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4158A - 슬라이딩 도어의 탈부착이 용이한 가구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도어의 탈부착이 용이한 가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44158A KR20210144158A KR1020200061085A KR20200061085A KR20210144158A KR 20210144158 A KR20210144158 A KR 20210144158A KR 1020200061085 A KR1020200061085 A KR 1020200061085A KR 20200061085 A KR20200061085 A KR 20200061085A KR 20210144158 A KR20210144158 A KR 202101441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unting member
- sliding door
- furniture
- rail
- moun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9216 Nervous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6 impac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51 moo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05D15/0634—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with height adjustment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63—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가 부착되는 가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간단한 기술적 구성에 의하여 슬라이딩 도어의 레벨링과 높이 조절은 물론 슬라이딩 도어의 분리와 장착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도어를 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가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가 부착되는 가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간단한 기술적 구성에 의하여 슬라이딩 도어의 레벨링과 높이 조절은 물론 슬라이딩 도어의 분리와 장착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도어를 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도어는 장롱이나 붙박이장, 책장, 싱크대, 수납장 또는 욕실장 등과 같은 가구의 전면에 설치되어 수납된 물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레일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토록 이동수단인 롤러가 장착된 롤러 브래킷을 포함한다. 상기 레일은 가구의 상하부에 배치되어 각각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로 명칭되며, 상부 레일은 레벨링과 높이 조절이 요구되며, 하부 레일을 단순하게 가이드(guide) 하는 역할을 한다.
통상적인 슬라이딩 도어는 테두리를 구성하는 틀프레임과, 상기 틀프레임의 상단이나 하단 또는 상단 및 하단에 가구의 상면이나 밑면에 설치되는 레일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수단인 각 롤러가 장착된 한 쌍의 롤러 브래킷을 포함한다.
틀프레임은 통상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세로틀과, 상기 세로틀의 상단 및 하단에 연결되는 각각의 가로틀 및 상기 세로틀과 가로틀의 각 모서리를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한다.
이동수단인 롤러 브래킷은 틀프레임의 일 측면에 볼팅 또는 스크류 등에 의해 장착 고정되며, 롤러는 상기 롤러 브래킷의 일단에 레일 상에서 이동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는 슬라이딩 도어에 구비된 이동수단인 롤러가 가구의 상면과 밑면에 구비된 각 레일에서 슬라이딩 될 때, 원활한 슬라이딩을 위한 레벨링(leveling) 하기 위한 기술이 중요한 관건이다.
아울러, 슬라이딩 도어의 특성상 이동수단인 롤러 브래킷의 일면은 슬라이딩 도어의 일면에 장착 고정된 상태이고 타면에 구비된 롤러가 상부 레일 상에 거치되어 슬라이딩 됨으로써, 슬라이딩 도어를 분리하고자 할 때, 슬라이딩 도어의 일면에 장착된 롤러 브래킷을 반듯이 분해한 후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가진다.
더욱이, 각 레일이 가구의 상면이나 밑면에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가구 본체의 내측 상부와 하부에 구비될 경우, 슬라이딩 도어에 장착된 이동수단의 높이만큼 들어올려 분해해야 함으로 가구의 내측 상부와 슬라이딩 도어 사이에 높은 갭(gap)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고, 슬라이딩 도어 상부에 여유 공간이 없을 경우 설치가 불가능하다.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수단이 레일에서 원활한 슬라이딩을 위하여 레벨링을 위한 종래의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10934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 하부에 로울러를 설치하여 문틀 레일을 따라 이동 안내하되, 슬라이딩 도어의 높낮이 또는 문틀 레일의 마모에 따라 로울러 높낮이 위치를 설치 브라켓에 구비되는 조절손잡이 및 하우징을 포함하여 상하로 간편하게 조절하므로 작업성은 물론 사용 효율성을 우수한 슬라이딩 도어용 높낮이 조절형 로울러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4886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미닫이용 문이나 창문을 문틀의 레일이나 창틀의 레일에 설치할 때, 레일에 지지되는 호차 바퀴의 높이와 좌측과 우측 간격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외부 하우징, 내부 하우징, 회전 지지브라켓 및 높이 조절볼트, 좌우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미닫이용 호차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2092호(이하 '선행기술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높이 조절과 단열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레일프레임, 롤러, 고정프레임과 슬라이딩판 및 조절나사를 포함하는 브라켓, 외부파이프, 제1,2 관통부를 포함하는 고정 모듈, 내부 파이프, 탄성 모듈, 차폐패킹을 포함하는 닫힘부 및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브라켓을 구비한 미닫이 도어용 레일 장치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문헌 1 내지 3은 미닫이 도어의 높이 조절을 위하여 다 같이 롤러의 높이 조절을 위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기술적 구성이 복잡하다. 아울러, 미닫이 도어를 분해하고자 할 때 또한 높이 조절수단을 다시 조절하여 미닫이 도어를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 또한 가진다. 또한, 높이 조절수단을 조절하지 않고 미닫이 도어를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그 롤러의 높이만큼 레일과 이격 높이를 가져야 하는 단점으로 인해 가구의 미관을 해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기술적 구성에 의하여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를 위한 상부 레일의 레벨링(leveling)과 높이 조절은 물론 슬라이딩 도어의 분리와 장착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도어의 탈부착이 용이한 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 레일의 하강으로 하부 레일과의 거리를 근접시켜 롤러와 레일을 이격되게 하여 슬라이딩 도어를 분리시키고, 상부 레일을 상승시켜 슬라이딩 도어를 장착시키는 슬라이딩 도어의 탈부착이 용이한 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 레일을 하강시키는 동작으로 슬라이딩 도어를 분리시켜 상부에 여유 공간이 없는 가구에서의 슬라이딩 도어의 분리가 간단한 슬라이딩 도어의 탈부착이 용이한 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 레일을 상승시키는 동작으로 슬라이딩 도어를 장착시켜 상부에 여유 공간이 없는 가구에서의 슬라이딩 도어의 장착이 간단한 슬라이딩 도어의 탈부착이 용이한 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 레일의 높이 조절시 미세조절까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에서 이동되는 상부 롤러와 하부 롤러가 장착된 상부 롤러 브래킷과 하부 롤러 브래킷이 결합된 슬라이딩 도어의 탈부착이 용이한 가구에 있어서, 가구의 상부에 배치되는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 및 상기 상부 레일과 결합되는 거치부재;를 포함하는 승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상부레일의 끝단과 결합되는 거치편과, 상기 거치편에서 절곡되어 상기 장착부재와 결합되는 승강편으로 이루어지며; 가구의 상부에 배치된 장착부재와 결합되어, 동시에 또는 장착부재와 분리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되며; 상기 장착부재 또는 거치부재가 가구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레일이 승강되며; 상기 상부 롤러 브래킷과 하부 롤러 브랫킷 사이의 간격이 그대로인 상태에서 상기 상부 레일의 하강에 따라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이 서로 근접하여 상기 하부레일에서 하부롤러가 이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착부재는 복수개의 장착공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편에 형성된 체결공과 고정구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기 거치부재는 거치편과 승강편이 수직 절곡되며, 상기 거치편은 상기 상승레일의 양단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승강편에서 고정구가 풀린 상태에서 상부레일이 상승 또는 하강한다.
본 발명의 상기 상부레일은 상기 장착부재와 거치부재에서 고정구가 풀린 상태에서 가압 또는 충격에 의하여 상승 또는 하강한다.
본 발명은 상기 장착부재가 삽입되는 파이프가 더 포함되고, 상기 파이프는 상부 일측이 개방된 설치홈이 구비되며, 상기 설치홈을 경유하여 고정구가 상기 장착부재를 상기 파이프에 결합시킨다.
본 발명의 상기 거치편은 상기 상부레일의 끝단에 삽입되는 거치고정체와 상기 상부레일을 사이에 두고 고정구에 의하여 결합된다.
본 발명의 상기 승강수단의 승강 이동 한계는 상기 파이프의 설치홈에 의하여 결정된다.
본 발명의 상기 장착부재는 상단부가 수직 절곡되어 상기 파이프 내측으로 삽입된다.
본 발명의 상기 상부 레일의 끝단과 상기 삽입홈측면은 서로 면접촉한다.
본 발명의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설치홈으로 생긴 노출된 장착부재와 고정구에 의하여 결합되고, 장착부재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설치홈 상부와 하부 사이에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상기 장착부재에는 거치부재의 높이를 미세 조절하기 위한 미세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미세 조절부는 장착편의 밑단에 나선이 형성된 높이조절공이 형성되는 받침편, 상기 높이조절공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거치부재의 밑단과 맞닿는 높이조절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의 탈부착이 용이한 가구는 간단한 기술적 구성에 의하여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를 위한 상부 레일의 레벨링(leveling)과 높이 조절은 물론 슬라이딩 도어의 분리와 장착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부 레일의 하강으로 하부 레일과의 거리를 근접시켜 롤러와 레일을 이격되게 하여 슬라이딩 도어를 분리시키고, 상부 레일을 상승시켜 롤러와 레일이 결합되며 슬라이딩 도어를 장착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부 레일을 하강시키는 동작으로 슬라이딩 도어를 분리시켜 상부에 여유 공간이 없는 가구에서의 슬라이딩 도어의 분리가 간단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부 레일을 상승시키는 동작으로 슬라이딩 도어를 장착시켜 상부에 여유 공간이 없는 가구에서의 슬라이딩 도어의 장착이 간단한 장점이 있다.
또한, 레일의 높이 조절시 미세조절까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더 정확한 레벨링과 높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가구에 적용된 상태의 일부 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변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슬라이딩 도어의 탈부착 구성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장착부재와 거치부재가 결합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슬라이딩 도어의 탈부착 구성의 결합상태를 상부에서 본 상태도이고, 도 9은 제2실시예의 슬라이딩 도어의 탈부착 구성의 결합상태를 하부에서 본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부레일 하강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슬라이딩 도어가 제거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가구에 적용된 상태의 일부 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변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슬라이딩 도어의 탈부착 구성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장착부재와 거치부재가 결합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슬라이딩 도어의 탈부착 구성의 결합상태를 상부에서 본 상태도이고, 도 9은 제2실시예의 슬라이딩 도어의 탈부착 구성의 결합상태를 하부에서 본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부레일 하강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슬라이딩 도어가 제거된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제1실시예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이 가구에 적용된 상태의 일부 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측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슬라이딩 도어(110)는 장롱이나 붙박이장, 책장, 싱크대, 수납장 또는 욕실장 등과 같은 가구(100)의 전면에 설치되어 수납된 물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부 레일(120A)과 하부 레일(120B)에서 슬라이딩 가능토록 상하부 이동수단(130)인 상부 및 하부 롤러(132)가 장착된 상부 롤러 브래킷(134)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가구는 상부와 하부에 대응되게 설치하는 구성이 많고, 이에 대하여 상부와 하부의 구성은 구성별로 후단에 A와 B를 붙여서 구분한다. 예를 들어 상부 레일은 120A, 하부레일은 120B로 구분하며, 상부 이동수단은 130A, 하부 이동수단은 130B로, 상부 롤러는 132A로 하부 롤러는 132B로 구분한다.
슬라이딩 도어(110)는 테두리를 구성하는 틀프레임과, 상기 틀프레임의 내측에 통상적인 패널이나 거울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에서, 이동수단(130)의 롤러 브래킷(134) 일단은 슬라이딩 도어(110)의 틀프레임 또는 패널에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구(100)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된 상부 레일(120A)과 하부레일(120B)에서 이동 가능하게 롤러가 장착된 각각의 롤러 브래킷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레벨링과 분리를 위한 레일의 높이 조절장치는, 상기 상부 레일(120A)은 가구(100)의 내측 상부의 밑면 또는 전면에 위치하며 하부 레일(120B)은 가구(100)의 내측 바닥면 또는 밑면에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레일(120A)은 가구(100)의 내측 양 측면 또는 전면 양측에 장착 고정되는 장착부재(10)와, 상기 장착부재(10) 상에서 승강된 후 고정되며 상기 상부 레일(120A)의 양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부재(20)를 포함하는 승강수단(1);과 결합된다.
상기 상부 레일(120A)은 승강수단(1)에 의해 양단이 상하로 상승 또는 하강됨으로써, 이동수단인 롤러의 슬라이딩을 위한 레벨링이 번거로움 없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가구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레일(120B)은 가구에 고정되어 상하로 이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부 레일(120A)이 하강하면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고, 슬라이딩 도어와 결합된 롤러 브래킷(134)이 하부 레일(120B)에서 이탈하여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면하면, 슬라이딩 도어(110)를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슬라이딩 도어를 개방시켜 가구(100)의 어느 한쪽으로 이동시킨 후 노출된 위치의 상부 레일(120A)를 가압 또는 충격을 주어 하강시키면, 상부 레일의 양단에 삽입되어 결합된 거치부재(20)가 장착부재(10)에서 하강한다. 이때 하부 레일(120B)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이 서로 근접하면서 하부 레일에 접촉되어 있는 롤러가 하부 레일에서 이탈하여 슬라이딩 도어(11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 도어(110)에 장착되어 있는 이동수단(130)은 상부 레일(120A)로부터 신속하고 간단하게 분리된다. 상부 레일(120A)에 가압 또는 충격을 주기 전에 거치부재(20)와 가구(100)는 결합 상태를 해제시켜야 한다. 슬라이딩 도어가 무겁다면 별도의 가압없이도 결합상태가 해제된 거치부재(20)를 눌러 상부 레일이 하강한다.
이와 같이 상부 레일(120A)이 하강됨에 따라 그 상부 레일에 올려진 이동수단(130)인 롤러 브래킷(134)이 동시에 하강하고, 이에 따라 슬라이딩 도어가 같이 하강한다.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110)는 분리를 위해 상부로 들어올려야 할 소정의 공간이 요구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부 레일이 하강함에 따라 슬라이딩 도어가 하강하며 공간이 새롭게 발생하므로, 슬라이딩 도어가 장착된 이후에 상부 공간이 없어도 분리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의 분리를 신속하고 간단하면서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슬라이딩 도어의 장착도 이동수단을 상부 레일에 상치시킨 후에 상부 레일을 가압하여 상승시킨 후 거치부재(20)와 장착 부재(10)를 고정하는 절차만으로 간단하게 달성할 수 있다.
장착부재(10)는 가구(100)의 내측 양 측면 또는 전면 양측에 통상적인 스크류 등에 의해 장착 고정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장착공(12A)이 형성된 장착편(12)과, 상기 장착편(12)의 양 측단에 전면 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재(20)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각각의 가이드편(14)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가이드편(1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편(12)으로부터 직교되는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으로부터 직교되게 절곡되는 수평면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장착편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곡면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것 중의 어느 하나이다.
다시 말해서, 장착 부재(10)는 장착편(12)에 의해 가구에 고정되며, 가이드편(14)은 거치부재(20)를 내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흔들림 없이 승강하도록 가이드(guide) 하는 역할을 한다.
거치부재(20)는 상부 레일(120A) 양쪽 끝단에 형성된 삽입홈(122)으로 삽입되어 거치 및 분리 가능한 거치편(22)과, 상기 거치편(22)으로부터 하부로 직교되어 상기 가이드편(14) 사이로 삽입되어 승강 하면서 통상적인 볼트나 스크류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구(23)가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공(24)이 형성되는 승강편(25)을 포함한다.
상부 레일(120A)의 양단에 형성된 삽입홈(122)에는 상기 거치편(22)이 삽입된다. 여기에서 거치편(22)의 '삽입'은 삽입홈(122)에 직접적으로 삽입되는 경우, 삽입홈(122)의 외측에서 비스 등으로 고정하는 경우와 같이 삽입홈(122)에 거치편(22)이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거치부재(20)의 거치편(22)을 상부 레일(120A)의 삽입홈(122)에 삽입하고, 상부레일(120A)을 상하로 이동시킨다. 장착시에는 가구(100)의 상단까지 밀어 올린 후 고정구(23)를 상기 승강편(25)의 체결공(24)에 삽입하여 장착부재(10)와 고정시키면 상부 레일의 위치가 확정되면서 레벨링은 물론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이때 가구의 설치 환경에 따라 상부 레일을 가구의 상단까지 상승시키지 않고 상하의 레일에 롤러가 안치될 수 있도록 높이조절이 간단하게 가능해진다.
상기 거치편(22)과 승강편(25)은 서로 직교로 되어, 거치편이 지면에 수평이고, 승강편(25)이 지면에 수직인 형태가 된다. 도 4와 같이, 고정구(23)의 분리로 승강편(25)이 장착부재(10)와의 결합에서 벗어난 상태에서 상부 레일(120A)을 가압하여 상승(슬라이딩 도어를 장착시키기 위한 동작) 또는 하강(슬라이딩 도어를 분리시키기 위한 동작)시키면, 거치편(22)이 상부 레일의 삽입홈(122)과 맞물려 동일하게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레벨링은 상부레일을 상승 또는 하강을 조금씩 이동하면 수행한다.
상부 레일을 올리면서 슬라이딩 도어(110)가 적정한 위치까지 상승되면, 고정구(23)를 체결공(24)에 결합시켜 승강편(25)이 슬라이딩 도어의 자중에 의하여 하강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편(14)은 장착부재(10)가 아닌 거치부재(20)에 형성시킬 수 있다. 즉, 거치부재(20)의 승강편(25)의 가장자리를 승강편(25)으로부터 직교되는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으로부터 직교되게 절곡되는 수평면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승강편으로부터 곡면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것 중의 어느 하나가 된다. 가이드편이 승강편(25)에 형성되면 그 내부로 장착부재(10)의 장착편(12)이 삽입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편이 승강편에 형성되면, 승강편(25)을 고정하는 고정구(23)가 장착부재(10)를 관통하여 가구와 결합한다.
여기에서 슬라이딩 도어(110)의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에 놓여지는 롤러(132)는 상부레일에는 상부에서, 하부레일에는 하부에서 접촉된다. 이러한 롤러와 레일의 관계는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의 거리가 근접시에 변화된다. 자중에 의하여 상부레일상의 상부 롤러(132A)는 그대로 상부레일(120A) 위에 위치하나, 하부레일(120B)의 하부에서 접촉한 하부 롤러(132B)는 하부레일과 이격되므로 쉽게 슬라이딩 도어(110)를 레일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슬라이딩 도어의 장착은 분리와 반대로 된다.
본 발명에서 상부레일의 상승과 하강은 이동 수단(130)이 레일에서 분리될 수 있는 폭과 같거나 크게 한다. 이동 수단은 롤러 브라켓(134)의 일면이 슬라이딩 도어에 고정되어 있고, 타면에 구비된 롤러(132)가 레일에 걸쳐지며, 이때 롤러(132)가 레일에서 벗어날 수 있을 정도로 상승 또는 하강을 한다. 특히 하부롤러가 하부 레일에서 분리될 수 있는 정도면 슬라이딩 도어를 분리할 수 있다. 처음 설치시에는 상부레일(120A)이 하강된 상태에서 롤러가 상부레일에 얹혀지고, 상부레일을 상승시켜 슬라이딩 도어(110)가 상기 가구(100)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시키므로 상부레일의 상승 폭이 클 수 있으며, 수리의 경우에는 상부레일의 하강 폭이 롤러가 분리될 수 있는 정도면 되고, 하강을 좀더 하면 롤러 분리가 더 용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하부레일의 상부에 롤러가 배치되는 경우에도 가능하다. 이때에는 상부레일이 하강하여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이 근접되면 하부레일 위에 놓여진 하부 롤러(132B)가 그대로 위치하므로 상부레일에서 상부 롤러(132A)가 이격된다. 상부레일에서 상부 롤러가 이격되면 슬라이딩 도어가 넘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승강수단인 가구에 장착되는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 상에서 승강하면서 상부 레일을 거치시키는 거치부재에 의해 레벨링은 물론 높이 조절 또한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부 레일의 승강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분리 또한 번거롭거나 복잡한 과정이 아니라 간단하고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특히 상부레일이 장착된 이후에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에 별도의 공간이 적거나 없을때에도 쉽게 슬라이딩 도어를 분리 또는 장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승강수단에 의해 상부 레일의 레벨링은 물론 높이 조절이 간단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레벨링 또는 높이 조절시 미세조절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장착부재(10)에는 거치부재(20)의 높이를 미세 조절하기 위한 미세 조절부(30)를 포함하되, 상기 미세 조절부(30)는 장착편(12)의 밑단에 나선이 형성된 높이조절공(32A)이 형성되는 받침편(32)과, 상기 높이조절공(32A)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거치부재(20)의 밑단과 맞닿는 통상적인 볼트나 무드볼트 또는 렌치볼트 등과 같은 높이조절구(34)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받침편은 가구의 내측 면 또는 전면에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 바람직하게는 장착부재의 장착편 밑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승강수단에 의해 상부 레일의 레벨링과 높이 조절을 가 조절한 상태에서 미세 조절부인 높이조절구를 회전시켜 정확한 위치로 미세 조절 후 승강수단에 의해 고정함에 따라 번거로움 없이 정확한 레벨링과 높이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도 6 내지 도 12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나는 부분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슬라이딩 도어의 탈부착 구성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장착부재와 거치부재가 결합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슬라이딩 도어의 탈부착 구성의 결합상태를 상부에서 본 상태도이고, 도 9는 제2실시예의 슬라이딩 도어의 탈부착 구성의 결합상태를 하부에서 본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부레일 하강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슬라이딩 도어가 제거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1과 12는 제2실시예가 싱크대 하부에 설치된 형태로, 기존의 싱크대 하부에 설치되는 가구는 슬라이딩 도어를 탈부착하기 위해 필요한 상부 공간이 부족하여 슬라이딩 도어가 아닌 다수의 여닫이 도어를 갖는 가구가 설치되었다.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를 부착하기 위한 상부 공간을 요구하지 않기에 싱크대 하부에도 슬라이딩 도어를 설치할 수 있다. 도면 상부의 비정형적인 부분이 싱크대이다.
도 11과 같이 2개 이상의 슬라이딩 도어(110)는 가구 전체에서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에 걸쳐져 설치된다.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부레일(120A)의 상부에 상부롤러(132A)가 얹혀지고, 하부레일(120B)의 하부에 하부롤러(132B)가 아래에서 끼워지며, 상부롤러와 하부롤러를 포함하는 상부 및 하부 롤러브래킷(134A, 134B)가 슬라이딩 도어(110)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는 별도의 파이프(50)에 장착부재(10)를 삽입한 후에 가구(100)의 상하방향으로 상기 파이프(50)를 고정한다. 상기 파이프(50)는 상부에 사각형상의 설치홈(51)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홈(51) 내부에는 장착부재(10)가 삽입된다. 장착부재(10)는 제1실시예와 달리 장착편(12)의 상부가 절곡된 상부편(11)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편(11)은 파이프(50) 내부와 꽉 끼워져 장착부재(10)가 파이프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거치부재(20)는 장착편(12)과 결합되는 승강편(25)과 상부레일(120A)과 결합되는 거치편(22)이 있다. 승강편(25)에는 비스 등 고정구(23)에 의하여 장착편과 고정되는 체결공(24)이 형성된다. 상기 거치편(22)에는 거치공(22A)이 형성되어 있다. 거치공(22A)은 상부레일(120A)의 삽입홈(122)에 삽입되는 거치고정체(21)와 고정구(23)에 의하여 결합된다.
거치고정체(21)는 도 6 및 8과 같이, 상기 거치편(22)과 분리되어 형성되며 일측에 고정구(23)가 삽입되는 거치고정홈(21A)이 형성된다. 거치고정홈(21A)은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고정구(23)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되는 너트의 기능을 한다. 거치고정체(21)는 상부레일(120A)의 삽입홈(122)에 삽입되어 하부에 배치된 상기 거치편(22)과 고정구(23)에 의하여 고정된다. 거치고정체(21)와 거치편(22) 사이에는 상부레일에서 분기된 날개가 구비되어 고정구(23)에 의하여 거치고정체(21)와 거치편(22)이 조여지면 거치부재(20)와 상부레일(120A)이 강하게 결합된다.
거치고정체(21)가 상부레일의 삽입홈(122)에 삽입되고 거치편(22)이 상부레일의 하단에 배치되어 거치편(22)과 상부레일(120A)이 고정구에 의하여 강하게 결합되면 유동이 없어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상부 롤러(132A)가 이동하는 상부레일(120A)에는 상부 롤러의 이동시에 방해가 없게 된다. 따라서, 상부 롤러는 상부레일위에서 부드럽고 조용하게 이동할 수 있다.
거치부재(20)의 승강편(25)은 장착부재(10) 장착편(12)과 고정구(23)에 의하여 결합된다. 장착부재(10)는 파이프(50)의 개방된 상단으로 삽입되어 파이프 내에 배치되며, 파이프 내부에 배치된 장착부재(10)는 장착편(12)이 설치홈(51)을 통하여 외부에 일부가 노출되어 있다. 이때 장착공은 외부에 전체가 노출된다. 외부에 노출된 장착편(12)에 형성된 장착공(12A)에 고정구(23)가 결합되어 파이프와 고정된다. 이때 파이프(50)의 설치홈(51) 가장자리는 길이방향으로 파이프날개(54)가 단턱지게 형성되어 장착부재(10)가 설치홈(51)에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한다. 고정구(23)는 장착공(12A)을 관통하여 파이프의 내벽면을 가압하여 장착부재(10)를 고정시킨다.
파이프(50)의 상부와 하부에는 파이프를 가구(100)에 비스 등에 의하여 고정하도록 파이프고정홈(53)이 형성된다.
장착부재의 장착편(12)에는 다수개의 장착공이 형성되며, 도 7과 같이, 상기 장착공과 승강편(25)에 형성된 체결공(24)과 고정구(23)로 결합한다. 승강편(25)은 파이프날개(54) 속으로 들어간 상태에서 장착편(12)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파이프날개(54)를 사이에 두고 고정구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 거치편의 거치공(22A), 승강편의 체결공(24)은 단순히 홈으로 되고, 거치고정체의 거치고정홈(21A)과 장착편의 장착홈(12A)은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고정구의 나사산과 암수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 장착편(12)에만 고정된 고정구(23)를 풀어 적절한 높이에서 고정구를 조여주면, 파이프 내부에서 장착부재(10)가 고정된다. 가구의 양 측면에 고정된 파이프(50), 그리고 파이프 내부에 고정된 장착부재(10), 장착부재(10)와 결합된 거치부재(20)의 승강편(25), 승강편과 수직 절곡된 거치편(22), 거치편(22)과 결합된 상부레일(120A), 상부레일(120A) 위에 놓여진 상부 롤러(132A), 상부롤러가 결합된 상부 이송수단(130A), 상부이송수단과 결합된 슬라이딩 도어(110)의 순서로 슬라이딩 도어(110)가 가구와 결합되어 개폐가 이루어진다.
슬라이딩 도어의 장착이 마무리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도어의 분리가 필요한 경우에, 도 10과 같이 승강편(25)과 결합되지 않는 고정구를 풀어주면 장착부재(10)는 파이프(50) 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파이프(50)의 설치홈(51)은 길이방향으로 뚫려 있으며, 그 상단과 하단이 외부로 돌출된 거치부재(20)의 이동 한계위치가 된다. 즉, 거치부재(20)는 거치편(22)이 파이프(50) 외부로 돌출되고, 승강편(25)이 파이프 내부에 배치된 장착편(12)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거치부재는 설치홈의 하부로 내려갈 수 없고, 설치홈의 상부로 올라갈 수 없다.
삽입홈(51)의 하단부는 홈이 좀더 크게 형성되어 승강편(25)이 결합된 상태에서 하강하여 파이프(5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거치편이 삽입홈(51)에 걸려 거치부재(20)는 더 이상 하강할 수 없고, 상부레일도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한다. 작업자는 거치편이 삽입홈의 하단부에 걸려 멈춰진 상태에서 슬라이딩 도어를 분리하므로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부레일(120A)의 이동은 상부레일의 롤러브라켓(134)이 이탈할 수 있을 정도로 상부레일이 하강하면 충분하므로 파이프의 설치홈이 매우 클 필요가 없다.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상부 레일의 하강 및 상승 폭은 레일에 거치된 롤러가 분리될 수 있는 정도보다 크면 되므로 상기 설치홈(51)의 상하 높이는 매우 크게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상부레일(120A)의 측면폭은 파이프(50)의 일 단면인 삽입홈측면(52)와 면접촉하여 유동이 적게되어, 상부레일 위에서 롤러의 슬라이딩 이동에도 흔들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제2실시예의 장착공(12A)과, 거치고정홈(21A)에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상이 형성된 비스나 스크류가 인입될 경우 나사산과 나사홈이 서로 결합되어 강한 결속이 이루어진다.
또한, 장착부재(10) 상부의 절곡된 상부편(11)이 파이프(50) 내부와 결합되므로 상기 고정구(23)와의 결합에 의하여 파이프(50) 내부에서 흔들림없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에 상부 레일(120A)의 끝단면과, 설치홈측면(52)과 서로 면접촉되므로 이중 삼중으로 고정되어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시에 흔들림없는 안정감을 제공한다.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보다 간단하게 슬라이딩 도어의 분리가 가능하다. 승강편(25)의 매개없이 직접 장작편(12)의 장착공(12A)과 결합된 고정구를 풀면(본발명에서 고정구의 분리는 완전히 제거하는 것뿐 아니라 결속이 해제된 상태를 의미), 장착부재(10)가 파이프(50)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거치부재(20)는 상부레일(120A)의 끝단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레일(120A)을 가압(또는 슬라이딩 도어의 자중으로)하면 상부레일(120A), 거치부재(20), 장착부재(10)과 동시에 하강한다. 상부레일이 하강하면 하부레일에서 하부롤러가 이격된다. 승간수단(1)이 파이프(50)의 설치홈(51)의 하단에 걸려 이동이 중지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도어(110)를 약간 상승시켜 롤러를 상부레일에서 분리하면 슬라이딩 도어(110)가 상부레일(120A)에서 분리된다. 수리된 또는 교체하고자 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들어 슬라이딩 도어의 일측과 결합된 상부이동수단의 상부롤러를 상부레일에 상치시킨 후 상부레일(120A)을 상승시켜 하부레일로 하부롤러를 삽입한다. 이후에 고정구를 장착편의 장착공에 결합시켜 파이프와 장착부재를 강하게 결속하면 슬라이딩 도어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하게 슬라이딩 도어를 레일에서 분리 또는 장착시킬 수 있어, 숙련공을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신속하고 편리하게 슬라이딩 도어를 가구와 분리 또는 장착시킬 수 있다.
제2실시예는 상부레일에 별도의 가압이 없어도 고정구를 장착공에서 회전시켜 장착편과 파이프의 강한 결속(결합)을 제거하면 상부레일에 거치된 상부롤러와 연결된 슬라이딩 도어의 자중에 의하여 하강할 수 있다. 제1실시예는 상부레일이 가구와 억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부레일에 가압이 있어야 하강할 수 있다. 제2실시예는 장착부재와 거치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장착부재와 파이프의 결속(결합)을 제거하므로 상부레일과 파이프는 강한 결속이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실시예는 장착부재와 파이프 사이의 결속이 없어지면 상부레일의 가압이 없어도 슬라이딩 도어의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게 된다. 상부레일의 상승시에는 제1실시에와 마찬가지로 제2실시예도 위 방향으로 가압이 있어야 한다.
1 : 승강수단
10 : 장착부재 12 : 장착편
12A : 장착공 14 : 가이드편
20 : 거치부재 21 : 거치고정체
21A :거치고정홈 22 : 거치편
23 : 고정구 24 : 체결공
25 : 승강편
30 : 미세 조절부 32 : 받침편
32A : 높이조절공 34 : 높이조절구
50 : 파이프 51 : 설치홈
52 : 삽입홈측면 53 : 파이프고정홈
54 : 파이프날개
100 : 가구
110 : 슬라이딩 도어 120A : 상부 레일
120B : 하부 레일 130 : 이동수단
130a : 상부이동수단 130b: 하부이동수단
132 : 롤러 132a : 상부롤러
132b : 하부롤러 134 : 롤러 브래킷
134a : 상부 롤러 브래킷 134b : 하부 롤러 브래킷
10 : 장착부재 12 : 장착편
12A : 장착공 14 : 가이드편
20 : 거치부재 21 : 거치고정체
21A :거치고정홈 22 : 거치편
23 : 고정구 24 : 체결공
25 : 승강편
30 : 미세 조절부 32 : 받침편
32A : 높이조절공 34 : 높이조절구
50 : 파이프 51 : 설치홈
52 : 삽입홈측면 53 : 파이프고정홈
54 : 파이프날개
100 : 가구
110 : 슬라이딩 도어 120A : 상부 레일
120B : 하부 레일 130 : 이동수단
130a : 상부이동수단 130b: 하부이동수단
132 : 롤러 132a : 상부롤러
132b : 하부롤러 134 : 롤러 브래킷
134a : 상부 롤러 브래킷 134b : 하부 롤러 브래킷
Claims (10)
-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에서 이동되는 상부 롤러와 하부 롤러가 장착된 상부 롤러 브래킷과 하부 롤러 브래킷이 결합된 슬라이딩 도어의 탈부착이 용이한 가구에 있어서,
가구의 상부에 배치되는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 및 상기 상부 레일과 결합되는 거치부재;를 포함하는 승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상부레일의 끝단과 결합되는 거치편과, 상기 거치편에서 절곡되어 상기 장착부재와 결합되는 승강편으로 이루어지며;
가구의 상부에 배치된 장착부재와 결합되어, 동시에 또는 장착부재와 분리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되며;
상기 장착부재 또는 거치부재가 가구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레일이 승강되며;
상기 상부 롤러 브래킷과 하부 롤러 브랫킷 사이의 간격이 그대로인 상태에서 상기 상부 레일의 하강에 따라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이 서로 근접하여 상기 하부레일에서 하부롤러가 이격되는 슬라이딩 도어의 탈부착이 용이한 가구.
- 제1항에 있어서,
장착부재는 복수개의 장착공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편에 형성된 체결공과 고정구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기 거치부재는 거치편과 승강편이 수직 절곡되며, 상기 거치편은 상기 상승레일의 양단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승강편에서 고정구가 풀린 상태에서 상부레일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탈부착이 용이한 가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일은 상기 장착부재와 거치부재에서 고정구가 풀린 상태에서 가압 또는 충격에 의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탈부착이 용이한 가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가 삽입되는 파이프가 더 포함되고,
상기 파이프는 상부 일측이 개방된 설치홈이 구비되며,
상기 설치홈을 경유하여 고정구가 상기 장착부재를 상기 파이프에 결합시키는 슬라이딩 도어의 탈부착이 용이한 가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편은 상기 상부레일의 끝단에 삽입되는 거치고정체와 상기 상부레일을 사이에 두고 고정구에 의하여 결합되는 슬라이딩 도어의 탈부착이 용이한 가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의 승강 이동 한계는 상기 파이프의 설치홈에 의하여 결정되는 슬라이딩 도어의 탈부착이 용이한 가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단부가 수직 절곡되어 상기 파이프 내측으로 삽입되는 슬라이딩 도어의 탈부착이 용이한 가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레일의 끝단과 상기 삽입홈측면은 서로 면접촉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탈부착이 용이한 가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설치홈으로 생긴 노출된 장착부재와 고정구에 의하여 결합되고,
장착부재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설치홈 상부와 하부 사이에서 이동되는 슬라이딩 도어의 탈부착이 용이한 가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에는 거치부재의 높이를 미세 조절하기 위한 미세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미세 조절부는 장착편의 밑단에 나선이 형성된 높이조절공이 형성되는 받침편, 상기 높이조절공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거치부재의 밑단과 맞닿는 높이조절구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탈부착이 용이한 가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1085A KR20210144158A (ko) | 2020-05-21 | 2020-05-21 | 슬라이딩 도어의 탈부착이 용이한 가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1085A KR20210144158A (ko) | 2020-05-21 | 2020-05-21 | 슬라이딩 도어의 탈부착이 용이한 가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44158A true KR20210144158A (ko) | 2021-11-30 |
Family
ID=78722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1085A KR20210144158A (ko) | 2020-05-21 | 2020-05-21 | 슬라이딩 도어의 탈부착이 용이한 가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144158A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10934U (ko) | 2010-05-18 | 2011-11-24 | 주식회사 영일산업 | 슬라이딩 도어용 높낮이 조절형 로울러장치 |
KR101734886B1 (ko) | 2016-04-22 | 2017-05-15 |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 높낮이 및 좌우 간격조절 구조를 갖는 미닫이용 호차 |
KR101772092B1 (ko) | 2017-05-18 | 2017-08-28 | 한동이엔지 주식회사 | 브라켓을 구비한 미닫이 도어용 레일 장치 |
-
2020
- 2020-05-21 KR KR1020200061085A patent/KR2021014415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10934U (ko) | 2010-05-18 | 2011-11-24 | 주식회사 영일산업 | 슬라이딩 도어용 높낮이 조절형 로울러장치 |
KR101734886B1 (ko) | 2016-04-22 | 2017-05-15 |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 높낮이 및 좌우 간격조절 구조를 갖는 미닫이용 호차 |
KR101772092B1 (ko) | 2017-05-18 | 2017-08-28 | 한동이엔지 주식회사 | 브라켓을 구비한 미닫이 도어용 레일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390576B1 (en) | Front face mounting apparatus and process | |
EP2774519B1 (en) | Shower door assembly | |
TWI494494B (zh) | 用以保持分離元件之滑架及分離元件 | |
EP2728095B1 (en) | Shower door roller device | |
US8388076B2 (en) | Face plate alignment system | |
CN205330348U (zh) | 一种暗装式趟门滑轮 | |
CN103479102B (zh) | 抽屉侧板的集成优化调整系统 | |
US6902244B1 (en) | Drawer rail structure allowing adjusting of vertical position of drawer front panel | |
KR20210144158A (ko) | 슬라이딩 도어의 탈부착이 용이한 가구 | |
KR101022816B1 (ko)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 | |
KR102197056B1 (ko) | 슬라이딩 도어용 상부 레일 높이 조절장치 | |
TW202006238A (zh) | 玻璃門用夾持組件 | |
KR200473743Y1 (ko) | 장식장의 슬라이딩 도어용 외측슬라이더 | |
CN209620970U (zh) | 一种隐藏式门窗铰链用多功能调节座 | |
US2657968A (en) | Drawer slide for cabinets | |
CN211573045U (zh) | 一种多功能欧标u槽隐形铰链 | |
KR102206904B1 (ko) | 슬라이딩 도어용 분리장치 | |
CN209780612U (zh) | 一种组合式铝合金门框架型材 | |
WO2021235579A1 (ko) | 슬라이딩 도어의 탈부착이 용이한 가구 | |
KR20050120191A (ko) | 미닫이문 | |
US20060010774A1 (en) | Pocket door mounting system | |
CN215948759U (zh) | 一种插槽式墙面木饰面板 | |
CN213449928U (zh) | 一种隐藏式窗户合页 | |
JP2588728Y2 (ja) | フロアーキャビネット | |
CN221799520U (zh) | 一种平移门窗用滑轮组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