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6644A -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46644A KR20210146644A KR1020200063691A KR20200063691A KR20210146644A KR 20210146644 A KR20210146644 A KR 20210146644A KR 1020200063691 A KR1020200063691 A KR 1020200063691A KR 20200063691 A KR20200063691 A KR 20200063691A KR 20210146644 A KR20210146644 A KR 2021014664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station
- resource
- amount information
- access amount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기지국에 대한 무선 환경 관련 지표를 수집하는 수집부, 수집된 무선 환경 관련 지표 중 기지국에 대한 접속량 정보(AUE, Active User Equipment)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지표를 선정하고, 선정된 지표에 기초하여 기지국에 대한 적정 접속량 정보(PAUE, Proper Active User Equipment)를 도출하는 도출부, 도출된 적정 접속량 정보 및 접속량 정보에 기초하여 기지국의 자원을 제어하는 제어 모델의 강화학습을 수행하는 학습부 및 강화학습된 제어 모델에 기초하여 도출된 기지국에 대한 액션 정보를 도출하고, 도출된 액션 정보를 통해 기지국의 자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통신 사업자에 의해 구축된 무선 기지국은 한정된 자원(예컨대, 무선 링크(Radio Link), 데이터를 전송하는 자원 할당 단위(PRB, Physical Resource Block) 등)으로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무선 기지국의 네트워크에 동시에 많은 수의 단말이 접속하게 되면 과부하 장애 또는 서비스 품질 열화(예컨대, 무선 네트워크 접속불가, THP 저하 등)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과부하(Overload) 장애 또는 서비스 품질 열화 등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무선 기지국의 시스템 운용자(또는 통신 사업자)는 수동으로 무선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있으며, 무선 기지국의 감시 장비를 통해 무선 기지국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한편, 기지국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UE, User Equipment)의 수가 초과 유입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과부하 장애는 기지국 시도호 폭주, 무선신호 간섭증가 및 과부하가 발생된 지역의 서비스 불가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의 자원할당이 최대치(Maximum)가 되는 RAN(Radio Access Network) 장비가 증가할 경우, 상위 계위 장비들에도 영향을 미쳐 네트워크 전체의 안정성을 위협할 수 있다.
종래와 같이 무선 기지국의 수동 제어를 하게 되는 경우, 시스템 운용자의 경험적 요소를 기준으로 제어 타이밍이 설정되기 때문에 기지국 자원의 적시적이고 효율적인 할당이 이루어지지 않아 고객 불만을 유발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지국에 대한 접속량 정보(AUE, Active User Equipment) 및 무선 환경 관련 지표로부터 도출된 기지국에 대한 적정 접속량 정보(PAUE, Proper Active User Equipment)에 기초하여 기지국 자원을 제어하는 제어 모델을 강화학습시키고, 강화학습된 제어 모델을 통해 기지국의 자원을 제어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기지국에 대한 무선 환경 관련 지표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수집된 무선 환경 관련 지표 중 상기 기지국에 대한 접속량 정보(AUE, Active User Equipment)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지표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지표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에 대한 적정 접속량 정보(PAUE, Proper Active User Equipment)를 도출하는 도출부; 상기 도출된 적정 접속량 정보 및 상기 접속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의 자원을 제어하는 제어 모델의 강화학습을 수행하는 학습부; 및 상기 강화학습된 제어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에 대한 액션 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액션 정보를 통해 상기 기지국의 자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기지국에 대한 무선 환경 관련 지표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무선 환경 관련 지표 중 상기 기지국에 대한 접속량 정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지표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지표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에 대한 적정 접속량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도출된 적정 접속량 정보 및 상기 접속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의 자원을 제어하는 제어 모델의 강화학습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강화학습된 제어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에 대한 액션 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액션 정보를 통해 상기 기지국의 자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기지국에 대한 무선 환경 관련 지표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무선 환경 관련 지표 중 상기 기지국에 대한 접속량 정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지표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지표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에 대한 적정 접속량 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적정 접속량 정보 및 상기 접속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의 자원을 제어하는 제어 모델의 강화학습을 수행하고, 상기 강화학습된 제어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에 대한 액션 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액션 정보를 통해 상기 기지국의 자원을 제어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기지국에 대한 접속량 정보(AUE, Active User Equipment) 및 무선 환경 관련 지표로부터 도출된 기지국에 대한 적정 접속량 정보(PAUE, Proper Active User Equipment)에 기초하여 기지국 자원을 제어하는 제어 모델을 강화학습시키고, 강화학습된 제어 모델을 통해 기지국의 자원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기지국의 무선 네트워크 환경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 맞는 기지국의 자원 제어를 위한 적정 기준을 산출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기지국의 자원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이로써 고품질의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환경 관련 지표에 따른 기지국에 대한 접속량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 대한 적정 접속량 정보를 도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환경 관련 지표에 따라 적정 접속량 정보를 군집화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무선 환경 관련 지표에 기초하여 기지국의 적정 접속량 정보를 도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자원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a 내지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델의 강화학습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학습된 제어 모델을 통해 기지국의 자원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델의 강화학습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환경 관련 지표에 따른 기지국에 대한 접속량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 대한 적정 접속량 정보를 도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환경 관련 지표에 따라 적정 접속량 정보를 군집화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무선 환경 관련 지표에 기초하여 기지국의 적정 접속량 정보를 도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자원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a 내지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델의 강화학습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학습된 제어 모델을 통해 기지국의 자원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델의 강화학습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 및 복수의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1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도 1의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연결된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복수의 기지국에 대한 무선 환경 관련 지표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환경 관련 지표(즉, 주요 성능 지표 및 무선 환경 지표)는 예를 들어, ERAB(European Research Area Board) 관련 통계, ENDC(E-UTRAN New Radio) 관련 통계, SCG(Secondary Cell Group) Fail 관련 통계, PRB (Physical Resource Block) 부하 통계, BLER (Block Error Rate),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기지국들을 관리하는 기지국 관제 서버(미도시)에게 복수의 기지국에 대한 무선 환경 관련 데이터를 요청하고, 기지국 관제 서버(미도시)로부터 복수의 기지국별 무선 환경 관련 지표를 포함하는 무선 환경 관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복수의 기지국별 수집된 무선 환경 관련 지표 중 기지국에 대한 접속량 정보(AUE, Active User Equipment)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지표를 선정하고, 선정된 지표에 기초하여 기지국에 대한 적정 접속량 정보(PAUE, Proper Active User Equipment)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에 대한 적정 접속량 정보는 공급사별로 기설정된 기지국의 접속량 임계치에 도달하기 이전에,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기지국이 최대한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 및 성능(performance)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되는 기지국에서의 수용 가능한 단말 접속 적정량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수집된 제 1 기지국(110)에 대한 무선 환경 관련 지표 중 제 1 기지국(110)에 대한 접속량 정보와 관련된 BLER 지표 및 RSSI 지표에 기초하여 제 1 기지국(110)에 대한 적정 접속량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각 기지국별로 도출된 기지국의 적정 접속량 정보 및 기지국의 접속량 정보에 기초하여 기지국의 자원을 제어하는 제어 모델의 강화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제 1 기지국(110)의 BLER 지표 및 RSSI 지표에 기초하여 도출된 제 1 기지국(110)의 적정 접속량 정보 및 제 1 기지국(110)의 현재 접속량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기지국(110)의 자원을 제어하는 제어 모델의 강화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기지국별로 강화학습된 제어 모델에 기초하여 기지국에 대한 액션 정보를 도출하고, 도출된 액션 정보를 통해 기지국의 자원(예컨대, 기지국 출력 감쇄(Attenuation) 자원 및 전기적 기지국 수직 각도 조정 (Electrical Tilt) 자원)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제 1 기지국(110)의 과트래픽 상태가 감지되면, 제 1 기지국(110)의 자원 제어에 대하여 강화학습된 제어 모델에 기초하여 제 1 기지국(110)의 자원 제어를 위한 액션 정보를 도출하고, 도출된 액션 정보를 통해 제 1 기지국(110)의 자원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기지국별로 강화학습된 제어 모델에 기초하여 도출된 각 기지국에 대한 액션 정보를 기지국 관제 서버(미도시)에게 전송하고, 기지국 관제 서버(미도시)는 수신된 각 기지국에 대한 액션 정보를 통해 각 기지국의 자원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각 기지국의 자원 제어에 대한 제어 결과를 기지국 관리 담당자의 단말(미도시)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기지국 관리 담당자의 단말(미도시)로부터 제어 모델의 강화학습에 대한 보완 요청(예컨대, 각 기지국의 임계치 접속량 정보(최소 접속량 정보 및 최대 접속량 정보)에 대한 조정 요청)을 수신한 경우, 보완 요청에 기초하여 기지국의 자원 제어에 대한 제어 모델의 강화학습을 보완하여 제어 모델을 재학습시킬 수 있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보완된 제어 모델의 강화학습에 대한 반영 결과를 기지국 관리 담당자의 단말(미도시)에게 전달할 수 있다.
기지국 관리 담당자의 단말(미도시)은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 또는 기지국 관제 서버(미도시)로부터 기지국 정보 조회 및 기지국 단위의 직접 제어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기지국 관리 담당자의 단말(미도시)은 기지국별 지표 변화 추이 정보 및 각 기지국의 상세 서비스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 또는 기지국 관제 서버(미도시)로부터 실시간으로 문자 서비스(예컨대, SMS, MMS 등)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수집부(200), 좌표 평면 생성부(210), 도출부(220), 학습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수집부(200)는 기지국들을 관리하는 기지국 관제 서버(미도시)로부터 복수의 기지국에 대한 무선 환경 관련 데이터(즉, 기지국의 무선 환경 및 성능 지표)를 기설정된 수집 시간 단위별로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환경 관련 데이터는 무선 환경 관련 지표를 도출할 수 있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환경 관련 데이터는 무선 환경 통계 데이터, 실시간 가입자 추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G NSA(Non Stand Alone) 무선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 기지국의 경우, 해당 기지국에 대한 무선 환경 관련 지표(즉, 주요 성능 지표 및 무선 환경 지표)는 예를 들어, ERAB 관련 통계, ENDC 관련 통계, SCG Fail 관련 통계, PRB (Physical Resource Block) 부하 통계, BLER (Block Error Rate),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등의 무선 환경 관련 데이터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집부(200)는 기설정된 수집 시간 단위(예컨대, 3분)별로 제 1 기지국(110)에 대한 무선 환경 관련 지표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수집부(200)는 기설정된 수집 시간 단위별로 복수의 기지국에 대한 무선 환경 관련 지표와 함께 복수의 기지국에 대한 접속량 정보(AUE, Active User Equipment)를 더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기지국에 대한 접속량 정보는 기지국의 시도호 폭주, 접속 불가 등의 과부하 상황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기지국 각각에 대한 접속량 정보는 각 기지국에 동시에 접속하고 있는 단말의 개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각 기지국에 대한 접속량 정보는 사전에 지정된 시간 동안 각 기지국을 관리하는 기지국 관제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집되어 기지국별 평균 접속량 및 최대 접속량 정보를 도출할 때 이용될 수 있다.
도출부(220)는 기지국별로 수집된 무선 환경 관련 지표 중 기지국에 대한 접속량 정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지표를 선정하고, 선정된 지표에 기초하여 각 기지국별로 기지국에 대한 적정 접속량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출부(220)는 수집된 제 1 기지국(110)에 대한 무선 환경 관련 지표 중 제 1 기지국(110)에 대한 접속량 정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지표에 기초하여 제 1 기지국(110)에 대한 적정 접속량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에 대한 적정 접속량 정보는 공급사별로 기설정된 기지국의 접속량 임계치에 도달하기 이전에,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기지국이 최대한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 및 성능(performance)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되는 기지국에서의 수용 가능한 단말 접속 적정량을 의미한다.
여기서, 기지국에 대한 접속량 정보와 관련된 무선 환경 관련 지표는 수집된 기지국에 대한 무선 환경 관련 데이터 중 기지국에 현재 접속중인 가입자 부하율에 따라 기지국에 무선 환경 및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무선 환경 관련 데이터로부터 도출된 지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에 대한 무선 환경 관련 지표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지표, RachPreambleA(Random Access Channel Preamble count) 지표, Residual BLER DL(Residual Block Error Rate DL) 지표, TotDLUnicastPrbScheAvg 지표, TotULUnicastPrbScheAvg 지표, RlcULByte 지표 및 RlcDLByte 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SSI 지표는 기지국에 수신되는 접속 단말들의 전력신호 세기합(dBm)이고, RachPreambleA 지표는 셀(Cell)당 검출한 프리엠블(preamble)개수이고, Residual BLER DL 지표는 다운링크(Downlink) 초기 재전송 후 전송블럭 에러율이고, Residual BLER UL 지표는 업링크(Uplink) 초기 재전송 후 전송블럭 에러율이고, TotDLUnicastPrbScheAvg 지표는 제 1 특정 요구 블록(예컨대, SRB, DRB, MACCE)의 전송을 위해 사용된 물리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의 평균 다운링크 사용율이고, TotULUnicastPrbScheAvg 지표는 제 2 특정 요구 블록(예컨대, Msg3, SR-grant, SRB, DRB)의 전송으로 사용된 물리 자원 블록의 평균 업링크 사용율이고, RlcULByte 지표는 RLC(Radio Link Control) 계층에서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 PDU(Protocol Data Unit)의 바이트(byte) 수이고, RlcDLByte 지표는 RLC 계층에서 전송한 다운링크 데이터 PDU 의 바이트 수이다.
도출부(220)는 각 기지국별로 선정된 무선 환경 관련 지표 및 각 기지국에 대한 접속량 정보 간의 상관도 분석을 통해 각 기지국별로 선정된 무선 환경 관련 지표에 대한 가중치를 도출할 수 있다.
잠시, 도 5를 참조하면, 그룹화부(미도시)는 각 기지국별로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지표를 학습 데이터로 설정하여 유사한 특징(feature)을 갖는 학습 데이터끼리 분류한 후 그룹화할 수 있다. 여기서, 그룹화되는 개수는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그룹화부(미도시)는 각 기지국별 학습 데이터(지표) 간의 거리 및 각 기지국의 지표에 대한 가중치에 기초하여 유사한 특징을 갖는 학습 데이터를 3개의 위험군(즉, 저위험군, 중위험군, 고위험군)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이 때, 각 위험군별로 상이한 위험군 상수가 설정될 수 있다. 이 후, 그룹화부(미도시)는 그룹화된 학습 데이터 각각을 기지국의 안정적 부하 수용한계에 대하여 분류한 위험군들에 매칭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위험군에 분류된 학습 데이터에는 제 1 위험군 상수(예컨대, 0.9)가 적용되고, 중위험군에 분류된 학습 데이터에는 제 2 위험군 상수(예컨대, 1)가 적용되고, 저위험군에 분류된 학습 데이터에는 제 3 위험군 상수(예컨대, 1.1)가 적용될 수 있다.
도출부(220)는 기지국별로 선정된 무선 환경 관련 지표 및 각 기지국에 대한 접속량 정보 간의 상관도 분석을 통해 선정된 무선 환경 관련 지표에 대한 가중치를 도출한 경우, 도출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각 기지국에 대한 적정 접속량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출부(220)는 제 1 기지국(110)에 대하여 선정된 복수의 무선 환경 관련 지표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도출한 후, 도출된 각 무선 환경 관련 지표 각각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제 1 기지국(110)에 대한 적정 접속량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기지국(110)의 제 1 무선 환경 관련 지표와 제 1 기지국(110)에 대한 접속량 정보 간의 상관도 분석을 수행하고, 상관도 분석을 통해 제 1 무선 환경 관련 지표에 대한 가중치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도출부(220)는 제 1 기지국(110)의 제 2 무선 환경 관련 지표와 제 1 기지국(110)에 대한 접속량 정보 간의 상관도 분석을 수행하고, 상관도 분석을 통해 제 2 무선 환경 관련 지표에 대한 가중치를 도출할 수 있다. 이 후, 도출부(220)는 제 1 무선 환경 관련 지표에 대한 가중치 및 제 2 무선 환경 관련 지표에 대한 가중치를 이용하여 제 1 기지국(110)에 대한 적정 접속량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지국별 무선 환경 관련 지표를 통해 각 기지국에 대한 적정 접속량 정보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잠시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의 스펙에 명시된 접속량 임계치보다 적은 부하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실제 기지국의 환경(예컨대, 가입자 단말의 거리별 분포도, 기지국 장비의 열화, 불요파의 존재 등) 및 다양한 조건에 따라서 기지국에서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의 무선 환경 관련 지표(예컨대, RSSI 지표 등)의 값이 높아지면 기지국의 스펙상 수용 가능한 접속량 정보(AUE)의 수가 줄어드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부하 현상의 발생 여부를 기지국의 무선 환경 관련 지표에 대한 변화로 미리 예측할 수 있다.
좌표 평면 생성부(210)는 기지국에서 선정된 무선 환경 관련 지표를 N차원 좌표 평면의 축으로 설정하고, 선정된 무선 환경 관련 지표 각각에 대응하는 축의 길이를 선정된 지표 각각에 대한 가중치로 설정하여 N차원 좌표 평면을 생성하고, N차원 좌표 평면 내에 각 기지국에 해당하는 선정된 무선 환경 관련 지표의 값을 점으로 좌표화하여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표 평면 생성부(210)는 선정된 무선 환경 관련 지표가 8개인 경우, 8차원 좌표 평면의 각 축을 8개의 무선 환경 관련 지표로 설정하고, 8개 무선 환경 관련 지표에 대응하는 축의 상대적 길이를 각 8개의 무선 환경 관련 지표에 대한 가중치로 설정함으로써 8차원 좌표 평면을 생성할 수 있다. 이 후, 좌표 평면 생성부(210)는 그룹화부(미도시)에 의해 그룹화된 각 위험군(즉, 저위험군, 중위험군, 고위험군)별로 각 위험군에 속하는 기지국들(기지국들의 무선 환경 관련 지표의 값)을 8차원 좌표 평면 내에 점으로 표현할 수 있다.
도출부(220)는 N차원 좌표 평면의 원점으로부터 기지국에 해당하는 선정된 지표의 좌표까지의 거리값 및 원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최저 기준 좌표까지의 거리값에 기초하여 적정 접속량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좌표 평면 생성부(210)는 선정된 제 1 무선 환경 관련 지표 및 제 2 무선 환경 관련 지표를 이용하여 2차원 좌표 평면을 생성할 수 있다.
좌표 평면 생성부(210)는 특정 지역의 기지국별로 모니터링된 제 1 무선 환경 관련 지표 및 제 2 무선 환경 관련 지표 각각의 값에 기초하여 2차원 좌표 평면의 Y축에 해당하는 제 1 무선 환경 관련 지표의 최소 및 최대 좌표 범위를 설정하고, X축에 해당하는 제 2 무선 환경 관련 지표의 최소 및 최대 좌표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2차원 좌표 평면은 제 1 무선 환경 관련 지표의 값 및 제 2 무선 환경 관련 지표의 값이 높아질수록 기지국의 과부하가 높아지도록 구성된 평면일 수 있다. 또한, 2차원 좌표 평면 내에 원점(401)은 과부하가 없는 가장 좋은 무선 환경(최고 무선 서비스 환경)이고, 원점(401)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지점(405, 최저 기준 좌표점)은 과부하가 상당한 가장 안좋은 무선 환경(최저 무선 서비스 환경)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출부(220)는 2차원 좌표 평면 내에 각 기지국의 지표에 대응하는 좌표점(제 2 무선 환경 관련 지표, 제 1 무선 환경 관련 지표)이 표시된 경우, 2차원 좌표 평면의 원점(401)으로부터 각 기지국에 해당하는 지표의 좌표까지의 거리값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도출부(220)는 2차원 좌표 평면 내에서 원점(401)로부터 기설정된 최저 기준 좌표(405)까지의 거리값(최저 무선 서비스 환경을 나타내는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도출부(220)는 각 기지국별로 계산된 거리값 및 최저 무선 서비스 환경을 나타내는 거리값에 기초하여 각 기지국별 적정 접속량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출부(220)는 2차원 좌표 평면의 원점(401)으로부터 제 1 기지국(110)에 해당하는 지표의 좌표점(403)까지의 거리값 및 원점(401)으로부터 기설정된 최저 기준 좌표(405)까지의 거리값에 기초하여 제 1 기지국(110)의 적정 접속량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여기서, PAUE는 기지국의 적정 접속량 정보이고, AUE는 기지국의 접속량 정보이고, Maximum AUE 및 Minimum AUE은 사전에 지정해주는 값으로 0 내지 임계치 접속량 정보의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도출부(220)는 각 기지국별로 도출된 적정 접속량 정보에 각 기지국의 지표가 속하는 위험군에 매칭된 위험군 상수를 곱하여 각 기지국별 최종 적정 접속량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최종 적정 접속량은 [수학식 2]를 통해 도출될 수 있다.
[수학식 2]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좌표 평면 생성부(210)는 RSSI 지표를 Y축으로 설정하고, BLER 지표를 X축으로 설정한 2차원 좌표 평면을 생성한 후, Y축에 해당하는 RSSI 지표의 최소 및 최대 좌표 범위를 설정하고, X축에 해당하는 BLER 지표의 최소 및 최대 좌표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2차원 좌표 평면에서 좌표 범위의 최대 거리 기준(대각선 길이)는 원점(601)으로부터 기설정된 최저 기준 좌표(607)까지의 거리로서 최저 무선 서비스 환경에 해당하는 기준 길이로 설정할 수 있다.
도출부(220)는 제 1 기지국에 대하여 원점(601)으로부터 제 1 기지국의 좌표점(603)까지의 제 1 기지국의 거리값(빨간색 거리)을 계산하고, 제 2 기지국에 대하여 원점(601)으로부터 제 2 기지국의 좌표점(605)까지의 제 2 기지국의 거리값(파란색 거리)을 계산할 수 있다.
이 후, 도출부(220)는 계산된 제 1 기지국의 거리값과, 원점(601)으로부터 기설정된 최저 기준 좌표(607)까지 계산된 대각선 거리값에 기초하여 제 1 기지국의 적정 접속량 정보를 도출하고, 도출된 제 1 기지국의 적정 접속량 정보 및 제 1 기지국의 지표가 속하는 위험군에 대응하는 위험군 상수를 이용하여 제 1 기지국의 최종 적정 접속량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대각선 거리값 대비 제 1 기지국의 거리값에 대한 비율이 30%이고, 제 1 기지국의 지표가 속하는 위험군인 저위험군의 위험군 상수가 1.1이고, Maximum AUE 및 Minimum AUE의 범위가 40%(51) 내지 70%(90)인 경우,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 기초하여 제 1 기지국의 최종 적정 접속량 정보는 80(=(51+(90-51)*(1-0.3))*1.1))으로 도출될 수 있다.
또한, 도출부(220)는 계산된 제 2 기지국의 거리값과, 원점(601)으로부터 기설정된 최저 기준 좌표(607)까지 계산된 대각선 거리값 및 제 2 기지국의 지표가 속하는 위험군에 대응하는 위험군 상수를 이용하여 제 2 기지국의 적정 접속량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대각선 거리값 대비 제 2 기지국의 거리값에 대한 비율이 60%이고, 제 2 기지국의 지표가 속하는 위험군인 중위험군의 위험군 상수가 1.0이고, Maximum AUE 및 Minimum AUE의 범위가 40%(51) 내지 70%(90)인 경우,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 기초하여 제 2 기지국의 최종 적정 접속량 정보는 67(=(51+(90-51)*(1-0.6))*1.0))으로 도출될 수 있다.
학습부(230)는 각 기지국별 무선 환경의 변화에 따른 달라지는 기지국의 지표 변화에 기초하여 각 기지국의 적정 접속량 정보를 도출하도록 제어 모델의 비지도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학습부(230)는 N차원 좌표 평면의 원점으로부터 각 기지국의 지표에 대응하는 좌표점까지 계산된 제 1 거리값과, 원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최저 기준 좌표까지 계산된 제 2 거리값을 제어 모델에 입력하여 각 기지국별 적정 접속량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또한, 학습부(230)는 무선 환경의 변화에 따라 기지국별 최적의 적정 접속량 정보를 예측하도록 제어 모델의 비지도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복수의 기지국별로 기지국의 접속량 정보가 기설정된 임계치 접속량 정보(최대 접속량 정보)를 초과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임계치 접속량 정보를 초과하는 기지국의 자원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제 1 기지국(110)에 과도한 트래픽이 발생할 때 제 1 기지국(110)의 자원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701에서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제 1 기지국(110)에 대한 현재 접속량 정보가 기설정된 임계치 접속량 정보(예컨대, 110)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703에서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제 1 기지국(110)에 대한 현재 접속량 정보가 기설정된 임계치 접속량 정보를 초과하는 경우, 제 1 기지국(110)의 제 1 자원(Attenuation)에 대한 현재 여유량(Margin)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자원에 대한 현재 여유량은 제 1 자원의 현재값이 제 1 기지국(110)에서 수용가능한 범위(예컨대, 제 1 기지국(110)의 제 1 자원에 대한 기설정된 임계치)에 속하는지를 확인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자원의 수용가능한 범위는 0~200(0~20dB)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자원에 대한 현재 여유량은 제 1 자원의 현재값과 제 1 자원의 기설정된 임계치 간의 차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S705에서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단계 S703에서 계산된 제 1 자원에 대한 현재 여유량이 제 1 기준(예컨대, 100)을 초과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S707에서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제 1 자원에 대한 현재 여유량이 제 1 기준(예컨대, 100)을 초과하는 경우, 제 1 자원의 제어를 위한 추가 조정값(제1자원의 현재값 + (제1자원에 대한 현재 여유량*0.4))을 계산할 수 있다.
S709에서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단계 S703에서 계산된 제 1 자원에 대한 현재 여유량이 제 1 기준(예컨대, 100) 이하이면서 제 2 기준(예컨대, 50) 이상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S711에서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제 1 자원에 대한 현재 여유량이 제 1 기준(예컨대, 100) 이하이면서 제 2 기준(예컨대, 50) 이상인 경우, 제 1 자원의 제어를 위한 추가 조정값(제1자원의 현재값+(제1자원에 대한 현재 여유량*0.3))을 계산할 수 있다.
S713에서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단계 S703에서 계산된 제 1 자원에 대한 현재 여유량이 제 2 기준(예컨대, 50) 미만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S715에서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제 1 자원에 대한 현재 여유량이 제 2 기준(예컨대, 50) 미만인 경우, 제 1 기지국(110)의 제 2 자원(Electrical Tilt, E-Tilt)의 제어를 위한 추가 조정값(제2자원에 대한 현재값 +3)을 계산할 수 있다.
S717에서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계산된 기지국 자원의 추가 조정값(제 1 자원의 추가 조정값 또는 제 2 자원의 추가 조정값)에 기초하여 기지국의 자원을 제어할 수 있다.
S719에서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추가 조정값으로 제 1 기지국(110)의 자원이 제어된 이후, 제 1 기지국(110)의 자원의 현재값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즉, 제1자원의 현재값>기설정된 임계치, 제2자원의 현재값>기설정된 임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제 1 기지국(110)의 자원의 현재값이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제 1 기지국(110)에 대한 현재 접속량 정보가 기설정된 임계치 접속량 정보(예컨대, 110)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721에서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제 1 기지국(110)의 자원의 현재값이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제 1 기지국(110)의 자원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오면, 학습부(230)는 복수의 기지국별로 도출된 적정 접속량 정보 및 각 기지국의 접속량 정보에 기초하여 기지국의 자원(예컨대, 전기적 기지국 수직 각도 조정(Electrical Tilt) 자원에 해당하는 제 1 자원 및 기지국 출력 감쇄(Attenuation) 자원에 해당하는 제 2 자원)을 제어하는 제어 모델의 강화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강화학습된 제어 모델에 기초하여 기지국별로 기지국에 대한 액션 정보를 도출하고, 도출된 액션 정보를 통해 기지국별로 각 기지국의 자원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40)는 제 1 기지국(110)에 대한 현재 접속량 정보(AUE)가 제 1 기지국(110)에 대한 적정 접속량 정보(PAUE)를 초과하는 경우(제 1 기지국(110)의 접속 상태가 과트래픽 상태인 경우), 적정 접속량 정보 및 현재 접속량 정보 간의 차이값을 도출하고, 도출된 차이값에 기초하여 제 1 기지국(110)의 자원에 대한 조정값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도출된 제 1 기지국(110)의 자원에 대한 조정값을 통해 기지국의 자원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 1 기지국(110)의 자원 제어에 대한 액션 정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액션 정보를 통해 제 1 기지국(110)의 자원을 더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제 1 기지국(110)의 제 1 자원의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 1 기지국(110)의 제 1 자원 제어를 위한 액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도 8b를 참조하면, 제 1 자원의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82)은 제 1 자원의 현재값(a)별로 기지국의 적정 접속량 정보 및 접속량 정보 간의 차이값에 따라 제 2 가중치가 적용된 제 2 값(d2)에 따라 복수의 액션 정보 및 각 액션 정보에 대응하는 스코어를 관리하며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제 1 기지국(110)의 제 2 자원의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 1 기지국(110)의 제 2 자원 제어를 위한 액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도 8b를 참조하면, 제 2 자원의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80)은 제 2 자원의 현재값(e)별로 기지국의 적정 접속량 정보 및 접속량 정보 간의 차이값에 따라 제 1 가중치가 적용된 제 1 값(d1)에 따라 복수의 액션 정보 및 각 액션 정보에 대응하는 스코어를 관리하며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제 1 기지국(110)의 현재 자원값과, 제 1 기지국(110)의 적정 접속량 정보 및 제 1 기지국(110)의 접속량 정보 간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로부터 제 1 기지국(110)의 자원 제어에 대한 액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정된 제 1 기지국(110)의 자원 제어에 대한 액션 정보는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에 포함된 복수의 액션 정보 중 스코어가 높은 액션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b를 참조하면, 제어부(240)는 제 1 기지국(110)의 제1자원의 현재값(예컨대, a=10)과, 제 1 기지국(110)의 적정 접속량 정보 및 제 1 기지국(110)의 접속량 정보 간의 차이값(예컨대, d2= 10)에 기초하여 제 1 자원의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82)로부터 스코어가 가장 높은 제 1 기지국(110)의 제 1 자원 제어에 대한 액션 정보(86, β=0)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제 1 기지국(110)의 제 2 자원의 현재값(예컨대, e=1)과, 제 1 기지국(110)의 적정 접속량 정보 및 제 1 기지국(110)의 접속량 정보 간의 차이값(예컨대, d1=1)에 기초하여 제 2 자원의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80)로부터 스코어가 가장 높은 제 1 기지국(110)의 제 2 자원 제어에 대한 액션 정보(84, α=0)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제 1 기지국(110)에 대한 현재 접속량 정보(AUE)가 제 1 기지국(110)에 대한 적정 접속량 정보(PAUE)를 초과하는 경우, 제 1 기지국(110)의 자원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제 1 기지국(110)의 제 2 자원(E-Tilt)에 대한 조정값을 계산할 수 있다. 제 1 기지국(110)에서 제 2 자원에 대한 현재 여유량(Margin)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자원에 대한 현재 여유량은 제 2 자원의 현재값이 제 1 기지국(110)에서 수용가능한 범위에 속하는지를 확인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40)는 제 1 기지국(110)의 제 2 자원의 현재값(e)과, 제 1 기지국(110)의 적정 접속량 정보 및 접속량 정보 간의 차이값에 따라 제 1 가중치가 적용된 제 1 값(d1=ROUNDUP(ABS(AUE-PAUE)/10)) 및 제 2 자원의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도 8의 도면부호 80 참조)로부터 결정된 액션 정보(α)에 기초하여 제 2 자원에 대한 조정값(= e+d1+α)을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계산된 제 2 자원에 대한 조정값이 제 1 기지국(110)에서 수용 가능한 제 2 자원의 수용 범위 내(기설정된 최대 각도 및 최소 각도 사이)에 속하는지 여부에 따라 제 1 기지국(110)에서 제 2 자원에 대한 현재 여유량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의 수평빔폭이 90인 경우, 제 1 기지국(110)에서 수용 가능한 제 2 자원의 최대 수용 범위는 -5 내지 +5도이고, 안테나의 수평빔폭이 65인 경우, 제 1 기지국(110)에서 수용 가능한 제 2 자원의 최대 수용 범위는 -8 내지 +8 범위일 수 있다.
제어부(240)는 제 2 자원에 대한 현재 여유량이 존재하는 경우, 계산된 제 2 자원에 대한 조정값에 기초하여 제 1 기지국(110)의 제 2 자원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제 1 기지국(110)에서 제 2 자원에 대한 현재 여유량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제 1 기지국(110)의 제 1 자원(Attenuation)에 대한 조정값을 계산한 후, 제 1 기지국(110)에서 제 1 자원에 대한 현재 여유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40)는 제 1 기지국(110)의 제 1 자원의 현재값(a)과, 제 1 기지국(110)의 적정 접속량 정보 및 접속량 정보 간의 차이값에 따라 제 2 가중치가 적용된 제 2 값(d2= ROUNDUP(ABS(AUE-PAUE)*1.8)) 및 제 1 자원의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도 8b의 도면부호 82 참조)로부터 결정된 액션 정보(β)에 기초하여 제 1 자원에 대한 조정값(= a+d2+β)을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계산된 제 1 자원에 대한 조정값이 제 1 기지국(110)에서 수용 가능한 제 1 자원의 수용 범위 내에 속하는지 여부에 따라 제 1 기지국(110)에서 제 1 자원에 대한 현재 여유량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계산된 제 1 자원이 0보다 크고 200(20dB)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 후, 제 1 자원에 대한 현재 여유량을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제 1 자원에 대한 현재 여유량이 존재하는 경우, 계산된 제 1 자원에 대한 조정값에 기초하여 제 1 기지국(110)의 제 1 자원을 제어할 수 있다.
만일, 제 1 기지국(110)에서 제 2 자원에 대한 현재 여유량 및 제 1 자원에 대한 현재 여유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 1 기지국(110)에서 수용 가능한 자원의 임계치를 초과한 것이기 때문에 제 1 기지국의 자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게 된다.
다시 도 2로 돌아오면, 학습부(230)는 계산된 기지국의 자원에 대한 조정값에 기초하여 기정의된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에 대해 제어 모델의 강화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부(230)는 제 1 자원에 대한 조정값에 기초하여 제 1 기지국(110)의 제 1 자원이 제어된 이후, 제 1 기지국(110)에 적용된 제 1 자원에 대한 조정값에 기초하여 제 1 자원의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에 대해 제어 모델의 강화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학습부(230)는 제 2 자원에 대한 조정값에 기초하여 제 1 기지국(110)의 제 2 자원이 제어된 이후, 제 1 기지국(110)에 적용된 제 2 자원에 대한 조정값에 기초하여 제 2 자원의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에 대해 제어 모델의 강화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를 참조하면, 제 1 기지국(110)의 수평빔폭은 90이고, 제 2 자원(E-Tilt)의 현재값은 0도이고, 제 1 기지국(110)에 대한 현재 접속량 정보는 제 1 기지국(110)에 대한 적정 접속량 정보보다 27만큼 크고, 제 2 자원에 대한 조정값을 계산하기 위해 참조되는 최초 제 2 자원의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80)의 경우, 액션 정보(α)가 0일 때, 스코어(score)는 1점이고, 나머지 액션 정보의 경우 스코어가 모두 0점으로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 때, 제어부(240)는 최초 제 2 자원의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80)에 기초하여 스코어가 가장 높은 액션 정보(α=0)를 제 1 기지국의 제 2 자원의 자원 제어를 위한 액션 정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제 1 기지국(110)의 제 2 자원의 현재값(e)인 0도와, 제 1 기지국(110)의 적정 접속량 정보 및 접속량 정보 간의 차이값에 따라 제 2 가중치가 적용된 제 2 값(d2)인 3= ROUNDUP(ABS(27)/10)) 및 제 2 자원의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80)로부터 결정된 액션 정보(α)인 0에 기초하여 제 2 자원에 대한 조정값(= 0+3+0)을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계산된 제 2 자원에 대한 조정값이 제 1 기지국(110)에서 수용 가능한 제 2 자원의 수용 범위 내(-5 내지 +5도, 또는 범위는 -8 내지 +8)에 속하므로 계산된 제 2 자원에 대한 조정값(3)에 기초하여 제 1 기지국(110)의 제 2 자원을 제어할 수 있다.
계산된 제 2 자원에 대한 조정값(3)에 따라 제 1 기지국(110)의 제 2 자원이 제어된 이후, 다음 번의 제 1 기지국(110)에 대한 현재 접속량 정보가 제 1 기지국(110)에 대한 적정 접속량 정보보다 5 정도 작다고 가정할 경우, 학습부(230)는 제 1 기지국(110)의 접속 상태는 실제로 안정되었지만, 제 1 기지국(110)의 제 2 자원에 대한 제어가 과도하게(Excessive)하게 적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학습부(230)는 제 2 자원의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80)에서 직전에 결정했던 액션 정보(α=0)에 대응하는 스코어에 제 1 리워드(예컨대, -1 점)을 반영하고 나머지 액션 정보에 대응하는 스코어에 제 2 리워드(예컨대, +1)반영함으로써 제 2 자원의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80)을 갱신할 수 있다.
이 후에 제 1 기지국(110)의 제 2 자원에 대한 조정값의 도출 시에 제 2 자원의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80)에서 제 2 자원의 스코어가 가장 높은 액션 정보(α=-1)를 제 1 기지국의 제 2 자원의 자원 제어를 위한 액션 정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오면, 학습부(230)는 결정된 액션 정보를 통해 기지국의 자원이 제어된 이후, 자원이 제어된 기지국의 적정 접속량 정보 및 접속량 정보 간의 차이값을 도출하고, 도출된 차이값에 대응하는 기지국의 안정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기정의된 상태 리워드 테이블로부터 리워드를 도출할 수 있다.
학습부(230)는 도출된 리워드를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 중 결정된 액션 정보에 대응하는 스코어에 반영하여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을 갱신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240)는 제 1 기지국(110)에 대한 적정 접속량 정보 정보(PAUE)보다 제 1 기지국(110)에 대한 현재 접속량 정보(AUE)가 큰 과트래픽 상태인 경우, 제 1 기지국(110)의 제 2 자원의 현재값(e)을 확인하고, 제 1 기지국(110)의 적정 접속량 정보 및 접속량 정보 간의 차이값에 따라 제 1 가중치가 적용된 제 1 값(d1)을 산출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240)는 제 2 자원의 현재값(e)과, 제 1 값(d1) 간의 조합(e, d1)에 해당하는 액션 정보(α, 901)를 제 2 자원의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80)로부터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40)는 제 2 자원의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에서 제 2 자원의 현재값(e)과, 제 1 값(d1) 간의 조합(e, d1)에 속하는 복수의 액션 정보 중에서 스코어가 가장 높은 액션 정보(α, 901)를 선택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240)는 제 2 자원의 현재값(e)과, 제 1 값(d1) 및 결정된 액션 정보(α)에 기초하여 제 2 자원에 대한 조정값(e+d1+α)을 도출하고, 도출된 제 2 자원에 대한 조정값에 기초하여 제 1 기지국(110)의 제 2 자원을 제어할 수 있다.
학습부(230)는 결정된 액션 정보(α, 901)에 따른 제 2 자원에 대한 조정값을 통해 제 1 기지국(110)의 제 2 자원이 제어된 이후, 제 2 자원이 제어된 제 1 기지국의 적정 접속량 정보(PAUE) 및 현재 접속량 정보(AUE) 간의 차이값을 다시 도출하고, 도출된 제 1 기지국의 적정 접속량 정보(PAUE) 및 현재 접속량 정보(AUE) 간의 차이값을 제 1 기지국의 안정 상태 정보로서 설정할 수 있다.
학습부(230)는 제 1 기지국의 안정 상태 정보의 상태 정보에 따라 제 1 기지국(110)의 제 2 자원 제어에 사용된 직전의 액션 정보(α)에 부여할 리워드를 기정의된 상태 리워드 테이블(90)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리워드를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 중 해당 액션 정보에 대응하는 스코어에 반영함으로써 제 2 자원의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80)을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기지국의 안정 상태 정보가 안정 상태(Stable State)인 경우, 액션 정보(α)에 부여될 리워드는 +1점(903)이 될 수 있다. 이 때, +1점(903) 리워드는 제 2 자원의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80) 중 해당 액션 정보(α)에 대응하는 스코어에 반영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 기지국의 안정 상태 정보가 과도한 상태(Excessive State)인 경우, 액션 정보(α)에 부여될 리워드는 -1점(905)이고, 다른 액션 정보(α-1)에 부여될 리워드는 +1점(907)이 될 수 있다. 이 때, -1점(905) 리워드는 제 2 자원의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80) 중 해당 액션 정보(α)에 대응하는 스코어에 반영되고, +1점(907) 리워드는 제 2 자원의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80) 중 다른 액션 정보(α-1)에 대응하는 스코어에 반영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 기지국의 안정 상태 정보가 불안정 상태(Unstable State)인 경우, 액션 정보(α)에 부여될 리워드는 -1점(909)이 적용되고, 다른 액션 정보(α+1)에 부여될 리워드는 +1점(911)이 될 수 있다. 이 때, -1점(909) 리워드는 제 2 자원의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80) 중 해당 액션 정보(α)에 대응하는 스코어에 반영되고, +1점(911) 리워드는 제 2 자원의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80) 중 다른 액션 정보(α+1)에 대응하는 스코어에 반영될 수 있다.
한편, 당업자라면, 수집부(200), 좌표 평면 생성부(210), 도출부(220), 학습부(230) 및 제어부(24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10은 제 1 기지국(110)의 자원을 제어하는 제어 모델의 강화학습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S1001에서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제 1 기지국(110)에 대한 현재 접속량 정보(AUE)가 도출된 제 1 기지국(110)에 대한 적정 접속량 정보(PAUE)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1003에서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제 1 기지국(110)에 대한 현재 접속량 정보가 도출된 제 1 기지국(110)에 대한 적정 접속량 정보보다 큰 경우, 제 1 기지국(110)의 접속 상태가 과도한 트래픽 상태이므로 제 1 기지국(110)의 자원 중 제 2 자원(E-Tilt)에 대한 조정값을 계산할 수 있다.
S1005에서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계산된 제 1 기지국(110)의 제 2 자원에 대한 조정값이 제 1 기지국(110)에서 수용 가능한 제 2 자원의 수용 범위 내에 속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제 1 기지국(110)의 제 2 자원에 대한 현재 여유량을 파악할 수 있다.
S1007에서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제 2 자원에 대한 현재 여유량이 존재하는 경우, 계산된 제 1 기지국(110)의 제 2 자원에 대한 조정값에 기초하여 기정의된 제 2 자원의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에 대하여 강화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S1009에서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제 2 자원에 대한 현재 여유량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제 1 기지국(110)의 제 1 자원에 대한 조정값을 계산할 수 있다.
S1011에서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계산된 제 1 기지국(110)의 제 1 자원에 대한 조정값이 제 1 기지국(110)에서 수용 가능한 제 1 자원의 수용 범위 내에 속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제 1 기지국(110)의 제 1 자원에 대한 현재 여유량을 파악할 수 있다.
S1013에서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제 1 자원에 대한 현재 여유량이 존재하는 경우, 계산된 제 1 기지국(110)의 제 1 자원에 대한 조정값에 기초하여 기정의된 제 1 자원의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에 대하여 강화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S1015에서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제 1 자원에 대한 현재 여유량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제 1 기지국(110)의 자원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는 제 2 자원의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에 대한 강화학습이 완료되거나 제 1 자원의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에 대한 강화학습이 완료되면, 제 1 기지국(110)의 자원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001 내지 S1005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계 S1101에서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기지국에 대한 무선 환경 관련 지표를 수집할 수 있다.
단계 S1103에서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수집된 무선 환경 관련 지표 중 기지국에 대한 접속량 정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지표를 선정하고, 선정된 지표에 기초하여 기지국에 대한 적정 접속량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단계 S1105에서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도출된 기지국의 적정 접속량 정보 및 기지국의 접속량 정보에 기초하여 기지국의 자원을 제어하는 제어 모델의 강화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1107에서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강화학습된 제어 모델에 기초하여 도출된 기지국에 대한 액션 정보를 도출하고, 도출된 액션 정보를 통해 기지국의 자원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01 내지 S1107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
110: 기지국
200: 수집부
210: 좌표 평면 생성부
220: 도출부
230: 학습부
240: 제어부
110: 기지국
200: 수집부
210: 좌표 평면 생성부
220: 도출부
230: 학습부
240: 제어부
Claims (18)
-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기지국에 대한 무선 환경 관련 지표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수집된 무선 환경 관련 지표 중 상기 기지국에 대한 접속량 정보(AUE, Active User Equipment)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지표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지표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에 대한 적정 접속량 정보(PAUE, Proper Active User Equipment)를 도출하는 도출부;
상기 도출된 적정 접속량 정보 및 상기 접속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의 자원을 제어하는 제어 모델의 강화학습을 수행하는 학습부; 및
상기 강화학습된 제어 모델에 기초하여 도출된 상기 기지국에 대한 액션 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액션 정보를 통해 상기 기지국의 자원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인, 서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출부는 상기 선정된 지표 및 상기 접속량 정보 간의 상관도 분석을 통해 상기 선정된 지표에 대한 가중치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상기 적정 접속량 정보를 도출하는 것인, 서버.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지표를 N차원 좌표 평면의 축으로 설정하고, 상기 선정된 지표 각각에 대응하는 축의 길이를 상기 선정된 지표 각각에 대한 가중치로 설정하여 상기 N차원 좌표 평면을 생성하고, 상기 N차원 좌표 평면 내에 상기 기지국에 해당하는 상기 선정된 지표를 좌표화하여 표현하는 좌표 평면 생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서버.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출부는 상기 N차원 좌표 평면의 원점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해당하는 상기 선정된 지표의 좌표까지의 거리값 및 상기 원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최저 기준 좌표까지의 거리값에 기초하여 상기 적정 접속량 정보를 도출하는 것인, 서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량 정보가 상기 적정 접속량 정보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적정 접속량 정보 및 상기 접속량 정보 간에 차이값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의 자원에 대한 조정값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조정값을 통해 상기 기지국의 자원을 제어하고,
상기 학습부는 상기 도출된 기지국의 자원에 대한 조정값에 기초하여 기정의된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에 대해 상기 제어 모델의 강화학습을 수행하는 것인, 서버.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의 자원 제어에 대한 액션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액션 정보를 통해 상기 기지국의 자원을 더 제어하는 것인, 서버.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의 현재 자원값과 상기 적정 접속량 정보 및 상기 접속량 정보 간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로부터 상기 기지국의 자원 제어에 대한 액션 정보를 결정하는 것인, 서버.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기지국의 자원 제어에 대한 액션 정보는 상기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에 포함된 복수의 액션 정보 중 스코어가 높은 액션 정보인 것인, 서버.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부는 상기 결정된 액션 정보를 통해 상기 기지국의 자원이 제어된 이후, 상기 자원이 제어된 기지국의 적정 접속량 정보 및 접속량 정보 간에 차이값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차이값에 대응하는 상기 기지국의 안정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기정의된 상태 리워드 테이블로부터 리워드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리워드를 상기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 중 상기 결정된 액션 정보에 대응하는 스코어에 반영하여 상기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을 갱신하는 것인, 서버.
-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에 대한 무선 환경 관련 지표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무선 환경 관련 지표 중 상기 기지국에 대한 접속량 정보(AUE, Active User Equipment)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지표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지표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에 대한 적정 접속량 정보(PAUE, Proper Active User Equipment)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도출된 적정 접속량 정보 및 상기 접속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의 자원을 제어하는 제어 모델의 강화학습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강화학습된 제어 모델에 기초하여 도출된 상기 기지국에 대한 액션 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액션 정보를 통해 상기 기지국의 자원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선정된 지표 및 상기 접속량 정보 간의 상관도 분석을 통해 상기 선정된 지표에 대한 가중치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도출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상기 적정 접속량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지표를 N차원 좌표 평면의 축으로 설정하고, 상기 선정된 지표 각각에 대응하는 축의 길이를 상기 선정된 지표 각각에 대한 가중치로 설정하여 상기 N차원 좌표 평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N차원 좌표 평면 내에 상기 기지국에 해당하는 상기 선정된 지표를 좌표화하여 표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N차원 좌표 평면의 원점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해당하는 상기 선정된 지표의 좌표까지의 거리값 및 상기 원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최저 기준 좌표까지의 거리값에 기초하여 상기 적정 접속량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자원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량 정보가 상기 적정 접속량 정보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적정 접속량 정보 및 상기 접속량 정보 간에 차이값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도출된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의 자원에 대한 조정값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도출된 조정값을 통해 상기 기지국의 자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델의 강화학습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도출된 기지국의 자원에 대한 조정값에 기초하여 기정의된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에 대해 상기 제어 모델의 강화학습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자원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의 자원 제어에 대한 액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액션 정보를 통해 상기 기지국의 자원을 더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자원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의 현재 자원값과 상기 적정 접속량 정보 및 상기 접속량 정보 간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로부터 상기 기지국의 자원 제어에 대한 액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델의 강화학습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액션 정보를 통해 상기 기지국의 자원이 제어된 이후, 상기 자원이 제어된 기지국의 적정 접속량 정보 및 접속량 정보 간에 차이값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도출된 차이값에 대응하는 상기 기지국의 안정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기정의된 상태 리워드 테이블로부터 리워드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도출된 리워드를 상기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 중 상기 결정된 액션 정보에 대응하는 스코어에 반영하여 상기 액션별 스코어 관리 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기지국에 대한 무선 환경 관련 지표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무선 환경 관련 지표 중 상기 기지국에 대한 접속량 정보(AUE, Active User Equipment)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지표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지표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에 대한 적정 접속량 정보(PAUE, Proper Active User Equipment)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적정 접속량 정보 및 상기 접속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의 자원을 제어하는 제어 모델의 강화학습을 수행하고,
상기 강화학습된 제어 모델에 기초하여 도출된 상기 기지국에 대한 액션 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액션 정보를 통해 상기 기지국의 자원을 제어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3691A KR20210146644A (ko) | 2020-05-27 | 2020-05-27 |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3691A KR20210146644A (ko) | 2020-05-27 | 2020-05-27 |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46644A true KR20210146644A (ko) | 2021-12-06 |
Family
ID=78901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3691A KR20210146644A (ko) | 2020-05-27 | 2020-05-27 |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146644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12140B1 (ko) | 2011-07-12 | 2017-12-26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이종의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통신 시스템, 이를 운영하는 복합 펨토셀 기지국, 및 이의 운영 방법 |
-
2020
- 2020-05-27 KR KR1020200063691A patent/KR20210146644A/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12140B1 (ko) | 2011-07-12 | 2017-12-26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이종의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통신 시스템, 이를 운영하는 복합 펨토셀 기지국, 및 이의 운영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780495A1 (en) | Model updating method, device, and system | |
CN110139325B (zh) | 一种网络参数调优方法及装置 | |
EP2337395A1 (en) | Cell load balancing method, cell load measuring method and devices thereof | |
US12057902B2 (en) | Method and device of communic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n open radio access network | |
US20200128441A1 (en) | Service aware load imbalance detection and root cause identification | |
US20200127901A1 (en) | Service aware uplink quality degradation detection | |
CN109561454B (zh) | 网络优化方法和装置 | |
CN112073991B (zh) | 一种接入网的业务处理方法及设备 | |
KR20090080723A (ko) | 무선망 설계 장치 및 방법 | |
CN103081537B (zh) | 用于许可控制的通信设备、方法和计算机可实现的产品 | |
EP4395209A1 (en) | Data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omputer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 |
EP3291621A1 (en) | Resource allo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and base station | |
WO2022118083A1 (en) | Dynamic multi-access policy generation | |
KR20210146644A (ko) |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
KR102348948B1 (ko) | 머신 타입 통신을 위한 송신 전력의 제어를 위한 평균장 게임 프레임워크 기반 기법 | |
US11864158B2 (en) | Distributed method for allocating transmission resources to D2D terminals in a cellular access network | |
EP3360360B1 (en) | System and method for load rebalancing | |
CN104837192A (zh) | 基于负载的功率控制方法及装置 | |
CN102404778A (zh) | 一种负载估测方法 | |
Oliveira et al. | Mapping network performance to radio resources | |
CN102724677B (zh) | 一种过载指示阈值动态调整系统与调整方法 | |
CN105827536A (zh) | 一种终端接入网的流量调度方法及系统 | |
CN115119248B (zh) | 网络切片的资源共享方法及装置 | |
EP3989609B1 (en) | Method for processing a mib message of lte system message, base station, and storage medium | |
CN107949011A (zh) | 一种自适应的感知窗口调整方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