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042U - Hygiene mask - Google Patents

Hygiene mas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042U
KR20220000042U KR2020200002285U KR20200002285U KR20220000042U KR 20220000042 U KR20220000042 U KR 20220000042U KR 2020200002285 U KR2020200002285 U KR 2020200002285U KR 20200002285 U KR20200002285 U KR 20200002285U KR 20220000042 U KR20220000042 U KR 202200000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p forming
forming part
face
wearer
shield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28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일
Original Assignee
김정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일 filed Critical 김정일
Priority to KR20202000022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0042U/en
Publication of KR202200000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042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92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with antimicrobial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가림부와 안면 사이에 충분한 공기통로를 확보하여 호흡공기의 원활한 순환을 도모할 수 있으면서도 비말에 의한 바이러스 전파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위생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위생 마스크는, 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착용자의 입과 코를 가릴 수 있는 가림부와; 상기 가림부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간극 형성부; 및 상기 가림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가림부를 얼굴에 고정시키고 상기 가림부를 안면 측으로 당겨서 상기 간극 형성부의 일단부를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간극 형성부는, 상기 가림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중심의 좌측영역에 위치하는 제1a 간극 형성부; 및 상기 중심의 우측영역에 위치하는 제2a 간극 형성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가림부를 얼굴에 고정시킬 시, 상기 제1a 간극 형성부는 착용자의 코와 입의 좌측에 위치하는 안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2a 간극 형성부는 착용자의 코와 입의 우측에 위치하는 안면에 밀착되어, 상기 가림부와 착용자의 안면 사이에 통기용 간극을 형성하고 유지시키도록 구성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nitary mask capable of effectively suppressing the spread of virus by droplets while ensuring a sufficient air passage between the shielding part and the face to promote the smooth circulation of breathing air.
A sanitary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resin material and includes a shielding part that can cover the wearer's mouth and nose; a gap forming part formed in a protrusion shape protruding to the rear of the shielding part; and fixing mean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shielding part, respectively, to fix the shielding part to the face and pulling the shielding part toward the face to bring one end of the gap forming par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earer's face.
In addition, the gap forming part may include: a first gap forming part located in a left region of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hielding part; and a second gap forming part located in a region right of the center.
And, when the shielding part is fixed to the face through the fixing means, the first gap forming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wearer's nose and mouth, and the 2a gap forming part is the right side of the wearer's nose and mouth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located in, and is configured to form and maintain a gap for ventilation between the masking portion and the wearer's face.

Description

위생 마스크{HYGIENE MASK}Hygiene mask {HYGIENE MASK}

본 고안은 부직포 마스크의 원활하지 못한 호흡공기의 흡입/배출, 덥고 갑갑한 착용감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면서도 비말에 의한 코로나 바이러스 전파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위생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nitary mask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spread of corona virus by droplets while solving problems such as inhalation/discharge of breathing air that is not smooth of a nonwoven mask, and a hot and cramped fit.

식당, 정육점, 마트 등 식품 취급점, 의사 등이 고객과 접할 경우에 타액의 토출방지와 감기나 바이러스의 전염을 막기 위해 위생용 마스크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마스크들은 착용의 편리성과 세탁의 편리성을 고려해 부직포 등의 저가 재질로 제작된 1회용 마스크가 흔히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런 부직포 마스크들은 호흡의 편리성을 위해 공기 투과성이 높은 재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방진이나 바이러스 필터링 성능이 미약함에도, 외부공기의 유입을 제한하기 위해 코와 입 전체를 가리는 방식이기 때문에, 호흡용 공기의 흡입과 배출이 원활하지 않아, 덥고 답답하며, 피로를 느끼게 하는 원인이 될 뿐 아니라, 여자인 경우 마스크를 쓰면 얼굴의 화장이 지워지고, 더 나아가 마스크가 고객과의 대화 전달을 가로막기 때문에 대화시는 사실상 마스크를 벗어야 하는 등 의 이유로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Food handling stores such as restaurants, butchers, supermarkets, and doctors are using sanitary masks to prevent the discharge of saliva when they come in contact with customers and to prevent the spread of colds or viruses. Disposable masks made of low-cost materials such as non-woven fabrics are commonly used for these masks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wearing and washing. However, since these non-woven masks use a material with high air permeability for the convenience of breathing, the dust-proof and virus filtering performance is weak. Inhalation and exhaustion of the product is not smooth, which causes hot, stuffy, and tired feeling. If you are a woman, wearing a mask removes facial makeup, and furthermore, the mask blocks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In reality,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original purpose, such as having to take off the mask.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호흡기를 막는 방식이 아닌 전방에 박막의 입가림판을 가진 입가림 마스크가 사용되고 있다(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13171호 참조).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recently, a mouth mask having a thin film covering plate in the front is used instead of a method of blocking the respirator (refer to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2-0013171).

이와 같은 마스크는 입가림판과 입가림판 고정부재와 이 고정부재가 연결되어 마스크체를 얼굴에 견고히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가볍고 탄성력을 갖고, 세척 및 재활용이 용이한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입가림 마스크는 종래의 부직포 마스크에 비해 입가림판과 입과의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유지시켜 착용의 쾌적함을 확보하고, 지지부재가 얼굴에 접촉되는 면적이 작고, 청소 등을 통한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Such a mask consists of a mouth cover plate, a mouth cover board fixing member, and a fixing frame that is connected to the fixing member to firmly fix the mask body to the face, and uses a plastic material that is light and has elasticity, and is easy to clean and recycle. .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non-woven fabric mask, this masking mask maintains a sufficient space between the mouth covering plate and the mouth to ensure comfortable wearing, and the area in which the support memb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ace is small, and it can be recycled through cleaning, etc. There is an advantage that

종래 입가림 형태의 마스크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13171호와 같이, 입가림판 하단부에 턱지지부(6)를 설치하여, 이 턱지지부(6)가 턱에 고정됨으로써 입가림판이 안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s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mask in the form of covering a mouth, as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2-0013171, a chin support part 6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mouth cover plate, and the chin support part 6 is fixed to the chin so that the mouth cover plate is removed from the face. It is configured to be fixed in a spaced apart state.

그런데, 이러한 종래 입가림 형태의 마스크는 마스크 착용자가 대화 등의 말을 할 때 턱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턱지지부가 움직이기 때문에, 결국 입가림판의 상하 방향 움직임이 크게 발생하여 착용자의 불편함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hin support part moves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chin when the mask wearer speaks, such as a conversation, in the conventional mask of the mouth covering typ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mouth covering plate is greatly generated, thereby reducing the wearer's discomfort. There were downsides that caused it.

또한, 단지 비말 전파 방지가 아닌 바이러스의 호흡기 유입을 차단하고자 할 경우에는 별도의 부직포 마스크를 착용해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In addition, there was a limitation in that a separate non-woven mask should be worn when trying to block the inflow of the virus into the respiratory tract rather than just to prevent the spread of droplets.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13171호 (2012.02.14.공개)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13171 (published on Feb. 14, 2012)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14045호 (2003.05.09.등록)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14045 (Registered on 2003.05.09.)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가림부와 안면 사이에 충분한 공기통로를 확보하여 호흡공기의 원활한 순환을 도모할 수 있으면서도 비말에 의한 바이러스 전파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위생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cure a sufficient air passage between the shielding part and the face to promote smooth circulation of breathing air, and to effectively suppress the spread of virus by droplets. To provide sanitary masks.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 비말 방지 마스크의 경우 이를 착용한 상태에서 대화 등의 말을 할 때 마스크가 상하 방향으로 크게 움직이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위생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nitary mask capable of solving the problem of large movement of the mask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speaking, such as a conversation, while wearing the conventional anti-splash mask.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단지 비말 전파 방지가 아닌 바이러스의 호흡기 유입을 차단하고자 할 경우에는 가림부 상에 바이러스 차단용 필터를 바로 부착하여 KF94 마스크 등과 같은 바이러스 차단용 마스크로도 전용할 수 있는 위생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to prevent the spread of droplets, but to block the inflow of the virus into the respiratory tract, it is a hygiene that can be used as a virus blocking mask such as a KF94 mask by directly attaching a virus blocking filter on the shielding part. to provide a mask.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위생 마스크는, 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착용자의 입과 코를 가릴 수 있는 가림부와; 상기 가림부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간극 형성부; 및 상기 가림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가림부를 얼굴에 고정시키고 상기 가림부를 안면 측으로 당겨서 상기 간극 형성부의 일단부를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A sanitary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ormed of a resin material and covering the wearer's mouth and nose to cover; a gap forming part formed in a protrusion shape protruding to the rear of the shielding part; and fixing mean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shielding part, respectively, to fix the shielding part to the face and pulling the shielding part toward the face to bring one end of the gap forming par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earer's face.

그리고, 상기 간극 형성부는, 상기 가림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중심의 좌측영역에 위치하는 제1a 간극 형성부; 및 상기 중심의 우측영역에 위치하는 제2a 간극 형성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gap forming part may include: a first gap forming part located in a left region of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hielding part; and a second gap forming part located in a region right of the center.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가림부를 얼굴에 고정시킬 시, 상기 제1a 간극 형성부는 착용자의 코와 입의 좌측에 위치하는 안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2a 간극 형성부는 착용자의 코와 입의 우측에 위치하는 안면에 밀착되어, 상기 가림부와 착용자의 안면 사이에 통기용 간극을 형성하고 유지시키도록 구성된다.And, when the shielding part is fixed to the face through the fixing means, the first gap forming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wearer's nose and mouth, and the 2a gap forming part is the right side of the wearer's nose and mouth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located in, and is configured to form and maintain a ventilation gap between the masking portion and the wearer's face.

바람직하게는, 상기 간극 형성부는, 상기 가림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중심의 좌측영역 중 상기 제1a 간극 형성부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1b 간극 형성부; 및 상기 중심의 우측영역 중 상기 제2a 간극 형성부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2b 간극 형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gap forming part may include: a 1b gap forming part located below the 1a gap forming part in a left region of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hielding part; and a second gap forming part located below the 2a gap forming part in the right region of the center.

상기 경우,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가림부를 얼굴에 고정시킬 시, 상기 제1a 간극 형성부는 착용자의 코의 좌측에 위치하는 안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2a 간극 형성부는 상기 코의 우측에 위치하는 안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1b 간극 형성부는 착용자의 입의 좌측에 위치하는 안면에 밀착되며, 상기 제2b 간극 형성부는 상기 입의 우측에 위치하는 안면에 밀착되어, 상기 가림부와 착용자의 안면 사이에 통기용 간극을 형성하고 유지시키도록 구성된다.In this case, when the shielding part is fixed to the face through the fixing means, the 1a gap forming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wearer's nose, and the 2a gap forming part is on the face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nose In close contact, the 1b gap forming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positioned on the left side of the wearer's mouth, and the 2b gap forming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mouth, and the gap is formed between the shielding part and the wearer's face. configured to form and maintain a gap for air.

본 고안에 따른 위생 마스크에 의하면, 비말에 의한 바이러스 전파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면서도, 마스크와 안면 사이에 공기통로가 확보되어 착용자가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고, 마스크 내부에 습기가 차지 않아 쾌적한 착용감을 보장할 수 있고, 안경 등에 김이 서리지 않으며, 화장 지워짐 등의 거의 없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sanitary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being able to effectively suppress the spread of virus by droplets, an air passage is secured between the mask and the face so that the wearer can breathe smoothly, and there is no moisture inside the mask, so a comfortable wearing feeling It can be guaranteed, there is no fogging on glasses, etc., and there are few advantages such as makeup removal.

본 고안에 따른 위생 마스크에 의하면,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대화 등의 말을 하더라도 종래와 같은 가림부의 큰 움직임이 발생되지 않아 착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sanitary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maximizing the convenience of the wearer because a large movement of the shielding part as in the prior art does not occur even when talking, such as a conversation while wearing the mask.

본 고안에 따른 위생 마스크에 의하면, 비말전파 억제판이 가림부와 안면 사이에 존재하는 통기용 간극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통기용 간극을 가로막는 구조로 착용되어, 착용자의 입에서 나오는 침이나 그 밖의 이물질이 통기용 간극을 통해 측면 방향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sanitary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oplet propagation suppression plate is worn in a structure to block the ventilation gap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ventilation gap existing between the shielding part and the face, and saliva or other foreign substances coming out of the wearer's mouth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protrusion in the lateral direction through the ventilation gap.

본 고안에 따른 위생 마스크에 의하면, 단지 비말 전파 방지가 아닌 바이러스의 호흡기 유입을 차단하고자 할 경우에는 가림부에 바이러스 차단용 필터를 바로 부착하여 KF94 마스크 등과 같은 바이러스 차단용 마스크로도 전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sanitary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you want to block the inflow of the virus into the respiratory tract rather than just to prevent the spread of droplets, it can be used as a virus blocking mask such as the KF94 mask by directly attaching the virus blocking filter to the shielding part. There are advantage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위생 마스크의 후면방향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위생 마스크의 측면방향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위생 마스크의 후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바이러스 차단용 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위생 마스크의 정면방향 착용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위생 마스크의 측면방향 측면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위생 마스크의 상면방향 착용 상태도.
1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sanitary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sanitary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rear view of the sanitary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irus blocking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of the wearing state of the sanitary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of the sanitary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wearing the sanitary mask in the upper surface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갖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existence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서, "~ 상에 또는 ~ 상부에" 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인데, 이는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명세서에서 지칭하는 "~ 상에 또는 ~ 상부에" 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대상 부분의 앞 또는 뒤에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on or on top of" means to be located above or below the target part, which does not necessarily mean to be located above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gravity. That is, the term "on or on top of" referred to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not only cases located above or below the target part, but also cases located in front or behind the target part.

또한,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또는 상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에 또는 상부에" 접촉하여 있거나 간격을 두고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Also, when a part of a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on or on” another part, it is not only when another part is in contact with or spaced “on or on” another part, but also when another part is in 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there i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n particula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unless there is a description to the contrary, i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장점 및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위생 마스크의 후면방향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위생 마스크의 측면방향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위생 마스크의 후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바이러스 차단용 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sanitary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a sanitary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rear view of the sanitary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anitary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filter for virus bloc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위생 마스크는 가림부(10), 간극 형성부(20), 및 고정수단(30)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비말전파 억제판(40), 바이러스 차단용 필터(50) 및 탈착수단(60)을 더 포함한다.1 to 4, the sanitary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ielding part 10, a gap forming part 20, and a fixing means 30, preferably a droplet propagation suppression plate 40, It further includes a virus blocking filter 50 and detachment means 60 .

본 고안의 가림부(10)는 착용자의 입과 코를 포함한 호흡기 전방을 소정거리 이격되게 커버하여, 착용자의 입에서 나오는 침이나 그 밖의 이물질이 튀기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The shielding par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cover the front of the respirator including the wearer's mouth and nose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prevent saliva or other foreign substances coming out of the wearer's mouth from splashing.

가림부(10)는 대략 5㎜ 이하의 두께를 갖는 플라스틱 성형체로 형성되고, 소정의 형상으로 사출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비말 억제, 착용감, 음성 전달의 효율을 고려하여, 착용자의 적어도 입과 코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 대략 반구형의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shielding part 10 is formed of a plastic molded body having a thickness of about 5 mm or less, and can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into a predetermined shape, and the shape is at least the mouth of the wearer in consideration of droplet suppression, fit, and efficiency of voice transmission. It can be formed into an approximately hemispherical shape with a size that can cover the nose and nose.

예컨대, 가림부(10)는 PET(polyethylen terephthalate), PP(polypropylene)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hielding part 10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PET (polyethylen terephthalate) or PP (polypropylene).

또한, 가림부(10)를 플라스틱 성형물로 제조할 경우, 액상의 수지재에 항균물질을 혼합하여 가림부(10)를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shielding part 10 is manufactured by a plastic molding, the shielding part 10 may be formed by mixing an antibacterial material with a liquid resin material.

본 고안의 간극 형성부(20)는 마스크를 착용시 가림부(10)와 착용자 안면 사이에 호흡공기 통과용 간극(S1)을 부여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gap forming par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rovide a gap S1 for passing the breathing air between the shielding part 10 and the wearer's face when wearing the mask.

간극 형성부(20)는 가림부(1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a 간극 형성부(21a)와 제2a 간극 형성부(22a)를 포함한다.The gap forming part 20 may be formed in a protrusion shape protruding to the rear of the shielding part 10 , and includes a 1a gap forming part 21a and a 2a gap forming part 22a.

제1a 간극 형성부(21a)는 가림부(10)의 후면 테두리 부위에 형성되되 가림부(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중심의 좌측영역에 위치하는 후면 테두리 부위에 돌기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The 1a gap forming part 21a is formed on the rear edge of the shielding part 10 and protrudes in the shape of a protrusion on the rear edge of the shielding part 10, which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hielding part 10.

제2a 간극 형성부(22a)는 가림부(10)의 후면 테두리 부위에 형성되되 가림부(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중심의 우측영역에 위치하는 후면 테두리 부위에 돌기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The 2a gap forming part 22a is formed on the rear edge of the shielding part 10 and protrudes in the shape of a protrusion on the rear edge of the shielding part 10, which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hielding part 10.

사용자가 고정수단(30)을 이용하여 마스크를 착용하면, 고정수단(30)에 의해 가림부(10)가 착용자의 안면 측으로 당겨지고, 이에 연동하여 가림부(10)에 형성된 제1a 간극 형성부(21a)의 일단부는 착용자의 코와 입의 좌측에 위치하는 안면 지점을 가압하며 밀착되게 된다. 그리고, 제2a 간극 형성부(22a)의 일단부는 착용자의 코와 입의 우측에 위치하는 안면 지점을 가압하며 밀착되게 된다.When the user wears the mask by using the fixing means 30 , the shielding part 10 is pulled toward the wearer's face by the fixing means 30 , and the 1a gap forming part formed in the shielding part 10 in association with this One end of (21a) is pressed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acial point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wearer's nose and mouth. In addition, one end of the second a gap forming portion 22a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by pressing the facial point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wearer's nose and mouth.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면, 제1a 간극 형성부(21a)와 제2a 간극 형성부(22a)가 안면에 밀착되어, 가림부(10)의 적어도 제1a 간극 형성부(21a)와 제2a 간극 형성부(22a)가 형성된 영역(이하, '통기영역')은 안면에 밀착되는 것이 저지된다.When the user wears the mask, the 1a gap forming part 21a and the 2a gap forming part 22a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and at least the 1a gap forming part 21a and the 2a gap forming part of the shielding part 10 are formed. The region in which the portion 22a is formed (hereinafter, 'ventilation region') is prevented from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이에 의해, 가림부(10)의 상기 통기영역과 안면 사이에 공기통과용 간극(S1)이 확보되어 착용자 원활한 호흡과 쾌적한 착용감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Thereby, a gap S1 for air passage is secured between the face and the ventilation area of the shielding part 10, so that it is possible to ensure smooth breathing and a comfortable fit for the wearer.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간극 형성부(20)는 가림부(1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된 제1b 간극 형성부(21b)와 제2b 간극 형성부(2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gap forming par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1b gap forming part 21b and a 2b gap forming part 22b formed in a protrusion shape protruding to the rear of the shielding part 10 . can do.

제1b 간극 형성부(21b)는 제1a 간극 형성부(21a)의 아래 영역에 제1a 간극 형성부(21a)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b 간극 형성부(21b)는 가림부(10)의 후면 테두리 부위에 형성되되 가림부(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중심의 좌측영역 중 제1a 간극 형성부(21a)의 아래에 위치하는 후면 테두리 부위에 돌기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The 1b gap forming part 21b is disposed in a region below the 1a gap forming part 21a to be spaced apart from the 1a gap forming part 21a. Specifically, the 1b gap forming part 21b is formed on the rear edge of the shielding part 10 , and based on the center of the shielding part 10 , in the left region of the center, below the 1a gap forming part 21a . It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shape of a protrusion on the rear edge portion located in the

제2b 간극 형성부(22b)는 제2a 간극 형성부(22a)의 아래 영역에 제2a 간극 형성부(22a)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b 간극 형성부(22b)는 가림부(10)의 후면 테두리 부위에 형성되되 가림부(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중심의 우측영역 중 제2a 간극 형성부(22a)의 아래에 위치하는 후면 테두리 부위에 돌기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The 2b gap forming part 22b is disposed in a region below the 2a gap forming part 22a to be spaced apart from the 2a gap forming part 22a. Specifically, the 2b gap forming part 22b is formed on the rear edge of the shielding part 10 , and based on the center of the shielding part 10 , below the 2a gap forming part 22a in the right region of the center. It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shape of a protrusion on the rear edge portion located in the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수단(30)을 통해 가림부(10)를 얼굴에 고정시킬 시, 제1a 간극 형성부(21a)는 착용자의 코(3)의 좌측에 위치하는 안면영역에 밀착되고, 제2a 간극 형성부(22a)는 착용자의 코(3)의 우측에 위치하는 안면영역에 밀착되고, 제1b 간극 형성부(21b)는 착용자의 입(5)의 좌측에 위치하는 안면영역에 밀착되며, 제2b 간극 형성부(22b)는 착용자의 입(5)의 우측에 위치하는 안면영역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a more preferred embodiment, when the shielding part 10 is fixed to the face through the fixing means 30 , the 1a gap forming part 21a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ial region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wearer's nose 3 . The 2a gap forming part 22a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ial region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wearer's nose 3, and the 1b gap forming part 21b is the facial region positioned on the left side of the wearer's mouth 5. In close contact with the, the 2b gap forming portion (22b) is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ial region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wearer's mouth (5).

전술한 제1b 간극 형성부(21b)와 제2b 간극 형성부(22b) 외에 제1b 간극 형성부(21b)와 제2b 간극 형성부(22b)를 더 구비할 경우,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시 가림부(10)의 둘레 전체를 따라 통기용 간극(S1)이 형성되어, 보다 더 원활한 호흡과 쾌적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1b gap forming part 21b and the 2b gap forming part 22b are further provided in addition to the 1b gap forming part 21b and the 2b gap forming part 22b mentioned above, the mask is covered when the user wears the mask. A ventilation gap (S1) is formed along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part 10,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smoother breathing and a more comfortable fit.

이러한 간극 형성부(20)는 가림부(10)와 일체로 성형된 플라스틱 사출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gap forming part 2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lastic injection molded integrally with the shielding part 10 .

본 고안의 고정수단(30)은 가림부(1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가림부(10)를 얼굴에 고정시키고, 가림부(10)를 안면 측으로 당겨서 간극 형성부(20)의 일단부를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fixing means 3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shielding part 10 to fix the shielding part 10 to the face, and by pulling the shielding part 10 toward the face, one end of the gap forming part 20 is the wearer It serves to adhere to the face of

도 1,2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수단(30)은 착용자의 귀에 걸려 고정되는 한 쌍의 착용끈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착용끈은 후술할 비말전파 억제판(40)을 매개로 가림부(10)와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하였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s 1 and 2, the fixing means 30 is composed of a pair of wearing straps fixed to the wearer's ear, and the pair of wearing straps are covered by a droplet propagation suppression plate 40 to be described later as a medium. It wa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unit 10, respectively.

따라서, 사용자가 착용끈을 귀에 걸면, 가림부(10)가 착용자의 얼굴 측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가림부(10)에 형성된 간극 형성부(20)가 착용자의 코와 입 주변의 안면 지점을 가압하며 밀착되게 되며, 이에 의해 가림부(10)와 착용자 안면 사이에 통기용 간극(S1)이 형성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puts the strap on his/her ear, the shielding part 10 is pulled toward the wearer's face, and the gap forming part 20 formed in the shielding part 10 in conjunction with this is the facial point around the wearer's nose and mouth. is pressed and in close contact, whereby a ventilation gap S1 is formed between the shielding part 10 and the wearer's face.

본 고안의 비말전파 억제판(40)은 가림부(10)와 안면 사이에 형성된 통기용 간극(S1)을 통해 착용자의 침 등이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추가적으로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The droplet propagation suppression plate 40 of the present invention functions to additionally prevent the wearer's saliva from protrud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ventilation gap S1 formed between the shielding part 10 and the face.

이러한 비말전파 억제판(40)은 가림부(10)의 좌측 모서리부에 외향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고, 가림판의 후방으로 접힐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제1 비말전파 억제판(40a)과, 가림부(10)의 우측 모서리부에 외향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고, 가림판의 후방으로 접힐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제2 비말전파 억제판(40b)을 포함한다.This droplet propagation suppression plate 40 is formed in the form of an outward flange on the left edge of the shielding unit 10, and the first droplet propagation suppression plate 40a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to the rear of the shielding plate 40a, and the shield It includes a second droplet propagation suppression plate 40b formed in an outward flange shape at the right corner of the part 10 and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to the rear of the shielding plate.

여기서, 상기 '가림판의 후방'이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착용자의 안면 측을 향하는 방향을 지칭한다.Here, the 'rear side of the shielding plate' refers to a direction toward the face of the wearer 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mask is worn.

또한, 비말전파 억제판(40)은 고정수단(30)과 연결되어 가림판을 사용자 얼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In addition, the droplet propagation suppression plate 40 is connected to the fixing means 30 and functions to fix the shielding plate to the user's face.

따라서, 고정수단(30)은 비말전파 억제판(40)에 연결된 구조로 구성된다. 도 1,2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수단(30)은 착용자의 귀에 걸리는 한 쌍의 착용끈으로 구성되어, 하나의 착용끈은 가림부(10)의 좌측에 형성된 제1 비말전파 억제판(40a)의 걸림고리(45)에 걸림결합 방식으로 연결되고, 또 다른 하나의 착용끈은 가람부의 우측에 형성된 제2 비말전파 억제판(40b)의 걸림고리(45)에 걸림결합 방식으로 연결되게 구성된다.Therefore, the fixing means 30 is configured in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droplet propagation suppression plate (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s 1 and 2, the fixing means 30 is composed of a pair of wearing straps caught on the wearer's ear, and one wearing strap is a first droplet propagation suppression plate ( 40a) is connected to the engaging ring 45 in a engaging manner, and another wearing strap is connected in a engaging manner to the engaging ring 45 of the second droplet propagation suppression plate 40b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garam part. is composed

따라서, 사용자가 고정수단(30)을 이용하여 마스크를 착용하면, 제1,2 비말전파 억제판(40)은 고정수단(30)에 의해 당겨지며 착용자 안면 측으로 접혀짐과 동시에, 가림부(10)와 안면 사이에 존재하는 통기용 간극(S1)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통기용 간극(S1)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막는 구조로 착용되어, 착용자의 입에서 나오는 침이나 그 밖의 이물질이 통기용 간극(S1)을 통해 측면 방향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wears the mask using the fixing means 30, the first and second droplet propagation suppression plates 40 are pulled by the fixing means 30 and folded toward the wearer's face, and at the same time, the shielding part 10 ) and the face are worn in a structure that blocks at least a part of the ventilation gap (S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ventilation gap (S1), so that saliva or other foreign substances coming out of the wearer's mouth ) through which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protrusion in the lateral direction.

본 고안의 바이러스 차단용 필터(50)는 다중 겹으로 부직포로 이루어져 바이러스의 침투를 예방할 수 있는 필터재로서, 예컨대 KF94 마스크 등과 같은 바이러스 차단용 마스크 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virus blocking filter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multi-layered nonwoven fabric and is a filter material capable of preventing virus penetration, and may be formed of a virus blocking mask filter such as a KF94 mask.

이러한 바이러스 차단용 필터(50)는 단지 비말전파 방지가 아닌 바이러스의 호흡기 유입을 차단하고자 할 경우, 가림부(10) 상에 바이러스 차단용 필터(50)를 바로 부착하여 가림부(10)와 안면 사이의 통기용 간극(S1)을 차폐함으로써 KF94 마스크 등과 같은 바이러스 차단용 마스크로 전용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virus blocking filter 50 is not just to prevent droplet transmission, but to block the inflow of the virus into the respiratory tract. By shielding the ventilation gap (S1) therebetween, it is configured to be used as a virus blocking mask such as a KF94 mask.

따라서, 바이러스 차단용 필터(50)는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고, 적어도 통기용 간극(S1)을 덮을 수 있는 형태 내지 크기로 형성된다.Therefore, the virus blocking filter 5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and formed in a shape or size that can cover at least the ventilation gap (S1).

바람직하게는, 바이러스 차단용 필터(50)의 상부영역에는 와이어(55)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와이어(55)는 착용자의 코 윤곽 등을 따라 바이러스 차단용 필터(50)가 착용자의 코를 포함한 안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기능하는 구성으로서, 코 윤곽 등의 소정 형상으로 만들 경우, 형성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a wire 55 may be further install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virus blocking filter 50 . The wire 55 is a configuration that functions so that the virus blocking filter 50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including the wearer's nose along the nose contour of the wearer. It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o that

본 고안의 탈착수단(60)은 바이러스 차단용 필터(50)가 가림부(10) 상에 착탈식 결합될 수 있도록 기능하는 구성으로서 예컨대 암수 벨크로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tachable means 6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figuration that functions so that the virus blocking filter 50 can be detachably coupled on the shielding unit 10, and may include, for example, male and female Velcro.

상기 경우, 바이러스 차단용 필터(50) 내면의 좌우측 상부와 좌우측 하부에 암 벨크로가 각각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수 벨크로는 비말전파 억제판(40)의 외면 측의 대응 위치에 부착되거나, 또는 간극 형성부(20)의 대응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emale Velcro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virus blocking filter 50 , respectively. And, the male Velcro may be attached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on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droplet propagation suppression plate 40, or attached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gap forming portion (20).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위생 마스크의 정면방향 착용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위생 마스크의 측면방향 측면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위생 마스크의 상면방향 착용 상태도이다.5 is a front view wearing state of the sanitary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ide view of the sanitary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top wearing state of the sanitary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고정수단(즉, 착용끈;30)을 귀에 걸면, 착용끈의 탄력에 의해 가림부(10)가 착용자의 안면 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때, 가림부(10)가 착용자의 안면(1) 측으로 가압되면서 이에 연동하여 가림부(10)에 형성된 제1a 간극 형성부(21a)는 착용자 코(3)의 좌측에 위치하는 안면에 밀착되고, 제2a 간극 형성부(22a)는 착용자 코(3)의 우측에 위치하는 안면에 밀착되고, 제1b 간극 형성부(21b)는 착용자 입(5)의 좌측에 위치하는 안면에 밀착되며, 제2b 간극 형성부(22b)는 착용자 입(5)의 우측에 위치하는 안면에 밀착되어, 결국 가림부(10)가 안면에 밀착되지 못한 상태에서 가림부(10)와 안면 사이에 통기용 간극(S1)이 형성 및 유지될 수 있게 된다.5 to 7 , when the user hangs the fixing means (ie, the wearing strap) 30 on the ear, the shielding part 10 is pulled toward the wearer's face by the elasticity of the wearing strap. At this time, as the shielding part 10 is pressed toward the wearer's face 1, the 1a gap forming part 21a formed in the shielding part 10 in conjunction with this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wearer's nose 3, and , the 2a gap forming part 22a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wearer's nose 3, and the 1b gap forming part 21b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positioned on the left side of the wearer's mouth 5, the first 2b The gap forming part 22b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wearer's mouth 5, and eventually, in a state in which the shielding part 10 is not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the ventilation gap between the shielding part 10 and the face ( S1) can be formed and maintained.

이와 같은 통기용 간극(S1)을 통해 호흡공기인 산소가 원활히 공급되고, 배출가스인 이산화탄소가 신속히 배출됨으로써 호흡을 편안하게 할 수 있고 장시간 마스크를 착용하여도 답답함이나 피로감을 덜 느끼게 되며, 마스크 내부에 습기가 차지 않아 쾌적한 착용감을 보장할 수 있고, 안경 등에 김이 서리지 않으며, 화장 지워짐 등의 거의 없게 된다.Oxygen, which is breathing air, is smoothly supplied through the ventilation gap (S1), and carbon dioxide, which is exhaust gas, is rapidly discharged, so that breathing can be comfortable. It is possible to guarantee a comfortable fit because it does not get moisture on the skin, and there is no fogging on glasses, etc., and there is almost no makeup removal.

더 나아가, 비말전파 억제판(40)이 가림부(10)와 안면 사이에 존재하는 통기용 간극(S1)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통기용 간극(S1)을 가로막는 구조로 착용되어, 착용자의 입에서 나오는 침이나 그 밖의 이물질이 통기용 간극(S1)을 통해 측면 방향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the droplet propagation suppression plate 40 is worn in a structure that blocks the ventilation gap (S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ventilation gap (S1) existing between the shielding part (10) and the face, and the wearer's mouth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needles or other foreign substances from protruding from the side through the ventilation gap (S1).

또한,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대화 등의 말을 하더라도 종래와 같은 가림부(10)의 큰 움직임이 발생되지 않아 착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even when talking, such as a conversation while wearing a mask, a large movement of the shielding unit 10 as in the prior art does not occur, thereby maximizing the wearer's convenience.

또한, 단지 비말전파 방지가 아닌 바이러스의 호흡기 유입을 차단하고자 할 경우에는 가림부(10)에 바이러스 차단용 필터(50)를 바로 부착하여 KF94 마스크 등과 같은 바이러스 차단용 마스크로도 전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sired to block the inflow of the virus into the respiratory tract rather than just to prevent the spread of droplets, the virus blocking filter 50 can be directly attached to the shielding unit 10 to be used as a virus blocking mask such as a KF94 mask.

상기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고안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고안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using specific terms, but such terms are only for clearly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nd described ter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pirit and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It is obvious that various change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it.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be sai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가림부 20: 간극 형성부
21a: 제1a 간극 형성부 22a: 제2a 간극 형성부
21b: 제1b 간극 형성부 22b: 제2b 간극 형성부
30: 고정수단 40: 비말전파 억제판
40a: 제1 비말전파 억제판 40b: 제2 비말전파 억제판
45: 걸림고리 50: 바이러스 차단용 필터
55: 와이어 60: 탈착수단
10: shielding part 20: gap forming part
21a: 1a gap forming part 22a: 2a gap forming part
21b: 1b gap forming part 22b: 2b gap forming part
30: fixing means 40: droplet propagation suppression plate
40a: first droplet propagation suppression plate 40b: second droplet propagation suppression plate
45: hook 50: filter for virus protection
55: wire 60: detachable means

Claims (10)

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착용자의 입과 코를 가릴 수 있는 가림부(10);
상기 가림부(1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간극 형성부(20); 및
상기 가림부(1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가림부(10)를 얼굴에 고정시키고 상기 가림부(10)를 안면 측으로 당겨서 상기 간극 형성부의 일단부를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시키는 고정수단(30);을 포함하고,
상기 간극 형성부(20)는,
상기 가림부(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중심의 좌측영역에 위치하는 제1a 간극 형성부(21a); 및 상기 중심의 우측영역에 위치하는 제2a 간극 형성부(22a)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30)을 통해 상기 가림부(10)를 얼굴에 고정시킬 시,
상기 제1a 간극 형성부(21a)는 착용자의 코와 입의 좌측에 위치하는 안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2a 간극 형성부(22a)는 착용자의 코와 입의 우측에 위치하는 안면에 밀착되어, 상기 가림부(10)와 착용자의 안면 사이에 통기용 간극(S1)을 형성하고 유지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마스크.
a covering part 10 formed of a resin material and capable of covering the wearer's mouth and nose;
a gap forming part 20 formed in a protrusion shape protruding to the rear of the shielding part 10; and
Fixing means (30)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shielding part (10) to fix the shielding part (10) to the face and pulling the shielding part (10) toward the face to bring one end of the gap forming par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earer's face (30) including;
The gap forming part 20,
a first gap forming part (21a) located in a left region of the center of the shielding part (10); and a second gap forming part 22a located in the right region of the center;
When fixing the shielding part 10 to the face through the fixing means 30,
The 1a gap forming part 21a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wearer's nose and mouth, and the 2a gap forming part 22a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wearer's nose and mouth, Sanitary mas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form and maintain a ventilation gap (S1) between the shielding portion (10) and the wearer's fa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 형성부(20)는,
상기 가림부(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중심의 좌측영역 중 상기 제1a 간극 형성부(21a)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1b 간극 형성부(21b); 및 상기 중심의 우측영역 중 상기 제2a 간극 형성부(22a)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2b 간극 형성부(22b)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30)을 통해 상기 가림부(10)를 얼굴에 고정시킬 시,
상기 제1a 간극 형성부(21a)는 착용자의 코의 좌측에 위치하는 안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2a 간극 형성부(22a)는 상기 코의 우측에 위치하는 안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1b 간극 형성부(21b)는 착용자의 입의 좌측에 위치하는 안면에 밀착되며, 상기 제2b 간극 형성부(22b)는 상기 입의 우측에 위치하는 안면에 밀착되어, 상기 가림부(10)와 착용자의 안면 사이에 통기용 간극(S1)을 형성하고 유지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
The gap forming part 20,
a 1b gap forming part 21b positioned below the 1a gap forming part 21a in a left region of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hielding part 10; and a 2b gap forming part 22b located below the 2a gap forming part 22a in the right region of the center,
When fixing the shielding part 10 to the face through the fixing means 30,
The 1a gap forming part 21a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positioned on the left side of the wearer's nose, the 2a gap forming part 22a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nose, and the 1b gap is formed The part 21b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positioned on the left side of the wearer's mouth, and the second b gap forming part 22b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mouth, so that the shielding part 10 and the wearer's face are in close contact. A sanitary mas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form and maintain a gap (S1) for ventilation therebetween.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부(10)의 좌측 모서리부에 외향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가림판의 후방으로 접힐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제1 비말전파 억제판(40a); 및
상기 가림부(10)의 우측 모서리부에 외향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가림판의 후방으로 접힐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제2 비말전파 억제판(40b)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30)은 상기 제1,2 비말전파 억제판(40a,40b)을 매개로 상기 가림부(10)와 연결되며,
상기 고정수단(30)을 통해 상기 가림부(10)를 얼굴에 고정시킬 시, 상기 제1,2 비말전파 억제판(40a,40b)은 상기 고정수단(30)에 의해 당겨지며 착용자 안면 측으로 접혀져 상기 통기용 간극(S1)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막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마스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first droplet propagation suppression plate 40a formed in an outward flange shape on the left edge of the shielding part 10 and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to the rear of the shielding plate; and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droplet propagation suppression plate (40b) formed in the form of an outward flange at the right corner of the shielding part 10, and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to the rear of the shielding plate,
The fixing means 30 is connected to the shielding part 10 via the first and second droplet propagation suppression plates 40a and 40b,
When the shielding part 10 is fixed to the face through the fixing means 30, the first and second droplet propagation suppression plates 40a and 40b are pulled by the fixing means 30 and folded toward the wearer's face. Sanitary mask,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lock at least a portion of the gap (S1) for ventilation.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 형성부(20)는 상기 가림부(10)와 일체로 성형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마스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gap forming part (20) is a sanitary mask,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tegrally with the shielding part (10).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30)은 착용자의 귀에 걸려 고정되는 한 쌍의 착용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마스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ixing means 30 is a sanitary mask,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a pair of wearing straps fixed to the wearer's ear.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통기용 간극(S1)을 덮을 수 있는 형태이고, 다중 겹으로 부직포로 형성되는 바이러스 차단용 필터(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이러스 차단용 필터(50)는,
상기 바이러스 차단용 필터(50)에 부착된 복수의 암 벨크로가 상기 간극 형성부(20)에 부착된 복수의 수 벨크로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마스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It has a shape that can cover at least the ventilation gap (S1), and a virus blocking filter 50 formed of a non-woven fabric in multiple layers; further comprising,
The virus blocking filter 50,
A sanitary mask,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female Velcro attached to the virus blocking filter (50) is detachably configured to the plurality of male Velcro attached to the gap forming part (20).
제3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통기용 간극(S1)을 덮을 수 있는 형태이고, 다중 겹으로 부직포로 형성되는 바이러스 차단용 필터(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이러스 차단용 필터(50)는,
상기 바이러스 차단용 필터(50)에 부착된 복수의 암 벨크로가 상기 제1,2 비말전파 억제판(40a,40b)에 부착된 복수의 수 벨크로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마스크.
4. The method of claim 3,
It has a shape that can cover at least the ventilation gap (S1), and a virus blocking filter 50 formed of a non-woven fabric in multiple layers; further comprising,
The virus blocking filter 50,
A hygiene mask,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female Velcro attached to the virus blocking filter (50) is detachably configured to the plurality of male Velcro attached to the first and second droplet propagation suppression plates (40a, 40b).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말전파 억제판(40a)에 형성되는 제1 걸림고리; 및
상기 제2 비말전파 억제판(40b)에 형성되는 제2 걸림고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30)은 착용자의 귀에 걸려 고정되는 한 쌍의 착용끈으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착용끈 중 하나는 상기 제1 걸림고리에 걸림결합되고, 또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걸림고리에 걸림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 마스크.
4. The method of claim 3,
a first hooking ring formed on the first droplet propagation suppression plate (40a); and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hooking ring formed on the second droplet propagation suppression plate (40b)
The fixing means 30 is formed of a pair of wearing straps fixed to the wearer's ear,
One of the pair of wearing straps is engaged with the first hooking ring, and the other one is hooked with the second hooking ring.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 형성부(20)는 상기 가림부(10)의 후면 테두리 부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 마스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gap forming part (20) is a sanitary mask,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rear edge of the shielding part (10).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부(10)는 항균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 마스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hielding part 10 is a sanitary mask,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an antibacterial material.
KR2020200002285U 2020-06-30 2020-06-30 Hygiene mask KR20220000042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285U KR20220000042U (en) 2020-06-30 2020-06-30 Hygiene mas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285U KR20220000042U (en) 2020-06-30 2020-06-30 Hygiene mas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042U true KR20220000042U (en) 2022-01-06

Family

ID=79341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285U KR20220000042U (en) 2020-06-30 2020-06-30 Hygiene mas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0042U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045Y1 (en) 2003-02-28 2003-05-22 황덕권 Sanitary mask for preventing spittle from spattering
KR20120013171A (en) 2010-08-04 2012-02-14 박경수 Mouth shielding mas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045Y1 (en) 2003-02-28 2003-05-22 황덕권 Sanitary mask for preventing spittle from spattering
KR20120013171A (en) 2010-08-04 2012-02-14 박경수 Mouth shielding mas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3671B1 (en) A sanitary mask for others
KR101840108B1 (en) Mask for fine dust removal
KR101455070B1 (en) Hood having attachable mask pad
KR20160062808A (en) Portable mask
KR20180025098A (en) Cover and filter replaceable mask
KR20190104651A (en) A Mask with filter assembly for exhaling
KR102113556B1 (en) A Mask with side discharging apparatus of exhaling
KR20170093560A (en) Mask
JP3229569U (en) Hygiene protective equipment
JP3230839U (en) mask
JP2000288109A (en) Projecting type mask inner
KR20180129228A (en) Eye protection Integral type Protective mask
KR20220000042U (en) Hygiene mask
KR20210060062A (en) Nose mask for fine dust
KR102250781B1 (en) Transparent Mask With Buff
KR20150145520A (en) Nose mask
KR102052410B1 (en) Nose mask with fine dust and ultraviolet protection
KR20170095647A (en) Mask
KR20220034573A (en) Transparent mask with replaceable filter
KR20170060464A (en) Mask comprising in nose filter
KR20200144883A (en) Fine dust mask
KR102225701B1 (en) A mask
CN215737019U (en) Sealed protective clothing for women for avoiding eye fog
KR200494533Y1 (en) Mask for guard
CN213096274U (en) Anti-fogging ma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