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1338A - 비스페놀류에 의한 이상 지질대사 개선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스페놀류에 의한 이상 지질대사 개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1338A
KR20210151338A KR1020200068011A KR20200068011A KR20210151338A KR 20210151338 A KR20210151338 A KR 20210151338A KR 1020200068011 A KR1020200068011 A KR 1020200068011A KR 20200068011 A KR20200068011 A KR 20200068011A KR 20210151338 A KR20210151338 A KR 20210151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sphenol
lipid metabolism
abnormal lipid
leaf extrac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옥환
최선일
한웅호
문효
권희연
장길웅
최예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람
Priority to KR1020200068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1338A/ko
Publication of KR20210151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13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스페놀-A와 같은 환경호르몬에 의해 유도되는 이상 지질대사 메커니즘을 확인하였고, 그러한, 환경호르몬에 의한 이상 지질대사 억제를 위하여, 본 발명은 당양지꽃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상지질대사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여 환경호르몬으로부터 유도된 이상 지질대사를 유의 하게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본 발명의 당양지꽃 잎 추출물은 환경호르몬 독성 보호 건강식품, 의약용 예방 및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스페놀류에 의한 이상 지질대사 개선 조성물{.}
본 발명은 비스페놀류 등의 환경호르몬이라 불리는 내분비 교란물질에 의한 이상 지질대사를 억제하기위한 천연조성물의 개발에 관한 기술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비스페놀-A와 같은 환경호르몬에 의해 유도되는 이상 지질대사 메커니즘을 확인하였고, 당양지꽃 잎 추출물은 환경호르몬으로 유도된 이상 지질대사를 유의하게 억제하여 환경호르몬 독성 보호 건강식품으로써 응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이전의 선행기술로는 양지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양지꽃 추출물은 항산화 작용, 아밀로이드 베타 응집 저해 작용, 신경세포의 보호 효과 및 뇌세포의 염증 억제 효과를 지님으로써,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지질 대사 이상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하여 (2S)-2-벤질-3-(시스-헥사하이드로-2-이소인돌리닐카르보닐)프로피온산(일반명:미티글리나이드) 혹은 그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들의 수화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837444 등록특허공보 10-1262123
본 발명은 환경호르몬으로 통칭되는 내분비장애물질에 의하여 발생하는 이상지질대사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현대사회에서 많이 사용되는 비스페놀류에 의하여 발생하는 이상지질대사를 구명하고, 이를 억제하는 천연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당양지꽃(Potentilla rugulosa Kitag.) 잎 추출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상지질대사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당양지꽃 잎 추출물의 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지질대사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지질대사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캡슐제, 산제, 과립제, 정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지질대사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당양지꽃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상지질대사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당양지꽃 잎 추출물의 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지질대사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지질대사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비스페놀-A와 같은 환경호르몬에 의해 유도되는 이상 지질대사 매커니즘을 확인하였고, 비스페놀-A뿐만 아니라 그 대체재인 비스페놀-S, 비스페놀-F의 오베소겐(obesogen)으로써 이상 지질대사 유도를 확인하였으며, 본 발명의 당양지꽃 잎 추출물은 환경호르몬으로 유도된 이상 지질대사를 유의 하게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환경호르몬 독성 보호 건강식품 또는 치료제 또는 예방제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대표적인 환경호르몬은 비스페놀류의 화학식
도 2은 비스페놀-A, 비스페놀-S 및 비스페놀-F 처리에 따른 세포생존율의 변화
도 3은 비스페놀-A, 비스페놀-S 및 비스페놀-F로 유도된 3T3-L1 지방세포에서의 지질축적량 변화
도 4는 비스페놀-A, 비스페놀-S 및 비스페놀-F로 유도된 3T3-L1 세포에서의 지방생성 전사인자 변화
도 5는 세포 및 배양액 내의 비스페놀-A 분석 조건
도 6은 비스페놀-A, 비스페놀-S 및 비스페놀-F와 당양지꽃 잎 추출물처리에 따른 세포생존율의 변화
도 7은 당양지꽃 잎 추출물의 환경호르몬으로 유도된 지질축적억제 효능평가
도 8은 당양지꽃 잎 추출물의 환경호르몬으로 유도된 ROS생성억제 효능평가
도 9는 당양지꽃 잎 추출물로 억제된 3T3-L1 세포에서의 지방생성 전사인자
환경호르몬으로 널리 알려진 내분비장애물질은 정상적인 체내 호르몬으로 작용하거나 기능을 방해하는 화학 물질이다. 이러한 교란 물질은 인공적으로 합성되어 사용되며, 일상생활 속에서 쉽게 접하게 된다. 체내로 흡수된 내분비계교란물질은 번식, 발달, 대사 및 면역과 관련된 정상적인 호르몬의 혼란을 유발한다. 이러한 호르몬 혼란은 호르몬의 합성, 저장, 분비, 수송, 결합 및 대사를 방해함으로써 다양한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내분비계교란물질(EDC)을 “EDC는 일반적으로 인간과 야생 동물의 호르몬 균형을 방해하여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 식품 및 소비자 제품의 물질”로 정의하였다. 또한 세계보건기구(WHO)는 이들을 “EDC는 내분비 계의 기능을 변화시키고 결과적으로 온전한 유기체, 자손 또는 (하위)개체군에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외인성 물질 또는 혼합물”로 정의함으로써 내분비계교란물질에 대한 위험성을 보고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와 같은 내분비계교란물질 즉 환경호로몬과 비만과의 관계를 구명하였다.
일반적으로 비만의 원인은 고열량의 음식섭취, 운동량의 감소, 유전적인 요인 등이 있으며 비만인구의 증가는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환경호르몬이 비만의 새로운 원인으로 밝혀지고 있다. 이는 세계 2차 대전 후 합성 화학 물질 생산량 증가와 비만인구 사이의 상관관계를 보고하였다. 또한 합성수지의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당뇨병 유병률이 증가하였다. 상기와 같은 통계자료와 이에 따른 환경호르몬의 지방생성 및 체중 증가 사이의 관계를 증명하는 실험 결과로 또 하나의 비만의 원인으로 환경호르몬의 영향이 제기 되었다(Baillie-Hamilton, P. F., J. Altern. Complement. Med., 8, pp185-192, 2002; Neel. b. A., Sargis, R. M., Diabetes, 60, pp1838-1848).
이러한 연구결과로써 최근에는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호르몬이라는 의미의 새로운 개념인 오베소겐(obesogen)이라는 단어가 새로이 등장하였다. 오베소겐은 체내대사에 기능적인 장애를 유발하여 지질생성 및 지질축적을 촉진하는 화학물질로 정의된다.
대표적인 물질로 도 1에 도시한 비스페놀류 이다. 비스페놀-A는 대표적인 환경호르몬으로 체내로 흡수된 비스페놀-A는 신경발달, 면역독성, 신경독성 및 세포 경로의 간섭과 같은 대사 장애의 발생을 초래하여 내분비계교란물질로 분류된다. 비스페놀-A는 플라스틱 및 에폭시 수지 생산에 사용이 되며, 식료품 용기, 캔, 포장재 등에 사용되며, 영수증의 현색제, 치과용 수지 및 수도관 코팅소재로 사용되어 일상생활에서 체내로 노출 빈도와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일부 국가에서는 비스페놀-A의 사용을 제한하고 있으며 특히 환경호르몬에 취약한 아동제품의 경에는 사용을 금지하는 국가들도 나타났다. 따라서 비스페놀-A를 대체하는 물질이 개발되었으며, 비스페놀-S와 비스페놀-F는 대표적인 비스페놀-A 대체제다. 따라서 대체제의 오베소겐으로써 평가가 필요하며, 인간에게 쉽게 노출됨에 따라 이를 방어하는 물질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비스페놀류(비스페놀-A, 비스페놀-S, 비스페놀-F)의 세포독성, 환경호르몬으로 유도된 지질축적 확인, 환경호르몬으로 유도된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 확인, 비스페놀-A의 지방세포 세포막 투과성 확인 등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실험결과로부터 비스페놀류가 이상지질대사를 유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당양지꽃 잎 추출물 제조방법을 개발하였으며, 상기 당양지꽃 잎 추출물의 세포독성 평가를 통하여 인체에 무해함을 실험하였다.
이러한 인체에 무해한 당양지꽃 잎 추출물을 이용하여 환경호르몬으로 유도된 이질축적억제 효능평가, ROS 생성억제 효능평가 및 지방세포 분화관련 인자분석을 통하여 당양지꽃 잎 추출물이 환경호르몬에 의한 이상지질대사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밝혀냈다.
실험내용을 상세히 살펴보면,
1. 환경호르몬의 세포독성 평가 실시예
[도2]에 도시된 비스페놀-A, 비스페놀-S 및 비스페놀-F 처리에 따른 세포생존율의 변화 그래프를 살펴보면, 비스페놀-A는 20 μM 농도까지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현미경관찰에서도 세포형태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상기 환경호르몬의 세포독성평가를 XTT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XTT{2,3-bis (2-methoxy-4- nitro-5-sulfophenyl)-2H-tetrazolium-5-carboxanilide innersalt}에 election coupling agent 역할을 하는 PMS (phenazine methosulfate)를 첨가하여 bioreduction을 증가시키게 한 후, 세포에 XTT와 PMS를 첨가하여 살아있는 세포의 mitochondrial dehydrogenase에 의한 XTT의 tetrazolium ring이 분해시켜 formazan crystal을 형성하게 되면, formazan crystal은 수용액에 녹아 노란색을 나타나게 된다. 이 노란색을 microplate reader로 측정하여 세포 독성 평가에 이용하였다.
도2는 이러한 환경호르몬의 세포독성평가 결과로 오차범위 내에서 독성이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2. 환경호르몬으로 유도된 지질축적 확인 실시예
환경호르몬으로 유도된 지질축적 확인을 위하여 환경호르몬으로 유도된 3T3-L1 지방세포 분화유도조건 설정할 필요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3T3-L1 지방세포를 분화시키기 위해 칵테일(methylisobutylxanthine, dexamethasone, insulin; MDI)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MDI칵테일과 비스페놀-A를 동시에 처리하였을 때, MDI에 의한 지질축적으로 인해 비스페놀-A의 지질축적을 확인할 수 없어 실험조건을 새로이 개발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전지방세포에서 6일간 비스페놀-A에 노출시킨 뒤 dexamethasone을 제외한 칵테일(methylisobutylxanthine, insulin; MI)과 분화 시켜 실험하였다. 상기 분화는 8일 동안 진행되었으며, MDI처리군과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환경호르몬의 3T3-L1 세포 분화 및 지질 축적 유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중성지방만을 붉은색으로 염색하는 Oil Red O 염색법을 통해 3T3-L1 지방세포 내 생성된 중성지방의 양을 측정하였다. 도 3은 비스페놀-A, 비스페놀-S 및 비스페놀-F로 유도된 3T3-L1 지방세포에서의 지질축적량 변화 그래프이다.
도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스펜놀을 농도가 높아 짐에 따라 지질축적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은 다양한 농도의 비스페놀-A, 비스페놀-S 및 비스페놀-F를 지방세포 분화 전 전지방세포에서 6일간 처리하였으며, 분화 시 MI칵테일과 함께 처리하여 환경호르몬으로 유도된 지질축적을 확인하였다. 결과는 MDI칵테일로 분화를 유도한 군과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그 결과 처리한 모든 농도에서 농도 유의적으로 지질축적이 MI 칵테일 처리군보다 증가하였다. 비스페놀-A의 대체제인 비스페놀-S 및 비스페놀-F에서도 지질축적이 증가하였다.
3. 환경호르몬으로 유도된 지방생성 전사인자(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 증가 확인 실시예
PPARγ 및 C/EBPα 등의 지방생성 전사인자는 포유동물에서 백색지방조직의 지방 생성에 필요하고, 지방 생성의 "마스터 조절제"로 간주된다. 또한 지질결합단백질인 aP2[fatty acid binding protein (FABP)4]는 지방세포가 분화하는 동안 상향 조절되는 인자이다. Dexamethasone의 처리 없이도 20 μM의 비스페놀-A, 비스페놀-S 및 비스페놀-F의 처리로 지질축적 및 지방생성 전사인자인 PPARγ, C/EBPα 및 aP2의 발현이 증가 되었다. 비스페놀-A 뿐만 아니라 비스페놀-S 및 비스페놀-F도 지방생성 전사인자(adipogenic transtription factor)를 증가 시켰다. 도4는 실험결과이다. 결과에서 알수 있듯이 비스페놀류를 처리한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지질축적 및 지방생성 전사인자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환경호르몬으로 유도된 지질축적 확인 실시예와 환경호르몬으로 유도된 지방생성 전사인자(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 증가확인 실시예로부터 환경호르몬, 특히 비스페놀류에 의한 이상지질대사가 확인되었다.
4. 비스페놀-A의 지방세포 세포막 투과성 확인 실시예
스테로이드호르몬 수용체는 세포내 핵 및 세포질에 위치하였으며, 스테로이드호르몬에 대한 신호 전달을 개시하여 수 시간에서 수일에 걸친 유전자 발현의 변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비스페놀-A의 스테로이드호르몬 역할을 확인하기 전 3T3-L1 지방세포의 세포막 투과성을 확인하였다. 지방세포 분화 시 2일 동안 농도별 비스페놀-A를 노출 시켰으며, 세포와 세포 배양액을 분리하여 UHPC-MS/MS를 이용하여 비스페놀-A 함량을 측정하였다. 비스페놀-A는 배양액뿐만 아니라 세포내에서도 검출이 되었으며 처리 농도에 따라 증가되었다. 따라서, 비스페놀-A의 세포막 투과가 확인 되었다. 도5는 실험구 처리순서와 실험결과이다.
Figure pat00001
5. 당양지꽃 잎 추출물 제조방법 실시예
강원도 영월군에서 채집한 당양지꽃 잎을 건조 후 70% 에탄올을 3배수 넣어 상온에서 정치를 2회 실시하여 추출하였으며,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 후 감압농축하였다. 농축된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16.55%의 수율이 나타났다. 그러나, 상기 추출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열수 추출 또는 에탄올 추출 및 혼합추출 등의 방법도 사용가능하다.
6. 당양지꽃 잎 추출물의 세포독성 평가 실시예
당양지꽃 잎 추출물(LPE)의 세포독성평가를 XTT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20 μM 농도의 비스페놀-A, 비스페놀-S 및 비스페놀-F를 처리한 3T3-L1 지방세포에 50, 100, 200 μg/mL의 당양지꽃 잎 추출물을 처리하여 XTT assay를 이용하여 세포 독성을 확인하였으며, 모든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아 인체에 사용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도6은 실험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7. 당양지꽃 잎 추출물의 환경호르몬으로 유도된 이질축적억제 효능평가 실시예
비스페놀-A, 비스페놀-S 및 비스페놀-F로 유도된 3T3-L1 세포의 지질 축적을 당양지꽃 잎 추출물을 이용한 억제실험을 실시하였다. 중성지방만을 붉은색으로 염색하는 Oil Red O 염색법을 통해 3T3-L1 지방세포 내 생성된 중성지방의 양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7과 같다. 20 μM의 비스페놀-A, 비스페놀-S 및 비스페놀-F를 각각 지방세포 분화 전 전지방세포에서 6일간 처리하였으며, 분화 시 MI칵테일과 환경호르몬과 함께 당양지꽃 잎 추출물을 50, 100, 200 μ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으며 세포분화는 8일 동안 진행되었다. 그 결과 당양지꽃 잎 추출물은 농도 유의적으로 지질축적을 감소 시켰다. 특히 200 μg/mL 당양지꽃 잎 추출에서는 항산화와 항비만 효과로 널리 알려진 5 mM n-acetylcysteine(NAC)과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도7은 실험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위줄은 대조군(MDI)와 비스페놀-A, 비스페놀-S 및 비스페놀-F와 당양지꽃 잎 추출물을 처리양을 달리하며 실험한 실험구의 사진을 보여주고 있고, 아래는 그 결과를 측정하여 그래프로 도시하고 있다. 유의한 수준에서 이질축적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8. 당양지꽃 잎 추출물의 환경호르몬으로 유도된 ROS 생성억제 효능평가 실시예
활성산소종(ROS)는 지방세포의 분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포도당은 저장을 위해 세포내로 들어와 지방합성 경로를 거치게 되는데 이중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G6DPH)에 의해 지방합성에 필요한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NADPH)를 생성한다. 생성된 NADPH는 NADPH oxidase(NOX)에 의해 NADP+로 전환되면서 활성산소가 발생된다. 또한 활성산소는 지방세포의 분화를 유도하거나 세포 주변 대식세포를 자극하기 때문에 당뇨와 같은 대사성질환에 원인이 될 수 있다. ROS의 측정은 nitroblue tetrazoliu(NBT)와 ROS가 반응하여 형성된 dark blue formazan을 흡광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비스페놀-A, 비스페놀-S 및 비스페놀-F는 지방세포의 분화 시 활성산소 생성을 유도 하였으며, 당양지꽃 잎 추출물 처리로 ROS의 생성이 감소되었다. 또한 H2-DCFDA 형광염색을 통해 ROS를 측정하였다. DCF-DA는 세포막을 통해 확산되며 세포내 esterase에 의해 효소적으로 가수분해 되어 비형광성 DCF-H가 되며, 세포내 ROS가 존재할 경우 매우 빠르게 높은 형광을 띈 DCF로 산화되는 원리를 이용한 방법이다. 비스페놀-A, 비스페놀-S 및 비스페놀-F 처리로 인해 형광도가 증가되었으나, 당양지꽃 잎 추출물 처리로 감소되어 ROS의 생성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도8은 실험결과이다. 위줄은 대조군과 실험처리구 사진을 대비하여 도시하고 있고, 가운데 줄은 그 측정값을 그래프로 도시하고 있다.
9. 당양지꽃 잎 추출물의 환경호르몬으로 유도된 지방세포 분화관련 인자분석
20 μM 비스페놀-A, 비스페놀-S 및 비스페놀-F는 dexamethasone이 부재한 MI칵테일 처리에서 adipogenic transtription factors(PPARγ, C/EBPα 및 aP2)를 유의적으로 증가 시켰다.
본 발명의 당양지꽃 잎 추출물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항산화 및 항비만 효능이 뛰어난 NAC(n-acetylcysteine)를 대조군으로 실험에 추가하였다. 도9의 실험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NAC에 이한 adipogenic transtription factors의 발현이 억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당양지꽃 잎 추출물 또한 상기 NAC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수준에서 adipogenic transtription factors(PPARγ, C/EBPα 및 aP2)를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실험결과를 얻었다.
상기 실시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3T3-L1 지방세포의 분화를 위한 MDI칵테일에서는 비스페놀-A의 지질축적을 확인 할 수 없었으나, dexamethasone을 제외한 MI칵테일에서는 비스페놀류의 이상지질대사 및 산화적스트레스 유도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비스페놀류와 같은 내분비계교란 작용을 방어하는 소재로써 당양지꽃 잎 추출물을 사용하여 이상지질대사 및 활성산소종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작용효과 달성하기 위하여,
당양지꽃 잎 추출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스페놀류에 의한 이상지질대사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당양지꽃 잎 추출물의 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스페놀류에 의한 이상지질대사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스페놀류에 의한 이상지질대사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캡슐제, 산제, 과립제, 정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스페놀류에 의한 이상지질대사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당양지꽃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스페놀류에 의한 이상지질대사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당양지꽃 잎 추출물의 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스페놀류에 의한 이상지질대사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스페놀류에 의한 이상지질대사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Claims (7)

  1. 당양지꽃(Potentilla rugulosa Kitag.) 잎 추출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상지질대사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양지꽃 잎 추출물의 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지질대사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지질대사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캡슐제, 산제, 과립제, 정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지질대사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당양지꽃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상지질대사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당양지꽃 잎 추출물의 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지질대사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지질대사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200068011A 2020-06-05 2020-06-05 비스페놀류에 의한 이상 지질대사 개선 조성물 KR202101513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011A KR20210151338A (ko) 2020-06-05 2020-06-05 비스페놀류에 의한 이상 지질대사 개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011A KR20210151338A (ko) 2020-06-05 2020-06-05 비스페놀류에 의한 이상 지질대사 개선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338A true KR20210151338A (ko) 2021-12-14

Family

ID=78902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011A KR20210151338A (ko) 2020-06-05 2020-06-05 비스페놀류에 의한 이상 지질대사 개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133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123B1 (ko) 2004-05-11 2013-05-14 깃세이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지질 대사 이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KR101837444B1 (ko) 2016-10-25 2018-03-13 한국 한의학 연구원 양지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123B1 (ko) 2004-05-11 2013-05-14 깃세이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지질 대사 이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KR101837444B1 (ko) 2016-10-25 2018-03-13 한국 한의학 연구원 양지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rmar et al. Antidiabetic potential of Citrus sinensis and Punica granatum peel extracts in alloxan treated male mice
Jain et al. Crude tea extracts decrease the mutagenic activity of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in vitro and in intragastric tract of rats
Parmar et al. Medicinal values of fruit peels from Citrus sinensis, Punica granatum, and Musa paradisiaca with respect to alterations in tissue lipid peroxidation and serum concentration of glucose, insulin, and thyroid hormones
Oboh et al. Phenolic extract from Moringa oleifera leaves inhibits key enzymes linked to erectile dysfunction and oxidative stress in rats’ penile tissues
Ma et al. In vivo antioxidant activity of deacetylasperulosidic Acid in noni
Patro et al. In vitro and in vivo antioxidant evaluation and estimation of total phenolic, flavonoidal content of Mimosa pudica L
Costa et al. Protective effects of a mixture of antioxidant vitamins and minerals on the genotoxicity of doxorubicin in somatic cells of Drosophila melanogaster
Chalfoun-Mounayar et al. Antioxidant and Weight Loss Effects of PomegranateMolasses
US20210283088A1 (en) Chlorogenic acid composition for supporting healthy lipid levels
Shruthi et al. Gallic acid: A promising genoprotective and hepatoprotective bioactive compound against cyclophosphamide induced toxicity in mice
Charoensin et al. Toxicological and clastogenic evaluation of pinocembrin and pinostrobin isolated from Boesenbergia pandurata in Wistar rats
Jetawattana et al. Radical intermediate generation and cell cycle arrest by an aqueous extract of Thunbergia laurifolia Linn. In human breast cancer cells
WO2008018142A1 (fr) Composition antioxydante contenant un composant issu de l'écorce d'un arbre appartenant au genre acacia
KR20210151338A (ko) 비스페놀류에 의한 이상 지질대사 개선 조성물
US20070166415A1 (en) Safe medicine for treating and preventing cancer and method of use
Santiago Quiles et al. Genotoxicity of alkaloid-rich extract from Lupinus termis seeds
Singh et al. Effect of Butea monosperma leaf extracts on cyclophosphamide induced clastogenicity and oxidative stress in mice
Amzar et al. The Hepatoprotective Effect of Clidemia hirta against Carbon Tetrachloride (CCl 4)− Induced Oxidative Stress and Hepatic Damage in Mice
Tay et al. Inhibition of carbohydrate hydrolysing enzymes, antioxidant activity and polyphenolic content of Beilschmiedia species extracts
Kaleeswaran et al. Anti‐and pro‐mutagenic effects of silymarin in the ames bacterial reverse mutation assay
Ikumawoyi et al. Antigenotoxic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stem bark extract of Napoleona Vogelii Hook & Planch (Lecythidaceae) in cyclophosphamide-induced genotoxicity
Rochette et al. Effect of the pretreatment with acerola (Malpighia emarginata DC.) juice on ethanol-induced oxidative stress in mice–Hepatoprotective potential of acerola juice
Nasrullah et al. Phytochemical screening, antioxidant and anticholinesterase effects of Alangium salvifolium (LF) Wang root extracts
KR100905747B1 (ko) 안토시아닌을 함유하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에 의해유발된 위염 및 위궤양 치료용 조성물
Vijayakumar et al. Neuroprotective effect of Semecarpus anacardium against hyperammonemia in r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