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4026A - 지문 인식이 가능한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지문 인식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지문 인식이 가능한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지문 인식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4026A
KR20210154026A KR1020200071124A KR20200071124A KR20210154026A KR 20210154026 A KR20210154026 A KR 20210154026A KR 1020200071124 A KR1020200071124 A KR 1020200071124A KR 20200071124 A KR20200071124 A KR 20200071124A KR 20210154026 A KR20210154026 A KR 20210154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fingerprint recognition
display
past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상
조강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200071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4026A/ko
Publication of KR20210154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0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06K9/0000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Image Input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의 어느 위치에서나 지문을 인식하는 데 있어서 디스플레이에 흔적으로 남은 지문 샘플로부터 복제 지문을 만들 수 없도록 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지문 인식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이 가능한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을 통해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센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지문이 인식된 과거 지문 인식 위치 및 시간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과거 지문 인식 위치 중 가장 최근 지문 인식 위치와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한다.

Description

지문 인식이 가능한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지문 인식 동작 방법{Electronic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fingerprint and method for recognizing fingerprint of th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지문 인식이 가능한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지문 인식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를 통해 지문을 인식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지문 인식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은 대화면이 선호되면서 베젤을 최소화하고 전면 버튼을 제거한 풀스크린 디스플레이(Full Screen Display)를 탑재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과거 아이폰의 홈버튼처럼 화면 하단에 배치한 물리적인 버튼에서 지문을 인식하던 방식이 최근 들어 FoD(Fingerprint on Display)와 같이 별도의 버튼 없이 디스플레이 상에서 지문을 인식하는 기술로 대체되어 보급되고 있다.
FoD를 통한 지문 인식은 크게 광학식, 초음파식, 정전용량 방식으로 구분된다. 현재까지 광학식과 초음파식이 상용화되어 있다. 현재 상용화된 광학식과 초음파식 방식들은 디스플레이상의 특정 위치에서만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센서가 화면을 촐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아래 부분에 위치하기 때문에 전면 풀스크린의 시인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지문 센서가 위치한 부분에서만 지문 인식이 가능하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디자인에 제약 사항이 되고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을 높이기 위해 디스플레이의 고정된 위치에서만 지문 인식이 가능한 것보다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 어느 위치에서나 지문을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도 1의 (a)와 같이 멀티 윈도우 모드에서 메모장에 있는 계좌번호를 보면서 뱅킹 어플리케이션(110)에서 이체를 하는 경우 지문을 인식하는 위치가 고정되어 있을 경우 뱅킹 어플리케이션(110)의 화면 위가 아니라 메모장 어플리케이션(120)의 화면 위에 지문 입력 가이드(130)가 표시되어 사용자의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또는 도 1의 (b)와 같이 듀얼 스크린 스마트 폰에서 모바일 TV 어플리케이션(140)으로 동영상을 시청하면서 상기 동영상에 PPL로 등장한 제품을 온라인 쇼핑 어플리케이션(150)으로 결제하는 경우, 온라인 쇼핑 어플리케이션(150)의 화면 위가 아니라 모바일 TV 어플리케이션(140)으로 시청 중인 동영상 위에 지문 인식 가이드(130)가 표시되어 사용자의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폴더블 스마트폰이 대중화될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디자인이 더욱 유연하고 자유롭게 되므로, 상술한 사용자 불편은 더욱 가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향후에는 디스플레이의 어느 위치에서든 지문 인식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될 것으로 예상된다. 디스플레이의 어느 위치에서나 지문 인식이 가능하게 될 경우,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 장치의 분실시 지문 해킹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서 지문 샘플이 채취되어 지문이 해킹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여러 곳에 남아 있는 부분적인 지문들의 조합을 통해 복제 지문을 만들어 지문을 해킹할 수 있게 된다.
지문이 남지 않도록 해주는 보호 필름은 화면 선명도를 떨어뜨리는 등의 시인성을 저해하기 때문에 상술한 복제 지문 문제를 해결하는 최선책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전체 디스플레이에서 지문 인식이 가능한 전자 장치에서 부분적인 지문들의 샘플을 획득하여 복제 지문을 만드는 해킹 시도를 방어할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의 어느 위치에서나 지문을 인식하는 데 있어서 디스플레이에 흔적으로 남은 지문 샘플로부터 복제 지문을 만들 수 없도록 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지문 인식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이 가능한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을 통해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센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지문이 인식된 과거 지문 인식 위치 및 시간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과거 지문 인식 위치 중 가장 최근 지문 인식 위치와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의 허용 가능한 영역의 정보를 수신하고, 및 상기 허용 가능한 영역에 위치하는 가장 최근 지문 인식 위치와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디폴트 위치 좌표를 더 수신하고, 상기 과거의 지문 인식 위치들이 모두 상기 허용 가능한 영역의 밖인 경우 상기 디폴트 위치 좌표에 상기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과거 지문 인식에 사용된 손가락 정보를 더 저장하고, 특정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하라는 안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면서, 상기 특정 손가락과는 다른 손가락의 상기 허용 가능한 영역에 위치하는 가장 최근 지문 인식 위치와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상기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과거 지문 인식에 사용된 손가락 정보를 더 저장하고, 특정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하라는 안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면서, 상기 특정 손가락과는 다른 손가락의 가장 최근 지문 인식 위치와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상기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에 따른 지문 인식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을 통해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센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지문이 인식된 과거 지문 인식 위치 및 시간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과거 지문 인식 위치들의 중첩 위치 중 중복도를 기준으로 결정한 위치에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의 허용 가능한 영역의 정보를 수신하고, 및 상기 허용 가능한 영역 내에 존재하는 상기 과거 지문 인식 위치들의 중첩 위치 중 중복도를 기준으로 결정한 위치에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중첩 면적의 합과, 중첩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중복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중복도를 기준으로 결정한 위치에 중첩된 과거 지문 인식 위치들을 모두 포함하는 사각형의 중심에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하거나 또는 그 과거 지문 인식 위치들의 교집합 영역에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과거 지문 인식 위치들의 각 중첩 위치의 중복도와, 각 중첩 위치에 속하는 위치들의 지문 인식 시간의 평균에 기초하여,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각 중첩 위치에 대해, 현재 지문 인식을 할 손가락과는 다른 손가락의 지문 인식 횟수를 더 고려하여,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을 통한 지문 인식이 가능한 전자 장치에서 지문을 인식하는 동작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지문이 인식된 과거 지문 인식 위치 및 시간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과거 지문 인식 위치 중 가장 최근 지문 인식 위치와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동작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의 허용 가능한 영역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허용 가능한 영역에 위치하는 가장 최근 지문 인식 위치와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허용 가능한 영역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디폴트 위치 좌표를 더 수신하고, 상기 동작 방법은, 상기 과거의 지문 인식 위치들이 모두 상기 허용 가능한 영역의 밖인 경우 상기 디폴트 위치 좌표에 상기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메모리에 과거 지문 인식에 사용된 손가락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동작 방법은, 특정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하라는 안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손가락과는 다른 손가락의 상기 허용 가능한 영역에 위치하는 가장 최근 지문 인식 위치와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상기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메모리에 과거 지문 인식에 사용된 손가락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동작 방법은, 특정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하라는 안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문 인식 가이드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손가락과는 다른 손가락의 가장 최근 지문 인식 위치와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상기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을 통한 지문 인식이 가능한 전자 장치에서 지문을 인식하는 동작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지문이 인식된 과거 지문 인식 위치 및 시간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상기 과거 지문 인식 위치들의 중첩 위치 중 중복도를 기준으로 결정한 위치에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동작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의 허용 가능한 영역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허용 가능한 영역 내에 존재하는 상기 과거 지문 인식 위치들의 중첩 위치 중 중복도를 기준으로 결정한 위치에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중첩 면적의 합과, 중첩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중복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중복도를 기준으로 결정한 위치에 중첩된 과거 지문 인식 위치들을 모두 포함하는 사각형의 중심에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하거나 또는 그 과거 지문 인식 위치들의 교집합 영역에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과거 지문 인식 위치들의 각 중첩 위치의 중복도와, 각 중첩 위치에 속하는 위치들의 지문 인식 시간의 평균에 기초하여,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각 중첩 위치에 대해, 현재 지문 인식을 할 손가락과는 다른 손가락의 지문 인식 횟수를 더 고려하여,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에서 지문 인식이 가능한 전자 장치에서 부분적인 지문 샘플을 획득하여 복제 지문을 만드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문 인식 가이드의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디스플레이의 여러 위치에 남은 지문 샘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입력 가이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입력 가이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지문 인식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지문 인식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300)는 디스플레이(310), 센서 모듈(320), 메모리(330) 및 프로세서(34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0)는 데이터 또는 신호를 영상 또는 이미지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디스플레이(310)는 프로세서(3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메모리(330) 또는 센서 모듈(32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영상 또는 이미지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310)는 지문 입력을 가이드하기 위한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다. 지문 입력 가이드는 지문의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0)는 사용자와 전자 장치(300) 간에 상호 작용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디스플레이(3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으나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3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패널(TSP:touch screen panel) 모듈(321),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터치 입력에 관련된 사용자의 지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지문 센서(321)와 전기적(electrically)으로 또는 기능적(operably)으로 결합될 수 있다.
센서 모듈(320)은 전자 장치(300)의 내부 또는 외부와 관련된 상황(context)을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센서 모듈(320)은 다양한 센서들(예: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조도 센서, 기압 센서, 압력 센서, 터치 센서, 또는 생체 인식 센서)과 통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320)은 사용자와 관련된 외부 상황에 대한 데이터를 프로세서(340)로 송신할 수 있다.
센서 모듈(320)은 터치 스크린 패널 모듈(321) 및 지문 센서(322)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 모듈(321)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터치 스크린 패널 모듈(321)은 손가락 및 펜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입력은 터치 앤 릴리즈(touch and release),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롱 터치(long touch), 또는 포스 터치(force touch)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 모듈(321)은 프로세서(340)에게 터치 입력이 검출된 위치 및/또는 면적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 모듈(321)은 상기 디스플레이(310)의 on/off 상태에 관계 없이,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터치를 수신할 수 있다.
지문 센서(322)는, 디스플레이(31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지문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지문 센서(322)는, 사용자의 지문 내에 위치하는 골(valley) 및 마루(ridge)의 특징적인 패턴에 따라, 터치 입력에 관련된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지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예, 특징점들)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지문 센서(322)는, 지문 내에 위치하는 골, 마루에 의해 반사되는 빛의 차이에 기반하는 광학 방식, 지문 내에 위치하는 골, 마루에 의해 반사되는 초음파의 위상 차이에 기반하는 초음파 방식, 또는 지문 내에 위치하는 골, 마루에 의해 야기되는 유전율의 차이에 기반하는 정전 방식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지문 센서(322)는 디스플레이(310)의 전체 면적의 어느 곳에서든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메모리(330)는 전자 장치(300)를 제어하는 명령어, 제어 명령어 코드, 제어 데이터 또는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330)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OS(operating system), 미들웨어(middleware), 장치 드라이버(device driver)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메모리(330)는 인증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저장되고 전자 장치(3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이용되는 패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패턴 정보는, 격자로 배열된 다수의 객체들의 순서에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메모리(330)는 지문을 이용한 인증을 위한 기준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고, 또한 지문 입력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지문 입력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310)에서 지문이 인식된 지문 인식 위치 및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문 입력에 관련된 정보는 지문이 인식된 손가락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문 인식 위치는, 지문 인식시 디스플레이(310)에 표시된 지문 인식 가이드의 구성 좌표들일 수 있고, 또는 지문 입력을 위해 디스플레이(310)에 터치된 손가락의 접촉 영역의 좌표들일 수도 있다. 상기 손가락 정보는, 왼손 또는 오른손의 손가락 중 특정 손가락(예, 엄지, 검지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30)는, 프로세서(340)를 통해, 터치 스크린 패널 모듈(321)로부터 지문 입력을 위해 사용자 터치가 입력된 디스플레이(310) 상의 위치 및 시간을 획득할 수 있고, 또는 프로세서(340)를 통해, 지문 센서(322)로부터 사용자 터치가 입력된 디스플레이(310) 상의 위치 및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330)는, 지문 입력에 관련된 정보를 터치 스크린 패널 모듈(321) 또는 지문 센서(32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40)는, 터치 스크린 패널 모듈(321) 또는 지문 센서(322)로부터, 지문 입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정보를 메모리(330)에게 송신할 수도 있다. 메모리(330)는, 프로세서(340) 또는 다른 구성 요소(예: 터치 스크린 패널 모듈(321)이나 지문 센서(322))의 요청에 따라서, 저장된 데이터를 프로세서(340) 또는 다른 구성 요소로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330)는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 또는 불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RAM), PRAM(phase-change RAM), MRAM(magnetic RAM), RRAM(resistive RAM), FeRAM(ferroelectric RA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불휘발성 메모리는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lectrically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레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3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SD, solid state disk), eMMC(embedded multi media card), UFS(universal flash storage)와 같은 불휘발성 매체(medium)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전자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40)는 메모리(330)에서 데이터를 읽거나 쓰고, 메모리(33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명령어 코드들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40)는, 터치 입력을 통해 입력된 지문에 대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340)는, 메모리(140)로부터 인증된 사용자의 지문에 대한 기준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수신한 기준 이미지 및 입력된 지문에 대한 이미지 간에 이미지 매칭(예를 들어, 특징점 비교)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지문 인증 또는 지문 등록시에, 지문 인식 가이드를 디스플레이(310)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지문 인식 가이드의 위치에 지문을 터치하도록 한다.
프로세서(340)는,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되는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310)에 지문 인식 가이드를 표시한다. 프로세서(340)는, 메모리(330)에 저장된 과거 지문 인식 위치 중 가장 최근 지문 인식 위치와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지문 입력 가이드를 디스플레이(310)에 표시할 수 있다. 과거 지문 인식 위치로서, 설정에 따라 최근 N(N은 자연수)개를 이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되는 디스플레이(310)의 허용 가능한 영역의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310)의 전체 영역 중 상기 허용 가능한 영역에 지문 인식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시스템 API 호출, 설정 파일의 필드값, 안드로이드의 바인더 또는 인텐드와 같은 시스템 내부 통신 등의 방법으로 상기 허용 가능한 영역의 정보를 운영체제에 알려줄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메모리(330)에 저장된 과거 지문 인식 위치 중 상기 허용 가능한 영역에 위치하는 가장 최근 지문 인식 위치와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지문 입력 가이드를 디스플레이(310)에 표시할 수 있다. 과거 지문 인식 위치로서, 설정에 따라 최근 N(N은 자연수)개를 이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허용 가능한 영역의 정보 이외, 디폴트 위치 좌표를 더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상기 허용 가능한 영역에 최근 지문 인식 위치가 없는 경우, 예를 들어 과거의 지문 인식 위치들이 모두 상기 허용 가능한 영역의 밖인 경우, 상기 디폴트 위치 좌표에 상기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과거 지문 인식 위치가 지문 인식시 디스플레이(310)에 표시된 지문 인식 가이드의 구성 좌표들일 경우, 그 구성 좌표들과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한다. 과거 지문 인식 위치의 상하좌우 중 어느 곳이든 중첩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과거 지문 인식 위치가 디스플레이(310)에 터치된 손가락의 접촉 영역의 좌표들일 경우, 그 접촉 영역의 좌표들과 지문 입력 가이드가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입력 가이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는 처음으로 지문을 입력하는 예로서, 전자 장치(300)의 프로세서(340)는 제1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310)의 허용 가능 영역(410) 내에서 디폴트 위치 좌표에 지문 입력 가이드(430)를 표시한다. 지문 입력 가이드(430)는 지문 형상의 이미지로서 사각형일 수 있고, 사각형의 중심이 디폴트 위치 좌표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지문 입력 가이드(430)의 영역에 손가락을 터치하여 지문을 인식한다.
도 4의 (b)는 두 번째로 지문을 입력하는 예로서, 제2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지문 인식이 수행될 때이다. 이때 제2어플리케이션의 허용 가능 영역은, 도 4의 (a)에서의 허용 가능 영역과 동일하다. 프로세서(340)는 제2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310)의 허용 가능 영역(410) 내 과거 지문 인식 위치, 즉 도 4의 (a)에서 지문을 입력한 위치가 존재하므로, 그 과거 지문 인식 위치와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지문 입력 가이드(440)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지문 입력 가이드(440)의 영역에 손가락을 터치하여 지문을 인식한다.
도 4의 (c)는 세 번째로 지문을 입력하는 예로서, 제3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지문 인식이 수행될 때이다. 이때 제3어플리케이션의 허용 가능 영역은, 도 2의 (a) 및 (b)에서의 허용 가능 영역과 동일하다. 프로세서(340)는 제3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310)의 허용 가능 영역(410) 내 과거 지문 인식 위치, 즉 도 4의 (a) 및 (b)에서 지문을 입력한 위치가 존재하므로, 그 과거 지문 인식 위치 중에서 가장 최근 지문 인식 위치(즉, 도 4의 (b)에서의 지문 인식 위치)와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지문 입력 가이드(450)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지문 입력 가이드(450)의 영역에 손가락을 터치하여 지문을 인식한다.
도 5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입력 가이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는 처음으로 지문을 입력하는 예로서, 전자 장치(300)의 프로세서(340)는 제1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310)의 허용 가능 영역(510) 내에서 디폴트 위치 좌표에 지문 입력 가이드(530)를 표시한다. 지문 입력 가이드(530)는 지문 형상의 이미지로서 사각형일 수 있고, 사각형의 중심이 디폴트 위치 좌표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지문 입력 가이드(530)의 영역에 손가락을 터치하여 지문을 인식한다.
도 5의 (b)는 두 번째로 지문을 입력하는 예로서, 제2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지문 인식이 수행될 때이다. 이때 제2어플리케이션의 허용 가능 영역(540)은, 도 5의 (a)에서의 허용 가능 영역(510)과는 다르다. 프로세서(340)는 제2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310)의 허용 가능 영역(540) 내에 과거 지문 인식 위치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허용 가능 영역(540) 내의 디폴트 위치 좌표에 지문 입력 가이드(560)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지문 입력 가이드(560)의 영역에 손가락을 터치하여 지문을 인식한다.
도 5의 (c)는 세 번째로 지문을 입력하는 예로서, 제3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지문 인식이 수행될 때이다. 이때 제3어플리케이션의 허용 가능 영역(570)은, 도 5의 (a) 및 (b)에서의 허용 가능 영역(510, 540)을 모두 포함한다. 프로세서(340)는 제3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310)의 허용 가능 영역(570) 내 과거 지문 인식 위치, 즉 도 5의 (a) 및 (b)에서 지문을 입력한 위치가 존재하므로, 그 과거 지문 인식 위치 중에서 가장 최근 지문 인식 위치(즉, 도 5의 (b)에서의 지문 인식 위치)와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지문 입력 가이드(580)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지문 입력 가이드(580)의 부분에 손가락을 터치하여 지문을 인식한다.
디스플레이(310)에 터치되어 흔적으로 남은 지문 샘플 중 시간이 오래 지난 지문 샘플은 사용자가 전자 장치(30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지워져 없어지고, 상대적으로 최근의 지문 샘플은 디스플레이(310)에 그대로 남아 있을 확률이 높다. 따라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가장 최근에 지문이 입력된 지문 인식 위치에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하여 새로운 지문이 그 위에 중첩되도록 하여, 악의적인 목적으로 지문 샘플을 획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340)는,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손가락의 지문을 등록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지문 센서(322)를 통해 인식되는 2개 이상의 손가락의 지문에 대한 이미지를 기준 이미지로서 메모리(330)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지문 등록시 등록되는 지문에 대한 이미지와 함께 손가락 정보를 메모리(330)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디스플레이(310) 및 지문 센서(322)를 통해 인식되는 지문이 메모리(330)에 저장된 2개 이상의 지문에 대한 기준 이미지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면 지문 인식 성공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지문 인식이 필요할 때, 특정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하라는 안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면서 지문 인식 가이드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해당 특정 손가락의 지문이 인식되면, 메모리(330)에 지문 입력에 관한 정보로서 위치 및 시간과 더불어 손가락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340)는, 지문 입력 가이드를 디스플레이(310)에 표시하는데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지정된 허용 가능한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특정 손가락과는 다른 손가락의 과거 지문 인식 위치 중 가장 최근 지문 인식 위치와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른손 검지 5개, 왼손 검지 5개의 과거 지문 인식 위치가 있을 때, 프로세서(340)는 오른손 검지를 인식하라는 안내를 표시하면서, 왼손 검지 5개의 과거 지문 인식 위치 중 허용 가능 영역에 위치하는 가장 최근의 지문 인식 위치에 지문 입력 가이드가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표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40)는, 과거 지문 인식 위치 중에서 중복도가 높은 위치에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다. 지문 입력의 중복도를 높이면 지문 샘플 획득이 어렵기 때문이다. 여기서 중복도가 높은 위치는, 중첩 면적의 합과, 중첩 횟수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가 서로 중첩되는 위치들의 그룹을 구하고, 각 그룹에 대해 중첩 면적의 합과, 중첩 횟수에 각각 가중치를 적용하여 합한 값이 가장 큰 집합의 위치를 중복도가 가장 높은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다음 (수학식1)과 같다.
(수학식1)
W = No + α*A
여기서 No는 그룹 내 위치들의 중첩 횟수이고, A는 그룹 내 위치들의 중첩 면적의 합이며, No에는 가중치 1이 적용되고, A는 설계에 따라 적절한 가중치 α가 적용된다. 중첩 횟수에 더 많은 가중치를 적용할 경우, α의 값을 낮추고 반대일 경우 α의 값을 높인다.
예를 들어, 과거 지문 인식 위치 중 서로 위치가 중첩되는 위치들의 그룹이 두 개이고, 제1그룹은 3개의 위치, 제2그룹은 2개의 위치를 포함할 때, 제1그룹의 상기 수학식1에 따른 W값과, 제2그룹의 상기 수학식2에 따른 W값 중에서 더 큰 W값을 갖는 그룹의 위치에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한다.
상기 중첩 면적의 합은, 그룹에 속하는 위치들의 교집합 면적일 수 있고, 또는 그룹에 속하는 위치들에서 선택되는 두 개의 위치의 쌍의 교집합 면적들의 합일 수 있다. 또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각 두 개의 위치의 쌍의 교집합 면적들의 합에서 중복해서 더해지는 영역의 면적을 뺀 값일 수 있으며, 또는 그룹 내 각 위치의 면적을 모두 합한 후, 각 위치를 모두 포함하는 사각형의 면적(즉, 합집합의 면적)을 뺀 값일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중복도가 가장 높은 위치에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하는데 있어서, 중복도가 가장 높은 그룹에 속하는 위치들을 모두 포함하는 사각형의 중심에 지문 입력 가이드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표시할 수 있고, 또는 해당 위치들의 교집합 영역에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40)는, 과거 지문 인식 위치 중에서 중복도가 가장 낮은 위치에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다른 위치와 중복되지 않고 단독으로 존재하는 과거 지문 인식 위치는 제외될 수 있다. 중복도가 가장 낮은 위치는 상대적으로 지문이 덜 중첩되어 지문 샘플을 획득하기가 용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40)는, 중복도와 지문 인식 시간을 함께 고려하여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중복도가 높더라도, 이미 오래전에 지문을 입력한 위치라면 전자 장치(30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지문 샘플이 훼손되었을 것이기 때문에, 중복도가 낮더라도 최근에 만들어진 위치에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하는 것이 좋을 수 있다. 중복도와 고려되는 지문 인식 시간은 지문 인식을 수행한 시간일 수 있고, 또는 지문 입력 가이드를 디스플레이(310)에 표시한 시간일 수 있다. 이를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다음 (수학식2)와 같다.
(수학식2)
W = No + α*A + γ*Tavg
여기서 Tavg는 그룹 내 각 위치의 지문 인식 시간의 평균이고, γ는 가중치이다. 나머지 변수는 상기 수학식1과 같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40)는, 중복도와 시간 그리고 손가락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특정 손가락으로 지문을 입력할 때 다른 손가락의 과거 지문 인식 위치에 지문을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현재 입력할 손가락과는 다른 손가락의 지문 인식 위치에 더 가중치를 줄 수 있다. 이를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다음 (수학식3)과 같다.
W = No + α*A + γ*Tavg + β*D
여기서 D는 그룹 내에서 현재 입력할 손가락과 다른 손가락의 지문 인식 횟수이고, β는 가중치이다. 나머지 변수는 상기 수학식2와 같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지문 인식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동작 방법은, 전자 장치(300)의 프로세서(3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601에서, 프로세서(340)는,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되는 디스플레이(310)의 허용 가능한 영역의 정보 및 디폴트 위치 좌표를 수신한다.
단계 S602에서, 프로세서(340)는, 메모리(330)에서 최근 N(N은 자연수)개의 과거 지문 인식 위치를 확인한다. 단계 S603에서, 프로세서(340)는, 확인된 N개의 과거 지문 인식 위치 중에서 상기 단계 S601에서 수신된 허용 가능한 영역에 존재하는 위치가 있는지 확인한다.
상기 허용 가능한 영역에 과거 지문 인식 위치가 존재하는 경우, 단계 S604에서, 프로세서(340)는, 가장 최근의 과거 지문 인식 위치와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지문 입력 가이드를 디스플레이(310)에 표시한다. 과거 지문 인식 위치가 지문 인식시 디스플레이(310)에 표시된 지문 인식 가이드의 구성 좌표들일 경우, 그 구성 좌표들과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한다. 과거 지문 인식 위치의 상하좌우 중 어느 곳이든 중첩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과거 지문 인식 위치가 디스플레이(310)에 터치된 손가락의 접촉 영역의 좌표들일 경우, 그 접촉 영역의 좌표들과 지문 입력 가이드가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한다.
상기 허용 가능한 영역에 과거 지문 인식 위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계 S605에서, 프로세서(340)는, 상기 단계 S601에서 수신된 디폴트 위치 좌표에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한다.
단계 S606에서, 프로세서(340)는, 단계 S604 또는 단계 S605에서 표시한 지문 입력 가이드의 위치 좌표 또는 상기 지문 입력 가이드에 따라 사용자가 손가락을 터치한 접촉 영역의 좌표를, 지문 인식 위치 좌표로서 메모리(330)에 저장하고, 또한 지문 인식 시간도 함께 메모리(330)에 저장한다.
도 6을 참조한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단계 S604에서, 프로세서(340)는, 가장 최근 지문 인식 위치가 아닌, 과거 지문 인식 위치들의 중복도를 기준으로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하거나, 더 나아가, 중복도와 지문 인식 시간을 함께 고려하여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다. 중복도와 지문 인식 시간을 고려하는 예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지문 인식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동작 방법은, 전자 장치(300)의 프로세서(3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701에서, 프로세서(340)는, 사용자의 서로 다른 복수의 손가락 지문을 등록한다. 프로세서(340)는,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하며 복수의 손가락 지문을 인식하고 인식된 이미지를 지문 인식을 위한 기준 이미지로서 메모리(330)에 저장한다.
단계 S702에서, 프로세서(340)는,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되는 디스플레이(310)의 허용 가능한 영역의 정보 및 디폴트 위치 좌표를 수신한다.
단계 S703에서, 프로세서(340)는, 특정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하라는 안내를 디스플레이(310)에 표시한다. 단계 S704에서, 프로세서(340)는, 메모리(330)에서 상기 특정 손가락과는 다른 손가락의 최근 N(N은 자연수)개의 과거 지문 인식 위치를 확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계 S702를 수행한 후에 단계 S703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지만, 그 순서는 변경되어도 된다. 즉, 단계 S703을 수행한 후에 단계 S702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705에서, 프로세서(340)는, 확인된 N개의 과거 지문 인식 위치 중에서 상기 단계 S702에서 수신된 허용 가능한 영역에 존재하는 위치가 있는지 확인한다.
상기 허용 가능한 영역에 과거 지문 인식 위치가 존재하는 경우, 단계 S706에서, 프로세서(340)는, 가장 최근의 과거 지문 인식 위치와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지문 입력 가이드를 디스플레이(310)에 표시한다. 과거 지문 인식 위치가 지문 인식시 디스플레이(310)에 표시된 지문 인식 가이드의 구성 좌표들일 경우, 그 구성 좌표들과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한다. 과거 지문 인식 위치의 상하좌우 중 어느 곳이든 중첩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과거 지문 인식 위치가 디스플레이(310)에 터치된 손가락의 접촉 영역의 좌표들일 경우, 그 접촉 영역의 좌표들과 지문 입력 가이드가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한다.
상기 허용 가능한 영역에 과거 지문 인식 위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계 S707에서, 프로세서(340)는, 상기 단계 S702에서 수신된 디폴트 위치 좌표에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한다.
단계 S708에서, 프로세서(340)는, 단계 S706 또는 단계 S707에서 표시한 지문 입력 가이드의 위치 좌표 또는 상기 지문 입력 가이드에 따라 사용자가 손가락을 터치한 접촉 영역의 좌표를, 지문 인식 위치 좌표로서 메모리(330)에 저장하고, 또한 지문 인식 시간과 인식된 손가락 정보도 함께 메모리(330)에 저장한다.
도 7을 참조한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단계 S706에서, 프로세서(340)는, 가장 최근 지문 인식 위치가 아닌, 과거 지문 인식 위치들의 중복도를 기준으로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하거나, 더 나아가, 중복도와 지문 인식 시간을 함께 고려하여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다. 중복도와 지문 인식 시간을 고려하는 예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상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되는 허용 가능한 영역 내의 과거 지문 인식 위치를 이용하지만,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 내의 과거 지문 위치 위치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300 : 전자 장치
310 : 디스플레이
320 : 센서 모듈
321 : 터치 스크린 패널 모듈
322 : 지문 센서
330 : 메모리
340 : 프로세서

Claims (22)

  1. 지문 인식이 가능한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을 통해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센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지문이 인식된 과거 지문 인식 위치 및 시간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과거 지문 인식 위치 중 가장 최근 지문 인식 위치와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의 허용 가능한 영역의 정보를 수신하고, 및
    상기 허용 가능한 영역에 위치하는 가장 최근 지문 인식 위치와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디폴트 위치 좌표를 더 수신하고,
    상기 과거의 지문 인식 위치들이 모두 상기 허용 가능한 영역의 밖인 경우 상기 디폴트 위치 좌표에 상기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과거 지문 인식에 사용된 손가락 정보를 더 저장하고,
    특정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하라는 안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면서, 상기 특정 손가락과는 다른 손가락의 상기 허용 가능한 영역에 위치하는 가장 최근 지문 인식 위치와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상기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과거 지문 인식에 사용된 손가락 정보를 더 저장하고,
    특정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하라는 안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면서, 상기 특정 손가락과는 다른 손가락의 가장 최근 지문 인식 위치와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상기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지문 인식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을 통해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센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지문이 인식된 과거 지문 인식 위치 및 시간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과거 지문 인식 위치들의 중첩 위치 중 중복도를 기준으로 결정한 위치에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의 허용 가능한 영역의 정보를 수신하고, 및
    상기 허용 가능한 영역 내에 존재하는 상기 과거 지문 인식 위치들의 중첩 위치 중 중복도를 기준으로 결정한 위치에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중첩 면적의 합과, 중첩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중복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중복도를 기준으로 결정한 위치에 중첩된 과거 지문 인식 위치들을 모두 포함하는 사각형의 중심에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하거나 또는 그 과거 지문 인식 위치들의 교집합 영역에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과거 지문 인식 위치들의 각 중첩 위치의 중복도와, 각 중첩 위치에 속하는 위치들의 지문 인식 시간의 평균에 기초하여,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할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각 중첩 위치에 대해, 현재 지문 인식을 할 손가락과는 다른 손가락의 지문 인식 횟수를 더 고려하여,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할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을 통한 지문 인식이 가능한 전자 장치에서 지문을 인식하는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지문이 인식된 과거 지문 인식 위치 및 시간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과거 지문 인식 위치 중 가장 최근 지문 인식 위치와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의 허용 가능한 영역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허용 가능한 영역에 위치하는 가장 최근 지문 인식 위치와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 가능한 영역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디폴트 위치 좌표를 더 수신하고,
    상기 동작 방법은,
    상기 과거의 지문 인식 위치들이 모두 상기 허용 가능한 영역의 밖인 경우 상기 디폴트 위치 좌표에 상기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메모리에 과거 지문 인식에 사용된 손가락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동작 방법은,
    특정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하라는 안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손가락과는 다른 손가락의 상기 허용 가능한 영역에 위치하는 가장 최근 지문 인식 위치와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상기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메모리에 과거 지문 인식에 사용된 손가락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동작 방법은,
    특정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하라는 안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손가락과는 다른 손가락의 가장 최근 지문 인식 위치와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상기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17.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을 통한 지문 인식이 가능한 전자 장치에서 지문을 인식하는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지문이 인식된 과거 지문 인식 위치 및 시간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상기 과거 지문 인식 위치들의 중첩 위치 중 중복도를 기준으로 결정한 위치에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의 허용 가능한 영역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허용 가능한 영역 내에 존재하는 상기 과거 지문 인식 위치들의 중첩 위치 중 중복도를 기준으로 결정한 위치에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중첩 면적의 합과, 중첩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중복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중복도를 기준으로 결정한 위치에 중첩된 과거 지문 인식 위치들을 모두 포함하는 사각형의 중심에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하거나 또는 그 과거 지문 인식 위치들의 교집합 영역에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과거 지문 인식 위치들의 각 중첩 위치의 중복도와, 각 중첩 위치에 속하는 위치들의 지문 인식 시간의 평균에 기초하여,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할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각 중첩 위치에 대해, 현재 지문 인식을 할 손가락과는 다른 손가락의 지문 인식 횟수를 더 고려하여, 지문 입력 가이드를 표시할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KR1020200071124A 2020-06-11 2020-06-11 지문 인식이 가능한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지문 인식 동작 방법 KR202101540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124A KR20210154026A (ko) 2020-06-11 2020-06-11 지문 인식이 가능한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지문 인식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124A KR20210154026A (ko) 2020-06-11 2020-06-11 지문 인식이 가능한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지문 인식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026A true KR20210154026A (ko) 2021-12-20

Family

ID=79034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124A KR20210154026A (ko) 2020-06-11 2020-06-11 지문 인식이 가능한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지문 인식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40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0293B2 (en) 2021-08-26 2023-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fingerprint recognition guide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0293B2 (en) 2021-08-26 2023-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fingerprint recognition guide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8459B2 (en) Operation method with fingerprint recognition,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KR102561736B1 (ko) 터치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지문을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KR102214974B1 (ko) 잠금 화면 상에서 필기 형태의 사용자 입력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971063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security using complex biometric information
US8136053B1 (en) Direct, gesture-based actions from device's lock screen
US928027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50047017A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US20150078586A1 (en) User input with fingerprint sensor
US20130207905A1 (en) Input Lock For Touch-Screen Device
KR20120080220A (ko) 시스템의 생체인식 보안을 향상시키는 방법, 시스템 및 머신 액세스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물품
US20140002240A1 (en) Expedited Biometric Validation
TW201322142A (zh) 利用偵測生物特徵執行軟體功能的方法和相關電子裝置
KR20180074983A (ko) 생체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8235814B (zh) 用户接口交互的方法和终端设备
KR102147086B1 (ko) 필기 서명 입력에 대한 검증 방법 및 장치
US20140189603A1 (en) Gesture Based Partition Switching
KR20210154026A (ko) 지문 인식이 가능한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지문 인식 동작 방법
US20170147861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20150029251A (ko) 전자 장치 내의 객체를 보안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20170371481A1 (en) Enhanced touchscreen
TWI706287B (zh) 滑動解鎖方法、系統及電子裝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