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7734A - Toilet seat with deordorizing function - Google Patents

Toilet seat with deordoriz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7734A
KR20210157734A KR1020200075890A KR20200075890A KR20210157734A KR 20210157734 A KR20210157734 A KR 20210157734A KR 1020200075890 A KR1020200075890 A KR 1020200075890A KR 20200075890 A KR20200075890 A KR 20200075890A KR 20210157734 A KR20210157734 A KR 20210157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inlet
air
toilet seat
deodorizing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8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98940B1 (en
Inventor
박성룡
박해민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75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940B1/en
Publication of KR20210157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7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9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7Seats with ventil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04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by varying driving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Abstract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seat with a deodorizing function which can quickly and effectively remove bad smells created in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ilet seat with a deodorizing function comprises: a seat formed to support a sitting person, and provided with an inlet into which air flows; a pair of filter units arranged on the seat on both sides of the inlet; a case coupled to the seat to cover the filter units, and provided with a pair of outlets opened to both sides; and a pair of air blowing fans introducing air through the inlet to pass through the filter units to discharge the air to the outlets. The filter unit includes: a filter frame having a hollow space connecting the inlet and the outlets to each other; a deodorizing filter mounted in the hollow space to remove bad smells in air; and an aromatic filter mounted side by side with the deodorizing filter in the hollow space to emit an aromatic compound into air.

Description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시트{TOILET SEAT WITH DEORDORIZING FUNCTION}Toilet seat with deodorization function {TOILET SEAT WITH DEORDORIZING FUNCTION}

본 발명은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시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seat having a deodorizing function.

화장실 내부 공간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탈취제 및 방향제가 활용되고 있다.Various types and forms of deodorants and air fresheners are being used to remove odors from the interior of the bathroom.

이와 관련하여, 한국특허 등록 제10-1866982호는 공간 살균기능을 갖는 변좌 및 살균물질 휘산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공간살균이 가능한 좌변기용 변좌는 변좌본체, 외부 공기를 덕트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팬, 살균물질을 변좌본체의 외부공간으로 휘산시키는 휘산부 및 살균물질 수용공간이 형성된 카트리지로 구성된다. 상기 공보에 따른 공간 살균이 가능한 좌변기용 변좌는 흡입팬의 소음을 최소화시키면서 살균물질이 원거리까지 휘산되도록 하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regar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66982 discloses a toilet seat and a sterilizing material volatilization device having a space sterilization function. The toilet seat for space sterilization disclosed in the above publication is a cartridge having a toilet seat body, a suction fan for sucking outside air into the duct, a volatilization unit for volatilizing sterilizing substances into the outer space of the toilet seat body, and a space for sterilizing substances. is composed The toilet seat for space sterilization according to the above public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rilizing material is volatilized to a long distance while minimizing the noise of the suction fan.

한편, 상술한 한국특허 등록 제10-1866982호의 공간 살균이 가능한 좌변기용 변좌는 내부에 하나의 팬과 카트리지만을 구비하고 있어 변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직접적으로 빠르게 제거하거나 화장실 내부 공간의 전체 공기를 효과적으로 살균 및 정화시키기는 데 한계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66982 for space sterilization of a toilet seat for a toilet seat has only one fan and a cartridge inside, so it can directly quickly remove odors generated from the toilet or effectively purify the entire air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toilet. There is a limit to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변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seat having a deodorizing function, which is configured to quickly and effectively remove odors generated from the toilet.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탈취 및 방향을 위한 필터를 장착하고 교체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seat having a deodorizing function, which is configured to facilitate mounting and replacement of a filter for deodorization and direction.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변기 사용시 및 미사용시를 구분하여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seat having a deodorizing function, which is configured to purify air when the toilet is in use and when not in use.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화장실 내부 공간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seat having a deodorizing function configured to effectively purify the air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toilet.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시트는, 착좌하는 사용자를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구비하는 시트; 상기 유입구의 양 측으로 상기 시트 상에 배치되는 한 쌍의 필터 유닛; 상기 필터 유닛을 덮도록 상기 시트에 결합되고, 양 측으로 개방되는 한 쌍의 유출구를 구비하는 케이스;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필터 유닛을 통과시켜 상기 유출구로 배출하는 한 쌍의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유닛은,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를 서로 연통시키는 중공부를 구비하는 필터 프레임; 상기 중공부에 장착되어 공기 중의 악취를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탈취 필터; 및 상기 탈취 필터와 나란하게 상기 중공부에 장착되어 공기 중에 방향 화합물을 발산하도록 형성되는 방향 필터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ilet seat having a deodoriz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formed to support a seated user and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 pair of filter units disposed on the sheet at both sides of the inlet; a case coupled to the sheet so as to cover the filter unit and having a pair of outlets open to both sides; and a pair of blowing fans for introducing air through the inlet,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and discharging the air to the outlet, wherein the filter unit includes: a filter frame having a hollow portion for communicating the inlet and the outlet with each other; a deodorizing filter mounted on the hollow part and configured to remove odors in the air; and a fragrance filter mounted in the hollow part in parallel with the deodorization filter to emit a fragrance compound in the air.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 유닛은, 상기 중공부에 상기 탈취 필터와 상기 유입구 사이에 배치되어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흡착 필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dsorption filter disposed in the hollow portion between the deodorization filter and the inlet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하여 제습하도록 형성되는 냉각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cooler installed inside the case and formed to cool and dehumidify the air flowing in from the inlet.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탈취 필터 및 상기 방향 필터 각각은, 상기 필터 프레임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수용부와, 몸체부의 내부에 필터 재료를 충전하기 위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커버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deodorizing filter and the directional filter includes a cylindrical receiving part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frame, and a cover part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o fill the filter material inside the body part can do.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는, 상기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양 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시트와 고정되도록 위치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고, 상기 필터 유닛을 외부에 노출시키도록 회전되어 개방되거나 상기 고정부와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개폐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includes: a fixing part that forms both side surfaces on which the outlet is formed and is positioned to be fixed with the sheet; and an opening/closing part coupled to the fixing part and rotating to expose the filter unit to the outside or formed to be separated from the fixing part.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송풍팬의 작동에 관한 신호를 입력받도록 구성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팬은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제1 회전 속도 또는 상기 제1 회전 속도보다 빠른 제2 회전 속도로 작동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includes a switch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fan from a user, wherein the blowing fan is configured to receive a first rotation speed or the first rotation speed according to a signal input from the switch unit. It may be operated at a second rotational speed that is higher than the rotational speed.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시트에 착좌하는 것을 감지하여 착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팬은, 상기 착좌 신호의 미생성 시 제1 회전 속도로 작동되고, 상기 착좌 신호의 생성 시 상기 제1 회전 속도보다 빠른 제2 회전 속도로 작동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includes a detection sensor configured to generate a seating signal by detecting that a user is seated on the seat, wherein the blowing fan operates at a first rotational speed when the seating signal is not generated. and may be operated at a second rotational speed faster than the first rotational speed when the seating signal is generated.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는,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유입구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may further include an inlet door formed to open and close the inlet.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송풍팬은 제1 회전 속도 또는 상기 제1 회전 속도보다 빠른 제2 회전 속도로 작동되고, 상기 유입구 도어는 상기 송풍팬이 상기 제2 회전 속도로 작동 시 개방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wing fan is operated at a first rotation speed or a second rotation speed faster than the first rotation speed, and the inlet door is opened when the blowing fan operates at the second rotation speed. can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시트는, 외측면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외측 유입구; 및 상기 외측 유입구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도록 형성되는 내부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eet includes a plurality of outer inlets spaced apart along the outer surface; and an internal flow path formed to communicate the outer inlet and the inner space of the case with each other.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re merely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re may be additional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송풍팬에 의해 공기 흐름을 양쪽으로 유도하여 한 쌍의 필터 유닛에 의해 각각 탈취하고 정화시킴으로써 변기 및 화장실 내부 공간의 전체 공기를 빠르게 정화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purify the entire air of the toilet and toilet interior space by inducing air flow to both sides by a pair of blowing fans to deodorize and purify each by a pair of filter unit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탈취 및 방향을 위한 필터 유닛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케이스 및 필터 유닛이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ase and the filter unit are configured to facilitate replacement of the filter unit for deodorization and direc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easy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the us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변기 시트 착좌 여부 감지를 통해 송풍팬의 회전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변기의 사용시 및 미사용시를 구분하여 효율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blower fan by detecting whether the user is seated on the toilet seat, the toilet can be operated efficiently by distinguishing between use and non-use.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에 외측 유입구 및 내부 유로가 형성됨으로서, 변기 내부의 공기뿐만 아니라 및 화장실 내부 전체 공간의 공기를 효율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uter inlet and the inner flow path are formed in the sea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urify not only the air inside the toilet but also the air in the entire space inside the toile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시트의 개폐부를 제거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되는 공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시트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시트의 외측 유입구를 통한 공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seat having a deodoriz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of the toilet seat having a deodorizing function is remo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ir flow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ide surface of 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of a toilet seat having a deodoriz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ir flow through the outer inlet of the toilet seat having a deodoriz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presence of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시트의 개폐부를 제거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되는 공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seat having a deodoriz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of the toilet seat having a deodorizing function is remo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ir flow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ide surface of 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시트는, 송풍팬에 의해 공기 흐름을 양쪽으로 유도하여 한 쌍의 필터 유닛에 의해 각각 공기를 탈취하고 정화시킴으로써 화장실 내부 공간의 전체 공기를 빠르게 정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toilet seat having a deodoriz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duces air flow to both sides by a blower fan to deodorize and purify the air respectively by a pair of filter units, thereby rapidly purifying the entire air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toilet. configured to do so.

또한,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시트는, 사용자의 변기 시트 착좌 여부 감지를 통해 공기 흐름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변기 시트의 사용시 및 미사용시를 구분하여 화장실 내부 공간의 공기를 효율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toilet seat having a deodorizing function can efficiently purify the air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toilet by controlling the air flow speed by detecting whether the user is seated on the toilet seat, thereby distinguishing between use and non-use of the toilet seat.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시트(100)는, 시트(110), 필터 유닛(120), 케이스(130), 송풍팬(140), 냉각기(150), 및 스위치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 the toilet seat 100 having a deodorizing function includes a seat 110 , a filter unit 120 , a case 130 , a blower fan 140 , a cooler 150 , and a switch unit. (16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110)는 착좌하는 사용자를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1)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유입구(111)는 케이스(130)가 덮이는 시트(11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111)를 통해 외부 공기가 케이스(13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The sea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support a seated user, and may include an inlet 111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 , the inlet 111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heet 110 on which the case 130 is covered. External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30 through the inlet 111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한 쌍의 필터 유닛(120)은 유입구(111)의 양 측으로 시트(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필터 유닛(120)은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양방향으로 나뉘어 필터 유닛(120)을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filter units 120 may be disposed on the sheet 110 at both sides of the inlet 111 .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 , the filter unit 120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1 is divided in both directions to pass through the filter unit 120 .

송풍팬(140)은 유입구(111)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필터 유닛(120)을 통과시켜 유출구(131)로 배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한 쌍의 송풍팬(140)은 유입구(111)를 기준으로 양 측에 형성된 필터 유닛(120)의 양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14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어 유입구(111)로 유입된 공기 흐름이 서로 반대 방향(양 측)으로 분지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The blowing fan 140 may discharge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1 through the filter unit 120 to the outlet 131 .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 , a pair of blowing fans 140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lter unit 120 form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inlet 111 . The blowing fan 140 may be rotated in different directions to induce the air flow introduced into the inlet 111 to branch in opposite directions (both sides).

필터 유닛(120)은 유입구(111)와 유출구(131)를 서로 연통시키는 중공부(121a)를 구비하는 필터 프레임(12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터 프레임(121)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부(121a)를 형성하고, 양 단부에서 플랜지 형상을 갖도록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시트(110) 및 케이스(130)에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공기는 중공부(121a)를 통과하여 유출구(131)로 빠져나갈 수 있다.The filter unit 120 may include a filter frame 121 having a hollow portion 121a for communicating the inlet 111 and the outlet 131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2 , the filter frame 12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form a hollow portion 121a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in, and extends radially to have a flange shape at both ends of the sheet 110 . And it may be formed to be supported by the case 130 . Air introduced into the inlet 111 may pass through the hollow portion 121a and exit to the outlet 131 .

필터 유닛(120)은 흡착 필터(122), 탈취 필터(123) 및 방향 필터(12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필터 유닛(120)은 각각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흡착 필터(122), 탈취 필터(123) 및 방향 필터(124)의 3가지 종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 유닛(120)은 분리형 필터관으로 내부 필터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filter unit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dsorption filter 122 , a deodorization filter 123 , and a fragrance filter 124 .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 the filter unit 120 may be formed of three types of an adsorption filter 122 , a deodorization filter 123 , and a direction filter 124 each having a function. Such a filter unit 120 may facilitate replacement of the internal filter with a separate filter tube.

먼저, 흡착 필터(122)는 중공부(121a)에 탈취 필터(123)와 유입구(111) 사이에 배치되어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다.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는 가장 먼저 흡착 필터(122)를 거쳐 공기 중의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흡착 필터(122)는 외부 공기가 탈취 필터(123)를 거치기 전 외부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크기가 큰 이물질을 미리 걸러줄 수 있다.First, the adsorption filter 12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deodorizing filter 123 and the inlet 111 in the hollow portion 121a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1 may first pass through the adsorption filter 122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The adsorption filter 122 may filter out large-sized foreign substances included in the outside air before the outside air passes through the deodorizing filter 123 .

탈취 필터(123)는 중공부(121a)에 장착되어 공기 중의 악취를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흡착 필터(122)를 통과하여 공기 중의 이물질이 제거된 외부 공기는 탈취 필터(123)를 거쳐 공기 중의 악취가 제거될 수 있다.The deodorizing filter 123 may be mounted on the hollow part 121a to remove odors in the air. External air from which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have been removed by passing through the adsorption filter 122 may pass through the deodorizing filter 123 to remove odors from the air.

방향 필터(124)는 탈취 필터(123)와 나란하게 중공부(121a)에 장착되어 공기 중에 방향 화합물을 발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흡착 필터(122)와 탈취 필터(123)를 통과하여 이물질과 악취가 제거된 공기에는, 방향 필터(124)를 통과하면서 방향 화합물이 발산되고, 방향 화합물이 함유된 공기가 유출구(13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The fragrance filter 124 may be mounted in the hollow part 121a in parallel with the deodorization filter 123 to emit a fragrance compound in the air. In the air from which foreign substances and odors have been removed by passing through the adsorption filter 122 and the deodorizing filter 123 , the fragrance compound is emit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ragrance filter 124 , and the air containing the fragrance compound passes through the outlet 131 . can be emitted.

흡착 필터(122), 탈취 필터(123) 및 방향 필터(124)는 원통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가 필터 유닛(120)을 거쳐 유출구(131)를 통해 배출되는 이동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The adsorption filter 122 , the deodorization filter 123 , and the direction filter 124 ar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1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31 through the filter unit 120 . Movement speed can be improved.

본 발명에 따른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시트(100)는 시트(1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한 쌍의 필터 유닛(120) 및 송풍팬(140)에 의해 양 측으로 공기 흐름을 형성하여 변기 내부의 공기를 탈취 및 정화하여 배출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보다 보다 직접적으로 공기를 유입하고, 빠르고 효과적으로 악취 및 유해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The toilet seat 100 having a deodoriz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air flow on both sides by a pair of filter units 120 and a blower fan 140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eat 110 to form air inside the toilet. deodorizes and purifies and discharge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troduce air more directly than in the prior art, and to quickly and effectively remove odors and harmful substances.

한편, 흡착 필터(122), 탈취 필터(123) 및 방향 필터(124)는 각각 수용부와 커버부를 구비하여, 내부에 필터 재료를 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탈취 필터(123)는 필터 프레임(121)의 내주면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원통형의 수용부(123a)와, 수용부(123a)의 내부에 필터 재료를 충전하기 위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커버부(123b)를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dsorption filter 122 , the deodorization filter 123 , and the direction filter 124 may each have a receiving part and a cover part, and may be configured to be able to fill the filter material therein. For example, the deodorizing filter 123 includes a cylindrical accommodating part 123a formed to be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frame 121, and opening and closing to fill the filter material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123a. A cover part 123b may be provided.

수용부에는 사용자의 취향 및 사용 환경을 고려한 필터 재료를 채워 넣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재료로 천연 재료가 활용될 수 있다. 녹차 잎, 편백나무 큐브, 활성탄 및 커피가루와 같은 천연 재료가 수용부에 충전되어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 분자를 흡착시키고 정화시킬 수 있다.The receiving part may be filled with a filter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taste and use environment. For example, a natural material may be utilized as the filter material. Natural materials such as green tea leaves, cypress cubes, activated carbon and coffee powder can be filled in the receptacle to adsorb and purify the odor molecules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30)는 필터 유닛(120)을 덮도록 시트(110)에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130)는 필터 유닛(120)을 덮어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130)의 일부분은 필터 유닛(120)을 감싸는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case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upled to the sheet 110 to cover the filter unit 120 . The case 130 may cover the filter unit 120 to form an internal space. A portion of the case 130 may have a round shape surrounding the filter unit 120 .

케이스(130)는 양 측으로 개방되는 한 쌍의 유출구(131)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케이스(130)의 양 단부에 유출구(131)가 형성되어, 한 쌍의 유출구(131) 사이에 위치되는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필터 유닛(120)을 각각 통과한 후 유출구(131)를 통해 각각 배출될 수 있다.The case 130 may include a pair of outlet ports 131 that are open to both sides.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 , the outlets 131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case 130 so that the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1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outlets 131 is opposite to each other. After each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120 in the direction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31, respectively.

케이스(130)는 고정부(132), 개폐부(133), 유입구 도어(134) 및 힌지축(13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고정부(132)는 유출구(131)가 형성되어 있는 양 측면을 형성하고 시트(110)에 고정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도 1에 보인 것과 같이, 고정부(132)는 복수 개의 유출구(131)를 형성하고 있는 케이스(130)의 양 측면과, 배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case 130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art 132 , an opening/closing part 133 , an inlet door 134 , and a hinge shaft 135 . The fixing part 132 may be positioned to form both sides on which the outlet 131 is formed and be fixed to the sheet 110 . As shown in FIG. 1 , the fixing part 132 may form both side surfaces and a rear surface of the case 130 forming a plurality of outlets 131 .

한편, 개폐부(133)는 고정부(132)와 결합되고, 필터 유닛(120)을 외부에 노출시키도록 회전되어 개방되거나 고정부(132)와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133)는 케이스(130)의 전면 및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고정부(132)와의 결합의 일 예로는, 도 5를 참조하면, 개폐부(133)는 사용자가 전방으로 당김으로써 힌지축(135)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개방될 수 있다(도 5의 화살표 참조). 다른 예로, 개폐부(133)는 사용자가 전방 및 상측으로 당김으로써 고정부(132)와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opening/closing unit 133 may be coupled to the fixing unit 132 and rotated to expose the filter unit 120 to the outside, or may be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fixing unit 132 .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33 may form the front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30 . As an example of coupling with the fixing part 132, referring to FIG. 5,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33 may be opened by rotating clockwise about the hinge shaft 135 by the user pulling it forward (FIG. 5). see arrow). As another example, the opening/closing unit 133 may be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fixing unit 132 by a user pulling it forward and upwar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필터 유닛(120)의 필터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개폐부(133)를 개폐하여 필터 유닛(120)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어, 필터 유닛(120) 또는 필터 프레임(121) 내부에 교체하고자 하는 필터(122, 123, 124)를 쉽게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lter of the filter unit 120 is to be replace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33 can be opened and closed to expose the filter unit 120 to the outside, so that the filter unit 120 or the filter frame (121) It is possible to easily mount and detach the filters (122, 123, 124) to be replaced inside.

한편, 유입구 도어(134)는 유입구(111)를 개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유입구 도어(134)는 힌지축(135)을 중심으로 케이스(130)의 내측(도 5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유입구(111)를 개방할 수 있고, 케이스(130)의 외측(도 5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유입구(111)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송풍팬(140)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 유동의 압력에 의해 유입구 도어(134)가 유입구(111)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구 도어(134)는 송풍팬(140)의 동작 시에 유입구(111)를 개방할 수 있고, 송풍팬(140)의 동작 종료 시 유입구(111)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정화 및 탈취 기능의 미사용시 케이스(130) 내부 공간으로 수분이나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Meanwhile, the inlet door 134 may be formed to open and close the inlet 111 . Referring to FIG. 5 , the inlet door 134 may be rotated inward (clockwise in FIG. 5 ) of the case 130 about the hinge shaft 135 to open the inlet 111 , and the case 130 . may be rotated to the outside (counterclockwise in FIG. 5 ) to close the inlet 111 . In addition, the inlet door 134 may be rotated to open and close the inlet 111 by the pressure of the air flow formed by the blowing fan 140 . Accordingly, the inlet door 134 may open the inlet 111 during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fan 140 , and may at least partially close the inlet 111 when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fan 140 is terminated. Therefore, when the air purification and deodorization functions are not used, penetration of moisture or foreign substance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30 can be suppress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냉각기(150)가 케이스(130)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유입구(11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하여 제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er 15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ase 130 to cool and dehumidify the air flowing in from the inlet 111 .

케이스(130)의 내부 공간에 많은 습기가 유입되는 경우, 필터 유닛(120) 내부의 각종 필터 재료와, 송풍팬(140)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냉각기(150)는 이러한 케이스(130) 내부 공간을 제습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시트(100)의 성능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When a lot of moisture flow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30 , various filter materials inside the filter unit 120 and the performance of the blowing fan 140 may be deteriorated. The cooler 150 dehumidifies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30 , thereby improving the performance and lifespan of the toilet seat 100 having a deodoriz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냉각기(150)는 케이스(130) 내부의 유입구(111)와 인접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유입구(111)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중공부(121a)를 거쳐 필터 유닛(120)으로 이동하기 전에 냉각기(150)를 통해 냉각됨으로써 습기가 제거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5 , the cooler 150 may be disposed in a space adjacent to the inlet 111 inside the case 130 . The air introduced from the inlet 111 is cooled through the cooler 150 before moving to the filter unit 120 through the hollow part 121a, so that moisture can be remo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160)는 사용자로부터 송풍팬(140)의 작동에 관한 신호를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스위치부(160)는 케이스(130)의 외관에 형성될 수 있고, 시중에 판매되는 비데의 스위치와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스위치부(1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송풍팬(140)의 작동 여부가 제어되거나 송풍팬(140)의 회전 속도가 가변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The switch unit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fan 140 from the user. Referring to FIG. 3 , the switch unit 160 may be formed on the exterior of the case 130 , and may be disposed in combination with a switch of a commercially available bidet. According to a signal input from the switch unit 160 , whether or not the blowing fan 140 operates may be controlled or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ing fan 140 may be variably controlled.

구체적으로, 스위치부(160)는 송풍팬(14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풍팬(140)은 제1 회전 속도 또는 제1 회전 속도보다 빠른 제2 회전 속도로 작동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witch unit 160 may include a button for adjust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blowing fan 140 . Accordingly, the blowing fan 140 may be operated at a first rotation speed or a second rotation speed faster than the first rotation speed.

예를 들어, 변기 미사용시에는 제1 회전 속도로 송풍팬(140)이 작동되고, 변기 사용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송풍팬(140)이 제2 회전 속도로 작동될 수 있다. 즉, 변기 사용자가 없거나 사용자가 별도의 신호를 인가하지 않는 경우, 제1 회전 속도로 송풍팬(140)이 작동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약한 공기 흐름에 의해 탈취 및 공기 정화가 실시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toilet is not in use, the blower fan 140 may be operated at the first rotational speed, and when the toilet is used, the blowing fan 140 may be operated at the second rotational speed by a user input. That is, when there is no toilet user or the user does not apply a separate signal, the blowing fan 140 is operated at the first rotation speed, so that deodorization and air purification can be performed by a relatively weak air flow.

반면, 사용자가 변기를 사용하거나 스위치부(160)를 조작하는 경우, 송풍팬(140)은 상대적으로 더 빠른 제2 회전 속도로 회전되어, 더 강한 공기 흐름에 의해 탈취 및 공기 정화가 실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uses the toilet or operates the switch unit 160, the blower fan 140 rotates at a relatively faster second rotation speed, so that deodorization and air purification can be performed by a stronger air flow. have.

또한, 송풍팬(140)의 제1 회전 속도 및 제2 회전 속도에 따라 유입구 도어(134)의 개방 상태가 가변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유입구 도어(134)는 송풍팬(140)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 유동의 압력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므로, 송풍팬(140)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개방되는 정도가 가변될 수 있다. 즉, 제1 회전 속도에서는 유입구 도어(134)가 일부분만 개방되고, 제2 회전 속도에서는 유입구 도어(134)가 전면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송풍팬(140)의 속도 및 유입구 도어(134)의 개폐 상태 가변에 따라, 공기 유입량 및 정화량이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ning state of the inlet door 134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first rotational speed and the second rotational speed of the blowing fan 140 .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inlet door 134 ma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pressure of the air flow formed by the blowing fan 140 , the degree of opening may be varied in proportion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ing fan 140 . That is, at the first rotational speed, only a portion of the inlet door 134 may be opened, and at the second rotational speed, the inlet door 134 may be fully opened.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blowing fan 140 and the change in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inlet door 134 , the air inflow amount and the purification amount may be adjusted.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시트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시트의 외측 유입구를 통한 공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side view of a toilet seat having a deodoriz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ure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ir flow through the outer inlet of the toilet seat having a deodoriz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시트(110)는 외측 유입구(112) 및 내부 유로(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외측 유입구(112)는 시트(110)의 외측면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110)의 외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외측 유입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시트(110)의 외측면에 복수 개의 유입구(112)가 형성됨으로써 화장실의 내부 공간 전체로부터 외부 공기가 고르게 유입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110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inlet 112 and an inner flow path 113 . Referring to FIG. 6 , the outer inlet 11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at 110 . For example, the outer inlet 112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heet 110 . A plurality of inlets 112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at 110 so that external air can be uniformly introduced from the entire internal space of the toilet.

도 7을 참조하면, 내부 유로(113)는 외측 유입구(112)와 케이스(130)의 내부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내부 유로(113)는 외측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가 한 쌍의 필터 유닛(120)을 향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측 유입구(112)에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시트(110)의 내부 유로(113)를 따라 이동하여 유입구(111)가 형성되어 있는 시트(110)의 내부 공간으로 합류되고, 유입구(11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추가로 합류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분지되어 케이스(130) 내부의 필터 유닛(120)을 거치고 정화되어, 유출구(13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inner flow path 113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the outer inlet 112 and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30 with each other. The internal flow path 113 may form an air flow such that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external inlet 112 is directed toward the pair of filter units 120 . More specifically, the external air introduced from the outer inlet 112 moves along the inner flow path 113 of the seat 110 and merge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eat 110 in which the inlet 111 is formed, and the inlet ( 111), it may be further merged with the air flowing in from each other, branched in opposite directions, pass through the filter unit 120 inside the case 130, be purified, and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131 .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 센서(1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감지 센서(170)는 사용자가 시트(110)에 착좌하는 것을 감지하여 착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ection sensor 170 may be further provided. The detection sensor 170 may be configured to detect that the user is seated on the seat 110 to generate a seating signal.

도 6을 참조하면, 감지 센서(170)는 시트(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무게 센서일 수 있다. 감지 센서(170)는 사용자의 변기 사용에 의해 시트(110)의 무게에 더해지는 무게를 감지하는 경우 착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detection sensor 170 may be a weight sensor disposed under the seat 110 . The detection sensor 170 may generate a seating signal when detecting the weight added to the weight of the seat 110 by the user's use of the toilet.

감지 센서(170)의 착좌 신호는 본 발명에 구비되는 송풍팬(140)의 작동을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 센서(170)의 착좌 신호 미생성 시, 송풍팬(140)은 제1 회전 속도로 작동되고, 감지 센서(170)의 착좌 신호 생성 시, 송풍팬(140)은 제1 회전 속도보다 빠른 제2 회전 속도로 작동될 수 있다.The seating signal of the detection sensor 170 may be us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fan 140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when the detection sensor 170 does not generate a seating signal, the blowing fan 140 operates at a first rotational speed, and when the detection sensor 170 generates a seating signal, the blowing fan 140 rotates the first It can be operated at a second rotational speed that is faster than the speed.

착좌 신호의 미생성 시 송풍팬(140)은 제1 회전 속도로 회전됨으로써, 화장실 내부 공간의 공기를 전체적으로 탈취 및 정화할 수 있다. 이때에는, 유입구 도어(134)는 유입구(111)를 폐쇄하거나 일부만 개방한 상태일 수 있고, 주로 외측 유입구(112)에 의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송풍팬(140)이 제1 회전 속도로 작동함으로써 유입구 도어(134)는 닫히거나 최소한만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수분 침투에 의한 필터 유닛(120)의 수명 및 성능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When the seating signal is not generated, the blowing fan 140 rotates at the first rotation speed, thereby deodorizing and purifying the air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toilet as a whole. In this case, the inlet door 134 may be in a state in which the inlet 111 is closed or only partially opened, and air may be mainly sucked through the outer inlet 112 . As the blower fan 140 operates at the first rotational speed, the inlet door 134 is closed or kept in a minimally open state, thereby suppressing deterioration in the lifespan and performance of the filter unit 120 due to moisture penetration. .

감지 센서(170)의 착좌 신호 생성 시, 송풍팬(140)은 제2 회전 속도로 작동되어 화장실 내부 공간 전체뿐만 아니라 변기 내부 공기를 집중적으로 유입하여 탈취 및 정화시킬 수 있다. 송풍팬(140)이 제2 회전 속도로 작동함으로써 유입구 도어(134)가 전체적으로 개방되면, 변기 내부로부터의 공기의 유입 유량을 높여 공기의 탈취 및 정화를 진행할 수 있다.When the detection sensor 170 generates a seating signal, the blower fan 140 is operated at the second rotation speed to intensively introduce air inside the toilet as well as the entire interior space to deodorize and purify the toilet. When the inlet door 134 is entirely opened by the blowing fan 140 operating at the second rotational speed, the inflow rate of air from the inside of the toilet is increased to deodorize and purify the ai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 센서(170)에 의해 사용자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송풍팬(140) 및 유입구 도어(134)의 상태가 가변됨으로써, 사용자의 변기 사용 시 집중적으로 탈취 및 정화량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없을 때에는 화장실 내부 공간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탈취 및 정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use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170 , and the state of the blowing fan 140 and the inlet door 134 is changed accordingly, so that when the user uses the toilet It is possible to intensively increase the amount of deodorization and purification, and when there is no user, it is possible to deodorize and purify the entire interior of the toilet evenly.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시트
110: 시트
111: 유입구
112: 외측 유입구
113: 내부 유로
120: 필터 유닛
121: 필터 프레임
121a: 중공부
122: 흡착 필터
123: 탈취 필터
123a: 수용부
123b: 커버부
124: 방향 필터
130: 케이스
131: 유출구
132: 고정부
133: 개폐부
134: 유입구 도어
135: 힌지축
140: 송풍팬
150: 냉각기
160: 스위치부
170: 감지 센서
100: toilet seat with deodorizing function
110: sheet
111: inlet
112: outer inlet
113: internal euro
120: filter unit
121: filter frame
121a: hollow
122: adsorption filter
123: deodorizing filter
123a: receptacle
123b: cover part
124: direction filter
130: case
131: outlet
132: fixed part
133: opening and closing part
134: inlet door
135: hinge shaft
140: blow fan
150: cooler
160: switch unit
170: detection sensor

Claims (10)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시트에 있어서,
착좌하는 사용자를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구비하는 시트;
상기 유입구의 양 측으로 상기 시트 상에 배치되는 한 쌍의 필터 유닛;
상기 필터 유닛을 덮도록 상기 시트에 결합되고, 양 측으로 개방되는 한 쌍의 유출구를 구비하는 케이스;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필터 유닛을 통과시켜 상기 유출구로 배출하는 한 쌍의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유닛은,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를 서로 연통시키는 중공부를 구비하는 필터 프레임;
상기 중공부에 장착되어 공기 중의 악취를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탈취 필터; 및
상기 탈취 필터와 나란하게 상기 중공부에 장착되어 공기 중에 방향 화합물을 발산하도록 형성되는 방향 필터를 구비하는,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시트.
In the toilet seat having a deodorizing function,
a seat formed to support a seated user and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 pair of filter units disposed on the sheet at both sides of the inlet;
a case coupled to the sheet so as to cover the filter unit and having a pair of outlets open to both sides; and
and a pair of blowing fans for introducing air through the inlet,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and discharging the air to the outlet,
The filter unit is
a filter frame having a hollow portion for communicating the inlet and the outlet with each other;
a deodorizing filter mounted on the hollow part and configured to remove odors in the air; and
and a fragrance filter mounted in the hollow part in parallel with the deodorization filter and formed to emit a fragrance compound into the ai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유닛은,
상기 중공부에 상기 탈취 필터와 상기 유입구 사이에 배치되어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흡착 필터를 더 구비하는,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시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filter unit is
The toilet seat having a deodorizing function, further comprising an adsorption filter disposed in the hollow portion between the deodorizing filter and the inlet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하여 제습하도록 형성되는 냉각기를 더 포함하는,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시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toilet seat having a deodorizing function, further comprising a cooler installed inside the case and configured to cool and dehumidify the air flowing in from the inl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 필터 및 상기 방향 필터 각각은,
상기 필터 프레임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수용부와, 몸체부의 내부에 필터 재료를 충전하기 위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커버부를 구비하는,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시트.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deodorization filter and the aroma filter,
A toilet seat having a deodorizing function, comprising: a cylindrical accommodating part coupl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fram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양 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시트와 고정되도록 위치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고, 상기 필터 유닛을 외부에 노출시키도록 회전되어 개방되거나 상기 고정부와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개폐부를 구비하는,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시트.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ase is
a fixing part which forms both side surfaces on which the outlet is formed and is positioned to be fixed to the sheet; and
and an opening and closing part coupled to the fixing part and rotating to expose the filter unit to the outside or formed to be separated from the fixing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송풍팬의 작동에 관한 신호를 입력받도록 구성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팬은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제1 회전 속도 또는 상기 제1 회전 속도보다 빠른 제2 회전 속도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시트.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witch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fan from the user,
The toilet seat having a deodoriz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wer fan is operated at a first rotation speed or a second rotation speed faster than the first rotation speed according to a signal input from the switch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시트에 착좌하는 것을 감지하여 착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팬은,
상기 착좌 신호의 미생성 시 제1 회전 속도로 작동되고,
상기 착좌 신호의 생성 시 상기 제1 회전 속도보다 빠른 제2 회전 속도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시트.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etection sensor configured to detect that the user is seated on the seat to generate a seating signal,
The blower fan,
operated at a first rotational speed when the seating signal is not generated,
The toilet seat having a deodoriz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perated at a second rotation speed faster than the first rotation speed when the seating signal is genera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유입구 도어를 더 포함하는,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시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case may further include an inlet doo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inlet, the toilet seat having a deodorizing functio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제1 회전 속도 또는 상기 제1 회전 속도보다 빠른 제2 회전 속도로 작동되고,
상기 유입구 도어는 상기 송풍팬이 상기 제2 회전 속도로 작동 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시트.
9. The method of claim 8,
The blowing fan is operated at a first rotational speed or a second rotational speed faster than the first rotational speed,
The inlet door is a toilet seat having a deodoriz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pened when the blowing fan is operated at the second rotation spe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외측면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외측 유입구; 및
상기 외측 유입구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도록 형성되는 내부 유로를 포함하는,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시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sheet is
a plurality of outer inle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outer surface; and
and an internal flow path formed to communicate the outer inlet and the inner space of the case with each other.
KR1020200075890A 2020-06-22 2020-06-22 Toilet seat with deordorizing function KR1023989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890A KR102398940B1 (en) 2020-06-22 2020-06-22 Toilet seat with deordoriz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890A KR102398940B1 (en) 2020-06-22 2020-06-22 Toilet seat with deordorizing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734A true KR20210157734A (en) 2021-12-29
KR102398940B1 KR102398940B1 (en) 2022-05-17

Family

ID=79176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890A KR102398940B1 (en) 2020-06-22 2020-06-22 Toilet seat with deordoriz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940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670Y1 (en) * 2000-10-31 2001-07-19 김장환 Smell-eliminating closet seat
KR200286778Y1 (en) * 2002-01-22 2002-08-23 이광우 Stink eliminator for toilet seat
KR200427889Y1 (en) * 2006-07-05 2006-10-02 곽왕규 Deodorant and antibacterial chamber pot sheet using wind wall
KR20110010993U (en) * 2010-05-19 2011-11-25 이국종 Toilet deodorant structure
KR20150136176A (en) * 2014-05-26 2015-12-07 코웨이 주식회사 Air cleaner and multifunction machine including the same
KR101760677B1 (en) * 2016-08-31 2017-07-24 주식회사 한성종합상사 Sanitary toilet bowl with the function of removing offensive odor
KR101866982B1 (en) * 2012-03-08 2018-06-14 코웨이 주식회사 Toilet seat and transpiration apparatus capable of sterilizing spac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670Y1 (en) * 2000-10-31 2001-07-19 김장환 Smell-eliminating closet seat
KR200286778Y1 (en) * 2002-01-22 2002-08-23 이광우 Stink eliminator for toilet seat
KR200427889Y1 (en) * 2006-07-05 2006-10-02 곽왕규 Deodorant and antibacterial chamber pot sheet using wind wall
KR20110010993U (en) * 2010-05-19 2011-11-25 이국종 Toilet deodorant structure
KR101866982B1 (en) * 2012-03-08 2018-06-14 코웨이 주식회사 Toilet seat and transpiration apparatus capable of sterilizing space
KR20150136176A (en) * 2014-05-26 2015-12-07 코웨이 주식회사 Air cleaner and multifunction machine including the same
KR101760677B1 (en) * 2016-08-31 2017-07-24 주식회사 한성종합상사 Sanitary toilet bowl with the function of removing offensive od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8940B1 (en)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44003A (en) Air Cleaner Having Humidifying Function
JPH0353007B2 (en)
JP5594721B2 (en) Storage cabinet
JP2003339845A (en) Air cleaner
WO2011036943A1 (en) Washing machine and drying machine
CN113272492B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JPH02156904A (en) Shoes box
KR102398940B1 (en) Toilet seat with deordorizing function
JP2001253235A (en) Air cleaner
KR20160142213A (en) Deodorizing apparatus based on toilet bowl
JP6020805B2 (en) Air cleaner
JP6487298B2 (en) Toilet deodorizer
KR20100107986A (en) Air cleaner
KR102403513B1 (en) Air purifier for multiuse facility
KR100665926B1 (en) Air cleaner for vehicle
KR200419106Y1 (en) apparatus for protecting clothes
KR200321509Y1 (en) Air cleaner having perfume generation means
JP7109109B2 (en) air purifier
KR200372919Y1 (en) Air-cleaner with ultraviolet-sterilizer lamp for water closet
KR20210120274A (en) Portable mask dryer with sterilization funtion
JP2004028382A (en) Dehumidifier
WO2020079789A1 (en) Air cleaning apparatus
JP2022518574A (en) Low emission electronic smoking device and emission filter device
KR20090032435A (en) Food waste dryer
KR101675405B1 (en) Deodorizing apparatus for cloth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