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0755A - Propulsion booster - Google Patents

Propulsion boos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0755A
KR20210150755A KR1020200067562A KR20200067562A KR20210150755A KR 20210150755 A KR20210150755 A KR 20210150755A KR 1020200067562 A KR1020200067562 A KR 1020200067562A KR 20200067562 A KR20200067562 A KR 20200067562A KR 20210150755 A KR20210150755 A KR 20210150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housing
driving force
housing
upper hous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5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41086B1 (en
Inventor
김세영
박철훈
함상용
김병인
한병길
박찬훈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67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086B1/en
Publication of KR20210150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07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0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2Helicoid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3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0Heels with metal springs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pulsion amplification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propulsion amplification device comprising: a body comprising an upper part housing and a lower part housing hinge-coupled to the upper part housing; and a propulsion reinforcement part that helps to widen an angle formed by the upper part housing and the lower part housing with a stored force, after being located between the upper part housing and the lower part housing and storing the force transmitted in a process of narrowing the angle formed by the upper part housing and the lower part housing.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having an advantage for which a structure for amplifying a propulsion force can be simplified.

Description

추진력 증폭장치{Propulsion booster}Propulsion booster {Propulsion booster}

본 발명은 추진력 증폭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걷거나 달리는 상황에서 발이 지면과 접하며 발생하는 충돌 에너지를 추진력 증폭에 활용하여, 이동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추진력 증폭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force amplify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iving force amplify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movement speed by utilizing collision energy generated when a foo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in a walking or running situation to amplify the driving force.

종래의 달리기 속도를 증가시키는 추진력 증폭 장치는 인체의 다리 길이를 늘리거나, 마찰력을 증가시켜 발이 지면을 밀어주는 시점에서 보다 높은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형태였다.The conventional propulsion amplification device for increasing the running speed has a form that can obtain a higher propulsion force at the point in time when the foot pushes the ground by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legs of the human body or by increasing the frictional force.

그러나, 인체의 다리 길이를 늘려주는 장치의 경우 부피가 매우 크기 때문에 보관이 어려웠고, 장치 착용 시 착용자의 달리기 모션이 장비를 착용하기 전 모션과 차이를 가지기 때문에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일상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장치를 착용하기 전과 후의 달리기 모션이 달라지면서 적응기간이 필요한 문제점 또한 가지고 있었으며, 마찰력을 높여주는 장비의 경우 속도증가 효과가 불충분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a device that increases the length of the legs of the human body, it is difficult to store because it is very bulky, and since the running motion of the wearer when wearing the device has a difference from the motion before wearing the device, it is possible to perform daily life while wearing the device. Not only could it not be possible, but it also had a problem that required an adaptation period as the running motion before and after wearing the device was different, and in the case of equipment that increases friction,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peed was insufficient.

따라서, 착용전과 후의 달리기 모션 변화가 최소화 되어 사용자가 일상 생활에서 사용 가능하고, 쉽게 적응할 수 있으며, 충분한 속도 증가를 체감할 수 있는 새로운 추진력 증폭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the change in running motion before and after wearing is minimized so that the user can use it in daily life, can easily adapt, and there is a need for a new propulsion amplifying device that can experience a sufficient increase in speed.

특허문헌 1) 국내등록특허공보 제2035510호(명칭: 바이오피드백이 가능한 발목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 공개일: 2019.08.14)Patent Document 1) Domestic Registration Patent Publication No. 2035510 (Name: Ankle-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capable of biofeedback, publication date: August 14, 2019) 특허문헌 2)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693750호(명칭: 발목 강성 보조를 위한 신발 결합형 착용기, 공고일: 2015.06.25.)Patent Document 2) Domestic Registration Patent Publication No. 1693750 (Name: Shoe-coupled wearer for ankle stiffness assistance, Announcement date: June 25, 2015)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자가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일상생활을 행할 시 느낄 수 있는 불편을 최소화 가능한 추진력 증폭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pulsion amplifying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the inconvenience that a wearer may feel when performing daily life while wearing the device.

또한, 착용자가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달릴 경우 충분한 속도 증가를 체감할 수 있는 추진력 증폭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driving force amplifying device capable of experiencing a sufficient increase in speed when the wearer runs while wearing the device.

그리고, 장치 착용전과 장치 착용후의 착용자 모션 변화를 최소화 하여 장치 적응 시간을 최소화 가능한 추진력 증폭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d, to provide a driving force amplifying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the device adaptation time by minimizing the wearer's motion change before and after wearing the devic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추진력 증폭장치는, 상부 하우징(110)과, 상기 상부 하우징(110)과 힌지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120)을 포함하는 몸체(100); 및 상기 상부 하우징(110)과 상기 하부 하우징(120)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110)과 상기 하부 하우징(120)이 형성하는 각도가 좁아지는 과정에서 전달되는 힘을 저장한 후, 저장된 힘으로 상기 상부 하우징(110)과 상기 하부 하우징(120)이 형성하는 각도가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opulsion amplif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ody 100 comprising an upper housing 110, and a lower housing 120 hinged to the upper housing 110; And it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housing 110 and the lower housing 120, and after storing the force transmitted in the process of narrowing the angle formed by the upper housing 110 and the lower housing 120, the stor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formed by the upper housing 110 and the lower housing 120 is widened by force.

또한, 상기 추진력 보강부(200)는 스프링, 탄성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opulsion reinforcement part 2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y one or more of a spring and an elastic body.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120)은 상기 상부 하우징(110)보다 폭방향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wer housing 12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direction length is shorter than that of the upper housing 110 .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120)은 지면과 접하는 하면이 굴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wer housing 12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ground is formed to be curved.

또한, 상기 추진력 보강부(200)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상부 하우징(110)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하부 하우징(120)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하부 하우징(120)과 접하는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opulsion reinforcing part 200 has one longitudinal side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110 , the other longitudinal side facing the lower housing 120 , and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lower housing 120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pole is variable.

또한, 상기 추진력 보강부(200)는 압축 스프링(200A)을 포함하고, 상기 추진력 보강부(200)의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되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310)와,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310)가 움직이는 범위를 제한하는 제1 이탈방지 가이드(320)를 포함하는 제1 가이드부(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opulsion reinforcing part 200 includes a compression spring 200A, and a first guide plate 310 coupled to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pulsive force reinforcing part 200, and the first guide plate 310 .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guide part 300 including a first departure prevention guide 320 that limits the range of movement.

또한,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310)는 가장자리에 가이드 돌기(3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이탈방지 가이드(320)는 상기 가이드 돌기(311)가 끼워지는 제1 가이드 홈(3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guide plate 310 has a guide protrusion 311 formed on the edge, and the first separation prevention guide 320 has a first guide groove 321 into which the guide protrusion 311 is fitted. characterized by being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120)은 상면에 외부에서 인가되는 충격을 감쇠하는 충격 흡수부(121)가 상기 추진력 보강부(200)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wer housing 120 is characterized in that a shock absorbing part 121 for damping an externally applied shock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to face the driving force reinforcement part 200 .

또한, 상기 몸체(100)는 상기 상부 하우징(110)과 상기 하부 하우징(120)을 힌지 연결하는 조인트부(130)와, 상기 추진력 보강부(2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조인트부(130)와 마주보며 배치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110)과 상기 하부 하우징(120)을 연결하는 이탈 방지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dy 100 includes a joint part 130 connecting the upper housing 110 and the lower housing 120 by a hinge, and the joint part 130 with the driving force reinforcement part 200 interposed therebetween. It is disposed facing the upper housing 110 and the lower housing 120,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140 for connecting.

또한, 상기 추진력 보강부(200)는 판 스프링(200B)을 포함하고,In addition, the propulsion reinforcement part 200 includes a leaf spring (200B),

상기 하부 하우징(120)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판 스프링(200B)의 길이방향 타측이 삽입되며, 상기 판 스프링(200B)이 움직이는 범위를 제한하는 제2 가이드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housing 120,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af spring 200B is inserted,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guide part 400 that limits the range in which the leaf spring 200B moves. characterized.

본 발명인 추진력 증폭장치는, 착용자가 달릴 시 서로 힌지 결합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형성하는 각도가 변형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힘을 이용하여 추진력을 증가시키므로, 추진력을 증폭시키기 위한 구조를 단순화 가능한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s driving force amplifying device increases the driving force by using the force generated in the process where the angle formed by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hinged to each other when the wearer runs, so the structure for amplifying the driving force can be simplified. There is this.

상세히 설명하면, 구조를 단순화 가능하므로, 장치가 작게 제작되어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착용한 상태로 사용자가 일상 생활을 행할 경우 느낄 수 있는 불편함 또한 최소화 가능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In detail, since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the device is made small and easy to store,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inconvenience that a user may feel when performing daily life while wearing it can also be minimized.

그리고, 추진력 보강부(스프링, 탄성체)의 일측이 상부 하우징에 결합되되 타측이 하부 하우징과 결합되지 않고 기구 움직임에 대응하여 움직일 수 있는 구조를 가져, 추진력 보강부 양단이 모두 지정된 위치에 고정될 경우 발생하는 기구학적 구속(Kinematic Constraints)으로 인한 효율저하 문제를 해결 가능한 장점이 있다.And, one side of the propulsion reinforcing part (spring, elastic body) is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but the other side is not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and has a structure that can move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mechanism.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olve the problem of efficiency degradation due to the occurring kinematic constraint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추진력 증폭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추진력 증폭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추진력 증폭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달리는 상황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추진력 증폭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추진력 증폭장치에서 사용되는 추진력 보강부 상에 제1 가이드 플레이트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추진력 증폭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iving force amplify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driving force amplify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is running while wearing the driving force amplify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iving force amplify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first guide plate is coupled to the driving force reinforcement part used in the driving force ampl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iving force amplify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추진력 증폭장치(1000)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driving force amplification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추진력 증폭장치(10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추진력 증폭장치(1000)를 나타낸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iving force amplifying device 10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driving force amplifying device 10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추진력 증폭장치(1000)는 상측에 위치되는 상부 하우징(110)과, 상기 상부 하우징(110)과 힌지 결합되며 하측에 위치되는 하부 하우징(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몸체(100)와, 상기 상부 하우징(110)과 상기 하부 하우징(120)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110)과 상기 하부 하우징(120)이 형성하는 각도가 좁아지는 과정에서 전달되는 힘을 저장한 후, 저장된 힘으로 상기 상부 하우징(110)과 상기 하부 하우징(120)이 형성하는 각도가 넓어지는 것을 보조하는 추진력 보강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추진력 보강부(200)는 스프링, 탄성체 등 외력에 대응하여 변형된 후 복원하려는 성질을 가지는 다양한 물체일 수 있다.1, the present invention propulsion amplification device 1000 is a body comprising an upper housing 110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a lower housing 120 hinged with the upper housing 110 and located on the lower side ( 100), and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housing 110 and the lower housing 120, and stores the force transmitted during the narrowing of the angle formed by the upper housing 110 and the lower housing 120. Then, the stored force may include a thrust reinforcement part 200 that assists in widening the angle formed by the upper housing 110 and the lower housing 120, and the thrust reinforcement part 200 is a spring , an elastic body, etc. may be various objects having a property to be restored after being deformed in response to an external force.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상부 하우징(110) 상에 하중이 인가되면, 상부 하우징(110)이 조인트부(130)를 축으로 회전하여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이 형성하는 각도가 줄어들게 되므로, 상기 상부 하우징(110)과 상기 하부 하우징(120) 사이에 추진력 보강부(200)를 위치시켜,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이 형성하는 각도를 좁히는 하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추진력 보강부(200)가 변형되고, 상부 하우징(110)에 인가되는 힘이 약해지면 변형되었던 추진력 보강부(200)가 기존의 형상으로 복원하려는 힘이 추진력으로 작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In detail, when a load is applied on the upper housing 110 , the upper housing 110 rotates the joint part 130 about the axis so that the angle formed by the upper housing 110 and the lower housing 120 is reduced. Therefore, the driving force reinforcement unit 200 is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housing 110 and the lower housing 120 to naturally reinforce the driving force by a load that narrows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upper housing 110 and the lower housing 120 . When the portion 200 is deformed and the force applied to the upper housing 110 is weakened, the force to restore the deformed propulsion reinforcing unit 200 to its original shape can act as a propulsive force.

다시한번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하우징(110) 상에 신발(1)을 장착하여 추진력 증폭 모듈을 형성한 후, 사용자가 신발(1)을 착용한 상태에서 걷거나 달릴 경우, 사용자의 발이 지면과 접하는 모션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110)에 사용자의 체중이 인가되며 상기 추진력 보강부(200)가 변형되고, 사용자의 발이 지면과 떨어지는 모션에서 상부 하우징(110)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체중이 줄어들며 추진력 보강부(200)가 복원되며 사용자의 발을 밀어 사용자의 보행 또는 달리기 속도를 가속할 수 있게 한 것이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2 , after forming the driving force amplification module by mounting the shoe 1 on the upper housing 110 , when the user walks or runs while wearing the shoe 1 , The user's weight is applied to the upper housing 110 in the motion of the user's foot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 propulsion reinforcement unit 200 is deformed, and the user's foot is applied to the upper housing 110 in the motion of the user's foot falling from the ground. As the weight is reduced, the propulsion reinforcement unit 200 is restored, and the user's foot is pushed to accelerate the user's walking or running speed.

이때, 상기 추진력 보강부(200)는 인가되는 힘에 의해 변형된 후 복원되려는 성질을 가지는 압축 스프링, 판 스프링 및 다양한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추진력 보강부(200)의 압축이 사용자의 발이 지면과 접하며 상부 하우징(110)으로 인가되는 하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발생하므로, 추진력을 증폭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힘이 필요 없어 사용자가 장치를 착용하며 느낄 수 있는 불편함을 최소화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propulsion reinforcing unit 200 may include compression springs, leaf springs and various elastic bodies having properties to be restored after being deformed by an applied force. Since the feet of the feet are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are naturally generated by the load applied to the upper housing 110, there is no need for additional force to amplify the driving force, so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iscomfort that the user may feel while wearing the device.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120)은 상면에 외부에서 인가되는 충격을 감쇠하는 충격 흡수부(121)가 상기 추진력 보강부(200)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몸체(100)는 상기 추진력 보강부(2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조인트부(130)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110)과 상기 하부 하우징(120)을 연결하는 이탈 방지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lower housing 120, a shock absorbing part 121 for damping an externally applied shock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to face the driving force reinforcement part 200, and the body 100 is the driving force reinforcement part ( 200 , which is disposed to face the joint part 130 , and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ion preventing part 140 connecting the upper housing 110 and the lower housing 120 .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추진력 보강부(200)는 기구학적 구속(Kinematic Constraints) 극복을 통해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상부 하우징(110)에 결합되되,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하부 하우징(120)에 비 결합 상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이 형성하는 각도와, 착용자의 운동 모션에 대응하여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하부 하우징(120)과 접하는 위치가 가변된다.In detai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pulsion reinforcement part 200 has one longitudinal side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110 in order to increase efficiency by overcoming kinematic constraints, and the other longitudinal side is the lower part.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housing 120 in response to the angle formed by the upper housing 110 and the lower housing 120 and the movement motion of the wearer,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a non-coupled state to the housing 120 . position is changed.

이때, 서로 결합되지 않고 마주보게 배치된 상기 추진력 보강부(200)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와 상기 하부 하우징(120)의 상면이 부딪히며 큰 충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하부 하우징(120) 상에 추진력 보강부(200)와 마주보게 상기 충격 흡수부(121)를 형성하여 추진력 보강부(200)와 하부 하우징(120)이 부딪히며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고, 추진력 보강부(200)가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 사이를 연결하고 있지 않으므로, 이탈 방지부(140)로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을 연결하여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이 형성하는 각도가 일정 이상으로 커지는 것을 방지하여 준 것이다.At this time, since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pulsion reinforcing part 200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not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120 collide, a large impact may occur, so that the propulsion force is reinforced on the lower housing 120 . The shock absorbing part 121 is formed to face the part 200 to absorb the shock generated when the driving force reinforcement part 200 and the lower housing 120 collide, and the driving force reinforcement part 200 is the upper housing 110 ) and the lower housing 120 are not connected, so the angle formed by the upper housing 110 and the lower housing 120 by connecting the upper housing 110 and the lower housing 120 with the separation preventing unit 140 . This is to prevent it from becoming larger than a certain amount.

그리고, 상기 이탈 장지부(14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외에도 스트링일 수 있으며 스트링일 경우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이 좁아질 시 추진력 보강부(200)로 인가되는 하중이 분산되지 않으므로, 보다 높은 추진력을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An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detachment device 140 may include a spring, but may also be a string. Since the load applied to (200) is not distributed, it is of course possible to obtain a higher driving force.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추진력 증폭장치(1000)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달리는 상황을 나타낸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a user runs while wearing the driving force amplifying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하우징(120)은 상기 상부 하우징(110)보다 폭방향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달리기 모션에서 하부 하우징(120)이 지면과 접하며 발생할 수 있는 간섭 문제를 해결 가능하며, 지면과 접하는 하면이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추진력 보강부(200)의 추진력이 발생 방향이 착용자가 걷거나 달리는 방향으로 작용되게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lower housing 120 is formed to have a shorter width in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upper housing 110 , so that it is possible to solve an interference problem that may occur when the lower housing 120 comes in contact with the ground in a running motion. The lower surface in contact with it is formed to be curved, so that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force reinforcing unit 200 is generated so that the wearer walks or runs.

상세히 설명하면, 주행 방법은 뒤꿈치부터 지면에 착지하는 힐 스트라이크(Heel strike) 주법, 발 전체가 지면에 동시 착지하는 미드풋 스트라이크(Midfoog strike) 주법, 앞발부터 지면에 착지하는 포얼풋 스트라이크(Forefoot strike) 주법으로 구분되며, 현대에 이르러서 대부분의 달리기 선수들은 보다 빠른 속도를 얻기 위하여 포얼풋 스트라이크 주법 또는 미드풋 스트라이크 주법을 사용하고 있다.To be more specific, the driving methods include a heel strike method in which the heel strikes the ground, a midfoog strike method in which the entire foot lands on the ground at the same time, and a forefoot strike method in which the forefoot strikes the ground. ), and in modern times, most runners are using the four-foot strike method or the mid-foot strike method to get faster speed.

이때,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의 길이를 동일하게 하면, 포얼풋 스트라크 주법 또는 미드풋 스트라이크 주법 사용 시 하부 하우징(120)의 단부가 지면과 접하게 되어, 착용자의 달리기를 방해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하부 하우징(120)의 길이를 상부 하우징(110)의 길이보다 짧게 하여, 달리기 상황에서 뒤꿈치와 마주게 위치되는 하부 하우징(120)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가 지면과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준 것이다.At this time, if the lengths of the upper housing 110 and the lower housing 120 are the same, the end of the lower housing 1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when the four-foot strike method or the mid-foot strike method is used, preventing the wearer from running.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making the length of the lower housing 120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upper housing 110,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lower housing 120, which is positioned to face the heel in a running situation, interferes with the ground. that prevented it from happening.

그리고, 달리기 상황에서 추진력이 착용자의 달기기 방향 또는 발이 움직여야 하는 방향과 유사한 방향으로 작용 시 착용자가 보다 큰 가속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을 힌지 결합하고, 지면과 접하는 하부 하우징(120)의 저면을 굴곡지게 형성하여, 추진력 보강부(200)가 복원되며 발생하는 추진력이 착용자가 달리는 전측 방향으로 작용되게 하였으며, 하부 하우징(120)의 저면을 굴곡지게 형성할 경우 지면을 밀어 추진력을 얻는 시점에서 착용자의 발과 하퇴가 형성하는 각도가 줄어들게 되므로, 착용자의 달리기 모션이 최소화 되어 보다 달리기를 빠르게 가능함은 물론이다.And, since the wearer can obtain greater acceleration when the driving force acts in a direction similar to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wearer or the direction in which the feet should move in a running situ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 the upper housing 110 and the lower The housing 120 is hinged,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120 in contact with the ground is formed to be curved, so that the driving force reinforcement unit 200 is restored and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wearer runs in the front direction, and the lower housing When the lower surface of 120 is formed to be curved, the angle formed by the wearer's foot and lower leg is reduced at the point of obtaining propulsion by pushing the ground, so that the running motion of the wearer is minimized, thereby enabling faster running of course.

도 4는 본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추진력 증폭장치(10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추진력 증폭장치(1000)에서 사용되는 추진력 보강부 상에 제1 가이드 플레이트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iving force amplifying device 10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econd embodiment on the driving force reinforcement unit used in the driving force amplifying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guide plate is coupled.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추진력 보강부(200)는 압축 스프링(200A)일 수 있고, 본 발명인 추진력 증폭장치(1000)는 상기 추진력 보강부(200)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를 상기 하부 하우징(120) 상에 일정 범위 안에서 제한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제1 가이드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propulsion reinforcing part 200 may be a compression spring 200A, and the propulsion amplifying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s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propulsive force reinforcing part 200 to the lower housing 120 . ) may further include a first guide unit 300 that allows limited movement within a certain range on the surface.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추진력 보강부(200)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상부 하우징(110)에 결합되되 길이방향 타측이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120)과 비결합 상태로 마주보게 배치될 경우, 추진력 보강부(200)의 운동 반경이 지나치게 넓어지며, 이러한 추진력 보강부(200)의 운동반경 증가는 추진력 보강부(200) 단부가 하부 하우징(120)과 접한 상태로 압축되지 못하고 몸체(100) 외부로 이탈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가이드부(300)로 상기 추진력 보강부(200)의 타측이 움직일 수 있는 운동반경을 제한하여 준 것이다.In detail, when the propulsion reinforcement unit 200 is disposed to face the lower housing 120 in a non-coupled state so that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110 and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move fluidly. , the radius of motion of the propulsion reinforcing unit 200 is too wide, and this increase in the radius of motion of the propulsive reinforcing unit 200 is not compressed with the end of the propulsion reinforcing unit 200 in contact with the lower housing 120, and the body 100 ) may cause a problem of being separated to the outside, 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dius of motion in which the other side of the propulsion reinforcement part 200 can move is limited by the first guide part 300 .

이때, 상기 제1 가이드부(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력 보강부(200)의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되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310)와, 상기 하부 하우징(120)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310)가 움직이는 범위를 제한하는 제1 이탈방지 가이드(32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3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에 가이드 돌기(3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이탈방지 가이드(320)는 상기 가이드 돌기(311)가 끼워지는 가이드 홈(3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홈(321)은 상기 가이드 돌기(311)가 움직일 수 있는 충분한 크기를 가지는 것을 권장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 , the first guide part 300 includes a first guide plate 310 coupled to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ving force reinforcement part 200 , and is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120 . The first guide plate 310 may include a first anti-separation guide 320 for limiting the moving range, and the first guide plate 310 has a guide protrusion 311 on the edge as shown in FIG. 5 . is formed, and in the first separation prevention guide 320, a guide groove 321 into which the guide protrusion 311 is fitted may be formed, and the guide groove 321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guide protrusion 311 to move. It is recommended to have sufficient size.

즉, 가이드 돌기(311)가 가이드 홈(321)을 따라 하부 하우징(120)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기구학적 구속(Kinematic Constraints)를 해결 가능할 뿐만 아니라, 추진력 보강부(200)의 움직임 반경이 지나치게 넓어질 경우 발생하는 추진력 보강부(200)의 이탈 문제도 해결 가능한 것이다.That is, since the guide protrusion 311 can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housing 120 along the guide groove 321 , it is possible to solve kinematic constraints as well as the radius of movement of the driving force reinforcement unit 200 . It is also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separation of the driving force reinforcement unit 200 that occurs when this is too wide.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추진력 증폭장치(10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iving force amplifying device 10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추진력 보강부(200)는 판 스프링(200B)을 포함하고, 본 발명인 추진력 증폭장치(1000) 상기 하부 하우징(120)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판 스프링(200B)의 길이방향 타측이 삽입되며, 상기 판 스프링(200B)이 움직이는 범위를 제한하는 제2 가이드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thrust reinforcing part 200 includes a leaf spring 200B, and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housing 120 of the thrust amplifying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of the leaf spring 200B.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serted, and the leaf spring 200B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guide part 400 for limiting a moving range.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추진력 보강부(200)가 착용자의 하중에 의해 변형되는 복원되는 힘을 착용자의 추진력으로 사용하되, 제2 가이드부(400)가 판 스프링(200B)이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하부 하우징(120)의 길이 방향으로만 변형되며 제2 가이드부(400) 상에 형성된 가이드 홀(410)을 따라 왕복운동할 수 있게 한 것이다.In detail, the driving force reinforcing part 200 uses the restoring force that is deformed by the wearer's load as the wearer's driving force, but the second guide part 400 lowers the leaf spring 200B without shak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t is deformed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20 and is capable of reciprocating along the guide hole 410 formed on the second guide part 400 .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application is varied, and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100 : 몸체 110 : 상부 하우징
120 : 하부 하우징 121 : 충격 흡수부
130 : 조인트부 140 : 이탈 방지부
200 : 추진력 보강부 200A : 압축 스프링
200B : 판 스프링
300 : 제1 가이드부 310 : 제1 가이드 플레이트
311 : 가이드 돌기
320 : 제1 이탈방지 가이드 321 : 제1 가이드 홈
400 : 제2 가이드부
100: body 110: upper housing
120: lower housing 121: shock absorbing part
130: joint part 140: separation prevention part
200: propulsion reinforcement part 200A: compression spring
200B : leaf spring
300: first guide part 310: first guide plate
311: guide turn
320: first separation prevention guide 321: first guide groove
400: second guide unit

Claims (10)

상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과 힌지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이 형성하는 각도가 좁아지는 과정에서 전달되는 힘을 저장한 후, 저장된 힘으로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이 형성하는 각도가 넓어지는 것을 보조하는 추진력 보강부;를 포함하는, 추진력 증폭장치.
a body including an upper housing and a lower housing hingedly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and
It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and stores the force transmitted while the angle formed by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is narrowed, and then the angle formed by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with the stored force. A driving force reinforcement unit that assists in the widening; including, a driving force amplification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력 보강부는 스프링, 탄성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력 증폭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hrust reinforcement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y one or more of a spring and an elastic body, the thrust amplification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상부 하우징보다 폭방향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력 증폭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hou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is shorter than that of the upper housing, the driving force amplifying devic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지면과 접하는 하면이 굴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력 증폭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lower hou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ground is formed to be curved, the driving force amplifying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력 보강부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상부 하우징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하부 하우징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하부 하우징과 접하는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력 증폭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ing force reinforcing unit has one longitudinal side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and the other longitudinal side facing the lower housing, so that the position of the other longitudinal side in contact with the lower housing is variabl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력 보강부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추진력 보강부의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되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가 움직이는 범위를 제한하는 제1 이탈방지 가이드를 포함하는 제1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추진력 증폭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thrust reinforcement includes a compression spring,
Further comprising a first guide plate coupled to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ving force reinforcing part, and a first guide part comprising a first departure prevention guide for limiting a moving range of the first guide plate, the driving force amplifying devic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는 가장자리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이탈방지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끼워지는 제1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추진력 증폭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guide plate has a guide protrusion formed on the edge, and the first separation prevention guide is formed with a first guide groove into which the guide protrusion is fitted.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면에 외부에서 인가되는 충격을 감쇠하는 충격 흡수부가 상기 추진력 보강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추진력 증폭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lower housing, a shock absorbing part for damping a shock applied from the outside on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is disposed to face the driving force reinforcing par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을 힌지 연결하는 조인트부와, 상기 추진력 보강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조인트부와 마주보며 배치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을 연결하는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추진력 증폭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body further includes a joint part connecting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by a hinge, and a separation preventing part configured to face the joint part with the driving force reinforcement part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o connect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propulsion booste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력 보강부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판 스프링의 길이방향 타측이 삽입되며, 상기 판 스프링이 움직이는 범위를 제한하는 제2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추진력 증폭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ropulsion reinforcement part includes a leaf spring,
The propulsion amplific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guide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housing,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leaf spring is inserted, and limiting a range in which the leaf spring moves.
KR1020200067562A 2020-06-04 2020-06-04 Propulsion booster KR1023410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562A KR102341086B1 (en) 2020-06-04 2020-06-04 Propulsion boos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562A KR102341086B1 (en) 2020-06-04 2020-06-04 Propulsion boos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755A true KR20210150755A (en) 2021-12-13
KR102341086B1 KR102341086B1 (en) 2021-12-21

Family

ID=78831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562A KR102341086B1 (en) 2020-06-04 2020-06-04 Propulsion boos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1086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93750A (en) 1925-08-15 1928-12-04 Hudson Motor Car Co Panel joint for automobile bodi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060094827A (en) * 2005-06-20 2006-08-30 김병래 Shoes to be exhausted and ventilated of inner air
KR20110015203A (en) * 2009-08-07 2011-02-15 김정석 Shoes reducing shock and improving driving force of movement
KR102035510B1 (en) 2018-02-06 2019-11-26 한국기계연구원 Passive Elastic Ankle Exoskeleton Capable Biofeedback
KR200490591Y1 (en) * 2019-08-19 2019-12-04 김영석 spring cushion shoe
KR20200005567A (en) * 2017-04-24 2020-01-15 배리 에이. 버틀러 Energy return orthotics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93750A (en) 1925-08-15 1928-12-04 Hudson Motor Car Co Panel joint for automobile bodi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060094827A (en) * 2005-06-20 2006-08-30 김병래 Shoes to be exhausted and ventilated of inner air
KR20110015203A (en) * 2009-08-07 2011-02-15 김정석 Shoes reducing shock and improving driving force of movement
KR20200005567A (en) * 2017-04-24 2020-01-15 배리 에이. 버틀러 Energy return orthotics system
KR102035510B1 (en) 2018-02-06 2019-11-26 한국기계연구원 Passive Elastic Ankle Exoskeleton Capable Biofeedback
KR200490591Y1 (en) * 2019-08-19 2019-12-04 김영석 spring cushion sho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1086B1 (en) 202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9773B2 (en) Running shoe
US6197066B1 (en) Prosthetic foot providing plantar flexion and controlled dorsiflexion
JP6467046B2 (en) A shoe having a shoe sole in which a rear foot portion is divided
US6241776B1 (en) Prosthetic foot with reinforcing member
US20150272810A1 (en) Walking assist device
EP3563808B1 (en) Hydraulic prosthetic ankle
JP5298130B2 (en) Elastic sole having shock absorption and rebound resilience and shoes thereof
US20210015209A1 (en) Shoes and sole springs for shoes
KR101713901B1 (en) Wearable ankle exoskeleton using the ratchet clutch mechanism for supporting ankle joint stiffness
KR102341086B1 (en) Propulsion booster
US10932518B2 (en) Sole structure and shoe including same
KR101867324B1 (en) Ratchet gear and bi-stable toggle switch mechanism for passive elastic ankle exoskeleton and that method
KR101983067B1 (en) Walk assistance device
KR102404544B1 (en) Propulsion booster
KR200361981Y1 (en) shoes for absobing sock
KR20180125254A (en) Gait Assistance Device
KR20120006396U (en) a leg prosthesis with the shock absorption and rotation
KR200439338Y1 (en) Auxiliary Exerciser for Legs
JP2008048893A (en) Shoe
KR102394360B1 (en) Angle joint assembly of Wearable robot
JP3968064B2 (en) Prosthetic bounce device
KR200452511Y1 (en) The walking shoes which uses the leaf spring
KR100533575B1 (en) Shoe
KR200431257Y1 (en) A sports footwear
CN114617335A (en) Novel orthopedic shoe and using method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