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6508A - 길이표시부를 갖는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필라멘트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봉합사 - Google Patents

길이표시부를 갖는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필라멘트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봉합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6508A
KR20210146508A KR1020200063349A KR20200063349A KR20210146508A KR 20210146508 A KR20210146508 A KR 20210146508A KR 1020200063349 A KR1020200063349 A KR 1020200063349A KR 20200063349 A KR20200063349 A KR 20200063349A KR 20210146508 A KR20210146508 A KR 20210146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length
filament
manufacturing
monofila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메디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메디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메디언스
Priority to KR1020200063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6508A/ko
Publication of KR20210146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65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8Yarns or threads for use in medical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1Sutures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7Indication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ath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합사의 표면에 축방향으로 길이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길이표시부가 형성됨으로써, 시술시 피부 내부로 삽입된 봉합사의 깊이와 길이의 파악이 용이하여 수술시간을 단축하고 또한 의료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필라멘트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봉합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길이표시부를 갖는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필라멘트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봉합사 { Filament having length indication and su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봉합사의 표면에 축방향으로 길이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길이표시부가 형성되어 환자의 상처부위의 봉합시 피에 묻은 봉합사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조직의 봉합시 사용된 봉합사의 길이를 용이하게 파악함으로써 의료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길이표시부를 갖는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필라멘트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봉합사에 관한 것이다.
봉합사는 혈관을 결찰하여 지혈효과를 부여하거나, 수술절개조직을 봉합함으로써, 손상받은 조직이 치유될 때까지 조직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는 의료용 도구이다.
이러한 봉합사는 재료에 따라서 생분해성되는 흡수성 봉합사와 생분해 되지 아니하여 일정 시간의 경과 후에 제거해야 하는 비흡수성 봉합사로 나뉜다.
흡수성 봉합사는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polyhydroxybutyrate) 및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파라-디옥사논(p-dioxanone), 글리콜라이드(glycolide), 엘-락타이드(L-lactide), 디-락타이드(D-lactide), ε-카프로락톤(ε-caprolactone), 및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trimethylenecabonate)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모노머를 공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봉합사는 주로 성형 수술시 사용되거나, 피부 고정 및 연한 조직의 봉합에 사용된다.
반면에 비흡수성 봉합사는 나일론 6(Nylon 6), 나일론 66(Nylon 66),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등으로 제조되며, 주로 심장, 혈관, 정형외과 수술 시 사용된다.
최근에 난해한 외과 수술에서 외과의사들이 봉합사가 혈액 및 조직과 보다 잘 대비되어 상기 봉합사의 말단의 구별이 용이하고, 수술하는 동안 봉합사의 이동 방향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봉합사를 착색하게 된다.
이러한 봉합사에 대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5-0016667호에는 봉합사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착색된 수술용 봉합사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45436호에는 봉합사에 침착되어, 외부 환경의 변경에 따라 상기 봉합사의 색과는 다른 색을 발현하는 색 발현 물질을 구비하는 기능성 봉합사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라 제조된 봉합사의 경우에는 봉합사에 착색된 색상이 오로지 단색으로서, 일반적인 외과 수술 시에는 별다른 문제로 작용하지 않지만, 최근에 많이 시술되고 있는 복강경을 이용한 수술 시에는 대단히 큰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즉, 시술 부위가 완전히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수술에서는 봉합사의 상단과 하단이 혼동될 우려가 없지만, 5 cm 크기의 작은 구멍을 뚫고 내시경을 집어넣어 복강 내부를 보면서 진행하는 수술의 경우에는 봉합사의 상단과 하단이 혼동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또한, 봉합사를 체내에서 봉합한 후, 체외로 인출할 때에도 상단과 하단이 혼동되어 여러 가닥의 봉합사가 꼬이거나 빠져버리는 등의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봉합시술시 봉합에 사용된 봉합사의 길이의 파악이 용이하지 아니하여 환부를 적절하게 봉합했는지에 대한 판단이 매우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수술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이를 재봉합하는 경우에는 봉합부위를 더욱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봉합사의 표면에 축방향으로 길이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길이표시부가 형성됨으로써, 시술시 피부 내부로 삽입된 봉합사의 깊이와 길이의 파악이 용이하여 수술시간을 단축하고 또한 의료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필라멘트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봉합사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길이표시부를 갖는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필라멘트는 의료용 봉합사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써, 축방향을 따라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길이를 표시하는 길이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길이표시부는 눈금, 색상, 숫자, 문자 및 기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길이표시부는 상기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모노 필라멘트(100) 또는 멀티 필라멘트(200)의 일측에 또는 원주면 전체에 형성되며, 상기 길이표시부는 생체적합성 염료 또는 안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생체적합성 염료 또는 안료의 착색되는 양은 의료용 봉합사의 전체중량에 대해서 0.001 ∼ 0.02 중량%이며, 상기 필라멘트는 모노 필라멘트(100) 또는 멀티 필라멘트(200)이며, 상기 멀티 필라멘트(200)는 상기 모노 필라멘트(100)가 합사 또는 블레이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외과수술시 조직을 봉합할 때 사용되는 봉합사의 표면에 축방향으로 길이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길이표시부를 형성함으로써, 시술자가 봉합 부위의 깊이와 봉합시 사용된 봉합사의 길이 파악이 용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시술자가 환부를 적절하게 봉합했는 지에 대한 판단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수술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봉합사가 시술된 깊이 및 사용된 길이를 쉽게 인지할 수 있으므로, 신체를 완전히 절개하지 않고 관절경 혹은 복강경을 통해 체내를 모니터링 하면서 봉합할 때에 봉합사의 상부와 하부의 식별이 용이하고, 시술 부위의 봉합사를 혼동하여 매듭짓거나 또는 봉합사가 꼬이거나 풀리는 의료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의료용 봉합사의 제조시 사용되는 모노 필라멘트(a)와 상기 모노 필라멘트(100)가 합사된 멀티 필라멘트(b) 및 상기 모노 필라멘트(100)가 블레이딩된 멀티 필라멘트(c)의 모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표시부가 형성된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모노 필라멘트(100)의 모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표시부가 형성된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멀티 필라멘트(200)의 모식도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필라멘트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봉합사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 1은 의료용 봉합사의 제조시 사용되는 모노 필라멘트(a)와 상기 모노 필라멘트(100)가 합사된 멀티 필라멘트(b) 및 상기 모노 필라멘트(100)가 블레이딩된 멀티 필라멘트(200)(c)의 모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표시부가 형성된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모노 필라멘트(100)의 모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표시부가 형성된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멀티 필라멘트(200)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필라멘트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을 따라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길이를 표시하는 길이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길이표시부는 색상, 눈금, 숫자, 문자 및 기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술용 봉합사는 도 1의 (a)와 같이 모노 필라멘트(100)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노 필라멘트(100)의 복수 개를 합하여 멀티 필라멘트(200)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멀티 필라멘트(200)로서 도 1의 (b)와 같이 상기 모노 필라멘트(100)의 복수 개를 합사(合絲)하여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도 1의 (c)와 같이 상기 모노 필라멘트(100)의 복수 개를 블레이딩(braiding) 공정을 거쳐 제조된 멀티 필라멘트(200)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봉합사를 구성하는 폴리머는 생체 흡수성 폴리머 또는 생체 비흡수성 폴리머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생체 흡수성 폴리머라 함은 생체 내에 존재하는 물이나 효소 등에 의해 폴리머가 저분자화되어 신진 대사 등을 통해 분해/배출될 수 있는 폴리머를 의미한다.
상기 생체 흡수성 폴리머는 구체적으로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polyhydroxybutyrate) 및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파라-디옥사논(p-dioxanone), 글리콜라이드(glycolide), 엘-락타이드(L-lactide), 디-락타이드(D-lactide), ε-카프로락톤(ε-caprolactone), 및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trimethylenecabonate)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모노머를 공중합하여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생체 비흡수성 폴리머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또는 나일론 6, 나일론 66 등과 같은 폴리아마이드(polyamides) 등의 단일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생체 흡수성 폴리머 또는 생체 비흡수성 폴리머로 제조되는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필라멘트는 모노 필라멘트(100) 또는 멀티 필라멘트(200)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상기 모노 필라멘트(100)는 도 1의 (a)와 같이 한 가닥으로 구성되는 섬유를 가리키며, 멀티 필라멘트(200)는 도 1의 (b) 및 (c)와 같이 여러 개의 모노 필라멘트(100)가 겹쳐진 섬유를 가리킨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필라멘트(200)는 도 1의 (b) 및 (c)와 같이 상기 모노 필라멘트(100)의 복수 개를 합사(合絲) 또는 블레이딩(braiding)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도 1의 (b)는 8 가닥의 모노 필라멘트(100)들이 합사된 멀티 필라멘트(200)의 모식도이며, 도 1의 (c)는 3 가닥의 모노 필라멘트(100)들이 블레이딩된 멀티 필라멘트(200)의 모식도이다.
도 1의 (b)와 같이, 복수 개의 모노 필라멘트(100)가 합사되어 제조되는 멀티 필라멘트(200)는 합사기를 이용하여 상기 모노 필라멘트(100)를 합사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합사기는 두 가닥 이상의 모노 필라멘트(100)를 합사시키는 장치를 가리킨다. 이 때 합사시 꼬임(twist)을 부여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모노 필라멘트(100)의 합사시 꼬임을 부여하게 되면, 멀티 필라멘트(200)의 강력과 신도를 양호하게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멀티 필라멘트(200)의 단면 형상을 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봉합 시술시 환자의 고통을 저감할 수 있게 되고, 꼬임을 적절하게 부여하게 되면 상기 멀티 필라멘트(200)의 표면을 부드럽게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의 (c)와 같이, 복수 개의 모노 필라멘트(100)가 블레이딩된 멀티 필라멘트(200)는 상기 모노 필라멘트(100)를 서로 교차하여 긴 쪽 방향으로 섬유가 경사지도록 배향하고, 끝부분에서 되접어 꺽어 절단됨이 없이 연속된 상태로 제조하는 편조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모노 필라멘트(100)를 합사 또는 블레이딩하여 제조된 멀티 필라멘트(200)는 인장력이 커서, 시술후 외력에 의해 시술 부위가 잘 벌어지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합사 및 블레이딩 공정은 본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와 관련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멀티 필라멘트(200)는 모노 필라멘트(100)의 5 ~ 24가닥을 합사 또는 블레이딩하여 굵기와 강도를 다양하게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5가닥 미만의 모노 필라멘트(100)가 합사 또는 블레이딩되어 제조되는 봉합사의 경우에는 인장 강도가 약하고, 시술후 강도 유지율이 급격히 저하되어 시술 부위가 벌어지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24가닥을 초과하는 모노 필라멘트(100)를 합사 또는 블레이딩되어 제조되는 봉합사의 경우에는 굵기가 커서 시술시 출혈과 통증을 유발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 멀티 필라멘트(200)는 5 ~ 24가닥의 모노 필라멘트(100)를 합사 또는 블레이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모노 필라멘트(100)의 섬도는 100 내지 10,000 데니어인 것이 바람직하며, 멀티 필라멘트(200)의 굵기는 0.03 내지 2.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모노 필라멘트(100)의 합사시 봉합사의 강도와 표면의 거칠기 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추가로 꼬임(twist)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필라멘트에 형성되는 길이표시부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필라멘트의 축방향을 따라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길이를 표시하는 길이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길이표시부는 색상, 눈금, 숫자, 문자 및 기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표시부가 형성된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모노 필라멘트(100)의 모식도로서, 상기 길이표시부는 도 2의 (a)와 같이 서로 다른 3가지의 색상(101, 102, 103)을 적절한 길이로 착색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모노 필라멘트(100)는 제 1 색상(101)을 착색하고, 상기 제 1 색상(101)의 옆을 제 2 색상(102)으로 착색하게 된다. 상기 제 2 색상(102)의 옆은 동일하게 제 3 색상(103)으로 착색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 1, 2, 3 색상(101, 102, 103)을 반복하여 착색함으로써 길이표시부를 형성하게 된다.
도 2에서는 길이표시부를 서로 다른 3가지의 색상(101, 102, 103)을 이용하여 착색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길이표시부를 형성하기 위한 색상의 갯수는 적절하게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2의 (a)와 같이, 색상으로 형성되는 길이표시부는 봉합사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착색을 함으로써, 시술시 피부 내부로 삽입된 봉합사의 길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길이표시부를 착색에 의하여 형성되는 색상으로 나타낼 때에는 염료 또는 안료를 사용하여 형성함으로써 모노 필라멘트(100) 또는 멀티 필라멘트(200)의 표면에 길이표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염료 또는 안료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인체 무해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시술 후, 환부로부터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혈액과 보색관계인 색상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바람직한 일례로서 봉합사를 수술시 주변조직이나 피로부터 육안에 의한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붉은 색과 보색관계에 있는 녹색, 청색, 남색, 보라색, 검정색 등으로 착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길이표시부를 형성하기 위한 염료는 인체에 적용가능한 염료 즉, C. I. Basic violet 10, C. I. acid red 14, Solvent violet 3, Solvent Geen 3 등과 같은 공지된 인체적합성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길이표시부를 형성하기 위한 안료는 인체에 적용가능한 안료 즉, 솔벤트 블루 97과 솔벤트 바이올릿 36, 솔벤트 그린 28 및 Pigment Red 57-1 등과 같은 공지된 인체적합성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신체적합성 염료와 안료를 이용하여 모노 필라멘트(100)와 멀티 필라멘트(200)를 염색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공지의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이 모노 필라멘트(100)와 멀티 필라멘트(200)를 염색하기 위한 공지된 염색방법으로는 스프레이 염색 등이 있다. 즉, 모노 필라멘트(100)와 멀티 필라멘트(200)의 표면에 상기 신체적합성 염료 또는 안료를 이용하여 제조된 소정의 색상을 갖는 염색액을 스프레이 스핀들을 이용하여 상기 모노 필라멘트(100)와 멀티 필라멘트(200)에 분사함으로써 연속적으로 다양한 색상과 2가지 이상의 색상으로 용이하게 염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길이표시부의 형성시 상기 모노 필라멘트(100)와 멀티 필라멘트(200)에 착색되는 염료 또는 안료의 양은 매우 광범위하게 달라질 수 있다. 즉, 수술용 봉합사는 일반 실들과는 달리 생체조직에 사용되기 때문에 봉합사에 사용되는 염료와 안료는 인체에 해가 없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착색시 염료 또는 안료의 양은 건조 후에, 상기 모노 필라멘트(100)와 멀티 필라멘트(200) 총 중량의 0.001 ~ 0.02 중량%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길이표식부는 다양한 색상으로 착색될 수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 형광색으로 착색되어 시술자가 길이표시부로부터 봉합에 사용된 봉합사의 길이를 더욱 쉽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남은 길이를 더욱 확실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길이표시부는 도 2의 (b) 및 (c)와 같이 마킹 또는 인쇄 등을 통해 형성이 가능하다. 즉, 도 2의 (b)는 모노 필라멘트(100)의 표면에 길이표시부를 눈금(110)으로 마킹 또는 인쇄한 것이며, 또한 도 2의 (c)는 길이표시부를 로마 숫자(120)로 마킹 또는 인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길이표시부는 필라멘트의 표면의 일측에 센티미터(cm) 단위의 길이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인치(inch) 단위의 길이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길이표시부는 5cm 또는 10 cm 와 같이 등간격으로 색상, 눈금, 숫자, 문자 및 기호 등의 표기 방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길이표시부는 봉합사의 말단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봉합사의 말단부에 10 cm, 20 cm, 30 cm, 50 cm 또는 1 m의 단위로 길이표시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눈금, 숫자, 문자 또는 기호 등으로 형성되는 길이표시부는 레이저 마킹으로 형성이 가능하다. 레이저 마킹은 레이저 빔(beam)으로 대상물을 마킹하거나 라벨링하는 것을 가리킨다. 상기 레이저 마킹은 높은 정밀도 덕분에 매우 섬세한 그래픽, 1 포인트 글꼴 및 매우 작은 형상까지 선명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내구성이 매우 우수하다.
즉, 레이저 마킹기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레이저 빔의 종류에 따라 파이버 레이저(Fiber Laser) 마킹기, UV 레이저 마킹기 및 및 CO₂ 레이저 마킹기 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UV 레이저 마킹기는 CO2 레이저 대비 보다 파장이 짧은 단파장의 자외선(ultraviolet, UV)을 이용하는 레이저 마킹기로서, 상기 단파장 UV는 CO2의 파장에 비해 30배가 짧아 합성수지 소재에 각인이 용이하고, 표면에 손상을 주지 않기 때문에 적용범위가 광범위하다.
특히, 355 nm의 UV를 사용하는 UV 레이저 마킹기는 소재에 대한 흡수율이 매우 높아 비금속 소재에 마킹이 가능하고, 고선명으로 각인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길이표시부는 레이저 마킹기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355 nm의 UV를 사용하는 UV 레이저 마킹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길이표시부는 잉크젯 마킹을 통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잉크젯 마킹은 인쇄에 필요한 양의 잉크 입자를 노즐에서 토출하여 대상물에 분사함으로써 마킹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길이표시부는 도 3과 같이,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멀티 필라멘트(200)의 표면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 합사 또는 블레이딩 공정을 통해 제조된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멀티 필라멘트(200)의 길이표시부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멀티 필라멘트(20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착색을 함으로써 형성이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멀티 필라멘트(100)는 제 1 색상(201)을 착색하고, 상기 제 1 색상(201)의 옆을 제 2 색상(202)으로 착색하게 된다. 상기 제 2 색상(202)의 옆은 동일하게 제 3 색상(303)으로 착색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 1, 2, 3 색상(201, 202, 203)을 반복하여 착색함으로써 길이표시부를 형성하게 된다.
즉,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멀티 필라멘트(200)의 표면에 상기 신체적합성 염료 또는 안료를 이용하여 제조된 소정의 색상을 갖는 염색액을 스프레이 스핀들을 이용하여 상기 멀티 필라멘트(200)의 표면에 분사함으로써 연속적으로 다양한 색상과 2가지 이상의 색상으로 용이하게 착색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길이표시부는 상기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모노 필라멘트(100) 또는 멀티 필라멘트(20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봉합 시술시 봉합사의 길이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모노 필라멘트(100) 또는 멀티 필라멘트(200)의 원주면의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필라멘트의 표면에 축방향으로 길이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길이표시부가 형성된 후에는 환원세정공정을 통해 미고착 염료 또는 안료를 완전히 제거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길이표시부가 형성된 필라멘트는 환원세정공정을 통해 상기 필라멘트에 부착되어 있는 미고착 염료 또는 안료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 환원세정공정은 필라멘트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미고착 염료 또는 안료를 제거하는 공정으로서, 소다회(Na2CO3) 0.5 ~ 1g/L, 환원세정제 1.5 ~ 2g/L를 사용하여 욕비 1 : 25 ~ 1 : 30으로 75 ~ 80 ℃에서 25 ~ 30분간 처리 한 뒤, 온수세 2 ~ 3회, 냉수세 1 ~ 2회 후, 55 ~ 60℃ 오븐에서 25 ~ 30분간 건조한다. 여기서 상기 환원세정공정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필라멘트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미고착 염료 또는 안료의 제거가 불충분할 수 있다.
따라서 환원세정공정은 상기와 같은 조건에서 미고착 염료 또는 안료의 제거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원세정공정이 종료된 후에는 건조공정을 통해 필라멘트를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라멘트는 환원세정공정에서 사용된 약품과 수분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오븐 등에서 가열되거나 혹은 공기 건조될 수 있다. 그 후에, 상기 착색 코팅된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필라멘트는 후속 공정을 통해 의료용 봉합사로 제조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건조된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필라멘트는 적당한 길이로 절단한 후, 바늘에 부착하여 멸균 및 포장하여 봉합사를 제조하게 된다.
상기 멸균 단계는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필라멘트를 플라즈마 멸균기를 이용하여 온도와 압력과 시간을 조절하여 멸균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멸균 처리시 상기 플라즈마의 온도는 10 내지 100 ℃이고, 압력은 0.01 mtorr 내지 200 torr이며, 멸균시간은 10분 내지 4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멸균 처리된 필라멘트는 적당한 길이 즉, 250 cm의 길이로 절단하여 적절하게 포장한 후 실링하여 봉합사가 제조완료된다.
수술용 봉합사는 사용하는 용도에 의해서 바늘을 부착하여 유통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특수하게 바늘 부착 없이 판매될 수도 있다. 또한 봉합사의 양측 말단부에 각각 바늘이 부착되어 판매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이, 봉합시술시 봉합사에 형성된 길이표시부를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봉합사의 말단과 상하부의 식별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봉합사가 시술된 길이를 쉽게 인지할 수 있으므로 수술 부위의 봉합사를 혼동하여 매듭짓거나 또는 상기 봉합사가 꼬이거나 풀리는 등의 의료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험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험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모노 필라멘트
110 : 눈금
120 : 로마 숫자
200 : 멀티 필라멘트

Claims (6)

  1.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필라멘트로서,
    축방향을 따라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길이를 표시하는 길이표시부가 형성된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필라멘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길이표시부는 눈금, 색상, 숫자, 문자 및 기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필라멘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길이표시부는 상기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모노 필라멘트(100)의 일측에 또는 원주면 전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필라멘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필라멘트는 모노 필라멘트(100) 또는 멀티 필라멘트(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필라멘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멀티 필라멘트(200)는 상기 모노 필라멘트(100)가 합사 또는 블레이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필라멘트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의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필라멘트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의료용 봉합사

KR1020200063349A 2020-05-27 2020-05-27 길이표시부를 갖는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필라멘트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봉합사 KR202101465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349A KR20210146508A (ko) 2020-05-27 2020-05-27 길이표시부를 갖는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필라멘트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봉합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349A KR20210146508A (ko) 2020-05-27 2020-05-27 길이표시부를 갖는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필라멘트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봉합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508A true KR20210146508A (ko) 2021-12-06

Family

ID=78936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349A KR20210146508A (ko) 2020-05-27 2020-05-27 길이표시부를 갖는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필라멘트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봉합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65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532B1 (ko) * 2022-10-25 2023-04-05 (주)제테마 코그가 형성된 리프팅실의 제조 시스템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리프팅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532B1 (ko) * 2022-10-25 2023-04-05 (주)제테마 코그가 형성된 리프팅실의 제조 시스템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리프팅실
WO2024090691A1 (ko) * 2022-10-25 2024-05-02 (주) 제테마 코그가 형성된 리프팅실의 제조 시스템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리프팅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0614B2 (en) Self-retaining variable loop sutures
US8961560B2 (en) Bidirectional self-retaining sutures with laser-marked and/or non-laser marked indicia and methods
CA2724663C (en) Coded heterofunctional sutures and methods
EP1293218B1 (en) High strength UHMWPE-based suture
EP2251045B1 (en) Colored suture construction
EP1439796B1 (en) Areal implant
ES2313798T3 (es) Sutura trenzada.
CN103124526A (zh) 经涂覆的着色的医疗器械
US20070135840A1 (en) High strength suture formed of UHMWPE and PBT
EP1690500A1 (en) High strength suture with PBO
US201202712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uv tacking an implant
US20080021501A1 (en) High strength suture with UHMWPE and polybutester
US20090048627A1 (en) Method for Patterning a Medical Device
KR20210146508A (ko) 길이표시부를 갖는 의료용 봉합사 제조용 필라멘트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봉합사
Lin et al. The scientific basis for selecting surgical sutures
AU2015201685B2 (en) Coded heterofunctional suture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