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7298A - 선박 유지 보수 및 수리 지원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 유지 보수 및 수리 지원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7298A
KR20210147298A KR1020200064300A KR20200064300A KR20210147298A KR 20210147298 A KR20210147298 A KR 20210147298A KR 1020200064300 A KR1020200064300 A KR 1020200064300A KR 20200064300 A KR20200064300 A KR 20200064300A KR 20210147298 A KR20210147298 A KR 20210147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repair
maintenance
audio data
platform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정민
박주미
문상훈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4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7298A/ko
Publication of KR20210147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72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81/00Repairing or maintaining vess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36Review paper; Tutorial; Surve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박 내부에 이더넷 케이블이 설치된 구역의 경우 무선 AP(Access Point)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더넷 케이블이 설치되지 않은 구역의 경우 PLC(Power Line Communication) 전력선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선박 내부 장비의 유지 보수 및 수리와 관련된 증강 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선박 유지 보수 및 수리 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유지 보수 및 수리 지원 시스템은, 선박에 탑재된 하나 이상의 장비의 유지 보수 및 수리 관련 영상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 및 음성을 녹음한 음성 데이터를, 무선 단말을 이용하여 형성하고,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무선 단말 상에서 유지 보수 관련 증강 현실을 구현하며,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의 압축을 수행하고, 압축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선박 외부의 제2 플랫폼 서버로 전송하며, 압축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복구시키고,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무선 단말에 표시된 증강 현실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선박 유지 보수 및 수리 지원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INTENANCE AND REPAIR SUPPORTING OF VESSEL}
본 발명은 선박의 유지 보수 및 수리 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박 내부에 이더넷 케이블이 설치된 구역의 경우 무선 AP(Access Point)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더넷 케이블이 설치되지 않은 구역의 경우 PLC(Power Line Communication) 전력선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선박 내부 장비의 유지 보수 및 수리와 관련된 증강 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선박 유지 보수 및 수리 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선박 내부에 주요 장비의 고장이나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할 경우, 전문화된 벤더(Vendor) 엔지니어가 직접 승선하거나 고기량의 선원 엔지니어가 매뉴얼을 직접 확인하면서 작업을 진행해야 했다.
최근에는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을 이용한 유지보수 기능이 개발되면서 이를 활용한 기계의 유지 보수와 수리 서비스가 소개되었으나, 이는 무선 통신 환경이 보장되는 구역에서만 원활한 사용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박 내부의 환경 특성상 선원의 사무실이 있는 선실 구역(Accommodation)이나 ECR(Engine Control Room)에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무선 AP(Access Point)가 배치되나, 실질적으로 유지 보수가 필요한 장비들은 대부분 무선 AP가 배치되지 않는 장비 룸에 배치되어 있다.
무선 AP의 설치를 위해서는 이더넷(Ethernet) 케이블의 포설이 필요한데, 이더넷 케이블의 포설을 위해서는 케이블량의 증가와 함께 케이블 루트 확보를 위한 케이블 트레이를 필요로 하게 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선박 내부에 이더넷 케이블이 설치된 구역의 경우 무선 AP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더넷 케이블이 설치되지 않은 구역의 경우 PLC 전력선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선박 내부 장비의 유지 보수 및 수리와 관련된 증강 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선박 유지 보수 및 수리 지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유지 보수 및 수리 지원 시스템은, 선박에 탑재된 하나 이상의 장비의 유지 보수 및 수리 관련 영상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 및 음성을 녹음한 음성 데이터를 형성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지 보수 및 수리 관련 증강 현실을 구현하도록 동작하는 무선 단말; 상기 선박 내부 및 외부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수신된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플랫폼 서버; 상기 선박 내부의 하나 이상의 구역에 무선 네트워크를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선내 네트워크 시스템; 위성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육상에 위치한 제2 플랫폼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위성 통신부;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플랫폼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부; 상기 위성 통신부로 수신되는 신호와 상기 이동 통신부로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에 따라서 상기 위성 통신부 또는 상기 이동 통신부로의 신호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외부 통신 라우터; 및 상기 제1 플랫폼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무선 단말에 표시된 증강 현실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형성하는 상기 제2 플랫폼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선내 네트워크 시스템은, 이더넷 케이블이 설치된 구역의 경우 무선 AP(Access Point)를 이용하여 구축하고, 상기 이더넷 케이블이 설치되지 않은 구역의 경우 PLC(Power Line Communication) 전력선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LC 전력선 통신 장치는, 상기 선박 내부의 전력선을 이용하여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PLC Master 및 하나 이상의 PLC Slav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음성 데이터의 압축을 수행하는 인코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플랫폼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음성 데이터의 압축을 복구시키기 위한 디코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단말은, 상기 증강 현실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음성 획득부 및 영상 획득부와 상기 선내 네트워크 시스템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장치를 구비하고, 증강 현실 소프트웨어 및 스마트 매뉴얼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매뉴얼은, 상기 선박의 도면, 상기 선박에 탑재된 장비의 유지 보수 매뉴얼 및 동작 매뉴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에 탑재된 하나 이상의 장비의 스마트 매뉴얼을 형성 및 관리하고, 상기 스마트 매뉴얼을 상기 제2 플랫폼 서버로 전송하는 서비스 벤더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유지 보수 및 수리 지원 방법은, 선박에 탑재된 하나 이상의 장비의 유지 보수 및 수리 관련 영상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 및 음성을 녹음한 음성 데이터를, 무선 단말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단말 상에서 유지 보수 및 수리 관련 증강 현실을 구현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기 선박 외부의 제2 플랫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단말에 표시된 증강 현실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기 선박 외부의 제2 플랫폼 서버로 전송하기 전에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음성 데이터의 압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압축된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기 선박 외부의 제2플랫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압축된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음성 데이터를 복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단말은, 상기 증강 현실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음성 획득부 및 영상 획득부를 구비하고, 증강 현실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주사 단말 또는 서비스 벤더 단말에 의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 내부 및 외부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수신된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음성 데이터를 제1 플랫폼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랫폼 서버와 상기 무선 단말은 선내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내 네트워크 시스템은, 이더넷 케이블이 설치된 구역의 경우 무선 AP를 이용하여 구축하고, 상기 이더넷 케이블이 설치되지 않은 구역의 경우 PLC 전력선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육상에서도 선박 내 장비들의 유지 보수 및 수리 서비스 지원이 가능하고, 선박이 외부와 통신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선박내 플랫폼 서버에 저장된 영상 및 음성을 참고하여 유지 보수 및 수리 서비스의 수행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이더넷 케이블을 이용한 무선 AP와 PLC 통신을 이용하여 선박 내 모든 구역에서 육상과 통신하며 유지 보수 및 수리 작업의 수행이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육상의 플랫폼 서버에도 선박 내부의 장비 유지 보수 및 수리 과정의 영상 및 음성 데이터가 저장되므로, 선주사 단말 및/또는 서비스 벤더 단말에서 선박에 접속하지 않고도 언제든지 유지 보수 및 수리 작업 영상 및 음성을 확인하고, 향후의 유지 보수 및 수리 작업 과정의 개선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유지 보수 및 수리 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의 구현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내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유지 보수 및 수리 지원 방법의 절차를 보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유지 보수 및 수리 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박 유지 보수 지원 시스템(100)은, 선박(110)에 탑재된 무선 단말(111), 제1 플랫폼 서버(112), 선내 네트워크 시스템(113), 인코더(Encoder, 114), 외부 통신 라우터(115), 위성 통신부(116), 이동 통신부(117), PLC Master(118), 하나 이상의 무선 AP(119), 및 하나 이상의 PLC Slave(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박 유지 보수 지원 시스템(100)은, 육상(130)에 위치한 통신 기지국(131), 디코더(Decoder, 132), 제2 플랫폼 서버(133), 선주사 단말(134), 및 하나 이상의 서비스 벤더 단말(135)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 유지 보수 지원 시스템(100)의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요소가 선박 유지 보수 지원 시스템에 추가될 수 있다. 아울러, 추가적으로(additionally) 또는 대체적으로(alternatively),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단말(111)은, 선박(110)에 탑재된 하나 이상의 장비의 유지 보수 및 수리 관련 영상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 및 음성을 녹음한 음성 데이터를 형성하고,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지 보수 및 수리 관련 증강 현실을 구현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단말(111)은, 증강 현실 구현이 가능하도록 증강 현실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고, 음성 획득부(예를 들어, 마이크) 및 영상 획득부(예를 들어,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단말(111)은, 하나 이상의 장비의 고장 대응(수리)과 유지 보수를 위해 육상과 통신하기 위한 스마트 매뉴얼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무선 AP(119) 및 PLC Slave(12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랫폼 서버(112)는, 선박(110) 내부 및 외부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수신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110) 내부의 네트워크는 선내 네트워크 시스템(113)을 포함하고, 선박(110) 외부의 네트워크는 위성 통신망 및 이동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플랫폼 서버(112)는, 선박(110) 외부와의 통신이 단절되어 있는 상태에서 선박(110)에 탑재된 장비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선내의 엔지니어가 제1 플랫폼 서버(112)에 접속하여 유사한 문제 발생 시 해결 방안이 저장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검색하여 고장 수리에 참고할 수 있다. 또한, 제1 플랫폼 서버(112)는, 선박(110)의 도면과 유지 보수 매뉴얼, 동작 매뉴얼 등이 포함된 스마트 매뉴얼용 자료를 저장할 수 있고, 육상과의 통신을 통해서 저장한 자료들의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가능할 수 있다.
선내 네트워크 시스템(113)은, 선박(110) 내부의 하나 이상의 구역에 무선 네트워크를 제공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 선박(110) 내부에 설치되던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예를 들어 스위치와 라우터의 집합을 나타낼 수 있다. 기존에 이더넷 케이블이 설치된 구역의 경우 무선 AP(Access Point, 119)를 이용하여 구축할 수 있고, 이더넷 케이블이 설치되지 않은 구역의 경우 PLC(Power Line Communication) 전력선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구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PLC 전력선 통신 장치는, PLC Master(118) 및 하나 이상의 PLC Slave(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선내 네트워크 시스템(113)의 구축에 의해서 선박(110) 내부의 대부분의 구역에서 무선 네트워크를 제공하여 선내 엔지니어 등이 선박(110) 내부 어디에서든 선박(110) 내 장비들의 고장 수리 및 유지 보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인코더(114)는, 제1 플랫폼 서버(112)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의 압축을 수행할 수 있다. 음성이 포함된 동영상은 기본적으로 용량이 크므로 위성 통신을 통해서 송신 시 많은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는데, 선박(110)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외부 통신 라우터(115) 전단계에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의 압축을 수행하여 선박(110) 외부와의 통신 시 사용하는 대역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위성 통신부(116)는, 위성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육상(130)에 위치한 제2 플랫폼 서버(133)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성 통신부(116)는, VSAT(Very Small Aperture Terminal)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동 통신부(117)는, 기존의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육상(130)에 위치한 제2 플랫폼 서버(133)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부(117)는, LTE(Long Term Evolution), 5G(5th Generation) 이동통신 라우터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외부 통신 라우터(115)는, 위성 통신부(116)로 수신되는 신호와 이동 통신부(117)로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에 따라서 위성 통신부 또는 이동 통신부로의 신호의 스위칭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AP(119)는, 선박(110) 내부에 무선 통신 환경(예를 들어, Wi-Fi 등)을 제공하기 위해 각 구역마다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AP(119)는, 기존에 선박(110)에서 대부분의 네트워크 케이블이 포설되는 공간인 선실(Accommodation)과 ECR(Engine Control Room) 등에 설치될 수 있다.
PLC Master(118)는, 선박(110) 내부에 전력선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전력선 통신 한계 거리인 약 100m 길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일정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PLC Master(118)는, 하나 이상의 PLC Slave(120)와 연결되어 선박(110) 내부에 무선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PLC Master(118)는, 기존에 선박(110)에서 네트워크 케이블이 포설되지 않는 공간인 기계 장비 룸 구역(예를 들어, 엔진룸(Engine Room), 각종 유틸리티(Utility) 장비 룸, 화물(Cargo)용 장비룸 등)에 설치될 수 있다. PLC Master(118)와 하나 이상의 PLC Slave(120)는, 선원이 보유한 무선 단말(111)에 무선 통신을 제공하여 장비 고장 또는 유지 보수를 위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육상(130)에 위치한 제2 플랫폼 서버(133) 등과 중계할 수 있다.
통신 기지국(131)은, 선박(110)과 원격의 육상(130)에 위치하여 선박(110)의 위성 통신부(116)와 위성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거나, 이동 통신부(117)와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코더(132)는, 선박(110)으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는 인코더(114)에 의해서 압축이 수행되었었는데, 이러한 압축 데이터를 원래의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로 복구시킬 수 있다.
제2 플랫폼 서버(133)는, 제1 플랫폼 서버(112)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무선 단말(111)에 표시된 증강 현실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플랫폼 서버(133)는, 선박(110)에서 전송된 장비의 유지 보수 및 수리 서비스의 중계를 위한 서버로, 서비스 벤더 단말(135) 또는 선주사 단말(134)에서 접속하여 유지 보수 또는 수리 당시의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분석하고 향후에 대비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플랫폼 서버(133)는, 스마트 매뉴얼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여 선박(110)의 제1 플랫폼 서버(112)로부터 요청을 받을 경우 전송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선주사 단말(134)은, 선박(110) 내부의 무선 단말(111)을 보유한 엔지니어와 증강 현실을 이용한 장비의 유지 보수 또는 수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관련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있다.
서비스 벤더 단말(135)은, 선박(110)에 탑재된 하나 이상의 장비의 스마트 매뉴얼을 형성 및 관리하고, 형성된 스마트 매뉴얼을 제2 플랫폼 서버(133)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벤더 단말(135)은, 선박(110) 내부의 무선 단말(111)을 보유한 엔지니어와 증강 현실을 이용한 장비의 유지 보수 또는 수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관련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의 구현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박(110) 내부의 무선 단말(111)에서 장비(VE)를 촬영한 영상이 육상(130)의 제2 플랫폼 서버(133)로 전송되고, 선주사 단말(134) 또는 서비스 벤더 단말(135)에서 실시간으로 선박 내부의 무선 단말(111)과 동일한 화면을 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은 선박(110) 내에서 육상(130)으로 일방향으로 전송되고, 음성은 인터넷 전화와 동일한 방식으로 양방향으로 송수신 가능할 수 있다.
증강 현실 기능의 경우 선박(110) 및 육상(130) 양쪽에서 수행이 가능하고, 이미지 기반 마커를 통해서 선박 또는 육상에서 표시한 그림이 선박(110) 내부의 무선 단말(111)과 육상(130)의 선주사 단말(134) 또는 서비스 벤더 단말(135)에서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선박(110) 내부에서 무선 단말(111)을 소지한 엔지니어가 육상(130)의 서비스 벤더 단말(135)을 이용하는 전문가를 통해서 장비의 수리 및 유지 보수 관련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주사 단말(134) 또는 서비스 벤더 단말(135)은, 증강 현실 구현을 위하여 키보드(KB), 마우스(MO), 헤드셋(HS)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내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박(110)에서 네트워크 케이블(예를 들어, 이더넷 케이블)이 설치되는 선실의 대부분 구역과 ECR에는 무선 AP(119)가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박(110)에서 네트워크 케이블이 포설되지 않는 공간인 기계 장비 룸 구역(예를 들어, 엔진룸, 각종 유틸리티 장비 룸, 화물용 장비룸 등)에 PLC Master(118)와 하나 이상의 PLC Slave(12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존에 이더넷 케이블이 설치된 구역에는 무선 AP(119)를 이용하고, 그렇지 않은 구역에는 PLC 전력선 통신 장치(PLC Master(118)와 하나 이상의 PLC Slave(120))를 배치하여 증강 현실 프로그램이 설치된 무선 단말(111)을 소지한 엔지니어가 육상(130)으로부터 선박(110) 내 장비의 유지 보수 및 수리와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유지 보수 및 수리 지원 방법의 절차를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5의 흐름도에서 프로세스 단계들, 방법 단계들, 알고리즘들 등이 순차적인 순서로 설명되었지만, 그러한 프로세스들, 방법들 및 알고리즘들은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프로세스들, 방법들 및 알고리즘들의 단계들이 본 발명에서 기술된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또한, 일부 단계들이 비동시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더라도,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일부 단계들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의 묘사에 의한 프로세스의 예시는 예시된 프로세스가 그에 대한 다른 변화들 및 수정들을 제외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예시된 프로세스 또는 그의 단계들 중 임의의 것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 필수적임을 의미하지 않으며, 예시된 프로세스가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S510)에서, 선박에 탑재된 하나 이상의 장비의 유지 보수 및 수리 관련 영상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 및 음성을 녹음한 음성 데이터가, 무선 단말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선박(110) 내부에 위치한 무선 단말(111)을 이용하여 선박(110)에 탑재된 하나 이상의 장비의 유지 보수 및 수리 관련 영상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 및 음성을 녹음한 음성 데이터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단말(111)은, 증강 현실 구현이 가능하도록 증강 현실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고, 음성 획득부(예를 들어, 마이크) 및 영상 획득부(예를 들어,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
단계(S520)에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무선 단말 상에서 유지 보수 및 수리 관련 증강 현실이 구현된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510에서 형성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무선 단말(111)은 유지 보수 및 수리 관련 증강 현실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단말(111)은 선박(110)에 탑재된 장비들을 촬영한 영상과 해당 장비의 유지 보수 및 수리 관련 매뉴얼 등을 결합하여 증강 현실을 구현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S530)에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의 압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선박(110) 내에 설치된 인코더(114)는 단계 S510에서 형성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의 압축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S540)에서, 압축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가 선박 외부의 제2 플랫폼 서버로 전송된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530에서 압축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는 위성 통신부(116) 또는 이동 통신부(117)을 통해서 육상(130)의 제2 플랫폼 서버(133)로 전송될 수 있다.
단계(S550)에서, 압축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가 복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530에서 압축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는 제2 플랫폼 서버(133)로 수신되기 이전 단계에서 압축이 복구될 수 있다.
단계(S560)에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무선 단말에 표시된 증강 현실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정보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2 플랫폼 서버(133)는, 선박(110)으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선박(110)에 위치한 무선 단말(111)에 구현된 증강 현실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육상(130)에 위치한 선주사 단말(134) 또는 서비스 벤더 단말(135)에서도 동일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정보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선박 유지 보수 지원 시스템 110: 선박
111: 무선 단말 112: 제1 플랫폼 서버
113: 선내 네트워크 시스템 114: 인코더
115: 외부 통신 라우터 116: 위성 통신부
117: 이동 통신부 118: PLC Master
119: 무선 AP 120: PLC Slave
130: 육상 131: 통신 기지국
132: 디코더 133: 제2 플랫폼 서버
134: 선주사 단말 135: 서비스 벤더 단말

Claims (15)

  1. 선박 유지 보수 및 수리 지원 시스템으로서,
    선박에 탑재된 하나 이상의 장비의 유지 보수 및 수리 관련 영상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 및 음성을 녹음한 음성 데이터를 형성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지 보수 및 수리 관련 증강 현실을 구현하도록 동작하는 무선 단말;
    상기 선박 내부 및 외부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수신된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플랫폼 서버;
    상기 선박 내부의 하나 이상의 구역에 무선 네트워크를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선내 네트워크 시스템;
    위성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육상에 위치한 제2 플랫폼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위성 통신부;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플랫폼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부;
    상기 위성 통신부로 수신되는 신호와 상기 이동 통신부로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에 따라서 상기 위성 통신부 또는 상기 이동 통신부로의 신호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외부 통신 라우터; 및
    상기 제1 플랫폼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무선 단말에 표시된 증강 현실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형성하는 상기 제2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는,
    선박 유지 보수 및 수리 지원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내 네트워크 시스템은,
    이더넷 케이블이 설치된 구역의 경우 무선 AP(Access Point)를 이용하여 구축하고, 상기 이더넷 케이블이 설치되지 않은 구역의 경우 PLC(Power Line Communication) 전력선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구축하는,
    선박 유지 보수 및 수리 지원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PLC 전력선 통신 장치는,
    상기 선박 내부의 전력선을 이용하여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PLC Master 및 하나 이상의 PLC Slave를 포함하는,
    선박 유지 보수 및 수리 지원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음성 데이터의 압축을 수행하는 인코더를 더 포함하는,
    선박 유지 보수 및 수리 지원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랫폼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음성 데이터의 압축을 복구시키기 위한 디코더를 더 포함하는,
    선박 유지 보수 및 수리 지원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은,
    상기 증강 현실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음성 획득부 및 영상 획득부와 상기 선내 네트워크 시스템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장치를 구비하고, 증강 현실 소프트웨어 및 스마트 매뉴얼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선박 유지 보수 및 수리 지원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매뉴얼은,
    상기 선박의 도면, 상기 선박에 탑재된 장비의 유지 보수 매뉴얼 및 동작 매뉴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선박 유지 보수 및 수리 지원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에 탑재된 하나 이상의 장비의 스마트 매뉴얼을 형성 및 관리하고, 상기 스마트 매뉴얼을 상기 제2 플랫폼 서버로 전송하는 서비스 벤더 단말을 더 포함하는,
    선박 유지 보수 및 수리 지원 시스템.
  9. 선박 유지 보수 및 수리 지원 방법으로서,
    선박에 탑재된 하나 이상의 장비의 유지 보수 및 수리 관련 영상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 및 음성을 녹음한 음성 데이터를, 무선 단말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단말 상에서 유지 보수 및 수리 관련 증강 현실을 구현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기 선박 외부의 제2 플랫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단말에 표시된 증강 현실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 유지 보수 및 수리 지원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기 선박 외부의 제2 플랫폼 서버로 전송하기 전에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음성 데이터의 압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압축된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기 선박 외부의 제2플랫폼 서버로 전송하는,
    선박 유지 보수 및 수리 지원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압축된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음성 데이터를 복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선박 유지 보수 및 수리 지원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은,
    상기 증강 현실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음성 획득부 및 영상 획득부를 구비하고, 증강 현실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선박 유지 보수 및 수리 지원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선주사 단말 또는 서비스 벤더 단말에 의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선박 유지 보수 및 수리 지원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 내부 및 외부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수신된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음성 데이터를 제1 플랫폼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랫폼 서버와 상기 무선 단말은 선내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연결되는,
    선박 유지 보수 및 수리 지원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선내 네트워크 시스템은,
    이더넷 케이블이 설치된 구역의 경우 무선 AP(Access Point)를 이용하여 구축하고, 상기 이더넷 케이블이 설치되지 않은 구역의 경우 PLC(Power Line Communication) 전력선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구축하는,
    선박 유지 보수 및 수리 지원 방법.
KR1020200064300A 2020-05-28 2020-05-28 선박 유지 보수 및 수리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472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300A KR20210147298A (ko) 2020-05-28 2020-05-28 선박 유지 보수 및 수리 지원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300A KR20210147298A (ko) 2020-05-28 2020-05-28 선박 유지 보수 및 수리 지원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298A true KR20210147298A (ko) 2021-12-07

Family

ID=78868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300A KR20210147298A (ko) 2020-05-28 2020-05-28 선박 유지 보수 및 수리 지원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72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5413B1 (ko) * 2022-11-30 2023-03-29 (주) 토즈 선박의 원격 유지보수를 위한 실시간 영상 전송 시스템
KR20240047677A (ko) 2022-10-05 2024-04-12 에이치디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엔진 테스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7677A (ko) 2022-10-05 2024-04-12 에이치디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엔진 테스트 장치
KR102515413B1 (ko) * 2022-11-30 2023-03-29 (주) 토즈 선박의 원격 유지보수를 위한 실시간 영상 전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7864B1 (ko) 이동통신 네트웍을 이용하는 드론 시스템 및 드론관리서버
US6466655B1 (en) Mobile tele-computer network for motion picture, television and TV advertising production
RU2468522C1 (ru) Комплекс средств видеонаблюдения и связи мобильного пункта управления
KR20210147298A (ko) 선박 유지 보수 및 수리 지원 시스템 및 방법
RU2387080C1 (ru) Система видеомониторинга и связи
US200801124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multi compartment vehicles
CN110493249B (zh) 基于多种网络切换的无人机终端载荷实时控制方法及系统
CN112351258B (zh) 一种基于5g通讯技术的施工现场安防监控系统及方法
US8670747B1 (en) Mobile network connectivity
CN111580562A (zh) 一种无人机集群测控指挥多功能车及其控制方法
CN105453556A (zh) 传输终端、传输系统、显示方法和程序
CN215341484U (zh) 一种空地联合指挥模拟训练系统
CN114401033A (zh) 便携式宽窄带融合卫星通信终端和方法
CN113497832A (zh) 远程维护系统、方法及服务器
CN105959378A (zh) 一种基于互联网及公安网结合的执法管理系统
US2022006065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herefor,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211880476U (zh) 一种监控摄像设备基于5g实现的公网组网系统
CN107027044A (zh) 一种无人船监控视频直播方法和系统
CN105323630A (zh) 一种基于机顶盒图片远程分享及评论互动的方法
CN212906006U (zh) 一种无人机集群测控指挥多功能车
CN112637643A (zh) 移动终端的组网方法、装置、终端设备和存储介质
CN113179426B (zh) 一种高保密性的音视频指挥及调度系统
KR102434181B1 (ko) 적어도 하나의 무인 이동체 운용을 위한 무인 이동체 원격 통제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CN111935695B (zh) 一种基于应急通信单兵动中通的应用系统
RU2762624C1 (ru) Подвижная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машина связи и управления роботехническим комплекс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