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1500A - 마스크 장치 - Google Patents

마스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1500A
KR20210151500A KR1020200068400A KR20200068400A KR20210151500A KR 20210151500 A KR20210151500 A KR 20210151500A KR 1020200068400 A KR1020200068400 A KR 1020200068400A KR 20200068400 A KR20200068400 A KR 20200068400A KR 20210151500 A KR20210151500 A KR 20210151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body
fan
air
fan module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4579B1 (ko
Inventor
최치영
김호중
이건왕
김태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8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579B1/ko
Priority to CN202011328031.1A priority patent/CN113749327A/zh
Priority to US17/121,056 priority patent/US20210379415A1/en
Priority to EP20217535.2A priority patent/EP3919130A1/en
Publication of KR20210151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1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6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with pumps for forced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3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having means for creating a fresh air curtai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0Respiratory apparatus with filt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2Respiratory apparatus with fresh-air ho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4Couplings; Supporting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04D29/64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장치는,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되며, 상기 사용자의 얼굴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 덕트부가 구비되는 마스크 몸체; 상기 마스크 몸체에 장착되며, 상기 에어 덕트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팬 모듈; 및 상기 마스크 몸체와 상기 팬 모듈을 커버하며, 상기 팬 모듈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흡입구가 구비되는 마스크 몸체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 몸체에는, 상기 에어 덕트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팬 모듈의 타단부가 상기 에어 덕트부에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팬 모듈의 일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결합부가 구비되는 팬 모듈 장착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스크 장치 {MASK APPARATUS}
본 발명은 마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Mask)는 병균, 먼지 등의 흡입 및 비산을 막기 위해 사용자의 코와 입을 가리는 장치이다. 마스크는 사용자의 코와 입을 가리기 위해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된다. 마스크는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병균, 먼지 등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공기가 사용자의 입과 코로 유입되도록 한다. 공기와 공기에 포함된 병균, 먼지 등은 필터로 형성되는 마스크의 몸체를 통과하고, 병균, 먼지 등은 마스크의 몸체에 의해 필터링된다. 그러나, 공기가 마스크의 몸체를 통과 후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 유입되거나, 마스크의 몸체를 통과 후 외부로 유출되기에 사용자의 호흡이 원활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된다. 최근에는 상기에서 언급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모터, 팬, 필터가 구비되는 마스크가 개발되고 있다.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1076호에는 “기능성 마스크”가 개시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기능성 마스크에는 필터와, 송풍팬이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송풍팬을 마스크에 고정하기 위해 전면 골격과 후면 골격 사이에 상기 송풍팬을 삽입 후 전면 골격 과 후면 골격을 결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송풍팬을 유지 보수하기 위해서는 전면 골격과 후면 골격을 분리해야만 상기 송풍팬이 기능성 마스크로부터 분리되기에, 기능성 마스크의 조립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송풍팬을 전면 골격 및 후면 골격에 결합 시, 상기 송풍팬이 움직일 경우에 전면 골격과 후면 골격이 제대로 결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면 골격과 후면 골격 사이에 위치하는 송풍팬이 제대로 고정되지 않을 시 상기 송풍팬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전면 골격과 후면 골격을 통해 기능성 마스크로 전달되기에, 상기 기능성 마스크에서 진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팬 모듈의 조립 시간이 단축되는 마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팬 모듈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소시키는 마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팬 모듈이 단단히 고정될 수 있는 마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크 몸체에 구비되는 에어 덕트의 일측에 팬 모듈을 장착하기 위한 팬 모듈 장착부를 포함하여, 상기 팬 모듈을 상기 마스크 몸체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 몸체와 상기 팬 모듈은 마스크 몸체 커버에 의해 커버되기에, 상기 팬 모듈은 상기 마스크 몸체와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의 사이에 보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 모듈은 상기 에어 덕트부에 일단부가 삽입되기에, 상기 팬 모듈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에어 덕트부로 공급되며, 상기 팬 모듈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 모듈 장착부는 상기 팬 모듈의 양측을 지지하여, 상기 팬 모듈이 양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 모듈 장착부는, 상기 팬 모듈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팬 모듈 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에어 덕트부에 일단부가 삽입된 팬 모듈을 상기 마스크 몸체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 모듈의 팬 하우징과 마스크 몸체 커버의 필터 장착부의 사이에 밀봉재를 제공하여, 상기 팬 모듈이 상기 마스크 몸체에 밀착되도록 하고, 외부 공기가 상기 팬 모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 모듈 장착부는, 복수의 고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팬 모듈을 상기 복수의 고정부의 사이에 장착하여 양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덕트부는, 상기 팬 모듈 삽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해 공기의 유동 방향과 공기의 유동 특성을 조절하는 곡면부와 요철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공기를 풍부하게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마스크 장치에 팬 모듈을 장착하기 위한 조립 시간이 감소되고, 조립 방법이 간편해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팬 모듈이 장착된 마스크 몸체와 마스크 몸체 커버를 결합 시 팬 모듈이 밀봉재에 의해 마스크 몸체에 밀착되도록 하여 팬 모듈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팬 모듈이 복수의 고정 리브 사이에서 이동하기에 팬 모듈의 일측이 에어 덕트부의 팬 모듈 삽입구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팬 모듈의 일측이 에어 덕트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팬 모듈의 타측과 상기 팬 모듈 결합부가 체결이 용이하도록 정렬되기에 체결 작업이 편해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마스크 장치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좌측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우측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를 작동 시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전방 분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몸체의 전방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몸체 커버의 후방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몸체에 팬 모듈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몸체로부터 팬 모듈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1의 13”-13”를 절단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좌측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우측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1)는 마스크 몸체(10)와,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결합되는 마스크 몸체 커버(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와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와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를 결합하면, 상기 마스크 몸체(10)와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사이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간에는 상기 마스크 장치(1)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간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과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배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상기 마스크 장치(1)의 배면을 형성하고,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는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1)의 후방은 사용자의 얼굴과 마주하는 마스크 장치(1)의 배면이 위치하는 방향을 정의하며,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전방은 외부로 노출되는 마스크 장치의 전면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상기 후방의 반대 방향으로 정의한다.
상기 마스크 장치(1)는 실링 브라켓(30)과 실링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 브라켓(30)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배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브라켓(30)은 상기 실링부(40)를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배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실링 브라켓(30)을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배면으로부터 분리 시 상기 실링부(4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0)는 상기 실링 브라켓(30)에 의해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배면에 지지되며, 상기 실링부(40)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사이에 호흡을 위한 호흡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0)는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며, 사용자의 코와 입을 감싸서 외부 공기가 상기 흡입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에는 제1필터 장착부(21)와 제2필터 장착부(2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 장착부(21)는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우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필터 장착부(21)는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의 얼굴에 장착된 마스크 장치(1)를 기준으로, 좌측 방향(좌측)과 우측 방향(우측)을 정의한다. 또한, 사용자의 얼굴에 장착된 마스크 장치(1)를 기준으로, 상측 방향(상방)과 하측 방향(하방)을 정의한다.
상기 제1필터 장착부(21)에는 제1필터 커버(25)가 장착되고, 상기 제2필터 장착부(22)에는 제2필터 커버(26)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 장착부(21)와 상기 제2필터 장착부(22)의 내측에는 필터가 배치되며, 상기 제1필터 커버(25)와 상기 제2필터 커버(26)는 상기 필터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 커버(25)와 상기 제2필터 커버(26)는 상기 제1필터 장착부(21)와 상기 제2필터 장착부(2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필터 커버(25)와 상기 제2필터 커버(26)는 상기 제1필터 장착부(21)와 상기 제2필터 장착부(22)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 커버(25)에는 제1공기 유입구(2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 커버(26)에는 제2공기 유입구(26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 유입구(251) 및 상기 제2공기 유입구(261)는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 장착부(21)에 상기 제1필터 커버(25)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공기 유입구(251)는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 장착부(22)에 상기 제2필터 커버(26)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공기 유입구(261)는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 유입구(251) 및 상기 제2공기 유입구(261)는 상기 제1필터 커버(25) 및 상기 제2필터 커버(26)의 상면 및 측면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커버(25,26)를 기준으로, 상기 필터 장착부(21,22)를 마주하는 면을 저면으로 정의하고,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는 면을 상면으로 정의하고, 상기 저면과 상기 상면을 연결하는 면을 측면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1공기 유입구(251) 및 상기 제2공기 유입구(261)가 상기 필터 커버(25,26)의 측면에 제공될 경우에, 상기 필터 커버(25,26)의 측면 하부는 상기 필터 장착부(21,22)에 지지되며, 상기 필터 커버(25,26)의 측면 상부에 상기 제1공기 유입구(251) 및 상기 제2공기 유입구(26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공기 유입구(251)는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상방을 향하는 제1필터 커버(25)의 측면에 제공되는 제1공기 유입구(251a),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전방을 향하는 제1필터 커버(25)의 측면에 제공되는 제1공기 유입구(251b), 상기 마스크 장치(1)의 하방을 향하는 제1필터 커버(25)의 측면에 제공되는 제1공기 유입구(251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 유입구(261)는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상방을 향하는 제2필터 커버(26)의 측면에 제공되는 제2공기 유입구(261a),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전방을 향하는 제2필터 커버(26)의 측면에 제공되는 제2공기 유입구(261b), 상기 마스크 장치(1)의 하방을 향하는 제2필터 커버(26)의 측면에 제공되는 제2공기 유입구(261c)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필터 커버(25) 및 상기 제2필터 커버(26)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195)를 설치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95)는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전원을 온/오프 하는 조작 스위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95)는 상기 필터 커버(25,26)의 개구를 통해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걸이 장착부(10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이 장착부(108)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좌측과 우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우측에 제공되는 걸이 장착부를 제1걸이 장착부(108a)라 정의하고,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좌측에 제공되는 걸이 장착부를 제2걸이 장착부(108b)라 정의한다. 상기 제1걸이 장착부(108a)와 상기 제2걸이 장착부(108b)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 장착부(108a)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우측 상방 및 우측 하방에 제공되고, 상기 제2걸이 장착부(108b)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좌측 상방 및 좌측 하방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걸이 장착부(108)에는 사용자의 얼굴에 상기 마스크 장치(1)를 착용하기 위한 끈 또는 줄 등이 장착될 수 있다. 끈 또는 줄 등은 상기 제1걸이 장착부(108a)와 상기 제2걸이 장착부(108b)를 연결하거나,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제1걸이 장착부(108a)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제2걸이 장착부(108b) 각각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걸이 장착부(108)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렇기에, 상기 걸이 장착부(108)를 통해서 상기 마스크 몸체(10)와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도 있다. 상기 걸이 장착부(108)를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마스크 장치(1)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전자 부품들을 공기 냉각할 수 있다. 상기 걸이 장착부(108)를 통해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걸이 장착부(108)를 통해 다시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며, 상기 외부 공기가 상기 호흡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마스크 장치(1)의 내부는 밀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호흡 공간으로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공기 토출구(12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토출구(129)로부터 상기 호흡 공간으로 공급되는 여과된 공기를 사용자가 들이마시며 호흡할 수 있다. 상기 공기 토출구(129)는 상기 제1공기 유입구(251)로 유입되어 여과된 공기를 상기 흡입 공간으로 토출하는 제1공기 토출구(129a)와, 상기 제2공기 유입구(261)로 유입되어 여과된 공기를 상기 흡입 공간으로 토출하는 제2공기 토출구(129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 토출구(129a)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공기 토출구(129b)는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 유입구(251)로 유입된 공기는 필터를 통과한 후 상기 제1공기 토출구(129a)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 유입구(261)로 유입된 공기는 필터를 통과한 후 상기 제2공기 유입구(261)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사용자가 내쉬는 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 유출구(154,1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출구(154,155)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출구(154,155)는 상기 마스크 몸체(10)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제1공기 유출구(154)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2공기 유출구(1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와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사이에는 상기 제1공기 유출구(154)를 통과하여 상기 제2공기 유출구(155)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유동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 유출구(154) 및 상기 제2공기 유출구(155) 중 하나 이상에는 체크 밸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에 의해 외부 공기가 상기 호흡 공간으로 역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제1공기 유출구(154)와 상기 제2공기 유출구(155)를 연결하는 유동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센서 장착부(10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장착부(109)에는 상기 호흡 공간으로부터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장착부(109)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호흡 시 상기 호흡 공간의 압력 변화가 일정하게 감지될 수 있는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센서 장착부(109)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커넥터 홀(1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홀(135)은 상기 마스크 장치(1)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192)가 설치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홀(135)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조작부(195)와 상기 커넥터(192)는 후술할 전원 모듈(19)에 연결되어 있기에, 상기 커넥터 홀(135)은 상기 전원 모듈(19)이 설치되는 위치에 해당되는 마스크 몸체(10)의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마스크 장치(1)의 구성들을 분해 사시도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장치(1)는 마스크 몸체(10)와, 마스크 몸체 커버(20)와, 실링 브라켓(30)과, 실링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와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가 서로 결합되어 상기 마스크 장치(1)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와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사이에는 상기 마스크 장치(1)를 작동하기 위한 구성들이 수용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브라켓(30)과 상기 실링부(4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배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얼굴과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사이에 호흡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호흡 공간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커버 결합홈(1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결합홈(101)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결합홈(101)은 단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결합홈(101)은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가장자리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결합홈(101)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 일부가 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커버 결합홈(101)을 향해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를 이동시켜서 상기 커버 결합홈(101)에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를 삽입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제1커버 결합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 결합부(102)에는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상부가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 결합부(102)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 결합부(102)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커버 결합부(102)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에 후크가 결합되는 후크 걸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에는 상기 제1커버 결합부(102)에 결합되는 후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 결합부(102)는 다수로 제공되며, 상기 후크도 상기 제1커버 결합부(102)에 대응되게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커버 결합부(102)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 결합부(102)는 상측 커버 결합부라 칭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제1브라켓 결합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 결합부(103)는 상기 실링 브라켓(30)의 상부가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 결합부(103)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 결합부(103)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브라켓 결합부(103)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브라켓(30)에는 상기 제1브라켓 결합부(103)에 결합되는 제1몸체 결합부(30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 결합부(103)는 다수로 제공되며, 상기 제1몸체 결합부(304)도 상기 제1브라켓 결합부(103)에 대응되게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브라켓 결합부(103)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 결합부(103)는 상측 브라켓 결합부라 칭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지지 리브(1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리브(104)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리브(104)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와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를 결합 시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와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는 상기 지지 리브(104)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외력에 저항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리브(104)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에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제2커버 결합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 결합부(106)에는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하부가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 결합부(106)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 결합부(106)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커버 결합부(106)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에 후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에는 상기 제2커버 결합부(106)에 결합되는 후크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 결합부(106)는 다수로 제공되며, 상기 후크 걸림부도 상기 제2커버 결합부(106)에 대응되게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커버 결합부(102)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 결합부(106)는 하측 커버 결합부라 칭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상기 제2브라켓 결합부(10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 결합부(107)는 상기 실링 브라켓(30)의 하부가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 결합부(107)는 상기 마스크 몸체(10)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 결합부(107)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브라켓 결합부(107)는 상기 마스크 몸체(10)가 개구되는 관통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브라켓(30)에는 상기 제2브라켓 결합부(107)에 결합되는 제2몸체 결합부(30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 결합부(107)는 다수로 제공되며, 상기 제2몸체 결합부(305)도 상기 제2브라켓 결합부(107)에 대응되게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브라켓 결합부(107)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 결합부(107)는 하측 브라켓 결합부라 칭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센서 장착부(10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장착부(109)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장착부(109)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내부에 센서가 설치되는 설치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에는 상기 설치 공간과 상기 호흡 공간을 연통하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 공간에 배치된 센서는 상기 홀을 통해 상기 설치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상기 호흡 공간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센서는 압력 센서로 제공되며, 상기 호흡 공간의 압력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팬 모듈 장착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 장착부(110)는 제1팬 모듈(16)이 장착되는 제1팬 모듈 장착부(110a)와 제2팬 모듈(17)이 장착되는 제2팬 모듈 장착부(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팬 모듈 장착부(110a) 및 상기 제2팬 모듈 장착부(110b)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팬 모듈 장착부(110a)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팬 모듈 장착부(110b)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팬 모듈(16) 및 상기 제2팬 모듈(17)은 상기 제1팬 모듈 장착부(110a) 및 상기 제2팬 모듈 장착부(110b)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에어 덕트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 덕트부(12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덕트부(120)의 내부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덕트부(120)는 상기 제1팬 모듈 장착부(110a)에 연결되는 제1에어 덕트부(120a)와, 상기 제2팬 모듈 장착부(110b)에 연결되는 제2에어 덕트부(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 덕트부(120a)와 상기 제2에어 덕트부(120b)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중심을 향하는 제1팬 모듈 장착부(110a)의 일측 및 제2팬 모듈 장착부(110b)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 덕트부(120a)와 상기 제2에어 덕트부(120b)는 상기 제1팬 모듈 장착부(110a)와 상기 제2팬 모듈 장착부(110b)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에어 덕트부(120)의 일단부는 상기 팬 모듈(16,17)과 연통되어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에어 덕트부(120)의 타단부는 상기 공기 토출구(129)와 연통되어 유입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덕트부(120)에는 제어 모듈(18)을 장착하기 위한 제어 모듈 장착부(128)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덕트부(120)의 일부가 상기 제어 모듈(18)이 안착될 수 있는 평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평면을 상기 제어 모듈 장착부(128)로 정의한다. 상기 제어 모듈 장착부(128)는 상기 제1에어 덕트부(120a)에 제공되는 제1제어 모듈 장착부(128a)와 상기 제2에어 덕트부(120b)에 제공되는 제2제어 모듈 장착부(128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 모듈 장착부(128a)와 상기 제2제어 모듈 장착부(128b)에는 하나의 제어 모듈(18)이 고정되거나, 복수의 제어 모듈이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전원 모듈(19)을 장착하기 위한 전원 모듈 장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모듈 장착부(13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 모듈 장착부(13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좌측과 우측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원 모듈 장착부(130)는 상기 제어 모듈 장착부(128)의 측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모듈 장착부(130)는 상기 제어 모듈 장착부(128)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하나의 단부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원 모듈 장착부(130)가 제공되는 마스크 몸체(10)의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상기 커넥터 홀(135)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배터리를 장착하기 위한 배터리 장착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장착부(14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장착부(14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배터리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 장착부(14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복수의 가이드 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가이드 리브의 일부는 서로를 마주하는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면, 상기 복수의 가이드 리브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 사이에 상기 배터리가 수용되는 배터리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배터리 장착부(140)의 배터리 수용 공간에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장착부(140)에 삽입된 배터리의 하부는 후술할 공기 배출부(15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공기 배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부(15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부(150)는 상기 제1공기 유출구(154)로부터 상기 제2공기 유출구(155)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가 통과하는 유동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부(15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와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를 결합 시 상기 공기 배출부(150)는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에 접촉되며,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내부 공간과 상기 유동 공간이 구분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 배출부(150)는 유동 공간을 정의하는 상면, 저면, 양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부(150)의 전면은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공기 배출부(150)의 배면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의해 정의된다. 상기 공기 배출부(150)의 상면에는 상기 배터리가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부(150)의 저면은 개구되며, 상기 제2공기 유출구(15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부(150)의 저면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저면과 연결되며,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저면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이 상기 공기 배출부(150)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보강 리브의 일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저면에는 상기 커버 결합홈(101)이 형성되며, 상기 마스크 몸체(10)와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하측 단부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부(150)의 배면은 개구되며, 상기 제1공기 유출구(1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부(150)의 양측면은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는 필터 장착부(2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장착부(21,22)는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전면이 배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함몰되어 형성된 필터 장착부(21,22)의 내측에는 필터(23,24)가 수용되며, 상기 필터(23,24)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장착부(21,22)에 필터 커버(25,26)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장착부(21,22)의 저면에는 공기 흡입구(211,2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흡입구(211,221)는 후술할 팬 모듈(16,17)의 팬 흡입구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흡입구(211,221)는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필터 장착부(21,22)의 측면에는 상기 필터 커버(25,26)를 고정하기 위한 필터 커버 장착홈(212,2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커버(25,26)에는 상기 필터 커버 장착홈(212,222)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장착부(21,22)의 상면은 개구되어, 상기 필터(23,24) 및 상기 필터 커버(25,26)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장착부(21,22)는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전면을 상면으로,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배면을 저면으로, 상기 상면과 상기 저면을 연결하는 면을 측면으로 정의한다.
상기 필터 장착부(21,22)의 저면은 후술할 팬 모듈(16,17)의 팬 흡입구와 밀착하게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장착부(21,22)와 상기 팬 모듈(16,17)의 사이에는 밀봉을 위한 밀봉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밀봉재는 상기 공기 흡입구(211,221)와 상기 팬 모듈(16,17)의 팬 흡입구를 감싸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밀봉재는 상기 필터 장착부(21,22)에 고정되며, 상기 마스크 몸체(10)와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를 결합 시, 상기 필터 장착부(21,22)와 상기 밀봉재가 상기 팬 모듈(16,17)을 가압하여, 상기 팬 모듈(16,17)이 상기 팬 모듈 장착부(110)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팬 모듈(16,17)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진동에 의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필터 장착부(25,26)는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우측에 제공되는 제1필터 장착부(21)와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좌측에 제공되는 제2필터 장착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 장착부(21)에 형성되는 공기 흡입구를 제1공기 흡입구(211)라 정의하고, 상기 제2필터 장착부(22)에 형성되는 공기 흡입구를 제2공기 흡입구(221)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필터(23,24)는 상기 제1필터 장착부(21)의 내측에 수용되는 제1필터(23)와 상기 제2필터 장착부(22)의 내측에 수용되는 제2필터(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커버(25,26)는 상기 제1필터 장착부(21)에 장착되는 제1필터 커버(25)와 상기 제2필터 장착부(22)에 장착되는 제2필터 커버(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 커버(25)에는 다수의 제1공기 유입구(251)가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제2필터 커버(26)에는 다수의 제2공기 유입구(261)가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1)의 몸체 내부에는 팬 모듈(16,17)과, 제어 모듈(18)과, 전원 모듈(19)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16,17)과, 상기 제어 모듈(18)과, 상기 전원 모듈(19)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과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배면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18)은 제1전자 회로 부품이라 칭하고, 상기 전원 모듈(19)은 제2전자 회로 부품이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16,17)은 팬과 팬 모터, 및 상기 팬과 상기 팬 모터를 수용하는 팬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 하우징에는 상기 팬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팬 흡입구와 상기 팬에 의해 강제 유동하는 공기가 토출되는 팬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은 원심팬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팬 모듈(16,17)은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전방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측방으로 토출할 수 있다. 상기 팬은 축류팬, 횡류팬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팬 모듈(16,17)은 상기 팬 모듈(16,17)은 상기 제1팬 모듈 장착부(110a)에 장착되는 제1팬 모듈(16)과, 상기 제2팬 모듈 장착부(110b)에 장착되는 제2팬 모듈(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팬 모듈(16)은 상기 제1공기 흡입구(211)와 연통되며, 상기 제1공기 흡입구(211)를 향해 상기 제1공기 유입구(251)로 유입되어 상기 제1필터(23)를 통과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팬 모듈(17)은 상기 제2공기 흡입구(221)와 연통되며, 상기 제2공기 흡입구(221)를 향해 상기 제2공기 유입구(261)로 유입되어 상기 제2필터(24)를 통과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팬 모듈(16)은 상기 제1에어 덕트부(120a)와 연통되어 상기 호흡 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고, 상기 제2팬 모듈(17)은 상기 제2에어 덕트부(120b)와 연통되어 상기 호흡 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18)은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18)은 상기 제어 모듈 장착부(128)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 장착부(128)는 상기 배터리 또는 상기 전원 모듈(19)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18)은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18)은 데이터 저장 모듈을 포함하여,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18)은 상기 팬 모듈(16,17)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18)은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팬 모듈(16,17)의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 모듈(18)은 상기 전원 모듈(19), 상기 팬 모듈(16,17),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연동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모듈(19)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전원 모듈(19)은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모듈(19)은 커넥터(192)와 조작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모듈(19)은 상기 조작부(195)에 의해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모듈(19)은 상기 제어 모듈(18), 상기 팬 모듈(16,17),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0)는 상기 실링 브라켓(30)에 의해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배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0)에 의해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배면은 사용자의 얼굴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브라켓(30)은 폐루프를 형성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브라켓(30)은 상기 실링부(4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브라켓(30)을 상기 마스크 몸체(1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실링부(40)를 세척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0)를 상기 실링 브라켓(30)에 결합한 후, 상기 실링 브라켓(30)을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결합하면, 상기 실링부(40)가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브라켓(30)은 상기 실링부(40)가 결합되는 실링 삽입부(3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 삽입부(301)는 상기 실링부(40)가 끼움 결합되는 삽입 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 삽입부(301)는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 삽입부(301)는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두께가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 삽입부(301)와 후술할 고정 가이드(302)에 의해 상기 실링 브라켓(30)의 몸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브라켓(30)은 고정 가이드(3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가이드(302)는 상기 실링 삽입부(301)의 내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가이드(302)는 상기 실링 삽입부(301)에 삽입되는 실링부(40)의 고정 위치를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0)가 상기 고정 가이드(302)에 접촉되면, 상기 실링부(40)가 상기 실링 브라켓(30)에 밀착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 가이드(302)는 상기 실링 삽입부(301)보다 두께가 커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 삽입부(301)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두께가 커지고, 상기 실링 삽입부(301)보다 두께가 커진 고정 가이드(302)에 의해 상기 실링부(40)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브라켓(30)은 상기 제1브라켓 결합부(103)에 결합되는 제1몸체 결합부(3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 결합부(304)는 상기 실링 브라켓(30)의 상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 결합부(304)는 상기 제1브라켓 결합부(103)에 대응되는 위치 및 개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 결합부(304)는 상측 몸체 결합부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몸체 결합부(304)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브라켓 결합부(103)가 걸림 고정되는 걸림 고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브라켓(30)은 제2브라켓 결합부(107)에 결합되는 제2몸체 결합부(3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몸체 결합부(305)는 상기 실링 브라켓(30)의 하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몸체 결합부(305)는 상기 제2브라켓 결합부(107)에 대응되는 위치 및 개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몸체 결합부(305)는 하측 몸체 결합부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몸체 결합부(305)는 상기 실링 삽입부(30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브라켓(30)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결합되는 브라켓 삽입부(3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삽입부(306)는 마스크 몸체(10)에 형성되는 절개부(127)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27)는 상기 에어 덕트부(120)와 연통되어 공기가 통과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27)의 일측에 상기 브라켓 삽입부(306)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27)의 일측에 상기 브라켓 삽입부(306)가 삽입되면, 상기 절개부(127)의 타측은 상기 에어 덕트부(120)를 통과한 공기가 토출되는 상기 공기 토출구(129)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삽입부(306)가 상기 절개부(127)의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절개부(127)의 일측을 차폐하면, 상기 팬 모듈(16,17)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에어 덕트부(120)와 상기 브라켓 삽입부(306)의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절개부(127)의 타측인 상기 공기 토출구(129)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삽입부(306)는 상기 에어 덕트부(120)의 일측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실링 브라켓(30)을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고정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실링 브라켓(30)의 상부는 상기 제1몸체 결합부(304)에 의해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실링 브라켓(30)의 하부는 상기 제2몸체 결합부(305)에 의해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실링 브라켓(30)의 중간부는 상기 브라켓 삽입부(306)에 의해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중간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0)는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얼굴에 대응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0)는 폐루프를 형성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0)는 사용자의 코와 입을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0)는 사용자의 얼굴에 접촉되는 배면과,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접촉되는 전면과, 상기 배면과 상기 전면을 연결하며 내측이 중공으로 형성되는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0)의 전면 내측에는 제1개구가 포함되고, 상기 실링부(40)의 배면 내측에는 제2개구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0)를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결합 시 상기 제1개구의 내측에는 상기 공기 토출구(129)와 상기 공기 유출구(154,155)가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의 얼굴과 상기 실링부(40)가 접촉 시 상기 제2개구의 내측에는 사용자의 코와 입이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의 얼굴과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사이에 상기 실링부(40)가 위치하며, 상기 실링부(40)의 전면, 배면, 상기 전면과 상기 배면을 연결하는 측면의 내측에 호흡을 위한 호흡 공간이 정의된다.
상기 실링부(40)는 브라켓 삽입홈(4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삽입홈(401)은 상기 실링 브라켓(30)의 실링 삽입부(301)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삽입홈(401)은 상기 실링부(4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삽입홈(401)은 상기 실링부(4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삽입홈(401)은 상기 전면의 내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0)의 전면에 형성된 브라켓 삽입홈(401)은 상기 실링 브라켓(30)의 실링 삽입부(301)에 삽입되어 상기 실링부(40)와 상기 실링 브라켓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0)는 상기 제1몸체 결합부(304) 및 상기 브라켓 삽입부(306)가 안착되는 안착홈(404,406)과, 상기 제2몸체 결합부(305)가 관통하는 관통홀(40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홈(404,406)과 상기 관통홀(405)은 상기 실링부(4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404,406)은 상기 제1몸체 결합부(304)에 대응되는 개수 및 위치에 형성되는 제1안착홈(404)과, 상기 브라켓 삽입부(306)에 대응되는 개수 및 위치에 형성되는 제2안착홈(40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405)은 상기 제2몸체 결합부(305)에 대응되는 개수 및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404,406)과 상기 관통홀(405)에 상기 제1몸체 결합부(304), 상기 제2몸체 결합부(305), 및 상기 브라켓 삽입부(306)가 삽입되면, 상기 실링부(40)와 상기 실링 브라켓(30)이 밀착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를 작동 시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장치(1)는 필터 커버(25,26)에 형성되는 공기 유입구(251,261)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장치(1)로 흡입되는 외부 공기의 유동 방향은 A로 나타낸다. 상기 공기 유입구(251,261)가 다양한 방향에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다수로 구성되기에, 외부 공기의 유입량이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 유입구(251,261)는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상방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유입구(251a,261a),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전방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유입구(251b,261b), 상기 마스크 장치(1)의 하방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유입구(251c,261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구(251,261)가 형성되는 필터 커버(25,26)는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기에, 외부 공기를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양측으로부터 원활하게 흡입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구(251,261)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필터 커버(25,26)와 필터 장착부(21,22)의 내측에 위치하는 필터(23,24)에 의해 이물질이 여과될 수 있다. 상기 필터(23,24)는 상기 필터 커버(25,26)를 상기 마스크 장치(1)로부터 분리 시 교체 가능하다.
상기 필터(23,24)를 통과한 공기는 공기 흡입구(211,221)를 통해 팬 모듈(16,17)의 팬 흡입구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흡입구(211,221)가 형성되는 필터 장착부(21,22)와 상기 팬 모듈(16,17)은 서로 밀착하게 접촉되어 있기에 여과된 공기가 누설되거나,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16,17)의 팬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에어 덕트부(120)를 통과한 후 공기 토출구(129)를 통해 호흡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토출구(129)를 통해 호흡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B로 나타낸다. 상기 호흡 공간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와 상기 실링부(4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를 사용자의 얼굴에 장착하면, 상기 실링부(40)가 상기 마스크 몸체(10)와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어 외부 공간과 구분되는 독립된 호흡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기 토출구(129)를 통해 공급되는 여과된 공기를 사용자가 들이쉬고, 사용자가 내쉬는 공기는 공기 유출구(154,155)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출구(154,155)는 호흡 공간과 연통되는 제1공기 유출구(154)와 외부 공간과 연통되는 제2공기 유출구(155)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공기 유출구(154)과 상기 제2공기 유출구(155)는 유동 공간에 의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사용자가 내쉬는 공기는 제1공기 유출구(154)를 통해 상기 유동 공간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 유출구(154)를 통해 상기 유동 공간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C로 나타낸다.
상기 제1공기 유출구(154)를 통해 상기 유동 공간으로 유동한 공기는 상기 제2공기 유출구(155)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 유출구(155)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D로 나타낸다. 상기 제1공기 유출구(154) 및 상기 제2공기 유출구(155) 중 하나 이상에는 체크 밸브가 제공되며, 외부 공기가 상기 호흡 공간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전방 분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몸체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몸체 커버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장치(1)는 마스크 몸체(10)와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결합에 의해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와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사이에는 팬 모듈(16,17), 전원 모듈(19), 제어 모듈(18), 배터리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팬 모듈(16,17), 전원 모듈(19), 제어 모듈(18), 배터리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을 커버하여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과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배면 사이에 상기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커버 결합홈(1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결합홈(101)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둘레에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결합홈(101)에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가 삽입되면,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커버 결합홈(101)에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제1커버 결합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 결합부(102)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상부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 결합부(102)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에는 상기 제1커버 결합부(102)에 결합되는 제1몸체 고정부(20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 결합부(102)는 복수로 제공되며,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제1몸체 고정부(202)는 상기 제1커버 결합부(10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 고정부(202)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커버 결합부(102)는 후크 걸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제2커버 결합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 결합부(106)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하부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 결합부(106)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에는 상기 제2커버 결합부(106)에 결합되는 제2몸체 고정부(206)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 결합부(106)는 복수로 제공되며,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제2몸체 고정부(206)는 상기 제2커버 결합부(106)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몸체 고정부(206)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커버 결합부(106)는 상기 제2몸체 고정부(206)에 걸림 고정되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커버 결합부(106)는 상기 공기 배출부(15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상기 실링 브라켓(30)을 고정하기 위한 제1브라켓 결합부(103) 및 제2브라켓 결합부(10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 결합부(103)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브라켓 결합부(107)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지지 리브(1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리브(104)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리브(104)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와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사이가 이격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 리브(104)는 상기 제어 모듈(18)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 후크(104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리브(104)는 상기 제어 모듈(18)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어 모듈(18)의 상부를 상기 고정 후크(104a)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팬 모듈 장착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 장착부(110)는 상기 팬 모듈(16,17)이 장착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 장착부(11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 장착부(11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 장착부(110)에 장착되는 팬 모듈(16,17)의 일측에는 상기 에어 덕트부(120)가 위치하고, 상기 팬 모듈 장착부(110)에 장착되는 팬 모듈(16,17)의 타측에는 상기 팬 모듈(16,17)의 일부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 장착부(110)는 제1고정부(112)와 제2고정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12)와 상기 제2고정부(114)는 상기 팬 모듈(16,17)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12)와 상기 제2고정부(114)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리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12)와 상기 제2고정부(114)의 사이에 상기 팬 모듈(16,17)이 수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고정부(112) 및 상기 제2고정부(114)가 리브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 리브인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에서 돌출되는 돌출 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고정부(112) 및 상기 제2고정부(114)는 팬 모듈(16,17)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는 어떠한 돌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고정부(112)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고정부(114)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고정부(112)와 상기 제2고정부(114)를 기준으로 마스크 몸체(10)의 중심을 향하는 일측에 상기 에어 덕트부(120)가 위치하고, 상기 에어 덕트부(120)를 마주하며 상기 일측의 반대 방향인 타측에 상기 팬 모듈(16,17)의 일부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가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팬 모듈 장착부(110)에 안착되는 팬 모듈(16,17)의 안착면을 상기 팬 모듈(16,17)의 하면으로 정의하면, 상기 제1고정부(112)와 상기 제2고정부(114)는 상기 팬 모듈(16,17)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16,17)이 하면이 안착되는 상기 팬 모듈 장착부(110)의 저면 일부에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무게 감소를 위해 상기 팬 모듈 장착부(110)를 형성하는 마스크 몸체(10)의 일부를 파내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 장착부(110)는 케이블 고정 리브(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고정 리브(113)는 상기 제1고정부(112) 및 상기 제2고정부(114) 중 하나와,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고정 리브(113)는 상기 팬 모듈(16,17)로부터 상기 제어 모듈(18), 전원 모듈(19) 등을 향해 연장되는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16,17)과, 상기 제어 모듈(18)과, 상기 전원 모듈(19)은 서로 이격되어 있기에 이를 연결하기 위해 케이블이 필요하다. 상기 케이블에는 전기가 인가되며, 상기 케이블이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고정되지 않으면, 상기 케이블의 단선, 상기 케이블의 충격 소음 등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을 단단히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고정 리브(113)이 필요하다. 상기 케이블은 상기 팬 모듈 장착부(110)의 측방에 위치하며, 상기 팬 모듈 장착부(110)에 장착되는 팬 모듈(16,17)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고정 리브(113)는 상기 제1고정부(112) 및 상기 제2고정부(114) 중 하나에 제공되는 제1케이블 고정 리브와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제공되는 제2케이블 고정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케이블 고정 리브와 상기 제2케이블 고정 리브는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1케이블 고정 리브와 상기 제2케이블 고정 리브는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제1케이블 고정 리브에 의해 일측 일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2케이블 고정 리브에 의해 타측 일부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 장착부(110)는 팬 모듈 체결부(116,1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 체결부(116,118)는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 체결부(116,118)는 상기 팬 모듈 장착부(110)에 장착된 팬 모듈(16,17)의 타측에 배치되며, 체결 부재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팬 모듈(16,17)의 타측을 관통한 후 상기 팬 모듈 체결부(116,118)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 체결부(116,118)는 상기 마스크 몸체(1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 체결부(116,118)는 상기 체결 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상기 팬 모듈 체결부(116,118)는 복수의 체결 리브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체결 리브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체결홀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는 복수의 체결 리브로 상기 팬 모듈 체결부(116,118)이 형성된 것으로 표시되었다. 상기 복수의 체결 리브의 사이에 체결 부재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체결 리브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체결 부재에 의한 결합을 칭하여 팬 모듈 체결부(116,118), 일측 체결부, 타측 체결부라 칭하고 있으나, 억지 끼움 등에 의한 결합을 칭하여 “팬 모듈 결합부”, “일측 결합부”, “타측 결합부”라 칭할 수도 있다.
상기 팬 모듈 체결부(116,118)는 상기 팬 모듈 삽입구(123)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상기 팬 모듈 체결부(116,118)의 일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상기 팬 모듈(16,17)이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양측 방향에서 상기 팬 모듈 삽입구(123)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팬 모듈(16,17)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 체결부(116,118)이 복수의 체결 리브로 형성될 경우에, 체결 부재가 체결되면 상기 복수의 체결 리브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힘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복수의 체결 리브에 각각 제공되어 있으나, 위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체결 리브에 형성된 경사면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팬 모듈 체결부(116,118)는 일측 체결부(116)와 타측 체결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측 체결부(116)와 상기 타측 체결부(118)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방향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팬 모듈 장착부(110)에 안착되는 팬 모듈(16,17)의 안착면을 상기 팬 모듈(16,17)의 하면으로 정의하면, 상기 일측 체결부(116)와 상기 타측 체결부(118)는 상기 팬 모듈(16,17)의 상기 팬 모듈(16,17)의 양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팬 모듈(16,17)의 타측 단부를 고정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 체결부(116,118)는 상기 팬 모듈(16,17)이 안착되는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의 일측에 위치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팬 모듈 장착부(110)의 타측에서 상기 팬 모듈 장착부(110)의 일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상기 팬 모듈(16,17)을 상기 팬 모듈 장착부(110)에 장착 시, 상기 팬 모듈(16,17)이 상기 팬 모듈 장착부(110)의 일측을 향해 이동되도록 이동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에어 덕트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 덕트부(120)는 상기 팬 모듈 장착부(110)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 장착부(110)에 상기 팬 모듈(16,17)이 장착되면, 상기 팬 모듈(16,17)의 일측은 상기 에어 덕트부(120)에 연결되고, 상기 팬 모듈(16,17)의 타측은 상기 팬 모듈 체결부(116,118)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덕트부(12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는 제1에어 덕트부(120a)와, 좌측에 배치되는 제2에어 덕트부(120b)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 덕트부(12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덕트부(12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이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덕트부(12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배면이 전방을 향해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에어 덕트부(120)의 일측 단부는 상기 팬 모듈(16,17)로부터 공기를 유입받고, 상기 에어 덕트부(120)를 통과한 공기는 공기 토출구(129)를 통해 호흡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16,17)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양측 방향에서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되어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덕트부(12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에 제공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를 마주하며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배면에 제공되는 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를 연결하는 상면부 및 하면부와, 개구된 양 측면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부 및 하면부는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를 연결하는 면으로써, 연결면이라 칭할 수도 있다. 상기 에어 덕트부(120)의 구성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방향을 기준으로 호칭을 정하였으나, 방향에 의해 전면, 후면, 상면, 하면, 양측면이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에어 덕트부(120)의 후면부는 상기 실링 브라켓(30)의 브라켓 삽입부(306)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이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면은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제공되며, 상기 복수의 연결면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이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면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덕트부(120)의 전면부에는 곡면부(121)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곡면부(121)는 상기 전면부의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팬 모듈(16,17)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호흡 공간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에어 덕트부(120)는 상기 팬 모듈(16,17)로부터 공기를 개구된 양 측면부 중 일 측면부로 유입받고, 개구된 양 측면부 중 타 측면부로 유입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곡면부(121)는 상기 일 측면부에 접할 수 있다.
상기 곡면부(121)는 상기 후면부보다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곡면부(121)는 일정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곡면부(121)는 상기 팬 모듈(16,17)의 팬 토출구로부터 상기 공기 토출구(129)를 향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곡면부(121)는 상기 팬 모듈(16,17)의 팬 토출구에서 토출된 공기가 사용자의 코를 향해 유동되도록 유동 방향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에어 덕트부(120)의 전면부에는 평면부(128)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평면부(128)는 상기 곡면부(121)로부터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공기 토출구(129)를 향해 연장되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면부(128)는 상기 공기 토출구(129)에 접할 수 있다. 상기 평면부(128)는 상기 곡면부(121)와 상기 마스크 몸체(10)를 연결하는 평면으로, 상기 평면부(128)의 전면에는 제어 모듈 장착부가 정의되고, 상기 평면부(128)의 배면에는 요철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면부(128)는 상기 제어 모듈(18)을 장착하기 위해 평면으로 형성되기에, 상기 제어 모듈 장착부(128)를 상기 평면부라 칭할 수 있다.
상기 곡면부(121)와 상기 평면부(128)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에어 덕트부(120)의 전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부(122)는 요철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부(122)는 상기 평면부(128)가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돌출 또는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부(122)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양측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다수의 요철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요철은 상기 팬 모듈(16,17)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공기 토출구(129)의 상류에는 상기 요철부(122)가 위치하고, 상기 요철부(122)의 상류에는 상기 곡면부(121)가 위치하고, 상기 곡면부(121)의 상류에는 상기 팬 모듈(16,17)의 팬 토출구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16,17)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에어 덕트부(120)를 통과하여 호흡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팬 모듈(16,17)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곡면부(121)와 상기 브라켓 삽입부(306)의 사이를 층류 유동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16,17)에 의해 강제 유동되는 공기의 유속에 의해 상기 곡면부(121)와 상기 브라켓 삽입부(306)의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는 층류 유동할 수 있다. 층류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평면부(128)의 요철부(122)에 의해 난류 유동을 할 수 있다. 상기 요철부(122)에 의해 층류 유동에서 난류 유동으로 전환된 공기는 상기 공기 토출구(129)를 통과하여 호흡 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요철부(122)에 의해 층류 유동에서 난류 유동으로 전환된 공가에 의해 상기 공기 토출구(129)를 통해 흡입 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이 증가하면서도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덕트부(120)는 분지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지부(124)는 상기 전면부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분지부(124)는 상기 전면부의 배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분지부(124)는 상기 에어 덕트부(120)를 통과하는 공기가 다수의 유로로 분지되어 상기 호흡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에어 덕트부(120)는 팬 모듈 지지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 지지부(126)는 상기 에어 덕트부(120)의 연결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면은 상기 에어 덕트부(120)의 전면부와 상기 마스크 몸체(10)를 연결하는 복수의 측면으로, 상기 제1고정부(112) 및 상기 제2고정부(114)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면은 상기 제1고정부(112)에 연결되는 제1연결면과 상기 제2고정부(114)에 연결되는 제2연결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 지지부(126)는 상기 제1연결면 및 제2연결면이 상기 에어 덕트부(120)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 지지부(126)는 상기 팬 모듈(16,17)의 일측을 지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 지지부(126)는 상기 제1연결면 및 상기 제2연결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16,17)은 상기 팬 모듈 지지부(126)에 일측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팬 모듈 체결부(116,118)에 의해 타측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 지지부(126)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장착되는 브라켓 삽입부(306)를 지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삽입부(306)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배면에 형성되는 절개부에 삽입될 경우에, 상기 브라켓 삽입부(306)는 상기 팬 모듈 지지부(126)에 접촉되어 설정된 삽입 위치까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팬 모듈 지지부(126)는 브라켓 지지부라 칭할 수도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전원 모듈 장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모듈 장착부(130)에는 상기 전원 모듈(19)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원 모듈 장착부(13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커버 결합홈(101)과 상기 팬 모듈 장착부(11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모듈 장착부(13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좌측과 우측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모듈(19)은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전원 모듈 장착부(13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전원 모듈 장착부(130)는 상기 체결 부재가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 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모듈 장착부(130)는 상기 전원 모듈(19)의 외면에 접촉하는 고정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 모듈(19)과 상기 팬 모듈(16,17)은 상기 팬 모듈 체결부(116,118)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에 의해 함께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배터리 장착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장착부(140)는 배터리가 수용되는 배터리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장착부(14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장착부(14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중심에 위치하여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무게 중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장착부(140)는 배터리 고정 리브(1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고정 리브(141)는 상기 배터리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고정 리브(141)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고정 리브(141)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사이에 상기 배터리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수용 공간에 수용된 배터리는 상기 배터리 고정 리브(141)에 의해 전후 방향 및 양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상기 공기 배출부(150)에 의해 하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10)는 공기 배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부(15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부(150)는 외부 공간으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유동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부(15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부(150)는 상측면(150a), 하측면(150c), 및 양측면(15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면(150a), 하측면(150c), 및 양측면(150b)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면(150a)은 상기 유동 공간의 상방에 위치하며, 상기 하측면(150c)은 상기 유동 공간의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양측면(150b)은 상기 유동 공간의 양측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유동 공간의 전방면은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가 위치하고, 상기 유동 공간의 후방면은 상기 마스크 몸체(1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유동 공간의 후방면에 위치하는 마스크 몸체(10)에는 제1공기 유출구(154)가 형성되고, 상기 유동 공간의 하측면(150c)에는 제2공기 유출구(15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공간의 하측면(150c)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저면 일부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전면에 결합되는 마스크 몸체 커버(20)는 필터 장착부(2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장착부(21,22)는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전면이 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함몰되어 형성되는 필터 장착부(21,22)의 내측에는 필터(23,24)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장착부(21,22)의 개구된 일면은 공기 유입구(251,261)가 형성된 필터 커버(25,26)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장착부(21,22)는 공기 흡입구(211,2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흡입구(211,221)는 상기 필터(23,24)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팬 모듈(16,17)을 향해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된 바닥면을 상기 필터 장착부(21,22)의 전면으로 정의하면, 상기 공기 흡입구(211,221)는 상기 필터 장착부(21,22)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흡입구(211,221)는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경사면에 의해 상기 공기 흡입구(211,221)로 공기가 신속하게 유동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장착부(21,22)는 필터 커버 장착홈(212,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커버 장착홈(212,222)에는 상기 필터 커버(25,26)에 형성되는 결합 돌기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커버 장착홈(212,222)은 상기 필터 장착부(21,22)의 양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는 제1몸체 고정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 고정부(202)는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배면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 고정부(202)는 상기 제1커버 결합부(102)에 대응되는 개수 및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 고정부(202)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커버 결합부(10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는 지지 리브(2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리브(204)는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리브(204)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형성되는 제1브라켓 결합부(103)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리브(204)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와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 사이의 강도 보강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는 제2몸체 고정부(2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몸체 고정부(206)는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배면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몸체 고정부(206)는 상기 제2커버 결합부(106)에 대응되는 개수 및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몸체 고정부(206)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커버 결합부(106)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는 체크밸브 커버(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 커버(250)는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공기 배출부(150)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 커버(250)와 상기 공기 배출부(150)는 상기 마스크 장치(1)의 전후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체크 밸브는 상기 제1공기 유출구(154)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 커버(250)가 상기 공기 배출부(150)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상기 제1공기 유출구(154)에 제공되는 체크 밸브의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체크 밸브가 단단히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 커버(250)와 상기 공기 배출부(150)의 내측에 유동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 커버(250)는 커버 상측면(250a)과 커버 양측면(25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상측면(250a)은 상기 공기 배출부(150)의 상측면(150a)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 양측면(250b)은 상기 공기 배출부(150)의 양측면(150b)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상측면(250a)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 커버(250)는 상기 공기 배출부(150)의 내측으로 삽입되기에, 상기 공기 배출부(150)와 상기 체크밸브 커버(250)의 사이에 틈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몸체에 팬 모듈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몸체로부터 팬 모듈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도 1의 13”-13”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팬 모듈(16,17)은 마스크 몸체(10)에 형성되는 팬 모듈 장착부(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팬 모듈(16,17)이 상기 팬 모듈 장착부(110)에 고정되는 것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팬 모듈(16,17)은 팬(165,175)과 상기 팬(165,175)을 수용하는 팬 하우징(160,1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16,17)은 상기 제1팬 모듈 장착부(110)에 장착되는 제1팬 모듈(16)과 상기 제2팬 모듈 장착부(110)에 장착되는 제2팬 모듈(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165,175)은 팬 모터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팬(165,175)은 원심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팬(165,175)은 축류팬, 횡류팬 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팬(165,175)과 상기 팬 모터는 상기 팬 하우징(160,17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팬 하우징(160,170)은 팬 흡입구(162,172)와 팬 토출구(163,1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 하우징(160,170)은 상기 팬 모듈 장착부(110)에 안착되는 면을 저면으로 정의하면, 상기 팬 흡입구(162,172)는 상기 팬 하우징(160,170)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팬 토출구(163,173)는 상기 팬 하우징(160,17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팬(165,175)이 원심팬으로 제공되기에, 상기 팬 흡입구(162,172)는 상기 팬(165,175)의 축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팬 토출구(163,173)는 상기 팬(165,175)의 반경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팬 하우징(160,170)의 팬 흡입구(162,172)는 상기 필터 장착부(21,22)의 공기 흡입구(211,221)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팬 하우징(160,170)의 팬 토출구(163,173)는 상기 에어 덕트부(120)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팬 하우징(160,170)은 일측 체결홀(166,176)과 타측 체결홀(167,17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측 체결홀(166,176)과 상기 타측 체결홀(167,177)은 체결 부재가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가 상기 일측 체결홀(166,176)과 상기 타측 체결홀(167,177)을 통과한 후 상기 일측 체결부(116)와 타측 체결부(118)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일측 체결홀(166,176)과 상기 타측 체결홀(167,177)은 상기 팬 하우징(160,170)의 팬 토출구(163,173) 반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일측 체결홀(166,176)과 상기 타측 체결홀(167,177)은 상기 팬 하우징(160,170)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 리브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팬 모듈 장착부(110)에 상기 팬 모듈(16,17)을 장착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팬 모듈 장착부(110)에 상기 팬 모듈(16,17)을 장착하기 위해서, 상기 팬 모듈(16,17)을 상기 제1고정부(112)와 상기 제2고정부(114)의 사이로 삽입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16,17)은 상기 제1고정부(112)와 상기 제2고정부(114)의 사이 배치되면, 양측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12)와 상기 제2고정부(114)의 사이에 삽입된 팬 모듈(16,17)은 상기 에어 덕트부(1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에어 덕트부(120)에는 상기 팬 모듈(16,17)이 삽입되기 위한 팬 모듈 삽입구(12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 삽입구(123)는 상기 팬 모듈(16,17)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에어 덕트부(120)의 개구된 일측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 삽입구(123)의 일측에는 상기 팬 모듈 지지부(126)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에어 덕트부(120)에서 상기 팬 모듈 지지부(126)는 상기 팬 모듈 삽입구(123)에서 상기 공기 토출구(129)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 삽입구(123)와 상기 팬 모듈 지지부(126)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팬 모듈(16,17)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 삽입구(123)는 상기 에어 덕트부(120)의 개구된 일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 삽입구(123)는 상기 팬 모듈(16,17)이 삽입되는 다수의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평면은 상기 에어 덕트부(120)의 개구된 일측 단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평면 중 일면은 경사면(123a, 도 13의 (a) 참고)으로 형성되고, 나머지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123a)은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경사면(123a)은 상기 경사면(123a)를 마주하는 평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123a)는 상기 팬 모듈(16,17)의 저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16,17)을 상기 팬 모듈 삽입구(123)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팬 모듈(16,17)의 저면이 상기 경사면(123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123a)을 따라 이동되는 팬 모듈(16,17)은 상기 경사면(123a) 이외의 다수 평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123a)에 의해 상기 팬 모듈(16,17)은 상기 팬 모듈 삽입구(123)에 밀착 접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팬 모듈 삽입구(123)는 함몰면(123b, 도13의 (b) 참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평면 중 경사면(123a)을 마주하는 일면은 함몰면(123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면(123b)은 상기 에어 덕트부(120)의 내면이 외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16,17)의 일부가 상기 함몰면(123b)에 삽입되면, 상기 팬 모듈(16,17)과 상기 에어 덕트부(120) 사이의 틈이 막힐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123a)과 마주하는 일면에 상기 함몰면(123b)이 형성되기에, 상기 경사면(123a)을 따라 이동하는 팬 모듈(16,17)은 상기 함몰면(123b)에 더욱 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팬 모듈 삽입구(123)로 삽입되는 팬 모듈(16,17)은 상기 에어 덕트부(120)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팬 모듈 지지부(126)를 향해 이동하며, 상기 팬 모듈 지지부(126)에 접촉된 후 상기 에어 덕트부(120)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 모듈(16,17)은 상기 팬 모듈 지지부(126)과 상기 경사면(123a)과 상기 함몰면(123b)에 의해 상기 에어 덕트부(120)에 밀착되어 사이에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 삽입구(123)에 상기 팬 모듈(16,17)의 일측이 고정되면, 상기 팬 하우징(160,170)의 일측 체결홀(166,176)과 타측 체결홀(167,177)이 상기 팬 모듈 체결부(116,118)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체결 부재를 통해 일측 체결홀(166,176)과 타측 체결홀(167,177)을 상기 팬 모듈 체결부(116,118)에 체결하여 상기 팬 모듈(16,17)을 상기 팬 모듈 장착부(11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 장착부(110)에 상기 팬 모듈(16,17)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를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커버 결합홈(101)에 삽입하여 상기 마스크 몸체(10)와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가 서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와 상기 마스크 몸체(10)가 서로 결합되면,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20)의 필터 장착부(21,22)는 상기 팬 모듈(16,17)과 밀접하게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장착부(21,22)와 상기 팬 모듈(16,17)이 접촉되면, 상기 공기 흡입구(211,221)와 상기 팬 모듈(16,17)의 팬 흡입구(162,172)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장착부(21,22)의 내측에는 필터(23,24)가 배치되며, 상기 필터 장착부(21,22)의 개구된 일면에 상기 필터(23,24)를 커버하는 필터 커버(25,26)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커버(25,26)에는 상기 공기 유입구(251,261)가 형성되어 외부 공간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구(251,261)는 다수로 상기 필터 커버(25,26)의 측면에 제공되기에 외부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호흡 공간으로 여과된 공기가 공급되는 것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마스크 장치(1)의 팬 모듈(16,17)이 작동하여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구(251,261)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필터 커버(25,26)와 상기 필터 장착부(21,22)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입 공간(215,225)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외부 공기는 상기 유입 공간(215,225)의 내측에 위치하는 필터(23,24)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필터(23,24)는 상기 공기 흡입구(211,221)의 상류에 위치하며, 상기 필터(23,24)를 통과한 여과된 공기가 상기 공기 흡입구(211,221)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공기 흡입구(211,221)는 상기 팬 모듈(16,17)의 팬 흡입구(162,172)와 연통되며, 상기 팬 흡입구(162,172)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팬 모듈(16,17)의 팬 토출구(163,173)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팬 흡입구(162,172)로부터 상기 팬 토출구(163,173)를 향해 공기가 유동되도록 팬(165,175)이 회동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16,17)의 팬 토출구(163,173)는 상기 에어 덕트부(120)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덕트부(120)는 상기 팬 토출구(163,173)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공기 토출구(129)로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팬 토출구(163,173)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에어 덕트부(120)의 곡면부(121)에 의해 상기 공기 토출구(129)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 방향이 가이드되고, 상기 요철부(122)에 의해 공기의 유동 특성이 층류 유동에서 난류 유동으로 전환되어 상기 공기 토출구(129)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덕트부(120)에 의해 공기의 유동 특성이 변화되어 상기 공기 토출구(129)로 토출되는 토출 소음이 저감되면서도, 공기의 유동량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덕트부(120)에는 상기 팬 모듈(16,17)의 팬 토출구(163,173)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다수의 유로로 분지하는 분지부(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지부(124)에 의해 다수의 유로로 공기가 분리되어 유동되기에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풍압이 균일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팬 모듈(16,17)의 일측을 상기 에어 덕트부(120)에 삽입하고, 상기 팬 모듈(16,17)의 타측을 상기 팬 모듈 체결부(116,118)에 결합되기에 상기 팬 모듈(16,17)이 상기 마스크 몸체(10)에 단단히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팬 모듈(16,17)의 타측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팬 모듈(16,17)의 타측이 상기 팬 모듈 체결부(116,118)에 억지 끼움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16,17)의 타측은 상기 팬 모듈 체결부(116,118)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고정되며, 결합이 해제될 경우엔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16,17)의 양측에 제1고정부(112) 및 제2고정부(114)에 의해 상기 팬 모듈(16,17)의 양측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팬 모듈(16,17)이 상기 팬 모듈 장착부(110)에 장착되기에 상기 팬 모듈(16,17)의 장착이 간소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 팬 모듈(16,17)로부터 상기 공기 토출구(129)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 특성이 층류 유동에서 난류 유동으로 전환되도록 하여 상기 공기 토출구(129)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소음을 감소시키면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팬 모듈(16,17)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고정 리브(113)을 포함하여, 케이블을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 마스크 장치 10: 마스크 몸체
16,17 팬 모듈 18: 제어 모듈
19: 전원 모듈 20: 마스크 몸체 커버
23,24 필터 25,26: 필터 커버
30: 실링 브라켓 40: 실링부

Claims (19)

  1.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되며, 상기 사용자의 얼굴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 덕트부가 구비되는 마스크 몸체;
    상기 마스크 몸체에 장착되며, 상기 에어 덕트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팬 모듈; 및
    상기 마스크 몸체와 상기 팬 모듈을 커버하며, 상기 팬 모듈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흡입구가 구비되는 마스크 몸체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 몸체에는,
    상기 에어 덕트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팬 모듈의 타단부가 상기 에어 덕트부에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팬 모듈의 일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결합부가 구비되는 팬 모듈 장착부가 포함되는 마스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덕트부는,
    상기 팬 모듈로부터 공기를 공급받기 위해 상기 팬 모듈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팬 모듈 삽입구; 및
    상기 팬 모듈 삽입구로 공급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공기 토출구를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합부는, 상기 마스크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팬 모듈의 저면에 접촉되며, 상기 팬 모듈의 일단부를 관통하는 체결 부재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팬 모듈의 양측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부는, 상기 마스크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마스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부는, 상기 팬 모듈 삽입구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팬 모듈은, 상기 복수의 고정부의 사이에서 상기 팬 모듈 삽입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마스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합부는, 상기 복수의 고정부 사이에 제공되는 마스크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덕트부는, 상기 팬 모듈이 안착되며, 상기 에어 덕트부의 내면이 외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되는 함몰면이 형성되는 마스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덕트부는, 상기 함몰면을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팬 모듈이 상기 함몰면을 향해 이동되도록 하는 경사면이 포함되는 마스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덕트부는, 상기 팬 모듈 삽입구로 삽입되는 팬 모듈의 타단부가 접촉되며, 상기 함몰면과 상기 경사면을 연결하는 팬 모듈 지지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 모듈 장착부의 일측에는, 상기 에어 덕트부가 위치하며,
    상기 팬 모듈 장착부의 타측에는, 전원 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전원 모듈 장착부가 제공되는 마스크 장치.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부에는, 케이블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제1케이블 고정 리브가 포함되고,
    상기 마스크 몸체의 전면에는, 상기 제1케이블 고정 리브와 이격되며, 상기 케이블 타측을 지지하기 위한 제2케이블 고정 리브가 포함되는 마스크 장치.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덕트부는,
    상기 마스크 몸체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팬 모듈 삽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공기 토출구를 향해 유동되도록 공기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전면부; 및
    상기 마스크 몸체로부터 상기 전면부의 양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고정부와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면을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상기 팬 모듈 삽입구로부터 연장되며, 곡면으로 형성되는 곡면부; 및
    상기 곡면부와 상기 공기 토출구를 연결하며, 요철부가 구비되는 평면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는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가 장착되며, 상기 실링부를 상기 마스크 몸체에 고정하는 실링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브라켓에는, 상기 마스크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 토출구를 정의하고, 상기 전면부와 마주하는 에어 덕트부의 후면부를 형성하는 브라켓 삽입부가 포함되는 마스크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 모듈은, 원심팬과, 팬 모터와, 상기 원심팬 및 팬 모터를 수용하며, 체결 부재가 관통되기 위한 체결홀이 형성되는 팬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팬 하우징에는,
    상기 원심팬의 축 방향에 상기 공기 흡입구와 연통되기 위한 팬 흡입구와, 상기 원심팬의 반경 방향에 상기 에어 덕트부와 연통되기 위한 팬 토출구가 더 포함되는 마스크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는, 필터를 내측에 수용하기 위해 함몰되어 형성되며, 함몰된 저면에 상기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는 필터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장착부와 상기 팬 하우징의 사이에는 밀봉재가 제공되는 마스크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는, 필터를 내측에 수용하기 위해 함몰되어 형성되며, 함몰된 저면에 상기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는 필터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장착부에는, 외부 공기가 상기 필터를 향해 유입되도록 하는 다수의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필터 커버가 장착되는 마스크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몸체에는,
    양측 단부에 한쌍으로 제공되는 걸이 장착부; 및
    상기 마스크 몸체 커버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가장자리가 단차지게 형성되는 커버 결합홈이 포함되는 마스크 장치.
KR1020200068400A 2020-06-05 2020-06-05 마스크 장치 KR102494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400A KR102494579B1 (ko) 2020-06-05 2020-06-05 마스크 장치
CN202011328031.1A CN113749327A (zh) 2020-06-05 2020-11-24 口罩装置
US17/121,056 US20210379415A1 (en) 2020-06-05 2020-12-14 Mask apparatus
EP20217535.2A EP3919130A1 (en) 2020-06-05 2020-12-29 Mask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400A KR102494579B1 (ko) 2020-06-05 2020-06-05 마스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500A true KR20210151500A (ko) 2021-12-14
KR102494579B1 KR102494579B1 (ko) 2023-02-02

Family

ID=74003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400A KR102494579B1 (ko) 2020-06-05 2020-06-05 마스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379415A1 (ko)
EP (1) EP3919130A1 (ko)
KR (1) KR102494579B1 (ko)
CN (1) CN1137493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285B1 (ko) * 2022-08-02 2024-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12800B2 (en) * 2020-08-27 2022-08-16 Richard Ng Attachable personal cooling fans
USD968031S1 (en) * 2021-03-05 2022-10-25 VPrevent GmbH Protective face mask
USD961763S1 (en) * 2021-03-19 2022-08-23 Nikita Sholom Protective face mask
WO2023051875A1 (de) * 2021-10-03 2023-04-06 Herbert Hatzlhoffer Atemschutzmask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403B1 (ko) * 2012-04-02 2013-01-31 한국기계연구원 반복 주름관 형태의 가변 주파수 소음 차단형 덕트 사일런서
KR20180009326A (ko) * 2016-07-18 2018-01-26 신홍제 기능성 마스크
KR101997813B1 (ko) * 2018-02-22 2019-10-0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식 공기정화 호흡기
KR20200048502A (ko) * 2018-10-30 2020-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2130A (en) * 1992-02-26 1994-12-13 Djs&T Limited Partnership Face mask assembly and method having a fan and replaceable filter
US20030066527A1 (en) * 2001-10-09 2003-04-10 Chen Yen Ling Face mask having device for drawing air into the mask
JP2006102324A (ja) * 2004-10-07 2006-04-20 Shigematsu Works Co Ltd 電動ファン付呼吸用保護具
EP2094360A4 (en) * 2006-12-13 2013-06-12 Ludwik Fedorko METHOD AND APPARATUS FOR VENTILATORY ASSISTANCE
KR20100105607A (ko) * 2007-11-20 2010-09-29 애번 프로텍션 시스템 인코포레이티드 모듈식 전동 공기 정화 호흡보호구
GB2505484A (en) * 2012-08-31 2014-03-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 Powered exhaust apparatus for a personal protection respiratory device
CA2906632A1 (en) * 2013-03-15 2014-09-18 Scott Technologies, Inc. Reconfigurable full facemask having a cartridge module for respiratory protection
KR20170132188A (ko) * 2015-04-03 2017-12-01 마이크로스페레 피티이. 엘티디. 호흡 마스크, 시스템, 및 방법
WO2017004313A1 (en) * 2015-06-30 2017-01-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lter cartridge comprising filter media with adhesively edge-sealed ends,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CN105126219A (zh) * 2015-08-31 2015-12-09 肖永初 一种微型呼吸机
WO2017065853A1 (en) * 2015-10-16 2017-04-20 Yang Song Particulate filter face mask having fan breathing assist
GB201700576D0 (en) * 2017-01-12 2017-03-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 Powered apparatus for a personal protection respiratory device
CN207041756U (zh) * 2017-07-28 2018-02-27 长沙蓝室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面罩式头戴空气净化器
US20190275357A1 (en) * 2018-03-10 2019-09-12 P&B Innovations LLC Portable positive air filtration device
US11938352B2 (en) * 2020-01-23 2024-03-26 Suzaleja B.V. Filtering mask assembly
US20210337891A1 (en) * 2020-05-03 2021-11-04 Shalin Raj Shah Mas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403B1 (ko) * 2012-04-02 2013-01-31 한국기계연구원 반복 주름관 형태의 가변 주파수 소음 차단형 덕트 사일런서
KR20180009326A (ko) * 2016-07-18 2018-01-26 신홍제 기능성 마스크
KR101997813B1 (ko) * 2018-02-22 2019-10-0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식 공기정화 호흡기
KR20200048502A (ko) * 2018-10-30 2020-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285B1 (ko) * 2022-08-02 2024-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79415A1 (en) 2021-12-09
KR102494579B1 (ko) 2023-02-02
CN113749327A (zh) 2021-12-07
EP3919130A1 (en) 202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51500A (ko) 마스크 장치
KR102384270B1 (ko) 마스크 장치
KR102418745B1 (ko) 마스크 장치
KR102367071B1 (ko) 마스크 장치
KR102408364B1 (ko) 마스크 장치
KR102309925B1 (ko) 마스크 장치
KR20210151685A (ko) 마스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07772B1 (ko) 마스크 장치
KR102512047B1 (ko) 마스크 장치
KR20220137861A (ko) 마스크 장치
US20240131372A1 (en) Mask device
KR102491511B1 (ko) 마스크 장치
KR102416882B1 (ko) 마스크 장치
KR20210151499A (ko) 마스크 장치
KR102418314B1 (ko) 마스크 장치
US11998769B2 (en) Mask apparatus
KR20220001926A (ko) 마스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