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7020A - Apparatus and method for irrigation decis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irrigation deci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7020A
KR20210157020A KR1020200074778A KR20200074778A KR20210157020A KR 20210157020 A KR20210157020 A KR 20210157020A KR 1020200074778 A KR1020200074778 A KR 1020200074778A KR 20200074778 A KR20200074778 A KR 20200074778A KR 20210157020 A KR20210157020 A KR 20210157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rop
amount
water
irri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7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61749B1 (en
Inventor
위승환
유인호
이희주
장윤아
여경환
안세웅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200074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749B1/en
Publication of KR20210157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0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7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02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wherein the flow is in an open channe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Algebr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rrigation determination device and a method which can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or not irrigation is performed by reflecting the state of a crop or soil without directly measuring the state of the crop or the soil.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irrigation determination device which comprises: a crop coefficient calculation unit calculating a crop coefficient of the crop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crop and temperature information of a cultivation area; a moisture retention calculation unit calculating a moisture retention amount based on the soil information and water supply amount information of the cultivation area; a moisture usage calculation unit calculating a moisture usage amount based on the crop coefficient, the soil information, and the meteorological information of the cultivation area; and an irrigation determining unit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irrigation is performed based on a moisture requirement amount calculated based on the moisture retention amount and the moisture usage amount.

Description

관수 결정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IRRIGATION DECISION}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irrig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RRIGATION DECISION}

본 발명은 관수 결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작물의 종류, 재배지, 재배 방법 등의 특성을 고려하여 작물에 대한 관수 여부를 자동으로 결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irrigation, and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whether to irrigate a crop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such as a type of crop, a cultivation area, and a cultivation method.

종래에 재배 환경을 기반으로 관수 여부, 관수량 및 관수 시기를 결정하는 관수 장치 또는 시스템이 있다. 종래의 관수 결정 장치는 기상청이 제공하는 증발량을 기반으로 관수 여부를 결정함에 따라 정확한 관수량이나 관수 시기를 판단하지 못한다. 또한, 부정확한 결정으로 인하여 수자원을 낭비하거나 적정치보다 적게 관수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따르면, 작물의 생육과 특성, 재배 방법, 재배 환경 등을 반영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ly, there is an irrigation device or system for determining whether to irrigate, the amount of irrigation, and the irrigation timing based on the cultivation environment. The conventional irrigation determining apparatus cannot determine the exact amount of irrigation or the irrigation time as it determines whether to irrigate based on the evaporation amount provid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In addition, there are cases in which water resources are wasted or irrigated less than the appropriate value due to inaccurate decisions. According to th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growth and characteristics of crops, cultivation methods, cultivation environments, etc. are not reflected.

또한, 종래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관수 결정 방법은, 직접 작물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재배지 토양의 수분 상태를 측정해야 하므로, 별도의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ethod for determining irrigation to increase accuracy has a problem in that it requires a separate labor force because it is necessary to directly check the state of the crop or measure the moisture state of the cultivated soil.

이에 따라, 별도의 노동력을 투입 없이도, 작물의 상태, 재배 상황 등을 반영하여 정확하게 관수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또는 장치가 필요하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r apparatus for accurately determining whether to irrigate by reflecting the state of crops, cultivation conditions, etc. without input of additional labor.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rt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the deriv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ation, and it cannot be said that it is necessarily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the fil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ne.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작물이나 토양의 상태를 직접 측정하지 않고서도 작물이나 토양의 상태를 반영하여 정확하게 관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관수 결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rrigation determining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accurately determining whether to irrigate by reflecting the state of a crop or soil without directly measuring the state of the crop or soil,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하기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수 결정 장치는, 작물에 대한 정보 및 재배지의 기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물의 작물 계수를 산출하는 작물 계수 산출부; 상기 재배지의 토양 정보 및 물공급량 정보 에 기초하여 수분 보유량을 산출하는 수분 보유량 산출부; 상기 작물 계수, 상기 토양 정보 및 상기 재배지의 기상 정보에 기초하여 수분 사용량을 산출하는 수분 사용량 산출부; 및 상기 수분 보유량 및 상기 수분 사용량을 기초로 산출된 수분 필요량 에 기초하여 관수 여부를 결정하는 관수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pparatus for determining irrig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op coefficient calculation unit configured to calculate a crop coefficient of the crop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crop and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cultivation area; a water retention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water retention amount based on soil information and water supply information of the plantation; a water usage calculator configured to calculate the water usage based on the crop coefficient, the soil information, and the meteorological information of the plantation; and an irrigation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o irrigate based on the water retention amount and the water requirement calculated based on the water usage amount.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관수 결정 장치는, 작물의 종류와 생육상태에 따른 증발산량을 직접 확인하지 않아도 판단할 수 있고, 재배환경을 반영하여 관수 여부를 결정하므로, 보다 정확한 관수 결정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적정량을 관수함으로써 수자원 절약이 가능하고, 작물의 수량 및 품질 개선을 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rrigation determination device can determine the amount of evapotranspiration according to the type and growth state of the crop without directly checking the amount of evapotranspiration, and determines whether to irrigate by reflecting the cultivation environment, so more accurate irrigation determination is possible. . Furthermore, by irrigating an appropriate amount, it is possible to save water resources and achieve improvement in the quantity and quality of crop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관수 결정 장치는, 농지의 토양 수분을 직접 조사하지 않아도 수분 보유량을 산출할 수 있어 자원과 노동력이 절감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rrigation determination device can calculate the water retention amount without directly irradiating the soil moisture in the farmland, thereby saving resources and lab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수 결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계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수 결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determining irrig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crop coun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determining wate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herei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1st, 2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수 결정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irrigation determin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관수 결정 장치(100)는, 작물 계수 산출부(110), 수분 보유량 산출부(130), 수분 사용량 산출부(120), 관수 결정부(140), 및 관수 수행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와 달리 관수 결정 장치(100)는, 관수 수행부(150)를 포함하지 않고, 작물 계수 산출부(110), 수분 보유량 산출부(130), 수분 사용량 산출부(120), 및 관수 결정부(140)만 포함할 수도 있다.The irrigation determin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includes a crop count calculation unit 110 , a water retention calculation unit 130 , a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120 , an irrigation determination unit 140 , and an irrigation performing unit (150). Unlike the embodiment of FIG. 1 , the irrigation determination apparatus 100 does not include the irrigation performing unit 150 , and includes a crop count calculation unit 110 , a water retention calculation unit 130 , a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120 , and only the watering determination unit 140 .

도 1의 실시예와 같이, 작물 계수 산출부(110), 수분 보유량 산출부(130), 수분 사용량 산출부(120), 및 관수 결정부(140)는, 각각 독립된 산출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와 달리 작물 계수 산출부(110), 수분 보유량 산출부(130), 수분 사용량 산출부(120), 및 관수 결정부(140)는, 하나의 프로세서로 결합되어 존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 상에서 각각의 연산 및 산출을 수행할 수 있다.1 , the crop count calculation unit 110 , the water retention calculation unit 130 , the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120 , and the irrigation determination unit 140 may each be configured as independent calculation units. Unlike the embodiment of FIG. 1 , the crop count calculation unit 110 , the water retention calculation unit 130 , the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120 , and the irrigation determination unit 140 may be combined into one processor. In this case, each operation and calculation may be performed on the processor.

작물 계수 산출부(110), 수분 보유량 산출부(130), 수분 사용량 산출부(120), 및 관수 결정부(140)는, 각각 연산, 제어 및 판단을 수행하는 장치 또는 부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물 계수 산출부(110), 수분 보유량 산출부(130), 수분 사용량 산출부(120), 및 관수 결정부(140)는, 각각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 IC(Integrated Circuit), CPU(Central Processing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ECU(electronic control unit)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crop count calculation unit 110 , the water retention calculation unit 130 , the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120 , and the irrigation determination unit 140 may be devices or parts that perform calculation, control, and determination,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crop count calculation unit 110 , the water retention calculation unit 130 , the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120 , and the irrigation determination unit 140 may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and digital signals (DSPs), respectively.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processors, Micro Processors, ICs (Integrated Circuits), CPUs (Central Processing Units) , microcontroller unit (MCU), electronic control unit (ECU)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

관수 결정 장치(100)는, 별도의 메모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메모리는, 작물 계수 산출부(110), 수분 보유량 산출부(130), 수분 사용량 산출부(120), 및 관수 결정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는 작물 계수 산출부(110), 수분 보유량 산출부(130), 수분 사용량 산출부(120), 및 관수 결정부(14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관수 결정 장치(100)의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작물 계수 산출부(110), 수분 보유량 산출부(130), 수분 사용량 산출부(120), 및 관수 결정부(140)는 각각 별도의 메모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하 언급되는 다양한 정보는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일 수 있다.The watering determination apparatus 100 may include a separate memory (not shown). In this case, the memory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rop count calculation unit 110 , the water retention calculation unit 130 , the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120 , and the irrigation determination unit 140 . The memory, in terms of hardware, may be various storage devices such as ROM, RAM, EPROM, flash drive, hard drive, and the like. The memory is the first half of the irrigation determination device 100, such as a program for processing or controlling the crop count calculation unit 110, the water retention amount calculation unit 130, the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120, and the irrigation determination unit 140 It can store various data for the operation of Alternatively, the crop count calculator 110 , the water retention calculator 130 , the water usage calculator 120 , and the irrigation determiner 140 may each include a separate memory. Various information mentioned below may be stored in a memor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수 결정 장치(100)는, 별도의 입력부(미도시) 또는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관수 결정 장치(100)는, 입력부 또는 통신부를 통하여 각 산출부의 산출 및 판단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고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관수 결정 장치(100)는 통신부를 통하여 별도로 존재하는 관수 수행부(150)로 관수 수행에 관련된 명령을 송신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ing determination apparatus 100 may include a separate input unit (not shown) or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The watering determination apparatus 100 may acquire and transmit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calculation and determination of each calculation unit through an input unit or a communication unit. Also, the irrigation determination apparatus 100 may transmit a command related to irrigation to the irrigation performing unit 150 that is separately presen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관수 결정 장치(100)의 각 산출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calculation unit of the water supply determin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작물 계수 산출부(110)는, 작물에 대한 정보 및 재배지의 기온 정보에 기초하여 재배되는 작물의 작물 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작물 계수 산출부(110)는, 메모리, 통신부 및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작물 정보 및 기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crop coefficient calculation unit 110 may calculate a crop coefficient of a cultivated crop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crop and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cultivation area. The crop coefficient calculation unit 110 may obtain crop information and temperature information through at least one of a memory, a communication unit, and an input unit.

작물에 대한 정보는, 작물의 정식일, 생육을 위한 고유의 기본온도, 생육도일에 대응하는 생육단계, 및 생육단계 별 작물계수, 및 기타 작물의 종류에 대응하는 다양한 특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formation on crops includes information on planting dates, intrinsic basic temperature for growth, growth stages corresponding to growth days, and crop coefficients for each growth stage, and other various characteristics corresponding to crop types. can do.

작물의 정식일에 대한 정보는, 작물이 재배지에 심겨진 일자에 대한 정보이다. 작물 계수 삼출부는, 작물의 정식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작물의 재배 기간을 산출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on the planting date of the crop is information on the date on which the crop is planted in the cultivation area. The crop count exudate may calculate a growing period of the crop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planting date of the crop.

작물의 생육을 위한 고유의 기본온도(base temperature, base line)는, 작물의 종에 따라 생장과 발육을 시작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본온도이다. 기본온도는 기준 온도라고도 한다. 기본온도는 작물마다 다른 값을 갖는다. 예를 들어, 가을 채소와 같이 저온에서도 자라는 작물의 기본온도는 5℃일 수 있다. 일반적인 온대지방의 여름철 작물의 기본온도는 10℃일 수 있다. 생육에 고온이 필요한 작물의 기본온도는 15℃일 수 있다. 이는 실험에 의하여 결정된 값일 수 있다. 작물의 생육을 위한 고유의 기본온도에 대한 정보는 데이터셋으로 구성되어 작물 계수 산출부(110)에 제공될 수 있다.The intrinsic base temperature (base line) for the growth of crops is the basic temperature required to start growth and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species of the crop. The base temperature is also referred to as the reference temperature. The base temperature has a different value for each crop. For example, the basic temperature of a crop that grows even at low temperatures, such as autumn vegetables, may be 5°C. The basic temperature of summer crops in general temperate regions may be 10°C. The basic temperature for crops that require high temperatures for growth may be 15°C. This may be a value determined by experiment. Information on the intrinsic basic temperature for the growth of crops may be provided to the crop coefficient calculating unit 110 by being composed of a data set.

생육도일에 대응하는 생육단계에 대한 정보는, 생육도일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생육단계에 대한 데이터셋이다. 생육도일(Growing Degree Day, GDD)은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열량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써, 작물의 정식일로부터 생육한 기간 동안의 (일 최고 기온값 + 일 최저 기온값) / 2 - 기본온도값을 합산한 것이다. 생육도일은, 특정 지역의 기후에 따른 특정 작물의 재배가능성을 예측하거나 재배 중인 작물의 생육단계를 예측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이에 따라, 생육단계는 작물의 생육도일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생육도일에 따라 결정되는 생육단계는 시험에 의하여 결정되거나 기 설정된 값일 수 있다. 생육도일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생육단계에 대한 데이터셋은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통신부 또는 입력부를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on the growth stage corresponding to the date of growth is a data set for a growth stage preset in response to the date of growth. Growing Degree Day (GDD) is to indicate the amount of energy required for crop growth. (Highest daily temperature + Daily minimum temperature) / 2 - Base temperature from the planting date to the growing period values are summed up. The growth degree date is designed to predict the cultivability of a specific crop according to the climate of a specific area or to predict the growth stage of a crop under cultivation. Accordingly, the growth stag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growth day of the crop. The growth stag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growth date may be determined by a test or a preset value. The data set for the growth stage preset corresponding to the growth day may be stored in the memory or obtain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r the input unit.

작물 계수 산출부(110)는, 작물의 정식일 및 생육을 위한 고유의 기본온도에 대한 정보와 재배지의 기온 정보에 기초하여 작물의 생육도일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작물 계수 산출부(110)는, 작물의 정식일로부터 작물이 생육한 기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생육 기간 동안의 (일 최고 기온값 + 일 최저 기온값) / 2 - 기본온도값을 합산하여 작물의 생육도일을 산출할 수 있다.The crop coefficient calculation unit 110 may calculate the growth degree of the crop based on the planting date and the information on the inherent basic temperature for growth and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cultivation area.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p coefficient calculating unit 110 calculates a period during which a crop is grown from the planting date of the crop, and (day maximum temperature value + daily minimum temperature value) / 2 during the calculated growth period - By summing the basic temperature values, the growth days of crops can be calculated.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배지의 기온 정보는 재배지의 시간대별 기온 정보를 포함하고, 작물 계수 산출부(110)는, 작물의 생육도일 산출 시, 생육을 위한 고유의 기본온도에 대한 정보와 시간대별 기온 정보에 기초하여 작물의 생육도일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물 계수 산출부(110)는, 시간대별로 기온과 기본온도의 차이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대별 기온-기본온도 차이 값의 일평균 값을 작물의 생육도일로써 산출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생육도일의 예측 정확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plantation includes temperature information for each time zone of the plantation, and the crop coefficient calculating unit 110, when calculating the growth day of the crop, is based on the intrinsic basic temperature for growth.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date of growth of crops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information for each time period. Specifically, the crop coefficient calculation unit 110 may calculate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temperature and the basic temperature for each time period, and calculate the daily average value of the calculated temperature-basic temperature difference value for each time period as the growth day of the crop. .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prediction accuracy of the growth date can be further improved.

작물 계수 산출부(110)는, 작물의 생육도일에 대응하는 생육단계에 대한 정보와 산출된 생육도일에 기초하여, 작물의 생육단계를 판단할 수 있다. The crop coefficient calculator 110 may determine the growth stage of the crop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growth stage corresponding to the growth date of the crop and the calculated growth date.

작물 계수 산출부(110)는, 작물의 생육단계 별 작물 계수에 대한 정보와 상기 판단된 생육단계에 기초하여 상기 작물의 작물 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작물 계수는, 기본 작물 계수(basal crop coefficient, Kcb)일 수 있다.The crop coefficient calculation unit 110 may calculate the crop coefficient of the crop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crop coefficient for each growth stage of the crop and the determined growth stage. The crop coefficient may be a basal crop coefficient (Kcb).

생육단계 별 작물 계수에 대한 정보는, 생육단계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작물 계수에 대한 데이터셋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물의 종류에 따라 여러 생육단계가 존재하고, 특정 작물의 여러 생육 단계에 대응하는 각각의 작물 계수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생육 단계에 따른 작물 계수는 실험에 의하여 결정된 것일 수 있다. 도 2의 (c) 그래프에는 생육 단계에 따라 변화하는 기본 작물 계수(Kcb)가 나타난다. 도 2의 (c) 그래프를 참조하면, 해당 작물은 생육함에 따라 다양한 작물 계수를 갖는다. 생육단계 별 작물 계수에 대한 정보는, 작물의 종류에 따른 생육단계 별 작물 계수 값을 나타낸다.The information on the crop coefficients for each growth stage may be a dataset for a crop coefficient preset in response to the growth stage. For example, several growth stages may exist depending on the type of crop, and respective crop coefficients corresponding to various growth stages of a specific crop may exist. The crop coefficient according to this growth stage may be determined experimentally. The graph of FIG. 2 (c) shows the basic crop coefficient (Kcb)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growth stage. Referring to the graph (c) of FIG. 2 , the corresponding crop has various crop coefficients as it grows. The information on the crop coefficient for each growth stage indicates a crop coefficient value for each growth stage according to the type of crop.

작물 계수는, Penman-Monteith 방정식에 적용되는 기본 작물 계수(basal crop coefficient, Kcb)일 수 있다. Penman-Monteith 방정식은 작물의 증발산량을 작물 계수를 이용해 간단하게 산출할 수 있는 방법이다. 도 2의 (b)를 참조하여, FAO Penman-Monteith 방법에 따르면, 작물의 증발산량을 표준 식물(초지, 잔디)를 기준으로 계산(ETo)하고 대상작물의 생육단계에 맞춘 작물 계수(Kc)를 곱하면, 작물에 필요한 수분량(ETc)이 간편하게 예측된다. 산출된 증발산량과 작물의 중량을 활용해 물 사용 효율(Water Usage Effectiveness, WUE)를 구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해 수분 환경에 따른 작물 요수량 예측 모형을 산출할 수 있다.The crop coefficient may be a basal crop coefficient (Kcb) applied to the Penman-Monteith equation. The Penman-Monteith equation is a simple way to calculate the evapotranspiration of crops using crop coefficients. Referring to FIG. 2 (b), according to the FAO Penman-Monteith method, the evapotranspiration amount of crops is calculated based on standard plants (grass, grass) (ETo), and the crop coefficient (Kc) tailored to the growth stage of the target crop is calculated. Multiplying, the amount of moisture required for a crop (ETc) can be easily estimated. Using the calculated evapotranspiration and crop weight, Water Usage Effectiveness (WUE) can be obtained, and a model for predicting crop demand according to the moisture environment can be calculated using this.

도 2의 (a)는 반사율이 0.23인 표면에서 물이 충분히 공급되고, 높이가 12cm인 가상의 작물이 지표면을 모두 덮은 상태에서의 증발산량을 나타내는 방정식이다. (FAO Penman-Monteith 방정식) FAO Penman-Monteith 방정식에서 각 변수의 의미는 아래와 같다.Figure 2 (a) is an equation representing the amount of evapotranspiration in a state in which water is sufficiently supplied on a surface having a reflectance of 0.23, and a hypothetical crop having a height of 12 cm covers all of the ground surface. (FAO Penman-Monteith equation) The meaning of each variable in the FAO Penman-Monteith equation is as follows.

ETo: 기준증발산량 또는 잠재증발산량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mm day-1]), ETo: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or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mm day-1],

Rn: 작물 표면의 순 복사량(순 방사량) (net radiation at the crop surface [MJ m-2 day-1]), Rn: net radiation at the crop surface [MJ m-2 day-1],

G: 토양 열유동량 (soil heat flux density [MJ m-2 day-1]), G: soil heat flux density [MJ m-2 day-1],

T: 2미터 높이에서의 일일 평균 기온 (mean daily air temperature at 2 m height [°C]), T: mean daily air temperature at 2 m height [°C],

u2: 2미터 높이에서의 풍속 (wind speed at 2 m height [m s-1]), u 2 : wind speed at 2 m height [m s-1],

es: 포화증기압 (saturation vapour pressure [kPa]), e s : saturation vapor pressure [kPa],

ea: 실제 증기압 (actual vapour pressure [kPa]), e a : actual vapor pressure [kPa],

Δ: 포화증기압곡선 경사(slope vapour pressure curve [kPa °C-1]), Δ: slope vapor pressure curve [kPa °C-1],

γ: 건습구 상수 (psychrometric constant [kPa °C-1]).γ: wet-bulb constant (psychrometric constant [kPa °C-1]).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생육기간에 따른 증발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증발량은 생육 기간 및 기온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Kcb 초기값에 ETo (18 / 12 ℃)를 적용하고, Kcb 중기값 및 Kcb 후기값는 ETo (23 / 17 ℃)를 적용하는 경우, Kcb 초기값 = 0.11, Kcb 중기값 = 0.86 및 Kcb 후기값 = 0.43이 산출될 수 있다.3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the evaporation amount according to the growth perio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graph of FIG. 3 , the evaporation amount may vary according to the growth period and temperature. For example, if ETo (18 / 12 °C) is applied to the initial Kcb value, and ETo (23 / 17 °C) is applied to the intermediate Kcb and late Kcb values, Kcb initial value = 0.11, Kcb intermediate value = 0.86 and Kcb late value = 0.43 can be calculated.

작물 계수 산출부(110)는, 산출된 작물 계수를 수분 사용량 산출부(120)에 송신할 수 있다. The crop count calculator 110 may transmit the calculated crop count to the water usage calculator 120 .

수분 보유량 산출부(130)는, 재배지의 토양 정보 및 물공급량 정보에 기초하여 수분 보유량을 산출할 수 있다. 수분 보유량 산출부(130)는, 메모리, 통신부 및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토양 정보 및 물공급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water retention calculation unit 130 may calculate the water retention amount based on the soil information and the water supply amount information of the cultivation area. The water retention calculation unit 130 may obtain soil information and water supply amount information through at least one of a memory, a communication unit, and an input unit.

재배지의 토양 정보는, 재배지 토양의 물리성 및 포장 피복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oil information of the cultivation area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ultivated soil and the state of the field covering.

토양의 물리성은, 토성(사양토, 양토 식양토, 식토 등), 경도, 구조, 및 공극 등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재배지 토양의 물리성에 대한 정보는, 재배지 토양의 물리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분 보유량 산출부(130)는, 토양 물리성 정보에 기초하여, 재배지의 토양의 포장용수량을 판단할 수 있다.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oil are concepts representing the soil (sand, loam, loam, loam, etc.), hardness, structure, voids, and the like. Information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ultivated soil may include various values indicat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ultivated soil. For example, the water retention calculation unit 130 may determine the pavement capacity of the soil in the cultivation area, based on the soil physical property information.

재배지 토양의 포장 피복 상태에 대한 정보는, 재배지가 어떤 종류의 포장으로 얼만큼 피복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작물을 재배 시 다양한 포장 피복 방법(이하 재배법이라 한다.)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발산에 영향을 미치는 재배법은, 터널 재배나 멀칭 재배가 있다. 터널 재배의 경우 비닐 하우스 내부에 작물을 정식하는 것으로, 비닐 하우스 내부에서는 증발산이 이루어 지더라도 내부에서만 순환하게 된다. 멀칭 재배는 토양을 비닐로 덮는 방법이다. 멀칭 재배의 경우 보온 효과나 잡초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멀칭 재배를 수행하는 경우, 토양 증발 계수(Ke)가 0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양을 검정색 비닐로 피복 하는 경우, 증발산이 이루어 지지 않으므로 토양 증발 계수(Ke)를 0으로 가정한다. 멀칭 재배에서 피복재의 종류나 피복 범위에 따라서 Ke가 달라 질 수 있다. 비닐 외에도 부직포를 이용하여 피복하는 재배 방법이 있고, 이 경우 토양 증발 계수(Ke)의 조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작물의 생장을 억제하는 재배법 등 다양한 재배법들이 있으며, 이는 작물의 생육, 증발산량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The information on the pavement covering state of the cultivated soil is information indicating how much the cultivation site is covered with what kind of pavement. Various field covering method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ultivation methods) can be used when cultivating crops. For example, cultivation methods that affect evapotranspiration include tunnel cultivation and mulching cultivation. In the case of tunnel cultivation, crops are planted inside the plastic house, and even if evapotranspiration occurs inside the plastic house, it circulates only inside. Mulching is a method of covering the soil with plastic. In the case of mulching cultivation, it has an effect of keeping heat or preventing weeds from forming. When mulching cultivation is performed, the soil evaporation coefficient (Ke) may be zero. For example, if the soil is covered with black vinyl, evapotranspiration does not occur, so the soil evaporation coefficient (Ke) is assumed to be 0. In mulching cultivation, Ke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covering material or the coverage area. In addition to vinyl, there is a cultivation method using a non-woven fabric to cover, and in this case, adjustment of the soil evaporation coefficient (Ke)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to this, there are various cultivation methods such as cultivation methods that suppress the growth of crops, which may affect crop growth and evapotranspiration.

물공급량 정보는, 재배지에 대한 강우량 및 관수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공급량 정보는, 시간대별 강우량에 대한 정보와 시간대별 관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information may include rainfall amount and irrigation amount information for the cultivated area. In more detail, the water supply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rainfall for each time period and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irrigation for each time period.

수분 보유량 산출부(130)는, 재배지 토양의 물리성 정보에 기초하여 재배지 토양의 포장용수량을 산출할 수 있다.The water retention calculation unit 130 may calculate the amount of water for pavement of the cultivated soil based on the physical property information of the cultivated soil.

포장 용수량은, 수분이 포화된 상태의 토양에서 증발을 방지하면서 중력수를 완전히 배제하고 남은 수분의 양을 뜻한다. 포장용수량은, 최소용수량(minimum water-holding capacity)이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지하의 수위가 낮고 토양의 투수성이 중간인 상태에서 강우나 관수로 인하여 토양에 수분이 공급된 후 만 하루가 지난 수분 상태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포장용수량 이상은 중력수로서 도리어 토양의 통기성을 저해하므로, 작물의 생육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될 수 있다. 토양의 수분 보유량이 토양의 포장용수량과 동일한 경우, 토양 내 대공극에서는 수분이 빠져나간 상태이므로 작물의 뿌리 호흡이 원활하고, 토양 내 소공극에서는 작물이 흡수할 수 있는 수분이 존재하는 상태이므로 작물이 생육하기에 최적이 상태로 볼 수 있다.The field water capacity refers to the amount of water remaining after completely excluding gravity water while preventing evaporation in the soil in a water-saturated state. Packing capacity is also called minimum water-holding capacity. For example, this may correspond to a moisture state in which one day has passed since the soil was supplied with moisture due to rainfall or irrigation in a state where the water level in the ground was low and the soil permeability was medium. Since more than the field capacity is gravity water, it inhibits the air permeability of the soil, and thus may act as a factor impeding the growth of crops. When the water retention of the soil is the same as the field capacity of the soil, the moisture has escaped from the large pores in the soil, so that the roots of the crop can breathe smoothly, and the water that can be absorbed by the crop is present in the small pores in the soil. This can be seen as optimal for growth.

수분 보유량 산출부(130)는, 재배지 토양의 물리성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포장용수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포장용수량을 산출할 수 있다.The water retention calculation unit 130 may calculate the field water quantity based on preset field water quantity data corresponding to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ultivated soil.

포장용수량 데이터는, 재배지 토양의 물리성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데이터셋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 필지의 토양 물리성에 대한 정보가 존재할 수 있고, 각 토양 별 포장용수량에 대한 데이터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실험에 의하여 결정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토양 별 포장용수량 데이터는, 대한민국의 지역 별 토양의 포장용수량을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수분 보유량 산출부(130)는, 특정 지리적 위치가 입력되는 경우, 기 설정된 토양 별 포장용수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된 위치의 포장용수량을 판단할 수 있다.The field capacity data may be a preset data set corresponding to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ultivated soil. To this end, information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soils in lots across the country may exist, and data on the amount of pavement capacity for each soil may exist. These data may be values determined by experiments. For example, the preset pavement capacity data for each soil may represent the pavement capacity of the soil for each region of Korea. In this case, when a specific geographic location is input, the water retention calculation unit 130 may determine the amount of water for pavement at the input location based on preset pavement quantity data for each soil.

수분 보유량 산출부(130)는, 산출된 포장용수량, 포장 피복 상태 정보, 및 강우량 및 관수량 정보에 기초하여, 수분 보유량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분 보유량 산출부(130)는, 포장 피복 상태 정보 및 강우량 및 관수량 정보에 기초하여 재배지에 대한 물공급량을 산출하고, 포장용수량이 산출된 물공급량보다 큰 경우, 물공급량을 수분 보유량으로 산출하고, 포장용수량이 산출된 물공급량보다 작은 경우 포장용수량을 수분 보유량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수분 보유량 산출부(130)는, 강우량 및 관수량 정보에 기초하여 재배지에 대한 초기 물 공급량을 산출하고, 강우량 및 관수량 정보와 포장 피복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재배지로 유입되지 않는 물 공급 제한값을 산출하고, 초기 물 공급량에서 물 공급 제한 값을 뺀 값을 재배지에 대한 물공급량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는, 포장 피복으로 인하여 재배지에 유입되지 않는 수분을 감안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따라, 재배지에 대하여 수순하게 유입되는 수분의 공급량에 대한 판단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포장용수량은 토양의 최대 수분 보유량이므로, 포장용수량보다 물공급량이 큰 경우, 포장용수량이 재배지의 수분 보유량이 되고, 포장용수량보다 물공급량이 작은 경우, 물공급량이 재배지의 수분 보유량이 될 수 있다.The water retention calculation unit 130 may calculate the water retention amount based on the calculated amount of water for pavement, information on the state of pavement covering, and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rainfall and irrigation. Specifically, the water retention calculation unit 130 calculates the water supply amount for the plantation based on the pavement covering state information and the rainfall and irrigation amount information, and when the pavement water quantity is greater than the calculated water supply amount, the water supply amount is the water retention amount , and when the amount of packaging water is smaller than the calculated water supply amount, the amount of packaging water can be calculated as the water retention amount. To this end, the water retention calculation unit 130 calculates the initial water supply to the plantation based on the rainfall and irrigation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rainfall and irrigation amount information and the pavement covering state information, water that does not flow into the plantation The supply limit value may be calculated, and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water supply limit value from the initial water supply amount may be calculated as the water supply amount for the cultivated land. This is to take into account the moisture that does not flow into the plantation due to the pavement covering, and accordingly, the accuracy of determining the supply amount of moisture that is sequentially introduced into the plantation can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field capacity is the maximum moisture retention of the soil, if the water supply is larger than the field capacity, the field capacity will be the moisture retention of the plantation. have.

수분 사용량 산출부(120)는, 작물 계수 산출부(110)가 산출한 작물 계수, 재배지의 토양 정보 및 재배지의 기상 정보에 기초하여 수분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수분 사용량 산출부(120)는, 메모리, 통신부 및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토양 정보 및 기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수분 사용량 산출부(120)는, 작물 계수 산출부(110)로부터 산출된 작물 계수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재배지의 기상 정보는, 온도, 습도, 일사량, 및 풍속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토양 정보는, 재배지의 포장 피복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120 may calculate the water usage amount based on the crop coefficient calculated by the crop coefficient calculation unit 110 , soil information of the cultivation area, and meteorological information of the cultivation area. The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120 may acquire soil information and weather information through at least one of a memory, a communication unit, and an input unit. The water usage calculator 120 may receive the crop count calculated from the crop count calculator 110 . To this end, the meteorological information of the plant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emperature, humidity, insolation, and wind speed. The soil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state of the field cover of the cultivation area.

도 2의 (b)를 참조하여, 수분 사용량 산출부(120)를 설명한다. 도 2의 (b) 실시예에 따르면, 수분 사용량 산출부(120)는, 작물 계수(Kcb) 및 상기 기상 정보에 Penman-montieth 방정식을 적용하여 작물의 실증발산량(ETo*Kcb)을 산출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수분 사용량 산출부(120)는, 작물 계수 산출부(110)로부터 작물의 기본 작물 계수(Kcb)를 수신할 수 있다. 수분 사용량 산출부(120)는, 재배지의 기상 정보를 Penman-montieth 방정식에 적용하여, 잠재증발산량(ETo)을 산출할 수 있다. 수분 사용량 산출부(120)는, 잠재증발산량(ETo)에 작물의 기본 작물 계수(Kcb)를 곱하여 작물의 실증발산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수분 사용량 산출부(120)는, 포장 피복 상태 정보 및 기상 정보에 기초하여 재배지의 증발량을 산출할 수 있다. 수분 사용량 산출부(120)는, 포장 피복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토양 증발 계수(soil evaporation coefficient, Ke)를 산출할 수 있다. 포장 피복 상태 정보는, 포장의 재질 및 재배지 상에서 피복된 영역의 넓이 및 형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수분 사용량 산출부(120)는, 포장 피복 상태 정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상기 토양 증발 계수(Ke) 데이터를 기초로 토양 증발 계수(Ke)를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포장 피복 상태 정보는, 포장 피복 상태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상기 토양 증발 계수(Ke) 데이터셋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장 피복 상태가 비닐로 재배지 전체가 피복된 것인 경우의 토양 증발 계수(Ke)는 0으로 기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수분 사용량 산출부(120)는, 포장 피복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재배지 전체가 비닐로 피복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토양 증발 계수(Ke)를 0으로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장 피복 상태가 부직포로 재배지 절반이 피복된 것인 경우의 토양 증발 계수(Ke)는 0.13으로 기 설정될 수 있다. 포장 피복 상태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상기 토양 증발 계수(Ke) 데이터셋은 실험에 의하여 결정된 것일 수 있다. 수분 사용량 산출부(120)는, 잠재증발산량(ETo)에 토양 증발 계수(Ke)를 곱하여 재배지의 증발량을 산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B , the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120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 (b), the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120 applies the Penman-montieth equation to the crop coefficient (Kcb) and the weather information to calculate the empirical divergence amount (ETo * Kcb) of the crop. have. To this end, the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120 may receive the basic crop coefficient Kcb of the crop from the crop coefficient calculation unit 110 . The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120 may calculate the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ETo) by applying the weather information of the plantation to the Penman-montieth equation. The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120 may calculate the actual evapotranspiration amount of the crop by multiplying the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amount (ETo) by the basic crop coefficient (Kcb) of the crop. In addition, the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120 may calculate the evaporation amount of the cultivated land based on the pavement covering state information and weather information. The moisture usage calculator 120 may calculate a soil evaporation coefficient (Ke) based on the pavement covering state information. The pavement covering stat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material of pavement and the width and shape of the area covered on the plantation site. The moisture usage calculator 120 may calculate the soil evaporation coefficient Ke based on the preset soil evaporation coefficient Ke data in response to the pavement covering state information. To this end, the pavement covering state information may include the preset soil evaporation coefficient (Ke) dataset corresponding to the pavement covering state. For example, the soil evaporation coefficient (Ke) may be preset to zero in the case where the entire cultivation area is covered with vinyl in the condition of the pavement covering. In this case, the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120 may calculate the soil evaporation coefficient Ke as 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ntire cultivation area is covered with vinyl based on the pavement covering stat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oil evaporation coefficient (Ke) in the case where half of the cultivation area is covered with a nonwoven fabric may be preset to 0.13. The soil evaporation coefficient (Ke) dataset preset corresponding to the pavement covering state may be determined by an experiment. The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120 may calculate the evaporation amount of the cultivated land by multiplying the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amount ETo by the soil evaporation coefficient Ke.

수분 사용량 산출부(120)는, 작물의 증발산량과 재배지의 증발량을 합산하여 수분 사용량(ETc)을 산출할 수 있다.The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120 may calculate the water usage amount ETc by adding up the evapotranspiration amount of the crop and the evaporation amount of the cultivated land.

이하 관수 결정부(140)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watering determination unit 140 will be described.

관수 결정부(140)는, 수분 보유량 산출부(130)가 산출한 수분 보유량 및 수분 사용량 산출부(120)가 산출한 수분 사용량을 기초로 산출된 수분 필요량에 기초하여 관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관수 결정부(140)는, 수분 보유량 산출부(130)로부터 산출된 수분 보유량 값을 수신하고, 수분 사용량 산출부(120)로부터 산출된 수분 사용량을 수신할 수 있다.The irrigation determiner 140 may determine whether to irrigate based on the water requirement calculated based on the water retention amount calculated by the water retention calculation unit 130 and the water usage amount calculated by the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120 . To this end, the irrigation determination unit 140 may receive the water retention value calculated from the water retention calculation unit 130 , and receive the water usage amount calculated from the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120 .

관수 결정부(140)는, 상기 수분 보유량에서 상기 수분 사용량을 빼서 수분 필요량을 산출할 수 있다. 관수 결정부(140)는, 수분 필요량에 기초하여 관수 시점 및 관수량을 산출할 수 있다.The watering determination unit 140 may calculate the required amount of water by subtracting the amount of water used from the amount of water retained. The irrigation determiner 140 may calculate the irrigation timing and the irrigation amount based on the required amount of moisture.

관수 결정부(140)는, 산출된 수분 필요량이 양수인 경우, 관수 시점을 현재로 판단하고, 수분 필요량을 관수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calculated water requirement is positive water, the irrigation determiner 140 may determine the irrigation time as the present and determine the water requirement as the irrigation amount.

관수 결정부(140)는, 수분 필요량이 음수인 경우, 수분 필요량이 양수가 되는 시점을 산출하여 관수 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water requirement is a negative number, the watering determiner 140 may calculate a time point at which the water requirement becomes a positive number to determine the watering time point.

이하 관수 결정부(140)가 관수 시점을 판단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the irrigation determining unit 140 to determine the irrigation time will be described.

수분 보유량 산출부(130)와 수분 사용량 산출부(120)는, 통신부, 입력부 및 메모리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기상 예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분 보유량 산출부(130)와 수분 사용량 산출부(120)는, 통신부를 통하여, 기상청 서버가 제공하는 기상 예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기상 예보 정보는, 미래의 강수량, 기온, 습도, 풍속 등 미래의 기상 상황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의미한다.The water retention calculation unit 130 and the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120 may acquire weather forecast information through any one of a communication unit, an input unit, and a memory. For example, the water retention calculation unit 130 and the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120 may obtain weather forecast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eather forecast information refers to various information on future weather conditions, such as future precipitation, temperature, humidity, and wind speed.

수분 보유량 산출부(130)는, 기상 예보 정보를 획득하고. 수분 보유량 산출부(130)는, 기상 예보 정보 및 토양 정보에 기초하여, 시기별 예상 수분 보유량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분 보유량 산출부(130)는, 기상 예보 정보 및 재배지의 포장 피복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시기별 순 공급량과 토양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포장용수량을 비교하여 시기별 재배지 토양의 예상 수분 보유량을 산출할 수 있다. 수분 보유량 산출부(130)는, 산출된 예상 수분 보유량을 관수 결정부(140)에 전송할 수 있다.The water retention calculation unit 130 obtains weather forecast information. The water retention calculation unit 130 may calculate an expected water retention amount for each period based on weather forecast information and soil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water retention calculation unit 130 compares the net supply amount for each period calculated based on the weather forecast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the field cover of the plantation area and the field water quantity calculated based on the soil information to predict the soil for each time period. Water retention can be calculated. The water retention calculation unit 130 may transmit the calculated expected water retention amount to the irrigation determination unit 140 .

수분 사용량 산출부(120)는, 기상 예보 정보를 획득하고, 기상 예보 정보, 작물 계수 및 토양 정보에 기초하여 시기별 예상 수분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수분 사용량 산출부(120)는, 기상 예보 정보에 기초하여, 시기별 예상 잠재증발산량(ETo)을 산출할 수 있다. 수분 사용량 산출부(120)는, 시기별 예상 잠재증발산량(ETo)과 시기별 예상 작물 계수(Kc)에 기초하여, 시기별 예상 수분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수분 사용량 산출부(120)는, 산출된 시기별 예상 수분 사용량을 관수 결정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The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120 may obtain weather forecast information, and calculate the expected water usage for each period based on the weather forecast information, crop coefficients, and soil information. The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120 may calculate the expected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ETo) for each period, based on weather forecast information. The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120 may calculate the expected water usage for each season based on the expected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ETo) for each season and the expected crop coefficient (Kc) for each time. The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120 may transmit the calculated expected water usage for each period to the irrigation determination unit 140 .

관수 결정부(140)는, 시기별 예상 수분 보유량 및 시기별 예상 수분 사용량에 기초하여 수분 필요량이 양수가 되는 시점을 관수 시점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The irrigation determiner 140 may calculate a time point at which the required amount of water becomes positive water as the irrigation time based on the expected water retention amount for each season and the expected water usage for each time period.

관수 결정부(140)는, 산출된 관수량 및 관수 시점을 관수 수행부(150)에 전송하거나, 관수 수행부(150)를 직접 제어하여 관수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The irrigation determiner 140 may transmit the calculated irrigation amount and irrigation time to the irrigation performing unit 150 or may directly control the irrigation performing unit 150 to perform irriga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수 결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determining wate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수 결정 방법은, 산출 단계(11S, 12S, 13S) 및 결정 단계(14S, 15S)를 포함할 수 있다. 산출 단계는 관수 여부 결정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이고, 결정 단계는, 산출 단계에서 산출된 정보를 기초로 관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이다.The method for determining wate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calculating steps 11S, 12S, and 13S and determining steps 14S and 15S. The calculation step is a step of calculat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necessary for determining whether to irrigate, and the determining step i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irrigate based on the information calculated in the calculation ste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수 결정 방법은, 산출 단계 이전에 각 산출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 단계(10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획득 단계에서(10S)는, 관수 결정 장치(100)에 포함된 각 모듈이 통신부, 입력부 및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산출 및 결정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method for determining wate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obtaining step (10S) of obtain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each calculation before the calculating step. In the obtaining step 10S, each module included in the watering determination apparatus 100 may obtain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calculation and determination through at least one of a communication unit, an input unit, and a memory.

산출 단계에서는, 작물 계수 산출부(110)가 작물에 대한 정보 및 재배지의 기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물의 작물 계수를 산출하고(11S), 수분 보유량 산출부(130)가 상기 재배지의 토양 정보 및 물공급량 정보에 기초하여 수분 보유량을 산출하고(13S), 수분 사용량 산출부(120)가 상기 작물 계수, 상기 토양 정보 및 상기 재배지의 기상 정보에 기초하여 수분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12S). 이하 산출 단계에 포함되는 각 단계에 대하여 설명한다.In the calculation step, the crop coefficient calculation unit 110 calculates the crop coefficient of the crop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crop and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cultivation area (11S), and the water retention calculation unit 130 performs the soil information and The water retention amount is calculated based on the water supply information (13S), and the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120 can calculate the water usage based on the crop coefficient, the soil information, and the meteorological information of the plantation area (12S). Hereinafter, each step included in the calculation step will be described.

도 4의 산출 단계 중 11S에 대하여 설명한다. 11S among the calculation steps of FIG. 4 will be described.

상기 작물에 대한 정보는, 상기 작물의 정식일, 생육을 위한 고유의 기본온도, 생육도일에 대응하는 생육단계, 및 생육단계 별 작물계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산출 단계(11S)에서, 상기 작물 계수 산출부(110)는, 상기 작물의 정식일 및 생육을 위한 고유의 기본온도에 대한 정보와 상기 재배지의 기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물의 생육도일을 산출하고, 상기 작물의 생육도일에 대응하는 생육단계에 대한 정보와 상기 산출된 생육도일에 기초하여, 상기 작물의 생육단계를 판단하고, 상기 작물의 생육단계 별 작물 계수에 대한 정보와 상기 판단된 생육단계에 기초하여 상기 작물의 작물 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재배지의 기온 정보는, 상기 재배지의 시간대별 기온 정보를 포함하고, 산출 단계(11S)에서, 상기 작물의 생육도일 산출 시 작물 계수 산출부(110)는, 생육을 위한 고유의 기본온도에 대한 정보와 상기 시간대별 기온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대별로 기온과 기본온도의 차이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대별 차이 값의 일평균 값을 상기 작물의 생육도일로써 산출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on the crop includes information on the planting date of the crop, the intrinsic basic temperature for growth, the growth stage corresponding to the growth day, and the crop coefficient for each growth stage, in the calculation step (11S), The crop coefficient calculation unit 110 calculates the growth degree of the crop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planting date and the inherent basic temperature for growth of the crop and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plantation area, and the growth degree of the crop The growth stage of the crop is determined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growth stage corresponding to the day and the calculated growth date, and information on the crop coefficient for each growth stage of the crop and the determined growth stage. The crop coefficient of a crop can be calculated.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plantation includes temperature information by time of the plantation, and in the calculation step 11S, the crop coefficient calculating unit 110 when calculating the growth day of the crop is,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the temperature information for each time period,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temperature and the base temperature for each time period may be calculated, and a daily average value of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for each time period may be calculated as the growth day of the crop.

도 4의 산출 단계 중 13S에 대하여 설명한다. 13S among the calculation steps of FIG. 4 will be described.

재배지의 토양 정보는, 상기 재배지 토양의 물리성 및 포장 피복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량 정보는, 상기 재배지에 대한 강우량 및 관수량 정보를 포함하고, 산출 단계(13S)에서, 수분 보유량 산출부(130)는, 상기 재배지 토양의 물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배지 토양의 포장용수량을 산출하고, 상기 포장용수량, 상기 포장 피복 상태 정보, 및 상기 강우량 및 관수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분 보유량을 산출할 수 있다. 산출 단계(13S)에서, 수분 보유량 산출부(130)는, 상기 재배지 토양의 물리성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포장용수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포장용수량을 산출하고, 상기 포장 피복 상태 정보 및 상기 강우량 및 관수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배지에 대한 물공급량을 산출하고, 상기 포장용수량이 상기 산출된 물공급량보다 큰 경우, 상기 물공급량을 상기 수분 보유량으로 산출하고, 상기 포장용수량이 상기 산출된 물공급량보다 작은 경우 상기 포장용수량을 상기 수분 보유량으로 산출할 수 있다.The soil information of the plant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ultivated soil and the state of pavement covering, the water supply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rainfall and irrigation for the plantation, and in the calculation step 13S, moisture The holding amount calculation unit 130 calculates the field capacity of the cultivated soil based on the physical property information of the cultivated soil, and based on the field capacity, the field covering state information, and the rainfall and irrigation amount information, the Water retention can be calculated. In the calculation step (13S), the water retention calculation unit 130, based on the field quantity data set in response to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ultivated soil, calculates the pavement quantity, and the pavement covering state information and the rainfall and pipe Calculating the water supply for the plantation based on the quantity information, and calculating the water supply for packaging as the water retention amount, when the amount of water for packaging is greater than the calculated amount of water supply, and calculating the amount of water for packaging as the water retention amount is smaller than the calculated water supply In this case, the packaging capacity may be calculated as the water retention amount.

도 4의 산출 단계 중 12S에 대하여 설명한다. 12S among the calculation steps of FIG. 4 will be described.

상기 재배지의 기상 정보는, 온도, 습도, 일사량, 및 풍속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토양 정보는, 상기 재배지의 포장 피복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산출 단계(12S)에서, 수분 사용량 산출부(120)는, 상기 작물 계수 및 상기 기상 정보에 Penman-montieth 방정식을 적용하여 상기 작물의 실증발산량을 산출 하고, 상기 포장 피복 상태 정보 및 상기 기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배지의 증발량을 산출하고, 상기 작물의 증발산량과 상기 재배지의 증발량을 합산하여 상기 수분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산출 단계(12S)에서, 수분 사용량 산출부(120)는, 상기 재배지의 기상 정보를 Penman-montieth 방정식에 적용하여, 잠재증발산량(ETo)을 산출하고, 상기 잠재증발산량(ETo)에 상기 작물의 기본 작물 계수(Kcb)를 곱하여 상기 작물의 실증발산량을 산출하고, 상기 포장 피복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토양 증발 계수(soil evaporation coefficient, Ke)를 산출하고, 상기 잠재증발산량(ETo)에 상기 토양 증발 계수(Ke)를 곱하여 상기 재배지의 증발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포장 피복 상태 정보는, 상기 포장의 재질 및 상기 재배지 상에서 피복된 영역의 넓이 및 형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산출 단계(12S)에서, 수분 사용량 산출부(120)는, 상기 포장 피복 상태 정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상기 토양 증발 계수(Ke)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토양 증발 계수(Ke)를 산출하고, 상기 포장 피복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배지 전체가 비닐로 피복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토양 증발 계수(Ke)를 0으로 산출할 수 있다.The meteorological information of the plant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emperature, humidity, insolation, and wind speed, the soil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state of pavement covering of the plantation, and in the calculation step 12S, calculating the amount of water used The unit 120 calculates the empirical divergence amount of the crop by applying the Penman-montieth equation to the crop coefficient and the weather information, and calculates the evaporation amount of the plantation based on the field covering state information and the weather information, The water usage may be calculated by adding up the evapotranspiration amount of the crop and the evapotranspiration amount of the cultivation area. In the calculation step 12S, the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120 applies the weather information of the plantation to the Penman-montieth equation to calculate the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ETo), and to the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ETo), the basic of the crop Calculate the actual evapotranspiration of the crop by multiplying the crop coefficient (Kcb), calculate the soil evaporation coefficient (Ke) based on the field coverage information, and multiply the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ETo) with the soil evaporation coefficient ( Ke) can be multiplied to calculate the evaporation amount of the cultivated land. The pavement covering state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material of the pavement and the area and shape of the covered area on the plantation, and in the calculation step 12S, the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120, the pavement covering state information If the soil evaporation coefficient (Ke) is calculated based on the soil evaporation coefficient (Ke) data preset in response to The evaporation coefficient (Ke) can be calculated as 0.

도 4의 결정 단계(14S)에 대하여 설명한다. The determination step 14S of FIG. 4 will be described.

결정 단계(14S)에서, 상기 관수 결정부(140)는, 상기 수분 보유량에서 상기 수분 사용량을 빼서 상기 수분 필요량을 산출할 수 있다. 결정 단계(14S)에서, 상기 수분 보유량 산출부(130)는, 기상 예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기상 예보 정보 및 상기 토양 정보에 기초하여, 시기별 예상 수분 보유량을 산출하고, 상기 수분 사용량 산출부(120)는, 상기 기상 예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기상 예보 정보, 상기 작물 계수 및 상기 토양 정보에 기초하여 시기별 예상 수분 사용량을 산출하고, 관수 결정부(140)는, 상기 시기별 예상 수분 보유량 및 상기 시기별 예상 수분 사용량에 기초하여 시기별 예상 수분 필요량을 산출할 수 있다.In the determining step 14S, the irrigation determiner 140 may calculate the required water amount by subtracting the water usage amount from the water retention amount. In the determining step (14S), the water retention calculation unit 130 obtains weather forecast information, calculates an expected water retention for each period based on the weather forecast information and the soil information, and the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120, obtains the weather forecast information, calculates the expected moisture usage for each season based on the weather forecast information, the crop coefficient and the soil information, and the irrigation determiner 140, the expected moisture for each period Based on the holding amount and the expected water usage for each period, the estimated water requirement for each period may be calculated.

도 4의 결정 단계(15S)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determination step 15S of FIG. 4 will be described.

결정 단계(15S)에서, 상기 관수 결정부(140)는, 상기 수분 필요량에 기초하여 관수 시점 및 관수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결정 단계(15S)에서, 상기 관수 결정부(140)는, 상기 수분 필요량이 양수인 경우, 상기 관수 시점을 현재로 판단하고, 상기 수분 필요량을 상기 관수량으로 판단하고, 상기 수분 필요량이 음수인 경우, 상기 수분 필요량이 양수가 되는 시점을 산출하여 상기 관수 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결정 단계(15S)에서, 관수 결정부(140)는, 시기별 예상 수분 필요량에 기초하여, 예상 관수 시점 및 예상 관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In the determining step 15S, the irrigation determiner 140 may calculate an irrigation timing and an irrigation amount based on the moisture requirement. In the determining step 15S, when the water requirement is a positive number, the watering determination unit 140 determines the time of irrigation as the present, determines the water requirement as the watering amount, and determines that the water requirement is a negative number. In this case, the time point at which the water requirement becomes positive water may be calculated and determined as the watering time point. In the determining step 15S, the irrigation determiner 140 may determine an expected irrigation time and an expected irrigation amount based on the expected moisture requirement for each period.

결정 단계(15S) 이후, 관수 결정부(140)는, 결정된 관수 시점 및 관수량에 기초하여 관수가 수행될 수 있도록, 관수 수행부(150)에 관수 시점 및 관수량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거나, 관수 수행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After the determining step (15S), the irrigation determining unit 140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irrigation time and the irrigation amount to the irrigation performing unit 150 so that irrigation can be performed based on the determined irrigation time and amount of irrigation, The irrigation performing unit 150 may be controlled.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medium i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Hard Disk Drive (HDD), Solid State Disk (SSD), Silicon Disk Drive (SDD),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There is also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that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In addition, the computer may include a processor or a control unit.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but as exemplar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appended claims cover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long as they fall within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관수 결정 장치
110 : 작물 계수 산출부
120 : 수분 사용량 산출부
130 : 수분 보유량 산출부
140 : 관수 결정부
150 : 관수 수행부
100: watering determination device
110: crop counting unit
120: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130: water retention calculation unit
140: watering decision unit
150: irrigation execution unit

Claims (23)

작물에 대한 정보 및 재배지의 기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물의 작물 계수를 산출하는 작물 계수 산출부;
상기 재배지의 토양 정보 및 물공급량 정보에 기초하여 수분 보유량을 산출하는 수분 보유량 산출부;
상기 작물 계수, 상기 토양 정보 및 상기 재배지의 기상 정보에 기초하여 수분 사용량을 산출하는 수분 사용량 산출부; 및
상기 수분 보유량 및 상기 수분 사용량을 기초로 산출된 수분 필요량에 기초하여 관수 여부를 결정하는 관수 결정부를 포함하는 관수 결정 장치.
a crop coefficient calculator configured to calculate a crop coefficient of the crop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crop and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cultivation area;
a water retention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water retention amount based on the soil information and water supply information of the plantation;
a water usage calculator configured to calculate the water usage based on the crop coefficient, the soil information, and the meteorological information of the plantation; and
and an irrigation determining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o irrigate based on the moisture retention amount and the moisture requirement calculated based on the moisture usage amou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물에 대한 정보는,
상기 작물의 정식일, 생육을 위한 고유의 기본온도, 생육도일에 대응하는 생육단계, 및 생육단계 별 작물계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작물 계수 산출부는,
상기 작물의 정식일 및 생육을 위한 고유의 기본온도에 대한 정보와 상기 재배지의 기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물의 생육도일을 산출하고,
상기 작물의 생육도일에 대응하는 생육단계에 대한 정보와 상기 산출된 생육도일에 기초하여, 상기 작물의 생육단계를 판단하고,
상기 작물의 생육단계 별 작물 계수에 대한 정보와 상기 판단된 생육단계에 기초하여 상기 작물의 작물 계수를 산출하는 관수 결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Information about the crop,
Includes information on the planting date of the crop, the intrinsic basic temperature for growth, the growth stage corresponding to the growth day, and the crop coefficient for each growth stage,
The crop count calculation unit,
Calculating the growth day of the crop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planting date and the intrinsic basic temperature for growth of the crop and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plantation area,
determining the growth stage of the crop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growth stage corresponding to the growth date of the crop and the calculated growth date;
An irrigation determination device for calculating the crop coefficient of the crop based on the determined growth stage and information on the crop coefficient for each growth stage of the crop.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물 계수는,
Penman-Monteith 방정식에 적용되는 기본 작물 계수(basal crop coefficient, Kcb)인 관수 결정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rop count is
Irrigation determination device, which is the basal crop coefficient (Kcb) applied to the Penman-Monteith equ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지의 기온 정보는, 상기 재배지의 시간대별 기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작물 계수 산출부는,
상기 작물의 생육도일 산출 시,
생육을 위한 고유의 기본온도에 대한 정보와 상기 시간대별 기온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대별로 기온과 기본온도의 차이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대별 차이 값의 일평균 값을 상기 작물의 생육도일로써 산출하는 관수 결정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plantation includes temperature information for each time zone of the plantation,
The crop count calculation unit,
When calculating the growth date of the crop,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intrinsic basic temperature for growth and the temperature information for each time period,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temperature and the basic temperature for each time period is calculated, and the daily average value of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for each time period is the growth day of the crop Watering determination device that calculates wi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지의 토양 정보는, 상기 재배지 토양의 물리성 및 포장 피복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량 정보는, 상기 재배지에 대한 강우량 및 관수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분 보유량 산출부는,
상기 재배지 토양의 물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배지 토양의 포장용수량을 산출하고,
상기 포장용수량, 상기 포장 피복 상태 정보, 및 상기 강우량 및 관수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분 보유량을 산출하는 관수 결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oil information of the plant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lantation soil and the state of pavement covering,
The water supply information includes rainfall amount and irrigation amount information for the plantation,
The water retention calculation unit,
Calculating the amount of water for packaging of the cultivated soil based on the physical property information of the cultivated soil,
An irrigation determination device for calculating the water retention amount based on the pavement water quantity, the pavement covering state information, and the rainfall and irrigation quantity inform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보유량 산출부는,
상기 재배지 토양의 물리성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포장용수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포장용수량을 산출하고,
상기 포장 피복 상태 정보 및 상기 강우량 및 관수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배지에 대한 물공급량을 산출하고,
상기 포장용수량이 상기 산출된 물공급량보다 큰 경우, 상기 물공급량을 상기 수분 보유량으로 산출하고,
상기 포장용수량이 상기 산출된 물공급량보다 작은 경우 상기 포장용수량을 상기 수분 보유량으로 산출하는 관수 결정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water retention calculation unit,
Calculating the field quantity based on preset field quantity data corresponding to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ultivated soil,
Calculating the water supply amount for the plantation based on the pavement covering state information and the rainfall and irrigation amount information,
When the amount of water for packaging is greater than the calculated water supply, the water supply is calculated as the water retention,
An irrigation determination device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water for packaging as the water retention when the amount of water for packaging is smaller than the calculated amount of water suppli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지의 기상 정보는, 온도, 습도, 일사량, 및 풍속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토양 정보는, 상기 재배지의 포장 피복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분 사용량 산출부는,
상기 작물 계수 및 상기 기상 정보에 Penman-montieth 방정식을 적용하여 상기 작물의 실증발산량을 산출하고,
상기 포장 피복 상태 정보 및 상기 기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배지의 증발량을 산출하고,
상기 작물의 증발산량과 상기 재배지의 증발량을 합산하여 상기 수분 사용량을 산출하는 관수 결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eteorological information of the plant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temperature, humidity, insolation, and wind speed,
The soil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state of pavement coverage of the plantation,
The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Calculate the empirical divergence of the crop by applying the Penman-montieth equation to the crop coefficient and the weather information,
Calculating the evaporation amount of the cultivated land based on the pavement covering state information and the weather information,
An irrigation determination device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water used by adding up the evapotranspiration amount of the crop and the evapotranspiration amount of the cultivated lan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사용량 산출부는,
상기 재배지의 기상 정보를 Penman-montieth 방정식에 적용하여, 잠재증발산량(ETo)을 산출하고,
상기 잠재증발산량(ETo)에 상기 작물의 기본 작물 계수(Kcb)를 곱하여 상기 작물의 실증발산량을 산출하고,
상기 포장 피복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토양 증발 계수(soil evaporation coefficient, Ke)를 산출하고,
상기 잠재증발산량(ETo)에 상기 토양 증발 계수(Ke)를 곱하여 상기 재배지의 증발량을 산출하는 관수 결정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By applying the weather information of the plantation to the Penman-montieth equation, the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ETo) is calculated,
Multiplying the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amount (ETo) by the basic crop coefficient (Kcb) of the crop to calculate the actual evapotranspiration amount of the crop,
Calculating a soil evaporation coefficient (Ke) based on the pavement covering state information,
An irrigation determination device for calculating the evaporation amount of the cultivated land by multiplying the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amount (ETo) by the soil evaporation coefficient (K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피복 상태 정보는, 상기 포장의 재질 및 상기 재배지 상에서 피복된 영역의 넓이 및 형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분 사용량 산출부는,
상기 포장 피복 상태 정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상기 토양 증발 계수(Ke)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토양 증발 계수(Ke)를 산출하고,
상기 포장 피복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배지 전체가 비닐로 피복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토양 증발 계수(Ke)를 0으로 산출하는 관수 결정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avement covering state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material of the pavement and the area and shape of the area covered on the plantation,
The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Calculating the soil evaporation coefficient (Ke) based on the preset soil evaporation coefficient (Ke) data in response to the pavement covering state inform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ntire cultivated land is covered with vinyl based on the field covering state information, the irrigation determining device calculates the soil evaporation coefficient (Ke) as 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 결정부는,
상기 수분 보유량에서 상기 수분 사용량을 빼서 상기 수분 필요량을 산출하고,
상기 수분 필요량에 기초하여 관수 시점 및 관수량을 산출하는 관수 결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ing decision unit,
Calculate the water requirement by subtracting the water usage amount from the water retention amount,
An irrigation determination device for calculating an irrigation timing and an irrigation amount based on the moisture requiremen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 결정부는,
상기 수분 필요량이 양수인 경우, 상기 관수 시점을 현재로 판단하고, 상기 수분 필요량을 상기 관수량으로 판단하고,
상기 수분 필요량이 음수인 경우, 상기 수분 필요량이 양수가 되는 시점을 산출하여 상기 관수 시점으로 판단하는 관수 결정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watering decision unit,
When the water requirement is positive, the watering time is determined as the present, and the water requirement is determined as the watering amount,
When the water requirement is a negative number, an irrigation determination device for determining a time point at which the water requirement becomes a positive number as the watering time poin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보유량 산출부는,
기상 예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기상 예보 정보 및 상기 토양 정보에 기초하여, 시기별 예상 수분 보유량을 산출하고,
상기 수분 사용량 산출부는,
상기 기상 예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기상 예보 정보, 상기 작물 계수 및 상기 토양 정보에 기초하여 시기별 예상 수분 사용량을 산출하고,
상기 관수 결정부는,
상기 시기별 예상 수분 보유량 및 상기 시기별 예상 수분 사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수분 필요량이 양수가 되는 시점을 산출하는 관수 결정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water retention calculation unit,
obtaining weather forecast information, and calculating an expected water retention amount for each period based on the weather forecast information and the soil information,
The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obtaining the weather forecast information, calculating the expected water usage for each period based on the weather forecast information, the crop coefficient, and the soil information;
The watering decision unit,
An irrigation determination device for calculating a point in time when the water requirement becomes positive water based on the expected water retention amount for each time period and the expected water usage amount for each time period.
작물 계수 산출부가 작물에 대한 정보 및 재배지의 기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물의 작물 계수를 산출하고,
수분 보유량 산출부가 상기 재배지의 토양 정보 및 물공급량 정보에 기초하여 수분 보유량을 산출하고,
수분 사용량 산출부가 상기 작물 계수, 상기 토양 정보 및 상기 재배지의 기상 정보에 기초하여 수분 사용량을 산출하는 산출 단계; 및
관수 결정부가 상기 수분 보유량 및 상기 수분 사용량을 기초로 산출된 수분 필요량에 기초하여 관수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 단계를 포함하는 관수 결정 방법.
The crop coefficient calculation unit calculates the crop coefficient of the crop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crop and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plantation,
The water retention calculation unit calculates the water retention amount based on the soil information and the water supply amount information of the plantation,
a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by the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the water usage amount based on the crop coefficient, the soil information, and the meteorological information of the plantation; and
and determining, by the irrigation determining unit, whether to irrigate based on the water retention amount and the water requirement calculated based on the water usage amoun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작물에 대한 정보는,
상기 작물의 정식일, 생육을 위한 고유의 기본온도, 생육도일에 대응하는 생육단계, 및 생육단계 별 작물계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산출 단계에서,
상기 작물 계수 산출부는,
상기 작물의 정식일 및 생육을 위한 고유의 기본온도에 대한 정보와 상기 재배지의 기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물의 생육도일을 산출하고,
상기 작물의 생육도일에 대응하는 생육단계에 대한 정보와 상기 산출된 생육도일에 기초하여, 상기 작물의 생육단계를 판단하고,
상기 작물의 생육단계 별 작물 계수에 대한 정보와 상기 판단된 생육단계에 기초하여 상기 작물의 작물 계수를 산출하는 관수 결정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Information about the crop,
Includes information on the planting date of the crop, the intrinsic basic temperature for growth, the growth stage corresponding to the growth day, and the crop coefficient for each growth stage,
In the calculation step,
The crop count calculation unit,
Calculating the growth day of the crop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planting date and the intrinsic basic temperature for growth of the crop and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plantation area,
determining the growth stage of the crop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growth stage corresponding to the growth date of the crop and the calculated growth date;
An irrigation determination method for calculating the crop coefficient of the crop based on the determined growth stage and information on the crop coefficient for each growth stage of the crop.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지의 기온 정보는, 상기 재배지의 시간대별 기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산출 단계에서,
상기 작물 계수 산출부는,
상기 작물의 생육도일 산출 시,
생육을 위한 고유의 기본온도에 대한 정보와 상기 시간대별 기온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대별로 기온과 기본온도의 차이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대별 차이 값의 일평균 값을 상기 작물의 생육도일로써 산출하는 관수 결정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plantation includes temperature information for each time zone of the plantation,
In the calculation step,
The crop count calculation unit,
When calculating the growth date of the crop,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intrinsic basic temperature for growth and the temperature information for each time period,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temperature and the basic temperature for each time period is calculated, and the daily average value of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for each time period is the growth day of the crop irrigation determination method calculated by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지의 토양 정보는, 상기 재배지 토양의 물리성 및 포장 피복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량 정보는, 상기 재배지에 대한 강우량 및 관수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산출 단계에서,
상기 수분 보유량 산출부는,
상기 재배지 토양의 물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배지 토양의 포장용수량을 산출하고,
상기 포장용수량, 상기 포장 피복 상태 정보, 및 상기 강우량 및 관수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분 보유량을 산출하는 관수 결정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oil information of the plant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lantation soil and the state of pavement covering,
The water supply information includes rainfall amount and irrigation amount information for the plantation,
In the calculation step,
The water retention calculation unit,
Calculating the amount of water for packaging of the cultivated soil based on the physical property information of the cultivated soil,
An irrigation determination method for calculating the water retention amount based on the pavement water quantity, the pavement covering state information, and the rainfall and irrigation quantity informatio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 단계에서,
상기 수분 보유량 산출부는,
상기 재배지 토양의 물리성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포장용수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포장용수량을 산출하고,
상기 포장 피복 상태 정보 및 상기 강우량 및 관수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배지에 대한 물공급량을 산출하고,
상기 포장용수량이 상기 산출된 물공급량보다 큰 경우, 상기 물공급량을 상기 수분 보유량으로 산출하고,
상기 포장용수량이 상기 산출된 물공급량보다 작은 경우 상기 포장용수량을 상기 수분 보유량으로 산출하는 관수 결정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In the calculation step,
The water retention calculation unit,
Calculating the field quantity based on preset field quantity data corresponding to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ultivated soil,
Calculating the water supply amount for the plantation based on the pavement covering state information and the rainfall and irrigation amount information,
When the amount of water for packaging is greater than the calculated water supply, the water supply is calculated as the water retention,
When the amount of water for packaging is smaller than the calculated amount of water supply, the method of determining watering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water for packaging as the water retention amoun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지의 기상 정보는, 온도, 습도, 일사량, 및 풍속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토양 정보는, 상기 재배지의 포장 피복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산출 단계에서,
상기 수분 사용량 산출부는,
상기 작물 계수 및 상기 기상 정보에 Penman-montieth 방정식을 적용하여 상기 작물의 실증발산량을 산출하고,
상기 포장 피복 상태 정보 및 상기 기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배지의 증발량을 산출하고,
상기 작물의 증발산량과 상기 재배지의 증발량을 합산하여 상기 수분 사용량을 산출하는 관수 결정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meteorological information of the plant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temperature, humidity, insolation, and wind speed,
The soil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state of pavement coverage of the plantation,
In the calculation step,
The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Calculate the empirical divergence of the crop by applying the Penman-montieth equation to the crop coefficient and the weather information,
Calculating the evaporation amount of the cultivated land based on the pavement covering state information and the weather information,
An irrigation determination method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water used by adding up the evapotranspiration amount of the crop and the evapotranspiration amount of the cultivation area.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 단계에서,
상기 수분 사용량 산출부는,
상기 재배지의 기상 정보를 Penman-montieth 방정식에 적용하여, 잠재증발산량(ETo)을 산출하고,
상기 잠재증발산량(ETo)에 상기 작물의 기본 작물 계수(Kcb)를 곱하여 상기 작물의 실증발산량을 산출하고,
상기 포장 피복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토양 증발 계수(soil evaporation coefficient, Ke)를 산출하고,
상기 잠재증발산량(ETo)에 상기 토양 증발 계수(Ke)를 곱하여 상기 재배지의 증발량을 산출하는 관수 결정 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In the calculation step,
The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By applying the weather information of the plantation to the Penman-montieth equation, the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ETo) is calculated,
Multiplying the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amount (ETo) by the basic crop coefficient (Kcb) of the crop to calculate the actual evapotranspiration amount of the crop,
Calculating a soil evaporation coefficient (Ke) based on the pavement covering state information,
The irrigation determination method for calculating the evaporation amount of the plantation by multiplying the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amount (ETo) by the soil evaporation coefficient (K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피복 상태 정보는, 상기 포장의 재질 및 상기 재배지 상에서 피복된 영역의 넓이 및 형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산출 단계에서,
상기 수분 사용량 산출부는,
상기 포장 피복 상태 정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상기 토양 증발 계수(Ke)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토양 증발 계수(Ke)를 산출하고,
상기 포장 피복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배지 전체가 비닐로 피복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토양 증발 계수(Ke)를 0으로 산출하는 관수 결정 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pavement covering state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material of the pavement and the area and shape of the area covered on the plantation,
In the calculation step,
The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Calculating the soil evaporation coefficient (Ke) based on the preset soil evaporation coefficient (Ke) data in response to the pavement covering state inform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ntire cultivated land is covered with vinyl based on the field covering state information, the irrigation determination method for calculating the soil evaporation coefficient (Ke) as 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에서,
상기 관수 결정부는,
상기 수분 보유량에서 상기 수분 사용량을 빼서 상기 수분 필요량을 산출하고,
상기 수분 필요량에 기초하여 관수 시점 및 관수량을 산출하는 관수 결정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In the determining step,
The watering decision unit,
Calculate the water requirement by subtracting the water usage amount from the water retention amount,
An irrigation determination method for calculating an irrigation timing and an irrigation amount based on the moisture requirement.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에서,
상기 관수 결정부는,
상기 수분 필요량이 양수인 경우, 상기 관수 시점을 현재로 판단하고, 상기 수분 필요량을 상기 관수량으로 판단하고,
상기 수분 필요량이 음수인 경우, 상기 수분 필요량이 양수가 되는 시점을 산출하여 상기 관수 시점으로 판단하는 관수 결정 방법.
22. The method of claim 21,
In the determining step,
The watering decision unit,
When the water requirement is positive, the watering time is determined as the present, and the water requirement is determined as the watering amount,
When the water requirement is a negative number, a time point at which the water requirement becomes a positive number is calculated and determined as the watering time point.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에서,
상기 수분 보유량 산출부는,
기상 예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기상 예보 정보 및 상기 토양 정보에 기초하여, 시기별 예상 수분 보유량을 산출하고,
상기 수분 사용량 산출부는,
상기 기상 예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기상 예보 정보, 상기 작물 계수 및 상기 토양 정보에 기초하여 시기별 예상 수분 사용량을 산출하고,
상기 관수 결정부는,
상기 시기별 예상 수분 보유량 및 상기 시기별 예상 수분 사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수분 필요량이 양수가 되는 시점을 산출하는 관수 결정 방법.
23. The method of claim 22,
In the determining step,
The water retention calculation unit,
obtaining weather forecast information, and calculating an expected water retention amount for each period based on the weather forecast information and the soil information,
The water usage calculation unit,
obtaining the weather forecast information, calculating the expected water usage for each period based on the weather forecast information, the crop coefficient, and the soil information;
The watering decision unit,
An irrigation determination method for calculating a time point when the water requirement becomes positive water based on the expected water retention amount for each time period and the expected water usage amount for each time period.
KR1020200074778A 2020-06-19 2020-06-19 Apparatus and method for irrigation decision KR1024617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778A KR102461749B1 (en) 2020-06-19 2020-06-19 Apparatus and method for irrigation deci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778A KR102461749B1 (en) 2020-06-19 2020-06-19 Apparatus and method for irrigation deci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020A true KR20210157020A (en) 2021-12-28
KR102461749B1 KR102461749B1 (en) 2022-11-02

Family

ID=79178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778A KR102461749B1 (en) 2020-06-19 2020-06-19 Apparatus and method for irrigation deci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74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42428A (en) * 2023-07-05 2023-08-04 中国科学院地理科学与资源研究所 Regional irrigation water demand estimation method and device
CN117077992A (en) * 2023-10-18 2023-11-17 深圳市宏电技术股份有限公司 Underground water irrigation bearing capacity lift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0093B1 (en) * 2016-07-22 2018-01-19 대한민국 Automatic irrig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0093B1 (en) * 2016-07-22 2018-01-19 대한민국 Automatic irrigation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42428A (en) * 2023-07-05 2023-08-04 中国科学院地理科学与资源研究所 Regional irrigation water demand estimation method and device
CN116542428B (en) * 2023-07-05 2023-09-26 中国科学院地理科学与资源研究所 Regional irrigation water demand estimation method and device
CN117077992A (en) * 2023-10-18 2023-11-17 深圳市宏电技术股份有限公司 Underground water irrigation bearing capacity lift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7077992B (en) * 2023-10-18 2024-02-13 深圳市宏电技术股份有限公司 Underground water irrigation bearing capacity lift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1749B1 (en) 2022-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len et al. Estimating evaporation from bare soil and the crop coefficient for the initial period using common soils information
Qiu et al. Assessing the SIMDualKc model for estimating evapotranspiration of hot pepper grown in a solar greenhouse in Northwest China
Zeleke et al. Evapotranspiration estimation using soil water balance, weather and crop data
Trout et al. Crop water use and crop coefficients of maize in the great plains
Bakhtiari et al. Evaluation of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models for a semiarid environment using lysimeter measurements
Moratiel et al. Evapotranspiration of grapevine trained to a gable trellis system under netting and black plastic mulching
Tolk et al. Measured and simulated evapotranspiration of grain sorghum grown with full and limited irrigation in three high plains soils
Huang et al. Water–yield relationships and optimal water management for winter wheat in the Loess Plateau of China
Azizi-Zohan et al. Crop and pan coefficients for saffron in a semi-arid region of Iran
Liu et al. Stemflow of water on maize and its influencing factors
KR10246174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rrigation decision
Gong et al. Energy budget for tomato plants grown in a greenhouse in northern China
Leu et al. The effect of organic matter amendment on soil water holding capacity change for irrigation water saving: Case study in Sahelian environment of Africa
Spittlehouse Estimating evapotranspiration from land surfaces in British Columbia
Shrestha et al. Basal crop coefficients for vine and erect crops with plastic mulch in a sub-tropical region
Cai et al. Subsurface irrigation with ceramic emitters: Evaluating soil water effects under multiple precipitation scenarios
Reyes-Esteves et al. Modeling approaches for determining appropriate depth of subsurface drip irrigation tubing in alfalfa
Desta et al. Irrigation water planning for crops in the central highlands of Ethiopia, aided by FAO CROP WAT MODEL
CN110432046B (en) Intelligent irrigation system in greenhouse
JP4006098B2 (en) Paddy field water management system, paddy field water management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water management of paddy field group
Jaafar et al. Evaluating atmometer performance for estimating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in ventilated and unventilated greenhouses
Bautista-Capetillo et al. Using thermal units for crop coefficient estimation and irrigation scheduling improves yield and water productivity of corn (Zea mays L.)
Xun et al. Modeling heat-water-salt transport, crop growth and water use in arid seasonally frozen regions with an improved coupled SPAC model
Cordery et al. Forecasting wheat yields using a water budgeting model
Wu et al. Estimating evapotranspiration and its components in cotton fields under deficit irrigation cond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