask
KR102245642B1 (en) Mask Guide
KR20180002801U (en) Dust mask which has double structure
KR20190119804A (en) A Dustproof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reof
KR20190097802A (en) Mask
KR100610155B1 (en) Mask having a filter cap for containing a nose
KR20210060062A (en) Nose mask for fine dust
KR20200023348A (en) A Dustproof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reof
KR200496245Y1 (en) Mask
US20230338755A1 (en) Face Mask with Improved Face Seal
JP3230429U (en) Mask separator and mask
WO2022019568A1 (en) Face mask for fire evacuation
KR20210000416U (en) Face shield mask
KR20190002556U (en) Mask for blocking fine dust
KR200497457Y1 (en) Mask
KR20210107233A (en) Mask
CN215737019U (en) Sealed protective clothing for women for avoiding eye fog
KR102421391B1 (en) Anti-fog mask
CN211912485U (en) Protective mask
KR102420381B1 (en) Ventilation type mask
JP3230632U (en) ma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