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2731A - 제초기 - Google Patents

제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2731A
KR20210152731A KR1020200069585A KR20200069585A KR20210152731A KR 20210152731 A KR20210152731 A KR 20210152731A KR 1020200069585 A KR1020200069585 A KR 1020200069585A KR 20200069585 A KR20200069585 A KR 20200069585A KR 20210152731 A KR20210152731 A KR 20210152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dy
blade
weeding
weed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0596B1 (ko
Inventor
박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진텍
Priority to KR1020200069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596B1/ko
Publication of KR20210152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01D34/828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과 관련된 제초기는, 작업대에 연결되어 상기 작업대 내부의 회전 샤프트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하여 잡초 또는 작물을 절단할 수 있게 형성된 제초날; 상기 제초날을 덮을 수 있게 형태로 형성된 커버본체; 및 상기 작업대를 상기 커버본체에 고정할 수 있게 형성된 작업대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대 고정부는, 상기 커버본체에 형성되고 제1가압체결면을 갖는, 장착받침부; 상기 장착받침부에 체결되고 상기 제1가압체결면에 대응하는 제2가압체결면을 갖는, 덮개부재; 상기 작업대와 상기 장착받침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작업대를 수용할 수 있게 수용홈이 형성된, 제1삽입부재; 및 상기 덮개부재와 상기 작업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작업대를 향하여 돌출됨으로써 상기 덮개부재의 체결시 상기 작업대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게 가압돌기부가 형성된 제2삽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초기{AGRICULTURAL WEEDER}
본 발명은 제초날의 회전이나 충격으로부터 안전을 도모하고 비산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커버를 갖는 제초기에 관한 것이다.
파종 또는 이식을 마친 논이나 밭의 고랑에는 자연적으로 잡초가 자란다. 잡초는 왕성한 생명력으로 주변의 양분을 흡수하여 작물의 생장을 저해하므로, 생산량을 고려하는 농부에게 제초는 연중 중요한 농사(農事)가 되었다.
일손이 부족한 농사철에 논고랑이나 밭고랑의 잡초를 사람이 일일이 제거하기란 쉽지 않다. 신속하고 간편한 제초법으로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제초제는 식량증산에 일조하였다. 반면, 제초제의 광범위한 사용은 토양 오염, 주변 생태계 파괴, 잔류농약으로 인한 체내 중금속 중독 등 심각한 부작용을 낳았다. 더욱이, 내성이 형성된 잡초는 제초제의 과다 사용을 부추기고 있으며, 이미 과거에 비해 몇 배의 살포량에 의하여도 죽지 않는 슈퍼잡초도 생겨나게 되어 인류와 생태계에 위협이 되고 있다.
중경(中耕) 제초기는 작물의 생육 도중에 논고랑과 밭고랑 사이의 잡초를 직접 제거 또는 절단하는 농기계로서, 사람이 직접 작업을 하는 것을 대신할 수 있게 고안되었다. 중경 제초기는 잡초의 절단과 함께 흙을 파서 옮기면서 토양에 공기를 공급하여 작물의 생장을 촉진하는 역할도 하므로, 제초제의 역기능과 한계를 극복하는 제초방법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동력 제초기는 일반적으로 고속으로 회전되는 제초날을 갖는데, 제초날은 동력을 전달하고 제초날의 회전지지점을 제공하는 부재인 작업대에 의해 지지된다. 제초날의 주변은 제초날로부터의 안전을 확보하고 제초날의 회전에 의한 칩이나 흙 또는 물방울이 비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안전커버를 설치한다. 안전커버는 용도나 설치의 방법 또는 형태에 따라 다양하다. 또한 안전커버는 제초날의 지면에 대한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썰매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안전커버는 작업대에 고정되는데, 제초날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하여 작업대에 대한 체결력이 약화될 수 있다.
*관련 선행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7531호(2014.06.13.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86728호(2019.05.31. 공고)
본 발명과 관련된 일 목적은 작업대를 견고하게 안전커버에 고정할 수 있으면서도 양산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초기를 제시하는데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목적은 커버본체의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제초날에 유입되는 잡초 등이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목적은 제초날의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풀감김에 의한 저항의 증대를 최소화하는데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제초기는, 작업대에 연결되어 상기 작업대 내부의 회전 샤프트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하여 잡초 또는 작물을 절단할 수 있게 형성된 제초날; 상기 제초날을 덮을 수 있게 형태로 형성된 커버본체; 및 상기 작업대를 상기 커버본체에 고정할 수 있게 형성된 작업대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대 고정부는, 상기 커버본체에 형성되고 제1가압체결면을 갖는, 장착받침부; 상기 장착받침부에 체결되고 상기 제1가압체결면에 대응하는 제2가압체결면을 갖는, 덮개부재; 상기 작업대와 상기 장착받침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작업대를 수용할 수 있게 수용홈이 형성된, 제1삽입부재; 및 상기 덮개부재와 상기 작업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작업대를 향하여 돌출됨으로써 상기 덮개부재의 체결시 상기 작업대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게 가압돌기부가 형성된 제2삽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장착받침부는 평평한 장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장착홈에 안착될 수 있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2삽입부재는 상기 덮개부재에 대응되는 평평한 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돌기부는 상기 작업대에 대응하는 호상의 하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커버본체는 개방된 전면부 및 개방된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커버본체는 폐쇄된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본체는, 상면에 형성된 가로방향의 제1리브; 상기 측면부에 형성된 가로방향의 복수의 제2리브; 및 내면에 형성되며 가로방향의 복수의 제3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커버본체의 측면부는 착탈하게 형성된 비산방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비산방지판은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갈래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비산방지판은 유연한(flexible) 수지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초기는, 상기 커버 본체의 후단에 탈부착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커버본체가 상기 지면에 대한 부력을 갖도록 형성된 플로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커버본체는 상면에 개방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초날은, 상기 작업대에 장착되는 수평날부; 및 상기 수평날부의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수직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초날은, 상기 수평날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며 풀감김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날부는 상기 수평날부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제1돌출날부와 상기 수평날부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제2돌출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제초기에 의하면, 장착받침부, 제1삽입부재, 제2삽입부재 및 덮개부재의 순차적인 결합구조로서, 제1삽입부재의 수용홈에 삽입된 작업대를 제2삽입부재의 가압돌기부에 의하여 눌러줌으로써 강한 체결력을 얻을 수 있으며, 덮개부재의 체결작업에 의하여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삽입부재와 제2삽입부재는 연질의 고무 등과 같은 재료 및 그들이 갖는 형상을 통하여 고정작용을 얻는 것으로, 제조가 용이하고 작업시 진동에 의한 풀림가능성을 최소화시킨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커버본체의 측면부에 착탈하게 형성된 비산방지판을 설치함으로써, 대상지나 대상물의 상태에 따라 비산방지판을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커버본체의 전단부를 가운데 부분이 오목한 라운드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주변의 잡초 등이 커버본체로 원활히 유입되도록 하여 제초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중공의 통 형태의 플로터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안정적인 부력 및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초날의 수평날부로부터 돌출날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잡초 등이 수평날부의 샤프트에 샤프트에 감기기 전에 잘려짐으로써, 풀감김이 발생하는 것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초기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초기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초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되어 장착받침부, 제1삽입부재, 제2삽입부재 및 덮개부재의 결합구조를 보이기 위한 제초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른 제초날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초날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른 제초날의 사시도이다.
도 8는 도 7의 제초날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른 제초날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초날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제초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초기(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안전커버의 하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제초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과 관련된 제초기(100)는, 제초날(180)을 덮을 수 있게 돔 형태로 형성된 커버본체(110)와, 커버본체(110)에 작업대(105)를 고정할 수 있게 형성된 작업대 고정부(120)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초날(180)은 작업대(105) 내부의 회전 샤프트(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하여 잡초나 작물을 절단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커버본체(110)는 전방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n'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본체(110)의 전방은 개방되어 있다. 커버본체(110)의 양측에는 썰매 형태의 주행날개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주행날개부(115)는 제초날(180)이 장착된 상태에서 제초날(180)의 지면에 대한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지면에 대하여 마찰면으로 기능한다. 주행날개부(115)는 지면에 대한 마찰력을 줄이고 주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블레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주행날개부(115)에는 커버본체(110)의 보강을 위한 복수의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본체(110)의 전방에는 필요에 따라 탈착가능한 가이드 또는 비산방지판이 구비될 수 있다. 커버본체(110)의 전단부의 가운데 부분에는 오목한 라운드 형태의 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114)은 긴 풀이나 작물이 제초날(180)이 있는 커버본체(110)의 안쪽으로 가급적 모여져 유입되기 용이하도록 한 것으로 이에 의하여 제초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커버본체(110)의 측면부에는 착탈가능하게 형성된 비산방지판(160)이 양쪽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비산방지판(160)은 유연한(flexible) 수지판(예: 우레탄 수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잘려진 잡초나 비산물이 용이하게 배출되면서도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갈래홈(162)을 가질 수 있다. 도 3과 같이, 비산방지판(160)은 나사(165)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는 형태일 수 있으며, 상단에는 고정을 위하여 주행날개부(115)에 대하여 삽입 또는 겹침이 가능한 장착연장부(163)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본체(110)의 후방에는 작업시 커버본체(110)가 논과 같은 물이 많은 대상지에서 제초날(180)이 지면으로 파고 들어가거나 주행 저항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플로터(170)가 부착될 수 있다. 플로터(170)는 물이 많은 논 등에서 충분한 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판 또는 중공의 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와 같이, 바닥면에는 마찰 저감을 위한 복수의 돌기(171) 및 갈래홈(172)이 형성될 수 있다.
제초날(180)은 작업대(105) 내부의 회전 샤프트에 의하여 회전되며 잡초 또는 수확 대상 작물을 자를 수 있게 형성된다. 제초날(180)은 임의의 형상이나 타입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초날(180)은 'n'자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과 같이, 제초날(180)은 작업대(105)의 끝단 결합부(190)에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홀(182)이 형성된 수평날부(181)와. 수평날부(181)의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수직날부(183)를 가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수평날부(181)와 수직날부(183)는 90도 또는 90도보다 큰 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직날부(183)는 수평날부(181)에 대하여 약간의 비스듬한 각을 가질 수도 있다. 수평날부(181)와 수직날부(183)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수직날부(183)가 수평날부(181)에 대하여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이중 전자의 예를 보인다. 수평날부(181)와 수직날부(183)의 이러한 조합은 잡초의 뿌리까지 잘게 자르거나 부수어 줌으로써 한 번의 작업으로도 제초 효과를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다. 제초날(180)은 이외에도, 수평날부(181)로부터 돌출되어 풀감김을 방지하는 돌출날부(185)를 추가적으로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돌출날부(185)는 수평날부(181)에 대하여 컷팅되어 절곡된 삼각형이나 쐐기 형태일 수 있다.
도 3에 의하면, 작업대 고정부(120)를 이루는 요소로서, 커버본체(110)에는 가압체결면(131)을 갖는 장착받침부(130)가 형성된다. 가압체결면(131)은 작업대(105)가 수용될 수 있는 홈의 형태로서, 제1삽입부재(151)이 끼워진다. 제1삽입부재(151)도 가압체결면(131)에 대응하는 형태일 수 있으며, 나사 등에 의하여 고정되기 위한 복수의 체결공을 갖는다. 제1삽입부재(151)가 배치된 상태에서 작업대(105)가 놓여지게 된다.
커버본체(110)는 도 3과 같이, 재료의 양을 줄이면서도 내부 상황이 식별될 수 있도록 상면에 개방홀(112)을 가질 수 있다. 개방홀(112)은 또한 작업대(105)와 결합부(190)이 통과되기 위한 통로 및 작업대(105)의 장착깊이 조절시 작업대(105)가 간섭되지 않고 이동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덮개부재(140)는 종국적으로는 장착받침부(130)에 나사(144) 등에 의하여 체결되는 요소로서, 제1삽입부재(151) 놓여진 작업대(105) 와의 사이에 제2삽입부재(155)를 배치시키고 체결시킨다. 도 3과 같이, 장착받침부(130)는 평평한 장착홈(131)을 가질 수 있으며, 덮개부재(140)는 장착홈(131)에 안착될 수 있는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덮개부재(140)는 충분한 강성을 갖는 수지판 또는 금속판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제2삽입부재(155)는 덮개부재(140)에 대응되는 평평한 상면을 가지고 있다. 이삽입부재(155)는 또한 하방에 작업대(105)를 향하여 돌출됨으로써 덮개부재(140)의 체결시 작업대(105)를 가압하는 가압돌기부(156)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압돌기부(156)는 작업대(105)에 대응하는 호상의 하면을 가질 수 있다. 제1삽입부재(151) 및 제2삽입부재(155)는 모두 수지 또는 고무의 형태로서, 작업중 커버본체(110)에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탄성과 강성을 갖는 형태일 수 있다.
도 4와 같이 장착받침부(130)의 하부에는 필요한 강성을 가지면서도 무게를 줄이고 재료를 절약할 수 있도록 살빼기가 적용되어 있으며 강성을 보충할 수 있도록 추가적으로 리브(13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른 제초날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제초날의 측면도이다. 본 예의 제초날(280)도 작업대의 회전 샤프트와 연결되기 위한 샤프트홀(282)이 형성된 수평날부(281)와, 수평날부(281)의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수직날부(283)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수평날부(281)의 형상 및 수직날부(283)의 갯수는 다양할 수 있으며, 도 5는은 이중 수직날부(283)가 3개인 예를 보이고 있다.
제초날(280)은 수평날부(281)로부터 돌출되어 풀감김을 방지하는 돌출날부(285)를 추가로 가질 수 있다. 돌출날부(285)는, 도 5에 의하면, 수평날부(281)로부터 상부로 돌출한 형태이며, 그에 따라, 수평날부(281)를 지지하는 샤프트에 감겨지는 잡초가 돌출날부(285)에 의하여 잘려지게 된다. 따라서, 돌출날부(285)를 갖는 제초날(280)은 풀에 의한 감김이 거의 없고, 회전 저항도 최소화된다. 돌출날부(285)는 수평날부(281)로부터 커팅되어 상부로 절곡된 형태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른 제초날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제초날의 측면도이다.
본 예의 제초날(380)은 수평날부(381)에 대하여 4개의 수직날부(383)가 구비된 형태이다. 또한, 돌출날부는 수평날부(381)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제1돌출날부(385)와, 수평날부(381)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제2돌출날부(286)를 갖는 형태이다. 이러한, 제초날(380)은 수평날부(381)의 상부에서 발생하는 풀감김 뿐만 아니라, 수평날부(381)의 하부에서 발생하는 풀감김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른 제초날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제초날의 측면도이다.
본 예의 제초날(480)은 도 7과 같이, 수평날부(481)에 대하여 4개의 수직날부(483)가 구비된 형태이다. 또한, 돌출날부는 수평날부(481)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제1돌출날부(485)와, 수평날부(481)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제2돌출날부(486)를 갖고 있다. 다만, 제1돌출날부(485) 및 제2돌출날부(486)는 풀에 대한 절삭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곡선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예에 따른 커버본체를 보인 상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커버본체의 하면 사시도로서, 다른 부품이나 부재는 생략되어 있다.
본 예의 커버본체(510)도 양단에 주행날개부(5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 일측에는 작업대의 고정을 위한 가압 체결면(531)을 갖는 장착 받침부(530)가 형성되어 있다. 반면, 도 1 내지 도 3에 보인 커버본체(110)와 달리 측면부(511)가 개방되지 않은 형태이고, 보강을 위하여 각종 리브(517, 518, 519)가 포함된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커버본체(510)의 측면부(511)는 사출 등의 방법에 의하여 채워져 있고 강성이 그만큼 증가될 수 있다. 이외에도, 커버본체(510)의 상면에는 가로 발향의 제1리브(517)가 형성될 수 있고, 측면에도 복수의 가로방향 제2리브(518)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리브(517) 및 제2리브(518)는 작업시 커버본체(510)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커버본체(510)의 내면에는 내부의 보강을 위하여 가로 방향의 제3리브(519)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리브(519)는 제초날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아치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작업시 커버본체(510)의 흔들림 및 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제초기는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제초기 105: 작업대
110, 510: 커버본체 112, 512: 개방홀
114: 홈 115, 515: 주행날개부
120: 작업대 고정부 130, 530: 장착 받침부
131: 가압체결면 140: 덮개부재
151: 제1삽입부재151) 155: 제2삽입부재
156: 호상의 하면 160: 비산방지판
162: 갈래홈 163: 장착 연장부
165: 나사 170: 플로터
171: 돌기 180, 280, 380, 480: 제초날
181, 281, 381, 481: 수평날부 181, 282: 샤프트홀
183, 283, 383, 483: 수직날부 185, 285: 돌출날부
385, 485: 제1돌출날부 386, 486: 제2돌출날부

Claims (12)

  1. 작업대에 연결되어 상기 작업대 내부의 회전 샤프트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하여 잡초 또는 작물을 절단할 수 있게 형성된 제초날;
    상기 제초날을 덮을 수 있게 형태로 형성된 커버본체; 및
    상기 작업대를 상기 커버본체에 고정할 수 있게 형성된 작업대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대 고정부는,
    상기 커버본체에 형성되고 제1가압체결면을 갖는, 장착받침부;
    상기 장착받침부에 체결되고 상기 제1가압체결면에 대응하는 제2가압체결면을 갖는, 덮개부재;
    상기 작업대와 상기 장착받침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작업대를 수용할 수 있게 수용홈이 형성된, 제1삽입부재; 및
    상기 덮개부재와 상기 작업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작업대를 향하여 돌출됨으로써 상기 덮개부재의 체결시 상기 작업대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게 가압돌기부가 형성된 제2삽입부재를 포함하는, 제초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받침부는 평평한 장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장착홈에 안착될 수 있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 제초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삽입부재는 상기 덮개부재에 대응되는 평평한 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돌기부는 상기 작업대에 대응하는 호상의 하면을 갖는, 제초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는 개방된 전면부 및 개방된 측면부를 포함하는, 제초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는 폐쇄된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본체는,
    상면에 형성된 가로방향의 제1리브;
    상기 측면부에 형성된 가로방향의 복수의 제2리브; 및
    내면에 형성되며 가로방향의 복수의 제3리브를 포함하는, 제초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의 측면부는 착탈하게 형성된 비산방지판을 더 포함하는, 제초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판은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갈래홈을 포함하는, 제초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판은 유연한(flexible) 수지판 형태로 형성된, 제초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본체의 후단에 탈부착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커버본체가 상기 지면에 대한 부력을 갖도록 형성된 플로터를 더 포함하는 제초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는 상면에 개방홀이 형성된 제초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초날은,
    상기 작업대에 장착되는 수평날부; 및
    상기 수평날부의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수직날부를 포함하는, 제초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초날은,
    상기 수평날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며 풀감김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날부는 상기 수평날부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제1돌출날부와 상기 수평날부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제2돌출날부를 포함하는, 제초기.
KR1020200069585A 2020-06-09 2020-06-09 제초기 KR102630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585A KR102630596B1 (ko) 2020-06-09 2020-06-09 제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585A KR102630596B1 (ko) 2020-06-09 2020-06-09 제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731A true KR20210152731A (ko) 2021-12-16
KR102630596B1 KR102630596B1 (ko) 2024-01-30

Family

ID=79033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585A KR102630596B1 (ko) 2020-06-09 2020-06-09 제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059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1018A (ja) * 1997-11-20 1999-06-08 Matsumi Arita 電動ロータリー式の草刈機の軸棒に取り付ける安全カバー
KR101058177B1 (ko) * 2009-07-30 2011-08-22 주식회사 성진텍 농업용 제초기의 안전커버
KR20190057912A (ko) * 2017-11-21 2019-05-29 이정수 예초기 칼날
KR101986728B1 (ko) * 2017-09-22 2019-06-07 주식회사 성진텍 농업용 안전커버
KR102094312B1 (ko) * 2019-11-05 2020-03-27 박석민 초목 절단 파쇄 성능이 향상된 트랙터용 제초기 및 그 제초기를 이용한 초목 절단 파쇄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1018A (ja) * 1997-11-20 1999-06-08 Matsumi Arita 電動ロータリー式の草刈機の軸棒に取り付ける安全カバー
KR101058177B1 (ko) * 2009-07-30 2011-08-22 주식회사 성진텍 농업용 제초기의 안전커버
KR101986728B1 (ko) * 2017-09-22 2019-06-07 주식회사 성진텍 농업용 안전커버
KR20190057912A (ko) * 2017-11-21 2019-05-29 이정수 예초기 칼날
KR102094312B1 (ko) * 2019-11-05 2020-03-27 박석민 초목 절단 파쇄 성능이 향상된 트랙터용 제초기 및 그 제초기를 이용한 초목 절단 파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0596B1 (ko) 2024-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5907B2 (en) Modular agricultural flail cutting unit for a working machine
AU2260999A (en) Minimum till seeding knife
KR20200001388U (ko) 마늘 파종기용 복토장치
US5259461A (en) Cultivator sweep
KR101986728B1 (ko) 농업용 안전커버
KR20210152731A (ko) 제초기
KR100621824B1 (ko) 승용 농기계 연결구동용 제초기기
KR101892193B1 (ko) 다조식 제초기
KR101939980B1 (ko) 굴삭기용 예초기
KR20070027152A (ko) 농업용 고랑제초기
KR101535279B1 (ko) 농업용 커터 블레이드
RU2267898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сошник
RU2265984C1 (ru) Роторная косилка для слаборослого садоводства
KR101652964B1 (ko) 굴착기 장착용 식생제거장치
KR101407531B1 (ko) 농업용 다목적 안전커버
KR101137328B1 (ko) 보행형 다목적 제초기
KR101514277B1 (ko) 농업용 커터 블레이드
KR200429904Y1 (ko) 승용 농기계 연결구동용 제초기기
RU2104624C1 (ru) Рабочий орган культиватора
JP7290559B2 (ja) ハンマーナイフ式草刈機
JPH0837870A (ja) リール式の芝刈機或いは除草装置
CN218868620U (zh) 一种草坪切根器
KR200309604Y1 (ko) 무동력 검불 제거기가 구비된 마늘 파종기
JP3956041B2 (ja) ロータリ耕耘装置の草巻付き防止装置
JP3626026B2 (ja) 中耕除草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