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4029A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4029A
KR20210154029A KR1020200071127A KR20200071127A KR20210154029A KR 20210154029 A KR20210154029 A KR 20210154029A KR 1020200071127 A KR1020200071127 A KR 1020200071127A KR 20200071127 A KR20200071127 A KR 20200071127A KR 20210154029 A KR20210154029 A KR 20210154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e
link
shaft
disposed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1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현
이미영
김기동
남성현
최석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1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4029A/en
Publication of KR20210154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02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7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cams or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omprises a vane module guiding the flow direction of air discharged from an outlet. The vane module includes: a vane motor arranged on the case, and providing driving power; a driving link including a core body including a core body shaft to be rotated relative to the case, a first driving link bod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re body, and a second driving link bod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re body, and receiving driving power from the vane motor; a first vane link of which one end is coupled to the case to be relatively rotated; a second vane link of which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link body to be relatively rotated; a first vane arranged on the outlet,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link body to be relatively rotated,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vane link to be relatively rotated; and a second vane arranged on the outlet, positioned behind the first vane in the discharge flow direction of discharged ai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vane link to be relatively rotated, and coupled to the case to be relatively rotated. The first driving link body includes: a first member of which one end is connected to the core body; a second member of which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member and of which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vane to be relatively rotated; and a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The angle formed by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is smaller than 180℃.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driving link when the first vane rotates, and can simultaneously control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Description

공기조화기 실내기{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oor unit installed indoors.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기로 구성되고, 공기조화 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에 냉방 또는 난방된 공기를 공급한다.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s composed of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vaporator, and an expander, and supplies cooling or heated air to a room using an air conditioning cycle.

공기조화기는 구조적으로 압축기가 실외에 배치된 분리형과, 압축기가 일체로 제작된 일체형으로 구분된다.Structurally, the air conditioner is divided into a separate type in which the compressor is disposed outdoors and an integral type in which the compressor is integrally manufactured.

분리형은 실내기에 실내 열교환기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실외 열교환기와In the separate type, an indoor heat exchanger is installed in the indoor unit, and an outdoor heat exchanger is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압축기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다. A compressor is installed to connect the two separate devices with a refrigerant pipe.

일체형은 실내 열교환기, 실외 열교환기 및 압축기를 하나의 케이스 안에 설치한 것이다. 일체형 공기조화기로는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와, 흡입덕트와 토출덕트를 연결하여 실내 외측에 설치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 등이 있다. The integral type is an indoor heat exchanger, an outdoor heat exchanger and a compressor installed in one case. The integrated air conditioner includes a window type air conditioner which is installed directly by hanging the device on a window, and a duct type air conditioner which is installed outside the room by connecting an intake duct and a discharge duct.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의 설치 형태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separation type air conditioner is generally classified according to an installation form of the indoor unit.

실내기가 실내 공간에 수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것을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라 하고, 실내기가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것을 천장형 공기조화기라 하고, 실내기가 실내의 벽에 설치되는 것을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라 한다.When the indoor unit is installed vertically in the indoor space, it is called a stand-type air conditioner, when the indoor unit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room is called a ceiling-type air conditioner, and when the indoor unit is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room, it is called a wall-mounted air conditioner.

또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한 종류로서, 복수개의 공간에 공기조화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에어컨이 있다. Also, as a type of a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there is a system air conditioner capable of providing air-conditioned air to a plurality of spaces.

시스템에어컨의 경우, 복수개의 실내기를 구비하여 실내를 공기조화하는 타입과, 덕트를 통해 각 공간에 공기조화된 공기를 공급하는 타입이 있다. In the case of the system air conditioner, there are a type in which a plurality of indoor units are provided to air-condition a room, and a type in which air-conditioned air is supplied to each space through a duct.

시스템에어컨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실내기는 스탠드형, 벽걸이형 또는 천장형 등 어느 것이 구비되어도 무방하다.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provided in the system air conditioner may be any of a stand type, a wall mounted type, or a ceiling type.

종래 기술에 따른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는 벽에 매달려 설치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케이스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배치되며, 토출구에는 토출베인이 설치된다.A wall-moun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es a case that is installed to be hung from a wall, and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sucked and an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re disposed in the case, and a discharge vane is installed at the outlet.

공기 등의 기체는 온도가 올라갈수록 상승하고 온도가 낮아질수록 하강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냉방된 공기가 토출되는 경우, 공기가 하강하지 않고 더욱 멀리 토출되기 위해서는 토출베인을 수평에 가깝게 배치시켜야 한다.Gases such as air have a characteristic that rises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and decreases as the temperature decreases. Therefore, when the cooled air is discharged, the discharge vane should be arranged close to the horizontal in order to discharge the air further away without descending.

그러나, 종래 토출베인의 경우 그 폭이 토출구의 폭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한정되어 있으므로, 토출 공기를 수평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에도 제한이 있었다. 이로 인해 토출구의 아래에 있는 사용자는 차가운 공기에 장시간 노출되어 불쾌감을 느끼고, 또한 토출된 공기가 실내에 고르게 확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discharge vane, since the width is limit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discharge port, there is a limitation in guiding the discharge ai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ue to this, the user under the discharge port is exposed to cold air for a long time and feels uncomfortabl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ischarged air is not evenly spread in the room.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주된 토출베인과 별도로 추가적인 토출베인을 더 배치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복수의 토출베인들이 회전하면서 상기 토출베인을 구동하기 위한 링크들이 서로 간섭되어, 구동범위가 한정된다. 따라서, 토출베인의 회전각도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method of further disposing additional discharge vanes separately from the existing main discharge vanes may be considered. However, as the plurality of discharge vanes rotate, the links for driving the discharge vanes interfere with each other, thereby limiting the driving range.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otation angle of the discharge vane is limit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1베인이 회전할 때, 구동링크와의 간섭을 받지 않는 베인모듈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having a vane module that does not receive interference from a driving link when a first vane rotates.

또한, 제1베인 및 제2베인을 통해 수평풍, 경사풍, 수직풍을 제공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providing a horizontal wind, an inclined wind, and a vertical win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vanes.

또한, 수직풍을 토출할 때, 제1베인 및 제2베인을 모두 상하방향으로 배치하고, 토출공기를 지면을 향해 토출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discharging the first and second vanes in a vertical direction when discharging vertical wind, and discharging the discharged air toward the ground.

또한, 구동링크의 회전을 통해 제1베인 및 제2베인의 움직임을 모두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controlling both the movement of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through the rotation of the driving link.

또한, 제1베인이 회전할 때, 구동링크와의 간섭을 받지 않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a driving link when the first vane rotates.

또한, 구동링크가 회전할 때, 베인모듈의 각 구성들 간에 서로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between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vane module when the driving link rotates.

또한, 베인의 회전범위가 확장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rotation range of a vane is extended.

또한, 수평풍을 토출할 때, 제1베인 및 제2베인을 연결시켜 하나의 베인처럼 작동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operating as one vane by connecting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when discharging horizontal wind.

또한, 제1베인이 토출구를 폐쇄하였을 때, 케이스와 연속적인 면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that is disposed so as to form a continuous planar surface with the case when the first vane closes the discharge port.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1베인 및 제2베인을 통해 수평풍, 경사풍, 수직풍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horizontal wind, an inclined wind, and a vertical wind through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본 발명은 수직풍을 토출할 때, 제1베인 및 제2베인을 모두 상하방향으로 배치하고, 토출공기를 지면을 향해 토출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rtical wind is discharged, both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discharge air can be discharged toward the ground.

본 발명은 구동링크의 회전을 통해 제1베인 및 제2베인의 움직임을 모두 제어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both the movement of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through the rotation of the drive link.

본 발명은 제1베인이 회전할 때, 구동링크의 간섭을 받지 않는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vane rotates, there is no interference from the driving link.

본 발명은 구동링크가 회전할 때, 베인모듈의 각 구성들 간에 서로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iving link rotates, interference does not occur between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vane module.

본 발명은 베인의 회전범위가 확장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range of the vane is extended.

본 발명은 수평풍을 토출할 때, 제1베인 및 제2베인을 연결시켜 하나의 베인처럼 작동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as one vane b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vanes when discharging horizontal wind.

본 발명은 제1베인이 토출구를 폐쇄할 때, 케이스와 연속적인 면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vane closes the discharge port, it is arranged to form a continuous plane with the case.

본 발명은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베인모듈;을 포함하고,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e in which a discharge port is formed; It includes; a vane modul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se to guide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상기 베인모듈은,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구동력을 제공하는 베인모터; 상기 케이스와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코어바디축을 포함하는 코어바디, 상기 코어바디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1구동링크바디, 및 상기 코어바디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2구동링크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베인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링크; 일단이 상기 케이스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베인링크; 일단이 상기 제2구동링크바디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베인링크;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제1구동링크바디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베인링크의 타단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베인; 및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고,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베인보다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2베인링크의 타단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베인을 포함하고,The vane module may include: a vane motor disposed in the case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A core body including a core body shaft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case, a first driving link bod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re body, and a second driving link bod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re body, the vane motor a driving link receiving driving force from; a first vane link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case to be relatively rotatable; a second vane link whose one end is relatively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drive link body; a first vane disposed at the outlet,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drive link body,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vane link; and disposed at the discharge port, located at the rear of the first vane based on the discharge flow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vane link, and relatively rotatable with the case It includes a second vane that is coupled,

상기 제1구동링크바디는, 일단이 상기 코어바디와 연결되는 제1부재; 일단이 상기 제1부재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베인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부재; 및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가 이루는 각은 180°보다 작다.The first driving link body may include: a first memb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ore body; a second memb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membe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vane and rotatably connected;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wherein an angle betwee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is less than 180°.

상기 케이스는 상기 베인모듈이 설치되는 링크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설치부에 상기 제1베인링크, 상기 구동링크 및 상기 제2베인이 각각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case may include a link installation unit in which the vane module is installed, and the first vane link, the driving link, and the second vane may b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link installation unit to be relatively rotatable.

상기 케이스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베인모터가 결합되는 베인모터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It may include a; is formed inside the case, the vane motor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vane motor is coupled.

상기 코어바디는 고어바디축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바디축은 상기 베인모터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The core body may include a gore body shaft, and the core body shaf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vane motor.

상기 제2베인은 제2-1베인축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결합부에,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상기 제1베인링크의 일단이 배치되고, 후방에 상기 제2-1베인축이 배치되며, 상기 제1베인링크의 일단과 상기 제2-1베인축 사이에 상기 코어바디가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vane includes a 2-1 vane shaft, and in the link coupling part, one end of the first vane link is disposed in the front, based on the discharge flow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and the second 2- One vane shaft may be disposed, and the core body may be disposed between one end of the first vane link and the 2-1 vane shaft.

상기 제2베인링크는, 일단에 상기 제2구동링크바디와 연결되는 제2-2베인링크축과 타단에 상기 제2베인과 연결되는 제2-1베인링크축을 포함하고,The second vane link includes a 2-2 vane link shaft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link body at one end and a 2-1 vane link shaft connected to the second vane at the other end,

상기 구동링크가 회전시, 상기 제2-2베인링크축과 상기 제2-1베인축은 서로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driving link rotates, the 2-2nd vane link shaft and the 2-1th vane shaft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상기 제2베인링크는 상기 제2-1베인축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굴곡진 형상일 수 있다.The second vane link may have a curved shap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2-1 vane shaft.

상기 제1베인은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토출구가 개방되고, 상기 제1베인이 상기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제1베인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연결부와 가까워질 수 있다.When the first vane rotates in a first rotational direction, the discharge port may be opened, and when the first vane rotates in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vane may be closer to the connection part.

상기 제1베인이 상기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제1베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부재의 타단에 배치된 회전축과 상기 코어바디에 배치된 회전축을 잇는 선분을 지나서 상기 연결부와 가까워질 수 있다. When the first vane rotates in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vane passes a line segment connecting the rotation shaft disposed 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member and the rotation shaft disposed on the core body to be close to the connection part. can

상기 제1베인은 상기 제1회전방향으로 최대 회전시 상기 연결부와 접촉될 수 있다. The first vane may be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art during maximum rotation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상기 제1구동링크바디가 굴곡된 형상일 수 있다. The first driving link body may have a curved shape.

상기 제1구동링크바디가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The first driving link body may have a bent shape.

상기 제1베인은 상기 구동링크가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시 개방되고,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제2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vane may be opened when the driving link rotates in a second rotational direction, and the second member may exte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rotational direction.

상기 제1베인은 제1베인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베인바디는, 상기 토출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vane may include a first vane body, and the first vane body may be formed to extend lo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let.

상기 제1베인은, 상기 제1베인의 상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1베인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베인리브에는, 상기 제1구동링크바디와 결합되는 제1-1베인축과, 상기 제1베인링크와 결합되는 제1-2베인축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vane includes a first vane rib protruding from an upper side of the first vane, and the first vane rib includes a 1-1 vane shaft coupled to the first driving link body, and the first vane rib. A 1-2 vane shaft coupled to the first vane link may be formed.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1베인축은 상기 제1베인 후단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2베인축은 상기 제1-1베인축보다 상기 제1베인 전단 측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Based on the discharge flow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the 1-1 vane shaft is dispos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first vane, and the 1-2 vane shaft is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first vane rather than the 1-1 vane shaft can be placed close together.

상기 제2부재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부재의 일단측 말단과 상기 제1-1베인축 중심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1-1베인축 중심과 상기 제1-2베인축 사이의 최단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member,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of one end of the second member and the center of the 1-1 vane shaft is between the center of the 1-1 vane shaft and the 1-2 vane shaft may be shorter than the shortest distance of

상기 제2베인은 제2베인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베인바디는, 상기 토출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vane may include a second vane body, and the second vane body may be formed to extend lo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let.

상기 제2베인은, 상기 제2베인에 돌출 형성되는 제2베인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베인리브에는, 상기 링크설치부와 결합되는 제2-1베인축과, 상기 제2베인링크와 결합되는 제2-2베인축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vane includes a second vane rib protruding from the second vane, and the second vane rib includes a 2-1 vane shaft coupled to the link installation part, the second vane link, A 2-2 vane shaft coupled thereto may be formed.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1베인축은 상기 제2베인 후단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2베인축은 상기 제2-1베인축보다 상기 제2베인 전단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Based on the discharge flow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the 2-1 vane shaft is dispos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second vane, and the 2-2 vane shaft is closer to the front end of the second vane than the 2-1 vane shaft can be placed.

상기 제1베인의 길이는 상기 제2베인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A length of the first vane may be longer than a length of the second vane.

상기 제1베인 및 상기 제2베인이 수직으로 배열되는 수직토출모드시, 상기 제1베인과 상기 제2베인에 형성된 최단거리가 제1베인간격이고, 상기 제1베인 및 상기 제2베인이 수평으로 배열되는 수평토출모드시, 상기 제1베인과 상기 제2베인에 형성된 최단거리가 제2베인간격이며, 상기 제1베인간격이 상기 제2베인간격보다 클 수 있다.In a vertical discharge mode in which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are vertically arranged, the shortest distance formed between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is a first vane distance, and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are horizontal In the horizontal discharge mode arranged as , the shortest distance formed between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may be a second vane distance, and the first vane distance may be greater than the second vane distance.

상기 제1베인이 폐쇄되었을 때, 상기 제1베인은 상기 케이스와 연속적인 면상으로 배치되고,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제2베인은 상기 제1베인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first vane is closed, the first vane may be disposed in a continuous plane with the case, and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second vane may be disposed to overlap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vane.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제1구동링크바디를 구성하는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이루는 각은 180도보다 작게 형성되어, 제1베인이 회전할 때, 구동링크와의 간섭을 받지 않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rst, the angle betwee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constituting the first drive link body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180 degrees, so that when the first vane rotates,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not receive interference from the drive link.

둘째, 본 발명은 구동링크가 회전할 때, 베인모듈의 각 구성들 간에 서로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when the drive link rotates, interference between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vane module may not occur.

셋째, 본 발명은 베인의 회전범위가 확장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ir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rotation range of the vane can be extended.

넷째, 본 발명은 수평풍을 토출할 때, 제1베인 및 제2베인을 연결시켜 하나의 베인처럼 작동시킬 수 있어, 토출된 공기를 수평방향으로 멀리 유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Fourth,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nnect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to operate as one vane when discharging the horizontal wind, allowing the discharged air to flow far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다섯째, 본 발명은 제1베인이 토출구를 폐쇄한 경우, 외부에서 볼 때, 상기 제1베인을 제외한 베인모듈의 구성들을 차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fth,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when the first vane closes the outlet, it is possible to shield the components of the vane module except for the first vane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여섯째, 본 발명은 구동링크의 회전을 통해, 제1베인 및 제2베인의 방향을 동시에 제어하여 수평풍, 경사풍, 수직풍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ixth,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ovide horizontal wind, inclined wind, and vertical wind by simultaneously controlling the dir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vanes through the rotation of the driving link.

일곱째, 본 발명은 수직풍을 토출할 때, 제1베인 및 제2베인을 모두 상하방향으로 배치하고, 토출공기를 지면에 토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eventh,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when the vertical wind is discharged, both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discharge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groun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의 토출구와 이중베인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 및 도 3는은 수직토출모드에서 이중베인의 위치를 도시한 좌측 단면도,
도 3은 제1베인이 최대 회전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좌측 단면도,
도 4는 수평토출모드에서 이중베인이 위치를 도시한 좌측 단면도,
도 5는 비통전시 이중베인의 위치를 도시한 좌측 단면도,
도 6은 구동링크의 정면도,
도 7은 제1베인링크의 정면도,
도 8은 제2베인링크의 정면도,
도 9는 제1베인을 상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0은 제2베인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1은 제1베인을 좌측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2는 제1베인의 저면도와 각 단면에서 바라본 좌측 단면도,
도 13은 제1베인의 좌측면도,
도 14는 제1베인을 하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between a discharge port and a double vane of an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left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position of the double vane in the vertical discharge mode,
3 is a left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vane is rotated at a maximum rotation angle;
4 is a left sectional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double vane in the horizontal discharge mode;
5 is a left sectional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double vane when de-energized;
6 is a front view of the drive link;
7 is a front view of the first vane link;
8 is a front view of the second vane link;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vane viewed from abov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vane viewed from one direc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vane viewed from the left side;
12 is a bottom view of the first vane and a left cross-sectional view viewed from each cross-section;
13 is a left side view of the first vane;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vane as viewed from below.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케이스(100), 열교환기(미도시), 송풍팬(미도시) 및 베인모듈(30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00 , a heat exchanger (not shown), a blowing fan (not shown), and a vane module 300 .

상기 케이스(100)은 흡입구(미도시)와 토출구(101)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구(미도시)는 공기는 흡입구(미도시)를 통하여 흡입된 후, 내부 공기 유동유로를 거쳐, 토출구(101)를 통해 토출된다. 흡입구(미도시)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된 열교환기(미도시)를 거친다. 상기 열교환기(미도시)는 케이스(10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와 열전달을 통해 열을 교환하여 공기를 냉방 또는 난방 시킨다. 송풍팬(미도시)은 공기를 흡입하고, 공기가 내부를 유동하도록 하며, 열교환기(미도시)를 거쳐 냉방 또는 난방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송풍력을 제공한다. The case 100 includes an inlet (not shown) and an outlet 101 . In the suction port (not shown), after air is sucked in through the suction port (not shown),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01 through the internal air flow path. The air sucked in through the suction port (not shown) passes through a heat exchanger (not shown) disposed inside the case 100 . The heat exchanger (not shown) cools or heats the air by exchanging heat with the air flowing through the case 100 through heat transfer. A blower fan (not shown) sucks air, allows the air to flow inside, and provides blowing power for discharging cooled or heated air through a heat exchanger (not show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벽에 매달려 설치되는 케이스(100)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일 수 있다. 이 경우, 흡입구(미도시)는 케이스(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토출구(101)는 케이스(100)의 전방 또는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구(미도시) 및 토출구(101)은 각각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100)는 전면에서 바라볼 때, 옆으로 긴 직사각형의 형상일 수 있다.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indoor unit of the wall-mounte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case 100 installed to be hung from the wall. In this case, the suction port (not shown)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se 100 . In addition, the discharge port 101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or the lower side of the case 100 . A plurality of suction ports (not shown) and discharge ports 101 may be disposed,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case 100 may have a laterally long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토출구(101)에는 토출 공기의 토출 유동을 안내하는 베인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인은 토출구(101)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토출구(101)의 내부에서 외부로 걸쳐서 배치될 수 있으며, 토출구(101)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인은 실내기가 작동하지 않을 때, 토출구(101)를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A vane for guiding the discharge flow of the discharge air may be disposed in the discharge port 1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ane may be disposed inside the discharge port 101 , may be dispos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discharge port 101 , or may be disposed outside the discharge port 101 . Also, the vane may be disposed to cover the discharge port 101 when the indoor unit is not in operation.

본 발명에 따른 토출구(101)는 전체적인 형상이 옆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의 개구된 형상일 수 있다. 이 때 베인이 토출구(101)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토출구(101)의 내부에서 외부로 걸쳐서 배치되는 경우, 각각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베인의 너비가 상기 토출구(101)의 너비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그러나 베인이 토출구(101)의 외부에 배치되는 경우, 베인의 길이방향 너비가 토출구(101)의 길이방향 너비보다 클 수도 있다. The discharge port 1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open shape in the form of a long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At this time, when the vane is disposed inside the outlet 101 or spanning from the inside of the outlet 101 to the outside, the width of the vane in each longitudinal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outlet 101 or can be the same However, when the vane is disposed outside the outlet 101 , the longitudinal width of the vane may be greater than the longitudinal width of the outlet 101 .

본 발명에 따른 베인은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인이 배치된 경우, 토출구(101) 내부에, 내부에서 외부로 걸쳐서 또는 외부에 각각 서로 동일하게 또는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베인은 길이방향 폭 또는 너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A plurality of va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When a plurality of vanes are disposed, they may be disposed identically or differently to each other in the discharge port 101 , from inside to outside, or outside, respectively. Also, each vane may have a different longitudinal width or width.

본 발명에 따른 베인은 두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베인이 두 개가 배치된 경우를 이하 듀얼 베인이라고 정의한다. 이 때, 하나의 베인은 길이방향 너비 또는 폭이 나머지 하나의 베인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두개의 베인은 토출구(101)의 공기 토출 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전후방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베인이 주된 베인이고, 나머지 하나의 베인은 보조 베인일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베인과 나머지 하나의 베인이 모두 또는 각자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베인과 나머지 베인이 모두 또는 각자 무게중심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두개의 베인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 또는 이동하도록 제어되거나, 서로 종속적으로 회전 또는 이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나의 베인은 제1베인(340), 상기 나머지 하나의 베인은 제2베인(350)일 수 있다.Two va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rranged.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two vanes are disposed as described above is hereinafter defined as a dual vane. In this case, one vane may have a longitudinal width or a width greater than that of the other vane. The two vanes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at the front and rear, respectively, based on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discharge port 101 . At this time, one vane may be a main vane, and the other vane may be an auxiliary vane. At this time, one vane and the other vane may rotate all or each. In addition, the center of gravity of one vane and the other vanes can all or each move. The two vanes may be controlled to rotate or mov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may be controlled to rotate or mov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n this case, the one vane may be a first vane 340 , and the other vane may be a second vane 350 .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는,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101)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베인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인모듈(300)은 베인모터(200), 구동링크(310), 제1베인링크바디(321), 제2베인링크(330), 제1베인(340) 및 제2베인(35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vane module 30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se 100 to guide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101 ; can The vane module 300 includes a vane motor 200 , a drive link 310 , a first vane link body 321 , a second vane link 330 , a first vane 340 , and a second vane 350 . may include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베인모듈(300)은 상기 케이스(100)에 배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베인모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인모터(200)는 한 개가 배치될 수 있고, 두개 이상의 복수 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한 개가 배치될 경우, 양 내측면 측 중 어느 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두개가 배치될 경우 상기 케이스(100)의 양 내측면 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vane module 300 may include a vane motor 200 disposed in the case 100 to provide driving force. One vane motor 200 may be disposed, or a plurality of two or more vane motors 200 may be disposed. When one is disposed, it may be disposed at any one of both inner side surfaces. When two are arranged, they may be respectively arranged on both inner side surfaces of the case 100 .

상기 베인모터(200)는 스텝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인모터(200)는 상기 구동링크(310)의 코어바디축(312)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링크(310)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는 베인모터(200)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와 일치한다. The vane motor 200 may be a step motor. In addition, the vane motor 20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core body shaft 312 of the driving link 310 . In this case, the rotation direction and rotation speed of the drive link 310 coincide with the rotation direction and rotation speed of the vane motor 200 .

베인모터(200)는 제1베인(340) 또는 제2베인(350)의 일 측방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베인모터(200)는 길게 형성된 토출구(101)의 길이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vane motor 20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vane 340 or the second vane 350 . In more detail, the vane motor 200 may be disposed on the out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let 101 formed to be elongated.

토출구(101)의 외측에 배치된 베인모터(200)의 샤프트가 토출구(101)의 일 단을 관통하여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샤프트는 토출구(101)의 내측에 배치된 제1베인(340) 또는 제2베인(350)을 운동시킬 수 있다.The shaft of the vane motor 200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outlet 101 extends inward through one end of the outlet 101, and the shaft is a first vane 340 disposed inside the outlet 101. Alternatively, the second vane 350 may be moved.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베인모듈(300)은 상기 베인모터(20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링크(3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링크(310)는 베인모터(200)의 샤프트와 결합한다. 구동링크(310)는 코어바디(311), 제1구동링크바디(313), 제2구동링크바디(318)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2 , the vane module 300 may include a driving link 310 receiving driving force from the vane motor 200 . The drive link 310 is coupled to the shaft of the vane motor 200 . The driving link 310 includes a core body 311 , a first driving link body 313 , and a second driving link body 318 .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링크(310)는 상기 케이스(100)와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코어바디축(312)을 포함하는 코어바디(31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동링크(310)는 상기 코어바디(311)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1구동링크바디(31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동링크(310)는 상기 코어바디(311)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2구동링크바디(318)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바디축(312)은 상기 베인모터(20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고, 전달된 구동력을 상기 제1구동링크바디(313)와 상기 제2구동링크바디(318)에 직접 전달한다.Referring to FIG. 6 , the driving link 310 includes a core body 311 including a core body shaft 312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case 100 . In addition, the driving link 310 includes a first driving link body 313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re body 311 . Also, the driving link 310 includes a second driving link body 318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re body 311 . The core body shaft 312 receives the driving force from the vane motor 200 , and directly transmits the transmitted driving force to the first driving link body 313 and the second driving link body 318 .

상기 베인모듈(300)은 일단이 상기 케이스(100)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베인링크바디(321)를 포함한다. 상기 베인모듈(300)은 일단이 상기 제2구동링크바디(318)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베인링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베인링크바디(321)는 상기 토출구(101)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토출구(101)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곡률을 가진 굴곡진 형상일 수 있고, 상기 제1베인링크바디(321)는 상기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굴곡진 형상일 수 있다. The vane module 300 includes a first vane link body 321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case 100 to be relatively rotatable. The vane module 300 may include a second vane link 33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link body 318 to be relatively rotatable. The first vane link body 321 may have a bar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let 101 .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outlet 101 may have a curved shape with a curvature, and the first vane link body 321 may have a curved shape with the same curvature as the curvature.

코어바디(311)는 베인모터(200)의 샤프트에 결합된다. 코어바디(311)는 토출구(101)의 일 측벽을 사이에 두고 베인모터(200)와 대향한다. 코어바디(311)는 코어바디축(312)을 구비한다. 코어바디(311)가 베인모터(200)의 샤프트에 결합된 경우, 코어바디의 코어바디축(312)과 샤프트는 중첩된다.The core body 311 is coupled to the shaft of the vane motor 200 . The core body 311 faces the vane motor 200 with one sidewall of the outlet 101 interposed therebetween. The core body 311 includes a core body shaft 312 . When the core body 311 is coupled to the shaft of the vane motor 200, the core body shaft 312 and the shaft of the core body overlap.

코어바디(311)에서 한 방향으로 제1구동링크바디(313)가 연장된다. 코어바디(311)에서 다른 한 방향으로 제2구동링크바디(318)가 연장된다. 제2구동링크바디(318)는 제1구동링크바디(313)가 연장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된다.The first driving link body 313 extends in one direction from the core body 311 . The second driving link body 318 extends in the other direction from the core body 311 . The second drive link body 318 extends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drive link body 313 extends.

제1구동링크바디(313)는 베인모터(200)의 구동력을 제1베인(340)에 전달하여, 제1베인(340)을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The first driving link body 313 is a component that transmits the driving force of the vane motor 200 to the first vane 340 to move the first vane 340 .

제1구동링크바디(313)의 일 단은 코어바디(311)에 결합된다. 또는, 제1구동링크바디(313)는 코어바디(3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구동링크바디(313)는 코어바디(311)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구동링크바디(313)의 타 단은 제1베인(340)과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1구동링크바디(313)의 타 단은 제1베인(340)의 제1베인리브(344)에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1구동링크바디(313)의 타 단은 제1베인리브(344)의 제1-1베인축(342)과 연결된다.One end of the first driving link body 313 is coupled to the core body 311 . Alternatively, the first driving link body 313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re body 311 . The first driving link body 313 extends in one direction from the core body 311 . The other end of the first driving link body 313 is connected to the first vane 340 . In more detail, the other end of the first driving link body 313 is connected to the first vane rib 344 of the first vane 340 . In more detail, the other end of the first driving link body 313 is connected to the 1-1 vane shaft 342 of the first vane rib 344 .

제1구동링크바디(313)의 타 단에는 제1구동링크축(317)이 형성된다. 제1구동링크바디(313)와 제1베인(340)이 체결된 경우, 제1구동링크축(317)과 제1-1베인축(342)은 중첩된다.A first driving link shaft 317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driving link body 313 . When the first driving link body 313 and the first vane 340 are fastened, the first driving link shaft 317 and the 1-1 vane shaft 342 overlap.

상기 제1구동링크바디(313)는, 일단이 상기 코어바디(311)와 연결되는 제1부재(314)와 일단이 상기 제1부재(314)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베인(340)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부재(3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부재(314)와 상기 제2부재(315) 사이에 상기 제1부재(314)와 상기 제2부재(315)를 연결하는 연결부(31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driving link body 313 includes a first member 314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ore body 311,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member 314,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vane ( 340) and may include a second member 315 connected to the relative rotation. In addition, a connection part 316 connecting the first member 314 and the second member 315 may be included between the first member 314 and the second member 315 .

연결부(316)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부재(314)와 제2부재(315)의 연장 형성된 방향은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부재(314)와 상기 제2부재(315)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부재(314)와 상기 제2부재(315)의 연장형성된 길이를 서로 다를 수 있다. The extending directions of the first member 314 and the second member 315 with the connection part 316 interposed therebetween may be different. In addition, the first member 314 and the second member 315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Also, the extended lengths of the first member 314 and the second member 315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제1부재(314)와 상기 제2부재(315)가 이루는 각(AL)은 180°보다 작으며, 회전력을 안정적으로 견디기 위해 내구성 등을 고려하면 약 90° 전후가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제1부재(314)와 상기 제2부재(315)가 이루는 각(AL)은, 상기 제1부재(314)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는 직선과 상기 제2부재(315)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는 직선의 사이에 형성된 끼임각일 수 있다. The angle AL between the first member 314 and the second member 315 is smaller than 180°, and in consideration of durability, etc. to withstand rotational force stably, about 90° is preferable. In this case, the angle AL formed by the first member 314 and the second member 315 is a straight lin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member 314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member 315 . It may be an included angle formed between a straight line parallel to and.

상기 연결부(316)의 무게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부재(314)의 무게중심을 잇는 직선과 상기 연결부(316)의 무게중심으로부터 상기 제2부재(315)의 무게중심을 잇는 직선 사이의 끼임각일 수 있으며, 또는 제1부재(314)의 접선 및 제2부재(315)의 접선 사이의 끼임각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결부(316)와 상기 제1부재(314) 및 상기 제2부재(315)의 각각의 무게중심은 모두 상기 코어바디축(312)과 수직인 평면상에 존재할 수 있다.It can be the included angle between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irst member 314 from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onnection part 316 and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cond member 315 from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onnection part 316 Alternatively, it may be an included angle between the tangent line of the first member 314 and the tangent line of the second member 315 . In this case, the center of gravity of each of the connection part 316 and the first member 314 and the second member 315 may be o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core body axis 312 .

제2구동링크바디(318)는 베인모터(200)의 구동력을 제2베인(350)에 전달하여, 제2베인(350)을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The second driving link body 318 is a component that transmits the driving force of the vane motor 200 to the second vane 350 to move the second vane 350 .

제2구동링크바디(318)의 일 단은 코어바디(311)에 결합된다. 또는, 제2구동링크바디(318)는 코어바디(3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구동링크바디(318)는 코어바디(311)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구동링크바디(318)의 타 단은 제2베인(350)과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2구동링크바디(318)의 타 단은 제2베인링크(330)의 일 단에 연결되고, 제2베인링크(330)의 타 단은 제2베인(350)의 제2베인리브(354)에 연결된다.One end of the second driving link body 318 is coupled to the core body 311 . Alternatively, the second driving link body 318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re body 311 . The second driving link body 318 extends in one direction from the core body 311 .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riving link body 318 is connected to the second vane 350 . In more detail,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riving link body 318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vane link 330 ,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vane link 330 is the second end of the second vane 350 . It is connected to the vane rib (354).

제2구동링크바디(318)의 타 단에는 제2구동링크축(319)이 형성된다. 제2구동링크바디(318)와 제2베인링크가 체결된 경우, 제2구동링크축(319)과 제2-2베인링크축(333)은 중첩된다.A second driving link shaft 319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riving link body 318 . When the second drive link body 318 and the second vane link are fastened, the second drive link shaft 319 and the 2-2 vane link shaft 333 overlap.

제2구동링크바디(318)는 제1구동링크바디(313)가 연장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된다. The second driving link body 318 extend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driving link body 313 .

제2구동링크바디(318)의 길이는 제1구동링크바디(313)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코어바디(311)에서 제1부재(314)의 단부까지의 길이는, 코어바디(311)에서 제2구동링크바디(318)의 단부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second driving link body 318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driving link body 313 . More specifically, the length from the core body 311 to the end of the first member 314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from the core body 311 to the end of the second driving link body 318 .

코어바디(311)에서 제2구동링크바디(318)의 단부까지의 거리는, 코어바디(311)에서 제2베인(350)과 케이스(100)의 연결점까지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코어바디(311)에서 제2구동링크축(319)까지의 거리는, 코어바디(311)에서 제2-1베인축(352)까지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따라서, 구동링크(310)가 회전하는 경우에, 제2베인(350)과 충돌하지 않고 회전할 수 있고, 제2베인(350)의 회전반경을 제1베인(340)의 회전반경보다 작게 할 수 있다.The distance from the core body 311 to the end of the second driving link body 318 may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core body 311 to the connection point of the second vane 350 and the case 100 . In other words, the distance from the core body 311 to the second driving link shaft 319 may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core body 311 to the 2-1 vane shaft 352 . Therefore, when the driving link 310 rotates, it can rotate without colliding with the second vane 350 , and the rotation radius of the second vane 350 is made smaller than the rotation radius of the first vane 340 . ca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케이스(100)는 링크설치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베인모듈(300)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는 링크설치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인링크바디(321), 상기 구동링크(310) 및 상기 제2베인(350)은 각각은 링크설치부(110)와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링크설치부(110)는 상기 케이스(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100)와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링크설치부(110)가 상기 케이스(100)와 별도로 형성될 경우, 상기 케이스(100)로부터 상기 링크설치부(110)를 분리할 때 상기 베인모듈(300) 또한 한번에 분리될 수 있으므로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분리 교체 또한 용이하다.Referring to FIG. 1 , the cas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ink installation unit 110 . In this case, the vane module 300 may be installed in the link installation unit 110 disposed inside the case 100 . Each of the first vane link body 321 , the driving link 310 , and the second vane 350 may be coupled to the link installation unit 110 to be relatively rotatable. In this case, the link installation unit 11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se 100 , or may be formed as a separate configuration from the case 100 . When the link installation part 110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ase 100, when the link installation part 110 is separated from the case 100, the vane module 300 can also be separated at once, so assembly time can be shortened, and separation and replacement are also easy.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케이스(100)는 케이스(100) 내측에 상기 베인모터(200)가 결합되는 베인모터결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가 상기 링크설치부(110)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베인모터결합부(120)는 상기 링크설치부(11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인모터결합부(120)는 베인모터(200)가 회전할 때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베인모터결합부(120)는 링크설치부(110)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링크설치부(110)의 외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베인모터결합부(120)가 링크설치부(110) 외측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구동링크(310)가 베인모터(20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상기 링크설치부(110)에 베인모터(200)의 축이 관통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cas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vane motor coupling part 120 to which the vane motor 200 is coupled inside the case 100 . When the case 100 includes the link installation part 110 , the vane motor coupling part 120 may be disposed on the link installation part 110 . The vane motor coupling part 120 is configured to be stably supported when the vane motor 200 rotates. The vane motor coupling unit 120 may be disposed inside the link installation unit 110 , or may be disposed outside the link installation unit 110 . When the vane motor coupling unit 120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link installation unit 110 , the drive link 310 is mounted on the link installation unit 110 to receive the driving force from the vane motor 200 . A hole through which the axis of ) can pass may be formed.

상기 베인모터(200)는 스텝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인모터(200)는 상기 구동링크(310)의 코어바디축(312)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링크(310)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는 베인모터(200)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와 일치한다. The vane motor 200 may be a step motor. In addition, the vane motor 20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core body shaft 312 of the driving link 310 . In this case, the rotation direction and rotation speed of the drive link 310 coincide with the rotation direction and rotation speed of the vane motor 200 .

한편, 도 2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2베인(350)은 제2-1베인축(3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베인축(352)은 링크설치부(110)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베인링크바디(321)는 일단이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코어바디(311)의 코어바디축(312)은 상기 제2-1베인축(352)과 상기 제1베인링크바디(321)의 일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링크설치부(110)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링크설치부(110)에, 전방에 제2-1베인축(352)이 배치되고, 후방에 제1베인링크바디(321)의 일단이 배치되며, 상기 제2-1베인축(352)과 상기 제1베인링크바디(321)의 일단의 사이에 상기 코어바디축(312)이 배치된다. 즉, 전면에서 바라볼 때, 제1베인링크바디(321)의 일단, 코어바디축(312), 제2-1베인축(352)이 순서대로 보이도록 링크설치부(110)에 결합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2 and 10 , the second vane 350 may include a 2-1 vane shaft 352 , and the 2-1 vane shaft 352 is a link installation unit 110 . and is rotatably coupled with One end of the first vane link body 321 is coupled to be relatively rotatable. The core body shaft 312 of the core body 311 is disposed between the 2-1 vane shaft 352 and one end of the first vane link body 321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link installation unit 110 . are tightly coupled Based on the discharge flow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a 2-1 vane shaft 352 is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link installation unit 110, and one end of the first vane link body 321 is disposed at the rear, , the core body shaft 312 is disposed between the 2-1 vane shaft 352 and one end of the first vane link body 321 . That is, when viewed from the front, one end of the first vane link body 321, the core body shaft 312, and the 2-1 vane shaft 352 are coupled to the link installation unit 110 so that they are sequentially visible.

또한,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2베인링크(330)는, 제2구동링크바디(318)와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2베인링크축(333)과 제2베인(350)과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1베인링크축(332)을 포함한다. 상기 제2-2베인링크축(333)은 제2베인링크(330)의 일 단에 배치된다. 상기 제2-1베인링크축(332)은 상기 제2베인링크(330)의 타단에 각각 배치된다. 베인모터(200)가 작동하고 구동링크(310)가 회전시, 상기 구동링크(310)의 제2구동링크바디(318)와 상기 제2-2베인링크축(333)은, 구동링크(310)의 코어바디축(31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때, 제2베인(350)의 제2-1베인축(352)은 링크설치부(110)에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구동링크(310)가 회전을 하면서, 제2구동링크바디(318)와 제2베인(350)이 서로 접촉하여 회전에 제한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2베인링크축(333)과 상기 제2-1베인축(352)은 소정 간격 이상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간격은 바람직하게는 제2-2베인링크축(333)과 제2-1베인축(352)이 최단거리가 되도록 위치되어 서로 접했을 때의 상기 제2-2베인링크축(333)과 상기 제2-1베인축(352) 사이의 간격으로 정의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2 and 8 , the second vane link 330 includes a 2-2 second vane link shaft 333 and a second vane ( 333 ) connected to be relatively rotatable with the second driving link body 318 . 350) and a 2-1th vane link shaft 332 connected to be relatively rotatable. The 2-2 vane link shaft 333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second vane link 330 . The 2-1 vane link shaft 332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vane link 330, respectively. When the vane motor 200 operates and the drive link 310 rotates, the second drive link body 318 of the drive link 310 and the 2-2 vane link shaft 333 of the drive link 310 are connected to the drive link 310 ) rotates about the core body axis (312). At this time, since the position of the 2-1 vane shaft 352 of the second vane 350 is fixed to the link installation unit 110, the driving link 310 rotates while the second driving link body 318 is rotated. and the second vane 350 may contact each other, thereby limiting rotation. In order to prevent such interference, the 2-2nd vane link shaft 333 and the 2-1th vane shaft 352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The gap is preferably positioned so that the 2-2nd vane link shaft 333 and the 2-1 vane shaft 352 have the shortest distance so that the 2-2nd vane link shaft 333 and It may be defined as an interval between the second-first vane shafts 352 .

또한, 상기 제2베인링크(330)는, 도 8을 참조하면, 구동링크(310)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2베인(350)과의 접촉 또는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굴곡진 형상일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8 , the second vane link 330 may have a curved shape so that contact or interference with the second vane 350 does not occur while the driving link 310 rotates.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베인(340)은 회전을 하고,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토출구(101)를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이때 토출구(101)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제1베인(340)이 회전하는 방향을 제1회전방향(R1)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1회전방향(R1)은 도 4를 참조할 때, 반시계방향이다.2 and 4 , the first vane 340 rotates, and the discharge port 101 may be opened or closed depending on the rotation direction. At this time,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vane 340 allowing the discharge port 101 to be opened is defined as a first rotation direction R1 .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R1 is counterclockwise when referring to FIG. 4 .

상기 제1베인(340)이 상기 제1회전방향(R1)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베인(340)의 적어도 일부는 제1구동링크바디(313)의 연결부(316)와 가까워진다. When the first vane 340 rotates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R1 ,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vane 340 approaches the connection part 316 of the first driving link body 313 .

상기 제1베인(340)은, 도 9를 참조하면, 공기의 토출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토출공기가 베인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이 제1베인 전단(345)이고, 토출공기가 베인에 가까워지는 측이 제1베인 후단(346)이다. 상기 제1베인(340)이 제1회전방향(R1)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베인(340)의 후단이 제1구동링크바디(313)의 연결부(316)와 가까워질 수 있다. The first vane 340, referring to FIG. 9, based on the discharge flow direction of the air, the side from which the discharge air moves away from the vane is the first vane front end 345, and the side through which the discharge air approaches the vane is It is the rear end 346 of the first vane. When the first vane 340 rotates in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R1 , the rear end of the first vane 340 may come closer to the connecting portion 316 of the first driving link body 313 .

상기 제2부재(315)의 타 단에 배치된 회전축은 상기 제1베인(340)의 제1-1베인축(342)과 일치할 수 있다. 코어바디(311)에 배치된 축 과 코어바디축(312)의 중심은 서로 일치할 수 있다. 제2부재(315)의 타 단에 배치된 회전축은 코어바디축(312)과 직선을 형성한다. 상기 제1베인(340)이 제1회전방향(R1)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베인(340)의 후단은 상기 직선을 지나 상기 연결부(316)과 가까워질 수 있다.The rotation shaft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member 315 may coincide with the first-first vane shaft 342 of the first vane 340 . The axis disposed on the core body 311 and the center of the core body shaft 312 may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rotation shaft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member 315 forms a straight line with the core body shaft 312 . When the first vane 340 rotates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R1 , the rear end of the first vane 340 may pass through the straight line and approach the connection part 316 .

상기 제1베인(340)이 제1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베인(340)의 후단은 상기 연결부(316)와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제1베인(340)은 더 이상 제1회전방향(R1)으로 더 이상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316)는 제1베인(340)의 최대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 When the first vane 340 rotates in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R1 , the rear end of the first vane 340 may contact the connection part 316 . At this time, the first vane 340 no longer rotates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R1 any longer. Accordingly, the connection part 316 serves as a stopper limiting the maximum rotation range of the first vane 340 .

또한, 상기 제1구동링크바디(313)는 굴곡진 형상일 수 있고, 절곡된 형상일 수도 있다. 이때, 제1구동링크바디(313)의 연결부(316)는, 제1베인(340)이 최대 회전범위로 회전했을 때의 제1베인(340)의 후단과 접촉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first driving link body 313 may have a curved shape or a bent shape. At this time, the connecting portion 316 of the first driving link body 313 is formed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rear end of the first vane 340 when the first vane 340 rotates in the maximum rotation range.

또한, 토출구(101)가 개방될 때, 제1베인(340)은 제1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고, 구동링크(310)는 제2회전방향(R2)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2회전방향(R2)은 상기 제1회전방향(R1)의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링크바디(313)의 제2부재(315)는 연결부(316)로부터 상기 제2회전방향(R2)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Also, when the discharge port 101 is opened, the first vane 340 rotates in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R1 , and the driving link 310 rotates in the second rotational direction R2 .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R2 may be opposite to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R1. The second member 315 of the first driving link body 313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316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rotational direction R2.

한편, 제1베인(340)의 회전범위는, 실내기가 정지하여 상기 제1베인(340)이 토출구(101)를 폐쇄한 상태에서의 제1베인(340) 각도를 기준으로 한다. . 이때, 상기 제1베인(340)의 최대 회전각도(Amax)는 15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40°일 수 있다.이때, 상기 제1베인(340)의 최대 회전각도(Amax)는 제1베인(340)의 후단이 구동링크(310)의 연결부(316)와 접촉되어 더 이상 제1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형성된 각도이다. 상기 최대 회전각도(Amax)는 제1베인링크(320)의 양 축(322, 323)간의 거리, 제1베인리브(344)의 양 축(342, 343)간의 거리, 코어바디축(312)과 제1구동링크축(317)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최대 회전각도(Amax)는 상기 제1부재(314)와 제2부재(315) 사이의 휨 각도(AL)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베인링크(320)의 양 축(322, 323)간의 거리, 제1베인리브(344)의 양 축(342, 343)간의 거리 및 코어바디축(312)과 제1구동링크축(317) 사이의 거리가 각각 동일하다 가정할 때, 상기 제1부재(314)와 제2부재(315) 사이의 끼임각(AL)이 작을수록 제1베인(340)의 후단이 구동링크(310)의 연결부(316)측으로 더욱 더 깊이 삽입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최대 회전각도(Amax)는 더욱 더 증가될 수 있다. Meanwhile, the rotation range of the first vane 340 is based on the angle of the first vane 340 when the indoor unit is stopped and the first vane 340 closes the discharge port 101 . . At this time, the maximum rotation angle Amax of the first vane 340 may be 150°, preferably 140°. In this case, the maximum rotation angle Amax of the first vane 340 is the second This is an angle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end of the first vane 340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connecting portion 316 of the driving link 310 to prevent further rotation in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R1. The maximum rotation angle Amax is a distance between both axes 322 and 323 of the first vane link 320, a distance between both axes 342 and 343 of the first vane rib 344, and a core body axis 312.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distance between the and the first driving link shaft 317 . In addition, the maximum rotation angle Amax may vary according to a bending angle AL between the first member 314 and the second member 315 . For example, the distance between both axes 322 and 323 of the first vane link 320, the distance between both axes 342 and 343 of the first vane rib 344, and the core body shaft 312 and the first drive Assuming that the distances between the link shafts 317 are the same, the rear end of the first vane 340 is driven as the included angle AL between the first member 314 and the second member 315 is smaller. The link 310 may be further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ortion 316 side, and in this case, the maximum rotation angle Amax may be further increased.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베인모듈(300)은 상기 토출구(101) 측에 배치되는 제1베인(340)을 포함할 수 있다. 1 and 9 , the vane module 300 may include a first vane 340 disposed on the outlet 101 side.

제1베인(340)은 토출구(101)에 배치되어,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제1베인(340)은 상기 제1구동링크바디(313)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베인링크바디(321)의 타단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vane 340 is a component that is disposed at the discharge port 101 and guides the discharged air. The first vane 340 may be relatively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link body 313 , and may be relatively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vane link body 321 .

본 실시예에서 제1베인(340)은 제1베인바디(341)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베인바디(341)는 토출구(10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vane 340 may include a first vane body 341 , and the first vane body 341 may be formed to exten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port 101 .

도 9를 참조하면, 제1베인(340)의 방향을 정의한다.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제1베인(340)의 안내를 받아 공기가 토출되는 쪽이 전방이다. 제1베인(340)의 안내를 받기 전의 공기가 유입되는 측이 후방이다. 수평토출모드를 기준으로, 제1베인(340)의 상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안내하는 면을 상면이라 한다. 상면에 대향하고, 제1베인(340)의 하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안내하는 면을 하면이라 한다. 공기조화기를 바라볼 때, 제1베인(340)의 왼쪽을 좌측이라 하고, 제1베인(340)의 우측을 우측이라 한다.Referring to FIG. 9 , the direction of the first vane 340 is defined. Based on the flow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the side through which the air is discharged by receiving the guidance of the first vane 340 is the front. The side through which the air before being guided by the first vane 340 is introduced is the rear. Based on the horizontal discharge mode, the surface that guides the air flowing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vane 340 is referred to as the upper surface. The surface facing the upper surface and guiding the air flowing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vane 340 is referred to as the lower surface. When looking at the air conditioner, the left side of the first vane 340 is referred to as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first vane 340 is referred to as the right side.

제1베인(340)은 상기 전방과 상기 후방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폭을 형성한다. 전체적으로 토출구(101)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제1베인(340)의 폭은 전단과 후단 사이의 거리로 설명할 수 있다. 제1베인(340)의 길이는 좌측단과 우측단 사이의 거리로 설명할 수 있다.The first vane 340 forms a width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front and the rear. As a whole, the discharge port 101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width of the first vane 340 may be described as a distance between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The length of the first vane 340 may be described as a distance between the left end and the right end.

또한, 제1베인(340)은,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베인(340)의 상측에 돌출 형성된 제1베인리브(3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베인리브(344)는 제1베인(340)의 상면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Also, referring to FIGS. 9 and 11 , the first vane 340 may include a first vane rib 344 protru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rst vane 340 . The first vane rib 344 may be disposed behi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vane 340 .

상기 제1베인리브(344)에는 제1구동링크바디(313)의 제1구동링크축(317)과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1베인축(342)이 형성된다. 제1구동링크바디(313)가 제1베인(340)에 연결될 때, 제1구동링크축(317)과 제1-1베인축(342)은 중첩된다.A first-first vane shaft 342 connected to the first drive link shaft 317 of the first drive link body 313 so as to be relatively rotatable is formed on the first vane rib 344 . When the first driving link body 313 is connected to the first vane 340 , the first driving link shaft 317 and the 1-1 vane shaft 342 overlap.

상기 제1베인리브(344)에는 제1베인링크바디(321)의 제1-1베인링크축(322)과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2베인축(343)이 형성된다. 제1베인리브(344)가 제1베인링크(3240)에 연결될 때, 제1-1베인링크축(322)이 과 제1-2베인축(343)보다 링크설치부(110)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은 중첩될 수 있다.중첩된다.The first vane rib 344 is formed with a first-second vane shaft 343 connected to the first-first vane link shaft 322 of the first vane link body 321 to be relatively rotatable. When the first vane rib 344 is connected to the first vane link 3240, the 1-1 vane link shaft 322 is closer to the link installation unit 110 than the 1-2 vane shaft 343 and may be disposed, and may also be overlapped with each other. Overlapping.

또한, 상기 제1베인리브(344)에서 상기 제1-1베인축(342)은 제1베인(340)의 후단측, 상기 제1-2베인축(343)은 제1베인(340)의 전단측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1베인축(342)은 제1-2베인축(343)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 구동링크(310)와 제1베인(340)의 연결점은, 제1베인링크(320)와 제1베인(340)의 연결점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제1베인리브(344)에 형성된 두개의 축(342, 343)이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구동링크(310)가 제2회전방향(R2)으로 회전시, 제1베인(340)은 제1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고, 동시에 제1베인(340)은 토출구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구동링크(310)가 제2회전방향(R2)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 제1베인(340)은 제1회전방향(R1)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동시에 제1베인(340)은 토출구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first vane rib 344 , the 1-1 vane shaft 342 is the rear end side of the first vane 340 , and the 1-2 vane shaft 343 is the first vane 340 . It may be disposed close to the front end. In other words, the 1-1 vane shaft 342 is disposed behind the 1-2 vane shaft 343 . In other words, the connection point of the driving link 310 and the first vane 340 is disposed behind the connection point of the first vane link 320 and the first vane 340 . As the two shafts 342 and 343 formed on the first vane rib 344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when the driving link 310 rotates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R2, the first vane 340 is It rotates in one rotational direction R1,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vane 340 moves to the rear of the discharge port. Conversely, when the driving link 310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econd rotational direction R2, the first vane 340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R1,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vane 340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R1. It moves to the front of the discharge port.

또한, 제2부재(315)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부재(315)의 일 단과 상기 제1-1베인축(342)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1베인축(342)과 상기 제1-2베인축(343) 사이의 최단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구동링크바디(313)에서 제2부재(315)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기울기의 접선이 형성되는 지점들 중, 제1-1베인축(342)과 더 먼 지점으로부터 제1-1베인축(342) 중심과의 거리가, 제1-1베인축(342) 중심과 제1-2베인축(343) 사이의 최단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In addition,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member 315, the distance between one end of the second member 315 and the 1-1 vane shaft 342 is the 1-1 vane shaft 342 and It may be shorter than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vane shafts 343 . Specifically, among the points at which a tangent line of inclina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member 315 is formed in the first driving link body 313 , the first from a point further away from the 1-1 vane shaft 342 .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1 vane shaft 342 may be shorter than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1-1 vane shaft 342 and the 1-2 vane shaft 343 .

이는 제1베인(340)의 폐쇄단계에서 제1베인(340)은 상기 제1회전방향(R1)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구동링크(310)는 상기 제2회전방향(R2)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때 상기 제1구동링크바디(313)의 일부가 상기 제1베인리브(344)의 제1-1베인축(342) 과 제1-2베인축(343) 사이 공간으로 이동하고, 그 과정에서 제1베인(340)과 구동링크(310)간에 간섭이 발생하여 제1베인(340)의 회전범위가 제한될 수 있기 때문이다.In this case, in the closing step of the first vane 340 , the first vane 340 rotat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R1 , and the driving link 310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econd rotational direction R2 . At this time, a part of the first driving link body 313 moves into the space between the 1-1 vane shaft 342 and the 1-2 vane shaft 343 of the first vane rib 344 and , because interference occurs between the first vane 340 and the driving link 310 in the process, so that the rotation range of the first vane 340 may be limited.

연결부(316)와 제1구동링크축(317)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1베인축(342)과 상기 제1-2베인축(343) 사이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따라서, 제1베인(340)이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토출구(101)를 차폐할 때, 제2부재가 제1-1베인축(342)과 제1-2베인축(343)사이에 배치된다.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part 316 and the first driving link shaft 317 may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1-1 vane shaft 342 and the 1-2 vane shaft 343 . Accordingly, when the first vane 340 rotates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to shield the discharge port 101 , the second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1-1 vane shaft 342 and the 1-2 vane shaft 343 . are placed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베인(340)은 토출구(101)에 배치되고,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9 and 11 , the first vane 340 is disposed at the discharge port 101 and is formed in a plate shape.

제1베인(340)의 상면은 제1베인(340)이 토출구를 차폐할 때, 내측인 공기유입방향 상에 배치되는 면이다. 제1베인(340)의 하면은 제1베인(340)이 토출구를 차폐할 때, 외측인 공기토출방향 상에 배치되는 면이다. 제1베인(340)의 전방면은 제1베인(340)이 토출구를 차폐할 때, 토출구의 상단에 배치되는 면이다. 제1베인(340)의 후방면은 제1베인(340) 중 가장 먼저 토출공기와 접촉한다. 제1베인(340)의 후방면은 제1베인(340)의 토출구를 차폐할 때, 토출구의 하단에 배치되는 면이다. 제1베인(340)의 후방면은 전방면에 대향한다. 제1베인(340)은 토출구의 좌측단에 배치되는 좌측면을 갖는다. 제1베인(340)은 좌측면에 대향하는 우측면을 갖는다. 제1베인(340)의 우측면은 토출구의 우측단에 배치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vane 340 is a surface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air inflow direction when the first vane 340 shields the discharge 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vane 340 is a surface disposed on the outside air discharge direction when the first vane 340 shields the discharge port.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vane 340 is a surface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outlet when the first vane 340 shields the outlet.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vane 340 first contacts the discharge air among the first vanes 340 .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vane 340 is a surfac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ort when shielding the discharge port of the first vane 340 .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vane 340 faces the front surface. The first vane 340 has a left surface disposed at the left end of the discharge port. The first vane 340 has a right side opposite to the left side. The right side of the first vane 340 is disposed at the right end of the discharge port.

다시 말해, 토출구는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제1베인(340)은 좌우로 길게 형성된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In other words,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to be elongated left and right, and the first vane 340 is formed in a plate shape elongated from side to side.

도 11을 참조하면, 제1베인(340)은 상면 또는 하면에 곡률(C,Curvature)을 포함한다. 제1베인(340)은 상면 또는 하면에 이중으로 곡률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 the first vane 340 includes a curvature C (Curvature) on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The first vane 340 may include a double curvature on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도 11을 참조하면, 제1베인(340)은 토출구(101)의 길이방향으로 상면 또는 하면에 제1,2곡률(c1,c2)을 포함한다. 제1,2곡률(c1,c2)은 토출구(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제1베인(340)은 제1,2곡률(c1,c2)을 포함하는 바, 제1베인(340)의 양 측단과 제1베인(340)의 중앙은 높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11 , the first vane 340 includes first and second curvatures c1 and c2 on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let 101 . The first and second curvatures c1 and c2 are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port 101 . The first vane 340 includes first and second curvatures c1 and c2 , and both side ends of the first vane 340 and the center of the first vane 340 have different heights.

공기조화기가 가동하는 경우에는 제1베인(340)은 토출구(101)를 차폐하지 않으며, 제1베인(340)의 양 측단과 제1베인(340)의 중앙은 다른 높이를 가지며 배치되고, 토출공기를 안내한다. When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ing, the first vane 340 does not block the discharge port 101 , and both side ends of the first vane 340 and the center of the first vane 340 have different heights and are disposed and discharged. guide the air

공기조화기가 정지한 경우에는 제1베인(340)은 토출구(101)를 차폐하며, 자중에 의하여 제1베인(340)의 중앙은 하방으로 처진다. 제1,2곡률(c1,c2)을 갖는 제1베인이 변형됨에 따른 복원력과 자중에 의한 하중이 일치하는 경우, 제1베인(340)은 평평한 평판으로 되어 토출구(101)를 긴밀히 차폐한다.When the air conditioner is stopped, the first vane 340 shields the discharge port 101, and the center of the first vane 340 droops downward by its own weight. When the restoring force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first vane having the first and second curvatures c1 and c2 matches the load due to its own weight, the first vane 340 becomes a flat plate to closely shield the outlet 101 .

제1베인(340)은 제1,2곡률(c1,c2)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면 또는 하면에 제3곡률(c3)을 포함한다. 제1베인(340)은 제1,2곡률(c1,c2)과 제3곡률(c3)이 이중으로 포함될 수 있다.The first vane 340 includes a third curvature c3 on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and second curvatures c1 and c2. The first vane 340 may include the first and second curvatures c1 and c2 and the third curvature c3 double.

도 12는 제1베인(340)의 각 위치별로 좌측 단면도를 제공한다. 도 12a는 A-A'에서 좌측을 바라본 단면도로, 단면의 상방으로 중앙부(349)가 도시된다. 도 12b는 B-B'에서 좌측을 바라본 단면도로, 중앙부(349) 및 중앙부의 하방으로 우측면(348)이 도시된다. 도 12c는 C-C'에서 좌측을 바라본 단면도로, 단면의 하방으로 우측면(348)이 도시된다.12 provides a left sectional view for each position of the first vane 340 . 12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from A-A' on the left,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349 is shown above the cross-section. 12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from B-B' to the left, showing a central portion 349 and a right side 348 below the central portion. 12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from C-C' to the left, with a right side 348 shown below the cross-section.

제1베인(340)은, 공기토출방향과 수직하는 면 상에 형성되고, 토출구(10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곡률(c1)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도 11을 참조하면, 제1베인(340)의 상면이 상방으로 볼록하도록 제1곡률(c1)을 갖는다. 이때에는 제1곡률중심(e1)은 제1베인(340)의 하방에 배치된다.The first vane 340 is formed on a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air discharge direction, and has a first curvature c1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port 101 . Preferably, referring to FIG. 11 ,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vane 340 has a first curvature c1 so as to be upwardly convex. In this case, the first center of curvature e1 is disposed below the first vane 340 .

제1곡률(c1)은 제1베인(340)이 토출구(101)를 차폐할 때를 기준으로 공기토출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1베인(340)이 토출구(101)를 차폐할 때를 기준으로 공기토출방향은 제1베인(340)의 하면에 해당하고, 제1곡률(c1)은 하면이 오목하도록 제1곡률(c1)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urvature c1 is concavely formed in the air discharging direction based on when the first vane 340 shields the discharge port 101 . When the first vane 340 shields the discharge port 101, the air discharge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vane 340, and the first curvature c1 has a first curvature c1 so that the lower surface is concave. ) can be formed.

제1곡률(c1)은 상면이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The first curvature c1 has an upper surface convex upward.

제1베인(340)은 양 측단(347,348)에서 지지되며, 제1베인의 중앙부(349)은 자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처진다. 따라서, 제1베인(340)이 토출구(101)를 차폐하는 경우, 제1베인의 중앙부(349)는 하방으로 처지는 바, 토출구(101)의 중앙이 긴밀히 차폐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The first vane 340 is supported at both side ends 347 and 348, and the central portion 349 of the first vane droops downward by its own weight. Therefore, when the first vane 340 shields the discharge port 101, the central portion 349 of the first vane sags downward, and thus, the center of the discharge port 101 is not tightly shielded.

한편, 제1베인(340)의 내측에서 제1베인(340)의 회전을 안내하는 제3베인링크(360)가 배치되는 경우, 제1베인(340)이 상승하는 경우에는 제3베인링크(360)에 의하여 저항이 발생한다. 따라서, 제1베인(340)이 이동시 제1베인의 중앙부(349)에는 슬립이 발생한다. 그 결과, 제1베인(340)이 토출구(101)를 차폐하는 경우, 상기 슬립현상에 의하여, 토출구(101)의 중앙이 긴밀히 차폐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rd vane link 360 guiding the rotation of the first vane 340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vane 340, when the first vane 340 rises, the third vane link ( 360) causes resistance. Accordingly, when the first vane 340 moves, slip occurs in the central portion 349 of the first vane. As a result, when the first vane 340 shields the outlet 101, the slip phenomenon causes a problem in that the center of the outlet 101 is not tightly shielded.

따라서, 제1베인(340)이 토출구를 차폐하는 경우, 제1베인(340)의 자중에 의한 처짐 또는 제3베인링크(360)에 의한 슬립현상으로 중앙부가 긴밀하게 차폐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2곡률(c1,c2)은 상면이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하여, 제1베인(340)의 자중에 의한 처짐 또는 제3베인링크(360)에 의해 슬립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제1베인(340)은 토출구(101)를 긴밀하게 차폐한다.Therefore, when the first vane 340 shields the discharge po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entral portion is not tightly shielded due to sagging due to the weight of the first vane 340 or a slip phenomenon due to the third vane link 360 .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curvatures c1 and c2 are formed so that the upper surface is convex upward, so that the first vane 340 sags due to its own weight or the slip phenomenon occurs due to the third vane link 360 . Even so, the first vane 340 tightly shields the discharge port 101 .

도 11을 참조하면, 제1곡률(c1)은 제1베인(340)의 전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에, 제1베인(340)은 제1베인(340)의 후단에 제2곡률(c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곡률(c2)은 제1베인(340)의 후단에 형성되고, 제1곡률(c1)의 제1곡률반경(d1)과 다른 제2곡률반경(d2)을 갖는다. 제1곡률반경(d1)은 제2곡률반경(d2)보다 짧게 형성된다. 도 13을 예를 들면, 측방에서 볼 때, 제1베인(340)의 중앙부(349)의 후단은 제1베인(340)의 측단부(347,348)의 후단에서부터 접선방향으로 3.4mm 정도 후방으로 벗어날 수 있고, 법선방향으로 3.4mm 정도 상방으로 벗어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베인(340)의 중앙부(349)의 전단은 제1베인(340)의 측단부의 후단에서부터 접선방향으로 3.5mm 정도 전방으로 벗어날 수 있고, 법선방향으로 3.4mm 정도 상방으로 벗어나게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the first curvature c1 may b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vane 340 . In this case, the first vane 340 may have a second curvature c2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vane 340 . The second curvature c2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vane 340 and has a second radius of curvature d2 different from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d1 of the first curvature c1.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d1 is shorter than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d2. 13, for example,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rear end of the central portion 349 of the first vane 340 deviates backward by about 3.4 mm in the tangential direction from the rear end of the side ends 347 and 348 of the first vane 340. and may be arranged to deviate upward by about 3.4 mm in the normal direction. 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central portion 349 of the first vane 340 may deviate forward by about 3.5 mm in the tangential direction from the rear end of the side end of the first vane 340, and is disposed to deviate upward by about 3.4 mm in the normal direction. can be

도 14를 참조하면, 제1곡률반경(d1)은 제2곡률반경(d2)보다 짧게 형성되는 바, 제1베인(340)의 전단은 제1베인(340)의 후단보다 급격한 굴곡을 갖는다. 제3베인링크(360)는 제1베인(340)의 후반부에 배치되는 바, 제3베인링크(360)에서 슬립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1베인(340)의 후단보다 제1베인(340)의 전단에서 차이가 더욱 극명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제1곡률반경(c1)을 제2곡률반경(c2)보다 짧게 형성하여, 제3베인링크(360)에서 슬립이 발생하는 경우에 제1베인(340)의 전단과 후단이 균일한 폭만큼 슬립되어 평면이 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14 ,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d1 is shorter than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d2 , and the front end of the first vane 340 has a sharper curvature than the rear end of the first vane 340 . The third vane link 360 is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vane 340 , and when slip occurs in the third vane link 360 , the first vane 340 rather than the rear end of the first vane 340 . The difference is more pronounced at the shear of the Therefore, when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c1 is formed shorter than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c2, when slip occurs in the third vane link 360,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first vane 340 have a uniform width. Slip as much to make it flat.

제1곡률(c1)의 곡률중심(e1)과 제2곡률(c2)의 곡률중심(e2)은 일치할 수 있다. The center of curvature e1 of the first curvature c1 may coincide with the center of curvature e2 of the second curvature c2.

도 11을 참조하면, 제1베인(340)은 제1곡률(c1)의 형성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3곡률(c3)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제3곡률(c3)은 토출구(101)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도 13을 참조하면, 제1베인(340)의 상면이 상방으로 볼록하도록 제3곡률(c3)을 갖는다. 이때에는 제3곡률중심(e3)은 제1베인(340)의 상방에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11 , the first vane 340 includes a third curvature c3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first curvature c1 . In other words, the third curvature c3 is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port 101 an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Preferably, referring to FIG. 13 ,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vane 340 has a third curvature c3 to be upwardly convex. In this case, the third center of curvature e3 is disposed above the first vane 340 .

제3곡률(c3)은 제1곡률(c1)의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곡률(c3)은 토출구(101)의 길이방향의 수직으로 형성된다.The third curvature c3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first curvature c1 . In other words, the third curvature c3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port 101 .

제3곡률(c3)은 제1베인(340)이 토출구(101)를 차폐할 때를 기준으로, 공기토출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제1베인(340)이 토출구(101)를 차폐할 때를 기준으로 공기토출방향이라 함은 제1베인(340)의 하방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제3곡률(c3)은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The third curvature c3 is formed to be convex in the air discharge direction when the first vane 340 shields the discharge port 101 . When the first vane 340 shields the discharge port 101 , the air discharge direction refers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vane 340 . In other words, the third curvature c3 is convex downward.

제3곡률(c3)의 곡률중심(e3)은 제1베인(340)을 기준으로, 제1곡률의 곡률중심(e1)의 반대쪽에 배치된다. 즉, 도 13을 참조하면, 제1곡률의 곡률중심(e1)은 제1베인(340)의 하방에 위치하고, 제3곡률의 곡률중심(e3)은 제1베인(340)의 상방에 위치한다.The center of curvature e3 of the third curvature c3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enter of curvature e1 of the first curvature with respect to the first vane 340 . That is, referring to FIG. 13 , the center of curvature e1 of the first curvature is located below the first vane 340 , and the center of curvature e3 of the third curvature is located above the first vane 340 . .

제1곡률(c1)과 제3곡률(c3)은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바, 외부의 충격과 변형에 강한 효과가 있다.The first curvature c1 and the third curvature c3 are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each other, and thus have a strong effect on external impact and deformation.

제1곡률(c1)과 제3곡률(c3)은 제1베인(340)을 기준으로 곡률중심이 반대방향에 배치되는 바, 충격과 변형에 강한 효과가 있다.The first curvature c1 and the third curvature c3 have the center of curvature dispos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first vane 340 , and thus have a strong effect on impact and deformation.

제1베인링크(320)는 제1베인(340)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제1베인링크(320)는 구동링크(310)와 함께 제1베인(340)의 움직임을 안내한다.The first vane link 320 is a component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vane 340 . The first vane link 320 guides the movement of the first vane 340 together with the driving link 310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베인링크(320)의 일 단은 케이스(100)와 연결되고, 타 단은 제1베인(340)에 연결된다. 제1베인링크(320)는 케이스(100)와의 연결점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한다. 제1베인링크(320)와 케이스(100)와의 연결점은 제1-2베인링크축(323)으로 정의한다. 제1베인(340)은 제1-2베인링크축(323)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궤적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1 and 2 , one end of the first vane link 320 is connected to the case 100 ,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vane 340 . The first vane link 320 rotates with the connection point to the case 100 as a rotation axis. A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first vane link 320 and the case 100 is defined as a 1-2 vane link shaft 323 . The first vane 340 may move along a virtual circular trajectory centering on the 1-2 vane link shaft 323 .

제1베인링크(320)는 제1베인링크바디(321)를 포함한다. 제1베인링크바디(321)는 제1베인링크(320)의 외형을 형성한다. The first vane link 320 includes a first vane link body 321 . The first vane link body 321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first vane link 320 .

제1베인링크바디(321)는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베인링크바디(321)는 구동링크(310)의 반대방향으로 볼록한 굴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링크(310)가 회전시 제1베인링크바디(321)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The first vane link body 321 may be formed to be curved. The first vane link body 321 may include a convex bent por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driving link 310 . Accordingly, the driving link 310 maintains a spaced apart state from the first vane link body 321 when rotating.

제1베인링크(320)는 제1-2베인링크축(323)을 포함한다. 제1-2베인링크축(323)은 제1베인링크바디(321)의 일 단에 배치된다. 제1-2베인링크축(323)은 제1베인링크(320)와 케이스(100)와의 연결점과 일치한다.The first vane link 320 includes a 1-2 vane link shaft 323 . The 1-2 vane link shaft 323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first vane link body 321 . The 1-2 vane link shaft 323 coincides with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first vane link 320 and the case 100 .

제1베인링크(320)는 제1-1베인링크축(322)을 포함한다. 제1-1베인링크축(322)은 제1베인링크바디(321)의 타 단에 배치된다. 제1-1베인링크축(322)은 제1베인링크(320)와 제1베인(340)과의 연결점과 일치한다. 즉, 제1베인링크(320)와 제1베인(340)이 연결할 때, 제1-1베인링크축(322)과 제1-2베인축(343)은 중첩된다.The first vane link 320 includes a 1-1 vane link shaft 322 . The 1-1 vane link shaft 322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vane link body 321 . The 1-1 vane link shaft 322 coincides with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first vane link 320 and the first vane 340 . That is, when the first vane link 320 and the first vane 340 are connected, the 1-1 vane link shaft 322 and the 1-2 vane shaft 343 overlap.

제1베인링크(320)는 구동링크(310)의 전방에 배치된다. 구동링크(310)가 일 방향으로 회전시, 제1베인링크(320)는 회전하면서 제1베인(340)을 전방으로 안내한다.The first vane link 32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driving link 310 . When the driving link 310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first vane link 320 guides the first vane 340 forward while rotating.

공기조화기는 일 단이 케이스에 연결되고, 타 단이 제1베인(340)의 상면에 연결되되, 제1베인링크(320)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제3베인링크(360)를 더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3베인링크(360)의 일 단은 토출구(101)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3베인링크(360)는 제1베인(340)의 좌측단에 체결되는 제1베인링크(320)와 제1베인(340)의 우측단에 체결되는 제1베인링크(320) 사이에 배치된다. 제3베인링크(360)는 좌우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3베인링크(360)는 제1베인링크(320)의 내측에 배치되어, 제1베인(340)의 중앙부(349)의 자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한다. The air conditioner further includes a third vane link 36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ase,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vane 340 , and disposed inside the first vane link 320 . Referring to FIG. 1 , one end of the third vane link 36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outlet 101 . The third vane link 36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vane link 320 fastened to the left end of the first vane 340 and the first vane link 320 fastened to the right end of the first vane 340 . do. The third vane link 360 may be symmetrically disposed. The third vane link 360 is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first vane link 320 to prevent sagging due to the weight of the central portion 349 of the first vane 340 .

하지만, 제3베인링크(360)는 제1베인(340)이 회전시 슬립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베인링크(360)와 케이스의 연결점에서 마찰력이 존재하는 경우, 제1베인(340) 회전시 제3베인링크(360)가 저항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제1베인(340) 회전시 슬립을 발생시킬 수 있다.However, the third vane link 360 may generate a slip when the first vane 340 rotates. For example, when a frictional force exists at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third vane link 360 and the case, the third vane link 360 may act as a resistance when the first vane 340 rotates, and the first vane 340 Slip may occur during rotation.

제3베인링크(360)와 제1베인(340)의 연결점은 제1베인링크(320)와 제1베인(340)의 연결점보다 상방에 배치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3베인링크(360)와 제1베인(340)의 연결점은 제1베인링크(320)와 제1베인(340)의 연결점과 이격되게 배치되며, 회전축을 상이하게 하여 제1베인(340)을 진동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제1베인(340)의 중앙부(349)는 제1곡률(c1)에 의하여 상방으로 소정거리만큼 돌출되는 바, 제3베인링크(360)와 제1베인(340)의 연결점은 제1베인링크(320)와 제1베인(340)의 연결점보다 상방에 배치되며, 제1베인(340)이 회전하는 경우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The connection point of the third vane link 360 and the first vane 340 is disposed above the connection point of the first vane link 320 and the first vane 340 . 13, the connection point of the third vane link 360 and the first vane 340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on point of the first vane link 320 and the first vane 340, and the axis of rotation is different to This is to stably support the first vane 340 from vibration. Further, the central portion 349 of the first vane 340 protrudes up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y the first curvature c1, and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third vane link 360 and the first vane 340 is the first It is disposed above the connection point of the vane link 320 and the first vane 340, and is stably supported when the first vane 340 rotates.

도 13을 참조하면, 제1베인(340)과 제1베인링크(320)의 연결점은 제1베인(340)과 제1구동링크바디(313)의 연결점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베인(340)과 제1베인링크(320)의 연결점은 제1베인(340)의 후단에 배치된다. 제1베인(340)과 제1구동링크바디(313)의 연결점은 제1베인(340)과 제1베인링크(320)의 연결점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제1베인(340)과 제1베인링크(320)의 연결점은 제1베인(340)과 제1구동링크바디(313)의 연결점과 이격되게 배치되므로, 구동링크(310)가 회전시 제1베인(340)은 회전운동과 함께 병진운동도 가능해진다. 하지만, 병진운동을 하게 되면, 슬립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제3베인링크(360)가 제1베인(340)의 회전운동을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없다. 따라서, 제1베인(340)에 제1곡률(c1) 또는 제2곡률(c2)을 형성하여 제1베인(340)의 슬립을 방지한다.Referring to FIG. 13 , the connection point of the first vane 340 and the first vane link 320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on point of the first vane 340 and the first driving link body 313 . The connection point of the first vane 340 and the first vane link 320 is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vane 340 . The connection point of the first vane 340 and the first driving link body 313 is disposed in front of the connection point of the first vane 340 and the first vane link 320 . Since the connection point of the first vane 340 and the first vane link 320 is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on point of the first vane 340 and the first driving link body 313, when the driving link 310 rotates, the first The vane 340 is also capable of translational motion along with rotational motion. However, when the translational motion occurs, the third vane link 360 cannot effectively guide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first vane 340 because a slip phenomenon occurs. Accordingly, slip of the first vane 340 is prevented by forming the first curvature c1 or the second curvature c2 on the first vane 340 .

도 13을 참조하면, 제1베인(34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의 전단과 후단을 잇는 가상의 제1직선(L1)은 제1베인(340)의 중앙부의 전단과 후단을 잇는 가상의 제2직선(L2)과 서로 교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직선(L1)과 제2직선(L2)은 제1베인(340)의 후방에서 서로 교차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베인(340)의 좌측단(347)의 전단과 후단을 잇는 가상의 제1직선(L1)은 제1베인(340)의 중앙부의 전단과 후단을 잇는 가상의 제2직선(L2)과 서로 교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직선(L1)과 제2직선(L2)은 제1베인(340)의 후방에서 서로 교차한다. 다시 말해, 교점(e4)을 중심으로, 제2직선(L2)의 기울기는 제1직선(L1)의 기울기보다 급격하다. 제3베인링크(360)는 측방에서 볼 때 제1베인(340)의 후반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3베인링크(360)에서 슬립이 발생하면, 제1베인(340)의 후단보다 전단에서 차이가 극명하게 발생한다. 슬립이 발생하는 경우, 제2직선(L2)의 전방은 후방보다 많이 변형되고, 제2직선(L2)은 제1직선(L1)과 중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슬립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제1베인(340)은 토출구를 긴밀하게 차폐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 a virtual first straight line L1 connecting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first vane 340 is a virtual second connecting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vane 340 . It intersects with the straight line L2. In more detail, the first straight line L1 and the second straight line L2 intersect each other at the rear of the first vane 340 . Referring to FIG. 13 , a virtual first straight line L1 connecting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left end 347 of the first vane 340 is a virtual first line L1 connecting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vane 340 . Two straight lines L2 intersect with each other. In more detail, the first straight line L1 and the second straight line L2 intersect each other at the rear of the first vane 340 . In other words, with respect to the intersection point e4 , the inclination of the second straight line L2 is steeper than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straight line L1 . The third vane link 360 is disposed in the second half of the first vane 340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refore, when slip occurs in the third vane link 360 , a difference occurs significantly at the front end than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vane 340 . When the slip occurs, the front of the second straight line L2 is more deformed than the rear, and the second straight line L2 moves in a direction overlapping the first straight line L1 . Accordingly, even when slip occurs, the first vane 340 may tightly shield the discharge port.

제3베인링크(360)의 일 단과 타 단 사이의 거리는, 제1베인링크(320)의 일 단과 타 단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제3베인링크(360)와 제1베인(340)의 연결점은 제1베인링크(320)와 제1베인(340)의 연결점보다 상부에 배치되며, 제3베인링크(360)의 길이를 제1베인링크(320)보다 짧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슬립 발생시 발생하는 모멘트를 감소시켜, 슬립량을 감소시킨다. The distance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vane link 360 may be formed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vane link 320 . The connection point of the third vane link 360 and the first vane 340 is disposed above the connection point of the first vane link 320 and the first vane 340, and the length of the third vane link 360 is determined One can be set shorter than the vane link (320). Accordingly, the moment generated when slip occurs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slip.

도 1을 참조하면, 제2베인(350)은 제1베인(340)의 후방에 배치되어, 제1베인(340)과 함께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베인모듈(300)은 상기 토출구(101) 측에 배치되고,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베인(340)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제2베인(35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second vane 350 is a component that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first vane 340 and guides the air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first vane 340 . The vane module 300 may include a second vane 350 disposed at the discharge port 101 side, and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first vane 340 based on the discharge flow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2베인(350)은 상기 제2베인링크(330)의 타단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베인(350)은 상기 케이스(100)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second vane 350 may be relatively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vane link 330 . The second vane 350 may be relatively rotatably coupled to the case 100 .

도 10을 참조하여, 제2베인(350)의 방향을 정의한다.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제2베인(350)의 안내를 받아 공기가 토출되는 쪽이 전방이다. 제2베인(350)의 안내를 받기 전의 공기가 유입되는 측이 후방이다. 즉, 제2베인(350)은 제1베인(340)의 후방에 배치된다. 수평토출모드를 기준으로, 제2베인(350)의 상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안내하는 면을 상면이라 한다. 상면에 대향하고, 제2베인(350)의 하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안내하는 면을 하면이라 한다. 공기조화기를 바라볼 때, 제2베인(350)의 왼쪽을 좌측이라 하고, 제2베인(350)의 우측을 우측이라 한다.Referring to FIG. 10 , the direction of the second vane 350 is defined. Based on the discharge flow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the side through which the air is discharged by receiving the guidance of the second vane 350 is the front. The side through which the air before receiving the guidance of the second vane 350 is introduced is the rear. That is, the second vane 350 is disposed behind the first vane 340 . Based on the horizontal discharge mode, the surface that guides the air flowing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vane 350 is referred to as the upper surface. A surface facing the upper surface and guiding the air flowing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vane 350 is referred to as a lower surface. When looking at the air conditioner, the left side of the second vane 350 is referred to as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vane 350 is referred to as the right side.

본 실시예에서 제2베인(350)은 제2베인바디(351)를 포함하고, 상기 제2베인바디(351)는 토출구(10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토출 공기가 토출되는 측이 전방이고 토출 공기가 유입되는 측이 후방이다. 제2베인(350)은 상기 전방과 상기 후방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폭을 형성한다. 전체적으로 토출구(101)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vane 350 includes a second vane body 351 , and the second vane body 351 may be formed to exten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port 101 . Based on the discharge flow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the side through which the discharge air is discharged is the front side, and the side through which the discharge air is introduced is the rear side. The second vane 350 forms a width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front and the rear. As a whole, the discharge port 101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2베인(350)의 폭은 전단과 후단 사이의 거리로 설명할 수 있다. 제2베인(350)의 길이는 좌측단과 우측단 사이의 거리로 설명할 수 있다.The width of the second vane 350 may be described as a distance between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The length of the second vane 350 may be described as a distance between the left end and the right end.

또한, 제2베인(350)은, 제2베인(350)의 돌출 형성된 제2베인리브(3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베인리브(354)는 제2베인(35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베인리브(354)는 제2베인(350)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second vane 350 may include a second vane rib 354 protruding from the second vane 350 . The second vane rib 354 may be disposed behind the second vane 350 . The second vane rib 354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vane 350 .

도 2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2베인리브(354)에는 링크설치부(110)와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1베인축(3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베인리브(354)에는 제2베인링크(330)와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2베인축(353)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10 , the second vane rib 354 may be provided with a 2-1 vane shaft 352 coupled to the link installation unit 110 to be relatively rotatable. A second vane shaft 353 connected to the second vane link 330 and relatively rotatable may be formed on the second vane rib 354 .

또한, 상기 제2베인리브(354)에서, 상기 제2-2베인축(353)은 상기 제2-1베인축(352)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Also, in the second vane rib 354 , the second-second vane shaft 353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second-first vane shaft 352 .

제2베인리브(354)는 제1베인리브(344)와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베인리브(344)가 제1베인(340)의 상면에 배치된 경우, 제2베인리브(354)는 제2베인(350)의 하면에 배치된다.The second vane rib 354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vane rib 344 . For example, when the first vane rib 344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vane 340 , the second vane rib 354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vane 350 .

제2베인리브(354)에는 제2베인링크(330)가 연결된다. 제2베인리브(354)에는 제2베인링크(330)가 연결되는 경우, 제2베인링크(330)의 제2-1베인링크축(332)은 제2베인(350)의 제2-2베인축(353)보다 링크설치부(110)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베인링크(330)와 제2베인(350)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A second vane link 3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vane rib 354 . When the second vane link 3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vane rib 354 , the 2-1 vane link shaft 332 of the second vane link 330 is 2-2 of the second vane 350 . It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link installation unit 110 than the vane shaft 353, and may also overlap each other. In this case, interference between the second vane link 330 and the second vane 350 can be prevented.

제2베인리브(354)는 링크설치부(110)과 상대회전 되도록 연결된다. 즉, 제2-1베인축(352)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다. 제2베인링크(350)의 제2-2베인축(353)과 제2베인링크(330)의 제2-1베인링크축(332)은 중첩된다. The second vane rib 354 is connected to rotate relative to the link installation unit 110 . That is, the 2-1th vane shaft 352 is rotatable as a rotation shaft. The 2-2 vane link shaft 353 of the second vane link 350 and the 2-1 vane link shaft 332 of the second vane link 330 overlap.

제2베인리브(354)는 케이스(100)의 일 측에 연결된다. 제2베인(350)은 제2베인리브(354)와 케이스(100)가 연결된 연결점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한다.The second vane rib 354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ase 100 . The second vane 350 rotates with the connection point where the second vane rib 354 and the case 100 are connected as a rotation axis.

제2베인링크(330)와 제2베인리브(354)의 연결점은 링크설치부(110)와 제2베인리브(354)의 연결점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1베인축(352)와 제2-2베인축(353)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제2-2베인축(353)이 제2-1베인축(352)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베인(350)은 제1베인(340)과 달리 제2-1베인축(352)을 중심으로 고정되어 회전할 뿐 회전축의 위치가 변하진 않는다.The connection point of the second vane link 330 and the second vane rib 354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connection point of the link installation part 110 and the second vane rib 354 . That is, the 2-1th vane shaft 352 and the 2nd-2nd vane shaft 353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2nd-2nd vane shaft 353 is in front of the 2-1th vane shaft 352 . can be placed. In this case, unlike the first vane 340 , the second vane 350 rotates while being fixed around the 2-1 vane shaft 352 , but the position of the rotating shaft does not change.

또한, 제2베인링크(330)와 제2베인리브(354)의 연결점은 링크설치부(110)와 제2베인리브(354)의 연결점보다 제2베인(350)에서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1베인축(352)은 제2-2베인축(353)보다 제2베인(350)에서 더 멀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베인링크(330)와 제2베인(350)이 회전할 때, 제2-2베인링크축(333)과 제2-1베인축(352)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베인바디(351)와 제2-2베인축(353) 사이의 이격 거리를 줄여 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동시에 케이스(100)와의 간섭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oint of the second vane link 330 and the second vane rib 354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second vane 350 than the connection point of the link installation unit 110 and the second vane rib 354 . . That is, the 2-1th vane shaft 352 may be disposed farther from the second vane 350 than the 2nd-2nd vane shaft 353 . In this case, when the second vane link 330 and the second vane 350 rotate, interference between the 2-2 vane link shaft 333 and the 2-1 vane shaft 352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space can be saved by reduc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vane body 351 and the second vane shaft 353 , and interference with the case 100 can be reduced at the same time.

제2베인링크(330)와 제2베인리브(354)의 연결점은 케이스(100)와 제2베인리브(354)의 연결점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즉, 제2-2베인축(353)은 제2-1베인축(352)보다 전방에 배치된다.The connection point of the second vane link 330 and the second vane rib 354 is disposed in front of the connection point of the case 100 and the second vane rib 354 . That is, the 2nd-2nd vane shaft 353 is disposed in front of the 2-1th vane shaft 352 .

제2베인링크(330)와 제2베인리브(354)의 연결점은 케이스(100)와 제2베인리브(354)의 연결점보다 제2베인(350)에서 더 가깝게 배치된다. 즉, 제2-2베인축(353)은 제2-1베인축(352)보다 제2베인(350)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The connection point of the second vane link 330 and the second vane rib 354 is disposed closer to the second vane 350 than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case 100 and the second vane rib 354 . That is, the 2nd-2nd vane shaft 353 is disposed closer to the second vane 350 than the 2-1th vane shaft 352 .

제2베인링크(330)는 구동링크(310)와 함께 제2베인(350)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제2베인링크(330)의 일 단은 제2구동링크바디(318)와 연결되고, 타 단은 제2베인(350)과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2베인링크(330)의 타 단은 제2베인(350)의 제2베인리브(354)에 연결된다. 또한, 제2베인링크(330)는, 제2구동링크바디(318)와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2베인링크축(333)과 제2베인(350)과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1베인링크축(332)을 포함한다. 상기 제2-2베인링크축(333)은 제2베인링크(330)의 일 단에 배치된다. 상기 제2-1베인링크축(332)은 상기 제2베인링크(330)의 타단에 각각 배치된다. The second vane link 330 is a component that guides the movement of the second vane 350 together with the driving link 310 . One end of the second vane link 3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link body 318 ,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vane 350 . In more detail, the other end of the second vane link 3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vane rib 354 of the second vane 350 . In addition, the second vane link 330 is connected so as to be relatively rotatable with a 2-2 second vane link shaft 333 and the second vane 350 connected to be relatively rotatable with the second drive link body 318 . It includes a 2-1 vane link shaft (332). The 2-2 vane link shaft 333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second vane link 330 . The 2-1 vane link shaft 332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vane link 330, respectively.

도 8을 참조하면, 베인모터(200)가 작동하고 구동링크(310)가 회전시, 상기 구동링크(310)의 제2구동링크바디(318)와 상기 제2-2베인링크축(333)은, 구동링크(310)의 코어바디축(31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때, 제2베인(350)의 제2-1베인축(352)은 링크설치부(110)에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구동링크(310)가 회전을 하면서, 제2구동링크바디(318)와 제2베인(350)이 서로 접촉하여 회전에 제한이 생길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when the vane motor 200 operates and the drive link 310 rotates, the second drive link body 318 of the drive link 310 and the 2-2 vane link shaft 333 of the drive link 310 are rotated. is rotated about the core body shaft 312 of the driving link 310 . At this time, since the position of the 2-1 vane shaft 352 of the second vane 350 is fixed to the link installation unit 110, the driving link 310 rotates while the second driving link body 318 is rotated. and the second vane 350 may contact each other, thereby limiting rotation.

이러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2베인링크축(333)과 상기 제2-1베인축(352)은 소정 간격 이상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간격은 바람직하게는 제2-2베인링크축(333)과 제2-1베인축(352)이 최단거리가 되도록 위치되어 서로 접했을 때의 상기 제2-2베인링크축(333)과 상기 제2-1베인축(352) 사이의 간격으로 정의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such interference, the 2-2nd vane link shaft 333 and the 2-1th vane shaft 352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The gap is preferably positioned so that the 2-2nd vane link shaft 333 and the 2-1 vane shaft 352 have the shortest distance so that the 2-2nd vane link shaft 333 and It may be defined as an interval between the second-first vane shafts 352 .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코어바디(311)에서 제2구동링크바디(318)의 단부까지의 거리는, 코어바디(311)에서 제2베인(350)과 케이스(100)의 연결점까지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코어바디(311)에서 제2구동링크축(319)까지의 거리는, 코어바디(311)에서 제2-1베인축(352)까지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따라서, 구동링크(310)가 회전하는 경우에, 제2베인(350)과 충돌하지 않고 회전할 수 있고, 제2베인(350)의 회전반경을 제1베인(340)의 회전반경보다 작게 할 수 있다.2 and 3, the distance from the core body 311 to the end of the second driving link body 318 is from the core body 311 to the connection point of the second vane 350 and the case 100. may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In other words, the distance from the core body 311 to the second driving link shaft 319 may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core body 311 to the 2-1 vane shaft 352 . Therefore, when the driving link 310 rotates, it can rotate without colliding with the second vane 350 , and the rotation radius of the second vane 350 is made smaller than the rotation radius of the first vane 340 . can

또한, 상기 제2베인링크(330)는, 구동링크(310)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2베인(350)과의 접촉 또는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굴곡진 형상일 수 있다. 제2베인링크(330)는 제2베인(350)과 케이스(100)와의 연결점의 반대방향으로 볼록한 굴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베인링크(330)는 제2베인(350)과 케이스(100)와의 연결점을 중심으로 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베인링크(330)는 제2-1베인축(352)을 중심으로 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베인링크(330)가 회전시 제2베인링크바디(331)가 제2-1베인축(352)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vane link 330 may have a curved shape so that contact or interference with the second vane 350 does not occur while the driving link 310 rotates. The second vane link 330 may include a curved portion convex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second vane 350 and the case 100 . The second vane link 330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centered on a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second vane 350 and the case 100 . In other words, the second vane link 330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centered on the 2-1 vane shaft 352 . Accordingly, when the second vane link 330 rotates, the second vane link body 331 prevents the second vane link body 331 from colliding with the 2-1 vane shaft 352 .

본 실시예에서 코어바디축(312)과 링크설치부(110), 제1-2베인링크축(323)과 링크설치부(110), 제2-1베인축(352)과 링크설치부(110), 제1-1베인링크축(322)과 제1-2베인축(343), 제1구동링크축(317)과 제1-1베인축(342), 제2구동링크축(319)과 제2-2베인링크축(333) 및 제2-2베인축(353)과 제2-1베인링크축(332)은, 각각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서로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결합 또는 연결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ore body shaft 312 and the link installation part 110, the 1-2 vane link shaft 323 and the link installation part 110, the 2-1 vane shaft 352 and the link installation part ( 110), the 1-1 vane link shaft 322 and the 1-2 vane shaft 343, the first drive link shaft 317 and the 1-1 vane shaft 342, the second drive link shaft 319 ) and the 2-2 vane link shaft 333 and the 2-2 vane shaft 353 and the 2-1 vane link shaft 332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o each other through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respectively. Or it can be connected.

본 실시예에서, 토출구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제1베인(340)의 길이는 제2베인(350)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하지는 않고, 제2베인(350)의 길이가 제1베인(340)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first vane 340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vane 350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le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vane 350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vane 340 .

제2베인(350)의 길이를 더욱 길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길이가 확장될 만큼의 공간이 케이스(100) 내지는 링크설치부(110)에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케이스(100) 내지 링크설치부(110)에 슬롯(미도시)를 형성하고, 구동링크(310)의 코어바디(311)는 상기 케이스(100) 내지 링크설치부(1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링크(310)의 코어바디(31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슬롯(미도시)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100) 내지 상기 링크설치부(1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베인(350)의 길이를 확장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2베인(350)을 통한 토출공기의 토출안내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토출구(101)의 공간이 더욱 확보되어 토출 공기의 토출 유동 저항도 줄일 수 있다. In order to make the length of the second vane 350 longer, a space sufficient to extend the length must be formed in the case 100 or the link installation unit 110 . To this end, a slot (not shown) is formed in the case 100 to the link installation unit 110 , and the core body 311 of the driving link 310 is located outside the case 100 to the link installation unit 110 . can be placed. A portion of the driving link 310 , except for the core body 311 , may pass through the slot (not shown) and be disposed inside the case 100 to the link installation part 110 . Accordingly, a space for extending the length of the second vane 350 may be secured. In this case, the discharge guide effect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vane 350 can be maximized. In addition, since the space of the discharge port 101 is further secured, the discharge flow resistance of the discharge air can be reduced.

본 실시예에서 제1베인(340)과 제2베인(350)은 베인모터(20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링크(310)의 회전을 통해 각각 회전한다. 토출공기를 수직방향으로 토출 안내하기 위한 수직토출모드시, 제1베인(340)과 제2베인(350)은 각각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회전한다. 이 경우, 토출 공기는 제1베인(340)의 전방, 제1베인(340)과 제2베인(350) 사이, 제2베인(350) 후방에서 각각 공기가 토출된다. 상기 수직토출모드시의 상기 제1베인(340)과 상기 제2베인(350)사이의 최단거리를 제1베인간격(S1)이라 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vane 340 and the second vane 350 rotate through the rotation of the driving link 310 receiving the driving force from the vane motor 200 , respectively. In the vertical discharge mode for guiding the discharge of ai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vane 340 and the second vane 350 rotate to be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air is discharged from the front of the first vane 340 , between the first vane 340 and the second vane 350 , and from the rear of the second vane 350 , respectively.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first vane 340 and the second vane 350 in the vertical discharge mode is referred to as a first vane spacing S1.

도 4를 참조하면, 토출공기를 수평방향으로 토출 안내하기 위한 수평토출모드시, 제1베인(340)과 제2베인(350)은 각각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1베인(340)과 상기 제2베인(350) 사이의 최단거리를 제2베인간격(S2)이라 한다. Referring to FIG. 4 , in the horizontal discharge mode for guiding the discharge of ai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irst vane 340 and the second vane 350 rotate to be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first vane 340 and the second vane 350 is referred to as a second vane spacing S2.

상기 제2베인간격(S2)은 상기 제1베인간격(S1)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수직토출모드와 달리 수평토출모드의 경우, 제2베인(350)을 통해 토출 안내된 토출 공기가 제1베인(340)을 통해 한번 더 안내되는 바, 토출 공기를 수평방향으로 더욱 더 멀리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베인간격(S2)은, 바람직하게는, 제1베인(340)과 제2베인(350)이 하나의 연속적인 면을 형성하도록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베인(340)과 상기 제2베인(350)은, 각각의 폭들을 합친 만큼의 폭이 형성된 하나의 베인처럼 토출 공기를 토출 안내할 수 있어, 토출 공기의 분산을 줄여, 토출 공기를 실내의 더욱 더 먼 곳까지도 토출할 수 있다. The second vane spacing S2 may be shorter than the first vane spacing S1 . Unlike the vertical discharge mode, in the case of the horizontal discharge mode, the discharge air guided through the second vane 350 is guided once again through the first vane 340, and the discharge air is discharged further and fur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do it The second vane spacing S2 may be formed to be short such that the first vane 340 and the second vane 350 form one continuous surface. In this case, the first vane 340 and the second vane 350 can discharge and guide the discharge air like a single vane having a width equal to the sum of the respective widths, thereby reducing the dispersion of the discharge air, The discharge air can be discharged even further into the room.

상기 제1베인(340)이 제1회전방향(R1)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토출구(101)가 폐쇄된 경우, 상기 제1베인(340)은 상기 케이스(100)와 연속적인 면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제2베인(350)은 제1베인(340)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1베인(340)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인(340)이 실내기가 정지하여 토출구(101)를 폐쇄한 경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을 차단하여 위생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0)와 연속적인 면을 형성하는 제1베인(340)은 통일된 외관을 형성한다. 제2베인(350)은 제1베인(340)의 내측에 가려지는 바, 깔끔하고 청결하며 조잡하지 않은 외관을 형성하여 심미적인 효과도 극대화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vane 340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R1 and the discharge port 101 is closed, the first vane 340 is disposed in a continuous plane with the case 100 . can be Also, in this case, the second vane 350 may be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first vane 340 , and may be disposed to overlap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vane 340 . When the first vane 340 stops the indoor unit and closes the discharge port 101 , a sanitary effect can be exhibited by blocking contaminants such as dust flowing in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the first vane 340 forming a continuous surface with the case 100 forms a unified appearance. The second vane 350 is covered on the inside of the first vane 340 , and forms a neat, clean, and non-sloppy appearance, thereby maximizing an aesthetic effec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작동에 따른 구동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driving metho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베인의 위치에 따라, 수평토출모드와 수직토출모드가 가능하다.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 horizontal discharge mode and a vertical discharge mode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vanes.

도 5를 참조하면, 비운전시(비통전시)에는, 제1베인(340)은 토출구(101)를 차페한다. 제2베인(350)은 제1베인(340)의 공기유입방향에 배치되고, 제1베인(340)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게 배치된다. 제2베인(350)은 제1베인(340)에 의하여 가려진다.Referring to FIG. 5 , during non-operation (when non-energized), the first vane 340 shields the discharge port 101 . The second vane 350 is disposed in the air inflow direction of the first vane 340 , and is disposed to overlap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vane 340 . The second vane 350 is covered by the first vane 340 .

도 4을 참조하여, 수평토출모드의 경우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 4 , the horizontal discharge mode is as follows.

운전을 개시하는 경우, 베인모터(200)는 제2회전방향(R2)으로 회전한다. 제2회전방향(R2)은 도 4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이다. 베인모터(200)가 회전하면, 제1베인링크(320)는 제1-2베인링크축(323)을 중심으로 하여 전방으로 회전한다. 제1베인(340)은 토출구의 상단에 위치하는 전단이 하강한다. 베인모터(200)가 회전하면, 제2베인링크(330)는 제2-1베인축(33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제2베인(350)은 전단이 하향한다. 제1베인(340)의 후단과 제2베인(350)의 전단 사이의 거리가 최단거리가 되는 경우, 제1베인(340)과 제2베인(350)은 하나의 선상에 배치되고, 공기를 수평으로 토출하는 수평토출모드가 수행된다.When the operation is started, the vane motor 200 rotates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R2.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R2 is clockwise with reference to FIG. 4 . When the vane motor 200 rotates, the first vane link 320 rotates forward about the 1-2 vane link shaft 323 as a center. The front end of the first vane 340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outlet is lowered. When the vane motor 200 rotates, the second vane link 330 rotates about the 2-1 vane shaft 332 . The front end of the second vane 350 is downwar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rear end of the first vane 340 an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vane 350 becomes the shortest distance, the first vane 340 and the second vane 350 are arranged on one line, and air A horizontal discharge mode for horizontally discharging is performed.

도 4을 참조하여, 수직토출모드의 경우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 4 , the vertical discharge mode is as follows.

수평토출모드에서 베인모터(200)가 제2회전방향(R2)으로 더욱 회전할 수 있다. 베인모터(200)가 회전하면, 제1베인링크(320)는 제1-2베인링크축(323)을 중심으로 하여 후방으로 회전한다. 제1베인(340)은 후단이 상승하며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베인모터(200)가 회전하면, 제2베인링크(350)는 제2-1베인축(352)을 중심으로 하여 같은 방향으로 더욱 회전하고, 제2베인(350)은 전단이 하향한다. 제1베인바디(341)와 제2베인바디(351)가 수평으로 배치되면, 공기를 수직 하방으로 토출하는 수직토출모드가 수행된다.In the horizontal discharge mode, the vane motor 200 may further rotate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R2. When the vane motor 200 rotates, the first vane link 320 rotates rearward about the 1-2 vane link shaft 323 . The first vane 340 i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the rear end rises. When the vane motor 200 rotates, the second vane link 350 further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bout the 2-1 vane shaft 352, an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vane 350 is downward. When the first vane body 341 and the second vane body 351 are horizontally arranged, a vertical discharge mode for discharging air vertically downward is performed.

수직토출모드에서 베인모터(200)가 제2회전방향(R2)으로 더욱 회전하는 경우, 제1베인(340)은 후방 한계이동범위까지 이동한다. 수직토출모드에서 베인모터(200)가 제2회전방향(R2)으로 더욱 회전하는 경우, 제1베인(340)의 후단은 연결부(316)에 접촉한다. 연결부(316)는 스토퍼 기능을 하며, 제1베인(340)의 후단이 연결부(316)에 접촉할 때가 후방 한계이동범위 또는 최대 회전범위에 해당한다.When the vane motor 200 further rotates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R2 in the vertical discharge mode, the first vane 340 moves up to the rear limit movement range. When the vane motor 200 further rotates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R2 in the vertical discharge mode, the rear end of the first vane 340 contacts the connection part 316 . The connection part 316 functions as a stopper, and when the rear end of the first vane 340 contacts the connection part 316, it corresponds to the rear limit movement range or the maximum rotation range.

베인모터(200)는 제2회전방향(R2)과 반대되는 제1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고, 수직토출모드(도 2 및 도 3)와 수평토출모드(도 4)를 수행하고, 제1베인(340)이 토출구(101)를 차폐한다(도 5).The vane motor 200 rotates in a first rotational direction R1 opposite to the second rotational direction R2, and performs a vertical discharge mode (FIGS. 2 and 3) and a horizontal discharge mode (FIG. 4), and One vane 340 shields the discharge port 101 (FIG. 5).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케이스
101 토출구
110 링크설치부
120 베인모터결합부
200 베인모터
300 베인모듈
310 구동링크
311 코어바디
312 코어바디축
313 제1구동링크바디
314 제1부재
315 제2부재
316 연결부
317 제1구동링크축
318 제2구동링크바디
319 제2구동링크축
320 제1베인링크
321 제1베인링크바디
322 제1-1베인링크축
323 제1-2베인링크축
330 제2베인링크
331 제2베인링크바디
332 제2-1베인링크축
333 제2-2베인링크축
340 제1베인
341 제1베인바디
342 제1-1베인축
343 제1-2베인축
344 제1베인리브
345 제1베인 전단
346 제1베인 후단
347 좌측단
348 우측단
349 중앙부
350 제2베인
351 제2베인바디
352 제2-1베인축
353 제2-2베인축
354 제2베인리브
355 제2베인 전단
356 제2베인 후단
R1 제1회전방향
R2 제2회전방향
S1 제1베인간격
S2 제2베인간격
Amax 최대개방각도
AL 제1구동링크 휨 각도
c1 제1곡률
c2 제2곡률
c3 제3곡률
d1 제1곡률반경
d2 제2곡률반경
d3 제3곡률반경
e1 제1곡률중심
e2 제2곡률중심
e3 제3곡률중심
L1 제1베인(340)의 길이방향 일 측단의 전단과 후단을 잇는 가상의 제1직선
L2 제1베인(340)의 중앙의 전단과 후단을 잇는 가상의 제2직선
100 cases
101 outlet
110 Link installation part
120 Vane motor coupling part
200 vane motor
300 vane module
310 drive link
311 core body
312 core body shaft
313 1st drive link body
314 first member
315 second member
316 connection
317 1st drive link shaft
318 2nd drive link body
319 2nd drive link shaft
320 1st vane link
321 1st vane link body
322 1-1 Vane Link Shaft
323 1-2 vane link shaft
330 2nd vane link
331 2nd vane link body
332 No. 2-1 Vane Link Shaft
333 2-2 vane link shaft
340 1st vane
341 1st vane body
342 1-1 vane shaft
343 1-2 vane shaft
344 1st vane rib
345 first vane shear
346 Rear end of 1st vane
347 left edge
348 right edge
349 central part
350 2nd vane
351 2nd vane body
352 2-1 Vane Shaft
353 2nd 2nd Vane Shaft
354 2nd vane rib
355 second vane shear
356 Second vane rear end
R1 1st rotation direction
R2 2nd direction of rotation
S1 1st vane personality
S2 2nd vane personality
Amax maximum opening angle
AL 1st drive link bending angle
c1 first curvature
c2 second curvature
c3 third curvature
d1 first radius of curvature
d2 2nd radius of curvature
d3 third radius of curvature
e1 1st center of curvature
e2 2nd center of curvature
e3 third center of curvature
L1 A first virtual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one sid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vane 340
L2 A virtual second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center of the first vane 340

Claims (23)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베인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베인모듈은,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구동력을 제공하는 베인모터;
상기 케이스와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코어바디축을 포함하는 코어바디, 상기 코어바디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1구동링크바디, 및 상기 코어바디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2구동링크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베인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링크;
일단이 상기 케이스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베인링크;
일단이 상기 제2구동링크바디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베인링크;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제1구동링크바디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베인링크의 타단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베인; 및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고,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베인보다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2베인링크의 타단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링크바디는,
일단이 상기 코어바디와 연결되는 제1부재;
일단이 상기 제1부재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베인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부재; 및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가 이루는 각은 180°보다 작은 공기조화기 실내기.
a case in which a discharge port is formed;
It includes; a vane modul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se to guide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The vane module is
a vane motor disposed in the case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A core body including a core body shaft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case, a first driving link bod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re body, and a second driving link bod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re body, the vane motor a driving link receiving driving force from;
a first vane link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case to be relatively rotatable;
a second vane link whose one end is relatively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drive link body;
a first vane disposed at the outlet,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drive link body,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vane link; and
It is disposed in the discharge port, is located behind the first vane based on the discharge flow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vane link,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ase. Including a second vane to be,
The first drive link body,
a first memb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ore body;
a second memb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membe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vane and rotatably connected; and
and a connecting part connecting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n angle betwee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is less than 18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베인모듈이 설치되는 링크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설치부에 상기 제1베인링크, 상기 구동링크 및 상기 제2베인이 각각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실내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ase includes a link installation unit on which the vane module is installed;
The first vane link, the driving link, and the second vane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link installation unit to b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베인모터가 결합되는 베인모터결합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
According to claim 1,
and a vane motor coupling part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coupled to the vane mo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바디는 코어바디축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바디축은 상기 베인모터와 직접 연결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re body includes a core body shaft,
The core body shaft is 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directly connected to the vane mo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인은 제2-1베인축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결합부에,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상기 제1베인링크의 일단이 배치되고, 후방에 상기 제2-1베인축이 배치되며, 상기 제1베인링크의 일단과 상기 제2-1베인축 사이에 상기 코어바디가 배치된 공기조화기 실내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vane includes a 2-1 vane shaft,
The link coupling part,
Based on the discharge flow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One end of the first vane link is disposed in the front, the 2-1 vane shaft is disposed at the rear, and the core body is disposed between one end of the first vane link and the 2-1 vane shaft Air conditioner indoor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인링크는,
일단에 상기 제2구동링크바디와 연결되는 제2-2베인링크축과
타단에 상기 제2베인과 연결되는 제2-1베인링크축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링크가 회전시,
상기 제2-2베인링크축과 상기 제2-1베인축은 서로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격되게 배치된 공기조화기 실내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vane link is
At one end, a 2-2 vane link shaft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link body, and
It includes a 2-1 vane link shaft connected to the second vane at the other end,
When the drive link rotates,
The 2-2nd vane link shaft and the 2-1th vane shaft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인링크는 상기 제2-1베인축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굴곡진 형상인 공기조화기 실내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has a curved shape so that the second vane link does not interfere with the 2-1 vane sha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인은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토출구가 개방되고,
상기 제1베인이 상기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제1베인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연결부와 가까워지는 공기조화기 실내기.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first vane rotates in a first rotational direction, the discharge port is opened,
When the first vane rotates in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vane approaches the connection par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인이 상기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제1베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부재의 타단에 배치된 회전축과 상기 코어바디에 배치된 회전축을 잇는 선분을 지나서 상기 연결부와 가까워지는 공기조화기 실내기.
9. The method of claim 8,
When the first vane rotates in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vane passes through a line connecting the rotation shaft disposed 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member and the rotation shaft disposed on the core body to approach the connection part.
제8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인은 상기 제1회전방향으로 최대 회전시 상기 연결부와 접촉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
10.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8 or 9,
The first vane is 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art when the first vane is rotated at a maximum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링크바디가 굴곡된 형상인 공기조화기 실내기.
According to claim 1,
A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in which the first driving link body has a curved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링크바디가 절곡된 형상인 공기조화기 실내기.
According to claim 1,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having a shape in which the first driving link body is b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인은 상기 구동링크가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시 개방되고,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제2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공기조화기 실내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vane is opened when the driving link rotates in the second rotational direction,
The second member is a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exten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인은 제1베인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베인바디는,
상기 토출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공기조화기 실내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vane includes a first vane body,
The first vane body,
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formed to exten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por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인은,
상기 제1베인의 상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1베인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베인리브에는,
상기 제1구동링크바디와 결합되는 제1-1베인축과, 상기 제1베인링크와 결합되는 제1-2베인축이 형성된 공기조화기 실내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first vane,
and a first vane rib protru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rst vane,
In the first vane rib,
A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having a 1-1 vane shaft coupled to the first drive link body and a 1-2 vane shaft coupled to the first vane link body.
제15항에 있어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1베인축은 상기 제1베인 후단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2베인축은 상기 제1-1베인축보다 상기 제1베인 전단 측에 가깝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Based on the discharge flow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The 1-1 vane shaft is dispos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first vane,
The first-second vane shaft is disposed closer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vane than the first-first vane shaf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부재의 일단측 말단과 상기 제1-1베인축 중심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1-1베인축 중심과 상기 제1-2베인축 중심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공기조화기 실내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member,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of one end of the second member and the center of the 1-1 vane axis is the center of the 1-1 vane axis and the center of the 1-2 vane axis.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that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인은 제2베인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베인바디는,
상기 토출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공기조화기 실내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vane includes a second vane body,
The second vane body,
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formed to exten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port.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인은,
상기 제2베인에 돌출 형성되는 제2베인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베인리브에는,
상기 링크설치부와 결합되는 제2-1베인축과, 상기 제2베인링크와 결합되는 제2-2베인축이 형성된 공기조화기 실내기.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second vane,
and a second vane rib protruding from the second vane,
In the second vane rib,
A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having a 2-1 vane shaft coupled to the link installation unit and a 2-2 vane shaft coupled to the second vane link.
제19항에 있어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1베인축은 상기 제2베인 후단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2베인축은 상기 제2-1베인축보다 상기 제2베인 전단에 가깝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
20. The method of claim 19,
Based on the discharge flow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The 2-1 vane shaft is dispos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second vane,
The 2-2nd vane shaft is disposed closer to a front end of the second vane than the 2-1th vane sha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인의 길이는 상기 제2베인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공기조화기 실내기.
According to claim 1,
The length of the first vane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va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인 및 상기 제2베인이 수직으로 배열되는 수직토출모드시, 상기 제1베인과 상기 제2베인에 형성된 최단거리가 제1베인간격이고,
상기 제1베인 및 상기 제2베인이 수평으로 배열되는 수평토출모드시, 상기 제1베인과 상기 제2베인에 형성된 최단거리가 제2베인간격이며,
상기 제1베인간격이 상기 제2베인간격보다 큰 공기조화기 실내기.
According to claim 1,
In the vertical discharge mode in which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are vertically arranged, the shortest distance formed between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is the first vane interval,
In the horizontal discharge mode in which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are horizontally arranged, the shortest distance formed between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is the second vane interval,
A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vanes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van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인이 폐쇄되었을 때,
상기 제1베인은 상기 케이스와 연속적인 면상으로 배치되고,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제2베인은 상기 제1베인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first vane is closed,
The first vane is disposed in a continuous plane with the case, and the second vane overlaps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vane when viewed from the front.
KR1020200071127A 2020-06-11 2020-06-11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21015402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127A KR20210154029A (en) 2020-06-11 2020-06-11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127A KR20210154029A (en) 2020-06-11 2020-06-11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029A true KR20210154029A (en) 2021-12-20

Family

ID=79034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127A KR20210154029A (en) 2020-06-11 2020-06-11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402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19969B1 (en) Air conditioner
US10465697B2 (en) Centrifugal fan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EP1775524A1 (en) Air conditioner
KR101606006B1 (en) Air conditioner
WO2015060128A1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KR101927440B1 (en) An air conditioner
KR20140028191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140012437A (en) 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WO2012137601A1 (en) Air-conditioning indoor unit
JP3742927B2 (en) Floor-standing air conditioner
KR20210154029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EP4001779A1 (en) Air conditioner
KR20210154030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2003343872A (en) Floor type air conditioner
KR20220065337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2521853B1 (en) Air conditioner
JP7466678B2 (en) Ceiling-mounted indoor air conditioner unit
WO2018179470A1 (en) Air conditioner
US20230280047A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60087159A (en) Rotating angle controlling structure for perpendicular blade of air-conditioner
KR102666144B1 (en) Air conditioner
KR102454072B1 (en) Air Conditioner
KR20190027270A (en) Air Conditioner
EP4365497A1 (en) Air conditioner
EP4001780A1 (en)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