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6781A - Knitting machine and defect detection system - Google Patents

Knitting machine and defect detec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6781A
KR20210156781A KR1020210078540A KR20210078540A KR20210156781A KR 20210156781 A KR20210156781 A KR 20210156781A KR 1020210078540 A KR1020210078540 A KR 1020210078540A KR 20210078540 A KR20210078540 A KR 20210078540A KR 20210156781 A KR20210156781 A KR 20210156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tch
knitting
photographing
need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5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73656B1 (en
Inventor
다카히로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10156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67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6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1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 D04B35/2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responsive to defects, e.g. holes, in knitted produc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0Needle be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1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3/00Inspecting textile materials
    • D06H3/08Inspecting textile materials by photo-electric or televis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nitting machine capable of detecting a defect in a knitted fabric rapidly with high precision. The knitt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knitting needle knitting a knitted fabric; an image capturing unit (22) capable of capturing a stitch which is in a state coupled to the knitting needle; a determination unit that compares the state of a stitch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unit (22) with the normal state of the stitch so a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titch is defective; and a position storage unit storing a position of the stitch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unit (22).

Description

편성기 및 불량검출시스템{KNITTING MACHINE AND DEFECT DETECTION SYSTEM}Knitting machine and defect detection system {KNITTING MACHINE AND DEFECT DETECTION SYSTEM}

본 발명은, 편성포(編成布)에 대한 편성의 불량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편성기 및 불량검출시스템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of a knitting machine and a defect detection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 defect in knitting with respect to a knitted fabric.

종래에 편성포에 대한 편성의 불량을 검출하는 기술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다.Conventionally, a technique for detecting a knitting defect with respect to a knitted fabric is known. For example, it is a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1에는, 촬영부를 사용하여 취득한 니트생지의 화상과, 미리 기억장치에 기억시켜 둔 정상적인 니트생지의 화상을 비교하여, 편성포에 대한 불량(편성결함)의 발생유무를 검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technique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efect (knitting defect) in a knitted fabric by comparing an image of a knitted fabric acquired using a photographing unit with an image of a normal knitted fabric previously stored in a storage device. has been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소57-183469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57-183469

그러나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은, 완성된 니트생지의 불량을 검출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불필요한 비용(그 니트생지를 편성하는 편성기에 들어가는 전력, 실, 편성시간 등)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since the techniqu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s a configuration for detecting defects in the finished knitted fabric, unnecessary costs (power required for a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the knitted fabric, yarn, knitting time, etc.) are generated.

또한 예를 들면 리브 편성포(rib 編成布) 등 폭방향으로 수축하는 니트생지는, 생지를 촬영하여도 편성포의 불량을 검출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Further, for knitted fabrics that shrink in the width direction, such as, for example, rib knitted fabrics, it may be difficult to detect a defect in the knitted fabric even when the fabric is photograph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편성의 불량을 조기에 또한 고정밀도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편성기 및 불량검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situation, and an object to be solved is to provide a knitting machine and a defect detection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 knitting defect at an early stage and with high accuracy.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한 바와 같고, 계속하여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s described above, and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will be described.

즉 본 발명에 관한 편성기는, 편성포를 편성하는 편침과, 상기 편침에 결합된 상태의 스티치를 촬영할 수 있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 의하여 촬영된 상기 스티치의 상태와 정상인 때의 스티치의 상태를 비교하여 스티치의 양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촬영부에 의하여 촬영된 상기 스티치의 위치를 기억하는 위치기억부를 구비한다.That is, the knit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nitting needle for knitting a knitted fabric, a photographing unit capable of photographing a stitch in a state coupled to the knitting needle, and the state of the stitch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nd the state of the stitch when normal and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stitches are good by comparing the .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편성의 불량을 조기에 또한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By configuring in this way, a defect in knitting can be detected at an early stage and with high accuracy.

또한 상기 편침은, 니들베드갭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니들베드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촬영부는, 상기 대향하도록 배치된 니들베드의 니들베드갭의 상방으로부터, 상기 편침에 결합된 상태의 스티치를 촬영하여도 좋다.In addition, the knitting needles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needle bed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needle bed gap therebetween, and the photographing unit is coupled to the knitting needle from above the needle bed gap of the needle bed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You may shoot a stitch.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스티치를 촬영하기 쉽고, 나아가서는 편성의 불량을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By constructing in this way, it is easy to photograph a stitch, and furthermore, a defect in knitting can be detected with high accuracy.

또한 상기 촬영부는, 상기 대향하도록 배치된 니들베드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에 설치된 상기 편침에 결합된 상태의 스티치를 촬영하여도 좋다.Further, the photographing unit may photograph a stitch in a state coupled to the knitting needle provided on the other side from one side of the needle bed arranged to face each other.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스티치를 촬영하는 것이 더 쉬워져, 편성의 불량을 보다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By constructing in this way, it becomes easier to photograph a stitch, and a defect in knitting can be detected more accurately.

또한 상기 촬영부는, 상기 니들베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도 좋다.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unit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needle bed.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1개의 촬영부로 복수 장소의 스티치를 촬영할 수 있다.By configuring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hotograph stitches in a plurality of places with one photographing unit.

또한 상기 촬영부는, 상기 편침에 결합된 상태의 스티치를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편침에 의한 스티치의 형성 타이밍과 연관시켜 상기 스티치를 촬영하여도 좋다.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unit may be fixed at a position capable of photographing a stitch in a state coupled to the knitting needle, and photograph the stitch in association with a stitch formation timing by the knitting needle.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타이밍에 스티치의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By comprising in this way, the simplification of a structure can be aimed at. Also, an image of a stitch can be acquired at an appropriate timing.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불량검출시스템은, 편성포를 편성하는 편침에 결합된 상태의 스티치를 촬영할 수 있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 의하여 촬영된 상기 스티치의 상태와 정상인 때의 스티치의 상태를 비교하여 스티치의 양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촬영부에 의하여 촬영된 상기 스티치의 위치를 기억하는 위치기억부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defect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capable of photographing a stitch in a state coupled to a knitting needle for knitting a knitted fabric, and comparing the state of the stitch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with the state of the stitch when normal. and a judg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stitches are good or bad, and a posi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positions of the stitches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편성의 불량을 조기에 또한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By configuring in this way, a defect in knitting can be detected at an early stage and with high accuracy.

본 발명의 효과로서, 편성의 불량을 조기에 또한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an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a defect in knitting can be detected at an early stage and with high accuracy.

도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횡편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2는, 니들베드 및 캐리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3은, 니들베드 및 캐리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4는, 횡편기의 제어에 관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5는, 캐리지에 설치된 캠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6은, 촬영부 및 조명부의 배치를 나타내는 캐리지의 평면 모식도이다.
도7에 있어서, (a)는 촬영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b)는 그 측면도이다.
도8은, 조명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 일부 단면도이다.
도9는, 촬영부와 조명부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0에 있어서, (a)는 캐리지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가동하는 촬영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캐리지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가동하는 촬영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은, 각 코스를 편성할 때의 제어부의 처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12는, 촬영부에 의하여 촬영된 화상과 정상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에 있어서, (a)는 니들베드의 하방에 촬영부를 배치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니들베드의 상하에 촬영부를 배치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flat knitt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needle bed and carriage.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needle bed and carriage.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Fig. 5 is a plan schematic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m mechanism provided on the carriage.
Fig. 6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carriage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photographing unit and the lighting unit.
In Fig. 7, (a)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hotographing unit, and (b) is a side view thereof.
Fig. 8 is a plan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ighting unit.
9 is a plan view showing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photographing unit and the lighting unit.
In Fig. 10, (a) is a view showing a photographing unit that moves when the carriage moves in the right direction, and (b) is a view showing a photographing unit that moves when the carriage moves in the left direction.
Fig. 1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processing of the control unit when organizing each course.
Fig. 1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nd a normal image.
In Fig. 13, (a)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imaging unit is disposed below the needle bed, and (b)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imaging unit is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needle bed.

이하에서는, 도면 중의 화살표U, 화살표D, 화살표F, 화살표B, 화살표L 및 화살표R로 나타내는 방향을 각각 상측방향, 하측방향, 앞쪽방향, 뒤쪽방향, 좌측방향 및 우측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일부의 부재를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적절히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Hereinafter, the directions indicated by the arrow U, the arrow D, the arrow F, the arrow B, the arrow L, and the arrow R in the drawings are defined and described as the upward direction, the downward direction, the forward direction, the backward direction, the left direction, and the right direction, respectively. In addition, in each figure, showing some members in a figure may be abbreviate|omitted suitably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먼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횡편기(橫編機)(1)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flat knitting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1∼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편기(1)는 크게 니들베드(needle bed)(10), 캐리지(carriage)(20), 얀 가이드 레일(yarn guide rail)(30), 서보모터(40), 실 세움대(50) 및 제어부(60)를 구비한다.1 to 4, the flat knitting machine 1 is largely a needle bed 10, a carriage 20, a yarn guide rail 30, a servo motor ( 40), a thread stand 50 and a control unit 60 are provided.

도1∼도3에 나타내는 니들베드(10)는, 니들베드갭(S)을 사이에 두고 전후로 서로 대향(對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전후의 니들베드(10)는, 전후 중앙측(서로 대향하는 측)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즉 측면에서 볼 때에 역V자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다(도2 참조). 각 니들베드(10)에는, 당해 니들베드(10)의 길이방향(좌우방향)을 따라 다수의 편침(編針)(11)이 배열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전후의 니들베드(10)는, 서로 스티치의 주고받기(트랜스퍼)를 할 때에 상대적으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The needle beds 10 shown in Figs. 1 to 3 are arranged so as to face each other forward and backward with the needle bed gap S interposed therebetween. The front and rear needle beds 10 are arranged in an inverted V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so as to incline upward toward the front and rear center sides (sides facing each other) (see Fig. 2). Each needle bed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knitting needles 11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needle bed 10 . The front and rear needle beds 10 can relatively move left and right when sending and receiving (transferring) stitches to each other.

캐리지(20)는, 전후의 니들베드(10)에 대하여 상방에서 대향하도록 전후 한 쌍이 배치된다. 전후의 캐리지(20)는, 복수의 얀 가이드 레일(30)에 걸쳐 있도록 배치된 브리지(20a)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캐리지(20)는, 서보모터(40)(도4 참조)에 의하여 니들베드(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을 할 수 있다. 캐리지(20)에는, 니들베드(10)의 편침(11)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선침기구(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나 캠기구(21)가 설치된다. 또한 캐리지(20)에는, 편침(11)에 결합된 상태의 스티치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22) 및 조명부(23)가 설치된다.A pair of front and rear carriages 20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from above with respect to the front and rear needle beds 10 . The front and rear carriages 20 are connected by bridges 20a arranged so as to span a plurality of yarn guide rails 30 . The carriage 20 may reciproc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edle bed 10 by a servo motor 40 (see FIG. 4 ). The carriage 20 is provided with a wire needle mechanism (not shown) and a cam mechanism 21 for selectively operating the knitting needle 11 of the needle bed 10 . In addition, the carriage 20 is provided with a photographing unit 22 and a lighting unit 23 for photographing a stitch in a state coupled to the knitting needle 11 .

도1 및 도2에 나타내는 얀 가이드 레일(30)은, 니들베드갭(S)의 상방에 있어서 니들베드(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복수로 배치된다. 얀 가이드 레일(30)에는, 편사(編絲)(Y)를 급사(給絲)하는 얀캐리어(yarn carrier)(31)(도1 참조)가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A plurality of yarn guide rails 30 shown in Figs. 1 and 2 are arranged above the needle bed gap S so as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edle bed 10. As shown in Figs. On the yarn guide rail 30, a yarn carrier 31 (see Fig. 1) for feeding the knitted yarn Y is supported so as to be movable.

도1에 나타내는 실 세움대(50)에는, 편사(Y)가 감긴 얀콘(yarn cone)(51)이 설치된다. 얀콘(51)으로부터의 편사(Y)는, 적당한 급사경로를 거쳐 얀캐리어(31)에 급사된다.A yarn cone 51 on which the knitting yarn Y is wound is provided on the yarn stand 50 shown in Fig. 1 . The knitting yarn Y from the yarn cone 51 is fed to the yarn carrier 31 through an appropriate yarn feeding path.

도4에 나타내는 제어부(60)는, 횡편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부(60)는, CPU 등의 연산처리부, RAM이나 ROM 등의 기억부 등을 구비한다. 제어부(60)의 기억부에는, 횡편기(1)의 제어에 사용되는 다양한 정보나 프로그램 등이 기억된다. 제어부(60)는, 횡편기(1)의 적당한 장소(예를 들면, 횡편기(1)의 본체 내(뒤쪽 니들베드(10)의 하방))에 설치된다.The control unit 60 shown in FIG. 4 i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1 . The control unit 60 includes an arithmetic processing unit such as a CPU and a storage unit such as RAM and ROM. In the storage unit of the control unit 60 , various information and programs used for controlling the flat knitting machine 1 are stored. The control unit 60 is provided at an appropriate location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1 (eg, in the main body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1 (below the needle bed 10 at the rear side)).

제어부(60)는 서보모터(40)와 접속되어, 당해 서보모터(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서보모터(4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캐리지(20)를 임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서보모터(40)의 회전수에 의거하여 캐리지(2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60 may be connected to the servomotor 4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ervomotor 40 . The control unit 60 may arbitrarily move the carriage 20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rvomotor 40 . Also, the control unit 60 may detect the position of the carriage 20 based on the rotation speed of the servomotor 40 .

또한 제어부(60)는 캐리지(20)(더 상세하게는, 캠기구(21), 촬영부(22) 및 조명부(23))와 접속되어, 당해 캐리지(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0 is connected to the carriage 20 (more specifically, the cam mechanism 21 , the photographing unit 22 , and the lighting unit 23 ), and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arriage 20 .

제어부(60)는, 미리 작성된 편성 데이터 등에 의거하여 횡편기(1)의 각 부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60)는 서보모터(4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니들베드(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캐리지(20)를 왕복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에 캐리지(20)에 탑재된 캠기구(21) 등에 의하여 편침(11)을 니들베드갭(S)에 대하여 진퇴시킴으로써, 니트(knit), 턱(tuck), 미스(miss) 등의 편성동작과, 전후 니들베드(10) 사이에서의 스티치의 주고받기를 할 수 있다. 이러한 캐리지(20)의 왕복이동을 반복함으로써, 편성포(K)가 편성된다.The control unit 60 controls each unit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1 based on previously created knitting data or the lik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60 may reciprocate the carriage 2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edle bed 10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rvo motor 40 . At this time, by moving the knitting needle 11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needle bed gap S by the cam mechanism 21 mounted on the carriage 20, knitting operations such as knit, tuck, miss, etc. And, it is possible to send and receive stitches between the front and rear needle beds 10 . By repeating this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carriage 20, the knitted fabric K is knitted.

또한 제어부(60)는, 편침(11)에 결합된 스티치를 촬영부(22)에 의하여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촬영부(22)에 의하여 촬영된 화상(스티치의 형상)에 의거하여 편성의 불량을 검출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 unit 60 may photograph the stitches coupled to the knitting needle 11 by the photographing unit 22 . The control unit 60 can detect a knitting defect based on the image (the shape of the stitch)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22 .

이하에서는, 캐리지(20)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carriage 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또한 이하에서는, 전후 니들베드(10) 중에서 앞쪽의 니들베드(10)를 앞쪽 니들베드(10F), 뒤쪽의 니들베드(10)를 뒤쪽 니들베드(10B)라고 각각 부르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전후 캐리지(20) 중에서 앞쪽의 캐리지(20)를 앞쪽 캐리지(20F), 뒤쪽의 캐리지(20)를 뒤쪽 캐리지(20B)라고 각각 부르는 경우가 있다.In the following, among the front and rear needle beds 10, the front needle bed 10 is called the front needle bed 10F, and the rear needle bed 10 is called the rear needle bed 10B, respectively. In the following, among the front and rear carriages 20, the front carriage 20 is referred to as a front carriage 20F, and the rear carriage 20 is referred to as a rear carriage 20B in some cases.

먼저 도5를 사용하여, 캠기구(2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cam mechanism 2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쪽 캐리지(20F)에는, 편침(11)을 진퇴시키기 위한 캠기구(21)가 3개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캐리지(20)의 이동방향(좌우방향)을 따라 제1트랜스퍼용 캠기구(21A), 니트용 캠기구(21B) 및 제2트랜스퍼용 캠기구(21C)가 배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front carriage 20F is provided with three cam mechanisms 21 for moving the knitting needle 11 forward and backward. Specifically, along the moving direction (left-right direction) of the carriage 20, the first transfer cam mechanism 21A, the knit cam mechanism 21B, and the second transfer cam mechanism 21C are arranged.

니트용 캠기구(21B)는, 얀캐리어(31)로부터 급사되는 편사(Y)를 사용하여 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제1트랜스퍼용 캠기구(21A) 및 제2트랜스퍼용 캠기구(21C)는, 전후 니들베드(10)의 편침(11) 사이에서 트랜스퍼를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여 제1트랜스퍼용 캠기구(21A), 니트용 캠기구(21B) 및 제2트랜스퍼용 캠기구(21C)가 순서대로 나열되도록 배치되어 있다.The knit cam mechanism 21B is for forming stitches using the knitting yarn Y fed from the yarn carrier 31 . The first transfer cam mechanism 21A and the second transfer cam mechanism 21C are for transferring between the knitting needles 11 of the front and rear needle beds 10 . In the present embodiment, from the left to the right, the first transfer cam mechanism 21A, the knit cam mechanism 21B, and the second transfer cam mechanism 21C are arranged in order.

각 캠기구(21)는, 편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선택된 편침(11)의 버트(butt)를 진퇴궤적(L)에 따라 안내함으로써, 당해 편침(11)을 진퇴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편사(Y)를 사용한 스티치의 형성이나 트랜스퍼를 할 수 있다.Each cam mechanism 21 can advance and retreat the knitting needle 11 by guiding the butt of the knitting needle 11 selected based on the knitting data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trajectory L. Thereby, the formation and transfer of stitches using the knitting yarn Y can be performed.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5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리지(20)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니트용 캠기구(21B)가 선행 시스템이 되어 스티치를 형성한다. 또한 이 경우에 제1트랜스퍼용 캠기구(21A)가 후행 시스템이 되어, 니트용 캠기구(21B)에 의하여 형성된 스티치의 트랜스퍼를 한다. 또한 이 경우에, 제2트랜스퍼용 캠기구(21C)는 트랜스퍼를 하지 않는다.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when the carriage 20 moves to the right as indicated by an arrow in Fig. 5, the knit cam mechanism 21B becomes a preceding system to form a stitch. Also in this case, the first transfer cam mechanism 21A serves as the following system, and the stitches formed by the knit cam mechanism 21B are transferred. In this case, the second transfer cam mechanism 21C does not transfer.

반대로 캐리지(20)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니트용 캠기구(21B)가 선행 시스템이 되어 스티치를 형성한다. 또한 이 경우에 제2트랜스퍼용 캠기구(21C)가 후행 시스템이 되어, 니트용 캠기구(21B)에 의하여 형성된 스티치의 트랜스퍼를 한다. 또한 이 경우에, 제1트랜스퍼용 캠기구(21A)는 트랜스퍼를 하지 않는다.Conversely, when the carriage 20 moves in the left direction, the cam mechanism 21B for knitting becomes a preceding system to form a stitch. Also in this case, the second transfer cam mechanism 21C serves as the following system, and transfer of stitches formed by the knit cam mechanism 21B is performed. In this case, the first transfer cam mechanism 21A does not transfer.

다만 이러한 각 캠기구(21)의 동작은 일례에 불과하며, 예를 들면 3개의 캠기구(21)를 사용하여 트랜스퍼, 스티치의 형성, 트랜스퍼를 순서대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However, the operation of each of these cam mechanisms 21 is only an example, and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sequentially perform transfer, stitch formation, and transfer using three cam mechanisms 21 .

또한 도5를 사용하여 앞쪽 캐리지(20F)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뒤쪽 캐리지(20B)는 앞쪽 캐리지(20F)와 거의 전후 대칭인 구성(앞쪽 캐리지(20F)와 마찬가지로, 제1트랜스퍼용 캠기구(21A) 등을 구비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urther, although the front carriage 20F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as shown in Fig. 6, the rear carriage 20B has a configuration that is substantially symmetrical about the front carriage 20F back and forth (similarly to the front carriage 20F, the first carriage 20B). Since it is a structure provided with the cam mechanism 21A for one transfer, etc.),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omitted.

다음에 도7을 사용하여, 촬영부(2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photographing unit 2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영부(22)는 크게 지지부재(22a), 카메라(22b), 중앙 프리즘(22c) 및 측방 프리즘(22d)을 구비한다.As shown in Fig. 7, the photographing unit 22 largely includes a support member 22a, a camera 22b, a central prism 22c, and a side prism 22d.

지지부재(22a)는, 카메라(22b), 중앙 프리즘(22c) 및 측방 프리즘(22d)을 지지하는 것이다. 지지부재(22a)는 판상(板狀)의 부재로 형성된다. 지지부재(22a)는, 카메라(22b), 중앙 프리즘(22c) 및 측방 프리즘(22d)을 소정의 위치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적당한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support member 22a supports the camera 22b, the central prism 22c and the side prisms 22d. The support member 22a is formed of a plate-shaped member. The support member 22a is formed in an appropriate shape so as to support the camera 22b, the central prism 22c, and the side prisms 22d at predetermined positions.

카메라(22b)는 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기기이다. 카메라(22b)는, 렌즈(22e)가 소정의 방향을 향하도록 한 상태로 지지부재(22a)에 고정된다.The camera 22b is a device for acquiring an image. The camera 22b is fixed to the support member 22a in a state in which the lens 22e faces a predetermined direction.

중앙 프리즘(22c)은, 두 방향으로부터의 빛을 카메라(22b)의 렌즈(22e)로 인도하는 것이다. 중앙 프리즘(22c)은, 렌즈(22e)의 정면(렌즈(22e)가 향한 방향)에 배치된다. 중앙 프리즘(22c)은, 측방(도7(a)에 있어서, 지면의 상하방향)으로부터의 빛을 반사시켜 렌즈(22e)로 안내한다.The central prism 22c guides light from two directions to the lens 22e of the camera 22b. The central prism 22c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lens 22e (the direction in which the lens 22e faces). The central prism 22c reflects light from the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heet in Fig. 7(a)) and guides it to the lens 22e.

측방 프리즘(22d)은, 소정의 방향으로부터의 빛을 중앙 프리즘(22c)으로 인도하는 것이다. 측방 프리즘(22d)은, 중앙 프리즘(22c)을 사이에 두고 한 쌍(도7(a)에 있어서, 지면의 상하방향으로 한 쌍)이 설치된다. 측방 프리즘(22d)은, 각각 정면(도7(a)에 있어서, 지면의 우측방향)으로부터의 빛을 반사시켜 중앙 프리즘(22c)으로 안내한다.The side prism 22d guides light from a predetermined direction to the central prism 22c. A pair of side prisms 22d is provided with a central prism 22c interposed therebetween (a pai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heet in Fig. 7(a)). The side prisms 22d reflect light from the front (the right side of the paper in Fig. 7(a)), respectively, and guide them to the central prism 22c.

이와 같이 구성된 촬영부(22)에 있어서, 한 쌍의 측방 프리즘(22d)의 정면으로부터의 빛이 당해 측방 프리즘(22d) 및 중앙 프리즘(22c)으로 적절히 안내되어, 카메라(22b)의 렌즈(22e)에 입사(入射)된다. 이에 따라 촬영부(22)는, 1대의 카메라(22b)로 서로 다른 2군데(2개의 측방 프리즘(22d)의 정면)의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In the photographing unit 22 configured in this way, light from the front of the pair of lateral prisms 22d is appropriately guided to the lateral prisms 22d and the central prism 22c, and the lens 22e of the camera 22b ) is entered. Thereby, the imaging|photography part 22 can acquire the image of two different places (front of the two lateral prisms 22d) with one camera 22b.

다음에 도2 및 도6을 사용하여, 촬영부(22)의 배치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arrangement of the photographing unit 2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2 및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영부(22)는 니들베드(10)의 니들베드갭(S)의 상방에 배치된다. 촬영부(22)는, 전후 캐리지(20)에 합계 4개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촬영부(22)는 니들베드갭(S)을 사이에 두고 전후에 2개씩 배치된다. 촬영부(22)는, 캐리지(20)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브리지(20a)나, 그 외의 적당한 부재를 통하여) 고정된다. 이동하는 캐리지(20)에 촬영부(22)를 설치함으로써, 캐리지(20)와 함께 촬영부(22)를 이동시키면서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단일의 촬영부(22)에 의하여 복수의 장소를 촬영할 수 있다.2 and 6 , the photographing unit 22 is disposed above the needle bed gap S of the needle bed 10 . A total of four photographing units 22 are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carriages 20 . Specifically, the photographing unit 22 is disposed two at a time before and after the needle bed gap (S) interposed therebetween. The photographing unit 22 is fixed to the carriage 20 directly or indirectly (via the bridge 20a or other suitable member). By providing the photographing unit 22 in the moving carriage 20 , it is possible to photograph while moving the photographing unit 22 together with the carriage 20 . can be photographed.

니들베드갭(S)의 앞쪽에 배치된 2개의 촬영부(22)에 주목하면, 당해 촬영부(22)는 앞쪽 캐리지(20F)의 상방에 배치된다. 당해 촬영부(22)는, 촬영방향(렌즈(22e))이 뒤쪽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당해 촬영부(22)는, 뒤쪽 니들베드(10B)의 편침(11)의 선단부분(先端部分)(더 상세하게는, 당해 편침(11)에 결합된 상태의 스티치)을 촬영할 수 있다.Paying attention to the two photographing units 22 arranged in front of the needle bed gap S, the photographing units 22 are arranged above the front carriage 20F. The photographing unit 22 is arranged so that the photographing direction (lens 22e) faces downwards backwards. Accordingly, the photographing unit 22 can photograph the tip portion of the knitting needle 11 of the rear needle bed 10B (more specifically, the stitch in a state coupled to the knitting needle 11). .

이와 같이 뒤쪽 니들베드(10B)의 편침(11)을 니들베드갭(S)의 상방으로부터 촬영함으로써, 스티치의 형상을 명확히 촬영하기 쉬워진다. 특히 본 실시형태와 같이, 뒤쪽 니들베드(10B)의 편침(11)을 대향하는 앞쪽 니들베드(10F) 측에서 촬영함으로써, 스티치의 형상을 보다 명확히 촬영하기 쉬워지고, 나아가서는 후술하는 편성에 대한 불량의 검출을 고정밀도로 할 수 있다.In this way, by photographing the knitting needle 11 of the rear needle bed 10B from above the needle bed gap S, the shape of the stitch can be clearly photographed. In particular,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by shooting from the side of the front needle bed 10F that faces the knitting needle 11 of the rear needle bed 10B, it becomes easier to photograph the shape of the stitch more clearly, and furthermore, for knitting described later Defect detection can be performed with high precision.

또한 니들베드갭(S)의 앞쪽에 배치된 2개의 촬영부(22)는, 캠기구(21)의 좌우방향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당해 촬영부(22)는,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트랜스퍼용 캠기구(21A) 및 제2트랜스퍼용 캠기구(21C)와 좌우방향에 있어서 대략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각 촬영부(22)의 측방 프리즘(22d)이 캠기구(21)의 좌우에 각각 위치하도록 배치된다.In addition, the two photographing units 22 arranged in front of the needle bed gap S ar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cam mechanism 21 .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the said imaging|photography part 22 is arrange|positioned so that it may become substantially the same position in the left-right direction as 21A of 1st cam mechanisms for transfers and 21C of 2nd cam mechanisms for transfers. Further, the lateral prisms 22d of the respective photographing units 22 are disposed so as to be respectively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m mechanism 21 .

이에 따라 2개의 촬영부(22)는,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뒤쪽 니들베드(10B) 중의 4개의 촬영 포인트(뒤쪽 제1촬영 포인트(PB1), 뒤쪽 제2촬영 포인트(PB2), 뒤쪽 제3촬영 포인트(PB3) 및 뒤쪽 제4촬영 포인트(PB4))를 촬영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wo photographing units 22, as shown in Fig. 6, have four photographing points in the rear needle bed 10B (the first rear photographing point PB1, the rear second photographing point PB2, and the rear third photographing point). The photographing point PB3 and the rear fourth photographing point PB4) may be photographed.

뒤쪽 제1촬영 포인트(PB1)는, 제1트랜스퍼용 캠기구(21A)보다 좌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뒤쪽 제2촬영 포인트(PB2)는, 제1트랜스퍼용 캠기구(21A)보다 우측방향 및 니트용 캠기구(21B)보다 좌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뒤쪽 제3촬영 포인트(PB3)는, 니트용 캠기구(21B)보다 우측방향 및 제2트랜스퍼용 캠기구(21C)보다 좌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뒤쪽 제4촬영 포인트(PB4)는, 제2트랜스퍼용 캠기구(21C)보다 우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The rear first imaging point PB1 is set so as to be located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first transfer cam mechanism 21A. In addition, the rear 2nd imaging point PB2 is set so that it may be located in the right direction rather than the cam mechanism 21A for 1st transfer, and the left direction rather than the cam mechanism 21B for knitting. Moreover, the back 3rd imaging point PB3 is set so that it may be located in a right direction from the cam mechanism 21B for knitting, and a left direction rather than the 2nd cam mechanism 21C for transfer. Further, the rear fourth imaging point PB4 is set so as to be located in the right direction from the second transfer cam mechanism 21C.

또한 니들베드갭(S)의 뒤쪽에 배치된 2개의 촬영부(22)에 있어서는, 니들베드갭(S)을 사이에 두고 앞쪽에 배치된 촬영부(22)와 전후 대칭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니들베드갭(S)의 뒤쪽에 배치된 2개의 촬영부(22)는,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쪽 니들베드(10F) 중의 4개의 촬영 포인트(앞쪽 제1촬영 포인트(PF1), 앞쪽 제2촬영 포인트(PF2), 앞쪽 제3촬영 포인트(PF3) 및 앞쪽 제4촬영 포인트(PF4))를 촬영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wo photographing units 22 arranged at the back of the needle bed gap (S), since they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the photographing unit 22 arranged in the front with the needle bed gap (S) therebetween, detailed A description is omitted. As shown in FIG. 6 , the two photographing units 22 disposed behind the needle bed gap S are the four photographing points of the front needle bed 10F (the front first photographing point PF1, the front second photographing point). The photographing point PF2, the front third photographing point PF3, and the front fourth photographing point PF4) may be photographed.

앞쪽의 4개의 촬영 포인트(PF1∼PF4)의 좌우위치에 있어서도, 뒤쪽의 4개의 촬영 포인트(PB1∼PB4)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lso in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front four imaging points PF1 to PF4, they are the same as the rear four imaging points PB1 to PB4, and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촬영부(22)를 사용하여 합계 8개의 촬영 포인트를 촬영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total of eight photographing points can be photographed using the four photographing units 22 .

다음에 도8을 사용하여, 조명부(23)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8, the structure of the lighting part 23 is demonstrated.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명부(23)는 크게 LED(23a), 집광렌즈(23b) 및 가이드부(23c)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8, the lighting unit 23 is largely provided with an LED 23a, a condensing lens 23b, and a guide unit 23c.

LED(23a)는, 전압이 가해지면 발광하는 광원(光源)이다. LED(23a)는, 소정의 방향(도8에 있어서, 지면의 우측방향)을 향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다.The LED 23a is a light source that emits light when a voltage is applied. The LED 23a can irradiate light toward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right side of the paper in Fig. 8).

집광렌즈(23b)는, LED(23a)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모으기 위한 것이다. 집광렌즈(23b)는 LED(23a)의 정면(도8에 있어서, 지면의 우측방향)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집광렌즈(23b)를 2매(枚) 배치하고 있다.The condensing lens 23b is for collecting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ED 23a. The condensing lens 23b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LED 23a (the right side of the paper in Fig. 8). In this embodiment, two condensing lenses 23b are arranged.

가이드부(23c)는, LED(23a)로부터 조사된 빛을 소정의 위치까지 안내하는 것이다. 가이드부(23c)는, 투광성(透光性)을 가지는 재료(아크릴 등)에 의하여 형성된다. 가이드부(23c)는, LED(23a)로부터의 빛의 조사방향(도8에 있어서, 지면의 좌우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이드부(23c)의 선단면(先端面)(23d)(LED(23a)와는 반대측의 끝부분의 면)은, 경사지도록 잘린 경사면상(傾斜面狀)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선단면(23d)은, 가이드부(23c)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guide part 23c guides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ED 23a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guide part 23c is formed of the material (acrylic etc.) which has light-transmitting property. The guide part 23c is formed in the rectangular shape extending along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light from the LED 23a (left-right direction in FIG. 8). The tip surface 23d of the guide portion 23c (the surface of the end opposite to the LED 23a)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inclined surface cut so as to be inclined. Specifically, the tip surface 23d is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portion 23c.

이와 같이 구성된 조명부(23)에 있어서, LED(23a)로부터 빛이 조사되면 당해 빛은 집광렌즈(23b)를 통하여 가이드부(23c)에 침투한다. 가이드부(23c)에 침투한 빛은 당해 가이드부(23c)의 길이방향을 따라 진출하여, 선단면(23d)에서 가이드부(23c)의 외부로 조사된다. 빛이 선단면(23d)으로부터 조사될 때에, 당해 빛은 선단면(23d)의 경사각도에 따른 각도로 굴절된다.In the lighting unit 23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light is irradiated from the LED 23a, the light penetrates the guide unit 23c through the condensing lens 23b. The light penetrating into the guide part 23c advanc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part 23c, and is irradiated to the outside of the guide part 23c from the front end surface 23d. When light is irradiated from the tip face 23d, the light is refracted at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ip face 23d.

다음에 도2 및 도6을 사용하여, 조명부(23)의 배치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arrangement of the lighting unit 2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2 및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명부(23)는 캐리지(20)에 합계 8개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조명부(23)는, 니들베드갭(S)을 사이에 두고 전후에 4개씩 배치된다. 조명부(23)는, 캐리지(20)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브리지(20a)나, 그 외의 적당한 부재를 통하여) 고정된다.As shown in Figs. 2 and 6, eight lighting units 23 are provided on the carriage 20 in total. Specifically, the lighting unit 23 is arranged four at a time before and after the needle bed gap (S) interposed therebetween. The lighting part 23 is fixed with respect to the carriage 20 directly or indirectly (via the bridge 20a or other suitable member).

니들베드갭(S)의 앞쪽에 배치된 4개의 조명부(23)에 주목하면, 당해 조명부(23)는 빛의 조사방향(가이드부(23c)의 선단면(23d))이 뒤쪽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당해 조명부(23)는, 뒤쪽 니들베드(10B)의 편침(11)의 선단부분(더 상세하게는, 당해 편침(11)에 결합된 상태의 스티치)에 대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다.Paying attention to the four illumination units 23 arranged in front of the needle bed gap S, the illumination units 23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light irradiation direction (the tip surface 23d of the guide unit 23c) faces downwardly at the rear. are placed Accordingly, the lighting unit 23 can irradiate light to the tip of the knitting needle 11 of the rear needle bed 10B (more specifically, the stitch in a state coupled to the knitting needle 11).

또한 니들베드갭(S)의 앞쪽에 배치된 4개의 조명부(23)는, 각각 뒤쪽 니들베드(10B) 중의 4개의 촬영 포인트(PB1∼PB4)에 대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In addition, the four lighting units 23 arranged in front of the needle bed gap S are arranged so that light can be irradiated to the four photographing points PB1 to PB4 in the rear needle bed 10B, respectively.

또한 니들베드갭(S)의 뒤쪽에 배치된 4개의 조명부(23)에 있어서는, 니들베드갭(S)을 사이에 두고 앞쪽에 배치된 조명부(23)와 전후 대칭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니들베드갭(S)의 뒤쪽에 배치된 4개의 조명부(23)는,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쪽 니들베드(10F) 중의 4개의 촬영 포인트(PF1∼PF4)에 대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In addition, in the four lighting units 23 arranged at the back of the needle bed gap (S), since they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the illumination unit 23 arranged in the front with the needle bed gap (S) therebetwee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 As shown in Fig. 6, the four lighting units 23 arranged behind the needle bed gap S are arranged so that light can be irradiated to the four photographing points PF1 to PF4 in the front needle bed 10F. do.

이하에 도9를 사용하여, 촬영부(22)와 조명부(23)의 상대적인 위치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photographing unit 22 and the lighting unit 2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

도9에는 그 일례로서, 앞쪽 제1촬영 포인트(PF1) 및 앞쪽 제2촬영 포인트(PF2)를 촬영하는 촬영부(22)와, 앞쪽 제1촬영 포인트(PF1) 및 앞쪽 제2촬영 포인트(PF2)에 대하여 빛을 조사하는 2개의 조명부(23)를 나타내고 있다.In FIG. 9, as an example, the photographing unit 22 photographing the front first photographing point PF1 and the front second photographing point PF2, the front first photographing point PF1, and the front second photographing point PF2 ), the two lighting units 23 for irradiating light are shown.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조명부(23)는, 촬영부(22)의 시야의 측방에 배치되어, 각 촬영 포인트에 빛을 조사한다. 여기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조명부(23)의 선단면(23d)은, 가이드부(23c)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굴절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촬영 포인트 측으로 빛이 굴절되도록 각 조명부(23)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조명부(23)를 촬영부(22)의 시야의 외측(시야 밖)에 배치할 수 있어, 조명부(23)가 촬영부(22)의 촬영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each lighting unit 23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ield of view of the photographing unit 22, and irradiates light to each photographing point. Here,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end surface 23d of the lighting unit 23 is formed so as to refract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guide unit 23c. In this embodiment, each illumination part 23 is arrange|positioned so that light may be refracted toward each imaging|photography point side. Accordingly, the lighting unit 23 can be disposed outside the field of view of the photographing unit 22 (out of the field of view),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ghting unit 23 from obstructing the photographing of the photographing unit 22 .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횡편기(1)에 있어서 제어부(60)는, 촬영부(22)에 의하여 촬영된 스티치의 화상에 의거하여 스티치의 양부(良否)를 판정함으로써, 편성의 불량을 검출할 수 있다. 이하에, 제어부(60)에 의한 편성불량의 검출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In the flat knitting machine 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60 determines whether the stitches are good or bad based on the stitch images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22, so that the defect in knitting can be detected. have. Hereinafter, a method for detecting poor knitting by the control unit 60 will be described.

제어부(60)는, 편성포(K)의 편성 중에 캐리지(20)의 왕복이동과 동기하여, 촬영부(22)에 의한 촬영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는, 캐리지(20)의 이동에 의하여 촬영대상이 되는 편침(11)이 촬영 포인트에 도달하였을 때에, 당해 편침(11)에 결합된 스티치를 향하여 조명부(23)로부터 빛이 조사되도록 함과 아울러, 촬영부(22)에 의하여 당해 스티치가 촬영되도록 한다. 제어부(60)는, 서보모터(40)의 회전수로부터 캐리지(2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스티치(편침(11))의 위치에 맞추어 적확한 타이밍에 촬영을 실시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편성 중의 모든 편침(11)(스티치)을 촬영한다. 또한 이때에, 제어부(60)는 촬영된 스티치의 위치를 기억한다.The control unit 60 performs photographing by the photographing unit 22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carriage 20 during knitting of the knitted fabric K. Specifically, when the knitting needle 11 to be photographed due to the movement of the carriage 20 reaches the photographing point, the control unit 60 is configured to emit light from the lighting unit 23 toward the stitch coupled to the knitting needle 11 . In addition to being irradiated, the stitch is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22 . Since the control part 60 can grasp the position of the carriage 20 from the rotation speed of the servomotor 40, it can image|photograph at the correct timing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titch (knitting needle 11). The control unit 60 photographs all the knitting needles 11 (stitches) during knitting. Also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60 stores the position of the photographed stitch.

여기에서, 예를 들면 도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리지(20)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선행 시스템인 니트용 캠기구(21B)에 의하여 스티치가 형성되고, 후행 시스템인 제1트랜스퍼용 캠기구(21A)에 의하여 트랜스퍼가 이루어진다. 즉 이 경우에, 편성에 따른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것은, 니트용 캠기구(21B)를 통과한 후의 편침(11) 및 제1트랜스퍼용 캠기구(21A)를 통과한 후의 편침(11)이다.Here, for example, when the carriage 20 moves to the right as shown in Fig. 10(a), stitches are formed by the knit cam mechanism 21B, which is a preceding system, and the first system, which is a following system, forms a stitch. The transfer is performed by the cam mechanism for transfer 21A. That is,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hat a defect due to knitting may occur is the knitting needle 11 after passing through the knit cam mechanism 21B and the knitting needle 11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transfer cam mechanism 21A. .

그래서 제어부(60)는, 캐리지(20)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앞쪽 제1촬영 포인트(PF1), 앞쪽 제2촬영 포인트(PF2), 뒤쪽 제1촬영 포인트(PB1) 및 뒤쪽 제2촬영 포인트(PB2)의 4개의 촬영 포인트만을 촬영한다. 즉 제어부(60)는, 캐리지(20)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좌측에 배치된 2개의 촬영부(22)만을 사용하여 스티치를 촬영한다.Therefore, when the carriage 20 moves to the right,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front first photographing point PF1 , the front second photographing point PF2 , the rear first photographing point PB1 and the rear second photographing point PF1 . Only the four photographing points of the photographing point PB2 are photographed. That is, when the carriage 20 moves to the right, the control unit 60 captures a stitch using only the two photographing units 22 disposed on the left.

반대로 도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리지(20)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선행 시스템인 니트용 캠기구(21B)에 의하여 스티치가 형성되고, 후행 시스템인 제2트랜스퍼용 캠기구(21C)에 의하여 트랜스퍼가 이루어진다. 즉 이 경우에, 편성에 따른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것은, 니트용 캠기구(21B)를 통과한 후의 편침(11) 및 제2트랜스퍼용 캠기구(21C)를 통과한 후의 편침(11)이다.Conversely, when the carriage 20 moves in the left direction as shown in Fig. 10(b), stitches are formed by the knit cam mechanism 21B, which is the preceding system, and the second cam mechanism for the transfer, which is the succeeding system ( 21C), the transfer is made. That is, in this ca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defect due to knitting may occur is the knitting needle 11 after passing through the knitting cam mechanism 21B and the knitting needle 11 af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transferring cam mechanism 21C. .

그래서 제어부(60)는, 캐리지(20)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앞쪽 제3촬영 포인트(PF3), 앞쪽 제4촬영 포인트(PF4), 뒤쪽 제3촬영 포인트(PB3) 및 뒤쪽 제4촬영 포인트(PB4)의 4개의 촬영 포인트만을 촬영한다. 즉 제어부(60)는, 캐리지(20)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우측에 배치된 2개의 촬영부(22)만을 사용하여 스티치를 촬영한다.Therefore, when the carriage 20 moves in the left direction,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front third photographing point PF3, the front fourth photographing point PF4, the rear third photographing point PB3, and the rear fourth photographing point PF3. Only the four photographing points of the photographing point PB4 are photographed. That is, when the carriage 20 moves in the left direction, the control unit 60 captures a stitch using only the two photographing units 22 disposed on the right side.

다만 이와 같은 촬영부(22)의 제어는 일례에 불과하며, 예를 들면 4개의 촬영부(22) 전부를 사용하여 모든 촬영 포인트를 촬영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촬영된 모든 화상의 양부를 판정하는 것이 아니라 적당히 필요한 화상만 그 양부를 판정함으로써, 제어부(60)에 의한 처리의 부담이 경감되도록 할 수 있다.However, such control of the photographing unit 22 is only an example, and for example, all photographing points may be photographed using all four photographing units 22 .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urden of processing by the control unit 60 by not judging the quality of all the captured images but only appropriately necessary images.

이와 같이 하여 제어부(60)는, 도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성포(K)를 편성하면서 각 코스의 전체 스티치를 촬영함과 아울러 촬영된 스티치의 위치를 기억한다.In this way, as shown in Fig. 11, the control unit 60 captures all stitches of each course while knitting the knitted fabric K, and stores the positions of the captured stitches.

또한 제어부(60)는, 각 코스를 편성할 때에 1코스 전의 스티치의 양부를 판정한다. 이하에, 스티치의 양부판정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when knitting each course, the control unit 60 determines the quality of the stitches before one course. Hereinafter,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quality of a stitch will be described.

도12에는, 촬영부(22)에 의하여 촬영된 스티치의 화상(P)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12에는, 앞쪽 제1촬영 포인트(PF1) 및 앞쪽 제2촬영 포인트(PF2)를 촬영함으로써 얻은 화상(P)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12 shows an example of the stitch image P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22 . Fig. 12 shows an example of an image P obtained by imaging the front first imaging point PF1 and the front second imaging point PF2.

먼저 제어부(60)는, 앞쪽 제1촬영 포인트(PF1) 및 앞쪽 제2촬영 포인트(PF2)의 각각으로부터, 양부판정의 대상이 되는 스티치를 나타내는 영역(판정영역(R))을 추출한다. 이때에 제어부(60)는, 화상(P)의 정보에 의거하여 적절한 판정영역(R)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P)의 휘도(輝度)에 의거하여 편침(11)의 선단위치를 검출하고, 당해 편침(11)의 선단위치에 의거하여 판정영역(R)을 추출할 수 있다.First, the control unit 60 extracts a region (determination region R) representing a stitch to be determined as good or bad from each of the front first imaging point PF1 and the front second imaging point PF2 .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60 can extract an appropriate determination area R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image P. For example, the line unit value of the knitting needle 11 can be detected based on the luminance of the image P, and the determination region R can be extracted based on the line unit value of the knitting needle 11 .

다음에 제어부(60)는, 판정영역(R)에 나타난(실제로 촬영한) 스티치의 형상과, 미리 기억되어 있는 정상인 때의 스티치의 형상을 비교하여, 스티치의 양부를 판정한다.Next, the control unit 60 compares the shape of the stitch (actually photographed) displayed in the determination area R with the shape of the normal stitch stored in advance to determine whether the stitch is good or bad.

예를 들면 제어부(60)에는, 정상인 때의 스티치의 형상을 나타낸 화상(정상화상(N))이 미리 기억되어 있다. 또한 정상인 때의 스티치의 형상은, 스티치의 종류(니트, 미스, 턱 등), 편사(Y)의 종류, 인접한 스티치(예를 들면, 앞에 편성한 코스까지 형성된 스티치나, 좌우의 스티치의 종류나 유무) 등에 따라 다르다. 그 때문에 제어부(60)에는, 미리 다양한 패턴의 정상화상(N)이 다수 기억되어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60 stores in advance an image (normal image N) showing the shape of the stitch when it is normal.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stitch in the normal case includes the type of stitch (knit, miss, tuck, etc.), the type of knitting yarn (Y), adjacent stitches (for example, the stitches formed up to the previously knitted course, the left and right stitch types, presence or absence), etc. Therefore, in the control part 60, many normal images N of various patterns are previously memorize|stored.

제어부(60)는, 현재 편성하고 있는 편성포(K)의 편성 데이터 및 촬영된 스티치의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스티치의 종류, 편사(Y)의 종류, 인접한 스티치 등을 고려하여 촬영된 화상의 편침(11)에 결합되어 있을 것으로 추측되는 스티치의 형상을 판정한다. 그리고 제어부(60)는, 기억되어 있는 각종 정상화상(N)으로부터 양부판정에 적당한(촬영된 스티치 형상에 상당하는) 정상화상(N)을 추출하여, 스티치의 양부판정에 사용한다.Based on the knitting data of the currently knitted knitted fabric K and the position of the photographed stitch, the control unit 60 selects the captured image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the stitch, the type of the knitting yarn Y, the adjacent stitch, and the like. The shape of the stitch estimated to be coupled to the knitting needle 11 is determined. Then, the control unit 60 extracts a normal image N suitable for determining the quality of the stitch (corresponding to the photographed stitch shape) from the stored various normal images N, and uses 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titch is good or bad.

제어부(60)는, 판정영역(R)의 화상과 정상화상(N)을 사용하여 화상처리를 함으로써, 스티치의 양부판정을 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60)는, 판정영역(R)의 스티치의 형상과 정상화상(N)에 나타낸 스티치의 형상의 유사도를 산출하여, 유사도가 어느 정도 높은(소정의 역치 이상인) 경우에는, 판정영역(R)의 스티치가 정상이라고 판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60 performs image processing using the image in the determination area R and the normal image N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titch is good or bad.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60 calculates a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shape of the stitch in the determination area R and the shape of the stitch shown in the normal image N, and determines if the degree of similarity is high to a certain extent (more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stitches in the region R are normal.

한편 제어부(60)는, 유사도가 어느 정도 낮은(소정의 역치 미만인) 경우에는, 판정영역(R)의 스티치가 비정상이라고 판정할 수 있다. 스티치의 비정상으로서는, 편사(Y)가 끊어져 있거나, 스티치(루프)가 형성되어 있지 않거나, 스티치가 지나치게 수축되어 있는 등의 다양한 상태가 상정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egree of similarity is somewhat low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the control unit 60 can determine that the stitches in the determination area R are abnormal. As the abnormality of the stitch, various states are assumed, such as the knitting yarn Y is broken, the stitch (loop) is not formed, or the stitch is excessively shrunk.

또한 스티치의 양부판정(스티치 형상의 비교)은, 판정영역(R)과 정상화상(N)의 RGB값이나 휘도 등을 비교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휘도 등을 사용하지 않고, 예를 들면 화상으로부터 스티치를 형성하고 있는 편사(Y)의 심선(心線)(편사(Y)의 중심을 지나는 선)을 추출하고, 당해 심선의 형상과 정상인 때의 심선의 형상을 비교(유사도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서도 스티치의 양부를 판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of the quality of the stitch (comparison of the stitch shape) can be performed by comparing the RGB values, luminance, etc. of the determination area R and the normal image N. Also, without using luminance or the like, for example, when the core wire of the knitting yarn Y forming the stitch is extracted from the image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knitting yarn Y), and the shape of the core wire is normal The quality of the stitches can also b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shapes of the core wires (to calculate the degree of similarity).

제어부(60)는, 상기한 바와 같은 스티치의 양부판정을 화상(P)의 촬영 후에 신속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는, 도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느 코스(예를 들면, N코스)에서 촬영한 화상의 양부판정을 다음 코스(N+1코스)의 편성 중에 실행한다. 이에 따라, 스티치에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는 그 직후(다음 코스의 편성 중)에 당해 불량을 검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60 quickly determines whether the stitches are good or bad after the image P is captured.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1, the control unit 60 executes the judgment of whether an image captured in one course (for example, N course) is good or bad during the compilation of the next course (N+1 course). Accordingly, when a defect occurs in the stitch, the defect can be detected immediately after that (during knitting of the next course).

예를 들면 도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N+3코스를 편성할 때에 스티치에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 N+4코스의 편성 중에 N+3코스의 스티치의 불량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스티치의 불량을 검출한 경우에는 캐리지(20)의 동작을 신속히 정지시켜, 횡편기(1)에 의한 편성을 중단시킬 수 있다. 또한 스티치의 양부판정의 타이밍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어느 코스에서 촬영한 화상의 양부판정을 그 코스를 편성하는 중에 리얼타임으로 실행할 수도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when a defect occurs in a stitch when knitting an N+3 course, it is possible to detect a defect in a stitch in the N+3 course during knitting of the N+4 course. When a defective stitch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60 can quickly stop the operation of the carriage 20 to stop knitting by the flat knitting machine 1 . In addition, the timing of determining the quality of the stitches is not limited thereto, and, for example, the determination of the quality of an image photographed in a certain course may be performed in real time while the course is being organized.

또한 제어부(60)는, 불량이 검출된 위치(편침(11)의 위치)를 기억한다. 당해 위치는, 화상(P)을 취득한 때의 캐리지(20)의 위치에 의거하여 파악할 수 있다. 당해 위치를 기억함으로써, 불량의 발생유무 뿐만이 아니라 불량의 발생장소도 파악할 수 있다.Further, the control unit 60 stores the position at which the defect was detected (the position of the knitting needle 11 ). The said position can be grasped|ascertain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arriage 20 at the time of acquiring the image P. By memorizing the position, it is possible to grasp not only whether or not a defect has occurred but also the location of the defect.

또한 제어부(60)는, 불량이 검출된(또는 불량이 의심되는) 위치의 스티치의 화상을 모니터 등의 표시부에 표시하여,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0 may display the image of the stitch at the position where the defect is detected (or the defect is suspected) on a display unit such as a monitor so that the operator can confirm it.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편침(11)에 결합된 상태의 스티치를 촬영하여, 촬영된 화상으로부터 불량을 검출할 수 있다. 즉 편성포(K)의 편성 중에 불량의 유무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편성의 불량을 조기에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속하게 편성의 중단 등의 대응을 할 수 있어, 불필요한 비용(편성포(K)를 편성하는 횡편기(1)에 들어가는 전력, 편사(Y), 편성시간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itch in the state coupled to the knitting needle 11 is photographed, and a defect can be detected from the photographed image. That is, sinc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efect in the knitting of the knitted fabric K can be grasped,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defect in the knitting at an early stag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quickly respond to the interruption of knitting, etc., and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unnecessary costs (electric power required for the flat knitting machine 1 for knitting the knitting fabric K, the knitting yarn Y, the knitting time, etc.) have.

또한 편성 후의 편성포(K)에 대하여 양부를 판정하는 것이 아니라, 편침(11)에 결합된 상태의 개개의 스티치의 형상에 대하여 양부를 판정함으로써, 각 스티치의 형상을 더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불량을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특히 편성포의 상태에서는 불량의 확인이 곤란한 편성포(리브 편성포나 스트레치얀(stretch yarn)에 의한 편성포 등)의 불량도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In addition, instead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knitted fabric K after knitting is good or bad, the shape of each stitch can be more accurately confirmed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shape of each stitch in the state coupled to the knitting needle 11 is good or bad. can detect defects with high precision. In particular, defects in a knitted fabric (such as a rib knitted fabric or a knitted fabric made of a stretch yarn), which are difficult to confirm in the state of the knitted fabric, can also be detected with high accuracy.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어부(60)는, 본 발명에 관한 판정부 및 위치기억부의 실시의 1형태이다.Moreover, the control part 60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1 Embodiment of the determination part and the position memory|storage part which concern on this inven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적당한 변경이 가능하다.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appropriate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편성기의 일례로서 횡편기(1)를 들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의 다양한 편성기(예를 들면, 환편기(circular knitting machine), 경편기(warp knitting machine) 등)에 적용할 수도 있다. 즉 각종 편성기의 편침에 결합된 상태의 스티치를 촬영할 수 있는 촬영부를 설치함으로써, 편성의 불량을 검출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lat knitting machine 1 is mentioned as an example of the knitting machin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other knitting machines (for example, a circular knitting machine, a warp knitting machine ( warp knitting machine, etc.) can also be applied. That is, by providing a photographing unit capable of photographing stitches in a state coupled to knitting needles of various knitting machines, it is possible to detect a knitting defect.

또한 촬영부(22)에 의하여 촬영한 화상은, 편성불량의 검출 이외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편성된 편성포(K)는 테이크다운 롤러 등에 의하여 하방으로 인하(引下)되고, 당해 테이크다운 롤러의 제어(편성포(K)를 인하하는 장력의 제어)에 당해 화상을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22 can be used for purposes other than detection of misalignment. For example, a generally knitted knitted fabric K is lowered downward by a take-down roller or the like, and the image is subjected to control of the take-down roller (control of the tension for lowering the knitted fabric K). can also be used

구체적으로는, 테이크다운 롤러의 인하에 대한 장력이 약한 경우에, 니들베드갭(S)에 있어서 편성포(K)가 부상한다. 그래서 촬영부(22)에 의하여 촬영한 화상으로부터 편성포(K)의 부상유무를 판단하고, 편성포(K)가 부상한 경우에는 테이크다운 롤러의 인하에 대한 장력을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편성포(K)의 부상에 의하여 명백히 불량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횡편기(1)를 정지시킬 수도 있다. 그 외에 생지(生地)의 부상 등에 의하여 명백히 불량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도, 횡편기(1)를 정지시킬 수도 있다.Specifically, when the tension against the lowering of the take-down roller is weak, the knitted fabric K floats in the needle bed gap S. Therefor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knitted fabric K is floated from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22, and when the knitted fabric K is floated, the tension for lowering of the take-down roller is increased. Thereby, generation|occurrence|production of a defect can be suppressed.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fect has clearly occurred due to the floating of the knitted fabric K, the flat knitting machine 1 may be stopped. In addition, the flat knitting machine 1 may be stopped eve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fect has clearly occurred due to injury or the like of the fabric.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촬영부(22)를 캐리지(20)에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촬영부(22)의 배치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캐리지(20)와는 별도로 설치된 이동체(移動體)(니들베드(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이동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촬영부(22)를, 얀 가이드 레일(30)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이동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example which provided the imaging|photography part 22 in the carriage 20 was show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arrangement|positioning of the imaging|photography part 22 is not limited.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on a movable body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carriage 20 (a movable body capable of mov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edle bed 10).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the photographing unit 22 on a movable body capable of moving along the yarn guide rail 30 .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촬영부(22)를 이동이 가능한 구성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할 수 없는 상태로 배치(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니들베드갭(S)의 상방 등 스티치를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촬영부(22)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니들베드(10)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전체 범위를 1대의 촬영부(22)로 촬영하여도 좋고, 복수의 촬영부(22)를 사용하여 복수 장소로 나누어서 촬영하여도 좋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imaging|photography part 22 was made into a movable structur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position (fix) in a non-movable state. For example, the photographing unit 22 may be fixed at a position where a stitch may be photographed, such as above the needle bed gap (S). In this case, the entire ran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edle bed 10 may be photographed by one photographing unit 22 , or may be photographed by dividing it into a plurality of locations using a plurality of photographing units 22 .

또한 촬영부(22)를 고정시키는 경우에, 편침(11)에 의한 스티치의 형성 타이밍과 연관시켜, 촬영부(22)에 의하여 스티치를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실시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촬영하는 타이밍을 캐리지(20)의 위치와 연동시킴으로써, 선행 시스템 및 후행 시스템을 통과한 후의 편침(11)을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fixing the photographing unit 22 , it is preferable to photograph the stitch by the photographing unit 22 in association with the formation timing of the stitch by the knitting needle 11 . Specifically, a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o photograph the knitting needle 11 after passing through the preceding system and the succeeding system by interlocking the timing of photographing with the position of the carriage 20 .

이와 같이 촬영부(22)를 고정시킴으로써, 이동을 위한 기구가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편침(11)에 의한 스티치의 형성 타이밍과 연관시켜 스티치를 촬영함으로써, 적절한 타이밍(편성완료 후)에 스티치의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By fixing the photographing unit 22 in this way, since a mechanism for movement becomes unnecessary, the configuration can be simplified. Further, by photographing the stitch in association with the stitch formation timing by the knitting needle 11, an image of the stitch can be acquired at an appropriate timing (after knitting is completed).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촬영부(22)를 캐리지(20)의 상방에 배치하고, 니들베드(10)의 상방으로부터 스티치를 촬영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영부(22)를 니들베드(10)의 하방에 배치하고, 당해 니들베드(10)의 하방으로부터 스티치를 촬영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hotographing unit 22 is disposed above the carriage 20 and the stitch is photographed from above the needle bed 1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3(a), the photographing unit 22 may be disposed below the needle bed 10, and the stitch may be photographed from below the needle bed 10.

또한 도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니들베드(10)의 상방 및 하방에 각각 촬영부(22)를 배치하고, 당해 니들베드(10)의 상하 쌍방으로부터 스티치를 촬영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복수의 방향에서 동일한 스티치를 촬영함으로써, 스티치의 형상을 더 정확하게 파악하여, 불량의 검출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Further, as shown in Fig. 13(b), the imaging unit 22 may be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needle bed 10, respectively, and stitches may be photographed from both top and bottom sides of the needle bed 10. . With such a configuration, by photographing the same stitch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the shape of the stitch can be more accurately grasped, and the defect detection accuracy can be improved.

또한 조명부(23)에 있어서도 촬영부(22)와 마찬가지로, 캐리지(20) 이외의 이동체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조명부(23)를 이동할 수 없는 상태로 배치(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조명부(23)를 니들베드(10)의 하방(또는 상하 쌍방)에 배치하여, 니들베드(10)의 하방으로부터 스티치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조명부(23)를 캐리지(20)의 외부에 설치함과 아울러 캐리지(20)에 적당한 반사부재(미러 등)를 설치하여, 캐리지(20) 밖에서 조사된 빛을 원하는 촬영장소로 안내하는 것도 가능하다.Moreover, also in the illumination part 23, similarly to the imaging|photography part 22, it is possible to install in a moving object other than the carriage 20.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fix) the lighting unit 23 in a non-movable state.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irradiate light from the lower side of the needle bed 10 toward the stitch by arranging the lighting unit 23 below (or both above and below) the needle bed 10 . In addition, by installing the lighting unit 23 on the outside of the carriage 20 and by installing an appropriate reflective member (mirror, etc.) on the carriage 20, it is also possible to guide the light irradiated from outside the carriage 20 to a desired shooting location. do.

또한 조명부(23)에 의하여 조사되는 빛의 종류(색이나 세기)는, 편사(Y)의 종류나 색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ype (color or intensity) of the light irradiated by the lighting unit 23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type or color of the knitting yarn Y.

또한 스티치의 양부를 판정하기 위한 정상화상(N)으로서는, 정상인 스티치를 실제로 촬영하여 얻은 화상 뿐만이 아니라, 예를 들면 정상인 다수의 스티치의 화상을 기계학습함으로써 작성된 화상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보다 타당한 양부의 판정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경우에, 횡편기(1)에 의한 편성 중에 촬영부(22)에 의하여 촬영된 스티치의 화상을 더 학습하여, 정상화상(N)을 수시로 갱신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s the normal image N for determining the quality of a stitch, it is possible to use not only an image obtained by actually photographing a normal stitch, but also an image created by, for example, machine learning images of a large number of normal stitches. Thereby, it becomes possible to make a more reasonable judgment of good or bad. Further,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learn the stitch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22 during knitting by the flat knitting machine 1, and to update the normal image N at any time.

또한 정상화상(N)으로서, 3D 시뮬레이션에 의하여 얻은 스티치의 형상과 실의 화상을 조합시켜 작성된 화상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use, as the normal image N, an image created by combining the stitch shape and the thread image obtained by 3D simulation.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티치의 형상에 의거하여 양부를 판정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어부(60)는, 촬영된 스티치의 종류를 판정하고, 편성 데이터로부터 구한 종류의 정보와 비교하여, 스티치의 양부를 판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60)는, 촬영된 스티치의 화상과 정상인 스티치의 화상의 유사도를 판정함으로써, 스티치의 양부를 판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60)는, 촬영된 스티치와 정상인 때의 스티치의 모든 상태(형상, 종류 등)를 적절하게 비교함으로써, 스티치의 양부를 판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example which judges quality based on the shape of a stitch was show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60 can determine the type of the photographed stitch and compare it with information of the type obtained from the knitting data to determine the quality of the stitch.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0 may determine the quality of the stitch by determin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photographed stitch image and the normal stitch image. In this way, the control unit 60 can determine the quality of the stitches by appropriately comparing the photographed stitches with all states (shapes, types, etc.) of the normal stitches.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불량이 검출된 위치를 제어부(60)가 기억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편성포(K)에 형성되는 RFID(ID 태그)나 편성포(K)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 등에 불량이 검출된 위치를 기억시키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example in which the control part 60 memorize|stores the position where the defect was detected was show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store the position where the defect was detected, such as an RFID (ID tag) formed on the knitted fabric K, a server managing information about the knitted fabric K, or the like.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불량이 검출된 경우에 횡편기(1)를 신속하게 정지시키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불량이 검출되어도 횡편기(1)를 정지시키지 않고 편성을 속행하고, 편성포(K)의 편성을 완료한 후에 불량장소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불량이라고 완전히 판단할 수 없는 것과 같은 양부의 판단이 곤란한 스티치가 있는 경우에는, 그 위치를 제어부(60) 등에 기억시켜 둠으로써, 편성포(K)의 편성을 완료한 후에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example in which the flat knitting machine 1 is stopped quickly when a defect is detected was show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even if a defect is detected, the knitting may be continued without stopping the flat knitting machine 1, and the defective place may be checked after the knitting of the knitting fabric K is completed. In addition, when there is a stitch tha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it is defective, such as that it cannot be completely determined as defective, the position is stored in the control unit 60 or the like so that the operator can visually check after the knitting of the knitted fabric K is completed. may be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은 스티치의 양부판정에 더하여, 편성된 편성포(K)의 양부판정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니들베드(10)의 하방에 본 실시형태의 촬영부(22)와는 다른 촬영부를 설치하여, 편성된 편성포(K)를 촬영한다. 그리고 스티치의 양부판정에 의하여 불량이 의심되는 장소의 편성포(K)의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하여 작업자가 확인하거나, 제어부(60)가 자동으로 편성포(K)의 양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티치의 양부판정과 편성포(K)의 양부판정을 조합함으로써, 스티치의 양부판정만으로는 완전히 판단할 수 없는 것과 같은 불량을 편성포(K)의 화상으로부터 검출하거나, 편성포(K)의 화상에서밖에 검출할 수 없는 것과 같은 불량(기름띠나 오염 등)을 검출할 수 있다.Further, in addition to determining the quality of the stitches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e quality of the knitted fabric K. For example, a photographing unit different from the photographing unit 22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below the needle bed 10 to photograph the knitted fabric K. In addition, an image of the knitted fabric K at a location suspected of being defectiv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by the determination of the quality of the stitches so that the operator can confirm it, or the control unit 60 can automatically determine the quality of the knitted fabric K. In this way, by combining the judgment of the quality of the stitches and the judgment of the good or bad of the knitted fabric K in this way, a defect that cannot be completely determined only by the judgment of the good or bad of the stitches is detected from the image of the knitted fabric K, or the It is possible to detect defects (such as oil spots and contamination) that can only be detected in images.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스티치의 화상을 취득함으로써, 불량을 검출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당해 불량의 원인을 특정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스티치의 불량이 검출된 경우에, 그 화상을 확인하여 불량의 원인을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편사(Y)가 끊어져 있는 경우에는 편사(Y)의 텐션이 지나치게 높다거나, 스티치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편침(11)이 파손되어 있다는 등의 원인의 특정(추정)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by acquiring the stitch imag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becomes possible not only to detect a defect but also to specify the cause of the defect. Specifically, when a stitch defect is detected,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defect by checking the image. For example, when the knitting yarn Y is broken, the tension of the knitting yarn Y is too high, or when the stitch is not formed, the cause can be identified (estimated), such as that the knitting needle 11 is broken. .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후 한 쌍(2매)의 니들베드(10)를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니들베드(1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니들베드갭(S)의 전후에 있어서, 니들베드(10)를 상하 2매씩(합계 4매)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example in which a pair (two sheets) of the needle bed 10 is provided in front and back is shown, the number of needle beds 10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before and after the needle bed gap S,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the needle beds 10 up and down two at a time (four in total).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나타낸 캠기구(21)는 일례에 불과하며, 캠기구(21)의 구성(개수, 배치, 동작 등)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캠기구(21)를 구비하지 않고 편침을 별도의 액추에이터로 진퇴구동시키는 캐리지 없는 편성기에 적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am mechanism 21 shown in this embodiment is only an example, and the structure (number, arrangement|positioning, operation|movement, etc.) of the cam mechanism 21 can be changed arbitrarily.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carriageless knitting machine that does not include the cam mechanism 21 and drives the knitting needle forward and backward by a separate actuator.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캐리지(20)의 위치를 서보모터(40)의 회전수에 의거하여 검출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캐리지(20)의 위치(나아가서는, 촬영되는 스티치(편침(11))의 위치)를 검출할 적당한 센서를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structure which detects the position of the carriage 20 based on the rotation speed of the servomotor 40 was illustrat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position of the carriage 20 (and further, An appropriate sensor for detecting the stitch (position of the knitting needle 11) to be photographed may be separately provided.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횡편기(1)에 설치된 제어부(60)에 의하여 각종 제어나 불량을 검출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어부(60)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횡편기(1)와는 별도로 설치된 제어부(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등)에 의하여 실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스티치의 양부판정을, 횡편기(1)의 외부에 설치된 PC에 의하여 실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control part 60 provided in the flat knitting machine 1 shows the example of various control and detection of a defect,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at is,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control unit 60 may be executed by a control unit (eg, personal computer, etc.)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flat knitting machine 1 . For example, the determination of the quality of the stitches may be performed by a PC installed outside the flat knitting machine 1 .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횡편기(1)(횡편기(1)가 구비하는 제어부(60))가 불량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지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편성기 뿐만이 아니라, 편성기에 의하여 편성되는 편성포의 불량을 검출하는 불량검출시스템에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 경우에 당해 불량검출시스템은, 편침에 결합된 상태의 스티치를 촬영할 수 있는 촬영부와, 촬영부에 의하여 촬영된 스티치의 형상으로부터 양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촬영된 스티치의 위치를 기억하는 위치기억부를 구비하는 것이면 좋다. 이와 같은 불량검출시스템은, 기존의 편성기에 촬영부를 적절하게 설치함으로써, 당해 편성기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example in which the flat knitting machine 1 (control part 60 provided in the flat knitting machine 1) has a function of detecting a defect was show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a knitting machine but also to a defect detection system for detecting defects in a knitted fabric knitted by a knitting machine. For example, in this case, the defect detection system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capable of photographing a stitch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knitting needle, a determining unit judging whether or not the stitch is good from the shape of the stitch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nd the position of the photographed stitch.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have a position memory|storage part which memorizes. Such a defect detection system can be easily applied to an existing knitting machine by appropriately installing a photographing unit in the knitting machine.

1 : 횡편기
10 : 니들베드
11 : 편침
20 : 캐리지
21 : 캠기구
22 : 촬영부
23 : 조명부
60 : 제어부
1: Flat knitting machine
10: needle bed
11: knitting needle
20 : carriage
21: cam mechanism
22: filming department
23: lighting unit
60: control unit

Claims (6)

편성포(編成布)를 편성하는 편침(編針)과,
상기 편침에 결합된 상태의 스티치(stitch)를 촬영할 수 있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 의하여 촬영된 상기 스티치의 상태와, 정상인 때의 스티치의 상태를 비교하여, 스티치의 양부(良否)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촬영부에 의하여 촬영된 상기 스티치의 위치를 기억하는 위치기억부를
구비하는 편성기.
A knitting needle (編針) for knitting a knitted fabric (編成布);
a photographing unit capable of photographing a stitch in a state coupled to the knitting needle;
a determination unit that compares the state of the stitch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with the state of the stitch when it is normal, and determines whether the stitch is good or bad;
A posi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position of the stitch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Organizer provi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침은,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對向)하도록 배치된 니들베드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촬영부는,
상기 대향하도록 배치된 니들베드의 니들베드갭의 상방(上方)으로부터, 상기 편침에 결합된 상태의 스티치를 촬영하는
편성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knitting needle is
They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needle beds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ith a needle bed gap interposed therebetween,
The photographing unit,
A method of photographing a stitch in a state coupled to the knitting needle from above the needle bed gap of the needle beds arranged to face each other
organiz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대향하도록 배치된 니들베드의 일방측(一方側)으로부터, 타방측(他方側)에 설치된 상기 편침에 결합된 상태의 스티치를 촬영하는
편성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hotographing unit,
From one side of the needle bed arranged to face each other, the stitch in a state coupled to the knitting needl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is photographed.
organizer.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니들베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편성기.
4. The method of claim 2 or 3,
The photographing unit,
Installed to move along the needle bed
organizer.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편침에 결합된 상태의 스티치를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편침에 의한 스티치의 형성 타이밍과 연관시켜 상기 스티치를 촬영하는
편성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photographing unit,
It is fixed at a position where the stitch in the state coupled to the knitting needle can be photographed, and the stitch is photographed in association with the formation timing of the stitch by the knitting needle
organizer.
편성포를 편성하는 편침에 결합된 상태의 스티치를 촬영할 수 있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 의하여 촬영된 상기 스티치의 상태와, 정상인 때의 스티치의 상태를 비교하여, 스티치의 양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촬영부에 의하여 촬영된 상기 스티치의 위치를 기억하는 위치기억부를
구비하는 불량검출시스템.
A photographing unit capable of photographing a stitch in a state coupled to a knitting needle for knitting a knitted fabric;
a determination unit which compares the state of the stitch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with the state of the stitch when it is normal, and determines whether the stitch is good or bad;
A posi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position of the stitch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 defect detection system provided.
KR1020210078540A 2020-06-18 2021-06-17 Knitting machine and defect detection system KR10257365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05380A JP2021195698A (en) 2020-06-18 2020-06-18 Knitting machine and failure detection system
JPJP-P-2020-105380 2020-06-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781A true KR20210156781A (en) 2021-12-27
KR102573656B1 KR102573656B1 (en) 2023-08-31

Family

ID=76375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540A KR102573656B1 (en) 2020-06-18 2021-06-17 Knitting machine and defect detection system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926084B1 (en)
JP (1) JP2021195698A (en)
KR (1) KR102573656B1 (en)
CN (1) CN113818143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39450B2 (en) * 2021-04-28 2023-08-29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prompting knitting machine status instantaneously based on cloth surface status of fabric
CN114941200A (en) * 2022-04-28 2022-08-26 泉州精镁科技有限公司 Simulation weaving equipment for yarn knittability pre-detection and detection method thereof
CN115142187A (en) * 2022-07-06 2022-10-04 圣东尼(上海)针织机器有限公司 Knitting circular knitting machine manufacturing quality optimization control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3469A (en) 1981-05-01 1982-11-11 Nippon Mayer Kk Detection of knitting damage of knitted fabric
JPS6011456A (en) * 1983-06-17 1985-01-21 チバ−ガイギ−・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Novel oxamic acid ester derivative, manufacture, vermicidal composition and use
KR20140040003A (en) * 2012-09-24 2014-04-02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lat knitting machine with stitch presser and method of conrrolling thereof
EP3441510A1 (en) * 2017-08-11 2019-02-13 Terrot GmbH Method for producing a double knit fabric on a circular double jersey knitting machine
KR20190026728A (en) * 2015-01-30 2019-03-13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Imaging system, radiograph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14661C2 (en) * 1990-05-08 1996-03-28 Groz & Soehne Theodor Optical control of knitting needles on knitting machines
JPH055270A (en) * 1991-06-28 1993-01-14 Toray Ind Inc Knitting flaw detector
WO2003032204A1 (en) * 2001-10-05 2003-04-17 Shima Seiki Manufacturing Limited Knit design method and device
DE10223754A1 (en) * 2002-05-28 2004-01-22 Siemens Ag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textile mesh products with fault sensor and optical or acoustic fault warning
WO2011138734A1 (en) * 2010-05-04 2011-11-10 Fitt S.P.A. Apparatus, method and line for manufacturing knitted hoses
DE102011106401A1 (en) * 2011-07-02 2013-01-03 H. Stoll Gmbh & Co. Kg Method and device for stitch display
TWI636167B (en) * 2016-01-14 2018-09-21 利勤實業股份有限公司 Jacquard fabric with fabric information
CN110520561B (en) * 2017-03-31 2022-03-04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Knitting machine with electronic auxiliary components
JP2018193655A (en) * 2017-05-22 2018-12-06 株式会社福原精機製作所 Method of detecting knitting damage of knitted fabric in circular knitting machine, and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3469A (en) 1981-05-01 1982-11-11 Nippon Mayer Kk Detection of knitting damage of knitted fabric
JPS6011456A (en) * 1983-06-17 1985-01-21 チバ−ガイギ−・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Novel oxamic acid ester derivative, manufacture, vermicidal composition and use
KR20140040003A (en) * 2012-09-24 2014-04-02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lat knitting machine with stitch presser and method of conrrolling thereof
KR20190026728A (en) * 2015-01-30 2019-03-13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Imaging system, radiograph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EP3441510A1 (en) * 2017-08-11 2019-02-13 Terrot GmbH Method for producing a double knit fabric on a circular double jersey knitt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818143A (en) 2021-12-21
EP3926084A1 (en) 2021-12-22
JP2021195698A (en) 2021-12-27
EP3926084B1 (en) 2022-12-28
KR102573656B1 (en) 2023-08-31
CN113818143B (en) 202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3656B1 (en) Knitting machine and defect detection system
KR102209230B1 (en) Monitoring device for a weaving machine, weaving machine, and method for monitoring
US5990468A (en) Device for the automatic detection and inspection of defects on a running web, such as a textile fabric
TWI586959B (en) Automatic appearance inspection device
CN108318496A (en) One kind being used for the online fabric defects detection device of tricot machine
CN109475920A (en) Workpiece machi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unning the Workpiece machining apparatus
KR20080093850A (en) Pattern inspection apparatus and pattern inspection method
CN105190228A (en) Shape measurement device, structure production system, shape measurement method, structure production method, and shape measurement program
CN107144570B (en) Tufting machine yarn arrangement error detection method based on machine vision
KR20200090211A (en) Needle needle position adjustment method and inspection device for probe needle
US7728990B2 (en) Image measuring system and methods of generating and executing non-stop image measuring program
CN103031670A (en) Sewing machine
JP2007003243A (en) Visual examination device of long article
KR10079644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nking plain knitted fabrics
CN111855681A (en) Online non-stop AOI (automatic optical inspection) detection method
JP2018193655A (en) Method of detecting knitting damage of knitted fabric in circular knitting machine, and apparatus
JP5982228B2 (en) Upper thread holding device for sewing machine
JP4298052B2 (en) Thread defect inspection device
JP7385768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actual state of the support bar of a base material support, as well as a machine tool having a device of this kind
JPH06294069A (en) Apparatus for detecting structural defect of face-shaped fiber product
JP2020007682A (en) Stop-mark inspection apparatus in loom
RU2366932C2 (en) Method for control of paper web quality in process of its production and device for control of paper web quality in process of its production
JP2024018138A (en) Flat-knitting machine having needle inspection device and method of inspection of needles of flat-knitting machine
CN218331272U (en) Real-time textile defect detection device for loom
CN219348605U (en) Fabric flaw det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