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5403A - Energy-saving multifunctional ventilation system - Google Patents

Energy-saving multifunctional ventil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5403A
KR20210155403A KR1020200071985A KR20200071985A KR20210155403A KR 20210155403 A KR20210155403 A KR 20210155403A KR 1020200071985 A KR1020200071985 A KR 1020200071985A KR 20200071985 A KR20200071985 A KR 20200071985A KR 20210155403 A KR20210155403 A KR 20210155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member
indoor
heat exchanger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9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57140B1 (en
Inventor
이상섭
Original Assignee
이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섭 filed Critical 이상섭
Priority to KR1020200071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140B1/en
Publication of KR20210155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4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1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B01D46/006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2012/007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 by-pass for bypassing the heat-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co-friendly energy saving type multifunctional ventilation system, which saves energy, has multiple functions, and controls each function by a single system.

Description

친환경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환기 시스템{Energy-saving multifunctional ventilation system}Eco-friendly energy-saving multifunctional ventilation system

본 발명은 에너지 절감이 가능 및 다기능을 갖추면서 각 기능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제어할 수 있는 친환경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co-friendly energy-saving multifunctional ventilation system that can control each function as one system while having energy-saving and multi-functionality.

주택, 아파트, 사무실 같은 밀폐된 실내 공간에서 장시간 활동하게 되면 실내 공기가 오염되어 이산화탄소(CO2), 미세먼지가 발생하게 된다.If you are active in a closed indoor space such as a house, apartment, or office for a long time, the indoor air is polluted and carbon dioxide (CO 2 ) and fine dust are generated.

이때, 창문을 개방하여 환기를 하면 창문을 통하여 실내 냉,난방된 공기가 쉽게 유실되어 열손실이 과다하며 미세먼지 발생 시 미세먼지가 함께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At this time, if the window is opened to ventilate, the air cooled and heated in the room is easily lost through the window, resulting in excessive heat los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가 큰 겨울철이나 여름철에는 실내의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봄철이나 가을철에 공기의 유동저항을 감소시키는 바이패스 기능을 구비한 환기장치가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7-0034878호로 제안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cently, a ventilation device having a bypass function that minimizes indoor heat loss in winter or summer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indoor and outdoor is large and reduces air flow resistance in spring or autumn has been disclosed in a domestic patent. It has been proposed as Publication No. 10-2017-0034878.

그러나, 상기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7-0034878호 등으로 제안된 환기장치는 내,외부의 전열교환과 유입 외기를 필터링하는 단순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환기가 불필요한 조건에서도 장시간 운전과 1차 전열교환 후 버려지는 잉여에너지로 에너지 낭비가 발생하며 필터에 부착되어 적재된 미세먼지는 필터 교환주기를 단축시킴과 더불어 환기 유입 풍량을 감소시켜 전열효율의 저하 및 세균 또는 곰팡이가 번식할 우려가 다분할 뿐만 아니라 실내 미세먼지 정화를 위해 별도 청정기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ventilation device proposed in th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7-0034878, etc., performs a simple function of exchanging internal and external heat and filtering the incoming outside air, it is The surplus energy discarded after the primary heat exchange causes energy wastage, and fine dust attached to the filter shortens the filter replacement cycle and reduces the amount of air inflow to ventilation, leading to a decrease in heat transfer efficiency and fear of bacterial or fungal growth.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eparate purifier must be provided to purify fine dust indoors as well as being divided into multiple parts.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7-0034878호Domestic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3487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환기시스템 운전시 1차 전열 교환 후 버려지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음은 물론 불필요한 운전 시간을 줄이며 본체 내부의 필터에 적재된 미세먼지를 청소 제거함으로 필터교환 주기를 연장하며 전열교환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필터 내 잔존하는 세균을 살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 미세먼지의 정화 및 탈취기능을 부가하여 사용자가 실내 청정기를 별도 구매할 필요가 없고, 태양광을 활용한 온수 및 전기히터 또는 다른 열원을 환기시스템 급배기실에 설치하여 난방열원으로 활용한다면 실내 보조 난방이 가능하며, 아울러, 화재 발생 시 중앙 경보장치와 연동되어 제연 운전하는 기능을 갖추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가능한 제어시스템을 구비한 친환경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환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save energy wasted after the first total heat exchange during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system, as well as reduce unnecessary operation time, and clean and remove fine dust loaded on the filter inside the body This can extend the filter replacement cycle and improve the total heat exchange ability, and furthermore, it can sterilize the bacteria remaining in the filter, and adds purification and deodorization functions of indoor fine dust, so that the user does not need to purchase an indoor purifier separately. In addition, if hot water using sunlight, electric heater, or other heat source is installed in the ventilation system supply/exhaust room and used as a heating heat source, auxiliary heating is possible. It aims to provide an eco-friendly, energy-saving multifunctional ventilation system equipped with a control system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by user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 상부와 일측 하부에 각각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제 1급기관 및 실내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관이 각각 형성되고, 타측 상부와 타측 하부에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제 2급기관 및 외부공기와 실내공기가 각각 유입 및 배기되는 급배기관이 각각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열교환기와; 상기 전열교환기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 및 실내공기를 각각 상기 배기관, 상기 제 2급기관 및 상기 급배기관으로 안내하는 바이패스 유로관과; 상기 본체의 내부로 외부공기와 실내공기를 각각 유입 및 상기 본체의 외부로 외부공기와 실내공기를 각각 배기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제 1급기관, 상기 배기관, 상기 제 2급기관, 상기 급배기관 및 상기 바이패스 유로관에 각각 구비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환기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irst-class pipe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and an exhaust pipe through which indoor air is exhausted, respectively, formed on one upper part and one lower part, respectively, and in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other upper part and the other lower part. a main body having a secondary pipe and a supply/exhaust pipe through which external air and indoor air are introduced and exhausted, respectively; a total heat exchanger provided inside the body; A bypass passag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otal heat exchanger to guide external air and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to the exhaust pipe, the secondary air supply pipe, and the supply/exhaust pipe, respectively duct; a blower for introducing external air and indoor air into the main body, respectively, and exhausting the external air and indoor air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It provides an eco-friendly energy-saving multifunctional ventilation system comprising a; opening and closing members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first grade pipe, the exhaust pipe, the second grade pipe, the supply/exhaust pipe, and the bypass flow pipe.

여기서, 상기 본체의 제 1급기관의 내측에 망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a mesh member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air supply pipe of the main body.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관은 상기 제 1급기관과 연통되어 상기 제 1급기관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일측 내면 상부에 구비되는 제 1바이패스 유로관과; 상기 제 1바이패스 유로관과 연통되어 상기 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상부 내면에 구비되는 제 2바이패스 유로관과; 상기 제 2바이패스 유로관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전열교환기의 타측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제 2바이패스 유로관의 하부부위에서 상기 전열교환기의 타측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제 3바이패스 유로관과; 상기 제 2급기관과 연통 및 상기 제 2바이패스 유로관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 2급기관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타측 내면 상부에 구비되는 제 4바이패스 유로관과; 상기 제 4바이패스 유로관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제 4바이패스 유로관의 하부에서 상기 급배기관의 후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타측 내면 하부에 구비되는 제 5바이패스 유로관과; 상기 제 5바이패스 유로관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제 5바이패스 유로관의 하부에서 상기 본체의 일측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하부 내면 타측에 구비되고, 전측방향에 상기 급배기관이 위치하는 제 6바이패스 유로관과; 상기 급배기관과 연통되어 상기 급배기관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내부 타측 하부에 구비되는 제 7바이패스 유로관과; 상기 배기관과 연통되어 상기 배기관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일측 내면 하부에 구비되는 제 8바이패스 유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ypass flow pipe communicates with the first air supply pipe and extends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first air supply pipe and a first bypass flow pip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one sid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 second bypass flow pipe communicated with the first bypass flow pipe and provid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body while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body to the other by a predetermined length; A third bypass extending for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ypass flow pipe position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to the upper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bypass flow pipe Euro pipe; a fourth bypass flow pipe extending for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econd supply pipe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ary pipe and communicate with the second bypass pipe pipe and provided on the other sid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A fifth bypass flow passage provided on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while being in communication with the fourth bypass flow pipe and exten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fourth bypass flow pipe to a downward slope in a rearward direction of the supply/exhaust pipe duct; In a state in communication with the fifth bypass flow pipe, the fifth bypass flow pipe extends from the lower part of the fifth bypass flow pipe in a direction to one side of the body and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body, and the supply and exhaust pipe in the front direction a sixth bypass flow pipe located; a seventh bypass flow pipe in communication with the supply and exhaust pipe and which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in a state in which it is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supply and exhaust pipe; An eighth bypass flow pipe communicated with the exhaust pipe and provided on the lower inn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main body in a state in which it is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exhaust pipe;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또한, 상기 전열교환기의 상부 중간과 제 2바이패스 유로관의 하부 중간 사이에 수직구비되는 상부구획판과, 상기 전열교환기의 하부 중간과 상기 제 6바이패스 유로관의 일측 사이에 수직구비되는 하부구획판과, 상기 전열교환기의 일측 중간과 상기 제 8바이패스 유로관의 상부 사이에 수평구비되는 일측구획판과, 상기 전열교환기의 타측 중간과 상기 제 4바이패스 유로관의 하부 사이에 수평구비되는 타측구획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판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pper partition plate is provided vertically between the middle of the upper middl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and the lower middle of the second bypass pipe, and the lower part is provided vertically between the middle of the lower part of the total heat exchanger and one side of the sixth bypass pipe. A partition plate, one side partition plate provided horizontally between the middle of one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and the upper part of the eighth bypass flow pipe, and a horizontal provision between the middle of the other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and the lower part of the fourth bypass flow pipe It is preferable that the other side partition plate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plate part configured to partition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나아가, 상기 전열교환기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는 헤파필터와, 상기 헤파필터의 상부에 구비되는 프리필터로 이루어지는 필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 filter including a HEPA filt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total heat exchanger and a pre-filter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EPA filter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전열교환기의 일측 상부에 상기 필터가 내측에 분리가능하게 수용되고, 상부에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 및 실내공기가 통과하는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부 내면과 하부 내면에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지지턱이 각각 형성되는 수용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헤파필터는 상기 지지턱의 하부방향의 상기 수용프레임의 내측에 분리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프리필터는 상기 지지턱의 상부방향의 상기 수용프레임의 내측에 분리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lter is separably accommodated in the upper part of one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external air and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body of the main body pass is formed at the upper part, and the inner surface is provid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and the lower inner surface.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frame each having supporting jaws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HEPA filter is detachably accommodated inside the receiving frame in a lower direction of the supporting jaw, and the pre-filter is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ing jaw It is preferable to be detachably accommodated on the inside of the receiving frame in the direction.

또한, 상기 구획판부의 타측구획판은 상기 전열교환기의 타측 중간과 상기 제 4바이패스 유로관의 하부 사이에 구비되는 실내청정필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ther partition plate of the partition plate includes an indoor cleaning filter provided between the middle of the other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and the lower part of the fourth bypass flow pipe.

여기서, 상기 전열교환기의 타측 중간에 상기 전열교환기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열교환기의 타측 중간에서 상기 제 4바이패스 유로관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각각 수평연장되는 상부지지턱 및 하부지지턱과, 상기 전열교환기의 타측 중간과 마주보는 상기 제 4바이패스 유로관의 하부부위에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가 각각 상기 상부지지턱 및 하부지지턱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절곡되는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타측구획판을 이루는 실내청정필터의 일측이 상기 상부지지턱과 하부지지턱 사이에 분리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타측구획판을 이루는 실내청정필터의 타측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분리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upper support jaw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total heat exchanger in the middle of the other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and horizontally extend for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fourth bypass flow pipe from the middle of the other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and a lower support jaw and a support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fourth bypass flow pipe facing the middle of the other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which are horizontally bent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support jaw and the lower support jaw, respectively A support member composed of a frame is provided, and one side of the indoor cleaning filter constituting the other partition plate is separably accommodated between the upper support jaw and the lower support jaw, and the other side of the indoor cleaning filter forming the other partition plate is provided. It is preferable to be detachably accommodated inside the support frame.

더불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자외선 살균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ultraviolet sterilization unit is provided inside the body.

아울러,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 및 실내공기와 열교환되는 열을 발산하는 열발산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heat dissipation unit for dissipating heat exchanged with external air and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여기서, 상기 열발산부는 열매체가 순환이동하는 순환라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 dissipation unit is formed of a circulation line through which the heating medium circulates.

또는, 상기 열발산부는 히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lternatively,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 dissipation unit is formed of a heater.

아울러, 상기 본체의 일측 내부 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인입되는 상기 제 1급기관의 타측 외면 및 상기 배기관의 타측 외면과, 상기 본체의 타측 내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인입되는 상기 제 2급기관의 일측 외면 및 상기 급배기관의 일측 외면과, 상기 바이패스 유로관의 외면에 단열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ther sid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upply pipe and the other side outer surface of the exhaust pipe, each of which is drawn in a certain length in the inner direction of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one side of the second class pipe which is drawn in by a certain length in the inner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insulating layers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supply and exhaust pip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ypass flow pipe.

그리고, 상기 본체의 전측은 개방되고, 상기 본체의 전측에 상기 본체의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판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is opened, and an opening/closing plate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본체의 전측 가장자리와 상기 개폐판부의 후측 가장자리 사이에 패킹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acking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front edge of the main body and the rear edg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part.

나아가,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제 1급기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 1급기관을 개폐하는 제 1개폐부재 및 제 2개폐부재와; 상기 제 1바이패스 유로관에 구비되어 상기 제 1바이패스 유로관을 개폐하는 제 3개폐부재와; 상기 제 2바이패스 유로관에 구비되어 상기 제 2바이패스 유로관을 개폐하는 제 4개폐부재와; 상기 제 3바이패스 유로관에 구비되어 상기 제 3바이패스 유로관을 개폐하는 제 5개폐부재와; 상기 제 4바이패스 유로관에 구비되어 상기 제 4바이패스 유로관을 개폐하는 제 6개폐부재와; 상기 제 2급기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 2급기관을 개폐하는 제 7개폐부재 및 제 8개폐부재와; 상기 급배기관에 구비되어 상기 급배기관을 개폐하는 제 9개폐부재와; 상기 제 7바이패스 유로관에 구비되어 상기 제 7바이패스 유로관을 개폐하는 제 10개폐부재와; 상기 제 8바이패스 유로관에 구비되어 상기 제 8바이패스 유로관을 개폐하는 제 11개폐부재와; 상기 배기관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관을 개폐하는 제 12개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lass pipe, respectively, a first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class pipe; a third opening/closing member provided in the first bypass flow pipe to open and close the first bypass flow pipe; a fourth opening/closing member provided in the second bypass flow pipe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bypass flow pipe; a fifth opening/closing member provided in the third bypass flow pipe to open and close the third bypass flow pipe; a six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provided on the fourth bypass flow pipe to open and close the fourth bypass flow pipe; a seven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an eigh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respectively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ary pipe to open and close the secondary pipe; a nin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provided in the supply and exhaust pipe to open and close the supply and exhaust pipe; a tenth opening/closing member provided in the seventh bypass flow pipe to open and close the seventh bypass flow pipe; an eleventh opening/closing member provided on the eighth bypass flow pipe to open and close the eighth bypass flow pipe; A twelfth opening/closing member provided in the exhaust pipe to open and close the exhaust pipe is preferably included.

더불어, 상기 송풍기, 상기 개폐부재 및 상기 자외선살균부를 제어하고, ON상태 및 OFF 상태로 설정가능한 자동운전모드 및 수동운전모드와, 상기 송풍기, 개폐부재 및 상기 자외선살균부로의 전원을 공급 및 차단시키기 위한 전원스위치부와, 상기 수동운전모드가 ON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실내환기를 위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전열교환기에서 상호 열교환 및 상기 전열교환기에 구비된 필터를 통해 정화된 외부공기 및 실내공기가 실내로 배기될 수 있도록 상기 송풍기 및 상기 개폐부재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환기운전스위치부와, 상기 수동운전모드가 ON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실내 청정을 위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타측구획판을 이루는 실내청정필터를 통해 정화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배기될 수 있도록 상기 송풍기 및 상기 개폐부재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실내청정운전스위치부와, 상기 수동운전모드가 ON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환절기 실내 냉방온도값을 조절 및 조절된 냉방온도값에 따라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된 고온의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기 및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타측구획판을 이루는 실내청정필터를 통과하는 저온의 외부공기가 실내로 배기될 수 있도록 상기 송풍기와 상기 개폐부재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실내냉방온도설정부가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에 설정된 자동운전모드는 실내 난방 또는 실내 냉방 중 실내 환기를 위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전열교환기에서 상호 열교환 및 상기 전열교환기에 구비된 필터를 통해 정화된 외부공기 및 실내공기가 실내로 배기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송풍기 및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실내환기운전모드와; 실내 청정을 위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타측구획판을 이루는 실내청정필터를 통해 정화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배기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송풍기 및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실내청정운전모드와; 간절기 냉방을 위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된 고온의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기 및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타측구획판을 이루는 실내청정필터를 통과하는 저온의 외부공기가 실내로 배기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송풍기 및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간절기 외기 냉방운전모드와; 상기 전열교환기에 구비된 필터의 청소를 위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전열교환기 및 상기 전열교환기에 구비된 필터를 통과하는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기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송풍기 및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전열교환기 필터 청소운전모드와; 상기 타측구획판을 이루는 실내청정필터의 청소를 위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타측구획판을 이루는 실내청정필터를 통과하는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기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송풍기 및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실내 청정 필터 청소운전모드와; 상기 전열교환기의 청소 및 건조를 위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전열교환기 및 상기 전열교환기에 구비된 필터를 통과하는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기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송풍기 및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전열교환기 청소 및 건조운전모드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자외선살균부가 상기 전열교환기와 상기 전열교환기에 구비된 필터 및 상기 타측구획판을 이루는 실내청정필터를 살균소독하는 필터 및 전열교환기 살균소독운전모드와; 실내 난방 및 실내 환기를 위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전열교환기에서 상호열교환된 후 상기 순환라인을 순환이동하는 열매체와 재차 열교환된 외부공기 및 실내공기가 실내로 배기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송풍기 및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환기 및 난방운전모드와; 실내공기와 함께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된 연기가 실외로 배기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송풍기 및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실내공기 제연운전모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o control the blower,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the UV sterilization unit, and to supply and cut off power to the automatic operation mode and manual operation mode that can be set to ON and OFF states, and the blower,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the UV sterilization unit a power switch unit for a power switch, and in a state in which the manual operation mode is set to ON, it flows into the body for indoor ventilation, exchanges mutual heat in the total heat exchanger, and external air and indoor air purified through a filter provided in the total heat exchanger A ventilation operation switch unit for outputting control signals of the blower and the opening/closing member so that air can be exhausted into the room, and the manual operation mode is set to ON state to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for indoor cleaning and the other side an indoor clean operation switch unit for outputting control signals of the blower and the opening/closing member so that indoor air purified through the indoor cleaning filter constituting the partition plate can be exhausted into the room; The indoor cooling temperature value of the changing season is adjusted and the high-temperature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adjusted cooling temperature value is exhausted to the outside and flows into the main body and passes through the indoor cleaning filter forming the other partition plate. and a control unit provided with an indoor cooling temperature setting unit for outputting control signals of the blower and the opening/closing member so that low-temperature outside air can be exhausted into the room;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blower and the opening/closing member so that external air and indoor air that is introduced into the body for indoor ventilation during cooling, exchanged heat in the total heat exchanger and purified through a filter provided in the total heat exchanger are exhausted into the room. an indoor ventilation operation mode for controlling an indoor cleaning operation mode in which the controller controls the blower and the opening/closing member so that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for indoor cleaning and purified through an indoor cleaning filter forming the other partition plate is exhausted into the room;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high-temperature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body for cooling in the changing season is exhausted to the outside and the low-temperatur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body and passing through the indoor cleaning filter constituting the other partition plate is exhausted into the room a changing-season outdoor air cooling operation mode for controlling the blower and the opening/closing member;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blower and the opening/closing member so that indoor air flowing into the main body and passing through the filter provided in the total heat exchanger and the total heat exchanger for cleaning the filter provided in the total heat exchanger is exhausted to the outdoors a total heat exchanger filter cleaning operation mode; The controller controls the blower and the opening/closing member so that indoor air flowing into the main body and passing through the indoor cleaning filter forming the other partition plate is exhausted to the outdoors for cleaning the indoor cleaning filter constituting the other partition plate. an indoor clean filter cleaning operation mode; For cleaning and drying the total heat exchanger,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blower and the opening/closing member so that indoor air flowing into the main body and passing through a filter provided in the total heat exchanger and the total heat exchanger is exhausted to the outdoors. exchanger cleaning and drying operation mode; a filter and total heat exchanger sterilization operation mode in which the ultraviolet sterilization unit steriliz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e filter provided in the total heat exchanger and the total heat exchanger and the indoor cleaning filter constituting the other partition plate; For indoor heating and indoor ventila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blower and the indoor air so that the external air and indoor air, which are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and exchanged with each other in the total heat exchanger, are heat-exchanged with the heating medium that circulates and moves through the circulation line to be exhausted into the room. a ventilation and heating operation mod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Preferably, it is configured in an indoor air ventilation operation mode in which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blower and the opening/closing member so that the smok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together with the indoor air is exhausted to the outdoors.

아울러, 실외온도를 측정하는 실외온도측정부와; 실내온도를 측정하는 실내온도측정부와; 실외습도를 측정하는 실외습도측정부와; 실내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이산화탄소농도측정부와; 실내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농도측정부와; 상기 실외온도측정부와 상기 실내온도측정부의 실외온도측정값 및 실내온도측정값을 각각 표시하는 온도표시부와; 상기 이산화탄소농도측정부가 측정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표시하는 이산화탄소농도표시부와; 상기 미세먼지농도측정부가 측정한 미세먼지의 농도를 표시하는 미세먼지농도표시부와; 실내에 발생된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부와; 상기 전열교환기의 필터의 청소시간대와, 상기 타측구획판을 이루는 실내청정필터의 청소시간대 및 상기 전열교환기, 상기 전열교환기의 필터, 상기 타측구획판을 이루는 실내청정필터의 살균소독시간대를 각각 설정하는 타이머;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산화탄소농도측정부의 실내 이산화탄소의 농도측정값에 따라 상기 실내환기운전모드의 송풍기와 개폐부재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세먼지농도측정부의 미세먼지의 농도측정값에 따라 상기 실내청정운전모드의 송풍기와 개폐부재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간절기 기간에 상기 실외온도측정부와 상기 실내온도측정부의 실외온도측정값 및 실내온도측정값에 따라 상기 간절기 외기 냉방운전모드의 송풍기 및 개폐부재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에 설정된 상기 전열교환기의 필터청소시간대에 상기 전열교환기 필터 청소운전모드의 상기 송풍기 및 개폐부재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에 설정된 상기 타측구획판을 이루는 실내청정필터의 청소시간대에 상기 실내 청정 필터 청소운전모드의 상기 송풍기 및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습도측정부의 실외습도값에 따라 상기 전열교환기 청소 및 건조운전모드의 상기 송풍기 및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에 설정된 상기 전열교환기, 상기 전열교환기의 필터, 상기 타측구획판을 이루는 실내청정필터의 살균소독시간대에 상기 필터 및 전열교환기 살균소독운전모드의 자외선살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겨울철 기간에 상기 실외온도측정부와 상기 실내온도측정부의 실외온도측정값 및 실내온도측정값에 따라 상기 환기 및 난방운전모드의 송풍기 및 개폐부재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기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실내공기 제연운전모드의 상기 송풍기 및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n outdoor temperatur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outdoor temperature; an indoor temperatur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indoor temperature; an outdoor humidity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outdoor humidity; a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indoor fine dust; a temperatur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outdoor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and the indoor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of the outdoor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and the indoor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a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measured by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a fine dust concentra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measured by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a smok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smoke generated in the room; The cleaning time of the filter of the total heat exchanger, the cleaning time of the indoor cleaning filter constituting the other partition plate, and the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time period of the total heat exchanger, the filter of the total heat exchanger, and the indoor cleaning filter constituting the other partition plate, respectively. timer; is provided,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blower and the opening/closing member of the indoor ventilatio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measurement value of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measurement unit, and the control unit measures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by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unit Controls the blower and the opening/closing member of the indoor cle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value, and the controller operates the outdoor air cooling operation in the changing season according to the outdoor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and the indoor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of the outdoor temperature measuring unit and the indoor temperature measuring unit in the changing season period control the blower and the opening/closing member of the mod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blower and the opening/closing member of the total heat exchanger filter cleaning operation mode in the filter cleaning time period of the total heat exchanger set in the timer, and the control unit is set in the timer The blower and the opening/closing member in the indoor clean filter cleaning operation mode are controlled during the cleaning time period of the indoor cleaning filter constituting the other partition plate, and the control unit cleans and drys the total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outdoor humidity value of the outdoor humidity measurement unit. Mode controls the blower and the opening/closing member, and the control unit sterilizes and disinfects the filter and the total heat exchanger during the sterilization time period of the total heat exchanger set in a timer, the filter of the total heat exchanger, and the indoor cleaning filter constituting the other partition plate. control the ultraviolet sterilization unit of the mode,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blower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n the ventilation and heating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outdoor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and the indoor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of the outdoor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and the indoor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in the winter period, ,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blower and the opening/closing member in the indoor air ventilatio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moke detection unit.

본 발명은 불필요한 환기운전을 제어하며 전열 교환 후 버려지는 2차 폐열까지 활용하는 기술로 전열효율이 높아 버려지는 에너지가 없으며, 필터 자동청소로 필터 교체주기를 연장하며 세균번식을 억제 및 살균할 수 있어 유해세균의 실내유입을 차단할 수 있고, 겨울철 난방 시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 및 전기, 또는 다양한 열원을 난방열로 공급이 가능하며, 나아가, 화재 발생 시 중앙 제어장치와 연동하여 제연운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모든 기능이 최적화되어 운전되도록 자동과 수동 제어를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that controls unnecessary ventilation operation and utilizes even the secondary waste heat discarded after total heat exchange.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is high, so there is no wasted energy. It is possible to block the inflow of harmful bacteria into the room, and it is possible to supply hot water and electricity using solar heat or various heat sources as heating heat during winter heating. It has the effect of supporting automatic and manual control so that the function is optimized to operate.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친환경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환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절개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투시도이고,
도 5는 본체에서 필터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절개사시도이고,
도 6은 본체의 내부에 자외선 살균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본체의 내부에 순환라인이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8은 제 1급기관의 외면, 배기관의 외면, 제 2급기관의 외면, 급배기관의 외면 및 바이패스 유로관의 외면에 단열층이 각각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9는 본체에서 개폐판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1은 본체와 개폐판부 사이에 패킹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실내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13은 자동운전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14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15는 자동운전모드 및 수동운전모드의 작동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6은 난방시 실내환기운전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17은 냉방시 실내환기운전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18은 실내 청정운전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19는 간절기 외기 냉방운전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20은 프리필터 및 헤파필터 청소운전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21은 실내 청정필터 청소운전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22는 전열교환기 청소 및 건조운전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23은 환기 및 난방운전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24는 실내공기 제연운전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1 and 2 are cut-away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eco-friendly energy-saving multifunctional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5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ter is separated from the body;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ltraviolet sterilization unit is provided inside the body;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irculation line is accommodated inside the body;
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insulating layer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lass pipe, the outer surface of the exhaust pipe,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lass pipe,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ly and exhaust pip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ypass flow pipe, respectively;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closing plate part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FIG. 9;
1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cking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opening/closing plate part;
1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indoor control device;
1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automatic operation mode;
1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state of a control unit;
15 is a flowchart sequentially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automatic operation mode and the manual operation mode,
1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door ventilation operation mode during heating;
1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door ventilation operation mode during cooling;
1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door clean operation mode;
19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utdoor air cooling operation mode between seasons;
20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e-filter and a HEPA filter cleaning operation mode;
2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door clean filter cleaning operation mode;
2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total heat exchanger cleaning and drying operation mode;
2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ntilation and heating operation mode;
2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door air ventilation operation mod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친환경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환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절개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종단면도이다.1 and 2 are cut-away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eco-friendly energy-saving multifunctional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친환경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환기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 감지부, 제어부 및 실내조절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n eco-friendly energy-saving multifunctional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먼저, 상기 본체(10)의 일측 상부에는 실외의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제 1급기관(110)이 수평형성될 수 있다.First, the first air supply pipe 110 through which outdoor air is introduced may be horizont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 .

상기 제 1급기관(110)의 일측은 상기 본체(1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노출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first air supply pipe 110 may be exposed at a predetermined length in an outer direction of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

상기 제 1급기관(110)의 타측은 상기 본체(10)의 일측 내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인입될 수 있다.The other side of the first supply pipe 110 may be drawn in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inner direction of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

상기 본체(10)의 일측 하부에는 실내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관(120)이 수평형성될 수 있다.An exhaust pipe 120 through which indoor air is exhausted may be horizontally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

상기 배기관(120)의 일측은 상기 본체(1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노출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exhaust pipe 120 may be exposed at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outside of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

상기 배기관(120)의 타측은 상기 본체(10)의 일측 내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인입될 수 있다.The other side of the exhaust pipe 120 may be drawn into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in an inner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본체(10)의 타측 상부에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제 2급기관(130)이 수평형성될 수 있다.A secondary pipe 130 through which indoor air is introduced may be horizontally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0 .

상기 제 2급기관(130)의 타측은 상기 본체(10)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노출될 수 있다.The other side of the secondary air pipe 13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0 by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제 2급기관(130)의 일측은 상기 본체(10)의 타측 내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인입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second supply pipe 130 may be drawn in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0 in an inner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본체(10)의 타측 하부에는 실외의 외부공기와 실내공기가 각각 유입 및 배기되는 급배기관(140)이 수평형성될 수 있다.A supply/exhaust pipe 140 through which outdoor air and indoor air are introduced and exhausted, respectively, may be horizontally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0 .

상기 급배기관(140)의 타측은 상기 본체(10)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노출될 수 있다.The other side of the supply and exhaust pipe 14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0 by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급배기관(140)의 일측은 상기 본체(10)의 타측 내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인입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supply and exhaust pipe 140 may be drawn in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0 in an inner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length.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전열교환기(20), 바이패스 유로관(30), 송풍기(40) 및 개폐부재(50)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total heat exchanger 20 , a bypass flow pipe 30 , a blower 40 , and an opening/closing member 50 ar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

상기 전열교환기(20)는 마름모 형태로 상기 본체(10)의 내부 중심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total heat exchanger 20 may be provid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main body 10 in a rhombus shape.

상기 바이패스 유로관(30)은 상기 전열교환기(2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 및 실내공기를 각각 상기 배기관(120), 상기 제 2급기관(130) 및 상기 급배기관(140)으로 안내할 수 있다.The bypass flow pipe 30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otal heat exchanger 20 to dissipate external air and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10, respectively. It may guide the exhaust pipe 120 , the secondary air pipe 130 , and the supply/exhaust pipe 140 .

상기 송풍기(4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외부공기와 실내공기를 각각 유입 및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와 실내공기를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각각 배기시킬 수 있다.The blower 40 introduces external air and indoor air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respectively, and exhausts the external air and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10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respectively. can

상기 송풍기(40)는 일예로, 제 1송풍기(410)와 제 2송풍기(420)로 구성될 수 있다.The blower 40 may include, for example, a first blower 410 and a second blower 420 .

상기 제 1송풍기(410)는 상기 배기관(120)의 타측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blower 410 may be provided inside the other side of the exhaust pipe 120 .

상기 제 2송풍기(420)는 상기 급배기관(140)의 일측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blower 420 may be provided inside one side of the supply and exhaust pipe 140 .

상기 개폐부재(50)는 상기 제 1급기관(110), 상기 배기관(120), 상기 제 2급기관(130), 상기 급배기관(140) 및 상기 바이패스 유로관(30)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 1급기관(110), 상기 배기관(120), 상기 제 2급기관(130), 상기 급배기관(140) 및 상기 바이패스 유로관(30)을 각각 개폐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member 50 is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air supply pipe 110 , the exhaust pipe 120 , the second air supply pipe 130 , the supply and exhaust pipe 140 , and the bypass flow pipe 30 . The primary pipe 110 , the exhaust pipe 120 , the secondary pipe 130 , the supply/exhaust pipe 140 , and the bypass flow pipe 30 may be opened and closed, respectively.

상기 개폐부재(50)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개폐댐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member 50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and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n opening/closing damper.

다음으로, 상기 제 1급기관(110)을 통해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실외의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과정 중에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나방, 파리, 모기, 하루살이 등의 해충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망부재(111)가 상기 제 1급기관(110)의 일측 내부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Next, pests, such as moths, flies, mosquitoes, and mayfly, ar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 while the out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first class pipe 110 . A mesh member 111 for preventing the occurrence may be vertically provided inside one side of the first grade pipe 110 .

상기 망부재(111)는 상기 제 1급기관(110)의 일측 내부에만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설치 현장에 따라서 상기 배기관(120)의 일측 내부, 상기 제 2급기관(130)의 타측 내부, 상기 급배기관(140)의 타측 내부에도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mesh member 111 is not necessarily provided only inside one side of the first class pipe 110, and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site, one side inside of the exhaust pipe 120, the other side inside of the second class pipe 130 , of course, may also be provided inside the other side of the supply and exhaust pipe 140 .

도 4는 도 1의 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1 ;

다음으로, 상기 바이패스 유로관(30)은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제 1바이패스 유로관(310), 제 2바이패스 유로관(320), 제 3바이패스 유로관(330), 제 4바이패스 유로관(340), 제 5바이패스 유로관(350), 제 6바이패스 유로관(360), 제 7바이패스 유로관(370) 및 제 8바이패스 유로관(3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S. 3 and 4 , the bypass flow pipe 30 includes a first bypass flow pipe 310 , a second bypass flow pipe 320 , and a third bypass flow pipe ( 330), the fourth bypass channel pipe 340, the fifth bypass channel pipe 350, the sixth bypass channel pipe 360, the seventh bypass channel pipe 370, and the eighth bypass channel pipe ( 380) may be included.

상기 제 1바이패스 유로관(310)은 상기 제 1급기관(110)의 타측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제 1급기관(11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10)의 일측 내면 상부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bypass flow pipe 310 is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first air supply pipe 110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air supply pipe 110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 It may be provided vertically on the upper inner surface.

상기 제 2바이패스 유로관(320)의 일측이 상기 제 1바이패스 유로관(310)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 2바이패스 유로관(320)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된 상태로 상기 본체(10)의 상부 내면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bypass flow pipe 320 has a predetermined length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to the other so that one side of the second bypass flow pipe 320 communicates with the first bypass flow pipe 310 . It may be provided horizontally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n a state extending from side to side.

상기 제 3바이패스 유로관(330)은 상기 제 2바이패스 유로관(320)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전열교환기(2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제 2바이패스 유로관(320)의 하부부위에서 상기 전열교환기(20)의 타측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될 수 있다.The third bypass flow pipe 33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bypass flow pipe 320 and is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 .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320 may be vertically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

상기 제 4바이패스 유로관(340)은 상기 제 2급기관(130)의 일측과 연통 및 상기 제 2바이패스 유로관(320)의 타측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 2급기관(13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10)의 타측 내면 상부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The fourth bypass flow pipe 340 communicates with one side of the second grade pipe 130 and communicates with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bypass flow pipe 320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econd grade pipe 130 . It may extend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be provided vertically on the other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

상기 제 5바이패스 유로관(350)은 상기 제 4바이패스 유로관(340)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제 4바이패스 유로관(34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10)의 타측 내면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fifth bypass flow pipe 350 extends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fourth bypass flow pipe 340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fourth bypass flow pipe 340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main body 10 . It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other side.

상기 제 6바이패스 유로관(360)은 상기 제 5바이패스 유로관(350)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제 5바이패스 유로관(350)의 하부에서 상기 본체(10)의 일측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10)의 하부 내면 타측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The sixth bypass flow pipe 36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fth bypass flow pipe 350 and has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ifth bypass flow pipe 350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 , and may be horizontally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

상기 제 7바이패스 유로관(370)은 상기 급배기관(140)의 일측과 연통되어 상기 급배기관(14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된 상태로 상기 본체(10)의 내부 타측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seventh bypass flow pipe 370 communicates with one side of the supply/exhaust pipe 140 and vertically extends for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supply/exhaust pipe 140. can be provided.

상기 제 8바이패스 유로관(380)은 상기 배기관(120)의 타측과 연통되어 상기 배기관(12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본체(10)의 일측 내면 하부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The eighth bypass flow pipe 380 communicates with the other side of the exhaust pipe 120 and is vertically provided under the inn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in a state in which it extends for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exhaust pipe 120 . can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6바이패스 유로관(360)의 전측방향에 상기 급배기관(140)이 위치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4 , the supply and exhaust pipe 140 may be position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sixth bypass flow pipe 360 .

여기서, 상기 급배기관(140)이 상기 제 2급기관(130)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10)의 타측 하부에 상기 급배기관(140)을 설치하는 과정 중에 상기 제 5바이패스 유로관(350)이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5바이패스 유로관(350)은 상기 제 4바이패스 유로관(340)의 하부에서 상기 급배기관(14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Here, during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supply and exhaust pipe 14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supply and exhaust pipe 140 is positioned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e second supply pipe 130, the fifth bypass flow path In order to prevent the pipe 350 from being obstructed, the fifth bypass flow pipe 350 is down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ourth bypass flow pipe 340 in the rear direction opposite to the front side of the supply and exhaust pipe 140 . It may be inclined and extended to a certain length.

다음으로, 상기 본체(10)의 내부를 구획하기 위한 구획판부(11)가 구비될 수 있다.Next, a partition plate 11 for partitioni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may be provided.

상기 구획판부(1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부구획판(111), 하부구획판(112), 일측구획판(113) 및 타측구획판(114)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 the partition plate 11 may include an upper partition plate 111 , a lower partition plate 112 , one partition plate 113 and the other partition plate 114 . .

상기 상부구획판(111)은 상기 전열교환기(20)의 상부 중간과 제 2바이패스 유로관(320)의 하부 중간 사이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The upper partition plate 111 may be provided vertically between the upper middl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 and the lower middle of the second bypass flow pipe 320 .

상기 하부구획판(112)은 상기 전열교환기(20)의 하부 중간과 상기 제 6바이패스 유로관(360)의 일측 상부 사이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The lower partition plate 112 may be provided vertically between a lower middle portion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 and an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sixth bypass flow pipe 360 .

상기 일측구획판(113)은 상기 전열교환기(20)의 일측 중간과 상기 제 8바이패스 유로관(380)의 상부 일측의 반대측인 상부 타측 사이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The one-side partition plate 113 may be provided horizontally between the middle of one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 and the other upper side opposite to the upper side of the eighth bypass flow pipe 380 .

상기 타측구획판(114)은 상기 전열교환기(20)의 타측 중간과 상기 제 4바이패스 유로관(340)의 하부 일측 사이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The other partition plate 114 may be provided horizontally between the middle of the other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 and a lower side of the fourth bypass flow pipe 340 .

상기 상부구획판(111)과 상기 일측구획판(113) 사이의 상기 본체(10)의 내부 일측 상부에 제 1챔버(10a)가 형성될 수 있다.A first chamber 10a may be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on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10 between the upper partition plate 111 and the one-side partition plate 113 .

상기 상부구획판(111)과 상기 타측구획판(114) 사이의 상기 본체(10)의 내부 타측 상부에 제 2챔버(10b)가 형성될 수 있다.A second chamber 10b may b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other inner side of the main body 10 between the upper partition plate 111 and the other partition plate 114 .

상기 하부구획판(112)과 상기 일측구획판(113) 사이의 상기 본체(10)의 내부 일측 하부에 제 3챔버(10c)가 형성될 수 있다.A third chamber 10c may b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on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10 between the lower partition plate 112 and the one-side partition plate 113 .

상기 하부구획판(112)과 상기 타측구획판(114) 사이의 상기 본체(10)의 내부 타측 하부에 제 4챔버(10d)가 형성될 수 있다.A fourth chamber 10d may be formed in the lower inn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between the lower partition plate 112 and the other partition plate 114 .

도 5는 본체에서 필터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절개사시도이다.5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ter is separated from the body.

다음으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열교환기(20)의 일측 상부에 상기 전열교환기(20)를 각각 통과하는 외부공기 및 실내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21)가 구비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5 , a filter 21 for purifying external air and indoor air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20, respectively, may be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 .

상기 필터(21)의 교체보수성 향상을 위해 상기 전열교환기(20)의 일측 상부에 상기 필터(21)가 분리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프레임(22)이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replaceability of the filter 21 , an accommodating frame 22 in which the filter 21 is detachably accommodated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 .

상기 수용프레임(22)의 내측에 상기 필터(21)가 분리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프레임(22)의 상부에는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 및 실내공기가 통과하는 관통구(221)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lter 21 may be detachably accommodated inside the accommodating frame 22 , and the external air and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body 10 pass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frame 22 . A through hole 221 may be formed.

상기 수용프레임(22)의 내측에 1개의 상기 필터(21)가 구비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 이상의 복수의 필터(21)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e filter 21 may be provided inside the accommodating frame 22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wo or more filters 21 may be provided.

일예로, 복수의 상기 필터(21)는 헤파필터(211)와 프리필터(212)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filters 21 may include a HEPA filter 211 and a pre-filter 212 .

상기 헤파필터(211)는 상기 전열교환기(20)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열교환기(20)를 각각 통과하는 외부공기 및 실내공기에 포함된 미세 입자를 포집할 수 있다.The HEPA filter 211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 to collect fine particles contained in the outdoor air and the indoor air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20 , respectively.

상기 프리필터(212)는 상기 헤파필터(211)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열교환기(20)를 각각 통과하는 외부공기 및 실내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The pre-filter 212 is provided on the HEPA filter 211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contained in the external air and indoor air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20, respectively.

복수의 상기 필터(21)가 상기 수용프레임(22)의 내측에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프레임(22)의 상부 내면 중간과 하부 내면 중간에는 상기 수용프레임(22)의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지지턱(22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llow the plurality of filters 21 to be easily accommodated inside the accommodating frame 22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as shown in FIG. 5 , the middle and In the middle of the lower inner surface, the supporting jaws 222 extending to the inside of the receiving frame 22 by a predetermined length may be formed, respectively.

상기 헤파필터(211)는 상기 지지턱(222)의 하부방향의 상기 수용프레임(22)의 내측에 분리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The HEPA filter 211 may be detachably accommodated inside the accommodation frame 22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support jaw 222 .

상기 프리필터(212는 상기 지지턱(222)의 상부방향의 상기 수용프레임(22)의 내측에 분리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The pre-filter 212 may be detachably accommodated inside the accommodation frame 22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support jaw 222 .

다음으로,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 및 실내공기의 정화효율 및 청정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구획판부(11)의 타측구획판(114)은 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Next,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purification efficiency and cleaning efficiency of the external and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body 10, the other partition plate 114 of the partition plate part 11 is formed of a filter. can

상기 타측구획판(114)을 이루는 필터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를 여과 및 탈취할 수 있도록 항균, 탈취, 미세먼지 및 바이러스 제거가 가능한 기능성 필터여재 등의 실내청정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lter constituting the other partition plate 114 may be of various types, and for example, a functional filter media capable of antibacterial, deodorizing, fine dust and virus removal so as to filter and deodorize indoor and outdoor air. It may consist of a clean filter.

상기 타측구획판(114)을 이룰 수 있는 실내청정필터의 교체보수성 향상을 위해, 상기 타측구획판(114)을 이루는 실내청정필터를 분리가능하게 수용한 상태로 일정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23)가 구비될 수 있다.A support member ( 23) may be provided.

상기 지지부재(23)는 상부지지턱(231), 하부지지턱(232) 및 지지프레임(233)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23 may include an upper support jaw 231 , a lower support jaw 232 , and a support frame 233 .

상기 상부지지턱(231)과 상기 하부지지턱(232)은 상기 전열교환기(20)의 타측 중간에 상기 전열교환기(2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전열교환기(20)의 타측 중간에서 상기 제 4바이패스 유로관(340)의 하부 일측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각각 수평연장될 수 있다.The upper supporting jaw 231 and the lower supporting jaw 232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 in the middle of the other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 and the other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 In the middle, the fourth bypass passage pipe 340 may be horizontally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side.

상기 지지프레임(233)은 상기 전열교환기(20)의 타측 중간과 마주보는 상기 제 4바이패스 유로관(340)의 하부 일측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frame 233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ourth bypass flow pipe 340 facing the middle of the other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 .

상기 지지프레임(233)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상기 상부지지턱(231) 및 하부지지턱(232)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절곡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frame 233 may be horizontally bent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support jaw 231 and the lower support jaw 232 , respectively.

상기 타측구획판(114)을 이루는 실내청정필터의 일측은 상기 상부지지턱(231)과 하부지지턱(232) 사이에 분리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indoor cleaning filter constituting the other partition plate 114 may be separably accommodated between the upper support jaw 231 and the lower support jaw 232 .

상기 타측구획판(114)을 이루는 실내청정필터의 타측은 상기 지지프레임(233)의 내측에 분리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The other side of the indoor cleaning filter constituting the other partition plate 114 may be detachably accommodated inside the support frame 233 .

도 6은 본체의 내부에 자외선 살균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ltraviolet sterilization unit is provided inside the body.

다음으로, 상기 전열교환기(20)의 일측 상부에 구비된 필터(21) 및 상기 타측구획판(114)을 이루는 실내청정필터에서의 세균번식을 방지하기 위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자외선 램프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자외선 살균부(24)가 구비될 수 있다.Next, in order to prevent bacterial propagation in the indoor cleaning filter forming the filter 2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 and the other partition plate 114, as shown in FIG. 6, the main body ( 10), an ultraviolet sterilization unit 24 that can be made of various types such as an ultraviolet lamp may be provided inside.

상기 자외선 살균부(24)는 상기 제 2바이패스 유로관(320)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1챔버(10a)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10)의 내부 일측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열교환기(20)의 일측 상부방향에 구비된 상기 필터(21)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The ultraviolet sterilization unit 24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be positioned in the first chamber 10a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cond bypass flow pipe 320 to provide the heat transfer Ultraviolet rays may be irradiated to the filter 21 provided in the upper direction of one side of the exchanger 20 .

또한, 상기 자외선 살균부(24)는 상기 제 2바이패스 유로관(320)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2챔버(10b)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10)의 내부 타측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열교환기(20)의 타측 상부 및 상기 타측구획판(114)을 이루는 실내청정필터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ltraviolet sterilization unit 24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be positioned in the second chamber 10b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cond bypass flow pipe 320, Ultraviolet rays may be irradiated to the upp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 and the indoor cleaning filter forming the other partition plate 114 .

또한, 상기 자외선 살균부(24)는 상기 제 3챔버(10c)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10)의 내부 일측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열교환기(20)의 타측 하부방향으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ltraviolet sterilization unit 24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be located in the third chamber 10c to irradiate the ultraviolet rays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 .

또한, 상기 자외선 살균부(24)는 상기 제 6바이패스 유로관(360)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4챔버(10d)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10)의 내부 타측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열교환기(20)의 타측 하부 및 상기 타측구획판(114)을 이루는 실내청정필터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ltraviolet sterilization unit 24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ther side inside the body 10 so as to be located in the fourth chamber 10d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ixth bypass flow pipe 360 . Ultraviolet rays may be irradiated to the low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 and the indoor cleaning filter forming the other partition plate 114 .

도 7은 본체의 내부에 순환라인이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irculation line is accommodated inside the body.

다음으로, 상기 급배기관(140)을 통해 실내로 배기되는 외부공기 및 실내공기를 통한 난방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 및 실내공기와 열교환되는 열을 발산하는 열발산부(25)가 구비될 수 있다.Next, in order to further improve heating efficiency through the outdoor air and indoor air exhausted into the room through the supply/exhaust pipe 140 , as shown in FIG. 7 , the outside air introduced into the body 10 and the indoor air A heat dissipation unit 25 for dissipating heat exchanged with air may be provided.

상기 열발산부(25)는 일예로, 동절기 실내 난방을 위해 신재생에너지인 태양열 또는 태양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태양에너지에 의해 데워진 온수 또는 태양광 발전전기로 가열된 고온의 공기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열매체가 순환이동하는 순환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unit 25 is made of various types, such as hot water heated by solar energy, which can be made of solar heat or sunlight, which is a new renewable energy, or high-temperature air heated by solar power generation, for example, for indoor heating in winter. It may be composed of a circulation line in which the available heating medium circulates.

상기 열발산부(25)가 열매체가 순환이동하는 순환라인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열발산부(25)를 이룰 수 있는 순환라인은 파이프, 호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크게, 일측순환라인(251), 타측순환라인(252) 및 상부순환라인(253)으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10)의 내부 타측 하부에 형성되는 제 4챔버(10d)에 수용될 수 있다.When the heat dissipating unit 25 is formed of a circulation line in which the heat medium circulates, the circulation line that can form the heat dissipating unit 25 may be made of various types such as pipes and hoses, and largely, one side circulation line ( 251), the other side circulation line 252, and the upper circulation line 253 can be accommodated in the fourth chamber (10d) formed i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main body (10).

상기 일측순환라인(251)과 상기 타측순환라인(252)은 상기 제 6바이패스 유로관(360)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10)의 하부 타측을 수직관통하여 상기 본체(10)의 내부 타측 하부에 형성되는 제 4챔버(10d)에 일정길이로 인입될 수 있다.The one side circulation line 251 and the other side circulation line 252 vertically penetrate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be position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sixth bypass flow pipe 360, so that of the main body 10 It may be introduced into the fourth chamber 10d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inner side by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상부순환라인(253)과 상기 일측순환라인(251)이 연통 및 상기 상부순환라인(253)과 상기 타측순환라인(252)이 연통되도록 상기 상부순환라인(253)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일측순환라인(251)의 상부 및 상기 타측순환라인(252)의 상부에 각각 수밀하게 연결된 상태로 상기 상부순환라인(253)은 상기 전열교환기(20)의 타측 하부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circulation line 253 are respectively connected so that the upper circulation line 253 and the one side circulation line 251 communicate and the upper circulation line 253 and the other side circulation line 252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upper circulation line 253 may be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side of the one side circulation line 251 and the upper side of the other side circulation line 252 are respectively watertightly connected.

상기 전열교환기(20)를 통과하여 상기 본체(10)의 내부 타측 하부에 형성된 제 4챔버(10d)내로 유입된 외부공기 및 실내공기는 상기 열발산부(25)를 이룰 수 있는 순환라인을 순환이동하는 열매체와 열교환되어 상기 급배기관(140)을 통해 실내로 고온으로 배기될 수 있다.Outside air and indoor air flow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20 into the fourth chamber 10d formed i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main body 10 circulate in a circulation line that can form the heat dissipation unit 25 . Heat exchange with the moving heating medium may be exhausted at a high temperature into the room through the supply and exhaust pipe 140 .

상기 열발산부(25)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른예로서, 열매체가 순환이동하는 순환라인 이외에 태양열 집열판 또는 태양광 집광판에 의해 축전지에 축전된 전기를 공급받아 열을 발산하는 전기히터 등 다양한 종류의 히터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unit 25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and as another example, in addition to a circulation line through which a heating medium circulates, an electric heater that receives electricity stored in a storage battery by a solar heat collecting plate or a solar light collecting plate and dissipates heat, etc. Various types of heaters may also be used.

도 8은 제 1급기관의 외면, 배기관의 외면, 제 2급기관의 외면, 급배기관의 외면 및 바이패스 유로관의 외면에 단열층이 각각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insulating layers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grade pipe, the outer surface of the exhaust pipe,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grade pipe,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ly and exhaust pip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ypass flow pipe.

다음으로, 상기 바이패스 유로관(30)을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 1챔버(10a)의 공기, 상기 제 2챔버(10b)의 공기, 상기 제 3챔버(10c)의 공기 및 상기 제 4챔버(10d)의 공기와의 열교환으로 인해 열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일측 내부 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인입되는 상기 제 1급기관(110)의 타측 외면 및 상기 배기관(120)의 타측 외면과, 상기 본체(10)의 타측 내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인입되는 상기 제 2급기관(130)의 일측 외면 및 상기 급배기관(140)의 일측 외면과, 상기 바이패스 유로관(30)의 외면에 단열층(26)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Nex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bypass flow pipe 30 is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 The air in the first chamber 10a, the air in the second chamber 10b, and the third chamber In order to prevent heat loss due to heat exchange between the air in 10c and the air in the fourth chamber 10d, as shown in FIG. The other outer surface of the first air pipe 110 and the other outer surface of the exhaust pipe 120, the other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lass pipe 130 drawn in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other inner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and the A heat insulating layer 26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supply and exhaust pipe 14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ypass flow pipe 30 , respectively.

도 9는 본체에서 개폐판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결합사시도이다.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closing plate part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and FIG. 10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FIG. 9 .

다음으로, 상기 본체(10)의 내부의 청소용이성 향상과 상기 전열교환기(20)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는 상기 필터(21) 및 상기 타측구획판(114)을 이루는 실내청정필터의 교체보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전측은 개방 및 상기 본체(10)의 전측에 상기 본체(10)의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판부(27)가 구비될 수 있다.Next, the cleaning efficiency of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 is improved, and the replacement and repairability of the indoor cleaning filter forming the filter 21 and the other partition plate 114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 is further improved. In order to be improved, as shown in FIGS. 9 and 10 ,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is opened and an opening/closing plate part 27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can be provided.

상기 개폐판부(27)는 상기 개폐판부(27)의 각 모서리부위를 순차적으로 관통한 상태로 상기 본체(10)의 전측 각 모서리부위에 나사결합되는 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고정부재(29)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전측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plate part 27 is a fixing member 29 that may be made of various types such as bolts screwed to each corner part of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while sequentially penetrating each corner part of the opening/closing plate part 27. ) may be detachably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

도 11은 본체와 개폐판부 사이에 패킹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acking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opening/closing plate.

다음으로, 상기 개폐판부(27)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과 상기 본체(10)의 전측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상기 본체(10)내의 공기가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부재(28)가 구비될 수 있다.Next, to prevent the air in the main body 10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through a gap between the rear side opposite to the front side of the opening/closing plate part 27 and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 A packing member 28 may be provided.

상기 패킹부재(28)는 고무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acking member 28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rubber material.

상기 패킹부재(28)는 사각틀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전측 가장자리와 상기 개폐판부(27)의 후측 가장자리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The packing member 28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rectangular frame, and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ront edg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rear edge of the opening/closing plate part 27 as shown in FIG. 11 .

상기 개폐부재(5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제 1개폐부재(50A), 제 2개폐부재(50B), 제 3개폐부재(50C), 제 4개폐부재(50D), 제 5개폐부재(50E), 제 6개폐부재(50F), 제 7개폐부재(50G), 제 8개폐부재(50H), 제 9개폐부재(50I), 제 10개폐부재(50J), 제 11개폐부재(50K) 및 제 12개폐부재(50L)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opening/closing member 50 is large, a first opening/closing member 50A, a second opening/closing member 50B, a third opening/closing member 50C, a fourth opening/closing member 50D, and a fifth opening/closing member 50D. Member 50E, sixth opening/closing member 50F, seventh opening/closing member 50G, eighth opening/closing member 50H, ninth opening/closing member 50I, tenth opening/closing member 50J, eleventh opening/closing member ( 50K) and the twelfth opening/closing member 50L.

상기 제 1개폐부재(50A)는 상기 망부재(111)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1급기관(110)의 일측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1급기관(110)의 일측을 개폐할 수 있다.The first opening/closing member 50A is provided inside one side of the first class pipe 110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network member 111 to open and close one side of the first class pipe 110 . can

상기 제 2개폐부재(50B)는 상기 제 1급기관(110)의 타측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1급기관(110)의 타측을 개폐할 수 있다.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B may be provided inside the other side of the first air supply pipe 110 to open and close the other side of the first air supply pipe 110 .

상기 제 3개폐부재(50C)는 상기 제 1바이패스 유로관(3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1바이패스 유로관(310)을 개폐할 수 있다.The third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C may be provided inside the first bypass flow pipe 310 to open and close the first bypass flow pipe 310 .

상기 제 4개폐부재(50D)는 상기 제 2바이패스 유로관(320)의 타측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2바이패스 유로관(320)을 개폐할 수 있다.The four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D may be provided inside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bypass flow pipe 320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bypass flow pipe 320 .

상기 제 5개폐부재(50E)는 상기 제 3바이패스 유로관(33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3바이패스 유로관(330)을 개폐할 수 있다.The fifth opening/closing member 50E may be provided inside the third bypass flow pipe 330 to open and close the third bypass flow pipe 330 .

상기 제 6개폐부재(50F)는 상기 제 4바이패스 유로관(340)에 내부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4바이패스 유로관(340)을 개폐할 수 있다.The sixth opening/closing member 50F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fourth bypass flow pipe 340 to open and close the fourth bypass flow pipe 340 .

상기 제 7개폐부재(50G)와 상기 제 8개폐부재(50H)는 상기 제 2급기관(13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 2급기관(130)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개폐할 수 있다.The seven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G and the eigh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H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ary pipe 130 to open and clos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ary pipe 130, respectively. can

상기 제 9개폐부재(50I)는 상기 급배기관(140)의 타측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급배기관(140)의 타측을 개폐할 수 있다.The ninth opening/closing member 50I is provided inside the other side of the supply/exhaust pipe 140 to open and close the other side of the supply/exhaust pipe 140 .

상기 제 10개폐부재(50J)는 상기 제 7바이패스 유로관(37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7바이패스 유로관(370)을 개폐할 수 있다.The ten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J is provided inside the seventh bypass flow pipe 370 to open and close the seventh bypass flow pipe 370 .

상기 제 11개폐부재(50K)는 상기 제 8바이패스 유로관(380)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8바이패스 유로관(380)을 개폐할 수 있다.The eleventh opening/closing member 50K has the eighth bypass flow pipe 380 provided therein to open and close the eighth bypass flow pipe 380 .

상기 제 12개폐부재(50L)은 상기 배기관(120)의 일측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관(120)을 개폐할 수 있다.The twelf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L is provided inside one side of the exhaust pipe 120 to open and close the exhaust pipe 120 .

도 12는 실내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1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indoor control device.

다음으로, 상기 송풍기(40), 상기 개폐부재(50) 및 상기 자외선살균부(24)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60)로 상기 송풍기(40), 상기 개폐부재(50) 및 상기 자외선살균부(24)를 컨트롤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룸 컨트롤러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실내조절장치(61);가 구비될 수 있다.Nex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lower 40,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 and the ultraviolet sterilization unit 24; An indoor control device (61) that can be made of various types such as a room controller that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blower (40), the opening/closing member (50) and the UV sterilizer (24) to the controller (60) ; may be provided.

도 12에서 보는 바와 상기 실내조절장치(61)에는 ON상태 및 OFF 상태로 설정가능한 자동운전모드(610) 및 수동운전모드(620)가 누름식 버튼 또는 다이얼 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 , the indoor control device 61 may be provided with an automatic operation mode 610 and a manual operation mode 620 that can be set to an ON state and an OFF state in various ways, such as a push button or a dial button.

그리고, 상기 실내조절장치(61)에는 상기 송풍기(40), 상기 개폐부재(50) 및 상기 자외선살균부(24)로의 전원을 공급 및 차단시키기 위한 전원스위치부(630)가 누름식 버튼 또는 다이얼 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oor control device 61 includes a power switch unit 630 for supplying and blocking power to the blower 40 , the opening/closing member 50 and the UV sterilizing unit 24 , a push button or dial. It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such as a button.

또한, 상기 실내조절장치(61)에는 환기운전스위치부(640), 실내청정운전스위치부(650) 및 실내온도조절부(660)가 누름식 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ntilation operation switch unit 640 , the indoor clean operation switch unit 650 , and the indoor temperature control unit 660 may be provided in the indoor control device 61 in various ways, such as a push button.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측구획판(114)을 이룰 수 있는 실내청정필터의 청소를 위해 상기 송풍기(40)와 상기 개폐부재(50)를 제어할 수 있다.Next,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blower 40 and the opening/closing member 50 to clean the indoor cleaning filter capable of forming the other partition plate 114 .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열교환기(20)를 청소 및 건조시키기 위해 상기 송풍기(40)와 상기 개폐부재(50)를 제어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blower 40 and the opening/closing member 50 to clean and dry the total heat exchanger 20 .

또한, 상기 제어부는 화재 발생시 실내공기와 함께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연기가 실외로 배기되도록 상기 송풍기(40) 및 상기 개폐부재(50)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blower 40 and the opening/closing member 50 to exhaust the smok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 together with the indoor air to the outdoors when a fire occurs.

또한, 상기 제어부는 외부공기가 상기 전열교환기(20)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타측구획판(114)을 이룰 수 있는 실내청정필터를 통과하여 실내로 유입 및 실내공기가 상기 전열교환기(20)를 통과하지 않고 외부로 배기되도록 상기 송풍기(40)와 상기 개폐부재(50)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allows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room through the indoor cleaning filter capable of forming the other partition plate 114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20 , and the indoor air passes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20 .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blower 4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 so that the exhaust air is not exhausted to the outside.

도 13은 자동운전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1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utomatic operation mode.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60)에는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동운전모드(610)가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자동운전모드(610)는 크게, 실내환기운전모드(611), 실내청정운전모드(612), 간절기 외기 냉방운전모드(613)와, 전열교환기 필터 청소운전모드(614)와, 실내 청정 필터 청소운전모드(615)와, 전열교환기 청소 및 건조운전모드(616)와, 필터 및 전열교환기 살균소독운전모드(617)와, 환기 및 난방운전모드(618) 및 실내공기 제연운전모드(619)로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an automatic operation mode 610 may be set in the control unit 60 as shown in FIG. 13, and the automatic operation mode 610 is largely divided into an indoor ventilation operation mode 611, an indoor clean operation mode ( 612), seasonal outdoor air cooling operation mode 613, total heat exchanger filter cleaning operation mode 614, indoor clean filter cleaning operation mode 615, total heat exchanger cleaning and drying operation mode 616, filter and electric heat It may be composed of an exchanger sterilization operation mode 617 , ventilation and heating operation mode 618 , and indoor air ventilation operation mode 619 .

도 14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1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state of a control unit.

그리고, 실내공기의 질을 감지하는 감지부(62)와; 간절기 시 냉방을 위해 외부공기와 실내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63);가 구비될 수 있다.And, a sensing unit 62 for detecting the quality of the indoor air; A temperature measuring unit 63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and the indoor air for cooling in the changing season; may be provided.

상기 감지부(62)는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산화탄소농도측정부(621)와 미세먼지농도측정부(622)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 the sensing unit 62 may include a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621 and a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622 .

상기 이산화탄소농도측정부(621)는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이산화탄소농도측정센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621 may be of various types, such as a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measuring sensor installed indoors to measure the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상기 미세먼지농도측정부(622)는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농도센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622 may be of various types, such as a fine dust concentration sensor installed indoors to measure the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상기 온도측정부(63)는 실외온도측정부(631)와 실내온도측정부(632)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temperature measuring unit 63 may include an outdoor temperature measuring unit 631 and an indoor temperature measuring unit 632 .

상기 실외온도측정부(631)는 실외에 설치되어 실외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outdoor temperature measuring unit 631 may be of various types, such as a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outdoors to measure the outdoor temperature.

상기 실내온도측정부(632)는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door temperature measuring unit 632 may be of various types, such as a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doors to measure the indoor temperature.

그리고, 실외습도측정부(90), 온도표시부(300), 이산화탄소농도표시부(400), 미세먼지농도표시부(500), 연기감지부(600) 및 타이머(700)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n outdoor humidity measuring unit 90 , a temperature display unit 300 , a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display unit 400 , a fine dust concentration display unit 500 , a smoke detection unit 600 , and a timer 700 may be provided.

상기 실외습도측정부(90)는 실외에 설치되어 실외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outdoor humidity measuring unit 90 may be of various types, such as a humidity sensor installed outdoors to measure outdoor humidity.

상기 온도표시부(300)는 상기 실내조절장치(61)에 구비될 수 있는 LCD 디스플레이 또는 LED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져 상기 실외온도측정부(631)와 상기 실내온도측정부(632)의 실외온도측정값 및 실내온도측정값을 숫자 등으로 화면출력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display unit 300 is composed of various types such as LCD displays or LED displays that may be provided in the indoor control unit 61, and the outdoor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631 and the indoor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632 measure the outdoor temperature. Values and indoor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s can be displayed by outputting them as numbers.

상기 이산화탄소농도표시부(400)는 상기 실내조절장치(61)에 구비될 수 있는 LCD 디스플레이 또는 LED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져 상기 이산화탄소농도측정부(621)가 측정한 이산화탄소의 농도값을 숫자 등으로 화면출력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display unit 400 is made of various types such as an LCD display or an LED display that may be provided in the indoor control device 61, and displays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value measured by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measurement unit 621 as a number or the like. It can be printed and displayed.

상기 미세먼지농도표시부(500) 또한 상기 실내조절장치(61)에 구비될 수 있는 LCD 디스플레이 또는 LED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져 상기 미세먼지농도측정부(622)가 측정한 미세먼지의 농도값을 숫자 등으로 화면출력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fine dust concentration display unit 500 is also made up of various types such as an LCD display or an LED display that may be provided in the indoor control device 61 and displays the concentration value of the fine dust measured by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unit 622 as a number. It can be displayed by outputting on the screen, etc.

상기 연기감지부(600)는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에 발생된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moke detection unit 600 may be installed indoors and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such as a smoke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smoke generated in the room.

상기 타이머(700)는 상기 실내조절장치(61) 또는 상기 제어부(60)에 누름식 버튼 또는 다이얼 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timer 700 may be provided in various methods such as a push button or a dial button in the indoor control unit 61 or the control unit 60 .

상기 타이머(700)를 통해 상기 전열교환기(20)의 필터(21)의 청소시간대와, 상기 타측구획판(114)을 이루는 실내청정필터의 청소시간대 및 상기 전열교환기(20), 상기 전열교환기(20)의 필터(21), 상기 타측구획판(114)을 이루는 실내청정필터의 살균소독시간대를 각각 설정할 수 있다.Through the timer 700, the cleaning time of the filter 21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 the cleaning time of the indoor cleaning filter constituting the other partition plate 114, the total heat exchanger 20, the total heat exchanger ( 20), it is possible to set the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time period of the indoor cleaning filter constituting the filter 21 and the other partition plate 114, respectively.

도 15는 자동운전모드 및 수동운전모드의 작동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6은 난방시 실내환기운전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17은 냉방시 실내환기운전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15 is a flowchart sequentially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automatic operation mode and the manual operation mode, FIG. 1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door ventilation operation mode during heating, and FIG. 1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door ventilation operation mode during cooling It is a longitudinal section.

사용자가 상기 전원스위치부(630)를 ON상태로 설정 및 상기 제어부(60)에 설정된 자동운전모드(610)를 ON상태로 설정한 경우, 상기 자동운전모드(610)의 실내환기운전모드(611)에서의 상기 제어부(60)는 실내냉방 중 또는 실내난방 중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60)에 설정된 기준 이산화탄소의 농도값과 상기 이산화탄소농도측정부(100)의 실내 이산화탄소의 농도측정값을 비교하여 전원공급부(60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실내환기운전모드(611)의 송풍기(40)와 상기 개폐부재(50)를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user sets the power switch unit 630 to the ON state and sets the automatic operation mode 610 set in the control unit 60 to the ON state, the indoor ventilation operation mode 611 of the automatic operation mode 610 ), the control unit 60 during indoor cooling or heating, as shown in FIG. 15 , the referenc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value set in the control unit 60 and the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measurement value of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100 By comparing ,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blower 40 and the opening/closing member 50 of the indoor ventilation operation mode 611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601 .

일예로, 상기 이산화탄소농도측정부(100)의 실내 이산화탄소의 농도측정값이 기준 이산화탄소의 농도값 초과인 경우, 실내환기를 위해 상기 제어부(60)는 도 16 및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개폐부재(50A), 제 2개폐부재(50B), 제 7개폐부재(50G), 제 8개폐부재(50H), 제 9개폐부재(50I) 및 제 11개폐부재(50K)를 개방 상태로 제어 및 상기 제 3개폐부재(50C), 제 4개폐부재(50D), 제 5개폐부재(50E), 제 6개폐부재(50F), 제 10개폐부재(50J), 제 12개폐부재(50L)를 폐쇄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measurement value of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measurement unit 100 exceeds the referenc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value,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first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value as shown in FIGS. 16 and 17 for indoor ventilation. The opening/closing member 50A, the second opening/closing member 50B, the seventh opening/closing member 50G, the eighth opening/closing member 50H, the ninth opening/closing member 50I, and the eleventh opening/closing member 50K are controlled in an open state. and the third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C, the four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D, the fif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E, the six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F, the ten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J, and the twelf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L. It can be controlled in a closed state.

이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제 1송풍기(410)에 의해 실내공기가 상기 본체(10)의 제 2급기관(130)을 통해 상기 본체(10)의 내부의 제 2챔버(10b)로 유입된 후 상기 전열교환기(20), 제 3챔버(10c), 배기관(120), 제 8바이패스 유로관(380), 제 1챔버(10a), 전열교환기(20)의 필터(21), 전열교환기(20), 제 4챔버(10d) 및 급배기관(140) 순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실내로 상기 필터(21)에 의해 정화된 상태로 배기될 수 있다.(도 16 및 도 17의 점선 화살표 참조.)In this state, by the first blower 410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0 , indoor air is blown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secondary air supply pipe 130 of the main body 10 . After flowing into the second chamber (10b), the total heat exchanger (20), the third chamber (10c), the exhaust pipe (120), the eighth bypass flow pipe (380), the first chamber (10a), the total heat exchanger (20) of the filter 21, the total heat exchanger 20, the fourth chamber 10d, and the supply/exhaust pipe 140 sequentially move in order, and may be exhausted into the room in a purified state by the filter 21. (FIG. See dotted arrows in Figures 16 and 17.)

또한,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제 2송풍기(420)에 의해 실외의 외부공기가 상기 본체(10)의 제 1급기관(110)을 통해 상기 본체(10)의 내부의 제 1챔버(10a)로 유입된 후 상기 전열교환기(20)의 필터(21), 전열교환기(20), 제 4챔버(10d) 및 급배기관(140) 순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실내로 상기 필터(21)에 의해 정화된 상태로 실내공기와 함께 배기될 수 있다.(도 16 및 도 17의 실선 화살표 참조.)In addition, by the second blower 420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0 , the outdoor ai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first air supply pipe 110 of the main body 10 . After being introduced into the first chamber 10a, the filter 21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 the total heat exchanger 20, the fourth chamber 10d, and the supply/exhaust pipe 140 are sequentially moved in this order, and the filter enters the room. It can be exhausted together with the indoor air in a purified state by (21). (See the solid arrows in FIGS. 16 and 17.)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실내공기와 외부공기는 상기 전열교환기(20)를 통과하면서 상호 열교환될 수 있다.The indoor air and the outside air introduced into the body 10 may exchange heat with each other while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20 .

상기 이산화탄소농도측정부(100)의 실내 이산화탄소의 농도측정값이 기준 이산화탄소의 농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 1개폐부재(50A), 제 2개폐부재(50B), 제 3개폐부재(50C), 제 4개폐부재(50D), 제 5개폐부재(50E), 제 6개폐부재(50F), 제 7개폐부재(50G), 제 8개폐부재(50H), 제 9개폐부재(50I), 제 10개폐부재(50J), 제 11개폐부재(50K) 및 제 12개폐부재(50L) 모두를 폐쇄상태로 제어 및 상기 송풍기(40)의 제 1송풍기(410)와 제 2송풍기(420) 모두를 작동중지시킬 수 있다.When the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measurement value of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measurement unit 100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value,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A,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B, and the third opening and closing member. Member 50C, four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D, fif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E, six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F, seven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G, eigh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H, nin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 50I), the tenth opening/closing member 50J, the eleventh opening/closing member 50K and the twelfth opening/closing member 50L are all controlled in a closed state, and the first blower 410 and the second blower of the blower 40 ( 420) can be disabled.

도 18은 실내 청정운전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1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door clean operation mode.

다음으로, 상기 자동운전모드(610)의 실내환기운전모드(611)에서의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어부(60)에 설정된 기준 미세먼지의 농도값과 상기 미세먼지농도측정부(20)의 미세먼지의 농도측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실내청정운전모드(612)의 송풍기(40)와 상기 개폐부재(50)를 제어할 수 있다.Next, in the indoor ventilation operation mode 611 of the automatic operation mode 610 ,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concentration value of the reference fine dust set in the control unit 60 and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unit 20 . The blower 40 and the opening/closing member 50 of the indoor clean operation mode 612 may be controlled by comparing the measured values of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일예로, 상기 미세먼지농도측정부(20)의 미세먼지의 농도측정값이 기준 미세먼지의 농도값 초과인 경우, 실내청정을 위해 상기 제어부(60)는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7개폐부재(50G), 제 8개폐부재(50H) 및 제 9개폐부재(50I)를 개방상태로 제어 및 상기 제 1개폐부재(50A), 제 2개폐부재(50B), 제 3개폐부재(50C), 제 4개폐부재(50D), 제 5개폐부재(50E), 제 6개폐부재(50F), 제 10개폐부재(50J), 제 11개폐부재(50K) 및 제 12개폐부재(50L)를 폐쇄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ncentration measurement value of fine dust of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20 exceeds the referenc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the control unit 60 opens and closes the seventh as shown in FIG. 18 for indoor cleaning. The member 50G, the eigh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H and the nin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I are controlled in an open state, and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A,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B, and the third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C , the four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D, the fif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E, the six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F, the ten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J, the eleven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K and the twelf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L are closed. state can be controlled.

이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 1송풍기(410)는 작동 중지 및 상기 제 2송풍기(420)를 작동시켜 미세먼지가 포함된 실내공기가 상기 본체(10)의 제 2급기관(130)을 통해 상기 본체(10)의 내부의 제 2챔버(10b)로 유입되어 상기 타측구획판(114)을 이루는 실내청정필터를 통과하면서 미세먼지가 제거된 상태로 정화된 후 상기 제 4챔버(10d), 상기 급배기관(140) 순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실내로 배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도 18의 점섬 화살표 참조.)In this state, the control unit 60 stops the operation of the first blower 410 and operates the second blower 420 so that indoor air containing fine dust is removed from the secondary pipe 130 of the main body 10 . ) into the second chamber 10b of the main body 10 and passes through the indoor cleaning filter constituting the other partition plate 114 to be purified in a state in which fine dust has been removed, and then to the fourth chamber ( 10d), the supply and exhaust pipe 140 may be sequentially moved in order to be exhausted into the room. (Refer to the dotted arrow in FIG. 18.)

상기 미세먼지농도측정부(20)의 미세먼지의 농도측정값이 기준 미세먼지의 농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 1개폐부재(50A), 제 2개폐부재(50B), 제 3개폐부재(50C), 제 4개폐부재(50D), 제 5개폐부재(50E), 제 6개폐부재(50F), 제 7개폐부재(50G), 제 8개폐부재(50H), 제 9개폐부재(50I), 제 10개폐부재(50J), 제 11개폐부재(50K) 및 제 12개폐부재(50L) 모두를 폐쇄상태로 제어 및 상기 송풍기(40)의 제 1송풍기(410)와 제 2송풍기(420) 모두를 작동중지시킬 수 있다.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value of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unit 20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A,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B, and the second 3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C, four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D, fif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E, six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F, seven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G, eigh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H, nin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All of the member 50I, the tenth opening/closing member 50J, the eleventh opening/closing member 50K and the twelfth opening/closing member 50L are controlled in a closed state, and the first blower 410 and the second blower of the blower 40 are All of the blowers 420 may be turned off.

도 19는 간절기 외기 냉방운전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19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utdoor air cooling operation mode in interseasonal seasons.

다음으로, 상기 자동운전모드(610)의 간절기 외기 냉방운전모드(613)에서의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어부(60)에 설정된 간절기 기간에 상기 실외온도측정부(70)의 실외온도측정값 및 상기 실내온도측정부(80)의 실내온도측정값에 따라 상기 간절기 외기 냉방운전모드(613)의 송풍기(40) 및 개폐부재(50)를 제어할 수 있다.Next, the control unit 60 in the inter-season outdoor air cooling operation mode 613 of the automatic operation mode 610 is the outdoor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of the outdoor temperature measuring unit 70 in the inter-season period set in the control unit 60 . And the blower 40 and the opening/closing member 50 of the outdoor air cooling operation mode 613 in the changing season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indoor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of the indoor temperature measuring unit 80 .

일예로, 간절기 기간에 실내온도측정값이 실외온도측정값보다 클 경우, 간절기 실내 냉방을 위해, 상기 제어부(60)는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개폐부재(50A), 제 3개폐부재(50C), 제 5개폐부재(50E), 제 8개폐부재(50H), 제 9개폐부재(50I) 및 제 12개폐부재(50L)를 개방상태로 제어 및 제 2개폐부재(50B), 제 4개폐부재(50D), 제 6개폐부재(50F), 제 7개폐부재(50G), 제 10개폐부재(50J) 및 제 11개폐부재(50K)를 폐쇄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indoor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is greater than the outdoor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during the changing season,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first opening/closing member 50A and the third opening/closing member as shown in FIG. 19 for indoor cooling in the changing season. (50C), the fifth opening/closing member 50E, the eighth opening/closing member 50H, the ninth opening/closing member 50I and the twelfth opening/closing member 50L are controlled in an open state, and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B, the second The four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D, the six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F, the seven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G, the ten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J, and the eleven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K may be controlled in a closed state.

이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제 1송풍기(410)에 의해 고온의 실내공기가 상기 제 2급기관(130),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 제 4바이패스 유로관(340), 제 5바이패스 유로관(350), 제 6바이패스 유로관(360) 및 상기 배기관(120) 순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실외로 배기될 수 있다.(도 19의 점선 화살표 참조.)In this state, by the first blower 410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60, high-temperature indoor air is supplied to the second air supply pipe 130 and the fourth air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The pass flow pipe 340, the fifth bypass flow pipe 350, the sixth bypass flow pipe 360, and the exhaust pipe 120 sequentially move in order to be exhausted to the outdoors. See arrow.)

그리고,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제 2송풍기(420)에 의해 저온의 실외 외부공기가 상기 제 1급기관(110), 제 1바이패스 유로관(310), 제 2바이패스 유로관(320), 제 3바이패스 유로관(330), 제 2챔버(10b), 타측 구획판(114)을 이루는 필터, 제 4챔버(10d) 및 상기 급배기관(140) 순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실내로 배기될 수 있다.(도 19의 실선 화살표 참조.)And, by the second blower 420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60, low-temperature outdoor air is supplied to the first air supply pipe 110, the first bypass flow pipe 310, and the second bypass pipe. The pass flow pipe 320, the third bypass flow pipe 330, the second chamber 10b, the filter constituting the other partition plate 114, the fourth chamber 10d, and the supply/exhaust pipe 140 sequentially It can be exhausted into the room by moving to. (See the solid arrow in FIG. 19.)

간절기 기간에 실내온도측정값이 실외온도측정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 1개폐부재(50A), 제 2개폐부재(50B), 제 3개폐부재(50C), 제 4개폐부재(50D), 제 5개폐부재(50E), 제 6개폐부재(50F), 제 7개폐부재(50G), 제 8개폐부재(50H), 제 9개폐부재(50I), 제 10개폐부재(50J), 제 11개폐부재(50K) 및 제 12개폐부재(50L) 모두를 폐쇄상태로 제어 및 상기 송풍기(40)의 제 1송풍기(410)와 제 2송풍기(420) 모두를 작동중지시킬 수 있다.When the indoor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is smaller than the outdoor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during the inter-season period,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first opening/closing member 50A, the second opening/closing member 50B, the third opening/closing member 50C, and the fourth opening/closing member. Member 50D, fif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E, six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F, seven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G, eigh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H, nin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I, ten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 50J), the eleventh opening/closing member 50K and the twelfth opening/closing member 50L are all controlled to a closed state, and both the first blower 410 and the second blower 420 of the blower 40 can be stopped have.

도 20은 프리필터 및 헤파필터 청소운전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20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e-filter and a HEPA filter cleaning operation mode.

다음으로, 상기 전원스위치부(630)가 ON상태 또는 OFF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자동운전모드(610)의 전열교환기 필터 청소운전모드(614)에서의 상기 제어부(60)는 적어도 1일 1회 이상으로 상기 타이머(700)에 설정된 상기 전열교환기(20)의 필터(21)의 청소시간대에 상기 전원공급부(60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송풍기(40) 및 상기 개폐부재(50)를 제어할 수 있다.Next, the control unit 60 in the total heat exchanger filter cleaning operation mode 614 of the automatic operation mode 610 in the state in which the power switch unit 630 is set to the ON state or the OFF state at least once a day As described above, the blower 40 and the opening/closing member 50 are controll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601 during the cleaning time period of the filter 21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 set in the timer 700. can

일예로, 상기 타이머(700)에 설정된 상기 전열교환기(20)의 필터(21)의 청소시간대에 상기 전열교환기(20)의 필터(21)를 청소하기 위해, For example, to clean the filter 21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 in the cleaning time period of the filter 21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 set in the timer 700,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 9개폐부재(50I), 제 11개폐부재(50K), 제 12개폐부재(50L)를 개방상태로 제어 및 상기 제 1개폐부재(50A), 제 2개폐부재(50B), 제 3개폐부재(50C), 제 4개폐부재(50D), 제 5개폐부재(50E), 제 6개폐부재(50F), 제 7개폐부재(50G), 제 8개폐부재(50H), 제 10개폐부재(50J)를 폐쇄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20,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ninth opening/closing member 50I, the eleventh opening/closing member 50K, and the twelfth opening/closing member 50L in an open state, and the first opening/closing member 50A , second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B, third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C, four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D, fif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E, six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F, seven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G, th The eight opening/closing member 50H and the tenth opening/closing member 50J may be controlled in a closed state.

이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제 1송풍기(410)에 의해 실내공기가 상기 급배기관(140),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 4챔버(10d), 전열교환기(20), 전열교환기(20)의 필터(21), 제 1챔버(10A), 제 8바이패스 유로관(380) 및 배기관(120) 순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실외로 배기될 수 있다.(도 20의 점선화살표 참조.)In this state, by the first blower 410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0, indoor air is supplied to and exhausted from the air supply and exhaust pipe 140 and a fourth chamber 10d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 The total heat exchanger 20, the filter 21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 the first chamber 10A, the eighth bypass flow pipe 380, and the exhaust pipe 120 sequentially move in order to be exhausted to the outdoors. . (See the dotted arrow in Fig. 20.)

여기서, 상기 전열교환기(20)의 필터(21)에 적재된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은 상기 전열교환기(20)의 필터(21)를 통과하는 실내공기에 의해 상기 전열교환기(20)의 필터(21)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실내공기와 함께 실외로 배기될 수 있다.Here, foreign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loaded on the filter 21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 are removed from the filter 21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 by the indoor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21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 . ) and may be exhausted to the outdoors together with the indoor air.

도 21은 실내 청정필터 청소운전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2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door clean filter cleaning operation mode.

다음으로, 상기 전원스위치부(630)가 ON상태 또는 OFF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자동운전모드(610)의 실내 청정필터 청소운전모드(615)에서의 상기 제어부(60)는 적어도 1일 1회 이상으로 상기 타이머(700)에 설정된 상기 타측구획판(114)을 이루는 실내청정필터의 청소시간대에 상기 전원공급부(60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송풍기 (40) 및 상기 개폐부재(50)를 제어할 수 있다.Next, the control unit 60 in the indoor clean filter cleaning operation mode 615 of the automatic operation mode 610 in a state where the power switch unit 630 is set to an ON state or an OFF state at least once a day As described above, the blower 40 and the opening/closing member 50 are controll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601 during the cleaning time period of the indoor cleaning filter constituting the other partition plate 114 set in the timer 700 . can do.

일예로, 상기 타이머(700)에 설정된 상기 타측구획판(114)을 이루는 실내청정필터의 청소시간대에 상기 타측구획판(114)을 이루는 실내청정필터를 청소하기 위해,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60)는 제 7개폐부재(50G), 제 9개폐부재(50I), 제 10개폐부재(50J) 및 제 12개폐부재(50L)를 개방상태로 제어 및 제 1개폐부재(50A), 제 2개폐부재(50B), 제 3개폐부재(50C), 제 4개폐부재(50D), 제 5개폐부재(50E), 제 6개폐부재(50F), 제 8개폐부재(50H) 및 제 11개폐부재(50K)를 폐쇄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in order to clean the indoor cleaning filter constituting the other compartment plate 114 during the cleaning time period of the indoor cleaning filter constituting the other compartment plate 114 set in the timer 700, as shown in FIG.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seven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G, the nin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I, the ten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J and the twelf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L in an open state, and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A;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B, the third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C, the four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D, the fif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E, the six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F, the eigh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H and the eleventh member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K can be controlled in a closed state.

이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제 1송풍기(410)에 의해 실내공기가 상기 급배기관(140), 제 7바이패스 유로관(370),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 4챔버(10d), 타측구획판(114)을 이루는 실내청정필터, 제 2챔버(10b), 제 2급기관(130), 제 5바이패스 유로관(350), 제 6바이패스 유로관(360), 제 3챔버(10c) 및 배기관(120)순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실외로 배기될 수 있다.(도 21의 점선화살표 참조.)In this state, by the first blower 410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60 , indoor air is supplied to the supply/exhaust pipe 140 , the seventh bypass flow pipe 370 , and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 . The fourth chamber (10d) formed in the diaphragm, the indoor cleaning filter forming the other partition plate (114), the second chamber (10b), the second class pipe (130), the fifth bypass flow pipe (350), and the sixth bypass The pass flow pipe 360, the third chamber 10c, and the exhaust pipe 120 may sequentially move in order to be exhausted to the outdoors. (See the dotted arrow in FIG. 21 .)

여기서, 상기 타측구획판(114)을 이루는 실내청정필터에 적재된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은 상기 타측구획판(114)을 이루는 실내청정필터를 통과하는 실내공기에 의해 상기 타측구획판(114)을 이루는 실내청정필터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실내공기와 함께 실외로 배기될 수 있다.Here, foreign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loaded in the indoor cleaning filter constituting the other partition plate 114 are removed from the other partition plate 114 by the indoor air passing through the indoor cleaning filter forming the other partition plate 114.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indoor cleaning filter and exhausted to the outdoors together with the indoor air.

도 22는 전열교환기 청소 및 건조운전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2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total heat exchanger cleaning and drying operation mode.

다음으로, 상기 전원스위치부(630)가 ON상태 또는 OFF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자동운전모드(610)의 전열교환기 청소 및 건조운전모드(616)에서의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어부(60)에 설정된 기준 실외습도값과 상기 실외습도측정부(90)의 실외습도값을 비교하여 상기 송풍기(40) 및 상기 개폐부재(50)를 제어할 수 있다.Next, in a state in which the power switch unit 630 is set to an ON state or an OFF state, the control unit 60 in the total heat exchanger cleaning and drying operation mode 616 of the automatic operation mode 610 controls the control unit 60 ), the blower 40 and the opening/closing member 50 may be controlled by comparing the outdoor humidity value of the outdoor humidity measuring unit 90 with the reference outdoor humidity value set in ).

일예로, 특히, 겨울철에 상기 실외습도측정부(90)의 실외습도값이 기준 실외습도값 초과인 경우, 상기 전열교환기(20)를 청소 및 건조시키기 위해,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60)는 제 2개폐부재(50B), 제 3개폐부재(50C), 제 5개폐부재(50E), 제 9개폐부재(50I), 제 10개폐부재(50J) 및 제 12개폐부재(50L)를 개방상태로 제어 및 제 1개폐부재(50A), 제 4개폐부재(50D), 제 6개폐부재(50F), 제 7개폐부재(50G), 제 8개폐부재(50H) 및 제 11개폐부재(50K)를 폐쇄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especially in winter, when the outdoor humidity value of the outdoor humidity measuring unit 90 exceeds the reference outdoor humidity value, the control unit ( 60 is a second opening/closing member 50B, a third opening/closing member 50C, a fifth opening/closing member 50E, a ninth opening/closing member 50I, a tenth opening/closing member 50J, and a twelfth opening/closing member 50L control in an open state, and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A, the four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D, the six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F, the seven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G, the eigh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H and the eleven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K) can be controlled in the closed state.

이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제 1송풍기(410)에 의해 겨울철 실내의 난방에 따른 고온의 실내공기가 상기 급배기관(140), 제 7바이패스 유로관(370),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 4챔버(10d), 전열교환기(20), 전열교환기(20)의 필터(21), 제 1챔버(10a), 제 1급기관(110), 제 1바이패스 유로관(310), 제 2바이패스 유로관(320), 제 3바이패스 유로관(330), 제 2챔버(10b), 전열교환기(20), 제 3챔버(10c) 및 배기관(120) 순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실외로 배기되면서 상기 전열교환기(20)를 청소 및 건조시킬 수 있다.(도 22의 점선 화살표 참조.)In this state, by the first blower 410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60, high-temperature indoor air according to indoor heating in winter is supplied to the supply/exhaust pipe 140 and the seventh bypass flow pipe 370 . , the fourth chamber (10d), the total heat exchanger (20), the filter (21)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 the first chamber (10a), the first grade pipe (110), 1 bypass flow pipe 310, second bypass flow pipe 320, third bypass flow pipe 330, second chamber 10b, total heat exchanger 20, third chamber 10c and exhaust pipe The total heat exchanger 20 can be cleaned and dried while being exhausted to the outside by sequentially moving in the order of 120. (See the dotted arrow in FIG. 22.)

특히, 상기 제 4챔버(10D)로 유입된 고온의 실내공기가 상기 열발산부(25)를 통과하면서 상기 전열교환기(20)가 이동할 경우, 고온의 실내공기의 온도가 더욱 향상된 상태로 상기 전열교환기(20)를 더욱 높은 효율로 건조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total heat exchanger 20 moves while the high-temperature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fourth chamber 10D passes through the heat dissipating unit 25, the heat transfer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temperature of the high-temperature indoor air is further improved. The exchanger 20 can be dried with higher efficiency.

상기 실외습도측정부(90)의 실외습도값이 기준 실외습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 1개폐부재(50A), 제 2개폐부재(50B), 제 3개폐부재(50C), 제 4개폐부재(50D), 제 5개폐부재(50E), 제 6개폐부재(50F), 제 7개폐부재(50G), 제 8개폐부재(50H), 제 9개폐부재(50I), 제 10개폐부재(50J), 제 11개폐부재(50K) 및 제 12개폐부재(50L) 모두를 폐쇄상태로 제어 및 상기 송풍기(40)의 제 1송풍기(410)와 제 2송풍기(420) 모두를 작동중지시킬 수 있다.When the outdoor humidity value of the outdoor humidity measurement unit 90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outdoor humidity value,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first opening/closing member 50A, the second opening/closing member 50B, and the third opening/closing member 50C. , four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D, fif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E, six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F, seven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G, eigh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H, nin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I, th All of the ten opening and closing members 50J, the eleven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K and the twelf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L are controlled in a closed state, and both the first blower 410 and the second blower 420 of the blower 40 are controlled. can disable it.

실외의 습도가 높아 실외 기후가 다습한 경우, 겨울철 난방에 따른 실내의 고온의 실내공기가 상기 전열교환기(20)로 통과하면서 상기 전열교환기(20)를 청소 및 건조시키기 때문에 상기 전열교환기(20)에 곰팡이 등의 세균이 번식할 우려가 없음은 물론 고온의 실내공기와 저온의 실외공기가 각각 통과할 수 있는 상기 전열교환기(20)에 결로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outdoor climate is humid due to high outdoor humidity, the total heat exchanger 20 cleans and dries the total heat exchanger 20 while the indoor high temperature indoor air due to winter heating passes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20. The total heat exchanger 20 It is possible to easily prevent the occurrence of dew condensation in the total heat exchanger 20 through which high-temperature indoor air and low-temperature outdoor air can each pass, as well as there is no fear of the propagation of bacteria such as mold.

다음으로, 상기 필터 및 전열교환기 살균소독운전모드(617)에서의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타이머(700)에 설정된 상기 전열교환기(20), 상기 전열교환기(20)의 필터(21), 상기 타측구획판(114)을 이루는 실내청정필터의 살균소독시간대에 상기 자외선살균부(24)가 상기 전열교환기(20), 상기 전열교환기(20)의 필터(21), 상기 타측구획판(114)을 이루는 실내청정필터를 살균소독 하도록 상기 자외선살균부(24)를 작동시킬 수 있다.Next, the control unit 60 in the filter and total heat exchanger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operation mode 617 controls the total heat exchanger 20 set in the timer 700, the filter 21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 and the During the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time of the indoor cleaning filter constituting the other partition plate 114, the ultraviolet sterilization unit 24 is installed in the total heat exchanger 20, the filter 21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 and the other partition plate 114. The ultraviolet sterilization unit 24 may be operated to sterilize the indoor cleaning filter constituting the .

도 23은 환기 및 난방운전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2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ventilation and heating operation mode.

다음으로, 상기 자동운전모드(610)의 환기 및 난방운전모드(618)에서의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어부(60)에 설정된 겨울철 기간에 상기 실외온도측정부(70)와 상기 실내온도측정부(80)의 실외온도값 및 실내온도측정값에 따라 상기 송풍기(40) 및 상기 개폐부재(50)를 제어할 수 있다.Next, in the ventilation and heating operation mode 618 of the automatic operation mode 610 , the control unit 60 measures the indoor temperature with the outdoor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70 during the winter period set in the control unit 60 . The blower 40 and the opening/closing member 50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outdoor temperature value and the indoor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of the unit 80 .

일예로, 겨울철 기간에 실내온도측정값이 실외온도측정값보다 작을 경우, 실내난방을 위해 상기 제어부(60)는 도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개폐부재(50A), 제 2개폐부재(50B), 제 7개폐부재(50G), 제 8개폐부재(50H), 제 9개폐부재(50I) 및 제 11개폐부재(50K)를 개방상태로 제어 및 상기 제 3개폐부재(50C), 제 4개폐부재(50D), 제 5개폐부재(50E), 제 6개폐부재(50F), 제 10개폐부재(50J) 및 제 12개폐부재(50L)를 폐쇄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indoor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is smaller than the outdoor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in the winter period,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A and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B as shown in FIG. 23 for indoor heating. ), the seven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G, the eigh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H, the nin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I and the eleven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K are controlled in an open state, and the third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C, the fourth The opening/closing member 50D, the fifth opening/closing member 50E, the sixth opening/closing member 50F, the tenth opening/closing member 50J, and the twelfth opening/closing member 50L may be controlled in a closed state.

이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제 1송풍기(410)에 의해 실내공기가 상기 제 2급기관(130),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 2챔버(10b), 전열교환기(20), 제 3챔버(10c), 배기관(40), 제 8바이패스 유로관(380), 제 1챔버(10a), 전열교환기(20)의 필터(21), 전열교환기(20), 열발산부(25), 제 4챔버(10d) 및 급배기관(140) 순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실내로 배기될 수 있다.(도 23의 점선 화살표 참조.)In this state, the second chamber 10b is formed in the second air supply pipe 130 and the main body 10 by the first blower 410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0). ), total heat exchanger 20, third chamber 10c, exhaust pipe 40, eighth bypass flow pipe 380, first chamber 10a, filter 21 of total heat exchanger 20, total heat exchanger 20, the heat dissipation unit 25, the fourth chamber 10d, and the supply/exhaust pipe 140 may be sequentially moved in the order to be exhausted into the room. (See the dotted arrow in FIG. 23.)

그리고,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제 2송풍기(420)에 의해 실외 외부공기가 상기 제 1급기관(110),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 1챔버(10c), 전열교환기(20)의 필터(21), 전열교환기(20), 열발산부(25), 제 4챔버(10d) 및 급배기관(140) 순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실내공기와 함께 실내로 배기될 수 있다.(도 23의 실선 화살표 참조.)And, the first chamber (10c) in which outdoor outdoor air is formed inside the first air supply pipe (110) and the main body (10) by the second blower (420)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0) , the filter 21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 the total heat exchanger 20, the heat dissipating unit 25, the fourth chamber 10d, and the supply/exhaust pipe 140 sequentially move in order to exhaust the indoor air together with the indoor air. (See the solid arrow in FIG. 23.)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와 실내공기는 상기 전열교환기(20)에서 상호 열교환된 후 상기 열발산부(25)의 열과 재차 열교환되어 고온으로 실내로 배기될 수 있다.The external air and the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body 10 may be exchanged with each other in the total heat exchanger 20 and then exchanged again with the heat of the heat dissipating unit 25 to be exhausted into the room at a high temperature.

겨울철 기간에 실내온도측정값이 실외온도측정값보다 클 경우,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 1개폐부재(50A), 제 2개폐부재(50B), 제 3개폐부재(50C), 제 4개폐부재(50D), 제 5개폐부재(50E), 제 6개폐부재(50F), 제 7개폐부재(50G), 제 8개폐부재(50H), 제 9개폐부재(50I), 제 10개폐부재(50J), 제 11개폐부재(50K) 및 제 12개폐부재(50L) 모두를 폐쇄상태로 제어 및 상기 송풍기(40)의 제 1송풍기(410)와 제 2송풍기(420) 모두를 작동중지시킬 수 있다.When the indoor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is greater than the outdoor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in the winter period,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first opening/closing member 50A, the second opening/closing member 50B, the third opening/closing member 50C, and the fourth opening/closing member. Member 50D, fif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E, six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F, seven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G, eigh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H, nin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I, ten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 50J), the eleventh opening/closing member 50K and the twelfth opening/closing member 50L are all controlled to a closed state, and both the first blower 410 and the second blower 420 of the blower 40 can be stopped have.

도 24는 실내공기 제연운전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2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door air ventilation operation mode.

다음으로, 상기 자동운전모드(610)의 실내공기 제연운전모드(619)에서의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연기감지부(60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송풍기(40) 및 상기 개폐부재(50)를 제어할 수 있다.Next, in the indoor air ventilation operation mode 619 of the automatic operation mode 610 ,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blower 40 and the opening/closing member 50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moke detection unit 600 . ) can be controlled.

일예로, 상기 연기감지부(600)가 화재로 인해 실내에 발생된 연기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60)는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8개폐부재(50H)와 제 12개폐부재(50L)를 개방상태로 제어 및 상기 제 1개폐부재(50A), 제 2개폐부재(50B), 제 3개폐부재(50C), 제 4개폐부재(50D), 제 5개폐부재(50E), 제 6개폐부재(50F), 제 7개폐부재(50G), 제 9개폐부재(50I), 제 10개폐부재(50J) 및 제 11개폐부재(50K)를 폐쇄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moke detection unit 600 detects smoke generated indoors due to a fire,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eigh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H and the twelf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L as shown in FIG. 24 . ) in an open state, and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A,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B, the third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C, the four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D, the fif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E, the sixth The opening/closing member 50F, the seventh opening/closing member 50G, the ninth opening/closing member 50I, the tenth opening/closing member 50J, and the eleventh opening/closing member 50K may be controlled in a closed state.

이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60)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제 1송풍기(410)에 의해 연기와 함께 실내공기가 상기 제 2급기관(130), 제 4바이패스 유로관(340), 제 5바이패스 유로관(350), 제 6바이패스 유로관(360),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 3챔버(10c) 및 상기 배기관(120) 순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실외로 배기될 수 있다.(도 24의 점선 화살표 참조.)In this state, by the first blower 410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60, indoor air along with smoke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air supply pipe 130, the fourth bypass flow pipe 340, and the fifth bypass. The flow path pipe 350 , the sixth bypass flow path pipe 360 , the third chamber 10c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 , and the exhaust pipe 120 sequentially move in order to be exhausted to the outdoors. . (See dotted arrow in Figure 24.)

상기 연기감지부(600)가 화재로 인해 실내에 발생된 연기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 1개폐부재(50A), 제 2개폐부재(50B), 제 3개폐부재(50C), 제 4개폐부재(50D), 제 5개폐부재(50E), 제 6개폐부재(50F), 제 7개폐부재(50G), 제 8개폐부재(50H), 제 9개폐부재(50I), 제 10개폐부재(50J), 제 11개폐부재(50K) 및 제 12개폐부재(50L) 모두를 폐쇄상태로 제어 및 상기 송풍기(40)의 제 1송풍기(410)와 제 2송풍기(420) 모두를 작동중지시킬 수 있다.When the smoke detection unit 600 does not detect the smoke generated in the room due to the fire,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first opening/closing member 50A, the second opening/closing member 50B, and the third opening/closing member ( 50C), four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D, fif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E, six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F, seven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G, eigh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H, ninth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I , the tenth opening/closing member 50J, the eleventh opening/closing member 50K and the twelfth opening/closing member 50L are all controlled in a closed state, and the first blower 410 and the second blower 420 of the blower 40 You can disable them all.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실내공기와 함께 유입된 연기는 상기 전열교환기(20)를 통과하지 않은 상태로 빠른 속도로 실외로 배기될 수 있다.The smoke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body 10 may be rapidly exhausted outdoors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20 .

다음으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수동운전모드(620)가 ON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환기운전스위치부(640)를 ON상태로 설정한 경우, 상기 환기운전스위치부(640)는 실내환기를 위해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전열교환기(20)에서 상호 열교환 및 상기 전열교환기(20)에 구비된 필터(21)를 통해 정화된 외부공기 및 실내공기가 실내로 배기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60)로 상기 송풍기(40) 및 상기 개폐부재(50)의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Next, when the user manually sets the ventilation operation switch unit 640 to the ON state in a state where the manual operation mode 620 is set to the ON state by the user, the ventilation operation switch unit 640 operates indoors. The external air and indoor air purified through the filter 21 provided in the total heat exchanger 20 and mutual heat exchange in the total heat exchanger 20 after being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 for ventilation are exhausted into the room. control signals of the blower 40 and the opening/closing member 50 may be output to the control unit 60 to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환기운전스위치부(6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실내 환기운전모드(611)를 실행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60 may execute the indoor ventilation operation mode 611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ventilation operation switch unit 640 .

다음으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수동운전모드가 ON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실내청정운전스위치부(350)를 ON상태로 설정한 경우, 상기 실내청정운전스위치부(350)는 실내 청정을 위해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타측구획판(114)을 이루는 실내청정필터를 통해 정화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배기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60)로 상기 송풍기(40) 및 상기 개폐부재(50)의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Next, when the user manually sets the indoor clean operation switch unit 350 to the ON state in a state in which the manual operation mode is set to the ON state by the user, the indoor clean operation switch unit 350 automatically cleans the room. For the purpose of this, the blower 40 and the blower 40 and the A control signal of the opening/closing member 50 may be output.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실내청정운전스위치부(3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실내청정운전모드(612)를 실행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60 may execute the indoor clean operation mode 612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indoor clean operation switch unit 350 .

다음으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수동운전모드가 ON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환절기에 사용자는 상기 실내온도조절부(660)를 조작하여 환절기 실내의 냉방온도값을 조절할 수 있다.Next, in a state in which the manual operation mode is set to the ON state by the user, the user may control the indoor cooling temperature value in the changing season by manipulating the indoor temperature control unit 660 in changing seasons.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실내온도조절부(660)에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실내온도조절부(660)를 통해 조절된 실내냉방온도값을 근거로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고온의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기 및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타측구획판(114)을 이루는 실내청정필터를 통과하는 저온의 외부공기가 실내로 배기될 수 있도록 상기 송풍기(40)와 상기 개폐부재(50)를 제어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간절기 외기 냉방운전모드(613)에서의 제어방식과 동일하다.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high temperature introduced into the body 10 based on the indoor cooling temperature value adjusted through the room temperature control unit 66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utput to the room temperature control unit 660 . The blower 40 an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 which is the same as the control method in the outdoor air cooling operation mode 613 in the changing season.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불필요한 환기운전을 제어하며 전열 교환 후 버려지는 2차 폐열까지 활용하는 기술로 전열효율이 높아 버려지는 에너지가 없으며, 필터 자동청소로 필터 교체주기를 연장하며 세균번식을 억제 및 살균할 수 있어 유해세균의 실내유입을 차단할 수 있고, 겨울철 난방 시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 및 전기, 또는 다양한 열원을 난방열로 공급이 가능하며, 나아가, 화재 발생 시 중앙 제어장치와 연동하여 제연운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모든 기능이 최적화되어 운전되도록 자동과 수동 제어를 지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 technology that controls unnecessary ventilation operation and utilizes even secondary waste heat discarded after total heat exchange.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is high, so there is no wasted energy. It can suppress and sterilize, so it can block the inflow of harmful bacteria into the room, and when heating in winter, it is possible to supply hot water and electricity using solar heat or various heat sources as heating heat. Not only is this possible, but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supporting automatic and manual controls to ensure that all functions are optimized to operate.

10; 본체, 20; 전열교환기.
30; 바이패스 유로관, 40; 송풍기,
50; 개폐부재.
10; body, 20; total heat exchanger.
30; bypass flow pipe, 40; air blower,
50; opening member.

Claims (9)

환기기능을 위해 외부공기와 실내공기가 각각 유입 및 배기되는 급배기관이 형성되고, 내부에 전열교환기 및 실내 냉난방 환기시 전열 후 버려지는 폐열을 재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바이패스 유로관과, 외부공기와 실내공기를 내부로 유입 및 외부로 배기시키기 위한 송풍기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관을 개폐하는 개폐댐퍼로 이루어지는 개폐부재가 구비되는 본체와;
실내공기의 질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송풍기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 상기 송풍기와 개폐부재를 컨트롤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실내조절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환기 시스템.
For the ventilation function, a supply/exhaust pipe is formed through which outside air and indoor air are introduced and exhausted, respectively, and a bypass flow pipe configured to reuse waste heat discarded after heat transfer during total heat exchanger and indoor cooling and ventilation ventilation, and a main body provided with an opening/closing member comprising a blower for introducing and exhausting indoor air to the interior and an opening/closing damp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ypass flow pipe;
a sensing unit for sensing indoor air quality;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lower and the opening/closing member according to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and an indoor control device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blower and the opening/closing member to the controller.
제 1항에 있어서,
실내청정을 위해 실내공기를 여과 및 실내공기를 탈취하는 실내청정필터와;
실내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실내온도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환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 indoor cleaning filter for filtering and deodorizing indoor air for indoor cleaning;
An eco-friendly energy-saving multifunctional ventil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제 1항에 있어서,
간절기 시 냉방을 위해 외부공기와 실내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외부공기가 상기 전열교환기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실내청정필터를 통과하여 실내로 유입 및 실내공기가 상기 전열교환기를 통과하지 않고 외부로 배기되도록 상기 송풍기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환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temperature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and the indoor air for cooling in the changing season; is provid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blower and the opening/closing member so that outside air passes through the indoor cleaning filter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and flows into the room and indoor air is exhausted to the outside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Eco-friendly energy-saving multifunctional ventilation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교환기에 헤파필터와 프리필터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리필터와 헤파필터 자동청소운전을 위해 상기 송풍기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환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HEPA filter and a pre-filter are provided in the total heat exchanger,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blower and the opening/closing member for automatic cleaning of the pre-filter and the HEPA filt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청정필터의 청소를 위해 상기 송풍기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환기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is an eco-friendly energy-saving multifunctional ventil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control the blower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to clean the indoor cleaning fil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열교환기를 청소 및 건조시키기 위해 상기 송풍기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환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n eco-friendly energy-saving multifunctional ventil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control the blower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to clean and dry the total heat exchang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자외선 살균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환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 eco-friendly energy-saving multifunctional ventil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UV sterilization unit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동절기 실내 난방을 위해 신재생에너지인 태양광을 활용하는 태양광 온수나 태양광 발전전기로 가열된 고온의 공기가 본체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 및 실내공기와 열교환되어 실내 난방을 담당하는 열발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환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For indoor heating in the winter season, solar hot water using sunlight, which is a renewable energy, or high-temperature air heated by photovoltaic electricity is heat-exchanged with the outside air and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body to heat the room in the winter. An eco-friendly energy-saving multifunctional ventil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heat dissipation unit in char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화재 발생시 실내공기와 함께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된 연기가 실외로 배기되도록 상기 송풍기 및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환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n eco-friendly energy-saving multifunctional ventil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blower and the opening/closing member so that the smoke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together with the indoor air is exhausted to the outdoors when a fire occurs.
KR1020200071985A 2020-06-15 2020-06-15 Energy-saving multifunctional ventilation system KR1023571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985A KR102357140B1 (en) 2020-06-15 2020-06-15 Energy-saving multifunctional ventil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985A KR102357140B1 (en) 2020-06-15 2020-06-15 Energy-saving multifunctional ventil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403A true KR20210155403A (en) 2021-12-23
KR102357140B1 KR102357140B1 (en) 2022-02-03

Family

ID=79175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985A KR102357140B1 (en) 2020-06-15 2020-06-15 Energy-saving multifunctional ventil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714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18235A (en) * 2022-04-08 2022-06-14 上海清悠空气净化科技有限公司 Multi-layer filtering air purification equipment with temperature compensation function
WO2023132454A1 (en) * 2022-01-04 2023-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Ventil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108B1 (en) * 2007-01-08 2008-02-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Heat recovery ventilation device
KR20090129169A (en) * 2008-06-12 2009-12-16 (주)이에스 Variable heat pump cooling and heating system with waste heat recovery ventilation system and the method of
KR101121824B1 (en) * 2011-03-16 2012-03-19 (주)금강씨엔텍 Air-conditioning system using solar thermal energy
KR101153398B1 (en) * 2011-10-25 2012-06-07 신우공조 주식회사 Room air cleaning system
KR101638065B1 (en) * 2015-09-07 2016-07-08 대림산업 주식회사 Ventilation System with Air Filter and Bypass Route, and Ventilating Method using such System
KR20170034878A (en) 2017-03-22 2017-03-29 (주)에이피 Ventilating apparatus having by-pass function
KR102060633B1 (en) * 2019-07-24 2019-12-30 서진공조(주) Air circulation system with air cleaning technology
KR20200017075A (en) * 2018-08-08 2020-02-18 허영호 Multi-function heat exchanger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108B1 (en) * 2007-01-08 2008-02-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Heat recovery ventilation device
KR20090129169A (en) * 2008-06-12 2009-12-16 (주)이에스 Variable heat pump cooling and heating system with waste heat recovery ventilation system and the method of
KR101121824B1 (en) * 2011-03-16 2012-03-19 (주)금강씨엔텍 Air-conditioning system using solar thermal energy
KR101153398B1 (en) * 2011-10-25 2012-06-07 신우공조 주식회사 Room air cleaning system
KR101638065B1 (en) * 2015-09-07 2016-07-08 대림산업 주식회사 Ventilation System with Air Filter and Bypass Route, and Ventilating Method using such System
KR20170034878A (en) 2017-03-22 2017-03-29 (주)에이피 Ventilating apparatus having by-pass function
KR20200017075A (en) * 2018-08-08 2020-02-18 허영호 Multi-function heat exchanger
KR102060633B1 (en) * 2019-07-24 2019-12-30 서진공조(주) Air circulation system with air cleaning technolog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2454A1 (en) * 2022-01-04 2023-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Ventil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114618235A (en) * 2022-04-08 2022-06-14 上海清悠空气净化科技有限公司 Multi-layer filtering air purification equipment with temperature compensation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7140B1 (en)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9063B1 (en) Indoor air treatment system with HEPA filtration
KR100580288B1 (en) Inhalation unit for ventilation with sterilizing and controlling temperature function
KR102357140B1 (en) Energy-saving multifunctional ventilation system
CN108291737B (en) Module for ventilating and biologically purifying air inside and outside an environment and related method
CN205137683U (en) Automatically cleaning air purification system
KR20120028045A (en) Window shaped hybrid ventilator
KR101400831B1 (en) Continuous air shower booth
KR100587315B1 (en) ventilating system
KR20110124909A (en) Energy saving type integrated ventilating apparatu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KR20210030589A (en) Air Cleaning System for Kitchen
KR100587359B1 (en) air cleaning system with ventilator
KR102274942B1 (en) Air circulation system with toilet and bathroom exhaust
KR200391750Y1 (en) Ventilation unit with sterilizing and controlling temperature function
CN109579165A (en) A kind of medical total-heat exchanger and its application method
JP2002195623A (en) Quality changing system for air in building and building provided with the same
KR200394917Y1 (en) Inhalation unit for ventilation with sterilizing and controlling temperature function
KR20140025212A (en) Eco-master ventilation system
KR101126308B1 (en) Multiple purpose ventilating apparatus
KR100587314B1 (en) ventilating system
KR100587313B1 (en) air cleaning system with ventilator
KR20170133683A (en) A ventilator for waste heat recovery
KR20210116076A (en) Air purifying apparatus using vegetation block
KR102274940B1 (en) Air circulation system with toilet and bathroom exhaust
KR102274941B1 (en) Air circulation system with toilet and bathroom exhaust
CN215765536U (en) Air intercha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