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7301A - Apparatus and method for coordinated spatial reus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ordinated spatial re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7301A
KR20210157301A KR1020210022026A KR20210022026A KR20210157301A KR 20210157301 A KR20210157301 A KR 20210157301A KR 1020210022026 A KR1020210022026 A KR 1020210022026A KR 20210022026 A KR20210022026 A KR 20210022026A KR 20210157301 A KR20210157301 A KR 20210157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pdu
access point
transmission
path loss
tx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0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종훈
정철호
사란 나리볼
스리니바스 칸달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7/347,800 priority Critical patent/US11595994B2/en
Priority to EP21180105.5A priority patent/EP3930410A1/en
Priority to TW110122394A priority patent/TW202205824A/en
Priority to CN202110676016.4A priority patent/CN113825222A/en
Publication of KR20210157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301A/en
Priority to US18/159,383 priority patent/US2023016483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5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source usage policies
    • H04W72/1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3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physical layer [OSI layer 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ath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72/042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73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transmission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7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performed by a first device includes the steps of: acquiring a transmit opportunity (TXOP) to transmit or receive a first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 (PPDU); identifying a second device to share the TXOP; permitting at least one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second PPDU, to the second device in the shared TXOP; and transmitting or receiving the first PPDU to or from a third device in the shared TXOP.

Description

무선 통신에서 협력 공간 재사용을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ORDINATED SPATIAL REUSE}APPARATUS AND METHOD FOR COORDINATED SPATIAL REUSE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에서 협력 공간 재사용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perative space re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무선 통신의 일예로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은 무선 신호 전달 방식을 이용해 두 대 이상의 장치를 서로 연결하는 기술로, WLAN 기술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표준에 기초할 수 있다. 802.11 표준은 802.11b, 802.11a, 802.11g, 802.11n, 802.11ac 및 802.11ax 등으로 발전했으며, 직교 주파수 분할 방식(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OFDM) 기술에 기초하여 1Gbyte/s까지의 전송 속도를 지원할 수 있다. As an example of wireless communicatio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is a technology for connecting two or more devices to each other using a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the WLAN technology may be based on 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11 standard. The 802.11 standard has evolved into 802.11b, 802.11a, 802.11g, 802.11n, 802.11ac, and 802.11ax, and based on 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OFDM) technology, provides transmission rates up to 1 Gbyte/s. can support

802.11ac에서는, 다중 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user multi-input multi-output; MU-MIMO) 기법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동시에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HE(High Efficiency)로 지칭되는 802.11ax에서는, MU-MIMO 뿐만 아니라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기술도 적용하여 이용 가능한 서브캐리어를 사용자들에게 분할하여 제공함으로써 다중 접속을 구현하고 있다. 이를 통해 802.11ax가 적용된 WLAN 시스템은 밀집 지역 및 실외에서의 통신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In 802.11ac, data may be simultaneously transmitted to multiple users through a multi-user multi-input multi-output (MU-MIMO) technique. In 802.11ax, referred to as High Efficiency (HE), not only MU-MIMO but also 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technology is applied to divide and provide available subcarriers to users, thereby providing multiple access. is implementing Through this, the WLAN system to which 802.11ax is applied can effectively support communication in dense areas and outdoors.

EHT(Extremely High Throughput)로 지칭되는 802.11be에서는, 6GHz 비면허 주파수 대역 지원, 채널당 최대 320MHz의 대역폭 활용,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도입, 최대 16X16 MIMO 지원 등을 구현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차세대 WLAN 시스템은 5G 기술인 NR(New Radio)처럼 저지연성(Low latency) 및 초고속 전송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것으로 기대된다.In 802.11be, which is called Extremely High Throughput (EHT), 6GHz unlicensed frequency band support, bandwidth utilization of up to 320MHz per channel, 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HARQ) introduction, up to 16X16 MIMO support, etc. are to be implemented. Through this, the next-generation WLAN system is expected to effectively support low latency and high-speed transmission like NR (New Radio), a 5G technology.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무선 통신에서 공간 재사용(spatial reuse)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fficiently performing spatial re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라, 제1 장치에 의해서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은, 제1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송신하거나 수신하기 위하여 TXOP(transmit opportunity)를 획득하는 단계, TXOP를 공유하기 위한 제2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 공유된 TXOP에서 제2 장치에 제2 PPDU의 송신 및 수신 중 적어도 하나를 허가(permission)하는 단계, 및 공유된 TXOP에서 제1 PPDU를 적어도 하나의 제3 장치에 송신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제3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performed by a first device includes: acquiring a transmit opportunity (TXOP) to transmit or receive a first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 (PPDU); TXOP identifying a second device for sharing transmitting to or receiving from at least one third device.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라, 무선 통신을 위한 제1 장치는, 송수신기, 및 송수신기를 통해서 제1 PPDU를 송신하거나 수신하기 위하여 TXOP를 획득하고, TXOP를 공유하기 위한 제2 장치를 식별하고, 공유된 TXOP에서 송수신기를 통해서 제2 장치에 제2 PPDU의 송신 및 수신 중 적어도 하나를 허가하고, 공유된 TXOP에서 송수신기를 통해서 제1 PPDU를 적어도 하나의 제3 장치에 송신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제3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처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ve concept, a first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es a transceiver, and a second device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a first PPDU through the transceiver to obtain a TXOP, and to share the TXOP and permit at least one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second PPDU to the second device through the transceiver in the shared TXOP, and transmit the first PPDU to at least one third device through the transceiver in the shared TXOP or at least one processing circuitry configured to receive from a third device.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라, 제1 장치에 의해서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은, 제1 PPDU를 송신하거나 수신하기 위하여 TXOP를 획득하는 단계, TXOP를 공유하기 위한 제2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 공유된 TXOP에서 제1 PPDU의 송신 또는 수신의 허용 간섭 한계(tolerable interference limit)를 제2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및 공유된 TXOP에서 제1 PPDU를 적어도 하나의 제3 장치에 송신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제3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performed by a first device includes: acquiring a TXOP to transmit or receive a first PPDU; identifying a second device for sharing the TXOP; , providing a second device with a tolerable interference limit of transmission or reception of the first PPDU in the shared TXOP, and transmitting the first PPDU to at least one third device in the shared TXOP or at least one may include receiving from a third device of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라, 제1 장치 및 제2 장치에 의해서 공유된 TXOP에서 제2 장치와 관계된(associated) 제3 장치에 의해서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은, 제1 장치로부터 제1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프레임에 기초하여 제1 장치 및 제3 장치 사이 경로 손실을 판정하는 단계, 경로 손실에 대한 정보를 제2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및 공유된 TXOP에서, PPDU를 제2 장치로부터 수신하거나 제2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ve concept,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performed by a first device and a third device associated with a second device in a TXOP shared by the second device includes: Receiving the frame, determining a path loss between the first device and the third device based on the frame,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path loss to the second device, and in the shared TXOP, sending the PPDU to the second device receiving from or transmitting to a second device.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무선 통신에서 공간 재사용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펙트럼 효율성 및 전송량(throughput)이 증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pace reuse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in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us spectral efficiency and throughput can be increased.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을 실시함에 따른 의도하지 아니한 효과들 역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Effects that can be obtained in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re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pertain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can be clearly derived and understood by those who have That is, unintended effects of carrying out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also be deriv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협력 공간 재사용의 시나리오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협력 공간 재사용을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메시지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공유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공유되는 액세스 포인트에 제공하는 정보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협력 공간 재사용을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메시지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협력 공간 재사용을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메시지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협력 공간 재사용을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메시지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협력 공간 재사용을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메시지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협력 공간 재사용에 기초한 송신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협력 공간 재사용에 기초한 송신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협력 공간 재사용에 기초한 송신을 나타내는 타이밍도들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A to 3D are diagrams illustrating scenarios of collaborative space reus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message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collaborative space reus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information provided by a shared access point to a shared access poi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 message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collaborative space reus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8A and 8B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9 is a message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collaborative space reus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0 is a message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collaborative space reus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1 is a message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collaborative space reus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ram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3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transmission based on cooperative space reus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4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transmission based on cooperative space reus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5A and 15B are timing diagrams illustrating transmission based on cooperative space reuse according to exampl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examples of an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시스템일 수 있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some embodiments,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ay be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system.

이하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OFDM 또는 OFDMA 기반의 무선통신 시스템, 특히, IEEE 802.11 표준을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개시의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 및 채널 형태를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NR(New Radio), WiBro(Wireless Broadband),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과 같은 셀룰러(cellular) 통신 시스템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시스템)에도 본 개시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detail, OFDM or OFDMA-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in particular, IEEE 802.11 standards will be mainly targeted, but the main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disclosure has a similar technical background and channel type. Other communication systems (eg, long term evolution (LTE), LTE-Advanced (LTE-A), New Radio (NR), Wireless Broadband (WiBro), cellular such a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 communication system or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Bluetooth (Bluetooth),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can be applied with slight modifications within the range that does not significantly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It will be possible at the discretion of a person with technical knowledge.

또한, 이하에 기술되는 다양한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지원될 수 있으며, 그 프로그램들 각각은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로 구성되고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서 실시된다. "애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성분, 명령어 집합, 절차, 함수, 객체, 클래스, 인스턴스, 관련 데이터, 또는 적합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의 구현에 적합한 그들의 일부를 일컫는다.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라는 말은 소스 코드, 객체 코드, 및 실행 코드를 포함하는 모든 타입의 컴퓨터 코드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라는 말은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컴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또는 어떤 다른 유형의 메모리와 같이,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모든 유형의 매체를 포함한다. "비일시적(non-transitory)"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일시적인 전기 또는 기타 신호들을 전송하는 유선, 무선, 광학, 또는 기타 통신 링크들을 배제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데이터가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매체, 및 재기록 가능 광학 디스크나 삭제가능 메모리 장치와 같이 데이터가 저장되고 나중에 덮어쓸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In addition, various functions described below may be implemented or supported by one or more computer programs, each of which consists of computer readable program code and is implement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terms "application" and "program" refer to one or more computer programs, software components, sets of instructions, procedures, functions, objects, classes, instances, related data, or portions thereof suitable for implementation of suitable computer readable program code. The term "computer readable program code" includes computer code of any type, including source code, object code, and executable code. The term "computer-readable medium" means a computer, such as read only memory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hard disk drive, compact disk (CD), digital video disk (DVD), or any other type of memory. It includes all types of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a excludes wired, wireless, optical, or other communication links that transmit transitory electrical or other signals.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s media in which data can be permanently stored, and media in which data can be stored and later overwritten, such as a rewritable optical disk or a removable memory device.

무선 통신 시스템(10)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에 의해서 서비스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스테이션(station; STA)은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서 제공되는 BSS(basic service set)에서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할 수 있고,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서 인터넷,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제1 BSS(BSS1)를 제공할 수 있고, 제1 스테이션(STA1), 제3 스테이션(STA3), 제4 스테이션(STA4) 및 제5 스테이션(STA5)은 제1 액세스 포인트(AP1)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제2 BSS(BSS2)를 제공할 수 있고, 제1 스테이션(STA1), 제2 스테이션(STA2), 제3 스테이션(STA3) 및 제6 스테이션(STA6)은 제2 액세스 포인트(AP2)와 통신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테이션(STA1) 및 제3 스테이션(STA3)은 제1 액세스 포인트(AP1) 및 제2 액세스 포인트(AP2)에 모두 접속할 수 있다. 도 1에서 점선들은 제1 BSS(BSS1) 및 제2 BSS(BSS2) 각각의 대략적인 범위(extent)를 나타내고, 도 1에 도시된 원형과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 may extend a service area by an access point (AP). A station (STA) may communicate with the access point in a basic service set (BSS) provided by the access point, and may access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or an IP (internet protocol) network through the access poin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provide the first BSS BSS1, and the first station STA1, the third station STA3, and the fourth station ( STA4) and the fifth station STA5 may communicate with the first access point AP1. In addition,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provide the second BSS BSS2, and the first station STA1, the second station STA2, the third station STA3, and the sixth station STA6 are It can communicate with the second access point AP2. As shown in FIG. 1 , a first station STA1 and a third station STA3 may access both the first access point AP1 and the second access point AP2 . In FIG. 1 , dotted lines indicate approximate extents of each of the first BSS ( BSS1 ) and the second BSS ( BSS2 ), and may have a shape different from the circle shown in FIG. 1 .

액세스 포인트 및 스테이션은 WiFi(wireless fidelity) 또는 다른 임의의 WLAN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라우터(router), 게이트웨이(gateway) 등으로 지칭될 수 있고, 스테이션은 모바일 스테이션, 가입자(subscriber) 스테이션, 단말(terminal), 모바일 단말, 무선 단말,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사용자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스테이션은, 모바일 폰, 랩탑 컴퓨터, 웨어러블 장치 등과 같이 휴대형 장치일 수도 있고, 데스크탑 컴퓨터, 스마트 TV등과 같이 고정형(stationary) 장치일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 및 스테이션의 예시들이 도 17을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The access point and station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using wireless fidelity (WiFi) or any other WLAN communication technology. An access point may be referred to as a router, a gateway, or the like, and the station is a mobile station, a subscriber station, a terminal, a mobile terminal, a wireless terminal, user equipment, and a user. and the like. The station may be a portab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 laptop computer, a wearable device, or the like, or a stationary device, such as a desktop computer, a smart TV, or the like. Examples of an access point and st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17 .

802.11 기반의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로토콜은 2이상의 신호 송신들이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충돌(collision)로 간주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들 및 스테이션들은 경쟁(contention)을 통해서 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세스 포인트 및 스테이션은 CSM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및/또는 CA(collision avoidance)에 기초하여 상호 통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액세스 포인트(AP1)가 제1 스테이션(STA1)에 대한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제3 스테이션(STA3)에 대한 송신을 연기할 수 있다. 충돌은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및 다수의 스테이션들이 존재하는 OBSS(overlapping basic service set) 환경에서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10)의 성능, 예컨대 전송량(throughput)은 제한될 수 있다.802.11-based MAC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may consider that two or more signal transmissions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as collision, and accordingly, access points and stations may use a channel through contention. For example, the access point and the station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ased on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and/or collision avoidance (CA), so that the first access point AP1 is the first station STA1 . While performing transmission for ,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defer transmission to the third station STA3 . Collision may occur frequently in an overlapping basic service set (OBSS) environment in which a plurality of access points and a plurality of stations exist, and thus the performanc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 such as throughput, may be limited. .

공간 재사용(spatial reuse; SR)은 충돌되는 전송들이 동시에 발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액세스 포인트(AP1)가 제1 스테이션(STA1)에 대한 제1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제2 스테이션(STA2)에 대한 송신을 연기하는 대신, 제1 스테이션(STA1)의 수신을 방해하지 아니하는 수준의 송신 전력으로 제2 스테이션(STA2)에 대한 제2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스테이션(STA1)에 대한 제1 송신 및 제2 스테이션(STA2)에 대한 제2 송신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무선 통신 시스템(10)에서 전송량은 증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TXOP를 획득한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송신은 제1 송신으로 지칭될 수 있고, 공유된 TXOP를 제공받은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송신은 제2 송신으로 지칭될 수 있다.Spatial reuse (SR) may enable conflicting transmissions to occur simultaneously. For example, while the first access point AP1 performs a first transmission to the first station STA1 , the second access point AP2 delays transmission to the second station STA2 , instead of, The second transmission to the second station STA2 may be performed with a level of transmission power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reception of the first station STA1 . Accordingly, the first transmission to the first station STA1 and the second transmission to the second station STA2 may be performed in parallel, and the transmission amount may increase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 . In this specification, a transmission associated with an access point that has obtained a TXOP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transmission, and a transmission associated with an access point that has received a shared TXOP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transmission.

802.11ax에서 액세스 포인트 또는 스테이션은, 프리앰블에 기초하여 제1 송신을 식별할 수 있고, 제1 송신이 식별된 경우, 프리앰블의 수신 전력에 기초하여 판정된 송신 전력으로 제1 송신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 제2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송신에서 제2 송신이 고려되지 아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 재사용의 효율성이 제한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들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공간 재사용에서 제2 송신이 제1 송신을 고려할 뿐만 아니라, 제1 송신이 제2 송신을 고려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다 효율적인 공간 재사용이 달성될 수 있다.In 802.11ax, the access point or station may identify a first transmission based on a preamble, and if the first transmission is identified, at least partially overlap the first transmission with a transmit power determined based on the received power of the preamble. The second transmission may be performed. However, the second transmission may not be considered in the first transmission, and thus the efficiency of space reuse may be limited. A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spatial reuse, not only the second transmission considers the first transmission, but also the first transmission may consider the second transmission, and thus more efficient spatial reuse may be achieved.

본 명세서에서, 제1 송신이 제2 송신을 고려하는 공간 재사용은, 협력 공간 재사용(coordinated spatial reuse; C-SR)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제1 송신과 관계된(즉, TXOP(transmit opportunity)를 획득한) 액세스 포인트는 공유하는(sharing) 액세스 포인트로서 지칭될 수 있고, 공유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제공하는 BSS는 공유하는 BSS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송신과 관계된 액세스 포인트는 공유되는(shared) 액세스 포인트로서 지칭될 수 있으며, 공유되는 액세스 포인트가 제공하는 BSS는 공유되는 BSS로 지칭될 수 있다. 다른 설명이 없는 한, 제1 액세스 포인트(AP1)가 공유하는 액세스 포인트로 가정되고, 제2 액세스 포인트(AP2)가 공유되는 액세스 포인트로 가정된다. 제1 액세스 포인트(AP1) 및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제1 장치 및 제2 장치로 각각 지칭될 수 있고, 스테이션들 각각은 제3 장치 또는 제4 장치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액세스 포인트(AP1) 및 제1 액세스 포인트(AP1)가 제공하는 제1 BBS(BBS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 사이에서 송신되는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는 제1 PPDU로 지칭될 수 있고, 제2 액세스 포인트(AP2) 및 제2 액세스 포인트(AP2)가 제공하는 제2 BBS(BBS2)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 사이에서 송신되는 PPDU는 제2 PPDU로 지칭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patial reuse in which a first transmission considers a second transmission may be referred to as coordinated spatial reuse (C-SR). In addition, the access point related to the first transmission (ie, obtained a transmit opportunity (TXOP)) may be referred to as a sharing access point, and a BSS provided by the sharing access point may be referred to as a shared BSS. can The access point associated with the second transmission may be referred to as a shared access point, and a BSS provided by the shared access point may be referred to as a shared BS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access point AP1 is a shared access point, and the second access point AP2 is assumed as a shared access point. The first access point AP1 and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apparatus and a second apparatus, respectively, and each of the stations may be referred to as a third apparatus or a fourth apparatus. A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 (PPDU) transmitted between the first access point AP1 and at least one station included in the first BBS provided by the first access point AP1 is referred to as a first PPDU. A PPDU transmitted between the second access point AP2 and at least one station included in the second BBS BBS2 provided by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PPDU.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2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의 블록도는 무선 통신 시스템(20)에서 상호 통신하는 제1 무선 통신 장치(21) 및 제2 무선 통신 장치(22)를 나타낸다. 도 2의 제1 무선 통신 장치(21) 및 제2 무선 통신 장치(22) 각각은 무선 통신 시스템(20)에서 통신하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고,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무선 통신 장치(21) 및 제2 무선 통신 장치(22) 각각은 WLAN 시스템의 액세스 포인트 또는 스테이션일 수 있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2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pecifically, the block diagram of FIG. 2 shows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1 and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2 tha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20 . Each of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1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2 of FIG. 2 may be any device that communicates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20 and may be referred to as a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some embodiments, each of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1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2 may be an access point or station of a WLAN system.

도 2를 참조하면, 제1 무선 통신 장치(21)는 안테나(21_2), 송수신기(21_4) 및 처리 회로(21_6)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안테나(21_2), 송수신기(21_4) 및 처리 회로(21_6)는 하나의 패키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상이한 패키지들에 각각 포함될 수도 있다. 제2 무선 통신 장치(22) 역시 안테나(22_2), 송수신기(22_4) 및 처리 회로(22_6)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무선 통신 장치(21) 및 제2 무선 통신 장치(22)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Referring to FIG. 2 ,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1 may include an antenna 21_2 , a transceiver 21_4 , and a processing circuit 21_6 . In some embodiments, the antenna 21_2 , the transceiver 21_4 , and the processing circuit 21_6 may be included in one package or may be included in different packages, respectively.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2 may also include an antenna 22_2 , a transceiver 22_4 , and a processing circuit 22_6 . Hereinafter,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1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2 will be omitted.

안테나(21_2)는 제2 무선 통신 장치(22)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송수신기(21_4)에 제공할 수 있고, 송수신기(21_4)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제2 무선 통신 장치(22)에 송신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안테나(21_2)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를 위하여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안테나(21_2)는 빔포밍(beamforming)을 위하여 위상 배열(phased array)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antenna 21_2 may receive a signal from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2 and provide it to the transceiver 21_4 , and may transmit the signal provided from the transceiver 21_4 to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2 . In some embodiments, the antenna 21_2 may include a plurality of antennas fo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Also, in some embodiments, the antenna 21_2 may include a phased array for beamforming.

송수신기(21_4)는 제2 무선 통신 장치(22)로부터 안테나(21_2)를 통해서 수신된 신호를 처리할 수 있고, 처리된 신호를 처리 회로(21_6)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기(21_4)는 처리 회로(21_6)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처리할 수 있고, 처리된 신호를 안테나(21_2)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송수신기(21_4)는,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믹서(mixer), 필터,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오실레이터 등과 같은 아날로그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송수신기(21_4)는 처리 회로(21_6)의 제어에 기초하여 안테나(21_2)로부터 수신된 신호 및/또는 처리 회로(21_6)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The transceiver 21_4 may process a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2 through the antenna 21_2 , and may provide the processed signal to the processing circuit 21_6 . In addition, the transceiver 21_4 may process the signal provided from the processing circuit 21_6 and output the processed signal through the antenna 21_2 . In some embodiments, the transceiver 21_4 may include an analog circuit such as a low noise amplifier, a mixer, a filter, a power amplifier, an oscillator, and the like. In some embodiments, the transceiver 21_4 may process a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21_2 and/or a signal received from the processing circuit 21_6 based on the control of the processing circuit 21_6 .

처리 회로(21_6)는 송수신기(21_4)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제2 무선 통신 장치(22)가 송신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처리 회로(21_6)는 송수신기(21_4)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복조(demodulation) 및/또는 디코딩(decoding)함으로써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2 무선 통신 장치(22)에 송신하고자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송수신기(21_4)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처리 회로(21_6)는 제2 무선 통신 장치(22)에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인코딩(encoding) 및/또는 변조(modulation)함으로써 생성된 신호를 송수신기(21_4)에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처리 회로(21_6)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과 같이 프로그램가능한(programmable)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과 같이 재구성가능한(reconfigurable)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IP(intellectual property) 코어 등과 같이 고정된 기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처리 회로(21_6)는 데이터 및/또는 일련의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거나, 해당 메모리에 액세스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송수신기(21_4) 및/또는 처리 회로(21_6)가 동작들을 수행하는 것은, 제1 무선 통신 장치(21)가 해당 동작들을 수행하는 것으로 단순하게 지칭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서 수행되는 동작들은 액세스 포인트에 포함된 송수신기 및/또는 처리 회로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고, 스테이션에 의해서 수행되는 동작들은 스테이션에 포함된 송수신기 및/또는 처리 회로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The processing circuit 21_6 may extract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2 by processing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transceiver 21_4 . For example, the processing circuit 21_6 may extract information by demodulating and/or decod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transceiver 21_4 . In addition, a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2 may be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transceiver 21_4 . For example, the processing circuit 21_6 may provide a signal generated by encoding and/or modulating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2 to the transceiver 21_4 . In some embodiments, the processing circuit 21_6 may include a programmable component, such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etc., such as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the like. It may include a reconfigurable component, and may include a component that provides a fixed function, such as an intellectual property (IP) core. In some embodiments, the processing circuit 21_6 may include or access memory that stores data and/or a series of instructions. In this specification, the transceiver 21_4 and/or the processing circuit 21_6 performing the operations may simpl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1 performing the corresponding operations. Accordingly, operations performed by the access point may be performed by the transceiver and/or processing circuitry included in the access point, and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tation may be performed by the transceiver and/or processing circuitry included in the station. can

도 3a 내지 도 3d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협력 공간 재사용의 시나리오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3a 내지 도 3d는, 제1 액세스 포인트(AP1), 제2 액세스 포인트(AP2), 제1 스테이션(STA1), 제2 스테이션(STA2) 및 제3 스테이션(STA3)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들(30a, 30b, 30c, 30d)을 각각 나타낸다. 이하에서, 액세스 포인트가 데이터를 포함하는 PPDU를 스테이션에 송신하는 것은 하향링크(downlink; DL) 송신으로 지칭될 수 있고, 스테이션이 데이터를 포함하는 PPDU를 액세스 포인트에 송신하는 것은 상향링크(uplink; UL) 송신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에 대한 설명 중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것이다.3A to 3D are diagrams illustrating scenarios of collaborative space reus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Specifically, FIGS. 3A to 3D illustrate a radio including a first access point AP1 , a second access point AP2 , a first station STA1 , a second station STA2 , and a third station STA3 . Communication systems 30a, 30b, 30c, and 30d are shown respectively. Hereinafter, transmission of the PPDU including data by the access point to the station may be referred to as downlink (DL) transmission, and the transmission of the PPDU including data by the station to the access point in uplink (uplink). UL) transmission. Among the descriptions of FIGS. 3A to 3D, the content overlapping with the description of FIG. 1 will be omitted.

도 3a를 참조하면, 제1 BSS(BSS1)의 제1 하향링크 송신(DL1) 및 제2 BSS(BSS2)의 제2 하향링크 송신(DL2)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제1 스테이션(STA1)에 제1 PPDU를 송신하기 위하여 TXOP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공유된 TXOP에서 제1 PPDU를 제1 스테이션(STA1)에 송신할 수 있고, 제2 액세스 포인트(AP1)는 공유된 TXOP에서 제2 PPDU를 제2 스테이션(STA2)에 송신할 수 있다. 도 3a에서 점선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향링크 송신(DL2)은 제1 스테이션(STA1)이 제1 하향링크 송신(DL1)을 처리하는데 간섭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제2 하향링크 송신(DL2)의 송신 전력이 높을수록, 제1 스테이션(STA1)에서 신호 대 간섭비(signal-to-interference ratio; SIR)가 감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제1 스테이션(STA1)의 적절한 신호 대 간섭비를 고려하여 제2 하향링크 송신(DL2)을 수행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도 3a의 예시는 협력 공간 재사용의 DL/DL 시나리오 또는 DL/DL 케이스로서 지칭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A , a first downlink transmission DL1 of a first BSS (BSS1) and a second downlink transmission DL2 of a second BSS (BSS2) may occur. For example,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acquire the TXOP to transmit the first PPDU to the first station STA1 .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transmit a first PPDU to the first station STA1 in the shared TXOP, and the second access point AP1 may transmit the second PPDU in the shared TXOP to the second station STA2. can be sent to 3A , the second downlink transmission DL2 may act as an interference in processing the first downlink transmission DL1 by the first station STA1 . As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second downlink transmission DL2 is higher, a signal-to-interference ratio (SIR) in the first station STA1 may decrease, and accordingly, the second access point AP2 ) may be required to perform the second downlink transmission DL2 in consideration of an appropriate signal-to-interference ratio of the first station STA1. In this specification, the example of FIG. 3A may be referred to as a DL/DL scenario or DL/DL case of cooperative space reuse.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상이하게,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다중 사용자(multi-user; MU), 즉 복수의 스테이션들에 하향링크 송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액세스 포인트(AP2) 역시 복수의 스테이션들에 하향링크 송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협력 공간 재사용의 DL/DL 시나리오 또는 DL/DL 케이스는, 도 3a에 도시된 단일 사용자(single user; SU) 하향링크 송신들뿐만 아니라 전술된 다중 사용자 하향링크 송신을 포괄할 수 있는 점이 유의된다.In some embodiments, differently as shown in FIG. 3A ,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provide downlink transmission to a multi-user (MU), ie, a plurality of stations. Further, 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also provide downlink transmission to a plurality of station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L/DL scenario or DL/DL case of cooperative spatial reuse may encompass the above-described multi-user downlink transmission as well as the single user (SU) downlink transmissions shown in FIG. 3A. point is noted.

도 3b를 참조하면, 제1 BSS(BSS1)의 제1 상향링크 송신(UL1) 및 제2 BSS(BSS2)의 제2 하향링크 송신(DL2)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제1 스테이션(STA1)으로부터 제1 PPDU를 수신하기 위하여 TXOP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스테이션(STA1)은 공유된 TXOP에서 제1 PPDU를 제1 액세스 포인트(AP1)에 송신할 수 있고,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공유된 TXOP에서 제2 PPDU를 제2 스테이션(STA2)에 송신할 수 있다. 도 3b에서 점선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향링크 송신(DL2)은 제1 액세스 포인트(AP1)가 제1 상향링크 송신(UL1)을 처리하는데 간섭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제2 하향링크 송신(DL2)의 송신 전력이 높을수록, 제1 액세스 포인트(AP1)에서 신호 대 간섭비가 감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제1 액세스 포인트(AP1)의 적절한 신호 대 간섭비를 고려하여 제2 하향링크 송신(DL2)을 수행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도 3b의 예시는 협력 공간 재사용의 UL/DL 시나리오 또는 UL/DL 케이스로서 지칭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B , a first uplink transmission UL1 of a first BSS (BSS1) and a second downlink transmission DL2 of a second BSS (BSS2) may occur. For example,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acquire the TXOP to receive the first PPDU from the first station STA1 . The first station STA1 may transmit a first PPDU to the first access point AP1 in the shared TXOP, and the second access point AP2 transmits the second PPDU in the shared TXOP to the second station STA2. can be sent to As shown by a dotted arrow in FIG. 3B , the second downlink transmission DL2 may act as an interference for the first access point AP1 to process the first uplink transmission UL1 . As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second downlink transmission DL2 is higher, the signal-to-interference ratio in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decrease, and accordingly, the second access point AP2 is the first access point AP1. It may be required to perform the second downlink transmission (DL2) in consideration of an appropriate signal-to-interference ratio. In this specification, the example of FIG. 3B may be referred to as a UL/DL scenario or UL/DL case of cooperative space reuse.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상이하게, 다중 사용자, 즉 복수의 스테이션들이 제1 액세스 포인트(AP1)에 상향링크 송신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복수의 스테이션들에 하향링크 송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협력 공간 재사용의 UL/DL 시나리오 또는 UL/DL 케이스는, 도 3b에 도시된 단일 사용자 상향링크 송신 및 단일 사용자 하향링크 송신뿐만 아니라, 다중 사용자 상향링크 송신 및/또는 다중 사용자 하향링크 송신을 포괄할 수 있는 점이 유의된다.In some embodiments, different as shown in FIG. 3B , multiple users, ie, multiple stations, may provide uplink transmissions to the first access point AP1 . Also, 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provide downlink transmission to a plurality of station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UL/DL scenario or UL/DL case of cooperative spatial reuse includes not only single-user uplink transmission and single-user downlink transmission shown in FIG. 3B, but also multi-user uplink transmission and/or multi-user downlink transmission. It is noted that transmission may be encompassed.

도 3c를 참조하면, 제1 BSS(BSS1)의 제1 하향링크 송신(DL1) 및 제2 BSS(BSS2)의 제2 상향링크 송신들(UL21, UL22)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제1 PPDU를 송신하기 위하여 TXOP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공유된 TXOP에서 제1 PPDU를 제1 스테이션(STA1)에 송신할 수 있고, 제2 스테이션(STA2) 및 제3 스테이션(STA3)은 공유된 TXOP에서 제2 PPDU들을 제2 액세스 포인트(AP2)에 송신할 수 있다. 도 3c에서 점선 화살표들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향링크 송신들(UL21, UL22)이 제1 하향링크 송신(DL1)을 처리하는데 간섭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제2 상향링크 송신들(UL21, UL22)의 송신 전력들이 높을수록, 제1 스테이션(STA1)에서 신호 대 간섭비가 감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스테이션(STA2) 및 제3 스테이션(STA3)은 제1 스테이션(STA1)의 적절한 신호 대 간섭비를 고려하여 제2 상향링크 송신들(UL21, UL22)을 수행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도 3c의 예시는 협력 공간 재사용의 DL/UL 시나리오 또는 DL/UL 케이스로서 지칭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C , a first downlink transmission DL1 of a first BSS (BSS1) and second uplink transmissions UL21 and UL22 of a second BSS (BSS2) may occur. For example,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acquire a TXOP to transmit the first PPDU.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transmit a first PPDU to the first station STA1 in the shared TXOP, and the second station STA2 and the third station STA3 transmit the second PPDUs in the shared TXOP. It can transmit to the second access point (AP2). As shown by dotted arrows in FIG. 3C , the second uplink transmissions UL21 and UL22 may act as interference in processing the first downlink transmission DL1 . As the transmission powers of the second uplink transmissions UL21 and UL22 are higher, the signal-to-interference ratio in the first station STA1 may decrease, and accordingly, the second station STA2 and the third station STA3 may It may be required to perform the second uplink transmissions UL21 and UL22 in consideration of an appropriate signal-to-interference ratio of the first station STA1. In this specification, the example of FIG. 3C may be referred to as a DL/UL scenario or DL/UL case of cooperative space reuse.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상이하게,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다중 사용자(multi-user; MU), 즉 복수의 스테이션들에 하향링크 송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단일 사용자, 즉 하나의 스테이션이 제2 액세스 포인트(AP2)에 상향링크 송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협력 공간 재사용의 DL/UL 시나리오 또는 DL/UL 케이스는, 도 3c에 도시된 단일 사용자 하향링크 송신 및 다중 사용자 상향링크 송신뿐만 아니라, 다중 사용자 하향링크 송신 및/또는 단일 사용자 상향링크 송신을 포괄할 수 있는 점이 유의된다.In some embodiments, differently as shown in FIG. 3C ,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provide downlink transmission to a multi-user (MU), ie, a plurality of stations. Also, in some embodiments, a single user, ie, one station, may provide uplink transmission to the second access point AP2.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L/UL scenario or DL/UL case of cooperative spatial reuse includes not only single-user downlink transmission and multi-user uplink transmission shown in FIG. 3C, but also multi-user downlink transmission and/or single user uplink transmission. It is noted that transmission may be encompassed.

도 3d를 참조하면, 제1 BSS(BSS1)의 제1 상향링크 송신(UL1) 및 제2 BSS(BSS2)의 제2 상향링크 송신들(UL21, UL22)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제1 PPDU를 수신하기 위하여 TXOP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스테이션(STA1)은 공유된 TXOP에서 제1 PPDU를 제1 액세스 포인트(AP1)에 송신할 수 있고, 제2 스테이션(STA2) 및 제3 스테이션(STA3)은 공유된 TXOP에서 제2 PPDU들을 제2 액세스 포인트(AP2)에 송신할 수 있다. 도 3d에서 점선 화살표들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향링크 송신들(UL21, UL22)이 제1 상향링크 송신(UL1)을 처리하는데 간섭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제2 상향링크 송신들(UL21, UL22)의 송신 전력들이 높을수록, 제1 액세스 포인트(AP1)에서 신호 대 간섭비가 감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스테이션(STA2) 및 제3 스테이션(STA3)은 제1 액세스 포인트(AP1)의 적절한 신호 대 간섭비를 고려하여, 제2 상향링크 송신들(UL21, UL22)을 수행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도 3d의 예시는 협력 공간 재사용의 UL/UL 시나리오 또는 UL/UL 케이스로서 지칭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전술된 시나리오들에 각각 대응하는 협력 공간 재사용을 위한 방법의 예시들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Referring to FIG. 3D , a first uplink transmission UL1 of a first BSS (BSS1) and second uplink transmissions UL21 and UL22 of a second BSS (BSS2) may occur. For example,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acquire a TXOP to receive the first PPDU. The first station STA1 may transmit a first PPDU to the first access point AP1 in the shared TXOP, and the second station STA2 and the third station STA3 transmit the second PPDUs in the shared TXOP. It can transmit to the second access point (AP2). As shown by dotted arrows in FIG. 3D , the second uplink transmissions UL21 and UL22 may act as interference in processing the first uplink transmission UL1 . As the transmission powers of the second uplink transmissions UL21 and UL22 are higher, the signal-to-interference ratio in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decrease, and accordingly, the second station STA2 and the third station STA3 In consideration of an appropriate signal-to-interference ratio of the first access point AP1, it may be required to perform the second uplink transmissions UL21 and UL22. In this specification, the example of FIG. 3D may be referred to as a UL/UL scenario or UL/UL case of cooperative space reuse. Examples of a method for cooperative space reuse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scenario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3D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3d에 도시된 바와 상이하게, 다중 사용자, 즉 복수의 스테이션들이 제1 액세스 포인트(AP1)에 상향링크 송신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단일 사용자, 즉 하나의 스테이션이 제2 액세스 포인트(AP2)에 상향링크 송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협력 공간 재사용의 UL/UL 시나리오 또는 UL/UL 케이스는, 도 3d에 도시된 단일 사용자 상향링크 송신 및 다중 사용자 상향링크 송신뿐만 아니라, 다중 사용자 상향링크 송신 및/또는 단일 사용자 상향링크 송신을 포괄할 수 있는 점이 유의된다.In some embodiments, different as shown in FIG. 3D , multiple users, ie, multiple stations, may provide uplink transmissions to the first access point AP1 . Also, in some embodiments, a single user, ie, one station, may provide uplink transmission to the second access point AP2.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UL/UL scenario or UL/UL case of cooperative spatial reuse includes not only single-user uplink transmission and multi-user uplink transmission shown in FIG. 3D, but also multi-user uplink transmission and/or single user uplink transmission. It is noted that transmission may be encompassed.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협력 공간 재사용을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메시지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력 공간 재사용을 위한 방법은 복수의 동작들(S41 내지 S4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도 4의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공유하는 액세스 포인트일 수 있고,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공유되는 액세스 포인트일 수 있다. 도 4에서, 제1 스테이션(STA1)은 제1 액세스 포인트(AP1)가 제공하는 제1 BSS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AP1)와 관계될 수 있고, 제2 스테이션(STA2)은 제2 액세스 포인트(AP2)가 제공하는 제2 BSS에서 제2 액세스 포인트(AP2)와 관계될 수 있다.4 is a message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collaborative space reus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shown in FIG. 4 , the method for cooperative space reuse may include a plurality of operations S41 to S45 .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 the first access point AP1 of FIG. 4 may be a shared access point, and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be a shared access point. In FIG. 4 , a first station STA1 may be related to a first access point AP1 in a first BSS provided by a first access point AP1, and a second station STA2 may be associated with a second access point ( AP2) may be related to the second access point (AP2) in the second BSS provided.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1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TXOP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제1 PPDU를 제1 스테이션(STA1)에 송신하거나 제1 스테이션(STA1)으로부터 수신하기 위하여 TXOP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 또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와 경쟁을 통해서 TXOP를 획득할 수 있다. 공간 재사용을 위하여, 제1 액세스 포인트(AP1)가 획득한 TXOP는 제2 액세스 포인트(AP2)와 공유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in step S41 ,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acquire a TXOP. For example,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acquire the TXOP in order to transmit the first PPDU to the first station STA1 or to receive it from the first station STA1 .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acquire the TXOP through contention with at least one station or another access point. For space reuse, the TXOP obtained by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be shared with the second access point AP2.

단계 S42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제2 액세스 포인트(AP2)에 TXOP를 공유할 수 있다.예를 들면,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공유된 TXOP에서 제2 액세스 포인트(AP2)에 제2 PPDU의 송신 및 수신 중 적어도 하나를 허가(permission)할 수 있다.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제1 BSS에서 제1 PPDU의 송신 또는 수신을 방해하지 아니하도록, 제2 BSS에서 상향링크 송신 및/또는 하향링크 송신을 허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상향링크 송신 및/또는 하향링크 송신의 허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예컨대, 도 13의 AF 또는 PPDU0)를 제2 액세스 포인트(AP2)에 송신할 수 있다. 상향링크 송신 및/또는 하향링크 송신의 허가를 나타내는 정보의 예시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In step S42 ,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share the TXOP with the second access point AP2 . For example,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share the TXOP with the second access point AP2 in the shared TXOP. At least one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second PPDU may be permitted.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permit uplink transmission and/or downlink transmission in the second BSS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transmission or reception of the first PPDU in the first BSS.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access point AP1 transmits a signal (eg, AF or PPDU0 in FIG. 13 ) including information indicating permission of uplink transmission and/or downlink transmission to the second access point AP2 can be sent to An example of information indicating permission of uplink transmission and/or downlink transmission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5 .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1 액세스 포인트(AP1)가 제2 송신에 의한 간섭을 추정하는 것은, 제2 BSS에서 하향링크 송신이 발생하는 경우보다 제2 BSS에서 상향링크 송신이 발생하는 경우에 더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제1 PPDU의 송신 또는 수신을 방해하지 아니하도록 제2 액세스 포인트(AP2)에 상향링크 송신 및 하향링크 송신 중 적어도 하나를 허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제1 액세스 포인트(AP1) 및 제1 스테이션(STA1) 사이 경로 손실(path loss)이 미리 정의된 문턱값보다 높은 경우, 제2 액세스 포인트(AP2)에 하향링크 송신만을 허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협력 공간 재사용은 공유되는 BSS(즉, 제2 BSS)에서 하향링크 송신만을 정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단계 S42 및 후술되는 단계 S43이 생략될 수 있으며,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공유된 TXOP에서 하향링크 송신, 즉 제2 PPDU의 송신만을 수행할 수 있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8A and 8B , estimating interference by the second transmission by the first access point AP1 is higher in the uplink in the second BSS than in the case in which downlink transmission occurs in the second BSS. It can be more difficult when transmission occurs. Accordingly,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permit at least one of uplink transmission and downlink transmission to the second access point AP2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transmission or reception of the first PPDU. In some embodiments, when a path loss between the first access point AP1 and the first station STA1 is higher than a predefined threshold, the first access point AP1 Only downlink transmission may be permitted to AP2). In some embodiments, cooperative spatial reuse may define only downlink transmission in a shared BSS (ie, second BSS), and thus step S42 and step S43 described below may be omitted, and the second access point ( AP2) may only perform downlink transmission, that is, transmission of the second PPDU in the shared TXOP.

단계 S43에서,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허가된 상향링크 송신 및 하향링크 송신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단계 S42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AP1)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향링크 송신 및/또는 하향링크 송신을 허가하는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향링크 송신이 허가된 경우,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제2 PPDU(PPDU2)를 수신하기 위하여 트리거 프레임을 제2 스테이션(STA2)에 송신할 수 있다. In step S43,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identify at least one of the allowed uplink transmission and the downlink transmission. For example,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extract information permitting uplink transmission and/or downlink transmission from a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access point AP1 in step S42 . In some embodiments, when uplink transmission is permitted,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transmit a trigger frame to the second station STA2 to receive the second PPDU (PPDU2).

단계 S44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AP1) 및 제1 스테이션(STA1) 사이에 제1 PPDU(PPDU1)가 송신될 수 있고, 단계 S45에서 제2 액세스 포인트(AP2) 및 제2 스테이션(STA2) 사이에 제2 PPDU(PPDU2)가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S44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AP1)가 공유된 TXOP에서 제1 PPDU(PPDU1)를 제1 스테이션(STA1)에 송신할 수도 있고, 제1 스테이션(STA1)이 공유된 TXOP에서 제1 PPDU(PPDU1)를 제1 액세스 포인트(AP1)에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단계 S43에서 상향링크 송신이 식별된 경우 제2 스테이션(STA2)은 제2 액세스 포인트(AP2)에 제2 PPDU(PPDU2)를 송신할 수 있고, 단계 S43에서 하향링크 송신이 식별된 경우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제2 스테이션(STA2)에 제2 PPDU(PPDU2)를 송신할 수 있다.A first PPDU (PPDU1) may be transmitted between the first access point (AP1) and the first station (STA1) in step S44, and between the second access point (AP2) and the second station (STA2) in step S45 A second PPDU (PPDU2) may be transmitted. For example, in step S44,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transmit a first PPDU (PPDU1) to the first station STA1 in the shared TXOP, and the first station STA1 may transmit the first PPDU (PPDU1) to the first station STA1 in the shared TXOP. One PPDU (PPDU1)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access point AP1. In addition, when uplink transmission is identified in step S43, the second station STA2 may transmit a second PPDU (PPDU2) to the second access point AP2, and when downlink transmission is identified in step S43, the second station STA2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transmit a second PPDU (PPDU2) to the second station STA2.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공유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공유되는 액세스 포인트에 제공하는 정보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도 4의 단계 S42에서 제2 액세스 포인트(AP2)에 상향링크 송신 및 하향링크 송신 중 적어도 하나를 허가하기 위하여 제1 액세스 포인트(AP1)가 제공하는 값들을 포함하는 테이블을 나타낸다. 이하에서 도 5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information provided by a shared access point to a shared access poi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pecifically, FIG. 5 is a table including values provided by the first access point AP1 to permit at least one of uplink transmission and downlink transmission to the second access point AP2 in step S42 of FIG. 4 . indicates. Hereinafter, FIG. 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향링크 송신 및 하향링크 송신 중 적어도 하나의 허가는 2-비트의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비트 중 MSB(most significant bit)는 하향링크 송신의 허가 여부를 나타낼 수 있고, 2-비트 중 LSB(least significant bit)는 상향링크 송신의 허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01"은 상향링크 송신의 허가에 대응할 수 있고, "10"은 하향링크 송신의 허가에 대응할 수 있으며, "11"은 상향링크 송신 및 하향링크 송신 모두의 허가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도 5의 2-비트는 제1 액세스 포인트(AP1)로부터 제2 액세스 포인트(AP2)에 송신되는 아나운스먼트 프레임(예컨대, 도 13의 AF)에 포함되는 필드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술된 3가지 조합들을 나타내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상이한 값들을 가지는 2-비트가 사용될 수도 있다.In some embodiments, grant of at least one of uplink transmission and downlink transmission may be expressed as a value of 2-bi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 a most significant bit (MSB) of 2-bits may indicate whether downlink transmission is permitted, and a least significant bit (LSB) of 2-bits may indicate permission of uplink transmission. can indicate whether Accordingly, "01" may correspond to permission of uplink transmission, "10" may correspond to permission of downlink transmission, and "11" may correspond to permission of both uplink transmission and downlink transmission. In some embodiments, a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13 , the 2-bit of FIG. 5 is an announcement frame transmitted from the first access point AP1 to the second access point AP2 (eg, FIG. 13 ). It may correspond to a field included in AF). In some embodiments, 2-bits with different values from those shown in FIG. 5 may be used to represent the three combinations described above.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협력 공간 재사용을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메시지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의 메시지도는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협력 공간 재사용의 DL/DL 시나리오 및 UL/DL 시나리오 각각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을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력 공간 재사용을 위한 방법은 복수의 단계들(S60 내지 S69)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 제1 스테이션(STA1)은 제1 액세스 포인트(AP1)가 제공하는 제1 BSS에 포함될 수 있고, 제2 스테이션(STA2)은 제2 액세스 포인트(AP2)가 제공하는 제2 BSS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단계 S60 및 단계 S65가 각각 수행되기 전,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TXOP를 획득한 것으로 가정된다.6 is a message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collaborative space reus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pecifically, the message diagram of FIG. 6 shows operations performed in each of the DL/DL scenario and the UL/DL scenario of cooperative space reus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A and 3B . As shown in FIG. 6 , the method for collaborative space reuse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eps S60 to S69 . In FIG. 6 , a first station STA1 may be included in a first BSS provided by a first access point AP1 , and a second station STA2 may be included in a second BSS provided by a second access point AP2 . may be included. In addition, in FIG. 6 ,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access point AP1 has acquired the TXOP before steps S60 and S65 are respectively performed.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60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공유된 TXOP에서의 송신 전력 한계(transmission power limit; TPL)를 판정할 수 있다. 송신 전력 한계는 제2 액세스 포인트(AP2)가 공유된 TXOP에서 제2 PPDU를 제2 스테이션(STA2)에 송신시 허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제1 PPDU를 제1 스테이션(STA1)에 송신하기 위하여 TXOP를 획득할 수 있고, 제1 스테이션(STA1)과 관계된 적어도 하나의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 한계를 판정할 수 있다. 협력 공간 재사용의 DL/DL 시나리오 및 UL/DL 시나리오에서 송신 전력 한계를 판정하는 동작의 예시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Referring to FIG. 6 , in step S60 ,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determine a transmission power limit (TPL) in the shared TXOP. The transmit power limit may correspond to the maximum transmit power allowed when the second access point AP2 transmits the second PPDU to the second station STA2 in the shared TXOP. For example,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obtain a TXOP to transmit a first PPDU to the first station STA1 , and transmit based on at least one path loss associated with the first station STA1 . Power limits can be determined.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determining a transmit power limit in a DL/DL scenario and a UL/DL scenario of cooperative space reuse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7 .

단계 S61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송신 전력 한계를 제2 액세스 포인트(AP2)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단계 S60에서 판정된 송신 전력 한계를 포함하는 신호를 제2 액세스 포인트(AP2)에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송신 전력 한계는 아나운스먼트 프레임에 포함될 수 있다.In step S61 ,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provide a transmit power limit to the second access point AP2 . For example,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transmit a signal including the transmission power limit determined in step S60 to the second access point AP2 . In some embodiments, a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13 , the transmit power limit may be included in the announcement frame.

단계 S62에서,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송신 전력 한계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단계 S61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AP1)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송신 전력 한계를 추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송신 전력 한계는, TPC(transmit power control) 보고에 포함된 송신 전력 필드와 동일한 형식을 가질 수 있고,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송신 전력 필드의 값에 대응하는 송신 전력 한계를 식별할 수 있다.In step S62,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identify a transmit power limit. For example,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extract a transmit power limit from a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access point AP1 in step S61 . In some embodiments, the transmit power limit may have the same format as a transmit power field included in a transmit power control (TPC) report, and the second access point AP2 transmits a transmit power corresponding to a value of the transmit power field. limitations can be identified.

단계 S63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공유된 TXOP에서 제1 PPDU를 제1 스테이션(STA1)에 송신할 수 있고, 단계 S64에서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공유된 TXOP에서 제2 PPDU를 제2 스테이션(STA2)에 송신할 수 있다.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단계 S62에서 식별된 송신 전력 한계 이하의 송신 전력으로 제2 PPDU를 송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PPDU의 송신에 기인하는 간섭은 감소하거나 제거될 수 있고, 제1 스테이션(STA1)은 제1 PPDU를 성공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In step S63,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transmit a first PPDU to the first station STA1 in the shared TXOP, and in step S64, the second access point AP2 transmits a second PPDU in the shared TXOP It can transmit to the second station STA2.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transmit the second PPDU with a transmit power equal to or less than the transmit power limit identified in step S62, and accordingly, interference due to transmission of the second PPDU may be reduced or eliminated, and The first station STA1 may successfully receive the first PPDU.

단계 S65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공유된 TXOP에서의 송신 전력 한계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제1 PPDU를 제1 스테이션(STA1)으로부터 수신하기 위하여 TXOP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AP1)와 관계된 적어도 하나의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 한계를 판정할 수 있다. 송신 전력 한계를 판정하는 동작의 예시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In step S65,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determine a transmit power limit in the shared TXOP. For example,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acquire a TXOP to receive a first PPDU from the first station STA1, based on at least one path loss associated with the first access point AP1. to determine the transmit power limit.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determining the transmit power limi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7 .

단계 S66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송신 전력 한계를 제2 액세스 포인트(AP2)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67에서,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송신 전력 한계를 식별할 수 있다.In step S66 ,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provide a transmit power limit to the second access point AP2 . In step S67,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identify a transmit power limit.

단계 S68에서 제1 스테이션(STA1)은 공유된 TXOP에서 제1 PPDU를 제1 액세스 포인트(AP1)에 송신할 수 있고, 단계 S69에서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공유된 TXOP에서 제2 PPDU를 제2 스테이션(STA2)에 송신할 수 있다.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단계 S62에서 식별된 송신 전력 한계 이하의 송신 전력으로 제2 PPDU를 송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PPDU의 송신에 기인하는 간섭은 감소하거나 제거될 수 있고,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제1 PPDU를 성공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In step S68, the first station STA1 may transmit a first PPDU to the first access point AP1 in the shared TXOP, and in step S69, the second access point AP2 transmits a second PPDU in the shared TXOP It can transmit to the second station STA2.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transmit the second PPDU with a transmit power equal to or less than the transmit power limit identified in step S62, and accordingly, interference due to transmission of the second PPDU may be reduced or eliminated, and One access point AP1 may successfully receive the first PPDU.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7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의 도면은 공유되는 BBS에서 하향링크 송신이 발생하는 경우, 협력 공간 재사용에서 고려되는 경로 손실의 예시들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액세스 포인트(AP1) 및 제1 스테이션(STA1) 사이 제1 경로 손실(PL1), 제2 액세스 포인트(AP2) 및 제2 스테이션(STA2) 사이 제2 경로 손실(PL2), 그리고 제1 액세스 포인트(AP1) 및 제2 액세스 포인트(AP2) 사이 제3 경로 손실(PL3)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제1 BSS(BSS1)를 제공할 수 있고,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제2 BSS(BSS2)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1 스테이션(STA1)은 제1 BSS(BSS1)에 포함될 수 있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7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pecifically, the diagram of FIG. 7 shows examples of path loss considered in cooperative space reuse when downlink transmission occurs in a shared BBS. As shown in FIG. 7 , a first path loss PL 1 between the first access point AP1 and the first station STA1 , a second path between the second access point AP2 and the second station STA2 . A loss PL 2 and a third path loss PL 3 between the first access point AP1 and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be considered. In addition,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provide a first BSS (BSS1),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provide a second BSS (BSS2), and the first station STA1 may provide a first BSS (BSS1). It may be included in 1 BSS (BSS1).

DL/DL 시나리오에서(예컨대, 도 6의 단계 S60에서), 제1 경로 손실(PL1) 및 제2 경로 손실(PL2)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 한계가 판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경로 손실(PL1)은 제1 액세스 포인트(AP1)가 송신한 신호의 손실에 대응할 수 있고, 제2 경로 손실(PL2)은 제2 액세스 포인트(AP2)가 송신한 신호의 손실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경로 손실(PL1)이 낮고 제2 경로 손실(PL2)이 높을수록, 제1 스테이션(STA1)이 제1 액세스 포인트(AP1)로부터 제1 PPDU를 성공적으로 수신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제1 액세스 포인트(AP1)의 송신 전력, 제1 경로 손실(PL1) 및 제2 경로 손실(PL2)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 한계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L/DL 시나리오에서 송신 전력 한계 TPLAP2는, 제1 액세스 포인트(AP1)의 송신 전력이 PAP1이고 제1 스테이션(STA1)이 제1 PPDU를 성공적으로 수신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최소 신호 대 간섭비가 SIRSTA1일 때, 아래 [수학식 1]을 만족할 수 있다.In a DL/DL scenario (eg, in step S60 of FIG. 6 ), a transmit power limit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first pathloss PL 1 and the second pathloss PL 2 . For example, the first path loss PL 1 may correspond to a loss of a signal transmitted by the first access point AP1 , and the second path loss PL 2 may correspond to a signal transmitted by the second access point AP2 . It can cope with signal loss. As the first path loss PL 1 is low and the second path loss PL 2 is high, it may be advantageous for the first station STA1 to successfully receive the first PPDU from the first access point AP1 . Accordingly, the first access point AP1 determines a transmit power limit based on the transmit power of the first access point AP1 , the first path loss PL 1 , and the second path loss PL 2 . can For example, in the DL/DL scenario, the transmit power limit TPL AP2 is the minimum signal required for the transmit power of the first access point AP1 to be P AP1 and the first station STA1 to successfully receive the first PPDU. When the to-interference ratio is SIR STA1 , the following [Equation 1] may be satisfied.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UL/DL 시나리오에서(예컨대, 도 6의 단계 S65에서), 제1 경로 손실(PL1) 및 제3 경로 손실(PL3)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 한계가 판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경로 손실(PL1)은 제1 액세스 포인트(AP1)가 송신한 신호의 손실에 대응할 수 있고, 제3 경로 손실(PL3)은 제2 액세스 포인트(AP2)가 송신한 신호의 손실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경로 손실(PL1)이 낮고 제3 경로 손실(PL3)이 높을수록, 제1 액세스 포인트(AP1)가 제1 스테이션(STA1)으로부터 제1 PPDU를 성공적으로 수신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제1 스테이션(STA1)의 송신 전력, 제1 경로 손실(PL1) 및 제2 경로 손실(PL2)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 한계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L/DL 시나리오에서 송신 전력 한계 TPLAP2는, 제1 스테이션(STA1)의 송신 전력이 PAP1이고 제1 액세스 포인트(AP1)이 제1 PPDU를 성공적으로 수신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최소 신호 대 간섭비가 SIRAP1일 때, 아래 [수학식 2]를 만족할 수 있다.In the UL/DL scenario (eg, in step S65 of FIG. 6 ), a transmit power limit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first pathloss PL 1 and the third pathloss PL 3 . For example, the first path loss PL 1 may correspond to a loss of a signal transmitted by the first access point AP1 , and the third path loss PL 3 may correspond to a signal loss transmitted by the second access point AP2 . It can cope with signal loss. As the first path loss PL 1 is low and the third path loss PL 3 is high, it may be advantageous for the first access point AP1 to successfully receive the first PPDU from the first station STA1 . Accordingly,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determine the transmit power limit based on the transmit power of the first station STA1 , the first path loss PL 1 , and the second path loss PL 2 . have. For example, in the UL/DL scenario, the transmit power limit TPL AP2 is the minimum signal required for the transmit power of the first station STA1 to be P AP1 and the first access point AP1 to successfully receive the first PPDU. When the to-interference ratio is SIR AP1 , the following [Equation 2] may be satisfied.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스테이션(STA1)은, 제1 액세스 포인트(AP1)가 출력하는 프레임에 기초하여 제1 경로 손실(PL1)을 계산할 수 있고, 제2 액세스 포인트(AP2)가 출력하는 프레임에 기초하여 제2 경로 손실(PL2)을 계산할 수 있다. 제1 스테이션(STA1)은 제1 경로 손실(PL1) 및 제2 경로 손실(PL2)을 제1 액세스 포인트(AP1)에 보고할 수 있다. 또한, 제1 액세스 포인트(AP1)(또는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제2 액세스 포인트(AP2)(또는 제1 액세스 포인트(AP1))가 출력하는 프레임에 기초하여 제3 경로 손실(PL3)을 계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유하는 액세스 포인트, 즉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제1 경로 손실(PL1), 제2 경로 손실(PL2) 및 제3 경로 손실(PL3)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수신되는 프레임에 기초하여 경로 손실을 계산하는 동작의 예시가 도 12를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station STA1 may calculate the first pathloss PL 1 based on a frame output by the first access point AP1 , and the second access point AP2 outputs the first path loss PL 1 . The second path loss PL 2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frame in which The first station STA1 may report the first path loss PL 1 and the second path loss PL 2 to the first access point AP1 . In addition, the first access point AP1 (or the second access point AP2) performs a third path loss PL based on a frame output by the second access point AP2 (or the first access point AP1). 3 ) can be calculated. Accordingly, the shared access point, that is,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obtain information on the first path loss PL 1 , the second path loss PL 2 , and the third path loss PL 3 . have. An example of calculating a path loss based on a received frame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2 .

도 8a 및 도 8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8a의 도면은 무선 통신 시스템(80a)에서 협력 공간 재사용의 DL/UL 시나리오에서 고려되는 경로 손실의 예시들을 나타내고, 도 8b의 도면은 무선 통신 시스템(80b)에서 협력 공간 재사용의 UL/UL 시나리오에서 고려되는 경로 손실의 예시들을 나타낸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테이션(STA1)은 제1 액세스 포인트(AP1)가 제공하는 제1 BSS(BSS1)에 포함될 수 있고, 제2 스테이션(STA2) 및 제3 스테이션(STA3)은 제2 액세스 포인트(AP2)가 제공하는 제2 BSS(BSS2)에 포함될 수 있다.8A and 8B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Specifically, the diagram of FIG. 8A shows examples of path loss considered in the DL/UL scenario of cooperative space reuse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80a, and the diagram of FIG. 8B shows the UL of cooperative space reuse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80b Shows examples of path loss considered in the /UL scenario. 8A and 8B , the first station STA1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BSS BSS1 provided by the first access point AP1, and the second station STA2 and the third station ( STA3)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BSS (BSS2) provided by the second access point (AP2).

도 8a를 참조하면, DL/UL 시나리오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AP1) 및 제1 스테이션(STA1) 사이 제1 경로 손실(PL11a), 제2 스테이션(STA2) 및 제1 스테이션 사이 제2 경로 손실(PL12a), 그리고 제3 스테이션(STA3) 및 제1 스테이션(STA1) 사이 제3 경로 손실(PL13a)이 고려될 수 있다. 제1 경로 손실(PL11a)이 낮고 제2 경로 손실(PL12a) 및 제3 경로 손실(PL13a)이 높을수록, 제1 스테이션(STA1)이 제1 액세스 포인트(AP1)로부터 제1 PPDU를 성공적으로 수신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제1 스테이션(STA1)은 제1 경로 손실(PL11a)을 제1 액세스 포인트(AP1)로부터 수신되는 프레임에 기초하여 계산할 수 있는 한편, 제2 경로 손실(PL12a) 및 제3 경로 손실(PL13a)에 대한 정보의 획득은 프레임을 출력하지 아니하는 제2 스테이션(STA2) 및 제3 스테이션(STA3)에 기인하여 용이하지 아니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A , in a DL/UL scenario, a first path loss PL 11a between a first access point AP1 and a first station STA1 , a second path between a second station STA2 and the first station A loss PL 12a and a third path loss PL 13a between the third station STA3 and the first station STA1 may be considered. When the first path loss PL 11a is low and the second path loss PL 12a and the third path loss PL 13a are high, the first station STA1 receives the first PPDU from the first access point AP1. It can be advantageous to receive successfully. The first station STA1 may calculate a first path loss PL 11a based on a frame received from the first access point AP1 , while a second path loss PL 12a and a third path loss PL 13a ) may not be easily obtained due to the second station STA2 and the third station STA3 not outputting a frame.

도 8b를 참조하면, UL/UL 시나리오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AP1) 및 제1 스테이션(STA1) 사이 제1 경로 손실(PL11b), 제1 액세스 포인트(AP1) 및 제2 스테이션(STA2) 사이 제2 경로 손실(PL12b), 그리고 제1 액세스 포인트(AP1) 및 제3 스테이션(STA3) 사이 제3 경로 손실(PL13b)이 고려될 수 있다. 제1 경로 손실(PL11b)이 낮고 제2 경로 손실(PL12b) 및 제3 경로 손실(PL13b)이 높을수록, 제1 액세스 포인트(AP1)가 제1 스테이션(STA1)으로부터 제1 PPDU를 성공적으로 수신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제1 경로 손실(PL11b)에 대한 정보를 제1 스테이션(STA1)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제2 경로 손실(PL12b) 및 제3 경로 손실(PL13b)에 대한 정보를 제2 스테이션(STA2) 및 제3 스테이션(STA3)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B , in a UL/UL scenario, a first path loss (PL 11b ) between a first access point (AP1) and a first station (STA1), a first access point (AP1) and a second station (STA2) A second path loss between the PL 12b and a third path loss PL 13b between the first access point AP1 and the third station STA3 may be considered. When the first path loss PL 11b is low and the second path loss PL 12b and the third path loss PL 13b are high, the first access point AP1 receives the first PPDU from the first station STA1. It can be advantageous to receive successfully.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path loss PL 11b from the first station STA1 . In addi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1 , the second access point AP2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path loss PL 12b and the third path loss PL 13b to the second station STA2 and the second access point AP2 . 3 may be received from the station STA3.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협력 공간 재사용을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메시지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9의 메시지도는 도 3c 및 도 8a를 참조하여 전술된 협력 공간 재사용의 DL/UL 시나리오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력 공간 재사용을 위한 방법은 복수의 단계들(S91 내지 S9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서, 제1 스테이션(STA1)은 제1 액세스 포인트(AP1)가 제공하는 제1 BSS에 포함될 수 있고, 제2 스테이션(STA2)은 제2 액세스 포인트(AP2)가 제공하는 제2 BSS에 포함될 수 있다.9 is a message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collaborative space reus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pecifically, the message diagram of FIG. 9 shows operations performed in the DL/UL scenario of cooperative space reus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C and 8A . As shown in FIG. 9 , the method for collaborative space reuse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eps S91 to S96 . In FIG. 9 , a first station STA1 may be included in a first BSS provided by a first access point AP1 , and a second station STA2 may be included in a second BSS provided by a second access point AP2 . may be included.

도 8a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협력 공간 재사용의 DL/UL 시나리오에서 필요한 경로 손실들 중 일부를 획득하는 것이 용이하지 아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유하는 BSS(즉, 제1 BSS)의 송신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공유되는 액세스 포인트(즉,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스스로 송신 전력 한계를 보수적으로(conservatively) 판정할 수 있고, 판정된 송신 전력 한계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송신의 송신 전력을 제한할 수 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공유되는 액세스 포인트는 공유하는 BSS에서 발생하는 송신으로부터 측정된 수신 전력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 한계를 판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8A , it may not be easy to obtain some of the necessary path losses in a DL/UL scenario of cooperative space reuse. Accordingly, in order to minimize interference with the transmission of the shared BSS (ie, the first BSS), the shared access point (ie, the second access point AP2) can conservatively determine the transmission power limit by itself. and limit the transmit power of the uplink transmission based on the determined transmit power limit. As described below, in some embodiments a shared access point may determine a transmit power limit based on received power measured from transmissions occurring in the sharing BSS.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S91에서 제1 스테이션(STA1)은 PPDU를 제1 액세스 포인트(AP1)에 송신할 수 있고, 단계 S92에서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PPDU를 제1 스테이션(STA1)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즉, 제1 스테이션(STA1)이 PPDU를 송신하기 위하여 출력한 신호는 제1 액세스 포인트(AP1)뿐만 아니라 제2 액세스 포인트(AP2)에도 도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제1 스테이션(STA1)으로부터 PPDU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in step S91 , the first station STA1 may transmit a PPDU to the first access point AP1 , and in step S92 , the second access point AP2 transmits the PPDU to the first station STA1 . can be received from That is, the signal output by the first station STA1 to transmit the PPDU may reach not only the first access point AP1 but also the second access point AP2, and accordingly, the second access point AP2 A PPDU may be received from the first station STA1.

단계 S93에서,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PPDU의 수신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단계 S92에서 수신된 PPDU의 프리앰블(preamble)에 기초하여 수신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측정된 수신 전력이 높은 경우 제2 액세스 포인트(AP2) 및 제1 스테이션(STA1) 사이 낮은 경로 손실을 추정할 수 있는 한편, 측정된 수신 전력이 높은 경우 제2 액세스 포인트(AP2) 및 제1 스테이션(STA1) 사이 낮은 경로 손실을 추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측정된 수신 전력이 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 공유된 TXOP에서 상향링크 송신을 포기할 수 있다.In step S93,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measure the received power of the PPDU. For example,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measure the received power based on the preamble of the PPDU received in step S92.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estimate a low path loss between the second access point AP2 and the first station STA1 when the measured received power is high, while when the measured received power is high, the second access point AP2 A low path loss between the access point AP2 and the first station STA1 may be estimated. Accordingly, 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give up uplink transmission in the shared TXOP when the measured received power exceeds a threshold.

단계 S94에서,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제2 스테이션(STA2)에 송신 전력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S94가 수행되기 전, 제1 액세스 포인트(AP1)에 의해서 TXOP가 공유될 수 있고, 단계 S93에서 측정된 수신 전력이 문턱값 미만인 경우,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측정된 수신 전력, 제2 PPDU를 성공적으로 수신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최소 신호 대 간섭비, 그리고 제2 액세스 포인트(AP2) 및 제2 스테이션(STA2) 사이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제2 스테이션(STA2)의 송신 전력 한계를 판정할 수 있다.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판정된 송신 전력 한계를 포함하는 신호를 제2 스테이션(STA2)에 송신함으로써, 제2 스테이션(STA2)의 송신 전력을 제한할 수 있다.In operation S94 ,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limit transmission power to the second station STA2 . For example, before step S94 is performed, if the TXOP may be shared by the first access point AP1 and the received power measured in step S93 is less than a threshold,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measure Based on the received received power, the minimum signal-to-interference ratio required to successfully receive the second PPDU, and the path loss between the second access point AP2 and the second station STA2, the A transmit power limit can be determined.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limit the transmit power of the second station STA2 by transmitting a signal including the determined transmit power limit to the second station STA2 .

단계 S95에서 제1 스테이션(STA1)은 공유된 TXOP에서 제1 PPDU를 제1 액세스 포인트(AP1)에 송신할 수 있고, 단계 S96에서 제2 스테이션(STA2)은 공유된 TXOP에서 제2 PPDU를 제2 액세스 포인트(AP2)에 송신할 수 있다. 제2 스테이션(STA2)은 단계 S94에서 제2 액세스 포인트(AP2)로부터 제공된 송신 전력 한계 이하의 송신 전력으로 제2 PPDU를 송신할 수 있고, 제1 액세스 포인트(AP2)는 제1 PPDU를 성공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In step S95, the first station STA1 may transmit a first PPDU to the first access point AP1 in the shared TXOP, and in step S96, the second station STA2 sends a second PPDU in the shared TXOP. 2 can be transmitted to the access point (AP2). The second station STA2 may transmit the second PPDU with a transmit power equal to or less than the transmit power limit provided from the second access point AP2 in step S94, and the first access point AP2 successfully transmits the first PPDU can receive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협력 공간 재사용을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메시지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0의 메시지도는 도 3d 및 도 8b를 참조하여 전술된 협력 공간 재사용의 UL/UL 시나리오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력 공간 재사용을 위한 방법은 복수의 단계들(S91 내지 S9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서, 제1 스테이션(STA1)은 제1 액세스 포인트(AP1)가 제공하는 제1 BSS에 포함될 수 있고, 제2 스테이션(STA2)은 제2 액세스 포인트(AP2)가 제공하는 제2 BSS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0은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10 is a message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collaborative space reus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pecifically, the message diagram of FIG. 10 shows operations performed in the UL/UL scenario of cooperative space reus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D and 8B . As shown in FIG. 10 , the method for collaborative space reuse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eps S91 to S96 . In FIG. 10 , a first station STA1 may be included in a first BSS provided by a first access point AP1 , and a second station STA2 may be included in a second BSS provided by a second access point AP2 . may be included. Hereinafter, FIG.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B.

단계 S101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허용 간섭 한계(tolerable interference limit; TIL)를 판정할 수 있다. 허용 간섭 한계는 제1 액세스 포인트(AP1)가 제1 PPDU를 성공적으로 수신하기 위하여 허용되는 최대 간섭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제1 스테이션(STA1)으로부터 제1 PPDU를 수신하기 위하여 TXOP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AP1)와 관계된 적어도 하나의 손실 경로에 기초하여 허용 간섭 한계를 판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제1 스테이션(STA1)의 송신 전력, 도 8b의 제1 경로 손실(PL11b) 및 제1 PPDU를 성공적으로 수신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최소 신호 대 간섭비에 기초하여 허용 간섭 한계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b의 제1 액세스 포인트(AP1)의 신호 대 간섭비 SIRUL/UL은 아래 [수학식 3]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In step S101,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determine a tolerable interference limit (TIL). The tolerable interference limit may correspond to the maximum interference allowed for the first access point AP1 to successfully receive the first PPDU. For example,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acquire a TXOP to receive a first PPDU from the first station STA1, based on at least one loss path associated with the first access point AP1. to determine the allowable interference limit.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access point AP1 is the transmit power of the first station STA1 , the first path loss PL 11b of FIG. 8B and the minimum signal required to successfully receive the first PPDU versus An allowable interference limit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interference ratio. For example, the signal-to-interference ratio SIR UL/UL of the first access point AP1 of FIG. 8B may be calculated as in Equation 3 below.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수학식 3]에서, PSTA1, PSTA2, PSTA3는 제1 스테이션(STA1), 제2 스테이션(STA2) 및 제3 스테이션(STA3)의 송신 전력들을 각각 나타낸다. [수학식 3]의 우변에서, 첫번째 항은 제1 액세스 포인트(AP1)가 제1 스테이션(STA1)으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수신 전력에 대응할 수 있고, 두번째 항은 제1 액세스 포인트(AP1)가 제2 스테이션(STA2)으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수신 전력에 대응할 수 있으며, 세번째 항은 제1 액세스 포인트(AP1)가 제3 스테이션(STA3)으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수신 전력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학식 3]의 우변에서 두번째 항 및 세번째 항이 제1 PPDU의 수신에 작용하는 간섭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액세스 포인트(AP1)가 제1 PPDU를 성공적으로 수신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최소 신호 대 간섭비가 SIRAP1일 때, [수학식 3]의 SIRUL/UL은 SIRAP1 이상일 것이 요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SIRAP1를 만족하는 허용 간섭 한계

Figure pat00004
은 아래 [수학식 4]를 만족할 수 있다(SIRUL/UL = SIRAP1).In [Equation 3], P STA1 , P STA2 , and P STA3 represent the transmission powers of the first station STA1 , the second station STA2 , and the third station STA3 , respectively. In the right-hand side of [Equation 3], the first term may correspond to the received power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first access point AP1 from the first station STA1, and the second term is the first access point AP1 The second term may correspond to the received power of a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station STA2 , and the third term may correspond to the received power of the signal that the first access point AP1 receives from the third station STA3 . Accordingly, the second and third terms on the right side of [Equation 3] may correspond to interference acting on reception of the first PPDU. When the minimum signal-to-interference ratio required for the first access point AP1 to successfully receive the first PPDU is SIR AP1 , SIR UL/UL in [Equation 3] may be required to be SIR AP1 or greater, and thus permissible interference limits satisfying SIR AP1 according to
Figure pat00004
may satisfy [Equation 4] below (SIR UL/UL = SIR AP1 ).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단계 S102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허용 간섭 한계를 제2 액세스 포인트(AP2)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단계 S101에서 판정된 허용 간섭 한계를 포함하는 신호를 제2 액세스 포인트(AP2)에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허용 간섭 한계는 아나운스먼트 프레임에 포함될 수 있다.In step S102 ,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provide an allowable interference limit to the second access point AP2 . For example,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transmit a signal including the allowable interference limit determined in step S101 to the second access point AP2. In some embodiments, a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13 , an acceptable interference limit may be included in the announcement frame.

단계 S103에서,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허용 간섭 한계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단계 S102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AP1)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허용 간섭 한계를 추출할 수 있다.In step S103,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identify an allowable interference limit. For example,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extract an allowable interference limit from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access point AP1 in step S102 .

단계 S104에서,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제2 스테이션(STA2)의 송신 전력을 제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단계 S103에서 식별된 허용 간섭 한계 및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AP1)와 관계된 적어도 하나의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제2 스테이션(STA2)의 송신 전력을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학식 4]의 허용 간섭 한계

Figure pat00006
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송신의 송신 전력 한계
Figure pat00007
는 아래 [수학식 5]를 만족할 수 있다.In step S104 ,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limit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second station STA2 . 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access point AP2 transmits the transmit power of the second station STA2 based on the tolerable interference limit identified in step S103 and the at least one path loss associated with the first access point AP1 . can be determined. For example, the allowable interference limit of [Equation 4]
Figure pat00006
Based on the transmit power limit of uplink transmission
Figure pat00007
may satisfy [Equation 5] below.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8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수학식 5]에 기초하여, 다중 사용자(multi-user; MU) 환경에서는 스테이션들(예컨대, 도 8b의 STA2 및 STA3)에 송신 전력들을 분배할 수 있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사용자 환경에서는 [수학식 5]의 송신 전력 한계

Figure pat00009
를 제2 스테이션(STA2)에 제공할 수 있다.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distribute transmit powers to stations (eg, STA2 and STA3 in FIG. 8B ) in a multi-user (MU) environment based on Equation 5, FIG. As shown in Fig. 10, in a single user environment, the transmit power limit of [Equation 5]
Figure pat00009
may be provided to the second station STA2.

단계 S105에서 제1 스테이션(STA1)은 공유된 TXOP에서 제1 PPDU를 제1 액세스 포인트(AP1)에 송신할 수 있고, 단계 S106에서 제2 스테이션(STA2)은 공유된 TXOP에서 제2 PPDU를 제2 액세스 포인트(AP2)에 송신할 수 있다. 제2 스테이션(STA2)은 단계 S104에서 제2 액세스 포인트(AP2)로부터 제공된 송신 전력 한계 이하의 송신 전력으로 제2 PPDU를 송신할 수 있고, 제1 액세스 포인트(AP2)는 제1 PPDU를 성공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In step S105, the first station STA1 may transmit a first PPDU to the first access point AP1 in the shared TXOP, and in step S106, the second station STA2 sends a second PPDU in the shared TXOP. 2 can be transmitted to the access point (AP2). The second station STA2 may transmit the second PPDU with a transmit power equal to or less than the transmit power limit provided from the second access point AP2 in step S104, and the first access point AP2 successfully transmits the first PPDU can receive

도 1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협력 공간 재사용을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메시지도이고, 도 1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1의 메시지도는 협력 공간 재사용의 UL/UL 시나리오에서 사용되는 경로 손실들을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도 12의 프레임(120)이 도 11의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1에서, 제2 스테이션(STA2)은 제2 액세스 포인트(AP2)가 제공하는 제2 BSS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1 및 도 12는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11 is a message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cooperative space reus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ram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pecifically, the message diagram of FIG. 11 shows a method of obtaining path losses used in a UL/UL scenario of cooperative spatial reuse, and the frame 120 of FIG. 12 may be used in the method of FIG. 11 . In FIG. 11 , the second station STA2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BSS provided by the second access point AP2 . Hereinafter, FIGS. 11 and 1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B.

도 11을 참조하면, 협력 공간 재사용을 위한 방법은 복수의 단계들(S111 내지 S113)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11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프레임(120)을 송신할 수 있고, 제2 액세스 포인트(AP2) 및 제2 스테이션(STA2)은 프레임(120)을 각각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액세스 포인트(AP1) 및 제2 액세스 포인트(AP2)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은,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프레임(120)을 출력할 수 있고,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 또는 스테이션들은 프레임(120)을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the method for cooperative space reuse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eps S111 to S113 . In step S111 ,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transmit the frame 120 , and the second access point AP2 and the second station STA2 may receive the frame 120 , respectively. For example, each of the access points including the first access point AP1 and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output the frame 120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and other access points or stations They may receive the frame 120 .

도 12를 참조하면, 프레임(120)은 복수의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필드들 각각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20)은 협력 공간 재사용 능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필드(121) 및 프레임(120)의 송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필드(1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액세스 포인트(AP2) 및 제2 스테이션(STA2)은 제1 액세스 포인트(AP2)로부터 수신된 프레임(120)으로부터 제1 필드(121)를 추출할 수 있고, 제1 필드(121)의 값에 기초하여 제1 액세스 포인트(AP1)가 협력 공간 재사용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2 액세스 포인트(AP1) 및 제2 스테이션(STA2)은 프레임(120)으로부터 제2 필드(122)를 추출할 수 있고, 제2 필드(122)의 값에 기초하여 제1 액세스 포인트(AP1)가 프레임(120)을 포함하는 신호의 송신에 사용한 송신 전력을 식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필드(122)는, TPC 보고에 포함된 송신 전력 필드와 동일한 형식을 가질 수 있다. 도 12의 프레임(120)은 제1 필드(121) 및 제2 필드(122)를 포함하는 임의의 프레임, 예컨대 비콘(beacon) 프레임 또는 트리거 프레임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 a frame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eld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fields may include informa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 the frame 120 includes a first field 121 including information on cooperative space reuse capability and a second field including information on transmit power of the frame 120 . (122). For example, the second access point AP2 and the second station STA2 may extract the first field 121 from the frame 120 received from the first access point AP2, and the first field ( 121), it may be identified whether the first access point AP1 supports cooperative space reuse. In addition, the second access point AP1 and the second station STA2 may extract the second field 122 from the frame 120 , and based on the value of the second field 122 , the first access point ( AP1) may identify the transmit power used for transmitting the signal including the frame 120 . 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field 122 may have the same format as the transmit power field included in the TPC report. The frame 120 of FIG. 12 may be any frame including the first field 121 and the second field 122 , for example, a beacon frame or a trigger frame.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단계 S112에서 제2 스테이션(STA2)은, 제1 액세스 포인트(AP1) 및 제2 스테이션(STA2) 사이 경로 손실(즉, 도 8b의 PL12b)을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스테이션(STA2)은 프레임(S111)의 수신 전력을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수신 전력 및 프레임(120)에 포함된 송신 전력 정보 사이 차이로서 경로 손실을 계산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도면들을 참조하여 전술된 경로 손실들이 프레임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 및/또는 스테이션에서 계산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1 , in step S112 , the second station STA2 may determine a path loss between the first access point AP1 and the second station STA2 (ie, PL 12b of FIG. 8B ). For example, the second station STA2 may measure the received power of the frame S111 , and may calculate a path loss as a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received power and the transmit pow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rame 120 . In a similar manner, the path losse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figures may be calculated at the access point and/or station on a frame-by-frame basis.

단계 S113에서, 제2 스테이션(STA2)은 경로 손실을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스테이션(STA2)은 단계 S112에서 판정된 경로 손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제2 액세스 포인트(AP2)에 송신할 수 있다. 제2 스테이션(STA2)은 자신이 포함된 제2 BSS를 제공하는 제2 액세스 포인트(AP2)에, 제1 BSS를 제공하는 제1 액세스 포인트(AP1)와의 경로 손실을 보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협력 공간 재사용의 UL/UL 시나리오에서 제2 스테이션(STA2)의 송신 전력 한계를 판정할 수 있다.In step S113, the second station STA2 may report a path loss. For example, the second station STA2 may transmit a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path loss determined in step S112 to the second access point AP2. The second station STA2 may report the path loss with the first access point AP1 providing the first BSS to the second access point AP2 providing the second BSS included therein.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0 ,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determine the transmit power limit of the second station STA2 in the UL/UL scenario of cooperative space reuse.

도 1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협력 공간 재사용에 기초한 송신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2의 타이밍도는 협력 공간 재사용의 DL/DL 시나리오에서 발생하는 송신들 및 아나운스먼트 프레임(AF)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13에서, 제1 스테이션(STA1)은 제1 액세스 포인트(AP1)가 제공하는 제1 BSS에 포함될 수 있고, 제2 스테이션(STA2)은 제2 액세스 포인트(AP2)가 제공하는 제2 BSS에 포함될 수 있다.13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transmission based on cooperative space reus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pecifically, the timing diagram of FIG. 12 shows an example of an announcement frame (AF) and transmissions occurring in a DL/DL scenario of cooperative spatial reuse. In FIG. 13 , a first station STA1 may be included in a first BSS provided by a first access point AP1 , and a second station STA2 may be included in a second BSS provided by a second access point AP2 . may be included.

도 13을 참조하면, 시간 t11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TXOP를 공유하기 위하여 아나운스먼트 프레임(AF)을 포함하는 PPDU(PPDU0)를 제2 액세스 포인트(AP2)에 송신할 수 있다. 아나운스먼트 프레임(AF)은 TXOP를 공유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의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나운스먼트 프레임(AF)은 복수의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필드들 각각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나운스먼트 프레임(AF)은 제1 내지 제6 필드(131 내지 136)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 at time t11 ,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transmit a PPDU (PPDU0) including an announcement frame AF to the second access point AP2 in order to share the TXOP. The announcement frame AF may include information necessary to share the TXOP. 13 , the announcement frame AF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eld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fields may include informa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3 , the announcement frame AF may include first to sixth fields 131 to 136 .

제1 필드(131)는 공유되는 액세스 포인트(즉, 제2 액세스 포인트(AP2))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필드(132)는 공유된 TXOP의 대역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필드(133)는 공유된 TXOP에서 PPDU의 송신이 수행되는 기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필드(134)는 도 4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공유되는 액세스 포인트에 허가된 송신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예컨대, 도 5의 MSB 및 LSB)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필드(135)는 도 6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송신 전력 한계(TPL)를 포함할 수 있다. 제6 필드(136)는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허용 간섭 한계(TIL)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아나운스먼트 프레임(AF)에서 도 13에 도시된 제1 내지 제6 필드(131 내지 136)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될 수도 있다. 공유되는 액세스 포인트는 아나운스먼트 프레임(AF)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공유되는 BSS의 송신을 제어하거나 수행할 수 있다.The first field 131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shared access point (ie, the second access point AP2 ). The second field 132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bandwidth of the shared TXOP. The third field 133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period during which PPDU transmission is performed in the shared TXOP. The fourth field 134 may include information (eg, MSB and LSB of FIG. 5 ) indicating the type of transmission permitted to the shared access point,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 . The fifth field 135 may include a transmit power limit (TPL),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6 . The sixth field 136 may include an acceptable interference limit (TIL),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0 . In some embodiments,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sixth fields 131 to 136 illustrated in FIG. 13 may be omitted from the announcement frame AF. The shared access point may control or perform transmission of the shared BSS based 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nnouncement frame AF.

일부 실시예들에서, 아나운스먼트 프레임(AF)은 복수의 공유되는 액세스 포인트들을 위한 복수의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6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제2 액세스 포인트(AP2)를 포함하는 복수의 공유되는 액세스 포인트들과 TXOP를 공유할 수 있고, 복수의 공유되는 액세스 포인트들에 제공할 정보를 포함하는 아나운스먼트 프레임(AF)을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나운스먼트 프레임(AF)은 복수의 공유되는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나운스먼트 프레임(AF)은 복수의 공유되는 액세스 포인트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제1 필드들, 복수의 제2 필드들, 복수의 제3 필드들, 복수의 제4 필드들, 복수의 제5 필드들 및 복수의 제6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아나운스먼트 프레임(AF)은 복수의 공유되는 액세스 포인트들에 공통의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나운스먼트 프레임(AF)은 복수의 공유되는 액세스 포인트들에 공통되는 제2 필드(132) 및 제3 필드(13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공유되는 액세스 포인트들을 위하여 아나운스먼트 프레임(AF)에 포함되는 필드들은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고, 아나운스먼트 프레임(AF)의 구성이 전술된 바에 제한되지 아니하는 점이 유의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announcement frame AF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elds for a plurality of shared access points. For example, a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16 ,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share a TXOP with a plurality of shared access points including the second access point AP2 , and the plurality of shared access points may be shared. An announcement frame (AF) including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access points may be transmitted. Accordingly, the announcement frame AF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elds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shared access points. For example, the announcement frame AF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fields, a plurality of second fields, a plurality of third fields, and a plurality of fourth field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shared access points. , a plurality of fifth fields and a plurality of sixth fields may be included. Also, in some embodiments, the announcement frame AF may include a field indicating information common to a plurality of shared access points. For example, the announcement frame AF may include a second field 132 and a third field 133 common to a plurality of shared access points. It is noted that fields included in the announcement frame AF for a plurality of shared access points may be variously combined,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announcement frame AF is not limited to the above.

시간 t12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공유된 TXOP에서 제1 PPDU(PPDU1)를 제1 스테이션(STA1)에 송신할 수 있고,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공유된 TXOP에서 제2 PPDU(PPDU2)를 제2 스테이션(STA2)에 송신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제한된 송신 전력으로 제2 PPDU(PPDU2)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스테이션(STA1) 및 제2 스테이션(STA2)은 공유된 TXOP에서 제1 PPDU(PPDU1) 및 제2 PPDU(PPDU2)을 성공적으로 각각 수신될 수 있고, 시간 t13에서 제1 확인 응답(BA1) 및 제2 확인 응답(BA2)을 제1 액세스 포인트(AP1) 및 제2 액세스 포인트(AP2)에 각각 송신할 수 있다.At time t12,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transmit a first PPDU (PPDU1) in the shared TXOP to the first station STA1, and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transmit a second PPDU in the shared TXOP (PPDU2)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station STA2.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6 ,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transmit the second PPDU PPDU2 with limited transmission power. Accordingly, the first station STA1 and the second station STA2 may successfully receive the first PPDU (PPDU1) and the second PPDU (PPDU2) in the shared TXOP, respectively, and the first acknowledgment at time t13 (BA1) and the second acknowledgment BA2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access point AP1 and the second access point AP2, respectively.

도 1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협력 공간 재사용에 기초한 송신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4의 타이밍도는 협력 공간 재사용의 UL/DL 시나리오에서 발생하는 송신을 나타낸다. 도 14에서, 제1 스테이션들(STA11, STA12)은 제1 액세스 포인트(AP1)가 제공하는 제1 BSS에 포함될 수 있고, 제2 스테이션(STA2)은 제2 액세스 포인트(AP2)가 제공하는 제2 BSS에 포함될 수 있다.14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transmission based on cooperative space reus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pecifically, the timing diagram of FIG. 14 shows the transmission occurring in the UL/DL scenario of cooperative spatial reuse. In FIG. 14 , first stations STA11 and STA12 may be included in a first BSS provided by a first access point AP1 , and a second station STA2 may include a second station provided by a second access point AP2 . 2 may be included in the BSS.

도 14를 참조하면, 시간 t21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아나운스먼트 프레임(AF)을 포함하는 PPDU(PPDU0)를 제2 액세스 포인트(AP2)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제1 PPDU들(PPDU11, PPDU12)을 수신하기 위하여 TXOP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TXOP를 공유하기 위하여 아나운스먼트 프레임(AF)을 제2 액세스 포인트(AP2)에 송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 at time t21 ,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transmit the PPDU PPDU0 including the announcement frame AF to the second access point AP2 . For example,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acquire a TXOP to receive the first PPDUs PPDU11 and PPDU12, and transmit an announcement frame AF to a second access to share the acquired TXOP. It can transmit to the point AP2.

시간 t22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트리거 프레임(TF)을 포함하는 PPDU(PPDU10)를 제1 스테이션들(STA11, STA12)에 송신할 수 있고,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제2 PPDU(PPDU2)를 제2 스테이션(STA2)에 송신할 수 있다. 시간 t23에서, 제1 스테이션들(STA11, STA12)은 트리거 프레임(TF)에 응답하여, 제1 PPDU들(PPDU11, PPDU12)을 제1 액세스 포인트(AP1)에 송신할 수 있다.At time t22,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transmit a PPDU 10 including a trigger frame TF to the first stations STA11 and STA12, and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transmit the second The PPDU (PPDU2)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station STA2. At time t23, the first stations STA11 and STA12 may transmit the first PPDUs PPDU11 and PPDU12 to the first access point AP1 in response to the trigger frame TF.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협력 공간 재사용의 UL/DL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아나운스먼트 프레임(AF)을 생성하였으나,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유된 TXOP에서 트리거 프레임(TF)을 포함하는 PPDU(PPDU10)의 송신 및 제2 PPDU(PPDU2)의 송신이 중첩될 수 있다. 중첩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2 액세스 포인트(AP2)가 제2 PPDU(PPDU2)의 송신을 시간 t23으로 연기하는 경우, 제1 PPDU들(PPDU11, PPDU12) 및 제2 PPDU(PPDU2)의 송신들이 성공적으로 완료될 수 있으나, 공유된 TXOP에서 송신들의 완료가 지연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여, 협력 공간 재사용의 UL/DL 시나리오에서, 송신들의 완료를 지연시키지 아니하면서도 송신들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법의 후술될 것이다.The first access point (AP1) generated an announcement frame (AF) based on the UL / DL scenario of cooperative spatial reuse, but as shown in FIG. 14 , including a trigger frame (TF) in the shared TXOP The transmission of the PPDU (PPDU10) and the transmission of the second PPDU (PPDU2) may overlap. In order to eliminate overlap, when the second access point AP2 delays the transmission of the second PPDU (PPDU2) to time t23, the transmissions of the first PPDUs PPDU11, PPDU12 and the second PPDU2 are successful. , but the completion of transmissions in the shared TXOP may be delayed. With reference to FIGS. 15A and 15B , in a UL/DL scenario of cooperative space reuse, a method for successfully performing transmissions without delaying the completion of transmissions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5a 및 도 15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협력 공간 재사용에 기초한 송신을 나타내는 타이밍도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15a 및 도 15b의 타이밍도들 각각은, 협력 공간 재사용의 UL/DL 시나리오에서 발생하는 송신들을 나타낸다. 도 15a 및 도 15b에서, 제1 스테이션들(STA11, STA12)은 제1 액세스 포인트(AP1)가 제공하는 제1 BSS에 포함될 수 있고, 제2 스테이션(STA2)은 제2 액세스 포인트(AP2)가 제공하는 제2 BSS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에 대한 설명 중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것이다.15A and 15B are timing diagrams illustrating transmission based on cooperative space reuse according to exampl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Specifically, each of the timing diagrams of FIGS. 15A and 15B represent transmissions occurring in a UL/DL scenario of cooperative spatial reuse. 15A and 15B , first stations STA11 and STA12 may be included in a first BSS provided by a first access point AP1, and a second station STA2 may include a second access point AP2. It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BSS provided. Duplicate content in the description of FIGS. 15A and 15B will be omitted.

도 15a를 참조하면, 시간 t31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아나운스먼트 프레임(AF)을 포함하는 PPDU0를 제2 액세스 포인트(AP2) 및 제1 스테이션들(STA11, STA12)에 송신할 수 있고, 아나운스먼트 프레임(AF)의 트리거 정보 필드(151)는 트리거 정보 필드(15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나운스먼트 프레임(AF)은, 도 14의 트리거 프레임(TF)에 포함된 공통 정보 필드(common information field) 및 사용자 정보 필드(user information field)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리거 프레임을 포함하는 별도의 PPDU의 송신이 생략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협력 공간 재사용의 UL/DL 시나리오에서 송신들이 성공적으로 조기에 완료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A , at time t31,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transmit a PPDU0 including the announcement frame AF to the second access point AP2 and the first stations STA11 and STA12. In addition, the trigger information field 151 of the announcement frame AF may include the trigger information field 151 . For example, the announcement frame AF includes at least one of a common information field and at least a portion of a user information field included in the trigger frame TF of FIG. 14 . It may include subfields. Accordingly, transmission of a separate PPDU including the trigger frame may be omitted, and as a result, transmissions may be successfully completed early in the UL/DL scenario of cooperative space reuse.

시간 t32에서, 제1 스테이션들(STA11, STA12)은 공유된 TXOP에서 제1 PPDU들(PPDU11, PPDU12)을 제1 액세스 포인트(AP1)에 송신할 수 있고,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공유된 TXOP에서 제2 PPDU(PPDU2)를 제2 스테이션(STA2)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스테이션들(STA11, STA12)은 아나운스먼트 프레임(AF)의 트리거 정보 필드(151)의 값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송신을 위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PPDU들(PPDU11, PPDU12)을 제1 액세스 포인트(AP1)에 송신할 수 있다. 제1 PPDU들(PPDU11, PPDU12) 및 제2 PPDU(PPDU2)의 송신들이 성공적으로 완료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시간 t33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제1 확인 응답(BA1)을 제1 스테이션들(STA11, STA12)에 송신할 수 있고,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제2 확인 응답(BA2)을 제2 스테이션(STA2)에 송신할 수 있다.At time t32, the first stations STA11 and STA12 may transmit the first PPDUs PPDU11 and PPDU12 in the shared TXOP to the first access point AP1, and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share the shared TXOP. In the TXOP, the second PPDU (PPDU2)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station STA2. For example, the first stations STA11 and STA12 may obtain information for uplink transmission based on the value of the trigger information field 151 of the announcement frame AF, and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Thus, the first PPDUs PPDU11 and PPDU12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access point AP1. Transmissions of the first PPDUs (PPDU11, PPDU12) and the second PPDU (PPDU2) may be successfully completed, and accordingly, at time t33, the first access point AP1 sends a first acknowledgment BA1 to the first may transmit to the stations STA11 and STA12 , and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transmit a second acknowledgment BA2 to the second station STA2 .

도 15b를 참조하면, 시간 t41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아나운스먼트 프레임(AF) 및 트리거 프레임(TF)을 포함하는 PPDU(PPDU0)를 제1 스테이션들(STA11, STA12) 및 제2 액세스 포인트(AP2)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나운스먼트 프레임(AF) 및 트리거 프레임(TF)은 PPDU(PPDU0)에서 집성될(aggregated)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집성된 아나운스먼트 프레임(AF) 및 트리거 프레임(TF)을 포함하는 PPDU(PPDU0)는 A-MPDU(aggregated MAC protocol data unit)의 포맷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리거 프레임을 포함하는 별도의 PPDU의 송신이 생략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협력 공간 재사용의 UL/DL 시나리오에서 송신들이 성공적으로 조기에 완료될 수 있다.15B, at time t41, the first access point AP1 transmits a PPDU (PPDU0) including an announcement frame AF and a trigger frame TF to the first stations STA11 and STA12 and the second It can transmit to the access point (AP2). For example, the announcement frame AF and the trigger frame TF may be aggregated in the PPDU (PPDU0). In some embodiments, the PPDU (PPDU0) including the aggregated announcement frame AF and the trigger frame TF may have the format of an aggregated MAC protocol data unit (A-MPDU). Accordingly, transmission of a separate PPDU including the trigger frame may be omitted, and as a result, transmissions may be successfully completed early in the UL/DL scenario of cooperative space reuse.

시간 t42에서, 제1 스테이션들(STA11, STA12)은 공유된 TXOP에서 제1 PPDU들(PPDU11, PPDU12)을 제1 액세스 포인트(AP1)에 송신할 수 있고,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공유된 TXOP에서 제2 PPDU(PPDU2)를 제2 스테이션(STA2)에 송신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시간 t33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AP1)는 제1 확인 응답(BA1)을 제1 스테이션들(STA11, STA12)에 송신할 수 있고, 제2 액세스 포인트(AP2)는 제2 확인 응답(BA2)을 제2 스테이션(STA2)에 송신할 수 있다.At time t42, the first stations STA11 and STA12 may transmit the first PPDUs PPDU11 and PPDU12 in the shared TXOP to the first access point AP1, and the second access point AP2 may share the shared TXOP. In the TXOP, the second PPDU (PPDU2)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station STA2. Then at time t33 , the first access point AP1 may transmit a first acknowledgment BA1 to the first stations STA11 , STA12 , and the second access point AP2 sends a second acknowledgment (BA2)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station STA2.

도 1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6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160)은 제1 내지 제5 액세스 포인트(AP11 내지 AP15)를 포함할 수 있다.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6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shown in FIG. 16 ,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60 may include first to fifth access points AP11 to AP15 .

일부 실시예들에서, 공유하는 액세스 포인트는 복수의 공유된 액세스 포인트들과 TXOP를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액세스 포인트(AP11)가 PPDU를 송신하기 위하여 TXOP를 획득한 경우, 제1 액세스 포인트(AP11)는 아나운스먼트 프레임을 송신함으로써 이웃 액세스 포인트들 중 제2 내지 제5 액세스 포인트(AP12 내지 AP15)와 TXOP를 공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AP11)는, 제2 내지 제5 액세스 포인트(AP12 내지 AP15) 각각에 상향링크 송신 및/또는 하향링크 송신을 허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AP11)는, 제2 내지 제5 액세스 포인트(AP12 내지 AP15) 각각에 송신 전력 한계 및/또는 허용 간섭 한계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협력 공간 재사용의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구현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160)의 효율이 현저하게 증대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a sharing access point may share a TXOP with a plurality of shared access points. For example, when the first access point AP11 obtains a TXOP to transmit a PPDU, the first access point AP11 transmits an announcement frame to the second to fifth access points among the neighboring access points. (AP12 to AP15) can share a TXOP.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access point AP11 may permit uplink transmission and/or downlink transmission to each of the second to fifth access points AP12 to AP15.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access point AP11 may provide a transmit power limit and/or an acceptable interference limit to each of the second to fifth access points AP12 to AP15 . Accordingly, various scenarios of cooperative space reuse can be implemented, and as a result, the efficienc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60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일부 실시예들에서, 공유하는 액세스 포인트는, 복수의 공유된 액세스 포인트들의 송신들에 사용되는 무선 자원들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액세스 포인트(AP11)가 PPDU를 송신하기 위하여 TXOP를 획득한 경우, 제1 액세스 포인트(AP11)는 제2 액세스 포인트(AP12) 및 제5 액세스 포인트(AP15)에 대역폭의 상위 대역을 할당할 수 있고, 제3 액세스 포인트(AP13) 및 제4 액세스 포인트(AP14)에 대역폭의 하위 대역을 할당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액세스 포인트(AP11)는, 자원 할당 정보, 즉 대역의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아나운스먼트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고, 제2 내지 제5 액세스 포인트(AP12 내지 AP15) 각각은 아나운스먼트 프레임에 포함된 대역의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대역을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대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에 PPDU를 송신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haring access point may allocate radio resources used for transmissions of the plurality of shared access points. For example, when the first access point AP11 obtains a TXOP to transmit a PPDU, the first access point AP11 provides a higher bandwidth to the second access point AP12 and the fifth access point AP15. A band may be allocated, and a lower bandwidth of the bandwidth may be allocated to the third access point AP13 and the fourth access point AP14. To this end, the first access point AP11 may transmit an announcement frame including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that is, bandwidth allocation information, and each of the second to fifth access points AP12 to AP15 announces. A band may be identified based on allocation information of a band included in the data frame, and a PPDU may be transmitted to at least one station in the identified band.

도 1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7은 가정용 기기(171), 가전(172), 엔터테인먼트 기기(173) 및 액세스 포인트(175)를 포함하는 IoT(Internet of Things)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다.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examples of an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pecifically, FIG. 17 shows an Internet of Things (IoT) network system including a home device 171 , a home appliance 172 , an entertainment device 173 , and an access point 175 .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17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에서, 도면들을 참조하여 전술된 협력 공간 재사용을 위한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TXOP를 획득한 액세스 포인트(175)(즉, 공유하는 액세스 포인트)는 주변 액세스 포인트(즉, 공유된 액세스 포인트)와 TXOP를 공유할 수 있고, 공유된 TXOP에서 가정용 기기(171), 가전(172) 및/또는 엔터테인먼트 기기(173)에 PPDU를 송신하거나 가정용 기기(171), 가전(172) 및/또는 엔터테인먼트 기기(173)로부터 PPDU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가정용 기기(171), 가전(172) 및/또는 엔터테인먼트 기기(173)는 적어도 하나의 경로 손실을 액세스 포인트(175)에 보고할 수 있다. 도면들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협력 공간 재사용의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지원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가정용 기기(171), 가전(172) 및/또는 엔터테인먼트 기기(173)가 PPDU를 성공적으로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동시에, 주변 액세스 포인트 및 스테이션들은 PPDU의 송신을 연기하지 아니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IoT 네트워크 시스템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in the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FIG. 17 , the method for cooperative space reus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an access point 175 (ie, a shared access point) that has obtained a TXOP may share a TXOP with a neighboring access point (ie, a shared access point), and the home appliance 171 in the shared TXOP , may transmit a PPDU to the home appliance 172 and/or the entertainment device 173 , or receive a PPDU from the home appliance 171 , the home appliance 172 and/or the entertainment device 173 . In some embodiments, home device 171 , appliance 172 , and/or entertainment device 173 may report at least one path loss to access point 175 .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various scenarios of collaborative space reuse can be supported, so that the home device 171 , the home appliance 172 and/or the entertainment device 173 can successfully transmit or receive a PPDU. At the same time, the neighboring access points and stations may not delay transmission of the PPDU, and as a result, the efficiency of the IoT network system may be increased.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Exemplary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s described above. 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using specific term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se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in the claims. . 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20)

제1 장치에 의해서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제1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송신하거나 수신하기 위하여 TXOP(transmit opportunity)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TXOP를 공유하기 위한 제2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
공유된 상기 TXOP에서 상기 제2 장치에 제2 PPDU의 송신 및 수신 중 적어도 하나를 허가(permission)하는 단계; 및
공유된 상기 TXOP에서 상기 제1 PPDU를 적어도 하나의 제3 장치에 송신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performed by a first device, comprising:
acquiring a transmit opportunity (TXOP) to transmit or receive a first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 (PPDU);
identifying a second device to share the TXOP;
permitting at least one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second PPDU to the second device in the shared TXOP; and
and transmitting the first PPDU to or receiving from the at least one third device in the shared TXOP.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PPDU의 송신 및 수신 중 적어도 하나를 허가하는 단계는, 상기 제2 PPDU의 허가된 송신 및/또는 허가된 수신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2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permitting at least one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second PPDU comprises providing information indicating the permitted transmission and/or permitted reception of the second PPDU to the second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PPDU의 송신 및 수신 중 적어도 하나를 허가하는 단계는, 상기 제2 PPDU의 송신을 허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PPDU의 송신을 허가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장치에 상기 제2 PPDU의 송신의 송신 전력 한계(transmit power limit)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allowing at least one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second PPDU includes allowing transmission of the second PPDU,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permitting the transmission of the second PPDU includes providing a transmit power limit of the transmission of the second PPDU to the second device.
청구항 3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경로 손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전력 한계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btaining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path loss; and
and determining the transmit power limit based on the at least one path los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로 손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3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장치 및 상기 제3 장치 사이 제1 경로 손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장치 및 상기 제3 장치 사이 제2 경로 손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step of ob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at least one path loss comprises:
receiving, from a third device, information about a first path loss between the first device and the third device; and
and receiving, from the second device, information on a second path loss between the second device and the third devi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로 손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3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장치 및 상기 제3 장치 사이 제1 경로 손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프레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장치 및 상기 제2 장치 사이 제3 경로 손실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step of ob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at least one path loss comprises:
receiving, from a third device, information about a first path loss between the first device and the third device; and
and determining a third path loss between the first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based on a frame received from the second devic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3 경로 손실을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송신 전력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의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전력 정보 및 측정된 상기 수신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3 경로 손실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of determining the third path loss comprises:
extracting transmit power information from the frame;
measuring the received power of the frame; and
and calculating the third path loss based on the transmitted power information and the measured received pow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PPDU의 송신 및 수신 중 적어도 하나를 허가하는 단계는, 상기 제2 PPDU의 수신을 허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PPDU의 수신을 허가하는 단계는,
상기 제1 PPDU의 송신 또는 수신의 허용 간섭 한계(tolerable interference limit)를 상기 제2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permitting at least one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second PPDU includes permitting reception of the second PPDU,
The step of allowing reception of the second PPDU includes:
and providing a tolerable interference limit of transmission or reception of the first PPDU to the second device.
청구항 8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경로 손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상기 허용 간섭 한계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obtaining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path loss; and
and determining the tolerable interference limit based on the at least one path loss.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로 손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3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장치 및 상기 제3 장치 사이 제1 경로 손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허용 간섭 한계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PPDU의 송신 전력 및 상기 제1 경로 손실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Obtaining the information on the at least one path loss includes receiving, from a third device, information on the first path loss between the first device and the third device,
The determining of the allowable interference limit is based on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first PPDU and the first path los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PPDU의 송신 및 수신 중 적어도 하나를 허가하는 단계는, 상기 제2 PPDU의 송신만을 허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allowing at least one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second PPDU includes allowing only the transmission of the second PPDU.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PPDU의 송신 및 수신 중 적어도 하나를 허가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장치에 아나운스먼트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allowing at least one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second PPDU includes transmitting an announcement frame to the second device.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PPDU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TXOP가 획득된 경우, 상기 아나운스먼트 프레임은 상기 제1 PPDU의 수신을 위한 트리거 프레임에 포함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장치에 대한 상기 트리거 프레임의 송신이 생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n the TXOP is obtained to receive the first PPDU, the announcement frame includes information included in a trigger frame for reception of the first PPDU,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of the trigger frame to the at least one third device is omitted.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PPDU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TXOP가 획득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장치에 트리거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나운스먼트 프레임 및 상기 트리거 프레임은, 하나의 PPDU에 집성된(aggregat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n the TXOP is obtained to receive the first PPDU,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ransmitting a trigger frame to the at least one third device;
The announcement frame and the trigger fram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aggregate (aggregated) in one PPDU.
제1 장치와 TXOP(transmit opportunity)를 공유하는 제2 장치에 의해서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제1 PPDU(physical layer data unit)를 송신하거나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TXOP를 획득한 상기 제1 장치로부터, 공간 재사용에 대한 허가(permission)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공간 재사용에 대한 상기 허가에 기초하여, 제2 PPDU의 송신 및 수신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는 단계; 및
공유된 상기 TXOP에서 상기 제2 PPDU를 적어도 하나의 제3 장치에 송신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performed by a second device sharing a transmit opportunity (TXOP) with a first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from the first device that has obtained the TXOP to transmit or receive a first physical layer data unit (PPDU), a permission for spatial reuse;
identifying at least one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second PPDU based on the permission for spatial reuse; and
and transmitting the second PPDU to or from the at least one third device in the shared TXOP.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상기 제2 PPDU의 송신의 송신 전력 한계(transmit power limit)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PPDU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전력 한계 이하의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제2 PPDU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Receiving a transmit power limit of the transmission of the second PPDU from the first device,
The transmitting or receiving of the second PPDU includes transmitting the second PPDU to the at least one third device with a transmit power equal to or less than the transmit power limit.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상기 제1 PPDU의 송신 또는 수신의 허용 간섭 한계(tolerable interference limit)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PPDU의 수신이 식별된 경우, 상기 허용 간섭 한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장치의 송신 전력을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receiving a tolerable interference limit of transmission or reception of the first PPDU from the first device; and
and limiting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at least one third device based on the allowable interference limit when the reception of the second PPDU is identified.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 및 상기 제1 장치와 관계된(associated)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PPDU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PPDU의 수신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장치의 송신 전력을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receiving at least one PPDU from the first device and at least one device associated with the first device; and
Based on the received power of the at least one PPDU,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limiting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at least one third device.
제1 장치 및 제2 장치에 의해서 공유된 TXOP(transmit opportunity)에서 상기 제2 장치와 관계된(associated) 제3 장치에 의해서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장치로부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장치 및 상기 제3 장치 사이 경로 손실을 판정하는 단계;
상기 경로 손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된 TXOP에서,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제2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performed by a third device associated with the second device in a transmit opportunity (TXOP) shared by a first device and a second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frame from the first device;
determining a path loss between the first device and the third device based on the frame;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path loss to the second device; and
and receiving, in the shared TXOP, a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 (PPDU) from or transmitting to the second device.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경로 손실을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송신 전력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의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전력 정보 및 측정된 상기 수신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경로 손실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step of determining the path loss comprises:
extracting transmit power information from the frame;
measuring the received power of the frame; and
and calculating the path loss based on the transmitted power information and the measured received power.
KR1020210022026A 2020-06-19 2021-02-18 Apparatus and method for coordinated spatial reuse KR20210157301A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347,800 US11595994B2 (en) 2020-06-19 2021-06-15 Apparatus and method for coordinated spatial re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EP21180105.5A EP3930410A1 (en) 2020-06-19 2021-06-17 Apparatus and method for coordinated spatial re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TW110122394A TW202205824A (en) 2020-06-19 2021-06-18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N202110676016.4A CN113825222A (en) 2020-06-19 2021-06-18 Apparatus and method for coordinated spatial reuse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18/159,383 US20230164837A1 (en) 2020-06-19 2023-01-25 Apparatus and method for coordinated spatial re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41284P 2020-06-19 2020-06-19
US63/041,284 2020-06-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301A true KR20210157301A (en) 2021-12-28

Family

ID=79178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026A KR20210157301A (en) 2020-06-19 2021-02-18 Apparatus and method for coordinated spatial reu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730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72275A1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procedures for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and spatial reuse in sub-channelized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s)
US20240015792A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random access-based uplink multi-user transmission
US105425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communications with interference avoidance
EP393041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rdinated spatial re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US96031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US10432344B2 (en) Spatial reuse of Wi-Fi channels with interference estimation and control
CN106538031B (en) Scheduling based on medium or channel sensing
JP738291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11277801B2 (en)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power control in a communications system with multi-access point coordination
US20170257863A1 (en) Method for operating station in wireless lan
KR100986649B1 (en) User selection method of subspace interference alignment in multi-cell uplink systems
WO2015146340A1 (en) Device and method
WO2019242456A1 (en) Time-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device
EP3836714B1 (en) Fbe data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2021015730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rdinated spatial reuse
US10531407B1 (en) Power control for OFDMA SDMA
US202202016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Power Control in Multi-AP Coordination
CN115943682A (e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22002699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rdinated spatial reuse
EP3962140A1 (en) Coordinated spatial re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US20240137981A1 (en) Apparatus for channel access in wlan system and operating method of the apparatus
US2023014181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link-based wireless communication
CN114402538B (en) Beam forming method, communication device, 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munication system
CN116938424A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CN115734347A (en) Method and device for random access, terminal and network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