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2904A - Bait Shaped Composite Type Fishing Tool - Google Patents

Bait Shaped Composite Type Fishing To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2904A
KR20210152904A KR1020200069953A KR20200069953A KR20210152904A KR 20210152904 A KR20210152904 A KR 20210152904A KR 1020200069953 A KR1020200069953 A KR 1020200069953A KR 20200069953 A KR20200069953 A KR 20200069953A KR 20210152904 A KR20210152904 A KR 20210152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it
core
shaped
individual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9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욱
Original Assignee
김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욱 filed Critical 김진욱
Priority to KR1020200069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2904A/en
Publication of KR20210152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90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it-shaped composite fishing tackle which comprises: a core (3) having one end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a main line (11),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line (11), and forming a skeleton of the entire bait shape; individual baits (5, 6) connected to the core (3) to form each body part of the entire bait shape; and a swivel (7) connected to the core (3) together with the individual baits (5, 6) to connect a hook rig (17) to the core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lurality of fishing hook rigs can be installed at once, user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Individual baits of the shape of beads or crabs can be arranged to the swivel and the core along with the plurality of hook rigs in various combinations and the plurality of hook rigs and the individual baits are combined to express a single bait shape, thereby maximizing a lure effect on target fish.

Description

미끼 모양의 복합 낚시채비{Bait Shaped Composite Type Fishing Tool}Bait Shaped Composite Type Fishing Tool}

본 발명은 미끼 모양의 복합 낚시채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줄의 끝부분 등 낚시줄의 원하는 위치에 클립이나 낚시바늘채비 등과 같은 낚시도구 및 개별미끼를 복수로 밀도 있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 각각의 낚시도구나 개별미끼가 모두 합쳐져 전체적으로 하나의 미끼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한 미끼 모양의 복합 낚시채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it-shaped compound fishing rig, and more particularly, while allowing a plurality of fishing tools and individual baits such as clips or hook rigs to be densely disposed at a desired position of the fishing line, such as the end of the original line. , It relates to a bait-shaped compound fishing rig in which each fishing tool or individual bait is combined to express one bait as a whole.

오징어, 낚지, 쭈꾸미 등과 같은 두족류나 어류 중 갈치 등을 낚시로 잡기 위해서 다양한 종류의 낚시채비가 개발된 바 있으며, 그 한 예로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두족류 낚시채비(등록실용신안 제20-0456208호)를 들 수 있다.Various types of fishing rigs have been developed to catch cutlassfish among cephalopods or fish such as squid, trout, and octopus, and as an example, the cephalopod fishing rig shown by reference numeral 101 in FIG. 1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 -0456208) can be mentioned.

이 낚시채비(101)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작은 문어 모양의 지그(103), 인조미끼형 루어(105) 그리고 이들을 낚시줄(110)에 고정하기 위한 각종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바, 루어(105)를 연결하기 위해 중간 중간에 구슬(111)이 쌍으로 끼워져 있고, 구슬(111)들 사이에 도래(113)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도래(113)에 연결된 클립(115)을 통해 루어(105) 등을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This fishing rig 101 is, as shown in FIG. 1, a bar consisting of a small octopus-shaped jig 103, an artificial bait-type lure 105, and various connecting members for fixing them to the fishing line 110, the lure ( In order to connect the 105), a pair of beads 111 are inserted in the middle, and an aerosol 113 is connected between the beads 111, and a luer ( 105), etc.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낚시채비(101)는 낚시줄(110)에 클립(115)이나 루어(105) 등을 연결하기 위해서, 낚시줄(110)에 도래(113)를 직접 연결하고, 도래(113)를 통해 클립(115)이나 루어(105)를 낚시줄(110)에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fishing rig 101 as above, in order to connect the clip 115 or the lure 105 to the fishing line 110, the aurea 113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fishing line 110, 113) to connect the clip 115 or the lure 105 to the fishing line 110.

따라서, 종래의 낚시채비(101)는 위와 같이 도래(113)를 직접 낚시줄(110)에 결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스토퍼(117)를 사용하여 인접한 한 쌍의 구슬(111)을 특정 위치에 고정하여야 하고, 그에 따라 한 쌍의 구슬(111)을 통해서는 클립(115) 등을 같은 위치에 복수로 배치하는 데 한계가 있고, 짧은 거리 내에 약간의 간격을 두고 클립(115) 등을 집중적으로 배치하는 것 또한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since the conventional fishing rig 101 is configured to directly couple the auger 113 to the fishing line 110 as above, a pair of adjacent beads 111 using a stopper 117 is fixed at a specific position. There is a limit to arranging a plurality of clips 115 and the like at the same position through a pair of beads 111, and accordingly, the clips 115 and the like are intensively placed at a small interval within a short distance.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was not easy to do.

또한, 스토퍼(117)와 구슬(111)을 통해 낚시줄(110)에 일일이 도래(113)를 끼워 걸어야 하므로, 도래(113)의 수가 증가할 경우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등 사용 상의 불편이 야기되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stopper 117 and the bead 111 have to be inserted into the fishing line 110 one by one by inserting the arrivals 113, the operation is very cumbersome when the number of arrivals 113 increases, and the working time is long.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caused discomfort on the top.

KR 20-0456208KR 20-0456208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낚시채비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복수의 도래가 중복하여서 일정 길이의 심체 주위에 집중적으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원줄의 끝부분 등 낚시줄의 특정 위치에 복수의 도래를 통해 복수의 낚시바늘채비를 한 번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리성을 높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fishing rigging as described above. By overlapping a plurality of arrivals and intensively arranged around the core of a certain length, the end of the original line, etc.,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fishing line The purpose of this is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e by allowing a plurality of fishing hooks to be installed at once through the advent of the plurality.

또한, 위와 같이 일정 거리 내에 집중적으로 낚시바늘채비를 배치하면서 각각의 도래들과 인접하도록 구슬 모양 또는 게 모양의 개별미끼를 선택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대상어에 대한 유인 효과를 높여 조과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s above, while intensively arranging fishing hooks within a certain distance as above, by selectively arranging bead-shaped or crab-shaped individual baits to be adjacent to each of the birds, it is intended to increase the lure effect on the target fish and improve the results. It has a different purpose.

또한, 도래를 통해 심체에 연결되는 각종 연결도구나 낚시바늘채비와, 도래에 인접하여 심체에 연결되는 구슬 모양 또는 게 모양의 개별미끼가 합쳐져 전체적으로 하나의 커다른 미끼 형태를 표현하도록 함으로써, 마찬가지로 대상어에 대한 유인 효과를 높여 조과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various connecting tools or hook rigs connected to the core through the arrival and individual baits in the shape of beads or crabs connected to the core adjacent to the arrival are combined to express one large bait shape as a whole, so that the target fish Another purpose is to improve the yield by increasing the attracting effect on th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단이 원줄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원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전체 미끼 모양의 골격을 이루는 심체; 상기 심체에 연결되어, 전체 미끼 모양의 각각의 몸체 부위를 이루는 개별미끼; 및 상기 개별미끼와 함께 상기 심체에 연결되어, 상기 심체에 낚시바늘채비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도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미끼 모양의 복합 낚시채비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end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original line,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riginal line, forming a core of the entire bait-shaped skeleton; an individual bait connected to the core to form each body part of the overall bait shape; And it is connected to the core with the individual bait, the arrival to connect the hook rigging to the core; provides a bait-shaped compound fishing rig comprising a.

또한, 상기 도래는 2 이상이 상기 원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열을 지어 도래뭉치를 이루도록 상기 심체에 관통 삽입되되, 각각의 도래귀를 통해 상기 낚시바늘채비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rrival is inserted through the core to form a bundle of arrival by forming a row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riginal line at least two, it is preferable to connect the fishing hook rig through each of the avian ears.

또한, 상기 심체는 타단에 도래몸통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편도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re body further includes a one-way aerodynamic body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또한, 상기 개별미끼는 상기 도래뭉치의 위 또는 아래에 인접하도록 상기 심체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dividual baits are connected to the core so as to be adjacent to the top or bottom of the avian bundle.

또한, 상기 개별미끼는 상기 도래뭉치의 상기 도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심체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dividual baits are connected to the core so as to be located between the arrivals of the bundle of arrivals.

또한, 상기 개별미끼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도래뭉치의 위 또는 아래에 인접하도록, 상기 개별미끼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도래뭉치의 상기 도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심체에 각각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ny one of the individual baits is connected to the core so as to be adjacent to the upper or lower side of the arrival bundle, and the other one of the individual baits is located between the arrivals of the arrival bundle.

또한, 상기 개별미끼 중 어느 하나는 게 모양 미끼 또는 직경이 상기 게 모양 미끼의 앞뒤 길이보다 짧지 않은 구슬 모양 미끼이고, 상기 개별미끼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게 모양 미끼 또는 상기 구슬 모양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ny one of the individual baits is a crab-shaped bait or a bead-shaped bait whose diameter is not shorter than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crab-shaped bait, and the other of the individual baits is the crab-shaped bait or the bead-shaped one.

본 발명의 미끼 모양의 복합 낚시채비에 따르면, 일정 길이의 심체를 통해 복수의 도래를 복수의 연결도구나 낚시바늘채비를 중복하여서 집중적으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원줄의 끝부분 등 낚시줄의 특정 위치에 복수의 낚시바늘채비를 한 번에 설치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낚시채비의 사용 편리성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bait-shaped compound fishing rigg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arrivals through a core of a certain length can be intensively arranged by overlapping a plurality of connecting tools or fishing hooks, so a specific position of the fishing line, such as the end of the original line It becomes possible to install a plurality of fishing hooks on the rig at once, and thus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fishing rigs.

도 1은 종래의 낚시채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채비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채비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채비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채비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채비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채비의 사시도.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ishing gear.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shing r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view of Figure 2;
Figure 4 is an exploded view of a fishing ri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shing ri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shing ri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ploded view of Fig. 6;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shing ri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shing ri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끼 모양의 복합 낚시채비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compound fishing rig in the shape of a ba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복합 낚시채비는 도 2 내지 도 9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심체(3), 개별미끼(5,6), 및 도래(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compound fishing rig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by the reference numeral 1 in Figures 2 to 9, is largely made including a core (3), individual baits (5, 6), and the arrival (7).

여기에서, 상기 심체(3)는 복합 낚시채비(1) 전체로 표현되는 미끼 모양의 골격을 이루는 부분으로, 일단 즉, 상단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구슬 모양 미끼와 같은 개별미끼(5)를 통해 원줄(11)에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개별미끼(5)를 관통하여 원줄(11)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core (3) is a part constituting a bait-shaped skeleton expressed as a whole of the compound fishing rig (1), that is, an individual bait (5) such as a bead-shaped bait as shown in FIG. It may be indirectly connected to the original line 11 through,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riginal line 11 through the individual baits 5 as shown in FIG. 4 .

이를 위해, 심체(3)는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줄(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봉 모양으로 길고 가늘게 연장된다. 또한, 심체(3)는 금속이나 합성수지에 의해 제작될 수 있으며,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경우 외력에 의해 굴곡이 가능하게도 또는 불가하게도 제작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re 3 extends long and thin in the shape of a ro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riginal line 11 as shown in FIGS. 2 to 9 . In addition, the core 3 may be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and when made of synthetic resin, it may be made possible or impossible to bend by an external force.

또한, 심체(3)는 도 2와 같이 구슬 모양 개별미끼(5)를 사이에 두고 원줄(11)에 연결되도록, 상단이 구슬 모양 개별미끼(5) 하단에 편도래의 도래편 형태로 연결된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다른 실시 형태의 경우, 심체(3)는 상단의 구슬 모양 개별미끼(5)까지를 관통하도록 길게 연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심체(3)의 상단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원줄(11)을 연결하도록 환형으로 절곡하여 멈춤고리(13)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re 3 is connected to the original string 11 with the bead-shaped individual bait 5 interposed therebetween, as shown in FIG. . However, in the case of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4 , the core 3 may be elongated to penetrate to the top of the bead-shaped individual bait 5 , and in this case, the upper end of the core 3 is shown in FIG. 4 .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form a stop ring 13 by bending in an annular shape to connect the original line 11 .

또한, 심체(3)는 하단 부분에 직접 또는 후술하는 편도래(14)를 통해 간접적으로 클립 등의 연결도구(15)나 도 6에 도시된 낚시바늘이나 루어와 같은 낚시바늘채비(17)를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re 3 is a connecting tool 15 such as a clip or indirectly through the tonsil 14 to be described later directly or indirectly at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r fishing hook equipment 17 such as a fishing hook or lure shown in FIG. can be connected

상기 개별미끼(5,6)는 복합 낚시채비(1)로 표현되는 전체 미끼 모양의 각 부위 별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떤 위치에서 어떤 방식으로든 심체(3)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바,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구슬 모양의 개별미끼(5)가 전체 미끼 모양의 머리와 같이 후술하는 도래뭉치(10)의 위에 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체 미끼 모양의 몸통을 이루도록 후술하는 도래뭉치(10)의 아래에 인접하도록 심체(3) 상단 또는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 전체 미끼 모양의 꼬리를 이루도록 심체(3)의 하단에 편도래(14)를 통해 연결도구(15)나 낚시바늘채비(17) 등이 연결될 수 있다.The individual baits (5, 6) are parts that form the body for each part of the overall bait shape expressed by the compound fishing rig (1), and as shown in FIGS. 2 to 9, the core body ( 3) is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bar,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the individual baits 5 in the shape of beads are not shown or on the bundle 10 to be described later like the head of the whole bait. It may be connected to the top or bottom of the core 3 so as to be adjacent to the bottom of the arrival bundle 10 to be described later to form the entire body of the bait shape. In addition, a connecting tool 15 or a fishing hook rig 17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re 3 through the tonsil 14 to form an entire bait-shaped tail.

이때, 각각의 구슬 모양 개별미끼(5)는 도 3 등에 도시된 것처럼, 구슬 모양의 몸통 상하단에 원줄(11) 등을 회전 자유롭게 연결하도록 편도래(51)가 일체로 삽입된다.At this time, each bead-shaped individual bait 5, as shown in FIG. 3 and the like, the one-way aft 51 is integrally inserted to connect the round line 11 and the like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ead-shaped body.

다른 실시 형태로서 개별미끼(5,6)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구슬 모양의 개별미끼(5)가 전체 미끼 모양의 또 다른 몸통 형태가 되도록 후술하는 도래뭉치(10)의 상하 도래(7) 사이에 위치하도록 심체(3)에 연결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the individual baits (5, 6) are, as shown in FIG. 5, the upper and lower arrivals (7) of the bead-shaped individual baits (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entire bait-shaped body shape is another body shape. ) can be connected to the core (3) to be located between.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개별미끼(5,6)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개별미끼(5,6) 중 어느 하나 예컨대 구슬 모양 개별미끼(5)는 도 2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도래뭉치(10)의 위 또는 아래에 인접하도록 심체(3)에 연결되고, 이와 동시에, 개별미끼(5,6) 중 다른 하나 예컨대 게 모양 개별미끼(6)는 도 5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도래뭉치(10)의 도래(7) 사이에 위치하도록 심체(3)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도 6의 개별미끼(5,6) 배치는 당연히 반대로 될 수도 있다.As another embodiment, the individual baits (5, 6) as shown in Figures 6 and 7, any one of the individual baits (5, 6), for example, a bead-shaped individual bait (5) will be described later as in the embodiment of Figure 2 It is connected to the core 3 so as to be adjacent to the top or bottom of the aeration bundle 10, and at the same time, the other one of the individual baits 5 and 6, for example, the crab-shaped individual bait 6, is similar to the embodiment of FIG. It may be connected to the core 3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arrivals 7 of the bundle of arrivals 10 to be described later. However, the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baits (5, 6) in FIG. 6 may of course be reversed.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개별미끼(5,6)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후술하는 도래뭉치(10)의 위 또는 아래와 도래뭉치(10)의 도래(7) 사이 모두에 구슬 모양 개별미끼(5)만을 배치하거나 게 모양 개별미끼(6)만을 배치할 수도 있다.As another embodiment, the individual baits (5, 6) are individually bead-shaped between the arrivals (7) of the coming bunch (10) above or below the coming bunch (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s shown in FIGS. 8 and 9 .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only the baits (5) or only the crab-shaped individual baits (6).

한편, 위와 같은 개별미끼(5,6)는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어느 하나가 구슬 모양 미끼(5)로 되고, 다른 하나가 게 모양 미끼(6)로 이루어지는 바, 게 모양 미끼(6)는 좌우 폭이 도래(7)의 길이보다 길게 되는 크기를 가지며, 구슬 모양 미끼(5)는 그 직경이 게 모양 미끼(6)의 앞뒤 길이보다 짧지 않게 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 대상어의 시인성을 높인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2 to 9, the individual baits 5 and 6 as above are one of the bead-shaped baits 5, and the other one is the crab-shaped baits 6, and the crab-shaped baits. (6) has a size such that the left and right width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arrival (7), and the bead-shaped bait (5) has a size such that its diameter is not shorter than the front and rear length of the crab-shaped bait (6) Visibility of the target fish It is preferable in terms of increasing the

상기 도래(7)는 위와 같은 개별미끼(5,6)와 함께 심체(3)에 연결되어, 또 다른 낚시바늘채비(17) 추가로 심체(3)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 이상이 원줄(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열을 지어 개별미끼(5,6)와 함께 심체(3)에 관통 삽입됨으로써 도래뭉치(10)를 이룬다. 이때, 각각의 도래(7)는 각각의 도래귀(19)를 통해 낚시바늘이나 루어 등과 같은 낚시바늘채비(17)를 각각의 도래귀(19)를 통해 직접 또는 클립 등의 연결도구(15)를 통해 심체(3)에 연결한다.The arrival (7) is connected to the core (3) together with the individual baits (5, 6) as above, and is for connecting to the core (3) in addition to another hook rig (17), FIGS. 2 to 9 As shown in, two or more are formed in a row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riginal line 11 and are inserted through the core 3 together with the individual baits 5 and 6 to form a bundle of arrivals (10). At this time, each auger 7 is a hook rig 17, such as a fishing hook or a lure, through each auger 19, directly through each auger 19, or a connecting tool 15 such as a clip. It is connected to the core (3) through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끼 모양의 복합 낚시채비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ow, the operation of the bait-shaped compound fishing ri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복합 낚시채비에 의하면,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길이를 갖는 심체(3)의 둘레에 끼워져 있는 2 이상의 도래(7)를 통해 클립 등의 연결도구(15)나 낚시바늘채비(17)를 선택적으로 심체(3)에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도 2와 같이 원줄(11)에 미끼 모양의 복합 낚시채비(1)를 결합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원줄(11) 끝부분에 복수의 낚시바늘채비(17)를 집중적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자연스럽게 조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compound fishing rig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 to 9, a connection tool 15 such as a clip or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connect the hook rig 17 to the core 3 . Accordingly, as shown in Figure 2, simply by combining the bait-shaped compound fishing rig (1) on the original line (11), a plurality of fishing hooks (17) can be intensively placed at the end of the original line (11). Thereby, it is possible to naturally improve the yield.

또한, 하나의 심체(3)에 모든 낚시바늘채비(17)와 개별미끼(5,6)들이 다 연결되어 있으므로, 심체(3)를 예컨대 원줄(11)의 끝부분에 연결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복수의 낚시채비를 원줄(11)의 특정 위치 즉, 끝부분에 한 번에 연결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all the hook rigs 17 and the individual baits 5 and 6 are all connected to one core 3 , the core 3 is simply plural by connecting the core 3 to the end of the original line 11 , for example. of the fishing rig can be connected at a time to a specific position of the original line 11, that is, to the end.

아울러, 위와 같이 원줄(11) 끝부분의 짧은 거리 내에 복수의 연결도구(15)를 집중적으로 배치할 수 있으면서, 2 이상의 도래(7)로 이루어진 도래뭉치(10) 상하에 및/또는 도래(7)와 도래(7) 사이에 구슬 모양 또는 게 모양의 개별미끼(5,6)를 선택적으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도래(7)를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낚시바늘채비(17) 뿐 아니라 개별미끼(5,6)를 통해서 중복하여 대상어를 유인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조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ile being able to intensively arrange a plurality of connecting tools 15 within a short distance of the end of the original line 11 as described above, the aerosol bundle 10 consisting of two or more aerosols 7 is located above and/or above and/or the aerosol (7) ) and individual baits (5, 6) in the form of beads or crabs can be selectively placed between the aerosol (7), so a plurality of hook rigs (17) connected through the aerosol (7) as well as individual baits ( 5,6),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target fish by overlapping, and thus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fish production.

더욱이, 도래(7)에 의해 심체(3)에 연결되는 각종 낚시바늘채비(17)와 도래(7)와 인접하여 심체(3)에 연결되는 개별미끼(5,6)가 모두 함께 전체적으로 하나의 미끼 모양을 표현하게 되므로, 더더욱 조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Moreover, the various hook rigs 17 connected to the core 3 by the arrival 7 and the individual baits 5 and 6 connected to the core 3 adjacent to the arrival 7 are all together as one overall. Since it expresses the shape of the bait,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yield.

1 : 복합 낚시채비 3 : 심체
5, 6 : 개별미끼 7 : 도래
10 : 도래뭉치 11 : 원줄
13 : 멈춤고리 14, 51 : 편도래
15 : 연결도구 17 : 낚시바늘채비
19 : 도래귀
1: Complex fishing gear 3: Body
5, 6: Individual bait 7: Advent
10: arabesque 11: one line
13: stop ring 14, 51: tonsil
15: connecting tool 17: fishing hook rig
19 : squirrel

Claims (7)

일단이 원줄(11)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원줄(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전체 미끼 모양의 골격을 이루는 심체(3);
상기 심체(3)에 연결되어, 전체 미끼 모양의 각각의 몸체 부위를 이루는 개별미끼(5,6); 및
상기 개별미끼(5,6)와 함께 상기 심체(3)에 연결되어, 상기 심체(3)에 낚시바늘채비(17)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도래(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모양의 복합 낚시채비.
One end is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 forming the entire bait-shaped core (3);
Individual baits (5, 6) connected to the core (3), forming each body part of the overall bait shape; and
Ba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is connected to the core (3) together with the individual baits (5, 6), so as to connect the hook rig (17) to the core (3). Shaped composite fishing ri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래(7)는 2 이상이 상기 원줄(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열을 지어 도래뭉치(10)를 이루도록 상기 심체(3)에 관통 삽입되되, 각각의 도래귀(19)를 통해 상기 낚시바늘채비(17)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모양의 복합 낚시채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wo or more of the avians 7 are inserted through and inserted into the core 3 so as to form a bundle 10 by forming a row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riginal line 11, and through each of the avians 19, the fishing A bait-shaped compound fishing rig, characterized in that it connects the needle rig (1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심체(3)는 타단에 도래몸통(21)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편도래(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모양의 복합 낚시채비.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core (3) is a bait-shaped compound fishing ri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one-way (14)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dy (21) at the other end.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개별미끼(5,6)는 상기 도래뭉치(10)의 위 또는 아래에 인접하도록 상기 심체(3)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모양의 복합 낚시채비.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individual bait (5, 6) is a bait-shaped compound fishing ri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core (3) so as to be adjacent to the top or the bottom of the avian bundle (10).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개별미끼(5,6)는 상기 도래뭉치(10)의 상기 도래(7)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심체(3)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모양의 복합 낚시채비.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individual bait (5, 6) is a bait-shaped compound fishing ri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core (3) so as to be located between the arrival (7) of the bundle (10).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개별미끼(5,6)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도래뭉치(10)의 위 또는 아래에 인접하도록, 상기 개별미끼(5,6)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도래뭉치(10)의 상기 도래(7)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심체(3)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모양의 복합 낚시채비.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Any one of the individual baits (5, 6) is adjacent to the top or bottom of the incoming bundle (10), and the other of the individual baits (5, 6) is the arrival (7) of the incoming bundle (10). A bait-shaped compound fishing rig, characterized in that each is connected to the core (3) so as to be located between th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별미끼(5,6) 중 어느 하나는 게 모양 미끼 또는 직경이 상기 게 모양 미끼의 앞뒤 길이보다 짧지 않은 구슬 모양 미끼이고, 상기 개별미끼(5,6)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게 모양 미끼 또는 상기 구슬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모양의 복합 낚시채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y one of the individual baits (5,6) is a crab-shaped bait or a bead-shaped bait whose diameter is not shorter than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crab-shaped bait, and the other of the individual baits (5,6) is the crab-shaped bait or A bait-shaped complex fishing rig, characterized in that the bead-shaped.
KR1020200069953A 2020-06-09 2020-06-09 Bait Shaped Composite Type Fishing Tool KR2021015290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953A KR20210152904A (en) 2020-06-09 2020-06-09 Bait Shaped Composite Type Fishing To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953A KR20210152904A (en) 2020-06-09 2020-06-09 Bait Shaped Composite Type Fishing To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904A true KR20210152904A (en) 2021-12-16

Family

ID=79033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953A KR20210152904A (en) 2020-06-09 2020-06-09 Bait Shaped Composite Type Fishing To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290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1755B1 (en) * 2022-11-10 2023-04-13 권봉엽 artificial bait for cephalopod fish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208Y1 (en) 2010-04-15 2011-10-20 주식회사 비케이씨 The fishing tackle for cephalopod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208Y1 (en) 2010-04-15 2011-10-20 주식회사 비케이씨 The fishing tackle for cephalopod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1755B1 (en) * 2022-11-10 2023-04-13 권봉엽 artificial bait for cephalopod fish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8289B2 (en) Chain skirt fishing lures and associated manufacturing methods
US4232470A (en) Fish hook
US2316048A (en) Fish lure
US4920688A (en) Swivel jig fishing lure
US5881490A (en) Fishing rig
US10470447B2 (en) Rotatable line tie arm for a slotted lip on a fishing lure
US2989817A (en) Weighted hook with dual eyes
US10492478B1 (en) Weedless fishing lure jig with offset bait
JP5930879B2 (en) Assist hook and fishing lure fitted with assist hook
US4536986A (en) Method of construction of skirt for fishing lures
US9185892B2 (en) Fishing lure imitating a bird
US5934008A (en) Fishing lure
KR101872513B1 (en) Fishing Tool Provided With Multiple Fishing Tackle
US2785497A (en) Water dog fishing plug
JP2007129999A (en) Fishing sinker and lure terminal tackle
KR20210152904A (en) Bait Shaped Composite Type Fishing Tool
US5253446A (en) Flow-through fishing lure
US8196336B2 (en) Fishing lure and accessory
US2814901A (en) Fish attracting device
KR102344601B1 (en) Fishing Tool Provided With Densely Arrayed Fishing Tackle
US6910295B2 (en) Free-bending lure
US2895252A (en) Fishing lure
KR102344592B1 (en) Fishing Tool Provided With Densely Arrayed Fishing Tackle
US2415633A (en) Automatic weedless fish lure
US10130082B2 (en) Angler kit and method for personalized hand production of fishing l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