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4394A - IoT 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사용자 인증 방법 및 그 시스템에 포함되는 IoT 장치 및 IoT 장치 정보 등록 방법 - Google Patents

IoT 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사용자 인증 방법 및 그 시스템에 포함되는 IoT 장치 및 IoT 장치 정보 등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4394A
KR20210154394A KR1020200071362A KR20200071362A KR20210154394A KR 20210154394 A KR20210154394 A KR 20210154394A KR 1020200071362 A KR1020200071362 A KR 1020200071362A KR 20200071362 A KR20200071362 A KR 20200071362A KR 20210154394 A KR20210154394 A KR 20210154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device
server
user
control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형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00071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4394A/ko
Publication of KR20210154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3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2Entity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30/00IoT infrastructure
    • G16Y30/10Security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다양한 IoT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은 모듈 관리 서버로부터 프로파일 및 등록 모듈을 수신하고, 프로파일 및 등록 모듈에 기초하여 IoT 장치를 제어 서버에 등록하며, 계정 서버를 통해 사용자 및 서비스 서버를 인증하고, IoT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서비스 서버를 통해 제어 서버로 전송한다.

Description

IoT 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사용자 인증 방법 및 그 시스템에 포함되는 IoT 장치 및 IoT 장치 정보 등록 방법{SYSTEM FOR CONTROLLING IoT DEVICE, USER AUTHENTICATION METHOD, AND FOR REGISTERING IoT DEVICE AND IoT DEVIC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YSTEM}
IoT 장치 제어 시스템 및 사용자 인증 방법, 그 시스템에 포함되는 IoT 장치 및 IoT 장치 정보 등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IoT 서비스 사업자들의 제어 시스템들 사이에 사용자 인증 및 IoT 장치 정보 등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IoT 서비스가 확산되면서 다양한 IoT 서비스 사업자들이 늘어나고 있고, 다양한 IoT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각 IoT 사업자들의 IoT 제어 시스템들 간의 상호연동이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다.
예를 들어, IoT 장치 제조사에서도 직접 다양한 IoT 장치들을 이용해서 IoT 서비스 제공하고 있고, 포털 및 통신사에서는 통합 Io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IoT 장치 제조사 등의 IoT 플랫폼을 상호 연동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여러 사업자에서 제공하는 IoT 장치를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통합할 기존 서비스용 앱으로 서비스 가입 및 장치 등록 과정을 수행한 후 가입한 계정 정보를 인증하여 사업자들 간에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복잡한 과정을 수행해야 해서 불편함이 있었다.
일 실시예는 IoT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하나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수의 IoT 장치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IoT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IoT 장치와 연관된 프로파일 및 상기 IoT 장치에 대한 등록 모듈을 모듈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IoT 장치를 등록하기 위해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등록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상기 IoT 장치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 서버에 상기 IoT 장치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IoT 장치와 연관된 계정 서버를 통해 상기 IoT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 및 서비스 서버를 인증하는 단계 -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인증된 경우 상기 계정 서버로부터 사용자 인증 정보가 수신됨 -, 및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IoT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제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제어 서버는 서버 대 서버로 통신함 -를 포함하고, 상기 IoT 장치는 상기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상기 모듈 관리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서버는 물리적으로 동일한 서버 내에 포함되는 서버들일 수 있다.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IoT 장치의 제조사 별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제조사 별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IoT 장치의 통신 방식에 관한 파라미터일 수 있다.
상기 IoT 장치의 통신 방식에 관한 파라미터는 상기 IoT 장치가 SoftAP(Soft enabled Access Point)를 이용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oT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계정 서버에 상기 사용자를 등록하는 단계 - 상기 등록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 대해 식별자가 부여됨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및 서비스 서버를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및 서비스 서버를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 대해 미리 발급된 서비스 서버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를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oT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IoT 장치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IoT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IoT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IoT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IoT 장치와 연관된 프로파일 및 상기 IoT 장치에 대한 등록 모듈을 모듈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IoT 장치를 등록하기 위해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등록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상기 IoT 장치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 서버에 상기 IoT 장치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IoT 장치와 연관된 계정 서버를 통해 상기 IoT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 및 서비스 서버를 인증하는 단계 -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인증된 경우 상기 계정 서버로부터 사용자 인증 정보가 수신됨 -, 및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IoT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제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제어 서버는 서버 대 서버로 통신함 -를 수행하고, 상기 IoT 장치는 상기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IoT 장치의 제조사 별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제조사 별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IoT 장치의 통신 방식에 관한 파라미터일 수 있다
상기 IoT 장치의 통신 방식에 관한 파라미터는 상기 IoT 장치가 SoftAP(Soft enabled Access Point)를 이용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계정 서버에 상기 사용자를 등록하는 단계 - 상기 등록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 대해 식별자가 부여됨 -를 더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및 서비스 서버를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및 서비스 서버를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 대해 미리 발급된 서비스 서버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를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IoT 장치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IoT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고, 상기 IoT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모듈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IoT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모듈을 전송하는 방법은, IoT 장치와 연관된 프로파일 전송 요청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IoT 장치와 연관된 프로파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IoT 장치에 대한 등록 모듈 전송 요청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등록 모듈 전송 요청은 상기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생성됨 -, 및 상기 등록 모듈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등록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IoT 장치를 제어 서버에 등록하기 위해 이용되고,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IoT 장치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IoT 장치는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모듈 관리 서버는, IoT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모듈을 전송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IoT 장치와 연관된 프로파일 전송 요청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IoT 장치와 연관된 프로파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IoT 장치에 대한 등록 모듈 전송 요청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등록 모듈 전송 요청은 상기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생성됨 -, 및 상기 등록 모듈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IoT 장치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IoT 장치는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IoT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수의 IoT 장치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IoT 장치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계정 서버에 사용자를 등록하는 방법의 구성도이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IoT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 및 서비스 서버를 인증하는 방법의 구성도이다.
도 7은 일 예에 따른 네트워크에 접속된 IoT 장치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IoT 장치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일 측면에 따라, 가정에서 다양한 종류의 IoT 장치들(130 및 140)이 사용되는 경우 IoT 장치들(130 및 140)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20)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IoT 장치들(130 및 140)로 제어 명령이 전달되고, IoT 장치들(130 및 140)은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IoT 장치들(130 및 140)의 제조사 또는 제어 주체가 각각 상이한 경우, IoT 장치들(130 및 140)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이 상이할 수 있다. 제조사 마다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상이한 경우, 사용자는 IoT 장치들(130 및 140)의 제어를 위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사용자 단말(120)에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IoT 장치들(130 및 140)의 제조사가 동일한 경우 뿐만 아니라, 제조사가 상이한 경우에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IoT 장치들(130 및 140)이 제어되는 경우, 사용자는 IoT 장치들(130 및 140)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장치들(130 및 140)을 각각 제어하는 서버들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120)과 연결해줄 수 있는 서비스 서버(110)가 고려될 수 있다.
아래에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서비스 서버를 통해 IoT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부(210), 프로세서(220) 및 메모리(23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도 1을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120)일 수 있다.
통신부(210)는 프로세서(220) 및 메모리(23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210)는 외부의 다른 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 "A"를 송수신한다라는 표현은 "A를 나타내는 정보(information)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200) 내의 회로망(circuitry)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는 내부 버스(internal bus) 및 외부 버스(external bus)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200)과 외부의 장치를 연결하는 요소일 수 있다. 통신부(210)는 인터페이스(interface)일 수 있다. 통신부(210)는 외부의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프로세서(220) 및 메모리(23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통신부(210)가 수신한 데이터 및 메모리(2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처리한다. "프로세서"는 목적하는 동작들(desired operations)을 실행시키기 위한 물리적인 구조를 갖는 회로를 가지는 하드웨어로 구현된 데이터 처리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적하는 동작들은 프로그램에 포함된 코드(code) 또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로 구현된 데이터 처리 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코어 프로세서(multi-core processor),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메모리(예를 들어, 메모리(230))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및 프로세서(220)에 의해 유발된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한다.
메모리(230)는 통신부(210)가 수신한 데이터 및 프로세서(220)가 처리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230)는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되는 프로그램은 IoT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코딩되어 프로세서(220)에 의해 실행 가능한 신텍스(syntax)들의 집합일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메모리(230)는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및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및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사용자 단말(200)을 동작 시키는 명령어 세트(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사용자 단말(200)을 동작 시키는 명령어 세트는 프로세서(220)에 의해 실행된다.
통신부(210), 프로세서(220) 및 메모리(230)에 대해, 아래에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구성도이다.
서비스 서버(300)는 통신부(310), 프로세서(320) 및 메모리(33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300)는 도 1을 참조하여 서비스 서버(110)일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에게 통합적인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에 의해 관리 또는 운영되는 서버일 수 있다.
통신부(310)는 프로세서(320) 및 메모리(33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310)는 외부의 다른 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서비스 서버(300) 내의 회로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10)는 내부 버스 및 외부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통신부(310)는 서비스 서버(300)와 외부의 장치를 연결하는 요소일 수 있다. 통신부(310)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통신부(310)는 외부의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프로세서(320) 및 메모리(33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통신부(310)가 수신한 데이터 및 메모리(3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처리한다. 프로세서(320)는 메모리(예를 들어, 메모리(330))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및 프로세서(320)에 의해 유발된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한다.
메모리(330)는 통신부(310)가 수신한 데이터 및 프로세서(320)가 처리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330)는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되는 프로그램은 IoT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코딩되어 프로세서(320)에 의해 실행 가능한 신텍스들의 집합일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메모리(330)는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및 RA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및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30)는 서비스 서버(300)를 동작 시키는 명령어 세트(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서비스 서버(300)를 동작 시키는 명령어 세트는 프로세서(320)에 의해 실행된다.
통신부(310), 프로세서(320) 및 메모리(330)에 대해, 아래에서 도 4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신호 흐름도이다.
단계(405)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IoT 장치를 위한 프로파일 및 등록 모듈을 모듈 관리 서버(350)로 요청한다. 예를 들어, IoT 장치의 제조사에 따라 IoT 장치를 위한 프로파일 및 등록 모듈이 각각 다를 수 있다.
모듈 관리 서버(350)는 IoT 장치를 위한 프로파일 및 등록 모듈을 제조사 별로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제조사는 IoT 장치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와 제휴하고, 해당 제조사의 IoT 장치를 위한 프로파일 및 등록 모듈을 모듈 관리 서버(350)에 제공할 수 있다.
프로파일은 후술될 제어 서버(402)에 IoT 단말이 등록되기 위해 필요한 IoT 장치의 정보 및 등록 방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파일에 따라, 등록 모듈의 다운로드 방식이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파일에 따라 IoT 장치에 대한 페어링 방식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록 모듈은 제어 서버(402)에 IoT 단말을 등록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일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모듈 관리 서버(350)는 도 3을 참조하여 전술된 서비스 서버(300)에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모듈 관리 서버(350)가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모듈 관리 서버(350)는 서비스 서버(300)와 물리적으로 상이한 서버일 수 있다.
단계(405)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자 단말(200)이 프로파일 및 등록 모듈을 함께 요청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프로파일 및 등록 모듈은 각각 별개의 동작으로 요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405)에서는 프로파일만이 요청되고, 후술될 단계(410)가 수행된 후, 추가적으로 등록 모듈이 요청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프로파일 및 등록 모듈을 다양한 방식들로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필요한 경우 실시간으로 프로파일 및 등록 모듈을 모듈 관리 서버(350)로 요청하고,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200)은 미리 설정된 주기로 프로파일 및 등록 모듈을 수신 및 저장하고, 필요한 경우 저장된 프로파일 및 등록 모듈을 로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모듈 관리 서버(350)은 프로파일 및 등록 모듈이 변경된 경우, 변경된 프로파일 및 등록 모듈을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200)은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된 프로파일 및 등록 모듈을 저장하고, 필요한 경우 로드할 수 있다.
단계(410)에서, 모듈 관리 서버(350)는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사용자 단말(200)로 해당 IoT 장치에 대한 프로파일 및 등록 모듈을 전송한다.
단계(415)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수신된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IoT 장치를 등록하기 위해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파라미터는 제조사 별로 상이할 수 있다. 파라미터는 IoT 장치의 통신 방식에 관한 파라미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장치의 통신 방식에 관한 파라미터는 IoT 장치가 SoftAP(Soft enabled Access Point)를 이용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420)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등록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IoT 장치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 서버(402)에 IoT 장치를 등록한다. 예를 들어, 등록 모듈을 통해 제어 서버(402)에 파라미터가 전송됨으로써 IoT 장치가 등록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계정 서버(410) 및 제어 서버(402)는 하나의 서버(400)에 포함될 수 있고, 서버(400)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계정 서버(410) 및 제어 서버(402)가 각각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계정 서버(410) 및 제어 서버(402)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개의 서버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00)는 IoT 장치를 생성하는 사업자에 의해 괸리 또는 운영되는 서버일 수 있다.
단계(425)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IoT 장치와 연관된 계정 서버(401)를 통해 IoT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 및 서비스 서버를 인증한다. 계정 서버(401)는 사용자를 관리하기 위한 해당 제조사의 서버일 수 있다. 사용자 및 서비스 서버를 인증하는 방법에 대해, 아래에서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단계(430)에서, 계정 서버(401)는 사용자 및 서비스 서버가 인증된 경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인증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증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 및 서비스 서버(30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토큰일 수 있다.
단계들(435 및 440)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IoT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서비스 서버(300)를 통해 제어 서버(402)로 전송한다. 서비스 서버(300) 및 제어 서버(402)는 서버 대 서버로 통신할 수 있다.
제어 서버(402)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통해 제어 명령을 전송한 사용자 단말(200) 및 서비스 서버(300)가 정당한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 서버(402)는 사용자 단말(200) 및 서비스 서버(300)가 정당한 권한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IoT 장치를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단계들(405 내지 440)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이 모듈 관리 서버(350)로부터 IoT 장치 별로 상이한 프로파일 및 등록 모듈을 수신할 수 있으므로, IoT 장치에 대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필요 없이 IoT 장치를 제어하는 단일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IoT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계정 서버에 사용자를 등록하는 방법의 구성도이다.
일 측면에 따르면, 도 4를 참조하여 전술된 단계(415)가 수행된 후, 추가적으로 아래의 단계(510)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510)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계정 서버(401)에 사용자를 등록한다. 계정 서버(401)는 사용자를 등록시킴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식별자를 생성할 수 있다. 계정 서버(401)는 식별자를 통해 사용자가 IoT 장치 제어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IoT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 및 서비스 서버를 인증하는 방법의 구성도이다.
일 측면에 따르면, 도 4를 참조하여 전술된 단계(425)는 아래의 단계들(610 및 620)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610)에서, 계정 서버(401)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한다. 수신한 사용자 식별자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식별자와 일치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단계(620)에서, 계정 서버(401)는 서비스 서버(300)에 대해 미리 발급된 서비스 서버 식별자를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300)를 인증한다. 예를 들어, 계정 서버(401)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서버(300)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300)를 인증할 수 있다. 미리 계정 서버(401)에 서비스 서버(300)의 타겟 식별자가 미리 저장될 수 있고, 수신한 식별자가 타겟 식별자와 일치하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도 7은 일 예에 따른 네트워크에 접속된 IoT 장치를 도시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 서비스 서버(300) 및 IoT 장치(7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장치(700)가 네트워크에 연결되기 위해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IoT 장치(700) 무선 통신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AP(710)의 정보를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IoT 장치(700)와의 페어링을 통해 AP(710)의 정보를 IoT 장치(700)로 전송할 수 있다. 페어링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기재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200: 사용자 단말
300: 서비스 서버
350: 모듈 관리 서버
401: 계정 서버
402: 제어 서버

Claims (20)

  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IoT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IoT 장치와 연관된 프로파일 및 상기 IoT 장치에 대한 등록 모듈을 모듈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IoT 장치를 등록하기 위해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등록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상기 IoT 장치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 서버에 상기 IoT 장치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IoT 장치와 연관된 계정 서버를 통해 상기 IoT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 및 서비스 서버를 인증하는 단계 -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인증된 경우 상기 계정 서버로부터 사용자 인증 정보가 수신됨 -; 및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IoT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제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제어 서버는 서버 대 서버로 통신함 -
    를 포함하고,
    상기 IoT 장치는 상기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IoT 장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관리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서버는 물리적으로 동일한 서버 내에 포함되는 서버들인,
    IoT 장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IoT 장치의 제조사 별로 상이한,
    IoT 장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제조사 별로 상이한,
    IoT 장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IoT 장치의 통신 방식에 관한 파라미터인,
    IoT 장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IoT 장치의 통신 방식에 관한 파라미터는 상기 IoT 장치가 SoftAP(Soft enabled Access Point)를 이용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IoT 장치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정 서버에 상기 사용자를 등록하는 단계 - 상기 등록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 대해 식별자가 부여됨 -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및 서비스 서버를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장치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및 서비스 서버를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 대해 미리 발급된 서비스 서버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를 인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장치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장치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IoT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IoT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IoT 장치 제어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1. 사용자 단말은,
    IoT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IoT 장치와 연관된 프로파일 및 상기 IoT 장치에 대한 등록 모듈을 모듈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IoT 장치를 등록하기 위해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등록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상기 IoT 장치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 서버에 상기 IoT 장치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IoT 장치와 연관된 계정 서버를 통해 상기 IoT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 및 서비스 서버를 인증하는 단계 -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인증된 경우 상기 계정 서버로부터 사용자 인증 정보가 수신됨 -; 및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IoT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제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제어 서버는 서버 대 서버로 통신함 -
    를 수행하고,
    상기 IoT 장치는 상기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사용자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IoT 장치의 제조사 별로 상이한,
    사용자 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제조사 별로 상이한,
    사용자 단말.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IoT 장치의 통신 방식에 관한 파라미터인,
    사용자 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IoT 장치의 통신 방식에 관한 파라미터는 상기 IoT 장치가 SoftAP(Soft enabled Access Point)를 이용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계정 서버에 상기 사용자를 등록하는 단계 - 상기 등록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 대해 식별자가 부여됨 -
    를 더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및 서비스 서버를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및 서비스 서버를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 대해 미리 발급된 서비스 서버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를 인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IoT 장치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IoT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수행하고,
    상기 IoT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19. 모듈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IoT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모듈을 전송하는 방법은,
    IoT 장치와 연관된 프로파일 전송 요청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IoT 장치와 연관된 프로파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IoT 장치에 대한 등록 모듈 전송 요청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등록 모듈 전송 요청은 상기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생성됨 -; 및
    상기 등록 모듈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등록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IoT 장치를 제어 서버에 등록하기 위해 이용되고,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IoT 장치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IoT 장치는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IoT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모듈 전송 방법.
  20. 모듈 관리 서버는,
    IoT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모듈을 전송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IoT 장치와 연관된 프로파일 전송 요청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IoT 장치와 연관된 프로파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IoT 장치에 대한 등록 모듈 전송 요청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등록 모듈 전송 요청은 상기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생성됨 -; 및
    상기 등록 모듈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수행하고,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IoT 장치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IoT 장치는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모듈 관리 서버.
KR1020200071362A 2020-06-12 2020-06-12 IoT 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사용자 인증 방법 및 그 시스템에 포함되는 IoT 장치 및 IoT 장치 정보 등록 방법 KR202101543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362A KR20210154394A (ko) 2020-06-12 2020-06-12 IoT 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사용자 인증 방법 및 그 시스템에 포함되는 IoT 장치 및 IoT 장치 정보 등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362A KR20210154394A (ko) 2020-06-12 2020-06-12 IoT 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사용자 인증 방법 및 그 시스템에 포함되는 IoT 장치 및 IoT 장치 정보 등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394A true KR20210154394A (ko) 2021-12-21

Family

ID=79165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362A KR20210154394A (ko) 2020-06-12 2020-06-12 IoT 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사용자 인증 방법 및 그 시스템에 포함되는 IoT 장치 및 IoT 장치 정보 등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43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2108B2 (en) Application user single sign-on
EP3582470B1 (en) Step-up authentication for single sign-on
US20200028838A1 (en) Account authentication method for cloud storage, and server
CN111093197B (zh) 权限认证方法、权限认证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33663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ng device through IoT cloud using hardware security module
US8286223B2 (en) Extensible access control architecture
EP4250644A2 (en) Registering and requesting services in a service based architecture
CN108632329B (zh) 一种第三方插件的访问方法和装置
CN110365684B (zh) 应用集群的访问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8745701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deling options for opaque management data for a user and/or an owner
US9807075B2 (en) Methods for activation of an application on a user device
CN113923020A (zh) SaaS多租户架构的微服务鉴权方法、装置、及设备
CN113765655A (zh) 访问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345866B1 (ko) 서버시스템 및 서버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사용자단말에 대한 통신 보안방법
KR20220050102A (ko) 블루투스 단말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블루투스 단말
KR102058283B1 (ko) 이종 사물 인터넷 서비스 플랫폼 간의 보안 상호운용성 프레임워크 및 그 장치
KR102243627B1 (ko) IoT 디바이스 권한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071281B1 (ko) 통합 인증 방법
KR20210154394A (ko) IoT 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사용자 인증 방법 및 그 시스템에 포함되는 IoT 장치 및 IoT 장치 정보 등록 방법
AU2019370092B2 (en) Centralized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KR102371181B1 (ko) 에이전트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단말 및 사용자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시스템에서 수행되는 통신 보안방법
KR20180130204A (ko) 사물인터넷 기기 인증 장치 및 그 방법
CN117834158A (zh) 授权信息获取方法、装置、相关设备及存储介质
JP2022097380A (ja) 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およびシステム(共有認証クレデンシャルの管理)
CN117762601A (zh) 一种hydra服务调用方法、系统、终端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