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9529A - A mask for anti-bacteria - Google Patents

A mask for anti-bacteri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9529A
KR20210149529A KR1020200066686A KR20200066686A KR20210149529A KR 20210149529 A KR20210149529 A KR 20210149529A KR 1020200066686 A KR1020200066686 A KR 1020200066686A KR 20200066686 A KR20200066686 A KR 20200066686A KR 20210149529 A KR20210149529 A KR 20210149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layer
layer
mask
outer skin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6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08980B1 (en
Inventor
김홍문
Original Assignee
김홍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문 filed Critical 김홍문
Priority to KR1020200066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980B1/en
Publication of KR20210149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95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980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92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with antimicrobial ag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41D27/245Hems; 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30Antimicrobial, e.g. antibac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8Closures using adhesiv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50Seams
    • A41D2300/52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10Knitte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30Non-wove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 A41D2500/54Synthetic resins or rubbers in coated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A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timicrobial properties against different bacterial pathogens as well as exhibits particulate matter capturing capacity, by having a non-woven fabric layer in which the surface of the fiber is plated with metal between the outer layer and the inner layer. More specifically, the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a multi-layer structure, effectively filters particulate matter such as allergens, pollen, smoke, yellow dust, and also has high sterilization power against various bacteria, fungi, viruses, and the like, so it can be suitably used for the environments exposed to a large amount of bacteria, in particular, for medical personnel who work in hospitals.

Description

항균 마스크{A mask for anti-bacteria}Antibacterial mask {A mask for anti-bacteria}

본 발명은 항균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멜트블로운 등을 통해 제조된 부직포 표면에 금속 도금을 수행하여 항균성을 부여함으로써 바이러스, 박테리아, 진균 등의 체내 흡입을 억제할 수 있는 항균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bacterial mask,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tibacterial mask capable of suppressing inhalation of viruses, bacteria, fungi, etc. it's about

일반적으로, 마스크(mask)는 코와 입 등 호흡기를 가리는 물건으로, 공기 중의 미세먼지가 코를 통하여 흡입되고, 입으로부터 비산되는 물질을 막기 위한 것이다. 마스크는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방독면이나 방진마스크와 달리 섬유재의 시트에 간단한 구조의 필터가 구비된 것이 대부분이다.In general, a mask is an object that covers a respiratory system, such as a nose and a mouth, in order to prevent fine dust in the air from being inhaled through the nose and scattering from the mouth. Unlike gas masks or dust masks, most of the masks are equipped with a simple structure filter on a sheet of fiber material so that they can be easily carried.

산업화가 가속화되면서 환경오염물질의 지속적인 증가와 황사로 인한 미세먼지 등이 증가하는 추세이고, 여기에 신종 바이러스의 발현으로 인한 위협이 높아짐에 따라 더 높은 수준의 위생용 마스크가 요구되고 있다.As industrialization accelerates, the continuous increase of environmental pollutants and fine dust caused by yellow dust are on the rise, and as the threat posed by the emergence of new viruses increases, a higher level of hygiene mask is required.

이러한 마스크는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마스크에 부직포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마스크에는 미세먼지 고효율로 포집함과 함께, 착용자가 숨막힘을 느끼지 않게 하도록 기체가 통과할 때의 흡기 저항이 적을 것이 요구된다.In such a mask, a non-woven sheet is used as a mask for removing fine dust. The mask is required to capture fine dust with high efficiency and to have low intake resistance when gas passes through so that the wearer does not feel suffocation.

종래의 안면 마스크는 비강이나 구강을 통해 찬공기를 직접 들이마시는 것을 막아 주기 때문에 감기에 걸리는 것을 어느 정도 예방해줄 수 있으나, 보통 0.1㎛ 내지 1.0㎛의 크기를 갖는 세균이나 미세 먼지에 비해 훨씬 큰 기공을 갖는 종래의 안면 마스크로는 세균이나 미세 먼지와 같은 미세 이물질을 차단하기에 한계가 있다.Conventional face masks prevent cold air from directly inhaling through the nasal passages or oral cavity, so they can prevent a cold to some extent. A conventional face mask having

여기에 대부분의 마스크는 착용감이나 피부에 대한 자극을 이유로 면사를 이용하여 제조하고 있으나, 면사의 경우 기본적으로 친수성이 강하여 흡습력이 강하며, 이렇게 흡습된 수분은 박테리아나 세균 서식의 온상이 되므로 마스크의 착용이 오히려 건강에 좋지 않을 수도 있다.Here, most masks are manufactured using cotton yarn for reasons of wearing comfort or irritation to the skin. Wearing it may not be good for your health.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존의 기술들을 보면, 공개특허 10-2004-0106959(동섬유 살균 마스크)는 무산소동선을 신선기를 통하여 직경 30㎛까지 가늘게 한 동극세사를 사용하여, 마스크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 초극세 동사를 적어도 한 가닥 내지 수 가닥 꼰 것을 음이온 섬유와 함께 수직 수평의 격자 형태로 직조하여서 된 동사편직물을 삽입하여 구성한다. Looking at the existing technologies to solve this disadvantage,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106959 (copper fiber sterilization mask) uses copper microfibers made of oxygen-free copper wire thinned to 30 μm in diameter through a drawing machine, between the inner and outer skin of the mask. It is composed by inserting a verb knitting fabric made by weaving at least one or several strands of ultrafine verbs in a vertical and horizontal grid form together with anionic fibers.

그러나 이러한 경우 동의 산화에 의해 변색이 일어나며, 표면이 산화된 동사는 항균성이 큰 폭으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충분한 항균력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많은 량의 동선을 사용하여야 하며, 그 결과 중량도 무거워진다. 일반적으로 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동의 항균력은 은의 약 1/20 내지 1/50에 불가하기 때문이다.However, in this case, discoloration occurs due to oxidation of copper, and the antibacterial properties of copper with an oxidized surface are greatly reduced. Therefore, in order to exhibit sufficient antibacterial activity, a large amount of copper wire must be used, and as a result, the weight becomes heavy. This is because, although generally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copper is about 1/20 to 1/50 that of silver.

또한 등록특허 10-0717884(항균마스크)는 올리브, 계피, 생강, 소나무, 이질풀, 스피어민트, 감송유, 쑥국화, 세르비아, 허브에서 추출한 항균물질을 세피오라이트에 흡수시키고, 상기 세피오라이트를 면직섬유의 사이에 부착하여 만든 항균마스크를 제안하고 있으나, 이 경우 항균성이 미비하며, 세탁에 의한 항균 지속성의 저하 등의 문제가 있다.In addition, registered patent 10-0717884 (antibacterial mask) absorbs the antibacterial substances extracted from olive, cinnamon, ginger, pine, Shigella, spearmint, persimmon oil, mugwort, Serbia, and herbs into sepiolite, and the sepiolite is placed between cotton fibers. Although an antibacterial mask made by attaching it is proposed, in this case, antibacterial properties are insufficient, and there are problems such as a decrease in antibacterial durability due to washing.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106959호 (2004년 12월 20일)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106959 (December 20, 200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7884호 (2007년 05월 07일)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717884 (May 07, 20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멜트블로운 등을 통해 제조된 부직포 표면에 금속 도금을 수행하여 항균성을 부여함으로써 바이러스, 박테리아, 진균 등의 체내 흡입을 억제할 수 있는 항균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more specifically, metal plating is performed on the surface of a nonwoven fabric manufactured through melt blown etc. to give antibacterial properties, thereby suppressing inhalation of viruses, bacteria, fungi, etc. It is about an antibacterial mask that can do it.

본 발명은 항균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bacterial mask.

본 발명의 일 양태는,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착용자의 얼굴과 직접 접촉되는 내피층;an endothelial layer in direct contact with the wearer's face;

상기 내피층의 일면과 일정 부분이 접착되어 공간을 형성하며, 편직물로 형성되는 외피층; 및an outer skin layer formed of a knitted fabric to form a space by bonding one surface and a certain portion of the inner skin layer; and

상기 공간에 위치하며, 표면에 구리, 니켈, 은, 금, 티타늄, 칼슘 및 칼륨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금속이 도금된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층;a non-woven fabric layer disposed in the space and including fibers plated with any one or a plurality of metals selected from copper, nickel, silver, gold, titanium, calcium and potassium on the surface;

을 포함하며,includes,

상기 내피층, 외피층 및 부직포층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는 면섬유, 레이온,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 및 폴리이미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Any one or a plurality of selected from the inner skin layer, the outer skin layer and the non-woven fabric layer comprises any one or a plurality of filaments selected from cotton fiber, rayon, polyester, polyolefin, polyamide, polyacryl and polyimide. It's about the mask.

본 발명에서 상기 외피층과 내피층은 도트형 패턴 또는 웹형으로 형성된 핫멜트 접착제로 접착될 수 있으며, 상기 핫멜트 접착제는 습기 경화형 핫멜트 접착제와 열가소성 핫멜트가 혼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kin layer and the inner skin layer may be bonded with a hot melt adhesive formed in a dot-type pattern or web shape, and the hot melt adhesive is characterized in that a moisture curing hot melt adhesive and a thermoplastic hot melt are mixed.

또한 상기 부직포층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폴리올레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고분자 방사용액을 멜트블로운 공정으로 방사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In addition, the nonwoven layer may be formed by spinning any one or a plurality of polymer spinning solutions selected from polyester, polyamide, polyacrylic, thermoplastic elastomer and polyolefin through a melt blown process,

상기 외피층은 면번수 10 내지 100수의 면섬유를 15 내지 40 게이지의 밀도로 편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er skin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cotton fibers of 10 to 100 cotton counts are knitted at a density of 15 to 40 gauge.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외피층과 내피층 사이에 섬유 표면에 금속을 도금한 부직포층을 구비함으로써 미세먼지의 포집력을 발현함과 동시에 각종 균주 등에 대한 항균성을 가진다. 특히 다층의 구조로 인해 알레르기 유발물질, 꽃가루, 매연, 황사, 미세먼지와 같은 미립자를 효과적으로 여과하며, 동시에 각종 세균, 진균, 바이러스 등에 대한 살균력이 우수하여 세균에 많이 노출된 환경, 특히 병원, 의료 업무를 수행하는 의료인에게 사용이 적합하다.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nonwoven fabric layer plated with metal on the fiber surface between the outer skin layer and the inner skin layer, thereby exhibiting fine dust collecting power and having antibacterial properties against various strains and the like. In particular, due to its multi-layered structure, it effectively filters fine particles such as allergens, pollen, soot, yellow dust, and fine dust. It is suitable for use by medical personnel performing their duties.

이하 구체예 또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마스크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구체예 또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antibacterial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the following specific examples or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specific examples or examples are only a reference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은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구체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Also,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effectively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Also, the singular form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appended claims may also be intended to include th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specifically dictates otherwise.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마스크는 다층의 직물 또는 부직포가 적층되는 구성을 가지며, 구체적으로, 착용자의 얼굴과 직접 접촉하는 내피층; 상기 내피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부직포층; 및 상기 부직포층의 일면에 형성되며, 편직물로 형성되는 외피층;을 포함하며, 상기 부직포층은 상기 외피층과 내피층이 접착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The antibacterial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multi-layered fabric or non-woven fabric is laminated, and specifically, an endothelial layer in direct contact with the wearer's face; a non-woven fabric laye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inner skin layer; and an outer skin laye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and formed of a knitted fabric, wherein the nonwoven fabric layer may be located in a space where the outer skin layer and the inner skin layer are formed by adhesion.

외피층을 기준으로 각 구성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외피층은 상기 마스크의 최외곽을 담당하는 것으로, 통기성을 가져 착용자가 호흡하기 편한 구조를 가지며, 동시에 길이 "??* 양 끝단에 귀걸이부를 형성하여 착용을 도울 수 있다.If each configuration is sequentially described based on the outer skin layer, the outer skin layer is responsible for the outermost part of the mask, has a structure that is breathable and easy for the wearer to breathe, and at the same time has a length "??* Can help with wearing.

상기 외피층은 제조방법을 한정하지 않는다. 일예로 원형 편직기(환편기)를 통해 편직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원형 편직기는 편성 동작, 회전속도의 변경, 원사 교체, 섬유와 밀도의 변경 등 모든 조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원형 편직기일 수 있다.The outer skin layer is not limited to a manufacturing method. For example, it can be manufactured by knitting through a circular knitting machine (circular knitting machine), in which case the circular knitting machine may be an automatic circular knitting machine in which all operations such as knitting operation, change of rotational speed, yarn replacement, and fiber and density change are automatically performed. have.

구체적으로, 상기 자동 원형 편직기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실린더 샤프트 외측에 미도시한 원통형의 니들 실린더가 위치하며, 상기 니들 실린더의 내주면을 따라 지정된 간격으로 슬롯이 배열되고, 각 슬롯 사이에는 편직 니들이 설치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편직 니들 사이에는 싱커가 편직 니들과 수직하도록 배치되어 캠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utomatic circular knitting machine has a cylindrical needle cylinder (not shown) positioned on the outside of the cylinder shaft rotated by a motor, slots are arranged at specified interval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eedle cylinder, and a knitting needle is installed between each slot It can be made possible to move up and down. And a sinker between the knitting needles is dispos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knitting needles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the cam.

그리고 실린더 샤프트에 의해 니들 실린더가 회전함에 따라 편직 니들이 원사가 끼워진 상태로 순차적으로 하강-상승을 반복하며, 각각의 싱커가 전진 및 후진함에 따라 연속으로 루프를 형성하여 원통형으로 편직될 수 있다.And as the needle cylinder rotates by the cylinder shaft, the knitting needle sequentially descends and rises in a state in which the yarn is inserted, and as each sinker moves forward and backward, it continuously forms a loop and can be knitted in a cylindrical shape.

이때 상기 외피층은 직물의 형태에 따라 섬유의 종류 및 섬도, 편직 조건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일예로 외피층의 표면에 입체감을 주기 위해서는 편직기가 회전함에 따라 편직 니들의 개수를 순차적으로 감소시키면서 편직할 수도 있으며, 색상을 부여하기 위해 미리 염색된 섬유를 준비한 후, 설정된 편직 프로그램 및 도안에 따라 색상이 상이한 섬유를 각각 공급함으로써 무늬 등을 형성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outer skin layer may select the type and fineness of the fibers, knitting conditions, etc.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abric. For example, in order to give a three-dimensional effect to the surface of the outer skin layer, as the knitting machine rotates, it may be knitted while sequentially reducing the number of knitting needles. A pattern or the like can also be formed by supplying each of these different fibers.

또한 상기 외피층은 필요에 따라 두 겹 이상의 편직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두 겹 이상의 편직물을 적층할 경우, 각 층의 접착 방법은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않으며, 일예로 재봉이나 접착제, 열융착 섬유를 이용한 압착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outer layer may be made of two or more layers of knitted fabric, if necessary. At this time, when two or more layers of knitted fabrics are laminated as described above, the bonding method of each layer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s an example, a method such as sewing, adhesive, or compression using a heat-sealed fiber may be used.

상기 귀걸이부는 상기와 같이 외피층의 길이방향 양 끝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귀걸이부는 상기 원형 편직기를 이용하되, 설정된 귀걸이부의 넓이에 따라 그 넓이만큼의 편직 니들만을 동작시키며, 원형 편직기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arring unit may be form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skin layer as described above, and the earring unit uses the circular knitting machine, but operates only knitting needles as much as the width according to the set area of the earring unit, and the circular knitting machine operates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It is preferable to form it to rotate.

상기 외피층은 상술한 바와 같이 착용자의 호흡에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도 기본적인 기계적 물성을 확보하기 위해 섬유의 섬도 및 직물 밀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피층은 면번수 10 내지 100수의 면섬유를 15 내지 40 게이지의 밀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기계적인 물성의 저하로 보풀(pill)이 발생하거나 기공의 크기가 증가하여 여과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uter skin layer may control the fineness of the fibers and the density of the fabric in order to secure basic mechanical properties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wearer's breathing. Specifically, the outer skin layer is preferably formed of cotton fibers having a cotton count of 10 to 100 at a density of 15 to 40 gauge. If the above range is not satisfied, the filtration efficiency may decrease due to the occurrence of pills or an increase in the size of pores due to deterior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또한 상기 외피층은 면섬유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보풀이 일기 쉽기 때문에, 합성 섬유와 혼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면섬유 이외에도 마 등의 셀룰로스 섬유, 모, 견 등의 동물성섬유를 더 포함하여도 무방하고, 상기와 같은 섬유 조성은 외피층 만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할 내피층 및 부직포층 제조 시에도 적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er skin layer may be used alone with cotton fibers, but since fluff is easy to occur, it may be mixed with synthetic fibers, and in addition to the cotton fibers, cellulose fibers such as hemp, wool, and animal fibers such as silk may be further included, The fiber composition a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only the outer skin layer, and may be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the inner skin layer and the non-woven fabric lay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면섬유와 혼섬되는 필라멘트는 특별히 재질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레이온 등의 반합성 섬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프탈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 및 폴리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The filament to be mixed with the cotton fi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material. Semisynthetic fibers such as rayon; polyolefins such as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phthalate copolymer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amide; polyacrylic; and polyimide; and the like.

상기 필라멘트는 상기와 같은 합성섬유 또는 반합성섬유 이외에도 다양한 열가소성 수지를 방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직포의 기공 크기를 조절하고 섬유 간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낮은 온도에서 용융 또는 연화되는 엘라스토머 수지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의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폴리스티렌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As the filament, a variety of thermoplastic resins may be spun in addition to the synthetic or semi-synthetic fibers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it may include elastomeric resin fibers that are melted or softened at a low temperature in order to control the pore size of the nonwoven fabric and increase adhesion between the fibers. Examples of such a thermoplastic resin include polyolefin elastomer, polystyrene elastomer, polyester elastomer, polyamide elastomer and polyurethane elastomer.

이들 중 특히 가는 섬유를 방사하기가 용이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고, 폴리머의 성질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성분이 공중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엘라스토머 수지의 융점은 한정하지 않으나 60 내지 12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Among these, a polyolefin elastomer that can easily spin a particularly thin fiber is preferable, and other components may be copolymeriz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properties of the polymer. The melting point of the elastomer resin is not limited, bu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60 to 120°C.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로는 올레핀 모노머의 랜덤 공중합체가 있다.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의 랜덤 공중합체란, 2중 결합을 갖는 탄화 수소로서, CnH2n(n은 2 내지 10의 정수)으로 표시되는 에틸렌, 프로필렌, 뷰텐(부텐) 등의 모노머와 이들 이외의 적어도 1종의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체이며, 특히 모노머가 랜덤하게 배열된 랜덤 공중합체이다.More preferably, the polyolefin elastomer is a random copolymer of olefin monomers. The random copolymer of polyolefin elastomer is a hydrocarbon having a double bond, and is represented by C n H 2n (n is an integer of 2 to 10), such as ethylene, propylene, butene (butene), and at least one other monomer. It is a copolymer of different monomers of a species, in particular a random copolymer in which the monomers are arranged randomly.

상기 랜덤 공중합체의 예를 들면 에틸렌과 탄소 수 3 내지 10의 올레핀의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탄소 수 4 내지 10의 올레핀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나아가, 에틸렌과 탄소 수 3 내지 10의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탄소 수 3 내지 10의 올레핀으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 1-뷰텐, 3-메틸-1-뷰텐, 4-메틸-1-뷰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random copolymer are preferably a copolymer of ethylene and an olefin having 3 to 10 carbon atoms or a copolymer of propylene and an olefin having 4 to 10 carbon atoms. Furthermore, a copolymer comprising ethylene and an olefin having 3 to 10 carbon atoms is preferable. Examples of the olefin having 3 to 10 carbon atoms include propylene, 1-butene, 3-methyl-1-butene, 4-methyl-1-butene, 1-pentene, 1-hexene, and 4-methyl-1-pentene. , 1-heptene, 1-octene, 1-nonene, 1-decene, and the like.

상기 올레핀 중에서는, 특히 1-뷰텐, 1-펜텐, 1-헥센, 1-옥텐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들 올레핀은,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을 조합한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에틸렌-뷰텐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올레핀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에틸렌과 탄소 수 3 내지 10의 올레핀의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탄소 수 4 내지 10의 올레핀의 공중합체의 분자량 분포(Mw/Mn)는, 방사성의 점에서 1.5 내지 4인 것이 바람직하다. Among the olefins, 1-butene, 1-pentene, 1-hexene and 1-octene are particularly preferable. In particular, these olefins can be used individually by 1 type or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s. Ethylene-olefin copolymers, such as an ethylene-octene copolymer and an ethylene-butene copolymer which combined these, are preferable. In addition,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Mw/Mn) of the copolymer of ethylene and an olefin having 3 to 10 carbon atoms or propylene and an olefin having 4 to 10 carbon ato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1.5 to 4 in terms of radioactivity. desirable.

이러한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엘라스토머의 시판품으로 예를 들면 "엔게이지(ENGAGE)"(상품명, 더 다우케미칼 컴퍼니사(The Dow Chemical Company) 제조), "비스타맥스(Vistamaxx)"(상품명, 엑손 모빌 코포레이션사(Exxon Mobil Corporation) 제조)가 예시된다. Commercial products of such polyolefin copolymer elastomers include, for example, "ENGAGE" (trade name, manufactured by The Dow Chemical Company), "Vistamaxx" (trade name, Exxon Mobil Corporation) Mobil Corporation) is exemplified.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올레핀 공중합체는 메탈로센 촉매에 의해 제조된 공중합체일 수도 있다. 덧붙여,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에는, 올레핀에 가교용 디엔 모노머를 가한 3원 공중합체도 포함되며, 구체적으로는, 에틸렌-프로필렌-다이엔 고무, 에틸렌-뷰텐-디엔 고무가 예시된다.In addition, the polyolefin copolym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polymer prepared by a metallocene catalyst. Incidentally, the polyolefin elastomer also includes a terpolymer obtained by adding a crosslinking diene monomer to an olefin, and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ethylene-propylene-diene rubber and ethylene-butene-diene rubber.

여기에 상기 필라멘트는 후술할 대전성을 부여하기 위해 음이온화가 가장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는 관능기를 가진 단량체 또는 고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부직포의 대전을 위해 가해지는 전기적인 에너지(코로나, 고압 대전), 물리적 에너지(마찰대전) 또는 충돌에너지(하이드로대전) 등에 의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Here, the filament may further include a monomer or polymer having a functional group that can be anionized most easily in order to impart chargeability,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particular, the above object can be achieved by electrical energy (corona, high-pressure charging), physical energy (frictional charging), or collision energy (hydro-charging) applied for charging the nonwoven fabric.

본 발명에서 상기 관능기의 예를 들면, 설폰산기, 설폰산에스테르기, 카르복실산기, 카르복실산에스테르기, 티오카르복실산기, 티오카르복실산에스테르기, 디티오카르복실산기, 디티오카르복실산에스테르기 및 산무수물기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산성의 관능기일 수 있다. 이러한 관능기에 따라 고분자의 산가나 특성이 차이가 나므로, 주성분인 비도전성 열가소성 고분자에 따라 산성 고분자의 종류를 변화시켜 사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of the functional group, sulfonic acid group, sulfonic acid ester group, carboxylic acid group, carboxylic acid ester group, thiocarboxylic acid group, thiocarboxylic acid ester group, dithiocarboxylic acid group, dithiocarboxyl group It may be at least one acidic functional group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cid ester group and an acid anhydride group. Since the acid valu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olymer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se functional groups, the type of the acid polymer can be changed and used according to the non-conductive thermoplastic polymer, which is the main component.

이러한 관능기를 가지고 있는 단량체로는 비닐설폰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말레인산,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비닐티오카르복실산, 비닐디티오카르복실산 및 그 에스테르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많은 단량체 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량체들을 가지고 일반적인 올레핀 중합에 이용되는 에멀젼중합이나 용액중합 등을 통하여 산성 고분자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부가중합촉매와 첨가제들을 중합반응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산성 고분자의 산가나 용융점도, 기타 물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올레핀 중합에 사용되는 비닐톨루엔, 스티렌, 아크릴아마이드, 비닐아세테이트 등과 같은 일반적인 단량체들을 같이 사용할 수 있다.Monomers having such a functional group include vinylsulfonic acid, fumaric acid, itaconic acid, crotonic acid, maleic acid,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vinylthiocarboxylic acid, vinyldithiocarboxylic acid and esters thereof, and many other monomers. can be used With these monomers, an acidic polymer can be prepared through emulsion polymerization or solution polymerization used for general olefin polymerization, and general addition polymerization catalysts and additives can be used for polymerization. In addition, common monomers such as vinyltoluene, styrene, acrylamide, and vinyl acetate used in olefin polymerization can be used together to control the acid value, melt viscosity, and othe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cidic polymer.

상기 필라멘트는 평균 섬유장을 한정하지 않으나, 10 내지 100㎚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필라멘트가 상기 범위 미만의 섬유장을 가질 경우, 교락이 제대로 되지 않아 기계적 강도가 하락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섬유장을 가질 경우 섬유의 분산에 문제가 발생하여 부직포의 평량 및 두께의 균일성이 떨어질 수 있다.The filament is not limited to an average fiber length, but may have a length of 10 to 100 nm. If the filament has a fiber length less than the above range, mechanical strength may decrease due to improper entanglement. This can fall.

상기 필라멘트의 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둥근 단면, 편평 단면, 이형 단면, 중공 단면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형 단면 중 골이 형성된 삼각형 단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마스크로 사용될 때 내쉬는 숨에 의해 입 주위의 마스크가 습기를 흡수하고 장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으나, 상기와 같이 이형단면을 가질 경우 흡수율이 좋고 동시에 건조속도가 빨라 불쾌감을 줄일 수 있다.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la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include a round cross-section, a flat cross-section, a deformed cross-section, and a hollow cross-section, and preferably, a ribbed triangular cross-section among the irregular cross-sections. In particular, when used as a mask, the mask around the mouth absorbs moisture by exhaled breath and may give discomfort to the wearer.

상기 필라멘트의 섬도는 1 내지 10 데니어인 것이 좋다. 섬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미세먼지의 포집 효율은 높으나 합사 시 필라멘트의 절단이 증가하여 부직포 가공 불량을 초래할 수 있으며, 섬도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기공의 크기가 커져 통기성은 증가하나 포집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The fineness of the filament is preferably 1 to 10 denier. If the fineness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fine dust collection efficiency is high, but the cutting of filaments increases during braiding, which may lead to poor nonwoven processing. can

상기 면섬유와 필라멘트의 혼섬 또는 합사에 있어서 그 방법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면섬유 100 중량부 대비 필라멘트 1 내지 100 중량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라멘트의 중량비가 1 중량부 미만 첨가되는 경우 기계적 물성, 특히 인장강도가 크게 떨어질 수 있으며, 100 중량부 초과 혼합되는 경우 혼섬 시 필라멘트의 절단이 발생할 수 있다.The method is not limited in the mixing or braiding of the cotton fiber and the filament.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mix 1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filamen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tton fiber. When the weight ratio of the filament is added to less than 1 part by weight, mechanical properties, particularly tensile strength, may be greatly reduced, and when mixed with more than 100 parts by weight, cutting of the filament may occur during mixing.

또한 상기 외피층은 필요에 따라 코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덮개부는 외피층의 형성 과정에서 편직 프로그램의 조절에 따라 형성하거나, 외피층의 일면에 상기 외피층과 상이한 직물을 덧댐으로써 상기 외피층의 길이"??* 일측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er skin layer may further include a nasal cover if necessary. The nose cover part may be form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a knitting program during the formation of the outer skin layer, or the length of the outer skin layer by adding a fabric different from the outer skin layer on one side of the outer skin layer.

예를 들어 상기 코덮개부를 편직을 통해 형성하는 경우, 코덮개부의 형성 예정 위치에서 원형 편직기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편직이 수행된다. 이때 상기 코덮개부는 착용감을 높이기 위해 입체감을 주도록 편직 시 편직 니들의 수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면서 진행하는 것이 좋다. 또한 외피층이 두 겹 이상 구비되는 경우, 층과 층 사이에 형태를 고정할 수 있는 와이어를 더 삽입함으로써 착용자의 코 형태에 따라 상기 코덮개부의 형태를 전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nose cover is formed through knitting, knitting is performed while the circular knitting machine rotates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nose cover.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proceed while gradually reducing the number of knitting needles when knitting the nose cover to give a three-dimensional effect in order to increase the wearing comfort. In addition, when two or more layers of the outer skin layer are provided, the shape of the nasal cover can be entirely se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wearer's nose by further inserting a wire capable of fixing the shape between the layers.

본 발명에서 상기 부직포층은 상기 외피층의 내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표면이 금속으로 도금된 섬유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금속의 이온성으로 인해 진균, 바이러스 및 각종 균주를 제거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woven fabric layer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kin layer, and the surface includes fibers plated with metal, so that fungi, viruses and various strains can be removed due to the ionicity of the metal.

상기 부직포층은 제조방법을 한정하지 않으나, 기공의 크기를 미세히 조절함과 동시에 부직포의 제조 공정을 최대한 간소화하기 위해 멜트블로운(melt blown)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is not limited, it is preferable to use a melt blown method to finely control the size of the pores and to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nonwoven fabric as much as possible.

이때 상기 멜트블로운 부직포는 용융된 열가소성 재료를 통상은 원형인 다수의 미세한 다이 모세관을 통해 고속 가스(예를 들면, 공기) 스트림으로 압출시켜 용융된 열가소성 재료의 필라멘트를 가늘게 하여 이들의 직경을, 가능하게는 마이크로 섬유(microfiber) 직경까지 감소시킴으로써 용융된 트레드 또는 필라멘트로서 형성된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를 의미한다. In this case, the meltblown nonwoven fabric is formed by extruding the molten thermoplastic material with a high-velocity gas (e.g., air) stream through a plurality of fine die capillaries, usually circular, to thin filaments of the molten thermoplastic material to increase their diameter, By means of a nonwoven fabric comprising fibers formed as molten treads or filaments, possibly by reducing the diameter to microfibers.

멜트블로운 섬유는 고속 가스 스트림에 의해 이동되고 수집 표면 상에 배치되어 무작위로 지급된 멜트블로운 섬유의 웹을 형성시킨다. 멜트블로운 공정은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문헌(참조: NRL Report 4364, "Manufacture of Super-Fine Organic Fibers", V.A. Wendt, E.L. Boone 및 C.D. Fluharty; NRL Report 5265, "An Improved device for the Formation of Super-Fine Thermoplastic Fibers", K.D. Lawrence, R.T. Lukas 및 J.A. Young) 및 Buntin 등의 미국 특허 제3,849,241호를 포함하는 다양한 특허 및 공보에 기술되어 있다.The meltblown fibers are carried by the high velocity gas stream and placed on a collecting surface to form a web of randomly dispensed meltblown fibers. Meltblown processes are well known and described in NRL Report 4364, "Manufacture of Super-Fine Organic Fibers", VA Wendt, EL Boone and CD Fluharty; NRL Report 5265, "An Improved device for the Formation of Super- Fine Thermoplastic Fibers", KD Lawrence, RT Lukas and JA Young) and in various patents and publications including US Pat. No. 3,849,241 to Buntin et al.

상기 멜트블로운 부직포는 섬유의 섬도를 미세화할 수 있기 때문에 기공 크기 또한 미세화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표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에 항균성을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The melt blown nonwoven fabric is preferable because the fineness of the fibers can be miniaturized, so the pore size can also be miniaturized, and the surface area can be relatively maximized, thereby increasing antibacterial properties.

본 발명에서 상기 멜트블로운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방사 가능한 고분자라면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부직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올레핀 등과 같은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폴리올레핀으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등을 들 수 있고, 폴리에스테르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0, 나일론 12 등의 폴리아미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스티렌계 블럭 공중합체,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및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ype of fibers constituting the melt blown nonwoven fabric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a spun polymer. For example, the nonwoven fabric may include a polymer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and polyolefin. Specifically, the polyolefin may include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butylene, etc., and polyester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In addition, polyamides such as nylon 6, nylon 6,6, nylon 10, and nylon 12, thermoplastic elastomers such as ethylene propylene rubber, styrenic block copolymers, copolyester elastomers and polyamide elastomers, and mixtures thereof may be included.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 상기 부직포층은 표면에 금속을 도금함으로써 양전하를 도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양전하는 세균 세포 표면의 음전하를 전기적으로 당김으로써 세균의 세포를 파열시키는 방식으로 항균성을 나타내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ositive charge may be introduced into the nonwoven fabric layer by plating a metal on its surface. The positive charge as described above exhibits antibacterial properties in a manner that ruptures the bacterial cell by electrically pulling the negative charge on the surface of the bacterial cell.

본 발명에서 상기 부직포층에 금속을 도금하는 방식은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않으며, 전해도금, 무전해도금 등 어떤 방식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제조된 부직포층에 탈지, 에칭, 표면조정, 중화 등의 단계를 거쳐 전처리를 진행한 다음, 금속에 따라 촉매를 부여한 후, 상기 금속이온이 포함된 욕에 상기 부직포층을 침지시킨 후, 열 또는 전기를 가하여 부직포층을 도금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plating the metal on the nonwoven layer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ny method such as electrolytic plating or electroless plating may be applied. For example, the nonwoven fabric layer is pretreated through steps such as degreasing, etching, surface adjustment, and neutralization, and then a catalyst is applied depending on the metal, and then the nonwoven fabric layer is immersed in a bath containing the metal ions. , heat or electricity may be applied to plated the nonwoven layer.

구체적으로 상기 부직포층 표면에 구리를 도금하는 경우, 먼저 디에틸프로판디올(diethyl propanediol),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에테르(di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등의 유기용매로 표면을 탈지한 후, CP 정면제, 황산 및 용매를 포함하는 정면용액에 다시 침적시켜 정면 처리한다. 그리고 희석된 염산을 산중화용액으로 사용하여 중화하고, 염화팔라듐(PdCl2)과 염화제1주석(SnCl2) 등의 촉매를 적용하여 촉매층을 형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copper is plated on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the surface is first degreased with an organic solvent such as diethyl propanediol or di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nd then the CP face agent, sulfuric acid And it is immersed in a front face solution containing a solvent again to treat the face face. Then, the diluted hydrochloric acid is used as an acid neutralization solution to neutralize, and a catalyst such as palladium chloride (PdCl 2 ) and stannous chloride (SnCl 2 ) may be applied to form a catalyst layer.

상기와 같이 전처리를 진행한 후에는 도금 공정을 진행하여 부직포층 표면에 금속 이온을 도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은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구리, 니켈, 은, 금, 티타늄, 칼슘 및 칼륨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일 수 있다.After the pretreatment as described above, a plating process may be performed to introduce metal ions to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In this case, the metal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specifically, any one or a plurality of metals selected from copper, nickel, silver, gold, titanium, calcium, potassium, and the like may be used.

상기 금속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구리 또는 은일 수 있다. 상기 구리나 은은 이온화 경향이 강하여 섬유 표면에 적용 시 항균성의 증가가 두드러지며, 다른 금속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도금 공정이 복잡하지 않아 바람직하다.The metal may be more preferably copper or silver. The copper or silver has a strong ionization tendency, so that when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fiber, antibacterial properties are remarkable, and it is preferable because the price is low compared to other metals and the plating process is not complicated.

일예로 상기 부직포층 표면에 구리를 도금하는 경우, 도금액으로 황산구리, 수산화나트륨, 포름알데히드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도금액에 부직포층을 침지시키고 전해 또는 무전해 도금을 진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copper is plated on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copper sulfate, sodium hydroxide, formaldehyde and a solvent may be included as a plating solution, and the nonwoven fabric layer may be immersed in the plating solution and electrolytic or electroless plating may be performed.

상기 구리도금액은 부도체인 섬유 소재 표면에 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구리도금액은 황산구리, 수산화나트륨, 포름알데히드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황산구리는 상기 섬유 소재에 도전성을 부여할 수 있는 구리 이온을 공급하며, 포름알데히드는 환원제로 작용하여 구리의 석출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산화나트륨은 용액의 pH를 조절하여 도금속도를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The copper plating solution is for imparting conductivity to the surface of the non-conductive fiber material, and the copper plating solution may include copper sulfate, sodium hydroxide, formaldehyde and a solvent. The copper sulfate may supply copper ions capable of imparting conductivity to the fiber material, and formaldehyde may act as a reducing agent to promote copper precipitation. In addition, the sodium hydroxide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plating speed by adjusting the pH of the solution.

상기 구리도금액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다양한 첨가제를 더 포함하여도 좋다. 예를 들여 상기 구리의 연성을 높이기 위해 에틸렌디니트릴로-테트라-2-프로판올(EDTP)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2-2' 디피리딜(2-2' Dipyridyl), 페로시안화칼륨(Potassium ferrocyanide), 2-머캅토 벤조치아졸(2-Mercapto benzo thiazole), 티오 우레아(Thio urea),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글리신(Glycine), 티오황산염(Sodium thiosulfate), 탄산염(Sodium carbonate) 및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 amine) 등의 안정제를 더 첨가하여도 좋다.The copper plating solution may further include various additives as needed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For example, in order to increase the ductility of the copper, ethylenedinitrilo-tetra-2-propanol (EDTP) may be further included, in addition to 2-2' dipyridyl (2-2' Dipyridyl), potassium ferrocyanide (Potassium ferrocyanide), 2-Mercapto benzo thiazole, Thio urea, Polyethylene glycol, Glycine, Sodium thiosulfate, Sodium carbonate ) and a stabilizer such as triethanolamine may be further added.

상기 구리도금액은 조성, 도금 온도, 도금 시간 등을 한정하지는 않으나,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황산구리 5 내지 20 중량부, 가성소다 0.1 내지 2 중량부 및 포르말린 0.5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금은 40 내지 43℃의 온도에서 5 내지 30분간 침적시켜 진행하는 것이 좋다. The copper plating solution is not limited in composition, plating temperature, plating time, etc., but may include 5 to 20 parts by weight of copper sulfate, 0.1 to 2 parts by weight of caustic soda, and 0.5 to 1 parts by weight of formalin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lvent. In addition, the plating is preferably performed by immersion for 5 to 30 minutes at a temperature of 40 to 43 ℃.

또한 상기 도금액에 은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와 같이 전처리된 부직포를 은 착화합물을 포함하는 도금액에 침지시키는 방식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방식은 무전해 방식으로 상기 은 착화합물을 포함하는 도금액에 환원제를 가하면 은도금을 하고자 하는 부직포층 표면에 은이 석출, 도금될 수 있어 효과적으로 도금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silver component is included in the plating solution, it is preferable to immerse the nonwoven fabric pretreated as described above in a plating solution containing a silver complex compound. In the above method, when a reducing agent is added to the plating solution containing the silver complex in an electroless manner as described above, silver can be deposited and plated on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to be silver plated, so that plating can be performed effectively.

상기 환원제로 사용할 수 있는 물질의 예를 들면, 하이드라진(hydrazine, N2H4), 수소화붕소화합물(lithium borohydride, sodium borohydride, 또는 aluminium borohydride), 차아인산나트륨(NaH2PO2) 등이 있으며, 유기 환원제로는 포름알데하이드(HCHO), 아세트알데하이드(CH3CHO, 벤즈알데하이드(C6H5CHO), 아크레로인(CH2=CHCHO), 글루코오스(glucose) 등이 있다. 이중에서 글루코오스(glucos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환원제 수용액은 환원제의 농도가 2 내지 20 중량%인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Examples of materials that can be used as the reducing agent include hydrazine (hydrazine, N 2 H 4 ), borohydride compounds (lithium borohydride, sodium borohydride, or aluminum borohydride), sodium hypophosphite (NaH 2 PO 2 ), and the like, The organic reducing agent includes formaldehyde (HCHO), acetaldehyde (CH 3 CHO, benzaldehyde (C 6 H 5 CHO), acreroin (CH 2 =CHCHO), glucose, etc. Among them, glucose (glucose) ) is preferably used, and as the reducing agent aqueous solu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n aqueous solution having a reducing agent concentration of 2 to 20 wt%.

침적이 끝난 부직포층은 정제수에 2회 이상 수세하여 표면에 금속이 도금된 부직포층을 완성할 수 있다. 이때 수세가 끝난 후에는 황산이 5 중량% 정도 혼합된 정제수에 다시 한 번 수세하는 것이 좋다. 이는 도금액의 pH를 보존함과 동시에 도금된 섬유 소재의 표면을 활성화시키기 위함이다.The nonwoven fabric layer after the deposition is washed with purified water twice or more to complete the nonwoven fabric layer with metal plating on the surface. At this time, after washing with water, it is recommended to wash again with purified water mixed with sulfuric acid in about 5% by weight. This is to preserve the pH of the plating solution and at the same time activate the surface of the plated fiber material.

상기 내피층은 마스크에서 피부나 입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 입김이나 숨결이 바로 접촉됨에 따라 습기가 많을 수밖에 없는 조건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미생물, 균류가 증식할 수도 있으므로 이를 차단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항균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부와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항균성을 갖는 것과는 별개로 피부에 자극을 가하지 않는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ndothelial layer is a part of the mask in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or mouth, and has a condition in which there is no choice but to have a lot of moisture as it is directly in contact with breath or breath. Therefore, in this case, since microorganisms and fungi may proliferat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one or more antibacterial substances in order to block them. In addition, since it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it is preferable to use a fiber that does not irritate the skin apart from having antibacterial properties as described above.

상기 내피층을 구성하는 섬유로 바람직하게는 면섬유에 항균물질이 함유된 필라멘트 및 폴리유산(poly lactic acid)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fibers constituting the inner skin laye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filaments and polylactic acid fibers containing antibacterial substances in cotton fibers.

본 발명에서 상기 필라멘트는 상술한 합성섬유 및 반합성섬유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아크릴, 레이온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중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것이 제조가 간단하며 동시에 내피층에 신축성을 부여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ament may include the synthetic fibers and semi-synthetic fibers described above, and specifically may include polyamide, polyester, polyolefin, polyacryl, rayon, etc. It is simple and at the same time, it is preferable because it can impart elasticity to the inner skin layer.

상기 항균물질은 상기 금속과 유사하게 섬유 표면에 양전하를 띄게 하여 음전하를 가지는 세균에 대한 항균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필라멘트 섬유의 방사 시 방사용액에 상기 항균물질을 포함하면, 섬유 형성 후 상기 항균물질들이 섬유 표면에 노출됨에 따라 항균성을 나타낼 수 있다. The antibacterial material is to impart antibacterial properties against bacteria having a negative charge by giving a positive charge to the fiber surface similarly to the metal. Materials can exhibit antimicrobial properties as they are exposed to the fiber surface.

상기 항균물질로 사용할 수 있는 무기물질로 예를 들면 염화세틸피리디늄, 염화벤조알코늄, 염화벤조에토늄, 염산클로르헥시딘 및 글루콘산클로르헥시딘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일 수 있다.The inorganic material that can be used as the antibacterial material, for example, may be any one or a plurality selected from cetylpyridinium chloride, benzoalkonium chloride, benzoethonium chloride, chlorhexidine hydrochloride and chlorhexidine gluconate.

상기와 같은 항균물질은 수분의 존재 하에서 섬유 표면에 양이온을 형성하고, 그 양이온이 미생물 세포 표면에 형성되는 음이온을 전기적으로 당기므로, 이러한 인력에 의해 세포벽을 파괴하는 방식으로 작용할 수 있다.Antibacterial substances as described above form cations on the fiber surface in the presence of moisture, and since the cations electrically attract anions formed on the surface of microbial cells, they can act in a manner that destroys the cell wall by this attractive force.

상기 항균물질은 상기 필라멘트 섬유 100 중량부에 대해 0.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미만 첨가하는 경우 항균성 확보가 어려울 수 있으며, 상기 범위 초과 첨가하는 경우 피부 자극이 발생할 수 있다.The antibacterial material is preferably included in an amount of 0.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filament fiber. When added below the above range, it may be difficult to secure antibacterial properties, and when added above the above range, skin irritation may occur.

상기 폴리유산(락틱산) 섬유는 바이오 베이스 폴리머로 선형의 지방족 폴리에스터이다. 주로 옥수수 및 감자에서 얻어지는 전분 발효에 의해 생성되는 락틱산의 화학적 전환에 의해 얻어지는 단량체를 중합함으로써 제조되는 소재이다. The polylactic acid (lactic acid) fiber is a bio-based polymer and is a linear aliphatic polyester. It is a material produced by polymerizing a monomer obtained by chemical conversion of lactic acid produced by fermentation of starch mainly obtained from corn and potatoes.

상기 폴리유산 섬유는 주쇄에 카르복실기나 알데히드기를 가짐에 따라 표면에 음전하를 띄게 된다. 이러한 음전하는 상기와 같이 표면에 양전하를 띄는 부직포층이나 필라멘트에서 여과하지 못하는 양전하를 띄는 미립자나 세균류를 제거할 수 있어 항균성을 더욱 높이게 되며, 전분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특성 상 피부에 친화적이고 저자극성을 가진다.As the polylactic acid fiber has a carboxyl group or an aldehyde group in the main chain, it has a negative charge on the surface. This negative charge can remove positively charged particles or bacteria that cannot be filtered from the non-woven fabric layer or filament having a positive charge on the surface as described above, thereby further enhancing antibacterial properties. .

상기 내피층은 면섬유 100 중량부에 필라멘트 5 내지 10 중량부 및 폴리유산 섬유 10 내지 3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술한 항균성이 발현되지 않거나 포집 효율이 떨어지고 피부 자극성이 증가할 수 있다.The inner skin layer preferably contains 5 to 10 parts by weight of the filament and 10 to 30 parts by weight of the polylactic acid fiber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tton fiber. If it is out of the above range, the above-mentioned antibacterial properties may not be expressed or the collection efficiency may be reduced and skin irritation may increase.

상기 내피층은 제조방법을 한정하지 않으나, 부직포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펀레이스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ner skin layer is not limited to a manufacturing method, but is preferably made of a nonwoven fabric, and more preferably a spunlace method is applied.

상기 스펀레이스는 단섬유 또는 필라멘트를 웹 형태로 만든 뒤 워터 제트를 고압 분사하여 수류 교락한 후, 이를 건조시켜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식으로, 먼저 단섬유와 필라멘트를 혼섬, 카딩하여 웹을 제조한 후, 상기 웹에 극성을 가지는 액체를 워터 제트(water jet)로 고압 분사하여 수중 교락하여 제조할 수 있다.The spunlace is a method in which short fibers or filaments are made into a web form and then water jets are entangled by high-pressure spraying, and then dried to produce a nonwoven fabric. First, a web is prepared by mixing and carding short fibers and filaments. , It can be produced by entangling in water by high-pressure jetting a liquid having a polarity on the web with a water jet.

상기 워터 제트는 스펀레이스(spun lace) 또는 워터펀치(water punch)라고도 불리며 고압의 수류(water stream)를 웹 상에 분사시켜 웹을 교락(entangling)하는 것으로, 웹에 강력을 부여하여 기계적 물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 water jet is also called spun lace or water punch, and by spraying a high-pressure water stream onto the web to entangling the web, it gives strength to the web to improve mechanical properties. can be obtained

일반적으로 단섬유 웹에서 교락을 부여하는 방법으로는 니들펀칭과 스펀레이스의 2 종류가 있다. 니들펀칭은 표면에 돌기(barb)가 있는 철제 바늘을 이용하여 웹의 두께 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면, 니들 표면의 돌기에 의해 섬유가 교락하면서 부직포가 제조된다. In general, there are two types of methods for imparting entanglement in a short fiber web: needle punching and spunlacing. In needle punching, when a reciprocating mo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web is performed using an iron needle having a barb on the surface, the fibers are entangled by the protrusion on the needle surface to produce a nonwoven fabric.

니들펀칭 부직포는 제조공정이 간단하므로 쉽게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나, 철제 니들을 사용하므로 니들의 왕복운동으로 인해 섬유가 파괴되기 쉽고, 이로 인해 물성의 저하와 분진이 발생하므로 공정 연속성이 불량하다. 또한 니들펀치법의 특성 상 100g/㎥ 이하의 평량을 가지는 경량 제품의 생산이 곤란하며, 결정적으로 니들이 통과한 부분에 니들 직경 크기의 홀이 다수 발생하므로 니들펀칭 부직포는 마스크로 사용하기 어렵다.The needle punching nonwoven fabric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ily manufactured because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e. However, because the iron needle is used, the fibers are easily destroyed due to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needle, which leads to deterioration of physical properties and the generation of dust, so the process continuity is poor. . In add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edle punch method, it is difficult to produce a lightweight product having a basis weight of 100 g/m3 or less, and it is difficult to use the needle punching nonwoven fabric as a mask because a number of holes of the size of the needle diameter are generated in the part through which the needle passes.

반면 스펀레이스는 섬유 교락 방법으로 50㎏/㎠G 이상의 고압 수류를 이용하므로 섬유의 손상을 매우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더군다나 분진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공정연속성이 우수하며, 제조되는 제품의 물성이 니들펀칭보다 우수하고 제품의 표면 촉감도 훨씬 유연하여 고품질의 부직포 제조에 유리하다. 제조되는 부직포(시트)의 중량범위도 저중량(10g/㎥)에서 고중량(500g/㎥) 이상까지 커버할 수 있어 설비의 유연성도 좋다.On the other hand, since spunlace uses a high-pressure water flow of 50 kg/cm 2 G or more as a fiber entanglement method, damage to the fibers can be very effectively avoided. Moreover, since no dust is generated, process continuity is excellen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nufactured product are superior to needle punching, and the surface feel of the product is much more flexible, which is advantageous for manufacturing high-quality nonwovens. The weight range of the manufactured nonwoven fabric (sheet) can also cover a low weight (10g/m3) to a high weight (500g/m3) or more, so the flexibility of the facility is good.

상기 스펀레이스는 상기 웹을 여러 개의 노즐이 형성된 기계로 통과시켜 수류 낙합 처리를 통해 웹을 교락함으로써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수류 낙합 처리는 예를 들어 직경 0.01 내지 0.5㎜, 간격 0.1 내지 2㎜ 정도로 구비된 액체 분사공을 1열 또는 다수열 배열한 노즐 플레이트가 구비된 장치에 웹을 통과시키고, 분사되는 액체를 웹에 충돌시켜 섬유를 삼차원 교락시키는 것이다. The spunlace may be performed by passing the web through a machine having a plurality of nozzles and entangling the web through water flow entanglement treatment. At this time, the water flow entanglement treatment is, for example, passing the web through a device equipped with a nozzle plate in which one or multiple rows of liquid injection holes provided with a diameter of 0.01 to 0.5 mm and an interval of 0.1 to 2 mm are arranged, and the sprayed liquid is applied to the web. It is to entangle the fibers three-dimensionally by colliding with them.

상기 액체 분사공을 통해 발사되는 액체의 수압은 10 내지 200㎏/㎠(1 내지 20 MPa) 정도의 수류인 것이 좋으며, 상기 기계에 웹을 1회 또는 2회 이상 복수 회 통과시켜 처리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The water pressure of the liquid fired through the liquid injection hole is preferably a water flow of about 10 to 200 kg/cm 2 (1 to 20 MPa), and the method of processing by passing the web through the machine once or twice or more desirable.

상기 분사공은 웹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열상으로 배열하고, 이 분사공이 배열된 노즐 플레이트를 다공성 지지 부재 상에 나열된 웹의 진행방향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분사공 간격과 동일 간격으로 진폭시켜 수류를 웹에 균일하게 충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웹을 지지하는 다공성 지지 부재의 예를 들면 철망 등의 메시 스크린이나 유공판 등 수류가 웹을 관통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The injection holes are arranged in row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web, and the nozzle plate in which the injection holes are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web arranged on the porous support member at the same interval as the injection hole spacing It is desirable to make the water current uniformly impinge on the web by amplifying it. The porous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web, for example, a mesh screen such as a wire mesh or a perforated pl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water flow can penetrate the web.

분사공과 웹의 거리는 수압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나, 1 내지 10㎝인 것이 좋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부직포의 기계적 물성이 하락하거나 삼차원 교락이 불가능하다. The distance between the injection hole and the web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water pressure, but is preferably 1 to 10 cm. If it is out of the above rang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nonwoven fabric may decrease or three-dimensional entanglement is impossible.

상기 내피층, 외피층 및 부직포층은 적층을 위해 각 층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이를 압착하는 방식 등으로 적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름 형태의 바인더를 부직포 시트 사이에 두고 접착하거나, 부직포를 겹친 후 이를 다시 스펀레이스기에 투입하여 재교락할 수 있다.The inner skin layer, the outer skin layer, and the nonwoven fabric layer may be laminated by applying an adhesive between each layer for lamination and then pressing the adhesive. Specifically, the binder in the form of a film may be placed between the nonwoven sheets and adhered, or the nonwoven fabric may be overlapped and then re-entangled by putting it back into a spunlacer.

본 발명에서 상기 바인더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종류에 한정하지 않으며, 이들의 바람직한 일예로는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바인더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그 중에서도 수분산형 폴리우레탄, 수분산형 아크릴, 수분산형 아크릴-우레탄, 수분산형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알콜 및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바인더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부직포 시트와의 상용성과 피부 적합성, 통기성 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inder is not limited to a type as long as it is commonly used in the art, and preferred examples thereof include a water-soluble or water-dispersible binder component. Among them, water-dispersible polyurethane, water-dispersible acrylic, and moisture It is preferable in terms of compatibility with the nonwoven fabric sheet, skin compatibility, air permeability, etc. to include any one binder compon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id type acrylic-urethane, water dispersion type polycarbonate, polyvinyl alcohol, and carboxymethyl cellulose.

또는 상기 접착층은 핫멜트(형) 접착제로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핫멜트 접착제는 열가소성수지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고체상의 물질로 용매에 용해시키거나 분산시키지 않고 100% 고형분만을 열에 의해 용해, 도포한 후 피착체나 주위에 열을 발산함으로써 냉각, 고화 되는 과정을 통해 짧은 시간에 접착을 나타내는 접착제이다. 이러한 접착제는 타 용제형 접착제나 수분산형 접착제 등에 비해 건조과정이 필요하지 않아 작업공간이 작고, 접착속도가 빠른 장점을 가지고 있다.Alternatively, th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adhered with a hot melt (type) adhesive. The hot-melt adhesive is a solid material at room temperature using a thermoplastic resin, without dissolving or dispersing it in a solvent, and dissolving and applying only 100% solids by heat. It is an adhesive that shows adhesion in a short time. Compared to other solvent-based adhesives or water-dispersion adhesives, these adhesives do not require a drying process, so they have a small working space and fast bonding speed.

상기 핫멜트형 접착제는 당업계에서 피혁, 필름, 시트 등에 접착의 용도로 통상 사용하는 것이라면 종류에 한정치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상기 핫멜트형 접착제의 재질로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핫멜트, 폴리에스테르 핫멜트, 폴리우레탄 핫멜트, 폴리올레핀 핫멜트, 폴리스티렌 핫멜트, 에틸렌-아크릴 공중합체 핫멜트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핫멜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주성분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The hot melt adhesive is not limited to a type as long as it is commonly used for adhesion to leather, film, sheet, etc. in the art. As a material of the hot melt adhesive us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ny one selected from polyamide hot melt, polyester hot melt, polyurethane hot melt, polyolefin hot melt, polystyrene hot melt, ethylene-acrylic copolymer hot melt, and ethylene vinyl acetate hot melt Those in which the above polyolefin resin is a main component can be used.

상기 핫멜트형 접착제는 용융온도를 한정하지 않으나, 150℃ 이하인 것이 작업의 용이성 및 공정 조건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용융지수(melt index)는 5 내지 500 ㎤/10min인 것이 좋다. 특히 용융지수가 5 ㎤/10min이하인 경우 외층 또는 내층과 투습방수성 필름간의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500 ㎤/10min 초과인 경우 용융된 핫멜트형 접착제가 각 층 내부로 침투하여 통기성이 크게 떨어질 수 있다.The hot melt adhesive does not limit the melting temperature, but is preferably 150° C. or less in terms of easiness of operation and process conditions. In addition, the melt index (melt index) is preferably 5 to 500 ㎤ / 10min. In particular, when the melt index is 5 ㎤/10min or less,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outer or inner layer and the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film may decrease. .

상기 핫멜트형 접착제는 각 층을 접착하면서도 통기성을 해치지 않기 위해 다양한 패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예로 도트(dot)형 또는 웹(web)형의 패턴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패턴을 가질 경우, 상기 접착제에 의해 착용자의 호흡이 방해받지 않으면서도 동시에 각 층간의 접착력을 부여할 수 있다.The hot-melt adhesive may have various pattern shapes so as not to impair air permeability while adhering each layer. For example, it may have a dot-type or web-type pattern, and when it has the patter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dhesion between each layer at the same time without disturbing the wearer's breathing by the adhesive. .

상기 핫멜트형 접착제로 더욱 상세하게는 습기 경화형 핫멜트와 열가소성 핫멜트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각 층간의 기본적인 접착력은 열가소성 핫멜트에 의해 부여하며, 상기 마스크를 사용할 때 들숨 또는 날숨에 포함되는 수분이 상기 습기 경화형 핫멜트 말단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이 진행되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각 층의 접착력이 더욱 증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o use a mixture of a moisture curing hot melt and a thermoplastic hot melt as the hot melt adhesive. That is, the basic adhesive force between each layer is given by the thermoplastic hot melt, and when the mask is used,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inhalation or exhalation reacts with the isocyanate group at the end of the moisture-curable hot melt, and as time passes, the adhesive force of each layer decreases. It may have a further increasing effect.

상기 핫멜트형 접착제로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핫멜트, 폴리에스테르 핫멜트, 폴리우레탄 핫멜트, 폴리올레핀 핫멜트, 폴리스티렌 핫멜트, 에틸렌-아크릴 공중합체 핫멜트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핫멜트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Examples of the hot melt adhesive include polyamide hot melt, polyester hot melt, polyurethane hot melt, polyolefin hot melt, polystyrene hot melt, ethylene-acrylic copolymer hot melt and ethylene vinyl acetate hot melt, and these ar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It is also free to use

상기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층은 형성 방식을 한정하지 않는다. 일예로 상기 핫멜트 접착제 중 열가소성 핫멜트와 습기 경화형 핫멜트를 각각 준비한 후, 상기 열가소성 핫멜트화 습기 경화형 핫멜트를 각각 따로 도트 형태로 상기 외피층 또는 내피층의 일면에 적용한다. 그리고 각 층들을 적층한 후 열을 가하여 압착하면 순차적으로 내피층, 부직포층 및 내피층이 적층된 마스크를 제조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including the adhesive is not limited to a formation method. For example, after preparing a thermoplastic hot melt and a moisture curing type hot melt of the hot melt adhesive, the thermoplastic hot melt type moisture curing type hot melt is separately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outer or inner skin layer in the form of dots. In addition, if each layer is laminated and then pressed by applying heat, a mask in which an inner skin layer, a non-woven fabric layer, and an inner skin layer are sequentially stacked can be manufactured.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외피층과 내피층 사이에 섬유 표면에 금속을 도금한 부직포층을 구비함으로써 미세먼지의 포집력을 발현함과 동시에 각종 균주 등에 대한 항균성을 가진다. 특히 다층의 구조로 인해 알레르기 유발물질, 꽃가루, 매연, 황사, 미세먼지와 같은 미립자를 효과적으로 여과하며, 동시에 각종 세균, 진균, 바이러스 등에 대한 살균력이 우수하여 세균에 많이 노출된 환경, 특히 병원, 의료 업무를 수행하는 의료인에게 사용이 적합하다.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nonwoven fabric layer plated with metal on the fiber surface between the outer skin layer and the inner skin layer, thereby exhibiting fine dust collecting power and having antibacterial properties against various strains and the like. In particular, due to its multi-layered structure, it effectively filters fine particles such as allergens, pollen, soot, yellow dust, and fine dust. It is suitable for use by medical personnel performing their duties.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시편의 물성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pecimens prepared in the following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measured as follows.

(포집효율)(collection efficiency)

먼저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시편을 미리 38±2.5℃, 습도 85±5% RH에서 24±1시간 동안 방치하였다.First, the specimens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left in advance at 38±2.5° C. and a humidity of 85±5% RH for 24±1 hours.

그리고 염화나트륨 시약을 물에 녹여 1%의 염화나트륨 용액을 만든 다음, 자동필터 검사장비를 이용하여 평균입경 0.6㎛의 염화나트륨 에어로졸을 발생시켰다. 이때 염화나트륨 에어로졸의 유량은 분당 95ℓ이며, 농도는 8 ±4 ㎎/㎥이다.Then, a sodium chloride reagent was dissolved in water to make a 1% sodium chloride solution, and sodium chloride aerosol with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6㎛ was generated using an automatic filter inspection equipment. At this time, the flow rate of the sodium chloride aerosol is 95 liters per minute, and the concentration is 8 ± 4 mg/m 3 .

다음, 시편의 안면부를 자동필터 검사장치에 넣고 상기 염화나트륨 에어로졸을 안면부에 통과시킨 다음, 안면부의 통과 전후의 농도를 측정하고, 이를 하기 식 1에 대입하여 계산하였다. 이 때의 측정값은 30±3초 사이에서 얻어진 평균값으로 하되, 시험 시작 후 3분 이내에 측정하였다. Next, the facial part of the specimen was put into an automatic filter inspection device, and the sodium chloride aerosol was passed through the facial part, and then the concentration before and after passing the facial part was measured, and it was calculated by substituting it in Equation 1 below. The measured value at this time was the average value obtained between 30±3 seconds, and was measured within 3 minutes after the start of the test.

[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상기 식 1에서 C1은 안면부 통과 전의 염화나트륨 농도이며, C2는 안면부 통과 후의 염화나트륨 농도이다.)(In Formula 1, C 1 is the sodium chloride concentration before passing through the face, and C 2 is the sodium chloride concentration after passing through the face.)

(공기투과도) (Air permeability)

JIS L 1096:1999 8.27.1 A법(프라지아법)에 준하여, 시험 압력차 19.6 kPa에서 시험하였을 때의 통기량을 측정하였다. 시료의 상이한 5 개소로부터 약 20 ㎝吐㎝의 시험편을 채취하고, 구경 100 ㎜의 원통의 일단에 시험편을 부착시키고, 부착 개소에서 공기의 누설이 없도록 고정시키고, 레귤레이터를 이용하여 시험압차 19.6 kPa로 조정하고, 그 때에 시험편을 통과하는 공기량을 유량계로 계측하여, 5매의 시험편에 대한 평균을 계산하였다.According to JIS L 1096:1999 8.27.1 Method A (Prasia method), the amount of ventilation when tested at a test pressure difference of 19.6 kPa was measured. A test piece of about 20 cm cm is taken from 5 different points of the sample, and the test piece is attached to one end of a cylinder with a diameter of 100 mm, fixed so that there is no air leakage at the attachment point, and the test pressure difference is 19.6 kPa using a regulator. Adjusted, the amount of air passing through the test piece at that time was measured with a flow meter, and the average of the five test pieces was calculated.

(항균성)(antibacterial)

하기 실시예를 통해 제조된 시편 30×30㎜을 채취하여 이의 살균감소율과 정균감소율을 한국공업규격 KS J 4206의 항균도 측정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시험균주로 양성지정 세균인 스테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양성균, Staphylococcus aureus : ATCC 6538)와, 음성지정 세균인 클레브지엘라 뉴모니애(음성균, Klwbsiella pneumoniae : ATCC 4352) 시험균으로 하고, 상기 필라멘트에 접종하여 초기 균수(포도상구균 : 1.4 ×105/㎖, 폐렴간균 :1.8 ×105/㎖)와 배양 후 18 시간의 균수를 측정하여 다음 식 2 및 식 3에 대입하여 측정하였다.30 × 30 mm of the specimens prepared in the following examples were taken, and their sterilization reduction rate and bacteriostatic reduction rate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antibacterial level measurement method of Korean Industrial Standard KS J 4206. Specifically, as test strains, the positively designated bacterium,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and the negatively designated bacterium, Klebsiella pneumoniae (negative, Klwbsiella pneumoniae: ATCC 4352) were used as test strains. , by inoculating the filament, the initial number of bacteria (Staphylococcus aureus: 1.4 × 10 5 /ml, bacillus pneumoniae: 1.8 × 10 5 /ml) and the number of bacteria at 18 hours after incubation were measured by substituting into the following Equations 2 and 3 .

[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식 2][Equation 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여기서 Ma : 항균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시험편의 접종 직후의 생균수(Here, M a : the number of viable cells immediately after inoculation of the specimen without the addition of antibacterial substances.

Mb : 항균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시험편의 18시간 배양후의 생균수M b : Number of viable cells after 18 hours of incubation of the specimen without the addition of antibacterial substances

Mc : 항균물질을 첨가한 시험편의 18시간 배양후의 생균수)M c : number of viable cells after 18 hours of incubation of the specimen with antibacterial substances added)

(실시예 1)(Example 1)

외피층으로 면섬유를 편직한 편직물(섬도 50수, CM26S/2 100)을 사용하였으며, 부직포층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재질의 멜트블로운 부직포를 적층형 임펠러에 삽입설치한 후 적층형 임펠러를 배스 내 장착시킨다. 이때, 배스 내에 나노섬유 웹 무게 대비 3배의 무게를 갖는 질산은(AgNO3)과 800㎖의 중류수를 배스 내에서 용해시키고, 나노섬유 웹 무게 대비 2배의 무게를 갖는 수산화나트륨(NaOH)을 200㎖ 투입한 후 적층형 임펠러를 저속으로 교반을 수행하고, 이때 암모니아수를 교반하면서 투입한 후 투명해질때까지 정량으로 투입한다. 투명해진 다음, 배스 본체 상에 배스 덮개를 덮은 후에 나노섬유 웹의 7,5배 중량의 글루코오스 환원제를 투입하고, 상온 25℃에서 24시간 교반한 후 나노섬유에 금속도금을 수행하였다.A knitted fabric (fineness of 50, CM26S/2 100) was used as the outer skin layer, and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melt-blown nonwoven fabric was inserted into the laminated impeller as the nonwoven layer, and then the laminated impeller was installed in the bath. At this time, silver nitrate (AgNO 3 ) having a weight three times the weight of the nanofiber web in the bath and 800 ml of neutral water are dissolved in the bath, and sodium hydroxide (NaOH) having a weight twice the weight of the nanofiber web After adding 200 ml, the stacked impeller is stirred at low speed, and at this time, ammonia water is added while stirring, and then added in a fixed amount until it becomes transparent. After becoming transparent, a glucose reducing agent of 7,5 times the weight of the nanofiber web was added after covering the bath cover on the bath body, and after stirring at room temperature 25° C. for 24 hours, metal plating was performed on the nanofibers.

그리고 내피층으로 면섬유 100 중량부에 폴리아미드 7 중량부를 포함한 웹을 스펀레이스 공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되, 상기 섬유를 혼섬하여 시트 형태의 웹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웹을 100g/㎥으로 조절한 다음 노즐 직경 0.1㎜ 및 노즐 밀도 16개/㎠로 형성된 노즐을 사용하여 100㎏/㎠의 수압으로 물을 공급하면서 상기 웹을 워터펀치하여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And a web containing 7 parts by weight of polyamide in 100 parts by weight of cotton fibers as an inner skin layer was prepared by a spunlace method to prepare a nonwoven fabric, but the fibers were mixed to prepare a sheet-shaped web. Then, the web was adjusted to 100 g/m 3 and then the web was water-punched while supplying water at a water pressure of 100 kg/cm 2 using a nozzle formed with a nozzle diameter of 0.1 mm and a nozzle density of 16/cm 2 to prepare a nonwoven fabric.

다음으로 외피층 및 내피층의 일면에 각각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제(폴리우레탄계)를 도트 형태로 도포한 후, 열압착을 진행하여 시편을 완성하였다. 제조된 시편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Next, a thermoplastic hot melt adhesive (polyurethane-based) was applied in the form of dots on one surface of the outer and inner layers, respectively, and then thermocompression bonding was performed to complete the specime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epared specimens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 1 below.

(실시예 2)(Example 2)

상기 실시예 1에서 내피층에 사용한 폴리아미드 섬유 제조 시 폴리아미드 방사용액 100 중량부 대비 염화세틸피리디늄을 5 중량부 더 첨가하여 방사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Specimens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5 parts by weight of cetylpyridinium chloride wa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amide spinning solution and spun by adding 5 parts by weight of the polyamide fiber used for the inner skin layer.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epared specimens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 1 below.

(실시예 3)(Example 3)

상기 실시예 2에서 내피층 제조 시 면섬유 100 중량부에 염화세틸피리디늄을 5 중량부 더 첨가한 폴리아미드 섬유 7 중량부 및 폴리유산 섬유 20 중량부를 혼합한 웹을 사용하였으며, 이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In Example 2, when preparing the inner skin layer, a web in which 7 parts by weight of polyamide fiber and 20 parts by weight of polylactic acid fiber in which 5 parts by weight of cetylpyridinium chloride wa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cotton fiber was mixed was used. was prepar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epared specimens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 1 below.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상기 실시예 1에서 부직포층을 적층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A specime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nonwoven layer was not laminat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epared specimens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 1 below.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상기 실시예 1에서 부직포층으로 표면에 금속을 도금하지 않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재질의 멜트블로운 부직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Specimens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melt-blown nonwoven fabric mad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without metal plating on the surface was used as the nonwoven fabric layer.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epared specimens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 1 below.

[표 1][Table 1]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상기 표 1과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을 통해 제조된 마스크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비하여 공기투과도를 제외하고 포집효율과 정균감소율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피층에 항균물질인 염화세틸피리디늄을 더 첨가한 폴리아미드와 폴리유산을 더 첨가할수록 기공의 세밀화로 포집효율이 미세하게 증가하였으며, 표면에 양이온 및 음이온이 대전됨에 따라 정균감소율이 획기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폴리아미드와 폴리유산 섬유에 각각 다른 전하가 표면에 대전되어 먼지 포집 효율이 증가하였으며, 인력이 발현되어 균주에 대한 정균감소율을 발현하여 항균 효율까지 우수해짐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it can be seen that the masks prepared in Examples 1 to 3 have excellent collection efficiency and bacteriostatic reduction rate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except for air permeability. Specifically, as more polyamide and polylactic acid containing cetylpyridinium chloride, an antibacterial substance, were added to the inner skin layer, the collection efficiency was finely increased due to the refinement of pores.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significant increase. It can be confirmed that different electric charges on the polyamide and polylactic acid fibers are charged to the surface, increasing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and the attractive force is expressed to express the bacteriostatic reduction rate against the strain, thereby improving the antibacterial efficiency.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Claims (5)

착용자의 얼굴과 직접 접촉하는 내피층;
상기 내피층의 일면과 일정 부분이 접착되어 공간을 형성하며, 편직물로 형성되는 외피층; 및
상기 공간에 위치하며, 표면에 구리, 니켈, 은, 금, 티타늄, 칼슘 및 칼륨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금속이 도금된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층;
을 포함하며,
상기 내피층, 외피층 및 부직포층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는 면섬유, 레이온,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 및 폴리이미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마스크.
an endothelial layer in direct contact with the wearer's face;
an outer skin layer formed of a knitted fabric to form a space by bonding one surface and a certain portion of the inner skin layer; and
a non-woven fabric layer disposed in the space and including fibers plated with any one or a plurality of metals selected from copper, nickel, silver, gold, titanium, calcium and potassium on the surface;
includes,
Any one or a plurality of selected from the inner skin layer, the outer skin layer and the non-woven fabric layer comprises any one or a plurality of filaments selected from cotton fiber, rayon, polyester, polyolefin, polyamide, polyacryl and polyimide. Mask.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층과 내피층은 도트형 패턴 또는 웹형으로 형성된 핫멜트 접착제로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마스크.
The method of claim 1,
The antibacterial mask,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kin layer and the inner skin layer is adhered with a hot melt adhesive formed in a dot-type pattern or web-typ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핫멜트 접착제는 습기 경화형 핫멜트 접착제와 열가소성 핫멜트가 혼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마스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ot-melt adhesive is an antibacterial mask, characterized in that a moisture-curing hot-melt adhesive and a thermoplastic hot-melt are mix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층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폴리올레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고분자 방사용액을 멜트블로운 공정으로 방사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마스크.
The method of claim 1,
The non-woven fabric layer is an antibacterial mas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y spinning any one or a plurality of polymer spinning solution selected from polyester, polyamide, polyacrylic, thermoplastic elastomer and polyolefin through a melt blown proces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층은 면번수 10 내지 100수의 면섬유를 15 내지 40 게이지의 밀도로 편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마스크.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er skin layer is an antibacterial mask, characterized in that the cotton fibers of 10 to 100 cotton counts are knitted with a density of 15 to 40 gauge.
KR1020200066686A 2020-06-02 2020-06-02 A mask for anti-bacteria KR1024089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686A KR102408980B1 (en) 2020-06-02 2020-06-02 A mask for anti-bacteri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686A KR102408980B1 (en) 2020-06-02 2020-06-02 A mask for anti-bacteri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529A true KR20210149529A (en) 2021-12-09
KR102408980B1 KR102408980B1 (en) 2022-06-14

Family

ID=78866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686A KR102408980B1 (en) 2020-06-02 2020-06-02 A mask for anti-bacteri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98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2069A (en) 2022-06-28 2024-01-04 김범택 Antibacterial mask using natural extract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6959A (en) 2003-06-10 2004-12-20 노성훈 Sterilizing mask made texture editing cooper wire
KR200407942Y1 (en) * 2005-11-07 2006-02-07 이경식 antibiotic mask
KR200422088Y1 (en) * 2006-03-06 2006-07-24 주식회사 태평양의료기 Breathing implement for purity
KR100717884B1 (en) 2007-01-31 2007-05-16 남성준 Antibiotic mask
KR20110012978A (en) * 2009-07-31 2011-02-09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unctional mask and the method of the same
JP2012046613A (en) * 2010-08-26 2012-03-08 Henkel Japan Ltd Moisture-curable hot-melt adhesive
KR102094480B1 (en) * 2019-05-27 2020-04-01 (주)엘에스케이화인텍스 Reusable antibacterial mask for fine dus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6959A (en) 2003-06-10 2004-12-20 노성훈 Sterilizing mask made texture editing cooper wire
KR200407942Y1 (en) * 2005-11-07 2006-02-07 이경식 antibiotic mask
KR200422088Y1 (en) * 2006-03-06 2006-07-24 주식회사 태평양의료기 Breathing implement for purity
KR100717884B1 (en) 2007-01-31 2007-05-16 남성준 Antibiotic mask
KR20110012978A (en) * 2009-07-31 2011-02-09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unctional mask and the method of the same
JP2012046613A (en) * 2010-08-26 2012-03-08 Henkel Japan Ltd Moisture-curable hot-melt adhesive
KR102094480B1 (en) * 2019-05-27 2020-04-01 (주)엘에스케이화인텍스 Reusable antibacterial mask for fine dus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2069A (en) 2022-06-28 2024-01-04 김범택 Antibacterial mask using natural extra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8980B1 (en) 202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34905B (en) Filter for mask and mask formed using the same
US5620785A (en) Meltblown barrier webs and processes of making same
EP1953286A1 (en) Fabric and mask
EP2022879B1 (en) Non-woven fabric laminate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EP0894159B1 (en) High strength spunbond fabric from high melt flow rate polymers
KR102058075B1 (en) Filter Using Mn Oxide Catalyst And Mask Including The Same
US8129298B2 (en) Nonwoven laminate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008188082A (en) Mask
US10130833B2 (en) Reinforced filter media
KR20100024411A (en) Adsorption filter material with integrated particle- and/or aerosol-filtering function and its use
WO2009006131A1 (en) An indicating fiber
KR20110012978A (en) Functional mask and the method of the same
KR102408980B1 (en) A mask for anti-bacteria
TW201630994A (en) Antimicrobial fabric materials for use in safety masks and personal protection clothing
JPH09273062A (en) Antibacterial composite nonwoven fabric and its production
TW202139873A (en) Filters and facemasks having antimicrobial or antiviral properties
JP2006299425A (en) Water-absorbing nonwoven fabric laminate
RU2529829C1 (en) Multilayer non-woven fabric with polyamide nanofibres
CA3174750A1 (en) Multilayer protective antimicrobial mask comprising nanofiber membrane
JP2009006622A (en) Laminated structure for protective clothing having active carbon nano fibrous layer and protective clothing
KR20210120264A (en) Antimicrobial mask
KR20210131592A (en) A multi layer sheet using filtering air and mask having thereof
JPH09176949A (en) Antimicrobial non-woven fabric obtained from split type conjugate fiber and its production
CN113693317A (en) Face masks having filter media from multi-component filaments
CN214594248U (en) Antibacterial protective clothing with detachable front p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