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0775A - 배전선로 차단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전선로 차단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0775A
KR20210150775A KR1020200067588A KR20200067588A KR20210150775A KR 20210150775 A KR20210150775 A KR 20210150775A KR 1020200067588 A KR1020200067588 A KR 1020200067588A KR 20200067588 A KR20200067588 A KR 20200067588A KR 20210150775 A KR20210150775 A KR 20210150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current
distribution line
voltage
ground fa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5054B1 (ko
Inventor
석용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67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054B1/ko
Publication of KR20210150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0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6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 H02H7/30Staggered disconn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3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both voltage and current;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 and curr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04S10/52Outage or fault management, e.g. fault detection or lo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각 상별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는 측정부,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배전선로의 각 상별 전압 및 전류를 토대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을 산출하고,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에 기반하여 고저항 지락 고장의 발생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고저항 지락 고장이 검출되는 경우, 설정된 대기시간 이후에 상기 배전선로를 차단시키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전선로 차단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OFF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선로 차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저항 지락 고장이 발생한 고장 구간을 배전선로에서 분리시키도록 배전선로를 차단시킬 수 있는 배전선로 차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전선로 인근에 수목 및 기타 이물질의 접촉하거나 전선 단선되는 경우 고저항 지락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고저항 지락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높은 임피던스가 발생하고, 발생된 높은 임피던스로 인하여 고장전류의 크기는 배전선로의 정상 상태에서 측정되는 정상전류와 큰 차이가 없어, 배전선로에서 과전류를 검출하여 고장 발생을 검출하는 일반적인 배전선로 보호방식으로는 고저항 지락고장을 검출에 한계가 존재한다.
이처럼, 현행 3상 4선식의 배전계통에서는 정상전류의 크기와 유사한 고저항 지락고장 및 부접지 단선고장의 검출이 불가하므로, 고저항 지락고장 발생에 따른 정전, 감전, 화재 등으로 인한 인적 및 경제적 손실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배전선로의 주요 보호체계는 변전소의 개폐기와 리클로저를 중심으로 구성되며, 배전선로의 주요 보호기기인 리클로저의 최소동작 전류 설정치는 단락고장의 경우 50A 이상이고, 지락고장의 경우 25A 이상이므로, 고저항 선로, 장긍장 선로, 말단선로 등의 저전류 구간에서의 고장 검출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82026호(2019.05.20.)의 '지능형 단말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고저항 지락 고장이 발생한 고장 구간을 배전선로에서 분리시키도록 배전선로를 차단시킬 수 있는 배전선로 차단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전선로 차단 장치는 배전선로의 각 상별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배전선로의 각 상별 전압 및 전류를 토대로 상기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에 기반하여 고저항 지락 고장의 발생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고저항 지락 고장이 검출되는 경우, 설정된 대기시간 이후에 상기 배전선로를 차단시키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검출부는, 상기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을 상기 배전선로의 정상 상태에서 측정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고저항 지락 고장의 발생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검출부는, 상기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에서 기 설정된 기준시간 내에 기 설정된 기준횟수 이상의 특이파형이 검출되거나, 상기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이 상기 정상 상태에서 측정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 대비 기 설정된 기준비율 이상 증가된 상태로 기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고저항 지락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검출부는, 상기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을 토대로 각 상별 위상각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각 상별 위상각이 모두 변화한 경우, 고저항 지락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검출부는, 상기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으로부터 고조파를 각각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고조파에 기반하여 고저항 지락 고장의 발생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차단부는, 상기 배전선로의 임피던스를 계산하여 고저항 지락 고장 발생 시 고장전류의 크기를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고장전류의 크기 및 상기 배전선로에서 측정된 전류의 크기를 비교하여 고저항 지락 고장이 발생한 위치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대기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전선로 차단 방법은 측정부가, 배전선로의 각 상별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검출부가, 상기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배전선로의 각 상별 전압 및 전류를 토대로 상기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에 기반하여 고저항 지락 고장의 발생을 검출하는 단계; 및 차단부가, 고저항 지락 고장이 검출되는 경우, 설정된 대기시간 이후에 상기 배전선로를 차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검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을 상기 배전선로의 정상 상태에서 측정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고저항 지락 고장의 발생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검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에서 기 설정된 기준시간 내에 기 설정된 기준횟수 이상의 특이파형이 검출되거나, 상기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이 상기 정상 상태에서 측정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 대비 기 설정된 기준비율 이상 증가된 상태로 기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고저항 지락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검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을 토대로 각 상별 위상각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각 상별 위상각이 모두 변화한 경우, 고저항 지락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검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으로부터 고조파를 각각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고조파에 기반하여 고저항 지락 고장의 발생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차단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배전선로의 임피던스를 계산하여 고저항 지락 고장 발생 시 고장전류의 크기를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고장전류의 크기 및 상기 배전선로에서 측정된 전류의 크기를 비교하여 고저항 지락 고장이 발생한 위치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대기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전선로에서 측정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에 기반하여 고저항 지락 고장의 발생을 검출하고, 고저항 지락 고장이 발생한 경우 고저랑 지락 고장이 발생한 고장 구간을 배전선로에서 분리시키도록 배전선로를 차단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차단 장치가 배전선로에 구비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차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차단 장치를 통해 고저항 지락 고장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차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차단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차단 장치가 배전선로에 구비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차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차단 장치를 통해 고저항 지락 고장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차단 장치는 리클로저(R/C) 및 인입 개폐기(G/A)와 함께 배전선로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배전선로 차단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구간으로 구분된 배전선로의 각 구간에 각각 구비되어, 배전선로에 고저항 지락 고장(High Impedance Fault), 부접지 단선(Open Conductor) 등의 저전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고장이 발생한 구간을 배전선로에서 분리시키도록 배전선로를 차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5~6개의 구간으로 구분된 배전선로의 각 구간에 배전선로 차단 장치가 각각 구비되어, 각 구간에서 고저항 지락 고장, 부접지 단선 등의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구간에 대응하는 배전선로 차단 장치가 배전선로를 차단하여 해당 구간을 배전선로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이처럼, 적어도 하나의 구간으로 구분된 배전선로의 각 구간에 각각 구비되는 배전선로 차단 장치를 통해 배전선로의 각 구간에서 발생하는 미소 변화를 관찰하여 고저항 지락 고장, 부접지 단선 등의 이상을 검출하고, 이상이 검출되는 경우 배전선로를 차단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차단 장치는 측정부(100), 검출부(200) 및 차단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100)는 배전선로의 각 상별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부(100)는 계기용 변류기(CT; Current Transformer)를 이용하여 3상 4선식 배전선로을 통해 공급되는 각 상별(R상, S상, T상) 전류를 측정하고, 계기용 변압기(PT; Potential Transformer)를 이용하여 3상 4선식 배전선로를 통해 공급되는 각 상별(R상, S상, T상)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전선로를 통해 공급되는 각 상별 전류 및 전압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검출부(200)는 측정부(100)를 통해 측정된 배전선로의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을 토대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을 산출하고,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에 기반하여 고저항 지락 고장의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부(200)는 측정부(100)를 통해 측정된 배전선로의 각 상별 전압 및 전류를 토대로 시간에 따른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을 산출할 수 있다.
이어서, 검출부(200)는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을 배전선로의 정상 상태에서 측정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고저항 지락 고장의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검출부(200)는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에서 기 설정된 기준시간 내에 기 설정된 기준횟수 이상의 특이파형이 검출되거나,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이 정상 상태에서 측정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 대비 기 설정된 기준비율 이상 증가된 상태로 기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고저항 지락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a)와 같이, 검출부(200)는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에서 정상 상태에서 측정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과 다른 특이파형이 기준시간(예: 3Cycle) 내에 3회 이상 반복하여 발생하는 경우 고저항 지락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b)와 같이, 검출부(200)는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이 정상 상태에서 측정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 대비 기준비율(예: 100%) 이상 증가된 상태로 기준시간(예: 3Cycle) 동안 지속되는 경우 고저항 지락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검출부(200)는 부하변동 등으로 인한 오판단의 가능성을 배제시키기 위하여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을 토대로 각 상별 위상각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각 상별 위상각이 모두 변화한 경우 고저항 지락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검출부(200)는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으로부터 고조파를 각각 추출하고, 추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고조파에 기반하여 고저항 지락 고장의 발생을 검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검출부(200)는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으로부터 제3고조파 및 제5고조파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고, 추출된 각 상별 제3고조파 및 제5고조파 중 적어도 하나가 정상 상태에서 측정된 제3고조파 및 제5고조파 중 적어도 하나와 기 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기 설정된 기준비율 이상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고저항 지락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고저항 지락 고장 차단 장치는 배전선로를 통해 공급되는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고조파 성분의 변화분과 주기성을 감시하여 고저항 지락 고장(High Impedance Fault), 부접지 단선(Open Conductor) 등의 저전류 고장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차단부(300)는 고저항 지락 고장이 검출되는 경우, 설정된 대기시간 이후 배전선로를 차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으로부터 추출된 제3고조파 및 제5고조파 중 적어도 하나가 정상 상태에서 측정된 제3고조파 및 제5고조파 중 적어도 하나와 기 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기 설정된 기준비율 이상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차단부(300)는 고저항 지락 고장이 발생된 구간을 배전선로에서 분리시키도록 배전선로를 차단시킬 수 있다.
이때, 차단부(300)는 배전선로의 임피던스를 계산하여 고저항 지락 고장 발생 시 고장전류의 크기를 예측하고, 예측된 고장전류의 크기 및 배전선로에서 측정된 전류의 크기를 비교하여 고저항 지락 고장이 발생한 위치를 산출하며, 산출된 위치에 기반하여 대기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고저항 지락 고장 발생 시, 고장이 발생된 배전선로의 구간에서 멀어질수록 배전선로의 임피던스로 인하여 고장이 발생된 구간에서의 고장전류보다 낮은 고장전류가 검출된다.
따라서, 고저항 지락 고장 발생 시의 고장전류의 크기를 예측하고, 예측된 고장전류의 크기와 현재 배전선로에서 측정된 전류의 크기를 비교하면, 고저항 지락 고장이 발생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후, 차단부(300)는 고저항 지락 고장이 발생한 배전선로 구간의 위치에 기반하여 대기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차단부(300)는 고저항 지락 고장이 발생한 위치가 해당 배전선로 차단 장치로부터 멀수록 대기시간을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저항 지락 고장 발생 시의 고장전류의 크기를 예측하고, 예측된 고장전류의 크기와 현재 배전선로에서 측정된 전류의 크기를 비교하여 고저항 지락 고장이 발생한 위치를 파악한 후, 고저항 지락 고장이 발생한 위치에 기반하여 차단부(300)의 대기시간을 설정함으로써 별도에 통신 장비 없이도 배전선로의 각 구간에 배치된 배전선로 차단 장치 간에 순차협조를 통해 고저항 지락 고장이 발생된 위치에 근접한 배전선로 차단 장치부터 순차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차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고하여, 배전선로 차단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S100 단계에서, 측정부(100)는 배전선로의 각 상별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S200 단계에서, 검출부(200)는 측정부(100)를 통해 측정된 배전선로의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을 토대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을 산출하고,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에 기반하여 고저항 지락 고장의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S200 단계에서, 검출부(200)는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을 배전선로의 정상 상태에서 측정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고저항 지락 고장의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S200 단계에서, 검출부(200)는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에서 기 설정된 기준시간 내에 기 설정된 기준횟수 이상의 특이파형이 검출되거나,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이 정상 상태에서 측정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 대비 기 설정된 기준비율 이상 증가된 상태로 기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고저항 지락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S200 단계에서, 검출부(200)는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을 토대로 각 상별 위상각을 산출하고, 산출된 각 상별 위상각이 모두 변화한 경우, 고저항 지락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S200 단계에서, 검출부(200)는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으로부터 고조파를 각각 추출하고, 추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고조파에 기반하여 고저항 지락 고장의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S300 단계에서, 차단부(300)는 고저항 지락 고장이 검출되는 경우, 설정된 대기시간 이후 배전선로를 차단시킬 수 있다.
S300 단계에서, 차단부(300)는 배전선로의 임피던스를 계산하여 고저항 지락 고장 발생 시 고장전류의 크기를 예측하고, 예측된 고장전류의 크기 및 배전선로에서 측정된 전류의 크기를 비교하여 고저항 지락 고장이 발생한 위치를 산출하며, 산출된 위치에 기반하여 대기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차단 장치 및 방법은 배전선로에서 측정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에 기반하여 고저항 지락 고장의 발생을 검출하고, 고저항 지락 고장이 발생한 경우 고저랑 지락 고장이 발생한 고장 구간을 배전선로에서 분리시키도록 배전선로를 차단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측정부
200: 검출부
300: 차단부

Claims (12)

  1. 배전선로의 각 상별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배전선로의 각 상별 전압 및 전류를 토대로 상기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에 기반하여 고저항 지락 고장의 발생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고저항 지락 고장이 검출되는 경우, 설정된 대기시간 이후에 상기 배전선로를 차단시키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차단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을 상기 배전선로의 정상 상태에서 측정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고저항 지락 고장의 발생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차단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에서 기 설정된 기준시간 내에 기 설정된 기준횟수 이상의 특이파형이 검출되거나, 상기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이 상기 정상 상태에서 측정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 대비 기 설정된 기준비율 이상 증가된 상태로 기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고저항 지락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차단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을 토대로 각 상별 위상각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각 상별 위상각이 모두 변화한 경우, 고저항 지락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차단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으로부터 고조파를 각각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고조파에 기반하여 고저항 지락 고장의 발생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차단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배전선로의 임피던스를 계산하여 고저항 지락 고장 발생 시 고장전류의 크기를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고장전류의 크기 및 상기 배전선로에서 측정된 전류의 크기를 비교하여 고저항 지락 고장이 발생한 위치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대기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차단 장치.
  7. 측정부가, 배전선로의 각 상별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검출부가, 상기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배전선로의 각 상별 전압 및 전류를 토대로 상기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에 기반하여 고저항 지락 고장의 발생을 검출하는 단계; 및
    차단부가, 고저항 지락 고장이 검출되는 경우, 설정된 대기시간 이후에 상기 배전선로를 차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차단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을 상기 배전선로의 정상 상태에서 측정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고저항 지락 고장의 발생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차단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에서 기 설정된 기준시간 내에 기 설정된 기준횟수 이상의 특이파형이 검출되거나, 상기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이 상기 정상 상태에서 측정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 대비 기 설정된 기준비율 이상 증가된 상태로 기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고저항 지락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차단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을 토대로 각 상별 위상각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각 상별 위상각이 모두 변화한 경우, 고저항 지락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차단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산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파형으로부터 고조파를 각각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각 상별 전압 및 전류의 고조파에 기반하여 고저항 지락 고장의 발생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차단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배전선로의 임피던스를 계산하여 고저항 지락 고장 발생 시 고장전류의 크기를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고장전류의 크기 및 상기 배전선로에서 측정된 전류의 크기를 비교하여 고저항 지락 고장이 발생한 위치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대기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차단 방법.
KR1020200067588A 2020-06-04 2020-06-04 배전선로 차단 장치 및 방법 KR102485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588A KR102485054B1 (ko) 2020-06-04 2020-06-04 배전선로 차단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588A KR102485054B1 (ko) 2020-06-04 2020-06-04 배전선로 차단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775A true KR20210150775A (ko) 2021-12-13
KR102485054B1 KR102485054B1 (ko) 2023-01-06

Family

ID=78832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588A KR102485054B1 (ko) 2020-06-04 2020-06-04 배전선로 차단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0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56660A (zh) * 2023-06-16 2023-09-15 国网四川省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单相导线接触植被引燃预测方法、系统及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996B1 (ko) * 2010-05-11 2011-01-21 미래전기 주식회사 전차선 고장 점 위치를 측정하는 표정방법 및 그 장치
KR20120136952A (ko) * 2011-06-10 2012-12-20 한국전력공사 고저항 지락고장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77141B1 (ko) * 2012-10-31 2013-06-20 네오피스 주식회사 전자식 전력량계와 이의 배전계통 감시방법
KR101451818B1 (ko) * 2013-06-19 2014-10-16 인텍전기전자 주식회사 전압변동률과 고조파 연산을 통한 지락고장 검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996B1 (ko) * 2010-05-11 2011-01-21 미래전기 주식회사 전차선 고장 점 위치를 측정하는 표정방법 및 그 장치
KR20120136952A (ko) * 2011-06-10 2012-12-20 한국전력공사 고저항 지락고장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77141B1 (ko) * 2012-10-31 2013-06-20 네오피스 주식회사 전자식 전력량계와 이의 배전계통 감시방법
KR101451818B1 (ko) * 2013-06-19 2014-10-16 인텍전기전자 주식회사 전압변동률과 고조파 연산을 통한 지락고장 검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56660A (zh) * 2023-06-16 2023-09-15 国网四川省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单相导线接触植被引燃预测方法、系统及介质
CN116756660B (zh) * 2023-06-16 2024-02-06 国网四川省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单相导线接触植被引燃预测方法、系统及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5054B1 (ko) 202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27727C1 (ru) Безопасный операционный способ снижения напряжения и устранения искрения фазы замыкания на землю выключенной системы заземления
US6718271B1 (en) Fault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detecting faults in an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
CA2527086C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detection of fault current arcing in electric circuits
US8680872B2 (en) Identification of false positives in high impedance fault detection
US6453248B1 (en) High impedance fault detection
EP1195874B1 (en)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a faulting or faulted sending end or feeder branch in an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MX2007010546A (es) Aparato y metodo para detectar la perdida de una conexion transformadora de corriente que acopla un rele diferencial limitacorriente a un elemento de un sistema de energia.
US201503462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ulsed ground fault detection and localization
US20130229735A1 (en) High-impedance fault detection and isolation system
KR20080093169A (ko) 위상각 산출에 의한 누설전류 측정 및 누전차단 방법
KR100246203B1 (ko) 송전선로 고저항 지락 고장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A2776261A1 (en) Method of high impedance groundfault detection for differential protection of overhead transmission lines
SE536143C2 (sv) Metod för att detektera jordfel i trefas elkraftdistributionsnät
CN107102236A (zh) 一种基于故障后波形相关分析的单相接地故障选线方法
Lin et al. Zero-sequence compensated admittance based faulty feeder selection algorithm used for distribution network with neutral grounding through Peterson-coil
CN111969575B (zh) 配电网单相接地故障消弧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6526429B (zh) 一种具有纠错功能的接地故障选线方法
Hänninen et al. Method for detection and location of very high resistive earth faults
KR20210150775A (ko) 배전선로 차단 장치 및 방법
Taft Fault intelligence: Distribution grid fault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KR20180113402A (ko) 절연 열화에 의한 삼상 누설전류 측정방법을 이용한 지능형 전력설비 고장 예지 시스템 및 방법
CN209746073U (zh) 一种用于配电网接地故障监测的信息采集装置
EP1139539B1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electrical insulation state of the sending end of an electric network
WO2021209180A1 (en) Fault detection in a power transmission system
KR102485092B1 (ko) 배전계통 단선 검출 장치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