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7452A - 선박 직류배전시스템에서의 발전기 가동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선박 직류배전시스템에서의 발전기 가동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7452A
KR20210147452A KR1020200064696A KR20200064696A KR20210147452A KR 20210147452 A KR20210147452 A KR 20210147452A KR 1020200064696 A KR1020200064696 A KR 1020200064696A KR 20200064696 A KR20200064696 A KR 20200064696A KR 20210147452 A KR20210147452 A KR 20210147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s
generator
bus bar
power
load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훈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4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7452A/ko
Publication of KR20210147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74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4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ynamo-electric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2003/001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 B63J2003/002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by using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2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ships or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발전기가 구비되고, 각각의 발전기는 버스바를 매개로 부하장치와 연결되며, 이웃하는 버스바는 직류차단기를 통해 선택적으로 연결, 차단되는 선박의 직류배전시스템 하에, 2개의 발전기 전력이 소모되는 부하장치의 기동시 직류차단기에 인가되는 전류가 직류차단기의 최대허용전류를 초과하지 않도록 복수의 발전기 중 2개의 발전기가 선택적으로 가동되도록 제어하는 선박 직류배전시스템에서의 발전기 가동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직류배전시스템에서의 발전기 가동제어방법은 선박 직류배전시스템에서의 발전기 가동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박 직류배전시스템은 복수의 버스바를 구비하며, 복수의 버스바 중 어느 한 버스바(이하, 제 1 버스바라 함)에 2개 발전기가 연결되고 다른 각각의 버스바에는 1개 발전기가 연결되며, 각 버스바의 다른 일측에는 부하장치가 연결되며, 이웃하는 버스바는 직류차단기에 의해 연결, 차단되며, 선박 직류배전시스템의 전력제어부는 각 부하장치의 기동신호에 따라 공급 가능한 전력량을 체크함과 함께 해당 부하장치에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며, 발전기의 선택적인 가동을 제어하며, 제 1 버스바에 연결된 2개 발전기가 모두 가동되면 직류차단기에 인가되는 전류가 직류차단기의 최대허용전류를 초과하며, 복수의 발전기 중 1개 이상의 발전기가 가동되는 상태에서, 특정 부하장치의 기동신호가 전력제어부가 전달되며, 전력제어부가 해당 부하장치가 1개 발전기 가동에 의해 기동이 가능한 부하장치인지 2개 발전기 가동에 의해 기동이 가능한 부하장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2개 발전기 가동에 의해 기동이 가능한 부하장치인 경우, 2개 이상의 발전기가 가동되고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2개 이상의 발전기가 가동되고 있는 경우, 전력제어부가 제 1 버스바에 연결된 2개의 발전기가 모두 가동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제 1 버스바에 연결된 2개의 발전기가 모두 가동되고 있다면 나머지 버스바 중 어느 한 버스바에 연결된 발전기를 가동시키고 제 1 버스바에 연결된 2개의 발전기 중 어느 한 발전기의 가동을 중지시키는 단계; 및 기동신호가 발생된 2개 발전기 가동에 의해 기동이 가능한 부하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 직류배전시스템에서의 발전기 가동제어방법{Method for operation the generators in power supply system based on DC grid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 직류배전시스템에서의 발전기 가동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발전기가 구비되고, 각각의 발전기는 버스바를 매개로 부하장치와 연결되며, 이웃하는 버스바는 직류차단기를 통해 선택적으로 연결, 차단되는 선박의 직류배전시스템 하에, 2개의 발전기 전력이 소모되는 부하장치의 기동시 직류차단기에 인가되는 전류가 직류차단기의 최대허용전류를 초과하지 않도록 복수의 발전기 중 2개의 발전기가 선택적으로 가동되도록 제어하는 선박 직류배전시스템에서의 발전기 가동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직류배전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전기식 구동시스템이 도입됨에 따라, 선박 내에 전력발전, 전력분배, 전력변환, 전력부하, 에너지저장 및 전력제어시스템으로 구성되는 통합 전력계통시스템이 구축되고 있다.
상기 통합 전력계통시스템은 발전기에서 생성된 교류전원을 부하로 공급하는 교류배전방식을 이용하거나, 상기 발전기에서 생성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한 후, 상기 변환된 직류전원을 부하로 공급하는 직류배전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상기 교류배전방식은 교류전원의 승압 및 감압이 용이하며, 전류의 영점으로 전류 차단이 용이한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교류배전방식은 무효전력, 고조파, 위상각에 의한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가 발생하여 전력계통시스템의 안정도와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박 내의 대부분의 부하는 교류전원을 이용하는 교류 부하이기 때문에, 부하별 AC/DC 컨버터 및 변압기와 같은 전력변환장치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계통 설비가 복잡해지며, 에너지 효율의 증가를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하여, 상기 교류배전방식은 직류전원을 생성하는 신재생 에너지 발전 또는 직류 전원을 이용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ESS)와의 연계를 위해 전력 변환 장치 또는 직류 배전반이 추가로 요구되어 계통 설비 및 에너지 효율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상기 교류배전방식 대신 상기 직류배전방식을 선박용 전력계통 시스템에 활용하고 있다. 상기 직류배전방식은 절연 비용, 분산 전원 시스템과 계통 연계의 용이성, 전자기파 영향, 송전 효율, 시스템의 안정도 및 무게 및 공간 절감 측면에서, 상기 교류배전방식에 비하여 우수한 성능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직류배전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 선박 내에서 교류 부하를 사용하는데 제한적이거나 교류 부하를 사용하기 위한 추가적인 컨버터 장치가 필요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선박 내에는 복수의 발전기가 구비되고, 각각의 발전기는 버스바(busbar)에 맞물린 다양한 부하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셔틀탱커의 보우 스러스터(bow thruster)와 같이 소요전력이 큰 부하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2개 이상의 발전기 동력이 요구되고 이에 2개의 버스바가 선택적으로 연결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이웃하는 버스바의 선택적인 연결, 차단을 위해 버스바 사이에는 직류차단기(DC circuit breaker)가 구비되는데, 직류차단기를 통해 2개의 버스바를 연결할 때 직류차단기의 최대허용전류가 고려되어야 한다. 2개의 버스바가 연결되어 발생되는 전류값이 직류차단기의 최대허용전류를 초과하게 되면 직류차단기가 손상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2개의 버스바를 안정적으로 연결, 차단하기 위해서는 직류차단기의 최대허용전류가 클 필요가 있는데, 현재 상용화된 직류차단기의 경우 최대허용전류가 제한적이다. 또한, 현재 상용화된 대용량의 직류차단기는 고가의 제품이어서 전력계통시스템의 설계시 직류차단기의 개수가 증가될수록 설계비용이 상승된다.
이에, 직류차단기의 최대허용전류가 제한적인 상태에서 2개의 발전기 전력이 요구되는 부하장치를 안정적으로 기동함과 함께 직류차단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직류차단기의 최대허용전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복수의 발전기 중 2개의 발전기를 적절히 선택하여 가동시킬 필요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04071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복수의 발전기가 구비되고, 각각의 발전기는 버스바를 매개로 부하장치와 연결되며, 이웃하는 버스바는 직류차단기를 통해 선택적으로 연결, 차단되는 선박의 직류배전시스템 하에, 2개의 발전기 전력이 소모되는 부하장치의 기동시 직류차단기에 인가되는 전류가 직류차단기의 최대허용전류를 초과하지 않도록 복수의 발전기 중 2개의 발전기가 선택적으로 가동되도록 제어하는 선박 직류배전시스템에서의 발전기 가동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직류배전시스템에서의 발전기 가동제어방법은 선박 직류배전시스템에서의 발전기 가동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박 직류배전시스템은 복수의 버스바를 구비하며, 복수의 버스바 중 어느 한 버스바(이하, 제 1 버스바라 함)에 2개 발전기가 연결되고 다른 각각의 버스바에는 1개 발전기가 연결되며, 각 버스바의 다른 일측에는 부하장치가 연결되며, 이웃하는 버스바는 직류차단기에 의해 연결, 차단되며, 선박 직류배전시스템의 전력제어부는 각 부하장치의 기동신호에 따라 공급 가능한 전력량을 체크함과 함께 해당 부하장치에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며, 발전기의 선택적인 가동을 제어하며, 제 1 버스바에 연결된 2개 발전기가 모두 가동되면 직류차단기에 인가되는 전류가 직류차단기의 최대허용전류를 초과하며, 복수의 발전기 중 1개 이상의 발전기가 가동되는 상태에서, 특정 부하장치의 기동신호가 전력제어부가 전달되며, 전력제어부가 해당 부하장치가 1개 발전기 가동에 의해 기동이 가능한 부하장치인지 2개 발전기 가동에 의해 기동이 가능한 부하장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2개 발전기 가동에 의해 기동이 가능한 부하장치인 경우, 2개 이상의 발전기가 가동되고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2개 이상의 발전기가 가동되고 있는 경우, 전력제어부가 제 1 버스바에 연결된 2개의 발전기가 모두 가동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제 1 버스바에 연결된 2개의 발전기가 모두 가동되고 있다면 나머지 버스바 중 어느 한 버스바에 연결된 발전기를 가동시키고 제 1 버스바에 연결된 2개의 발전기 중 어느 한 발전기의 가동을 중지시키는 단계; 및 기동신호가 발생된 2개 발전기 가동에 의해 기동이 가능한 부하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력제어부가 해당 부하장치가 1개 발전기 가동에 의해 기동이 가능한 부하장치인지 2개 발전기 가동에 의해 기동이 가능한 부하장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1개 발전기 가동에 의해 기동이 가능한 부하장치인 경우, 전력제어부는 해당 부하장치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력제어부가 제 1 버스바에 연결된 2개의 발전기가 모두 가동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제 1 버스바에 연결된 2개의 발전기가 모두 가동되지 않는 경우, 2개 이상의 발전기가 가동됨에 있어서 제 1 버스바에 연결된 2개의 발전기 중 어느 한 발전기와 제 2 버스바 내지 제 4 버스바 중 어느 한 버스바에 연결된 발전기가 가동됨을 의미하거나, 제 2 버스바 내지 제 4 버스바 중 2개 버스바에 연결된 2개 발전기가 가동됨을 의미하며, 정상적인 2개 발전기 가동으로 판단하여 2개 발전기 가동에 의해 기동이 가능한 부하장치에 전력을 공급한다.
2개 이상의 발전기가 가동되고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에서, 2개 이상의 발전기가 가동되고 있지 않는 경우, 전력제어부는 가동되고 있는 1개 발전기가 제 1 버스바에 연결된 발전기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가동되고 있는 1개 발전기가 제 1 버스바에 연결된 발전기이면, 전력제어부는 제 2 버스바 내지 제 4 버스바 중 어느 한 버스바에 연결된 발전기를 가동시킴과 함께 부하장치에 전력을 공급한다.
가동되고 있는 1개 발전기가 제 1 버스바에 연결된 발전기가 아닌 경우, 전력제어부는 제 1 버스바 내지 제 4 버스바 중 어느 한 버스바에 연결된 발전기를 가동시킴과 함께 부하장치에 전력을 공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직류배전시스템에서의 발전기 가동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보우 스러스터와 같이 2개 발전기의 전력이 요구되는 부하장치의 기동시, 복수의 발전기 중 2개 발전기를 선택적으로 가동시킴으로써 직류차단기에 인가되는 전류가 직류차단기의 최대허용전류를 초과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과전류로 인한 직류차단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직류배전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직류배전시스템에서의 발전기 가동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본 발명은 선박 직류배전시스템 하에서 복수의 발전기를 가동함에 있어서 이웃하는 버스바를 연결, 차단하는 직류차단기에 인가되는 전류가 직류차단기의 최대허용전류를 초과하지 않도록 복수의 발전기를 선택적으로 가동시키는 기술을 제시한다.
선박에는 복수의 발전기가 구비되고, 각각의 발전기에서 생산되는 전력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발전기는 버스바(busbar)를 매개로 보우 스러스터(bow thruster), 발라스트 펌프, 카고 펌프 등의 부하장치와 연결되며, 이웃하는 버스바는 직류차단기(DC circuit breaker)를 통해 선택적으로 연결, 차단된다.
앞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보우 스러스터와 같이 소모전력이 커 2개의 발전기 가동이 요구되는 부하장치에 전력을 공급함에 있어서, 복수의 발전기 중 2개의 발전기를 가동하는 경우 직류차단기에 인가되는 전류가 직류차단기의 최대허용전류를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직류차단기는 손상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복수의 발전기 중 2개의 발전기를 가동함에 있어서 직류차단기에 인가되는 전류가 직류차단기의 최대허용전류를 초과하지 않도록 복수의 발전기 중 2개의 발전기가 선택적으로 가동되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한 기술을 제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직류배전시스템에서의 발전기 가동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가동제어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발전기 가동제어방법의 전제 구성인 선박 직류배전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선박 직류배전시스템은 4개 또는 5개의 버스바를 구비하는데, 이하의 설명에서는 4개 버스바 즉, 제 1 버스바(111) 내지 제 4 버스바(114)가 구비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버스바 각각은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력을 부하장치(130)로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보드(switch board)이다.
상기 복수의 버스바 중 어느 한 버스바에는 2개의 발전기가 연결되며, 다른 버스바에는 1개의 발전기가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 1 버스바(111)에는 제 1 발전기(121) 및 제 2 발전기(122)가 연결되며, 제 2 버스바(112)에는 제 3 발전기(123), 제 3 버스바(113)에는 제 4 발전기(124), 제 4 버스바(114)에는 제 5 발전기(125)가 각각 연결된다. 제 1 버스바(111) 내지 제 4 버스바(114) 각각의 다른 일측에는 부하장치(130)가 연결된다.
부하장치(130)는 선박 내에 구비되어 전력을 소모하는 것으로서, 보우 스러스터, 발라스트 펌프, 카고 펌프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 버스바에 연결되는 복수의 부하장치(130)는 1개 발전기 가동에 의해 기동이 가능한 부하장치(130)와 2개 발전기 가동에 의해 기동이 가능한 부하장치(130)로 구분된다.
이웃하는 버스바 사이에는 직류차단기(140)가 구비된다. 제 1 버스바(111)와 제 2 버스바(112) 사이, 제 2 버스바(112)와 제 3 버스바(113) 사이, 제 3 버스바(113)와 제 4 버스바(114) 사이 각각에 직류차단기(140)가 구비된다. 직류차단기(140)는 이웃하는 버스바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필요에 따라 이웃하는 버스바의 연결상태를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선박 직류배전시스템은 전력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며, 상기 전력제어부는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력을 각 부하장치(130)로 공급하는 것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전력제어부는 각 부하장치(130)의 기동신호에 따라 공급 가능한 전력량을 체크함과 함께 해당 부하장치(130)에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제어한다. 또한, 전력제어부는 공급 가능한 전력량이 특정 부하장치(130)의 기동에 요구되는 전력보다 작은 경우, 발전기의 선택적인 가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전기제어부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력제어부에 의한 발전기의 선택적인 가동은 본 발명의 구성상 특징에 해당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선박 직류배전시스템 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가동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발전기 중 1개 이상의 발전기가 가동되는 상태에서(S201), 특정 부하장치(130)의 기동신호가 전력제어부가 전달되며(S202), 전력제어부는 해당 부하장치(130)가 1개 발전기 가동에 의해 기동이 가능한 부하장치(130)인지 2개 발전기 가동에 의해 기동이 가능한 부하장치(130)인지를 판단한다. 1개 발전기 가동에 의해 기동이 가능한 부하장치(130)인 경우, 전력제어부는 해당 부하장치(130)에 전력을 공급한다.
반면, 2개 발전기 가동에 의해 기동이 가능한 부하장치(130)인 경우, 전력제어부는 공급 가능한 전력량을 체크한다(S203). 여기서, 공급 가능한 전력량을 체크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2개 이상의 발전기가 가동되고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것이다.
2개 이상의 발전기가 가동되고 있는 경우, 전력제어부는 제 1 버스바(111)에 연결된 2개의 발전기가 모두 가동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4).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버스바가 구비되고 복수의 버스바 중 어느 한 버스바에는 2개의 발전기가 연결되고 다른 각각의 버스바에는 1개의 발전기가 연결되는 것이 전제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1개 버스바 예를 들어, 제 1 버스바(111)에 연결된 2개 발전기가 모두 가동되면 직류차단기(140)의 최대허용전류를 초과하게 되며, 본 발명은 2개 발전기의 가동이 요구되는 경우 제 1 버스바(111)에 연결된 2개 발전기가 모두 가동되는 것을 회피되도록 제어한다.
전력제어부가 제 1 버스바(111)에 연결된 2개의 발전기가 모두 가동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 1 버스바(111)에 연결된 2개의 발전기가 모두 가동되고 있다면 제 1 버스바(111)에 연결된 2개의 발전기 중 어느 한 발전기의 가동을 중지시킴과 함께 제 2 버스바(112) 내지 제 4 버스바(114) 중 어느 한 버스바에 연결된 발전기를 가동시킨다(S205). 이어, 기동신호가 발생된 부하장치(130)에 전력을 공급한다(S206).
반면, 제 1 버스바(111)에 연결된 2개의 발전기가 모두 가동되지 않는 경우는, 2개 이상의 발전기가 가동됨에 있어서 제 1 버스바(111)에 연결된 2개의 발전기 중 어느 한 발전기와 제 2 버스바(112) 내지 제 4 버스바(114) 중 어느 한 버스바에 연결된 발전기가 가동됨을 의미하거나, 제 2 버스바(112) 내지 제 4 버스바(114) 중 2개 버스바에 연결된 2개 발전기가 가동됨을 의미하는 바, 정상적인 2개 발전기 가동으로 판단하여 2개 발전기 가동에 의해 기동이 가능한 부하장치(130)에 전력을 공급한다.
한편, 공급 가능한 전력량을 체크하는 단계에서, 2개 이상의 발전기가 가동되고 있지 않는 경우 즉, 1개 발전기만이 가동되는 경우, 전력제어부는 가동되고 있는 1개 발전기가 제 1 버스바(111)에 연결된 발전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7). 가동되고 있는 1개 발전기가 제 1 버스바(111)에 연결된 발전기인 경우, 전력제어부는 제 2 버스바(112) 내지 제 4 버스바(114) 중 어느 한 버스바에 연결된 발전기를 가동시킴(S208)과 함께 부하장치(130)에 전력을 공급한다(S206).
반면, 가동되고 있는 1개 발전기가 제 1 버스바(111)에 연결된 발전기가 아닌 경우, 전력제어부는 제 1 버스바(111) 내지 제 4 버스바(114) 중 어느 한 버스바에 연결된 발전기를 가동시킴(S209)과 함께 부하장치(130)에 전력을 공급한다(S206).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통해, 제 1 버스바(111)에 연결된 2개 발전기가 모두 가동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으며, 2개 발전기 가동시 직류차단기(140)에 인가되는 전류가 직류차단기(140)의 최대허용전류를 초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11 : 제 1 버스바 112 : 제 2 버스바
113 : 제 3 버스바 114 : 제 4 버스바
121 : 제 1 발전기 122 : 제 2 발전기
123 : 제 3 발전기 124 : 제 4 발전기
125 : 제 5 발전기 130 : 부하장치
140 : 직류차단기

Claims (5)

  1. 선박 직류배전시스템에서의 발전기 가동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박 직류배전시스템은 복수의 버스바를 구비하며, 복수의 버스바 중 어느 한 버스바(이하, 제 1 버스바라 함)에 2개 발전기가 연결되고 다른 각각의 버스바에는 1개 발전기가 연결되며, 각 버스바의 다른 일측에는 부하장치가 연결되며, 이웃하는 버스바는 직류차단기에 의해 연결, 차단되며,
    선박 직류배전시스템의 전력제어부는 각 부하장치의 기동신호에 따라 공급 가능한 전력량을 체크함과 함께 해당 부하장치에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며, 발전기의 선택적인 가동을 제어하며,
    제 1 버스바에 연결된 2개 발전기가 모두 가동되면 직류차단기에 인가되는 전류가 직류차단기의 최대허용전류를 초과하며,
    복수의 발전기 중 1개 이상의 발전기가 가동되는 상태에서, 특정 부하장치의 기동신호가 전력제어부가 전달되며, 전력제어부가 해당 부하장치가 1개 발전기 가동에 의해 기동이 가능한 부하장치인지 2개 발전기 가동에 의해 기동이 가능한 부하장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2개 발전기 가동에 의해 기동이 가능한 부하장치인 경우, 2개 이상의 발전기가 가동되고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2개 이상의 발전기가 가동되고 있는 경우, 전력제어부가 제 1 버스바에 연결된 2개의 발전기가 모두 가동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제 1 버스바에 연결된 2개의 발전기가 모두 가동되고 있다면 나머지 버스바 중 어느 한 버스바에 연결된 발전기를 가동시키고 제 1 버스바에 연결된 2개의 발전기 중 어느 한 발전기의 가동을 중지시키는 단계; 및
    기동신호가 발생된 2개 발전기 가동에 의해 기동이 가능한 부하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직류배전시스템에서의 발전기 가동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전력제어부가 해당 부하장치가 1개 발전기 가동에 의해 기동이 가능한 부하장치인지 2개 발전기 가동에 의해 기동이 가능한 부하장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1개 발전기 가동에 의해 기동이 가능한 부하장치인 경우, 전력제어부는 해당 부하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직류배전시스템에서의 발전기 가동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전력제어부가 제 1 버스바에 연결된 2개의 발전기가 모두 가동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제 1 버스바에 연결된 2개의 발전기가 모두 가동되지 않는 경우, 2개 이상의 발전기가 가동됨에 있어서 제 1 버스바에 연결된 2개의 발전기 중 어느 한 발전기와 제 2 버스바 내지 제 4 버스바 중 어느 한 버스바에 연결된 발전기가 가동됨을 의미하거나, 제 2 버스바 내지 제 4 버스바 중 2개 버스바에 연결된 2개 발전기가 가동됨을 의미하며, 정상적인 2개 발전기 가동으로 판단하여 2개 발전기 가동에 의해 기동이 가능한 부하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직류배전시스템에서의 발전기 가동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발전기가 가동되고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에서,
    2개 이상의 발전기가 가동되고 있지 않는 경우, 전력제어부는 가동되고 있는 1개 발전기가 제 1 버스바에 연결된 발전기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가동되고 있는 1개 발전기가 제 1 버스바에 연결된 발전기이면, 전력제어부는 제 2 버스바 내지 제 4 버스바 중 어느 한 버스바에 연결된 발전기를 가동시킴과 함께 부하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직류배전시스템에서의 발전기 가동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가동되고 있는 1개 발전기가 제 1 버스바에 연결된 발전기가 아닌 경우, 전력제어부는 제 1 버스바 내지 제 4 버스바 중 어느 한 버스바에 연결된 발전기를 가동시킴과 함께 부하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직류배전시스템에서의 발전기 가동제어방법.
KR1020200064696A 2020-05-29 2020-05-29 선박 직류배전시스템에서의 발전기 가동제어방법 KR202101474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696A KR20210147452A (ko) 2020-05-29 2020-05-29 선박 직류배전시스템에서의 발전기 가동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696A KR20210147452A (ko) 2020-05-29 2020-05-29 선박 직류배전시스템에서의 발전기 가동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452A true KR20210147452A (ko) 2021-12-07

Family

ID=78868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696A KR20210147452A (ko) 2020-05-29 2020-05-29 선박 직류배전시스템에서의 발전기 가동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745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0715A (ko) 2009-10-13 2011-04-20 컨버팀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전력 분배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0715A (ko) 2009-10-13 2011-04-20 컨버팀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전력 분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1739B2 (en) Power distribution on a vessel
US9030042B2 (en)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systems
JP5465255B2 (ja) 船に電力を伝達するシステムおよび装置
US20170353038A1 (en) Power System Comprising A Central Energy Storage System And A Method Of Controlling Power Transfer In A Power System
KR20190142703A (ko) 저압 배전이 적용된 선박
KR20110074370A (ko) 발전량에 따른 전력제어방법 및 그 전력변환장치
KR20190098661A (ko) 부하단에 배치된 변압기 및 ess를 가지는 선박용 dc기반 전력 공급 시스템
KR20210147452A (ko) 선박 직류배전시스템에서의 발전기 가동제어방법
KR101103859B1 (ko) 대형 컨테이너선의 바우 쓰러스터 단독발전기 연결배전시스템
WO2019174795A1 (en) Redundant power supply system
CN212617007U (zh) 一种船用电伴热电源分配系统
RU2594355C2 (ru) Способ конфигурирования установки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и установка, в которой реализован такой способ
KR101974128B1 (ko) 선박용 전력계통 시스템
KR20220120147A (ko) 선박 발전 장치 및 선박 전력 분배 시스템
KR20200064352A (ko) 스위치보드 고장을 대비한 전력 시스템
JP2005525074A (ja) 孤立ネットワーク用電力供給システム
CN112703657A (zh) 供电装置以及供电系统
CN112703656A (zh) 供电装置以及供电系统
KR101348609B1 (ko) 전력공급장치 및 전력공급방법
KR20240059596A (ko)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전력 계통 시스템
KR20220125397A (ko) 선박 전력 분배 장치
KR20210125353A (ko) 선박의 보조전력공급장치
KR20240071285A (ko) 원유 하역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40122562A (ko) 전력공급장치 및 전력공급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