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1698A - Multi input and multi output antenna apparatus - Google Patents

Multi input and multi output antenna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1698A
KR20210151698A KR1020210072088A KR20210072088A KR20210151698A KR 20210151698 A KR20210151698 A KR 20210151698A KR 1020210072088 A KR1020210072088 A KR 1020210072088A KR 20210072088 A KR20210072088 A KR 20210072088A KR 20210151698 A KR20210151698 A KR 20210151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sub
main board
antenna device
multipl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0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34806B1 (en
Inventor
김덕용
지교성
유치백
정배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to JP2022574323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3529340A/en
Priority to CN202180040215.4A priority patent/CN115836441A/en
Priority to EP21817076.9A priority patent/EP4164054A1/en
Priority to PCT/KR2021/006986 priority patent/WO2021246817A1/en
Publication of KR20210151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1698A/en
Priority to US18/074,597 priority patent/US20230109083A1/en
Priority to KR1020230062492A priority patent/KR10263623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8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2Arrangements for de-icing; Arrangements for drying-out ; Arrangements for cool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Landscapes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More particularly, the antenna device includes a main board in which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in at least one area in the form of a predetermined space, and a sub-board which is stack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ard, and on which a plurality of heating elements are mounted on a front portion facing the accommodation space.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ing elements is provided to radiate heat toward the rear side of the sub-board, so that the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of the antenna device is improved, and the frequency filtering performance of the antenna device is improved.

Description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MULTI INPUT AND MULTI OUTPUT ANTENNA APPARATUS}MULTI INPUT AND MULTI OUTPUT ANTENNA APPARATUS

본 발명은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효율적으로 RF 소자로부터 발생한 열 및 RF 필터로부터 발생한 열을 효율적으로 메인 하우징의 후방으로 방열시킴으로써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capable of improving antenna performance by efficiently dissipating heat generated from an RF element and heat generated from an RF filter to the rear of a main housing it's about

무선 통신 기술, 예를 들어,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기술은,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용량을 획기적으로 늘리는 기술로서, 송신기에서는 각각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서로 다른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기에서는 적절한 신호처리를 통해 송신 데이터들을 구분해내는 Spatial multiplexing 기법이다.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example, MIMO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uses multiple antennas to dramatically increase data transmission capacity, and the transmitter transmits different data through each transmit antenna and , it is a spatial multiplexing technique that separates transmitted data through appropriate signal processing in the receiver.

따라서, 송수신 안테나의 개수를 동시에 증가시킴에 따라 채널 용량이 증가하여 보다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안테나 수를 10개로 증가시키려면 현재의 단일 안테나 시스템에 비해 같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약 10배의 채널 용량을 확보하게 된다. 이와 같은 MIMO 기술이 적용된 송수신 장치의 경우, 안테나의 개수가 늘어남에 따라 송신기(Transmitter)와 필터(Filter)의 개수도 함께 증가하게 된다.Accordingly, as the number of transmit/receive antennas is simultaneously increased, the channel capacity increases, allowing more data to be transmitted. For example, in order to increase the number of antennas to 10, about 10 times the channel capacity is secured by using the same frequency band compared to the current single antenna system. In the case of a transceiver to which the MIMO technology is applied, as the number of antennas increases, the number of transmitters and filters also increases.

특히, 메인 하우징에는 다수의 기판(예를 들면, 메인 하우징의 설치 공간 상에서 배면 측에 밀착 배치된 PBA(Printed Board Assembly), PBA의 전방 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적층 배치된 안테나 보드 및 PBA 또는 안테나 보드의 일측에 배치된 PSU 기판 등)이 적층 배치되고, 작동 시 다량의 구동열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RF 급전 네트워크 소자 및 RF 필터가 설치된다.In particular, in the main housing, a plurality of substrates (eg, a printed board assembly (PBA) closely disposed on the rear side i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main housing, an antenna board and a PBA or antenna board stack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front side of the PBA) A PSU substrat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 is stacked, and a plurality of RF power supply network elements and RF filters that generate a large amount of driving heat during operation are installed.

그런데, 종래의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의 경우, 작동 시 메인 하우징의 내부에 발생하는 다량의 구동열을 메인 하우징의 외부(특히, 후방)로 효과적으로 방열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PBA의 전면에 발열 소자를 실장한 후 발열 소자의 실장면인 PBA의 후방으로 관통되는 다수의 비어 홀을 가공하거나, 다수의 비어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열전달 코인을 설치함으로써 방열시키는 구조를 채택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a large amount of driving heat generated inside the main housing during operation must be effectively dissipated to the outside (especially the rear) of the main housing. For this purpose, a heating element is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the PBA Then, a structure for dissipating heat is adopted by processing a plurality of via holes penetrating to the rear of the PBA, which is the mounting surface of the heating element, or by installing a heat transfer coin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via holes.

그러나, PBA는 일반적으로 열전도율이 낮은 기판 재질로 이루어진 바, 비어 홀을 통해 열을 배출하는 구조는 발열 소자와 비어 홀 간의 접촉 면적이 작아 방열 효율이 작은 한편, 열전달 코인을 이용한 구조 또한 발열 소자와의 접촉면의 접촉 공차에 의한 소정의 방열 효과 저하를 나타내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PBA is generally made of a substrate material with low thermal conductivity, the structure for discharging heat through the via hole has a small contact area between the heating element and the via hole, so the heat dissipation efficiency is small, while the structure using a heat transfer coin also has a heating element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predetermined heat dissipation effect decreases due to the contact tolerance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메인 하우징의 배면 측에 직접 밀착되도록 메인 보드로부터 분리된 서브 보드를 통해 방열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capable of maximizing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through a sub-board separated from the main board so as to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rear side of the main housing. do it with

또한, 본 발명은 서브 보드의 전면과 후면에 RF 급전 네트워크 소자들과 같은 발열 소자들을 분산 실장함으로써 접지 면적을 확장시킴은 물론, 서브 보드의 접지 패턴과의 임피던스 매칭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input/output antenna device that not only expands the ground area but also enables impedance matching with the ground pattern of the sub-board by distributing heat generating elements such as RF power supply network elements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ub-board. to provide another purpose.

또한, 멀티 밴드 필터의 후단부에 크램쉘부를 일체 형성하고, 일체 형성된 크램쉘부를 이용하여 동일 멀티 밴드 필터 내의 Tx/Rx 및 Tx/Tx 사이를 차폐하여 Isolation(차폐성)을 확보함으로써 신호 간섭을 저하시킬 수 있는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 clamshell part is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multi-band filter, and the integrated clamshell part is used to shield between Tx/Rx and Tx/Tx in the same multi-band filter to ensure isolation, thereby reducing signal interference. It i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multi-input/output antenna device that can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일 영역에 소정의 공간 형태로 수용 공간이 형성된 메인 보드 및 상기 메인 보드의 후면부 측에 적층되고, 상기 수용 공간을 향하는 전면부에 다수의 발열 소자들이 실장된 서브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 소자들로부터 발생한 열은 상기 서브 보드의 후면부 측으로 방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board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in a predetermined space form in at least one area, and a plurality of stacked portions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ard, and a plurality of front portions facing the accommodation space It includes a sub-board on which heating elements are mounted, and heat generated from the heating elements is radiated toward a rear surface of the sub-board.

여기서, 상기 메인 보드는, 상기 서브 보드보다 상대적으로 전방부에 배치되고, 상기 서브 보드는, 전면부가 상기 메인 보드의 후면부 일부와 밀착되게 적층 배치되되, 상기 메인 보드의 후면부와 비접촉되는 범위인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 공간에 해당되는 전면부에 상기 다수의 발열 소자들이 실장될 수 있다.Here, the main board is disposed in a relatively front part of the sub board, and the sub board is stacked so that the front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a part of the rear part of the main board, and is in a range in which the front part is not in contact with the rear part of the main board. The accommodating space may be formed, and the plurality of heating elements may be mounted on a fron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ccommodating space.

또한, 상기 메인 보드는, 전후방으로 적층된 멀티 레이어층이 일체로 접합 형성된 일체형 원보드이고, 후면부 중 일부의 영역에서 상기 멀티 레이어 중 적어도 일부가 제거된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서브 보드는, 상기 멀티 레이어층 중 상기 메인 보드의 가장 후방에 위치한 레이어층의 후면부 측에 적층되고, 상기 수용 공간을 향하는 전면부에 상기 다수의 발열 소자들이 실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ard is an integrated one-board in which the multi-layer layers stacked in the front and rear are integrally bonded, and forms an accommodating space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multi-layers are removed in some areas of the rear part, and the sub-board, Among the multi-layer layers, the plurality of heating elements may be stacked on the rear side of the rearmost layer of the main board, and the plurality of heating elements may be mounted on the front portion facing the accommodation space.

또한, 상기 발열 소자들의 구동에 의한 온도 상승에 따른 상기 서브 보드의 열팽창량은 상기 메인 보드의 열팽창량 보다 작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amount of thermal expansion of the sub-boar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increase due to the driving of the heating elements may be smaller than the amount of thermal expansion of the main board.

또한, 상기 서브 보드의 전후 두께는 상기 메인 보드의 전후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and rear thicknesses of the sub board may be smaller than the front and rear thicknesses of the main board.

또한, 상기 메인 보드의 전면부에는 제1발열 소자들이 배치되고, 상기 서브 보드의 전면부에는 제2발열 소자들이 배치되며, 상기 제2발열 소자들의 출력 전력은 상기 제1발열 소자들의 출력 전력보다 클 수 있다.In addition, first heating elements are disposed on the front part of the main board, and second heating elements are disposed on the front part of the sub-board, and the output power of the second heating elements is higher than the output power of the first heating elements. can be large

또한, 상기 제1발열 소자들은 Rx 소자(LNA)이고, 상기 제2발열 소자들은 Tx 소자(PA 및 DA)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heating elements may be Rx elements (LNA), and the second heating elements may be Tx elements (PA and DA).

또한, 상기 서브 보드의 후면부 측에는 제3발열 소자들이 더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ird heating elements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sub-board.

또한, 상기 제3발열 소자들은, FPGA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heating elements may include an FPGA.

또한, 상기 메인 보드의 후면부 중 상기 서브 보드의 전면부와 겹치지 않는 후면부에는 디지털 반도체들이 실장 배치되고, 상기 메인 보드의 디지털 반도체들로부터 발생한 열은 상기 서브 보드의 다수의 발열 소자들로부터 발생한 열과 함께 상기 서브 보드의 후면부 측으로 방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digital semiconductors are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ard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sub-board, and heat generated from the digital semiconductors of the main board is generated from a plurality of heat generating elements of the sub-board together with heat.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heat is radiated toward the rear side of the sub-board.

또한, 상기 메인 보드와 상기 서브 보드는, 에폭시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ard and the sub-board may be made of an epoxy resin material.

또한, 상기 메인 보드는, 복수의 송수신 채널을 갖는 복수의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보드는, 상기 복수의 섹션 각각에 대응되는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Also, the main board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tions having a plurality of transmission/reception channels, and the sub-board may be form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ctions.

또한, 상기 서브 보드는, 상기 발열 소자들의 발진을 방지하는 발진방지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board may further include an oscillation prevention circuit for preventing oscillation of the heating elements.

또한, 상기 서브 보드는, 적어도 2개의 레이어층을 가지는 다층 기판일 수 있다.Also, the sub-board may be a multi-layer substrate having at least two layers.

또한, 상기 서브 보드의 전면에 해당하는 레이어층에는 상기 발열 소자들 중 일부로서 능동소자가 실장 배치되고, 상기 서브 보드의 후면에 해당하는 레이어층에는 상기 발열 소자들 중 나머지로서 수동소자가 배치되며, 상기 능동소자 및 수동소자로부터 발생한 열은 상기 서브 보드의 후면측으로 방열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ctive element as a part of the heating elements is mounted on a layer layer corresponding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ub-board, and a passive element as the rest of the heating elements is arranged on a layer layer corresponding to the rear surface of the sub-board, , the heat generated from the active element and the passive element may be radiated to the rear side of the sub-board.

또한, 상기 서브 보드의 후면에 해당하는 레이어층 중 상기 발열 소자들 사이에는 접지 패턴(GND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접지 패턴은 상기 메인 보드 및 상기 서브 보드가 설치되는 안테나 하우징부의 내부면과 접촉되어 상기 서브 보드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의 차폐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ground pattern (GND pattern) is formed between the heating elements among the layer layers corresponding to the rear surface of the sub-board, and the ground pattern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ard and the antenna housing in which the sub-board is installed. Thu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hielding area of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by the sub-board.

또한, 상기 서브 보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레이어층이 상기 메인 보드의 멀티 레이어층과 동일한 방식으로 접합 형성될 수 있다.Also, in the sub-board, the at least two layer layers may be bonded and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multi-layer layer of the main board.

또한, 상기 서브 보드에는, 상기 발열 소자들로부터 발생한 열을 후방으로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열전달 브릿지 홀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heat transfer bridge hole for discharging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s to the rear may be formed in the sub-board.

또한, 상기 열전달 브릿지 홀에는, 열전도성 재질이 충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 transfer bridge hole may be filled with a heat conductive material.

또한, 상기 서브 보드는, 메탈 PCB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board may be a metal PCB.

또한, 전방부에는 상기 메인 보드 및 상기 서브 보드가 설치되는 장착 공간이 구비되고, 후방부에는 상기 발열 소자들로부터 발생한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열하는 다수의 히트 싱크 핀이 일체로 형성된 안테나 하우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part is provided with a mounting space in which the main board and the sub-board are installed, and the rear part of the antenna housing part is integrally formed with a plurality of heat sink fins that receiv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ing elements and radiate heat to the outside. may include more.

또한, 상기 발열 소자들로부터 발생한 열은, 상기 서브 보드의 후면부 측으로 전달되어 상기 다수의 히트 싱크 핀을 통해 방열되도록 상기 서브 보드의 후면부와 상기 안테나 하우징부의 내부면은 표면 열 접촉될 수 있다.Also, the rear surface of the sub boar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antenna housing may be in surface thermal contact so that heat generated from the heating elements is transferr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ub board and radiated through the plurality of heat sink fins.

또한, 공진기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 보드의 전방부에 안착되는 다수의 필터 및 상기 다수의 필터의 전방부에 적층되되, 상기 다수의 필터를 통해 소정의 전기적인 신호 라인을 구축하는 다수의 안테나 소자가 전면에 실장된 안테나 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resonator is provided, a plurality of filters seated on the front part of the main board, and a plurality of filters stacked on the front part of the plurality of filters,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line is constructed through the plurality of filters A plurality of antenna elements may further include an antenna board mounted on the front side.

또한, 상기 다수의 필터의 후단부에는, 상기 전기적인 신호 라인과의 신호 간섭을 차폐하기 위한 크램쉘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the rear end of the plurality of filters, a clamshell portion for shielding signal interference with the electrical signal line may be integrally formed.

또한, 상기 메인 보드의 전면에는, 상기 전기적인 신호 라인에 대응되는 송신 채널 및 수신 채널이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크램쉘부는, 상기 송신 채널 및 수신 채널의 영역이 공간상 구획되도록 차폐하는 송수신 구획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ransmission channels and reception channels corresponding to the electrical signal lines ar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ard, and the clamshell unit includes a transmission/reception partition for shielding regions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hannels to be spatially partitioned. It may include ribs.

또한, 상기 크램쉘부는, 상기 송신 채널 중 한 쌍으로 구비되어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송신 회로 패턴이 상호 공간상 구획되도록 차폐하는 송신부 구획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amshell unit may further include a transmission unit partitioning rib provided as a pair of the transmission channels to shield the transmission circuit patter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space.

또한, 상기 다수의 필터의 후단부에는, 상기 메인 보드 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크램쉘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고정 돌기가 상기 메인 보드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설정홈에 안착될 때, 상기 송수신 구획 리브 및 상기 송신부 구획 리브에 의하여 상기 송신 채널 및 수신 채널의 영역 및 상기 송신 회로 패턴을 완전 구획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position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main board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plurality of filters, and the clamshell part has at least one position fixing protrusion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ain board. When seated in one positioning groove, the transmission channel and the reception channel area and the transmission circuit pattern can be completely partitioned by the transmission/reception partition rib and the transmission unit partition rib.

또한, 상기 다수의 필터의 후단부에는, 상기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메인보드측 RF 커넥터가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필터의 전단부에는, 상기 다수의 필터의 전단부에 적층된 안테나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안테나 보드측 RF 커넥터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t the rear end of the plurality of filters, a pair of mainboard-side RF connector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ard are provided, and at the front end of the plurality of filters, stacked on the front end of the plurality of filters A pair of antenna board-side RF connector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o the antenna board may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ffects as follows can be achieved.

첫째, 메인 보드와는 별개로 서브 보드를 이용하여 발열 소자들로부터 발생한 열을 안테나 하우징부의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방열시킴으로써 방열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First,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by more easily dissipating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s to the outside of the antenna housing by using the sub board separately from the main board.

둘째, 서브 보드를 2개의 레이어층으로 구성함으로써, 안테나 하우징부와의 사이에서 접지 차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Second, by configuring the sub-board as two layer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ground shielding effect between the antenna housing and the sub-board.

셋째, 멀티 밴드 필터의 후단부에 크램쉘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공진기가 설치되는 공간이 확장되므로 필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ird, by integrally forming the clamshell part at the rear end of the multi-band filter, the space in which the resonator is installed is expanded, so that the filter performance can be improved.

넷째, 멀티 밴드 필터에 일체로 형성된 크램쉘부를 이용하여 메인 보드에 포함된 복수의 송수신 채널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섹션을 하나의 조립 행위로 각각 전자파 차폐가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Fourth, by using the clamshell unit formed integrally with the multi-band filter, a plurality of section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ransmission/reception channels included in the main board can be individually shielded from electromagnetic waves by one assembly action.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로써, 메인 보드로부터 서브 보드 및 멀티 밴드 필터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취한 일부 단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분해 사시도로서, 메인 보드로부터 멀티 밴드 필터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하향 사시도 및 상향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구성 중 멀티 밴드 필터를 나타낸 하향 사시도 및 상향 사시도이며,
도 7은 멀티 밴드 필터의 구성 중 크램쉘부에 의하여 구획되는 메인 보드의 복수의 섹션 영역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구성 중 서브 보드를 나타낸 전면도 및 후면도이며,
도 9는 도 1의 구성 중 멀티 밴드 필터가 장착된 상태로써, 도 3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방열 구조를 상세화한 다양한 실시예의 모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b-board and a multi-band filter are separated from the main board;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5A and 5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FIG. 1 , a downward perspective view and an upwar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ulti-band filter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ard;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and an upwar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band filter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lurality of section regions of the main board partitioned by the clamshell part in the configuration of the multi-band filter;
8 is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showing a sub-board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 in a state in which the multi-band filter is mounted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10 is a schematic diagram of various embodiments in which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of FIG. 9 is detailed.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n addi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로서, 메인 보드로부터 서브 보드 및 멀티 밴드 필터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parated state.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의 일 실시예(1)는, 전방(도 1의 도면상 상측)으로 개구된 장착 공간을 형성하고, 대략 상하 방향으로 길고 얇은 전후 수용폭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안테나 하우징부(미도시)의 장착 공간 내측에 1차적으로 적층된 제1적층 어셈블리(100)와, 제1적층 어셈블리(100)의 전면에 실장 고정된 제2적층 어셈블리(200)와, 제2적층 어셈블리(200)의 전단부에 적층되는 제3적층 어셈블리(300)를 포함한다.One embodiment (1) of the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 long and thin front and rear accommodation width in an approximately vertical direction, forming a mounting space opened to the front (upper side in the drawing in FIG. 1) The first stacked assembly 100 primarily stacked inside the mounting space of the antenna housing unit (not shown), the second stacked assembly 200 mounted and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stacked assembly 100 , and the second and a third stacked assembly 300 stacked on the front end of the stacked assembly 200 .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의 일 실시예(1)는, 도 1 및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적층 어셈블리(100)의 길이방향 일단부(하단부)에 배치되어 제1적층 어셈블리 내지 제3적층 어셈블리(100~300)에 구비된 다수의 RF 급전 네트워크 부품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 서플라이 유닛부(Power Supply Unit, 이하, 'PSU'라 약칭함)(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embodiment (1) of the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one end (low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tacked assembly 100 as shown in FIGS. 1 and 2 , and the first A power supply unit (hereinafter, abbreviated as 'PSU') 50 for supplying power to a plurality of RF power supply network components provided in the stacked assembly to the third stacked assembly 100 to 300 is further added. may include

PSU(50)는, 캘리브레이션 급전 제어 및 주파수 필터링의 수행을 위해 제1적층 어셈블리 내지 제3적층 어셈블리(100~300)에 구비된 다수의 RF 급전 네트워크 부품들에 전원을 공급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PSU 50 serves to control the supply of power to a plurality of RF power supply network components provided in the first to third stacked assemblies 100 to 300 to perform calibration feed control and frequency filtering. do.

제1적층 어셈블리(100)는, 도 2 및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메인 보드(110)와 서브 보드(1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tacked assembly 100 may include a main board 110 and a sub-board 150 as shown in FIGS. 2 and 3 .

메인 보드(110)의 전면과 후면 및 서브 보드(150)의 전면과 후면에는 상술한 다수의 RF 급전 네트워크 부품들로써, 전원 인가에 따른 작동 시 소정의 열을 방출하는 발열 소자들(111,151,181)이 분산 실장될 수 있다.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main board 110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ub-board 150, the plurality of RF power supply network components described above, and the heating elements 111, 151, and 181 that emit predetermined heat dur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power are dispersed. can be mounted.

메인 보드(110) 및 서브 보드(150)는, 각각 에폭시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F4 수지 계열의 기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메인 보드(100) 및 서브 보드(150)가 에폭시 수지 재질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기판의 주 기능에 따라 상이한 재질로 채택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서브 보드(15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방열 기능이 우선되는 점에서 메탈 PCB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ain board 110 and the sub-board 150 may each be provided with an F4 resin-based substrate made of an epoxy resin material. However, the main board 100 and the sub-board 150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made of an epoxy resin material, and different materials may be adopted according to the main function of the substrate. For example, the sub-board 150 may be made of a metal PCB material in that the heat dissipation function is prioritized, as will be described later.

메인 보드(1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상술한 바와 같이, 에폭시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4각형의 얇은 판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board 110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of a thin rectangular plate made of an epoxy resin material.

여기서, 메인 보드(110)의 전면에는, 상술한 발열 소자들 중 제1발열 소자로써, Rx 소자인 LNA(Low Noise Amplifier)가 적어도 하나 이상 실장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보드(110)의 후면에는, 상술한 발열 소자들 중 제3발열 소자로써, FPGA(Fileld Programmable Gate Array)와 같은 디지털 반도체 소자들이 실장 배치될 수 있다. FPGA는, 메인 보드(110)의 배면에 실장되되, 서브 보드(150)와 상호 겹치지 않고 후방으로 노출되는 메인 보드(110)의 배면에 실장되어, 안테나 하우징부의 장착 공간 내측면에 표면 열접촉되어 생성된 열이 직접 안테나 하우징부의 배면에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히트 싱크핀(미도시)을 통해 직접 방열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low noise amplifier (LNA), which is an Rx element, may be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ard 110 as a first heating element among the above-described heating elements. In addition, digital semiconductor devices such as a File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may be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ard 110 as the third heating element among the aforementioned heating elements. The FPGA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ard 110,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ard 110 exposed to the rear without overlapping with the sub-board 150, and is in surface thermal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of the antenna housing unit. The generated heat may be directly radiated through a plurality of heat sink fins (not shown) integrally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antenna housing.

메인 보드(110)는, 복수의 송수신 채널을 갖는 복수의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송수신 채널은, 송신부 채널과 수신부 채널을 포함하고, 각각의 송신부 채널 및 수신부 채널이 메인 보드(110)의 좌우 폭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패턴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송수신 채널을 가지는 섹션은, 메인 보드(110)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The main board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tions having a plurality of transmission/reception channels. Here, the plurality of transmit/receive channels may include a transmitter channel and a receiver channel, and each transmitter channel and receiver channel may be pattern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ard 110 . A plurality of sections having such a plurality of transmission/reception channels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and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ard 110 .

여기서, 각각의 섹션은, 후술하는 제2적층 어셈블리(200)의 구성 중 단위 멀티 밴드 필터(210)와 대응되는 열 개수로 형성되되, 하나의 섹션 범위 내에 Tx 소자 16개와 Rx 소자 16개가 실장 배열되고, 이와 같은 섹션을 4개를 가짐으로써 64T/R의 전송 용량을 갖추는 Massive MIMO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Here, each section is formed in the number of columns corresponding to the unit multi-band filter 210 in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stacked assembly 200 to be described later, and 16 Tx elements and 16 Rx elements are mounted in one section range. and by having 4 such sections, a Massive MIMO technology with a transmission capacity of 64T/R can be applied.

참고로, 하나의 단위 멀티 밴드 필터(2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부에 2개의 캐비티(205)가 격벽(도면부호 미표기)에 의하여 구획되고, 각 캐비티(205) 내의 공진기(215)를 이용하여 송신 채널 및 수신 채널의 주파수 필터링이 가능한 점에서, 하나의 단위 멀티 밴드 필터(210)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상기 발열 소자들 중 제1발열 소자(111)인 2개의 Rx 소자(LNA) 및 제2발열 소자인 2개의 Tx 소자(TR (Transistor) 및 PA(Power Amplifier))가 메인 보드(110)와 서브 보드(150)의 해당 영역에 실장 배치될 수 있다. For reference, in one unit multi-band filter 210, as will be described later, two cavities 205 are partitioned inside by a partition wall (reference numerals not indicated), and the resonator 215 in each cavity 205 is provided. Two Rx elements (LNA), which are the first heating elements 111 among the heating elements,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one unit multi-band filter 210 in that frequency filtering of the transmission channel and the reception channel is possible using And two Tx elements (transistor (TR) and power amplifier (PA)), which are second heating elements, may be mounted and disposed in corresponding regions of the main board 110 and the sub-board 150 .

한편, 서브 보드(150)는, 메인 보드(110)의 후면에 밀착 결합되는 보조 기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서브 보드(150)의 두께는 상대적으로 메인 보드(110)의 두께보다 더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브 보드(150)는, 안테나 하우징부의 장착 공간 내측면에 직접 열접촉되어 다수의 발열 소자들(111,151,181)로부터 발생한 열을 전달하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하는 점에서, 에폭시 수지 재질보다 더 열전달이 용이한 메탈 PCB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sub-board 150 may serve as an auxiliary substrate closely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ard 110 .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sub-board 150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main board 110 . In addition, in that the sub-board 150 is in direct thermal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of the antenna housing part and additionally performs a function of transferring heat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heating elements 111, 151, 181, heat transfer is better than that of the epoxy resin material.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with an easy metal PCB.

서브 보드(150)의 전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발열 소자들 중 제2발열 소자(151)인 2개의 Tx 소자가 실장되는 패턴 회로가 인쇄될 수 있다. 패턴 회로 각각에는, 제2발열 소자(151)가 각각 하나씩 실장되고, 2개의 패턴 회로에 의하여 송신 채널 및 수신 채널을 완성할 수 있다. 송신 채널과 수신 채널은, 각각 후술하는 단위 멀티 밴드 필터(210)에 구비된 메인보드 측 RF 커넥터(233) 한 쌍과 전기적으로 커넥팅 될 수 있다.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b-board 150 , as described above, a pattern circuit in which two Tx elements, which are the second heating elements 151 among the heating elements, are mounted, may be printed. In each of the pattern circuits, one second heating element 151 is mounted, respectively, and a transmission channel and a reception channel can be completed by the two pattern circuits. The transmit channel and the receive channel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air of mainboard-side RF connectors 233 provided in a unit multi-band filter 210 to be described later, respectively.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취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분해 사시도로써, 메인 보드로부터 멀티 밴드 필터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하향 사시도 및 상향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의 구성 중 멀티 밴드 필터를 나타낸 하향 사시도 및 상향 사시도이고, 도 7은 멀티 밴드 필터의 구성 중 크램쉘부에 의하여 구획되는 메인 보드의 복수의 섹션 영역을 나타낸 단면도이다.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and FIGS. 5A and 5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FIG. 1,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ulti-band filter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ard. 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and an upwar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ulti-band filter,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lurality of section regions of the main board divided by the clamshell part in the configuration of the multi-band filter.

제2적층 어셈블리(200)는, 도 4 내지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적층 어셈블리(100)의 메인 보드(110)와 제3적층 어셈블리(300)의 안테나 보드(310) 사이에 배치되어 주파수 필터링을 수행하는 필터(2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210)는, 캐비티 필터(Cavity Filter), 도파관 필터(Wave-Guide Filter) 및 유전체 필터(Dielectric Filter) 중 어느 하나로 채용될 수 있다. 아울러, 여기서의 필터는 다중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멀티 밴드 필터(Multi Band Filter, MBF)를 제외하지 않는다.The second stacked assembly 200 is disposed between the main board 110 of the first stacked assembly 100 and the antenna board 310 of the third stacked assembly 300 as shown in FIGS. 4 to 6 . It may include a filter 210 that performs frequency filtering. Here, the filter 210 may be employed as any one of a cavity filter, a wave-guide filter, and a dielectric filter. In addition, the filter herein does not exclude a multi-band filter (MBF) that covers multiple frequency bands.

필터(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보드(110)에 구비된 복수의 섹션에 대응되는 영역을 커버하도록 다수 개가 고정되고, 그 대응 영역에 한 쌍의 송신 채널 및 수신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filters 210 are fixed to cover an area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sections provided on the main board 110, and a pair of transmit and receive channels may be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area. have.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210)는 2개의 캐비티(205)가 격벽에 의하여 좌우로 구획되고, 각 캐비티(205) 내에 구비된 다수의 공진기(215)에 의하여 송신 채널 및 수신 채널을 통한 주파수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In more detail, in the filter 210, two cavities 205 are partitioned left and right by a partition wall, and frequency filtering through a transmission channel and a reception channel by a plurality of resonators 215 provided in each cavity 205 can be performed.

필터(210)는, 그 내부의 캐비티(205)와 외부의 잡음(전자파 등에 의한 신호 등)가 차폐되도록, 그 내부면이 금속 박막 형태로 도금되게 구비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필터(210)의 후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크램쉘부(250) 또한 마찬가지일 수 있다.The filter 210 may be provided such that its inner cavity 205 and external noise (such as a signal due to electromagnetic waves) are shielded, and its inner surface is plated in the form of a metal thin film, 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lter ( The clamshell part 250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210 may also be the same.

한편, 메인 보드(110)에는, 단위 MBF(210) 각각의 설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위치 설정홈(115a,115b)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위 필터(210)의 후단부에도, 메인 보드(11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설정홈(115a,115b) 각각에 삽입 고정되도록 메인 보드(110) 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고정 돌기(215a,215b)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board 110, at least one positioning groove (115a, 115b) for designating each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unit MBF (210) may be formed. Here, also at the rear end of the unit filter 210, at least one positioning protrusion ( 215a, 215b) may be formed.

아울러, 필터(210)의 후단부에는, 전기적인 신호 라인과의 신호 간섭을 차폐하기 위한 크램쉘부(25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clamshell part 250 for shielding signal interference with an electrical signal line may be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filter 210 .

크램쉘부(250)는, 도 5a 및 도 5b와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메인 보드(110)에 포함되는 송신 채널(253") 및 수신 채널(251')의 영역이 공간상 구획되도록 차폐하는 송수신 구획 리브(251) 및 송신 채널(253") 중 한 쌍으로 구비되어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송신 회로 패턴이 상호 공간상 구획되도록 차폐하는 송신부 구획 리브(253a,253b)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amshell unit 250 is shielded so that the regions of the transmission channel 253 ″ and the reception channel 251 ′ included in the main board 110 are spatially partitioned, as shown in FIGS. 5A and 5B and FIG. 7 . Transmitting unit partition ribs 253a and 253b provided as a pair of the transmission/reception partitioning rib 251 and the transmission channel 253″ to shield the transmission circuit patter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re partitioned in space.

여기서, 크램쉘부(250)의 송수신 구획 리브(251)는, 메인 보드(110)의 전면에 실장된 제1발열 소자(111)인 한 쌍의 Rx 소자를 공간상 상호 구획 및 차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Here, the transmission/reception partitioning rib 251 of the clamshell unit 250 serves to spatially partition and shield a pair of Rx elements, which are the first heating elements 111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ard 110 . do.

또한, 크램쉘부(250)의 송신부 구획 리브(253a,253b)는, 서브 보드(110)의 각 패턴 회로에 실장된 제2발열 소자(151)인 2개의 Tx 소자를 공간상 상호 구획 및 차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transmitter division ribs 253a and 253b of the clamshell unit 250 spatially partition and shield the two Tx elements, which are the second heating elements 151 mounted on each pattern circuit of the sub-board 110 . play a role

이와 같이, 필터(210)의 후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크램쉘부(250)의 각 구획 리브(251,253)를 이용하여 Rx 소자들 및 Tx 소자들 간 전자파의 영향을 최대한 차폐함과 동시에, 한 쌍의 Tx 소자들 간의 신호 영향을 차폐함으로써, 주파수 필터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way, by using each partition rib 251,253 of the clamshell part 250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filter 210, the influence of electromagnetic waves between the Rx elements and the Tx elements is maximally shielded, and at the same time, a pair of By shielding the signal influence between the Tx elements, the frequency filter performance can be greatly improved.

또한, 필터(210)의 후단부에 크램쉘부(250)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필터(210)의 캐비티(205) 공간을 후방 측으로 더 확장시킴으로써, 다수의 공진기(215)의 이격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되는 바, Q값을 향상시켜 작동 시 발열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추가적인 이점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by integrally forming the clamshell part 250 at the rear end of the filter 210, the cavity 205 space of the filter 210 is further expanded to the rear side, thereby making the spaced space of the plurality of resonators 215 wider.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ecure an additional advantage of minimizing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during operation by improving the Q value.

한편, 필터(210)의 크램쉘부(250)는, 그 후단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고정 돌기(215a,215b)가 메인 보드(210)의 위치 설정홈(115a,115b)에 안착될 때, 송수신 구획 리브(251) 및 송신부 구획 리브(253)의 후단이 메인 보드(110)의 전면에 밀착되는 동작으로 송신 채널 및 수신 채널의 영역 및 송신 회로 패턴을 상호 완전 구획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위치 고정 돌기(215a,215b) 및 위치 설정홈(115a,115b)를 관통하는 미도시의 조립 나사를 통해 필터(210)를 메인 보드(210)에 소정의 조립력으로 조립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lamshell part 250 of the filter 210 is seated in the positioning grooves 115a and 115b of the main board 210 at least one positioning protrusion 215a, 215b formed at the rear end thereof, The rear ends of the transmission/reception partition rib 251 and the transmission part partition rib 253 are provided to completely partition the transmission channel and the reception channel area and the transmission circuit pattern with an opera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ard 110 . Here, the filter 210 may be assembled to the main board 210 with a predetermined assembly force through an assembly screw (not shown) passing through the positioning protrusions 215a and 215b and the positioning grooves 115a and 115b.

아울러, 필터(210)의 후단부에는, 도 5a 및 도 5b에 참조된 바와 같이, 메인 보드(11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메인보드측 RF 커넥터(230)가 구비되고, 필터(210)의 전단부에는, 필터(210)의 전단부에 적층된 제3적층 어셈블리(300)의 구성 중 안테나 보드(31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안테나 보드측 RF 커넥터(240)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t the rear end of the filter 210, as shown in FIGS. 5A and 5B , a pair of mainboard-side RF connectors 23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ard 110 are provided, and the filter 210 is provided. ) at the front end of the filter 210, a pair of antenna board-side RF connectors 24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ntenna board 310 among the configurations of the third stacked assembly 300 stacked on the front end of the filter 210 to be provided. can

한 쌍의 메인보드측 RF 커넥터(230)는, 각각 송신 채널 및 수신 채널을 담당하도록 필터(210)의 각 캐비티(205) 측으로 연결되는 일측 커넥터(230a) 및 타측 커넥터(230b)를 구비하고, 한 쌍의 안테나 보드측 RF 커넥터(240) 또한 각각 송신 채널 및 수신 채널을 담당하도록 필터(210)의 각 캐비티(205) 측으로 연결되는 일측 커넥터(240a) 및 타측 커넥터(240b)를 구비할 수 있다.A pair of mainboard-side RF connectors 230 are provided with one connector 230a and the other connector 230b connected to each cavity 205 side of the filter 210 so as to take charge of a transmission channel and a reception channel, respectively, The pair of antenna board side RF connectors 240 may also include one connector 240a and the other connector 240b connected to each cavity 205 side of the filter 210 so as to take charge of a transmission channel and a reception channel, respectively. .

여기서, 메인보드측 RF 커넥터(230)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커넥팅 보스(231)와, 커넥팅 보스(231)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된 커넥팅 단자핀(233) 및 필터(210)와 메인 보드(110) 사이의 조립 공차를 흡수함과 아울러 접지 역할을 수행하는 탄성 접지 와셔(235)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ain board-side RF connector 230 is, as shown in FIG. 4 , a connecting boss 231 , a connecting terminal pin 233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boss 231 and a filter 210 . It may include an elastic ground washer 235 that serves as a ground while absorbing the assembly tolerance between the and the main board 110 .

메인 보드(110)에는, 커넥팅 단자핀(233)이 삽입 체결되기 위한 커넥팅부(140)가 홀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커넥팅부(140)의 주변으로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유전체(130)가 임베디드(imbeded)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커넥팅 단자핀(233)은, 유전체(130)를 관통하여 메인 보드(110)의 배면 측에 적층 결합된 서브 보드(150)와 전기적으로 신호 연결 될 수 있다. 종래에는, 서브 보드(150)를 구비하지 않고, 메인 보드(110)의 전면에 커넥팅부(140)가 구비되는 바, 커넥팅부(140)의 주변에 대한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상기 유전체(130)의 설치가 불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메인 보드(110)의 배면에 서브 보드(150)를 분리 적층하고, 메인 보드(110)의 두께만큼 유전체(130)를 임베디드 형태로 설치 가능한 점에서, 서브 보드(150)의 그라운드층(Ground layer)과의 사이에 상술한 임피던스 정합 설계가 매우 용이한 이점을 가진다.In the main board 110 , the connecting part 140 for inserting and fastening the connecting terminal pin 233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hole, and a dielectric 130 for impedance matching is embedded around the connecting part 140 . (imbede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The connecting terminal pin 233 may pass through the dielectric 130 to be electrically signal-connected to the sub-board 150 laminated to the rear side of the main board 110 . Conventionally, the sub-board 150 is not provided, and the connecting part 140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ard 110, so that the dielectric 130 for impedance matching with respect to the periphery of the connecting part 140 is formed. Although it was impossible to install, in the cas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board 150 is separated and stack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ard 110 and the dielectric 130 can be installed as much as the thickness of the main board 110 in an embedded form. , the above-described impedance matching design between the sub-board 150 and the ground layer has the advantage of being very easy.

한편, 안테나 보드측 RF 커넥터(240)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안테나 보드(310)의 후면 측에 구비된 접점부(도면부호 미표기)에 접점되는 접점 단자핀(243)과, 접점 단자핀(243)을 임피던스 정합을 유지한 채로 필터(2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유전체 블록(241) 및 필터(210)와 안테나 보드(310) 사이의 조립 공차를 흡수함과 아울러 접지 역할을 수행하는 탄성 접지 와셔(245)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F connector 240 on the antenna board side, as shown in FIG. 4 , a contact terminal pin 243 that is in contact with a contact part (not shown)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antenna board 310, and a contact point To absorb the assembly tolerance between the dielectric block 241 and the filter 210 and the antenna board 310 for fixing the terminal pin 243 to the filter 210 while maintaining the impedance matching, as well as serving as a ground It may include an elastic ground washer 245 .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1)는, 신호 수신 과정 동안에는, 제3적층 어셈블리(300)의 안테나 소자(320)를 통해 수신된 신호가 제2적층 어셈블리(200)의 구성 중 필터(210)를 경유하여 소정의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된 다음 제1적층 어셈블리(100)의 메인 보드(110)로 입력되어 데이터 처리된다. 이때, 신호는 수신부 채널을 경유하되, Rx 소자 및 Tx 소자 중 관여 소자들이 구동하여 발열되고, 이로부터 생성된 구동 열은 메탈 PCB로 구비된 서브 보드(150)를 경유하여 후방 방열이 용이해질 수 있다.In the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during the signal reception process,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element 320 of the third stacked assembly 300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stacked assembly. In the configuration of 200 , it is filtered to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through the filter 210 , and then is inputted to the main board 110 of the first stacked assembly 100 for data processing. At this time, the signal passes through the receiver channel, but the Rx element and the Tx element are driven to generate heat, and the driving heat generated therefrom passes through the sub-board 150 provided with a metal PCB to facilitate rear heat dissipation. have.

반대로, 신호 송신 과정 동안에는, 제1적층 어셈블리(100)의 메인 보드(11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는 제2적층 어셈블리(200)의 구성 중 필터(210)를 경유하여 소정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된 다음 제3적층 어셈블리(300)의 안테나 소자(320)를 통해 발진될 수 있다. 이 때에도 마찬가지로, 신호는 송신부 채널을 경유하되, Rx 소자 및 Tx 소자 중 관여 소자들이 구동하여 발열되고, 이로부터 생성된 구동 열은 메탈 PCB로 구비된 서브 보드(150)를 경유하여 후방 방열될 수 있다.Conversely, during the signal transmission proces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board 110 of the first stacked assembly 100 is filtered to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through the filter 210 dur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stacked assembly 200 and then It may be oscillated through the antenna element 320 of the three-layered assembly 300 . Likewise at this time, the signal passes through the transmitter channel, but the Rx element and the Tx element are driven to generate heat, and the driving heat generated therefrom is rearwardly radiated via the sub-board 150 provided with the metal PCB. have.

그리고, 필터(210)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된 크램쉘부(250)에 의하여 수신 채널부와 송신 채널부가 각각 공간 구획되어 차폐됨으로써 신호 간섭이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reception channel part and the transmission channel part are spaced apart and shielded by the clamshell part 250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filter 210, so that signal interferenc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제3적층 어셈블리(300)는, 도 1 내지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필터(210)의 전단부에 적층 배치된 안테나 보드(310)와, 안테나 보드(310)의 전면에 실장 고정된 다수의 안테나 소자(32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7 , the third stacked assembly 300 includes an antenna board 310 stacked on the front end of the filter 210 , and a plurality of mounted and fixed antenna boards on the front surface of the antenna board 310 . may include an antenna element 320 of

도 8은 도 1의 구성 중 서브 보드를 나타낸 전면도 및 후면도이고, 도 9는 도 1의 구성 중 멀티 밴드 필터가 장착된 상태로써, 도 3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방열 구조를 상세화한 다양한 실시예의 모식도이다.8 is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showing a sub-board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 with a multi-band filter mounted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FIG. It is a schematic diagram of various embodiments in which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of FIG. 9 is detail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1)는, PSU(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메인 보드(110)의 제1발열 소자(111) 및 제3발열 소자(181)와, 서브 보드(150)의 제2발열 소자(151)로부터 상당량의 구동 열이 발생할 수 있다.The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eating element 111 and a third heating element 181 of a main board 110 that receives power from a PSU 50 and operates; , a considerable amount of driving heat may be generated from the second heat generating element 151 of the sub-board 150 .

종래에는, 메인 보드(110)의 전면과 후면에 위 다수의 발열 소자들(111,151,181)을 분산 실장하고, 위 발열 소자들(111,151,181)로부터 발생한 열은 메인 보드(110)의 후방으로 방출하고, 메인 보드(110)의 후면과 표면 열 접촉하도록 배치된 안테나 하우징부의 다수의 히트 싱크 핀을 매개로 방열하는 구조를 채택하였다.Conventionally, the plurality of heating elements 111, 151, 181 are dispersedly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main board 110, and heat generated from the heating elements 111, 151, 181 is radiated to the rear of the main board 110, and the main A structure for dissipating heat through a plurality of heat sink fins of the antenna housing portion disposed to be in thermal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board 110 is adopted.

그러나, 다수의 발열 소자들(111,151,181) 중 제2발열 소자(151)인 Tx 소자의 발열량은 매우 큰 반면, 열전도성이 낮은 기판 재질로 형성된 메인 보드(110)의 전면에 실장되어 있던 점에서, 메인 보드(110)의 후방으로의 열전달 효율(즉, 방열 성능)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the Tx element, which is the second heating element 151 among the plurality of heating elements 111, 151, 181, is very large, whereas it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ard 110 formed of a substrate material with low thermal conductivit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ie,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to the rear of the main board 110 is very l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1)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다양한 설계 방안을 제시한다.The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various design methods as follows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제1실시예로써,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1)는, 도 10의 (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 영역에 소정의 공간 형태로 수용 공간(110s-1)이 형성된 메인 보드(110a)와, 메인 보드(110a)의 후면부 측에 적층되고, 수용 공간(110s-1)을 향하는 전면부에 다수의 발열 소자들(예를 들면, 제2발열 소자들(151)이 실장된 서브 보드(150)를 포함할 수 있다.As a first embodiment, in the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A plurality of heating elements (eg, second heating elements 151) are mounted on the board 110a and the back side of the main board 110a, and are stacked on the front side facing the receiving space 110s-1. and a sub-board 150 .

또한, 제2실시예로써,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1)는, 도 10의 (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전방부에 배치된 메인 보드(110b) 및 전면부가 메인 보드(110b)의 후면부 일부와 밀착되게 적층 배치되되, 메인 보드(110b)의 후면부와 비접촉되는 범위(도면부호 '110s-2' 참조)를 가지도록 전면부에 다수의 발열 소자들(151)이 실장된 서브 보드(15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 second embodiment, in the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A plurality of heating elements 151 are mounted on the front part so as to have a range (refer to reference numeral '110s-2') in contact with the rear part of the main board 110b and are stacked in close contact with a part of the rear part of the 110b. and a sub-board 150 .

한편, 제3실시예로써,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1)는, 도 10의 (c)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전후방으로 적층된 멀티 레이어층이 일체로 접합 형성된 일체형 원보드이고, 후면부 중 일부의 영역에서 멀티 레이어층 중 적어도 일부가 제거된 수용 공간(110s-3)을 가지는 메인 보드(110c) 및 멀티 레이어층 중 메인 보드(110c)의 가장 후방에 위치한 레이어층의 후면부 측에 적층되고, 수용 공간(110s-3)을 향하는 전면부에 다수의 발열 소자들이 실장된 서브 보드(150)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third embodiment, the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tegrated one-board in which the multi-layer layers stacked in the front and rear are integrally bonded, as shown in FIG.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ard 110c having the accommodating space 110s-3 from which at least some of the multi-layer layers are removed in a part of the rear portion and the layer layer located at the rearmost side of the main board 110c among the multi-layer layers The stacked sub-board 1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heating elements mounted on the front portion facing the receiving space 110s-3.

여기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방열 구조는, 발열 소자들(151)로부터 발생한 열이 서브 보드(150)의 후면부 측으로 방열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Here,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xemplary embodiments is characterized in that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s 151 is radiated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sub-board 150 .

이를 위해, 서브 보드(150)에는, 발열 소자들(151)로부터 발생한 열을 후방으로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열전달 브릿지 홀(153)이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at least one heat transfer bridge hole 153 for discharging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s 151 to the rear may be formed in the sub-board 150 .

여기서, 열전달 브릿지 홀(153)은 홀 형태로 가공되어, 발열 소자들(151)로부터 발생한 열을 후방으로 배출할 수 있음은 물론,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이 충진될 수 있다.Here, the heat transfer bridge hole 153 may be processed in a hole shape to discharg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s 151 to the rear, and may be filled with a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따라서, 서브 보드(150)의 전면부에 실장된 발열 소자들(151)로부터 발생한 열은 열전달 브릿지 홀(153)을 매개로 서브 보드(150)의 후면부 측으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다.Accordingly, heat generated from the heating elements 151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the sub-board 150 may be smoothly transferred to the rear side of the sub-board 150 via the heat transfer bridge hole 153 .

한편, 발열 소자들(151)의 구동에 의한 온도 상승에 따른 서브 보드(150)의 열팽창량은 메인 보드(110)의 열팽창량 보다 작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발열 소자들(111,151,181) 중 실질적으로 가장 많은 발열이 예상되는 제2발열 소자들(151)이 실장된 서브 보드(150)의 열팽창량이 작도록 설계함으로써 열변형을 최소화하여 열 접촉 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amount of thermal expansion of the sub-board 150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rise due to the driving of the heating elements 151 is smaller than the amount of thermal expansion of the main board 110 . This is by designing the sub-board 150 on which the second heating elements 151, which are expected to generate substantially the most heat among the heating elements 111, 151, and 181, to have a small amount of thermal expansion, thereby minimizing thermal deformation and increasing thermal contact resistance. to prevent doing

마찬가지 이유로, 서브 보드(150)의 전후 두께는 메인 보드(110)의 전후 두께보다 작도록 설계될 수 있다.For the same reason, the front and rear thicknesses of the sub board 150 may be designed to be smaller than the front and rear thicknesses of the main board 110 .

일반적으로, 메인 보드(110)는, 다수의 멀티 레이어층이 일체로 접합된 형태로 구비되고, 각 레이어층을 따라 미도시의 패턴 설계가 이루어지는 점에서, 레이어층의 개수를 줄이도록 설계하는 데에는 물리적인 한계가 있다.In general, the main board 110 is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multi-layer layers are integrally bonded, and a pattern not shown is designed along each layer layer. There are physical limitatio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1)에서 새롭게 제안하는 방열 구조는, 메인 보드(110)의 두께는 기존 설계치대로 유지하되, 실질적으로 방열 성능을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서브 보드(150)의 도입을 제안한다.In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newly proposed in the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main board 110 is maintained as the existing design value, but the sub-board 150 is substantially improved in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 is proposed.

서브 보드(150)의 전면에는, 발열 소자들(111,151,181) 중 가장 발열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제2발열 소자들(151)이 실장되도록 송신 채널 및 수신 채널에 대응되는 회로 패턴이 인쇄될 수 있다.Circuit patterns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channel and the reception channel may be pri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b-board 150 so that the second heating elements 151, which are expected to generate the most heat among the heating elements 111, 151, and 181, are mounted.

메인 보드(110)는, 상술한 서브 보드(150)에 실장된 제2발열 소자들(151)이 전방으로 노출되거나 적어도 상술한 수용 공간(110s-1, 110s-3)에서 메인 보드(110)와는 비접촉되는 범위(110s-2)로 수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board 110, the second heating elements 151 mounted on the above-described sub-board 150 are exposed to the front, or at least in the above-described receiving spaces 110s-1 and 110s-3, the main board 110 and may be formed to be accommodated in a non-contact range (110s-2).

도 10의 (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수용 공간(110s-1)은, 메인 보드(110a)를 전후방으로 관통시킨 개구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A , the accommodating space 110s-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main board 110a is penetrated in the front and rear.

또한, 도 10의 (b)에 참조된 바와 같이, 비접촉 범위(110s-2)은, 메인 보드(110b)의 후면 일부가 후방으로 절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 10 , the non-contact range 110s - 2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ard 110b is cut rearward.

아울러, 도 10의 (c)에 참조된 바와 같이, 수용 공간(110s-3)은, 메인 보드(110c)에 구비된 멀티 레이어층 중 일부의 영역에서 멀티 레이어층 중 적어도 일부가 제거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서브 보드(150)는, 메인 보드(110c)와 그 명칭을 달리하는 것이지만 물리적으로 구분되지 않고, 메인 보드(110c)와 동일한 레이어층으로서 2개의 레이어층으로 구비되어 제2발열 소자들(151)이 전면부에 실장된 상태에서 수용 공간(110s-3)에 수용되도록 메인 보드(110)의 후면부에 일체로 접합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c) of FIG. 10 , the accommodation space 110s-3 is in a form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multi-layer layer is removed from a portion of the multi-layer layer provided on the main board 110c. It is also possible to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sub-board 150 has a different name from the main board 110c, but is not physically separated, and is provided in two layers as the same layer as the main board 110c, so that the second heating elements are provided. 151 may be integrally bond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ard 110 so as to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0s-3 in a state in which the 151 is mounted on the front portion.

한편, 메인 보드(110)의 전면부에는 제1발열 소자들(111)이 배치되고, 서브 보드(150)의 전면부에는 제2발열 소자들(151)이 배치될 때, 제2발열 소자들(151)의 출력 전력(즉, 발열량)은 제1발열 소자들(111)의 출력 전력(즉, 발열량)보다 크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출력 전력이 큰 제2발열 소자들(151)을 안테나 하우징부의 다수의 히트 싱크핀에 보다 가깝게 위치시킴으로써, 방열 성능을 극대화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에서는, 발열 소자들(111,151,181) 중 상대적으로 가장 발열량이 큰 제2발열 소자(151)인 Tx 소자를 서브 보드(150)의 전면부에 실장 배치한 설계를 채택하였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heating elements 111 are disposed on the front part of the main board 110 and the second heating elements 151 are disposed on the front part of the sub-board 150, the second heating elements The output power (ie, amount of heat) of 151 is preferably set to be greater than the output power (ie, amount of heat) of the first heat generating elements 111 . This is to maximize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by locating the second heat generating elements 151 having high output power closer to the plurality of heat sink fins of the antenna housing. Therefore, in the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x element, which is the second heating element 151 having the largest amount of heat relatively among the heating elements 111 , 151 , and 181 ,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b-board 150 . The layout design was adopted.

아울러, 메인 보드(110)의 후면부 중 서브 보드(150)의 전면부와 겹치지 않는 후면부에는 제3발열 소자들(181)로써 FPGA와 같은 디지털 반도체들이 실장 배치되고, 메인 보드(110)의 제3발열 소자들(181)로부터 발생한 열은 서브 보드(150)의 다수의 제2발열 소자들(151)로부터 발생한 열과 함께 서브 보드(150)의 후면부 측으로 방열될 수 있다.In addition, digital semiconductors such as FPGAs are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ard 110 , which does not overlap the front surface of the sub-board 150 , as the third heating elements 181 , and the third of the main board 110 .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s 181 may be radiated toward the rear side of the sub board 150 together with the heat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second heat generating elements 151 of the sub board 150 .

이 경우, 제3발열 소자들(181)은, 서브 보드(181)와 메인 보드(110)가 상호 겹치지 않는 범위의 메인 보드(110) 후면부에 실장되므로, 직접 안테나 하우징부의 내측면에 표면 열 접촉되어 열전도가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case, since the third heating elements 181 are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ard 110 in a range where the sub-board 181 and the main board 110 do not overlap each other, the surface thermal contact is directl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ntenna housing. It is also possible for heat conduction to occur.

한편, 도 10의 (c)에 참조된 바와 같이, 서브 보드(150)가 2개의 레이어층을 가지는 다층 기판으로 구비된 경우, 서브 보드(150)의 전면에 해당하는 레이어층에는 발열 소자들 중 일부로서 능동소자가 실장 배치되고, 서브 보드(150)의 후면에 해당하는 레이어층에는 발열 소자들 중 나머지로서 수동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능동소자 및 수동소자로부터 발생한 열은 서브 보드(150)의 후면측으로 방열되는 것은 당연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0C , when the sub-board 150 is provided as a multi-layer substrate having two layer layers, a layer layer corresponding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ub-board 150 includes one of the heating elements. An active element may be mounted as a part, and a passive element may be disposed as the rest of the heat generating elements in a layer layer corresponding to the rear surface of the sub-board 150 . Here, it is natural that heat generated from the active element and the passive element is radiated to the rear side of the sub-board 150 .

여기서, 서브 보드(150)의 후면에 해당하는 레이어층 중 발열 소자들(수동소자들) 사이에는 접지 패턴(GND 패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접지 패턴은, 메인 보드(110) 및 서브 보드(150)가 설치되는 안테나 하우징부의 내부면과 접촉되어 서브 보드(150)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메인 보드(110)의 후면부에 배치된 서브 보드(15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상술한 발열 소자들을 분산 배치함으로써, 발열 소자들 사이에 형성할 수 있는 접지 패턴(GND 패턴)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접지 패턴의 면적 증가는, 안테나 하우징부의 내부면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보다 향상된 전자파 차폐율을 달성할 수 있다.Here, a ground pattern (GND pattern) (not shown) may be formed between the heating elements (passive elements) among the layer layers corresponding to the rear surface of the sub-board 150 . The ground pattern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antenna housing on which the main board 110 and the sub-board 150 are installed, and functions to shield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from the sub-board 150 . In this way, by distributing the above-described heating elements on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sub-board 150 dispos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main board 110, respectively, the ground pattern (GND pattern) that can be formed between the heating elements An area may be increased, and an increase in the area of the ground pattern may increase a contact area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antenna housing part, thereby achieving a more improved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rate.

아울러,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서브 보드(150)는, 발열 소자들의 발진을 방지하는 발진방지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진방지회로는, 발열소자들이 회로 구성에 의하여 고주파 발진하는 것을 사전 차단함으로써 구동 열을 최소화하고, 최소화된 구동 열을 상술한 바와 같이 서브 보드(150)의 후면 측으로 용이하게 방열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ub-board 150 may further include an oscillation prevention circuit for preventing oscillation of the heating elements. The oscillation prevention circuit minimizes the driving heat by pre-blocking the high-frequency oscillation of the heat generating elements according to the circuit configuration, and can easily radiate the minimized driving heat to the rear side of the sub-board 150 as described abov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는, 종래 원보드 형태의 메인 보드(110)에 집중 실장되었던 발열소자들을 서브 보드(150)로 나누어 분산 실장하여 열 집중 현상을 방지하고, 효과적으로 서브 보드(150)의 후면 측에 구비된 안테나 하우징부의 다수의 히트 싱크핀을 매개로 후방 방열함으로써 전체적인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ing elements that were intensively mounted on the main board 110 of the conventional one-board type are divided into the sub-board 150 and mounted to prevent heat concentration, and ,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overall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by effectively dissipating rear heat through a plurality of heat sink fins of the antenna housing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sub-board 150 .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an embodiment of the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it is natural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lementations within an equivalent range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termin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1: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 100: 제1적층 어셈블리
110: 메인 보드 150: 서브 보드
200: 제2적층 어셈블리 210: 멀티 밴드 필터
250: 크램쉘부 300: 제3적층 어셈블리
310: 안테나 보드 320: 안테나 소자
1: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100: first stacked assembly
110: main board 150: sub board
200: second stacked assembly 210: multi-band filter
250: clamshell part 300: third stacked assembly
310: antenna board 320: antenna element

Claims (28)

적어도 일 영역에 소정의 공간 형태로 수용 공간이 형성된 메인 보드; 및
상기 메인 보드의 후면부 측에 적층되고, 상기 수용 공간을 향하는 전면부에 다수의 발열 소자들이 실장된 서브 보드; 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 소자들로부터 발생한 열은 상기 서브 보드의 후면부 측으로 방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
a main board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in at least one area in a predetermined space shape; and
a sub-board stack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ard and having a plurality of heating elements mounted on the front portion facing the accommodation space; including,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ing element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is radiated toward the rear side of the sub-board,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보드는, 상기 서브 보드보다 상대적으로 전방부에 배치되고,
상기 서브 보드는, 전면부가 상기 메인 보드의 후면부 일부와 밀착되게 적층 배치되되, 상기 메인 보드의 후면부와 비접촉되는 범위인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 공간에 해당되는 전면부에 상기 다수의 발열 소자들이 실장된,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ard is disposed in a relatively front portion of the sub-board,
In the sub-board, the front part is stacked in close contact with a part of the rear part of the main board, the accommodating space is formed in a range that is not in contact with the rear part of the main board, and the plurality of heat generators are formed in the front part corresponding to the accommodating space. A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in which elements are mount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보드는, 전후방으로 적층된 멀티 레이어층이 일체로 접합 형성된 일체형 원보드이고, 후면부 중 일부의 영역에서 상기 멀티 레이어층 중 적어도 일부가 제거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서브 보드는, 상기 멀티 레이어층 중 상기 메인 보드의 가장 후방에 위치한 레이어층의 후면부 측에 적층되고, 상기 수용 공간을 향하는 전면부에 상기 다수의 발열 소자들이 실장된,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ard is an integrated one-board in which the multi-layer layers stacked in the front and rear are integrally bonded,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multi-layer layers are removed in some areas of the rear part to form the accommodation space,
The sub-board is stacked on the rear side of the layer layer located at the rearmost side of the main board among the multi-layer layers, and the plurality of heating elements are mounted on the front side facing the accommodation sp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 소자들의 구동에 의한 온도 상승에 따른 상기 서브 보드의 열팽창량은 상기 메인 보드의 열팽창량 보다 작은,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mount of thermal expansion of the sub-boar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increase due to the driving of the heating elements is smaller than the amount of thermal expansion of the main board, the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브 보드의 전후 두께는 상기 메인 보드의 전후 두께보다 작은,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hickness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sub board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main board, the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보드의 전면부에는 제1발열 소자들이 배치되고, 상기 서브 보드의 전면부에는 제2발열 소자들이 배치되며,
상기 제2발열 소자들의 출력 전력은 상기 제1발열 소자들의 출력 전력보다 큰,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irst heating elements are disposed on the front part of the main board, and second heating elements are disposed on the front part of the sub board,
The output power of the second heating elements is greater than the output power of the first heating elements,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발열 소자들은 Rx 소자(LNA)이고, 상기 제2발열 소자들은 Tx 소자(PA 및 DA)인,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heating elements are Rx elements (LNA), and the second heating elements are Tx elements (PA and DA).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보드의 후면부 측에는 제3발열 소자들이 더 배치되는,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A third heating element is further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ard, the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3발열 소자들은, FPGA를 포함하는,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third heating elements, including an FPGA,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보드의 후면부 중 상기 서브 보드의 전면부와 겹치지 않는 후면부에는 디지털 반도체들이 실장 배치되고,
상기 메인 보드의 디지털 반도체들로부터 발생한 열은 상기 서브 보드의 다수의 발열 소자들로부터 발생한 열과 함께 상기 서브 보드의 후면부 측으로 방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igital semiconductors are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ard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sub-board,
The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generated from the digital semiconductors of the main board is radiated to the rear side of the sub board together with the heat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heat generating elements of the sub boar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보드와 상기 서브 보드는, 에폭시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ard and the sub-board are made of an epoxy resin material, a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보드는, 복수의 송수신 채널을 갖는 복수의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보드는, 상기 복수의 섹션 각각에 대응되는 개수로 이루어진,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ard includes a plurality of sections having a plurality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channels,
The sub-board is composed of a number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ctions, a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브 보드는, 상기 발열 소자들의 발진을 방지하는 발진방지회로를 더 포함하는,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b-board further includes an oscillation prevention circuit for preventing oscillation of the heating element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서브 보드는, 적어도 2개의 레이어층을 가지는 다층 기판인,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sub-board is a multi-layer substrate having at least two layer layers, the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서브 보드의 전면에 해당하는 레이어층에는 상기 발열 소자들 중 일부로서 능동소자가 실장 배치되고,
상기 서브 보드의 후면에 해당하는 레이어층에는 상기 발열 소자들 중 나머지로서 수동소자가 배치되며,
상기 능동소자 및 수동소자로부터 발생한 열은 상기 서브 보드의 후면측으로 방열되는,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An active element as a part of the heating element is mounted on the layer layer corresponding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ub-board,
A passive element as the rest of the heating elements is disposed on the layer layer corresponding to the rear surface of the sub-board,
The heat generated from the active element and the passive element is radiated to the rear side of the sub-board, a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서브 보드의 후면에 해당하는 레이어층 중 상기 발열 소자들 사이에는 접지 패턴(GND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접지 패턴은 상기 메인 보드 및 상기 서브 보드가 설치되는 안테나 하우징부의 내부면과 접촉되어 상기 서브 보드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의 차폐 면적을 증가시키는,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A ground pattern (GND pattern) is formed between the heating elements among the layer layers corresponding to the rear surface of the sub-board,
The ground pattern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antenna housing in which the main board and the sub-board are installed to increase a shielding area of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from the sub-board.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서브 보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레이어층이 상기 메인 보드의 멀티 레이어층과 동일한 방식으로 접합 형성된,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In the sub-board, the at least two layer layers are bonded and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multi-layer layer of the main board, the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브 보드에는, 상기 발열 소자들로부터 발생한 열을 후방으로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열전달 브릿지 홀이 형성된,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heat transfer bridge hole for discharging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s to the rear is formed in the sub-board, the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브릿지 홀에는, 열전도성 재질이 충진되는,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heat transfer bridge hole is filled with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a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서브 보드는, 메탈 PCB인,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sub-board is a metal PCB, a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전방부에는 상기 메인 보드 및 상기 서브 보드가 설치되는 장착 공간이 구비되고, 후방부에는 상기 발열 소자들로부터 발생한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열하는 다수의 히트 싱크 핀이 일체로 형성된 안테나 하우징부; 를 더 포함하는,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antenna housing part having a mounting space in which the main board and the sub-board are installed in a front part, and a plurality of heat sink fins integrally formed with heat generated from the heating elements and radiating heat to the outside; Further comprising a, multiple input and output antenna device.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발열 소자들로부터 발생한 열은, 상기 서브 보드의 후면부 측으로 전달되어 상기 다수의 히트 싱크 핀을 통해 방열되도록 상기 서브 보드의 후면부와 상기 안테나 하우징부의 내부면은 표면 열 접촉되는,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rear surface of the sub boar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antenna housing are in surface thermal contact so that heat generated from the heating elements is transferr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ub board and radiated through the plurality of heat sink fins.
청구항 1에 있어서,
공진기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 보드의 전방부에 안착되는 다수의 필터; 및
상기 다수의 필터의 전방부에 적층되되, 상기 다수의 필터를 통해 소정의 전기적인 신호 라인을 구축하는 다수의 안테나 소자가 전면에 실장된 안테나 보드; 를 더 포함하는,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filter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resonator and seated on a front portion of the main board; and
an antenna board stacked on the front part of the plurality of filters, and on which a plurality of antenna elements for constructing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line through the plurality of filters are mounted on the front side; Further comprising a, multiple input and output antenna device.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필터의 후단부에는, 상기 전기적인 신호 라인과의 신호 간섭을 차폐하기 위한 크램쉘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
24. The method of claim 23,
A clamshell unit for shielding signal interference with the electrical signal line is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plurality of filters, the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보드의 전면에는, 상기 전기적인 신호 라인에 대응되는 송신 채널 및 수신 채널이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크램쉘부는, 상기 송신 채널 및 수신 채널의 영역이 공간상 구획되도록 차폐하는 송수신 구획 리브; 를 포함하는,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
25. The method of claim 24,
A plurality of transmission channels and reception channels corresponding to the electrical signal lines ar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ard,
The clamshell unit may include: a transmission/reception partitioning rib for shielding the transmission channel and a region of the reception channel to be spatially partitioned; Including, multiple input and output antenna device.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크램쉘부는, 상기 송신 채널 중 한 쌍으로 구비되어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송신 회로 패턴이 상호 공간상 구획되도록 차폐하는 송신부 구획 리브; 를 더 포함하는,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
26. The method of claim 25,
The clamshell unit may include: a transmission unit partitioning rib provided as a pair of the transmission channels to shield transmission circuit patter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space; Further comprising a, multiple input and output antenna device.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필터의 후단부에는, 상기 메인 보드 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크램쉘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고정 돌기가 상기 메인 보드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설정홈에 안착될 때, 상기 송수신 구획 리브 및 상기 송신부 구획 리브에 의하여 상기 송신 채널 및 수신 채널의 영역 및 상기 송신 회로 패턴을 완전 구획하는,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
27. The method of claim 26,
At least one position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main board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plurality of filters,
The clamshell unit may include, when the at least one positioning protrusion is seated in at least one positioning groove form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main board, the transmission channel and the reception channel by the transmission/reception partition rib and the transmission part partition rib A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that completely partitions the area of and the transmission circuit pattern.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필터의 후단부에는, 상기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메인보드측 RF 커넥터가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필터의 전단부에는, 상기 다수의 필터의 전단부에 적층된 안테나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안테나 보드측 RF 커넥터가 구비된,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
25. The method of claim 24,
A pair of main board-side RF connector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o the main board are provided at rear ends of the plurality of filters,
In the front end of the plurality of filters, a pair of antenna board-side RF connector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o the antenna board stacked on the front end of the plurality of filters are provided, a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KR1020210072088A 2020-06-05 2021-06-03 Multi input and multi output antenna apparatus KR1025348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574323A JP2023529340A (en) 2020-06-05 2021-06-04 Multiple input/output antenna device
CN202180040215.4A CN115836441A (en) 2020-06-05 2021-06-04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antenna device
EP21817076.9A EP4164054A1 (en) 2020-06-05 2021-06-04 Multi input and multi output antenna apparatus
PCT/KR2021/006986 WO2021246817A1 (en) 2020-06-05 2021-06-04 Multi input and multi output antenna apparatus
US18/074,597 US20230109083A1 (en) 2020-06-05 2022-12-05 Multi input and multi output antenna apparatus
KR1020230062492A KR102636233B1 (en) 2020-06-05 2023-05-15 Multi input and multi output antenna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68638 2020-06-05
KR1020200068638 2020-06-0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2492A Division KR102636233B1 (en) 2020-06-05 2023-05-15 Multi input and multi output antenna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698A true KR20210151698A (en) 2021-12-14
KR102534806B1 KR102534806B1 (en) 2023-05-26

Family

ID=78902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088A KR102534806B1 (en) 2020-06-05 2021-06-03 Multi input and multi output antenna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80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5048A1 (en) * 2022-11-04 2024-05-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assembly repairabilit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316086A1 (en) * 2017-04-26 2018-11-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assembly with modularized radios and interconnects
KR20180134076A (en) * 2017-06-08 2018-12-18 주식회사 만도 Assembly having a heat radating
KR20190118979A (en) * 2018-04-11 2019-10-2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Multi input and multi output antenna apparatus
KR20190126336A (en) * 2017-03-31 2019-11-1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Device containing an antenna assembly and antenna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6336A (en) * 2017-03-31 2019-11-1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Device containing an antenna assembly and antenna assembly
US20180316086A1 (en) * 2017-04-26 2018-11-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assembly with modularized radios and interconnects
KR20180134076A (en) * 2017-06-08 2018-12-18 주식회사 만도 Assembly having a heat radating
KR20190118979A (en) * 2018-04-11 2019-10-2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Multi input and multi output antenna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5048A1 (en) * 2022-11-04 2024-05-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assembly repaira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4806B1 (en) 202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3543B1 (en) Antenna apparatus
KR102233029B1 (en) Antenna apparatus
KR20230050296A (en) Rf module, rf module assembly for antenna and an antenna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534806B1 (en) Multi input and multi output antenna apparatus
KR102206660B1 (en) Multi input and multi output antenna apparatus
KR102613546B1 (en) Antenna apparatus
JP2023110097A (en) Multi-input and multi-output antenna apparatus
EP3909095B1 (en) Cooling in a waveguide arrangement
KR102636233B1 (en) Multi input and multi output antenna apparatus
KR102528198B1 (en) Antenna apparatus
KR102588385B1 (en) Antenna apparatus
KR102437332B1 (en) Antenna apparatus
KR102534805B1 (en) Antenna apparatus
EP4351292A1 (en) Signal shielding apparatus and antenna apparatus for including the same
KR20230123886A (en) Antenna apparatus
KR102519966B1 (en) Rf module, rf module assembly for antenna and an antenna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20159897A (en) Signal shielding apparatus and antenna apparatus for including the same
CN117561802A (en) Signal shielding device and antenna device compri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