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7286A - Injection test device for fuel tank - Google Patents

Injection test device for fuel ta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7286A
KR20210147286A KR1020200064279A KR20200064279A KR20210147286A KR 20210147286 A KR20210147286 A KR 20210147286A KR 1020200064279 A KR1020200064279 A KR 1020200064279A KR 20200064279 A KR20200064279 A KR 20200064279A KR 20210147286 A KR20210147286 A KR 20210147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uel tank
directions
driving unit
inject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2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99135B1 (en
Inventor
김태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화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화신
Priority to KR1020200064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135B1/en
Publication of KR20210147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72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1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1/00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 G01F11/10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moved during operation
    • G01F11/26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moved during operation wherein the measuring chamber is filled and emptied by tilting or inverting the supply vessel, e.g. bottle-empty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tank injectability test device comprising: a first plate disposed so as to be able to adjust an angle in first opposite directions; a second plate on which a fuel tank is installed and which is angularly adjustable in second opposite directions orthogonal to the first opposite directions i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plate; and a driving unit for selectively adjusting the angles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thereby capable of simulating the inclination condition of the fuel tank in various ways.

Description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INJECTION TEST DEVICE FOR FUEL TANK}Fuel tank injection test device {INJECTION TEST DEVICE FOR FUEL TANK}

본 발명은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탱크의 경사 조건을 다양하게 모사할 수 있는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tank injectability tes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el tank injectability test apparatus capable of simulating various inclination conditions of a fuel tank.

일반적으로, 차량용 연료탱크는 차량이 일정 시간동안 주행할 수 있도록 내부에 연료가 저장되는 것으로, 차량이 경사진 노면에 위치하는 경우 일정 기울기를 갖게 된다.In general, a fuel tank for a vehicle stores fuel therein so that the vehicle can travel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when the vehicle is located on a sloped road surface, it ha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종래에는 차량 사고에 의해 연료탱크의 특정부분에 충격에너지가 집중되어 연료가 누출되는 경우가 빈번하고, 연료 누출로 인하여 고열의 엔진 실린더 주위와 각종 전기 장치에 휘발성이 강한 연료가 접촉되어 연료탱크와 차량이 폭발하거나 화재가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 연료탱크의 기울기를 다양한 기울임 각도에서 주입성 등을 평가하고 있었다.Conventionally, there is a frequent case of fuel leakage due to the concentration of impact energy in a specific part of the fuel tank due to a vehicle accident. Since there is a risk of an explosion or fire, the fuel tank was evaluated for injectability at various inclination angles.

그런데, 종래의 연료탱크 주입성 평가 방식은 유압 장비 등을 이용해 연료탱크의 일측을 들어올려 일정 각도로 유지시키고 있어 연료탱크의 다양한 경사 조건을 모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fuel tank injectability evaluation method, one side of the fuel tank is lifted using hydraulic equipment and the like and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it is difficult to simulate various inclination conditions of the fuel tank.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76837호(2014년 06월 23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As a prior docu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76837 (June 23, 2014), which discloses a structure of a fuel tank for a vehicle.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탱크의 경사 조건을 다양하게 모사할 수 있는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uel tank injectability testing apparatus capable of simulating variously inclination conditions of the fuel tank.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는 제1양방향으로 각도조절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와, 연료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상기 제1양방향과 직교하는 제2양방향으로 각도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uel tank injectability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late disposed so as to be angularly adjustable in first both directions, a fuel tank is installed, and a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both directions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plat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plate coupled to the angle adjustable, and a driving unit for selectively adjusting the angle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또한, 상기 제1플레이트는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의 상부와 상기 제1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제2양방향으로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제1힌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late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hinge portion forming a horizontal center of rotation in the second direction.

또한,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부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제1양방향으로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제2힌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hinge portion forming a horizontal center of rotation in the first both directions may b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plate and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late.

또한, 상기 제1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플레이트에는 회동 각도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각도 게이지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late or the second plate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 angle gauge for displaying the rotation angle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의 일측을 승강시켜 상기 제1양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제1승강 구동부 및, 상기 제1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제2플레이트의 일측을 승강시켜 상기 제2양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제2승강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is installed on the base, and a first lifting driving unit for lifting one side of the first plate to rotate it in the first two directions, and installed on the first plate, one side of the second plate It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lifting driving unit for lifting and rotating in the second both directions.

또한, 상기 제1승강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에 상기 제1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서 출몰하는 제1로드의 상단이 상기 제1플레이트의 하부에 상기 제1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출몰부재 및, 상기 제1로드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승강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모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승강 구동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에 상기 제2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서 출몰하는 제2로드의 상단이 상기 제2플레이트의 하부에 상기 제2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출몰부재 및, 상기 제2로드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승강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elevating driving uni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in the first both directions,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rod protruding from the upper par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plate in the first both directions. It may include a first protruding member and a first motor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od to transmit a lifting driving force, and the second lifting driving unit is installed on the first plate to be rotatable in the second two directions. , a second protruding member in which an upper end of a second rod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is rotatably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late in the second two directions, and a second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rod to transmit a lifting driving force A motor may be provided.

본 발명은 연료탱크를 들어올리거나 경사진 상태로 고정시키는 작업 없이도 다양한 방향과 각도로 조절이 가능하므로, 연료탱크의 주입성을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으며, 연료탱크가 설정 기울기 이상으로 회동되지 않으므로, 연료탱크 주입성 평가시 장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uel tank can be adjusted in various directions and angles without lifting or fixing the fuel tank in an inclined state, the injectability of the fuel tank can be easily evaluated.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equipment damage when evaluating tank injectabil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의 제1승강 구동부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의 제2승강 구동부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el tank injectability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for showing the injectability test apparatus of the fuel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for showing the injectability test apparatus of the fuel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for showing in detail the first elevating driving unit of the fuel tank injectability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for showing in detail the second lifting driving unit of the fuel tank injectability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 same,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related known techniqu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el tank injectability te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uel tank injectability te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의 제1승강 구동부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의 제2승강 구동부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In addition, FIG. 3 is a side view for showing the injectability testing device for a fuel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ront view for showing in detail the first lift driving part of the fuel tank injectability te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for showing in detail the second lifting driving unit of the fuel tank injectability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는 베이스(100)와, 제1플레이트(200)와, 제2플레이트(300)와, 구동유닛(410)(420) 및, 제어유닛(500)을 포함한다.1 to 5, the fuel tank injectability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100, a first plate 200, a second plate 300, and a driving unit 410 ( 420 ) and a control unit 500 .

제1플레이트(200)는 베이스(100)의 상부에서 제1양방향(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각도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베이스(100)의 상부와 제1플레이트(200)의 하부는 제1힌지부(H1)에 의해 연결된다.The first plate 200 is installed so as to be angle-adjustable in the first both directions (front-back or left-right direction) at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100 ,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10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plate 200 are the first It is connected by a hinge part H1.

제1힌지부(H1)는 제1양방향과 직교하는 제2양방향(전후 또는 좌우)으로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하며, 제1플레이트(H1)는 제1힌지부(H1)의 수평회전중심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회동 위치된다.The first hinge part H1 forms a horizontal rotation center in the second both directions (front and back or left and right) orthogonal to the first both directions, and the first plate H1 is based on the horizontal rotation center of the first hinge part H1. It is tilted and rotated to

제2플레이트(300)는 연료탱크(10)가 설치되고, 제1플레이트(200)의 상부에서 제1양방향과 직교하는 제2양방향(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각도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제1플레이트(200)의 상부와 제2플레이트(300)의 하부는 제2힌지부(H2)에 의해 연결된다.The second plate 300 is installed so that the fuel tank 10 is installed, the angle can be adjusted in the second both directions (front-back or left-right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both directions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plate 200, The upper part of the first plate 200 and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plate 300 are connected by a second hinge part H2.

제2힌지부(H2)는 제2양방향과 직교하는 제1양방향(전후 또는 좌우)으로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하며, 제2플레이트(300)는 제2힌지부(H2)의 수평회전중심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회동 위치된다.The second hinge part H2 forms a horizontal center of rotation in first both directions (front and back or left and right) orthogonal to the second both directions, and the second plate 300 is based on the horizontal rotation center of the second hinge part H2. It is tilted and rotated to

또한, 제1플레이트(200) 또는 제2플레이트(300)에는 회동 각도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각도 게이지(60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각도 게이지(600)의 외면에는 각도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과, 표시창을 통해 표시되는 정보와, 전원 온(ON)/오프(OFF) 등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즉,각도 게이지(600)의 표시창을 통해 전후 또는 좌우 방향에 대한 각도를 표시하며, 작업자는 표시창을 통해 표시되는 각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late 200 or the second plate 300 may further include an angle gauge 600 for displaying the rotation angle to the outside, and a display window for displaying the angl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ngle gauge 600 . And,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window, and an operation switch for operating the power ON/OFF, etc. may be provided. That is,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front and rear or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window of the angle gauge 600 , and the operator can visually check the angl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window.

아울러, 제2플레이트(300)의 상부에는 연료탱크(10)를 고정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설치 프레임(310)이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 프레임(310)에 의해 연료탱크(10)가 제2프레이트(300)의 상부에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n installation frame 310 for fixing the fuel tank 10 may be further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late 300 , and the fuel tank 10 is mounted on the second plate by the installation frame 310 . It may be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300 .

연료탱크(10)는 일측에 연료(경유, 휘발유 등)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11)가 일정 길이로 연장되며, 설치 프레임(310)의 일측에는 주입구(11)를 일정 높이로 거치시키기 위한 주유구 거치대(311)가 구비될 수 있다.The fuel tank 10 has an injection port 11 for injecting fuel (diesel, gasoline, etc.) on one side thereof is extend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one side of the installation frame 310 has an injection port 11 for mounting the injection hole 11 at a predetermined height. A cradle 311 may be provided.

주유구 거치대(311)는 설치 프레임(310)의 측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된 후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주유구 거치대(311)의 상단에는 주입구(11)를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연료 주유기(30)의 토출구를 연료탱크(10)의 주입구(11)에 삽입시킨 상태로 연료를 공급할 수 있다.The fuel filler holder 311 may extend laterally from the side of the installation frame 310 and then upward. That is, fuel can be supplied in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port of the fuel injector 30 is inserted into the injection port 11 of the fuel tank 10 .

한편, 주유구 거치대(311)의 상부에는 주유시 연료 주입 부위에서 상승하는 유증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유증기 배출부(20)가 더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an oil vapor discharge unit 20 for sucking oil vapor rising from a fuel injection site during refueling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may be further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ueling port holder 311 .

유증기 배출부(20)는 주유구 거치대(311)의 상부에 이격 위치되며, 하부에 흡기부가 형성되는 덕트 및, 덕트에 설치되어 흡기부를 통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oil vapor discharge unit 20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uel port holder 311, and may include a duct having an intake portion formed at the lower portion, and a suction fan installed in the duct to generate suction force through the intake portion.

구동유닛은 제1플레이트(200)와 제2플레이트(300)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구동유닛은 제1승강 구동부(410) 및, 제2승강 구동부(420)를 구비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is for selectively adjusting the angles of the first plate 200 and the second plate 300 , and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first lifting driving unit 410 and a second lifting driving unit 420 . .

제1승강 구동부(410)는 베이스(100)에 설치되며, 제1플레이트(200)의 일측을 승강시켜 제1양방향으로 회동시키며, 제2승강 구동부(420)는 제1플레이트(200)에 설치되며, 제2플레이트(300)의 일측을 승강시켜 제2양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The first elevating driving unit 410 is installed on the base 100 , lifting one side of the first plate 200 to rotate it in first both directions, and the second elevating driving unit 420 is installed on the first plate 200 . And, by lifting one side of the second plate 300, it can be rotated in the second both directions.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1승강 구동부(410)는 베이스(100)의 중심위치를 기준으로 제1양방향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1승강 구동부(410)는 제1출몰부재(411) 및, 제1모터(412)로 구비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first elevating driving unit 41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both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sition of the base 100 , and the first elevating driving unit 410 is the first protruding member 411 and the second One motor 412 may be provided.

제1출몰부재(411)는 베이스(100)에 제1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서 출몰하는 제1로드(411a)의 상단이 제1플레이트(200)의 하부에 제1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The first protruding member 411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base 100 in first both directions,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rod 411a protruding and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is rotated in the first both directions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plate 200 . possible to connect

여기서, 제1출몰부재(411)는 제2양방향을 따라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제3힌지부(H3)에 의해 제1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로드(411a)의 상단은 제2양방향을 따라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제4힌지부(H4)에 의해 제1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Here, the first protruding member 411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first both directions by the third hinge portion H3 forming a horizontal center of rotation along the second both directions,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rod 411a is It is rotatably connected in the first both directions by the fourth hinge portion H4 forming a horizontal center of rotation along both directions.

제1모터(412)는 베이스(100)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며, 제1모터(412)의 구동축이 제1로드(411a)의 측면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승강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The first motor 412 is fixedly installed on the base 100 , and the driving shaft of the first motor 412 is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rod 411a to transmit the lifting driving force.

여기서, 제1모터(412)의 구동축에는 구동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1로드(411a)의 측면에는 구동기어와 맞물림 결합되는 톱니부가 상하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으며,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톱니부에 승강 구동력이 전달되어 제1로드(411a)가 승강될 수 있다. Here, the driving gear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driving shaft of the first motor 412 , and toothed portions engaged with the driving gear may be arrang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rod 411a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driving gear The lifting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toothed portion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rod 411a can be lifted.

제2승강 구동부(420)는 제1플레이트(200)의 중심위치를 기준으로 제2양방향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2승강 구동부(420)는 제2출몰부재(421) 및, 제2모터(422)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lifting driving unit 420 is installed on one side in the second direction based on the central position of the first plate 200, and the second lifting driving unit 420 includes a second protruding member 421 and a second motor ( 422) may be provided.

제2출몰부재(421)는 제1플레이트(200)에 제2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서 출몰하는 제2로드(421a)의 상단이 제2플레이트(300)의 하부에 제2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The second protruding member 421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rst plate 200 in second both directions,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rod 421a protruding and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is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late 300 in the second direction. rotatably connected to

여기서, 제2출몰부재(421)는 제1양방향을 따라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제5힌지부(H5)에 의해 제2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로드(421a)의 상단은 제1양방향을 따라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제6힌지부(H6)에 의해 제2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Here, the second protruding member 421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second both directions by the fifth hinge portion H5 forming a horizontal center of rotation along the first both directions,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rod 421a is It is connected rotatably in both directions by a sixth hinge part H6 forming a horizontal center of rotation along both directions.

제2모터(422)는 제1플레이트(200)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며, 제2모터(422)의 구동축이 제2로드(421a)의 측면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승강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The second motor 422 is fixedly installed on the first plate 200 , and the driving shaft of the second motor 422 is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rod 421a to transmit the lifting driving force.

여기서, 제2모터(422)의 구동축에는 구동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2로드(421a)의 측면에는 구동기어와 맞물림 결합되는 톱니부가 상하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으며,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톱니부에 승강 구동력이 전달되어 제2로드(421a)가 승강될 수 있다. 제2모터(422)의 구동축과 제2로드(421a)의 기계적 연결 구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Here, the driving gear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driving shaft of the second motor 422 , and toothed portions engaged with the driving gear may be arrang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rod 421a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driving gear The lifting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toothed portion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rod 421a can be raised and lowered. The mechanical connection structure of the drive shaft of the second motor 422 and the second rod 421a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as needed.

제어유닛(500)은 구동유닛(4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연료탱크(10)로 주입되는 연료 주입량과, 연료탱크(10)의 내부 압력과, 연료탱크(10)의 내부 저항과, 연료탱크(10)의 무게 등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700)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된다.The control unit 500 is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400 , the amount of fuel injected into the fuel tank 10 ,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uel tank 10 ,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fuel tank 10 , and , a detection unit 700 for detecting the weight of the fuel tank 10 is further electrically connected.

감지부(700)는 연료탱크(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연료량과, 연료탱크(10)의 내부 압력 및, 연료탱크(10)의 내부 저항 등을 측정할 수 있으며, 제1플레이트(200)와 제2플레이트(300)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연료탱크(10)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700)의 개수 및 설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The sensing unit 700 is installed inside the fuel tank 10 to measure the amount of fuel,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uel tank 10 , and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fuel tank 10 , and the first plate 200 . and the second plate 300 may be selectively installed to detect the weight of the fuel tank 10 . The number and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sensing units 700 can be variously applied as needed.

여기서, 감지부(700)는 주유기(30)로부터 주입되는 연료량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계를 사용할 수 있으며, 유량계를 통해 외부로 표시되는 정보를 이용해 주유속도를 조절 할 수 있다.Here, the sensing unit 700 may use a flow mete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fuel injected from the lubricator 30 , and may adjust the fueling speed using information displayed externally through the flow meter.

또한, 제어유닛(500)에는 구동유닛을 조작하기 위한 컨트롤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컨트롤러의 조작 스위치를 이용해 구동유닛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00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ler (not shown) for operating the driving unit, the operator can selectively control the driving unit by using an operation switch of the controller.

한편, 제어유닛(500)에는 제1플레이트(200)와 제2플레이트(300)의 최대 기울기가 기설정될 수 있으며, 제어유닛(500)에는 리미트 센서(800)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ximum inclination of the first plate 200 and the second plate 300 may be preset in the control unit 500 , and the limit sensor 800 may be furth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0 .

리미트 센서(800)는 제1플레이트(200)와 제2플레이트(300)가 제어유닛(500)에 기설정된 최대 기울기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제1플레이트(200)와 제2플레이트(300)가 최대 기울기에 도달하는 경우 제어유닛(500)으로 감지신호를 전달하고, 제어유닛(500)은 구동유닛의 구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The limit sensor 800 can detect whether the first plate 200 and the second plate 300 reach the maximum inclination preset in the control unit 500, the first plate 200 and the second plate When 300 reaches the maximum slope, a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500 , and the control unit 500 may stop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이때, 리미트 센서(800)는 제1플레이트(200)와 제2플레이트(300)의 기울기를 감지하거나, 전술한 제1로드(411a)와 제2로드(421a)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으며, 리미트 센서(800)의 개수 및 설치 위치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imit sensor 800 may detect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plate 200 and the second plate 300, or detect the height of the above-described first rod 411a and the second rod 421a, The number and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limit sensors 800 may be variously applied as needed.

이하, 도 1 내지 5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전술한 구성과 동일 구성들에 대해서는 반복적으로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uel tank injectability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 and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described above will not be repeatedly described.

먼저, 연료탱크(10)를 제1양방향으로 경사지게 위치시키는 경우, 제1모터(412)의 구동축을 회전시켜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제1로드(411a)를 설정 높이까지 상승시킨다.First, when the fuel tank 10 is inclined in the first both directions, the driving shaft of the first motor 412 is rotated to raise the first rod 411a to a set height by rotation of the driving gear.

이때, 제1출몰부재(411)가 제3힌지부(H3)를 기준으로 제1양방향을 따라 회동되고, 제1로드(411a)가 제4힌지부(H4)를 기준으로 제1양방향을 따라 회동되며, 제1플레이트(200)가 제1힌지부(H1)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제1양방향의 일측으로 기울기를 갖는다.At this time, the first protruding member 411 is rotated along the first both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third hinge portion H3, and the first rod 411a moves along the first both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fourth hinge portion H4. It is rotated, and the first plate 20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hinge part H1 to have an inclination to one side in the first both directions.

이때, 연료탱크(10)의 저장된 연료가 기울어진 방향에 모이게 되므로, 차량이 경사지에 위치된 효과를 연출할 수 있고, 연료탱크(10)가 제1양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연료탱크(10)의 주입성을 시험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fuel stored in the fuel tank 10 is collected in the inclined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an effect that the vehicle is located on an inclined place, and the fuel tank 10 is tilted in the first both directions. Injectability can be tested.

또한, 연료탱크(10)를 제2양방향으로 경사지게 위치시키는 경우, 제2모터(422)의 구동축을 회전시켜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제2로드(421a)를 설정 높이까지 상승시킨다.In addition, when the fuel tank 10 is inclined in the second both directions, the driving shaft of the second motor 422 is rotated to raise the second rod 421a to a set height by rotation of the driving gear.

이때, 제2출몰부재(421)가 제5힌지부(H5)를 기준으로 제2양방향을 따라 회동되고, 제2로드(421a)가 제6힌지부(H6)를 기준으로 제2양방향을 따라 회동되며, 제2플레이트(300)가 제2힌지부(H2)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제2양방향의 일측으로 기울기를 갖는다.At this time, the second protruding member 421 is rotated in the second direction based on the fifth hinge part H5, and the second rod 421a is rotat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based on the sixth hinge part H6. It is rotated, and the second plate 30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hinge part H2 to have an inclination to one side in both directions.

이때, 연료탱크(10)의 저장된 연료가 기울어진 방향에 모이게 되므로, 차량이 경사지에 위치된 효과를 연출할 수 있고, 연료탱크(10)가 제2양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연료탱크(10)의 주입성을 시험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fuel stored in the fuel tank 10 is collected in the inclined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an effect that the vehicle is located on an inclined area, and the fuel tank 10 is tilted in the second two directions. Injectability can be tested.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연료탱크(10)를 들어올리거나 경사진 상태로 고정시키는 작업 없이도 다양한 방향과 각도로 조절이 가능하므로, 연료탱크(10)의 주입성을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료탱크(10)가 설정 기울기 이상으로 회동되지 않으므로, 연료탱크(10) 주입성 평가시 장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As a result,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uel tank 10 can be adjusted in various directions and angles without lifting or fixing the fuel tank 10 in an inclined state, the injectability of the fuel tank 10 can be easily evaluated.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uel tank 10 does not rotate more than a set inclin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equipment when evaluating the injectability of the fuel tank 10 .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fuel tank injectability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so far, it is apparent that various implementation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limits that do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veyed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at i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concept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연료탱크 11: 주입구
20: 유증기 배출부 30: 주유기
100: 베이스 200: 제1플레이트
300: 제2플레이트 310: 설치 프레임
311: 주유구 거치대 400: 구동유닛
410: 제1승강 구동부 411: 제1출몰부재
411a: 제1로드 412: 제1모터
420: 제2승강 구동부 421: 제2출몰부재
421a: 제2로드 422: 제2모터
500: 제어유닛 600: 각도 게이지
700: 감지부 800: 리미트 센서
H1: 제1힌지부 H2: 제2힌지부
H3: 제3힌지부 H4: 제4힌지부
H5: 제5힌지부 H6: 제6힌지부
10: fuel tank 11: injection port
20: oil vapor discharge unit 30: lubricator
100: base 200: first plate
300: second plate 310: installation frame
311: fuel port holder 400: drive unit
410: first elevating driving unit 411: first protruding member
411a: first rod 412: first motor
420: second elevating driving unit 421: second protruding member
421a: second rod 422: second motor
500: control unit 600: angle gauge
700: detection unit 800: limit sensor
H1: first hinge part H2: second hinge part
H3: third hinge part H4: fourth hinge part
H5: fifth hinge part H6: sixth hinge part

Claims (6)

제1양방향으로 각도조절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
연료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상기 제1양방향과 직교하는 제2양방향으로 각도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
a first plate disposed so as to be angularly adjustable in first both directions;
a second plate on which a fuel tank is installed and angularly adjustable in second both directions orthogonal to the first both directions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plate; and
and a driving unit for selectively adjusting the angle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의 상부와 상기 제1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제2양방향으로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제1힌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late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A fuel tank injectability tes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plate are provided with a first hinge portion forming a horizontal center of rotation in the second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부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제1양방향으로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제2힌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fuel tank injectability tes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plat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late are provided with a second hinge portion forming a horizontal center of rotation in the first both dire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플레이트에는 회동 각도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각도 게이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uel tank injectability tes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plate or the second plate further includes an angle gauge for displaying the rotation angle to the outsi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의 일측을 승강시켜 상기 제1양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제1승강 구동부 및,
상기 제1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제2플레이트의 일측을 승강시켜 상기 제2양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제2승강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driving unit,
A first elevating driving unit installed on the base and configured to elevate one side of the first plate to rotate in the first both directions;
The fuel tank injectability testing apparatus, which is installed on the first plate, and includes a second lifting driving unit for lifting one side of the second plate and rotating it in the second two direction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에 상기 제1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서 출몰하는 제1로드의 상단이 상기 제1플레이트의 하부에 상기 제1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출몰부재 및, 상기 제1로드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승강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2승강 구동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에 상기 제2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서 출몰하는 제2로드의 상단이 상기 제2플레이트의 하부에 상기 제2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출몰부재 및, 상기 제2로드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승강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elevating driving unit is installed on the base rotatably in the first both directions,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rod protruding from the upper part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plate rotatably in the first both directions. and a first motor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protruding member and the first rod to transmit a lifting driving force,
The second elevating driving uni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rst plate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rod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late in the second direction A fuel tank injectability testing apparatus comprising: a second protruding member; and a second motor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rod to transmit a lift driving force.
KR1020200064279A 2020-05-28 2020-05-28 Injection test device for fuel tank KR1023991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279A KR102399135B1 (en) 2020-05-28 2020-05-28 Injection test device for fuel ta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279A KR102399135B1 (en) 2020-05-28 2020-05-28 Injection test device for fuel tan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286A true KR20210147286A (en) 2021-12-07
KR102399135B1 KR102399135B1 (en) 2022-05-18

Family

ID=78868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279A KR102399135B1 (en) 2020-05-28 2020-05-28 Injection test device for fuel ta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13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937A (en) * 2000-11-16 2002-05-23 이계안 System for charactor test of fuel sender at land slopes
KR20170078354A (en) * 2015-12-29 2017-07-0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about heel of model ship
KR20180056103A (en) * 2016-11-18 2018-05-28 주식회사 바로텍시너지 2-DOF Simul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937A (en) * 2000-11-16 2002-05-23 이계안 System for charactor test of fuel sender at land slopes
KR20170078354A (en) * 2015-12-29 2017-07-0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about heel of model ship
KR20180056103A (en) * 2016-11-18 2018-05-28 주식회사 바로텍시너지 2-DOF Simul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9135B1 (en) 202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2463B1 (en) testing device for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speed sensor
EP1752747A3 (en) Apparatus for monitoring operator vibration for earth moving machinery with operation cab
KR102399135B1 (en) Injection test device for fuel tank
KR101236923B1 (en) Burst & Buckling for testing air spring
CN202177508U (en) Overturn valve detecting device
CN105510054B (en) Vehicle window lift clutch performance detection machine
CN206670845U (en) Rotor idling torque detection device
KR20160039920A (en) Sensor test apparatus
CN207963885U (en) Levelness tester
CN206804305U (en) Car seat headrest front wing operation long duration test mechanism
CN111076216A (en) Testing device for measuring flame height of lighter
KR20230059365A (en) Articulated robot type bridge inspection apparatus
KR100861048B1 (en) Measuring system for headform impact portion and angle to indicator panel of vehicle
CN219284275U (en) Full-automatic safety detection equipment for building structure
CN105091860B (en) A kind of transmission tower obliquity sensor installing and adjusting mechanism
CN212007305U (en) Automobile combined instrument test bench
CN218675042U (en) 360 wind direction check out test set's of infrared ray location automatic calibration machine
CN111766077B (en) Engine fault detection equipment and detection method
CN115876047B (en) Detection device for automobile oil tank
CN109374294A (en) A kind of detection device of gear box
RU123382U1 (en) TOWABLE PLATFORM FOR THE ASSESSMENT OF CHASSIS CHAIRS ON THE AIR PILLOW
CN218955970U (en) Spring torsion testing machine
CN216846761U (en) Air tightness detection device for automobile engine framework oil seal
CN221099697U (en) Verticality monitoring system for motor base of vertical pump
KR20010111134A (en) Automotive door-closing speed det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