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7196A - 디지털변전소 ied를 활용한 차단기 동작특성 분석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변전소 ied를 활용한 차단기 동작특성 분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7196A
KR20210157196A KR1020200075174A KR20200075174A KR20210157196A KR 20210157196 A KR20210157196 A KR 20210157196A KR 1020200075174 A KR1020200075174 A KR 1020200075174A KR 20200075174 A KR20200075174 A KR 20200075174A KR 20210157196 A KR20210157196 A KR 20210157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time
coil
data
exci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75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7196A/ko
Publication of KR20210157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1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1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high voltage or medium voltage devices
    • G01R31/3272Apparatus, systems or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4Measuring peak values or amplitude or envelope of ac or of pul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06Arrangements for conditioning or analysing measured signals, e.g. for indicating peak values ; Details concerning sampling, digitizing or waveform captu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1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high voltage or medium voltage devices
    • G01R31/3275Fault detection or status indi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1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information or by user interaction, e.g.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s [SCADA] or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변전소 IED(Intelligent Electronic Device)를 활용한 차단기의 동작특성 분석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단기 내 트립코일의 여자 시점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차단기 내 a접점의 변화 시점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차단기 내 투입코일의 여자 시점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차단기에 흐르는 상전류가 0인 시점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차단기 개방시 개극시간을 계측하는 단계, 상기 차단기 개방완료시 차단시간을 계측하는 단계, 상기 차단기 개방완료시 코일전류의 값을 계측하는 단계, 상기 차단기 투입시 투입시간을 계측하는 단계, 상기 각 단계에서 측정된 데이터가 정상범위 내인지 진단하는 단계 및 상기 진단 결과 중 어느 하나라도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변전소의 IED 내 데이터를 이용하여 별도의 차단기 동작특성 분석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차단기의 동작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변전소 IED를 활용한 차단기 동작특성 분석 방법{Circuit breaker operation characteristics analysis method using IED of digital substation}
본 발명은 디지털변전소에서 차단기의 동작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탑재한 IED(Intelligent Electronic Device)를 이용하여 차단기의 동작특성을 분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선을 통해 송전되는 송전전압은 변전소에서 배전전압으로 변환하고 변환한 배전전압을 배전선을 통해 수용가로 공급한다.
송배전 전력계통의 운용 및 보호를 위해 전력설비가 구비되며, 초고압 154kV이상 전력계통 보호는 계기용변압기(PT), 계기용변류기(CT)에서 계측되는 전압 및 전류값을 감시하여 보호계전기(Protection Relay)에서 회로를 차단 및 투입하고 있다.
변전소 종합예방 진단시스템 내에서 차단기 동작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차단기의 투입코일 전류와 부하전류 측정을 위한 별도의 홀형 CT(Current Transformer)를 설치해야 하고, CB 보조접점, 데이터 수집장치, 분석장치 등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별도의 장비들을 사용하여 차단기의 동작특성을 분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변전소 내 차단기의 동작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측정 대상인 설비를 휴전하고 동작분석 장비로 측정해야 하는데, 전압급별로 차단기 동작분석을 위해서 별도의 비용 발생하게 된다.
종래, 변전소 내 차단기 동작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차단기의 투입코일 전류, 부하전류 측정을 위한 별도의 홀형 CT, CB 보조접점, 데이터 수집장치, 분석장치 등 별도의 장비들을 필수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의 디지털변전소의 경우에는 차단기의 IED에 부하전류, CB 보조접점에 대한 정보가 수용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바와 같이 코일전류 측정용 홀형 CT만 추가 설치하면 별도의 데이터 수집장치, 분석장치 없이도 차단기 동작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IED(Intelligent Electronic Device)를 활용한 차단기의 동작특성 분석 방법은, 상기 차단기 내 트립코일의 여자 시점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차단기 내 a접점의 변화 시점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차단기 내 투입코일의 여자 시점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차단기에 흐르는 상전류가 0인 시점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차단기 개방시 개극시간을 계측하는 단계; 상기 차단기 개방완료시 차단시간을 계측하는 단계; 상기 차단기 개방완료시 코일전류의 값을 계측하는 단계; 상기 차단기 투입시 투입시간을 계측하는 단계; 상기 각 단계에서 측정된 데이터가 정상범위 내인지 진단하는 단계; 및 상기 진단 결과 중 어느 하나라도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개극시간은 트립코일의 여자 시점부터 상기 차단기의 a접점의 변화 시점까지의 시간으로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차단시간은 트립코일의 여자 시점부터 상기 차단기에 흐르는 상전류가 0이 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으로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코일전류의 값은 상기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피크값 또는 적분값으로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투입시간은 투입코일의 여자 시점부터 상기 차단기의 a접점의 변화 시점까지의 시간으로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IED를 활용한 차단기의 동작특성 분석 장치는, 상기 차단기 내 트립코일의 여자 시점, a접점의 변화 시점, 투입코일의 여자 시점의 측정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동작특성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센싱부 및 상기 출력부와 동작적으로 결합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차단기 개방시 개극시간을 계측하고, 상기 차단기 개방완료시 차단시간을 계측하고, 상기 차단기 개방완료시 코일전류의 값을 계측하고, 상기 차단기 투입시 투입시간을 계측하고, 상기 각 단계에서 측정된 데이터가 정상범위 내인지 진단하고, 상기 진단 결과 중 어느 하나라도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개극시간은 트립코일의 여자 시점부터 차단기의 a접점의 변화 시점까지의 시간으로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차단시간은 트립코일의 여자 시점부터 차단기에 흐르는 상전류가 0이 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으로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코일전류의 값은 상기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피크값 또는 적분값으로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는 컴퓨터상에서 실행될 때, 상술한 실시 예들에 의해 IED(Intelligent Electronic Device)를 활용한 차단기의 동작특성 분석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디지털 변전소의 IED 내 데이터를 이용하여 별도의 차단기 동작특성 분석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차단기의 동작특성을 분석할 수 있어 비용절감이 가능하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일반적인 제어, 고장, 재폐로 등 차단기의 동작을 관리하여 장비의 건전성을 유지할 수 있고, 계측한 데이터들의 분석 결과를 장비 수명관리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IED(Intelligent Electronic Device)를 활용한 차단기의 동작특성 분석 방법 알고리즘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전체 시스템 내에서 IED를 활용한 차단기의 동작특성 분석 장치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차단기 개방시 IED를 활용한 차단기의 동작특성 분석 방법 알고리즘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차단기 투입시 IED를 활용한 차단기의 동작특성 분석 방법 알고리즘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IED를 활용한 차단기 동작특성 분석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또는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모듈' 또는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구성요소,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기록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기록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는 기록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기록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기록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은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우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IED(Intelligent Electronic Device)란 센서와 전원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압, 전류 또는 주파수 이상 등을 감지할 경우 회로 차단과 같은 제어 명령을 실행하여 원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등의 기능을 하는 장치로, 디지털 변전소에서의 디지털 보호 계전기가 그 예이다.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란 원거리에 있는 설비들을 집중 감시하거나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다양하고 복잡한 설비를 간소화, 자동화하고 이들 설비와 계통들을 한 곳에서 효과적으로 감시, 제어, 측정하여 분석, 처리함으로써 설비 및 계통의 합리적 운용 및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가능하게 만드는 시스템이다.
전류 CT(Current Transformer)는 변압기의 원리를 이용하여 1차측에서 측정되는 전류에 비례하는 2차측 교류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설계된 장치로, 1차측과 2차측이 절연이 되어 있기 때문에 고전력 계통의 전류를 측정하는데 적합한 장치이다.
a접점이란 차단기 축에 연결된 보조접점으로서, 릴레이나 접촉기에 전원이 투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접점이 열려있으며 전원이 투입되면 릴레이나 접촉기가 여자되어 붙는 접점을 의미한다.
트립코일(trip coil)이란 회로에 지락사고 등으로 인하여 과전류 발생시 과전류 계전기가 이를 감지하여 트립코일에 전류를 흘려 여자, CB(Circuit Breaker) 접점을 개방시켜서 고장점을 전원에서 절리시키는 역할을 하는 코일이다.
투입코일(closing coil)이란 차단기를 폐로하기 위한 전자 코일을 말하며, 차단기 투입이 시작되면 투입코일이 여자되어 a접점이 붙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IED(Intelligent Electronic Device)를 활용한 차단기의 동작특성 분석 방법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IED(Intelligent Electronic Device)를 활용한 차단기의 동작특성 분석 방법 알고리즘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동작 S100에서, IED가 이하에서 설명할 차단부 영역(100)으로부터 복수 개의 측정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측정데이터는 차단기 내 트립코일의 여자 시점 데이터, 차단기 내 a접점의 변화 시점 데이터, 차단기 내 투입코일의 여자 시점 데이터, 차단기에 흐르는 상전류가 0인 시점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기 개방이 시작된 경우, 동작 S210에서, IED는 획득한 측정데이터에 기초하여 개극시간(opening time)을 계측할 수 있다. 여기서 개극시간(opening time)은 트립코일의 여자 시점부터 차단기의 a접점의 변화 시점까지의 시간으로 정할 수 있다.
차단기 개방이 완료된 경우, 동작 S220에서, IED는 획득한 측정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단시간(breaking time)을 계측할 수 있다. 여기서 차단시간(breaking time)은 트립코일의 여자 시점부터 차단기에 흐르는 상전류가 0이 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으로 정할 수 있다.
동작 S230에서, IED는 별도의 Ring CT를 이용하여 코일전류값을 계측할 수 있다. 계측된 코일전류값의 피크값과 적분값을 구하여 코일전류값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차단기가 투입된 경우, 동작 S240에서, IED는 획득한 측정데이터에 기초하여 투입시간(closing time)을 계측할 수 있다. 여기서 투입시간(closing time)은 투입코일의 여자 시점부터 상기 차단기의 a접점의 변화 시점까지의 시간으로 정할 수 있다.
동작 S300에서, IED를 활용한 차단기의 동작특성 분석 장치는 상기에서 계측된 데이터들을 조합하여 차단기의 동작특성이 정상 범위 내인지 진단할 수 있다.
동작 S400에서, IED를 활용한 차단기의 동작특성 분석 장치가 차단기의 동작이 정상 범위 내로 진단한 경우 변전소의 정상 운전을 유지할 수 있다.
동작 S500에서, IED를 활용한 차단기의 동작특성 분석 장치가 차단기의 동작이 정상 범위를 벗어난다고 진단한 경우 이벤트 및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고, 이를 하기에서 설명할 SCADA 영역(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SCADA 영역(300)에서는 문제가 발생한 차단기를 긴급 휴전시키고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전체 시스템 내에서 IED를 활용한 차단기의 동작특성 분석 장치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체 시스템은 차단부 영역(100), IED 영역(200) 및 SCADA 영역(300)을 포함할 수 있고, 각 영역은 상호 연결되어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차단부 영역(100)은 복수 개의 차단기들과, 차단기 내 트립코일의 여자 시점 데이터, 차단기 내 a접점의 변화 시점 데이터, 차단기 내 투입코일의 여자 시점 데이터, 차단기에 흐르는 상전류가 0인 시점 데이터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 장비들을 포함할 수 있다.
IED 영역(200)은 차단부 영역(100)으로부터 획득한 측정 데이터들을 기초로 연산하여 차단기의 개극시간, 차단시간, 코일전류 값 및 투입시간 등을 구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차단기의 동작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IED는 분석한 동작 특성에 기초하여 차단기의 정상 작동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IED 영역(200)에서 상기 진단한 결과를 SCADA 영역(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SCADA 영역(300)은 IED 영역(200)으로부터 전송 받은 진단 결과에 따라 정상범위 내인 경우 정상 운전을 유지하고, 정상범위를 벗어나서 이벤트 및 경보가 발생한 경우 차단기를 긴급휴전하고 보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도 3은, 차단기 개방시 IED를 활용한 차단기의 동작특성 분석 방법 알고리즘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단부 영역(100)의 동작 S110에서 차단기가 개방되는 경우, 동작 S120에서 과전류 계전기나 SCADA 또는 제어기에서 주는 차단기 제어신호에 따라 트립코일에 전류를 흘려 트립코일이 여자 되고, 이 경우 동작 S130에서 차단기가 열리면 차단기의 축과 연결된 a접점이 떨어지며, 동작 S140에서 차단기의 개방이 완료된다.
IED 영역(200)에서 트립코일의 여자 시점부터 차단기의 a접점의 변화 시점까지의 시간인 개극시간(S210)과, 트립코일의 여자 시점부터 차단기에 흐르는 상전류가 0이 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인 차단시간(S220) 및 코일전류의 피크값, 적분값 등의 특성(S230)을 계측하여, 동작 S300에서 각각이 정상범위 내인지 판단할 수 있고, 동작 S500에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SCADA 영역(300)에서 동작 S600에서, 발생된 경보 신호에 기반하여 문제 발생시 차단기의 긴급 휴전 및 보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도 4는, 차단기 투입시 IED를 활용한 차단기의 동작특성 분석 방법 알고리즘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단부 영역(100)의 동작 S150에서 차단기가 투입되는 경우, 동작 S160에서 SCADA 또는 제어기에서 주는 차단기 제어신호에 따라 투입코일에 전류를 흘려 투입코일이 여자 되고, 이 경우 동작 S170에서 차단기가 닫히고 차단기축과 연결된 a접점이 붙게 된다.
IED 영역(200)에서 투입코일의 여자 시점부터 차단기의 a접점의 변화 시점까지의 시간인 투입시간(S240)을 계측하여, 동작 S300에서 정상범위 내인지 판단할 수 있고, 동작 S500에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SCADA 영역(300)에서 동작 S600에서, 발생된 경보 신호에 기반하여 문제 발생시 차단기의 긴급 휴전 및 보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도 5는, IED를 활용한 차단기 동작특성 분석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IED를 활용한 차단기 동작특성 분석 장치는 센싱부(210), 프로세서(220), 메모리(230) 및 출력부(240)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210)는 IED 영역(100)에서 측정한 차단기 내 트립코일의 여자 시점 데이터, 차단기 내 a접점의 변화 시점 데이터, 차단기 내 투입코일의 여자 시점 데이터, 차단기에 흐르는 상전류가 0인 시점 데이터 등의 측정데이터에 기초하여 개극시간, 차단시간, 코일전류값, 투입시간 등을 계측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상기 계측값을 구하는 연산하는 과정과 정상범위 내인지 판단하는 과정을 제어할 수 있고, 이상 감지시 출력부(240)를 제어하여 이벤트 및 경보를 발생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프로세서(220)에서 실행 가능한 제어 명령어들과 차단기 내 트립코일의 여자 시점 데이터, 차단기 내 a접점의 변화 시점 데이터, 차단기 내 투입코일의 여자 시점 데이터, 차단기에 흐르는 상전류가 0인 시점 데이터, 개극시간, 차단시간, 코일전류값, 투입시간 및 정상범위의 기준값 등의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IED를 활용한 차단기 동작특성 분석 장치의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일 실시 예에 따라 별도의 장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출력부(240)는 프로세서(220)가 차단기의 동작특성이 정상범위를 벗어난다고 판정하는 경우에 프로세서(220)의 제어에 따라 이벤트 및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IED를 활용한 차단기 동작특성 분석 장치의 구성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 각각의 구성 요소는 하나의 칩, 부품 또는 전자 회로로 구성되거나, 칩, 부품 또는 전자 회로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중 일부는 복수 개의 구성 요소(예: 복수 개의 프로세서)로 분리되어 서로 다른 칩 또는 부품 또는 전자 회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 요소들은 결합되어 하나의 칩, 부품 또는 전자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기초하여 IED를 활용한 차단기 동작특성 분석 장치는 디지털 변전소의 IED 내 데이터를 이용하여 별도의 차단기 동작특성 분석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차단기의 동작특성을 분석할 수 있어 비용절감이 가능하고, 일반적인 제어, 고장, 재폐로 등 차단기의 동작을 관리하여 장비의 건전성을 유지할 수 있고, 계측한 데이터들의 분석 결과를 장비 수명관리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100: 차단부 영역
200: IED 영역
210: 센싱부
22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40: 출력부
300: SCADA 영역

Claims (11)

  1. IED(Intelligent Electronic Device)를 활용한 차단기의 동작특성 분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 내 트립코일의 여자 시점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차단기 내 a접점의 변화 시점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차단기 내 투입코일의 여자 시점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차단기에 흐르는 상전류가 0인 시점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차단기 개방시 개극시간을 계측하는 단계;
    상기 차단기 개방완료시 차단시간을 계측하는 단계;
    상기 차단기 개방완료시 코일전류의 값을 계측하는 단계;
    상기 차단기 투입시 투입시간을 계측하는 단계;
    상기 각 단계에서 측정된 데이터가 정상범위 내인지 진단하는 단계; 및
    상기 진단 결과 중 어느 하나라도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극시간은 트립코일의 여자 시점부터 상기 차단기의 a접점의 변화 시점까지의 시간인,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시간은 트립코일의 여자 시점부터 상기 차단기에 흐르는 상전류가 0이 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인,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전류의 값은 상기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피크값 또는 적분값인,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시간은 투입코일의 여자 시점부터 상기 차단기의 a접점의 변화 시점까지의 시간인, 방법.
  6. IED를 활용한 차단기의 동작특성 분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 내 트립코일의 여자 시점, a접점의 변화 시점, 투입코일의 여자 시점의 측정 데이터를 입력받는 센싱부;
    동작특성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센싱부 및 상기 출력부와 동작적으로 결합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차단기 개방시 개극시간을 계측하고, 상기 차단기 개방완료시 차단시간을 계측하고, 상기 차단기 개방완료시 코일전류의 값을 계측하고, 상기 차단기 투입시 투입시간을 계측하고, 상기 각 단계에서 측정된 데이터가 정상범위 내인지 진단하고, 상기 진단 결과 중 어느 하나라도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개극시간은 트립코일의 여자 시점부터 차단기의 a접점의 변화 시점까지의 시간인,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시간은 트립코일의 여자 시점부터 차단기에 흐르는 상전류가 0이 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인,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전류의 값은 상기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피크값 또는 적분값인, 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시간은 투입코일의 여자 시점부터 차단기의 a접점의 변화 시점까지의 시간인, 장치.
  11.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있어서,
    컴퓨터상에서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IED를 활용한 차단기의 동작특성 분석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00075174A 2020-06-19 2020-06-19 디지털변전소 ied를 활용한 차단기 동작특성 분석 방법 KR202101571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174A KR20210157196A (ko) 2020-06-19 2020-06-19 디지털변전소 ied를 활용한 차단기 동작특성 분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174A KR20210157196A (ko) 2020-06-19 2020-06-19 디지털변전소 ied를 활용한 차단기 동작특성 분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196A true KR20210157196A (ko) 2021-12-28

Family

ID=79178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174A KR20210157196A (ko) 2020-06-19 2020-06-19 디지털변전소 ied를 활용한 차단기 동작특성 분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719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69342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вторичной цепи измерительного трансформатора в электроэнергетической системе
US7415725B2 (en) Multi-functio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with secure access
RU2491690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выключатель с улучшенной функцией повторного замыкания
US6401054B1 (en) Method of statistical analysis in a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US20050225909A1 (en) Leakage monitoring system
CN108603907A (zh) 用于监测和诊断变压器健康的系统和方法
EP2482409B1 (en) DC Arc fault detection and protection
CN103354967B (zh) 灵敏接地故障保护的保护继电器
EP2630712B1 (en) Circuit breaker with fault indication and secondary power supply
KR100875127B1 (ko) 배전 자동화용 다기능 단말장치 및 이의 운영방법
WO2016207954A1 (ja) 電力変換装置、電力変換装置の診断システム、および診断方法
KR102329199B1 (ko) 변류기 계측선로 안전이상 검출시스템
CN101523681B (zh) 用于提供保护控制的保护继电器和识别故障相的方法及设备
CN209400633U (zh) 基于电能损耗的变压器匝间短路在线监测系统
US6407897B1 (en) Network protector with diagnostics
JP6509029B2 (ja) 分電盤
US11112466B2 (en) Equipment failure detection in an electric power system
KR20210157196A (ko) 디지털변전소 ied를 활용한 차단기 동작특성 분석 방법
EP3830920B1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supervision of a voltage transformer
KR20150075748A (ko) 전자식 전력량계 자기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JP4874480B2 (ja) 回路遮断器の監視システム
KR20220133048A (ko) 전력기기 자가진단 시스템 및 방법
JPH06339225A (ja) 自己診断機能付配電システム
KR102663907B1 (ko) 계기용 변류기 2차개방 설치적용형 감시시스템
KR101722777B1 (ko) 지능화 지상 변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