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0798A - 전자기장 통증치료기 - Google Patents

전자기장 통증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0798A
KR20210150798A KR1020200067643A KR20200067643A KR20210150798A KR 20210150798 A KR20210150798 A KR 20210150798A KR 1020200067643 A KR1020200067643 A KR 1020200067643A KR 20200067643 A KR20200067643 A KR 20200067643A KR 20210150798 A KR20210150798 A KR 20210150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unit
electromagnetic field
flexible band
shape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5977B1 (ko
KR102465977B9 (ko
Inventor
이진혁
장우영
정택성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한회사 티엠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한회사 티엠엑스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67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977B1/ko
Publication of KR20210150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0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977B1/ko
Publication of KR102465977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977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2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coils, including single turn loops or electro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4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 A61N2/008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for pain treatment or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5Warming the body, e.g. hyperthermi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 Testing Relating To Insulation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장 통증치료기에 관한 것으로서, 플렉서블한 밴드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제1 코일이 매립되어 양단에 제1 접속단자가 구비되는 메인 플렉서블밴드와, 플렉서블한 밴드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제2 코일이 매립되고, 양단에 제1 접속단자에 접속되는 제2 접속단자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신체의 일영역이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환형상을 형성시키는 확장밴드를 포함하는 치료유닛; 메인 플렉서블밴드와 확장밴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 유닛; 및 치료유닛에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전력공급 유닛에서 공급되는 전력량을 조절하여 전기장을 조정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메인 플렉서블밴드와 확장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크기가 가변적으로 변경되어 신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환형상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기장 통증치료기{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ain controller}
본 발명은 전자기장 통증치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체의 조건에 따라 크기를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펄스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통증치료, 골절치유, 힘줄치유 및 회복을 촉진시킬 수 있는 전자기장 통증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기장은 표피부터 심부조직(혈관, 골관절 등)까지 매질의 특성에 관계없이 자속이 투과하여 혈류에 활기를 상승시켜 줄 뿐 아니라 혈액 속에 산소와 영양분을 결합시켜 각 세포조직과 기관에 운반시키며 신진대사 작용을 담당하고,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체내의 노폐물을 신속히 제거하여 질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자기장을 이용하여 인체 조직을 자극하여 통증이나 질병 등을 치료하는 다양한 치료 장치가 개발 되었다. 특히, 미국공개특허 제2013/0261374호(발명의 명칭: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장치 및 방법, 공개일: 2012년 6월 7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골다공증 치료나 관절염, 류마티스, 혈관 확장 등에 유용성을 갖는 장치들이 개발된 바 있다.
펄스 전자기장(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은 통증 민감성(sensitivity; nociception)과 억제(inhibition; analgesia)에 효과적인 것으로 많은 연구에서 보고되고 있다(C. Del Seppia et al. Neuroscience and Biobehavioral Reviews 2017. Pain perception and electromagnetic fields, Review article).
또한, 관절염환자에서 통증의 감소(이정찬 외 2004. 대한류마티스학회지. 무릎 골관절염에서의 펄스 전자기장 치료의 효과), 골절의 치료효과(Galli et al. Int J Biomater 2018. The Use of Pulsed Electromagnetic Fields to Promote Bone Responses to Biomaterials In Vitro and In Vivo), 힘줄수술 후 회복효과(Huegel et al. JSES 2018. Effects of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therapy at different frequencies and durations on rotator cuff tendon-to-bone healing in a rat model; Pesqueira et al. Scitific reports. 2017. Uncovering the effect of low-frequency static magnetic field on tendon-derived cells: from mechanosensing to tenogenesis) 등 여러 분야에서 펄스 전자기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이러한 자기장을 형성하는 장치는 그 크기가 변경할 수 없게 정해져 있기 때문에 신체적 조건에 따라 맞지 않아 사용이 불가능하거나 그 크기가 너무 커서 않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체의 조건에 따라 크기를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펄스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통증치료, 골절치유, 힘줄치유 및 회복을 촉진시킬 수 있는 전자기장 통증치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장 통증치료기는 플렉서블한 밴드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제1 코일이 매립되어 양단에 제1 접속단자가 구비되는 메인 플렉서블밴드와, 플렉서블한 밴드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제2 코일이 매립되고, 양단에 제1 접속단자에 접속되는 제2 접속단자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신체의 일영역이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환형상을 형성시키는 확장밴드를 포함하는 치료유닛; 메인 플렉서블밴드와 확장밴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 유닛; 및 치료유닛에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전력공급 유닛에서 공급되는 전력량을 조절하여 전기장을 조정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메인 플렉서블밴드와 확장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크기가 가변적으로 변경되어 신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환형상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여기서, 치료유닛은 제3 접속단자를 더 구비하며, 제4 접속단자를 구비하여 제3 접속단자에 탈부착가능하게 연결되며,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판형상의 내부에 제3 코일이 권취되어 치료유닛에 형성된 홀의 축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확장 치료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치료유닛의 외주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외선치료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유닛은 전자기장의 자속 밀도, 자속 발생 패턴, 자기장의 자극 범위 및 자극 강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조정되도록 치료유닛 또는 확장 치료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장 통증치료기는 신체의 조건에 따라 크기를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펄스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통증치료, 골절치유, 힘줄치유 및 회복을 촉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장 통증치료기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장 통증치료기의 결합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의 연결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 치료유닛의 확장결합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치료유닛의 확장결합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펄스 전자기장은 코일에 순간적으로 강한 전류를 흘리어 높은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것으로서, 펄스 전자기장을 형성시키는 것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장 통증치료기의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장 통증치료기의 결합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의 연결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통증치료기(10)는 치료유닛(110), 전력공급 유닛(120) 및 제어유닛(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치료유닛(110)은 사용자의 신체의 일영역이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환형상을 형성되어 그 내부에 배치된 신체의 일영역에 자기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메인 플렉서블밴드(111)와 확장밴드(112)가 서로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플렉서블밴드(111)는 평평한 플렉서블한 밴드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복수의 제1 코일(1111)이 매립되어 양단에 제1 접속단자(1112)가 구비된다. 메인 플렉서블밴드(111)는 평평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휘어지도록 벤딩력(M)을 가하게 되면, 도 2와 같이 휘어지게 구부릴 수 있다. 제1 코일(1111)은 확장밴드(112)와 결합되었을 때의 형상이 도 3 (a)와 같이 비대칭으로 형성되도록 매립되거나, 도 3 (b)와 같이 대칭으로 형성되도록 매립될 수 있다.
메인 플렉서블밴드(111)는 사용자가 손쉽게 그 형상을 휘게 할 수 있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코일(1111)에서 공급되는 전력으로 인해서 그 재질이 변하지 않고, 피부와 맞닿을 때에 피부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접속단자(1112)는 복수의 제1 코일(1111)에 연결될 수 있도록 복수의 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접속단자(1112)와 제2 접속단자(1122)가 연결되어 제1 코일(1111)이 펄스 자기장을 제공하도록 준비될 수 있다.
확장밴드(112)는 평평한 플렉서블한 밴드형상으로 형성되어 메인 플렉서블밴드(111)에 결합되어 메인 플렉서블밴드(111)가 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제2 코일(1121) 및 제2 접속단자(1122)를 구비한다. 확장밴드(112)는 평평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휘어지도록 벤딩력(M)을 가하게 되면, 도 2와 같이 휘어지게 구부릴 수 있다.
제2 코일(1121)은 확장밴드(112)에 구비된다. 확장밴드(112)는 전술한 메인 플렉서블밴드(111)와 동일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메인 플렉서블밴드(111)에 결합될 수 있도록 곡률을 형성하며 휘게 된다.
제2 접속단자(1122)는 확장밴드(112)의 양단에 구비되며, 확장밴드(112)의 내부에 매립된 복수의 제2 코일(1121)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접속단자(1122)는 제1 접속단자(1112)와 용이하면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핀과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결합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플렉서블밴드(111)와 확장밴드(112)를 연결할 때에는, 메인 플렉서블밴드(111)의 일측과 확장밴드(112)의 타측을 연결한 후에, 외력을 통해 원형형상으로 휘게 한 후에 다른 한쪽을 연결하는 방법을 통해서 원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그 연결방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메인 플렉서블밴드(111)와 확장밴드(112)는 외력에 의해서 곡률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크기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플렉서블밴드(111)와 확장밴드(112)의 다양한 결합조건을 통해 신체의 조건에 따라 환형상의 내경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변경시켜 신체조건에 따라 능동적인 대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전력공급 유닛(120)은 메인 플렉서블밴드(111)와 확장밴드(112)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력공급 유닛(120)은 콘센트 등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로 구비되어 휴대하여 외부에서 사용가능할 수도 있다.
제어유닛(130)은 치료유닛(110)에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전력공급 유닛에서 공급되는 전력량을 조절하여 전기장을 조정한다. 제어유닛(130)은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최적의 플렉서블밴드(111)와 확장밴드(112)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팔 또는 다리 등의 둘레길이를 입력하게 되면, 이에 최적화되는 플렉서블밴드(111)와 확장밴드(112)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에게 맞는 플렉서블밴드(111)와 확장밴드(112)를 결정하기 위해서 시행착오를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 치료유닛의 확장결합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장 통증치료기(10)는 확장 치료유닛(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확장 치료유닛(140)은 제4 접속단자(141)를 구비하여 치료유닛(110)에 구비되는 제3 접속단자(1113)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헤더(142), 제3 코일(143)을 구비할 수 있다.
제3 접속단자(141)는 제1 접속단자(1112)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헤더(142)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회동부(1421)를 통하여 치료유닛에 형성된 홀의 축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하로 회동할 수 있어 신체적인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3 코일(143)은 헤더(142)의 내부에 권취되어 제어유닛(130)의 제어에 따라 펄스 전자기장을 형성하게 된다.
확장 치료유닛(140)은 허리, 복부 및 목 부위와 같이 치료유닛(110)에 쉽게 삽입되기 어려운 신체부위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료유닛(110)에 신체의 일부가 삽입배치된 상태에서 동시에 펄스자기장을 형성함으로써 치료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치료유닛의 확장결합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장 통증치료기는 적외선 치료유닛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적외선치료유닛(150)은 치료유닛(110)의 외주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어댑터(151) 및 적외선발생부(152)를 구비할 수 있다.
어댑터(151)는 치료유닛(110)의 외주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적외선발생부(152)는 치료유닛(110)에 형성된 관통홀에 직각방향으로 배치되어 관통홀(110)을 따라 적외선이 방출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제어유닛(130)은 전자기장의 자속 밀도, 자속 발생 패턴, 자기장의 자극 범위 및 자극 강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조정되도록 치료유닛(110), 확장 치료유닛(140) 및 적외선치료유닛(150)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장 통증치료기는 신체의 조건에 따라 크기를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펄스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통증치료, 골절치유, 힘줄치유 및 회복을 촉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 치료유닛 111 : 플렉서블밴드
112 : 확장밴드 120 : 전력공급 유닛
130 : 제어유닛 140 : 확장 치료유닛
141 : 제4 접속단자 142 : 헤더
143 : 제3 코일 150 : 적외선치료유닛
151 : 어댑터 152 : 적외선발생부

Claims (4)

  1. 플렉서블한 밴드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제1 코일이 매립되어 양단에 제1 접속단자가 구비되는 메인 플렉서블밴드와, 플렉서블한 밴드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제2 코일이 매립되고, 양단에 상기 제1 접속단자에 접속되는 제2 접속단자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신체의 일영역이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환형상을 형성시키는 확장밴드를 포함하는 치료유닛;
    상기 메인 플렉서블밴드와 상기 확장밴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 유닛; 및
    상기 치료유닛에 환자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전력공급 유닛에서 공급되는 전력량을 조절하여 전기장을 조정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플렉서블밴드와 상기 확장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크기가 가변적으로 변경되어 신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환형상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장 통증치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유닛은,
    제3 접속단자를 더 구비하며,
    제4 접속단자를 구비하여, 상기 제3 접속단자에 탈부착가능하게 연결되며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판형상의 내부에 제3 코일이 권취되어 상기 치료유닛에 형성된 홀의 축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확장 치료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장 통증치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유닛의 외주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외선치료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장 통증치료기.
  4. 제1항 및 제2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전자기장의 자속 밀도, 자속 발생 패턴, 자기장의 자극 범위 및 자극 강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조정되도록 상기 치료유닛 또는 상기 확장 치료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장 통증치료기.
KR1020200067643A 2020-06-04 2020-06-04 전자기장 인가 장치 KR102465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643A KR102465977B1 (ko) 2020-06-04 2020-06-04 전자기장 인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643A KR102465977B1 (ko) 2020-06-04 2020-06-04 전자기장 인가 장치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798A true KR20210150798A (ko) 2021-12-13
KR102465977B1 KR102465977B1 (ko) 2022-11-10
KR102465977B9 KR102465977B9 (ko) 2022-12-27

Family

ID=78832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643A KR102465977B1 (ko) 2020-06-04 2020-06-04 전자기장 인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9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1598B1 (ko) 2022-09-26 2023-04-14 주식회사 엠엔 자기장 방식의 통증완화기기 및 그 통증완화기기의 구동방법
KR20240039949A (ko) 2022-09-20 2024-03-27 박원일 자기장 인가형 발열 매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58585A1 (en) * 2002-02-19 2003-08-21 Burnett Daniel R.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magnetic stimulation of nerve, muscle, and body tissues
KR20080025750A (ko) * 2005-06-29 2008-03-21 리제네텍 인코포레이티드 조직 재생 촉진용 전자기력
KR20110007358U (ko) * 2010-01-18 2011-07-26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자기 공명을 이용하는 인체 착용식 골절 치료기
KR20170124888A (ko) * 2016-05-03 2017-11-13 김영선 펄스전자기장자극 패치시스템
KR20180089683A (ko) * 2017-02-01 2018-08-0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목 부위 자극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58585A1 (en) * 2002-02-19 2003-08-21 Burnett Daniel R.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magnetic stimulation of nerve, muscle, and body tissues
KR20080025750A (ko) * 2005-06-29 2008-03-21 리제네텍 인코포레이티드 조직 재생 촉진용 전자기력
KR20110007358U (ko) * 2010-01-18 2011-07-26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자기 공명을 이용하는 인체 착용식 골절 치료기
KR20170124888A (ko) * 2016-05-03 2017-11-13 김영선 펄스전자기장자극 패치시스템
KR20180089683A (ko) * 2017-02-01 2018-08-0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목 부위 자극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9949A (ko) 2022-09-20 2024-03-27 박원일 자기장 인가형 발열 매트
KR102521598B1 (ko) 2022-09-26 2023-04-14 주식회사 엠엔 자기장 방식의 통증완화기기 및 그 통증완화기기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5977B1 (ko) 2022-11-10
KR102465977B9 (ko) 202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51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US9072891B1 (en) Wearable medical device
US201002226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gnetic induction therapy
US6371905B1 (en) Method of treating cardiovascular disease by angiogenesis
US67011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magnetic stimulation of nerve, muscle, and body tissues
US84351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gnetic induction therapy
US200402102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magnetic stimulation of nerve, muscle, and body tissues
TW201117849A (en) Implantable pulsed-radiofrequency micro-stimulation system
JP2013500081A (ja) 伝導性コイルのための冷却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70150035A1 (en) Multiple Selectable Field/Current-Voltage Pads Having Individually Powered and Controlled Cells
JP2013508119A (ja) 神経、筋肉および身体組織の電磁刺激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02511323A (ja) フォトマトリックス・デバイス
US20220167921A1 (en) Implant for continuous patient monitoring and intelligent treatment
JP2005514124A (ja) 骨粗鬆症、ヒップ及び脊椎の骨折、及び(又は)脊椎固定の予防及び(又は)治療に電界を用い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102465977B1 (ko) 전자기장 인가 장치
Yearwood et al. Peripheral neurostimulation with a microsize wireless stimulator
WO2013113297A1 (en) Electrode for percutaneous neurostimulation therapy and reflex movement detector
CN215025235U (zh) 一种脊髓神经刺激器
Matsuki et al. Signal transmission for implantable medical devices using figure-of-eight coils
JPWO2020181281A5 (ko)
WO200409870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magnetic stimulation of nerve, muscle, and body tissues
Shape et al. The friendly fields of RF: Encouraged by successes in fusing fractured bones, researchers look to electromagnetic fields for healing wounds and shrinking tumors
Nagelschmidt The Thermic Effects Produced by High-Frequency Currents
MXPA00009926A (en) Photomatrix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