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7524A - 웨어러블 초음파 치료기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초음파 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7524A
KR20210157524A KR1020200075229A KR20200075229A KR20210157524A KR 20210157524 A KR20210157524 A KR 20210157524A KR 1020200075229 A KR1020200075229 A KR 1020200075229A KR 20200075229 A KR20200075229 A KR 20200075229A KR 20210157524 A KR20210157524 A KR 20210157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ooling
transducer
treat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3024B1 (ko
Inventor
송해룡
김종열
송미현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포케이엠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포케이엠앤비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75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024B1/ko
Publication of KR20210157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4Garment electrode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5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hermost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7Hand-held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95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emperature indicator
    • A61F2007/009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emperature indicator with a thermo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13Fracture hea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17Wound hea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73Ultrasound therapy using multiple frequenc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78Ultrasound therapy with multiple treatment transduc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iophysic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와, 본체에 설치되는 파워모듈과, 본체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파워모듈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신체부위를 자극하는 자극치료부와,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초음파 치료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착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치료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웨어러블 초음파 치료기{Wearable ultrasonic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웨어러블 초음파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이 가능하여 초음파 치료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어 주파수별 다양한 초음파 치료가 가능하고, 내부의 발열을 방지하여 기기의 손상 및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웨어러블 초음파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음파는 사람의 청력 범위(16Hz∼20kHz) 이상의 주파수를 가지는 음향적 압력파(acoustic pressure wave)로서 생체 조직을 통하여 전달되는 기계적 에너지의 한 형태이며, 역학적 효과, 공명 효과, 열적 효과의 세가지 물리적인 효과를 이용하여 치료의 대상, 목적 및 특성에 맞추어 적합한 용도에 따라 치료, 진단, 수술용 도구로서 의학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초음파를 이용한 기술로서, 초음파 치료기와, 초음파 진단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이중 초음파 치료기는 골절치료, 치근흡수를 유도하는 치과 교정치료, 소실 치아 재생, 반안면 왜소증 아동의 하악 성장 촉진, 척추 디스크 환자의 연골 및 연부 조직 재생, 찢어진 근육의 치료 등 다양한 부위에 사용되고 있다.
다음으로, 초음파 진단장치는, 초음파를 사람이나 동물 등의 생체의 피검체 내에 조사하고, 생체 내에서 반사되는 에코 신호를 검출하여 생체 내 조직의 단층상 등을 모니터에 표시하고, 피검체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생명체 내의 이물질의 검출, 상해 정도의 측정, 종양의 관찰 및 태아의 관찰 등과 같이 의학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초음파를 이용한 치료장치에 대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72993호는 인체표면 안쪽의 근육부상을 치료하거나 골절을 진단하기 위한 초음파치료장치에 있어서, 20∼120 kHz 범위의 주파수로 초음파 에너지를 생성하는 압전수단과, 신체표면에 부합 접촉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헤드수단과, 초음파 에너지를 헤드수단 및 이 헤드수단을 통해 신체내부로 전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치료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초음파 치료장치는, 초음파를 발생하는 부분이 프로브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초음파 치료 중에는 프로브를 한손으로 잡고 있는 상태이어야 하는 제약이 있었으며, 또한 초음파 치료를 하는 동안에는 프로브를 잡고 있는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해야하기 때문에 프로브를 잡고 있는 손과 팔의 피로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초음파 치료장치는, 초음파의 주파수 대역이 단일주파수 대역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주파수별 다양한 치료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내부 전자기기의 방열이 취약할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기기들의 손상 및 성능 저하를 초래하거나, 열손상이 발생하여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72993호
본 발명은, 착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초음파 치료 중에도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료 시 손과 팔을 편안한 상태로 할 수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웨어러블 초음파 치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트랜스듀서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초음파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초음파 주파수 대역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 가능한 웨어러블 초음파 치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동 시 트랜스듀서와 이외 전자기기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하여 내부 온도가 증가하여 초래되는 전자기기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웨어러블 초음파 치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과, 초음파 치료 정보와 영상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본체와; 본체에 설치되는 파워모듈과; 본체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파워모듈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신체부위를 자극하는 자극치료부와; 본체에 설치되어 자극치료부와 파워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자극치료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에 결합되며, 플랙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착용유닛과; 신체부위와 접촉되는 하우징부의 접촉면 상에 구비되고, 파워모듈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초음파를 발생하는 트랜스듀서모듈과;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고, 트랜스듀서모듈과 수용공간을 냉각시키는 냉각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초음파 치료기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착용유닛은, 밴드타입으로 형성되고 단부에 구비된 착탈수단에 의하여 사용자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착탈수단은, 벨크로테이프, 스냅식 착탈클립, 착탈버클 또는 착탈후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착용유닛은, 은사(silver yarn)로 제직된 플렉시블한 착용밴드로 구성되고, 자극치료부는, 착용유닛의 은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은사를 통하여 전기자극펄스가 발생되도록 하는 전기자극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자극치료부는, 착용유닛에 내장되고,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발열하는 온열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자극치료부는, 하우징부의 접촉면 상에 구비되고, 파워모듈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치료표면으로 이온을 침투시키는 전기영동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기영동모듈은, 접촉면상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양전극들과, 양전극들과 이격되도록 접촉면상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음전극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양전극들과 음전극들은 환형을 이루면서 서로 교번하여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
트랜스듀서모듈은, 파워모듈로부터 전기신호를 인가받아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제1트랜스듀서와, 파워모듈로부터 전기신호를 인가받아 제1트랜스듀서와 다른 주파수범위의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제2트랜스듀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트랜스듀서는, 제1파워서플라이로부터 전기신호를 인가받아 0.9MHz ~ 1.1MHz 또는 2.9 ~ 3.1MHz 범위의 주파수를 발생하도록 구성되고, 제2트랜스듀서는, 제2파워서플라이로부터 전기신호를 인가받아 1.44MHz ~ 1.6 MHz 범위의 주파수를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부는, 수용공간 내에 마련되고, 전기영동모듈과 트랜스듀서모듈을 감싸도록 열전도성 절연에폭시 몰딩에 의해 형성되어 전기영동모듈과 트랜스듀서모듈을 보호하는 몰딩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초음파 치료기는, 하우징부의 접촉면에 구비되어 치료표면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값을 제어모듈로 송신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어모듈은, 온도센서로부터 수신된 온도값에 따라 파워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냉각모듈은, 일면이 전기영동모듈과 트랜스듀서모듈과 접촉되고 열전도성 소재로 형성되는 열전도플레이트와, 파워모듈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냉각면과 발열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냉각면이 열전도플레이트의 타면에 접촉되어 열전도플레이트로 냉각열을 전달하는 펠티에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열전도플레이트는, 측면으로 티타늄(Ti)이 코팅된 스테인리스스틸, 구리(copper) 또는 황동(brass)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냉각모듈은, 펠티에소자의 발열면에 접촉되도록 수용공간 내에 설치되고, 냉각유체를 통하여 펠티에소자를 냉각시키는 냉각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냉각유닛은, 내부에 냉각유체가 수용되고, 펠티에소자의 발열면과 접촉되도록 수용공간 내에 설치되는 냉각재킷과, 냉각재킷으로 냉각유체를 순환 공급시키는 순환공급수단과, 냉각재킷과 순환공급수단을 서로 연결시켜 냉각유체가 유동하는 연결호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냉각재킷은, 내부에 냉각유체가 펠티에소자의 발열면과 인접한 일측으로 공급되어 타측방향으로 지그재그로 유동하여 유출되는 냉각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냉각유닛은, 냉각재킷에 설치되어 냉각재킷 내부의 냉각유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수온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어모듈은, 수온센서로부터 수신된 수온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순환공급수단을 제어하여 냉각채널 내의 냉각유체의 유동속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초음파 치료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첫째, 착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초음파 치료 중에도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료 시 손과 팔을 편안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자세유지를 해야 함에 따른 근육피로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트랜스듀서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관절염치료, 통증치료 및 골절치료 등 치료목적에 따라 최적의 주파수 대역의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음은 물론 주파수 대역별 다양한 치료가 가능하고, 초음파 주파수 대역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 가능 하다.
셋째, 냉각모듈을 통하여 트랜스듀서와 이외 전자기기의 발열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전자기기의 손상이나 기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하우징부의 열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트랜스듀서모듈을 통한 초음파 치료뿐만 아니라 전기영동모듈에 의한 전기영동(이온영동)치료도 가능하고, 뿐만 아니라 온열장치와 전기자극장치를 통하여 온열치료와 저주파 또는 중주파와 같은 전기자극 치료도 가능하여, 다양한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섯째, 하우징부의 구성이 내부가 개방되도록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부하우징과 하우징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내부 전자기기와 냉각모듈의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초음파 치료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웨어러블 초음파 치료기에서 자극치료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자극치료부에서 하우징부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자극치료부에서 하우징부의 저면에 배치된 트랜스듀서모듈과 전기영동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자극치료부에서 냉각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자"는 의료 전문가로서 의사,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등 병원 관계자뿐 아니라 의료장치를 다루는 응급구조사와 이를 사용하는 일반사용자 등이 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초음파 치료기는, 착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치료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초음파 치료 중 두 손을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손과 팔을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웨어러블 초음파 치료기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별 초음파치료를 비롯하여 전기영동치료, 저주파 또는 중주파와 같은 전기자극치료와 온열치료 등 다양한 치료가 가능하며, 내부방열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내구성 및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초음파 치료기(이하 '초음파 치료기'라 한다)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초음파 치료기는, 본체(미도시)와, 파워모듈(200)과, 제어모듈(300)과, 자극치료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본체는, 휴대가 용이한 구성 또는 거치되는 구성 등 그 크기와 용도는 다양하게 설계 가능하며,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과, 치료 정보와 치료와 관련된 영상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는, 내부에 파워모듈(200)과 제어모듈(300)이 내장 설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자극치료부(100)의 부피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서, 유무선 설계에 따라 파워모듈(200)과 제어모듈(300) 중 일부 구성이 자극치료부에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체는, 후술되는 냉각모듈(150)의 냉각유체를 순환공급하는 순환공급펌프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파워모듈(200)은, 자극치료부(100)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충전식 내장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파워모듈(200)은, 제어모듈(300)로부터 제어되며, 후술되는 트랜스듀서모듈(130)의 구성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는 등 다양하게 구성 가능하다.
제어모듈(300)은, 본체에 설치되어 자극치료부(100)와 파워모듈(200)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모듈(300)은, 자극치료부(100)를 제어하여 설정된 해당 치료가 가능하게 하고, 파워모듈(200)을 제어하여 자극치료부(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모듈(300)은, 자극치료부(100)와 파워모듈(200)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선택된 치료에 따라 자극치료부(100)와 파워모듈(200)을 작동 제어한다. 제어모듈(300)은, 후술되는 온도센서(190)와, 수온센서(164)로부터 치료표면과 냉각유체의 온도값 정보를 수신하여 자극치료부(100)와 파워모듈(2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자극치료부(10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자극치료부(100)는, 본체와 연결되고, 파워모듈(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신체부위를 자극하여 치료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자극치료부(100)는, 케이블과 커넥터 등을 통하여 본체와 유선으로 연결되거나, 본체와 무선으로도 연결 가능하여 통신부를 통하여 본체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세부적으로, 자극치료부(100)는, 초음파치료, 전기영동치료, 전기자극치료, 온열치료 등 다양한 치료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극치료부(100)는,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치료 시 사용자가 자극치료부(100)를 파지하여 자세를 유지할 필요가 없으며, 이 때문에 치료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자세유지에 의한 근육피로 등을 줄일 수 있다.
먼저, 자극치료부(100)는, 하우징부(110)와, 착용유닛(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부(110)는, 치료표면과 접촉하는 접촉면이 마련되고, 내부에 수용공간(113)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트랜스듀서모듈(130)과 전기영동모듈(140)을 포함하는 전자기기가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부(110)는, 내부 수용공간(113)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내부 전자기기들의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부(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하우징(111)과 하부하우징(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부하우징(112)은, 상부가 개방된 컵 형상으로 내부에 수용공간(113)이 형성되고, 하면으로 접촉면이 형성된다.
상부하우징(111)은, 하부하우징(112)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하부하우징(112)을 차폐하고, 본체와 자극치료부(100)가 유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후술되는 냉각모듈(150)의 연결호스와 전자기기들의 연결배선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부하우징(111)과 하부하우징(112)은 서로가 착탈이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어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스냅식 방식으로 결합되는 등 착탈 가능한 구성이라면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하우징부(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 가능하다.
착용유닛(120)은, 하우징부(110)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초음파 치료 시 사용자가 자극치료부(100)를 잡고 있지 않아도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될 수 있다.
착용유닛(120)은, 신체부위를 감싸며 안정적인 착용이 가능하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페프릭(fabric)소재 등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착용유닛(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띠 형태의 밴드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면하는 양 측면에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수단(12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착탈수단(121)은, 착용유닛(120)의 크기, 형태, 재질 및 착용부위 등에 따라 공지의 벨크로테이프, 스냅식 착탈클립, 착탈버클 또는 착탈후크 등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자극치료부(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주파수 대역별 초음파치료를 비롯하여 전기영동치료, 저주파 또는 중주파와 같은 전기자극치료와 온열치료 등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이러한 자극치료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초음파치료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자극치료부(100)는, 신체부위와 접촉되는 하우징부(110)의 접촉면 상에 구비되고, 파워모듈(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접촉면으로 초음파를 발생시켜 초음파치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트랜스듀서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트랜스듀서모듈(130)은, 전원이 인가되면 초음파를 발생시켜 치료 대상인의 치료표면으로 초음파를 방사하고 치료 대상인으로부터 초음파 에코(echo)를 수신하여 제어모듈(30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트랜스듀서모듈(130)은, 제어모듈(300)에 의하여 제어되며, 서로 다른 주파수 범위의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제1트랜스듀서(131)와, 제2트랜스듀서(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트랜스듀서(131)와 제2트랜스듀서(132)는, 서로 다른 주파수 범위의 초음파를 발생시키도록, 파워모듈(200)로부터 서로 다른 전기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파워모듈(200)은, 제1트랜스듀서(131)와 제2트랜스듀서(132) 각각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제1파워서플라이와, 제2파워서플라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파워서플라이는, 제1트랜스듀서(131)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며, 제1트랜스듀서(131)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여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제2파워서플라이는, 제2트랜스듀서(132)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며, 제2트랜스듀서(132)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여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제어모듈(300)은, 제어신호에 의하여 제1파워서플라이 또는 제2파워서플라이를 개별 제어하여, 제1트랜스듀서(131)와 제2트랜스듀서(132) 각각을 개별적으로 작동되게 한다. 가령, 사용자가 조작버튼을 통하여 설정 주파수대를 선택하면, 이러한 조작신호를 전송받은 제어모듈(300)은, 선택된 주파수대역에 해당하는 제1트랜스듀서(131) 또는 제2트랜스듀서(132)에서 초음파가 발생되도록 해당하는 제1파워서플라이 또는 제2파워서플라이를 작동시킨다.
한편, 제1트랜스듀서(131)는, 제1파워서플라이로부터 전기신호를 인가받아 0.9MHz ~ 1.1MHz 또는 2.9 ~ 3.1MHz 범위의 주파수를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MHz 또는 3MHz의 주파수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1MHz 주파수범위의 초음파는 관절염치료에 효과적이며, 3MHz 주파수범위의 초음파는 통증치료에 효과적이다. 때문에 제1트랜스듀서(131)는, 관절염치료와 통증치료 목적에 따라 주파수범위를 달리하여 그 치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2트랜스듀서(132)는, 제2파워서플라이로부터 전기신호를 인가받아 제1트랜스듀서(131)와 다른 1.44MHz ~ 1.6 MHz 범위의 주파수를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MHz의 주파수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1.5MHz 주파수범위의 초음파는 골절치료에 효과적이며, 이에 따라 제2트랜스듀서(132)는 골절치료에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트랜스듀서모듈(130)은, 제1트랜스듀서(131)와, 제2트랜스듀서(132)를 통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 범위의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주파수별 다양한 초음파 치료가 가능하여 그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관절염치료, 통증치료 및 골절치료 등 치료목적별로 초음파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여 해당 목적에 맞는 최적의 초음파 치료가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트랜스듀서(131)는, 평면상 접촉면의 중앙에 원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제2트랜스듀서(132)는, 제2트랜스듀서(132)의 외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제1트랜스듀서(131)와 제2트랜스듀서(132)의 위치를 서로 변경 가능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과 환형의 조합이 아닌, 제1트랜스듀서(131)와 제2트랜스듀서(132)가 환형으로 서로 교번하여 배열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제1트랜스듀서(131)와 제2트랜스듀서(1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도자로 구성되는 것 외 복수개의 도자들로도 구성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 그 배열형태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자극치료부(100)의 전기영동치료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자극치료부(100)는, 하우징부(110)의 접촉면 상에 구비되고, 파워모듈(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치료표면으로 이온을 침투시켜 전기영동치료가 가능하게 하는 전기영동모듈(140, electrophoresis module)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기영동모듈(140)은, 하우징부(110)의 접촉면상에 구비되고, 파워모듈(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치료표면으로 이온을 침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기영동모듈(140)은, 연결배선에 의하여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공지의 전기영동장치 또는 이온영동장치의 전기영동치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기영동모듈(140)은, 접촉면상에 구비되어 양이온을 공급하는 복수개의 양전극(141)들과, 양전극(141)들과 이격되도록 접촉면상에 구비되어 음이온을 공급하는 복수개의 음전극(142)들과, 양전극(141)들 및 음전극(142)들과 연결되고 수용공간(113) 내에 배치되는 전기영동모듈기판(1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전기영동모듈(140)의 양전극(141)과 음전극(142)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하우징부(110)는, 접촉면의 평면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접촉면에 대하여 트랜스듀서모듈(130)이 중앙부에 위치하고, 전기영동모듈(140)이 트랜스듀서모듈(130)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영동모듈(140)은, 중앙부의 트랜스듀서모듈(130)의 외주면으로 양전극(141)들과 음전극(142)들이 환형을 이루면서 서로 교번하여 이격되게 배열되어 있다.
세부적으로, 전기영동모듈(140)은, 양전극(141)과 음전극(142)들이 설정된 이격거리를 두고 서로 교번하여 이격되게 배열된다. 여기서, 이격거리는 방사되는 이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서, 하우징부(110)의 크기와, 치료대상 및 치료목적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가능하다.
한편, 하우징부(110)는, 수용공간(113) 내에 마련되고, 트랜스듀서모듈(130)과, 전기영동모듈(140)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트랜스듀서모듈(130)과 전기영동모듈(140)을 보호하는 몰딩층(11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몰딩층(114)은, 제1트랜스듀서(131), 제2트랜스듀서(132), 양전극(141) 및 음전극(142)을 덮도록 구성되고, 전기영동모듈기판(143)과 트랜스듀서모듈기판(133) 사이에 몰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몰딩층(114)은, 공지의 몰딩방식에 의하여 형성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몰딩층(114)은, 열전도성 절연에폭시 몰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냉각모듈(150)의 냉각열을 제1트랜스듀서(131), 제2트랜스듀서(132), 양전극(141) 및 음전극(142)으로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냉각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초음파 치료기는, 하우징부(110)의 접촉면에 구비되어 치료표면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값을 제어모듈(300)로 송신하는 온도센서(1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온도센서(190)는, 초음파 치료 시 치료표면(피부)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값을 제어모듈(30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제어모듈(300)은, 온도센서(190)로부터 수신된 온도값에 따라 파워모듈(20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세부적으로 온도센서(190)로부터 수신된 온도값이 설정 온도값을 초과하면 파워모듈(200)의 작동을 제어하여, 치료표면의 온도를 저감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자극치료부(100)의 전기자극치료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자극치료부(100)는, 파워모듈(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치료표면을 전기자극하여 전기자극치료가 가능하게 하는 전기자극장치(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기자극장치(170)는, 치료표면으로 저주파 또는 중주파 등을 발생시켜 치료표면을 전기자극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주무름이나 두드림 등의 마사지효과를 제공하여 근육피로 해소 등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저주파는 통상 설정범위의 전류를 통하게 하여 이러한 자극으로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반복시킴으로써 마사지하고, 신경을 진정시키고 혈행을 촉진시켜 결림에 의한 통증을 치료할 수 있으며, 근육의 수축운동을 일으켜 신체기능의 쇠약이나 지방세포에 작용하여 비만을 치료하는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중주파(간섭파)는, 저주파와 비교하여 자극은 보다 적으나 강하고 깊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자극치료부(100)는, 은사(silver yarn)를 제직하여 착용유닛(120)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전기자극장치(170)는 착용유닛(120)의 은사를 통하여 중주파 또는 저주파가 발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은사가 전도성재질로서 전기자극장치(170)로부터 전달된 저주파 또는 중주파를 치료표면으로 발생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전기자극장치(170)는, 착용유닛(120)의 은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중주파 또는 저주파를 포함하는 전기자극펄스를 은사로 전달하여 은사를 통해 중주파 또는 저주파가 발생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전기자극장치(170)는, 본체에 설치되어 은사로 저주파 또는 중주파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하우징부(110)에 내장 설치되어 은사로 저주파 또는 중주파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전기자극장치(170)는, 제어모듈(300)에 의하여 제어되어 은사에서 저주파 또는 중주파가 발생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한 세부구성은 공지의 전기자극마사지기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자극치료부(100)는, 착용유닛(120)에 내장되고,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발열하는 온열장치(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온열장치(180)는,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접촉되어 착용되는 착용유닛(120)에 내장 설치되고, 치료표면으로 열을 공급하여 온열에 의한 찜질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근육피로와 근육뭉침 등을 해소할 수 있다.
온열장치(180)는, 공지의 발열코일 또는 온열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발열코일은, 착용유닛(120)에 내장 설치되며, 설치범위 등에 따라 지그재그형상 등 그 배열형상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온열패드는, 내부에 물과 같은 온열유체가 수용되는 수용재킷과, 온열유체를 가열시키는 가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가열수단은, 전원을 공급받으면 발열되는 공지의 발열체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자극치료부(100)는, 치료표면에 접촉하는 하우징부(110)에 트랜스듀서모듈(130)과 전기영동모듈(140)을 설치하여 초음파치료와 전기영동치료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신체부위를 감싸는 착용유닛(120)에 온열장치(180)와 전기자극장치(170)를 설치하여 온열치료와 전기자극치료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웨어러블 초음파 치료기는, 착용만으로도 초음파 치료, 전기영동치료뿐만 아니라 온열치료와 중,저주파치료를 할 수 있어 다양한 치료가 가능하며, 넓은 면적에 대하여 치료가 가능하여 치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웨어러블 초음파 치료기는, 상기한 초음파치료, 전기영동치료, 전기자극치료, 온열치료 각각에 대하여 선택적인 치료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령, 본 발명의 웨어러블 초음파 치료기는, 하우징부(110)의 트랜스듀서모듈(130)과 전기영동모듈(140)에 의하여 초음파치료와 전기영동치료만 하거나, 또는 착용유닛(120)의 전기자극장치(170)와 온열장치(180)에 의하여 전기자극치료와 온열치료만 할 수 있는 등 선택적 치료가 가능하다.
자극치료부(100)는, 하우징부(110)의 수용공간(113) 내에 배치되고, 트랜스듀서모듈(130)과 전기영동모듈(140)을 비롯한 수용공간(113) 내의 전자기기의 발열을 방지하고, 수용공간(113)을 냉각시키는 냉각모듈(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냉각모듈(150)은, 수용공간(113) 내에 설치되며, 작동 시 발열되는 트랜스듀서모듈(130), 전기영동모듈(140) 및 몰딩층(114)을 냉각시켜, 발열로 인한 기기손상이나 성능저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세부적으로, 냉각모듈(150)은, 열전도플레이트(151)와, 펠티에소자(152)와, 냉각유닛(1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열전도플레이트(151)는, 일면이 전기영동모듈(140)과 트랜스듀서모듈(130)과 접촉되고, 외주측면이 제1하우징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수용공간(113)에 설치되어, 냉각유닛(160)으로부터 전달되는 냉각열을 전기영동모듈(140)과 트랜스듀서모듈(130)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도면에서, 열전도플레이트(151)는, 일면이 전기영동모듈기판(143)과, 트랜스듀서모듈기판(133)의 상면과 접촉되며, 전기영동모듈기판(143)과, 트랜스듀서모듈기판(133)의 연결배선이 관통설치될 수 있다.
열전도플레이트(151)는, 열전도성 소재로 형성되어, 펠티에소자(152)와 냉각유닛(160)으로부터 발생되는 냉각열을 전기영동모듈기판(143)과 트랜스모듈기판으로 전달하여 냉각시키도록 구성된다.
열전도도플레이트는, 외측면으로 티타늄(Ti)이 코팅된 스테인리스스틸(sts304 or sts316), 구리(copper) 또는 황동(brass)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지만,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펠티에소자(152, Peltier effect device)는, 파워모듈(2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냉각면과 발열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원리는 공지의 펠티에 효과 및 펠티에소자(152)의 원리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펠티에소자(15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이 인가되면, 냉각면과 발열면이 형성되는데, 이 중 냉각면이 열전도플레이트(151)의 타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열전도플레이트(151)로 냉각열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면에서 펠티에소자(152)는, 단일의 소자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었으나, 복수개의 펠티에소자(152)들을 다단으로 적층시켜 구성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펠티에소자(152)는, 그 특성상 일측으로 냉각면이 형성되고, 타측은 발열면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발열면은 수용공간(113) 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때문에, 본 발명에서 냉각모듈(150)은, 이러한 펠티에소자(152)의 발열면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냉각유닛(1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냉각유닛(160)은, 펠티에소자(152)의 발열면에 접촉되도록 수용공간(113) 내에 설치되고, 냉각유체를 통하여 펠티에소자(152)를 냉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세부적으로, 냉각유닛(160)은, 냉각재킷(161)과, 순환공급수단(162)과, 연결호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냉각재킷(161)은, 내부에 냉각유체가 수용되고, 펠티에소자(152)의 발열면과 접촉되도록 수용공간(113) 내에 설치되며, 냉각유체의 냉각열이 펠티에소자(152)로 전달되게 하여 펠티에소자(152)를 냉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냉각유체는, 취급이 용이하고 경제적인 물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냉각오일 등 다양한 유체가 적용될 수도 있다.
순환공급수단(162)은, 연결호스를 통하여 냉각재킷(161)과 연결되어, 냉각재킷(161)으로 냉각유체를 순환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순환공급수단(162)은, 공지의 냉각수 순환공급펌프가 적용될 수 있으며, 본체에 설치될 수 있다.
순환공급수단(162)은, 제어모듈(300)에 의하여 구동 제어되며, 제어모듈(30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냉각유체의 순환유무 및 유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자극치료부(100)가 본체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순환공급수단(162)과 연결호스는 하우징부(110)의 수용공간(113)에 설치되고, 순환공급수단(162)은 제어모듈(300)로부터 무선으로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호스는, 냉각재킷(161)과 순환공급수단(162)을 서로 연결시켜 냉각유체가 유동하여 순환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연결호스는, 공지의 탄력성 있는 수지 또는 고무재질의 호스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연결호스는, 니플(nipple) 등과 같이 호스연결수단을 통하여 냉각재킷(161)과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냉각재킷(161)과의 분리가 가능하여 냉각재킷(161)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웨어러블 초음파 치료기는, 냉각모듈(150)을 통하여 자극치료부(100) 내 발열하는 전기영동모듈(140)과 트랜스듀서모듈(130)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구성과, 몰딩층(114) 등 발열이 되는 구성요소를 냉각시킴으로써 발열로 인한 전자기기의 손상 및 이로 인한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발열로 인한 하우징부(110)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웨어러블 초음파 치료기는, 냉각모듈(150)로서 신속한 냉각이 가능하고 냉각성능이 우수한 펠티에소자(152)를 적용함으로써 냉각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냉각유닛(160)을 통하여 펠티에소자(152)의 발열면도 냉각함으로써 초음파 프로브 내에 장착되는 구성뿐만 아니라 수용공간(113)에서의 발열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각 전자기기구성들뿐만 아니라 하우징부(110)의 내구성 저하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냉각유닛(16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냉각재킷(161)은, 내부에 격벽(166)을 통하여 냉각채널(165)을 형성함으로써, 펠티에소자(152)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채널(165)은,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유체가 펠티에소자(152)의 발열면과 인접한 일측(도면에서 하부)으로 공급되어, 타측방향(도면에서 상부)으로 지그재그로 유동하여 유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냉각유체가 펠티에소자(152)의 발열면과 인접한 측으로 우선 공급되게 하여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각유체의 냉각열이 펠티에소자(152)로 전달될 수 있게 하고, 지그재그로 유동하여 냉각효과를 보다 효과적이고 지속적으로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면에서, 냉각채널(165)은 3단으로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다양한 다단구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한 목적을 위해서라면 유로의 방향 등을 다양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냉각유닛(160)은, 냉각재킷(161)에 설치되어 냉각재킷(161) 내부의 냉각유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수온센서(16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온센서(164)는, 냉각재킷(161) 내부의 냉각유체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모듈(300)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제어모듈(300)은, 수온센서(164)로부터 냉각유체의 온도값를 수신하고, 수신된 온도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순환공급수단(162)을 제어하여 냉각유체의 유동속도를 제어하여 냉각재킷(161) 내의 온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수온센서(164)는, 도시된 바와 같이 펠티에소자(152)와 인접하는 유입구(161a)측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미설명된 참조부호 161b는 냉각재킷(161)으로부터 냉각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구(161b)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자극치료부 110 : 하우징부
111 : 상부하우징 112 : 하부하우징
113 : 수용공간 114 : 몰딩층
120 : 착용유닛 121 : 착탈수단
130 : 트랜스듀서모듈 131 : 제1트랜스듀서
132 : 제2트랜스듀서 133 : 트랜스듀서모듈기판
140 : 전기영동모듈 141 : 양전극
142 : 음전극 143 : 전기영동모듈기판
150 : 냉각모듈 151 : 열전도플레이트
152 : 펠티에소자 160 : 냉각유닛
161 : 냉각재킷 161a : 유입구
161b : 유출구 162 : 순환공급수단
164 : 수온센서 165 : 냉각채널
166 : 격벽 170 : 전기자극장치
180 : 온열장치 190 : 온도센서
200 : 파워모듈 300 : 제어모듈

Claims (15)

  1.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과, 초음파 치료 정보와 영상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파워모듈과;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파워모듈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신체부위를 자극하는 자극치료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자극치료부와 상기 파워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자극치료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결합되며, 플랙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착용유닛과;
    상기 신체부위와 접촉되는 상기 하우징부의 접촉면 상에 구비되고, 상기 파워모듈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초음파를 발생하는 트랜스듀서모듈과;
    상기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트랜스듀서모듈과 상기 수용공간을 냉각시키는 냉각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초음파 치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유닛은,
    밴드타입으로 형성되고, 대면하는 양 측면에 구비되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초음파 치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벨크로테이프, 스냅식 착탈클립, 착탈버클 또는 착탈후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초음파 치료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유닛은, 은사(silver yarn)로 제직되어 구성되고,
    상기 자극치료부는, 상기 착용유닛의 은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은사를 통하여 전기자극펄스가 발생되도록 하는 전기자극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초음파 치료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치료부는,
    상기 착용유닛에 내장되고,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발열하는 온열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초음파 치료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치료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접촉면 상에 구비되고, 상기 파워모듈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치료표면으로 이온을 침투시키는 전기영동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초음파 치료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영동모듈은,
    접촉면상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양전극들과, 상기 양전극들과 이격되도록 상기 접촉면상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음전극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양전극들과 상기 음전극들은 환형을 이루면서 서로 교번하여 이격되게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초음파 치료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듀서모듈은,
    상기 파워모듈로부터 전기신호를 인가받아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제1트랜스듀서와,
    상기 파워모듈로부터 전기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제1트랜스듀서와 다른 주파수범위의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제2트랜스듀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초음파 치료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랜스듀서는,
    제1파워서플라이로부터 전기신호를 인가받아 0.9MHz ~ 1.1MHz 또는 2.9 ~ 3.1MHz 범위의 주파수를 발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트랜스듀서는,
    제2파워서플라이로부터 전기신호를 인가받아 1.44MHz ~ 1.6 MHz 범위의 주파수를 발생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초음파 치료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마련되고, 상기 전기영동모듈과 상기 트랜스듀서모듈을 감싸도록 열전도성 절연에폭시 몰딩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전기영동모듈과 상기 트랜스듀서모듈을 보호하는 몰딩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초음파 치료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접촉면에 구비되어 치료표면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값을 상기 제어모듈로 송신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수신된 온도값에 따라 상기 파워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초음파 치료기.
  12. 제 2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모듈은,
    일면이 상기 전기영동모듈과 상기 트랜스듀서모듈과 접촉되고 열전도성 소재로 형성되는 열전도플레이트와,
    상기 파워모듈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냉각면과 발열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냉각면이 상기 열전도플레이트의 타면에 접촉되어 상기 열전도플레이트로 냉각열을 전달하는 펠티에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초음파 치료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플레이트는,
    측면으로 티타늄(Ti)이 코팅된 스테인리스스틸, 구리(copper) 또는 황동(brass)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초음파 치료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모듈은,
    상기 펠티에소자의 발열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수용공간 내에 설치되고, 냉각유체를 통하여 상기 펠티에소자를 냉각시키는 냉각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초음파 치료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닛은,
    내부에 상기 냉각유체가 수용되고, 상기 펠티에소자의 발열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수용공간 내에 설치되는 냉각재킷과,
    상기 냉각재킷으로 상기 냉각유체를 순환 공급시키는 순환공급수단과,
    상기 냉각재킷과 상기 순환공급수단을 서로 연결시켜 상기 냉각유체가 유동하는 연결호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초음파 치료기.
KR1020200075229A 2020-06-19 2020-06-19 웨어러블 초음파 기기 KR102463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229A KR102463024B1 (ko) 2020-06-19 2020-06-19 웨어러블 초음파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229A KR102463024B1 (ko) 2020-06-19 2020-06-19 웨어러블 초음파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524A true KR20210157524A (ko) 2021-12-29
KR102463024B1 KR102463024B1 (ko) 2022-11-04

Family

ID=79176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229A KR102463024B1 (ko) 2020-06-19 2020-06-19 웨어러블 초음파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02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2993B1 (ko) 1992-02-25 2000-12-01 마이클 존 래들리 영 초음파치료장치
KR101394214B1 (ko) * 2013-12-13 2014-05-14 심영호 수랭식 냉각 구조를 갖는 초음파 시술 장치
KR101642248B1 (ko) * 2016-03-03 2016-07-22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미용기기
KR20180056300A (ko) * 2016-11-18 2018-05-28 문지환 초음파를 이용한 피부 미용 기기
JP2018149343A (ja) * 2013-06-04 2018-09-27 ヤーマン株式会社 高周波美容処理装置
KR20200000670U (ko) * 2018-09-19 2020-03-27 주식회사 티알상사 복대형 온열 봉재형 저주파 마사지기 착용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2993B1 (ko) 1992-02-25 2000-12-01 마이클 존 래들리 영 초음파치료장치
JP2018149343A (ja) * 2013-06-04 2018-09-27 ヤーマン株式会社 高周波美容処理装置
KR101394214B1 (ko) * 2013-12-13 2014-05-14 심영호 수랭식 냉각 구조를 갖는 초음파 시술 장치
KR101642248B1 (ko) * 2016-03-03 2016-07-22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미용기기
KR20180056300A (ko) * 2016-11-18 2018-05-28 문지환 초음파를 이용한 피부 미용 기기
KR20200000670U (ko) * 2018-09-19 2020-03-27 주식회사 티알상사 복대형 온열 봉재형 저주파 마사지기 착용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3024B1 (ko) 202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0607B2 (en) Portable electronic therapy device and the method thereof
US9532899B2 (en) Devices and systems for stimulation of tissue
US6567696B2 (en) Physiotherapeutic device
ES2744701T3 (es) Sistema modular de aplicación de estimulación
AU2010215784B2 (en) Systems and methods of powered muscle stimulation using an energy guidance field
JP5815721B2 (ja) 熱刺激装置
CA23694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ltrasonic treatment of reflex sympathetic dystrophy
EP2863984B1 (en) Devices and systems for stimulation of tissues
US20160228325A1 (en) Motorized Muscle Relaxing Therapy System
KR200440602Y1 (ko) 초음파에 의한 젖가슴 마사지기
KR100872270B1 (ko) 초음파 밴드
KR101872819B1 (ko) 생체전극발열체를 이용한 직접 발열 방식의 온열 저주파치료기
WO2016010265A1 (ko) 다중 주파수 초음파를 이용한 치료기
KR102463024B1 (ko) 웨어러블 초음파 기기
KR20210157209A (ko) 초음파 치료기
KR101263581B1 (ko) 실시간 피드백 제어를 이용하는 신체 자극장치
WO2002062419A1 (en) Portable far-infrared temporomandibular disease treatment device
KR20110118602A (ko) 휴대용 복합 비만 및 피부 의료기기
KR20090084522A (ko) 세라믹스를 이용한 초음파 및 레이저 치료기의 헤드장치
KR102119237B1 (ko) 다기능 초음파 물리치료기
WO2020076003A1 (ko) 휴대용 초음파 자극기
US20230390555A1 (en) Medical device for providing relief in fascia-related muscle pain and stiffness
KR200307187Y1 (ko) 온열 및 초음파 물리치료에 사용되는 공용패드
US20080188778A1 (en) Array percutaneous therapeutic apparatus
KR101340167B1 (ko) 다기능 신체 자극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