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4283A - A ventilation type air clea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 ventilation type air clea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4283A
KR20210154283A KR1020200070790A KR20200070790A KR20210154283A KR 20210154283 A KR20210154283 A KR 20210154283A KR 1020200070790 A KR1020200070790 A KR 1020200070790A KR 20200070790 A KR20200070790 A KR 20200070790A KR 20210154283 A KR20210154283 A KR 20210154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air
space
indoo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7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32499B1 (en
Inventor
정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to KR1020200070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2499B1/en
Priority to PCT/KR2021/007071 priority patent/WO2021251704A1/en
Publication of KR20210154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2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4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2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 B01D2239/025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comprising nano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42Antimicrobial, antibacterial, antifungal addit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A ventilation type air cleaner is provid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ntilation type air cleaner includes: an outer case including front and rear cases; a body plac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cases, and having an inside air inlet, an inside air outlet, an outside air inlet and an outside air outlet so as to discharge outsid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o an indoor space while discharging inside air introduced from the indoor space to the outside; a first air blower combined with the body so as to introduce the outside air into the body through the outside air inlet and discharge the outside air introduced into the body to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outside air outlet; a second air blower combined with the body so as to introduce the inside air into the body through the inside air inlet and discharge the insid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side air outlet; a heat exchanger placed in the body such that heat can be exchanged between the outside air introduced into the body through the first air blower and the inside air introduced into the body through the second air blower; and a filter member placed between the rear case and the body such that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outside air inlet can be introduced into the heat exchanger after being filtere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preventing a deterioration in the efficiency of a heating or cooling system such as a boiler or an air conditioner.

Description

환기형 공기청정기 및 이의 운전방법{A ventilation type air clea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A ventilation type air clea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환기형 공기청정기 및 이의 운전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type air purifier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최근 황사나 미세먼지로 인한 대기오염이 심화되면서 실내공기를 깨끗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공조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Recently, as air pollution due to yellow dust or fine dust has intensified, the use of air conditioners to keep indoor air clean is increasing.

일례로, 공기청정기는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공간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air purifier may be installed indoors to purify the air in the indoor space.

그러나 종래의 공기청정기는 실내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각종 이물질을 제거할 수는 있으나 밀폐된 실내공간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순환시켜 작동하는 방식이므로 환기가 불가능하며 공기중에 포함된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오염물질의 제거가 불가능하다.However, the conventional air purifier can remove fine dust and variou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indoor air, but it is impossible to ventilate because it is a method that continuously circulates the air in the enclosed indoor space and works, and contamination such as formaldehyde contained in the air is not possible. It is impossible to remove the material.

이에 따라, 종래의 공기청정기를 지속적으로 가동하더라도 실내 산소량은 감소하는 반면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증가하며 공기중에 포함된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오염물질이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실내공기의 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Accordingly, even if the conventional air purifier is continuously operated, the amount of indoor oxygen decreases while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creases, and contaminants such as formaldehyde contained in the air are maintained as they are,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quality of the indoor air is deteriorated.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단순히 환기시키면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줄일 수는 있으나 실외공기에 포함된 황사나 미세먼지와 같은 유해한 성분이 함께 유입되므로 실내공기의 질이 더욱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To solve this problem, simply ventilating the indoor and outdoor air can reduce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but harmful components such as yellow dust and fine dust contained in outdoor air are introduced together, so indoor air quality can be further deteriorated. there is a problem.

또한, 공기청정기가 가동된 상태에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환기시키면 실외공기에 포함된 황사나 미세먼지와 같은 유해한 성분이 함께 유입되더라도 실외공기와 함께 유입된 황사나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는 있으나 실외공기에 포함된 황사나 미세먼지를 추가로 제거해야 하므로 공기청정기의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고 실내공기의 질을 개선하는데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f the indoor air and outdoor air are ventilated while the air purifier is in operation, even if harmful components such as yellow dust or fine dust contained in the outdoor air are introduced together, the yellow dust or fine dust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outdoor air can be removed. Since yellow dust or fine dust contained in outdoor air must be additionally removed, overload of the air purifier may occur and it takes a long time to improve indoor air quality.

더불어, 실내공간에서 에어콘이나 보일러와 같은 냉난방시설이 가동되는 경우 단순 환기를 통해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거나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 실내공기의 온도와 실외공기의 온도차가 존재하므로 냉난방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heating and cooling facilities such as air conditioners or boilers are operated in an indoor space, when out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room through simple ventilation or when the indoor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re is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ir and outdoor air, so the cooling and heating efficiency decreases.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면서 황사나 미세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이 여과된 상태의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함으로써 환기를 통해 실내공기를 청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환기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oints, and while discharging indoor air to the outdoors, it introduces outdoor air in a state in which pollutants such as yellow dust or fine dust has been filtered into the room, thereby purifying indoor air through ventila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ntilation type air purifier that can be maintained.

또한, 본 발명은 실내공기를 환기하더라도 실내공간에 설치된 냉난방기기의 냉난방효율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환기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ntilation-type air purifier capable of preventing a decrease in the cooling/heating efficiency of air-conditioning equipment installed in an indoor space even if the indoor air is ventilated.

더욱이, 본 발명은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공기로부터 코로나 19와 같은 바이러스를 불능화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필터부재를 구비한 환기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Furthermor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ntilation type air purifier having a filter member capable of disabling or removing a virus such as Corona 19 from outdoor air flowing into the room.

더하여, 본 발명은 열교환기의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환기형 공기청정기의 운전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operating a ventilation air purifier capable of preventing condensation in a heat exchanger.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케이스 및 후면케이스를 포함하는 외부케이스; 상기 전면케이스 및 후면케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실외공기를 실내공간으로 배출하면서 실내공간으로부터 유입된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실내공기 유입구, 실내공기 배출구, 실외공기 유입구 및 실외공기 배출구가 각각 구비되는 본체;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를 통해 실외공기를 상기 본체로 유입하고 상기 본체로 유입된 실외공기를 상기 실외공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실내공간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제1송풍기;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를 통해 실내공기를 상기 본체로 유입하고 상기 본체로 유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제2송풍기; 상기 제1송풍기를 통해 상기 본체로 유입된 실외공기와 상기 제2송풍기를 통해 상기 본체로 유입된 실내공기가 열교환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공기가 여과된 후 상기 열교환기 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후면케이스 및 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환기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uter case including a front case and a rear case; an indoor air inlet, an indoor air outlet, an outdoor air inlet, and an outdoor a body provided with an air outlet, respectively; a first blower coupled to the main body to introduce outdoor air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and discharge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into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outdoor air outlet; a second blower coupled to the main body to introduce indoor air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indoor air inlet and discharge the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door air outlet; a heat exchanger disposed on the main body to exchange heat between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first blower and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second blower; and a filter member disposed between the rear case and the main body so that out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is filtered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heat exchanger.

또한, 상기 본체를 통과하는 실외공기와 상기 본체를 통과하는 실내공기는 상기 열교환기 내부에서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열교환될 수 있다.Also, the outdoor air passing through the main body and the indoor air passing through the main body may exchange heat while moving in a direction crossing each other inside the heat exchanger.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 및 실내공기 배출구가 각각 형성된 제1내부케이스; 상기 제1내부케이스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송풍기와 연통되도록 관통형성되는 제1연통구와 상기 제2송풍기와 연통되도록 관통형성되는 제2연통구 및 상기 제1송풍기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를 실내공간으로 배출하기 위한 실외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2내부케이스; 상기 제1내부케이스 및 제2내부케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가 고정되는 중간케이스; 및 상기 제1송풍기 및 제2송풍기를 상기 제2내부케이스의 일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내부케이스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송풍기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경유공간을 포함하는 팬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may include: a first inner case in which the outdoor air inlet and the indoor air outlet are respectively formed; A first communication hole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inner case and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blower, a second communication hole that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blower, and the outdoo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blower a second inner case including an outdoor air outlet for discharging air into the indoor space; an intermediate case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ner case and the second inner case and to which the heat exchanger is fixed;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inner case so that the first blower and the second blower can be fixed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inner case, and the in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blowe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 fan cover including a gas oil spac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door air outlet so as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indoor air outlet.

또한, 상기 중간케이스는, 상기 열교환기가 배치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함체형상의 몸체; 및 실내공기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실내공기 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열교환기를 기준으로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와 연통되는 제1공간과,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와 연통되는 제2공간과, 상기 제2송풍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3공간 및 상기 제1송풍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4공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내지 제4공간은 상기 몸체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열교환기와 접하도록 각각 연장되는 복수 개의 격벽 및 상기 열교환기를 통해 구획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mediate case may include: a housing-shaped body having an inner space with one surface open so that the heat exchanger can be disposed; and an indoor air inlet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so that indoor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wherein the inner space includes a first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indoor air inlet based on the heat exchanger; a second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outdoor air inlet, a third spac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lower, and a fourth spac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lower; The to fourth space may be partitioned through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and the heat exchanger each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to be in contact with the heat exchanger.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4공간은 상기 열교환기를 둘러싸도록 일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공간 및 제3공간은 상기 열교환기를 기준으로 대각방향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공간 및 제4공간은 상기 열교환기를 기준으로 대각방향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to fourth spaces may be sequentially formed along one direction to surround the heat exchanger, and the first and third spaces may be formed to be positioned in a dia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eat exchanger, The second space and the fourth space may be formed to be positioned in a dia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eat exchanger.

또한, 상기 복수 개의 격벽은 각각의 일단부에 상기 열교환기의 모서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인입형성되는 지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may include at one end of each of the support grooves inwardly formed to support the edge of the heat exchanger.

또한, 상기 중간케이스는, 상기 경유공간과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를 서로 연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일측에 관통형성되는 이동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mediate case may further include a movement path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body to communicate the gas oil space and the indoor air outlet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본체의 외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member may be disposed outside the main body to cover the outdoor air inlet.

또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본체의 외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커버를 매개로 상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member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via a filter cover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또한, 상기 환기형 공기청정기는, 상기 전면케이스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ntilation air purifier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panel provided on the front case.

또한, 상기 후면케이스는, 실외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면적으로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r case may include at least one opening formed through a predetermined area to allow outdoor air to pass therethrough.

또한, 상기 후면케이스는, 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격판을 매개로 내부가 제1구획공간 및 제2구획공간을 구획되는 중공형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구획공간은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제2구획공간은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와 연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r case may include a hollow protrusion that extends a certain length outward from one side and divides the inside of the first compartment and the second compartment through a diaphragm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in. , the first compartment may communicate with the outdoor air inlet, and the second compartment may communicate with the indoor air outlet.

또한, 상기 환기형 공기청정기는, 상기 본체와 상기 후면케이스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면케이스에 결합되는 벤트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벤트커버는 상기 제2구획공간을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와 서로 연통시킬 수 있다.The ventilation air purifier may further include a vent cover coupled to the rear case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rear case, wherein the vent cover divides the second compartment space from the indoor air outlet and each other. can communicate.

또한,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 및 실외공기 배출구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의 메쉬망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ate-shaped mesh network having a predetermined area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indoor air inlet and the outdoor air outlet.

또한, 상기 필터부재는, 정전 처리된 다공성의 제1부재; 및 나노섬유가 축적되어 형성된 제2부재;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필터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member, the electrostatically treated porous first member; and a second member formed by accumulating nanofibers.

이때, 상기 제2부재는 항바이러스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member may include an antiviral component.

한편, 본 발명은 건물의 벽체 또는 창문 측에 설치되는 환기형 공기청정기의 운전방법으로서, 상기 환기형 공기청정기는, 외부로부터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실내공간으로 배출하기 위한 제1송풍기와, 실내공간으로부터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2송풍기 및 상기 제1송풍기를 통해 흡입된 실외공기와 상기 제2송풍기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송풍기 및 제2송풍기를 모두 구동하는 제1단계; 상기 제1송풍기를 통해 흡입되는 실외공기의 온도와 상기 제2송풍기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의 온도를 비교하는 제2단계; 상기 실외공기의 온도 및 실내공기의 온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송풍기 및 제2송풍기 중 어느 하나의 송풍기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중지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1송풍기 및 제2송풍기의 구동을 모두 중지하는 제4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제1송풍기 및 제2송풍기 중 선택적으로 구동이 중지되는 송풍기는 상기 실외공기 및 실내공기 중 상대적으로 더 낮은 온도의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기인 환기형 공기청정기의 운전방법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operating a ventilation air purifier installed on a wall or window side of a building, the ventilation air purifier comprising: a first blower for sucking outdoor air from the outside and discharging it to an indoor space; and a second blower for sucking indoor air from and discharging to the outside, and a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between outdoor air sucked through the first blower and indoor air sucked through the second blower, wherein the first blower and a first step of driving all of the second blowers; a second step of comparing a temperature of outdoor air sucked in through the first blower with a temperature of indoor air sucked in through the second blower; a third step of selectively stopping the driving of any one of the first blower and the second blower based o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outdoor air and the indoor air; and a fourth step of stopping the driving of both the first blower and the second blower, wherein in the third step, the blower selectively stopped from driving among the first blower and the second blower is the outdoor air And it provides a method of operating a ventilation-type air purifier that is a blower that sucks air of a relatively lower temperature in the indoor air.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면서 황사나 미세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을 여과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함으로써 환기를 통해 실내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줄이면서 실내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실외로 배출하여 실내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exhausting indoor air to the outdoors, outdoor air filtered with pollutants such as yellow dust or fine dust is introduced into the room, thereby reducing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 the indoor air through ventilation and removing pollutants existing in the room to the outdoors. It is possible to keep the indoor air in a comfortable stat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공기의 환기시 실내공기와 온도편차가 작은 상태로 외부공기를 실내로 유입함으로써 에어컨이나 보일러와 같은 냉난방기기의 효율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door air is ventil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crease in the efficiency of air conditioning equipment such as an air conditioner or a boiler by introducing external air into the room in a state wher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ir and the indoor air is small.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코로나 19와 같은 바이러스가 필터부재에서 불능화되거나 제거된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 발생 및 질병전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utdoor air, which has been disabled or removed from the filter member, can be supplied to the room, the virus, such as Corona 19, can prevent disease outbreaks and disease transmission in advance.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온도차에 의한 결로현상을 방지하여 곰팡이와 같은 세균의 증식을 억제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heat exchanger in advance by inhibiting the growth of bacteria such as mold by preventing dew condensation caused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ir and the outdoor ai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서 커버판의 일부 및 메쉬망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분리도,
도 4는 도 3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에 적용될 수 있는 본체의 분리도,
도 6은 도 5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에 적용될 수 있는 본체에서 중간케이스에 열교환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도 7에 자외선 발생수단이 추가로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1의 환기형 공기청정기에서 실외공기의 흐름 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1의 환기형 공기청정기에서 실내공기의 흐름 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11에서 커버판의 일부 및 메쉬망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11의 분리도,
도 14는 도 13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15는 도 11에 적용될 수 있는 후면케이스, 벤트커버 및 돌출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도 15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17은 도 11의 환기형 공기청정기에서 실외공기의 흐름 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8은 도 11의 환기형 공기청정기에서 실내공기의 흐름 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에서 필터부재의 교환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후면케이스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a)에서 필터커버 및 필터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에 적용될 수 있는 열교환기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에 적용될 수 있는 필터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2는 도 21에 적용될 수 있는 필터부재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3은 도 21에 적용될 수 있는 필터부재의 다른 세부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4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단면을 나타낸 모식도,
도 25는 항바이러스 모티프가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해 작용할 수 있는 타켓과 관련한 모식도, 그리고,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의 운전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ventilation typ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cover plate and the mesh network in Figure 1 are separated;
3 is an exploded view of FIG. 1;
4 is a view of FIG. 3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5 is an exploded view of a main body that can be applied to a ventilation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of FIG. 5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7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at exchanger is coupled to the intermediate case in the main body applicable to the ventilation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ltraviolet generating means is additionally mounted in FIG. 7;
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ow path of outdoor air in the ventilation air purifier of FIG. 1;
1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ow path of indoor air in the ventilation air purifier of FIG. 1;
11 is a view showing a ventilation typ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cover plate and the mesh network in FIG. 11 are separated;
13 is an exploded view of FIG. 11;
14 is a view of FIG. 13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1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ar case, the vent cover and the protrusion that can be applied to FIG. 11 are separated;
16 is a view of FIG. 15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1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ow path of outdoor air in the ventilation air purifier of FIG. 11;
1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ow path of indoor air in the ventilation air purifier of FIG. 11;
1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replacing a filter member in a ventilation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ar case is removed, (b) is a filter cover in (a) and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ter member is separated,
20 is a view showing a heat exchanger applicable to the ventilation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lter member applicable to a ventilation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filter member that can be applied to FIG.
2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detailed configuration of a filter member that can be applied to FIG.
2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corona virus;
25 is a schematic diagram related to a target that an antiviral motif can act against a coronavirus, and
26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ventilatio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200)는 사무실, 주차장, 거실, 룸 등과 같이 적어도 일부가 밀폐된 실내공간에 장착될 수 있다.The ventilation air purifiers 100 and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unted in an indoor space at least partially sealed, such as an office, a parking lot, a living room, a room, and the lik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200)는 상기 실내공간의 벽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상기 실내공간 측으로 실외공기를 여과하여 공급하면서 상기 실내공간의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entilation air cleaners 100 and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lter and supply outdoor air from the outside to the indoor space while being mounted on the wall side of the indoor space while discharging the indoor air of the indoor space to the outside. can do.

일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200)는 창문이나 창틀에 설치되거나 상기 실내공간을 규정하는 벽체에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ventilation air purifiers 100 and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on a window or a window frame, or may be installed on a wall defining the indoor space.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환기형 공기청정기(100)는 창문 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환기형 공기청정기(200)는 실내공간을 규정하는 벽체에 설치될 수 있다.That is, the ventilation air purifier 100 shown in FIGS. 1 and 2 may be installed on the window side, and the ventilation air purifier 200 shown in FIGS. 11 and 12 is installed on a wall defining an indoor space. can be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200)를 가동하면, 황사나 미세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이 여과된 상태의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됨으로써 환기를 통해 실내공기를 청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ventilation air purifier 100 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outdoor air in a state in which pollutants such as yellow dust or fine dust are filtered is introduced into the room, thereby purifying the indoor air through ventilation. can be maintained as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200)를 가동하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순환을 통해 상기 실내공간은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저감될 수 있고 실내공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황사나 미세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제거된 신선한 실외공기의 공급을 통해 공기의 질을 높일 수 있다.That is, when the ventilation air purifier 100 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 the indoor space can be reduced through the circulation of indoor air and outdoor air, and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indoor air can be removed from the outside. Air quality can be improved by supplying fresh outdoor air from which foreign substances such as yellow dust and fine dust have been removed.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200)는 외부케이스(110,210), 본체(120), 제1송풍기(131), 제2송풍기(132), 열교환기(140) 및 필터부재(150)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ventilation air purifiers 100 and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the outer cases 110 and 210 , the main body 120 , the first blower 131 , the second blower 132 , the heat exchanger 140 and A filter member 150 is included.

상기 외부케이스(110,210)는 상기 제1송풍기(131), 제2송풍기(132), 열교환기(140) 및 필터부재(15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outer cases 110 and 210 may prevent the first blower 131 , the second blower 132 , the heat exchanger 140 , and the filter member 15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일례로, 상기 외부케이스(110,210)는 도 1 내지 도 4,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케이스(111) 및 후면케이스(112,212)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uter cases 110 and 210 may include a front case 111 and rear cases 112 and 212 as shown in FIGS. 1 to 4 and 11 to 14 .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200)가 실내공간을 규정하는 벽체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전면케이스(111)는 실내공간에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후면케이스(112,212)는 외부로부터 상기 본체(120) 측으로 실외공기가 이동하거나 상기 실내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실내공기가 이동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Here, when the ventilation air purifiers 100 and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on a wall defining an indoor space, the front case 111 may be exposed to the indoor space, and the rear cases 112 and 212 may serve as a passage through which outdoor air moves from the outside toward the main body 120 or through which indoor air moves from the indoor space to the outside.

이와 같은 경우, 도 3, 도 4,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송풍기(131), 제2송풍기(132), 열교환기(140) 및 필터부재(150)는 상기 본체(120)에 각각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전면케이스(111) 및 후면케이스(112,212)는 상기 제1송풍기(131), 제2송풍기(132), 열교환기(140) 및 필터부재(150)가 장착된 본체(120)의 전면과 후면을 각각 커버하도록 상기 본체(120)의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3, 4, 13 and 14, the first blower 131, the second blower 132, the heat exchanger 140 and the filter member 150 are the main body ( 120), and the front case 111 and the rear cases 112 and 212 are equipped with the first blower 131, the second blower 132, the heat exchanger 140 and the filter member 150. It may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20 so as to cover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main body 120, respectively.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200)는 상기 본체(120)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커버(101, 102, 103, 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ventilation type air cleaner 100 ,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covers 101 , 102 , 103 , 104 arrang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120 .

일례로, 도 3 및 도 13에 도시된 복수 개의 커버(101, 102, 103, 104)는 상기 본체(120)의 상면을 덮는 제1커버(101)와, 상기 본체(120)의 하면을 덮는 제2커버(102) 및 상기 본체(120)의 양 측면을 각각 덮는 제3커버(103) 및 제4커버(104)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covers 101, 102, 103, and 104 shown in FIGS. 3 and 13 includes a first cover 101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20, and a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20. It may include a second cover 102 and a third cover 103 and a fourth cover 104 respectively covering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20 .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200)에서 상기 본체(120)는 전면과 후면에 전면케이스(111) 및 후면케이스(112,212)를 통해 덮어질 수 있으며, 전면과 후면을 제외한 둘레면이 상기 복수 개의 커버(101, 102, 103, 104)를 통해 덮어질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ventilation air purifier 100 and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20 may be covered through the front case 111 and the rear case 112 and 212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thereof. A circumferential surface except for may be covered through the plurality of covers 101 , 102 , 103 , 104 .

더불어, 상기 복수 개의 커버(101, 102, 103, 104) 중 일부의 커버(101,102)는 상기 본체(120)에 형성되는 실내공기 유입구(I2) 및 실외공기 배출구(O1)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120)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some of the covers 101 and 102 among the plurality of covers 101, 102, 103, and 104 cover the indoor air inlet I2 and the outdoor air outlet O1 formed in the main body 120 so as to cover the main body. may be coupled to 120 .

일례로, 상기 제1커버(101)는 도 3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외공기 배출구(O1)를 덮도록 상기 본체(1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커버(102)는 도 2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I2)를 덮도록 상기 본체(120)에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cover 101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20 to cover the outdoor air outlet O1 as shown in FIGS. 3 and 13 , and the second cover 102 may include 2 and 12 , it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20 so as to cover the indoor air inlet I2.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I2) 및 실외공기 배출구(O1)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이물질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도록 소정 면적을 갖는 판상의 메쉬망(162,163)이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plate-shaped mesh networks 162 and 163 having a predetermined area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indoor air inlet I2 and the outdoor air outlet O1 to block the movement of foreign substances.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쉬망(162,163)은 도 3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I2) 및 실외공기 배출구(O1)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mesh networks 162 and 163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indoor air inlet I2 and the outdoor air outlet O1, respectively, as shown in FIGS. 3 and 13 .

이와 같은 메쉬망(162,163)은 상기 제1커버(101) 및 제2커버(102)와 상기 본체(120)의 결합을 통해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I2) 및 실외공기 배출구(O1) 측에 각각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uch mesh networks 162 and 163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side of the indoor air inlet I2 and the outdoor air outlet O1 through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ver 101 and the second cover 102 and the main body 120 . state can be maintained.

한편, 상기 전면케이스(111)는 노출면에 조작부(10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105)는 후술할 제어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105)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200)의 온/오프 구동을 조작할 수 있다.Meanwhile, the front case 111 may be provided with a manipulation unit 105 on an exposed surface, and the manipulation unit 105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trol unit 170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the user may operate the on/off driving of the ventilation air purifiers 100 and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manipulation unit 105 .

여기서, 상기 조작부(105)는 상기 전면케이스(111)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고, 공지의 리모콘과 같이 상기 전면케이스(11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Here, the manipulation unit 105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front case 111 or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case 111 like a known remote control.

더불어, 상기 전면케이스(111) 측에는 상기 환기형 공기청정기(100,200)의 온/오프, 실내공간의 온도정보, 실외공간의 온도정보 및 습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패널(180)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front case 111 side, a display panel 180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f on/off of the ventilation air purifiers 100 and 200, temperature information of an indoor space, temperature information of an outdoor space, and humidity information. This may be provided.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패널(180)은 일면이 상기 전면케이스(1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부로 직접 노출되도록 상기 전면케이스(111)에 장착될 수도 있고, 상기 전면케이스(111)에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나타내는 출력결과가 상기 전면케이스(111)를 투과하여 상기 전면케이스(111)의 노출면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Such a display panel 180 may be mounted on the front case 111 so that one surface is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being mounted on the front case 111 , or in a state embedded in the front case 111 , An output result indicating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may pass through the front case 111 and be displayed on an exposed surface of the front case 111 .

상기 본체(120)는 상기 전면케이스(111) 및 후면케이스(112,2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가 내부로 각각 유입된 후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The main body 1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11 and the rear cases 112 and 212, and after the indoor air and the outdoor air are respectively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they may be discharged through different paths.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200)가 설치된 실내공간은 신선한 실외공기가 외부로부터 상기 본체(120)를 통과한 후 실내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질이 저하된 실내공기가 상기 본체(120)를 통과한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rough this, in the indoor space in which the ventilation air purifiers 100 and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fresh outdoor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door space after passing through the main body 120 from the outside, and the quality is reduced. The indoor ai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fter passing through the body 120 .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200)가 설치된 실내공간은 실외공기와 실내공기의 순환을 통해 환기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indoor space in which the ventilation air purifiers 100 and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may be ventilated through circulation of outdoor air and indoor air.

이를 위해, 상기 본체(120)는 실내공기를 내부공간(S)으로 유입하기 위한 실내공기 유입구(I2)와, 상기 내부공간(S)으로 유입된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실내공기 배출구(O2)와, 실외공기를 상기 내부공간(S)으로 유입하기 위한 실외공기 유입구(I1) 및 상기 내부공간(S)으로 유입된 실외공기를 실내로 배출하기 위한 실외공기 배출구(O1)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main body 120 includes an indoor air inlet I2 for introducing indoor air into the inner space S, and an indoor air outlet for discharging the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S to the outside ( O2), an outdoor air inlet (I1) for introducing outdoor air into the inner space (S), and an outdoor air outlet (O1) for discharging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S) into the indoor space. can

일례로, 도 2 내지 도 4,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I2)는 상기 본체(12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실외공기 배출구(O1)는 상기 본체(12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O2) 및 실외공기 유입구(I1)는 상기 본체(12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2 to 4 and 12 to 14 , the indoor air inlet I2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20 , and the outdoor air outlet O1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It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20 , and the indoor air outlet O2 and the outdoor air inlet I1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20 .

이와 같은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I2) 및 실외공기 배출구(O1) 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제1커버(101) 및/또는 제2커버(102)를 통해 상기 본체(120)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쉬망(162,163)이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at least one side of the indoor air inlet I2 and the outdoor air outlet O1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20 through the first cover 101 and/or the second cover 102 . At least one mesh network 162 and 163 coupled may be disposed.

그러나 각각의 유입구(I1,I2) 및 배출구(O1,O2)의 형성위치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유입구(I1,I2) 및 배출구(O1,O2)의 형성위치는 설계조건에 따라 적절한 위치로 변경될 수 있다.However, the formation positions of the respective inlets (I1, I2) and the outlets (O1, O2) are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ormation positions of the inlets (I1, I2) and the outlets (O1, O2) are appropriate according to the design conditions. can be changed to

또한, 상기 본체(120) 측에는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I1)를 통해 외부로부터 실외공기를 상기 내부공간(S)으로 흡입한 후 상기 실외공기 배출구(O1)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배출하기 위한 제1송풍기(131)와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I2)를 통해 실내공간으로부터 실내공기를 상기 내부공간(S)으로 흡입한 후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O2)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2송풍기(132)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main body 120 side, a first blower for sucking in outdoor air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I1 into the inner space S and then discharging it to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outdoor air outlet O1 131 and a second blower 132 for sucking indoor air from the indoor space into the inner space S through the indoor air inlet I2 and then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door air outlet O2 Each can be combined.

이를 위해, 상기 본체(12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I1) 및 실내공기 배출구(O2)가 각각 형성된 제1내부케이스(121)와, 상기 제1내부케이스(121)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내부케이스(122)와, 상기 제1내부케이스(121) 및 제2내부케이스(12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S)이 형성된 중간케이스(123) 및 상기 제1송풍기(131)와 제2송풍기(132)를 상기 제2내부케이스(122)의 일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내부케이스(122)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팬커버(124)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main body 120 includes a first inner case 121 in which the outdoor air inlet I1 and the indoor air outlet O2 are respectively formed as shown in FIGS. 5 and 6, and the first inner case The second inner case 122 detachably coupled to the 121 and the intermediate case 123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ner case 121 and the second inner case 122 and having the inner space S formed therein ) and a fan cover 124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inner case 122 so as to fix the first blower 131 and the second blower 132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inner case 122 . ) may be included.

구체적으로,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I1) 및 실내공기 배출구(O2)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관통구의 형태로 상기 제1내부케이스(121)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I1) 및 실내공기 배출구(O2)는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각각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outdoor air inlet (I1) and the indoor air outlet (O2)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first inner case 121 in the form of a through hol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the outdoor air inlet (I1) And the indoor air outlet (O2) may be formed so as not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제2내부케이스(122)는 상기 팬커버(124)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송풍기(131)와 연통되도록 관통형성되는 제1연통구(125a)와, 상기 팬커버(124)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2송풍기(132)와 연통되도록 관통형성되는 제2연통구(125b)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O2)와 연통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는 제1이동로(122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내부케이스(122)의 일측에는 상기 제1송풍기(131)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를 실내공간으로 배출하기 위한 실외공기 배출구(O1)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inner case 122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hole 125a that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blower 131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fan cover 124 , and the fan cover 124 . It may include a second communication port 125b that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blower 132 disposed on one surface, and a first movement path 122a that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door air outlet O2. ), and an outdoor air outlet O1 for discharging the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blower 131 into the indoor space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inner case 122 .

더불어, 상기 중간케이스(123)는 상기 열교환기(140)를 수용하면서 배치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된 내부공간(S)을 갖는 함체형상의 몸체(123a)와, 실내공기가 상기 내부공간(S)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23a)의 일측에 형성되는 실내공기 유입구(I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I1)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가 상기 내부공간(S)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I1)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형성되는 제2이동로(123d)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mediate case 123 includes a housing-shaped body 123a having an inner space S with one surface open so that it can be disposed while accommodating the heat exchanger 140 , and indoor air i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S ) may include an indoor air inlet (I2)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123a) so that the out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I1) moves into the inner space (S). It may include a second passage 123d that is formed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I1) and the corresponding position to allow it.

더하여, 상기 팬커버(12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송풍기(132)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S)으로 유입된 실내공기가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O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O2)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경유공간(V1)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 the fan cover 124 allows the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S through the second blower 132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door air outlet O2. It may include a passage space (V1)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door air outlet (O2) so as to be able to.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경유공간(V1)은 상기 제2내부케이스(122)에 형성된 제1이동로(122a)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커버(124)는 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획판(124a)을 매개로 상기 제1송풍기(131)가 배치되는 부분과 상기 제2송풍기(132)가 배치되는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송풍기(132)는 상기 경유공간(V1)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via space V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movement path 122a formed in the second inner case 122 . In addition, the fan cover 124 is divided into a portion in which the first blower 131 is disposed and a portion in which the second blower 132 is disposed via at least one partition plate 124a protruding from one surface. may be, the second blower 132 may be disposed to be located in the passing space (V1).

이때, 상기 내부공간(S)은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I2) 및 실외공기 유입구(I1)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S)으로 유입된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가 서로 섞이지 않고 이동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공간(S1, S2, S3, S4)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공간(S1, S2, S3, S4)은 일부의 공간들이 서로 연통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ner space (S) has a plurality of spaces ( It may be partitioned into S1, S2, S3, and S4, and some spaces of the plurality of spaces S1, S2, S3, and S4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공간(S)은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I2)와 연통되는 제1공간(S1)과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115)와 연통되는 제2공간(S2)과, 상기 제2송풍기(13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2연통구(125b)와 연통되는 제3공간(S3) 및 상기 제1송풍기(13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연통구(125a)와 연통되는 제4공간(S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내지 제4공간(S1, S2, S3, S4)은 서로 구획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 , the inner space S includes a first space S1 communicating with the indoor air inlet I2 and a second space S2 communicating with the outdoor air inlet 115 . and a third space S3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lower 132 and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125b and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lower 131, A fourth space S4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125a may be included, and the first to fourth spaces S1 , S2 , S3 , and S4 may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공간(S1, S2, S3, S4)은 일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공간(S1)은 상기 제3공간(S3)과 서로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공간(S2)은 제4공간(S4)과 서로 연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o fourth spaces ( S1 , S2 , S3 , S4 )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along one direction, and the first space ( S1 ) may communicate with the third space ( S3 ). , the second space S2 may communicate with the fourth space S4.

이에 따라, 상기 제1송풍기(131)가 작동하면 도 9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실외공기는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I1) 및 제3이동로(123e)를 통해 상기 제2공간(S2)으로 유입되어 필터부재(150)에 의해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이 여과된 후 제4공간(S4)을 거쳐 제1연통구(125a)를 통해 제1송풍기(131)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송풍기(131)로 유입된 실외공기는 상기 실외공기 배출구(116)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blower 131 operates, as shown in FIGS. 9 and 17 , outside outdoor air flows into the second space ( After being introduced into S2) and foreign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are filtered by the filter member 150, it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blower 131 through the fourth space S4 and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125a, The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blower 131 may be discharged into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outdoor air outlet 116 .

또한, 상기 제2송풍기(132)가 작동하면 도 10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공간의 실내공기는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I2)를 통해 제1공간(S1)으로 유입된 후 제3공간(S3)을 거쳐 제2연통구(125b)를 통해 제2송풍기(132)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송풍기(132)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상기 경유공간(V1), 제1이동로(122a) 및 제2이동로(123d)를 거쳐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O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blower 132 operates, as shown in FIGS. 10 and 18 , the indoor air of the indoor space flows into the first space S1 through the indoor air inlet I2 and then into the third space. Through (S3), it may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blower 132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125b, and the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blower 132 is passed through the passage space V1 and the first movement path. It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door air outlet O2 through the 122a and the second movement path 123d.

이로 인해, 실내에는 상기 제1송풍기(131)의 작동을 통해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낮은 신선한 실외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제2송풍기(132)의 작동을 통해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은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실내공기의 질을 높일 수 있다.For this reason, fresh outdoor air with a low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introduced into the room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first blower 131 , and indoor air with a high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econd blower 132 . This can improve indoor air quality.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200)는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I2) 및 실외공기 유입구(I1)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S)으로 각각 유입된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가 서로 섞이지 않으면서 열교환된 후 상기 내부공간(S)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ventilation air purifiers 100 and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oor air and outdoor air respectively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S through the indoor air inlet I2 and the outdoor air inlet I1 are After heat exchange without being mixed with each other, it may be discharged from the inner space (S) to the outside.

이를 위해, 상기 제1송풍기(131)를 통해 흡입된 실외공기와 제2송풍기(132)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가 모두 통과할 수 있도록 열교환기(140)가 상기 내부공간(S)에 배치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heat exchanger 140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S so that both the outdoor air sucked through the first blower 131 and the indoor air sucked through the second blower 132 pass through. can

즉, 상기 제1 내지 제4공간(S1, S2, S3, S4)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기(140)를 둘러싸도록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공간(S1) 및 제3공간(S3)은 상기 열교환기(140)를 기준으로 대각방향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공간(S2) 및 제4공간(S4) 역시 상기 열교환기(140)를 기준으로 대각방향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to fourth spaces ( S1 , S2 , S3 , S4 ) may be sequentially formed to surround the heat exchanger 140 as shown in FIG. 7 , and the first space ( S1 ) and The third space S3 may be formed to be positioned in a dia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eat exchanger 140 , and the second space S2 and the fourth space S4 are also formed with respect to the heat exchanger 140 . It may be formed to be positioned in a diagonal direction.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4공간(S1, S2, S3, S4)은 상기 몸체(123a)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열교환기(140)와 접하도록 각각 연장되는 복수 개의 격벽(123b) 및 상기 내부공간(S)에 배치되는 열교환기(140)를 통해 서로 구획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to fourth spaces S1 , S2 , S3 , and S4 include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23b respectively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23a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heat exchanger 140 , and the It may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through the heat exchanger 140 disposed in the inner space (S).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I1)를 통해 제2공간(S2)으로 유입된 실외공기는 열교환기(140)를 통과한 후 제4공간(S4)을 거쳐 상기 실외공기 배출구(O1)를 통해 실내로 배출될 수 있으며,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I2)를 통해 제1공간(S1)으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열교환기(140)를 통과한 후 제3공간(S3)을 거쳐 실내공기 배출구(O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the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space (S2)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I1) passes through the heat exchanger (140) and then through the fourth space (S4) through the outdoor air outlet ( O1), and the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space S1 through the indoor air inlet I2 passes through the heat exchanger 140 and then passes through the third space S3 into the room. It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outlet (O2).

이로 인해, 상기 제1공간(S1)에서 열교환기(140)를 거쳐 상기 제3공간(S3)으로 이동하는 실내공기는 상기 제2공간(S2)에서 열교환기(140)를 거쳐 제4공간(S4)으로 이동하는 실외공기와 열교환기(140)의 내부에서 서로 교차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실외공기 및 실내공기는 상기 열교환기(14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열교환이 일어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indoor air moving from the first space S1 to the third space S3 through the heat exchanger 140 passes through the heat exchanger 140 in the second space S2 to the fourth space ( The outdoor air moving to S4) and the inside of the heat exchanger 140 may cross each other, and the outdoor air and the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may exchange heat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140 . .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200)를 통해 외부로부터 실내 측으로 실외공기가 유입되더라도 외부로부터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공기는 열교환기(14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실내로부터 외부로 유출되는 실내공기와 열교환이 일어난 후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Accordingly, even when outdoor air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o the indoor side through the ventilation air purifier 100 and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door air flowing into the room from the outside flows through the heat exchanger 140 from the inside. After heat exchange with the indoor air flowing out to the outside, it may be introduced into the room.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200)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공기는 실내에 존재하는 실내공기와의 온도편차가 줄어들 수 있다.Through this,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outdoor air flowing into the room from the outside and the indoor air existing in the room can be reduced using the ventilation type air purifier 100 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로 인해, 실내공기를 환기하더라도 실내공기와 온도편차가 작은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실내에서 에어컨이나 보일러와 같은 냉난방기기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환기가 이루어지더라도 냉난방기기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even if the indoor air is ventilated, outdoor air with a small temperature deviation from the indoor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room, so even if ventilation is performed indoors while the air conditioning or heating equipment such as a boiler is operating, the efficiency of the heating and cooling equipment is reduced. deterioration can be prevented.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200)를 이용하면 환기를 통해 신선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면서도 에어컨이나 보일러와 같은 냉난방기기의 효율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ventilation air purifier 100 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ecrease in efficiency of air conditioning equipment such as air conditioners or boilers while supplying fresh outdoor air to the room through ventilation.

여기서, 상기 열교환기(140)는 외부로부터 내부로 유입되는 두 개의 유체가 서로 섞이지 않고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일어날 수 있다면 그 구조에 있어서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의 다양한 구조의 열교환기가 모두 채용될 수 있다.Here, the heat exchanger 140 is not limited in its structure as long as heat exchange can occur while two fluids flowing in from the outside pass through without mixing with each other, and all known heat exchangers of various structures may be employed.

일례로, 상기 열교환기(14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지지판(141)과,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두 개의 지지판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열교환판(142)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heat exchanger 140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141 formed in a plate shape as shown in FIG. 20, and a plurality of heat exchange plate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disposed between the two support plates ( 142) may be included.

이와 같은 경우, 각각의 열교환판(142)은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산부 및 복수 개의 골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산부 및 골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높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두 개의 열교환판(142a,142b)은 산부와 골부의 길이방향이 서로 교차도록 배열될 수 있다.In this case, each heat exchange plate 142 may include a plurality of peaks and a plurality of valleys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peaks and valleys may be repeatedly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 the height direction. The two heat exchange plates 142a and 142b sequentially arranged along .

이에 따라, 상기 제1공간(S1) 및 제3공간(S3)은 상기 두 개의 열교환판(142a,142b) 중 어느 하나의 열교환판(142a)에 형성된 산부 및 골부를 통해 서로 연통될 수 있고, 상기 제2공간(S2) 및 제4공간(S4)은 상기 두 개의 열교환판(142a,142b) 중 다른 하나의 열교환판(142b)에 형성된 산부 및 골부를 통해 서로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공간(S1)에서 열교환기(140)를 거쳐 상기 제3공간(S3)으로 이동하는 실내공기는 상기 제2공간(S2)에서 열교환기(140)를 거쳐 제4공간(S4)으로 이동하는 실외공기와 열교환기(140)의 내부에서 서로 섞이지 않고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space S1 and the third space S3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peaks and valleys formed in any one of the heat exchange plates 142a and 142b. The second space S2 and the fourth space S4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peak and a valley formed in the other heat exchange plate 142b of the two heat exchange plates 142a and 142b, and the first The indoor air moving from the space S1 to the third space S3 through the heat exchanger 140 moves from the second space S2 to the fourth space S4 through the heat exchanger 140. Air and the inside of the heat exchanger 140 do not mix with each other and may move in a cross direction.

한편, 상기 열교환기(140)는 상기 복수 개의 격벽(117)을 통해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중간케이스(12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the heat exchanger 140 may be supported through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17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intermediate case 123 .

즉, 상기 복수 개의 격벽(123b)은 각각의 일단부가 상기 열교환기(140)의 모서리를 지지할 수 있다.That is, 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23b may support an edge of the heat exchanger 140 .

이를 위해, 상기 복수 개의 격벽(123b)은 각각의 일단부에 상기 열교환기(140)의 모서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인입형성되는 지지홈(123c)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each of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23b may include a support groove 123c that is drawn inwardly to support the edge of the heat exchanger 140 at one end thereof.

일례로, 상기 지지홈(123c)은 도 5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기(140)의 모서리를 각각 감쌀 수 있도록 'v'자 형상의 단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5 , the support groove 123c may be formed to include a 'v'-shaped cross section so as to surround the corners of the heat exchanger 140 , respectively.

이에 따라, 상기 열교환기(140)의 모서리를 상기 복수 개의 지지홈(123c) 측에 단순히 삽입하면, 상기 열교환기(140)는 상기 복수 개의 지지홈(123c)을 통해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S)은 상기 복수 개의 격벽(123b) 및 열교환기(140)를 통해 제1 내지 제4공간(S1, S2, S3, S4)으로 구획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edge of the heat exchanger 140 is simply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support grooves 123c, the heat exchanger 140 can be supported through the plurality of support grooves 123c, and the inside The space S may be divided into first to fourth spaces S1 , S2 , S3 , and S4 through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23b and the heat exchanger 140 .

이와 같은 경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내부케이스(121) 측에는 상기 열교환기(140)의 일면과 대응되는 영역에 소정의 면적으로 관통형성되는 관통부(121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관통부(121a)는 도 3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내부케이스(12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판(164)을 통해 밀폐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5 and 6 , the first inner case 121 side includes a through portion 121a that is formed through a predetermined area in an area corresponding to on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140 . As shown in FIGS. 3 and 13 , the through portion 121a may be sealed through a cover plate 164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inner case 121 .

상기 필터부재(150)는 실외로부터 실외공기 유입구(I1)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S)으로 유입된 실외공기를 여과할 수 있다.The filter member 150 may filter the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S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I1 from the outside.

이와 같은 필터부재(150)는 상기 내부공간(S)으로 유입된 실외공기가 여과된 후 상기 열교환기(140) 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후면케이스(112,212) 및 본체(120)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ilter member 150 is disposed between the rear cases 112 and 212 and the main body 120 so that the outdoor air flowing into the inner space S is filtered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heat exchanger 140 side. can be

즉, 상기 필터부재(150)는 상기 제1내부케이스(121)의 외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I1)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That is, the filter member 15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first inner case 121 to cover the outdoor air inlet I1 .

이에 따라, 상기 제1송풍기(131)의 작동을 통해 실외로부터 실내로 공급되는 실외공기는 상기 필터부재(15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황사나 미세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제거된 후 상기 본체(120)를 거쳐 실외공기 배출구(O1)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이동함으로써 실내공기의 질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outdoor air supplied from the outdoors to the indoor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first blower 131 is removed from foreign substances such as yellow dust or fine dust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filter member 150, and then the main body 120. The quality of indoor air can be improved by moving to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outdoor air outlet (O1).

일례로, 상기 필터부재(150)는 공지의 헤파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필터부재(150)의 종류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면 공지의 다양한 종류의 필터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예컨데, PM 2.5미만의 미세먼지를 필터링할 수 있는 전기방사된 나노섬유를 적어도 한 층이상 포함하는 필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filter member 150 may be a well-known HEPA filter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However, the type of the filter member 150 is not limited thereto, and all known various types of filters may be used as long a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can be removed. For example, a filter including at least one layer of electrospun nanofibers capable of filtering fine dust less than PM 2.5 may be used.

이와 같은 필터부재(150)의 세부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Details of the filter member 150 will be described later.

이때, 상기 필터부재(150)는 상기 본체(1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커버(161)를 매개로 상기 본체(12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lter member 150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120 via a filter cover 161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120 .

일례로, 상기 필터커버(161)는 상기 제1내부케이스(121)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lter cover 161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inner case 121 .

즉,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커버(161)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통과공이 형성된 판상의 부재일 수 있으며, 상기 필터부재(150)를 덮도록 상기 제1내부케이스(121)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19 , the filter cover 161 may be a plate-shaped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o allow air to pass therethrough, and the first inner case 121 to cover the filter member 150 . )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이에 따라, 상기 필터부재(150)는 상기 필터커버(161)를 통해 상기 본체(1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부재(15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상기 본체(120)로부터 후면케이스(112,212)를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필터커버(161)를 상기 본체(120)로부터 분리한 후 간편하게 필터부재(150)를 교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lter member 15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20 through the filter cover 161, and when replacement of the filter member 150 is required, the filter member 150 is separat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20. After the filter cover 161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20 in a state in which the cases 112 and 212 are removed, the filter member 150 can be easily replaced.

한편, 상기 후면케이스(112,2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상기 본체(120) 측으로 실외공기가 이동하거나 실내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실내공기가 이동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rear cases 112 and 212 may serve as passages through which outdoor air moves from the outside toward the main body 120 or through which indoor air moves from the indoor space to the outside.

즉, 상기 후면케이스(112,212)는 외부에서 상기 본체(120)에 형성된 실외공기 유입구(I1) 측으로 실외공기가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거나 상기 본체(120)에 형성된 실내공기 배출구(O2)로부터 배출된 실내공기가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That is, the rear cases 112 and 212 allow outdoor air to move from the outside toward the outdoor air inlet I1 formed in the main body 120 or indoor air discharged from the indoor air outlet O2 formed in the main body 120 . It can allow air to move to the outside.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200)는 상기 후면케이스(112,212)의 형태에 따라 창문 측에 설치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실내공간을 규정하는 벽체에 설치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ventilation air purifiers 100 and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stalled on the window sid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rear case 112 and 212, or installed on a wall defining an indoor space. may be implemented as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200)는 상기 본체(120)에 결합되는 후면케이스(112,212)의 형태에 따라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 측에 설치되는 창문형 방식의 환기형 공기청정기(100)로 구현될 수도 있고, 도 11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에 설치되는 타공형 방식의 환기형 공기청정기(200)로 구현될 수도 있다.That is, the ventilation air purifiers 100 and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on the window side as shown in FIGS. 1 to 10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rear cases 112 and 212 coupled to the main body 120 . It may be implemented as a window-type ventilation air purifier 100, or may be implemented as a perforated ventilation-type air cleaner 200 installed on a wall as shown in FIGS. 11 to 18 .

이와 같은 경우, 창문형 방식의 환기형 공기청정기(100)와 타공형 방식의 환기형 공기청정기(200)는 후면케이스(112,212)를 제외한 나머지 내용은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체(120)의 세부구성은 창문형 방식의 환기형 공기청정기(100) 뿐만아니라 타공형 방식의 환기형 공기청정기(2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indow-type ventilation air purifier 100 and the perforated-type ventilation air purifier 200 have the same contents as those described above except for the rear cases 112 and 212, so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nd FI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120 shown in FIGS. 5 to 8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ventilation air purifier 200 of the perforated type as well as the ventilation air purifier 100 of the window type.

일례로, 상기 후면케이스(112,212)는 상기 본체(12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실외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면적으로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ar cases 112 and 212 may b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120 ,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pening 113 penetrating through a predetermined area to allow outdoor air to pass therethrough.

즉, 도 2 내지 도 4,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케이스(112,212)는 상기 본체(120)의 제1내부케이스(121) 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커버(161)와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113)가 관통형성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2 to 4 , 9 and 10 , the rear cases 112 and 212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inner case 121 side of the main body 120 , and the filter At least one opening 113 may be formed through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ver 161 .

더불어, 상기 후면케이스(112,212)는 상기 본체(120)의 실외공기 배출구(O1)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과공(114)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r cases 112 and 212 may have at least one through hole 114 penetrat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utdoor air outlet O1 of the main body 120 .

이에 따라, 실외공기는 외부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113)를 통해 후면케이스(112,212)를 통과한 후 상기 필터커버(161)를 통해 상기 본체(120)의 일측에 고정된 필터부재(150)를 통과한 후 상기 본체(120)에 형성된 실외공기 유입구(I1)를 통해 상기 제2공간(S2)으로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outdoor air passes through the rear cases 112 and 212 through the at least one opening 113 from the outside and the filter member 15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120 through the filter cover 161. After passing through, it can move to the second space S2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I1 formed in the main body 120 .

또한,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I2)를 통해 실내에서 상기 제1공간(S1)으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실내공기 배출구(O2)를 통해 상기 본체(120)의 후면으로 배출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20)의 후면으로 배출된 실내공기는 상기 통과공(11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space S1 from the inside through the indoor air inlet I2 may be discharged to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20 through the indoor air outlet O2, and the main body ( The indoor air discharged to the rear side of the 12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114 .

다른 예로서, 상기 후면케이스(112,212)는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2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후면케이스(112,212)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중공형의 돌출부(21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215)가 실내공간을 규정하는 벽체를 통과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rear cases 112 and 212 may b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120 as shown in FIGS. 11 to 14 , and a hollow protrusion extending from one surface of the rear cases 112 and 212 ( 215), and the protrusion 215 may be installed to pass through a wall defining an indoor space.

여기서, 상기 돌출부(215)는 상기 후면케이스(112,21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후면케이스(112,212)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Here, the protrusion 215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ar cases 112 and 212 or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cases 112 and 212 .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돌출부(215)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격판(215c)을 매개로 내부가 제1구획공간(215a) 및 제2구획공간(215b)으로 구획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trusion 215 has a first partition space 215a and a second partition space ( 215b).

여기서, 상기 제1구획공간(215a)은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I1)와 연통될 수 있고 상기 제2구획공간(215b)은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O2)와 연통될 수 있다.Here, the first compartment 215a may communicate with the outdoor air inlet I1 and the second compartment 215b may communicate with the indoor air outlet O2.

즉, 상기 타공형 방식의 환기형 공기청정기(200)는 상기 본체(120)와 후면케이스(112,212)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면케이스(112,212)에 결합되는 벤트커버(216)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벤트커버(216)는 상기 제2구획공간(215b)과 실내공기 배출구(O2)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That is, the ventilation type air purifier 200 of the perforated type may further include a vent cover 216 coupled to the rear cases 112 and 212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main body 120 and the rear cases 112 and 212. , the vent cover 216 may connect the second partition space 215b and the indoor air outlet O2 to each other.

구체적으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벤트커버(216)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의 지지판(216a)과 상기 지지판(216a)의 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융기부(216b) 및 상기 지지판(216a)의 단부에 연결되는 중공형의 결합구(216c)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구(216c)의 중공부는 상기 융기부(216b)를 통해 규정되는 공간과 서로 연통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5 and 16 , the vent cover 216 includes a plate-shaped support plate 216a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a raised portion 216b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16a and the It may include a hollow coupler 216c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upport plate 216a, and the hollow part of the coupler 216c may communicate with a space defined through the raised part 216b.

이와 같은 벤트커버(216)는 상기 지지판(216a)의 일부가 상기 돌출부(215)의 제2구획공간(215b)과 대응되는 면적을 덮도록 상기 돌출부(215) 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구(216c)는 상기 본체(120)의 실내공기 배출구(O2)와 연결될 수 있다.Such a vent cover 216 may be coupled to the protrusion 215 side so that a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216a covers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artition space 215b of the protrusion 215, and the coupling The sphere 216c may be connected to the indoor air outlet O2 of the main body 120 .

이에 따라, 상기 제1구획공간(215a)을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본체(120)의 외부공기 유입구(I1) 측으로 이동하는 실외공기와 상기 본체(120)의 실내공기 배출구(O2)로부터 상기 벤트커버(216)를 통해 상기 제2구획공간(215b)으로 이동하는 실내공기는 서로 섞이지 않고 정해진 경로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vent cover ( 216), the indoor air moving to the second compartment 215b may move smoothly along a predetermined path without mixing with each other.

이에 따라, 실외공기는 외부로부터 상기 제1구획공간(215a)을 통해 후면케이스(112,212)를 통과한 후 상기 필터커버(161)를 통해 고정된 상기 본체(120)의 일측에 고정된 필터부재(150)를 통과한 후 상기 본체(120)에 형성된 실외공기 유입구(I1)를 통해 상기 제2공간(S2)으로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outdoor air passes through the rear cases 112 and 212 through the first compartment 215a from the outside, and then the filter member fix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120 fixed through the filter cover 161 ( After passing through 150), it may move to the second space S2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I1 formed in the main body 120 .

또한,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I2)를 통해 실내에서 상기 제1공간(S1)으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실내공기 배출구(O2)를 통해 상기 본체(120)의 후면으로 배출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20)의 후면으로 배출된 실내공기는 상기 벤트커버(216)를 따라 상기 제2구획공간(215b)으로 이동한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space S1 from the inside through the indoor air inlet I2 may be discharged to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20 through the indoor air outlet O2, and the main body ( The indoor air discharged to the rear of the 12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fter moving to the second partition space 215b along the vent cover 216.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200)는 벽체에 고정되는 하나의 돌출부(215)를 통해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가 서로 섞이지 않고 정해진 경로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entilation air purifi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moothly moved along a predetermined path without mixing indoor air and outdoor air through one protrusion 215 fixed to the wall.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200)는 전반적인 구동을 위한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1송풍기(131) 및 제2송풍기(132)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회로기판에 MCU와 같은 칩셋이 실장된 형태일 수 있다.Meanwhile, the ventilation air purifiers 100 and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rol unit 170 for overall driving. That is,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driving of the first blower 131 and the second blower 132 , and a chipset such as an MCU may be mounted on a circuit board.

이와 같은 제어부(170)는 도 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20)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2내부케이스(122)의 일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Such a control unit 170 may be disposed to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20 as shown in FIGS. 2 and 13 .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70 may be disposed to be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inner case 122 .

그러나 상기 제어부(170)의 설치위치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설계조건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However,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ontrol unit 17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200)는 상기 실내공기가 이동하는 이동경로 또는 실외공기가 이동하는 이동경로 상에 별도의 히터(미도시)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실내공기 또는 실내공기를 가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히터는 상기 제1송풍기(131) 및 제2송풍기(132) 중 어느 하나는 가동이 중단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를 통해 작동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ventilation air purifiers 100 and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heater (not shown) is install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indoor air or the movement path of the outdoor air, so that the indoor air or Indoor air can also be heated. In this case, the heater may be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in a state in which any one of the first blower 131 and the second blower 132 is stopped.

이를 통해, 상기 실내공기가 이동하는 이동경로 또는 실외공기가 이동하는 이동경로 상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dew condensation from occurring on the movement path through which the indoor air moves or the movement path through which the outdoor air move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는 외부로부터 상기 본체(120)로 유입되는 외부공기 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자외선 발생수단(190)이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자외선 발생수단(190)은 공지의 UV램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ventilation air purifi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with an ultraviolet generating means 190 capable of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main body 120 from the outside. . For example, the ultraviolet generating means 190 may be a known UV lamp.

이와 같은 자외선 발생수단(19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기(140)의 내부로 유입되기 전 상태의 외부공기 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 the ultraviolet generating means 190 may irradiate ultraviolet rays toward the outside air in a state before being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heat exchanger 140 .

즉, 상기 자외선 발생수단(190)은 상기 제2공간(S2)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70)를 통해 구동될 수 있다.That is, the ultraviolet generating means 190 may be disposed to be located on the side of the second space S2 , and may be driven through the control unit 170 .

이를 통해, 외부로부터 실외공기 유입구(I1)를 통해 상기 제2공간(S2)으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상기 자외선 발생수단(190)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을 통해 살균된 후 상기 열교환기(14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second space S2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I1 is sterilized through the UV rays irradiated from the UV generating means 190 and then moves to the heat exchanger 140 side. can

이에 따라, 상기 열교환기(140)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에는 세균과 같은 미생물이 포함되지 않음으로써 열교환기(140) 내부에서의 세균번식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heat exchanger 140 does not contain microorganisms such as bacteria, thereby preventing bacterial propagation inside the heat exchanger 140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200)는 실내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실내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ventilation air purifiers 100 and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member (not shown) for filtering indoor air discharged from the room to the outside.

이와 같은 필터부재는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O2)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부재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공지의 프리필터일 수 있다.Such a filter member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door air outlet O2, and the filter member may be a known pre-filte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그러나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O2)에 배치되는 필터부재의 종류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필터부재(150)와 동일한 종류의 필터부재일 수 있으며, 헤파필터로 구비될 수도 있다.However, the type of the filter member disposed at the indoor air outlet O2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the same type of filter member as the aforementioned filter member 150 or may be provided as a HEPA filter.

더불어,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O2)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필터부재는 별도의 부재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상술한 필터부재(150)가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O2) 및 실외공기 유입구(I1)를 모두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갖도록 구비됨으로써 하나의 필터부재(150)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공급되는 외부공기와 실외로 배출되는 실내공기를 모두 여과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member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door air outlet O2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member, but the above-described filter member 150 is provided with the indoor air outlet O2 and the outdoor air inlet I1. By being provided to have an area that can cover all of the , both the external air supplied to the indoor space and the indoor air discharged to the outdoors through one filter member 150 may be filter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200)는 상기 제1송풍기(131) 및 제2송풍기(132)가 서로 다른 가동시간을 갖도록 구동될 수 있다.Meanwhile, the ventilation air cleaners 100 and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riven so that the first blower 131 and the second blower 132 have different operating times.

즉,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1송풍기(131) 및 제2송풍기(132) 중 상대적으로 고온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어느 하나의 가동시간이 상대적으로 저온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다른 하나의 가동시간보다 더 긴 시간으로 가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170 determines that the operating time of any one of the first blower 131 and the second blower 132 for flowing the relatively high temperature air is the operating time of the other of the first blower 131 and the second blower 132 for flowing the relatively low temperature air. It can be controlled to run for a longer time.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200)는 상기 열교환기(140)를 통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열교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열교환기(140)의 내부에 결로가 발생하더라도 상대적으로 고온인 공기가 일정시간 동안 열교환기(140)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Through this, in the ventilation air purifiers 100 and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dew condensation occurs inside the heat exchanger 140 during the heat exchange between indoor air and outdoor air through the heat exchanger 140 , Condensation can be prevented by allowing relatively high-temperature air to pass through the heat exchanger 140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이로 인해, 상기 열교환기(140)의 내부에서 곰팡이와 같은 세균이 번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prevent in advance the propagation of bacteria such as mold inside the heat exchanger 140 .

비제한적인 일례로써,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200)가 구동되면, 상기 제어부(170)는 제1단계(St1)로서 환기를 위해 상기 제1송풍기(131) 및 제2송풍기(132)를 모두 가동시킬 수 있다.As a non-limiting example, as shown in FIG. 26 , when the ventilation air purifiers 100 and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riven through a user's operation, the control unit 170 is configured as a first step (St1). For ventilation, both the first blower 131 and the second blower 132 may be operated.

이에 따라, 외부공기는 상기 제1송풍기(131)의 구동을 통해 외부로부터 흡입된 후 열교환기(140)를 거쳐 실내공간 측으로 배출될 수 있으며, 실내공기는 상기 제2송풍기(132)의 구동을 통해 실내공간으로부터 흡입된 후 열교환기(140)를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outside air may be sucked in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driving of the first blower 131 and then discharged to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heat exchanger 140 , and the indoor air is driven by the second blower 132 . After being sucked from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heat exchanger 140, it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그런 다음,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상기 제어부(170) 측으로 환기형 공기청정기(100,200)의 구동을 오프하거나 일시 정지시키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70)는 제2단계(St2)로서 실외공기의 온도(To)와 실내공기의 온도(Ti)를 비교할 수 있다.Then, when a signal for turning off or temporarily stopping the driving of the ventilation air purifier 100 and 200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170 through the user's manipulation, 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outdoor air temperature as a second step (St2). (To) and the temperature (Ti) of the indoor air can be compared.

이를 통해, 상기 제어부(170)는 제3단계(St3)로서 상기 제1송풍기(131) 및 제2송풍기(132)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고 다른 하나는 오프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control unit 170 may selectively drive any one of the first blower 131 and the second blower 132 as the third step (St3) and change the other to an OFF state.

즉, 상기 제2단계(St2)를 통해 실외공기의 온도(To)의 온도가 실내공기의 온도(Ti)보다 상대적으로 높다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1송풍기(131)의 온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송풍기(132)를 오프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That is, if the temperature of the outdoor air temperature To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indoor air temperature Ti through the second step (St2), the control unit 170 determines the ON state of the first blower 131 . While maintaining, the second blower 132 may be changed to an off state.

반면, 상기 제2단계(St2)를 통해 실외공기의 온도(To)의 온도가 실내공기의 온도(Ti)보다 상대적으로 낮다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1송풍기(131)를 오프상태로 변경하면서 상기 제2송풍기(132)의 온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temperature of the outdoor air temperature To is relatively lower than the indoor air temperature Ti through the second step St2, the control unit 170 turns the first blower 131 into an off state. While changing, the on state of the second blower 132 may be maintained.

이를 통해, 상기 열교환기(140) 측에는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 중 상대적으로 고온인 공기가 일정시간 동안 추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열교환기(140)의 내부는 상대적으로 고온인 공기의 열을 이용하여 내부가 건조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열교환기(140)의 내부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relatively high temperature air among the indoor air and the outdoor air may be additionally introduced into the heat exchanger 140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or this reason, the inside of the heat exchanger 140 may be dried using the heat of relatively high temperature air, thereby preventing condensation from occurring inside the heat exchanger 140 .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70)는 제4단계(St4)로서, 상기 제1송풍기(131) 및 제2송풍기(132) 중 선택적으로 온상태인 송풍기의 가동을 중단할 수 있다. 즉, 제1송풍기(131)가 온상태이고 제2송풍기(132)가 오프상태인 경우 상기 제2송풍기(132)의 오프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송풍기(131)를 오프 상태로 변경할 수 있으며, 제1송풍기(131)가 오프상태이고 제2송풍기(132)가 온상태인 경우 상기 제1송풍기(131)의 오프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송풍기(132)를 오프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200)는 오프 상태 또는 일시정지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Then, as a fourth step (St4), the control unit 170 may stop the operation of the blower that is in an on state selectively among the first blower 131 and the second blower 132 . That is, when the first blower 131 is in the on state and the second blower 132 is in the off state, the first blower 131 can be changed to the off state while maintaining the off state of the second blower 132, , when the first blower 131 is in the off state and the second blower 132 is in the on state, the second blower 132 may be changed to the off state while maintaining the off state of the first blower 131 . Through this, the ventilation air purifiers 100 and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to an off state or a pause stat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200)에 적용되는 필터부재(150)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면, 공지의 다양한 필터부재가 모두 적용될 수 있지만, 교체주기를 늘리고 제거효율을 높이며 압력손실을 낮출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filter member 150 applied to the ventilation air cleaner 100 and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ve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all known various filter members can be applied, but replace It can be configured to increase the cycle, increase the removal efficiency, and lower the pressure loss.

또한, 상기 필터부재(150)는 항바이러스 기능이 부가됨으로써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공기로부터 코로나 19와 같은 항바이러스를 불능화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member 150 may disable or remove an antivirus such as Corona 19 from outdoor air flowing into the room by adding an antiviral function.

더하여, 상기 필터부재(150)는 항균 기능이 부가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n antibacterial function may be added to the filter member 150 .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청정기(100,200)를 가동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실내공기를 배출하면서 황사나 미세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이 여과된 상태의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됨으로써 환기를 통해 실내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줄이면서도 실내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의 배출이 가능하여 실내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ventilation air purifier 100 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as described above, outdoor air in a state in which pollutants such as yellow dust or fine dust has been filtered while the indoor air is discharged is introduced into the room. Ventilation can reduce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 the indoor air, while also allowing the discharge of pollutants present in the room, thereby maintaining a comfortable indoor air.

더불어, 상기 필터부재(150)를 통해 코로나 19와 같은 항바이러스가 불능화되거나 제거된 상태의 실외공기가 실내공간으로 유입됨으로써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 발생 및 질병전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outdoor air in a state in which an antivirus such as Corona 19 is disabled or removed through the filter member 150 is introduced into the indoor space, it is possible to prevent disease outbreaks and disease transmission due to viruses in advance.

한편, 실외공기를 필터링하는 상기 필터부재(150)는 세균, 곰팡이 및 바이러스 등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열교환기의 오염과 세균 및 바이러스가 실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lter member 150 for filtering the outdoor air is configured to suppress the growth of bacteria, mold, viruses, etc.,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heat exchanger and bacteria and viruses from entering the room.

이를 위해, 상기 필터부재(150)는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처리된 다공성의 제1부재(151), 다공성의 제2부재(152) 및 제3부재(153)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filter member 150 may include a porous first member 151, a porous second member 152 and a third member 153 electrostatically treated as shown in FIGS. 21 to 23 . can

상기 제1부재(151)는 정전 처리된 다공성 부재로써, 실외공기가 1차로 통과하는 여재로써 정전기력을 이용해서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분진 등을 여과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부재(151)는 공지된 부직포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멜트블로운 부직포일 수 있다. The first member 151 is a porous member that has been electrostatically treated, and as a filter medium through which outdoor air primarily passes, it can filter fine dust, dust, etc. contained in the air by using electrostatic force. For example, the first member 151 may be a known nonwoven fabric, preferably a melt blown nonwoven fabric.

여기서, 정전처리는 상기 제1부재(151)의 전체면적에 대해서 처리될 수 있으나, 상기 제1부재(151)의 전체면적 중 일부면적에 대해서만 처리될 수도 있으며, 통상적인 정전처리 필터의 제조시 사용되는 공지된 방법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Here, the electrostatic treatment may be performed on the entire area of the first member 151 , but may be processed only on a partial area of the total area of the first member 151 , and in manufacturing a typical electrostatic treatment filter A well-known method used can be employ|adopted suitably.

또한, 상기 제1부재(151)는 목적에 따라 섬유의 직경, 평량이 조절될 수 있으며, 향상된 여과성능, 내구성 등을 담보하기 위하여 상기 제1부재(151)는 직경이 1 ~ 10㎛인 섬유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부재(151)의 평량은 15 ~ 50g/㎡일 수 있고, 다른 일예로 평량은 20 ~35 g/㎡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부재(151)의 평균 공경은 20㎛이하일 수 있고, 다른 일예로 10㎛일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first member 151, the diameter and basis weight of the fibe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in order to guarantee improved filtration performance and durability, the first member 151 is a fiber having a diameter of 1 to 10 μm. may include, and the basis weight of the first member 151 may be 15 to 50 g/m 2 , and in another example, the basis weight may be 20 to 35 g/m 2 . In addition, the average pore diameter of the first member 151 may be 20 μm or less, and in another example, 10 μm.

만일, 상기 제1부재(151)의 평균공경이 만일 과도하게 작을 경우 통기도가 저하되고, 압력손실이 증가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1부재(151)의 평균 공경이 과도하게 클 경우 여과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If the average pore diameter of the first member 151 is excessively small, air permeability may decrease and pressure loss may increase. Conversely, when the average pore diameter of the first member 151 is excessively large, filtration efficiency may be reduced.

또한, 제1부재(151)를 형성하는 섬유 평균직경이 과도하게 작을 경우 통기도가 저하되고, 압력손실이 증가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1부재(151)의 섬유 평균직경이 과도하게 클 경우 여과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average diameter of the fibers forming the first member 151 is excessively small, air permeability may decrease and pressure loss may increase. Conversely, when the average fiber diameter of the first member 151 is excessively large, filtration efficiency may be reduced.

더하여, 상기 제1부재(151)의 평량이 과도하게 낮으면 편차가 커짐에 따라 여과효율이 저하되거나, 균일한 여과효율을 발현하지 못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1부재(151)의 평량이 과도하게 크면 통기도가 저하되고, 압력손실이 증가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basis weight of the first member 151 is excessively low, the filtration efficiency may be lowered as the deviation increases, or a uniform filtration efficiency may not be expressed. Conversely, if the basis weight of the first member 151 is excessively large, air permeability may be reduced and pressure loss may increase.

한편, 상기 제1부재(151)를 형성하는 섬유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올레핀계 및 폴리아미드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합성고분자 성분이나 셀룰로오스계를 포함하는 천연 고분자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bers forming the first member 151 may include a synthetic polymer compon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ster, polyurethane, polyolefin and polyamide, or a natural polymer component including cellulose.

상기 제2부재(152)는 상기 제1부재(151)를 통과한 공기를 2차로 여과할 수 있다.The second member 152 may secondarily filter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member 151 .

이를 위해, 상기 제2부재(152)는 나노섬유가 축적된 나노섬유웹일 수 있으며, 상기 나노섬유웹은 나노섬유가 3차원 네트워크 구조로 축적된 것일 수 있다.To this end, the second member 152 may be a nanofiber web in which nanofibers are accumulated, and the nanofiber web may be in which nanofibers are accumulated in a three-dimensional network structure.

일례로, 상기 제2부재(152)는 나노섬유를 형성할 수 있는 공지된 섬유형성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섬유형성성분은 전기방사가 가능한 성분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member 152 may include a known fiber-forming component capable of forming nanofibers, and preferably, the fiber-forming component may be a component capable of electrospinning.

이와 같은 제2부재(152)의 공경은 PM2.5 이하의 미세먼지까지 물리적으로 여과시킬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부재(152)는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re diameter of the second member 152 may have a size capable of physically filtering fine dust of PM2.5 or less, and the second member 152 may be configured to prevent a decrease in the flow rate of passing air. Euros may be included.

상기 제2부재(152)는 상술한 제1부재(151)와 함께 구비됨에 따라서 정전처리된 제1부재(151)에 발생할 수 있는 제전에 따른 포집효율 감소의 문제를 보완하며 장시간 초도 설계된 여과효율을 유지시킬 수 있다.As the second member 152 is provided together with the above-described first member 151, it compensates for the problem of a reduction in collection efficiency due to static electricity that may occur in the electrostatically treated first member 151, and has a filtration efficiency designed for a long time. can be maintained.

즉, 정전처리된 제1부재(151)는 정전기력을 이용해 분진을 섬유 표면에 흡착하는데, 시간이 경과할수록 정전기력이 감소한다. 이에 따라, 정전처리된 제1부재(151) 만으로 필터부재(150)를 구성하면, 필터부재(150)의 여과효율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므로 교체주기가 매우 짧은 문제가 있다. That is, the electrostatically treated first member 151 uses electrostatic force to adsorb dust to the fiber surface, and as time passes, the electrostatic force decreases. Accordingly, when the filter member 150 is configured using only the electrostatically treated first member 151 ,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the filter member 150 decreases as time passes,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placement cycle is very short.

그러나 상기 필터부재(150)를 정전처리된 제1부재(151)와 제2부재(152)로 구성하면, 상기 제1부재(151)만으로 구성된 필터부재와 비교할 때 포집효율의 저하가 작으며, 수개월이 경과하더라도 포집효율은 초도 설계된 수치의 95% 이상을 유지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filter member 150 is composed of the first member 151 and the second member 152 subjected to electrostatic treatment, the reduction in collection efficiency is small compared to the filter member composed only of the first member 151, Even after several months, the collection efficiency can be maintained at more than 95% of the initially designed value.

한편, 상기 제2부재(152)는 나노섬유 내 항바이러스 성분을 더 포함함으로써 항바이러스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Meanwhile, the second member 152 may have an antiviral function by further including an antiviral component in the nanofiber.

일례로, 상기 제2부재(152)는 나노섬유웹 상에 항바이러스 코팅층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항바이러스 코팅층은 항바이러스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member 152 may be provided with an antiviral coating layer on the nanofiber web, and the antiviral coating layer may include an antiviral component.

여기서, 상기 항바이러스 성분은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은 접착단백질에 항바이러스 모티프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항바이러스 모티프는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거나 바이러스 자체를 소멸시키거나 숙주가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되는 기작에 관여하여 감염을 차단시키는데 기능하는 모티프일 수 있다. Here, the antiviral component may include an antiviral fusion protein, and the antiviral fusion protein may be formed by binding an antiviral motif to an adhesive protein. The antiviral motif may be a motif that functions to block infection by inhibiting the proliferation of the virus, annihilating the virus itself, or participating in the mechanism of the host being infected by the virus.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항바이러스 모티프는 바이러스의 보호막인 외막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파괴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항바이러스 모티프는 바이러스가 숙주세포를 감염시킬 때 숙주세포의 수용체에 결합되는 단백질(ex. 코로나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파괴하거나, 상기 단백질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불능화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24 and 25 , the antiviral motif may have a function of directly or indirectly destroying an outer membrane, which is a protective layer of a virus. In addition, when the virus infects a host cell, the antiviral motif directly or indirectly destroys a protein that binds to a receptor of a host cell (ex. the spike protein of coronavirus), or directly or indirectly disables the protein. can have

여기서, 직접 또는 간접적이라는 의미는 항바이러스 모티프가 해당 기능을 직접 수행하거나, 종국적으로 해당 기능이 수행되는데 있어서 시작 또는 중간 과정에 관여함을 의미할 수 있다. Here, the direct or indirect meaning may mean that the antiviral motif directly performs the corresponding function or is ultimately involved in the beginning or intermediate process in performing the corresponding function.

상기 항바이러스 모티프는 상술한 바이러스의 소멸, 불능화 등의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공지된 모티프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The antiviral motif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 known motif known to have antiviral effects such as extinction and inactivation of the aforementioned virus.

비제한적인 일례로써, 상기 항바이러스 모티프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7 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펩타이드, 상기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이 연결된 펩타이드, 또는 상기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을 기본서열로 포함하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As a non-limiting example, the antiviral motif is any one peptid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to SEQ ID NO: 7, a peptide to which one or more amino acid sequences selected from the group are linked, or one selected from the group It may be a peptide comprising more than one amino acid sequence as a basic sequence.

여기서, 서열번호 1 및 2에 따른 모티프는 사스코로나 바이러스에 유용할 수 있고, 서열번호 3 내지 7에 따른 모티프는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에 유용할 수 있으며, 서열번호 7에 따른 모티프는 HSV에도 유용할 수 있다. Here, the motifs according to SEQ ID NOs: 1 and 2 may be useful for SARS coronavirus, the motifs according to SEQ ID NOs: 3 to 7 may be useful for influenza A virus, and the motif according to SEQ ID NO: 7 may also be useful for HSV have.

또한, 상기 항바이러스 모티프는 일예로 아미노산 개수가 3 ~ 10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20개인 펩타이드 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antiviral motif may be, for example, a peptide having 3 to 100 amino acids, more preferably 3 to 20 amino acids.

또한, 상기 항바이러스 모티프가 타겟하는 바이러스는 공지된 바이러스의 경우 제한이 없으며,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JV, HSV, HIV, IPNV, VHSV, SHRV, HCMV, IAV, 일본뇌염 바이러스, 에볼라 바이러스, 리노바이러스, 아데노 바이러스, 홍역바이러스, B형 간염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A 등 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virus targeted by the antiviral motif is not limited in the case of a known virus, and non-limiting examples thereof include JV, HSV, HIV, IPNV, VHSV, SHRV, HCMV, IAV, Japanese encephalitis virus, Ebola virus, It may be rhinovirus, adenovirus, measles virus, hepatitis B virus, influenza A and the like.

상술한 항바이러스 모티프는 융합단백질을 형성하지 않고 그 자체로 나노섬유웹 내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항바이러스 모티프만을 나노섬유웹 내에 장시간 고정시키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항바이러스 모티프를 접합단백질과 결합된 융합단백질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섬유웹이나 섬유웹을 형성하는 섬유 표면에 구비시킬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antiviral motif may be provided in the nanofiber web by itself without forming a fusion protein, but it may be difficult to fix only the antiviral motif in the nanofiber web for a long tim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viral motif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fusion protein combined with a junction protein, and it can be provided on the fiber web or the surface of the fiber forming the fibrous web.

상기 접착단백질은 항바이러스 모티프와 섬유웹 또는 섬유웹을 형성하는 섬유 표면 간의 부착력을 제공하는 접착성분으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바이러스 모티프와 접착단백질 간의 결합은 공유결합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단백질의 카르복시 말단, 아미노 말단 또는 카르복시 말단과 아미노 말단 양단에 펩티드 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The adhesive protein may function as an adhesive component that provides adhesion between the antiviral motif and the fibrous web or the fiber surface forming the fibrous web. In addition, the binding between the antiviral motif and the adhesive protein may be a covalent bond, and more specifically, the carboxy terminus, amino terminus, or both carboxy terminus and amino terminus of the adhesive protein may be bound by a peptide bond.

한편, 항바이러스 모티프와 접착단백질은 공지된 방법을 통해 결합시킬 수 있고, 일예로 대장균을 이용한 재조합 단백질 생산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접착단백질과 항바이러스 모티프 간에 직접 공유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3의 물질을 스페이서로 추가해 접착단백질과 항바이러스 모티프 간에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ntiviral motif and the adhesion protein can be combined through a known method, for example, can be prepared through a recombinant protein production method using E. coli. Meanwhile, the adhesive protein and the antiviral motif may be directly covalently bond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directly coupled between the adhesive protein and the antiviral motif by adding a third material as a spacer.

또한, 상기 접착단백질은 공지된 접착기능을 갖는 단백질의 경우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일예로 홍합 유래의 접착단백질일 수 있으며, 홍합 유래의 접착단백질로 통칭되는 공지의 접착단백질의 경우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착단백질은 서열번호 8 내지 서열번호 2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백질 또는 상기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이 연결된 단백질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adhesive protein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in the case of a protein having a known adhesion function, but may be, for example, a mussel-derived adhesion protein, and a known adhesion protein commonly referred to as a mussel-derived adhesion protein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have. Preferably, the adhesive protein may be any one prote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8 to SEQ ID NO: 21, or a protein to which one or more amino acid sequences selected from the group are linked.

또한, 상기 접착단백질은 후술하는 코팅조성물에 더 함유될 수 있는 카보디이미드 커플링제 및 하이드록시 석신이미드계 반응제를 포함하는 응집 유도성분과 반응하여 형성된 알갱이들이 집합체를 이룬 형태의 코팅층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향상된 접착강도로 항바이러스 모티프를 섬유웹 또는 섬유웹을 형성하는 섬유 표면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온에서 장시간 항바이러스 모티프의 분해, 변성 등에 의한 불능화를 방지 또는 최소화 시켜서 항바이러스 성능을 장시간 지속시킬 수 있고, 저장 안정성, 마찰견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adhesive protein is a coating layer in the form of aggregates formed by reacting with an aggregation inducing component including a carbodiimide coupling agent and a hydroxy succinimide-based reactant, which may be further contained in the coating composition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is, the antiviral motif can be fixed on the fiber web or the fiber surface forming the fiber web with improved adhesive strength. In addition, by preventing or minimizing the disabling of the antiviral motif for a long time at room temperature, such as decomposition, denaturation, etc., the antiviral performance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and storage stability and friction fastness can be improved.

한편, 상기 접착단백질은 보다 향상된 섬유웹 또는 섬유웹을 형성하는 섬유 표면과의 부착특성을 발현하기 위하여 도파 잔기를 함유할 수 있다. 홍합 접착단백질은 접착특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자들이 연구한 결과 이들 접착단백질을 그대로 사용 시 접착(또는 점착) 특성이 없거나 미미한 수준을 보여서 항바이러스 모티프를 기재 표면 상에 고정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dhesive protein may contain a guiding moiety in order to express more improved fibrous web or adhesion properties with the fiber surface forming the fibrous web. Mussel adhesive proteins are known to have adhesive properties, but as a result of the study by the present inventors, when these adhesive proteins are used as they are, they show no or insignificant level of adhesive (or adhesion) properties, so it may be difficult to fix the antiviral motif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접착단백질 내 도파 잔기를 함유하도록 개질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향상된 접착성능을 발현할 수 있다. 상기 개질은 접착단백질 내 함유된 타이로신 잔기 일부 또는 전부를 도파 잔기로 개질시키는 것으로써 이러한 개질은 공지된 방법을 적절히 이용해 수행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개질은 효소를 이용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효소는 일예로 타이로시나아제일 수 있다. In order to improve this, it can be modified to contain a guide moiety in the adhesion protein, and in this case, improved adhesion performance can be expressed. The modification may be performed by appropriately using a known method by modifying some or all of the tyrosine residues contained in the adhesion protein with a guide residue. For example, the modification may be performed using an enzyme, and the enzyme may be, for example, tyrosinase.

타이로시나아제를 이용한 타이로신 잔기를 도파 잔기로 개질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접착단백질을 구비한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을 25~100mM의 아스코빅산이 포함된 20~100mM 소듐아세테이트, 20 ~ 100mM 소듐보레이트 완충용액에 0.01 ~ 10㎎/㎖의 농도가 되게 용해시킨 뒤 10 ~ 1시간동안 산소를 주입해주면서 용액 내 산소를 포화시킨 뒤, 타이로시나아제를 최종 10 ~ 50㎍/㎖ 농도가 되게 첨가하고 산소 조건에서 30분 ~ 2시간 동안 혼합 교반한 뒤 아세트산의 농도가 최종 2 ~ 10%가 되도록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하고, 종료된 반응액을 1 ~ 10%의 아세트산 용액으로 탈염 농축 후 동결건조를 거쳐 파우더 형태의 도파 개질된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을 수득할 수 있다. As for the method of modifying the tyrosine residue into the dopa residue using tyrosinase, the antiviral fusion protein having an adhesive protein was prepared with 25-100 mM ascorbic acid, 20-100 mM sodium acetate, 20-100 mM sodium borate. After dissolving in a buffer solution to a concentration of 0.01 ~ 10 mg/ml, oxygen is injected for 10 ~ 1 hour to saturate the oxygen in the solution, and then tyrosinase is added to a final concentration of 10 ~ 50 μg/ml. After mixing and stirring under oxygen conditions for 30 minutes to 2 hours, the reaction is terminated by adding acetic acid to a final concentration of 2 to 10%, desalting and concentration of the finished reaction solution with 1 to 10% acetic acid solution, followed by freeze-drying Through this process, a dopa-modified antiviral fusion protein in powder form can be obtained.

상술한 방법을 통해 제조된 도파 잔기를 함유하는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은 다른 접착성분 없이도 섬유웹 또는 섬유웹을 형성하는 섬유 표면 상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다른 접착성분을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서 다른 성분과 항바이러스 모티프간 의도하지 않은 화학적 반응, 물리적 블로킹에 따른 활성의 저하나 불능이 방지될 수 있다. The antiviral fusion protein containing the waveguide moiety prepar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be easily fixed on the fiber web or the fiber surface forming the fiber web without other adhesive components. Inadvertent chemical reaction between the ingredient and the antiviral motif, or deterioration or inability of activity due to physical blocking can be prevented.

또한, 상기 항바이러스 성분은 상술한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 이외에 항바이러스 기능을 갖는 이종의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종의 물질은 공지된 유기물 또는 무기물일 수 있다. 일예로 이종 물질은 바이러스가 접촉하는 표면에 프로톤 공여성 또는 프로톤 수용성을 갖는 치환기가 배치된 무기물일 수 있으며, 구체예로서는, 인산지르코늄, 인산하프늄, 인산티타늄 등의 티타늄족 원소의 인산 화합물, 인산알루미늄, 히드록시아파타이트(인산염 광물) 등의 무기 인산 화합물; 규산마그네슘, 실리카겔, 알루미노규산염, 세피올라이트(함수 규산마그네슘), 몬모릴로나이트(규산염 광물), 제올라이트(알루미노규산염) 등의 무기 규산 화합물; 알루미나, 티타니아, 함수 산화티타늄 등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이종물질은 은 등의 금속 또는 이의 이온을 포함하는 염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antiviral component may further include a heterogeneous substance having an antiviral func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antiviral fusion protein. The heterogeneous material may be a known organic material or inorganic material. For example, the heterogeneous material may be an inorganic material in which a substituent having proton donating or proton water solubility is disposed on a surface contacted by a virus, and specific examples include a phosphate compound of a titanium group element such as zirconium phosphate, hafnium phosphate, titanium phosphate, aluminum phosphate , inorganic phosphoric acid compounds such as hydroxyapatite (phosphate mineral); inorganic silicic acid compounds such as magnesium silicate, silica gel, aluminosilicate, sepiolite (hydrous magnesium silicate), montmorillonite (silicate mineral), and zeolite (aluminosilicate); It may be alumina, titania, hydrous titanium oxide, or the like. Alternatively, the heterogeneous material may be a salt containing a metal such as silver or an ion thereof.

상술한 항바이러스 성분은 섬유웹 또는 섬유웹을 형성하는 섬유 상에 항바이러스 코팅조성물이 처리되어 항바이러스 코팅층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섬유 상에 항바이러스 코팅조성물이 처리되어 항바이러스 코팅층을 구비한 섬유를 이용해 구현되는 섬유웹은 통상적인 부직포의 제조공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antiviral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with an antiviral coating layer by processing the antiviral coating composition on the fiber web or fibers forming the fibrous web. At this time, the fibrous web implemented using the fiber having the antiviral coating layer treated with the antiviral coating composition on the fiber may be implemented by a conventional nonwoven fabric manufacturing process.

상기 항바이러스 코팅조성물은 상술한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성분 이외에 항바이러스 성분을 용해시키는 용매나 안정화시키는 완충용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물 및/또는 유기용매일 수 있으며, pH8내지 8.5의 20 ~ 100mM Tris 혹은 탄산수소나트륨 완충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The antiviral coating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solvent or stabilizing buffer solution for dissolving the antiviral component in addition to the antiviral component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antiviral fusion protein. The solvent may be water and/or an organic solvent, and 20 to 100 mM Tris or sodium hydrogen carbonate buffer solution having a pH of 8 to 8.5 may be used.

또한, 상술한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은 코팅 조성물에 0.001 ~ 1㎎/㎖, 다른 일예로 0.001 ~ 0.1㎎/㎖의 농도로 함유될 수 있으며, 만일 고농도로 함유될 경우 항바이러스 특성은 향상될 수 있으나, 코팅조성물이 적용되는 섬유웹의 기공을 폐색시킬 수 있어서 만일 섬유웹의 기공을 유지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지 못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antiviral fusion protein may be contained in the coating composition at a concentration of 0.001 to 1 mg/ml, as another example, 0.001 to 0.1 mg/ml, and if contained at a high concentration, antiviral properties may be improved, but , it may block the pores of the fibrous web to which the coating composition is applied, which may be undesirable if the pores of the fibrous web are to be maintained.

한편, 전술된 도파 잔기를 함유한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코팅조성물은 구현된 항바이러스 코팅층의 부착력을 개선시킬 수 있지만, 개질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 시간 및 노력이 소요됨에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바이러스 코팅조성물은 접착단백질의 개질 없이 카보디이미드 커플링제 및 하이드록시 석신이미드계 반응제를 포함하는 응집 유도성분을 코팅조성물에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ntiviral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the antiviral fusion protein containing the above-described guidepa moiety can improve the adhesion of the implemented antiviral coating layer, but additional cost, time and effort are required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The antiviral coating compos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aggregation-inducing component including a carbodiimide coupling agent and a hydroxy succinimide-based reactive agent in the coating composition without modifying the adhesive protein.

상기 응집 유도성분은 항바이러스 융합 단백질을 기재 표면에 도입시키는 물질로서, 항바이러스 융합 단백질을 단독으로 통상의 방법을 이용해 섬유웹 또는 섬유웹을 구성하는 섬유 표면에 처리한 경우에 대비해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의 코팅층과 상기 표면 간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aggregation-inducing component is a material for introducing the antiviral fusion protein to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in case the antiviral fusion protein is treated alone or on the surface of the fiber constituting the fibrous web using a conventional method, the antiviral fusion protei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coating layer and the surface of the.

구체적으로 응집 유도성분은 항바이러스 융합 단백질을 알갱이 형상으로 응집시키는데, 이러한 알갱이들이 기재 표면에 흡착되어 집합체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항바이러스 코팅층을 구현할 수 있다. 응집 유도성분을 이용한 코팅조성물은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의 부착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외부의 온도나 습도 등의 변화에도 안정적으로 형상과 활성을 유지할 수 있어서 저장 안정성, 마찰견뢰도가 우수하며, 항바이러스 효과를 장시간 지속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aggregation-inducing component aggregates the antiviral fusion protein into granules, and the antiviral coating layer can be implemented in such a way that these granules are adsorbed to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to form an aggregate. The coating composition using the aggregation-inducing component can enhance the adhesion of the antiviral fusion protein, and it can stably maintain its shape and activity even under changes in external temperature or humidity, so it has excellent storage stability and friction fastness, and antiviral The effect can last for a long time.

한편, 응집 유도성분을 함유한 항바이러스 코팅조성물을 통해서 구현된 항바이러스 코팅층은 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은 상술한 카보디이미드 커플링제가 접착단백질에 함유된 히드록시기, 술폰기 등에 결합됨을 통해 항바이러스 코팅층 내 잔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ntiviral coating layer implemented through the antiviral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the aggregation inducing component may include a carbodiimide-based compound. It may remain in the antiviral coating layer through bonding to a hydroxyl group, a sulfone group, or the like.

한편, 응집 유도성분으로 인한 항바이러스 융합 단백질이 응집된 알갱이 형태는 융합 단백질 간 어떤 특정의 화학결합, 예를 들어 종래 알려진 카보디이미드 커플링제에 의한 카르복시기와 아민기 간 아미노 결합에 의한 것으로 보기 어려운데, 이는 접착단백질, 일예로 홍합 유래 접착단백질 내 포함된 다수의 히드록시기, 술폰기 등 역시 카보디이미드 커플링제와 반응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수의 반응사이트를 가지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이 형성한 알갱이 형태는 어떤 특정 반응 및 이에 따른 화학결합에 의한 것으로 보기는 어렵고, 응집성분과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 간 조합에 따라서 발생하는 특유의 결과로 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granular form in which the antiviral fusion protein is aggregated due to the aggregation inducing component is difficult to see as due to a specific chemical bond between the fusion proteins, for example, an amino bond between a carboxyl group and an amine group by a conventionally known carbodiimide coupling agent. , This is because the adhesive protein, for example, a plurality of hydroxyl groups and sulfone groups included in the mussel-derived adhesive protein, can also react with the carbodiimide coupling agent. Therefore, the granular form formed by the antiviral fusion prote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plurality of reaction sites is difficult to be regarded as due to a specific reaction and a chemical bond resulting therefrom. can be seen as a result of

상기 카보디이미드 커플링제는 항바이러스 융합 단백질들이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커플링제의 경우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예로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보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EDC) 또는 N,N'-디시클로헥실카보이미드(DCC)일 수 있다. The carbodiimide coupling agent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in the case of a coupling agent that allows the antiviral fusion proteins to bind to each other, for example, 1-[3-(dimethylamino)propyl]-3-ethylcarboimide hydrochloride (EDC) or N,N'-dicyclohexylcarboimide (DCC).

또한, 상기 반응제는 카보디이미드와 커플링된 상태의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이 수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항바이러스 융합 단백질들이 서로 응집되는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일예로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NHS) 및 N-하이드록시설포석신이미드(Sulfo-NHS) 중 1종, 또는 이들이 혼합된 것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active agent is provided to prevent the antiviral fusion protein in a coupled state with carbodiimide from being hydrated,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antiviral fusion proteins aggregating with each other. For example, N-hydroxysuccin is It may be one of imide (NHS) and N-hydroxysulfosuccinimide (Sulfo-NHS), or a mixture thereof.

상기 응집 유도성분은 상기 카보디이미드 커플링제와 반응제를 1 :0.5 ~ 20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이들이 적절한 비율로 포함되지 못할 경우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어렵고, 구현된 항바이러스 코팅층의 내구성, 항바이러스 모티프의 활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The aggregation inducing component may include the carbodiimide coupling agent and the reactant in a weight ratio of 1:0.5 to 20. If they are not included in an appropriate ratio,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desire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 is a fear that the durability of the implemented antiviral coating layer and the activity of the antiviral motif may be reduced.

또한, 상기 응집 유도성분은 반응성 향상을 위하여 활성성분으로서 아세트산나트륨, 인산완충용액 혹은 MES 완충용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활성성분은 카보디이미드 커플링제 100 중량부에 대해서 1 ~ 10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ggregation-inducing component may further include sodium acetate, phosphate buffer or MES buffer as an active ingredient to improve reactivity. In this case,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 to 1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arbodiimide coupling agent.

또한, 상기 코팅조성물에 상술한 응집성분은 용매에 용해된 액상으로 부가될 수 있는데, 이때 용매로 물 또는 유기용매를 용매로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물 및/또는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고, 코팅조성물 내 용매의 휘발속도를 증가시키는 측면에서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코팅조성물의 처리 후 용매의 기화가 늦을 경우 코팅 조성물이 섬유웹 또는 섬유웹을 형성하는 섬유 표면에서 흘러 원하는 함량, 두께로 항바이러스 코팅층을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aggregation component to the coating composition may be added in a liquid phase dissolved in a solvent, in which case water or an organic solvent may be used as a solvent, preferably water and/or ethanol may be used, and coating In terms of increasing the volatilization rate of the solvent in the composition, ethanol may be used as a solvent. When vaporization of the solvent is slow after treatment of the coating composition, it may be difficult to form an antiviral coating layer with a desired content and thickness, as the coating composition flows from the fiber web or the fiber surface forming the fiber web.

한편, 코팅조성물에 응집 유도성분을 더 포함하는 경우 코팅조성물이 섬유웹 또는 섬유웹을 형성하는 섬유의 표면에 처리되기 전까지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과 응집성분 간의 반응이 유발될 수 있으며, 만일 반응이 목적한 수준을 초과해 과도하게 진행된 후 섬유웹 또는 섬유웹을 형성하는 섬유 표면에 처리될 경우 항바이러스 코팅층의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코팅조성물에는 항바이러스 융합단백질과 응집 유도성분 간의 반응을 지연시킬 수 있는 지연성분을 더 포함하거나, 반응을 지연시킬 수 있는 조건, 일예로 저온 조건에서 코팅조성물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ating composition further contains an aggregation inducing component, a reaction between the antiviral fusion protein and the aggregation component may be induced until the coating composition is treated on the fiber web or the surface of the fiber forming the fiber web, and if the reaction is the target If the fiber web or the fiber surface forming the fiber web is treated after being excessively advanced beyond one level, it may be difficult to form an antiviral coating layer.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coating composition further include a delay component capable of delaying the reaction between the antiviral fusion protein and the aggregation inducing component, or the coating composition is stored under conditions capable of delaying the reaction, for example, a low temperature condition.

또는 저장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코팅조성물은 상기 항바이러스 코팅조성물은 항바이러스 성분을 포함하는 제1액과 상기 응집성분을 포함하는 제2액을 포함하는 2액형 코팅조성물로 구성시킬 수 있다. 이때 제1액은 용매로 물을 포함할 수 있고, 제2액은 에탄올을 포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in order to further improve storage stability, the antiviral coating composition may be composed of a two-component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a first liquid containing an antiviral component and a second liquid containing the aggregation component. In this case, the first liquid may include water as a solvent, and the second liquid may include ethanol.

또한, 상기 항바이러스 코팅조성물은 과요오드산나트륨, 과산화수소 등의 산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보다 용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ntiviral coating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n oxidizing agent such as sodium periodate and hydrogen peroxide, and through this, it may be easi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예로써, 상기 제2부재(152)는 나노섬유 내 항바이러스 성분을 더 함유해 항바이러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항바이러스 성분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계면활성제에 포함된 작용기 등이 바이러스와 결합하여 항바이러스 성능을 발현하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second member 152 may further contain an antiviral component in the nanofiber to perform an antiviral function. In this case, the antiviral component may include a surfactant, and specifically, a surfactant in which a functional group included in the surfactant binds to a virus to express antiviral performance may be used.

구체적인 일례로써, 폴리옥시 알킬렌 알코올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 옥시 알킬렌 알코올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폴리옥시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시 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 에틸렌 폴리옥시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시 에틸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폴리옥시 프로필렌 알킬 에테르, 아세틸렌 글리콜 또는 아세틸렌 알코올등을 들 수 있다. 또한, C8 내지 C22 알킬 설포네이트 및/또는 알파 설포네이트화된 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에스테르, 구체적으로는 선형 알킬 벤젠 설폰산과 같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도 사용될 수 있고, 이외에 항바이러스 성능을 갖는 양이온성, 양쪽성 계면활성제도 이용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a polyoxyalkylene alcohol type nonionic surfactant may be used. Specific examples of the polyoxyalkylene alcohol type nonionic surfactant include polyoxypropylene glycol, polyoxyethylene glycol, polyoxyethylene polyoxypropylene glycol, polyoxyethylene alkyl ether, polyoxyethylene polyoxypropylene alkyl ether, acetylene glycol or acetylene alcohol. In addition, anionic surfactants such as C8 to C22 alkyl sulfonates and/or alpha sulfonated carboxylic acids or esters thereof, specifically linear alkyl benzene sulfonic acids, can also be used, in addition to cationic, Amphoteric surfactants may also be used.

상기 제3부재(153)는 필터부재의 지지기능을 수행하는 다공성부재일 수 있다. The third member 153 may be a porous member performing a supporting function of the filter member.

이와 같은 제3부재(153)는 상기 제1부재(151)와 제2부재(15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부재(152)의 일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The third member 15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member 151 and the second member 152 ,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member 152 .

이때, 상기 제3부재(153)는 통상적으로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다공성부재라면 특별한 제한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third member 153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porous member that normally functions as a support.

일례로, 상기 제3부재(153)는 직물, 편물 또는 부직포일 수 있으며, 비제한적인 일례로써, 상기 제3부재(153)는 서멀본딩 부직포일 수 있다.As an example, the third member 153 may be a woven fabric, a knitted fabric, or a non-woven fabric, and as a non-limiting example, the third member 153 may be a thermal bonding non-woven fabric.

그러나 상기 제3부재(153)의 재질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및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합성섬유를 포함할 수도 있다.However, the material of the third member 153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synthetic fib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ster, polypropylene, nylon and polyethylene.

한편, 상기 필터부재(150)는 항균기능을 더 가질 수도 있다. 이를 위채, 상기 필터부재(150)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부재(151) 및 제3부재(153) 사이에 배치되는 제4부재(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lter member 150 may further have an antibacterial function. With this in mind, the filter member 150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member 154 disposed between the first member 151 and the third member 153 as shown in FIG. 23 .

여기서, 상기 제4부재(154)는 항균특성을 갖는 공지된 성분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항균 특성을 발현하는 은을 함유하는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fourth member 154 may be formed including a known component having antibacterial properties, but preferably may be formed of a fiber containing silver that exhibits antibacterial properties.

은을 함유하는 섬유는 은 단독으로 이루어진 은 선이거나, 은 이외에 구리 등의 다른 금속이 함유된 금속선, 또는 은 선 및/또는 은을 함유한 금속선과 비금속인 통상적인 섬유가 합사된 합연사일 수 있다.The silver-containing fiber may be a silver wire made of silver alone, a metal wire containing other metals such as copper other than silver, or a ply-twisted yarn in which a silver wire and/or a metal wire containing silver and a conventional non-metal fiber are braided. have.

구리 등의 다른 금속이 함께 함유된 금속선에 대해서 설명하면, 은 이외의 다른 금속이 은과 비고용 상태, 즉 은과 비합금 상태로 혼합되어 선형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은 이외의 다른 금속이 은과 비고용 상태로 혼합된 경우에, 은과 다른 금속은 한 가닥 선형의 영역 내 은과 다른 금속이 소정의 영역을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각각 차지하도록 배치된 것일 수 있으며, 일 예로 구리 선의 외부에 은이 둘러싸서 층을 형성한 이중 구조일 수 있다. When describing a metal wire containing other metals, such as copper, it may be linearly formed by mixing a metal other than silver in a non-solid state with silver, that is, in a non-solid state, ie, silver and non-alloy state. When a metal other than silver is mixed with silver in a non-solid state, the silver and the other metal may be arranged such that silver and other metal occupy a predetermined area regularly or irregularly in a single linear region, For example, it may have a double structure in which a layer is formed by enclosing silver on the outside of the copper wire.

이때, 구리 선은 은 선에 우수한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둘러싼 은의 평균두께는 3 ~ 320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평균 두께가 5 ~ 3000㎚일 수 있다. 만일 상기 둘러싼 은의 평균 두께가 3㎚ 미만이면 중심 금속인 구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조되기 쉬어서 항균기능이 저하될 수 있고, 은 선에서 은이 탈리되어 항균기능이 더욱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둘러싼 은의 평균 두께가 3200㎚를 초과하면 은 선의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pper wire may impart excellent flexibility to the silver wire, and the surrounding silver may have an average thickness of 3 to 3200 nm, and preferably, an average thickness of 5 to 3000 nm. I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surrounding silver is less than 3 nm, it is easy to manufacture so that copper, which is the central metal,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antibacterial function may be reduced, and the silver may be detached from the silver wire, thereby further reducing the antibacterial function. In addition, when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surrounding silver exceeds 3200 nm, the flexibility of the silver wire may decrease.

다음으로, 은 선이 비금속인 통상적인 섬유와 합사된 합연사를 설명하면, 은 선과 통상적인 섬유는 2 종의 섬유를 합사하는 공지된 섬유분야의 제조방법, 공지된 2종 섬유의 배치구조를 적절히 채용하여 구현된 합연사일 수 있다. Next, a description of the ply-twisted yarn in which a silver wire is braided with a non-metallic conventional fiber is described. A silver wire and a conventional fiber are a known manufacturing method in the field of textiles in which two types of fibers are plied, and a known arrangement structure of two types of fibers. It may be a ply-twist yarn implemented by appropriately employing it.

이때, 사용된 은 선은 은으로만 이루어진 선이거나, 은과 다른 금속이 함유된 금속 선일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합연사는 심사, 상기 심사를 둘러싸는 은 선을 포함하는 제1커버링사, 및 상기 심사를 둘러싼 제1커버링사 외부를 둘러싸는 제2커버링사를 포함하는 3중 구조 단면을 갖는 실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silver wire used may be a wire made of only silver or a metal wire containing silver and other metals. For example, the ply-twisted yarn is a yarn having a triple structural cross section including a core yarn, a first covering yarn including a silver line surrounding the core, and a second covering yarn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first covering yarn surrounding the core yarn can

상기 심사 및 제2커버링사는 합연사의 유연성과 신축성을 향상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는 섬유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천연섬유 및 합성섬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The core and second covering yarns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they are fibers that can be used to improve the flexibility and elasticity of the ply-twisted yarn, and preferably,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natural fibers and synthetic fibers may be used, and more preferably, poly Ester-based fibers may be used.

또한, 상기 심사 및 제2커버링사는 모노사 또는 다수 개의 필라멘트사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다수 개의 필라멘트사로 형성된 섬유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re yarn and the second covering yarn may be formed of a mono yarn or a plurality of filament yarns, and preferably a fiber formed of a plurality of filament yarns.

또한, 상기 심사 및 제2커버링사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섬도의 섬유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각각 독립적으로 섬도가 20 ~ 100De'(데니어)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섬도가 30 ~ 75De'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creening and second covering yarns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they are fibers of fineness commonly used in the art, and preferably each independently may have a fineness of 20 to 100De' (denier), more preferably The fineness may be 30 ~ 75De'.

만일 상기 심사 및 제2커버링사의 섬도가 각각 독립적으로 20De' 미만이면 내구성과, 은 선의 단사에 따른 항균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섬도가 100De'를 초과하면 신축성이 저하될 수 있다.If the fineness of the core yarn and the second covering yarn is independently less than 20De', durability and antibacterial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ingle yarn of the silver wire may be deteriorated, and if the fineness exceeds 100De', elasticity may be reduced.

또한, 상기 제2커버링사는 꼬임수 350 ~ 1100 TPM으로 연사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50 ~ 1000 TPM으로 연사되어 합연사에 포함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제2커버링사의 꼬임수가 350 TPM 미만이면 내구성과 은 선의 단사에 따른 항균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꼬임수가 1100 TPM을 초과하면 제3부재의 신축성 및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표면에 노출되는 은 선의 면적이 저하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항균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vering yarn may be twisted at a twist number of 350 to 1100 TPM, preferably twisted at 450 to 1000 TPM, and may be included in the ply-twisted yarn. If the number of twists of the second covering yarn is less than 350 TPM, the durability and antibacterial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ingle yarn of the silver wire may be deteriorated. In addition, when the number of twists exceeds 1100 TPM, elasticity and flexibility of the third member may be reduced, and as the area of the silver wire exposed to the surface decreases, the antibacterial performance may be relatively reduced.

또한, 제4부재(154)는 전술한 은으로 이루어진 은 선, 은을 포함하는 금속선 및/또는 합연사를 포함하여 다공성의 구조를 갖도록 구현된 직물, 편물, 부직포 또는 메쉬 시트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직물, 편물, 부직포 또는 메쉬시트는 은 선을 함유하지 않는 천염섬유 및/또는 합성섬유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ourth member 154 may be a woven fabric, knitted fabric, nonwoven fabric, or mesh sheet implemented to have a porous structure including the aforementioned silver wire, silver-containing metal wire, and/or ply-twisted yarn. In this case, the woven fabric, knitted fabric, non-woven fabric or mesh sheet may further include natural fiber and/or synthetic fiber that does not contain a silver wire.

이와 같은 필터부재(150)는 여과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산부와 골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플리티드필터로 구현될 수 있다.Such a filter member 150 may be implemented as a pleated filter in which peaks and valleys are repeatedly formed so as to increase the filtration area.

한편, 상기 필터부재(150)가 플리티드필터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필터부재(150)는 산부 또는 골부의 높이(h)가 5 ~ 55㎜의 크기를 갖도록 절곡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산부 또는 골부의 높이가 10 ~ 50㎜의 크기를 갖도록 절곡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lter member 150 is implemented as a pleated filter, the filter member 150 may be bent so that the height h of the ridge or valley is 5 to 55 mm, preferably It may be bent so that the height of the peak or the valley has a size of 10 to 50 mm.

만일, 상기 산부 또는 골부의 높이가 5㎜ 미만이면 여과면적이 줄어들어 여과효율이 저하될 수 있고 압력손실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산부 또는 골부의 높이가 55㎜를 초과하면 서로 이웃하는 산부와 산부 또는 골부와 골부가 서로 붙어서 여과 면적이 줄어들 수 있고, 압력이 높을 경우 산부 또는 골부가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산부 또는 골부의 높이는 서로 이웃하는 산부와 골부 사이의 높이차를 의미한다.If the height of the peak or valley is less than 5 mm, the filtration area may be reduced, so that the filtration efficiency may be lowered and the pressure loss may be increased. In addition, when the height of the ridge or trough exceeds 55 mm, the adjacent ridge and ridge or trough and trough adhere to each other, thereby reducing the filtration area, and when the pressure is high, the ridge or valley may be deformed. Here, the height of the ridge or valley means a height difference between adjacent ridges and valleys.

또한, 상기 필터부재(150)는 길이 300㎜당 70 ~ 95개의 산부가 형성되도록 절곡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필터부재의 사이즈는 필터부재가 장착되는 설치공간의 길이 300㎜당 1.3 ~ 8.5m의 길이를 갖는 필터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member 150 may be bent to form 70 to 95 peaks per 300 mm in length, and the size of the filter member is 1.3 to 8.5 m per 300 mm of the installation space in which the filter member is installed. A filter element having a length may be used.

이를 통해, 상기 필터부재(150)는 설치공간의 전체 사이즈 대비 비표면적이 증가될 수 있음으로써 제거효율이 우수하고, 압력손실을 낮출 수 있으며, 제거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filter member 150 can increase the specific surface area compared to the total size of the installation space, so that the removal efficiency is excellent, the pressure loss can be lowered, and the reduction of the removal efficiency can be prevented.

여기서, 상기 필터부재(150)는 상기 열교환기(140)의 일측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filter member 150 may be direct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heat exchanger 140 .

대안으로, 상기 필터부재(150)는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필터프레임(155)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필터프레임(155)을 통해 상기 열교환기(140)의 일측에 결합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filter member 150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frame 155 disposed to surround the edge, and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heat exchanger 140 through the filter frame 155 .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 changes, deletions, additions, etc. may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but this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200 : 환기형 공기청정기 101, 102, 103, 104 : 커버
105 : 조작부 110,210 : 외부케이스
111 : 전면케이스 112,212 : 후면케이스
113 : 개구부 114 : 통과공
215 : 돌출부 215a : 제1구획공간
215b : 제2구획공간 215c : 격판
216 : 벤트커버 216a : 제1판
216b : 융기부 216c : 결합구
120 : 본체 121 : 제1내부케이스
121a : 관통부 122 : 제2내부케이스
122a : 제1이동로 123 : 중간케이스
123a : 몸체 123b : 격벽
123c : 지지홈 123d : 제2이동로
124 : 팬커버 124a : 구획판
125a : 제1연통구 125b : 제2연통구
V1 : 경유공간 I1 : 실외공기 유입구
I2 : 실내공기 유입구 O1 : 실외공기 배출구
O2 : 실내공기 배출구 S : 내부공간
S1 : 제1공간 S2 : 제2공간
S3 : 제3공간 S4 : 제4공간
131 : 제1송풍기 132 : 제2송풍기
140 : 열교환기 141 : 지지판
142 : 열교환판 150 : 필터부재
151 : 제1부재 152 : 제2부재
153 : 제3부재 154 : 제4부재
155 : 필터프레임 161 : 필터커버
162,163 : 메쉬망 164 : 덮개판
170 : 제어부 180 : 디스플레이패널
190 : 자외선 발생수단
100,200: ventilation air purifier 101, 102, 103, 104: cover
105: control unit 110, 210: outer case
111: front case 112,212: rear case
113: opening 114: through hole
215: protrusion 215a: first compartment
215b: second compartment 215c: diaphragm
216: vent cover 216a: first plate
216b: raised portion 216c: coupler
120: body 121: first inner case
121a: through part 122: second inner case
122a: first moving path 123: middle case
123a: body 123b: bulkhead
123c: support groove 123d: second movement path
124: fan cover 124a: partition plate
125a: first communication port 125b: second communication port
V1 : Passage space I1 : Outdoor air inlet
I2 : Indoor air inlet O1 : Outdoor air outlet
O2 : Indoor air outlet S : Internal space
S1: first space S2: second space
S3: third space S4: fourth space
131: first blower 132: second blower
140: heat exchanger 141: support plate
142: heat exchange plate 150: filter member
151: first member 152: second member
153: third member 154: fourth member
155: filter frame 161: filter cover
162,163: mesh network 164: cover plate
170: control unit 180: display panel
190: UV generating means

Claims (17)

전면케이스 및 후면케이스를 포함하는 외부케이스;
상기 전면케이스 및 후면케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실외공기를 실내공간으로 배출하면서 실내공간으로부터 유입된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실내공기 유입구, 실내공기 배출구, 실외공기 유입구 및 실외공기 배출구가 각각 구비되는 본체;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를 통해 실외공기를 상기 본체로 유입하고 상기 본체로 유입된 실외공기를 상기 실외공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실내공간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제1송풍기;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를 통해 실내공기를 상기 본체로 유입하고 상기 본체로 유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제2송풍기;
상기 제1송풍기를 통해 상기 본체로 유입된 실외공기와 상기 제2송풍기를 통해 상기 본체로 유입된 실내공기가 열교환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공기가 여과된 후 상기 열교환기 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후면케이스 및 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환기형 공기청정기.
an outer case including a front case and a rear case;
An indoor air inlet, an indoor air outlet, an outdoor air inlet, and an outdoor air inlet,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and the rear case, and discharges the outdoor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nto the indoor space and discharges the indoor air introduced from the indoor space to the outside. a body provided with an air outlet, respectively;
a first blower coupled to the main body to introduce outdoor air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and discharge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into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outdoor air outlet;
a second blower coupled to the main body to introduce indoor air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indoor air inlet and discharge the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door air outlet;
a heat exchanger disposed on the main body to exchange heat between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first blower and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second blower; and
and a filter member disposed between the rear case and the main body so that outdoor air flowing in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is filtered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heat exchang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통과하는 실외공기와 상기 본체를 통과하는 실내공기는 상기 열교환기 내부에서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열교환되는 환기형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A ventilation air purifier in which the outdoor air passing through the main body and the indoor air passing through the main body exchange heat while moving in a direction crossing each other inside the heat exchang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 및 실내공기 배출구가 각각 형성된 제1내부케이스;
상기 제1내부케이스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송풍기와 연통되도록 관통형성되는 제1연통구와 상기 제2송풍기와 연통되도록 관통형성되는 제2연통구 및 상기 제1송풍기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를 실내공간으로 배출하기 위한 실외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2내부케이스;
상기 제1내부케이스 및 제2내부케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가 고정되는 중간케이스; 및
상기 제1송풍기 및 제2송풍기를 상기 제2내부케이스의 일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내부케이스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송풍기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경유공간을 포함하는 팬커버;를 포함하는 환기형 공기청정기.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a first inner case in which the outdoor air inlet and the indoor air outlet are respectively formed;
A first communication hole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inner case and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blower, a second communication hole that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blower, and the outdoo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blower a second inner case including an outdoor air outlet for discharging air into the indoor space;
an intermediate case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ner case and the second inner case and to which the heat exchanger is fixed; and
The first blower and the second blower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inner case so as to be fixed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inner case, and the in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blowe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Ventilation-type air purifier comprising a; fan cover including a light oil spac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door air outlet.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케이스는, 상기 열교환기가 배치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함체형상의 몸체; 및
실내공기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실내공기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열교환기를 기준으로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와 연통되는 제1공간과,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와 연통되는 제2공간과, 상기 제2송풍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3공간 및 상기 제1송풍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4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공간은 상기 몸체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열교환기와 접하도록 각각 연장되는 복수 개의 격벽 및 상기 열교환기를 통해 구획되는 환기형 공기청정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intermediate case may include: a housing-shaped body having an inner space with one surface open so that the heat exchanger can be disposed; and
and an indoor air inlet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so that indoor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space;
The inner space is
A first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indoor air inlet based on the heat exchanger, a second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outdoor air inlet, a third spac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lower,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blower Including a fourth space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to fourth spaces are partitioned through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respectively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heat exchanger and the heat exchange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공간은 상기 열교환기를 둘러싸도록 일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공간 및 제3공간은 상기 열교환기를 기준으로 대각방향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공간 및 제4공간은 상기 열교환기를 기준으로 대각방향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환기형 공기청정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to fourth spaces are sequentially formed along one direction to surround the heat exchanger,
The first space and the third space are formed to be positioned in a dia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eat exchanger,
The second space and the fourth space are ventilated air purifiers formed to be positioned in a dia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eat exchange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격벽은 각각의 일단부에 상기 열교환기의 모서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인입형성되는 지지홈을 포함하는 환기형 공기청정기.
5. The method of claim 4,
Each of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includes a support groove drawn inward to support the edge of the heat exchanger at one end thereof.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케이스는,
상기 경유공간과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를 서로 연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일측에 관통형성되는 이동로를 더 포함하는 환기형 공기청정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intermediate case is
The ventilation type air purifier further comprising a movement path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body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passing space and the indoor air outle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본체의 외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를 덮도록 배치되는 환기형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lter member is located outside the main body and is disposed to cover the outdoor air inlet.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본체의 외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커버를 매개로 상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환기형 공기청정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lter member is a ventilation type air purifi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via a filter co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형 공기청정기는, 상기 전면케이스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포함하는 환기형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ventilation air purifier further comprises a display panel provided on the front cas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케이스는, 실외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면적으로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환기형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rear case may include at least one opening formed through a predetermined area to allow outdoor air to pass therethrough.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케이스는,
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격판을 매개로 내부가 제1구획공간 및 제2구획공간을 구획되는 중공형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구획공간은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제2구획공간은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환기형 공기청정기.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ar case,
It includes a hollow protrusion extending a certain length outward from one surface and partitioning the inside of the first compartment and the second compartment through a diaphragm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in,
The first compartment communicates with the outdoor air inlet, and the second compartment communicates with the indoor air outlet.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형 공기청정기는,
상기 본체와 상기 후면케이스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면케이스에 결합되는 벤트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벤트커버는 상기 제2구획공간을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와 서로 연통시키는 환기형 공기청정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ventilation type air purifier,
Further comprising a vent cover coupled to the rear case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rear case,
The vent cover communicates the second compartment with the indoor air outlet with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 및 실외공기 배출구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의 메쉬망이 배치되는 환기형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A ventilation air purifier in which a plate-shaped mesh having a predetermined area is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indoor air inlet and the outdoor air outle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정전 처리된 다공성의 제1부재; 및
나노섬유가 축적되어 형성된 제2부재;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필터인 환기형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lter member is
Electrostatically treated porous first member; and
A hybrid filter ventilating air purifier comprising a second member formed by accumulating nanofibers.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는 항바이러스 성분을 포함하는 환기형 공기청정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second member is a ventilation air purifier comprising an antiviral component.
건물의 벽체 또는 창문 측에 설치되는 환기형 공기청정기의 운전방법으로서,
상기 환기형 공기청정기는,
외부로부터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실내공간으로 배출하기 위한 제1송풍기와, 실내공간으로부터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2송풍기 및 상기 제1송풍기를 통해 흡입된 실외공기와 상기 제2송풍기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송풍기 및 제2송풍기를 모두 구동하는 제1단계;
상기 제1송풍기를 통해 흡입되는 실외공기의 온도와 상기 제2송풍기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의 온도를 비교하는 제2단계;
상기 실외공기의 온도 및 실내공기의 온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송풍기 및 제2송풍기 중 어느 하나의 송풍기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중지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1송풍기 및 제2송풍기의 구동을 모두 중지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제1송풍기 및 제2송풍기 중 선택적으로 구동이 중지되는 송풍기는 상기 실외공기 및 실내공기 중 상대적으로 더 낮은 온도의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기인 환기형 공기청정기의 운전방법.
A method of operating a ventilation air purifier installed on a wall or window side of a building, comprising:
The ventilation type air purifier,
A first blower for sucking in outdoor air from the outside and discharging it to the indoor space, a second blower for sucking in indoor air from the indoor space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and the outdoor air sucked through the first blower and the second blower Including a heat exchanger in which the indoor air sucked through the heat exchange,
a first step of driving both the first blower and the second blower;
a second step of comparing a temperature of outdoor air sucked in through the first blower with a temperature of indoor air sucked in through the second blower;
a third step of selectively stopping the driving of any one of the first blower and the second blower based o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outdoor air and the indoor air; and
Including; a fourth step of stopping both the driving of the first blower and the second blower;
In the third step, the blower selectively stopped from driving among the first blower and the second blower is a blower that sucks in air of a relatively lower temperature among the outdoor air and the indoor air.
KR1020200070790A 2020-06-11 2020-06-11 A ventilation type air clea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5324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790A KR102532499B1 (en) 2020-06-11 2020-06-11 A ventilation type air clea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CT/KR2021/007071 WO2021251704A1 (en) 2020-06-11 2021-06-07 Ventilation-type air clean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790A KR102532499B1 (en) 2020-06-11 2020-06-11 A ventilation type air clea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283A true KR20210154283A (en) 2021-12-21
KR102532499B1 KR102532499B1 (en) 2023-05-18

Family

ID=78846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790A KR102532499B1 (en) 2020-06-11 2020-06-11 A ventilation type air clea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32499B1 (en)
WO (1) WO2021251704A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4345A (en) * 2005-02-28 2006-09-07 Fujitsu General Ltd Ventilat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JP2009074707A (en) * 2007-09-19 2009-04-09 Nitomuzu:Kk Filter device
JP2015114013A (en) * 2013-12-10 2015-06-22 三菱電機株式会社 Heat exchange ventilator
KR20180058180A (en) * 2016-11-23 2018-05-3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Ventilator having air cleaning function
KR101991942B1 (en) * 2018-10-11 2019-06-21 주식회사 스마트지텍 Discrete heat recovery ventilator
JP6665970B2 (en) * 2017-10-24 2020-03-13 三菱電機株式会社 Ventilation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085B1 (en) * 2005-02-22 2006-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Thin-type ventilating device
KR101186325B1 (en) * 2006-02-20 2012-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4345A (en) * 2005-02-28 2006-09-07 Fujitsu General Ltd Ventilat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JP2009074707A (en) * 2007-09-19 2009-04-09 Nitomuzu:Kk Filter device
JP2015114013A (en) * 2013-12-10 2015-06-22 三菱電機株式会社 Heat exchange ventilator
KR20180058180A (en) * 2016-11-23 2018-05-3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Ventilator having air cleaning function
JP6665970B2 (en) * 2017-10-24 2020-03-13 三菱電機株式会社 Ventilation equipment
KR101991942B1 (en) * 2018-10-11 2019-06-21 주식회사 스마트지텍 Discrete heat recovery venti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2499B1 (en) 2023-05-18
WO2021251704A1 (en)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57322C (en) Air cleaning member, air cleaning member and aircondition
KR100988441B1 (en) Apparatus for air purifing and hunidifing
CN101377114A (en) Energy-saving window or door with bidirectional heat preservation aeration and air purification functions
KR20210154284A (en) A ventilation type air clea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18199579A2 (en) Antibacterial copper filter using antibacterial copper net
CN106246566A (en) Indoor apparatus of air conditioner attachment independent power generation formula complex function Diffusion of gas stream fan
US20060278086A1 (en) Air cleaner, functional fil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ilter, air cleaning filter, and air cleaner device
KR20210152087A (en) A ventilation type air clea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05099899A1 (en) Cleaning material, air filter, air conditioner, heat exchange element, and heat exchange unit
KR100564445B1 (en) A ventilation system
KR20210154283A (en) A ventilation type air clea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00012376A (en) Filter unit of air conditioner
CN205412676U (en) Compound filter screen and air purifier
CN105698277A (en) Indoor air freshening device
KR20220043421A (en) Air treatment apparatus
JP2000055432A (en) Air cleaner
JP2003079704A (en) Sterilizing filter unit and air cleaning system
JP2000152983A (en) Air cleaner
KR20210144604A (en) Anti-viral filter media, air filter unit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040092901A (en) Filter having function of deodorizaton, removal of germ and dehumidification
KR20200134517A (en) Heat exchanger
JP2002021783A (en) Centrifugal blower also serving as air cleaner
KR20150066719A (en) Air cleaning filter
CN215232909U (en) Energy-saving indoor air purification device
KR102214711B1 (en) Fine dust reduction filter for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