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1696A - 투스 어댑터 - Google Patents

투스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1696A
KR20210151696A KR1020210070980A KR20210070980A KR20210151696A KR 20210151696 A KR20210151696 A KR 20210151696A KR 1020210070980 A KR1020210070980 A KR 1020210070980A KR 20210070980 A KR20210070980 A KR 20210070980A KR 20210151696 A KR20210151696 A KR 20210151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tooth adapter
adapter
nos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엽
박해지
임현준
윤희문
이청래
Original Assignee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filed Critical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Priority to PCT/KR2021/00697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246814A1/ko
Publication of KR20210151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16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02F9/2833Retaining means, e.g.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58Teeth characterised by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투스 포인트는, 건설기계의 작업장치에 투스 포인트를 결합하기 위한 투스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작업장치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전단에 형성되어 상기 투스 포인트와 결합되는 노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즈부는 옆에서 보았을 때,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전후 방향 축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상면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전후 방향 축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하면부; 상기 상면부와 상기 하면부를 연결하는 일측면부와 타측면부를 포함하는 측면부; 및 상기 노즈부의 전단에 형성되는 전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투스 어댑터{TOOTH ADAPTER}
본 발명은, 투스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건설기계에 사용되는 투스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기계의 일종인 굴착기는 토사나 암석을 채굴하기 위해 사용되는 토목 기계이다. 굴착기 차체의 전방부에는 토사나 암석을 채굴하여 일시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버켓(bucket)이 설치된다. 버켓은 토사나 암석 등의 굴착 대상과 우선적으로 접촉하므로 굴착 작업을 강화하고 직접적인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단부에 하나 이상의 투스 어댑터가 용접이나 볼트를 통해 결합되며, 마모부재인 투스 포인트가 투스 어댑터와 별도의 보유지지장치 또는 보유지지시스템을 통해 체결된다.
투스 어댑터는 투스 포인트를 지지하기 위해 돌출된 부분(노즈)을 가지며, 투스 포인트는 투스 어댑터의 돌출된 부분(노즈)를 덮으며 끼워진다. 투스 포인트와 투스 어댑터를 결속하기 위해 끼워진 상태에서 보유지지장치가 체결되며, 이를 통해 투스 포인트와 투스 어댑터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굴착시 투스 포인트와 투스 어댑터 사이에 응력이 발생하게 되며 발생 응력이 클 경우 이에 따라 투스 포인트와 투스 어댑터의 사용 수명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작업 시 투스 포인트와 투스 어댑터 사이에 발생되는 응력을 감소시킨 투스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투스 어댑터는, 건설기계의 작업장치에 투스 포인트를 결합하기 위한 투스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작업장치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전단에 형성되어 상기 투스 포인트와 결합되는 노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즈부는 옆에서 보았을 때,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전후 방향 축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상면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전후 방향 축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하면부; 상기 상면부와 상기 하면부를 연결하는 일측면부와 타측면부를 포함하는 측면부; 및 상기 노즈부의 전단에 형성되는 전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면부 및 상기 하면부는 상기 전후 방향 축에 대해 비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면부는, 상기 경사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전후 방향 축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되는 평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측면부 및 상기 타측면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는 상기 투스 포인트와 체결되기 위해 소정의 직경을 갖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구비되는 결합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 홈부는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측면부 및 상기 타측면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표면적을 증대시키는 제1 추가면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추가면은 폭 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추가면은 폭 방향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면부의 상측 모서리는 앞에서 보았을 때 중상부가 상방으로 볼록한 아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는, 상기 작업기의 전단의 상면과 결합되는 상부 레그; 상기 작업기의 전단의 하면과 결합되는 하부 레그; 및 상기 투스 포인트와 결합 시 상기 투스 포인트의 후단면이 안착되는 안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착면의 상하 방향의 일측에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는 옆에서 보았을 때,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면부의 상측 모서리의 좌우 방향 폭(L3)은 상기 전면부의 하측 모서리의 좌우 방향 폭(L2)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면부의 하측 모서리의 좌우 방향 폭(L2)은 상기 노즈부의 전후 방향 길이(L1)의 0.4배 내지 0.7배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투스 어댑터는, 투스 포인트와의 접촉면을 증대시켜서 작업시 투스 어댑터와 투스 포인트의 접촉면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작업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투스 어댑터와 투스 포인트의 접촉면에 발생하는 응력이 감소됨으로써 투스 어댑터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투스 어댑터가 투스 포인트와 결합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투스 어댑터가 버켓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투스 어댑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투스 어댑터를 옆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투스 어댑터를 앞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투스 어댑터의 형상에서 제어 인자를 표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건설기계(1)는 굴착기, 휠로더, 도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건설기계(1)가 굴착기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투스 어댑터(100)가 굴착기의 버켓(10)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휠로더, 도저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투스 어댑터(100)는 굴착기의 버켓(10)과 같은 작업장치에 투스 포인트(500)를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투스 포인트(500)가 투스 어댑터(100)를 통해 굴착기의 버켓(10)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토사나 암석 등의 굴착 대상에 대한 굴착 성능의 향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투스 포인트(500)는 굴착 대상과 직접 접촉하므로 굴착 작업 시간에 비례하여 필연적으로 마모되는 소모품이다. 따라서, 투스 포인트(500)는 일정시간 사용 후 교체되며, 교체를 위해 투스 포인트(500)는 투스 어댑터(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투스 포인트(500)는 다양한 방법으로 투스 어댑터(10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작업시 투스 포인트(500)와 투스 어댑터(100)의 접촉면 사이에는 유격이 발생하게 된다.
투스 어댑터(100)와 투스 포인트(5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작업 시에 투스 포인트(500)에 작용하는 상,하 방향의 수직 하중 내지는 수평 하중에 의해, 투스 포인트(500)와 직접 접촉되는 투스 어댑터(100)의 노즈부(110)에도 상당한 하중이 작용하고, 이에 따라 노즈부(110)의 표면에 마모가 진행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작업에 의한 하중에 의해 노즈부(110)에 발생하는 응력을 최소화하여 사용 수명이 향상된 투스 어댑터(100)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투스 어댑터(1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투스 어댑터가 투스 포인트와 결합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투스 어댑터가 버켓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투스 어댑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투스 어댑터를 옆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투스 어댑터를 앞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투스 어댑터의 형상에서 제어 인자를 표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과 같이 버켓(10)의 바닥판(11)이 지면과 대면되도록 배치되는 상태에서, 지면을 향하는 방향을 '하방' 또는 '하측'으로 설명하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상방' 또는 '상측'으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버켓(10)의 양측판(15)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측방으로 설명할 수 있고, 좌우 방향으로 설명할 수도 있다. 투스 어댑터(100)가 버켓(10)과 결합된 상태에서 버켓(10)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 그리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투스 어댑터(100)는 굴착기의 버켓(10)에 투스 포인트(500)를 결합하기 위해 구비되며, 결합부(180) 및 노즈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노즈부(110)는 투스 포인트(500)와 결합 시 투스 포인트(500)의 개구부의 내측으로 수용되어 결합되는 부분으로 전면부(111), 상면부(113), 하면부(117) 및 측면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전면부(111)는 노즈부(110)의 전단을 이루는 표면으로, 도 4와 같이 전후 방향 축(CL)과 대체로 수직한 평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전면부(111)의 각 모서리로부터 상면부(113), 측면부(115) 및 하면부(117)가 각각 후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전면부(111)는 대체로 상하 방향보다 좌우 방향의 폭이 더 큰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면부(111)의 상측 모서리(111a)의 좌우 방향 폭(L3)은 하측 모서리(111b)의 좌우방향 폭(L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앞쪽에서 바라보았을 때 대체로 윗 변에 소정의 곡률이 적용된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면부(111)의 상측 모서리(111a)는 앞에서 보았을 때 중앙부가 위쪽으로 볼록한 아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윗변에 아치 형상이 적용된 사다리꼴 형상의 전면부(111) 형상으로 인해 투스 포인트(500)의 소켓의 전단면과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전면부(111)의 상측 모서리(111a)가 소정의 곡률을 갖고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전면부(111)의 상측 모서리(111a)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면부(113) 역시 좌우 방향으로 곡률을 갖게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면부(113)에 발생하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면부(111)의 하측 모서리(111b)의 좌우방향 폭(L2)이 작아질수록 노즈부(110)의 후방 상면부(113)에 작용하는 응력이 작아질 수 있으나, 너무 작게 형성되면 투스 포인트(500)의 소켓의 전단면과의 접촉면적이 감소하여 접촉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고 노즈부(110)의 전방 상면부(113)의 측면 하중에 의한 응력이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노즈부(110)의 전면부(111)의 하측 모서리(111b)의 좌우 방향 폭(L2)은 노즈부(110)의 전후 방향 길이(L1)의 0.40배 내지 0.70배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0.5배 내지 0.6배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노즈부(110)의 상면부(113) 및 하면부(11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 축(CL)을 기준으로 비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상면부(113)는 도 4와 같이 전후 방향 축(CL)보다 위쪽에 형성되는 노즈부(110)의 상부 표면을 의미할 수 있다. 상면부(113)는 평행부(113a)와 경사부(113b)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평행부(113a)는 상면부(113) 중에서 전면부(111)와 인접한 영역으로,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전후 방향 축(CL)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평행부(113a)는 경사부(113b)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평행부(113a)가 전후 방향 축(CL)과 평행하게 형성됨으로써 상측에서 가해지는 수직 하중에 대해 힘의 지지점이 최대한 노즈부(110)의 앞쪽에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경사부(113b)는 상면부(113) 중에서 상술한 평행부(113a)의 후방에 배치되는 영역으로,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전후 방향 축(CL)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113b)는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113b)는 옆에서 보았을 때 소정의 곡률로 위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경사부(113b)가 굴곡지게 형성됨으로써 투스 포인트(500)의 소켓의 내주면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어서 작업에 의해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면부(113)는 전면부(111)의 아치 형상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전면부(111)의 상측 모서리 형상과 같이 앞에서 보았을 때 중앙부가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투스 포인트(500)의 소켓의 내주면과의 접촉면적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면부(113)를 전후 방향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함으로써 투스 포인트(500)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서 응력 분산 효과와 함께 작업 시 투스 포인트(5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하면부(117)는 도 1과 같이 전후 방향 축(CL)보다 아래쪽에 형성되는 노즈부(110)의 하부 표면을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상면부(113)와는 달리 본 발명에서 하면부(117)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전후 방향 축(CL)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부 방향 축을 기준으로 상면부(113)와 하면부(117)가 비 대칭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하면부(117)는 평평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평면 형상을 통해 하측에서 가해지는 수직 하중에 대해 힘의 지지점이 최대한 노즈부(110)의 앞쪽에 위치하도록 넓은 면적으로 안정적인면접촉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단면을 보면 상면은 곡선이 적용되었지만 하면은 직선이 적용된 비대칭 형상을 적용하여 기하학적 측면에서 투스포인트와 투스어댑터가 작업시 뒤틀리는 체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측면부(115)는 상면부(113)와 하면부(117) 사이에서 전면부(11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측면부(115)는 노즈부(110)의 좌우 방향 어느 일측면을 형성하는 일측면부(115a)와 이와 반대되는 타측면을 형성하는 타측면부(115b)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면부(115a)와 타측면부(115b) 사이의 좌우 방향 간격은 위쪽이 좁고 아래쪽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전면부(111)가 상측 모서리의 좌우 방향 간격이 하측 모서리의 좌우 방향 간격보다 작은 대체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전면부(111)로부터 연장되는 측면부(115)는 자연스럽게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굴곡으로 인해 수직 하중 또는 측면 하중이 가해지는 조건 하에서, 투스 포인트(500)의 소켓과 노즈부(110)의 양 측면부(115)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어서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양 측면부(115)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발산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양측면부(115)의 면적은 더욱 넓어지게 되고, 작업 시 투스 포인트(5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일측면부(115a) 및 타측면부(115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는 상기 투스 포인트(500)와 체결되기 위해 소정의 직경을 갖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구비되는 결합 홈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 홈부(140)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결합 홈부(140)의 직경은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결합 홈부(140)에는 대응되는 형상의 지지장치(400)가 삽입됨으로써 다양한 방식으로 투스 포인트(500)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함 홈부는 측면부(115)에서 후술하는 안착면(185)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결합 홈부(140)의 중심이 노즈부(110)의 전면부(111)로부터 멀어지면 투스 어댑터(100)에 작용하는 최대 응력이 증가하고, 결합 홈부(140)의 중심이 전면부(111)에 너무 가까워지면 결합 홈부(140)에 작용하는 응력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결합 홈부(140)는 전면부(111)로부터 노즈부(110)의 하면부(117)의 전후 방향 길이(L)의 0.60배 내지 0.80배가 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일측면부(115a) 및 상기 타측면부(115b) 중 적어도 하나에는 표면적을 증대시키는 제1 추가면(15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추가면(150)은 측면부(115)의 다른 영역과 폭 방향 깊이가 다르게 형성됨으로써 측면부(115)의 표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제1 추가면(150)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추가면(150)은 폭 방향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추가면(150)은 폭 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추가면(150)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상술한 결합 홈부(140)와 연통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측면부(115)의 표면에 제1 추가면(150)을 형성함으로써 투스 포인트(500)의 소켓 내주면과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투스 어댑터(100)는 버켓(10)의 전단부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80)는 상술한 노즈부(110)의 후단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80)는 버켓(10)의 전단부 상면과 결합되는 상부 레그(181), 버켓(10)의 전단부 하면과 결합되는 하부 레그(1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레그(181) 및 하부 레그(182)는 각각 노즈부(110)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하부 레그(182)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축을 상술한 전후 방향 축(CL)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결합부(180)는 투스 포인트(500)와 결합 시 투스 포인트(500)의 후단면이 안착되는 안착면(185)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안착면(185)의 상하 방향 일측에는 단턱부(19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턱부(190)는 투스 포인트(500)와의 결합 시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는 제2 추가면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턱부(190)는 옆에서 보았을 때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투스 포인트(500)의 후단면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는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투스 어댑터(100)를 통해 투스 포인트(500)가 버켓(10)의 전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투스 포인트(500)는 효율적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투스 포인트(500)의 후단에는 상술한 노즈부(1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소켓이 구비될 수 있고, 노즈부(110)가 소켓의 내측으로 수용된 상태에서 양자가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노즈부(110)의 측면부(115)에 형성되는 결합 홈부(140)에 지지장치(400)가 삽입되면서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투스 포인트(500)와 투스 어댑터(100)를 결합시키기 위해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결합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투스 어댑터(100)의 노즈부(110)가 투스 포인트(500)와의 결합 시 접촉면적이 최대화되도록 함으로써, 작업 시 투스 어댑터(100)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노즈부(110)의 상면부(113)와 하면부(117)가 비 대칭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면부(113)를 평행부(113a)와 경사부(113b)로 구분함으로써 하중에 대한 내부 응력이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노즈부(110)의 내마모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고, 투스 어댑터(100)의 마모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 전후 방향 축
L1: 노즈부의 전후 방향 길이
L2: 전면부의 하측 모서리의 좌우 방향 폭
L3: 전면부의 상측 모서리의 좌우 방향 폭
10: 버켓
11: 바닥판
15: 측판
100: 투스 어댑터
110: 노즈부
111: 전면부
111a: 상측 모서리
111b: 하측 모서리
113: 상면부
113a: 평행부
113b: 경사부
115: 측면부
117: 하면부
140: 결합 홈부
150: 제1 추가면
180: 결합부
181: 상부 레그
182: 하부 레그
185: 안착면
190: 단턱부
400: 지지장치
500: 투스 포인트

Claims (13)

  1. 건설기계의 작업장치에 투스 포인트를 결합하기 위한 투스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작업장치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전단에 형성되어 상기 투스 포인트와 결합되는 노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즈부는 옆에서 보았을 때,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전후 방향 축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상면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전후 방향 축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하면부;
    상기 상면부와 상기 하면부를 연결하는 일측면부와 타측면부를 포함하는 측면부; 및
    상기 노즈부의 전단에 형성되는 전면부를 포함하는 투스 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 및 상기 하면부는 상기 전후 방향 축에 대해 비 대칭되게 형성되는 투스 어댑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는, 상기 경사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전후 방향 축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되는 평행부를 포함하는 투스 어댑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면부 및 상기 타측면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는 상기 투스 포인트와 체결되기 위해 소정의 직경을 갖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구비되는 결합 홈부가 형성되는 투스 어댑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홈부는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투스 어댑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면부 및 상기 타측면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표면적을 증대시키는 제1 추가면이 형성되는 투스 어댑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가면은 폭 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투스 어댑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가면은 폭 방향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투스 어댑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의 상측 모서리는 앞에서 보았을 때 중상부가 상방으로 볼록한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는 투스 어댑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작업기의 전단의 상면과 결합되는 상부 레그;
    상기 작업기의 전단의 하면과 결합되는 하부 레그; 및
    상기 투스 포인트와 결합 시 상기 투스 포인트의 후단면이 안착되는 안착면을 포함하는 투스 어댑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의 상하 방향의 일측에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는 옆에서 보았을 때,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투스 어댑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의 상측 모서리의 좌우 방향 폭(L3)은 상기 전면부의 하측 모서리의 좌우 방향 폭(L2) 보다 작게 형성되는 투스 어댑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의 하측 모서리의 좌우 방향 폭(L2)은 상기 노즈부의 전후 방향 길이(L1)의 0.4배 내지 0.7배의 범위로 형성되는 투스 어댑터.

KR1020210070980A 2020-06-05 2021-06-01 투스 어댑터 KR202101516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06974 WO2021246814A1 (ko) 2020-06-05 2021-06-03 투스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68173 2020-06-05
KR1020200068173 2020-06-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696A true KR20210151696A (ko) 2021-12-14

Family

ID=78902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980A KR20210151696A (ko) 2020-06-05 2021-06-01 투스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169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70271A1 (en) Lip for excavating bucket
US8191291B2 (en) Wear member for excavating equipment
JP5468653B2 (ja) 摩耗アセンブリ
US3982339A (en) Reversible slide-on digger tooth with easy removal arrangement
AU2006284993B2 (en) Wear assembly for excavating machines
US3919792A (en) Excavating tooth assembly
KR20120095939A (ko) 굴착 장비용 마모 조립체
CA2915638C (en) Male and female parts for a wear assembly of an earth-moving machine's bucket
AU2014392255A1 (en) Tooth and adaptor for attachment of the tooth to a working machine
US3812608A (en) Dipper bucket corner member with integral shroud
KR20210151696A (ko) 투스 어댑터
US11613874B2 (en) Implement tip assembly having tip with wear indicator
US2990633A (en) Dipper teeth
WO2021246814A1 (ko) 투스 어댑터
JPS624492B2 (ko)
CN213653591U (zh) 一种高效破土斗齿
US20240018754A1 (en) Wear assembly
CN211228690U (zh) 松土器斗齿
US20150033593A1 (en) Adapter with concealment portion at bucket tip end and bucket mounted on working machine for excavation and the like
KR20230003934A (ko) 굴삭기용 투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