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3783A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istribution equipment public affairs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istribution equipment public affai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3783A
KR20210153783A KR1020200070135A KR20200070135A KR20210153783A KR 20210153783 A KR20210153783 A KR 20210153783A KR 1020200070135 A KR1020200070135 A KR 1020200070135A KR 20200070135 A KR20200070135 A KR 20200070135A KR 20210153783 A KR20210153783 A KR 20210153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acility
empty
augmented reality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1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병춘
김대룡
배이수
지종국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70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3783A/en
Publication of KR20210153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378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managing a joint use facility.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target joint use facility from a joint use facility database of a server; a generation unit for receiving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nformation on a joint use facility, and generating an augmented reality screen for guiding a user to a target joint use facility on the basis of the received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a comparison unit for receiving target joint use facility information from an RFID tag provided in the target joint use facility, and comparing the received target joint use facility information with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on the joint use facility received from the server; and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facility installed in the target joint use facility without permission on the basis of a comparison result. Therefore, a joint use facility installed without permission can be detected.

Description

공가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ISTRIBUTION EQUIPMENT PUBLIC AFFAIRS}Public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ISTRIBUTION EQUIPMENT PUBLIC AFFAIRS}

본 발명은 공가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무단으로 설치된 공가설비를 검출할 수 있는 공가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 empty facility, and to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 empty facility capable of detecting an empty facility installed without permission.

배전 공가설비란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시설되는 배전설비에 통신용 케이블이 가설된 형태의 전력설비를 일컫는다.A power distribution facility refers to a type of power facility in which a communication cable is installed in a distribution facility installed to supply electricity.

현재의 공가설비를 이용하는 방법은 통신사업자, 즉 공가설비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업자가 공가설비 이용신청을 하면, 한국전력 등의 공가설비 제공자가 심사하여 승인여부를 결정한다. 공가설비 제공자에 의해 공가설비의 이용신청에 대한 승인이 결정되면, 사용자는 통신용 케이블을 설치하고, 공가설비 제공자는 설치된 통신용 케이블 정보를 공가설비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As for the current method of using public facilities, when a tele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that is, a business that wants to use public facilities, applies for use of public facilities, a provider of public facilities such as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examines and decides whether to approve or not. When the approval of the application for use of the empty facility is decided by the empty facility provider, the user installs the communication cable, and the empty facility provider records the installed communication cable information in the database for managing the empty facility.

이후, 공가설비의 점검 및 무단으로 설치된 공가설비의 검출을 위해 공가설비 제공자에 의해 파견된 작업자가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정보를 토대로 공가설비를 순시 점검한다. Thereafter, the worker dispatched by the empty facility provider for the inspection of the empty facilities and the detection of the illegally installed empty facilities performs an instantaneous inspection of the empty facilities based on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database.

한편, 공가관리규정을 초과하여 공가설비가 시설될 경우 전주의 수명 단축 및 전주의 파손 위험이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On the other hand, if empty facilities are installed in excess of the empty space management regulations, the life span of the poles is shortened and the risk of damage to the electric poles increases.

그러나, 통신사업자 간 가입자 유치경쟁이 활발해짐에 따라 기존의 순시 점검에 의한 공가설비 관리방법으로는 공가설비의 무단설치를 충분히 방지할 수 없어, 매년 순시위탁용역, 전주보강을 위한 비용이 증가하고 있다. However, as competition to attract subscribers between tele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is intensifying, the existing method of managing empty facilities through instantaneous inspections cannot sufficiently prevent unauthorized installation of empty facilities. have.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7201호(2014.05.13.)의 '공가설비 관리 네트워크의 관리방법'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the 'management method of the empty facility management network' of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397201 (2014.05.13.).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무단으로 설치된 공가설비를 검출할 수 있는 공가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mpty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detecting an empty empty facility installed without permiss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가설비 관리 장치는 서버의 공가설비 DB(Database)로부터 대상 공가설비를 선정하는 선정부; 공가설비에 관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증강현실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증강현실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 공가설비로 사용자를 안내하기 위한 증강현실 화면을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대상 공가설비에 구비된 RFID 태그로부터 상기 대상 공가설비의 시설물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대상 공가설비의 시설물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공가설비 증강현실 정보와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 공가설비에 무단 설치된 시설물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mpty empty facility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target empty facility from an empty facility DB (Database) of a server; Receives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nformation on public facilities from the server, and generates an augmented reality screen for guiding the user to the target public facilities based on the received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generating unit; a comparis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facility information of the target empty facility from the RFID tag provided in the target empty facility, and compare the received facility information of the target empty facility with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of the empty facility received from the server; and a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detect a facility installed in the target empty facility without permission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공가설비의 시설물 정보는 상기 대상 공가설비에 설치된 통신사업자별 통신선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acility information of the empty facilit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information on communication lines for each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nstalled in the target empty facility.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증강현실 정보는 공가설비의 이미지 정보, 모델 정보, 위치 정보, 및 통신사업자별 통신선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image information of public facilities, model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line information for each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본 발명에 있어 현재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GPS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GPS부를 통해 측정한 위치에 대응하는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3차원 이미지에 상기 증강현실 정보에 포함된 공가설비의 이미지 정보, 모델 정보, 위치 정보, 및 통신사업자별 통신선의 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증강현실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GPS unit for determining the current location, wherein the generating unit generates a three-dimension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measured through the GPS unit, and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n the generated three-dimensional imag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is generated by applying image information, model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line information for each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ncluded in the vacant facility.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비교부는, 상기 증강현실 정보에 포함된 통신사업자별 통신선의 정보와, 상기 대상 공가설비의 시설물 정보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aris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ares the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line for each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ncluded i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and the facility information of the target public facility.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증강현실 정보에 기록되지 않은 시설물의 정보가 상기 대상 공가설비의 시설물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검출부는, 상기 기록되지 않은 시설물의 정보에 대응하는 시설물을 무단 설치된 시설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가설비 관리 장치.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when information on a facility that is not recorded i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facility information of the target empty facility, the detection unit may remove the facility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unrecorded facility without permission. An empty facility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cted as an installed facilit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가설비 관리 방법은 선정부가, 서버의 공가설비 DB(Database)로부터 대상 공가설비를 선정하는 단계; 생성부가, 상기 공가설비에 관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증강현실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증강현실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 공가설비로 사용자를 안내하기 위한 증강현실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비교부가, 상기 대상 공가설비에 구비된 RFID 태그로부터 상기 대상 공가설비의 시설물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대상 공가설비의 시설물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증강현실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 검출부가,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 공가설비에 무단 설치된 시설물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mpty facilit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selecting, by a selection unit, a target empty facility from an empty facility DB (Database) of a server; Augmented for guiding a user to the target public facility based o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generation unit receiving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server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nformation about the empty facility, and the received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generating a real screen; receiving, by a comparison unit, facility information of the target empty facility from an RFID tag provided in the target empty facility, and comparing the received facility information of the target empty facility with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and detecting, by a detection unit, an unauthorized facility installed in the target empty facility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공가설비의 시설물 정보는 상기 대상 공가설비에 설치된 통신사업자별 통신선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acility information of the empty facilit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information on communication lines for each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nstalled in the target empty facility.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증강현실 정보는 공가설비의 이미지 정보, 모델 정보, 위치 정보, 및 통신사업자별 통신선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image information of public facilities, model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line information for each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생성부는, GPS부를 통해 측정한 위치에 대응하는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3차원 이미지에 상기 증강현실 정보에 포함된 공가설비의 이미지 정보, 모델 정보, 위치 정보, 및 통신사업자별 통신선의 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증강현실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generating step, the generating unit generates a three-dimension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measured through the GPS unit, and image information of empty facilities included i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n the generated three-dimensional imag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is generated by applying model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line information for each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비교하는 단계에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증강현실 정보에 포함된 통신사업자별 통신선의 정보와, 상기 대상 공가설비의 시설물 정보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omparing step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aris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line for each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ncluded i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and the facility information of the target public facility is compared.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검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증강현실 정보에 기록되지 않은 시설물의 정보가 상기 대상 공가설비의 시설물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기록되지 않은 시설물의 정보에 대응하는 시설물을 무단 설치된 시설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detecting step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on unit,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when information on facilities not recorded i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facility information of the target public facility, information on the unrecorded faciliti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cility corresponding to the is detected as an unauthorized facilit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가설비에 설치되는 RFID 태그를 통해 수신되는 공가설비에 관한 정보와 서버를 통해 전송되는 공가설비에 관한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무단으로 설치된 공가설비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ct an empty facility installed without permission by compar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empty facility received through the RFID tag installed in the empty facility with the information about the empty facility transmitted through the server.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공가설비에 관한 GIS 정보를 토대로 생성된 증강현실 화면을 통해 직관적으로 공가설비의 위치를 확인하고, 공가설비의 점검을 위한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check the location of the empty facility through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generated based on GIS information about the empty facility, and guide a route for checking the empty fac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가설비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가설비 관리 장치의 RFID 태그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가설비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가설비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empty faci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n RFID tag of an empty facility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pty facility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empty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가설비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empty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가설비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가설비 관리 장치의 RFID 태그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empty faci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n RFID tag of an empty facility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가설비 관리 시스템은 공가설비 관리 장치(100), 서버(200) 및 RFID 태그(3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an empty faci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mpty facility management apparatus 100 , a server 200 , and an RFID tag 300 .

서버(200)는 공가설비에 관한 GIS 데이터에 기반하여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The server 200 may generate and stor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based on GIS data related to the public facilities.

예를 들어, 서버(200)는 공가설비를 제공하는 전력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NDIS(New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에 저장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정보에 기반하여 증강현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rver 200 may generat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nformation stored in a New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 (NDIS) operated by a power provider that provides public facilities.

NDIS는 배전 관련 전력 설비의 설계 및 유지 보수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GIS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구축된 정보시스템을 의미한다. NDIS refers to an information system built based on GIS information to efficiently design and maintain distribution-related power facilities.

이와 같은 NDIS에는 국내에 위치하는 각 공가설비에 관한 식별 정보, 위치 정보, 이미지 정보, 모델 정보, 통신사업자별 통신선 정보를 포함한 GIS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서버(200)는 공가설비를 증강현실 화면에 구현하도록 적합한 형식으로 GIS 정보를 변환하여 증강현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uch NDIS may store GIS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mode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line information for each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on each public facility located in Korea, and the server 200 enhances the empty facility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by transforming GIS information into a format suitable for implementation on a real screen.

RFID 태그(300)는 공가설비에 각각 구비되어, 공가설비의 시설물 정보를 공가설비 관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RFID tag 300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empty facilities to transmit facility information of the empty facilities to the empty facility management apparatus 100 .

예를 들어, RFID 태그(300)는 공가설비에 각각 구비되어, 공가설비에 설치된 통신사업자별 통신선의 정보를 공가설비 관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RFID tag 300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public facilities to transmit information on a communication line for each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nstalled in the empty facility to the empty facility management apparatus 100 .

이러한, RFID 태그(300)는 통신사업자가 공가설비에 통신선을 시설하는 경우에 함께 설치될 수 있다. The RFID tag 300 may be installed together when a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nstalls a communication line in an empty facility.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300)는 공가설비의 직선개소에 일정구간(예: 4경간) 단위로 설치될 수 있고, 직선개소에 분기되는 공가설비의 분기지점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공가설비 관리 장치(100)가 해당 RFID 태그(30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RFID 태그(300)는 공가설비 관리 장치(100)로 공가설비의 시설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RFID tag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a unit of a predetermined section (eg, 4 spans) at a straight portion of the empty facility, and branching of the empty facility at the straight portion It may also be installed at a branch, and when the empty facility management device 100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rresponding RFID tag 300 , the RFID tag 300 transmits facility information of the empty facility to the empty facility management device 100 . can

공가설비 관리 장치(10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증강현실 정보에 기반하여 공가설비로 사용자를 안내하기 위한 증강현실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The empty facility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generate an augmented reality screen for guiding the user to the empty facility based o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200 .

예를 들어, 공가설비 관리 장치(10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증강현실 정보에 기반하여 공가설비로 사용자를 안내하기 위한 3차원 이미지(예: 3차원 지도 이미지, 로드뷰)를 생성하고, 생성된 3차원 이미지를 통해 사용자를 공가설비가 위치한 장소로 안내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empty facility management apparatus 100 generates a three-dimensional image (eg, a three-dimensional map image, a road view) for guiding a user to an empty facility based o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200, and , it is possible to guide the user to the place where the empty space equipment is located through the generated 3D image.

아울러, 공가설비 관리 장치(10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증강현실 정보에 기반하여 3차원 이미지 상에 공가설비의 이미지를 오버랩(Overlap)시켜 해당 공가설비의 정보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mpty facility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overlap the image of the empty facility on the 3D image based o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200 and display it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of the empty facility.

또한, 공가설비 관리 장치(100)는 공가설비에 구비된 RFID 태그(300)로부터 공가설비의 시설물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공가설비의 시설물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한 증강현실 정보와 비교하여 공가설비에 무단 설치된 시설물을 검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mpty facility management device 100 receives the facility information of the empty facility from the RFID tag 300 provided in the empty facility, and compares the received facility information of the empty facility with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It is possible to detect unauthorized installations in the

예를 들어, 공가설비 관리 장치(100)는 공가설비를 점검하는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는 단말 장치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스마트기기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empty facility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be a terminal device carried by a user who inspects the empty facility, and may be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가설비 관리 장치(100)를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n empty facility manage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가설비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pty facility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가설비 관리 장치(100)는 선정부(110), 생성부(120), 비교부(130), 검출부(140), GPS부(150),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an empty facility manage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lection unit 110 , a generation unit 120 , a comparison unit 130 , a detection unit 140 , and a GPS unit 150 . , the display unit 160 may be included.

선정부(110)는 서버(200)의 공가설비 DB(Database)로부터 대상 공가설비를 선정할 수 있다. The selection unit 110 may select the target empty facility from the empty facility DB (Database) of the server 200 .

대상 공가설비는 무단 설치된 시설물의 검출 또는 정기 점검 등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점검될 필요가 있는 공가설비를 의미하며, 선정부(110)는 서버(200)에 저장된 공가설비 DB에 기록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된 공가설비 중 하나를 대상 공가설비로 선정할 수 있다. The target empty facility means an empty facility that needs to be checked by the user for detection or regular inspection of unauthorized facilities, and the selection unit 110 is recorded in the empty facility DB stored in the server 200 and converted into a database. One of the empty facilities can be selected as the target empty facilities.

예를 들어, 선정부(110)는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출력되는 지도 상에 표시된 공가설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공가설비를 대상 공가설비를 선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lection unit 110 may select the target empty facility from the empty facilities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empty facilities displayed on the map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60 .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선정부(110)는 현재 위치와 가장 가까운 공가설비를 자동으로 대상 공가설비로 선정하거나, 일정 지역의 위치한 공가설비를 모두 경유하기 위한 최단 경로에 따라 대상 공가설비를 선정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election unit 110 automatically selects the empty facility closest to the current location as the target empty facility, or selects the target empty facility according to the shortest route for passing through all the empty facilities located in a certain area. may be

생성부(120)는 공가설비에 관한 GIS 데이터에 기반하여 생성된 증강현실 정보를 서버(2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증강현실 정보에 기반하여 대상 공가설비로 사용자를 안내하기 위한 증강현실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The generating unit 120 receives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GIS data on the empty facility from the server 200, and based on the received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an augmented reality screen for guiding the user to the target empty facility. can create

예를 들어, 증강현실 정보는 공가설비의 이미지 정보, 모델 정보, 위치 정보, 및 통신사업자별 통신선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may include image information of public facilities, model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f communication lines for each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공가설비 관리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GPS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생성부(120)는 GPS부(150)를 통해 측정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토대로 3차원 이미지(예: 3차원 지도 이미지, 로드뷰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3차원 이미지에 증강현실 정보에 포함된 공가설비의 이미지 정보(예: 공가설비의 3차원 이미지 정보), 모델 정보(예: 공가설비의 종류 및 식별번호), 위치 정보, 및 통신사업자별 통신선의 정보를 적용하여 증강현실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GPS unit 150 for measur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empty facility manage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generating unit 120 is a user measured through the GPS unit 150 . Creates a three-dimensional image (e.g., a three-dimensional map image, a road view imag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information), model information (eg, type and identification number of public facilities), locatio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communication lines for each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can be applied to create an augmented reality screen.

이때, 생성부(120)는 대상 공가설비의 이미지 및 위치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현재 위치를 토대로 생성된 3차원 이미지(예: 3차원 지도 이미지, 로드뷰 이미지) 상에 증강현실 정보에 포함된 대상 공가설비의 이미지를 오버랩(Overlap)시켜 대상 공가설비의 모델 정보, 통신사업자별 통신선의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generating unit 120 includes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on the 3D image (eg, 3D map image, road view image) generated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so as to intuitively grasp the image and location of the target empty facility. By overlapping the image of the target empty facility, it can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60 together with model information of the target empty facility and communication line information for each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또한, 생성부(120)는 현재 위치를 토대로 생성된 3차원 이미지 상에 대상 공가설비로 이동하기 위한 경로를 표시하여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출력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60)의 일측에 미니맵(2D맵)으로 현재 위치와 대상 공가설비의 위치를 표시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generating unit 120 may display a path for moving to the target empty facility on the three-dimensional image generated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and output it through the display unit 160 , and may be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160 .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and output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target empty facility with a mini map (2D map).

비교부(130)는 대상 공가설비에 구비된 RFID 태그(300)로부터 대상 공가설비의 시설물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대상 공가설비의 시설물 정보를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증강현실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The comparison unit 130 may receive facility information of the target public facility from the RFID tag 300 provided in the target public facility, and compare the received facility information of the target empty facility with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200 . have.

공가설비의 시설물 정보는 공가설비에 설치된 통신사업자별 통신선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acility information of the public facilities may include information on communication lines for each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nstalled in the public faciliti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교부(130)는 증강현실 정보에 포함된 통신사업자별 통신선의 정보와, 대상 공가설비의 시설물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arison unit 130 may compare the information on the communication line for each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ncluded i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and the facility information of the target public facility.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증강현실 정보에 포함된 통신사업자별 통신선의 정보는 공가설비 제공자에 의해 등록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된 통신선의 정보만이 포함되어 있다. 반면, RFID 태그(300)로부터 수신한 대상 공가설비의 시설물 정보는 현재 공가설비에 시설된 모든 통신선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RFID 태그(300)로부터 수신한 대상 공가설비의 시설물 정보와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증강현실 정보를 비교 시,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지 않은 시설물, 즉 무단 설치된 통신선을 검출할 수 있다. Information on communication lines for each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ncluded i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200 includes only information on communication lines registered and databased by the public facility provider. On the other hand, the facility information of the target public facility received from the RFID tag 300 includes information of all communication lines currently installed in the empty facility. Therefore, when comparing the facility information of the target public facility received from the RFID tag 300 and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200, it is possible to detect a facility not recorded in the database, that is, an unauthorized communication line.

예를 들어, RFID 태그(300)로부터 수신한 대상 공가설비의 시설물 정보를 통해 K사에 의한 통신선 1회선, L사에 의한 통신선 2회선, S사에 의한 통신선 3회선이 각각 대상 공가설비에 구비되는 것으로 조회되고,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증강현실 정보에 포함된 통신사업자별 통신선의 정보에는 LG사에 의한 통신선 1회선, S사에 의한 통신선 2회선이 각각 대상 공가설비에 구비되는 것으로 조회될 경우, K사에 의한 통신선 1회선과 L사에 의한 통신선 1회선은 무단 설치된 통신선에 해당할 수 있다. For example, through the facility information of the target public facility received from the RFID tag 300, one communication line by company K, two communication lines by L company, and three communication lines by S company are provided in the target public facility, respectively. In the information of communication lines for each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ncluded i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200, one communication line by LG company and two communication lines by S company are inquired as provided in the target public facility, respectively. In this case, one communication line by Company K and one communication line by L company may correspond to communication lines installed without permission.

검출부(140)는 비교부(130)의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대상 공가설비에 무단 설치된 시설물을 검출할 수 있다. The detection unit 140 may detect facilities installed without permission in the target empty facility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comparison unit 130 .

예를 들어, 비교부(130)의 비교 결과, 대상 공가설비의 시설물 정보에 증강현실 정보에 기록되지 않은 시설물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검출부(140)는 기록되지 않은 시설물의 정보에 대응하는 시설물을 무단 설치된 시설물로 검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he comparison unit 130 , when the facility information of the target empty facility includes information on facilities that are not recorded i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the detection unit 140 corresponds to the information of facilities that are not recorded. A facility can be detected as an unauthorized facility.

또한, 검출부(140)는 검출된 공가설비에 무단 설치된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tection unit 140 may output information about the facilities installed in the detected empty facilities without permission through the display unit 160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가설비에 설치되는 RFID 태그를 통해 수신되는 공가설비에 관한 정보와 서버를 통해 전송되는 공가설비에 관한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무단으로 설치된 공가설비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공가설비에 관한 GIS 정보를 토대로 생성된 증강현실 화면을 통해 직관적으로 공가설비의 위치를 확인하고, 공가설비의 점검을 위한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detect an empty facility installed without permission by compar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empty facility received through the RFID tag installed in the empty facility with the information about the empty facility transmitted through the server. .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check the location of the empty facility through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generated based on the GIS information on the empty facility and guide the route for the inspection of the empty facility.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가설비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empty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4를 참고하여, 공가설비 관리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4, a method for managing empty storage facilities will be described.

S100 단계에서, 선정부(110)는 서버(200)의 공가설비 DB로부터 대상 공가설비를 선정할 수 있다. In step S100 , the selection unit 110 may select a target empty facility from the empty facility DB of the server 200 .

S200 단계에서, 생성부(120)는 공가설비에 관한 GIS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증강현실 정보를 서버(2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증강현실 정보에 기반하여 대상 공가설비로 사용자를 안내하기 위한 증강현실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In step S200, the generating unit 120 receives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GIS information on the empty facility from the server 200, and guides the user to the target empty facility based on the received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You can create an augmented reality screen.

증강현실 정보는 공가설비의 이미지 정보, 모델 정보, 위치 정보, 및 통신사업자별 통신선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may include image information of public facilities, model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f communication lines for each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S200 단계에서, 생성부(120)는 GPS부(150)를 통해 측정한 위치에 대응하는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3차원 이미지에 증강현실 정보에 포함된 공가설비의 이미지 정보, 모델 정보, 위치 정보, 및 통신사업자별 통신선의 정보를 적용하여 증강현실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In step S200, the generating unit 120 generates a three-dimension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measured by the GPS unit 150, and image information and model information of the empty space included i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n the generated three-dimensional image. , locatio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f communication lines for each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can be applied to create an augmented reality screen.

S300 단계에서, 비교부(130)는 대상 공가설비에 구비된 RFID 태그(300)로부터 대상 공가설비의 시설물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대상 공가설비의 시설물 정보를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증강현실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In step S300, the comparison unit 130 receives facility information of the target public facility from the RFID tag 300 provided in the target public facility, and augmented reality that receives the received facility information of the target empty facility from the server 200 information can be compared.

공가설비의 시설물 정보는 대상 공가설비에 설치된 통신사업자별 통신선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cility information of the public facilities may include information on communication lines for each tele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nstalled in the target public facilities.

S300 단계에서, 비교부(130)는 증강현실 정보에 포함된 통신사업자별 통신선의 정보와, 대상 공가설비의 시설물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In step S300, the comparison unit 130 may compare the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line for each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ncluded i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and the facility information of the target public facility.

S400 단계에서, 검출부(140)는 비교부(130)를 통한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대상 공가설비에 무단 설치된 시설물을 검출하여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In step S400 , the detection unit 140 may detect the facilities installed in the target empty facility without permission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through the comparison unit 130 and output it through the display unit 160 .

S400 단계에서, S300 단계의 비교 결과, 대상 공가설비의 시설물 정보에 증강현실 정보에 기록되지 않은 시설물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검출부(140)는 기록되지 않은 시설물의 정보에 대응하는 시설물을 무단 설치된 시설물로 검출할 수 있다.In step S400,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n step S300, if the facility information of the target public facility includes information about facilities that are not recorded i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the detection unit 140 detects facilities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f facilities that are not recorded without permission. It can be detected by installed facilities.

S500 단계에서, 검출부(140)는 검출된 공가설비에 무단 설치된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In step S500 , the detection unit 140 may output information on the detected facilities installed without permission in the empty facilities through the display unit 160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가설비 관리 장치 및 방법은 공가설비에 설치되는 RFID 태그를 통해 수신되는 공가설비에 관한 정보와 서버를 통해 전송되는 공가설비에 관한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무단으로 설치된 공가설비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공가설비에 관한 GIS 정보를 토대로 생성된 증강현실 화면을 통해 직관적으로 공가설비의 위치를 확인하고, 공가설비의 점검을 위한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empty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the information on the empty facilities received through the RFID tag installed in the empty facilities with the information on the empty facilities transmitted through the server. Unauthorized installation of empty facilities can be easily detect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check the location of the empty facility through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generated based on the GIS information on the empty facility and guide the route for the inspection of the empty facility.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Implementa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for example, a method or process, an apparatus, a software program, a data stream, or a signal. Although discussed only in the context of a single form of implementation (eg, discussed only as a method), implementations of the discussed features may also be implemented in other forms (eg, as an apparatus or program). The apparatus may be implemented in suitable hardware, software and firmware, and the like. A method may be implemented in an apparatus such as, for example, a processor, which generally refers to a computer, a microprocessor, a processing device, including an integrated circuit or programmable logic device, or the like. Processors also includ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computers, cell phones, portable/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and other devices that facilitat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between end-user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is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공가설비 관리 장치
110: 선정부
120: 생성부
130: 비교부
140: 검출부
150: GPS부
160: 디스플레이부
200: RFID 태그
300: 서버
100: empty facility management device
110: selection unit
120: generator
130: comparison unit
140: detection unit
150: GPS unit
160: display unit
200: RFID tag
300: server

Claims (12)

서버의 공가설비 DB(Database)로부터 대상 공가설비를 선정하는 선정부;
공가설비에 관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증강현실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증강현실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 공가설비로 사용자를 안내하기 위한 증강현실 화면을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대상 공가설비에 구비된 RFID 태그로부터 상기 대상 공가설비의 시설물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대상 공가설비의 시설물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공가설비 증강현실 정보와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 공가설비에 무단 설치된 시설물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가설비 관리 장치.
a selection unit that selects the target empty facility from the server's empty facility DB (Database);
Receives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nformation on public facilities from the server, and generates an augmented reality screen for guiding the user to the target public facilities based on the received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generating unit;
a comparis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facility information of the target empty facility from the RFID tag provided in the target empty facility, and compare the received facility information of the target empty facility with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of the empty facility received from the server; and
and a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detect a facility installed in the target empty facility without permission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가설비의 시설물 정보는 상기 대상 공가설비에 설치된 통신사업자별 통신선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가설비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acility information of the empty facility is an empty facility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information on communication lines for each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nstalled in the target empty facilit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정보는 공가설비의 이미지 정보, 모델 정보, 위치 정보, 및 통신사업자별 통신선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가설비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s an empty facility manage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image information, model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line information for each communication provider of the empty facility.
제 3항에 있어서,
현재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GPS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GPS부를 통해 측정한 위치에 대응하는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3차원 이미지에 상기 증강현실 정보에 포함된 공가설비의 이미지 정보, 모델 정보, 위치 정보, 및 통신사업자별 통신선의 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증강현실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가설비 관리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GPS unit for determining the current location; further comprising,
The generating unit generates a three-dimension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measured by the GPS unit, and image information of an empty facility included i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n the generated three-dimensional image, model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a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n empty space facility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is generated by applying the information of each communication lin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증강현실 정보에 포함된 통신사업자별 통신선의 정보와, 상기 대상 공가설비의 시설물 정보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가설비 관리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mparison unit, An empty facility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mparing the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line for each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ncluded i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and the facility information of the target empty facilit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증강현실 정보에 기록되지 않은 시설물의 정보가 상기 대상 공가설비의 시설물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검출부는, 상기 기록되지 않은 시설물의 정보에 대응하는 시설물을 무단 설치된 시설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가설비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when information on a facility that is not recorded i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facility information of the target empty facility, the detection unit detects a facility corresponding to the unrecorded facility information as an unauthorized facility An empty facility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선정부가, 서버의 공가설비 DB(Database)로부터 대상 공가설비를 선정하는 단계;
생성부가, 상기 공가설비에 관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증강현실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증강현실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 공가설비로 사용자를 안내하기 위한 증강현실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비교부가, 상기 대상 공가설비에 구비된 RFID 태그로부터 상기 대상 공가설비의 시설물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대상 공가설비의 시설물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증강현실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
검출부가,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 공가설비에 무단 설치된 시설물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가설비 관리 방법.
selecting, by the selection unit, a target empty facility from the server's empty facility DB (Database);
Augmented for guiding a user to the target public facility based o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generation unit receiving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server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nformation about the empty facility, and the received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generating a real screen;
receiving, by a comparison unit, facility information of the target empty facility from an RFID tag provided in the target empty facility, and comparing the received facility information of the target empty facility with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and
and detecting, by a detection unit, an unauthorized facility installed in the target empty facility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공가설비의 시설물 정보는 상기 대상 공가설비에 설치된 통신사업자별 통신선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가설비 관리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acility information of the empty facility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information on communication lines for each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nstalled in the target empty facility.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정보는 공가설비의 이미지 정보, 모델 정보, 위치 정보, 및 통신사업자별 통신선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가설비 관리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s an empty facility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image information, model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line information for each communication provider of the empty facility.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생성부는,
GPS부를 통해 측정한 위치에 대응하는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3차원 이미지에 상기 증강현실 정보에 포함된 공가설비의 이미지 정보, 모델 정보, 위치 정보, 및 통신사업자별 통신선의 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증강현실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가설비 관리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generating step, the generating unit,
A three-dimension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measured through the GPS unit is generated, and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empty facility included i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model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line information for each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re generated in the generated three-dimensional image. An empty facility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by applying to generate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하는 단계에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증강현실 정보에 포함된 통신사업자별 통신선의 정보와, 상기 대상 공가설비의 시설물 정보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가설비 관리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comparing step, the comparing unit,
An empty facility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on the communication line for each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ncluded i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and the facility information of the target empty facility are compare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증강현실 정보에 기록되지 않은 시설물의 정보가 상기 대상 공가설비의 시설물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기록되지 않은 시설물의 정보에 대응하는 시설물을 무단 설치된 시설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가설비 관리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detecting step, the detecting unit,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when information on facilities that are not recorded i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facility information of the target empty facility, the facility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unrecorded facility is detected as an unauthorized facility. How to manage empty space facilities.
KR1020200070135A 2020-06-10 2020-06-10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istribution equipment public affairs KR2021015378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135A KR20210153783A (en) 2020-06-10 2020-06-10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istribution equipment public affai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135A KR20210153783A (en) 2020-06-10 2020-06-10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istribution equipment public affai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783A true KR20210153783A (en) 2021-12-20

Family

ID=79033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135A KR20210153783A (en) 2020-06-10 2020-06-10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istribution equipment public affai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378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24133A (en) * 2023-12-18 2024-01-19 三峡金沙江川云水电开发有限公司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internal overhaul of GIL/GIS pipe b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24133A (en) * 2023-12-18 2024-01-19 三峡金沙江川云水电开发有限公司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internal overhaul of GIL/GIS pipe bus
CN117424133B (en) * 2023-12-18 2024-03-12 三峡金沙江川云水电开发有限公司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internal overhaul of GIL/GIS pipe b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8340B2 (en) Cable posi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acilit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able core wir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and programs thereof
KR101744189B1 (en) Smart manhole duc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USN
CN107895201B (en) Booking method, system,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or automatic exchange
CA2691780C (en) Management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tomatic assesment of a locate operation
US8543651B2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submitting virtual white line drawings and managing notifications in connection with underground facility locate and marking operations
US10581199B2 (en) Guided cable plugging in a network
KR20120026239A (en) System of managing power distributing equipment base on augmented reality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CN108540218A (en) Electric power optical cable safety failure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device
US20150099531A1 (en) Inspecting equipment of a power system
KR20160052891A (en) Intelligent guidance system for emergency evacuation by using situation recognition technology
KR2014011813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registraton of real estate, system thereof
CN114386896A (en) Information sending method, page display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medium
KR2021015378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istribution equipment public affairs
US20210049547A1 (en) Method for Gas Station-Based Parcel Delivery Service and System for Implementing Same
CN11005926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information
KR102440336B1 (en) Integrated payment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KR2022011417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nderground facilities management service
CN111552006B (en)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underground cable from fault power failure caused by construction operation
KR102433039B1 (en) System calculating degree of congestion to treat waste
CN114663028A (en) Logistics service method and system
KR20170021532A (en) Facilities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facilities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JP2008052615A (en) Joint use management system
CN116821060A (en) Optical cable wiring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JP2018189500A (en) Thunder detection system
KR20050067855A (en) System for furnishing a deliver information and method thereb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