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7344A - IoT 배관 동파 방지 열선제어기 - Google Patents

IoT 배관 동파 방지 열선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7344A
KR20210147344A KR1020200064424A KR20200064424A KR20210147344A KR 20210147344 A KR20210147344 A KR 20210147344A KR 1020200064424 A KR1020200064424 A KR 1020200064424A KR 20200064424 A KR20200064424 A KR 20200064424A KR 20210147344 A KR20210147344 A KR 20210147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iping
temperature
heating wir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7418B1 (ko
Inventor
김동용
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온익스
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온익스, 김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온익스
Priority to KR1020200064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418B1/ko
Publication of KR20210147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7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5Ohmic-resistance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80Homes; Building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G16Y40/35Management of things, i.e. controlling in accordance with a policy or in order to achieve specified object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rchitecture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 배관 동파 방지 열선제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열선의 설치 위치마다 열선제어기가 배치되어 개별 제어를 수행하고, 각각의 열선제어기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IoT 배관 동파 방지 열선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IoT 배관 동파 방지 열선제어기{Pipe Freeze Prevention Heating Wire Controller with IoT}
본 발명은 IoT 배관 동파 방지 열선제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열선의 설치 위치마다 열선제어기가 배치되어 개별 제어를 수행하고, 각각의 열선제어기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IoT 배관 동파 방지 열선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이나 공장 등에는 소화배관, 상수도관 등과 같은 각종 배관설비가 설치되는데, 상기 배관설비를 통하여 물이나 기름 등과 같은 유체가 일정 장소로 공급된다. 도 1에는 이와 같은 건물에서의 배관설비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한편, 외기온도가 크게 낮아지는 동절기에 도 1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천장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된 배관설비의 배관파이프는 차가운 외기로 인하여 얼게 되고, 그 내부에 충진 되어 흐르는 유체 또한 얼게 되며, 이 때 상기 배관파이프의 내부에 충진 되어 흐르는 유체는 얼면서 부피가 팽창하여 배관파이프를 파쇄시키게 되는 이른 바 동파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파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배관파이프를 통해 상수 등을 공급받아 사용하는 수요처는 상기 배관파이프의 동결 및 동파로 인해 상수 등을 공급받지 못함에 따라 그에 따른 어려움이나 손실을 입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임시방편으로 상기 배관파이프의 외측면을 단열재로 감싸주어 상기 배관파이프의 동결 및 동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임시방편은 기온이 급속도로 하강하는 혹한기에는 배관파이프에 온전한 보온효과를 제공하기 어려워 배관파이프의 동결 및 동파를 방지하기 어렵고 이로 인해 위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배관파이프의 외측면에 발열장치를 설치하여 배관파이프가 동결 및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배관열선제어시스템이 먼저 개발된 바 있다. 도 2에는 이와 같은 종래의 배관설비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배관열선제어시스템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배관열선제어시스템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유체가 내부에 충진 되어 흐르는 배관파이프(50)와, 상기 배관파이프(50)의 외측면에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되어 전원을 공급하면 발열되어 배관파이프를 가열시키는 열선 발열장치(20)와, 상기 열선 발열장치(20)에 연결되고 온도감지부에 의해 검출되는 외기온도에 따라 열선 발열장치(20)에 전원을 공급하여 배관파이프(50)가 동파 되는 것을 방지하는 중앙제어부(10)와, 상기 중앙제어부(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플러그가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배관열선제어시스템에서는 하나의 중앙제어부(10)가 복수의 열선 발열장치(20a)(20b)(20c)(20d)(20e)에 전원을 공급하기 때문에, 각각의 열선 발열장치까지 배선을 시공하는 비용이 많이 들고, 하나의 중앙제어부(10)에 구비된 온도감지부의 외기온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열선 발열장치(20)를 동시에 구동하기 때문에 실제 설치된 열선 발열장치(20) 주변의 온도를 정확히 알 수 없고, 실제 동작이 필요 없는 조건에서도 동작함으로써 에너지를 낭비하거나, 실제 동작이 필요한 온도조건임에도 동작을 하지 않아 배관파이프(50)가 동파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복수의 열선 발열장치(20)에 전력을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과부하에 대응할 수 있도록 고용량의 배전설비가 필요하여 공사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배관열선의 설치 위치마다 열선제어기가 배치되어 개별 제어를 수행하고, 각각의 열선제어기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IoT 배관 동파 방지 열선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관 동파 방지 열선제어기로서, 기저장된 정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 및 감지한 정보에 기초하여 연결된 배관열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배관에 열을 가하여 동파를 방지하는 2 이상의 배관열선이 연결될 수 있고, 연결된 배관열선에 전력을 공급하는 열선연결부; 배관 및 외기의 온도를 각각 측정하는 배관온도센서 및 외기온도센서가 연결될 수 있는 센서부; 및 외부의 관리서버 및 사용자단말기 중 1 이상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 상기 열선연결부, 상기 센서부 및 상기 통신부는 제어기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기케이스는, 브라켓을 통해 상기 배관에 고정될 수 있는, 배관 동파 방지 열선제어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열선연결부는, 연결된 상기 배관열선에 전력을 공급하는 열선전력공급부; 및 연결된 상기 배관열선에 공급되는 전력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열선전력감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선전력감지부의 모니터링결과 배관열선에 공급되는 전력이 기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배관열선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연결된 온도센서에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동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세기 및 기설정된 패턴으로 연결된 배관열선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선제어기가 설치되는 배관의 굵기, 배관 내 유동 유체의 종류 및 배관 내 유동 유체의 유량 중 1 이상에 기초하여 배관열선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열선연결부는, 2개의 배관열선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센서부는, 배관의 온도를 측정하는 2개의 배관온도센서가 연결될 수 있고, 2개의 상기 배관온도센서는 배관에서 2개의 상기 배관열선이 설치된 측의 온도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2개의 상기 배관열선을 구동할 때,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번갈아 2개의 상기 배관열선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관리서버 또는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배관열선의 동작을 위한 배관시작온도, 배관정지온도, 외기시작온도 및 외기정지온도를 입력 받고, 상기 배관온도센서가 측정한 배관온도가 상기 배관시작온도 미만인지 여부, 상기 배관온도센서가 측정한 배관온도가 상기 배관정지온도 이상인지 여부, 상기 외기온도센서가 측정한 외기온도가 상기 외기시작온도 미만인지 여부 및 상기 외기온도센서가 측정한 외기온도가 상기 외기정지온도 이상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배관열선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브라켓은, 배관을 고정시설물에 부착하여 고정하기 위한 U자 형태의 U-밴드; 및 상기 U-밴드의 곡면 측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상기 제어기케이스와 결합할 수 있는 케이스결합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파 방지를 요하는 배관에 개별적으로 배관열선과 열선제어기를 설치함으로써 시공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별적으로 배관열선이 설치됨으로써 저용량의 전원에 의해서도 동파 방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관열선이 설치된 배관의 온도를 측정하고 온도에 기초하여 배관열선을 구동함으로써 동파 방지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관열선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모니터링 함으로써 단선 및 합선을 조기에 진단하여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설치되는 배관의 속성에 따라 배관열선에 공급하는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선제어기가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명령을 입력 받음으로써 사용자가 관리서버 또는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용이하게 열선제어기의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을 통해 열선제어기를 배관에 부착 가능하여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건물에서의 외부로 노출된 배관설비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배관설비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배관열선제어시스템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동파 방지 열선제어기가 설치된 배관 시스템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동파 방지 열선제어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동파 방지 열선제어기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위한 정보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선연결부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선전력감시부에 의한 배관열선의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열선에 공급되는 전력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아 배관열선을 제어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선제어기에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동작설정정보를 입력 하는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선제어기의 상태를 사용자단말기에서 확인하는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선제어기에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동작예약 현황을 확인하는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동파 방지 열선제어기가 설치된 배관 시스템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동파 방지 열선제어기(100)는 건물(1000)의 배관(50)의 필요한 곳에 개별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열선제어기(100)에는 배관열선이 연결되어 배관에 열을 가함으로써 배관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을 도 2와 비교하면,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선제어기(100)는 중앙 집중 방식의 중앙제어부가 없이, 각각의 배관열선에 열선제어기(100)가 제어를 수행하게 되고, 각각의 열선제어기(100)는 통신을 수행하여 외부의 관리서버(2000) 또는 사용자단말기(3000)와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열선제어기(100)가 관리서버(2000) 또는 사용자단말기(3000)로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관리서버(2000) 또는 사용자단말기(3000)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함으로써 사용자는 용이하게 배관열선의 구동 상태를 확인하고, 구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열선제어기(100)는 유선 통신을 통해 정보를 주고 받을 수도 있고, 혹은 무선 통신을 통해 정보를 주고 받을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동파 방지 열선제어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동파 방지 열선제어기(100)는, 기저장된 정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 및 감지한 정보에 기초하여 연결된 배관열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0); 배관(50) 및 외기의 온도를 각각 측정하는 배관온도센서(300) 및 외기온도센서가 연결될 수 있는 센서부(120); 배관(50)에 열을 가하여 동파를 방지하는 2 이상의 배관열선(200)이 연결될 수 있고, 연결된 배관열선(2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열선연결부(130); 외부의 관리서버(2000) 및 사용자단말기(3000) 중 1 이상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140);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고 정보를 입력 받는 입출력부(150); 및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는 전원부(160);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기저장된 정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 및 감지한 정보에 기초하여 연결된 배관열선(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10)는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메모리에는 배관열선의 동작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연결된 다른 구성요소, 혹은 외부의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수집한 정보에 기초하여 배관열선(200)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배관열선(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120)는, 배관(50) 및 외기의 온도를 각각 측정하는 배관온도센서(300) 및 외기온도센서(125)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20)는 이와 같이 연결된 온도센서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제어부(110)가 이에 기초하여 배관열선(200)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120)는 외기온도센서(미도시)가 연결되어 외기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센서부(120)는 배관열선(200)이 설치된 배관(50)의 온도뿐만 아니라 외기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측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배관(50)이 동파되지 않도록 배관열선(20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센서부(120)에는 복수의 상기 배관온도센서(300)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배관열선(200)에 전력을 공급하여 배관(50)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고, 복수의 상기 배관온도센서(300)는 복수의 배관열선(200) 각각에 의해 가열되는 배관(50)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110)가 각각의 배관열선(200)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열선연결부(130)는 상기 배관열선(200)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배관열선(2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열선연결부(130)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배관열선(200)에 전력을 공급하고, 공급되는 전력에 대해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니터링 된 결과는 상기 제어부(110)로 전송되어 상기 제어부(110)가 배관열선(200)을 제어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부(140)는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기 통신부(140)는 복수의 열선제어기(100)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는 외부의 관리서버(200) 또는 사용자단말기(300)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배관열선이 설치된 곳까지 이동하여 정보를 확인할 필요 없이 용이하게 정보를 확인하고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4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건물에 설치된 로컬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인터넷에 접속됨으로써 관리서버(200) 또는 사용자단말기(300)와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입출력부(150)는 사용자가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열선제어기(100)에 정보를 확인하고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부(150)는 LCD 디스플레이 등의 출력장치와 스위치 등의 입력장치를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부(160)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각각의 열선제어기(100)가 전원부(160)를 포함하여 배관열선에 공급되는 전력을 분산하여 공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부(160)는 건물 등이 기 설치되어 있는 전원 콘센트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상용 전원(220V)으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동파 방지 열선제어기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선제어기(100)가 배관(50)에 설치 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의 (a)는 상기 배관(50)에 설치된 열선제어기(100)를 상기 열선제어기(100)가 설치된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이고, 도 5의 (b)는 상기 열선제어기(100)가 설치된 측면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110), 상기 센서부(120), 상기 열선연결부(130), 상기 통신부(140), 상기 입출력부(150) 및 상기 전원부(160)를 포함하는 열선제어기(100)의 구성요소는 제어기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기케이스는, 브라켓(500)을 통해 상기 배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케이스를 통해 상기 센서부(120) 및 상기 열선연결부(130)는 각각 배관온도센서(300) 및 배관열선(200)과 연결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열선연결부(130)는, 2개의 배관열선(200a)(200b)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센서부(120)는, 배관의 온도를 측정하는 2개의 배관온도센서(300a)(300b)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2개의 상기 배관온도센서(300a)(300b)는 배관에서 2개의 상기 배관열선(200)이 설치된 측의 온도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외기온도를 측정하는 외기온도센서가 상기 제어기케이스에 내장되어 상기 열선연결부(130)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관열선(200)은 상기 제어기케이스로부터 일정 거리까지는 전선으로 연결되고, 일정 거리 이후부터는 열선으로 연결되어 배관에 열을 가함으로써 상기 제어기케이스 내부의 열선제어기(100)의 구성요소들이 열선에 의한 열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열선제어기(100)가 설치되는 배관(50)의 굵기, 배관(50) 내 유동 유체의 종류 및 배관(50) 내 유동 유체의 유량 중 1 이상에 기초하여 배관열선(20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배관열선(200)을 통해 열을 공급할 때, 상기 배관(50)의 속성에 따라 공급되는 열에 대한 온도의 상승 계수가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물이 정체되어 있는 소방배관의 경우와 물이 유동하는 상수배관의 경우 동일한 열량을 공급하여도, 물의 유동 여부에 따라 배관의 온도변화가 달라지게 된다.
이와 같이 배관의 특성에 따라 동파 방지를 위하여 공급해야 하는 열량, 즉 전력이 상이하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배관(50)의 굵기, 배관(50) 내 유동 유체의 종류 및 배관(50) 내 유동 유체의 유량과 같은 배관(50)의 속성을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위한 정보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센서부(120)를 통해 상기 배관온도센서(300) 및 외기온도센서(125)로부터 측정된 온도 정보를 수신하여 배관열선(20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센서부(120)에 연결된 온도센서에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동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세기 및 기설정된 패턴으로 연결된 배관열선(2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센서부(120)에 연결된 외기온도센서(125) 및 배관온도센서(300)의 온도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전력을 배관열선(200)에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외부의 제어 없이 단독으로 측정한 온도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제대로 동작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온도센서에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예를 들어 비정상적인 수치의 온도가 입력되거나, 혹은 온도의 입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혹은 시간에 따른 온도변화 폭이 기설정된 기준보다 큰 경우 등에서는 최소한의 동파방지를 위한 응급동파방지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온도 측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기온이 낮아져 배관(50)이 동파될 상황에도 상기 제어부(110)가 전력을 공급하지 않아 배관이 동파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110)는 온도에 상관 없이 최소한의 전력을 상기 배관열선(200)에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응급동파방지모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설정된 세기 및 기설정된 패턴으로 상기 배관열선(2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110)는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기설정된 세기 및 패턴으로 상기 배관열선(200)에 전력을 공급함과 동시에 통신부(140)를 통해 관리서버(2000) 혹은 사용자단말기(3000)로 알림을 전송하여 사용자가 온도센서의 이상을 확인하고 점검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선연결부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선전력감시부에 의한 배관열선의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열선연결부(130)는, 연결된 상기 배관열선(2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열선전력공급부(131); 및 연결된 상기 배관열선(200)에 공급되는 전력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열선전력감지부(132); 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두 개의 배관열선(200)이 연결될 수 있는 열선연결부(130)로서, 상기 열선전력공급부(131)는 각각의 배관열선(20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1열선전력공급부(131a) 및 제2열선전력공급부(131b)를 포함하고, 상기 열선전력감지부(132)는 각각의 배관열선(200)에 공급되는 전력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제1열선전력감지부(132a) 및 제2열선전력감지부(132b)를 각각 포함한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열선전력공급부(131)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각각의 배관열선(200)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열선전력감지부(132)는 공급되는 전력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제어부(110)에 모니터링 결과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어부(110)가 배관열선(200)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열선전력감지부(132)의 모니터링결과 배관열선(200)에 공급되는 전력이 기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배관열선(200)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배관열선(200)에 합선 등에 의해 과다한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화재가 발생하는 등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열선전력감지부(132)가 상기 배관열선(200)에 공급되는 전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전력 공급이 기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합선 등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배관열선(200)에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110)는 전력의 공급을 차단함과 동시에 통신부(140)를 통해 관리서버(2000) 혹은 사용자단말기(3000)로 알림을 전송하여 사용자가 배관열선(200)의 이상을 확인하고 점검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배관열선(20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할 때 상기 열선전력감지부(132)의 모니터링결과 배관열선(200)에 공급되는 전력이 없는 경우, 즉, 상기 배관열선(200)이 단선되어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통신부(140)를 통해 관리서버(2000) 혹은 사용자단말기(3000)로 알림을 전송하여 사용자가 배관열선(200)의 이상을 확인하고 점검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열선에 공급되는 전력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2개의 상기 배관열선(200)을 구동할 때,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번갈아 2개의 상기 배관열선(2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선제어기(100)에 연결된 2개의 배관열선(200)은 하나의 배관(50)에 이격 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열선제어기(100)의 제어부(110)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2개의 배관열선(200)에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번갈아 가면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관에 연결된 두 개의 배관열선(200)을 번갈아 구동하여 배관(50)에 열을 가함으로써 소모전력을 절감하면서도 배관(50)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아 배관열선을 제어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통신부(130)를 통해 관리서버(2000) 또는 사용자단말기(3000)와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관리서버(2000) 또는 사용자단말기(3000)를 통해 상기 제어부(110)에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3000)를 통해 동작설정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제어부(110)는 상기 동작설정정보 및 상기 센서부(120)를 통해 입력 받은 온도정보에 기초하여 연결된 배관열선(200)에 전력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동작설정정보는 동파 방지를 위해 배관열선(200)을 구동하기 위한 온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설정정보는 배관열선(200)의 구동을 정지하기 위한 온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통신부(130)를 통해 연결된 관리서버(2000) 또는 사용자단말기(3000)로부터 배관열선(200)의 동작을 위한 배관시작온도, 배관정지온도, 외기시작온도 및 외기정지온도를 입력 받고, 상기 배관온도센서(300)가 측정한 배관온도가 상기 배관시작온도 미만인지 여부, 상기 배관온도센서(300)가 측정한 배관온도가 상기 배관정지온도 이상인지 여부, 상기 외기온도센서(125)가 측정한 외기온도가 상기 외기시작온도 미만인지 여부 및 상기 외기온도센서(125)가 측정한 외기온도가 상기 외기정지온도 이상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배관열선(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10)는 배관열선(200)의 동작을 위한 배관온도 및 외기온도의 상한 및 하한을 입력 받고, 상기 센서부(120)에 연결된 배관온도센서(300) 및 외기온도센서(125)를 통해 입력 받은 배관온도 및 외기온도에 따라 배관열선(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외기온도 및 배관온도가 낮은 경우 동파의 위험이 크기 때문에 측정한 외기온도가 설정된 외기시작온도 미만이고, 측정한 배관온도가 설정된 배관시작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배관열선(200)에 전력을 공급하여 동파를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관온도센서(300)가 측정한 배관온도가 상기 배관시작온도 미만이고, 동시에 상기 외기온도센서(125)가 측정한 외기온도가 상기 외기시작온도 미만인 경우 배관열선(20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외기온도 및 배관온도가 모두 설정된 값 보다 낮은 경우 배관열선(200)이 구동하도록 하기 때문에, 따뜻한 날임에도 배관에 차가운 유체가 흐름으로써 온도가 낮은 경우나 혹은 날씨가 춥지만 배관에 온수 등의 따뜻한 유체가 흐름으로써 배관의 동파 염려가 없는 경우에도 불필요하게 배관열선(200)을 가동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기온도 또는 배관온도가 높아진 경우, 동파의 위험이 낮기 때문에 측정한 외기온도가 설정된 외기정지온도 이상이거나, 측정한 배관온도가 설정된 배관정지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배관열선(200)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관온도센서(300)가 측정한 배관온도가 상기 배관정지온도 이상이거나, 혹은 상기 외기온도센서(125)가 측정한 외기온도가 상기 외기정지온도 이상인 경우 배관열선(200)에 전력의 공급을 중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배관온도는 아직 낮지만 외기온도가 높아져 동파의 위험이 낮아지거나, 혹은 외기온도는 아직 낮지만 배관온도가 높아져 동파의 위험이 낮아지는 경우, 배관열선(200)의 구동을 멈추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선제어기에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동작설정정보를 입력 하는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300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열선제어기(100)에 배관시작온도, 배관정지온도, 외기시작온도 및 외기정지온도를 입력하는 화면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용이하게 동작을 위한 온도를 입력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배관시작온도를 6도, 배관정지온도를 10도, 외기시작온도를 4도, 외기정지온도를 5도로 설정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입력조건 하에서 상기 열선제어기(100)는 상기 배관온도센서(300) 및 상기 외기온도센서(125)가 각각 측정한 배관온도 및 외기온도에 기초하여 배관열선(200)에 전력을 공급 또는 차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 외기온도가 4도 미만이고 배관온도 또한 6도 미만인 경우 상기 열선제어기(100)는 상기 배관열선(200)에 전력을 공급하여 배관(50)이 동파되지 않도록 한다. 이 후 외기 온도가 올라가 5도 이상이 되면 상기 열선제어기(100)는 배관온도가 10도가 되지 않더라도 동파 위험이 낮기 때문에 배관열선(200)에 전력을 더 이상 공급하지 않게 된다.
혹은, 외기온도가 4도 미만이고 배관온도 또한 6도 미만인 경우 상기 열선제어기(100)는 상기 배관열선(200)에 전력을 공급하여 배관(50)이 동파되지 않도록 한 후, 외기온도가 4도 미만으로 유지되더라도 배관온도가 10도 이상으로 올라가는 경우, 마찬가지로 동파 위험이 낮기 때문에 배관열선(200)에 전력을 더 이상 공급하지 않게 된다.
혹은 배관온도가 6도 이상 및 외기온도가 4도 이상으로 배관열선(200)이 구동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배관온도가 6도 이상으로 유지되고 있다면 외기온도가 4도 미만으로 내려가더라도, 높은 배관온도에 의해 배관(50)의 동파위험이 낮기 때문에 배관열선(200)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게 된다.
혹은 배관온도가 6도 이상 및 외기온도가 4도 이상으로 배관열선(200)이 구동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외기온도가 4도 이상으로 유지되고 있다면 배관온도가 6도 미만으로 내려가더라도, 높은 외기온도에 의해 배관(50)의 동파위험이 낮기 때문에 배관열선(200)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용자단말기(3000)로부터 입력 받은 동작정보 및 상기 센서부(120)를 통해 입력 받은 온도정보를 비교하여 판단함으로써 상기 배관열선(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방지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선제어기의 상태를 사용자단말기에서 확인하는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30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열선제어기(100)의 전원을 온/오프 할 수 있고, 상기 열선제어기(100)가 감지한 정보를 전송 받아 표시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단말기(3000)의 어플리케이션은 열선제어기(100)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2의 예에서는 표시되는 정보로 배관온도센서(300) 및 외기온도센서(125)의 정상 동작 여부, 배관열선(200)의 정상 동작 여부, 배관온도센서(300) 및 외기온도센서(125)가 감지한 배관온도 및 외기온도 및 열선제어기(100)의 설정된 동작모드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30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열선제어기(100)의 상태를 상기 열선제어기(100)까지 가지 않고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선제어기에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동작예약 현황을 확인하는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30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열선제어기(100)의 동작설정을 예약하거나, 예약된 동작설정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열선제어기(100)에 시간 등을 정하여 해당 시간에서의 동작을 직접 예약하거나, 혹은 동작에 대한 온도설정 등을 예약하여 상기 열선제어기(100)에 연결된 배관열선(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브라켓(500)은, 배관(50)을 고정시설물에 부착하여 고정하기 위한 U자 형태의 U-밴드(510); 및 상기 U-밴드(510)의 곡면 측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상기 제어기케이스와 결합할 수 있는 케이스결합부(52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결합부(520)는 상기 U-밴드(510)의 곡면 측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된 결합부바디(521) 및 상기 결합부바디(521)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어기케이스의 외측과 접촉될 수 있도록 기설정된 각도로 절곡 되어 형성되는 결합접촉부(5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접촉부(525)는 상기 제어기케이스의 외측에 접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 상기 제어기케이스와 볼트결합 등을 통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라켓(500)은 상기 U-밴드(510)의 곡면 측에 2 이상의 케이스결합부(520)를 포함하여 상기 제어기케이스와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브라켓(500)을 통해 상기 열선제어기(100)의 구성요소가 내장되어 있는 제어기케이스를 상기 배관(50)에 부착함으로써 배관열선(200)을 제어하는 열선제어기(10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특히, 배관(50)의 고정 등에 사용되는 U-밴드(510)를 이용한 브라켓(500)을 통해 배관(50)에 상기 제어기케이스를 부착함으로써 배관(50)에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할 필요 없이, 설치된 배관(50)의 U-밴드(510)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500)으로 교체하는 것 만으로도 용이하게 열선제어기(100)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파 방지를 요하는 배관에 개별적으로 배관열선과 열선제어기를 설치함으로써 시공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별적으로 배관열선이 설치됨으로써 저용량의 전원에 의해서도 동파 방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관열선이 설치된 배관의 온도를 측정하고 온도에 기초하여 배관열선을 구동함으로써 동파 방지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관열선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모니터링 함으로써 단선 및 합선을 조기에 진단하여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설치되는 배관의 속성에 따라 배관열선에 공급하는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선제어기가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명령을 입력 받음으로써 사용자가 관리서버 또는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용이하게 열선제어기의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을 통해 열선제어기를 배관에 부착 가능하여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8)

  1. 배관 동파 방지 열선제어기로서,
    기저장된 정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 및 감지한 정보에 기초하여 연결된 배관열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배관에 열을 가하여 동파를 방지하는 2 이상의 배관열선이 연결될 수 있고, 연결된 배관열선에 전력을 공급하는 열선연결부;
    배관 및 외기의 온도를 각각 측정하는 배관온도센서 및 외기온도센서가 연결될 수 있는 센서부; 및
    외부의 관리서버 및 사용자단말기 중 1 이상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 상기 열선연결부, 상기 센서부 및 상기 통신부는 제어기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기케이스는, 브라켓을 통해 상기 배관에 고정될 수 있는, 배관 동파 방지 열선제어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선연결부는,
    연결된 상기 배관열선에 전력을 공급하는 열선전력공급부; 및
    연결된 상기 배관열선에 공급되는 전력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열선전력감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선전력감지부의 모니터링결과 배관열선에 공급되는 전력이 기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배관열선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배관 동파 방지 열선제어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연결된 온도센서에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동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세기 및 기설정된 패턴으로 연결된 배관열선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관 동파 방지 열선제어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선제어기가 설치되는 배관의 굵기, 배관 내 유동 유체의 종류 및 배관 내 유동 유체의 유량 중 1 이상에 기초하여 배관열선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배관 동파 방지 열선제어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선연결부는,
    2개의 배관열선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센서부는,
    배관의 온도를 측정하는 2개의 배관온도센서가 연결될 수 있고,
    2개의 상기 배관온도센서는 배관에서 2개의 상기 배관열선이 설치된 측의 온도를 각각 측정하는, 배관 동파 방지 열선제어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2개의 상기 배관열선을 구동할 때,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번갈아 2개의 상기 배관열선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관 동파 방지 열선제어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관리서버 또는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배관열선의 동작을 위한 배관시작온도, 배관정지온도, 외기시작온도 및 외기정지온도를 입력 받고,
    상기 배관온도센서가 측정한 배관온도가 상기 배관시작온도 미만인지 여부, 상기 배관온도센서가 측정한 배관온도가 상기 배관정지온도 이상인지 여부, 상기 외기온도센서가 측정한 외기온도가 상기 외기시작온도 미만인지 여부 및 상기 외기온도센서가 측정한 외기온도가 상기 외기정지온도 이상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배관열선의 동작을 제어하는, 배관 동파 방지 열선제어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배관을 고정시설물에 부착하여 고정하기 위한 U자 형태의 U-밴드; 및
    상기 U-밴드의 곡면 측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상기 제어기케이스와 결합할 수 있는 케이스결합부; 를 포함하는, 배관 동파 방지 열선제어기.
KR1020200064424A 2020-05-28 2020-05-28 IoT 배관 동파 방지 열선제어기 KR102377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424A KR102377418B1 (ko) 2020-05-28 2020-05-28 IoT 배관 동파 방지 열선제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424A KR102377418B1 (ko) 2020-05-28 2020-05-28 IoT 배관 동파 방지 열선제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344A true KR20210147344A (ko) 2021-12-07
KR102377418B1 KR102377418B1 (ko) 2022-03-22

Family

ID=78868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424A KR102377418B1 (ko) 2020-05-28 2020-05-28 IoT 배관 동파 방지 열선제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74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090B1 (ko) * 2022-05-27 2023-03-20 주식회사 다누시스 원격검침을 통한 검침값 확인 및 신고접수 시스템과, 그 방법
KR102552619B1 (ko) * 2023-02-09 2023-07-07 (주)우현시스템 친환경 스마트 동파방지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746B1 (ko) * 2006-12-12 2008-03-20 권순락 배관 동결방지시스템
KR101030630B1 (ko) * 2011-01-31 2011-04-20 김광열 자동 전압조절부가 구비된 배관파이프 동파 방지용 발열장치의 제어시스템
KR101465144B1 (ko) * 2014-05-30 2014-11-28 이재준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열선 제어시스템
KR101936594B1 (ko) * 2017-08-07 2019-01-09 삼일씨티에스(주) 면상 발열을 이용한 동파방지 시스템
KR102114709B1 (ko) * 2020-01-03 2020-05-25 주식회사 한성이엔지 에너지 절감형 스마트 동파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746B1 (ko) * 2006-12-12 2008-03-20 권순락 배관 동결방지시스템
KR101030630B1 (ko) * 2011-01-31 2011-04-20 김광열 자동 전압조절부가 구비된 배관파이프 동파 방지용 발열장치의 제어시스템
KR101465144B1 (ko) * 2014-05-30 2014-11-28 이재준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열선 제어시스템
KR101936594B1 (ko) * 2017-08-07 2019-01-09 삼일씨티에스(주) 면상 발열을 이용한 동파방지 시스템
KR102114709B1 (ko) * 2020-01-03 2020-05-25 주식회사 한성이엔지 에너지 절감형 스마트 동파방지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090B1 (ko) * 2022-05-27 2023-03-20 주식회사 다누시스 원격검침을 통한 검침값 확인 및 신고접수 시스템과, 그 방법
KR102552619B1 (ko) * 2023-02-09 2023-07-07 (주)우현시스템 친환경 스마트 동파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7418B1 (ko) 202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47344A (ko) IoT 배관 동파 방지 열선제어기
KR101456428B1 (ko) 공동주택 발열선 제어시스템
KR101607666B1 (ko) 동파방지용 스마트 절전형 온도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온도컨트롤시스템
CN103363672B (zh) 热水器及其操作方法
AU2011101045B4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condition of a meter
CN104931525B (zh) 一种保温层效能实时在线分布式监测方法及系统
KR101552495B1 (ko) 동파 방지 시스템 및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파 방지 시스템의 알람 및 유지보수 장치와 방법
CN105783113A (zh) 一种供热智能监控系统
KR102074198B1 (ko) 전력변환 무선 제어 기술을 적용한 배관용 동파방지 열선 장치
CN109681788A (zh) 一种光缆及管道渗漏监测系统
CN205562129U (zh) 一种供热管道中膨胀节泄漏检测装置
KR101286956B1 (ko) 수계설비 보호시스템 및 보호방법
CN109959413A (zh) 一种水冷式铜排内冷却管堵塞故障预测装置及方法
US11434625B2 (en) Frozen pipe alert
KR102539852B1 (ko)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03202A (ko) 교류 메탈 히터와 면상 발열체가 조합된 혼합 동파방지 시스템
CN204611203U (zh) 一种管路泄漏监控装置
US202002175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sure Monitoring and Stabilization in HVAC Systems
CN206683711U (zh) 一种环境监测水表防冻系统
CN206724535U (zh) 一种大型制冷设备的监测系统
KR101404540B1 (ko) 수도 계량기의 동결방지장치 및 방법
CN205263986U (zh) 一种基于点型感温元件的电气火灾监控预警系统
CN104390321B (zh) 中央空调系统及其水处理设备的控制装置和控制方法
CN109520563B (zh) 一种水内冷电机定子线棒股线堵塞程度确定系统及方法
KR20220061111A (ko) 누출 감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