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6547A - 텍스트 캐러셀 운용을 제공하는 챗봇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텍스트 캐러셀 운용을 제공하는 챗봇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6547A
KR20210156547A KR1020200074250A KR20200074250A KR20210156547A KR 20210156547 A KR20210156547 A KR 20210156547A KR 1020200074250 A KR1020200074250 A KR 1020200074250A KR 20200074250 A KR20200074250 A KR 20200074250A KR 20210156547 A KR20210156547 A KR 20210156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swer
chatbot
thumbnail
user
carou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꿈많은청년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꿈많은청년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꿈많은청년들
Priority to KR1020200074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6547A/ko
Publication of KR20210156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65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2Query formulation
    • G06F16/90332Natural language query formulation or dialogu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35Query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using automatic reactions or user delegation, e.g. automatic replies or chatbot-generated me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캐러셀을 좌우로 이동시킬 필요없이 손쉽게 모든 캐러셀의 정보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텍스트 캐러셀 운용을 제공하는 챗봇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시한다. 제시된 텍스트 캐러셀 운용을 제공하는 챗봇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프로그램은 챗봇 기반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 기능;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하나 이상의 답변을 캐러셀로 구성하고, 상기 캐러셀에 포함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답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썸네일이 포함되도록 챗봇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공하여 출력하는 답변 인터페이스 가공 기능;을 포함하되, 상기 챗봇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텍스트 답변 영역 및 하나 이상의 썸네일을 포함하는 썸네일 영역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텍스트 캐러셀 운용을 제공하는 챗봇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Program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based on chatbot using text carousel}
본 발명은 텍스트 캐러셀 운용을 제공하는 챗봇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챗봇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챗봇(chatbot)은 사람과의 대화를 통해 질문에 알맞은 답이나 각종 연관 정보를 제공하는 인공 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기반의 커뮤니케이션 소프트웨어(communication software)를 의미한다.
챗봇은 웹(Web)의 장점인 서비스 개선 및 업데이트의 용이함과 앱의 장점인 접근성 및 이동성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어 성장 잠재력이 우수한 분야로 평가되고 있다.
최근 인공지능 기술이 발달하고 자연어 처리 능력까지 더해져 더욱 다양한 분야에서 챗봇과 결합된 응용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예컨대, 상담 센터의 상담원을 챗봇으로 대체하여 자동 응답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챗봇 기반으로 상품 또는 콘텐츠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챗봇이 활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상술한 챗봇 기반으로 상품 또는 콘텐츠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때, 사용자의 질의에 대한 답변으로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답변을 소정 형태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답변은 이미지 영역 및/또는 텍스트 답변을 포함하는 카드 형태의 캐러셀(carousel)로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그런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어야 하는 캐러셀이 2개 이상일 경우,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에는 첫번째 캐러셀이 화면표시된다. 모든 캐러셀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카드 형태의 캐러셀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확인해야 한다.
이와 같이 모든 캐러셀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많은 횟수의 마우스 클릭으로 캐러셀을 한쪽 끝에서 다른쪽 끝까지 옮겨야 하며,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상 한눈에 다양한 카드의 대표 이미지 혹은 타이틀을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 질의에 대하여 10개의 카드 형태의 캐러셀이 준비되었다고 가정하면, 1번 카드에서 10번 카드까지 가는 시간이 상당히 길며, 원하는 카드 정보를 한번에 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51890호(챗봇 기반 응답 방법)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53027호(자동 질문 생성을 이용한 챗봇 장치 및 그 동작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캐러셀을 좌우로 이동시킬 필요없이 손쉽게 모든 캐러셀의 정보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텍스트 캐러셀 운용을 제공하는 챗봇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프로그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텍스트 캐러셀 운용을 제공하는 챗봇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프로그램은, 챗봇 기반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 기능;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하나 이상의 답변을 캐러셀로 구성하고, 상기 캐러셀에 포함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답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썸네일이 포함되도록 챗봇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공하여 출력하는 답변 인터페이스 가공 기능;을 포함하되, 상기 챗봇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텍스트 답변 영역 및 하나 이상의 썸네일을 포함하는 썸네일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답변 인터페이스 가공 기능은, 상기 썸네일 영역내의 어느 한 썸네일이 선택되면 선택된 썸네일에 해당하는 답변의 텍스트를 상기 텍스트 답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답변 인터페이스 가공부 기능은, 상기 썸네일 영역내의 어느 한 썸네일이 선택된 경우 상기 텍스트 캐러셀에 대한 이동동작 없이, 상기 선택된 썸네일에 해당하는 답변을 현재 화면의 텍스트 답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나 이상의 썸네일은, 썸네일별 구분을 위해 썸네일별로 서로 상이한 숫자가 표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에 대한 답변의 총 갯수(즉, 썸네일의 총 갯수)를 한눈에 알 수 있고, 사용자가 썸네일 영역내의 어느 한 썸네일을 클릭한다고 하더라도 이미지 캐러셀 또는 텍스트 캐러셀의 이동없이 해당 썸네일에 해당하는 답변을 현재 화면의 이미지 캐러셀 또는 텍스트 캐러셀에 표시하므로, 현재 보여지는 화면에서 사용자 입력에 대한 모든 답변을 확인해 볼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캐러셀 슬라이드의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 캐러셀 운용을 제공하는 챗봇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챗봇 서버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답변 인터페이스 가공부에서 가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의 답변의 일 예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답변 인터페이스 가공부에서 가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의 답변의 다른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 캐러셀 운용을 제공하는 챗봇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 캐러셀 운용을 제공하는 챗봇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가 사용자와의 대화를 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채용되는 화면 예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 캐러셀 운용을 제공하는 챗봇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의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 네트워크(20), 및 챗봇 서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네트워크(20)를 통해 챗봇 서버(30)에 연결된다.
사용자 단말(10)은 챗봇을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예컨대, 사용자의 발화에 의한 음성 입력, 텍스트 입력, 버튼 키입력, 썸네일 선택 등)을 네트워크(20)를 통해 챗봇 서버(30)에게로 전송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한 답변을 챗봇 서버(30)로부터 전달받아서 화면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가 직접 발화를 함에 따른 음성을 입력받아 이를 메시지화하여 챗봇 서버(3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소정의 텍스트를 메시지화하여 챗봇 서버(3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가 화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서 소정의 버튼을 클릭함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버튼 클릭 신호를 챗봇 서버(3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가 화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서 소정의 썸네일을 선택함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썸네일 선택 신호를 챗봇 서버(3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휴대용 단말기 또는 휴대용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컴퓨터는 노트북,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은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웨어러블(wearable) 컴퓨터 등의 각종 스마트 기기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2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20)는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네트워크(20)는 유선 및 무선이 혼용된 네트워크일 수 있다.
챗봇 서버(30)는 사용자와의 대화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챗봇 서버(30)에는 인공지능형 챗봇이 설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챗봇 서버(30)는 네트워크(2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단말(10)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답변을 검색하고, 검색된 답변을 해당 사용자 입력에 대한 답변으로 결정하여 사용자 단말(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챗봇 서버(30)는 응답 유도형 질문을 사용자 단말(10)에게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응답을 유도하기도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챗봇 서버의 내부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답변 인터페이스 가공부에서 가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의 답변의 일 예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답변 인터페이스 가공부에서 가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의 답변의 다른 예이다.
챗봇 서버(30)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31), 사용자 입력 분석부(32), 데이터베이스(33), 인공지능 기반 답변 생성부(34), 답변 인터페이스 가공부(35), 및 챗봇 기반 답변 제공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챗봇 서버(30)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챗봇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가 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수신부(31)는 네트워크(2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로부터의 챗봇 기반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화에 의한 음성 입력, 텍스트 입력, 버튼 키입력, 썸네일 선택 등이 있을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분석부(32)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31)에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분석부(32)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이 발화 또는 텍스트에 의한 자연어 질의어인 경우 해당 자연어 질의어를 분석하여 수신된 자연어 질의어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자연어 질의어의 분석 및 내용 파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아도,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주지의 기술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리라 본다.
한편, 사용자 입력 분석부(32)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이 버튼 클릭 신호인 경우에는 그 버튼 클릭 신호가 어느 버튼을 지칭하는지를 파악하여 인공지능 기반 답변 생성부(34)에게 알릴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입력 분석부(32)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이 썸네일 선택 신호이면 그 썸네일 선택 신호가 어느 썸네일을 지칭하는지를 파악하여 인공지능 기반 답변 생성부(34)에게 알릴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3)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즉, 데이터베이스(33)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답변을 저장한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챗봇 서버(30)가 지식베이스 기반의 챗봇 서버인 경우 AIML(Artificial Intelligence Markup Language) 기반의 패턴 매칭 방식의 검색과 온톨로지 방식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33)는 지식을 DB 또는 메모리에 지식 그래프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챗봇 서버(30)는 데이터베이스(33)에 구성된 지식 그래프를 검색하여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답변을 찾아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챗봇 서버(30)가 기계학습 기반의 챗봇 서버인 경우 데이터베이스(33)는 대량의 키(key)와 값(value)의 쌍으로 이루어진 학습 데이터를 학습한 최적의 기계학습 함수 모델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챗봇 서버(30)는 사용자 입력을 입력값으로 하여 데이터베이스(33)에게 API 질의를 한 후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답변 및 답변 정확도(즉, 신뢰도(%))를 출력 값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33)의 데이터 구조는 상술한 지식베이스 기반으로 답변을 제공하는 경우 또는 기계학습 기반으로 답변을 제공하는 경우, 또는 두 가지의 경우 등을 모두 감안하였다고 볼 수 있다.
기계학습 기반의 경우, 데이터베이스(33)는 사용자들이 질의 정보를 입력하였을 경우에 대응하는 답변 정보를 기계학습 기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자동으로 추출하고, 추출한 해당 내용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33)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학습하되, 학습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될만한 추천 답변 정보를 생성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이미지 파일 등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실행하여 답변 정보를 자동으로 추출 및 생성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입력한 특정 URL에 대한 파싱을 실행하여 URL 내에 포함된 정보에 대한 답변을 자동으로 추출 및 생성할 수 있다.
머신러닝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리지 회귀분석(Ridge Regression), 로지스틱 회기분석(Logistic Regression), 일반화선형모형(Generalized Linear Model),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변화 부양 모형(GradientBoosting Model) 및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리지 회귀분석은 기본적인 linear 모델이며 극단치 또는 이상점(outlier)을 핸들하기 위해 추가적인 파라미터를 제공한다. 로지스틱 회기분석은 기본적인 linear 모델이며 타겟변수 즉, 예측하려는 대상이 Binomial 분포도를 보일 때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일반화선형모형은 기본적인 linear 모델이며 타겟변수가 Poisson 분포도를 보일 때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랜덤 포레스트 앙상블모델로 다수의 decision tree가 모여 이루어진 모델로서, 각 decision tree는 입력 변수들과 타겟 변수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개별적으로 개발되며 상위 linear 모델 대비 더욱 유연(flexible)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변화 부양 모형은 Generalized Boosting Model(GBM) 이라고도 불리며 Random Forest와 비슷한 성향을 띠는 앙상블 모델이지만, 각 decision tree가 이미 만들어진 decision tree의 정확도를 고려하여 개발된다는 차이점이 존재하여 종종 Random Forest 대비 정확도가 높은 모델로 간주되기도 한다.
뉴럴 네트워크는 사실상 어떤 타겟이든 예측할 수 있는 아주 유연한 모델로 파라미터를 조정함에 따라 linear 패턴과 non-linear 패턴 둘 다 아우를 수 있기 때문에 파라미터 튜닝이 세밀하게 될 필요성이 있다. 특히, 뉴럴 네트워크는 기계학습과 인지과학에서 생물학의 신경망에서 영감을 얻은 통계학적 학습 알고리즘으로서, 이러한 신경망을 복합적으로 구성함으로써 딥 러닝 방식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뉴럴 네트워크는 전체적인 FC(Fully Connected), Max Pooling 및 convolution을 수반하여 최적화되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시계열적 데이터에 유용한 순차 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s, RNN)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기반 답변 생성부(34)는 사용자 입력 분석부(32)로부터의 결과(즉, 분석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답변을 데이터베이스(33)를 통해 검색할 수 있다.
인공지능 기반 답변 생성부(34)는 사용자 입력에 매칭되는 답변이 검색되는 경우 검색된 답변을 해당 사용자 입력에 대한 답변으로 추출한다.
답변 인터페이스 가공부(35)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하나 이상의 답변을 캐러셀로 구성하고, 캐러셀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답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썸네일이 포함되도록 챗봇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공하여 챗봇 기반 답변 제공부(36)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답변 인터페이스 가공부(35)는 도 4 또는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은 챗봇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답변 인터페이스 가공부(35)는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이미지 캐러셀(image carousel)에 포함된 답변 이미지들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이미지 영역과, 답변 이미지들에 각각 대응하는 썸네일들을 포함하는 썸네일 영역을 포함하는 챗봇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 도 4에 예시된 챗봇 사용자 인터페이스(UI)는 이미지 영역(41), 대제목 영역(42), 텍스트 답변 영역(43), 버튼 영역(44), 및 썸네일 영역(4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영역(41)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답변의 대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대제목 영역(42)은 사용자 입력에서의 키워드에 해당되는 대제목을 표시할 수 있다. 텍스트 답변 영역(43)은 사용자 입력에 대한 텍스트 형태의 답변을 표시할 수 있다. 버튼 영역(44)은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썸네일 영역(45)은 하나 이상의 썸네일(thumbnail)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썸네일 영역(45)의 각각의 썸네일은 사용자 입력에 대한 답변으로 채택된 각각의 답변의 간략화된 이미지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썸네일 영역(45)은 우선순위별로 왼쪽부터 한줄에 최대 5개 정도의 썸네일을 표시할 수 있으며, 최대 2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영역(41)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사용자 입력을 근거로 생성된 답변의 대표 이미지일 수 있다. 썸네일 영역(45)은 버튼 영역(44)과는 이격되게 버튼 영역(44)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썸네일 영역(45)의 썸네일은 이미지 캐러셀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캐러셀이라 함은 이미지 영역(41), 대제목 영역(42), 텍스트 답변 영역(43), 및 버튼 영역(44)을 통합한 카드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만약, 썸네일 영역(45)내의 어느 한 썸네일이 클릭(선택)되면, 답변 인터페이스 가공부(35)는 클릭된 썸네일에 해당하는 답변의 대표 이미지를 이미지 영역(41)에 표시시킬 것이고, 대제목 영역(42)에는 클릭된 썸네일에 해당하는 답변의 대제목을 표시시킬 것이고, 텍스트 답변 영역(43)에는 클릭된 썸네일에 해당하는 답변의 텍스트를 표시시킬 것이고, 버튼 영역(44)에는 클릭된 썸네일에 해당하는 답변에 부속된 하나 이상의 버튼을 표시시킬 것이다.
도 4의 챗봇 사용자 인터페이스(UI)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답변의 총 갯수(즉, 썸네일의 총 갯수)를 한눈에 알 수 있고, 답변 인터페이스 가공부(35)는 썸네일 영역(45)내의 어느 한 썸네일이 선택된 경우 이미지 캐러셀에 대한 이동동작없이 그 선택된 썸네일에 해당하는 답변을 현재 화면의 이미지 영역에 표시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게 된다.
도 4에 예시된 챗봇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는 텍스트 답변 영역(43) 및 버튼 영역(44)이 포함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텍스트 답변 영역(43) 및/또는 버튼 영역(44)은 없어도 무방하다.
한편, 답변 인터페이스 가공부(35)는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텍스트 답변 영역 및 하나 이상의 썸네일(thumbnail)을 포함하는 챗봇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 도 5에 예시된 챗봇 사용자 인터페이스(UI)는 텍스트 답변 영역(51), 버튼 영역(52), 및 썸네일 영역(53)을 포함할 수 있다. 텍스트 답변 영역(51)은 사용자 입력에 대한 텍스트 형태의 답변을 표시할 수 있다. 버튼 영역(52)은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썸네일 영역(53)은 하나 이상의 썸네일(thumbnail)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썸네일 영역(53)은 우선순위별로 왼쪽부터 한줄에 최대 5개 정도의 썸네일을 표시할 수 있으며, 최대 2줄로 구성될 수 있다. 텍스트 답변 영역(51)에 표시되는 텍스트는 사용자 입력을 근거로 생성된 해당 답변의 텍스트일 수 있다. 썸네일 영역(53)은 버튼 영역(52)과는 이격되게 버튼 영역(52)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썸네일 영역(53)의 썸네일은 텍스트 캐러셀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텍스트 캐러셀이라 함은 텍스트 답변 영역(51), 및 버튼 영역(52)을 통합한 카드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만약, 썸네일 영역(53)내의 어느 한 썸네일이 클릭(선택)되면 답변 인터페이스 가공부(35)는 클릭된 썸네일에 해당하는 답변의 텍스트를 텍스트 답변 영역(51)에 표시시킬 것이고, 버튼 영역(52)에는 클릭된 썸네일에 해당하는 답변에 부속되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표시시킬 것이다.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썸네일 영역(53)에 복수의 썸네일이 있는 경우에는 답변 인터페이스 가공부(35)는 썸네일별 구분을 위해 썸네일별로 서로 상이한 숫자를 표기할 수 있다.
도 5에 예시된 챗봇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는 버튼 영역(52)이 포함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버튼 영역(52)은 없어도 무방하다.
도 5의 챗봇 사용자 인터페이스(UI)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답변의 총 갯수(즉, 썸네일의 총 갯수)를 한눈에 알 수 있고, 답변 인터페이스 가공부(35)는 썸네일 영역(53)내의 어느 한 썸네일이 선택된 경우 텍스트 캐러셀에 대한 이동동작없이 그 선택된 썸네일에 해당하는 답변을 현재 화면의 텍스트 답변 영역에 표시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게 된다.
상술한 답변 인터페이스 가공부(35)는 답변을 이미지 캐러셀 또는 텍스트 캐러셀, 및 썸네일을 포함하는 챗봇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형태로 가공하여 챗봇 기반 답변 제공부(36)에게 전달하므로, 챗봇 사용자 인터페이스(UI) 가공부라고 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답변 인터페이스 가공부(35)가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답변을 도 4 또는 도 5에 예시된 챗봇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형태로 가공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답변을 보다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기존에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모든 답변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많은 횟수의 마우스 클릭으로 캐러셀을 한쪽 끝에서 다른쪽 끝까지 옮겨야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마우스 클릭으로 캐러셀을 한쪽 끝에서 다른쪽 끝까지 옮길 필요없이, 썸네일 영역내의 썸네일을 선택하면 현재 보여지는 화면에서 사용자 입력에 대한 모든 답변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챗봇 기반 답변 제공부(36)는 답변 인터페이스 가공부(35)로부터 전달되는 답변을 받아서 네트워크(2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에게로 전송한다.
상술한 도 3에서는 답변 인터페이스 가공부(35)와 챗봇 기반 답변 제공부(36)를 각각 구성시켰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하나의 모듈로 통합하여도 무방하다. 즉, 챗봇 기반 답변 제공부(36)가 답변 인터페이스 가공부(35)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거나, 답변 인터페이스 가공부(35)가 챗봇 기반 답변 제공부(36)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상술한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챗봇 서버(30)는 사용자와의 대화를 위한 대화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대화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10)에게로 응답 유도형 질문을 보내고 사용자 단말(10)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결국, 사용자 단말(10)로부터의 응답은 사용자 입력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31)를 대화부로 대체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대체하였을 경우 대화부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31)의 기능 뿐만 아니라 응답 유도형 질문을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0)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아니면, 사용자 입력 수신부(31)가 상술한 기능(즉, 네트워크(2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10)에게로 응답 유도형 질문을 보내고 사용자 단말(10)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 캐러셀 운용을 제공하는 챗봇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사용자 입력 수신부(31)가 네트워크(2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S10).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의 발화(utterance)에 의한 음성 입력, 텍스트 입력, 버튼 키입력, 썸네일 선택 등이 있을 수 있다.
이후, 사용자 입력 분석부(32)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31)에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분석한다(S12).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분석부(32)는 사용자 입력이 발화 또는 텍스트에 의한 자연어 질의어인 경우 해당 자연어 질의어를 분석하여 수신된 자연어 질의어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입력 분석부(32)는 사용자 입력이 버튼 클릭 신호인 경우에는 그 버튼 클릭 신호가 어느 버튼을 지칭하는지를 파악하여 인공지능 기반 답변 생성부(34)에게 알릴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입력 분석부(32)는 사용자 입력이 썸네일 선택 신호이면 그 썸네일 선택 신호가 어느 썸네일을 지칭하는지를 파악하여 인공지능 기반 답변 생성부(34)에게 알릴 수 있다.
이어, 인공지능 기반 답변 생성부(34)는 사용자 입력 분석부(32)의 분석 결과(즉,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답변을 데이터베이스(33)를 통해 검색한다. 그리고, 인공지능 기반 답변 생성부(34)는 사용자 입력에 매칭되는 답변이 검색되는 경우 검색된 답변을 해당 사용자 입력에 대한 답변으로 추출(생성)한다(S14).
이후, 답변 인터페이스 가공부(35)는 인공지능 기반 답변 생성부(34)로부터 전달받은 적어도 하나의 답변을 이미지 캐러셀 또는 텍스트 캐러셀, 및 썸네일을 포함하는 챗봇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형태로 가공하여 챗봇 기반 답변 제공부(36)에게 전달한다(S16).
그에 따라, 챗봇 기반 답변 제공부(36)는 답변 인터페이스 가공부(35)로부터의 답변을 네트워크(2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에게로 제공한다(S18).
즉, 챗봇 기반 답변 제공부(36)는 답변 인터페이스 가공부(35)에서 가공된 답변 즉, 도 4 또는 도 5에 예시된 챗봇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네트워크(2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사용자가 이미지 1에 관련된 발화를 한 경우에 제공되는 챗봇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일 예를 보여주고, 도 5는 사용자가 텍스트 답변(1)에 관련된 발화를 한 경우에 제공되는 챗봇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일 예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 캐러셀 운용을 제공하는 챗봇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와의 대화를 통해 사용자에게 적합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화장품을 추천받기 위한 사용자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챗봇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사용자와의 순차적인 대화를 통해 사용자에게 적합한 화장품을 추천해 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추천 내역(즉, 답변)을 도 8에서와 같이 이미지 캐러셀(image carousel) 및 다수의 썸네일을 포함하는 챗봇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형태로 보여줄 수 있다.
다른 예로서는, 도 9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임의의 쇼핑몰에 방문한 사용자에게 방문 목적(예컨대, 상품 배송, 교환&환불, 주문취소, 기타 문의 등)을 문의하고 해당 방문 목적에 대응되는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 먼저, 도 9에서와 같이 이미지 캐러셀(image carousel) 및 다수의 썸네일을 포함하는 챗봇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사용자 단말(10)에게로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는 도 9에 예시된 다수의 썸네일(이미지1 ~ 이미지5)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희망하는 카테고리(예컨대, 상품 배송, 교환&환불, 주문취소, 기타 문의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다수의 썸네일(이미지1 ~ 이미지5)중에서 썸네일(이미지2)을 선택하였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챗봇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도 10에서와 같이 해당 썸네일(이미지2)의 대표 이미지를 이미지 영역에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가 카테고리를 교환&환불로 하고 교환&환불 문의를 선택하였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챗봇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도 11에서와 같은 챗봇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사용자 단말(10)에게로 전송해 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효율적 캐러셀 운용을 제공하는 챗봇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사용자 단말 20 : 네트워크
30 : 챗봇 서버 31 : 사용자 입력 수신부
32 : 사용자 입력 분석부 33 : 데이터베이스
34 : 인공지능 기반 답변 생성부 35 : 답변 인터페이스 가공부
36 : 챗봇 기반 답변 제공부

Claims (4)

  1. 챗봇 기반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 기능;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하나 이상의 답변을 캐러셀로 구성하고, 상기 캐러셀에 포함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답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썸네일이 포함되도록 챗봇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공하여 출력하는 답변 인터페이스 가공 기능;을 포함하되,
    상기 챗봇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텍스트 답변 영역 및 하나 이상의 썸네일을 포함하는 썸네일 영역을 포함하는,
    챗봇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답변 인터페이스 가공 기능은,
    상기 썸네일 영역내의 어느 한 썸네일이 선택되면 선택된 썸네일에 해당하는 답변의 텍스트를 상기 텍스트 답변 영역에 표시하는,
    챗봇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답변 인터페이스 가공 기능은,
    상기 썸네일 영역내의 어느 한 썸네일이 선택된 경우 상기 텍스트 캐러셀에 대한 이동동작 없이, 상기 선택된 썸네일에 해당하는 답변을 현재 화면의 텍스트 답변 영역에 표시하는,
    챗봇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썸네일은,
    썸네일별 구분을 위해 썸네일별로 서로 상이한 숫자가 표기된,
    챗봇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
KR1020200074250A 2020-06-18 2020-06-18 텍스트 캐러셀 운용을 제공하는 챗봇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 KR202101565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250A KR20210156547A (ko) 2020-06-18 2020-06-18 텍스트 캐러셀 운용을 제공하는 챗봇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250A KR20210156547A (ko) 2020-06-18 2020-06-18 텍스트 캐러셀 운용을 제공하는 챗봇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547A true KR20210156547A (ko) 2021-12-27

Family

ID=79177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250A KR20210156547A (ko) 2020-06-18 2020-06-18 텍스트 캐러셀 운용을 제공하는 챗봇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654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3027A (ko) 2017-11-09 2019-05-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동 질문 생성을 이용한 챗봇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051890B1 (ko) 2018-05-31 2019-12-06 주식회사 빅트리 챗봇 기반 응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3027A (ko) 2017-11-09 2019-05-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동 질문 생성을 이용한 챗봇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051890B1 (ko) 2018-05-31 2019-12-06 주식회사 빅트리 챗봇 기반 응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2008B2 (en)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transforming and providing domain specific chatbot responses
Athreya et al. Enhancing Community Interactions with Data-Driven Chatbots--The DBpedia Chatbot
US202003274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ustomer journey event representation learning and outcome prediction using neural sequence models
CN101675432B (zh) 经由文本消息传输使能聚类搜索处理
CN103080927B (zh) 使用搜索结果的自动路由
US85435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o-creation platform
KR20170123325A (ko) 컨텍스트 발견
EP3447662A1 (en) System architecture for interactive query processing
CN106407425A (zh) 基于人工智能的推送信息的方法和装置
CN111552880A (zh) 基于知识图谱的数据处理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CN111339406B (zh) 个性化推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7172226B2 (ja) 検索装置、検索方法及び検索プログラム
CN113411246B (zh) 一种回复处理方法、装置和用于回复处理的装置
CN111787042A (zh) 用于推送信息的方法和装置
US11310325B2 (en) Application session event inference from network activity
KR20210156547A (ko) 텍스트 캐러셀 운용을 제공하는 챗봇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
KR20210156514A (ko) 이미지 캐러셀 운용을 제공하는 챗봇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프로그램
KR20210156508A (ko) 기록매체
KR20210156522A (ko) 이미지 및 텍스트 캐러셀 운용을 제공하는 챗봇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
KR20210156542A (ko) 텍스트 캐러셀 운용을 제공하는 챗봇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210156515A (ko) 기록매체
KR20210156533A (ko) 기록매체
KR20210156518A (ko) 이미지 및 텍스트 캐러셀 운용을 제공하는 챗봇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210156546A (ko) 텍스트 캐러셀 운용을 제공하는 챗봇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KR20210156520A (ko) 이미지 및 텍스트 캐러셀 운용을 제공하는 챗봇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