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5282A - 곤충 샘플 포집 장치 - Google Patents

곤충 샘플 포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5282A
KR20210155282A KR1020200072603A KR20200072603A KR20210155282A KR 20210155282 A KR20210155282 A KR 20210155282A KR 1020200072603 A KR1020200072603 A KR 1020200072603A KR 20200072603 A KR20200072603 A KR 20200072603A KR 20210155282 A KR20210155282 A KR 20210155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insect
insect sample
height
cap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1436B1 (ko
Inventor
이승환
남상혁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72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436B1/ko
Publication of KR20210155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6Catching insects by using a suction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4Arrangements connected with buildings, doors, window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 Y10S43/90Liquid insecticide spray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충의 방제 시스템에 사용되는 곤충 샘플 포집 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집 모듈, 및 타워부를 포함하여, 곤충을 포집하고 보존할 수 있는 곤충 샘플 포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곤충 샘플 포집 장치{INSECT SAMPLE CAPTURE APPARATUS}
본 발명은 해충의 방제 시스템에 사용되는 곤충 샘플 포집 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집 모듈, 및 타워부를 포함하여, 곤충을 포집하고 보존할 수 있는 곤충 샘플 포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랭지 감자 재배지에서 진딧물 등 흡즙성 해충에 의한 피해가 약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진딧물은 고랭지 감자 재배 시 직접적인 흡즙과 배설물(감로)로 인한 그을음병 뿐만 아니라 각종 식물병을 매개하는 주범으로 농산물의 생산량 감소는 물론, 무병종자를 생산하는 감자를 비롯한 막대한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진딧물은 종별 시기별로 월동개체군이 기주 이동을 통해 유입되며, 기주별 유입 시기와 이동량, 바이러스 보독률, 약제 저항성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한 피해 정도가 좌우된다. 따라서 이를 조기 파악하고 적절한 방제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영국과 미국에서는 각각 자국의 기후와 환경에 적합한 흡충 포집기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한국의 경우 한국의 기후와 환경에 맞는 흡충형 포집기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한국의 기후와 환경에 맞는 포집기를 설치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이게 진딧물 유시충의 예찰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아울러, 포집된 진딧물 등의 곤충을 손상없이 보존함으로서, 손상 없는 샘플을 획득하고, 정확한 실험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896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포집 모듈, 및 타워부를 포함하여, 대한민국의 환경에 맞게 곤충을 포집하고 보존할 수 있는 곤충 샘플 포집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곤충 샘플 포집 장치는, 곤충을 흡입하여 포집하는 곤충 샘플 포집 장치에 있어서, 포집 모듈, 및 상기 포집 모듈 상에 소정의 높이를 갖고 세워지는 타워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집 모듈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며 흡기를 발생시키는 흡입 장치, 및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며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포집망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타워부를 통해 공기 흡입이 이루어지는 부분의 높이는, 지상으로부터 3 ~ 6 m 의 높이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포집 모듈은, 상기 포집망에 연결되는 포획 보틀;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포집망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깔대기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포획 보틀은 상기 포집망의 하단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포획 보틀 내부에는, 샘플 보존용 액체가 충진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포획 보틀은, 상기 포집망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 흡입 과정에서, 곤충을 포집하며, 포집된 곤충을 손상 없이 보존할 수 있다. 따라서, 포집된 곤충을 샘플로 사용하여, 각종 실험에 이용할 수 있다.
특히, 통계상 비래 진딧물은 약 3 ~ 6 m 높이에서 주로 위치하며, 본 발명에 의한 곤충 샘플 포집 장치는 흡입이 이루어지는 흡입구가 해당 높이에 위치하는 구성을 가지므로, 진딧물의 포집에 특히 효과적일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곤충 샘플 포집 장치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곤충 샘플 포집 장치의 포집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도 2 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곤충 샘플 포집 장치의 포집 모듈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곤충 샘플 포집 장치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2018 년 높이에 따른 전체 곤충 대비 진딧물의 비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곤충 샘플 포집 장치의 설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곤충 샘플 포집 장치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곤충 샘플 포집 장치의 포집 모듈(1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울러, 도 3 은 도 2 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곤충 샘플 포집 장치의 포집 모듈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곤충 샘플 포집 장치는, 포집 모듈(100), 및 타워부(200)를 포함하여, 곤충을 포집할 수 있는 곤충 샘플 포집 장치이다.
포집 모듈(100)은 케이싱(110), 흡입 장치(120), 포집망(130)을 포함한다.
케이싱(110)은 PVC 재질의 파이프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흡입 장치(120)와 포집망(130)이 배치될 수 있다. 케이싱(110)은 여닫을 수 있는 개폐 도어(112)를 가질 수 있다.
케이싱(110)의 상부에는 상하로 개방되어 타워부(200)가 연결될 수 있는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케이싱(110)의 하부 또는 적어도 일 측에는 배기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일 예에 의하면, 케이싱(110)은 상하로 개방된 중공 형태의 파이프일 수 있다.
흡입 장치(120)는 외기를 흡입할 수 있는 소정의 장치이다. 흡입 장치(120)는 예컨대 소형 환풍 모터일 수 있다. 상기 흡입 장치(120)에 의해서,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포집망(130)은 케이싱(110) 내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타워부(200)를 통해 공기가 흡입될 때 공기에 섞여 있는 각종 곤충을 걸러 포집할 수 있게 구성된다. 포집망(130)은 예컨대 직경 0.5 mm 이하의 거름 구멍이 형성된 거름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거름 구멍은, 0.5 ~ 0.1 mm 의 폭(장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거름 구멍은, 비교적 작은 크기를 갖는 진딧물과, 다른 곤충을 서로 분리하기에 적절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포집망(130)은, 깔대기(원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포집망(130)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평면 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포획 보틀(140)을 상기 포집망(130) 하단에 연결하기 용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포집망(130)의 측면은 지면(W)에 대해서 소정의 경사 각도 θ 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경사 각도 θ 는, 예컨대 45~70°일 수 있다. 따라서, 포집망(130) 내부로 유입된 곤충들은 상기 포집망(130) 측면의 경사면을 따라서 낙하할 수 있다. 따라서, 포획된 곤충들은 포집망(130) 하단부에 연결되는 포획 보틀(140) 내부로 유도될 수 있다.
아울러, 일 예에 의하면, 포집망(130)에는 소정의 끈끈이 트랩 등의 포획 수단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포획 보틀(140)은 포집망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포획 보틀(140)은 상부가 개구되어 있고, 상단이 포집망(130)의 하단에 연결된다. 따라서, 타워부(200)를 통해 흡입된 곤충은, 포집망(130)을 통해 걸러질 수 있다. 따라서, 포집망(130)의 거름 구멍을 통과한 곤충만이 포획 보틀(140) 내부에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진딧물과 같은 작은 크기의 곤충만이 포집망(130)의 거름 구멍을 통과하여 포획 보틀(14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포획 보틀(140) 내부에는 곤충 보존용 액체가 충진될 수 있다. 상기 곤충 보존용 액체는 예컨대 알코올일 수 있다. 따라서, 포획 보틀(140) 내부에 유입된 진딧물 등의 곤충이 포획 보틀(140)을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포획된 진딧물 등의 곤충 샘플을 손상없이 유지할 수 있다. 이처럼, 포획된 곤충 샘플이 손상없이 유지되므로, 포획된 진딧물 샘플을 실험, 분석에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이와 같이 포획된 진딧물은, DNA 가 보존됨으로서, 실험, 분석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포획 보틀(140)은 화살표 P 와 같이, 포집망(130)으로부터 탈착되어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포획된 진딧물 등을 운반할 때 포획 보틀(140)을 분리하여 운반함으로서, 간편한 운반이 달성될 수 있다.
타워부(200)는 약 4 m 내외의 높이를 갖고 상하로 높게 세워진 파이프 구조물로서, 예컨대 PVC 파이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타워부(200)의 높이는 가변될 수 있다. 타워부(200)는 상하로 관통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가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다.
타워부(200)는 상기 포집 모듈(100) 상에 배치되어 세워지며, 상기 케이싱(110)의 상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타워부의 하단은 케이싱(110)의 흡입구와 연통된다. 포집 모듈(100) 상에 세워진 타워부(200)의 상부는 외부로 개방되며, 하부는 포집망(130)에 의해서 둘러싸이게 된다.
이때, 타워부(200)의 상단의 높이는 지상으로부터 약 3 ~ 6 m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가 흡입되는 부분의 위치가 지상으로부터 약 3 ~ 6 m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타워부(200)에 의해서 공기가 흡입되는 부분의 위치가 지상으로부터 약 3 ~ 6 m 높이에 위치하면 충분하다.
타워부(200)의 상단을 통해서 흡입된 공기는, 포집 모듈(100) 상부의 흡입구를 거쳐서 포집망(130)을 통과한 후, 포집 모듈(100)에 구비된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도 1 내지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 모듈(100)의 케이싱(110)과 타워부(200)는 하나의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파이프의 상부 부분은 타워부(200)를 구성하며, 하부 부분은 포집 모듈(100)의 케이싱(110)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이프의 하부 내부에 포집 모듈(100)에 구비되는 흡입 장치(120), 포집망(130), 및 포획 보틀(140)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서, 장치의 전체 크기가 소형화되며,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포집 모듈(100)은 박스형 구조물일 수 있다. 예컨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형의 케이싱(110)이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통형의 케이싱(110)이 마련될 수도 있다. 즉, 포집 모듈(100)의 외형은 한정하지 않는다.
도 6 은 특정 지역의 2018 년 높이에 따른 전체 곤충 대비 진딧물의 비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진딧물은 특히 약 3 ~ 6 m 높이에서 주로 분포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타워부(200)의 상단부 높이를 상기 범위로 하면 특히 진딧물의 포획 및 처리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타워부(200)는 상하로 변위될 수 있다. 따라서, 진딧물이 높은 비율로 분포하는 위치(높이)에 흡기구가 선택적으로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계절별, 지역별로 진딧물의 주요 분포 위치는 상이할 수 있으며, 계절 및 지역에 따라서 진딧물이 주로 분포하는 위치(높이)에 흡기구가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진딧물의 포획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곤충 샘플 포집 장치의 설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곤충 샘플 포집 장치의 설치를 위해서, 우선, 6m 이상의 높이에서 채집되는 진딧물의 비율을 확인하였다.
우선, 기본형 10 m 높이의 흡충 타워에 접착트랩을 부착하였다. 접착트랩을 이용한 곤충 샘플 획득 결과를 분석한 결과, 6m 까지 전체곤충대비 진딧물의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7m 이상에서 진딧물이 차지하는 비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곤충 샘플 포집 장치의 높이(흡기구가 위치하는 높이)를 6 m로 설계하였다.
실시예에 의한 곤충 샘플 포집 장치의 포집 모듈(100)은, 높이 2m의 PVC 재질로 구성되는 케이싱(110)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장치의 전체 크기를 소형화하였으며, 제작비용을 절감시켰다.
또한, 케이싱(110) 한쪽면은 여닫을 수 있는 문을 설치하였고, 케이싱(110) 위쪽은 외경 318mm의 PVC 파이프(타워부(200))를 끼워 연결할 수 있는 통로를 만들었다. 상기 파이프에서 빨아드린 공기는 원뿔 형태로 만들어진 미세거름망(포집망(130)을 통과한다. 미세거름망 아래에는 1000ml 플라스틱 통(포집 보틀(140))을 고정하였다. 플라스틱 통 아래쪽에는 포집 공기량 1560㎥/hour의 소형 환풍기 모터(흡입 장치(120))를 장착하였다.
상기와 같은 곤충 샘플 포집 장치를 지면에 고정하기 위해 중앙 콘크리트(가로 60cm× 세로 60cm×높이 5cm), 중앙에서부터 3m 떨어진 3지점에 콘크리트(가로 25cm× 세로 25cm)로 고정 판을 만든 후 고리 작업을 하여 고정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 흡입 과정에서, 곤충을 함께 흡입하여, 곤충을 포집할 수 있다. 특히, 통계상 진딧물은 약 3 ~ 6 m 높이에서 주로 위치하며, 본 발명에 의한 곤충 샘플 포집 장치는 흡입이 이루어지는 흡입구가 해당 높이에 위치하는 구성을 가지므로, 진딧물의 포집 및 처리에 특히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포획 보틀(140)이 구비되며, 포획 보틀(140) 내부에는 진딧물 포획용 액체가 충진될 수 있다. 따라서, 포획된 진딧물을 손상없이 유지할 수 있으므로, 포획된 진딧물 사체를 실험, 분석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진국형 흡충포획기의 국내 도입을 통해 대표적 미소 난방제 해충인 진딧물류의 모니터링과 이를 통한 신속한 조기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감자재배지 등의 고랭지에 서식하는 진딧물의 유시충을 포집하여 신속하게 동정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 예상되는 위험에 조기대응 및 방제대처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 효율적 조기예찰시스템의 도입으로 기후변화에 의한 예측 불가의 해충 대발생과 그에 따른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조기예찰시스템의 구축을 통해 국내 진딧물 해충의 발생 현황 및 분포 조사 등 기초 자료의 수집과 이를 통한 체계화된 위험도 평가로 국내 생산 농산물에 대한 국제적 인지도의 제고가 가능하다.
아울러, 부수적으로, 조기예찰시스템을 통한 효율적인 초기 방제를 통해 장기적으로 살충제사용과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과학적인 농업생태계 관리를 통해 선진 농업국가 이미지의 함양과 질 높은 농산물의 생산으로 수출 증대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아울러, 국내 연구가 미진한 기초분야에 대한 장려를 통해 관련분야의 인재를 양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포집 모듈
110: 케이싱
112: 개폐 도어
120: 흡입 장치
130: 포집망
140: 포획 보틀
200: 타워부

Claims (6)

  1. 곤충을 흡입하여 포집하는 곤충 샘플 포집 장치에 있어서,
    포집 모듈, 및
    상기 포집 모듈 상에 소정의 높이를 갖고 세워지는 타워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집 모듈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며 흡기를 발생시키는 흡입 장치, 및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며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포집망을 포함하는 곤충 샘플 포집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워부를 통해 공기 흡입이 이루어지는 부분의 높이는,
    지상으로부터 3 ~ 6 m 의 높이를 갖는 곤충 샘플 포집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 모듈은,
    상기 포집망에 연결되는 포획 보틀;을 포함하는 곤충 샘플 포집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망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깔대기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포획 보틀은 상기 포집망의 하단에 연결되는 곤충 샘플 포집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 보틀 내부에는,
    샘플 보존용 액체가 충진되는 곤충 샘플 포획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 보틀은,
    상기 포집망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곤충 샘플 포획 장치.
KR1020200072603A 2020-06-15 2020-06-15 곤충 샘플 포집 장치 KR102481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603A KR102481436B1 (ko) 2020-06-15 2020-06-15 곤충 샘플 포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603A KR102481436B1 (ko) 2020-06-15 2020-06-15 곤충 샘플 포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282A true KR20210155282A (ko) 2021-12-22
KR102481436B1 KR102481436B1 (ko) 2022-12-27

Family

ID=79164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603A KR102481436B1 (ko) 2020-06-15 2020-06-15 곤충 샘플 포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4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2443A (ko) 2022-01-20 2023-07-27 이동일 동물 포집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977Y1 (ko) * 2005-12-22 2006-03-09 이수진 해충 포살기
KR100632278B1 (ko) * 2005-11-02 2006-10-11 강경종 포충기
KR20070000600U (ko) * 2007-04-27 2007-05-23 최인묵 해충 박멸수단이 구비된 가로등 장치
KR20110008965U (ko) 2010-03-15 2011-09-2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해충 포획 트랩을 탑재한 이동식 흡충 장치
KR20190050882A (ko) * 2017-11-03 2019-05-14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포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278B1 (ko) * 2005-11-02 2006-10-11 강경종 포충기
KR200410977Y1 (ko) * 2005-12-22 2006-03-09 이수진 해충 포살기
KR20070000600U (ko) * 2007-04-27 2007-05-23 최인묵 해충 박멸수단이 구비된 가로등 장치
KR20110008965U (ko) 2010-03-15 2011-09-2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해충 포획 트랩을 탑재한 이동식 흡충 장치
KR20190050882A (ko) * 2017-11-03 2019-05-14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포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2443A (ko) 2022-01-20 2023-07-27 이동일 동물 포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1436B1 (ko) 202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7554B1 (ko) 해충정보관리를 위한 영상촬영기능을 갖춘 포충장치
US2003001029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on of nematodes from suspension
Hutchins Techniques for sampling arthropods in integrated pest management
KR102481436B1 (ko) 곤충 샘플 포집 장치
US4141174A (en) Quantitative apparatus for sampling athropods associated with field crops
CN108419778A (zh) 一种太阳能昆虫分类诱捕设备
Ozanne Sampling methods for forest understory vegetation
CN105230571B (zh) 一种粘虫饲养装置及其使用方法
CN104902228A (zh) 一种基于计算机视觉的害虫实时监控装置及方法
CN114201636A (zh) 一种基于大数据分析的林业虫灾发生的预测方法
Krajacich et al. Design and testing of a novel, protective human-baited tent trap for the collection of anthropophilic disease vectors
CN212545198U (zh) 一种椰心叶甲诱捕装置
CN208768769U (zh) 一种自动诱捕监测装置
TWM639883U (zh) 農用誘蟲評估裝置
CN202222306U (zh) 一种苍蝇诱捕器
CN211960643U (zh) 一种防控草地贪夜蛾专用高效诱捕器
CN103975911A (zh) 一种基于害虫引诱技术的仓虫自动检测装置及系统
KR20200143139A (ko) 곤충채집트랩
CN205357871U (zh) 一种稻飞虱田间捕捉采集装置
US2022025955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bioaerosols
CN209314667U (zh) 一种空中昆虫诱集网室
CN218164057U (zh) 一种用于嗜尸性昆虫演替规律研究的蝇类昆虫诱捕装置
CN206686974U (zh) 一种多功能昆虫诱捕器夹层装置
CN217695015U (zh) 一种适用于储粮书虱的诱捕及实时监测装置
CN206686985U (zh) 一种多功能昆虫诱捕器本体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