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5381A - System for verifying testing with online-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ystem for verifying testing with online-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55381A KR20210155381A KR1020210077515A KR20210077515A KR20210155381A KR 20210155381 A KR20210155381 A KR 20210155381A KR 1020210077515 A KR1020210077515 A KR 1020210077515A KR 20210077515 A KR20210077515 A KR 20210077515A KR 20210155381 A KR20210155381 A KR 2021015538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st
- terminal
- amount
- online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7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6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0000001815 fac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10000001747 pupil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200 validation analysis Methods 0.000 claims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27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5721 COVID-19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473 Communicabl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28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06 recurr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4 s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 H04L29/06809—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1—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biometrical features, e.g. fingerprint, retina-sca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84—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온라인 인공지능 시험 검증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artificial intelligence test verification system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편리성이나 원거리성의 이유로 늘어나는 온라인 교육 및 평가 수요자에 따라 진보된 평가 공정성이 요구되는 바, 만에 하나 일어날지도 모르는 부정행위는 출제자, 응시자의 시험 공정성 훼손과 불편부당의 오해를 야기하 므로, 온라인 시험의 공정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0003] 현재 출제자들은(특히 사이버대학) 온라인 평가시 기능키 사용을 불가능하게 하거나 사용가능하게 하고 기능키 사용을 기록하는 방법, 기능키 사용감지기능을 통해 타 프로그램 사용 시도를 경고조치나 부정행위로 간주하기 위한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한 방편으로 혹은 시험제도와 평가 방식을 지속적으로 바꿔가며 예상되는 부정행위에 소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다. [0004] 본인 여부 확인을 위해 지문인식이나 홍채인식 기술을 사용하는 기술도 제안되었다. 그러나, 지문인식이나 홍채 인식 기술은 이미 상당히 진보되어 있는 기술이기는 하나, 별도로 지문인식기 또는 홍채인식기를 수험자가 구비 하고 있기 어려우므로, 원격성이 장점인 온라인 시험에서 적용하기에는 불충분한 기술이다. Du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online education and evaluation users due to convenience or distance, advanced evaluation fairness is required. Various methods have been proposed to secure the fairness and reliability of the test. [0003] Current questioners (especially cyber colleges) disable or enable the use of function keys during online evaluation, a method of recording the use of function keys, and a warning action or fraudulent action against attempts to use other programs through a function key usage detection function As a way to secure data to be considered as a 'Corruption', it is passively responding to expected misconduct by continuously changing the testing system and evaluation method. [0004] Techniques using fingerprint recognition or iris recognition technology to confirm identity have also been proposed. However, although fingerprint recognition or iris recognition technology is already quite advanced, it is difficult for the examinee to have a separate fingerprint or iris recognition device, so it is insufficient technology to be applied in the online test, which has the advantage of remoteness.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99769 (출원번호 10-2009-0038799)에서는, 웹캠을 이용한 온라인평가 응시자의 진정성 확보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온라인 교육에 대한 수강신청시나 학기초에 응시자의 디지털 이미지를 등록하여 향후 본인 판단 여부의 기준 이미지로 사용하여 시험시 얼굴을 확인하여 타인이 대리 시 험보는 부정행위를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Meanwhi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99769 (Application No. 10-2009-0038799) discloses a method for securing the authenticity of online evaluation test takers using a webcam. It discloses a method that can detect cheating by registering a test taker's digital image at the time of course registration for online education or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and using it as a reference image for future judgments to check the face during the test. .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50029 (출원번호 10-2007-0039984)에서는 단말기에 연결된 카메라를 이용하 여 스틸컷을 사용하여 온라인 교육의 출석인증과 시험에 적용한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Meanwhile, Korean Patent Laid-Open Patent Publication 10-2007-0050029 (Application No. 10-2007-0039984) discloses contents applied to online education attendance authentication and testing using still cuts using a camera connected to a terminal.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78157 (출원번호 10-1998-0709046)에서는, 마이크와 카메라 그리고 지문인식을 조합한 고가의 장치를 사용하여 시험대상자의 동영상, 소리 자료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시험평가자의 서버에서 통제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시험 도중에 부적격 사유가 있을 때 바로 시험 중지가 되어 향후 논란의 여지가 많다. 그리고, 실시간으로 부적격 사유를 적발하기 위해서 항상 시험 관리자가 시험 관리 상태를 관찰해야 하는 데 인원수가 많아질 경우는 적용하기가 어려울 단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0478157 (Application No. 10-1998-0709046), the server of the test evaluator in real time using the video and sound data of the test subject using an expensive device that combines a microphone, a camera, and fingerprint recognition A control method was proposed. If there is a reason for disqualification during the exam, the exam will be stopped immediately, and there is a lot of room for controversy in the future. In addition, in order to discover the reason for disqualification in real time, the test manager must always observe the test management status, but when the number of people increases, it is difficult to apply.
즉, 지금까지 온라인 시험을 응시하는 경우에 본인 여부를 확인을 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온라인 시험 응시 중에 수험자가 답을 찾거나 타인이 온라인으로 제출되는 문제의 답을 가르쳐 주는 등 의 부정행위에 대해서는 이를 검출하거나, 제한할 방법이 없어, 온라인 시험의 공정성이 제대로 정립될 수 없었다.In other words, several methods have been proposed to verify the identity of the person taking the online test so far. However, there was no way to detect or limit cheating, such as when test takers search for answers or teach others the answers to questions submitted online, while taking the online test, so the fairness of the online test could not be properly established. .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인공지능 시험 검증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nline artificial intelligence test verification system capable of solving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인공지능 시험 검증 시스템은 사용자의 수험번호 및 생체정보를 기초로 웹 사이트에 접속한 후, 시험 시간동안 사용자의 주변정보 및 안면정보를 촬영하여 제공하는 시험단말: 및 상기 시험단말에서 송출된 주변영상정보, 얼굴영상정보, 동적메모리/네트워크 트래픽량을 기초로 시험 부정행위 여부를 판단하는 AI 시험검증서버를 포함한다.The online artificial intelligence test ve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connects to a website based on the user's application number and biometric information, and then captures the user's surrounding information and facial information during the test time A test terminal provided by: and an AI test verification server that determines whether a test is cheating based on the surrounding image information, face image information, and dynamic memory/network traffic volume transmitted from the test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험단말은 시험출제 웹 사이트의 시험문제를 표시하는 표시부; 수험자의 지문정보를 센싱하는 지문센서를 구비한 입력부; 사용자의 얼굴영상 및 주변영상을 촬영하여 수집하는 영상수집부; 및 상기 표시부는 상기 지문센서가 비활성화될 경우, 표시동작이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test terminal i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test questions of the test website website; an input unit having a fingerprint sensor for sensing the examinee's fingerprint information; an image collection unit that captures and collects a user's face image and surrounding images; and the display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fingerprint sensor is deactivated, the display operation is deactivat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험단말은 상기 시험 시간동안 동적 메모리 및 네트워크의 트래픽 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test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mits the dynamic memory and traffic information of the network during the test time in real time.
일 실시예에서, 상기 AI 시험검증서버는 상기 시험단말에서 입력한 지문정보 및 수험번호를 기초로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AI test verification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firms the user's self-authentication based on the fingerprint information and the examination number input from the test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AI 시험검증서버는 온라인 시험 시간동안 상기 시험단말에서 전송된 얼굴영상 내의 안면윤곽의 움직임 및 동공영역의 움직임 변화(좌표)를 추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AI test verification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tracks the movement of the facial contour and the movement of the pupil region (coordinates) in the face image transmitted from the test terminal during the online test time.
일 실시예에서, 상기 AI 시험검증서버는 온라인 시험 시간동안 상기 시험단말에서 전송된 동적 메모리 및 네트워크의 트래픽 변화량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AI test verification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onitors the amount of traffic change of the dynamic memory and the network transmitted from the test terminal during the online test time.
일 실시예에서, 상기 AI 시험검증서버는 상기 시험단말에서 송출한 주변영상 내에 얼굴영상과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AI test verification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the existence of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face image in the surrounding image transmitted from the test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AI 시험검증서버는 시험 전 수험자가 기 설정된 표시지점을 응시한 수험자의 얼굴영상 및 주변영상을 레퍼런스(ref)로 설정하며, 시험이 진행되면, 설정한 레퍼런스를 기초로 수험자의 안면윤곽영역 및 동공영역의 동적변화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AI test verification server sets, as a reference (ref), the face image and the surrounding image of the examinee who gazed at the preset display point before the test, and when the test is conducted, based on the set reference, the test taker It is characterized by calculating the amount of dynamic change in the facial contour region and the pupil reg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AI 시험검증서버는 온라인 시험이 시작되면, 수험자의 마우스 커서 위치에 따른 동공영역 및 얼굴윤곽영역의 동적 움직임을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AI test verification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online test starts, the dynamic movement of the pupil region and the facial contour region according to the mouse cursor position of the examinee is track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AI 시험검증서버는 동공영역 및 얼굴윤곽영역의 동적 움직임의 변화량 및 트래픽 변화량 각각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횟수를 카운트한 후, 누적 카운트 값의 합산값이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해당 수험자를 부정행위자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AI test verification server counts the number of times each of the amount of change in the dynamic movement of the pupil region and the face contour region and the amount of traffic change exceeds the reference value, and then the sum of the accumulated count values exceeds the reference valu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xaminee is judged as a cheat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AI 시험검증서버는 영상 오브젝트(동공영역 및 얼굴윤곽영역) 움직임의 변화량과 트래픽 변화량에 대한 상대적 가중치를 부가하여 카운트의 합산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the AI test verification server calculates the sum of the counts by adding a relative weight to the amount of change in the movement of the image object (pupil region and facial contour region) and the traffic chang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온라인 시험 검증 시스템의 운영방법은 시험단말에서 입력한 수험정보 및 지문정보를 기초로 수험자의 본인인증을 AI 시험검증서버에서 확인하는 단계; 상기 본인인증이 확인되면, 상기 시험단말의 시험출제 웹 사이트 접속을 승인하는 단계; 상기 시험단말에서 시험출제 웹 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시험단말에서 기 설정된 표시지점을 응시한 수험자의 얼굴영상 및 주변영상을 상기 AI 시험검증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시험단말에서 동적메모리 및 네트워크 트래픽량을 AI 시험검증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AI 시험검증서버에서 기 설정된 표시지점을 응시한 수험자의 안면윤곽 및 동공좌표를 확인하는 단계; 온라인 시험이 시작되면, 수험자의 마우스 커서 위치에 따른 동공영역 및 얼굴윤곽영역의 동적 움직임을 추적하고, 상기 시험단말의 동적메모리 및 네트워크의 트래픽량 변화량을 분석한 후, 동공/얼굴윤곽 좌표의 움직임의 변화량 및 트래픽 변화량 각각의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동공/얼굴윤곽 좌표의 움직임의 변화량 및 트래픽 변화량 각각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횟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및 상기 동공/얼굴윤곽 좌표의 움직임의 변화량 및 트래픽 변화량에 대한 누적 카운트 값의 합산값이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시험출제 웹 사이트의 접속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operation method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online test ve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the steps of confirming the identity of the examinee in the AI test verification server based on the examination information and fingerprint information input from the test terminal ; if the identity verification is confirmed, approving the test terminal access to the test website; accessing the test website from the test terminal; transmitting the face image and the surrounding image of the examinee who gazed at the preset display point in the test terminal to the AI test verification server; transmitting the dynamic memory and network traffic amount from the test terminal to the AI test verification server; checking the facial contour and pupil coordinates of the examinee who gazed at a preset display point in the AI test verification server; When the online test starts, the dynamic movement of the pupil region and facial contour region according to the mouse cursor position of the examinee is tracked, and after analyzing the dynamic memory of the test terminal and the amount of traffic change in the network, the movement of pupil/face contour coordinates comparing the change amount and the traffic change amount with reference values, respectively;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each of the movement change amount and the traffic change amount of the pupil/face contour coordinates exceeds a reference value; and when the sum of the cumulative count values for the amount of change in motion of the pupil/face contour coordinates and the amount of change in traffic exceeds a reference value, blocking access to the test question website.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지문 및 영상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수험자의 부정행위가 의심되는 행위를 검출하여 알려줌으로써, 신뢰성 및 공정성 있는 온라인 시험을 진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user's fingerprint and image inform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reliable and fair online test can be conducted by detecting and notifying an act suspected of cheating by the examinee.
또한, 한 번에 한 강의실에서 컴퓨터 기반 시험(CBT)을 치르는 여러 수험자들을 감독하기 위해서는 여러 명의 감독관이 필요했지만, 본 발명의 시스템을 활용하면, 부정행위 의심동작 발생시, 자동적으로 부정행위 의심 동작을 한 수험자의 시험이 중지되기 때문에, 여러 명의 감독관이 필요없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everal supervisors were required to supervise multiple examinees taking the computer-based test (CBT) in one classroom at a time. Since one examinee's exam is stopped, there is no need for multiple supervisors.
더 나아가, 코로나 19와 같이 집단 전염병이 확산되는 시기에도 댁 내에서 간편하게 온라인 시험을 공정하게 시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Furtherm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nline test can be conducted fairly and conveniently at home even during a time when a mass infectious disease is spreading like COVID-19.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urpos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시험검증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험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I 시험검증서버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시험검증 시스템의 운영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 도이다.1 is a network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nline test ve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test terminal shown in FIG. 1 .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AI test verification server shown in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ng method of an online test ve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llustrates an example computing environment in which one or mor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implemented.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excessively comprehensive It should not be construed in the meaning of a human being or in an excessively reduced meaning. In addition, when the technical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correct technical term that does not accurately expres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by being replaced with a technical term that can be correct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he gener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definition in the dictionary or according to the context before and after,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excessively reduced meaning.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so, the singular express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various steps described in the invention, and some components or some steps may not be included.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Also,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to describe the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온라인 시험 검증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artificial intelligence online test ve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온라인 시험검증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험단말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I 시험검증서버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network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online test ve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test terminal shown in FIG. 1, and FIG. 3 is the AI test verification server shown in FIG. It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온라인 시험 검증 시스템(10)은 시험단말(200) 및 AI 시험검증서버(3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 the artificial intelligence online
상기 시험단말(200) 및 AI 시험검증서버(300)는 네크워크를 통해 연결된다.The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information exchange is possible between each node, such as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servers. Examples of such networks include RF,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Long Term Evolution (LTE). ) network, 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 network,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network,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Bluetooth (Bluetooth) network, NFC network,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alog broadcasting network,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 etc.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the term at least one is defined as a term including the singular and the plural, and even if the at least one term does not exist, each element may exist in the singular or plural, and may mean the singular or plural. it will be self-evident In addition, that each component is provided in singular or plural may be changed according to embodiments.
상기 시험단말(200)은 수험번호 및 수험자 인증정보를 기초로 온라인 시험문제를 제공하는 기 설정된 웹 사이트에 접속하는 단말일 수 있다.The
상기 시험단말(200)은 시험시간 동안 수험자의 얼굴영상, 주변영상 및 동적 메모리/네트워크의 트래픽 정보를 후술하는 AI 시험검증서버(300)로 제공하는 단말일 수 있다.The
상기 시험단말(200)은 시험출제 웹 사이트의 시험문제를 표시하는 표시부, 수험자의 지문정보를 센싱하는 지문센서를 구비한 입력부, 사용자의 얼굴영상 및 주변영상을 촬영하여 수집하는 영상수집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지문센서가 비활성화될 경우, 표시동작이 비활성화되는 구성일 수 있다.The
참고로, 상기 영상수집부의 촬영영역은 수험자의 주변영역 및 수험자 영역으로 분류되며, 주변영역 및 수험자 영역에서 추출되는 오브젝트들은 부정시험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으로 작용한다.For reference, the photographing area of the image collecting unit is classified into a peripheral area and an examinee area of the examinee, and objects extracted from the surrounding area and the examinee area act as a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negative test is performed.
가령, 주변영역 내에 책, 사람, 영상매체 등에 대한 오브젝트가 추출될 경우, 시험자의 시험행위는 부정시험으로 간주되고, 시험자 영역 내의 동공 움직임, 얼굴 모션 등이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날 경우, 부정시험으로 간주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objects such as books, people, and video media are extracted from the surrounding area, the tester's test behavior is considered a fraudulent test. can be considered
한편, 상기 시험단말(200)은 후술하는 AI 시험검증서버(300)에서 지원하는 플랫폼을 실행하는 단말로서, 해당 플랫폼은 시험정보, 수험자 확인정보, 수험자 생체정보 등을 확인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상기 시험단말(200)은 시험시간 동안 내부의 동적메모리의 트래픽량 및 네트워크의 트래픽량을 실시간으로 AI 시험검증서버(300)로 제공한다. 이는 시험단말(200)과 연동된 외부기기와의 정보흐름을 차단하기 위함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시험단말(200)은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폴더블 단말기(Foldab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The
다음으로, 상기 AI 시험검증서버(300)는 시험단말(200)에서 송출된 주변영상정보, 얼굴영상정보, 동적메모리/네트워크 트래픽량을 기초로 시험 부정행위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일 수 있다.Next, the AI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AI 시험검증서버(300)는 입출력부(310), 수험자 인증부(320), 영상 오브젝트 처리부(330), 트래픽 모니터링부(340), 부정행위 판단부(350) 및 접속 승인/차단부(360)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AI
상기 입출력부(310)는 시험단말로부터 지문정보, 얼굴영상정보 및 주변영상정보를 수신하고, 후술하는 수험자 인증정보 및 부정행위 판단정보를 시험단말로 출력하는 구성일 수 있다.The input/
상기 수험자 인증부(320)는 시험단말(200)에서 입력한 수험자의 지문정보 및 수험번호를 기초로 수험자의 본인인증을 확인하는 구성일 수 있다.The test
상기 영상 오브젝트 처리부(330)는 시험단말(200)에서 송출한 얼굴영상정보 내의 안면윤곽영역 및 동공영역을 추출한 후, 시험시간 동안 안면윤곽영역 및 동공영역이 동적변화(좌표변화)를 추적하는 구성일 수 있다.The image
또한, 영상 오브젝트 처리부(330)는 시험단말(200)에서 송출한 주변영상 내에 얼굴영상과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존재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lso, the image
상기 영상 오브젝트 처리부(330)는 시험 전 수험자가 기 설정된 표시지점을 응시한 수험자의 얼굴영상 및 주변영상을 레퍼런스(ref)로 설정하며, 시험이 진행되면, 설정한 레퍼런스를 기초로 수험자의 안면윤곽영역 및 동공영역의 동적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The image
또한, 영상 오브젝트 처리부(330)는 온라인 시험이 시작되면, 수험자의 마우스 커서 위치에 따른 동공영역 및 얼굴윤곽영역의 동적 움직임을 추적한다.In addition, when the online test starts, the image
이때, 영상 오브젝트 처리부(330)는 입출력부로부터 시험단말의 마우스 커서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image
부가적으로, 상기 영상 오브젝트 처리부(330)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채용하며, 상기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시험단말에서 전송된 수험자의 얼굴영상 및 주변영상 내에 오브젝트(안면영역 및 동공영역)를 추출할 수 있고, 또한, 주변영상 내의 외부객체(사람 또는 얼굴)의 형상 등을 추출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image
상기 딥러닝 알고리즘은 Deep Belief Network, Autoencoder,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rural Network), Deep Q-Network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 열거한 딥러닝 알고리즘은 일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deep learning algorithm may include a Deep Belief Network, Autoencoder,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Deep Q-Network, etc., and the deep learning algorithm list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다음으로, 트래픽 모니터링부(340)는 온라인 시험이 시작 전과 진행되는 동안에 시험단말의 동적메모리 및 네트워크 트래픽량을 비교하여 트래픽 변화량을 분석한다.Next, the
추가적으로 트래픽 모니터링부(340)는 네트워크 트래픽 상태를 혼잡 상태, 일반 상태, 원할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인지한다. 여기서, 네트워크의 트래픽 상태는 전파 환경 신호에 포함된 파라미터인 Rx, Tx, Ec/Io,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전송률, 할당된 슬레이브 단말의 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기 설정된 네트워크 상태 임계값과 비교하여 네트워크 상태를 인지한다. 파라미터와 네트워크 상태 임계값을 비교하여 파라미터가 네트워크 상태 임계값 미만인 경우 네트워크 상태를 원활 상태로 인지하고, 파라미터와 네트워크 상태 임계값을 비교하여 파라미터가 네트워크 상태 임계값의 오차 허용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네트워크 상태를 일반 상태로 인지한다.Additionally, the
또한, 트래픽 모니터링부(340)는 트래픽 제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시험단말에서 AI 시험검증서버로 트래픽 전송 중 개별 네트워크 상태(물리계층(Physical Layer), RF 계층, MAC 계층, IP 계층 등 다앙한 계층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만약, 시험단말로 할당된 경로 네트워크가 혼잡상태일 경우, 해당 경로 네트워크를 다른 경로 네트워크로 대체할 수 있다.If the path network assigned to the test terminal is in a congested state, the corresponding path network may be replaced with another path network.
다음으로, 부정행위 판단부(350)는 동공영역 및 얼굴윤곽영역의 동적 움직임의 변화량 및 트래픽 변화량 각각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횟수를 카운트한 후, 누적 카운트 값의 합산값이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해당 수험자를 부정행위자로 판단하는 구성일 수 있다.Next, the
여기서, 상기 부정행위 판단부(350)는 영상 오브젝트(동공영역 및 얼굴윤곽영역) 움직임의 변화량과 트래픽 변화량에 대한 상대적 가중치를 부가하여 카운트의 합산값을 산출할 수 있다.Here, the
다음으로, 상기 접속 승인/차단부(360)는 수험자 인증확인정보를 기초로 시험단말의 시험출제 웹 사이트 접속을 승인하는 구성일 수 있다.Next, the access approval/
또한, 상기 접속 승인/차단부(360)는 부정행위 판단부(350)의 판단정보를 기초로 시험출제 웹 사이트와의 접속을 차단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access approval/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온라인 시험 검증 시스템의 운영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ng method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online test ve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인공지능 시험 검증 시스템의 운영방법(S700)은 먼저, 시험단말(200)에서 입력한 수험정보 및 지문정보를 기초로 수험자의 본인인증을 AI 시험검증서버(300)에서 확인(S710)한다.Referring to FIG. 4 , in the operating method ( S700 ) of the online artificial intelligence test ve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based on the test information and fingerprint information input from the
이후, 수험자의 본인인증이 확인되면, 해당 시험단말(200)이 시험출제 웹 사이트에 접속하는 것을 승인하면, 시험단말(200)은 시험출제 웹 사이트에 접속(S720)한다. Thereafter, when the test taker's identity verification is confirmed, if the
시험출제 웹 사이트에 접속되면, 시험단말은 기 설정된 표시지점을 응시한 수험자의 얼굴영상 및 주변영상을 AI 시험검증서버로 전송(S730)하고, 또한, 시험단말 내의 동적메모리 및 네트워크 트래픽량을 AI 시험검증서버로 전송(S740)한다.When the test website is accessed, the test terminal transmits the face image and surrounding images of the test taker who took the test at the preset display point to the AI test verification server (S730), and also the dynamic memory and network traffic volume in the test terminal. It is transmitted to the test verification server (S740).
이후, AI 시험검증서버(300)에서 기 설정된 표시지점을 응시한 얼굴영상 내의 수험자의 안면윤곽 및 동공좌표를 확인(S750)한다.Thereafter, the facial contour and pupil coordinates of the examinee in the face image gazing at the preset display point in the AI
다음으로, 온라인 시험이 시작되면, AI 시험검증서버(300)는 수험자의 마우스 커서 위치에 따른 동공 좌표 및 얼굴 윤곽 좌표의 움직임을 추적하고, 또한, 상기 시험단말의 동적메모리 및 네트워크의 트래픽량 변화량을 분석(S760)한 후, 동공/얼굴윤곽 좌표의 움직임의 변화량 및 트래픽 변화량 각각의 기준값과 비교(S770)한다.Next, when the online test starts, the AI
다음으로, 상기 동공/얼굴윤곽 좌표의 움직임의 변화량 및 트래픽 변화량 각각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횟수를 카운트(S780)한 후, 상기 동공/얼굴윤곽 좌표의 움직임의 변화량 및 트래픽 변화량에 대한 누적 카운트 값의 합산값이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시험출제 웹 사이트의 접속을 차단(S790)한 후, 해당 수험자를 부정행위자로 간주한 메시지를 시험단말로 제공한다.Next, after counting (S780) the number of times each of the amount of change in movement of the pupil/face contour coordinates and the amount of traffic change exceeds the reference value (S780), the cumulative count value for the amount of change in the movement of the pupil/face contour coordinates and the amount of traffic change If the combined value exceeds the standard value, the access to the test preparation website is blocked (S790), and then a message is provided to the test terminal that regards the examinee as a cheater.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수험자의 생체정보 및 주변영상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수험자의 부정행위 유무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외부단말과의 연동하는 과정을 동적메모리 및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통해 실시간 파악함으로써, 온라인 시험에 대한 외부접촉에 따른 부정행위를 근절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examinee's biometric information and surrounding imag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monitor whether the examinee has cheated or not, and furthermore,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interworking with an external terminal in real time through dynamic memory and network traffic.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eradicate cheating due to external contact for online exams.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술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0)의 예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개인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전술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computing environment in which one or mor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nd is an illustration of a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1110) 및 메모리(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1110)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추가적인 스토리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1130)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1130)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1130)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싱 유닛(1110)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1120)에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입력 디바이스(들)(1140) 및 출력 디바이스(들)(115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여기서, 입력 디바이스(들)(1140)은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들)(1150)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또는 임의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 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입력 디바이스(들)(1140) 또는 출력 디바이스(들)(1150)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가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300))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접속(들)(1160)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input device(s) 1140 may include, for example, a keyboard, mouse, pen, voice input device, touch input device, infrared camera, video input device, or any other input device, or the like. Further, the output device(s) 1150 may include, for example, one or more displays, speakers, printers, or any other output device, or the like. Also, the
여기서, 통신 접속(들)(1160)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들)(1160)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1200)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시스템"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이다. Here, communication connection(s) 1160 may be a modem, network interface card (NIC), integrated network interface, radio frequency transmitter/receiver, infrared port, USB connection, or other for connecting
예를 들어, 구성요소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물(exe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상에서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 및 컨트롤러 모두가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의 스레드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는 하나의 컴퓨터상에서 로컬화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서 분산될 수도 있다.For example, a component can be, but is not limited to being, a process running on a processor, a processor, an object, an executable, a thread of execution, a program, and/or a computer. For example, both an application running on a controller and a controller may be a component. One or more components may reside within a process and/or thread of execution, and components may be localized on one computer or distributed between two or more computers.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인공지능 온라인 시험 검증 시스템
200: 시험단말
300: AI 시험검증서버
310: 입출력부
320: 수험자 인증부
330: 영상 오브젝트 처리부
340: 트래픽 모니터링부
350: 부정행위 판단부
360: 접속 승인/차단부100: Artificial Intelligence Online Test Verification System
200: test terminal
300: AI test verification server
310: input/output unit
320: examinee authentication unit
330: image object processing unit
340: traffic monitoring unit
350: cheating judgment unit
360: access permission/block
Claims (5)
상기 시험단말에서 송출된 주변영상정보, 얼굴영상정보, 동적메모리/네트워크 트래픽 변화량을 기초로 시험 부정행위 여부를 판단하는 AI 시험검증서버를 포함하는 온라인 인공지능 시험 검증 시스템.After accessing the website based on the user's application number and biometric information, the test terminal provides the user's surrounding information and facial information during the test period: and
An online artificial intelligence test validation system comprising an AI test validation server that determines whether a test is cheating based on the surrounding image information, face image information, and dynamic memory/network traffic change amount transmitted from the test terminal.
상기 시험단말은
시험출제 웹 사이트의 시험문제를 표시하는 표시부;
수험자의 지문정보를 센싱하는 지문센서를 구비한 입력부;
사용자의 얼굴영상 및 주변영상을 촬영하여 수집하는 영상수집부; 및
상기 표시부는 상기 지문센서가 비활성화될 경우, 표시동작이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온라인 시험 검증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test terminal i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exam questions of the exam preparation website;
an input unit having a fingerprint sensor for sensing the examinee's fingerprint information;
an image collection unit for capturing and collecting a user's face image and surrounding images; and
The display unit artificial intelligence online test verif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operation is deactivated when the fingerprint sensor is deactivated.
상기 시험단말은
상기 시험 시간동안 동적 메모리 및 네트워크의 트래픽 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온라인 시험 검증 시스템.3. The method of claim 2,
The test terminal is
An artificial intelligence online test verif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ynamic memory and network traffic information are transmitted in real time during the test time.
상기 AI 시험검증서버는
상기 시험단말에서 입력한 지문정보 및 수험번호를 기초로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확인하고,
온라인 시험 시간동안 상기 시험단말에서 전송된 얼굴영상 내의 안면윤곽의 움직임 및 동공영역의 움직임 변화(좌표)를 추척하고,
온라인 시험 시간동안 상기 시험단말에서 전송된 동적 메모리 및 네트워크의 트래픽 변화량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시험단말에서 송출한 주변영상 내에 얼굴영상과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존재여부를 판단하고,
시험 전 수험자가 기 설정된 표시지점을 응시한 수험자의 얼굴영상 및 주변영상을 레퍼런스(ref)로 설정하며, 시험이 진행되면, 설정한 레퍼런스를 기초로 수험자의 안면윤곽영역 및 동공영역의 동적변화량을 산출하고,
온라인 시험이 시작되면, 수험자의 마우스 커서 위치에 따른 동공영역 및 얼굴윤곽영역의 동적 움직임을 추적하고,
동공영역 및 얼굴윤곽영역의 동적 움직임의 변화량 및 트래픽 변화량 각각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횟수를 카운트한 후, 누적 카운트 값의 합산값이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해당 수험자를 부정행위자로 판단하고,
영상 오브젝트(동공영역 및 얼굴윤곽영역) 움직임의 변화량과 트래픽 변화량에 대한 상대적 가중치를 부가하여 카운트의 합산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온라인 시험 검증 시스템.4. The method of claim 3,
The AI test verification server is
Verifies the user's identity authentication based on the fingerprint information and the examination number entered in the test terminal,
During the online test time, the movement of the facial contour and the movement change (coordinates) of the pupil region in the facial image transmitted from the test terminal are tracked,
Monitoring the amount of traffic change of the dynamic memory and network transmitted from the test terminal during the online test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face image in the surrounding image transmitted from the test terminal,
Before the test, the test taker sets the face image and the surrounding image of the test taker who gazed at the preset mark as the reference (ref). calculate,
When the online test starts, the dynamic movement of the pupil area and facial contour area according to the mouse cursor position of the examinee is tracked,
After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each of the amount of change in dynamic movement and traffic change in the pupil area and facial contour area exceeds the reference value, if the sum of the accumulated count values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e examinee is judged as a cheater,
An artificial intelligence online test verif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um of the counts is calculated by adding a relative weight to the amount of change in the movement of the image object (pupil region and face contour region) and the amount of traffic change.
상기 본인인증이 확인되면, 상기 시험단말의 시험출제 웹 사이트 접속을 승인하는 단계;
상기 시험단말에서 시험출제 웹 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시험단말에서 기 설정된 표시지점을 응시한 수험자의 얼굴영상 및 주변영상을 상기 AI 시험검증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시험단말에서 동적메모리 및 네트워크 트래픽량을 AI 시험검증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AI 시험검증서버에서 기 설정된 표시지점을 응시한 수험자의 안면윤곽 및 동공좌표를 확인하는 단계;
온라인 시험이 시작되면, 수험자의 마우스 커서 위치에 따른 동공영역 및 얼굴윤곽영역의 동적 움직임을 추적하고, 상기 시험단말의 동적메모리 및 네트워크의 트래픽량 변화량을 분석한 후, 동공/얼굴윤곽 좌표의 움직임의 변화량 및 트래픽 변화량 각각의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동공/얼굴윤곽 좌표의 움직임의 변화량 및 트래픽 변화량 각각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횟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상기 동공/얼굴윤곽 좌표의 움직임의 변화량 및 트래픽 변화량에 대한 누적 카운트 값의 합산값이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시험출제 웹 사이트의 접속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시험진행 중, 상기 시험단말에서 송출된 주변영상에서 외부객체가 인식되면 시험출제 웹 사이트의 접속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공지능 온라인 시험 검증 시스템의 운영방법.The AI test verification server confirms the identity of the test taker based on the test information and fingerprint information input from the test terminal;
when the identity verification is confirmed, approving the test terminal access to the test website;
accessing a web site for test questions from the test terminal;
transmitting the face image and the surrounding image of the examinee who gazed at the preset display point in the test terminal to the AI test verification server;
transmitting the dynamic memory and network traffic amount from the test terminal to the AI test verification server;
checking the facial contour and pupil coordinates of the examinee who gazed at a preset display point in the AI test verification server;
When the online test starts, the dynamic movement of the pupil region and the facial contour region according to the mouse cursor position of the examinee is tracked, the dynamic memory of the test terminal and the amount of traffic change in the network are analyzed, and then the pupil/face contour coordinates are moved comparing the change amount and the traffic change amount with reference values, respectively;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each of the movement change amount and the traffic change amount of the pupil/face contour coordinates exceeds a reference value;
When the sum of the cumulative count values for the amount of change in the movement of the pupil/face contour coordinates and the amount of traffic change exceeds the reference value, blocking access to the test question website;
During the test, when an external object is recognized in the surrounding image transmitted from the test terminal,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online test verifica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blocking access to the test preparation websi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72412 | 2020-06-15 | ||
KR1020200072412 | 2020-06-1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55381A true KR20210155381A (en) | 2021-12-22 |
Family
ID=79164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77515A KR20210155381A (en) | 2020-06-15 | 2021-06-15 | System for verifying testing with online-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155381A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10949A (en) | 2000-07-31 | 2002-02-07 | 최규완 | applicant certification and direction method on on-line |
KR100478157B1 (en) | 1997-03-11 | 2005-08-31 | 프로메트릭, 어 디비젼 오브 톰슨 러닝, 인코포레이티드 | System for administration of remotely-proctored, secure examinations and methods therefor |
KR20070050029A (en) | 2007-04-24 | 2007-05-14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Distance education attendance certification method |
KR101499769B1 (en) | 2009-05-04 | 2015-03-09 | 신중철 | The method and system to achieve the reality of examinee in on-line test using a webcam |
-
2021
- 2021-06-15 KR KR1020210077515A patent/KR20210155381A/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8157B1 (en) | 1997-03-11 | 2005-08-31 | 프로메트릭, 어 디비젼 오브 톰슨 러닝, 인코포레이티드 | System for administration of remotely-proctored, secure examinations and methods therefor |
KR20020010949A (en) | 2000-07-31 | 2002-02-07 | 최규완 | applicant certification and direction method on on-line |
KR20070050029A (en) | 2007-04-24 | 2007-05-14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Distance education attendance certification method |
KR101499769B1 (en) | 2009-05-04 | 2015-03-09 | 신중철 | The method and system to achieve the reality of examinee in on-line test using a webca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22639B2 (en) | Proctor test environment with user devices | |
US12046074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real-time user verification in online education | |
Fenu et al. | A multi-biometric system for continuous student authentication in e-learning platforms | |
US20240296699A1 (en) | Liveness detection | |
WO2016169432A1 (en) | Identity authentication method and device, and terminal | |
US20180308107A1 (en) | Living-body detection based anti-cheating online research method, device and system | |
US20130336547A1 (en) | Person identification using ocular biometrics with liveness detection | |
CN105074690A (en) |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biometric data | |
CN116311069A (en) | Abnormal behavior judging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 |
CN112037408A (en) | Intelligent authentication and positioning method for examinees in examination room | |
CN109684800A (en) | Method, apparatus, equipment and the computer storage medium of In vivo detection | |
Ryu et al. | A comprehensive survey of context-aware continuous implicit authentication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 |
KR20210155381A (en) | System for verifying testing with online-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JP2016095817A (en) | Automatic examination system and examination fraudulent deed detection equipment employed in it | |
KR20220017329A (en) | Online Test System using face contour recognition AI to prevent the cheating behaviour by using a front camera of examinee terminal installed audible video recording program and a auxiliary camera and method thereof | |
KR101386621B1 (en) | Test system and test method using an internet | |
WO2022089220A1 (en) |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device, storage medium, and product | |
Schiavone et al. | Design, implementation, and assessment of a usable multi-biometric continuous authentication system | |
TWI796227B (en) | Remote exam supervision systems and methods | |
Li | Empowering Security and Privacy-Preserving Interactions for Smart Device Users | |
KR102540302B1 (en) | Method for correcting psychological damage based on cyberbullying and internet addiction using smart device linkag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 |
KR102598784B1 (en) | Non face to face signage system for determining whether to visit screening center and method thereof | |
Perera | Multiparameter-based evaluation to identify the trustworthiness of the examinee during e-assessments | |
CN115761793A (en) | Examinee head posture estimation method based on self-attention mechanism | |
Ottenhof | Towards automated truancy dete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