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6602A - 데코레이션 기능의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데코레이션 기능의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6602A
KR20210146602A KR1020200063571A KR20200063571A KR20210146602A KR 20210146602 A KR20210146602 A KR 20210146602A KR 1020200063571 A KR1020200063571 A KR 1020200063571A KR 20200063571 A KR20200063571 A KR 20200063571A KR 20210146602 A KR20210146602 A KR 20210146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water
decoration
air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엠테크
Priority to KR1020200063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6602A/ko
Publication of KR20210146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660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 F24F8/26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using oz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이온 및 오존을 발생시켜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의 전면부에 물이 흘러내릴 수있는 데코레이션용 폭포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청정기의 상단에는 부드러운 불빛을밝히는 조명장치를, 공기청정기의 측면에는 아름다운 음향을 발생하는 스피커를 설치함으로서, 단순히 음이온 및 오존만을 발생시켜 공기를 정화하던 공기청정기에 물의 포집(먼지를 흡착하는)기능을 부가하여 공기청정기의 집진 및 공기 정화능력을 향상시키고, 외형적으로는 상기 공기청정기가 조명장치와 함께 폭포형 데코레이션의 장식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 즐거움을 주는 한편, 실내장식용 전등과 인테리어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담당하게 하며,또한 공기청정기의 측면에 부착된 음향장치에서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물소리 새소리 등이 사용자의 선택에따라 출력될 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에게 청각적 즐거움을 주도록 함과 아울러, 음이온 및 오존 발생장치에서 발생된 음이온 및 오존은 UV램프에서 발생되는 자외선과 함께 실내의 공기정화뿐만 아니라 폭포형 인테리어에 사용되는 물의 정화 및 살균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폭포형 데코레이션에 사용되는 물의 오염을 방지하여 데코레이션이 보다 깨끗한 장식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포형 데코레이션 기능을 구비한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데코레이션 기능의 공기조화기{The air cleaner with decoration function}
본 고안은 음이온 및 오존을 발생시켜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의 전면부에 물이 흘러내릴 수있는 데코레이션용 폭포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청정기의 상단에는 부드러운 불빛을 밝히는 조명장치를, 공기청정기의 측면에는 아름다운 음향을 발생하는 스피커를 설치함으로서, 단순히 음이온 및 오존만을 발생시켜 공기를 정화하던 공기청정기에 물의 포집(먼지를 흡착하는)기능을 부가하여 공기청정기의 집진 및 공기 정화능력을 향상시키고, 외형적으로는 상기 공기청정기가 조명장치와 함께 폭포형 데코레이션의 장식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 즐거움을 주는 한편, 실내장식용 전등과 인테리어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담당하게 하며, 또한 공기청정기의 측면에 부착된 음향장치에서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물소리 새소리 등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출력될 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에게 청각적 즐거움을 주도록 함과 아울러, 음이온 및 오존 발생장치에서 발생된 음이온 및 오존은 UV램프에서 발생되는 자외선과함께 실내의 공기정화뿐만 아니라 폭포형 인테리어에 사용되는 물의 정화 및 살균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폭포형 데코레이션에 사용되는 물의 오염을 방지하여 데코레이션이 보다 깨끗한 장식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포형 데코레이션 기능을 구비한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복잡한 현대 문명사회는 그 문명의 발달과 함께 사회에 대한 심각한 공해문제를 야기시켜 왔고, 특히 대기와 수질의 오염은 매우 심각한 상황에 이르러 이제 이러한 공해문제는 그 해결을 정부나 사회의 특정단체에만 맡기기에는 너무 어려운 문제가 되었다.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한 현대인들은 각 가정 또는 회사에서 자체적으로 대기 및 수질의 오염에 대처하는 방안을 강구하기 시작하였고,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나 정수기 같은 생활환경제품들이 새롭게 관심을 끌고 있다.
현대인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야간에는 아파트에서, 주간에는 학교, 사무실, 호텔, 음식점 등과 같은 도심의 밀폐된 내부 공간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자동차의 배기가스나 담배연기, 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은 물론 진드기, 곰팡이, 바이러스균과 꽃가루, 단열재, 페인트 등에서 떨어지는 각종 고분자 화학물질이나 석면가루 등 환경을 오염시키는 여러 인자들에둘러싸여 생활하고 있으며, 그러한 오염요인들로 인하여 현대문명의 병이라고 할 수 있는 피부질환과 알레르기, 호흡기장애 등과 같은 각종의 환경질병에 시달리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현대인들은 상기와 같이 오염된 실내공기를 맑게 정화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그와 같은 노력의 일환으로 개발된 것이 공기청정기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공기중의 먼지와 냄새 및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실내의 대기상태를 청정하게 유지함으로서사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함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공기청정기는 아주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있다. 우선 대규모의 빌딩이나 공장 등과 같은 곳에서는공기조화설비에 의해 대량으로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는 설비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 가정이나 소규모의 사무실 에서는 그러한 대규모의 설비를 갖출 수 없기 때문에 크기가 작고 취급이 간편한 공기청정기를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언론 보도 등을 통해 오래된 대형 빌딩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공기조화기가 그 운용상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오히려 실내의 공기를 오염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이 알려지자 대형 건물에 입주한 사람들조차도 별도의 공기청정기를구비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근래에는 에어컨에 부착된 필터식 집진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단순히 집진기능만을 수행하고 있을 뿐이며, 최근에는 이러한 집진장치의 오염이 오히려 실내의 공기 오염을 더 가중되는 문제점도 있어 각 가정이나 사무실 에서는 별도의 공기청정기를 비치해 놓고 이를 가동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요즈음 가정용이나 소규모의 사무실용 공기청정기가 다수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으며 이러한 수요에 부응하여 나타난 것이 음이온 및 오존발생장치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음이온 및 오존 발생장치는 단순히 음이온과 오존만을 발생시켜 공기를 정화시키거나 음이온이 형성된 집진필터에 의해 대기중의 먼지를 여과하는 정도에 머무르고 있어 공기의 정화능력이 떨어짐은 물론, 아파트와 같이 고온 건조한 장소에서는 실내의 보습을 위한 별도의 보습장치를 설치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기청정기는 장치의 특성상 사람들이 자주 이용하는 공간에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므로 실내의 주요 공간에 설치된 공기청정기가 실내의 미관을 해치는 역할을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그 문화적 욕구가 높아져 실내 인테리어에 많은 신경을 쓰고 있고, 적지 않은 자금을 실내장식에 투자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난방등으로 인하여 건조해진 실내에 보습효과를 줄 수 있는 별도의 장치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상기한 두 가지 필요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근래 물을 이용한 인테리어 제품이 다수 출시되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폭포형 데코레이션이다.
그러나 상기 제품은 제품의 장식적 효과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하여 실내의 가장 중요한 공간에 눈에 잘 띄도록 비치하게 된다. 따라서 동 제품은 공기청정기와는 별도의 설치 공간을 요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물이 오염되지 않도록 자주 물을 바꾸어 주거나 물에 접하는 부분에 물때가 끼어 지저분해지지 않도록 이를 수시로 청소를 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 물때가 끼게 되면 물때에 의해 실내의 장식적 효과가 현저히 떨어질 뿐만 아니라 물이 오염되어 미생물이 번식하게 될 경우 실내의 보습효과를 기대하기는 커녕 오염된 물로 인한 실내의 위생을 걱정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기청정기와 폭포형 데코레이션을 결합함으로서 폭포형 데코레이션의 포집기능에 힘입어 공기청정기의 집진 및 공기 정화능력이 더욱 향상되도록 하고,
공기청정기에서 발생되는 음이온 및 오존에 의해 폭포형 데코레이션에 사용되는 물에 용존 산소를 높여주어 물이 자연 정화되도록 함으로서 물의 오염을 방지하고 아울러 물의 사용기간을 길게 할 뿐만 아니라, UV 램프에서 방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물속의 미생물을 살균함으로서 데코레이션용 폭포에서 수면과 접하는 부분이 물때가 끼어 불결해 지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언제나 깨끗하게 실내가 장식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항상 청결한 상태로 실내 보습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공기청정기의 상부함 아래측에는 조명등을 부착하여 폭포의 장식적 기능을 더욱 부각시키는 한편, 상기 조명등이 실내등 또는 취침등으로서의 기능을 하도록 하고, 그 측부에 부착된 음향장치에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아름다운 소리(새소리, 물소리, 음악소리 등)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출력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시각적 효과에 더하여 음향효과에 의한 청각적 즐거움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원 고안은 음이온 및 오존을 발생시켜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청정기에 실내를 장식하기 위한 데코레이션용 폭포와 실내를 밝히는 조명장치 그리고 청각적 효과를 주기 위한 음향장치를 추가함으로서 좁은 공간 안에서 하나의 장치에 의해 공기를 청정시키는 효과와 함께 실내를 장식하는 이중의 효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청정기와 데코레이션용 폭포는 각각의 장치가 갖는 기능이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하도록 함으로서, 데코레이션용 폭포는 수질의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와 함께 공기청정기의 공기정화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부가적으로 얻는 이점이 있다.
또한 조명장치가 단순히 장식적인 기능에서 벗어나 실내등의 역할을 하도록 하고, 음향장치가 청각적 즐거움을 제공함 으로서 데코레이션 장치의 효과를 보다 입체화하는 결과를 얻는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고안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원 고안의 주요 구성은,
장치 전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지지부(91)와; 상기 지지부(91)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며 공기청정기와 폭포형 데코레이션의 본체를 이루는 몸체부(90)와; 상기 몸체부(90)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면서 크린에어 토출부(30)를 이루는 상부함(94)와; 상기 지지부(91)의 전면 상단에 위치하며 장치의 전체적인 기능을 조작하거나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조작부(10)와; 상기 지지부(91)의 전면 하단에 위치하면서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먼지를 걸러주는 에어흡입부(20)와; 상기 상부함(94)의 내부에 위치하며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크린에어 토출부(30)와;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위치하며 다양한 사각을 이룬 채 정수출수부(50)로부터 배출된 물을 흘러내리게 하는 사면부(60)와; 상기 지지부(91)의 상단에 위치하면서 사면을 타고 흘러내린 물을 받아 저장하고 정수하는 워터탱크부(40)와; 상기 몸체부의 상
단에 위치하고 상부함(94)의 하단에 위치하며 정수된 물을 사면으로 내보내는 정수출수부(50)와; 상부함의 하단에 위치하면서 장치의 전체적인 조명을 담당하는 조명부(70)와; 상기 몸체의 내부 후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에어흡입부(20)를 거쳐 흡입된 공기를 이동시키는 에어덕트(92)와; 상기 몸체의 내부 후면과 에어덕트(92) 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정수된 물을 이동시키는 정수관(93)과; 상기 본체부의 양 측면에 위치하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음향 중 사용자가 원하는 소리를 출력하는 음향부(70)와; 상기 에어턱트(92)의 중간에 위치하면서 음이온과 오존을 발생하는 음이온 및 오존발생부(96)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부(10)는 다시 기기의 조작을 하고 기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조작판넬(11)과;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각종 전자회로 소자가 배치된 PCB보드(12)미도시)와; 구성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3)(미도시)와;실내의 공기오염을 감지하기 위한 대기오염감지센서(14)와; 실내의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조도감지센서(15)와; 기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250)로;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흡입부(20)는 다시 흡입되는 오염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를 걸러내기 위한 에어필터(21)와; 오염된 공기를 유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22)와; 흡입구(22)를 통해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강제로 유인 흡입시키기 위한 흡
입팬(2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크린에어토출부(30)는 다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구(31)와; 정화된 공기를 강제로 밖으로 밀어내기 위한토출팬(3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워터탱크부(40)는 다시 사면을 타고 흘러내린 물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워터필터(41)와; 상기 필터를 거쳐 내려온 물을 일시 저장하기 위한 물탱크(42)와; 상기 물에 생존하고 있는 유해한 미생물을 살균하기 위한 U
V 램프(43)와; 상기 과정을 거쳐 정수된 물을 강제로 출수구까지 밀어 올리기 위한 워터펌프(44)와; 수질의 오염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수질오염감지센서(45)로; 이루어지며, 상기 정수출수부(50)는 다시 워터펌프(44)로부터 강제로 정수관(93)을 타고 공급된 물을 일시 저장하는 임시저장탱크(51)와; 상기 임시저장탱크(51)에 저장된 물이 넘쳐흐르면 이를 흘려보내는 출수구(52)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면부(60)는 다시 수직으로 물을 흘려 내려보내는 제1사면부 (61)와; 상기 제1사면부를 타고 흘러내린 물이 일시 멈추면서 와류를 이루도록 하기 위한 단부(64)와; 상기 단부(64)를 타고 흘러내린 물이 일부는 사면을 타고 흘러내
리고 일부는 자유낙하 하도록 역사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2사면부 (62)와; 상기 제2사면부(62)를 타고 흘러내린 물이 다시 완만한 흐름을 타면서 워터탱크부(40)로 입수되도록 보다 완만한 각을 형성한 제3사면(63)과; 상기 제1, 2,3사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여울을 이루도록 사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흐름턱(65)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한다.
우선 도 4에 표기된 전기회로적 구성은 본원 고안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전기적인 동작과정을 중심으로 분류한것이기 때문에 앞에 설명한 도 1 내지 도 3의 기계적 구성과는 차이가 있으며 동일한 구성도 다른 부호로 표현되고 있음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Claims (1)

  1. 장치 전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지지부(91)와; 상기 지지부(91)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며 공기청정기와 폭포형 데코레이션의 본체를 이루는 몸체부(90)와; 상기 몸체부(90)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면서 크린에어 토출부를 이루는 상부함(94)와; 상기 지지부(91)의 전면 상단에 위치하며 장치의 전체적인 기능을 조작하거나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조작부(10)와; 상기 지지부(91)의 전면 하단에 위치하면서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먼지를 걸러주는 에어흡입부(20)와; 상기 상부함(94)의 내부에 위치하며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크린에어 토출부(30)와;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위치하며 다양한 사각을 이룬 채 정수출수부로부터 배출된 물을 흘러내리게 하는 사면부(60)와;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위치하면서 사면을 타고 흘러내린 물을 받아 저장하고 정수하는 워터탱크부(40)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위치하고 상부함의 하단에 위치하며 정수된 물을 사면으로 내보내는 정수출수부(50)와; 상부함의 하단에 위치하면서 장치의 전체적인 조명을 담당하는 조명부(70)와; 상기 몸체의 내부 후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에어흡입부(20)를 거쳐 흡입된 공기를 이동시키는 에어덕트(92)와; 상기 몸체의 내부 후면과 에어덕트(92) 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정수된 물을 이동시키는 정수관(93)과; 상기 본체부의 양 측면에 위치하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음향 중 사용자가 원하는 소리를 출력하는 음향부(70)와; 상기 에어턱트(92)의 중간에 위치하면서 음이온과 오존을 발생하는 음이온및 오존발생부(96)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폭포형 데코레이션 기능을 갖는 공기 청정기
KR1020200063571A 2020-05-27 2020-05-27 데코레이션 기능의 공기조화기 KR202101466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571A KR20210146602A (ko) 2020-05-27 2020-05-27 데코레이션 기능의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571A KR20210146602A (ko) 2020-05-27 2020-05-27 데코레이션 기능의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602A true KR20210146602A (ko) 2021-12-06

Family

ID=78936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571A KR20210146602A (ko) 2020-05-27 2020-05-27 데코레이션 기능의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66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848442U (zh) 空气净化新风机
CN201195077Y (zh) 一种复合式室内空气净化交换系统
WO2017206119A1 (zh) 一种空气净化设备
KR100425569B1 (ko) 폭포형 데코레이션 기능을 갖는 공기 청정기
CN105698296A (zh) 新风智能生态净化器
CN206556142U (zh) 空气净化系统
CN108224669A (zh) 一种壁挂式多功能新风机
KR20210146602A (ko) 데코레이션 기능의 공기조화기
KR20100062020A (ko) 산업용 공기청정기
CN203507709U (zh) 立式高效室内空气净化机
CN203744413U (zh) 一种新型空气净化器
CN214581650U (zh) 一种智能化空气净化设备
KR200257544Y1 (ko) 폭포형 데코레이션 기능을 갖는 공기 청정기
CN212746826U (zh) 一种剧场空气净化装置
CN212566176U (zh) 一种平面直架可悬挂式空气净化器
CN212378149U (zh) 一种具有加湿香薰功能的空气净化装置
CN206803331U (zh) 一种空气净化过滤装置
KR20200002647U (ko) 조명겸용 공기청정기
CN204952540U (zh) 一种消除pm2.5的空气净化器
CN107435991B (zh) 居室空气净化系统
CN211177340U (zh) 一种新风系统集成风口
CN213931366U (zh) 稳净空气消毒净化一体器
CN103206756A (zh) 一种多功能等离子空气净化机
CN211204286U (zh) 一种与窗户结合的空气净化器
CN217082821U (zh) 一种室内通风与空气净化循环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