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2789A -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52789A KR20210152789A KR1020200069711A KR20200069711A KR20210152789A KR 20210152789 A KR20210152789 A KR 20210152789A KR 1020200069711 A KR1020200069711 A KR 1020200069711A KR 20200069711 A KR20200069711 A KR 20200069711A KR 20210152789 A KR20210152789 A KR 202101527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terminal
- user
- input
- input image
- interfa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8583 Repetitive speec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4 s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Remote control device emulator integrated into a non-television apparatus, e.g. a PDA, media center or smart to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고려한 맞춤형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고 정확하게 모바일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부; 저장부;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 받은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 상황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의 명령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입력 패턴을 누적하여 형성된 누적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누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입력 받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부; 저장부;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 받은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 상황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의 명령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입력 패턴을 누적하여 형성된 누적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누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입력 받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IoT (Internet of Things)환경에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련된 기술이다.
현재 IoT (Internet of Things)환경에서 사용자는 모바일에 설치된 모바일 앱으로 TV 리모컨과 동일하게 TV를 제어 할 수 있다.
기존 모바일 리모컨은 기존 리모컨과 유사한 크기의 일률적인 버튼 디자인으로 모바일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출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렇게 모바일에서 제공되는 리모컨의 버튼은 이미지 형태로 출력되어 입체적이지 않아 화면 터치 시 물리 리모컨과 다르게 버튼의 위치 파악이 쉽지 않다.
한편 모바일 리모컨으로 컨트롤 시 필요한 정보는 TV디스플레이에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공됨 조작 중 사용자의 시선이 모바일과 TV를 번갈아 봐야 하므로 사용자가 모바일 리모컨을 이용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모바일 디스플레이 상에서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버튼이 입체적이지 않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로서 모바일 리모컨을 사용하더라도 기존의 물리 버튼이 포함된 리모컨을 사용하는 것처럼 정확하게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고려한 맞춤형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고 정확하게 모바일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부; 저장부;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 받은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 상황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의 명령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입력 패턴을 누적하여 형성된 누적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누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입력 받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이미지 및 상기 배경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터치하는 상기 사용자 명령을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1입력 이미지를 터치하는 상기 사용자 명령의 입력 빈도, 입력 위치 및 입력 면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입력 이미지의 면적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1입력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터치 입력 좌표가 상기 제1입력 이미지에 대응되고, 상기 상기 제1입력 이미지에 터치되는 상기 입력 빈도가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하면, 상기 입력 빈도에 대응하여 상기 제1입력 이미지의 면적을 증가 시키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변경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1입력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터치 입력 좌표가 상기 제1입력 이미지의 일부 영역에 대응되고,
상기 일부 영역에 터치되는 상기 입력 빈도가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하면, 상기 입력 빈도에 대응하여 상기 제1입력 이미지의 면적을 상기 일부 영역에 대응되도록 감소 시키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변경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2입력 이미지 주변의 상기 배경 이미지를 터치하는 상기 사용자 명령의 입력 빈도, 입력 위치 및 입력 면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2입력 이미지의 면적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2입력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터치 입력 좌표가 상기 배경 이미지의 특정 영역에 대응되고,
상기 특정 영역에 터치되는 상기 입력 빈도가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2입력 이미지의 표시 위치를 상기 특정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변경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의하여 상기 배경 이미지에 터치된 면적이 상기 제2입력 이미지에 터치된 면적을 초과하면, 오류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은,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 받은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 상황을 표시부에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의 명령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입력 패턴을 누적하여 형성된 누적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누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입력 받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이미지 및 상기 배경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터치하는 상기 사용자 명령을 기초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것은, 제1입력 이미지를 터치하는 상기 사용자 명령의 입력 빈도, 입력 위치 및 입력 면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입력 이미지의 면적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것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1입력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터치 입력 좌표가 상기 제1입력 이미지에 대응되고, 상기 상기 제1입력 이미지에 터치되는 상기 입력 빈도가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하면, 상기 입력 빈도에 대응하여 상기 제1입력 이미지의 면적을 증가 시키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변경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것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1입력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터치 입력 좌표가 상기 제1입력 이미지의 일부 영역에 대응되고,
상기 일부 영역에 터치되는 상기 입력 빈도가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하면, 상기 입력 빈도에 대응하여 상기 제1입력 이미지의 면적을 상기 일부 영역에 대응되도록 감소 시키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변경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것은,
제2입력 이미지 주변의 상기 배경 이미지를 터치하는 상기 사용자 명령의 입력 빈도, 입력 위치 및 입력 면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2입력 이미지의 면적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것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2입력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터치 입력 좌표가 상기 배경 이미지의 특정 영역에 대응되고,
상기 특정 영역에 터치되는 상기 입력 빈도가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2입력 이미지의 표시 위치를 상기 특정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변경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의하여 상기 배경 이미지에 터치된 면적이 상기 제2입력 이미지에 터치된 면적을 초과하면, 오류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부;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 받은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 상황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의 명령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입력 패턴을 누적하여 형성된 누적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누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입력 받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변경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1입력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터치 입력 좌표가 상기 제1입력 이미지에 대응되고,
상기 상기 제1입력 이미지에 터치되는 상기 입력 빈도가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하면,
상기 입력 빈도에 대응하여 상기 제1입력 이미지의 면적을 증가 시키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변경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1입력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터치 입력 좌표가 상기 제1입력 이미지의 일부 영역에 대응되고, 상기 일부 영역에 터치되는 상기 입력 빈도가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하면, 상기 입력 빈도에 대응하여 상기 제1입력 이미지의 면적을 상기 일부 영역에 대응되도록 감소 시키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변경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고려한 맞춤형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고 정확하게 모바일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출력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4은 일 실시예에 따라 입력 패턴을 학습하고 이를 기초로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동작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이미지를 확대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이미지의 위치를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이미지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음성 명령을 입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0 및 도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출력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4은 일 실시예에 따라 입력 패턴을 학습하고 이를 기초로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동작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이미지를 확대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이미지의 위치를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이미지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음성 명령을 입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0 및 도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500)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도1및 도2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500)과 통신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500)은 디스플레이 시스템(1)을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500)을 통하여 명령을 입력하고 사용자 단말(500)은 이러한 사용자의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IoT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은 TV 리모컨과 동일하게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에 필요한 버튼을 출력할 수 있고 사용자는 그 버튼을 터치 하므로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모바일 리모컨 유저 인터페이스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 할 때는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탭(Tap), 스와이프(Swipe), 터치엔 홀드(Touch&Hold), 및 스크롤(Scroll)을 통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모바일의 디스플레이가 출력하는 리모컨 보이스 버튼 및 사용자의 발화로 디스플레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동작은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2를 참고하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부(180)와, 사용자 단말(500)과 통신하는 통신부(13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고, 신호 수신부(120) 및/또는 통신부(130)에 의하여 수신된 비디오 신호 및/또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140)와, 제어부(140)에 의하여 처리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150)와, 제어부(140)에 의하여 처리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16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170)를 포함한다.
또한 저장부(190)는 후술할 누적 데이터를 저장하고 기준 음성 명령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10)은 정해진 주파수 대역의 특정 펄스 성분으로 구성된 신호를 송, 수신할 수 있는 레이더 칩(111)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안테나 모듈은 디스플레이에 반드시 포함되는 구성은 아니며, 실시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은 안테나(112)를 통하여 영상 소스 장치(20 또는 30)의 변경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복수의 소스로부터 수신된 소스 영상 신호를 기초로 멀티뷰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소스는 On Air, HDMI, IPTV, Cable TV 및 USB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는 복수의 소스로부터 수신된 소스 영상 신호를 기초로 화질 개선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복수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멀티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화질 개선 프로세스는 DE(Detail Enhacement), CE(Contrast Enhancement) 및 NR(Noise Reduc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신호 수신부(120), 표시부(150) 및 음향 출력부(1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컨텐츠 소스가 선택되면, 제어부(140)는 선택된 컨텐츠 소스로부터 영상 프레임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신호 수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또한, 신호 수신부(120)를 통하여 영상 프레임 데이터가 수신되지 아니하면, 제어부(140)는 다른 컨텐츠 소스로부터 영상 프레임 데이티를 수신하도록 신호 수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40)는 영상 프레임 데이터를 수신하는 소스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신호를 신호 수신부(120)의 송수신 커넥터 번들(200)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 받은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 상황을 표시부(150)에 출력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명령을 기초로 동작할 수 있고 이러한 동작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부(150)에 출력될 수 있다.
동작 상황은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작하는 특정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량을 증가 시키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면 이에 대응한 동작 상태를 표시부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의 명령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입력 패턴을 학습하고 입력 패턴을 누적하여 누적 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누적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누적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제어하는 패턴을 제어부가 학습하고 학습한 데이터를 누적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누적 데이터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사용자 단말을 이렇게 형성된 누적 데이터를 기초로 입력 받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사용자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매개를 의미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이미지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음성을 수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인터페이스의 제한은 없다.
입력 패턴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해 인터페이스에 입력하는 형태, 또는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가 사용자 단말에 이미지로 제공된 경우 이미지를 터치하는 빈도는 입력 패턴의 한 예가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음성 명령으로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경우 반복적으로 내는 말버릇도 입력 패턴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명령은, 음성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 명령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보이스 버튼을 누르고 유지한 상태에서 발화된 명령으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의 보이스 입력 활성화 시간 및 음성 명령을 포함하는 입력 패턴을 기초로 보이스 입력 활성화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보이스 입력 활성화 시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이 출력하는 보이스 버튼을 눌러서 활성화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보이스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발화 후 손을 떼면 음성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보이스 버튼을 누르는 시간이 보이스 입력 활성화 시간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준 음성 명령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음성 명령 데이터는 사용자의 발화에 대응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동작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리 키워줘"와 같이 발화한 경우 디스플레이에 저장된 기준 음성 명령 데이터에는 사용자의 발화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는, 보이스 입력 활성화 시간 외의 시점에서 입력되는 음성 명령이 상기 기준 음성 명령 데이터와 대응되면 보이스 입력 활성화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보이스 입력 활성화 시간 이외의 시간에 발화한 음성 중 기준 음성 명령 데이터와 대응되는 내용이 포함되면 해당 발화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에 유효한 것으로 이후 입력되는 음성 명령에서 제어부는 보이스 버튼을 누른 시간 보다 더 많은 시간을 보이스 입력 활성화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보이스 버튼을 누르지 않은 시점도 추가적으로 음성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시간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는, 보이스 입력 활성화 시간에 입력되는 음성 명령이 상기 기준 음성 명령 데이터와 상이하면 보이스 입력 활성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보이스 버튼을 누르고 음성 명령을 입력했지만, 음성 명령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명령어가 포함되지 않거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발화를 마친 후에 습관적으로 보이스 버튼을 누르고 잇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는 해당 보이스 입력 활성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동작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는 효율적으로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제어부는, 음성 명령의 특성이 미리 결정된 상기 음성 명령의 식별 정보와 일치하면, 음성 명령을 기초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를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이미지 형태로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입력 이미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버튼 등의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입력 이미지는 통상적으로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배경 이미지는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이미지 중 입력 이미지 이외의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터치하는 사용자 명령이 포함된 상기 입력 패턴을 기초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사용자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입력 이미지 또는 배경 이미지를 터치하는 입력 패턴은 터치하는 빈도, 면적 및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입력 이미지를 터치하는 사용자 명령의 입력 빈도, 입력 위치 및 입력 면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입력 이미지의 면적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제1입력 이미지는 후술하는 제2입력 이미지와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한 용어이며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사용자가 입력 이미지를 정확하게 터치한 경우로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유효한 디스플레이 제어 명령을 입력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한 경우 제어부는 해당 입력 이미지의 사용자가 터치하기 용이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1입력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터치 입력 좌표가 상기 제1입력 이미지에 대응되고, 제1입력 이미지에 터치되는 상기 입력 빈도가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하면,
입력 빈도에 대응하여 상기 제1입력 이미지의 면적을 증가 시키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변경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1입력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터치 입력 좌표가 상기 제1입력 이미지의 일부 영역에 대응되고, 일부 영역에 터치되는 상기 입력 빈도가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하면, 입력 빈도에 대응하여 제1입력 이미지의 면적을 상기 일부 영역에 대응되도록 감소 시키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변경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2입력 이미지 주변의 배경 이미지를 터치하는 사용자 명령의 입력 빈도, 입력 위치 및 입력 면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2입력 이미지의 면적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사용자가 제2입력 이미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고자 하였으나 입력하지 못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사용자가 제2입력 이미지를 원활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제2입력 이미지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확대하여 사용자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2입력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터치 입력 좌표가 배경 이미지의 특정 영역에 대응되고, 특정 영역에 터치되는 상기 입력 빈도가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하면, 제2입력 이미지의 표시 위치를 상기 특정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변경 신호를 사용자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제어부는 오류 메시지를 표시부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제2입력 이미지는 전술한 제1입력 이미지와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한 용어이며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누적 데이터 및 기준 음성 명령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기준 음성 명령 데이터는 사용자의 발화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에 제어 동작이 포함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영상 프레임 데이터 및/또는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영상 프레임 데이터 및/또는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중에 발행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기억할 수 있다.또한, 저장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들을 제어하는 중에 발행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기억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데이터를 장기간 저장하기 위한 롬(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신호 수신부(120) 및/또는 통신부(130)로부터 영상 프레임 데이터 및/또는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제어부(140)는 신호 수신부(120)로부터 수신된 영상 프레임 데이터를 표시부(150)와 음향 출력부(160)로 출력될 수 있다.또한, 제어부(140)는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영상 프레임 데이터를 생성하고,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고 음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영상 프레임 데이터와 음향 데이터를 각각 표시부(150)와 음향 출력부(16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 입력부(180)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신호 수신부(120) 및/또는 표시부(150) 및/또는 음향 출력부(16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또한, 제어부(140)는 신호 수신부(120)를 통하여 영상 프레임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 신호 수신부(1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논리 연산 및 산술 연산 등을 수행하는 연산 회로와, 연산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오디오 신호로부터 디코딩된 음향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향 신호로 변환할 수 있으며, 앰프(161)는 제어부(140)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음향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버튼 그룹(18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턴온 또는 턴오프시키기 위한 전원 버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되는 방송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채널 선택 버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향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음향 조절 버튼, 컨텐츠 소스를 선택하기 위한 소스 선택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버튼 그룹(181)는 각각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40)로 출력할 수 있으며, 푸시 스위치, 터치 스위치, 다이얼, 슬라이드 스위치, 토글 스위치 등 다양한 입력 수단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튜너(122)는 방송 수신 안테나 또는 유선 케이블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방송 신호 중에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채널의 방송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예를 들어, 튜너(122)는 방송 수신 안테나 또는 유선 케이블을 통하여 수신된 복수의 방송 신호 중에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가지는 방송 신호를 통과시키고,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방송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이처럼, 신호 수신부(120)는 송수신 커넥터 번들(200) 및/또는 튜너(122)를 통하여 영상 프레임 데이터 및/또는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송수신 커넥터 번들(200) 및/또는 튜너(122)를 통하여 수신된 영상 프레임 데이터 및/또는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유선 통신 모듈(131)과 무선 통신 모듈(132)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사용자 단말(5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반복된 명령으로 변경된 인터페이스를 다시 사용자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단말(500)에 영상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131)은 케이블을 통하여 통신망에 접속하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예를 들어, 유선 통신 모듈(131)은 이더넷(Ethernet, IEEE 802.3 기술 표준)을 통하여 통신망에 접속하고, 통신망을 통하여 제1 및 제2 영상 소스 장치(20, 30)및/또는 외부 장치와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32)은 액세스 포인트(AP)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액세스 포인트(AP)를 통하여 통신망에 접속하고 통신망을 통하여 제1 및 제2 영상 소스 장치(20, 30) 및/또는 외부 장치와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132)은 와이파이(WiFi™, IEEE 802.11 기술 표준), 블루투스 (Bluetooth™, IEEE 802.15.1 기술 표준), 지그비(ZigBee™, IEEE 802.15.4 기술 표준)을 통하여 액세스 포인트(AP)와 통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AP)를 통하여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30)는 통신망을 통하여 영상 프레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표시부(150)는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52)과, 디스플레이 패널(152)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51)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52)은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51)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따라 영상을 생성하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52)은 영상을 표시하는 단위가 되는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각각의 픽셀은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51)로부터 영상을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광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이처럼, 복수의 픽셀이 출력하는 광학 신호가 조합됨으로써 하나의 영상이 디스플레이 패널(152)에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51)는 제어부(14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52)을 구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51)는 디스플레이 패널(152)을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 각각에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51)가 디스플레이 패널(152)을 구성하는 각각의 픽셀에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면 각각의 픽셀은 수신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광을 출력하고, 각각의 픽셀이 출력하는 광들이 조합되어 하나의 영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60)는 음향을 증폭하는 앰프(161)와, 증폭된 음향을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스피커(162)를 포함한다.
스피커(162)는 앰프(181)에 의하여 증폭된 아날로그 음향 신호를 음향(음파)으로 변환할 수 있다.예를 들어, 스피커(182)는 전기적 음향 신호에 따라 진동하는 박막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박막의 진동에 의하여 음파가 생성될 수 있다.
스피커(162)는 컨텐츠에 포함된 소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170)는 사용자 입력부(180), 신호 수신부(120), 통신부(130), 제어부(140), 표시부(150), 음향 출력부(160) 및 그 밖의 모든 구성들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170)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ing Mode Power Supply) (171) (이하 'SMPS'라 한다)를 포함한다.
SMPS (171)는 외부 전원의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와, 직류 전력의 전압을 변경하는 DC-DC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외부 전원의 교류 전력은 AC-DC 컨버터에 의하여 직류 전력으로 변환되며, 직류 전력의 전압은 DC-DC 컨버터에 의하여 다양한 전압(예를 들어, 5V 및/또는15V)으로 변경될 수 있다.전압이 변경되는 직류 전력을 각각 사용자 입력부(180), 신호 수신부(120), 제어부(140), 표시부(150), 음향 출력부(160) 및 그 밖의 모든 구성들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 커넥터 번들(200)은 영상 프레임 데이터의 소스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한편, 도 2에서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500)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출력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 따른 사용자 단말(50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도3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50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500)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매칭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전달받을 수도 있고 외부 장치로부터 전달 받을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500)에 출력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이미지(I31, I32)와 그외의 배경 이미지(B31)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입력 이미지를 터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입력하는 패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도3에서 설명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인터페이스의 형태, 입력 이미지의 형태, 배경 이미지의 형태 및 배열에 대한 제한은 없다.
도4은 일 실시예에 따라 입력 패턴을 학습하고 이를 기초로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4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50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도4에서는 사용자가 I입력(I41)을 계속적으로 입력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가 I을 계속적으로 입력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러한 사용자의 입력을 학습하고 이를 기초로 누적 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I명령을 지속적으로 입력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I의 입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인터페이스를 변경할 수 있다. 즉 I의 입력이 기존에는 I41에 위치했으나,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I를 입력하면 I42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I42로 I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가 변경된다면 사용자는 더욱 쉽게 I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도4에서 설명한 동작은 이후에서 설명한 동작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도4에서 표시한 A내지L은 사용자 단말(50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고, 그 명령의 제한은 없다.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이미지를 확대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입력 이미지(I51)를 지속적으로 터치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실행한 기능 종류별 횟수 저장 및 누적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500)과 다른 컨트롤러 (물리 리모컨, 음성 등)의 입력 빈도를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500)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할 수 있다.
도5에서는 사용자가 I51의 입력 이미지를 통하여 자주 사용자 단말(500)을 입력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해당 입력 이미지를 변경하여 인터페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500)에 출력되는 입력 이미지(I41)의 아이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사용자의 명령을 전달받은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500)에 출력되는 인터페이스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 이미지(I51)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터치 입력 좌표가 입력 이미지(I51)에 대응되고, 입력 이미(I51)지에 터치되는 상기 입력 빈도가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하면, 입력 빈도에 대응하여 입력 이미지(I51)의 면적을 증가 시키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변경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 할 수 있다.
도5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가 사용자가 입력하는 볼륨 조절 입력 이미지(I51)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I52).
한편 제어부(140)는 입력 이미지의 크기를 단속적으로 증가시킬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빈도에 기초하여 연속적으로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미지가 단속적으로 증가되는 경우 제어부(140)는 미리 결정된 소, 중, 대 크기의 이미지의 크기에 대응하여 인터페이스를 변경시킬 수 있다.
한편 이렇게 사용자 단말(500)에 출력되는 입력 이미지가 확대되면 사용자는 기존보다 입력 이미지를 쉽게 입력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5에서 설명한 동작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확장 가능한 입력이미지의 종류나 크기에는 제한이 없다.
도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이미지의 위치를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입력 이미지(I61) 주변의 배경 이미지(P61)를 터치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고사용자 명령의 입력 빈도, 입력 위치 및 입력 면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입력 이미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6에서는 기존에 입력 이미지(I61)가 중앙에 위치하였으나 사용자가 입력 이미지 우측의 배경 이미지의 일부(P61)의 터치에 기초하여 제어부(140)는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신호를 사용자 단말(500)에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 이미지(I61)가 사용자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터치 입력 좌표가 배경 이미지의 특정 영역(P61)에 대응될 수 있다.
제어부는 특정 영역(P61)에 터치되는 입력 빈도가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하면, 입력 이미지의 표시 위치를 특정 영역으로 이동(I62)하도록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변경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도6에서는 기존에 채널을 변경하는 입력 이미지가 중앙(I61)에서 우측(I62)으로 이동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입력 이미지의 우측의 배경 이미지를 터치하면 제어부(140)는 해당 위치로 입력 이미지(I62)를 이동 시켜 사용자가 더욱 원활하게 입력을 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6에서 설명한 동작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이동 가능한 입력 이미지의 종류나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
도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이미지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입력 이미지(I71)의 일부를 터치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고사용자 명령의 입력 빈도, 입력 위치 및 입력 면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입력 이미지의 크기를 축소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 이미지(I71)가 사용자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터치 입력 좌표가 입력 이미지의 일부 영역(P71)에 대응될 수 있다.
일부 영역(P71)에 터치되는 입력 빈도가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하면,
제어부는 입력 빈도에 대응하여 입력 이미지의 면적(I71)을 일부 영역(P71)에 대응되도록 감소 시키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변경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도7에서는 기존에 입력 이미지(I71)가 중앙에 위치하였으나 사용자가 입력 이미지 일부(P71)의 터치에 기초하여 제어부(140)는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신호를 사용자 단말(500)에 송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기존 입력 이미지(I71)의 일부(P71)를 통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500)은 입력 이미지의 일부를 터치한 터치 면적 및 빈도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송신하고 제어부(140)는 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500)에 출력되는 인터페이스 중 입력 이미지(I71)의 크기를 축소(I72)할 수 있다.
이렇게 입력 이미지가 축소되면 사용자는 더욱 편하고 원활하게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도7에서 설명한 동작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축소 가능한 입력 이미지의 종류나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
도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음성 명령을 입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8을 참고하면 사용자 명령은 음성 명령(V81)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500)의 보이스 입력 활성화 시간 및 음성 명령을 포함하는 입력 패턴을 기초로 보이스 입력 활성화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음성 명령은 사용자가 보이스 버튼(I81)을 누른 상태에서 발화 후 손을 떼면 발화를 통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는 기준 음성 명령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기준 음성 명령 데이터는 사용자의 발화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동작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보이스 입력 활성화 시간 외의 시점에서 입력되는 음성 명령이 상기 기준 음성 명령 데이터와 대응되면 보이스 입력 활성화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한편 보이스 입력 활성화 시간은 사용자가 보이스 버튼(I81)을 누르는 시간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보이스 입력 활성화 시간 외 즉 보이스 버튼을 눌렀다가 뗀 시점에 발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발화에 기준 음성 명령 데이터에 대응되는 명령어가 포함된 경우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보이스 버튼(I81)을 누른 시간 보다 보이스 입력 활성화 시간을 더 길게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보이스 버튼을 뗀 후에 "채널 7번으로 바꿔줘"라고 발화 한경우 해당 발화는 기준 음성 명령 데이터에 대응되는 채널 변경 동작과 대응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이러한 사용자의 발화에 기초한 신호를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전달 받으면 음성 명령의 입력 시간을 보이스 버튼을 누른 시간 보다 연장시키는 것으로 음성 명령을 입력 받는 인터페이스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보이스 입력 활성화 시간에 입력되는 상기 음성 명령이 상기 기준 음성 명령 데이터와 상이하면, 보이스 입력 활성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사용자가 보이스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는 것 이외의 발화를 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보이스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음음", "뭐지?" 등과 같이 평소에 말하는 것과 같은 의성어를 발화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이러한 사용자의 발화에 기초한 신호를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전달 받으면 음성 명령의 입력 시간을 보이스 버튼을 누른 시간 보다 단축시키는 것으로 음성 명령을 입력 받는 인터페이스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음성 명령의 특성이 미리 결정된 음성 명령의 식별 정보와 일치하면, 음성 명령을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식별 정보는 사용자 단말(500)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Account 정보를 수신하여 송신한 사용자의 목소리의 보이스 프린트(Voice print)를 기초로 결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500)을 식별하여 통신하고, 식별된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목소리의 특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를 기초로 사용자 목소리의 식별 정보 즉 보이스 프린트(Voice print)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입력 받은 소리 중 상술한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발화만 추출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8에서 설명한 동작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사용자가 음성 명령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동작에는 그 제한이 없다.
도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9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명령에 의하여 배경 이미지에 터치된 면적이 입력 이미지에 터치된 면적을 초과하면, 오류 메시지를 표시부에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500)의 입력 이미지를 터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입력 이미지를 터치한 면적 보다 배경 이미지를 터치한 면적이 더 넓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입력을 잘못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500)에 출력된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가 입력 이미지를 터치한 면적과 배경 이미지를 터치한 면적을 비교하여 배경 이미지를 터치한 면적이 더 큰 경우 사용자가 입력을 잘못한 것으로 판단하고 오류 메시지(M9)를 출력할 수 있다.
도9에서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볼륨을 제어하는 입력 이미지 주변의 배경 이미지를 터치한 경우로 "Volume 실행을 원하시나요? 터치 영역을 확인하고 다시 선택해주세요."와 같은 오류 메시지(M9)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오류 메시지의 형태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도10 및 도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10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사용자는 터치를 이용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1001). 이때 사용자가 입력 이미지를 터치한 경우(1002)에는 사용자가 유효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입력 이미지를 터치한 빈도, 면적 및 위치에 따라 입력 이미지의 위치 및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1003).
반면 사용자가 입력 이미지를 터치하지 않고 배경 이미지를 터치하거나, 입력 이미지 보다 배경 이미지를 더 큰 면적으로 터치한 경우에는 제어부(140)는 해당 터치를 유효한 입력으로 판단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 경우 사용자 단말(500)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의 입력 이미지를 사용자가 입력하기 쉽도록 변경할 수 있다(1004).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 이미지의 크기가 변경되거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도11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음성 명령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11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발화를 통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때는 사용자 단말(500)에 출력된 보이스 버튼을 터치할 수 있다(1011).
한편 보이스 버튼을 누르면 보이스 입력 활성화 시간이 진행되며 사용자는 그 시간 안에 발화를 할 수 있다.
한편 보이스 입력 활성화 시간 내의 사용자 발화가 기준 음성 명령 데이터에 대응되지 않으면 제어부(140)는 보이스 입력 활성화 시간을 보이스 버튼을 터치한 시간 보다 연장할 수 있다(1013).
한편 보이스 입력 활성화 시간 내의 사용자 발화가 기준 음성 명령 데이터에 대응되면, 제어부(140)는 보이스 입력 활성화 시간 내 기준 음성 명령 데이터와 상이한 발화가 포함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1014). 입력 활성화 시간 내 기준 음성 명령 데이터와 상이한 발화는 사용자의 언어 습관이나 단순한 의성어를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보이스 버튼이 눌려져 있는 시간 보다 짧도록 보이스 입력 활성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1015).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디스플레이 시스템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40 : 제어부
500 : 사용자 단말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40 : 제어부
500 : 사용자 단말
Claims (19)
- 표시부;
저장부;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 받은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 상황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의 명령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입력 패턴을 누적하여 형성된 누적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누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입력 받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이미지 및 상기 배경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터치하는 상기 사용자 명령을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입력 이미지를 터치하는 상기 사용자 명령의 입력 빈도, 입력 위치 및 입력 면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입력 이미지의 면적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1입력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터치 입력 좌표가 상기 제1입력 이미지에 대응되고,
상기 상기 제1입력 이미지에 터치되는 상기 입력 빈도가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하면,
상기 입력 빈도에 대응하여 상기 제1입력 이미지의 면적을 증가 시키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변경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1입력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터치 입력 좌표가 상기 제1입력 이미지의 일부 영역에 대응되고,
상기 일부 영역에 터치되는 상기 입력 빈도가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하면,
상기 입력 빈도에 대응하여 상기 제1입력 이미지의 면적을 상기 일부 영역에 대응되도록 감소 시키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변경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2입력 이미지 주변의 상기 배경 이미지를 터치하는 상기 사용자 명령의 입력 빈도, 입력 위치 및 입력 면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2입력 이미지의 면적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2입력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터치 입력 좌표가 상기 배경 이미지의 특정 영역에 대응되고,
상기 특정 영역에 터치되는 상기 입력 빈도가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2입력 이미지의 표시 위치를 상기 특정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변경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의하여 상기 배경 이미지에 터치된 면적이 상기 제2입력 이미지에 터치된 면적을 초과하면, 오류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 받은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 상황을 표시부에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의 명령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입력 패턴을 누적하여 형성된 누적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누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입력 받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이미지 및 상기 배경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터치하는 상기 사용자 명령을 기초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것은,
제1입력 이미지를 터치하는 상기 사용자 명령의 입력 빈도, 입력 위치 및 입력 면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입력 이미지의 면적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것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1입력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터치 입력 좌표가 상기 제1입력 이미지에 대응되고,
상기 상기 제1입력 이미지에 터치되는 상기 입력 빈도가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하면,
상기 입력 빈도에 대응하여 상기 제1입력 이미지의 면적을 증가 시키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변경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것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1입력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터치 입력 좌표가 상기 제1입력 이미지의 일부 영역에 대응되고,
상기 일부 영역에 터치되는 상기 입력 빈도가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하면,
상기 입력 빈도에 대응하여 상기 제1입력 이미지의 면적을 상기 일부 영역에 대응되도록 감소 시키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변경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것은,
제2입력 이미지 주변의 상기 배경 이미지를 터치하는 상기 사용자 명령의 입력 빈도, 입력 위치 및 입력 면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2입력 이미지의 면적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것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2입력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터치 입력 좌표가 상기 배경 이미지의 특정 영역에 대응되고,
상기 특정 영역에 터치되는 상기 입력 빈도가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2입력 이미지의 표시 위치를 상기 특정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변경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의하여 상기 배경 이미지에 터치된 면적이 상기 제2입력 이미지에 터치된 면적을 초과하면, 오류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부;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 받은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 상황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의 명령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입력 패턴을 누적하여 형성된 누적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누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입력 받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변경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1입력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터치 입력 좌표가 상기 제1입력 이미지에 대응되고,
상기 상기 제1입력 이미지에 터치되는 상기 입력 빈도가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하면,
상기 입력 빈도에 대응하여 상기 제1입력 이미지의 면적을 증가 시키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변경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1입력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터치 입력 좌표가 상기 제1입력 이미지의 일부 영역에 대응되고,
상기 일부 영역에 터치되는 상기 입력 빈도가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하면,
상기 입력 빈도에 대응하여 상기 제1입력 이미지의 면적을 상기 일부 영역에 대응되도록 감소 시키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변경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9711A KR20210152789A (ko) | 2020-06-09 | 2020-06-09 |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
PCT/KR2021/004671 WO2021251608A1 (ko) | 2020-06-09 | 2021-04-13 |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9711A KR20210152789A (ko) | 2020-06-09 | 2020-06-09 |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52789A true KR20210152789A (ko) | 2021-12-16 |
Family
ID=78845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9711A KR20210152789A (ko) | 2020-06-09 | 2020-06-09 |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152789A (ko) |
WO (1) | WO2021251608A1 (ko)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30125066A1 (en) * | 2011-11-14 | 2013-05-16 | Microsoft Corporation | Adaptive Area Cursor |
KR101408168B1 (ko) * | 2011-12-09 | 2014-06-17 |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KR102488580B1 (ko) * | 2017-01-12 | 2023-01-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적응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KR102107179B1 (ko) * | 2017-12-12 | 2020-05-06 | 최형국 | 게임 제공 장치 및 게임 제공 방법 |
KR102249190B1 (ko) * | 2019-05-23 | 2021-05-07 |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
2020
- 2020-06-09 KR KR1020200069711A patent/KR20210152789A/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04-13 WO PCT/KR2021/004671 patent/WO2021251608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1251608A1 (ko) | 2021-1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10433B1 (ko) | 전자 장치 및 이의 음성 인식 방법 | |
US11881213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 |
EP3719631B1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
KR20110071326A (ko) | 프로젝터 기능의 휴대 단말기의 입력 키 출력 방법 및 장치 | |
KR20130032966A (ko) |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 |
KR102659287B1 (ko) |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EP3640910B1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to external apparatus | |
US11822768B2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achine reading comprehension based guide user interface | |
US11756545B2 (en) |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operation mode of terminal device, and medium | |
KR102355713B1 (ko) | 인공지능형 멀티미디어장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
KR20210152789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 |
US11169774B2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20080045202A1 (en) | Remote control method through wireless transmission | |
KR20130052471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리모콘 기능 학습 방법 | |
KR20190060502A (ko) |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2653239B1 (ko) | 전자 장치 및 이의 음성 인식 방법 | |
US20220270608A1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
US20240129370A1 (en) | A computer software module arrangement, a circuitry arrangement, an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an improved user interface for internet of things devices | |
KR101508444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실행 방법 | |
KR20210015986A (ko) | 전자 장치 및 이의 음성 인식 방법 | |
US20200098363A1 (en) | Electronic device | |
CN113506571A (zh) | 控制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 |
KR20240026820A (ko)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인식 모델 관리 방법 | |
KR20240039565A (ko)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사용자 발화 처리 방법 | |
KR20040058433A (ko) | 디지털 티브이의 매뉴선택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