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6198A - Clothes holder and clothes care apparatus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lothes holder and clothes care apparatus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6198A
KR20210146198A KR1020200122008A KR20200122008A KR20210146198A KR 20210146198 A KR20210146198 A KR 20210146198A KR 1020200122008 A KR1020200122008 A KR 1020200122008A KR 20200122008 A KR20200122008 A KR 20200122008A KR 20210146198 A KR20210146198 A KR 20210146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es
base
holder
pressing memb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0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중희
김영걸
정상규
양병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1/00332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241863A1/en
Publication of KR20210146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6198A/en
Priority to US17/990,905 priority patent/US2023008346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32Details
    • D06F71/40Holders or stretchers for the article to be press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1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 D06F71/2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for pressing sleeves, trousers, or other tubular garments or tubular parts of garments
    • D06F71/29Trous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32Details
    • D06F71/36Pressing el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A clothes care apparatus is disclosed. A clothes care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including a management chamber accommodating clothes; and a holder including a base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so as to support the clothes, and a fixating device fixating the clothes supported by the base, wherein the fixating device includes: a holder body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 pressing member coupled to one end portion of the holder body and being rotatable between a first position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for pressing the clothes so as to fixate the clothes and a second position spaced from the pressing member so as to move the clothes; a rotary shaft rotatably coupling the holder body to the pressing member; and an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so as to elastically bias the pressing member to the first pos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usability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clothes case apparatus.

Description

의류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CLOTHES HOLDER AND CLOTHES CARE APPARATUS HAVING THE SAME}A clothing holder and a clothing management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개시는 의류관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의류관리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clothes manag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othes manager capable of fixing clothes.

의류관리기는 젖은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부착된 먼지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하고, 의류의 구김을 줄이는 등의 의류 관리(clothes care)를 수행하는 장치이다.A clothes manager is a device that performs clothes care, such as drying wet clothes, removing dust attached to clothes or odors from clothes, and reducing wrinkles on clothes.

의류관리기는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인 의류 관리실과, 의류 등의 구김제거, 탈취, 정전기 제거 등과 같은 리프레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The clothes manager may include a clothes management room, which is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clothes are accommodated, and a steam generator to perform refreshing functions such as wrinkle removal, deodorization, static electricity removal, etc. of clothes.

일반적으로 의류관리기는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고 강한 기류 또는 진동 등으로 기계력을 전달하여 의류의 미세먼지 및 주름을 제거할 수 있다. 또는 의류관리기 내부에 구비된 압축부에 의류를 거치한 후 의류 일부분에 프레스를 가하는 방법으로 주름을 제거할 수 있다.In general, a clothing manager can remove fine dust and wrinkles from clothing by supplying steam to clothing and transmitting mechanical force through strong airflow or vibration. Alternatively, wrinkles may be removed by placing the clothes on a compression unit provided inside the clothes management machine and then applying a press to a portion of the clothes.

그러나 이 때 의류의 생활 주름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의류가 본래 가지고 있던 칼주름까지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 칼주름을 유지할 수 있는 의류관리기에 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However,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remove not only the life wrinkles of clothing but also the knife wrinkles that the clothing originally had. Accordingly,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a clothing management device capable of maintaining cutlery in recent years.

본 발명은 의류의 생활주름을 제거하면서도 본래의 칼주름은 선명하게 유지하도록 개선된 홀더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othing care device including an improved holder to remove the life wrinkles of clothing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cutlery wrinkles clearly.

본 발명은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홀더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othing care device including a holder detachably mounted to a main body.

본 발명은 의류 거치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othes management device including a holder rotatably coupled to a clothes holding member.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의류관리기는, 의류를 수용하는 관리실을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의류를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지지된 의류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홀더몸체 및 상기 홀더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압부재로서,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상기 의류가 고정되도록 상기 베이스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1위치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 management room for accommodating clothes, a base for supporting the clothes, and a holder including a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clothes supported on the base, the fixing device is a holder body coupled to the base and a pressing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holder body, a first position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base so that the clothes are fixed between the pressing member and the base; It may include a pressing member movable between the second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base.

상기 홀더는 상기 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older may further include a head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상기 홀더몸체와 가압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샤프트 및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제1위치로 탄성 바이어스 시키도록 상기 회전샤프트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rotation shaft for rotatably coupling the holder body and the pressing member, and an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to elastically bias the pressing member to the first position.

상기 의류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가압부재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의류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contact par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pressing member so as to fix the clothes and in contact with the clothes.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의류와 접촉시 마찰력을 높이도록 상기 접촉부에 마련되는 마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riction member provided in the contact portion to increase frictional force when in contact with the clothing.

상기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의류의 진입을 안내하도록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접촉부의 외주면에 마련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to guide entry of the clothing, and the friction member may be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상기 홀더몸체는 상기 가압부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의류가 상기 홀더몸체와 가압부재의 사이로 진입되도록 상기 회전샤프트의 중심은 상기 접촉부의 중심 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holder body may be disposed above the pressing member, and the center of the rotating shaft may be located below the center of the contact part so that the clothes enter between the holder body and the pressing member.

상기 관리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도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door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management room, the holder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door.

상기 홀더는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의류에 압력을 가하는 복수의 프레스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older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press members rotat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ase and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to apply pressure to the clothes.

상기 베이스와 복수의 프레스부재는 상기 의류를 가압하도록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복수의 프레스부재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and the plurality of press members may include magnets to press the clothes, and the base and the plurality of press members may include magnets.

상기 홀더는 복수의 힌지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힌지장치 각각은, 상기 베이스와 복수의 프레스부재 중 하나를 연결시키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이동부재와, 상기 회전이동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직선이동부재 및 상기 직선이동부재로 탄성 바이어스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직선이동부재는, 상기 회전이동부재를 커버하도록 상기 직선이동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버부 및 상기 직선이동부재가 윤활유를 수용하도록 상기 직선이동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되는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lder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hinge devices, each of the plurality of hinge devices connecting the base and one of the plurality of press members to a shaft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rotation coupled to be rotatable together with the shaft It includes a moving member, a linear moving member coupled to the rotational moving member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rotating member rotates, and a spring elastically biased toward the linearly moving member, wherein the linearly moving member comprises: It may include a cover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near moving member to cover, and a receiving groove rec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near moving member to accommodate the lubricant in the linear moving member.

상기 관리실 내부에 마련되며 의류를 거치하는 거치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홀더의 상측에서 결합될 수 있다.It is provided inside the management room and further includes a holding member for holding clothes, the holding member may be coupled from an upper side of the holder.

상기 홀더와 상기 거치부재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거치부재의 하측에서 결합하는 제1회전부재와, 상기 홀더의 상측에서 상기 제1회전부재와 결합하는 제2회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older and the holding member are rotatably coupled, and may further include a first rotating member coupled from a lower side of the holding member, and a second rotating member coupled with the first rotating member from an upper side of the holder. .

상기 제1회전부재는 제1회전베이스와, 상기 제1회전베이스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1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회전부재는 제2회전베이스와, 상기 제1장착부와 결합하도록 상기 제2회전베이스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2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장착부와 제2장착부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rotating member includes a first rotating base and a first mounting port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first rotating base, and the second rotating member includes a second rotating base and the second rotating member to be coupled to the first mounting unit. A second mounting portion protruding upwardly from the second rotating base may be included, and the first mounting portion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베이스의 의류를 지지하는 의류지지부에 인접하게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의 하부는 상기 의류의 주름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방향으로 함몰되는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device may be provided adjacent to the clothes support part supporting the clothes of the base, and the lower part of the base may include a step part recessed in the second direction to prevent wrinkles of the clothes.

상기 의류관리기는 상기 홀더가 상기 관리실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홀더의 헤드가 장착되는 지지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지지장치에 장착되는 장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lothes manager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device to which a head of the holder is mounted so that the holder is disposed in the management room, and the head may include a mounting groove to be mounted to the support device.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의류 홀더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홀더몸체 및 상기 홀더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홀더몸체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의 일단이 상기 베이스를 가압하도록 바이어스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회전축은 상기 베이스와 상기 홀더몸체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일단은 상기 가압부재의 회전축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A clothing hold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a holder body coupled to the base, and a pressing member rotatably coupled with respect to the holder body, wherein the base and the holder body are spaced apart; One end of the pressing member is biased to press the base by the rotation of the pressing member, the rotation shaft of the pressing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base and the holder body, and one end of the pressing member is the rotation shaft of the pressing member. an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ase.

상기 홀더몸체와 가압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샤프트 및 상기 가압부재를 탄성 바이어스 시키도록 상기 회전샤프트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shaft for rotatably coupling the holder body and the pressing member, and an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to elastically bias the pressing member.

상기 의류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가압부재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의류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contact par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pressing member so as to fix the clothes and in contact with the clothes.

상기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의류의 진입을 안내하도록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의류와 접촉시 마찰력을 높이도록 상기 접촉부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마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to guide entry of the clothing, and may further include a friction member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to increase frictional force when in contact with the clothing.

상기 홀더몸체는 상기 가압부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의류가 상기 홀더몸체와 가압부재의 사이로 진입되도록 상기 회전샤프트의 중심은 상기 접촉부의 중심 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holder body may be disposed above the pressing member, and the center of the rotating shaft may be located below the center of the contact part so that the clothes enter between the holder body and the pressing member.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생활 주름을 제거하면서 의류가 본래 가지고 있는 칼주름을 선명하게 관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learly manage the wrinkles that the clothes originally have while removing the wrinkles of life.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의류 홀더를 제공하므로 의류관리기 내부 공간의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detachably mounted clothes holder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inner space of the clothes manager.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의류 거치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를 제공하므로 상의와 하의를 모두 관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nage both the upper and lower garments by providing a holder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lothing holding memb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관리기에 있어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의류관리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의류관리기에서 의류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홀더에 있어서, 복수의 프레스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홀더를 A-A'로 절단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홀더의 가압부재가 회전된 모습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홀더의 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홀더에서 힌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힌지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힌지장치에서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힌지장치에서 C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힌지장치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샤프트가 90도 회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의류관리기에서 의류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의류관리기에서 거치부재와 회전부재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홀더와 거치부재를 A-A'로 절단한 단면도이다.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홀더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홀더와 거치부재를 A-A'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lothe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opened in the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shown in FIG. 1 .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shown in FIG. 1 .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lothes holder in the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shown in FIG. 1 .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press members are opened in the holder shown in FIG. 4 .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lder shown in FIG. 4 taken along line A-A'.
FIG.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member of the holder shown in FIG. 6 is rotated.
8 is a view showing a lower portion of the holder shown i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inge device in the holder shown in FIG.
10 is an exploded view of the hinge device shown in FIG.
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the hinge device shown in FIG. 10 .
FIG. 12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of the hinge device shown in FIG. 10 .
13 is a cutaway view of the hinge device shown in FIG. 9 .
14 is a view in which the shaft shown in FIG. 13 is rotated by 90 degrees.
15 is a view showing a clothe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 clothe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lothes holder in the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shown in FIG. 16 .
FIG. 18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 holding member and a rotating member in the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shown in FIG. 16 .
1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the holder and the mounting member shown in FIG. 17.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holder shown in FIG. 17 in a rotated state.
2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the holder and the mounting member shown in FIG. 20;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only a preferred example of the disclosed invention, and there may be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dicate parts or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used to describe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and/or limit the disclosed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herei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are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the terms "front", "rear", "left" and "right"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defined based on the drawings, and the shape and position of each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se term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관리기에 있어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의류관리기의 측단면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clothe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opened in the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shown in FIG. 1 .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shown in FIG. 1 .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관리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및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 the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1 may include a main body 10 forming an exterior and a door 20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 .

본체(10)는 일면이 개방된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10)의 전면에는 개구(10a)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관리실(30)을 개폐하는 도어(20)가 설치될 수 있다.The body 10 may have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with one open surface. An opening 10a may be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10 . A door 20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10 to open and close the management room 30 may be installed.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어(20)는 힌지 또는 링크 등을 통해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door 20 may be installed in the body 10 through a hinge or a link.

본체(10)는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고, 의류가 수용되어 관리되는 관리실(30)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실(30)의 전면은 개구(10a)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개구(10a)를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관리실(30)도 함께 개폐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 may include a management room 30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and in which clothes are accommodated and managed. The front of the management room 30 may be formed with an opening 10a. The management room 30 may also be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20 which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10a.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외부캐비닛(11) 및 외부캐비닛(11)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캐비닛(12)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관리실(30)의 내부에 마련되어 거치부재(60) 또는 홀더(100)를 거치시키도록 마련되는 지지장치(15)를 포함할 수 있다.2 and 3 , the main body 10 may include an outer cabinet 11 and an inner cabinet 12 disposed inside the outer cabinet 11 . The main body 10 may include a support device 15 provided inside the management room 30 to mount the mounting member 60 or the holder 100 .

본체(10)는 관리실(30) 내부의 공기를 제습하거나 가열하도록 마련되는 열교환장치(50) 등이 구비되는 기계실(40)을 포함할 수 잇다.The main body 10 may include a machine room 40 provided with a heat exchange device 50 provided to dehumidify or heat the air inside the management room 30 .

관리실(30)은 의류(2)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관리실(30)은 내부캐비닛(12)에 마련되는 상면(12a), 하면(12b), 좌측면(12c), 우측면(12d) 및 후면(12e)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management room 30 may form a space in which the clothes 2 are accommodated. The management room 3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upper surface 12a, a lower surface 12b, a left surface 12c, a right surface 12d and a rear surface 12e provided in the inner cabinet 12 .

내부캐비닛(12)은 상면(12a), 하면(12b), 좌측면(12c), 우측면(12d) 및 후면(12e)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프레임(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cabinet 12 may include a frame (not shown) provided to support the upper surface 12a, the lower surface 12b, the left surface 12c, the right surface 12d, and the rear surface 12e.

프레임(미도시)은 관리실(30) 및 관리실(30)의 하부에 배치되는 기계실(40)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rame (not shown) may form the management room 30 and the machine room 40 disposed under the management room 3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지지장치(15)는 관리실(30)의 상면(12a)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장치(15)는 의류를 거치하는 거치부재(60)와, 의류(2)의 주름을 관리하는 홀더(100)를 거치할 수 있다. The support device 15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12a of the management room 30 . The support device 15 may hold the holding member 60 for holding the clothes and the holder 100 for managing the wrinkles of the clothes 2 .

거치부재(60)는 지지장치(15)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거치부재(60)는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거치부재(60)는 의류가 끼워질 수 있도록 옷걸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ounting member 60 may be installed detachably from the support device 15 . At least one mounting member 60 may be provided. The holding member 60 may be formed in a shape of a clothes hanger so that clothes can be fitted thereinto.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거치부재(60)는 그 내부에 공기가 유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거치부재(60)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의류에 묻은 먼지 또는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The mounting member 60 may be provided so that air flows therein. Dust or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clothes may be removed by the ai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mounting member 60 .

거치부재(60)에는 의류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에어홀은 거치부재(6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고, 에어홀을 통해서 공기가 의류에 공급될 수 있다.An air hole for supplying air to the clothes may be formed in the holding member 60 . The air hole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mounting member 60 , and air may be supplied to the clothes through the air hole.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에어홀은 공급되는 공기를 의류에 광범위하게 분사하도록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ir holes may be formed in various sizes at various locations to widely spray supplied air to the clothes.

관리실(30)은 제1배출구(31a) 및 제2배출구(32a)와, 제1유입구(31b) 및 제2유입구(32b), 그리고 증기배출구(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nagement room 30 may include a first outlet 31a and a second outlet 32a, a first inlet 31b and a second inlet 32b, and a steam outlet 33 .

제1배출구(31a)와 제1유입구(31b)는 관리실(30)의 하면(12b)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배출구(31a)는 관리실(30)의 하면(12b)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유입구(31b)는 관리실(30)의 하면(12b)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배출구(31a)와 제1유입구(31b)는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outlet 31a and the first inlet 31b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12b of the management room 30 . The first outlet 31a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lower surface 12b of the management room 30 . The first inlet 31b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lower surface 12b of the management room 30 . The first outlet 31a and the first inlet 31b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증기배출구(33)는 관리실(30)의 후면(12e)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증기배출구(33)는 제1배출구(31a)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steam outlet 33 may be disposed under the rear surface 12e of the management room 30 . The steam outlet 33 may be disposed above the first outlet 31a.

제2배출구(32a)는 관리실(30)의 상면(12a)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유입구(32b)는 관리실(30)의 후면(12e)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배출구(32a)와 제2유입구(32b)는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outlet (32a)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2a) of the management room (30). The second inlet (32b)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12e) of the management room (30). The second outlet 32a and the second inlet 32b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관리실(30)의 제2배출구(32a)는 거치부재(6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배출구(32a)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에어홀을 통해 거치부재(60)로 전달되어 거치부재(60)에 거치된 의류에 전달될 수 있다.The second outlet 32a of the management room 30 may be connected to the mounting member 60 .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outlet 32a may be delivered to the mounting member 60 through the air hole to be delivered to the clothes mounted on the mounting member 60 .

본체(10)의 하부에는 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배수통(51) 및 급수통(71)이 설치될 수 있다. 배수통(51)과 급수통(71)은 관리실(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A drain tube 51 and a water supply tube 71 that are provided detachably from the main body 10 may b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 The drain tube 51 and the water supply tube 71 may be disposed under the management room 30 .

배수통(51)은 열교환장치(50)에 의한 응축수 처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급수통(71)은 제1스팀발생장치(70)에서 스팀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물이 저장될 수 있다.The drain tube 51 may be provided to facilitate condensed water treatment by the heat exchange device 50 . The water supply container 71 may store water required to generate steam in the first steam generator 70 .

급수통(71)의 물은 제1스팀발생장치(70)로 공급되어 스팀을 형성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급수통(71)은 물 보충이 용이하도록 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tank 71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steam generator 70 and used to form steam. The water supply tank 71 may be installed detachably from the main body 10 to facilitate water replenishment.

배수통(51) 및 급수통(71)은 기계실(40)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40)은 본체(10)의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40)은 관리실(3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The drain tube 51 and the water supply tube 71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machine room 40 . The machine room 40 may be provided below the main body 10 . The machine room 40 may be provided under the management room 30 .

호스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복수의 호스는 열교환장치(50) 또는 제1스팀발생장치(70)에 각각 사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hoses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hoses may be used in the heat exchange device 50 or the first steam generator 70 , respectively.

열교환장치(50)는 필요에 따라 관리실(30) 내부의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heat exchange device 50 may be provided to dehumidify and heat the air inside the management room 30 as necessary.

열교환장치(50)는 관리실(30)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장치(50)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53), 응축기(54) 및 압축기(55)를 구비할 수 있고,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heat exchange device 50 may be installed to supply hot air into the management room 30 . The heat exchanger 50 may include an evaporator 53 , a condenser 54 , and a compressor 55 through which a refrigerant circulates, and may be provided to dehumidify and heat air.

열교환장치(50)의 증발기(53)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변 공기의 잠열을 흡수하게 되어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할 수 있다.As the refrigerant evaporates in the evaporator 53 of the heat exchanger 50, latent heat of the surrounding air is absorbed, so that moisture in the air can be condensed and removed.

압축기(55)를 거쳐, 응축기(54)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경우에 주변의 공기를 향해 잠열을 방출함으로써 주변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Via the compressor 55, when the refrigerant is condensed in the condenser 54, it is possible to heat the surrounding air by discharging latent heat toward the surrounding air.

증발기(53)와 응축기(54)가 열교환 기능을 하게 되어, 제1팬(52)에 의해 기계실(40)로 유입되는 공기는 증발기(53)와 응축기(54)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습 및 가열될 수 있다.The evaporator 53 and the condenser 54 perform a heat exchange function, so that the air flowing into the machine room 40 by the first fan 52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53 and the condenser 54 to be dehumidified and heated. can

기계실(40)에 설치되는 열교환장치(50)는 증발기(53), 응축기(54) 및 제1팬(52)을 연결하는 제1덕트(56)를 포함할 수 있고, 제1덕트(56)는 관리실(30)에 연결되어 관리실(30)과 제1덕트(56) 사이를 순환하는 제1유로(57)를 형성할 수 있다.The heat exchanger 50 installed in the machine room 40 may include a first duct 56 connecting the evaporator 53 , the condenser 54 , and the first fan 52 , and the first duct 56 . may be connected to the management room 30 to form a first flow path 57 circulating between the management room 30 and the first duct 56 .

제1덕트(56)는 관리실(30)의 제1배출구(31a)와 제1유입구(31b)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덕트(56)의 일단은 제1배출구(31a)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은 제1유입구(31b)에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duct 56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31a and the first inlet 31b of the management room 30 . One end of the first duct 56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31a,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inlet 31b.

관리실(30)의 공기는 제1유입구(31b)를 통해 제1덕트(56) 내로 유입될 수 있고,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여 제1배출구(31a)를 통해 관리실(30)로 다시 배출시킬 수 있다.Air of the management room 30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duct 56 through the first inlet 31b, and the introduced air may be dehumidified and discharged back to the management room 30 through the first outlet 31a. have.

제1배출구(31a)는 관리실(3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제1유입구(31b)는 관리실(3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배출구(31a) 및 제1유입구(31b)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first outlet 31a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management room 30 , and the first inlet 31b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management room 3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ositions of the first outlet 31a and the first inlet 31b may be variously changed as needed.

제1덕트(56)는 제1유입구(31b)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여 제1배출구(31a)로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팬(52)은 제1덕트(56) 상에 마련되어 관리실(30)의 공기를 제1덕트(56)의 내부로 흡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first duct 56 may be provided to dehumidify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inlet 31b and discharge it to the first outlet 31a. The first fan 52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duct 56 to suck air from the management room 30 into the first duct 56 .

기계실(40)에는 급수통(71)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형성하는 제1스팀발생장치(70)가 마련될 수 있다.The machine room 40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steam generator 70 that receives water from the water supply tank 71 to form steam.

제1스팀발생장치(70)는 급수통(71)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스팀을 스팀분사부(73)로 안내하는 스팀공급관(74)을 포함할 수 있다. 스팀분사부(73)는 관리실(30)의 후면(12e)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steam generator 70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tank 71 to receive water to generate steam, and may include a steam supply pipe 74 for guiding the generated steam to the steam spraying unit 73 . have. The steam spraying unit 73 may be disposed below the rear surface 12e of the management room 30 .

스팀분사부(73)는 관리실(30)의 내부 공간으로 스팀을 원활하게 분사하도록 끝부분이 노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관리실(30)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steam spraying unit 73 may have a nozzle-shaped tip so as to smoothly spray steam into the inner space of the management room 30 , and may be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management room 30 .

관리실(30)은 관리실(30)의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장치(80)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장치(80)는 제2덕트(81)를 포함할 수 있고 제2덕트(81)의 내부에는 제2팬(82)이 설치될 수 있다.The management room 30 may include a blower 80 for flowing air inside the management room 30 . The blower 80 may include a second duct 81 , and a second fan 82 may be installed inside the second duct 81 .

제2덕트(81)는 관리실(30)에 연통되게 마련되어 관리실(30)과 제2덕트(81)를 순환하는 제2유로(83)를 형성할 수 있다. 제2팬(82)은 제2유로(83)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duct 81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management room 30 to form a second flow path 83 that circulates between the management room 30 and the second duct 81 . The second fan 82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flow path 83 .

제2덕트(81)는 관리실(30)의 제2유입구(32b)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덕트(81)는 관리실(30)의 후면(12e)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고, 그 내부에 필터(84)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uct 81 may be formed in the rear of the second inlet (32b) of the management room (30). The second duct 81 may be provided above the rear surface 12e of the management room 30 , and may include a filter 84 therein.

필터(84)는 HE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필터(8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lter 84 may include a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HEPA) filter 84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2덕트(81)는 관리실(30)의 상부에 배치되는 탑커버(16)와 결합될 수 있다. 송풍장치(80)는 관리실(30)의 상부의 후방에 배치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미도시) 및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팬(82)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uct 81 may be coupled to the top cover 16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nagement room 30 . The blower 80 may include a motor (not shown)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and at least one second fan 82 rotating by the motor (not shown), which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anagement room 30 . have.

한 쌍의 제2팬(82)은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 방향 외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원심팬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air of second fans 82 may be provided as centrifugal fans that suck in air in an axial direction and discharge air outward in a radial direc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2덕트(81)는 관리실(30)의 제2배출구(32a)와 제2유입구(32b)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덕트(81)의 일단은 제2배출구(32a)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은 관리실(30)의 제2유입구(32b)에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duct 81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32a and the second inlet 32b of the management room 30 . One end of the second duct 81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32a ,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inlet 32b of the management room 30 .

제2배출구(32a)는 거치부재(60)에 연결되어 제2덕트(81)의 공기가 거치부재(60)로 전달될 수 있다.The second outlet 32a may be connected to the mounting member 60 so that air from the second duct 81 may be delivered to the mounting member 60 .

제2덕트(81)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팬(82)은 관리실(30)의 내부의 공기를 제2유입구(32b)를 통해 유입하여, 제2배출구(32a)로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second fan 82 disposed inside the second duct 81 may be provided to introduce air inside the management room 30 through the second inlet 32b and discharge it to the second outlet 32a. have.

관리실(30)의 후면(12e)에는 필터(84)가 설치되기 위한 필터설치부(34)가 마련될 수 있다. 제2유입구(32b)는 필터설치부(34)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A filter installation part 34 for installing the filter 84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12e of the management room 30 . The second inlet 32b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lter installation part 34 .

관리실(30)의 내부 공기는 제2덕트(81)로 유입 시 제2유입구(32b)의 필터(84)에 의해 필터링 될 수 있다. 제2덕트(81)로 유입되는 공기는 필터(84)에 의해 먼지 및 냄새가 제거될 수 있다.When the air inside the management room 30 flows into the second duct 81 , it may be filtered by the filter 84 of the second inlet 32b. Dust and odors may be removed from the air flowing into the second duct 81 by the filter 84 .

필터(84)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는 송풍장치(80)를 통해 거치부재(60)로 배출될 수 있다. 필터(84)는 먼지를 제거하는 집진필터(미도시) 또는 탈취를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air filtered by the filter 84 may be discharged to the mounting member 60 through the blower 80 . The filter 84 may include a dust collecting filter (not shown) for removing dust or a means for deodorizing.

관리실(30)은 의류 관리 시, 거치부재(60)에 의류를 거치하고 도어(20)를 닫은 상태에서 동작시킬 수 있다. 관리실(30)은 제1유로(57)와 제2유로(83)를 따라 공기가 순환될 수 있다.The management room 30 may be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clothes are placed on the holding member 60 and the door 20 is closed when managing the clothes. In the management room 30 , air may be circulated along the first flow path 57 and the second flow path 83 .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의류관리기에서 의류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홀더에 있어서, 복수의 프레스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lothes holder in the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shown in FIG. 1 .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press members are opened in the holder shown in FIG. 4 .

이하에서, 상기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홀더(100)가 의류관리기에서 분리된 도면으로 제2방향은 전후방향이며 제3방향은 좌우방향이 될 수 있다.Hereinafter, descriptions of parts overlapping with the abov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lso, FIGS. 4 and 5 are views in which the holder 100 is separated from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wherein the second direction may be a front-back direction and the third direction may be a left-right direc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홀더(100)는 헤드(110)와, 베이스(120)와, 고정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4 and 5 , the holder 100 may include a head 110 , a base 120 , and a fixing device 130 .

헤드(110)는 베이스(120) 및 고정장치(13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헤드(110)는 본체(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본체(10)에 홀더(100)를 결합시키거나, 거치부재를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관리실(30) 내의 공간 활용도가 증대될 수 있다.The head 110 may be located on the base 120 and the fixing device 130 . The head 11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10 . For this reason, the user may couple the holder 100 to the body 10 or the mounting member as needed. Accordingly, the space utilization within the management room 30 can be increased.

헤드(110)는 장착홈(112)과, 연결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ead 110 may include a mounting groove 112 and a connection part 113 .

장착홈(112)은 홀더(100)가 의류관리기의 본체(10)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지지장치(15)에 마련되는 장착돌기(미도시)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본체(10)에 홀더(100)를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The mounting groove 112 may allow the holder 100 to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0 of the clothing manager. That is, it may be combined with a mounting protrusion (not shown) provided on the support device 15 . Accordingly, the user may couple or separate the holder 100 from the body 10 as needed.

연결부(113)는 장착홈(112)의 상하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즉,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113)는 장착홈(112)으로부터 상하로 연장되어 헤드(110)와 베이스(120) 및 고정장치(130)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서 연결부(113)의 형상이 타원기둥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113 may be provided above and below the mounting groove 112 , respectively. That is, it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The connection part 113 may extend up and down from the mounting groove 112 so that the head 110, the base 120, and the fixing device 130 are connected. Although the shape of the connection part 113 is illustrated as an elliptical column in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베이스(120)는 제2방향(Y)으로 의류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제1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베이스(12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베이스(120)는 상부(120a), 하부(120b), 좌측부(120c), 우측부(120d)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120a)는 의류가 지지되는 의류지지부(120a)가 될 수 있다.The base 120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X) to support clothes in the second direction (Y). That is, the base 120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base 120 may include an upper portion 120a, a lower portion 120b, a left portion 120c, and a right portion 120d. The upper part 120a may be a clothes support part 120a on which clothes are supported.

베이스(120)의 상부(120a)와 하부(120b)의 사이에는 중공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122)는 좌측부(120c)와 하부(120b)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중공부(122)는 베이스(120)의 중심부(122)에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122)는 의류가 가압부재(132)에 고정될 때 의류의 면적이 넓은 부분이 구겨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서 중공부(122)의 형상은 직사각형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A hollow portion 122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portion 120a and the lower portion 120b of the base 120 . The hollow part 122 may be formed between the left part 120c and the lower part 120b. That is, the hollow portion 122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122 of the base 120 . The hollow part 122 may prevent the large area of the clothing from being wrinkled when the clothing is fixed to the pressing member 132 . Although the shape of the hollow part 122 is shown as a rectangle in the drawings,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various shapes.

베이스(120)의 하부(120b)에는 단차부(121)가 마련될 수 있다. 단차부(121)는 좌측부(120c) 또는 우측부(120d)와 사이에서 좌측부(120c) 및 우측부(120d) 각각과 단차(d1)를 가질 수 있다. 단차부(121)는 의류가 가압부재(132)에 고정될 때 의류의 면적이 가장 넓은 부분에 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A step portion 121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120b of the base 120 . The step portion 121 may have a step d1 with each of the left portion 120c and the right portion 120d between the left portion 120c or the right portion 120d. The step portion 121 may prevent wrinkles from forming in the portion of the garment having the largest area when the garment is fixed to the pressing member 132 .

베이스(120)는 홀더몸체(131)와 결합하는 몸체결합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몸체결합부(123)는 헤드(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의류지지부(120a)까지 연장될 수 있다.The base 120 may further include a body coupling part 123 coupled to the holder body 131 . The body coupling part 123 may be disposed under the head 110 to extend to the clothing support part 120a.

고정장치(130)는 홀더몸체(131)와, 가압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device 130 may include a holder body 131 and a pressing member 132 .

홀더몸체(131)는 헤드(110)로부터 제1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홀더몸체(131)는 제1방향(X)으로 연장되는 일단부에서 가압부재(132)와 결합될 수 있다. 즉, 홀더몸체(131)는 몸체결합부(123)에 결합될 수 있다. The holder body 131 may extend from the head 110 in the first direction (X). The holder body 131 may be coupled to the pressing member 132 at one end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X). That is, the holder body 131 may be coupled to the body coupling portion 123 .

홀더몸체(131)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홀더몸체(131)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holder body 131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However, the shape of the holder body 131 is not limited thereto.

홀더몸체(131)는 중앙부(131c)의 좌측단에서 제2방향(Y)으로 연장되는 좌측단부(131a)와, 중앙부(131c)의 우측단에서 제2방향(Y)으로 연장되는 우측단부(131b)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단부(131a)와 우측단부(131b)로 인해 후술할 가압부재(132)의 이동을 보다 용이하게 가이드 할 수 있다.The holder body 131 has a left end 131a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Y from the left end of the central portion 131c, and a right end portion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Y from the right end of the central portion 131c ( 131b). Due to the left end 131a and the right end 131b,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guide the movement of the pressing member 13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가압부재(132)는 홀더몸체(131)의 일단부(132a)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압부재(132)는 베이스(120)에 지지된 의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가압부재(132)가 제2방향(Y)으로 연장되어 의류를 고정시키는 위치는 제1위치(P1)가 될 수 있다. 즉, 제1위치(P1)에서는 가압부재(132)의 타단부와 베이스(120)의 사이가 가깝기 때문에 의류를 고정시킬 수 있다. The pressing member 132 may be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132a of the holder body 131 to extend in the second direction Y. The pressing member 132 may fix the clothes supported on the base 120 . The position at which the pressing member 132 extends in the second direction Y to fix the clothes may be the first position P1. That is, in the first position P1, since the other end of the pressing member 132 and the base 120 are close to each other, the clothes can be fixed.

가압부재(132)는 베이스(1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의류를 가압할 수 있다.The pressing member 132 may press clothes in a direction toward the base 120 .

가압부재(132)는 회전하여 의류가 삽입되거나 빠지도록 할 수 있다. 즉, 가압부재(132)의 타단부(132b)와 베이스(120)의 사이가 멀어지도록 하여 의류를 이동시킬 수 있다.The pressing member 132 may rotate to allow clothes to be inserted or removed. That is, the clothing can be moved by making the distance between the other end 132b of the pressing member 132 and the base 120 apart.

가압부재(132)는 본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고정아암(holding arm), 클램프, 클립 등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sing member 132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may include various embodiments such as a holding arm, a clamp, and a clip.

몸체결합부(123)는 헤드(110)와 베이스(120)의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body coupling portion 123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head 110 and the base 120 .

홀더(100)는 복수의 프레스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프레스부재(140)는 베이스(120)의 양측단부에서 베이스(120)와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프레스부재(140)는 고정된 의류를 가압하여 생활주름을 제거하고 바지의 경우 칼주름이 생기도록 할 수 있다. 의류의 종류는 바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holder 10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press members 140 . The plurality of press members 140 may be coupled to the base 120 at both ends of the base 120 . The plurality of press members 140 may press the fixed clothing to remove life wrinkles, and in the case of trousers, cause knife wrinkles to occur. The type of clothing is not limited to pants.

복수의 프레스부재(140)와 베이스(120)는 서로 인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자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프레스부재(140)와 베이스(120)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프레스부재(140)와 베이스(120) 간의 인력이 작용하여 생활주름을 제거하고, 칼주름을 선명하게 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ress members 140 and the base 120 may be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so that attractive forces can act on each other. That is, the plurality of press members 140 and the base 120 may include magnets. Accordingly, the attractive force between the plurality of press members 140 and the base 120 acts to remove life wrinkles and sharpen knife wrinkles.

복수의 프레스부재(140)는 제1프레스부재(141)와 제2프레스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press members 140 may include a first press member 141 and a second press member 142 .

제1프레스부재(141)는 베이스(120)의 좌측단에서 베이스(120)와 결합될 수 있고, 제2프레스부재(142)는 베이스(120)의 우측단에서 베이스(120)와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press member 141 may be coupled to the base 120 at the left end of the base 120 , and the second press member 142 may be coupled to the base 120 at the right end of the base 120 . have.

홀더(100)는 복수의 힌지장치(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힌지장치(150)는 복수의 프레부재가 베이스(120)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서 복수의 힌지장치(150)는 4개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3개 이하 또는 5개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lder 10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hinge devices 150 . The plurality of hinge devices 150 may allow the plurality of frame members to be coupled to the base 120 . In the drawings, the plurality of hinge devices 150 is illustrated as fou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three or less or five or more.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홀더를 A-A'로 절단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홀더의 가압부재가 회전된 모습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가압부재가 제1위치(P1)에 배치된 경우이며, 도 7은 가압부재가 제2위치(P2)에 배치된 경우이다.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lder shown in FIG. 4 taken along line A-A'. FIG.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member of the holder shown in FIG. 6 is rotated. FIG. 6 is a case in which the pressing member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P1, and FIG. 7 is a case in which the pressing member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P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헤드(110)는 막음부재(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막음부재(111)는 본체(10)와 홀더(100)의 결합시에 제2배출구(32a)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고정장치(130)의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6 and 7 , the head 110 may further include a blocking member 111 . The blocking member 111 may preven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outlet 32a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fixing device 130 when the main body 10 and the holder 100 are coupled.

가압부재(132)에서 홀더몸체(131)와 결합하는 일단부(132a)는 결합부(132a)가 될 수 있다. 가압부재(132)에서 베이스(120)와 인접하게 마련되는 타단부(132b)는 접촉부(132b)가 될 수 있다. 접촉부(132b)는 의류가 삽입될 경우 의류와 접촉하여 의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One end portion 132a coupled to the holder body 131 in the pressing member 132 may be a coupling portion 132a. In the pressing member 132 , the other end 132b provided adjacent to the base 120 may be the contact portion 132b. The contact portion 132b may contact the clothing when the clothing is inserted so that the clothing is fixed.

접촉부(132b)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접촉부(132b)의 전체가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접촉부(132b)의 일부만 형성될 수도 있다. 접촉부(132b)가 곡면으로 형성되므로 의류의 진입을 안내할 수 있다. 즉, 곡면으로 인해 의류가 용이하게 삽입 및 제거 될 수 있다. 다만, 접촉부(132b)의 형상은 곡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의류를 고정시키거나 이동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act portion 132b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However, the entire contact portion 132b may have a curved surface, or only a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132b may be formed. Since the contact portion 132b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it is possible to guide the entry of the clothing. That is, clothing can be easily inserted and removed due to the curved surface. However, the shape of the contact portion 132b is not limited to a curved surface and may include various shapes as long as it can facilitate fixing or moving clothes.

고정장치(130)는 회전샤프트(133)와, 탄성부재(134)와, 마찰부재(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device 130 may further include a rotating shaft 133 , an elastic member 134 , and a friction member 135 .

회전샤프트(133)는 홀더몸체(131)와 가압부재(132)가 결합되도록 제3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회전샤프트(133)는 홀더몸체(131)와 가압부재(132)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회전샤프트(133)의 중심은 접촉부(132b)의 중심 보다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압부재(132)가 회전하여 의류가 홀더몸체(131)와 가압부재(132)를 사이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rotating shaft 133 may extend in the third direction Z so that the holder body 131 and the pressing member 132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rotating shaft 133 may be coupled to the holder body 131 and the pressing member 132 to be rotatable. The center of the rotating shaft 133 may be provided below the center of the contact portion 132b. Due to this, the pressing member 132 rotates to allow the clothes to enter between the holder body 131 and the pressing member 132 .

회전샤프트(133)는 가압부재(132)의 일단 보다 베이스(120)에서 먼 쪽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샤프트(133)는 가압부재(132)의 일단 보다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부재(133)는 의류의 진입 및 제거시에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The rotary shaft 133 may be disposed on a side farther from the base 120 than one end of the pressing member 132 . The rotating shaft 133 may be disposed below one end of the pressing member 132 . Accordingly, the pressing member 133 may be rotatable when the clothes enter and remove.

탄성부재(134)는 회전샤프트(133)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탄성부재(134)는 회전샤프트(133)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재(134)의 끝부분은 홀더몸체(131)의 걸림부(131d)와 가압부재(132)의 걸림돌기(132c)에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회전샤프트(133)가 회전시 압축력을 받으면 제1위치(P1)로 탄성 바이어스 될도록 힘이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압부재(132)를 임의로 조작하지 않아도 의류의 삽입 및 제거 이후에 가압부재(132)가 제1위치(P1)로 돌아갈 수 있다. 즉, 의류가 더욱 잘 고정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134 may be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133 . That is, the elastic member 134 may b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shaft 133 . The end of the elastic member 134 may be fixed to the locking portion 131d of the holder body 131 and the locking projection 132c of the pressing member 132 . For this reason, when the rotary shaft 133 receives a compressive force during rotation, the force may act so as to be elastically biased to the first position P1. Accordingly, even if the user does not arbitrarily manipulate the pressing member 132 , the pressing member 132 may return to the first position P1 after the clothes are inserted and removed. That is, the clothes may be better fixed, and convenienc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마찰부재(135)는 접촉부(132b)의 외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마찰부재(135)는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마찰부재(135)는 의류와 접촉하여 제1위치(P1)에서 의류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마찰부재(135)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생략될 수 있다. 즉, 마찰부재(135)가 없어도 의류는 제1위치(P1)에서 고정될 수 있다.The friction member 135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132b. That is, the friction member 135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or a curved sha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friction member 135 may contact the clothes and prevent the clothes from coming off from the first position P1 . However, the friction member 135 is not essential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omitted. That is, the clothes may be fixed at the first position P1 even without the friction member 135 .

가압부재(132)는 걸림돌기(132c)와, 경사부(132d)와, 체결돌기(132e)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sing member 132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protrusion 132c, an inclined portion 132d, and a fastening protrusion 132e.

걸림돌기(132c)는 제1방향(X)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걸림돌기(132c)는 걸림부(131d)와 함께 탄성부재(134)에 압축력이 형성되도록 탄성부재(134)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The locking protrusion 132c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X). The locking protrusion 132c may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elastic member 134 so that a compressive force is formed on the elastic member 134 together with the locking portion 131d.

가압부재(132)는 결합부(132a)에서 접촉부(132b)로 제2방향(Y)을 따라 상향하는 경사부(132d)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회전샤프트(133)의 중심 보다 접촉부(132b)의 중심이 상측에 위치되므로 가압부재(132)에는 경사부(132d)가 마련될 수 있다.The pressing member 132 may include an inclined portion 132d that ascends in the second direction Y from the coupling portion 132a to the contact portion 132b. That is, since the center of the contact portion 132b is located above the center of the rotation shaft 133 , the pressing member 132 may include the inclined portion 132d.

체결돌기(132e)는 체결부재(170)의 체결홈(171)과 결합되도록 제2방향(Y)으로 돌출될 수 있다. 체결돌기(132e)와 체결홈(171)이 결합되어 체결부재(170)와 가압부재(132)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The fastening protrusion 132e may protrude in the second direction Y to be coupled to the fastening groove 171 of the fastening member 170 . The fastening protrusion 132e and the fastening groove 171 are coupled, so that the fastening member 170 and the pressing member 132 can rotate together.

홀더(100)는 체결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170)는 체결홈(171)과 체결커버(1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커버(172)는 체결부재(170)와 가압부재(132)가 결합되도록 하는 패스너(미도시)를 커버할 수 있다. 체결부재(170)는 가압부재(132)와 결합되어 회전샤프트(133)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holder 100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member 170 . The fastening member 170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groove 171 and a fastening cover 172 . The fastening cover 172 may cover a fastener (not shown) so that the fastening member 170 and the pressing member 132 are coupled. The fastening member 170 may be coupled to the pressing member 132 to prevent the rotation shaft 133 from being separated to the outside.

홀더(100)는 결합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재(160)는 베이스(120)와 결합되어 베이스(120)를 받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홀더(100)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The holder 100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member 160 . The coupling member 160 may be coupled to the base 120 to support the base 120 . In addition, the strength of the holder 100 may be increase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132)가 제2위치(P2)로 회전한 경우 가압부재(132)와 베이스(120)의 사이가 제1위치(P1)에서 보다 이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 when the pressing member 132 rotates to the second position P2 , the space between the pressing member 132 and the base 12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osition P1 .

도 8은 도 4에 도시된 홀더의 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8 is a view showing a lower portion of the holder shown in FIG.

도 8을 참조하면, 베이스(120)는 하부(120b)에 단차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단차부(121)는 좌측부(120c) 또는 우측부(120d)와 사이에서 제2방향(Y)에 따른 단차(d1)를 포함할 수 있다. 단차부(121)는 의류가 가압부재(132)에 고정될 때 의류의 면적이 가장 넓은 부분에 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base 120 may include a stepped portion 121 in the lower portion 120b. The step portion 121 may include a step d1 in the second direction Y between the left portion 120c or the right portion 120d. The step portion 121 may prevent wrinkles from forming in the portion of the garment having the largest area when the garment is fixed to the pressing member 132 .

도 9는 도 4에 도시된 홀더(100)에서 힌지장치(15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힌지장치(150)의 분해도이다.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inge device 150 in the holder 100 shown in FIG. 10 is an exploded view of the hinge device 150 shown in FIG.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힌지장치(150) 각각은 샤프트(151)와, 회전이동부재(152)와, 직선이동부재(153)와, 스프링(154)과, 고정패스너(155)를 포함할 수 있다.9 and 10 , each of the plurality of hinge devices 150 includes a shaft 151 , a rotational movement member 152 , a linear movement member 153 , a spring 154 , and a fixed fastener 155 . ) may be included.

샤프트(151)는 길이방향인 제1방향(X)으로 연장되어 베이스(120)와 복수의 프레스부재(140) 중 하나를 연결시킬 수 있다. 샤프트(151)는 회전이동부재(152)와, 직선이동부재(153)와, 스프링(154)을 모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The shaft 151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X, which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connect the base 120 and one of the plurality of press members 140 to each other. The shaft 151 may be such that the rotational movement member 152, the linear movement member 153, and the spring 154 are all coupled.

회전이동부재(152)에는 샤프트(151)와 고정패스너(155)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샤프트(151)는 길이방향인 제1방향(X)으로 회전이동부재(152)에 결합되고, 고정패스너(155)는 제2방향(Y)으로 결합될 수 있다. 회전이동부재(152)는 샤프트(151) 및 고정패스너(155)와 결합되므로 프레스부재(140)가 회전시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직선이동부재(153)를 길이방향인 제1방향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A shaft 151 and a fixed fastener 155 may be coupled to the rotational moving member 152 . That is, the shaft 151 may be coupled to the rotation member 152 in the first direction (X), which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xing fastener 155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direction (Y). Since the rotational moving member 152 is coupled to the shaft 151 and the fixed fastener 155, the press member 140 may rotate together when rotating.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ove the linear moving member 153 in the first direction, which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직선이동부재(153)는 회전이동부재(152)의 하부에 마련되어 회전이동부재(152)의 회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linear movement member 153 is provided under the rotational movement member 152 and can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al movement member 152 .

스프링(154)은 직선이동부재(153)의 하부에 마련되어 직선이동부재(153)가 하측으로 이동시 압축력을 받을 수 있다.The spring 154 may be provided under the linear moving member 153 to receive a compressive force when the linear moving member 153 moves downward.

고정패스너(155)는 샤프트(151)와 회전이동부재(152)를 체결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가압부재(132)는 프레스부재(140)와 샤프트(151)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스부재(140)가 회전하면 회전이동부재(152)도 함께 회전될 수 있다.The fixed fastener 155 may fasten the shaft 151 and the rotational moving member 152 . Although not shown, the pressing member 132 may connect the press member 140 and the shaft 151 . Accordingly, when the press member 140 rotates, the rotational movement member 152 may also be rotated.

상기한 힌지장치(150)의 구성들로 인해 프레스부재(140)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의류의 생활주름을 더욱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hinge device 150 described above, the press member 140 can be easily rotated, and thus, life wrinkles of clothes can be more easily removed.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힌지장치에서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힌지장치에서 C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the hinge device shown in FIG. 10 . FIG. 12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of the hinge device shown in FIG. 10 .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이동부재(152)는 삽입부(152a)와, 제1연장부(152b)와, 제2연장부(152c)와, 패스너홀(152d)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152a)는 직선이동부재(153)의 커버부(153a)에 삽입될 수 있다. 11 , the rotational movement member 152 may include an insertion part 152a, a first extension part 152b, a second extension part 152c, and a fastener hole 152d. . The insertion part 152a may be inserted into the cover part 153a of the linear movement member 153 .

삽입부(152a)의 하단부에는 제1연장부(152b)와 제2연장부(152c)가 마련될 수 있다. 제1연장부(152b)는 삽입부(152a)에서 하측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제2연장부(152c)는 제1연장부(152b) 보다 짧게 연장될 수 있다. 제1연장부(152b)는 직선이동부재(153)의 제1만곡부(153b)와 접촉할 수 있고, 제2연장부(152c)는 제2만곡부(153c)와 접촉할 수 있다. 도면에서 제1연장부(152b)와 제2연장부(152c)는 각각 2개씩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개수 및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A first extension part 152b and a second extension part 152c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insertion part 152a. The first extension part 152b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insertion part 152a,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152c may extend shorter than the first extension part 152b.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52b may contact the first curved portion 153b of the linear moving member 153 ,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52c may contact the second curved portion 153c. In the drawings,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52b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52c are illustrated two by one, respectivel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various numbers and shapes.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이동부재(153)는 커버부(153a)와, 제1만곡부(153b)와, 제2만곡부(153c)와, 이동가이드(153d)와, 복수의 수용홈(153e)을 포함할 수 있다.12, the linear moving member 153 includes a cover portion 153a, a first curved portion 153b, a second curved portion 153c, a moving guide 153d,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 153e).

커버부(153a)는 회전이동부재(152)의 삽입부(152a)가 삽입되도록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2에서 커버부(153a)의 일부가 절단되어 도시되었으나 커버부(153a)는 상측으로 보다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이동부재(152)와 직선이동부재(153)의 사이에서 윤활유가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ver part 153a may extend upward so that the insertion part 152a of the rotational moving member 152 is inserted. Although a part of the cover part 153a is cut off in FIG. 12 , the cover part 153a may extend upwardly long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leakage of lubricant between the rotational moving member 152 and the linear moving member 153 .

커버부(153a)의 내측에는 제1만곡부(153b)와 제2만곡부(153c)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만곡부(153b)는 제2만곡부(153c) 보다 낮게 형성되어 제1연장부(152b)와 접촉할 수 있고, 제2만곡부(153c)는 제1만곡부(153b) 보다 높게 형성되어 제2연장부(152c)와 접촉할 수 있다. A first curved portion 153b and a second curved portion 153c may be formed inside the cover portion 153a. The first curved portion 153b may be formed lower than the second curved portion 153c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extended portion 152b,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153c may be formed higher than the first curved portion 153b to be formed higher than the second extended portion 152b. may be in contact with the portion 152c.

제1만곡부(153b)와 제2만곡부(153c) 각각에는 복수의 수용홈(153e)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수용홈(153e) 각각은 윤활유를 수용할 수 있다. 복수의 수용홈(153e)으로 인해 윤활유가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153e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first curved portion 153b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153c. Each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153e may receive lubricating oil. It is possible to prevent leakage of lubricant due to the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153e).

또한, 직선이동부재(153)는 회전이동부재(152)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윤활유가 흐르는 이동가이드(153d)가 형성될 수 있다. 이동가이드(153d)는 커버부(153a)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near movement member 153 may be formed with a movement guide (153d) through which the lubricating oil flows to facilitate the rotation of the rotational movement member 152 . The movement guide 153d may be formed inside the cover part 153a.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힌지장치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샤프트가 90도 회전한 도면이다.13 is a cutaway view of the hinge device shown in FIG. 9 . 14 is a view in which the shaft shown in FIG. 13 is rotated by 90 degrees.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힌지장치(150)가 90도 회전하면 제1연장부(152b)와 제2만곡부(153c)가 접촉하게 되고, 제2연장부(152c)와 제1만곡부(153b)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제2연장부(152c)와 제1만곡부(153b)의 사이에는 최대이격거리(L)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최대이격거리(L)만큼 스프링(154)이 압축되므로 스프링(154)은 압축력을 받을 수 있다. 즉, 샤프트(151) 및 회전이동부재(152)가 90도 회전하면 스프링(154)의 탄성력으로 인해 프레스부재를 0도 또는 180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13 and 14, when the hinge device 150 rotates 90 degrees, the first extension 152b and the second curved part 153c come into contact, and the second extension 152c and the first curved part ( 153b)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a maximum separation distance L may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52c and the first curved portion 153b. Accordingly, since the spring 154 is compressed by the maximum separation distance L, the spring 154 may receive a compressive force. That is, when the shaft 151 and the rotational movement member 152 rotate by 90 degrees, the press member can be rotated by 0 degrees or 180 degrees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54 .

샤프트(151)에는 고정패스너(155)가 삽입되는 샤프트홀(151a)이 마련되고, 회전이동부재(152)에도 고정패스너(155)가 삽입되는 패스너홀(152d)이 마련될 수 있다.A shaft hole 151a into which the fixing fastener 155 is inserted may be provided in the shaft 151 , and a fastener hole 152d into which the fixing fastener 155 is inserted may also be provided in the rotational moving member 152 .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를 도시한 도면이다.15 is a view showing a clothe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홀더(100)는 도어(20)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홀더(100)의 위치는 관리실(30) 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홀더(100)만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Referring to FIG. 15 , the holder 100 may b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0 . That is, the position of the holder 100 is not limited in the management room 30 . In addition, of course, only the holder 100 may be used alone.

홀더(100)가 도어(20)의 배면에 부착되는 등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의류관리기의 공간 활용도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홀더(100)가 본체(10)에 부착되는 것이 아니므로 헤드(110)는 생략될 수 있다.Since the holder 100 may be disposed in various positions, such as being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0 ,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clothing manager may be increased. In addition, since the holder 100 is not attached to the body 10 , the head 110 may be omitted.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의류관리기에서 의류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6 is a view showing a clothe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lothes holder in the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shown in FIG. 16 .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의류관리기는 거치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부재(60)는 의류(2a, 2b)를 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치부재(60)는 상의(2a)를 거치할 수 있고, 홀더에는 하의(2b)를 거치할 수 있다. 다만 의류의 종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종류의 의류(2a, 2b)를 거치부재(60)에 거치할 수 있다. 16 and 17 , the clothes manager may further include a holding member 60 . The holding member 60 may hold the clothes 2a and 2b. For example, the holding member 60 may hold the upper body 2a, and the lower body 2b may be mounted on the holder. However, the type of clothing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and various types of clothing 2a and 2b may be mounted on the mounting member 60 .

거치부재(60)는 의류(2a, 2b)를 거치하도록 중앙 상측에 마련되는 헤드부(61)와, 헤드부(61)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지지몸체(62)와, 지지몸체(62)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거치부(63), 복수의 거치부(63) 상측에 부착되는 미끄럼 방지패드(64)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lding member 60 includes a head portion 61 provided at the upper center to hold the clothes 2a and 2b, a support body 6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ead portion 61, and the support body 62 .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mounting portions 63 extending to both sides, and an anti-slip pad 64 attached to an upper side of the plurality of mounting portions 63 .

거치부재(60)는 홀더(100)와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치부재(60)는 홀더(100)가 장착되도록 지지몸체(62)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장착부재(65)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재(65)는 후술하는 제1회전부재(181)와 결합할 수 있다. The holding member 60 may be coupled to the holder 100 . Specifically, the mounting member 60 may include a mounting member 65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upport body 62 so that the holder 100 is mounted. The mounting member 65 may be coupled to a first rotation member 181 to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부재(60)와 홀더(100)가 결합될 수 있으므로, 상의와 하의가 동시에 관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고, 관리실 내의 공간 활용도가 증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unting member 60 and the holder 100 can be coupled, the top and the bottom can be managed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and the space utilization in the management room can be increased.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의류관리기에서 거치부재와 회전부재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홀더와 거치부재를 A-A'로 절단한 단면도이다.FIG. 18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 holding member and a rotating member in the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shown in FIG. 16 . 1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the holder and the mounting member shown in FIG. 17;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장착부재(65)는 제1회전부재(181)와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장착홀(65a)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홀(65a)은 장착부재(65)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장착홀(65a)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장착홀(65a)은 제1회전부재(181)와 결합하도록 장착부재(65)와 수직한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18 and 19 , the mounting member 65 may include a mounting hole 65a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first rotating member 181 . The mounting hole 65a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ounting member 65 . However, the location of the mounting hole 65a is not limited thereto. The mounting hole 65a may be formed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unting member 65 so as to be coupled to the first rotating member 181 .

의류관리기는 회전부재(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재(180)는 거치부재(60)와 홀더(1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회전부재(180)는 제1회전부재(181)와 제2회전부재(18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othes manager may further include a rotating member 180 . The rotating member 180 may allow the mounting member 60 and the holder 100 to be rotatably coupled. The rotating member 180 may include a first rotating member 181 and a second rotating member 182 .

제1회전부재(181)는 제1회전베이스(181a)와, 회전몸체(181b)와, 제1장착부(181c), 장착홀(181d), 접촉부(181e)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rotation member 181 may include a first rotation base 181a, a rotation body 181b, a first mounting portion 181c, a mounting hole 181d, and a contact portion 181e.

제1회전베이스(181a)는 베이스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베이스의 상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회전베이스(181a)의 면적은 회전몸체(181b), 제1장착부(181c) 보다 넓게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rotating base 181a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so as to be stably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n area of the first rotating base 181a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rotating body 181b and the first mounting portion 181c.

회전몸체(181b)는 제1회전베이스(181a)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회전몸체(181b)는 대략 사각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회전몸체(181b)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장착홀(181d)은 회전몸체(181b)에 형성될 수 있다.The rotating body 181b may extend upwardly from the first rotating base 181a. The rotating body 181b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rotating body 181b is not limited thereto. The mounting hole 181d may be formed in the rotating body 181b.

제1회전부재(181)는 장착부재(65)와 결합될 수 있다. 제1장착부(181c)는 제1회전베이스(181a)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장착부(181c)는 후술하는 제2회전부재(182)의 제2장착부(182b)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장착부(181c)와 제2장착부(182b)가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제1장착부(181c)는 기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장착부(181c)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장착부(181c)는 제2장착부(182b)를 수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rotating member 181 may be coupled to the mounting member 65 . The first mounting portion 181c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first rotation base 181a. The first mounting portion 181c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ounting portion 182b of the second rotating member 182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the first mounting portion 181c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182b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o rotate integrally. The first mounting portion 181c may have a gear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181c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various shapes. The first mounting part 181c may accommodate the second mounting part 182b.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접촉부(181e)는 회전몸체(181b)의 각 단부로부터 회전몸체(181b)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접촉부(181e)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접촉부(181e)는 장착부재(65)의 내면과 접촉하여 장착부재(65)와 제1회전부재(181)가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치부재(60)가 홀더(100)에서 회전됨에 따라 회전부재(180)도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contact portion 181e may protrude from each end of the rotating body 181b in a direct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rotating body 181b. Accordingly, a plurality of contact portions 181e may be provided. The contact portion 181e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member 65 so that the mounting member 65 and the first rotating member 181 are stably fixed. Accordingly, as the holding member 60 rotates in the holder 100 , the rotating member 180 may also stably rotate.

의류관리기는 장착부재(65)의 장착홀(65a)과 제1회전부재(181)의 장착홀(181d)을 관통하는 장착축(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축은 장착부재(65)와 제1회전부재(181)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The clothes manager may include a mounting shaft (not shown) penetrating the mounting hole 65a of the mounting member 65 and the mounting hole 181d of the first rotating member 181 . The mounting shaft may allow the mounting member 65 and the first rotation member 181 to be coupled to each other.

제2회전부재(182)는 제2회전베이스(182a)와, 제2장착부(18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회전부재(182)는 제1회전부재(181)와 결합하여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제2장착부(182b)는 제2회전베이스(182a)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장착부(182b)는 기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2장착부(182b)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rotation member 182 may include a second rotation base 182a and a second mounting portion 182b. The second rotating member 18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rotating member 181 to rotate integrally. The second mounting portion 182b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second rotation base 182a. The second mounting portion 182b may have a gear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second mounting portion 182b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various shapes.

의류관리기는 커버부재(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190)는 장착홀(65a)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버부재(190)는 장착홀(65a)을 마주하는 일면(190a)은 오목하게 형성되나, 반대측 면(190b)은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재(65)와 제1회전부재(181)가 결합될 때, 커버부재(190)는 장착홀(65a)을 덮어 외관의 미려함을 더할 수 있다.The clothes manager may further include a cover member 190 . The cover member 190 may be provided to cover the mounting hole 65a. One surface 190a of the cover member 190 facing the mounting hole 65a is concave, but the opposite surface 190b may be formed flat. When the mounting member 65 and the first rotation member 181 are coupled, the cover member 190 may cover the mounting hole 65a to add beauty to the appearance.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홀더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홀더와 거치부재를 A-A'로 절단한 단면도이다.2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shown in FIG. 17 is rotated. 2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the holder and the mounting member shown in FIG. 20;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홀더(100)와 거치부재(60)는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거치부재(60), 제1회전부재(181), 제2회전부재(182)가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홀더(100)와 거치부재(60)가 서로 회전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20 and 21 , the holder 100 and the mounting member 6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Specifically, the mounting member 60 , the first rotating member 181 , and the second rotating member 182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rotate integrally. Since the holder 100 and the mounting member 60 are rotatable to each other,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도면에서 홀더(100)와 거치부재(60)가 90도 회전한 것을 도시되었으나, 회전 각도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30도, 45도, 60도 등 홀더(100)와 거치부재(60)가 다양한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할 수 있다.Although it is shown in the drawing that the holder 100 and the mounting member 60 are rotated by 90 degrees, the rotation angle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holder 100 and the holding member 60 are various such as 30 degrees, 45 degrees, and 60 degrees. It can be rotated to achieve an angle.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However, it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

1: 의류관리기 10: 본체
20: 도어 30: 의류 관리실
60: 거치부재 100: 홀더
110: 헤드 120: 베이스
130: 고정장치 140: 프레스부재
150: 힌지장치 160: 결합부재
170: 체결부재 180; 회전부재
1: clothing management device 10: main body
20: door 30: clothing management room
60: holding member 100: holder
110: head 120: base
130: fixing device 140: press member
150: hinge device 160: coupling member
170: fastening member 180; rotating member

Claims (20)

의류를 수용하는 관리실을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의류를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지지된 의류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홀더몸체; 및
상기 홀더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압부재로서,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상기 의류가 고정되도록 상기 베이스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1위치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a body including a management room for accommodating clothing; and
A holder including a base for supporting the clothes, and a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clothes supported on the base,
The fixing device is
a holder body coupled to the base; and
A pressing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holder body, between a first position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base so that the clothes are fixed between the pressing member and the base, and a second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base A clothing management device including a movable press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를 더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According to claim 1,
The holder may further include a head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몸체와 가압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샤프트; 및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제1위치로 탄성 바이어스 시키도록 상기 회전샤프트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3. The method of claim 2,
a rotating shaft rotatably coupling the holder body and the pressing member; and
and an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rotary shaft to elastically bias the pressing member to the first posi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가압부재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의류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4. The method of claim 3,
and a contact par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pressing member to fix the clothes and contacting the cloth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의류와 접촉시 마찰력을 높이도록 상기 접촉부에 마련되는 마찰부재를 더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x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friction member provided in the contact portion to increase frictional force when in contact with the cloth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의류의 진입을 안내하도록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접촉부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의류관리기.
6. The method of claim 5,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includes a curved surface to guide the entry of the clothing,
The friction member is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ct par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몸체는 상기 가압부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의류가 상기 홀더몸체와 가압부재의 사이로 진입되도록 상기 회전샤프트의 중심은 상기 접촉부의 중심 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의류관리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holder body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ing member,
The center of the rotating shaft is positioned below the center of the contact part so that the clothes enter between the holder body and the press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도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의류관리기.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oor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management room,
and the hold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do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의류에 압력을 가하는 복수의 프레스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복수의 프레스부재는 상기 의류를 가압하도록 자석을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According to claim 1,
The holder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press members rotat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ase to apply pressure to the clothes,
and the base and the plurality of press members include magnets to press the cloth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복수의 힌지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힌지장치 각각은,
상기 베이스와 복수의 프레스부재 중 하나를 연결시키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이동부재;
상기 회전이동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직선이동부재; 및
상기 직선이동부재로 탄성 바이어스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직선이동부재는,
상기 회전이동부재를 커버하도록 상기 직선이동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버부; 및
상기 직선이동부재가 윤활유를 수용하도록 상기 직선이동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holder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hinge devices,
Each of the plurality of hinge devices,
a shaft connecting the base and one of the plurality of press members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rotational moving member rotatably coupled with the shaft;
a linear movement member coupled to the rotational movement member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rotational member rotates; and
It includes a spring elastically biased to the linear moving member,
The linear moving member,
a cover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near moving member to cover the rotary moving member; and
and a receiving groove rec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near moving member so that the linear moving member receives the lubrica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실 내부에 마련되며 의류를 거치하는 거치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홀더의 상측에서 결합되는 의류관리기.
According to claim 1,
It is provided inside the management room and further includes a holding member for holding clothes,
The holding member is a clothes management device coupled from an upper side of the hold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와 상기 거치부재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거치부재의 하측에서 결합하는 제1회전부재와, 상기 홀더의 상측에서 상기 제1회전부재와 결합하는 제2회전부재를 더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holder and the holding member are rotatably coupled,
The clothing care machine further comprising: a first rotating member coupled from a lower side of the holding member; and a second rotating member coupled with the first rotating member from an upper side of the hold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재는 제1회전베이스와, 상기 제1회전베이스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1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회전부재는 제2회전베이스와, 상기 제1장착부와 결합하도록 상기 제2회전베이스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2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장착부와 제2장착부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의류관리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first rotating member includes a first rotating base and a first mounting port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first rotating base,
The second rotating member includes a second rotating base and a second mounting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second rotating base to engage the first mounting portion,
The first mounting part and the second mounting part ar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베이스의 의류를 지지하는 의류지지부에 인접하게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의 하부는 상기 의류의 주름을 방지하도록 상기 베이스와 단차를 갖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device is provided adjacent to the clothing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clothing of the base,
and a lower portion of the base including a step portion having a step difference with the base to prevent wrinkles of the cloth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관리기는 상기 홀더가 상기 관리실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홀더의 헤드가 장착되는 지지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지지장치에 장착되는 장착홈을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lothes manager further includes a support device on which the head of the holder is mounted so that the holder is disposed in the management room,
and the head includes a mounting groove mounted to the support device.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홀더몸체; 및
상기 홀더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홀더몸체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의 일단이 상기 베이스를 가압하도록 바이어스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회전축은 상기 베이스와 상기 홀더몸체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일단은 상기 가압부재의 회전축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배치되는 의류 홀더.
Base;
a holder body coupled to the base; and
and a pressing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holder body;
The base and the holder body are spaced apart,
One end of the pressing member is biased to press the base by the rotation of the pressing member,
The rotation shaft of the pressing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base and the holder body,
One end of the pressing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rotation shaft of the pressing member and the bas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몸체와 가압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샤프트; 및
상기 가압부재를 탄성 바이어스 시키도록 상기 회전샤프트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의류 홀더.
17. The method of claim 16,
a rotating shaft rotatably coupling the holder body and the pressing member; and
and an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rotary shaft to elastically bias the pressing member.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가압부재의 타단에 마련되어 상기 의류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 홀더.
18. The method of claim 17,
and a contact par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pressing member so as to fix the clothes and contacting the clothes.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의류의 진입을 안내하도록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의류와 접촉시 마찰력을 높이도록 상기 접촉부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마찰부재를 더 포함하는 의류 홀더.
19. The method of claim 18,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includes a curved surface to guide the entry of the clothing,
and a friction member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ct part to increase frictional force when in contact with the clothes.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몸체는 상기 가압부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의류가 상기 홀더몸체와 가압부재의 사이로 진입되도록 상기 회전샤프트의 중심은 상기 접촉부의 중심 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의류 홀더.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holder body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ing member,
A clothing holder in which a center of the rotating shaft is positioned below a center of the contact portion so that the clothing enters between the holder body and the pressing member.
KR1020200122008A 2020-05-26 2020-09-22 Clothes holder and clothes care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210146198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03323 WO2021241863A1 (en) 2020-05-26 2021-03-18 Clothes holder and clothes care device comprising same
US17/990,905 US20230083469A1 (en) 2020-05-26 2022-11-21 Clothes holder and clothes care device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931 2020-05-26
KR20200062931 2020-05-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198A true KR20210146198A (en) 2021-12-03

Family

ID=78866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008A KR20210146198A (en) 2020-05-26 2020-09-22 Clothes holder and clothes care apparatus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619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14567B1 (en) Clothes care apparatus
KR101155002B1 (en) Fabric treating apparatus
US11459697B2 (en) Clothes care apparatus
KR20200021359A (en) Clothes Care Device
EP3812504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11313070B2 (en) Clothes care apparatus
KR20200058772A (en) Clothes Care Device
US20230151535A1 (en) Hanger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23520166A (en) clothing processing equipment
EP4071293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n air inlet assembly
US20230287622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20200021358A (en) Clothes care apparatus
KR20200080962A (en) Clothes care apparatus
KR20210146198A (en) Clothes holder and clothes care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230180994A1 (en) Shoe care apparatus
US20230083469A1 (en) Clothes holder and clothes care device comprising same
JP2017086908A (en) Spike fixing member and clothing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spike fixing member
KR20210136296A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230123798A (en) Clothes care apparatus
US20230313436A1 (en) Clothes care apparatus
KR20240037101A (en) Clothes care apparatus
US20230138890A1 (en) Hanger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15559096A (en) Clothes treating device
KR20230166416A (en) Clothes care apparatus
KR20210049389A (en) Wrinkle care apparatus and clothes car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