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5287A -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5287A
KR20210155287A KR1020200072611A KR20200072611A KR20210155287A KR 20210155287 A KR20210155287 A KR 20210155287A KR 1020200072611 A KR1020200072611 A KR 1020200072611A KR 20200072611 A KR20200072611 A KR 20200072611A KR 20210155287 A KR20210155287 A KR 20210155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ing device
aerosol generating
puff
pressure sensor
aeros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7685B1 (ko
Inventor
이원경
정헌준
김동성
최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00072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685B1/ko
Publication of KR20210155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에어로졸화 시키는 무화부, 무화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는 제1 압력센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 압력 또는 외부 압력을 감지하는 제2 압력센서, 제1 압력센서로부터 수신한 제1 센싱값 및 제2 압력센서로부터 수신한 제2 센싱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퍼프 강도를 결정하고, 퍼프 강도에 따라서 무화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퍼프 강도를 결정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열식 궐련 또는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퍼프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히터를 제어한다. 한편, 사용자마다 또는 퍼프 시마다 퍼프 강도가 달라지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퍼프 강도에 따라 적절한 무화 발생량은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퍼프 강도에 따라 적절한 무화를 발생시킬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에어로졸화 하는 무화부, 무화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는 제1 압력센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 압력 또는 외부 압력을 감지하는 제2 압력센서 및 제1 압력센서로부터 수신한 제1 센싱값 및 제2 압력센서로부터 수신한 제2 센싱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퍼프 강도를 결정하고, 퍼프 강도에 따라서 무화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는 제1 압력센서로부터 제1 센싱값을 수신하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 압력 또는 외부 압력을 감지하는 제2 압력센서로부터 제2 센싱값을 수신하는 단계, 제1 센싱값 및 제2 센싱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퍼프 강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퍼프 강도에 따라서 무화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퍼프 강도에 상응하는 전력을 공급하여, 각 퍼프 시마다 사용자가 원하는 에어로졸 양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퍼프 강도에 상응하는 에어로졸 양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흡연감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소모량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의한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하는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와 이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시간에 따른 제1 압력센서의 센싱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예시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의 압력이 변화하는 상황에서 임계값의 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일 실시예에 관한 제2 압력센서가 외부 압력을 감지하는 경우,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의 시간에 따른 센싱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예시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관한 제2 압력센서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압력을 감지하는 경우,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의 시간에 따른 센싱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예시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프강도에 따른 전력과 전력에 따른 무화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하는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와 이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5)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하는 카트리지(20)와, 카트리지(20)를 지지하는 본체(10)를 포함한다.
카트리지(20)는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한 상태에서 본체(10)에 결합할 수 있다. 카트리지(20)의 일부분이 본체(10)의 수용 공간(19)에 삽입됨으로써 카트리지(20)가 본체(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본체(10)와 카트리지(20)는 스냅-핏(snap-fit) 방식, 나사 결합 방식, 자력 결합 방식, 억지 끼워 맞춤 방식 등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본체(10)와 카트리지(20)의 결합 방식은 상술한 바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카트리지(20)는 예를 들어 액체 상태나, 고체 상태나, 기체 상태나, 겔(gel) 상태 등의 어느 하나의 상태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액상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액상 조성물은 예를 들어, 물, 솔벤트, 에탄올,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 및 비타민 혼합물의 어느 하나의 성분이나, 이들 성분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각종 과일향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향미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미 또는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및 비타민 E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액상 조성물은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니코틴 염이 첨가된 임의의 중량비의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액상 조성물에는 2종 이상의 니코틴 염이 포함될 수도 있다. 니코틴 염은 니코틴에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포함하는 적절한 산을 첨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니코틴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니코틴 또는 합성 니코틴으로서, 액상 조성물의 총 용액 중량에 대한 임의의 적절한 중량의 농도를 가질 수 있다.
니코틴 염의 형성을 위한 산은 혈중 니코틴 흡수 속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작동 온도, 향미 또는 풍미, 용해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코틴 염의 형성을 위한 산은 벤조산, 락트산, 살리실산, 라우르산, 소르브산, 레불린산, 피루브산,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발레르산, 카프로산, 카프릴산, 카프르산, 시트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페닐아세트산, 타르타르산, 숙신산, 푸마르산, 글루콘산, 사카린산, 말론산 또는 말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독의 산 또는 상기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 이상의 산들의 혼합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카트리지(20)는 본체(10)로부터 전달되는 전기 신호 또는 무선 신호 등에 의해 작동함으로써 카트리지(20)의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상(phase)을 기체의 상으로 변환하여 에어로졸(aerosol)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발생한 증기화된 입자와 공기가 혼합된 상태의 기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20)는 본체(10)로부터 전기 신호를 공급받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거나, 유도 가열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상을 변환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카트리지(20)가 자체적인 전력원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본체(10)로부터 카트리지(20)에 전달되는 전기적인 제어 신호나 무선 신호에 의해 카트리지(20)가 작동함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카트리지(20)는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하는 액체 저장부(21)와, 액체 저장부(21)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에어로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무화기(atomizer)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저장부(21)가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한다'는 것은 액체 저장부(21)가 그릇(container)의 용도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단순히 담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과, 액체 저장부(21)의 내부에 예를 들어 스펀지(sponge)나 솜이나 천이나 다공성 세라믹 구조체와 같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함침(함유)하는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무화기는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여 에어로졸로 변환하기 위한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액체 전달 수단(wick; 윅)과, 액체 전달 수단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전달 수단은 예를 들어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20)의 내부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카트리지(20)의 액체 저장부(21)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저장부(21)는 본체(10)에 결합할 때에 본체(10)의 홈(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액체 저장부(21)로부터 돌출하는 돌출창(21a)을 포함한다. 마우스피스(22) 및 액체 저장부(21)의 전체가 투명한 플라스틱이나 유리 등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액체 저장부(21)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돌출창(21a)만이 투명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본체(10)는 수용 공간(19)의 내측에 배치된 접속 단자(10t)를 포함한다. 본체(10)의 수용 공간(19)에 카트리지(20)의 액체 저장부(21)가 삽입되면 본체(10)는 접속 단자(10t)를 통하여 카트리지(20)에 전력을 제공하거나, 카트리지(20)의 작동과 관련한 신호를 카트리지(20)에 공급할 수 있다.
카트리지(20)의 액체 저장부(21)의 일측 단부에는 마우스피스(22)가 결합된다. 마우스피스(2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사용자의 구강으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마우스피스(22)는 액체 저장부(21)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발생한 에어로졸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공(22a)을 포함한다.
본체(10)에는 슬라이더(7)가 본체(10)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슬라이더(7)는 본체(10)에 대해 이동함으로써 본체(10)에 결합된 카트리지(20)의 마우스피스(22)의 적어도 일부를 덮거나 마우스피스(22)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슬라이더(7)는 카트리지(20)의 돌출창(21a)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장공(7a)을 포함한다.
슬라이더(7)는 내부가 비어 있으며 양측 단부가 개방된 통 형상을 갖는다. 슬라이더(7)의 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통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10)의 가장자리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본체(10)에 대해 이동 가능한 클립 모양의 단면 형상을 갖는 절곡된 판의 구조나, 만곡된 원호 모양의 단면 형상을 갖는 구부러진 반원통 형상 등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슬라이더(7)는 본체(10)와 카트리지(20)에 대한 슬라이더(7)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자성체를 포함한다. 자성체는 영구자석이나, 철, 니켈, 코발트, 또는 이들의 합금 등과 같은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는 슬라이더(7)의 내부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제1 자성체(8a)와, 슬라이더(7)의 내부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제2 자성체(8b)를 포함한다. 제1 자성체(8a)와 제2 자성체(8b)는 슬라이더(7)의 이동 방향, 즉 본체(10)가 연장하는 방향인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본체(10)는 슬라이더(7)가 본체(10)에 대하여 이동하는 동안 슬라이더(7)의 제1 자성체(8a)와 제2 자성체(8b)가 이동하는 경로 상에 배치된 고정 자성체(9)를 포함한다. 본체(10)의 고정 자성체(9)도 수용 공간(19)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두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더(7)의 위치에 따라, 고정 자성체(9)와 제1 자성체(8a) 또는 고정 자성체(9)와 제2 자성체(8b) 사이에서 작용하는 자력에 의하여 슬라이더(7)는 마우스피스(22)의 단부를 덮거나 노출시키는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체(10)는 슬라이더(7)가 본체(10)에 대하여 이동하는 동안 슬라이더(7)의 제1 자성체(8a)와 제2 자성체(8b)의 이동하는 경로 상에 배치되는 위치변화 감지 센서(3)를 포함한다. 위치변화 감지 센서(3)는 예를 들어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홀 효과(hall effect)를 이용한 홀 센서(hall IC)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5)에서 본체(10)와 카트리지(20)와 슬라이더(7)는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의 단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이지만, 실시예는 이러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형상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5)는 예를 들어 원형이나 타원형이나 정사각형이나 여러 가지 형태의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5)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할 때 반드시 직선적으로 연장하는 구조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편하게 예를 들어 유선형으로 만곡되거나 특정 영역에서 미리 정해진 각도로 절곡되며 길게 연장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도 1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하는 카트리지(2000)와, 카트리지(2000)를 지지하는 본체(1000)를 포함한다.
카트리지(2000)는 마우스피스(210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2100)는 본체(1000)와 결합되는 일부분과 반대 방향에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구강으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마우스피스(2100)는 카트리지(2000)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발생된 에어로졸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공(2110)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카트리지(2000)의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상(phase)을 변환하여 에어로졸(aerosol)을 발생시키는 무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무화기는 초음파 진동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키는 초음파 진동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상을 변환할 수 있다. 무화기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1300)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여 에어로졸로 변환하기 위한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액체 전달 수단(2400)과, 액체 전달 수단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초음파 진동을 전달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진동 수용부(230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자(1300)는 짧은 주기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진동자(1300)로부터 생성된 진동은 초음파 진동일 수 있으며, 초음파 진동의 주파수는 예를 들어 100kHz 내지 3.5 MHz일 수 있다. 진동자(1300)로부터 생성된 짧은 주기의 진동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기화 및/또는 입자화되어 에어로졸로 무화될 수 있다.
진동자(1300)는 예를 들어, 압전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압전 세라믹은 물리적인 힘(압력)에 의해 전기(전압)가 발생하고, 역으로 전기가 인가될 때 진동(기계적인 힘)으로 상호 변환할 수 있는 기능성의 재료이다. 따라서, 진동자(1300)에 인가된 전기에 의해 진동(물리적인 힘)이 발생 되고, 이와 같은 물리적인 작은 진동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작은 입자로 쪼개어 에어로졸로 무화시킬 수 있다.
진동자(1300)는 포고 핀(Pogo Pin) 또는 C-클립에 의해 회로와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진동자(1300)는 포고 핀(Pogo Pin) 또는 C-클립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다만, 진동자(1300)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연결되는 소자의 종류는 상술한 바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진동 수용부(2300)는 진동자(1300)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전달 받아 액체 저장부(2200)로부터 전달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에어로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액체 전달 수단(2400)은 액체 저장부(2200)의 액상 조성물을 진동 수용부(230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전달 수단(2400)은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심지(wick)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화기는 또한 별도의 액체 전달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여 에어로졸로 변환하기 위한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기능과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진동을 전달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메시 형상(mesh shape)이나 판 형상(plate shape)의 진동 수용부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무화기의 진동자(1300)는 본체(1000)에 배치되고, 진동 수용부(2300) 및 액체 전달 수단(2400)은 카트리지(2000)에 배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2000)는 진동자(1300), 진동 수용부(2300) 및 액체 전달 수단(24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체(1000)에 카트리지(2000)의 일부분이 삽입되면 본체(1000)는 단자(미도시)를 통하여 카트리지(2000)에 전력을 제공하거나, 카트리지(2000)의 작동과 관련한 신호를 카트리지(2000)에 공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진동자(1300)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카트리지(2000)는 에어로졸 배출 통로(2500) 및 기류 통로(260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배출 통로(2500)는 액체 저장부(2200)의 내부에 형성되어 마우스피스(2100)의 배출공(2110)과 유체 연통할 수 있다. 따라서 무화기에서 발생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배출 통로(2500)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마우스피스(2100)의 배출공(211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기류 통로(2600)는 외부 공기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내부로 유입할 수 있는 통로이다. 기류 통로(2600)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는 에어로졸 배출 통로(2500)로 유입될 수 있거나, 에어로졸이 발생하는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발생한 증기화된 입자와 혼합되어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류 통로(2600)는 에어로졸 배출 통로(2500)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배출 통로(2500) 및 기류 통로(2600)의 형태는 에어로졸 배출 통로(2500)가 내측에 배치되고 기류 통로(2600)가 에어로졸 배출 통로(2500)의 외측에 배치되는 이중관 형태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 공기는 에어로졸 배출 통로(2500)에서 에어로졸이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기류 통로(2600)의 구성은 상술한 바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류 통로는 본체(1000)와 카트리지(2000)가 결합할 때 본체(1000)와 카트리지(2000)의 사이에 형성되어 무화기와 유체 연통되는 공간일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될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도 1 내지 도 2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서의 어떠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도 해당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는 배터리(310), 무화기(320), 센서(330), 사용자 인터페이스(340), 메모리(350) 및 프로세서(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의 내부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의 설계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하드웨어 구성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새로운 구성이 더 추가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는 본체만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에 포함된 하드웨어 구성들은 본체에 위치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는 본체 및 카트리지로 구성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에 포함된 하드웨어 구성들은 본체 및 카트리지에 나뉘어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에 포함된 하드웨어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는 본체 및 카트리지 각각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에 포함된 각 구성들이 위치하는 공간을 한정하지 않고, 각 구성들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배터리(3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즉, 배터리(310)는 무화기(320)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킬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3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 내에 구비된 다른 하드웨어 구성들, 즉, 센서(330), 사용자 인터페이스(340), 메모리(350) 및 프로세서(36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310)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이거나 일회용 배터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310)는 니켈 계열 배터리(예를 들어, 니켈-금속 하이드라이드 배터리, 니켈-카드뮴 배터리), 또는 리튬 계열 배터리(예를 들어, 리튬-코발트 배터리, 리튬-포스페이트 배터리, 리튬 티타네이트 배터리, 리튬-이온 배터리 또는 리튬-폴리머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에 사용될 수 있는 배터리(310)의 종류는 상술한 바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필요에 따라 배터리(310)는 알카라인 배터리, 또는 망간 배터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무화기(320)는 프로세서(36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310)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는다. 무화기(320)는 배터리(310)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킬 수 있다.
무화기(3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의 본체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가 본체 및 카트리지로 구성되는 경우, 무화기(320)는 카트리지에 위치하거나, 본체 및 카트리지에 나뉘어 위치할 수 있다. 무화기(320)가 카트리지에 위치하는 경우, 무화기(320)는 본체 및 카트리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한 배터리(3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무화기(320)가 본체 및 카트리지에 나뉘어 위치하는 경우, 무화기(320)에서 전력의 공급이 필요한 부품은 본체 및 카트리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한 배터리(3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무화기(320)는 카트리지의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에어로졸(aerosol)을 발생시킨다. 에어로졸은 기체 중에 액체 및/또는 고체 미세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부유물을 의미한다. 따라서 무화기(320)로부터 발생되는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발생한 증기화된 입자와 공기가 혼합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화기(32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상(phase)을 기화 및/또는 승화를 통하여 기체의 상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또한, 무화기(320)는 액체 및/또는 고체 상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미세 입자화하여 방출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화기(320)는 초음파 진동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초음파 진동 방식은 진동자에 의해 발생되는 초음파 진동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킴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화기(320)는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할 수 있는 히터일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히터는 임의의 적합한 전기 저항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전기 저항성 물질은 타이타늄, 지르코늄, 탄탈럼, 백금, 니켈, 코발트, 크로뮴, 하프늄, 나이오븀, 몰리브데넘, 텅스텐, 주석, 갈륨, 망간, 철, 구리, 스테인리스강, 니크롬 등을 포함하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히터는 금속 열선(wire),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이 배치된 금속 열판(plate), 세라믹 발열체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히터는 카트리지(2000)에 포함된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2000)는 후술하는 액체 전달 수단 및 액체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저장부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액체 전달 수단으로 이동하고, 히터는 액체 전달 수단에 흡수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는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거나 액체 전달 수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는 궐련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히터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의 수용 공간에 삽입된 궐련을 가열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의 수용 공간에 궐련이 수용됨에 따라 히터는 궐련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히터는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히터는 유도 가열식 히터일 수 있다. 히터는 궐련 또는 카트리지를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궐련 또는 카트리지에는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서셉터가 포함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330)에서 센싱된 결과는 프로세서(360)로 전달되고, 센싱 결과에 따라 프로세서(360)는 무화기(320)의 동작 제어, 흡연의 제한, 카트리지(또는 궐련) 삽입 유/무 판단, 알림 표시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이 수행되도록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센서(330)는 퍼프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퍼프 감지 센서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기류의 유량(flow) 변화, 압력 변화, 및 소리의 검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할 수 있다. 퍼프 감지 센서는 사용자의 퍼프의 시작 타이밍 및 종료 타이밍을 검출할 수 있고, 프로세서(360)는 검출된 퍼프의 시작 타이밍 및 종료 타이밍에 따라 퍼프 기간(puff period) 및 비 퍼프(non-puff) 기간을 판단할 수 있다.
퍼프 감지 센서는 복수의 압력센서들일 수 있다. 복수의 압력센서들은 제1 압력센서, 제2 압력센서일 수 있다.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의 퍼프 강도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감지된 퍼프 강도를 이용하여 무화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무화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사용자의 퍼프 강도에 상응하는 무화량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1 압력센서와 제2 압력센서에 대해서는 도 4에서 더 자세히 후술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330)는 사용자 입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센서는 스위치, 물리적 버튼, 터치 센서 등과 같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는 사용자가 금속 재질로 형성된 소정의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커패시턴스(capacitance)의 변화가 발생하고,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정전용량형 센서일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정전용량형 센서로부터 수신한 커패시턴스의 변화 전후 값을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커패시턴스의 변화 전후 값이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 프로세서(360)는 사용자의 입력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330)는 모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서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의 기울기, 이동 속도 및 가속도 등과 같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센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가 움직이는 상태,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의 정지 상태, 퍼프를 위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가 소정의 범위 내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 및 각 퍼프 동작들의 사이에서 퍼프 동작 시와는 다른 각도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가 기울어진 상태에 관한 정보들을 측정할 수 있다. 모션 센서는 해당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다양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의 운동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센서는 x축, y축 및 z축 3방향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 및 3 방향의 각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330)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또는 거리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의미하며, 이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에 사용자가 접근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330)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예를 들어 물체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물체를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를 사용하기 위한 상황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를 사용하기 위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를 입술 근방으로 접근시킬 때, 이미지 센서는 입술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입술로 판단될 경우에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를 사용하기 위한 상황임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는 무화기(320)를 미리 동작시키거나, 히터를 예열시킬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33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에 사용될 수 있는 소모품(예를 들어, 카트리지, 궐련 등)의 장착 또는 탈거를 감지할 수 있는 소모품 탈착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모품 탈착 센서는 소모품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에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거나, 이미지 센서에 의해 소모품이 탈착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소모품 탈착 센서는 소모품의 마커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코일의 인덕턴스 값의 변화를 감지하는 인덕턴스 센서이거나, 소모품의 마커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값의 변화를 감지하는 커패시턴스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330)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무화기(320)의 히터(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가 가열되는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는 히터의 온도를 감지하는 별도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거나, 별도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대신 히터 자체가 온도 센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히터가 온도 센서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에 별도의 온도 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온도 센서는 히터뿐만 아니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의 인쇄회로기판(PCB), 배터리 등과 같은 내부 부품들의 온도를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33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의 주변 환경의 정보를 측정하는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센서(330)는 주변 환경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 센서, 주변 환경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 주변 환경의 압력을 측정하는 대기압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에 구비될 수 있는 센서(330)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센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는 사용자 인증 및 보안을 위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으로부터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지문 센서, 눈동자의 홍채 무늬를 분석하는 홍채 인식 센서, 손바닥을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정맥 내 환원 헤모글로빈의 적외선의 흡수량을 감지하는 정맥 인식 센서, 눈, 코, 입 및 안면 윤곽 등의 특징점들을 2D 또는 3D 방식으로 인식하는 안면 인식 센서 및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에는 위의 예시된 다양한 센서(330)의 예시들 중 일부만이 취사 선택되어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는 전술한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40)는 사용자에게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40)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램프, 촉각 정보를 출력하는 모터, 소리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입/출력(I/O) 인터페이싱 수단들(예를 들어,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과 데이터 통신을 하거나 충전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단자들,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예를 들어, WI-FI, WI-FI Direct, Bluetooth, NFC(Near-Field Communication) 등)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싱 모듈 등의 다양한 인터페이싱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에는 위의 예시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340) 예시들 중 일부만이 취사 선택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메모리(35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로서, 메모리(350)는 프로세서(360)에서 처리된 데이터들 및 처리될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50)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의 다양한 종류들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350)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의 동작 시간, 최대 퍼프 횟수, 현재 퍼프 횟수, 적어도 하나의 온도 프로파일 및 사용자의 흡연 패턴에 대한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360)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330)에 의해 센싱된 결과를 분석하고 뒤이어 수행될 처리들을 제어한다.
프로세서(36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330)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무화기(320)의 동작이 개시 또는 종료되도록 무화기(32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6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330)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무화기(320)가 적절한 양의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무화기(320)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 및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60)는 무화기(320)의 진동자가 소정의 주파수로 진동할 수 있도록 진동자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6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무화기(320)의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60)는 퍼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한 후 무화기(320)의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60)는 퍼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퍼프 횟수를 카운트한 후 퍼프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면 무화기(320)에 전력 공급을 중단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330)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3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퍼프 횟수를 카운트한 후 퍼프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면, 프로세서(360)는 램프, 모터 및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가 곧 종료될 것임을 예고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는 별도의 크래들과 함께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의 배터리(310)를 충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는 크래들 내부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크래들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의 배터리(310)를 충전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4)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에어로졸화 하는 무화부(410), 무화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426)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4)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4)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4)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1 압력센서(422)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4)의 내부 압력 또는 외부 압력을 감지하는 제2 압력센서(4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압력센서(422)는 퍼프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4) 내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제2 압력센서(424)는 퍼프와 무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4) 외부의 압력변화를 감지 하거나, 퍼프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4) 내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 할 수 있다. 외부의 압력변화는 대기압의 변화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압력센서(424)는 퍼프가 발생한 경우에는 퍼프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4) 내부의 압력변화를 감지하고, 퍼프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퍼프와 무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4) 외부의 압력변화를 감지 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4)는 기류패스(411, 412)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4)의 내부 및 외부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4)의 설계에 따라, 새로운 하드웨어 구성이 더 추가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4)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흐르는 기류패스(411, 41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퍼프 시 에어로졸 생성 장치(4)로 유입된 공기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4) 내부의 기류패스(411, 41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4)는 무화부(410)에서 발생한 에어로졸을 운반하여 기류패스(411, 412)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외부로 배출된 에어로졸은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제1 압력센서(422)는 기류패스(411)와 유체 연통(in fluid communication with)할 수 있다. 사용자의 퍼프에 의해 공기가 기류패스(411)를 통해 이동할 경우, 제1 압력센서(422)는 기류패스(411)와 유체 연통하므로, 제1 압력센서(422)는 기류패스(411)의 압력 변화 즉, 에어로졸 생성 장치(4) 내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제2 압력센서(424)는 기류패스(412)와 유체 연통(in fluid communication with)할 수 있다. 사용자의 퍼프에 의해 공기가 기류패스(412)를 통해 이동할 경우, 제2 압력센서(424)는 기류패스(412)와 유체 연통하므로, 제2 압력센서(424)는 기류패스(412)의 압력 변화 즉, 에어로졸 생성 장치(4) 내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압력센서(424)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4)의 외부와 유체 연통함으로써 외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압력센서(424)는 기류패스(411, 412)와는 독립된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압력센서(424)는 기류패스(412)와 유체 연통하지 않으므로, 퍼프가 발생한 경우에도 제2 압력센서(424)의 센싱값은 변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압력센서(422) 및 제2 압력센서(424) 중 적어도 하나는 기압변화를 감지하기에 적합한 압력센서로서, 절대압 센서일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센서는 마이크로 전기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MEMS)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압력센서(422) 및 제2 압력센서(424)는 배터리(426)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압력은 온도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압력센서의 센싱값은 온도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배터리(426)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동작하는 경우에 발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력센서의 센싱값은 배터리의 발열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제1 압력센서(422) 및 제2 압력센서(424)는 배터리(426)로부터 최대한 멀리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배터리(426)의 발열에 영향을 덜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420)의 일측에 배터리(426)가 배치되고 본체(420)의 타측에 압력센서(422,424)가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4)에 포함된 제1 압력센서(422) 및 제2 압력센서(424)가 위치하는 공간을 한정하지 않고, 각 압력센서(422, 424)의 센싱값을 이용한 프로세서(도3의 360)의 제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서의 어떠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도1의 5, 도2의 10000, 도3의 300, 도4의 4)에도 해당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시간에 따른 제1 압력센서의 센싱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예시이다.
일 실시예에서, 기준값(501)은 기설정된 값으로서, 특정 압력 및 특정 온도 조건 하에서 제1 압력센서의 센싱값이 기준값(501)으로 설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제1 압력센서로부터 수신한 제1 센싱값에 기초하여 퍼프의 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압력센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 내부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6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의 동작이 개시된 때 제1 압력센서에서 감지된 센싱값을 기준값(501)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의 주변 대기압 조건에 따라, 기준값(501)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의 동작이 개시될 경우, 고도가 낮은 지역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의 동작이 개시되는 경우보다 기준값(501)은 낮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기준값(501)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1 임계값(502) 및 제2 임계값(503)을 설정하는데 기초가 되는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임계값(502)은 기준값(501)의 80%에 대응하는 값, 제2 임계값(503)은 기준값(501)의 50%에 대응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임계값(502) 및 제2 임계값(503)이 설정되는 방식은 상술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압력센서는 압력의 변화가 발생했을 때 음압을 감지 할 수 있다. 압력센서는 압력의 변화가 클수록 더 작은 센싱값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퍼프 강도가 강할수록 더 많은 양의 공기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 내부에서 외부로 유출되므로, 압력센서에서 감지하는 센싱값은 더 작아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60)는 제1 센싱값이 소정의 시간동안 제1 임계값(502)과 제2 임계값(503) 사이로 유지되는 경우, 제1 강도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1 강도 퍼프는 예를 들어 약한 퍼프에 대응하는 것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60)는 제1 센싱값이 소정의 시간동안 제2 임계값(503) 미만으로 유지되는 경우, 제2 강도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2 강도 퍼프는 예를 들어 제1 강도 퍼프보다 강한 흡입 압력을 나타내는 강한 퍼프로 지칭될 수 있다.
도 5a는 사용자가 약하게 퍼프를 하는 경우 시간에 따른 센싱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1 압력센서의 센싱값은 t1 ~ t2 동안 기준값(501)과 제1 임계값(502) 사이의 값을 가지며, t2부터 제1 임계값(502) 이하로 떨어진다. 제1 압력센서의 센싱값은 소정의 시간 즉, t2 ~ t3 동안 제1 임계값(502)과 제2 임계값(503)사이로 유지된다.
도 5b는 사용자가 강하게 퍼프를 하는 경우 시간에 따른 센싱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1 압력센서의 센싱값은 t1 ~ t2 동안 기준값(501)과 제2 임계값(503) 사이의 값을 가지며, t2부터 제2 임계값(503) 이하로 떨어진다. 제1 압력센서의 센싱값은 소정의 시간 즉, t2 ~ t3 동안 제2 임계값(502)과 미만으로 유지된다.
소정의 시간(t2 ~ t3)은 0.1초 내지 2.0초 사이의 시간일 수 있으나, 소정의 시간(t2 ~ t3)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a 내지 5b에서는 퍼프 강도를 제1 강도 퍼프 및 제2 강도 퍼프의 2단계 강도로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60)는 3단계 또는 그 이상의 강도로 퍼프 강도를 세분화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60)는 제1 센싱값이 제2 임계값과 제3 임계값 사이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되는 경우, 제2 강도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고, 제1 센싱값이 제3 임계값 미만으로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되는 경우, 제3 강도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 할 수 있다. 제3 강도 퍼프는 예를 들어, 제2 강도 퍼프보다 강한 흡입 압력을 나타내는 더 강한 퍼프에 대응하는 것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의 압력이 변화하는 상황에서 임계값의 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2 압력센서가 외부 압력을 감지하는 경우, 프로세서(360)는 제2 압력센서로부터 수신한 제2 센싱값에 기초하여 제1 임계값(602)과 제2 임계값(603)을 조정할 수 있다.
도 6의 좌측 도면(610)은 제2 압력센서에서 감지된 외부 압력의 변화가 없는 경우를 나타낸다. 프로세서(360)는 제1 압력센서의 제1 임계값(602)과 제2 임계값(603)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퍼프 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
반면, 도 6의 우측 도면(620)은 제2 압력센서에서 감지된 외부 압력의 변화가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외부 압력의 변화가 있을 경우에 제1 압력센서는 사용자의 흡입 압력만을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제2 압력센서에서 감지된 제2 센싱값에 기초하여 압력변화량(606)을 계산하고, 제1 임계값(602) 및 제2 임계값(603)을 압력변화량(606) 만큼 낮출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조정된 제1 임계값(604)과 조정된 제2 임계값(605)에 기초하여 퍼프 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360)는 외부 압력의 변화가 있는 경우에도 일관되게 퍼프의 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퍼프의 강도를 결정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 외부의 압력이 변하는 상황에서도 퍼프의 강도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소지한 채 운송수단에 탑승한 경우, 운송수단의 가속 변화로 인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 외부의 기압이 변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움직이는 경우에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 외부의 기압이 변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 외부의 기압이 변하는 때에도 퍼프 강도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압력변화량(606)이 d1인 경우, 프로세서(360)는 제1 임계값(602)을 d2만큼 낮추고, 제2 임계값(603)을 d3만큼 낮출 수 있다. d2 및 d3은 d1에 의존적인 값일 수 있다. d2 및 d3은 d1에 소정의 비율이 곱해진 값일 수 있다. d2 및 d3은 d1과 동일한 값일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b는 일 실시예에 관한 제2 압력센서가 외부 압력을 감지하는 경우,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의 시간에 따른 센싱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예시이다. 도 7a 내지 도 7b에서, 오로지 설명을 위한 예시로서, 사용자는 약한 퍼프 강도로 흡입했다고 전제한다.
프로세서(360)는 제1 압력센서로부터 수신한 제1 센싱값 및 제2 압력센서로부터 수신한 제2 센싱값에 기초하여 퍼프의 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1 그래프(710)는 제1 압력센서의 시간에 따른 센싱값을 나타내고, 제2 그래프(720)는 제2 압력센서의 시간에 따른 센싱값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의 기준값(701)이 동일한 것으로 전제한다.
제1 그래프(710)를 참조하면, 제1 압력센서의 센싱값은 t1 ~ t2 동안 압력변화량(707)만큼 변화한다. 제2 그래프(720)를 참조하면, t1 ~ t2의 변화는 외부 압력이 급격하게 변화하기 때문이다. 이 때, 프로세서(360)는 사용자가 약한 퍼프 강도로 흡입 했음에도 불구하고, 퍼프 강도를 강한 퍼프로 잘못 결정할 수 있다.
반면, 도 7b를 참조하면, 조정된 제1 임계값(704) 및 조정된 제2 임계값(705)은 제2 압력센서에서 감지된 압력변화량(707)만큼 조정되었다. 따라서, 흡입 압력이 t2 ~ t3에서 약한 퍼프로 정확하게 감지될 수 있다.
도 8은 제2 압력센서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압력을 감지하는 경우,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의 시간에 따른 센싱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예시이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60)는 제2 압력센서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압력을 감지하는 경우, 제1 센싱값과 제2 센싱값 중 더 변화량이 큰 값에 기초하여 퍼프 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60)는 제2 압력센서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압력을 감지하는 경우, 제1 센싱값과 제2 센싱값 중 더 낮은 값에 기초하여 퍼프 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그래프(810)는 제1 압력센서의 시간에 따른 센싱값을 나타내고, 제2 그래프(820)는 제2 압력센서의 시간에 따른 센싱값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의 기준값(801)이 동일한 것으로 전제한다.
프로세서(360)는 제1 센싱값과 제2 센싱값에 기초한 퍼프 강도 결정의 결과가 다른 경우에는 변화량이 더 큰 값을 기초로 퍼프 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 변화량은 기준값(801)에 대한 변화량 일 수 있다. 프로세서(360)는 제1 센싱값과 제2 센싱값 중 더 낮은 센싱값에 기초하여 퍼프 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그래프(810)를 참조하면, 프로세서(360)는 제1 압력센서의 제1 센싱값이 소정의 시간동안 제1 임계값과 제2 임계값 사이의 값을 유지하므로 약한 퍼프라고 결정할 수 있다. 반면, 제2 그래프(820)를 참조하면, 프로세서(360)는 제2 압력센서의 제2 센싱값이 소정의 시간동안 제2 임계값 미만의 값을 유지하므로 강한 퍼프라고 결정할 수 있다. 제2 그래프(820)는 제1 그래프(810)보다 더 큰 변화량을 갖는다. 또한, 제2 그래프(820)는 제1 그래프(810)보다 낮은 센싱값을 갖는다. 따라서, 프로세서(360)는 제2 센싱값에 기초하여 강한 퍼프가 있는 것으로 결정 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퍼프의 강도를 결정함으로써, 하나의 센서가 정확히 퍼프 강도를 결정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나머지 센서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퍼프의 강도를 정확하고 정밀하게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의 파지 방식에 따라, 사용자가 제1 압력센서가 위치해 있는 기류패스를 막는 경우, 제1 압력센서의 센싱값이 충분히 낮아지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하나의 압력센서의 센싱값이 부정확한 경우에도 나머지 압력센서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퍼프 강도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60)는 제1 압력센서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제2 센싱값에 기초하여 퍼프 강도를 결정하고, 제2 압력센서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제1 센싱값에 기초하여 퍼프 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
하나의 압력센서가 누액 등에 의해 동작 불능일 때 다른 하나가 퍼프 강도 감지를 대체 할 수 있다.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가 동작불능인 경우, 프로세서(360)는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로부터 제1 센싱값 및 제2 센싱값을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 중 어느 하나가 동작 불능일 때 나머지 하나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퍼프의 강도를 결정함으로써, 하나의 센서가 동작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나머지 센서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퍼프의 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퍼프 강도에 따른 공급전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로세서(360)는 사용자의 퍼프 강도를 결정하고, 퍼프 강도에 상응하는 전력을 무화부(901)에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60)는 제1 강도 퍼프가 발생한 경우 제1 전력을 공급하고, 제2 강도 퍼프가 발생한 경우 제1 전력보다 높은 전력인 제2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강도 퍼프가 발생한 경우, 프로세서(360)는 무화부(901)가 제1 강도 퍼프에 상응하는 제1 무화량(903)을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제1 전력을 무화부에 공급할 수 있다. 제2 강도 퍼프가 발생한 경우, 프로세서(360)는 무화부(901)가 제2 강도 퍼프에 상응하는 제2 무화량(905)을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제2 전력을 무화부에 공급할 수 있다. 제1 전력은 20W일 수 있고, 제2 전력은 30W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퍼프 강도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무화량을 조절 할 필요가 있다. 본 개시에서는, 매 퍼프 시마다, 무화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제2 강도 퍼프 시에는 많은 양의 무화를 제공하고, 제1 강도 퍼프 시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무화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에서는 무화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퍼프 강도에 상응하는 최적의 무화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60)는 제1 강도 퍼프에 상응하는 제1 전력 및 제2 강도 퍼프에 상응하는 제2 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사용자마다 퍼프 강도에 따라 원하는 무화의 정도가 다를 수 있다. 각 퍼프 강도에 상응하는 전력을 조정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최적의 무화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를 제어하는 방법은, 앞서 설명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앞서 설명된 도면들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들은 도 10의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1010 단계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는 제1 압력센서로부터 제1 센싱값을 수신하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의 내부 압력 또는 외부 압력을 감지하는 제2 압력센서로부터 제2 센싱값을 수신할 수 있다.
1020 단계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는 제1 센싱값 및 제2 센싱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퍼프 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
1030 단계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는 퍼프 강도에 따라서 무화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00: 에어로졸 생성 장치 310: 배터리
320: 무화기 330: 센서
340: 사용자 인터페이스 350: 메모리
360: 프로세서

Claims (14)

  1.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에어로졸화하는 무화부;
    상기 무화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는 제1 압력센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 압력 또는 외부 압력을 감지하는 제2 압력센서; 및
    상기 제1 압력센서로부터 수신한 제1 센싱값 및 상기 제2 압력센서로부터 수신한 제2 센싱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퍼프 강도를 결정하고, 상기 퍼프 강도에 따라서 상기 무화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센싱값이 제1 임계값과 제2 임계값 사이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되는 경우, 제1 강도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센싱값이 제2 임계값 미만으로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되는 경우, 제2 강도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압력센서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부 압력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 임계값 및 상기 제2 임계값을 상기 제2 압력센서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센싱값에 기초하여 조정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는 상기 배터리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강도 퍼프가 발생한 경우 제1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2 강도 퍼프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1 전력보다 높은 전력인 제2 전력을 공급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압력센서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 센싱값과 상기 제2 센싱값 중 더 낮은 값변화량이 큰 값에 기초하여 퍼프 강도를 결정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압력센서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 압력센서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센싱값에 기초하여 퍼프 강도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압력센서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센싱값에 기초하여 퍼프 강도를 결정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8.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는 제1 압력센서로부터 제1 센싱값을 수신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 압력 또는 외부 압력을 감지하는 제2 압력센서로부터 제2 센싱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센싱값 및 상기 제2 센싱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퍼프 강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퍼프 강도에 따라서 무화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 강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센싱값이 제1 임계값과 제2 임계값 사이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되는 경우, 제1 강도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센싱값이 제2 임계값 미만으로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되는 경우, 제2 강도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 강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압력센서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부 압력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 임계값 및 상기 제2 임계값을 상기 제2 압력센서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센싱값에 기초하여 조정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강도 퍼프가 발생한 경우, 제1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2 강도 퍼프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1 전력보다 높은 전력인 제2 전력을 공급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 강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압력센서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 센싱값과 상기 제2 센싱값 중 더 낮은 값변화량이 큰 값에 기초하여 퍼프 강도를 결정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 강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압력센서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 압력센서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센싱값에 기초하여 퍼프 강도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압력센서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센싱값에 기초하여 퍼프 강도를 결정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4. 제 8 항 내지 제 13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00072611A 2020-06-15 2020-06-15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77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611A KR102477685B1 (ko) 2020-06-15 2020-06-15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611A KR102477685B1 (ko) 2020-06-15 2020-06-15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287A true KR20210155287A (ko) 2021-12-22
KR102477685B1 KR102477685B1 (ko) 2022-12-14

Family

ID=79164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611A KR102477685B1 (ko) 2020-06-15 2020-06-15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76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3942A1 (en) * 2022-09-06 2024-03-14 Kt & G Corporation Inhaler providing vibration for powder inhal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0443A (ko) * 2016-12-16 2018-06-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퍼프 인식을 통한 적응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및 방법
KR20190060708A (ko) * 2017-11-24 2019-06-03 쥴 랩스, 인크. 기화기 장치용 퍼프 감지 및 전원 회로
KR20190143404A (ko) * 2018-06-20 2019-12-30 센젠 퍼스트 유니온 테크놀러지 캄파니 리미티드 전자담배 및 전자담배를 제어하는 방법
KR20200005082A (ko) * 2018-07-05 2020-01-1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0443A (ko) * 2016-12-16 2018-06-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퍼프 인식을 통한 적응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및 방법
KR20190060708A (ko) * 2017-11-24 2019-06-03 쥴 랩스, 인크. 기화기 장치용 퍼프 감지 및 전원 회로
KR20190143404A (ko) * 2018-06-20 2019-12-30 센젠 퍼스트 유니온 테크놀러지 캄파니 리미티드 전자담배 및 전자담배를 제어하는 방법
KR20200005082A (ko) * 2018-07-05 2020-01-1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3942A1 (en) * 2022-09-06 2024-03-14 Kt & G Corporation Inhaler providing vibration for powder inha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7685B1 (ko) 2022-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5301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US20240049780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570077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7007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82125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77685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49809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26889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42597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EP3920731B1 (en) Cartridg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523580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90573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71207B1 (ko)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51072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71203B1 (ko) 진동자 밀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밀폐 시스템
KR102634883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26890B1 (ko) 진동자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21763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77044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20107882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20155026A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20063066A (ko) 광유닛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법
KR20220063064A (ko) 개선된 진동전달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022052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20108681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