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4406A - 우산 빗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우산 빗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4406A
KR20210154406A KR1020200071386A KR20200071386A KR20210154406A KR 20210154406 A KR20210154406 A KR 20210154406A KR 1020200071386 A KR1020200071386 A KR 1020200071386A KR 20200071386 A KR20200071386 A KR 20200071386A KR 20210154406 A KR20210154406 A KR 20210154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rainwater
members
removal device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7728B1 (ko
Inventor
김성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071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728B1/ko
Publication of KR20210154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tact with sorbent bodies, e.g. absorbent mould; by admixture with sorb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063Movable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carts, trolleys, pallet-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0Umbrell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1)내에 우산포에 묻은 빗물을 제거하도록 된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하우징(1)의 상부 내측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제공되는 복수개의 흡수부재(21)들을 구비한 빗물 흡수부(2) 및 하우징 하부에 삽입되어 상기 흡수부(2)에서 제거된 빗물을 수용하는 물받이(3)를 포함하며, 우산 삽입시에 우산살에 의해 지지되는 우산포가 상기 흡수부재(21)들에 접촉되어 우산포의 빗물이 제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흡수부의 중앙 빈 공간을 통해 우산을 삽입하고 다시 꺼냄으로써, 우산포와 접촉되는 흡수체에 의해 우산포의 표면에 묻은 빗물이 간편하게 제거될 수 있게 되므로, 편의성과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별도의 동력을 이용하여 우산살과 우산포를 회전시켜 빗물을 제거하는 종래 빗물 제거장치와 비교하여 에너지 소모가 전혀 없는 점에서 빗물 제거장치의 유지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우산 빗물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the water from wet umbrella}
본 발명은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빗물 흡수부들을 방사상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어 젖은 우산의 우산살들을 상기 흡수부들 사이로 넣어지게 삽입하여 제거함으로써 우산 표면에 묻은 물기를 흡수부에서 흡수하여 제거하도록 개선된 구조의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비가 오는 날이면 건물 복도나 실내가 젖은 우산에서 떨어지는 물기로 젖지 않도록 건물 입구측에 우산용 비닐봉투 공급장치가 마련되어 젖은 우산을 비닐 봉투에 담아가도록 하였다.
그러나,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우산용 비닐봉투의 자원낭비와 함께 폐비닐에 의한 환경 오염의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우산봉투용 비닐의 사용이 금지되어 젖은 우산에 대한 대비책이 요구되었다.
비닐봉투를 사용하지 않고 젖은 우산을 처리하는 종래 기술로는 한국 특허등록 제10-0828410호에, 외관을 형성하며 상측이 개방되고 하측에 배수로가 형성되되 받침부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측은 개방되며 큰 내경을 갖고 하측은 배수구가 형성되며 작은 내경을 갖고 개방되되 내부에 젖은 우산이 장착되는 내체, 상기 내체의 내주면에 배열된 다수의 에어 분사노즐, 상기 에어 분사노즐과 호스에 의해 연결되며 에어분사노즐에 대해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기; 및 상기 본체의 적소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 공급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우산탈수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우산 제거장치는 에어를 분사하는 구조로 펌프를 사용하여 에너지 소비가 크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의 증가로 수요자의 경제적 부담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등록 제10-082841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우산 빗물 제거를 위한 구조를 보다 단순화하고, 제조 및 사용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빗물 흡수부들을 방사상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하여, 각각의 우산살들을 흡수부들 사이로 삽입한 다음 제거함으로써, 우산포의 표면에 묻은 빗물이 방사상으로 배열된 흡수부들에 흡수되어 제거되도록 개선된 구조의 우산 빗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우산 빗물 제거장치는, 하우징내에 우산포에 묻은 빗물을 제거하도록 된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 내측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제공되는 복수개의 흡수부재들을 구비한 빗물 흡수부 및 하우징 하부에 삽입되어 상기 흡수부에서 제거된 빗물을 수용하는 물받이를 포함하며, 우산 삽입시에 우산살에 의해 지지되는 우산포가 상기 흡수부재들에 접촉되어 우산포의 빗물이 제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흡수부는 원통부재 내측면에서 중앙을 향해 다수의 흡수부재들이 방사상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흡수부재들 각각은 상기 원통부재 내측면에 고정되는 지지부에 흡수성 소재로 된 흡수체를 씌워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은 사각통과 원통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된 본체와 그 상단에 제공되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물받이는 본체 하부에 서랍 형태로 인출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수직부재의 상단에 수평으로 고정된 제 1 가로부재와, 상기 제 1 가로부재의 하측에서 제 1 가로부재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수직부재에 고정되는 두개의 제 2 가로부재들을 포함하며, 상기 두개의 제 2 가로부재들은 제 1 가로부재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예각의 각도로 벌어져 고정되고, 상기 수직부재들은 원통부재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흡수체는 지지부의 수직부재와 제 1, 2 가로부재들에 씌워지도록 하방이 개방되고 하단부가 벌어져서 씌우기 용이하도록 형성되며, 흡수체는 우산포의 빗물 제거하도록 제 1, 2 가로부재들에 의해 양측으로 벌어져 삽입되는 우산의 우산포와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흡수체들은 우산을 삽입하도록 원통부재의 중심까지 연장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되어, 원통부재의 중앙의 빈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빈 공간부의 직경은 우산의 하단부까지 흡수체에 의해 빗물이 제거될 수 있도록 우산의 직경이 감소된 하단부가 흡수체들과 접촉될 수 있는 정도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는 흡수부재들이 방사상으로 배열된 흡수부의 구조로, 흡수부의 중앙 빈 공간을 통해 우산을 삽입하고 다시 꺼냄으로써, 우산포와 접촉되는 흡수체에 의해 우산포의 표면에 묻은 빗물이 간편하게 제거될 수 있게 되므로, 편의성과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별도의 동력을 이용하여 우산살과 우산포를 회전시켜 빗물을 제거하는 종래 빗물 제거장치와 비교하여 에너지 소모가 전혀 없는 점에서 빗물 제거장치의 유지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지지부재들이 원통부재 내측에 방사상으로 조립된 흡수부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1에 우산을 삽입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우산 천이 지지부재들 사이에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2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우산 빗물 제거장치는 하우징(1)과, 그 하우징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흡수부재(21)들을 구비한 빗물 흡수부(2) 및 하우징 하부에 삽입되어 상기 흡수부(2)에서 제거된 빗물을 수용하는 물받이(3)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부가 개방된 사각통 형상의 본체(11)와 그 상단에 제공되는 덮개(12)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원통 형상으로 될 수도 있으며, 하부에는 서랍 형태로 인출가능하게 물받이(3)가 제공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측에 배치되는 젖은 우산으로 부터 제거되는 빗물이 물받이(3)에 수용되며, 필요에 따라 물받이를 인출하여 비울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상부 내측에 제공되는 흡수부(2)는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부재(22) 내측면에서 중앙을 향해 다수의 흡수부재(21)들이 방사상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흡수부재(21)들 각각은 상기 원통부재(22) 내측면에 고정되는 지지부(211)에 흡수성 소재로 된 흡수체(212)를 씌워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211)은 수직부재(213)의 상단에 수평으로 고정된 제 1 가로부재(214)와, 상기 제 1 가로부재의 하측에서 수직부재에 고정되는 두개의 제 2 가로부재(215)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가로부재(215)들은 제 1 가로부재(214)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미리 설정된 예각의 각도로 벌어져 고정된다. 상기 수직부재(213)들은 원통부재(22)에 리벳이나 스크류와 같은 통상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하거나 스폿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흡수체(212)는 지지부(211)의 제 1 가로부재(214)와 두개의 제 2 가로부재(215)에 쉽게 씌우기 위해 후방측이 하단부에서 소정 높이만큼 절개되어 있다.
상기 흡수체(212)는 도 2에서 확대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11)의 수직부재(213)와 제 1, 2 가로부재(214,215)들에 씌워지도록 하방이 개방되고 하단부가 벌어져서 씌우기 용이하도록 형성되며, 흡수체가 지지부들에 씌워지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2 가로부재들에 의해 양측으로 벌어져 서로 접촉되는 상태로 되어 우산 삽입시에 우산포와 밀착되어 우산포의 빗물 제거가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흡수체(212)들은 원통부재의 중심까지 연장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원통부재의 중앙의 빈 공간부(5)를 통해 우산대를 삽입하게 되며, 상기 빈 공간부(5)의 직경은 우산의 하단부까지 흡수체에 의해 빗물이 제거될 수 있도록 우산의 직경이 감소된 하단부가 흡수체들과 접촉될 수 있는 정도의 직경으로 형성됨으로써, 우산의 하단부까지 흡수체에 의해 빗물이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흡수체(212)들이 다수의 지지부(211)에 씌워져 형성된 흡수부재(21)들이 원통부재(22) 내측면에서 중앙을 향해 방사상으로 서로 이격되어 고정됨으로써, 우산을 넣을 때, 각각의 우산살이 상기 흡수체(212)들 사이에 배치되므로, 이용자는 약간 벌어진 상태의 우선을 단순히 원통부재의 중앙에 삽입하였다가 빼냄으로써 각각의 우산살에 부착된 우산포가 흡수체와 접촉하게 됨으로써 우산포에서 빗물이 제거된다.
도 5와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사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흡수부재(21)들이 방사상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흡수부(2)의 중앙의 빈 공간으로 우산을 삽입하면, 약간 벌어진 상태의 우산살(100)들이 우산포(101)와 함께 흡수부재(21)들 사이로 접촉되면서 삽입되고, 우산을 다시 꺼내면 우산포(101)의 표면에 묻은 빗물이 흡수부재(21)의 흡수체(212)들과 접촉된 상태에서 제거되므로, 우산포의 빗물은 흡수체(212)에 의해 흡수되어 제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우산 빗물 제거장치는 흡수부재들이 방사상으로 배열된 흡수부의 중앙 빈 공간을 통해 우산을 삽입하고 다시 꺼냄으로써, 우산포와 접촉되는 흡수체에 의해 우산포의 표면에 묻은 빗물이 간편하게 제거될 수 있게 되므로, 편의성과 내구성이 향상되고, 별도의 동력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에너지 소모가 전혀 없는 점에서 유지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젖은 우산에서 물을 간편하게 제거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1 : 하우징 2 : 흡수부
3 : 물받이 12 : 덮개
21 : 흡수부재 22 : 원통부재
211 : 지지부 212 : 흡수체
213 : 수직부재 214 : 제 1 가로부재
215 : 제 2 가로부재

Claims (6)

  1. 하우징(1)내에 우산포에 묻은 빗물을 제거하도록 된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의 상부 내측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제공되는 복수개의 흡수부재(21)들을 구비한 빗물 흡수부(2) 및 하우징 하부에 삽입되어 상기 흡수부(2)에서 제거된 빗물을 수용하는 물받이(3)를 포함하며, 우산 삽입시에 우산살에 의해 지지되는 우산포가 상기 흡수부재(21)들에 접촉되어 우산포의 빗물이 제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2)는 원통부재(22) 내측면에서 중앙을 향해 다수의 흡수부재(21)들이 방사상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흡수부재(21)들 각각은 상기 원통부재(22) 내측면에 고정되는 지지부(211)에 흡수성 소재로 된 흡수체(212)를 씌워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은 사각통과 원통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된 본체(11)와 그 상단에 제공되는 덮개(12)를 포함하며, 상기 물받이(3)는 본체 하부에 서랍 형태로 인출가능하게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11)은 수직부재(213)의 상단에 수평으로 고정된 제 1 가로부재(214)와, 상기 제 1 가로부재의 하측에서 제 1 가로부재(214)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수직부재에 고정되는 두개의 제 2 가로부재(215)를 포함하며, 상기 두개의 제 2 가로부재(215)들은 제 1 가로부재(214)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예각의 각도로 벌어져 고정되고, 상기 수직부재(213)들은 원통부재(22)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212)는 지지부(211)의 수직부재(213)와 제 1, 2 가로부재(214,215)들에 씌워지도록 하방이 개방되고 하단부가 벌어져서 씌우기 용이하도록 형성되며, 흡수체는 우산포의 빗물 제거하도록 제 1, 2 가로부재들에 의해 양측으로 벌어져 삽입되는 우산의 우산포와 접촉되도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212)들은 우산을 삽입하도록 원통부재의 중심까지 연장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되어, 원통부재의 중앙의 빈 공간부(5)가 형성되며, 상기 빈 공간부(5)의 직경은 우산의 하단부까지 흡수체에 의해 빗물이 제거될 수 있도록 우산의 직경이 감소된 하단부가 흡수체들과 접촉될 수 있는 정도의 직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1020200071386A 2020-06-12 2020-06-12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102407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386A KR102407728B1 (ko) 2020-06-12 2020-06-12 우산 빗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386A KR102407728B1 (ko) 2020-06-12 2020-06-12 우산 빗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406A true KR20210154406A (ko) 2021-12-21
KR102407728B1 KR102407728B1 (ko) 2022-06-15

Family

ID=79165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386A KR102407728B1 (ko) 2020-06-12 2020-06-12 우산 빗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7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115B1 (ko) 2022-03-22 2022-10-06 주식회사 하나시스템 우산 빗물 제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410B1 (ko) 2006-03-06 2008-05-09 송영식 우산 탈수장치
KR20140125511A (ko) * 2013-04-19 2014-10-29 박순재 우산용 물기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410B1 (ko) 2006-03-06 2008-05-09 송영식 우산 탈수장치
KR20140125511A (ko) * 2013-04-19 2014-10-29 박순재 우산용 물기제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115B1 (ko) 2022-03-22 2022-10-06 주식회사 하나시스템 우산 빗물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7728B1 (ko) 202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237B1 (ko) 우산 빗물 제거기
KR102407728B1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WO2012030216A1 (en) Washing device and method of washing objects
KR20170099170A (ko) 우산 건조기
KR20160139561A (ko) 우산 건조기
KR101851589B1 (ko) 우산 빗물제거 탈수장치
KR102450115B1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CN202019911U (zh) 雨伞的雨水收集器及具有该雨水收集器的雨伞
KR101948859B1 (ko) 우산 빗물 제거기
KR20120106377A (ko) 비강세척 용기
KR102151115B1 (ko) 에어컴프레셔를 구비한 우산제수기
KR20150002867U (ko) 우산 빗물 제거기
KR20200000226U (ko) 우산 빗물 털이장치
CN102138721B (zh) 雨伞的雨水收集器及具有该雨水收集器的雨伞
CN210520886U (zh) 一种快速冲洗风干马桶盖
US6752792B1 (en) Vaginal cleaning apparatus
KR20200114539A (ko) 이동식 우산 건조기
CN213762507U (zh) 喷漆机
CN110694835A (zh) 一种环保型汽车保养喷漆房
CN213850560U (zh) 婴儿奶瓶洗涤器的伸缩杆和婴儿奶瓶洗涤器
CN217470923U (zh) 一种环保环卫喷水装置
CN210714103U (zh) 一种环保吸尘围挡
KR20190015425A (ko) 우산 드라이어
CN218120048U (zh) 空气加湿器
CN210385319U (zh) 一种空气粉尘清洁环保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