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7730A -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7730A
KR20210147730A KR1020200065392A KR20200065392A KR20210147730A KR 20210147730 A KR20210147730 A KR 20210147730A KR 1020200065392 A KR1020200065392 A KR 1020200065392A KR 20200065392 A KR20200065392 A KR 20200065392A KR 20210147730 A KR20210147730 A KR 20210147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locking member
syringe
locking
negativ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5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8930B1 (ko
Inventor
임형규
Original Assignee
임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형규 filed Critical 임형규
Priority to KR1020200065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930B1/ko
Publication of KR20210147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7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48Means for causing or aiding aspiration or plunger re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01Means for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11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66Means improving security or handling thereof
    • A61M5/31571Means preventing accident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14Filling or refil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43Damping means for syringe components executing relative movements, e.g. retarders or attenuators slowing down or timing syringe mechanisms

Abstract

본 발명은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사기 내에 음압을 발생시킬 때 급격한 음압 발생이 방지되고, 플런저의 위치를 고정시켜서 주사기의 음압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 기성의 주사기용 실린더에 사용되어 범용성이 우수하며, 사용자의 조작이 간편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 { Pressure Generation Device Combined With Syringe and Manometer}
본 발명은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사기 내에 음압을 발생시킬 때 급격한 음압 발생이 방지되고, 플런저의 위치를 고정시켜서 주사기의 음압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 기성의 주사기용 실린더에 사용되어 범용성이 우수하며, 사용자의 조작이 간편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주사기를 사용하여 유기물을 주입하거나 흡입할 때, 주사기의 음압을 유지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일반적인 주사기는, 음압을 유지시키기 위해서 사용자가 주사기의 플런저를 강제로 잡고 고정시켜야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주사기에 결합시키는 각종 음압 유지용 고정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장치가 복잡하거나, 기성의 주사기용 실린더에 사용되지 못하여 범용성이 떨어지거나, 한가지 기능(예컨대, 음압 유지)만을 갖거나, 또는 사용자의 조작이 불편한 경우가 많았다.
특히, 음압을 사용하는 도중, 양압(주입)을 필요로 하는 경우, 음압 유지용 고정 장치를 해제하여야 하는데, 장치를 손쉽게 해제하지 못하거나, 또는 복잡한 조작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즉, 인체의 조직물을 추출 혹은 주입 할 경우, 주사기는 양압, 음압 이 모두 적절한 시점에서 사용 가능 해야 한다. 예컨대, 음압을 이용하여 흡인 과정을 진행하는 중에 양압을 이용하여 주입을 하거나 음압을 해제 하여야 할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빠른 사용 전환이 필요하나, 장치를 손쉽게 해제하지 못하거나, 또는 복잡한 조작이 필요한 경우가 많아 빠르고 편리한 사용전환이 불가능하다. 아울러, 기존의 음압 유지 장치는 음압 유지 기능만을 가짐으로서, 조작 시, 음압 유지를 일일히 해제해야 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주사기를 조작하기 위해서 두 손을 사용해야 하는 보조 장치는, 주사기의 사용 편의성을 크게 저해시킬 수 있다. 예컨대, 음압 발생을 위해서는, 주사기와 플런저를 각각 손으로 잡고 플런저를 서서히 당기면서 주사기를 작동시켜야 한다. 이 경우, 양손이 각각 움직여야 하므로 사용자는 정확한 동작이 어려우며, 음압을 고정해 주는 장치가 없으므로 사용자의 손에 과도한 무리가 발생하게 된다.
예컨대, 주사기에 음압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처음 주사기 플런저를 당길때, 팽창을 위한 공기 밀도가 매우 작아서 힘이 없는 여성 사용자는 조작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울 수도 있다.
또한 음압이 발생하게 되면 주사기에 결합된 바늘 끝에는 매우 높은 음압 압력이 발생하게 되고, 때로는 필요이상의 압력이 발생되어 인체내부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주사기의 음압을 유지할 수 있는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3565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플런저의 위치를 고정시켜서 주사기의 음압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 과도한 음압 발생을 방지하고 음압이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으며, 기성의 주사기용 실린더에 사용되어 범용성이 우수하며, 고정된 음압 발생 해제, 주입 기능 발생 등의 기능 전환을 쉽게 행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이 간편하여 한손으로 쉽게 조작할 수 있고 힘이 약한 조작자도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는, 플런저 유닛; 및 상기 플런저 유닛을 주사기 실린더에 연결하는 플런저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유닛은, 전단에 구비되는 플런저 헤드, 및 상기 플런저 헤드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플런저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 고정 유닛은,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 관통공과 상방향으로 오픈되는 탑재구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 부재, 상기 탑재구 내에 탑재되며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2 관통공을 포함하는 로킹 부재, 상기 로킹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로킹 부재를 상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탑재구에 배치되되 상기 로킹 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하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조작 버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 샤프트는 상기 제1 관통공 및 제2 관통공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되, 상기 조작 버튼 부재를 회전시키면 상기 로킹 부재가 상하로 변위하여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하고, 상기 로킹 부재가 상기 잠금 위치가 되면 상기 로킹 부재가 상기 플런저 샤프트의 적어도 일 부분을 로킹하며, 상기 로킹 부재가 상기 해제 위치가 되면 상기 로킹 부재와 상기 플런저 사이의 로킹이 해제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로킹 부재는 상면의 일 측에 하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를 갖고, 상기 조작 버튼 부재는 하면의 일 측에 하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함몰부 상에 위치하면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로킹 부재가 상승하며, 상기 조작 버튼 부재가 회전하여 상기 돌출부가 상기 함몰부로부터 이탈하면 상기 돌출부가 상기 로킹 부재를 하방향으로 눌러서 상기 로킹 부재가 하강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메인 바디 부재는, 상기 탑재구가 형성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주사기 실린더의 후단에 구비되는 손잡이에 걸림되는 후크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메인 바디 부재는, 상기 바디부의 후방에 구비되는 넥부, 및 상기 넥부의 후방에 구비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며, 상기 넥부는, 전방부와 후방부의 적어도 일 부분의 외경이 상이하며 외측 둘레면에 넥 곡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는, 플런저 유닛; 및 상기 플런저 유닛을 주사기 실린더에 연결하는 플런저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유닛은, 전단에 구비되는 플런저 헤드, 및 상기 플런저 헤드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플런저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 고정 유닛은,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 관통공을 포함하는 메인 바디 부재, 상기 메인 바디 부재 내부에 탑재되며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2 관통공을 포함하는 로킹 부재, 상기 로킹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로킹 부재를 상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하는 탄성 부재, 및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메인 바디 부재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로킹 부재의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로킹 부재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조작 링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 샤프트는 상기 제1 관통공 및 제2 관통공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되, 상기 조작 링크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변위시키면 상기 로킹 부재가 상하로 변위하여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하고, 상기 로킹 부재가 잠금 위치가 되면 상기 로킹 부재가 상기 플런저 샤프트의 적어도 일 부분을 로킹하며, 상기 로킹 부재가 상기 해제 위치가 되면 상기 로킹 부재와 상기 플런저 사이의 로킹이 해제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로킹 부재는, 측면에 측 방향으로 함몰된 사이드 라인을 갖고, 상기 조작 링크 부재의 전단이 상기 사이드 라인 내에 위치하며, 상기 조작 링크 부재는 하방향으로 돌출된 돌출 헤드를 갖고, 상기 조작 링크 부재가 후방으로 변위하면 상기 돌출 헤드가 상기 로킹 부재의 적어도 일 부분을 하방향으로 눌러서 상기 로킹 부재가 하방향으로 변위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사이드 라인은 경사면, 또는 만곡면으로 형성된 프레싱 면을 가지며, 상기 조작 링크 부재의 전단에는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회동 링크가 구비되고, 상기 조작 링크 부재가 후방으로 변위하면 상기 회동 링크가 상기 프레싱 면을 눌러서 상기 로킹 부재가 하방향으로 변위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메인 바디 부재는, 상기 바디부의 후방에 구비되는 넥부, 및 상기 넥부의 후방에 구비되는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링크 부재는, 후단에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핸들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핸들 라인은 상기 핸들부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핸들 라인과 상기 핸들부 사이에 탄성 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조작 링크 부재를 전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플런저 고정 유닛은, 상기 메인 바디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 레버의 회동에 따라서 상기 조작 링크 부재가 전후 방향으로 변위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플런저 고정 유닛은, 상기 조작 링크 부재를 후방으로 탄성 바이어스 하는 레버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동 레버가 상기 메인 바디 부재에 대해서 후방으로 편향되게 회동하면 상기 조작 링크 부재가 전방으로 변위하며 상기 로킹 부재가 상기 해제 위치가 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플런저 샤프트는, 상기 플런저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서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로킹 돌부를 구비하며,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제2 관통공의 내측 둘레면에 구비되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로킹 돌부를 가지며, 상기 로킹 부재가 잠금 위치가 되면 상기 제1 로킹 돌부와 제2 로킹 돌부가 서로 걸려져서 상기 로킹 부재와 상기 플런저 샤프트가 서로 로킹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로킹 돌부는, 후면에 외측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진 제1 빗면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로킹 돌부는, 전면에 내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진 제2 빗면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플런저 유닛은, 상기 플런저 헤드와 상기 플런저 샤프트 사이를 탄성 연결하는 완충 장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플런저 유닛은, 연결 샤프트, 플런저 스프링, 및 플런저 그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 샤프트는 내부에 상기 연결 샤프트가 투입되는 중공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샤프트는 상기 중공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되, 상기 플런저 샤프트는 상기 연결 샤프트를 후방으로 탄성 바이어스하며, 상기 연결 샤프트의 전단은 상기 플런저 헤드와 연결되고, 상기 플런저 샤프트의 후단은 상기 플런저 그립부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플런저의 위치를 고정시켜서 주사기의 음압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 기성의 주사기용 실린더에 사용되어 범용성이 우수하며, 사용자의 조작이 간편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실시예에 의하면, 단순한 핸들 돌림, 또는 파지만으로도 쉽게 음압 유지 및 해제가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월등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한 손으로도 쉽게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고정된 음압 발생 해제, 주입 기능 발생 등의 기능 전환을 쉽게 행할 수 있다.
아울러, 플런저 유닛 내에는 완충 장치가 구비됨으로서, 플런저 유닛을 당길 경우 플런저에 구비되는 피스톤이 서서히 흡인 작동을 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가 주사기 실린더에 결합된 주사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와, 주사기 실린더, 및 헤드 패킹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의 플런저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의 플런저 유닛의 분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도 4 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런저 유닛(100)의 구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런저 유닛(100)의 후단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런저 유닛(100)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의 플런저 고정 유닛의 분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의 플런저 고정 유닛의 메인 바디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는 도 11 의 B-B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의 플런저 고정 유닛의 로킹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는 도 13 의 C-C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의 플런저 고정 유닛의 조작 버튼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 은 도 15 의 D-D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18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가 주사기 실린더에 결합된 주사기의 부분 단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의 로킹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 은 도 21 의 E-E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 24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 26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의 조작 링크 부재와 로킹 부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7 은 제2 실시예를 변형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 고정 유닛을 나타낸 것이다.
도 28 은 도 27 의 플런저 고정 유닛의 메인 바디 부재의 전방 부분을 생략한 도면이며, 도 29 는 도 28 의 단면도이다.
도 30 은 회동 레버가 작동했을 때를 나타낸 것이며, 도 31 및 32 는 플런저 고정 유닛의 작동을 나타낸 것이다.
도 33 및 도 3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를 한 손으로 파지하여 양압을 가하는 조작을 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전후", "좌우", "상하" 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사항을 기준으로 한다.
- 제1 실시예 -
도 1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20)가 주사기 실린더(10)에 결합된 주사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20)와, 주사기 실린더(10), 및 헤드 패킹 부재(30)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20)는, 주사기 실린더(10)에 결합되며, 플런저 유닛(100); 및 상기 플런저 유닛(100)을 주사기 실린더(10)에 연결하는 플런저 고정 유닛(200)을 포함하는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20)이다.
본 발명의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20)가 사용되는 주사기 실린더(10)는 공지의 상용화된 주사기 실린더(10)일 수 있다. 이러한 주사기 실린더(10)는, 후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11)가 구비된다.
<플런저 유닛(100)>
도 3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20)의 플런저 유닛(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20)의 플런저 유닛(100)의 분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도 4 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플런저 유닛(100)은, 플런저 헤드(110), 플런저 샤프트(130)를 포함한다. 아울러, 플런저 샤프트(130)의 후단에는 플런저 그립부(140)가 구비된다.
플런저 헤드(110)는 플런저 유닛(100)의 전단에 구비된다. 플런저 헤드(110)의 전단에는 기성의 헤드 패킹 부재(30)가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플런저 헤드(110)에는 실링 링(sealing ring)(120)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을 위해서, 소정의 결합 홈(111, 112)이 구비될 수 있다.
플런저 샤프트(130)는 플런저 헤드(110)의 후단에 연결되며 후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바(bar) 형태의 부재이다. 플런저 샤프트(130)와 플런저 헤드(110)는 서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플런저 샤프트(130)는, 상기 플런저 샤프트(130)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서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제1 로킹 돌부(131)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로킹 돌부(131)는, 후면부에 형성된 제1 빗면(132)을 갖는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빗면(132)은, 플런저 샤프트(130)의 후면부에 형성되며,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진 빗면일 수 있다.
플런저 샤프트(130)의 후단에는 플런저 그립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플런저 그립부(140)는 사용자가 플런저 유닛(100)을 조작할 때 손으로 잡거나 누를 수 있는 부분이다.
<플런저 유닛(100)에 구비되는 완충 장치>
실시예에 의하면, 플런저 샤프트(130)와 플런저 헤드(110)는 소정의 완충 장치(미도시)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플런저 헤드(110)와 플런저 샤프트(130)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힘(또는 플런저 유닛(100)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힘)이 가해지면, 플런저 헤드(110)와 플런저 샤프트(130) 사이의 거리가 이격되며, 상기 당기는 힘이 제거되면 플런저 헤드(110)와 플런저 샤프트(130) 사이의 거리가 다시 복원될 수 있다.
예컨대, 플런저 샤프트(130)의 전단에 결합 나사(K)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 나사(K)를 통해서 플런저 헤드(110)와 플런저 샤프트(130)가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플런저 샤프트(130) 내부에는 상기 결합 나사(K)를 후방으로 탄성 바이어스하는 소정의 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나사(K)에 전방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결합 나사(K)가 전방으로 소정 범위만큼 변위하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결합 나사(K)가 다시 원 위치로 복원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플런저 유닛(100) 내에 완충 장치가 구비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20)를 주사기 실린더(1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플런저 유닛(100)을 당길 경우, 플런저 유닛(100)에 구비되는 피스톤(플런저 헤드(110))이 서서히 흡인 작동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8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런저 유닛(100)의 구체적인 구조 및 플런저 유닛(100) 내에 탑재된 완충 장치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런저 유닛(100)의 구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분해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런저 유닛(100)의 후단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및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런저 유닛(100)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에 의한 플런저 유닛(100)은, 플런저 샤프트(130) 내에 내장되는 연결 샤프트(150), 및 플런저 스프링(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우선, 플런저 샤프트(130)의 내부에는 플런저 샤프트(130)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중공(133)이 구비된다. 따라서, 플런저 샤프트(130)는 중공(133)을 갖는 대롱 형태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플런저 샤프트(130)의 후단 외측면에는 후술하는 플런저 그립부(140)와 나사 연결되는 연결 나사부(134)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플런저 샤프트(130)의 후단 내부에는 후술하는 플런저 스프링(160)이 투입되는 스프링 내장 공간(135)이 마련된다. 아울러, 플런저 샤프트(130)의 후단에는 후방으로 오픈되며 전방으로 연장되는 라인 홈부(136)가 구비될 수 있다. 라인 홈부(136)의 전방부 내측면에는 상기 스프링 내장 공간(135)의 전단을 구성하는 스프링 지지 단차(137)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샤프트(150)는 샤프트 바디(152), 상기 샤프트 바디(152)의 후단에 구비되는 스프링 가압 돌부(154), 및 샤프트 바디(152)의 전단에 구비되는 헤드 연결 나사부(156)를 갖는다.
플런저 스프링(160)은 소정의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플런저 헤드(110), 플런저 샤프트(130), 플런저 그립부(140), 연결 샤프트(150), 플런저 스프링(160)의 결합 관계는 이하와 같다.
먼저, 도 6 의 화살표 A 와 같이, 연결 샤프트(150)가 플런저 스프링(160)을 관통한다. 플런저 스프링(160)은 연결 샤프트(150)의 후단에 위치한다. 스프링 가압 돌부(154) 전방에 위치하여 스프링 가압 돌부(154)에 의해서 후단이 지지된다. 아울러, 플런저 스프링(160)이 권취된 연결 샤프트(150)가 화살표 A 와 같이, 플런저 샤프트(130)의 중공(133)에 투입된다. 플런저 스프링(160)은 스프링 내장 공간(135) 내에 위치하며, 플런저 샤프트(130)의 스프링 지지 단차(137)와, 연결 샤프트(150)의 스프링 가압 돌부(154)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아울러, 연결 샤프트(150)에 구비된 스프링 가압 돌부(154)는 라인 홈부(136) 내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연결 샤프트(150)를 전방으로 잡아 당기면, 스프링 가압 돌부(154)에 의해서 플런저 스프링(160)이 압축될 수 있다.
이어서, 화살표 B 와 같이, 플런저 그립부(140)가 플런저 샤프트(130)의 후단에 연결된다. 플런저 그립부(140)는 연결 샤프트(150)와 고정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플런저 샤프트(130)와 결합된다. 이때, 플런저 샤프트(130)의 연결 나사부(134)와 플런저 그립부(140)의 연결 나사부(142)가 서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연결 샤프트(150)의 전단은 플런저 샤프트(130)의 전단을 지나 전방으로 돌출된다. 연결 샤프트(150)의 전단은 플런저 헤드(110)에 연결된다. 이때, 연결 샤프트(150)의 전단에 구비된 헤드 연결 나사부(152)에 의해서 플런저 헤드(110)와 플런저 샤프트(130)가 서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결합 관계에 의한 플런저 유닛(10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 스프링(160)이 스프링 지지 단차(137)와 스프링 가압 돌부(154) 사이에 위치하여, 연결 샤프트(150)의 전단에 연결된 플런저 헤드(110)를 후방으로 탄성 바이어스 한다.
그러나,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 헤드(110)를 화살표 F1 과 같이 전방으로 당기거나, 또는 화살표 F2 와 같이 플런저 샤프트(130)(또는, 플런저 샤프트(130)의 후단에 연결된 플런저 그립부(140))를 후방으로 당기는 힘이 가해지면, 플런저 스프링(160)이 압축되고 플런저 헤드(110)가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변위한다. 물론, 외력이 제거되면 플런저 헤드(110)와 플런저 샤프트(130)가 다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플런저 샤프트(130), 플런저 그립부(140), 연결 샤프트(150), 및 플런저 스프링(160)의 결합 구조는 완충 장치를 구성하게 된다. 즉, 플런저 그립부(140)와 플런저 헤드(110)는 플런저 스프링(160)을 매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20)가 주사기 실린더(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플런저 그립부(140)를 잡아 당겨서 주사기 실린더(10) 내에 음압을 발생시킬 때, 플런저 그립부(140)의 후퇴는 비교적 적은 저항을 받고 쉽게 수행되며, 동시에 주사기 실린더(20) 내의 음압은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플런저 그립부(140)와 플런저 헤드(110)가 플런저 스프링(160)을 매개로 연결되어, 우선 플런저 그립브(140)및 연결 샤프트(150)가 먼저 당겨진 후, 플런저 헤드(110)가 점진적으로 당겨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예컨대 힘이 부족한 여성도 본 발명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를 쉽게 조작을 할 수 있다. 또한, 주사기 실린더(10) 내에 음압이 순간적으로 크게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플런저 고정 유닛(200)>
도 6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20)의 플런저 고정 유닛(200)의 분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플런저 고정 유닛(200)은, 메인 바디 부재(210), 로킹 부재(240), 탄성 부재(232), 및 조작 버튼 부재(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부재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설명한다.
<메인 바디 부재(210)>
도 11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20)의 플런저 고정 유닛(200)의 메인 바디 부재(2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는 도 11 의 B-B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메인 바디 부재(210)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순차적으로, 커넥터부(211), 후크부(212), 바디부(213), 넥부(214), 및 핸들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메인 바디 부재(210)는 상기 커넥터부(211), 후크부(212), 바디부(213), 넥부(214), 및 핸들부(215)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관통공(216)을 포함한다.
커넥터부(211)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으로서, 주사기 실린더(10)에 플런저 고정 유닛(200)이 결합되었을 때 주사기 실린더(10)의 후단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커넥터부(211)는 실 링(seal ring)(218)을 구비할 수 있다.
후크부(212)는 커넥터부(211)의 후방에 구비되며, 측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이다. 후크부(212)는 측방향 단부 부분에 내측으로 만곡된 후크 암(219)을 구비한다.
바디부(213)는 후크부(212)의 후방에 구비된다.
바디부(213)에는 상방향으로 오픈된 탑재구(217)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탑재구(217)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동시에 오픈될 수도 있다. 탑재구(217)의 상부에는 상부 단차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탑재구(217)의 하부에는 탑재구(217)의 하부를 커버하는 캡(230)이 끼워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캡(230) 상에 탄성 부재(23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232)는 예컨대 코일 형태의 스프링일 수 있다.
넥부(214)는 바디부(213)의 후방에 구비되는 부분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넥부(214)는, 상기 바디부(213)에 비해서 작은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넥부(214)는 전방부와 후방부의 적어도 일 부분의 외경이 상이하며 외측 둘레면에 넥 곡면(221)이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213)에 비해서 작은 외경을 갖는 넥부(214)가 구비되고, 상기 넥부(214)에 상기와 같은 넥 곡면(221)이 형성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20)를 사용자가 잡고 플런저 유닛(100)을 조작할 때, 사용자 손에 가해지는 부담이 적어지고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증대된다.
특히, 메인 바디 부재(210) 전체를 한 손으로 잡고 플런저 그립부(140)를 잡고 조작하는 경우와 같이, 조작을 위해서 큰 힘을 필요로 할 때, 사용자의 그립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손에 가해지는 부담이 적어지고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증대된다.
핸들부(215)는 넥부(214)의 후방에 구비되는 부분이다. 핸들부(215)는 측 방향으로 소정의 폭만큼 돌출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가 쉽게 그립하여 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핸들부(215)의 적어도 일 부분에는 그립 곡면(22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립 곡면(222)의 형상은 한정하지 아니하며,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을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복수 회 만곡된 부분일 수 있다.
핸들부(215)에 상기와 같은 그립 곡면(222)이 형성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20)를 사용자가 잡고 플런저 유닛(100)을 조작할 때, 사용자 손에 가해지는 부담이 적어지고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증대된다. 특히, 한손으로 조작이 가능해질 수 있다.
<로킹 부재(240)>
도 13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20)의 플런저 고정 유닛(200)의 로킹 부재(24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는 도 13 의 C-C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로킹 부재(240)는, 상기 메인 바디 부재(210)의 탑재구(217) 내에 탑재되는 블록 형태의 부재이다.
로킹 부재(240)는, 로킹 부재(24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관통공(241)을 포함한다. 로킹 부재(240)가 상기 메인 바디 부재(210)의 탑재구(217) 내에 탑재되면, 상기 제2 관통공(241)은 제1 관통공(216)과 전후 방향으로 일렬로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로킹 부재(240)는 탑재구(217) 내에 배치되는 상기 탄성 부재(232) 상에 위치하여 상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다.
아울러,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로킹 부재(240)는, 상면의 중심부에 상방향으로 오픈된 제1 축공(24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축공(244) 내에는 소정의 연결 빔(250)이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빔(250)은 상하로 연장되는 소정의 원통형 빔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 빔(250)은 하단이 상기 제1 축공(244) 내에 투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로킹 부재(240)는, 상면의 일 측에 하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245)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함몰부(245)는 일 외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로킹 부재(240)는, 제2 로킹 돌부(242)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로킹 돌부(242)는, 제2 관통공(241)의 내측 둘레면에 구비되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로킹 돌부(242)는, 제2 빗면(243)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빗면(243)은, 전방으로 경사진 빗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로킹 돌부(242)는 제3 관통공의 하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빗면(243)은, 상기 제2 로킹 돌부(242)의 전방에 형성되고 전방으로 하향 경사진 빗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조작 버튼 부재(260)>
도 15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20)의 플런저 고정 유닛(200)의 조작 버튼 부재(26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 은 도 15 의 D-D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조작 버튼 부재(260)는 상기 로킹 부재(240)의 상부에 배치된다. 조작 버튼 부재(260)는 예컨대 소정의 노브(knob)형태의 부재일 수 있다.
조작 버튼 부재(260)의 상부분은 상기 제2 관통공(241)을 통해 상기 메인 바디 부재(2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조작 버튼 부재(260)의 상부분에는 조작용 그립 돌부(261)가 구비될 수 있다.
조작 버튼 부재(260)의 하부분에는 버튼 바디(262)가 구비된다. 버튼 바디(262)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조작 버튼 부재(260)가 탑재구(217) 내에 탑재되면, 버튼 바디(262)의 외측 부분은 상기 탑재구(217)의 상부 단차(220) 하부에 위치하여 지지된다.
조작 버튼 부재(260)의 하부분 중심부에는 하방향으로 오픈된 제2 축공(26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축공(263)에 상기 연결 빔(250)의 상부분이 투입될 수 있다. 아울러, 조작 버튼 부재(260)는 상기 연결 빔(25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작 버튼 부재(260)는 하면의 일 측에 하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264)를 갖는다. 또한, 상기 돌출부(264)는 일 외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플런저 유닛(100)과 고정 유닛의 결합 관계, 및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20)의 작동>
도 17, 18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20)가 주사기 실린더(10)에 결합된 주사기의 부분 단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20)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7 및 18 을 참조하여 플런저 유닛(100)과 플런저 고정 유닛(200)의 결합 관계 및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플런저 샤프트(130)는 상기 메인 바디 부재(210)의 제1 관통공(216), 및 로킹 부재(240)의 제2 관통공(241)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로킹 부재(240)는, 상면의 일 측에 하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245)를 갖고, 상기 조작 버튼 부재(260)는 하면의 일 측에 하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264)를 갖는다.
따라서,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264)가 상기 함몰부(245) 상에 위치하면 상기 탄성 부재(232)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로킹 부재(240)가 상승한다.
이 상태에서는 제1 로킹 돌부(131)와 제2 로킹 돌부(242)가 서로 걸려진다. 즉, 이 상태는, 로킹 부재(240)가 잠금 위치가 되는 상태이다. 상기 로킹 부재(240)가 잠금 위치가 되면 상기 제1 로킹 돌부(131)와 제2 로킹 돌부(242)가 서로 걸려져서 상기 로킹 부재(240)와 상기 플런저 샤프트(130)가 서로 로킹된다. 따라서, 플런저 유닛(100)의 전후 방향 변위가 제한된다.
사용자가 상기 조작 버튼 부재(260)를 조작하여, 상기 조작 버튼 부재(260)가 회전하면, 상기 돌출부(264)가 상기 함몰부(245)로부터 이탈한다. 예컨대, 조작 버튼 부재(260)를 180°회전할 수 있다. 도 18 과 같이, 조작 버튼 부재(260)가 화살표 R 과 같이 회전하면 상기 돌출부(264)가 상기 로킹 부재(240)를 누르게 된다. 따라서, 탄성 부재(232)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기 로킹 부재(240)가 화살표 S 와 같이 하방향으로 하강한다.
이 상태는, 로킹 부재(240)가 해제 위치가 되는 상태이다. 상기 로킹 부재(240)가 해제 위치가 되면, 도 1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로킹 돌부(131)와 제2 로킹 돌부(242)가 서로 걸려지지 않는다. 따라서, 플런저 유닛(100)이 전후 방향으로 자유롭게 변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 버튼 부재(260)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로킹 부재(240)가 상하로 변위하여, 로킹 부재(240)가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로킹 돌부(131)는, 제1 빗면(132)을 갖고, 상기 제1 로킹 돌부(131)는, 제2 빗면(243)을 갖는다. 상기 로킹 부재(240)와 상기 플런저 샤프트(130)가 서로 로킹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빗면(132)과 제2 빗면(243)이 서로 맞닿아 있다. 또한, 상기 로킹 부재(240)는 탄성 부재(232)의 탄성력을 극복하면 하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플런저 유닛(100)을 뒤로 잡아 당기면, 사용자가 조작 버튼 부재(260)를 별도로 조작하지 않아도 플런저 유닛(100)이 후퇴할 수 있다. 즉, 주사기에 음압을 발생시킬 때에는 별도의 해제 조작 없이 단순히 플런저 유닛(100)을 잡아 당기는 것만으로도 음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가 개선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20)를 주사기 실린더(10)에 결합할 때에는, 커넥터부(211)가 주사기 실린더(10)의 후단에 내삽된 상태에서 주사기 실린더(10)를 회전시킴으로서, 후크 암에 주사기 실린더(10)의 후단에 구비된 손잡이부가 내삽되어 끼워질 수 있다.
상기 후크부(212)가 주사기 실린더(10)의 후단에 구비되는 손잡이에 걸림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20)가 기성의 주사기 실린더(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주사기 실린더(10)와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20)는 단순히 회전 조작을 통해 결합됨으로서, 사용자의 편의가 개선될 수 있다.
- 제2 실시예 -
도 19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20T)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20T)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20T)는, 주사기 실린더(10)에 결합되며, 플런저 유닛(100); 및 상기 플런저 유닛(100)을 주사기 실린더(10)에 연결하는 플런저 고정 유닛(200)을 포함하는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20T)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20T)는, 상기 설명한 제1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20)와 대동소이한 구조를 갖되, 플런저 고정 유닛(300)의 메인 바디 부재(310), 및 로킹 부재(350)에 관한 구성이 상이하다. 아울러, 조작 버튼 부재(260) 대신에 조작 링크 부재(330)가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20T)에 대해서 설명하되, 제1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20)와 차이나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중복되는 설명은 도면에 도시된 사항 만으로도 통상의 기술자에게 충분히 이해되고, 설명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생략된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에 의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제2 실시예에서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제2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20T)의 메인 바디 부재(310)는, 내부에 로킹 부재(350)가 탑재되는 바디부(312), 및 바디부(312)의 후방에 구비되는 핸들부(320)를 구비한다.
바디부(312)의 후방에는 후술하는 조작 링크 부재(330)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314)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핸들부(320)의 전단에는 조작 링크 부재(330)의 후단에 구비되는 핸들 라인(331)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바디부(213)는, 하부분이 오픈되는 탑재구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탑재구는 소정의 캡(340)으로 커버될 수 있다. 상기 캡(340) 상에는 탄성 부재(341)가 구비될 수 있다.
조작 링크 부재(330)는 전체적으로 "ㄱ" 자 형상을 갖는 부재이다. 조작 링크 부재(330)는, 후단에 구비되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핸들 라인(331), 핸들 라인(331) 전방으로 연장되는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링크 라인(332)을 포함한다. 조작 링크 부재(330)는 메인 바디 부재(310)의 양 측에 대칭으로 각각 1 개씩 배치될 수 있다.
핸들 라인(331)은 핸들부(320)의 전단에 위치한다. 핸들부(320)와 핸들 라인(331) 사이에는 핸들 라인(331)을 전방으로 탄성 바이어스하는 탄성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핸들 라인(331)을 전방으로 탄성 바이어스하는 탄성 부재가 내부에 구비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링크 라인(332)의 전단에는 돌출 헤드(333)가 구비된다. 돌출 헤드(333)는 하방향으로 돌출된다. 돌출 헤드(333)의 후면에는 빗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1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20T)의 로킹 부재(35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 은 도 21 의 E-E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로킹 부재(350)는 상기 메인 바디 부재(310) 내에 탑재되는 블록 형태의 부재이다.
로킹 부재(350)는, 로킹 부재(35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관통공(351)을 포함한다. 로킹 부재(350)가 상기 메인 바디 부재(310) 내에 탑재되면, 상기 제2 관통공(351)은 메인 바디 부재(310)의 제1 관통공과 전후 방향으로 일렬로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로킹 부재(350)는 탑재구 내에 배치되는 상기 탄성 부재(341) 상에 위치하여 상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다.
상기 로킹 부재(350)는, 제2 로킹 돌부(352)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로킹 돌부(352)는, 제2 관통공(351)의 둘레면에 구비되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일 수 있다. 상기 제2 로킹 돌부(352)는, 제2 빗면(353)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빗면(353)은, 전방으로 경사진 빗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로킹 돌부(352)는 제2 관통공(351)의 하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빗면(353)은, 상기 제2 로킹 돌부(352)의 전방에 형성되고 전방으로 하향 경사진 빗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로킹 부재(350)의 양 측면에는 측 방향으로 함몰된 사이드 라인(354)이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라인(354)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홈으로 구성된다. 사이드 라인(354)의 전단에는 하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355)가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355)의 후단에는 빗면(356)이 형성될 수 있다.
로킹 부재(350)는 상기 메인 바디 부재(310)의 탑재구 내에 배치되며, 탄성 부재(341) 상에 배치되어 상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될 수 있다.
도 23, 24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20T)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2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20T)의 작동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먼저, 도 23 과 같이, 조작 링크 부재(330)가 전진한 상태에서는, 돌출 헤드(333)가 함몰부(355) 내에 위치한다. 이 상태는, 로킹 부재(350)가 탄성 부재(341)에 의해서 상승하며, 제1 로킹 돌부(131)와 제2 로킹 돌부(352)가 서로 걸려져서, 로킹 부재(350)가 잠금 위치가 되는 상태이다. 상기 로킹 부재(350)가 잠금 위치가 되면 상기 제1 로킹 돌부(131)와 제2 로킹 돌부(352)가 서로 걸려져서 상기 로킹 부재(350)와 상기 플런저 샤프트(130)가 서로 로킹된다. 따라서, 플런저 유닛(100)의 전후 방향 변위가 제한된다.
도 24 와 같이, 조작 링크 부재(330)에 외력을 가하여 조작 링크 부재(330)가 화살표 P 와 같이 후퇴하면, 돌출 헤드(333)가 함몰부(355)로부터 후방으로 이탈한다. 아울러, 돌출 헤드(333)는 사이드 라인(354)의 하부분을 눌러 가압한다. 따라서, 로킹 부재(350)는, 탄성 부재(341)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화살표 Q 와 같이 하방향으로 하강한다.
이 상태는, 로킹 부재(350)가 해제 위치가 되는 상태이다. 상기 로킹 부재(350)가 해제 위치가 되면 상기 제1 로킹 돌부(131)와 제2 로킹 돌부(352)가 서로 걸려지지 않는다. 따라서, 플런저 유닛(100)이 전후 방향으로 자유롭게 변위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의한 플런저 장치는, 메인 바디 부재(310)의 핸들부(320)와 조작 링크 부재(330)의 핸들 라인(331)이 일체를 구성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 없이, 핸들부(320)를 잡고 강하게 그립하는 것 만으로도 로킹 부재(350)의 로킹 해제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가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조작 링크 부재(330)의 전단에 돌출 헤드(333)가 구비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조작 링크 부재(330)가 후퇴하면, 로킹 부재(350)를 눌러 하강시키는 일체의 누름 수단이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25 와 같은 실시 형태가 가능하다.
도 25, 26 은, 조작 링크 부재(330)와 로킹 부재(350)가 상기 설명한 것과 다른 형태를 갖는 실시 형태와 그 작동을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링크 부재(330)의 전단에 연결되는 회동 링크(360)를 더 포함한다. 회동 링크(360)는 조작 링크 부재(330)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로킹 부재(350)의 측면에 형성된 사이드 라인(354)에는, 경사면, 또는 만곡면으로 구성된 프레싱 면(357)이 구비될 수 있다.
회동 링크(360)는 일 단(361)이 조작 링크 부재(330)의 전단에 연결되고, 타단(362)이 상기 로킹 부재(350)의 프레싱 면(357)에 맞닿을 수 있다.
또한, 조작 링크 부재(330)의 상하 방향 높이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조작 링크 부재(330)가 F1 과 같이 후퇴하면, 회동 링크(360)가 전단(361) 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회동 링크(360)의 타단(362)이 상기 프레싱 면(357)을 누르게 된다. 따라서, F2 와 같이 로킹 부재(350)가 하강할 수 있다. 로킹 부재(350)가 하강하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로킹 부재(350)가 해제 위치가 된다.
또한, 제2 실시예를 변형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26 과 같은 실시 형태가 가능하다.
도 27 은 제2 실시예를 변형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 고정 유닛(400)을 나타낸 것이다. 도 28 은 도 27 의 플런저 고정 유닛(400)의 메인 바디 부재(410)의 전방 부분을 생략한 도면이며, 도 29 는 도 28 의 단면도이다. 도 30 은 회동 레버(430)가 작동했을 때를 나타낸 것이며, 도 31 및 32 는 플런저 고정 유닛(400)의 작동을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 형태는, 상기 설명한 실시 형태와 유사하되, 회동 레버(430), 및 레버 스프링(470)이 구비되며, 조작 링크 부재(440)의 형태가 상이한 점이 다르다.
사이드 라인(452)을 갖는 로킹 부재(450)가 구비되며, 조작 링크 부재(440)는 전방에 빗면(442)을 갖고 로킹 부재(450)의 사이드 라인(452)에 위치하는 것과, 로킹 부재(450)를 탄성 바이어스 하는 탄성 부재(460)가 구비되고, 조작 링크 부재(450)의 전후 방향 변위에 따라서 로킹 부재(450)가 상하로 변위하는 것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상통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모두 생략한다.
회동 레버(430)는, 플런저 고정 유닛(400)의 메인 바디 부재(410)의 후단부(핸들부(420))에 배치된다. 회동 레버(430)는, 회동 샤프트(422)를 통해서 핸들부(420)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회동 레버(430)는 메인 바디 부재(410)의 후단 좌우에 각각 하나씩 좌우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
조작 링크 부재(440)는 상기 회동 레버(430)의 회동에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변위 가능도록 연결된다.
일 예로, 도 31, 3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레버(430)에는 레버 돌기(432)가 구비되며, 조작 링크 부재(440)의 후단에는 상기 레버 돌기(432)가 걸림되는 레버 홈(444)가 구비될 수 있다.
레버 스프링(470)은, 조작 링크 부재(440)를 후방으로 탄성 바이어스 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도 27 내지 29, 및 3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스프링(470)은 조작 링크 부재(440)를 후방으로 밀며, 따라서 회동 레버(430)는 회동 샤프트(422)를 중심으로 하여 외측 단부 부분이 전방으로 편향되도록 바이어스 될 수 있다.
회동 레버(430)가 회동 샤프트(422)를 중심으로 하여 외측 단부 부분이 후방으로 편향되도록 외력을 가하면, 조작 링크 부재(440)는 레버 스프링(47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전방으로 변위하게 된다.
상기 사항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플런저 고정 유닛(400)의 작동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레버 스프링(470)은 조작 링크 부재(440)를 후방으로 탄성 바이어스 한다. 이 경우, 도 28, 31 의 F1 와 같이 조작 링크 부재(440)에 대해서 후방향 탄성력이 가해진다. 또한, 로킹 부재(450) 아래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460)의 탄성력(P1)에 의해서 로킹 부재(450)는 상방향으로 상승한 위치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회동 레버(430)를 조작하여, 도 30, 32 의 F2 와 같이 회동 레버(430)를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조작 링크 부재(440)는 레버 스프링(47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F3 과 같이 전진한다.
조작 링크 부재(440)가 전진함에 따라서, 로킹 부재(450)는 탄성 부재(46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P2 와 같이 하강하며, 따라서 로킹 부재(450)에 의한 플런저 유닛(100)의 로킹이 해제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30, 32 의 F2 와 같이 회동 레버(430)를 후퇴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조작했을 때 로킹 부재(450)의 로킹이 해제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가 개선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를 파지하여 양압을 가할 경우, 플런저 그립부(140)와 상기 회동 레버(430)를 한 손에 잡고 누르는 조작을 가하면 로킹 부재(450)의 로킹이 해제되고 양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개선될 수 있다.
도 33 및 도 3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를 한 손으로 파지하여 양압을 가하는 조작을 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 및 3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는, 한 손으로 파지하여 양압을 가하는 조작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한 손가락은 플런저 그립부(140)를 눌러서 전방(화살표 A 방향)으로 가압하며, 다른 손가락은 핸들부(215, 320), 또는 회동 레버(430)를 후방으로 후퇴시키는 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눌러서 가압하여, 쉽게 양압을 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핸들부(215, 320)에는 그립 곡면(222)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의 부담이 적어진다. 또한, 회동 레버(430)는 후방으로 회동하면서 로킹 부재(450)의 로킹이 해제되므로, 자연스러운 조작이 가능해진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주사기 실린더
20, 20T: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
30: 헤드 패킹 부재
100: 플런저 유닛
110: 플런저 헤드
120: 실 링
130: 플런저 샤프트
131: 제1 로킹 돌부
132: 제1 빗면
133: 중공
134: 연결 나사부
135: 스프링 내장 공간
136: 라인 홈부
137: 스프링 지지 단차
140: 플런저 그립부
150: 연결 샤프트
152: 샤프트 바디
154: 스프링 가압 돌부
156: 헤드 연결 나사부
160: 플런저 스프링
200: 플런저 고정 유닛
210: 메인 바디 부재
211: 커넥터부
212: 후크부
213: 바디부
214: 넥부
215: 핸들부
216: 제1 관통공
217: 탑재구
218: 실 링
219: 후크 암
220: 상부 단차
221: 넥 곡면
222: 그립 곡면
230: 캡
232: 탄성 부재
240: 로킹 부재
241: 제2 관통공
242: 제2 로킹 돌부
243: 제2 빗면
244: 제1 축공
245: 함몰부
250: 연결 빔
260: 조작 버튼 부재
261: 조작용 그립 돌부
262: 버튼 바디
263: 제2 축공
264: 돌출부
300: 플런저 고정 유닛
310: 메인 바디 부재
320: 핸들부
330: 조작 링크 부재
331: 핸들 라인
332: 링크 라인
333: 돌출 헤드
334: 빗면부
340: 캡
341: 탄성 부재
350: 로킹 부재
351: 제2 관통공
352: 제2 로킹 돌부
353: 제2 빗면
354: 사이드 라인
355: 함몰부
356: 빗면
357: 프레싱 면
360: 회동 링크
361: 전단
362: 후단
400: 플런저 고정 유닛
410: 메인 바디 부재
420: 핸들부
422: 회동 샤프트
430: 회동 레버
432: 레버 돌기
440: 조작 링크 부재
442: 빗면
444: 레버 홈
450: 로킹 부재
460: 탄성 부재
470: 레버 스프링

Claims (15)

  1. 플런저 유닛; 및 상기 플런저 유닛을 주사기 실린더에 연결하는 플런저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유닛은,
    전단에 구비되는 플런저 헤드, 및
    상기 플런저 헤드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플런저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 고정 유닛은,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 관통공과 상방향으로 오픈되는 탑재구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 부재,
    상기 탑재구 내에 탑재되며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2 관통공을 포함하는 로킹 부재,
    상기 로킹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로킹 부재를 상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탑재구에 배치되되 상기 로킹 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하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조작 버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 샤프트는 상기 제1 관통공 및 제2 관통공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되,
    상기 조작 버튼 부재를 회전시키면 상기 로킹 부재가 상하로 변위하여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하고,
    상기 로킹 부재가 상기 잠금 위치가 되면 상기 로킹 부재가 상기 플런저 샤프트의 적어도 일 부분을 로킹하며,
    상기 로킹 부재가 상기 해제 위치가 되면 상기 로킹 부재와 상기 플런저 사이의 로킹이 해제되는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는 상면의 일 측에 하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를 갖고,
    상기 조작 버튼 부재는 하면의 일 측에 하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함몰부 상에 위치하면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로킹 부재가 상승하며,
    상기 조작 버튼 부재가 회전하여 상기 돌출부가 상기 함몰부로부터 이탈하면 상기 돌출부가 상기 로킹 부재를 하방향으로 눌러서 상기 로킹 부재가 하강하는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 부재는,
    상기 탑재구가 형성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주사기 실린더의 후단에 구비되는 손잡이에 걸림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 부재는,
    상기 바디부의 후방에 구비되는 넥부, 및
    상기 넥부의 후방에 구비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며,
    상기 넥부는,
    전방부와 후방부의 적어도 일 부분의 외경이 상이하며 외측 둘레면에 넥 곡면이 형성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
  5. 플런저 유닛; 및 상기 플런저 유닛을 주사기 실린더에 연결하는 플런저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유닛은,
    전단에 구비되는 플런저 헤드, 및
    상기 플런저 헤드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플런저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 고정 유닛은,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 관통공을 포함하는 메인 바디 부재,
    상기 메인 바디 부재 내부에 탑재되며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2 관통공을 포함하는 로킹 부재,
    상기 로킹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로킹 부재를 상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하는 탄성 부재, 및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메인 바디 부재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로킹 부재의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로킹 부재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조작 링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 샤프트는 상기 제1 관통공 및 제2 관통공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되,
    상기 조작 링크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변위시키면 상기 로킹 부재가 상하로 변위하여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하고,
    상기 로킹 부재가 잠금 위치가 되면 상기 로킹 부재가 상기 플런저 샤프트의 적어도 일 부분을 로킹하며,
    상기 로킹 부재가 상기 해제 위치가 되면 상기 로킹 부재와 상기 플런저 사이의 로킹이 해제되는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는,
    측면에 측 방향으로 함몰된 사이드 라인을 갖고, 상기 조작 링크 부재의 전단이 상기 사이드 라인 내에 위치하며,
    상기 조작 링크 부재는 하방향으로 돌출된 돌출 헤드를 갖고,
    상기 조작 링크 부재가 후방으로 변위하면 상기 돌출 헤드가 상기 로킹 부재의 적어도 일 부분을 하방향으로 눌러서 상기 로킹 부재가 하방향으로 변위하는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라인은 경사면, 또는 만곡면으로 형성된 프레싱 면을 가지며,
    상기 조작 링크 부재의 전단에는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회동 링크가 구비되고,
    상기 조작 링크 부재가 후방으로 변위하면 상기 회동 링크가 상기 프레싱 면을 눌러서 상기 로킹 부재가 하방향으로 변위하는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 부재는,
    상기 바디부의 후방에 구비되는 넥부, 및
    상기 넥부의 후방에 구비되는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링크 부재는,
    후단에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핸들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핸들 라인은 상기 핸들부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핸들 라인과 상기 핸들부 사이에 탄성 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조작 링크 부재를 전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하는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고정 유닛은,
    상기 메인 바디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 레버의 회동에 따라서 상기 조작 링크 부재가 전후 방향으로 변위하는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고정 유닛은,
    상기 조작 링크 부재를 후방으로 탄성 바이어스 하는 레버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동 레버가 상기 메인 바디 부재에 대해서 후방으로 편향되게 회동하면 상기 조작 링크 부재가 전방으로 변위하며 상기 로킹 부재가 상기 해제 위치가 되는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
  11.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샤프트는,
    상기 플런저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서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로킹 돌부를 구비하며,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제2 관통공의 내측 둘레면에 구비되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로킹 돌부를 가지며,
    상기 로킹 부재가 잠금 위치가 되면 상기 제1 로킹 돌부와 제2 로킹 돌부가 서로 걸려져서 상기 로킹 부재와 상기 플런저 샤프트가 서로 로킹되는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킹 돌부는,
    후면에 외측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진 제1 빗면을 갖는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킹 돌부는,
    전면에 내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진 제2 빗면을 갖는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
  14.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유닛은,
    상기 플런저 헤드와 상기 플런저 샤프트 사이를 탄성 연결하는 완충 장치를 포함하는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
  15.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유닛은,
    연결 샤프트, 플런저 스프링, 및 플런저 그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 샤프트는 내부에 상기 연결 샤프트가 투입되는 중공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샤프트는 상기 중공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되, 상기 플런저 샤프트는 상기 연결 샤프트를 후방으로 탄성 바이어스하며,
    상기 연결 샤프트의 전단은 상기 플런저 헤드와 연결되고,
    상기 플런저 샤프트의 후단은 상기 플런저 그립부와 연결되는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
KR1020200065392A 2020-05-29 2020-05-29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 KR102408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392A KR102408930B1 (ko) 2020-05-29 2020-05-29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392A KR102408930B1 (ko) 2020-05-29 2020-05-29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730A true KR20210147730A (ko) 2021-12-07
KR102408930B1 KR102408930B1 (ko) 2022-06-14

Family

ID=78868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392A KR102408930B1 (ko) 2020-05-29 2020-05-29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9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84300C1 (ru) * 2022-01-28 2022-11-2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нгиолайн Ресерч"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дувания медицинских баллонов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585B1 (ko) * 2005-08-29 2006-02-10 (주)태연메디칼 일회용의 척추복원시술용 복원기
KR200435652Y1 (ko) 2006-09-29 2007-02-05 메디칸(주) 의료용 주사기 세트, 의료용 주사기 및 착탈식 주사바늘 고정장치
KR100905486B1 (ko) * 2008-12-10 2009-07-01 한창기전 주식회사 척추후만성형술용 골압축장치의 유체공급 조절장치
US20120316507A1 (en) * 2011-06-10 2012-12-13 Ryan Agard Biomaterial Dispensing Device
US20140074026A1 (en) * 2012-09-13 2014-03-13 Beijing Demax Medical Technology Co., Ltd. Pressurized medical instrument
KR101762152B1 (ko) * 2016-01-27 2017-08-07 정준영 일회용 주사기
KR20180094254A (ko) * 2017-02-15 2018-08-23 제주대학교병원 플런저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주사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585B1 (ko) * 2005-08-29 2006-02-10 (주)태연메디칼 일회용의 척추복원시술용 복원기
KR200435652Y1 (ko) 2006-09-29 2007-02-05 메디칸(주) 의료용 주사기 세트, 의료용 주사기 및 착탈식 주사바늘 고정장치
KR100905486B1 (ko) * 2008-12-10 2009-07-01 한창기전 주식회사 척추후만성형술용 골압축장치의 유체공급 조절장치
US20120316507A1 (en) * 2011-06-10 2012-12-13 Ryan Agard Biomaterial Dispensing Device
US20140074026A1 (en) * 2012-09-13 2014-03-13 Beijing Demax Medical Technology Co., Ltd. Pressurized medical instrument
KR101762152B1 (ko) * 2016-01-27 2017-08-07 정준영 일회용 주사기
KR20180094254A (ko) * 2017-02-15 2018-08-23 제주대학교병원 플런저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주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84300C1 (ru) * 2022-01-28 2022-11-2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нгиолайн Ресерч"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дувания медицинских баллоно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8930B1 (ko) 202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591457A (en) Syringe operating device
US20050148945A1 (en) Medical syringe
US2754818A (en) Hypo jet injector
JP6966576B2 (ja) 針自動後退型採血針
US9901718B2 (en) Balloon pressure pump
US4050723A (en) Mechanism for securing a door in open or closed position
JP2007061623A (ja) 安全注射器
KR102408930B1 (ko)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
US2555878A (en) Hypodermic syringe
CN109209061A (zh) 一种字轮组旋转驱动的锁具
CN109125059B (zh) 针灸连续推针器
GB1249853A (en) Implement for stitching or similar operations
CN109091205B (zh) 一种毛囊移植笔
CN107361837B (zh) 加压撑开装置
CN212699940U (zh) 一种旋转回缩式防刺伤注射器
CN206603979U (zh) 带t形三通的机械式推注超声造影剂的机构
CN209800485U (zh) 一种具有锁止功能的拉销
CN209422057U (zh) 带闭合功能的可伸缩穿刺器
CN208048739U (zh) 一种易调节多用叩诊锤
CN211382532U (zh) 拐杖
KR102094120B1 (ko) 소화기 격발장치
CN208582485U (zh) 加压撑开装置
CN219447227U (zh) 一种滑板车折叠机构
CN219208465U (zh) 一种可自动回收针头的注射针
CN202105305U (zh) 球囊压力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