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0416A -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0416A
KR20210150416A KR1020217033199A KR20217033199A KR20210150416A KR 20210150416 A KR20210150416 A KR 20210150416A KR 1020217033199 A KR1020217033199 A KR 1020217033199A KR 20217033199 A KR20217033199 A KR 20217033199A KR 20210150416 A KR20210150416 A KR 20210150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lug
retaining device
power
receptacle
plug re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3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렌스 데일 캐논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filed Critical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10150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04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5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for wall or panel outl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04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2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for extension co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7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01R24/7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with additional earth or shiel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Abstract

전원 리셉터클에 삽입된 전원 플러그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가 제공된다.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는 삽입부와 본체의 삽입 축을 따라 형성된 파지부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삽입부는 전원 플러그와 전원 리셉터클 사이의 간극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쐐기로 형상화된다. 파지부는 삽입 축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삽입 축을 따라 삽입 방향으로 사용자로부터 삽입력을 받도록 구성된 삽입력 수용면을 포함하며, 이로써, 쐐기가 간극에 삽입될 때 쐐기를 간극에 삽입 및 꽂아 넣어서 쐐기, 전원 플러그 및 전원 리셉터클 사이에 억지 끼워맞춤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
컴퓨터 장치와 같은 많은 전자 장치는 전원 플러그 어셈블리를 사용하여 전자 장치를 전원에 연결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전원 플러그 어셈블리에서, 전원 코드의 플러그가 전원 플러그 어셈블리의 오목한 리셉터클(receptacle)에 꽂힐 때, 플러그가 잠재적으로 진동되거나 뜻하지 않게 느슨하게 당겨져서 전자 장치에 대한 전원이 손실되게 할 수 있다.
전원 리셉터클에 삽입된 전원 플러그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가 제공된다.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는 삽입부와 본체의 삽입 축을 따라 형성된 파지부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는 전원 플러그와 상기 전원 리셉터클 사이의 간극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쐐기(wedge)로 형상화될 수 있다. 파지부는, 삽입 축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삽입 축을 따라 삽입 방향으로 사용자로부터 삽입력을 받도록 구성된 삽입력 수용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써, 쐐기가 간극에 삽입될 때 쐐기를 간극에 삽입 및 꽂아 넣어서(lodge) 쐐기, 전원 플러그 및 전원 리셉터클 사이에 억지 끼워맞춤(interference fit)을 형성한다.
본 요약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추가로 기술되는 개념의 선택을 단순화된 형식으로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요약은 청구된 주제의 주요 기능 또는 필수 기능을 식별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며, 청구된 주제의 범위를 제한하는 데 사용되도록 의도되지도 않는다. 또한, 청구된 주제는 본 개시의 임의의 부분에서 언급된 임의의 또는 모든 단점을 해결하는 구현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전원 플러그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전원 플러그 어셈블리의 예시적인 전원 플러그 리셉터클에 삽입된 예시적인 전원 플러그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의 제1 실시예의 부감도(overhead view)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1의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1의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의 제1 실시예의 네 개의 상이한 도면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1의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의 제2 실시예의 부감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1의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의 제2 실시예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1의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의 제2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1의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의 제2 실시예의 네 개의 상이한 도면을 도시한다.
전형적인 해결책은, 플러그가 전원 리셉터클에 삽입되기 전에 전원 코드의 플러그의 단부 주위에 들어맞는(fit) 개방-단부형 슬리브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슬리브는 사용자가 플러그를 완전히 안착시키기 위해 플러그를 리셉터클 안으로 끝까지 밀어 넣는 것을 어렵게 만들 수 있으며, 이는 플러그와 리셉터클 접점 사이에 불충분한 접촉을 유발할 수 있다. 접촉이 충분하지 않으면 잠재적으로 접촉이 과열되어, 잠재적으로 전기적 위험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슬리브는 사용자가 리셉터클로부터 플러그를 제거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고,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제거하는 동안 전원 플러그의 코드를 잡아당겨야만 하게 만들어, 이는 잠재적으로 전원 코드가 손상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은 전원 코드가 뜻하지 않게 뽑히거나 그들의 전원 리셉터클로부터의 진동으로 인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계된 예시적인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를 도시한다.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는 전원 플러그가 전원 리셉터클에 삽입되는 동안 전원 플러그 어셈블리로부터 삽입 가능하고 제거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전자 장치(12)용 전원 플러그 어셈블리(14)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전자 장치(12)를 도시한다. 전자 장치(12)는 예를 들어 서버 장치, 데스크탑 컴퓨터 장치, 스피커 장치, 또는 전원 플러그 어셈블리(14)를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전자 장치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전자 장치(12)의 전원 플러그 어셈블리는 전원 플러그(16) 및 전원 리셉터클(18)를 포함한다.
도 2는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를 삽입하기 전의 예시적인 전원 플러그 어셈블리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전원 코드(20)의 전원 플러그(16)가 전원 리셉터클(18)에 삽입될 때, 전원 리셉터클의 내측면과 전원 플러그(16)의 외측면 사이에 간극(22)이 있다. 또한, 전원 리셉터클(18)은 일반적으로 경질 플라스틱(hard plastic)으로 형성되고, 전원 플러그(16)는 일반적으로 전원 리셉터클(18)의 경질 플라스틱보다 더 부드럽고 더 탄성이 있는 비닐 재료로 형성된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의 삽입부는 전원 플러그(16)의 헤드 및 전원 리셉터클(18)의 내측면과의 억지/마찰 끼워맞춤을 형성하도록 간극(22)에 삽입 및 끼워 넣어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의 삽입부(24)는 전원 플러그(16)가 전원 리셉터클(18)에 이미 삽입되어 있는 동안 간극(22)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는 유리 스트랜드(glass strand)로 채워진 나일론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재료는 25-30% 유리 스트랜드 및 70-75% 나일론(66)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를 형성하기 위해 다른 재료 및 비율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는 전원 플러그(16)와 전원 리셉터클(18) 사이의 간극(22) 내외로 삽입부(24)의 삽입 및 제거를 돕기 위한 다른 구조를 더 포함한다.
도 3은 전원 리셉터클(18)에 삽입된 전원 플러그(16)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의 제1 실시예의 부감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는 삽입부(24) 및 본체(26)의 삽입 축(30)을 따라 형성된 파지부(28)룰 포함하는 본체(26)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 축(30)은 삽입부(24)를 간극(22) 내외로 삽입 또는 인출하기 위해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삽입부(24)는 전원 플러그(16)와 전원 리셉터클(18) 사이의 간극(22)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쐐기(32)로 형상화될 수 있다. 쐐기 형상으로 인해, 삽입부(24)는, 전원 플러그(16)가 뜻하지 않게 뽑히거나 진동으로 인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적절한 정도의 마찰/억지 끼워맞춤이 수립될 때까지 전원 플러그(16)가 전원 리셉터클(18)에 꽂혀 있는 동안 전원 플러그(16)와 전원 리셉터클(18) 사이의 간극(22)에 삽입될 수 있다.
파지부(28)는 본체(26)에 형성된 채널(34)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34)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맞춰 크기가 정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채널(34) 안으로 손가락을 삽입하고 파지부(28)의 표면을 통해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를 파지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은 제1 벽(36), 제2 벽(38), 및 제1 벽(36)과 제2 벽(38) 사이에서 연장되는 파지부(28)의 표면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채널은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의 삽입 축(30)에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채널(34)의 두 개의 개구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정의된 채널의 방향은 삽입 축(30)에 수직일 수 있다. 유사하게, 제1 벽(36) 및 제2 벽(38)은 또한 삽입 축(30)에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4는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의 제1 실시예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예에서, 파지부(28)의 채널(34)은, 전원 플러그(16)에 맞는 크기의 공간(40) 주위에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대향 채널부(34A, 34B)를 구비한 하향 U자형을 갖도록 형성된다. 두 개의 대향 채널부(34A, 34B)는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U" 형상의 두 개의 날개를 형성한다. 개방 공간(40)은 두 개의 대향 채널부(34A, 34B) 사이에서 연장된다. 두 개의 대향 채널부(34A)는, 두 개의 대향 채널부(34A, 34B) 사이에서 연장하는 공간(40)이 전원 플러그(16)에 맞는 크기가 되도록 서로에 대해 크기 및 위치가 설정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플러그(16)는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의 "U"자형 채널(34) 사이에서 연장되는 공간(40) 내부에 들어맞어서,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가 전원 플러그(16)의 상단에 안전하게 놓이게 한다.
도 5는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의 제1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 삽입부(24)는 삽입 축(30)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 예에서, 삽입부(24)는 삽입 축(30)으로부터 각도(Q)로 아래쪽을 향하도록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하향 각도는 삽입 축(30)으로부터 10도 내지 20도 사이일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5도 내지 10도, 15도 내지 30도 등과 같은 다른 적절한 하향 각도 범위가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하향 각도(Q)는 전원 플러그(16)와 전원 리셉터클(18) 사이의 간극(22) 내로 삽입부(24)를 안내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추가로, 파지부(28)는 삽입 축(30)에 수직으로 형성된 삽입력 수용면(42)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력 수용면(42)은 삽입 축(30)을 따라 삽입 방향으로 사용자로부터 삽입력(44)을 받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쐐기(32)가 간극(22)에 삽입될 때 쐐기(32)를 간극(22)에 삽입 및 꽂아 넣어서 쐐기(32), 전원 플러그(16) 및 전원 리셉터클(18) 사이에 억지 끼워맞춤을 형성한다. 삽입력(44)은 삽입력 수용면(42)에 대해 미는 것에 의해 채널(34)에 놓여있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가해질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삽입력 수용면(42)은 제1 벽(36)의 후방부에 형성될 수 있고, "전면" 및 "후면"은 삽입 축(30)에 대해 정의되며, 삽입부(24)는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의 "전면"에 형성된다.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의 제1 실시예는 사전 결정된 삽입 깊이(50)에서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가 전원 리셉터클(18) 안으로 진입하는 것을 중단시키기 위해 전원 리셉터클(18)의 외부면(48)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정지면(4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면(46)은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가 완전히 삽입될 때 정지면(46)이 도 1에 도시된 전원 리셉터클(18)의 외부면(48)과 접촉할 것이다.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의 제1 실시예에서, 정지면(46)은 채널(34)을 규정하는 제1 벽(36)의 전방부로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벽(36)은 삽입부(24)의 후방에 위치하며, 삽입 축(30)에 수직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벽(36)의 위치는 본체(26)의 삽입부(24)와 파지부(28)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추가로 규정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삽입력 수용면(42)과 정지면(46)은 제1 벽(36)의 두 개의 양측으로 형성되어, 정지면(46)이 전원 리셉터클(18)의 외부면(48)과 접촉하고 간극(22) 안으로의 삽입부(24)의 진입이 중단될 때까지 삽입력(44)이 삽입력 수용면(42)에 가해질 수 있다.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의 제1 실시예가 간극(22)에 삽입된 후, 이는 인출력 수용면(54)에 가해지는 인출력(52)에 의해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인출력 수용면(54)은 채널(34)의 제2 벽(38)의 전방부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는 채널(34) 안으로 손가락을 두고 파지부(28)의 표면을 파지할 수 있다. 그 다음, 잡아당김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은 인출력 수용면(54)에 인출력(52)을 가할 수 있고, 이는 전원 플러그(16)와 전원 리셉터클(18) 사이의 간극(22) 밖으로 삽입부(24)를 잡아당길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원 플러그(16)가 전원 리셉터클(18) 안으로 삽입되는 동안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가 간극(22)으로부터 삽입 및 인출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마찰/억지 끼워맞춤을 형성하기 위해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가 또한 전원 플러그(16)와 동시에 전원 리셉터클(18) 내로 삽입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는,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를 부착면(58)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구성된 부착부(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부착부(56)는, 예를 들어 코드(cord), 끈(string), 케이블 타이(zip tie) 등과 같은 고정 코드를 통해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루프 마운트(loop mount)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부착부(56)는 임의의 적절한 부착면(58)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루프 마운트 형태의 부착부(56)는 전자 장치(12) 상에 위치하는 부착면(58A)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부착부(56)는 전원 플러그(16)의 코드 형태로 부착면(58B)에 고정될 수 있다. 부착부(56)를 사용함으로써,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는 전원 플러그(16)가 전원 리셉터클(18)에 꽂혀 있는 동안 전원 플러그(16)의 케이블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는 또한 전원 플러그(16)가 전원 리셉터클(18) 안으로 꽂히기 전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도 있다.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를 부착면(58)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하는 것은 사용자에 의해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가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부착면(58)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6은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의 제1 실시예의 여러 개의 상이한 도면을 도시한다. 파지부(28)의 채널부(34)의 하향 U자형은 도 6에서 여러 다른 각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의 제2 실시예의 부감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는 또한 삽입부(24) 및 본체(26)의 삽입 축(30)을 따라 형성된 파지부(28)을 포함하는 본체(26)를 포함한다.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삽입부(24)는 전원 플러그(16)와 전원 리셉터클(18) 사이의 간극(22)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쐐기(32)로 형상화될 수 있다.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의 제2 실시예는 또한 부착부(56)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서, 채널 대신에, 파지부(28)는 삽입 축(30)에 수직하게 향하는 개구부를 갖는 루프 구조체(6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루프 구조체(60)의 만곡면은 삽입 축(30)을 따라 만곡되고, 루프 구조체의 개구부는 삽입 축(30)에 수직인 방향으로 개방된다.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를 파지하기 위해, 사용자는 루프 구조체(60) 안으로 손가락을 삽입하고 루프 구조체의 표면을 파지할 수 있다.
삽입부(24)를 간극 안으로 삽입하기 위해, 사용자는 그 후 삽입력 수용면(42)에 삽입력(44)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루프 구조체(60) 내로 삽입되는 동안, 사용자는 그 후 삽입력 수용면(42)에 대해 그들의 손가락의 전방을 눌러서 삽입부(24)를 간극(22) 안으로 밀어 넣을 수 있다.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의 제2 실시예에서, 삽입력 수용면(42)은 루프 구조체(60)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삽입력 수용면(42)은 사용자가 밀기 위한 더 큰 표면적을 제공하기 위해 삽입 축(30)에 수직인 방향으로 루프 구조체(6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된 표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의 제2 실시예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부착부(56)는 전원 플러그(16)의 케이블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클립 장치(62)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클립 장치(62)는 전원 플러그(16)의 케이블 주위에 들어맞는 크기의 스프링 및/또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클립 장치(62)는 클립 장치(62)가 케이블 주위에 고정될 때까지 클립 장치(62)를 케이블 위에 누르는 것을 통해 케이블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원 플러그(16)가 이미 전원 리셉터클(18)에 꽂혀 있는 동안 클립 장치(62)가 전원 플러그(16)의 케이블로부터 부착 및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9는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의 제2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쐐기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 삽입부(24)는 삽입 축(30)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 예에서, 삽입부(24)는 삽입 축(30)으로부터 각도(Q)로 아래쪽을 향하도록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하향 각도는 삽입 축(30)으로부터 10도 내지 20도 사이일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5도 내지 10도, 15도 내지 30도 등과 같은 다른 적절한 하향 각도 범위가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는 삽입부(24)와 대면하는 루프 구조체(60)의 표면 위에 형성된 정지면(4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지면은 전원 리셉터클(18)의 외부면(48)과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사전 결정된 삽입 깊이(50)에서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가 전원 리셉터클(18) 안으로 진입하는 것을 중단시킨다. 일 예에서, 정지면(46)은 루프 구조체(60)의 전방 측에 형성된 벽면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면(46) 및 삽입력 수용면(42)은 루프 구조체(60)의 전방의 만곡된 표면의 양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사용자는 인출력 수용면(54)에 인출력(52)을 가하기 위해 루프 구조체(60) 안으로 손가락을 삽입하고 잡아당김으로써 전원 리셉터클(18)로부터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의 제2 실시예를 인출할 수 있다. 인출력 수용면(54)은 루프 구조체(60)의 후면의 만곡된 표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원 플러그(16)가 전원 리셉터클(18)에 삽입되는 동안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의 제2 실시예가 삽입 및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10은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의 제2 실시예의 여러 개의 상이한 도면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예시적인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에서, 쐐기는 전원 플러그의 상단과 전원 리셉터클의 상단 사이의 간극에 삽입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부 예에서, 전원 플러그와 전원 리셉터클의 각각의 측면 사이에 간극이 존재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쐐기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 삽입부(24)는 이러한 간극들 중 임의의 것에 삽입되도록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 상에 위치되고 배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쐐기는, 쐐기가 전원 플러그와 전원 리셉터클의 좌우 측면 사이에 위치된 수직 간극에 삽입될 수 있도록 수직으로 배향될 수 있다.
추가로,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가 전원 플러그(16)의 상단에 놓이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가 전원 플러그(16) 상의 다른 위치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는 전원 플러그의 왼쪽 또는 오른쪽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는 전원 플러그(16)의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삽입부(24)는 전원 플러그(16)의 바닥과 전원 리셉터클의 바닥 사이의 간극 안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의 치수는 1U 폼 팩터(1U form factor)로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는 1U 폼 팩터에 기초하여 설정된 높이 치수를 갖는 서버 랙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는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가 서버 장치의 전원 어셈블리에 삽입될 때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0)가 서버 장치의 높이 위로 연장되지 않도록 하는 크기일 수 있다.
여기에서 기술되고 도 1 내지 도 10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파지면(28)은 채널 또는 루프 구조체의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파지면, 삽입력 수용면 및 인출력 수용면의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다른 구조들이 이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파지면은 단일의 벽, 탭 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돌출부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파지면(28)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맞춰 크기가 정해진 만입부(indent)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만입부의 표면은 삽입 및 인출 수용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파지면(28)은 사용자가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18)를 파지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마찰면의 형태를 취할 수 있고, 사용자는 마찰면에 삽입력 및 인출력을 가할 수 있다. 파지면(28)은 여기에서 설명된 형태로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적합한 형태를 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다음 단락은 본 출원의 청구범위에 대한 추가의 뒷받침을 제공한다. 일 양태는 전원 리셉터클에 삽입된 전원 플러그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를 제공한다.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는 삽입부 및 본체의 삽입 축을 따라 형성된 파지부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삽입부는 전원 플러그와 전원 리셉터클 사이의 간극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쐐기로 형상화된다. 파지부는, 삽입 축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삽입 축을 따라 삽입 방향으로 사용자로부터 삽입력을 받도록 구성된 삽입력 수용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써, 쐐기가 간극에 삽입될 때 쐐기를 간극에 삽입 및 꽂아 넣어서 쐐기, 전원 플러그 및 전원 리셉터클 사이에 억지 끼워맞춤을 형성한다. 이 양태에서,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쐐기는 전원 플러그가 전원 리셉터클에 꽂혀 있는 동안 전원 플러그와 리셉터클 사이의 간극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양태에서,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는 사전 결정된 삽입 깊이에서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가 전원 리셉터클 안으로 진입하는 것을 중단시키기 위해 전원 리셉터클의 외부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정지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양태에서,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정지면은 삽입부 후방에 위치된 벽의 전방부일 수 있고, 벽은 삽입 축에 수직으로 형성된다. 이 양태에서,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삽입력 수용면은 벽의 후방부일 수 있다. 이 양태에서,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파지부는 본체에 형성된 채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채널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맞춰 크기가 정해진다. 이 양태에서,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삽입력 수용면은 채널의 제1 벽의 후방부일 수 있고, 제1 벽은 본체의 삽입부와 파지부 사이에 위치된다. 이 양태에서,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는 채널의 제2 벽의 전방부일 수 있는 인출력 수용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양태에서,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채널은 삽입 축에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양태에서,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파지부는 삽입 축에 수직하게 향하는 개구부를 갖는 루프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양태에서,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는 삽입부와 대면하는 루프 구조체의 표면 위에 형성되는 정지면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정지면은 사전 결정된 삽입 깊이에서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가 전원 리셉터클 안으로 진입하는 것을 중단시키기 위해 전원 리셉터클의 외부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이 양태에서,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는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를 부착면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구성된 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양태에서,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부착부는 전원 플러그가 전원 리셉터클에 꽂혀 있는 동안 전원 플러그의 케이블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양태에서,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부착부는 전원 플러그의 케이블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클립 장치일 수 있다. 이 양태에서,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부착부는 고정 코드를 통해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양태에서,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쐐기는 삽입 축으로부터 하향 각도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양태에서,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하향 각도는 삽입 축으로부터 10도 내지 20도일 수 있다.
다른 양태는 전원 리셉터클에 삽입된 전원 플러그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를 제공한다.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는 삽입부와 본체의 삽입 축을 따라 형성된 파지부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는 전원 플러그와 전원 리셉터클 사이의 간극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쐐기로 형상화된다. 파지부는 본체에 형성된 사용자의 손가락을 위한 크기의 채널을 포함하고, 채널은 전원 플러그에 들어맞는 크기의 공간 주위에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대향 채널부를 갖는 하향 U자형을 갖는다. 파지부는 삽입 축에 수직인 채널을 규정하는 벽에 형성되고 삽입 축을 따라 삽입 방향으로 사용자로부터 삽입력을 받도록 구성된 삽입력 수용면을 포함하며, 이로써, 쐐기가 간극에 삽입될 때 쐐기를 간극에 삽입 및 꽂아 넣어서 쐐기, 전원 플러그 및 전원 리셉터클 사이에 억지 끼워맞춤을 형성한다. 이 양태에서,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채널의 하향 U자형은 쐐기가 간극에 삽입될 때 전원 플러그 주위에 들어맞고 전원 플러그의 상단에 놓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양태는 전원 플러그, 전원 리셉터클, 및 전원 리셉터클에 삽입된 전원 플러그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용 전원 플러그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는 삽입부와 본체의 삽입 축을 따라 형성된 파지부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삽입부는 전원 플러그와 전원 리셉터클 사이의 간극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쐐기로 형상화된다. 파지부는, 삽입 축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삽입 축을 따라 삽입 방향으로 사용자로부터 삽입력을 받도록 구성된 삽입력 수용면을 포함하며, 이로써, 쐐기가 간극에 삽입될 때 쐐기를 간극에 삽입 및 꽂아 넣어서 쐐기, 전원 플러그 및 전원 리셉터클 사이에 억지 끼워맞춤을 형성한다.
여기에 설명된 구성 및/또는 접근 방식은 본질적으로 예시적이며, 수많은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특정 실시예 또는 예시가 제한적인 의미로 고려되어서는 안 됨을 이해해야 한다. 여기에 설명된 특정 루틴 또는 방법은 여러 처리 전략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시된 및/또는 설명된 다양한 동작들은 도시된 및/또는 설명된 순서로, 다른 순서로, 병렬로, 또는 생략되어 수행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술한 프로세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주제는 다양한 프로세스, 시스템 및 구성의 모든 신규 및 비-자명한 조합과 하위 조합, 여기에 개시된 다른 특징, 기능, 작용, 및/또는 특성, 그리고 그들의 임의의 모든 등가물을 포함한다.

Claims (15)

  1. 전원 리셉터클에 삽입된 전원 플러그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는:
    삽입부와 파지부를 포함하는 본체 - 상기 파지부는 상기 본체의 삽입 축을 따라 형성됨 - 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전원 플러그와 상기 전원 리셉터클 사이의 간극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쐐기(wedge)로 형상화되며; 그리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삽입 축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 축을 따라 삽입 방향으로 사용자로부터 삽입력을 받도록 구성된 삽입력 수용면(insertion force receiving surface)을 포함하고, 이로써, 상기 쐐기가 상기 간극에 삽입될 때 상기 쐐기를 상기 간극에 삽입하고 꽂아 넣어서(lodge) 상기 쐐기, 상기 전원 플러그 및 상기 전원 리셉터클 사이에 억지 끼워맞춤(interference fit)을 형성하는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는 상기 전원 플러그가 상기 전원 리셉터클에 꽂혀 있는 동안 상기 전원 플러그와 상기 리셉터클 사이의 상기 간극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사전 결정된 삽입 깊이에서 상기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가 상기 전원 리셉터클 안으로 진입하는 것을 중단시키기 위해 상기 전원 리셉터클의 외부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정지면을 더 포함하는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면은 상기 삽입부 후방에 위치하는 벽의 전방부이며, 상기 벽은 상기 삽입 축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력 수용면은 상기 벽의 후방부인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본체에 형성된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맞춰 크기가 정해지는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력 수용면은 상기 채널의 제1벽의 후방부이고, 상기 제1벽은 상기 본체의 상기 삽입부와 상기 파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인출력 수용면(extraction force receiving surface)은 상기 채널의 제2벽의 전방부인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상기 삽입 축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삽입 축에 수직하게 향하는 개구부를 갖는 루프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와 대면하는 상기 루프 구조체의 표면 위에 형성되는 정지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지면은 사전 결정된 삽입 깊이에서 상기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가 상기 전원 리셉터클 안으로 진입하는 것을 중단시키기 위해 상기 전원 리셉터클의 외부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를 부착면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구성된 부착부를 더 포함하는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전원 플러그가 상기 전원 리셉터클에 꽂혀 있는 동안 상기 전원 플러그의 케이블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전원 플러그의 상기 케이블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클립 장치인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고정 코드를 통해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
KR1020217033199A 2019-04-15 2020-03-26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 KR202101504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384,713 US11038306B2 (en) 2019-04-15 2019-04-15 Power plug retention device
US16/384,713 2019-04-15
PCT/US2020/024800 WO2020214370A1 (en) 2019-04-15 2020-03-26 Power plug reten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416A true KR20210150416A (ko) 2021-12-10

Family

ID=70296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3199A KR20210150416A (ko) 2019-04-15 2020-03-26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1038306B2 (ko)
EP (1) EP3956953B1 (ko)
JP (1) JP7474781B2 (ko)
KR (1) KR20210150416A (ko)
CN (1) CN113711448B (ko)
AU (1) AU2020259236A1 (ko)
BR (1) BR112021020025A2 (ko)
CA (1) CA3135158A1 (ko)
IL (1) IL287193A (ko)
MX (1) MX2021012621A (ko)
SG (1) SG11202110962YA (ko)
WO (1) WO2020214370A1 (ko)
ZA (1) ZA2021064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8306B2 (en) * 2019-04-15 2021-06-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ower plug retention device
CN114628947B (zh) * 2020-12-11 2024-04-19 苏州佳世达光电有限公司 插头固定结构及其具有插头防拔功能的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1880A (en) * 1977-05-12 1978-10-24 Tel-Tone Corporation Elongate electrical connector retaining device
US7056145B2 (en) 2004-03-12 2006-06-06 Campbell Iii Richard G Plug securing and outlet cover device
US6997734B1 (en) 2004-10-04 2006-02-14 Mcquirter Gerald Electric plug retention device
US7354292B1 (en) * 2006-06-30 2008-04-08 Molex Incorporated Low profile latching connector and pull tab for unlatching same
US9431763B2 (en) 2010-04-15 2016-08-30 Zonit Structured Solutions, Llc Frictional locking receptacle with release operated by actuator
US7559788B2 (en) 2007-06-04 2009-07-14 The Nielsen Company (Us), Llc Connector retainers and methods of securing a connector in a receptacle
US7722380B1 (en) 2009-03-27 2010-05-25 Panduit Corp. Plug retention device
JP5336304B2 (ja) 2009-08-31 2013-11-06 ローランド株式会社 プラグ脱離防止構造
US8956177B2 (en) * 2011-12-16 2015-02-17 Shawn L. Warner Electrical cord/outlet safety lock and method
CN103050840B (zh) * 2012-12-26 2015-09-23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防自解插头及使用该插头的电连接器组件
TWM462459U (zh) 2013-05-30 2013-09-21 Oned Co Ltd 防插頭脫落裝置
US9692178B2 (en) 2013-09-12 2017-06-27 Pce, Inc. Apparatus for retaining a plug in a receptacle
WO2015038945A1 (en) 2013-09-12 2015-03-19 Pce, Inc. Apparatus for retaining plug in a receptacle
SE537815C2 (sv) 2013-12-05 2015-10-20 Moduel Ab Elektriska moduler
TWM514678U (zh) * 2015-09-17 2015-12-21 Gloriole Electroptic Technology Corp 光纖連接器的插拔裝置
WO2017058200A1 (en) 2015-09-30 2017-04-06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Power cord retention assembly
US9711900B1 (en) 2016-06-17 2017-07-18 Terry Brown Electrical outlet system
US9933152B1 (en) * 2016-09-27 2018-04-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lectrical plug assist tool
US11038306B2 (en) * 2019-04-15 2021-06-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ower plug reten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56953A1 (en) 2022-02-23
WO2020214370A1 (en) 2020-10-22
SG11202110962YA (en) 2021-10-28
CN113711448A (zh) 2021-11-26
CA3135158A1 (en) 2020-10-22
ZA202106432B (en) 2022-11-30
AU2020259236A1 (en) 2021-10-07
JP2022529345A (ja) 2022-06-21
IL287193A (en) 2021-12-01
EP3956953B1 (en) 2024-05-15
BR112021020025A2 (pt) 2021-12-07
JP7474781B2 (ja) 2024-04-25
CN113711448B (zh) 2024-05-03
US11038306B2 (en) 2021-06-15
MX2021012621A (es) 2021-11-12
US20200328559A1 (en) 202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7888B2 (en) Connector removal tool
US9052474B2 (en) Clip device for facilitating insertion and removal of a push-pull fiber optic connector
KR20210150416A (ko) 전원 플러그 유지 장치
US7559788B2 (en) Connector retainers and methods of securing a connector in a receptacle
JP6335137B2 (ja) レール取付構造
US7758254B2 (en) Fiber connector using hooking structure
RU2795969C2 (ru) Удерж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илового штепселя
JP2004085714A (ja) 光ケーブル収容箱
EP2161602A1 (en) A fiber connector using hooking structure
CN112154583B (zh) 简易型防护管插入器
JP7157453B2 (ja) インサータ
CN204186707U (zh) 一种夹持设备
CN212460518U (zh) 一种电磁笔与机体的连接结构以及一种电子设备
US20040231147A1 (en) Fiber puller
KR102538318B1 (ko) 손가락 끼움식 압정 운반구
US20080196244A1 (en) Electrical outlet cover remover
KR200237612Y1 (ko) 전선 집게형 플러그
JPWO2020214370A5 (ko)
US11128083B2 (en) Cover for L-shaped connector
CN210517185U (zh) 防拽装置
CN210811367U (zh) 一种夹子
CN204186705U (zh) 一种夹持件
KR20180001890U (ko) 와이어 삽입 툴
JP2004031298A (ja) 差し込みプラグカバー
JPH0625612U (ja) ロッドホル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